KR20200143767A - 헤어라인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헤어라인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3767A
KR20200143767A KR1020190071222A KR20190071222A KR20200143767A KR 20200143767 A KR20200143767 A KR 20200143767A KR 1020190071222 A KR1020190071222 A KR 1020190071222A KR 20190071222 A KR20190071222 A KR 20190071222A KR 20200143767 A KR20200143767 A KR 20200143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grinding
hairline
uni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2747B1 (ko
Inventor
김성윤
Original Assignee
김성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윤 filed Critical 김성윤
Priority to KR1020190071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747B1/ko
Publication of KR20200143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C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SURFACES
    • B41C1/00Forme preparation
    • B41C1/02Engraving; Heads therefor
    • B41C1/04Engraving; Heads therefor using heads controlled by an electric information signal
    • B41C1/045Mechanical engraving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 B24B5/0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for grinding cylindrical surfaces exter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C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SURFACES
    • B41C1/00Forme preparation
    • B41C1/18Curved printing formes or printing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3/00Preparing for use and conserving printing surfaces
    • B41N3/04Graining or abrasion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라인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 장치는, 인쇄용 롤러를 고정하고 회전시키는 고정부, 롤러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회전하여 연삭함으로써 롤러에 곡선 패턴의 헤어라인을 가공하는 제1 가공부, 그리고 고정부 및 제1 가공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1 가공부는 일면이 롤러의 외주면과 밀착되고 회전하여 연삭하는 연삭층, 일면이 연삭층의 타면에 적층 고정되고,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층, 일면이 탄성층의 타면에 적층 고정되어 탄성층을 가압하는 가압층, 그리고 가압층의 타면 중심에 고정되어 가압층을 회전시키고, 가압층을 롤러에 접근시키며 롤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롤러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헤어라인 가공 면이 구비되어 인쇄용 롤러에 직접 헤어라인을 가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헤어라인 가공 장치{MANUFACTURING DEVICE FOR HAIR LINE}
본 발명은 헤어라인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용 롤러의 외주면에 직접 헤어라인을 가공하는 헤어라인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판이나 동판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판과 같은 금속 재질로 된 가공물은 금속 고유의 광택으로 인한 눈부심을 방지하고 심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에 헤어라인을 형성시킨다.
한편, 각종 전자제품의 하우징, 스위치, 단말기의 키패드 등을 보호하기 위해 표면에 필름이 부착되는데, 이와 같은 필름에는 표면에 금속 표면의 헤어라인을 인쇄함으로써 금속성 질감을 가지면서 심미감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러한 헤어라인이 인쇄되는 필름은 표면에 헤어라인이 가공된 인쇄용 롤러를 이용하여 인쇄가 이루어지는데, 종래에는 얇은 평판의 표면에 헤어라인이 형성되도록 가공하고, 헤어라인이 가공된 얇은 평판을 인쇄용 롤러의 외주면에 둘러싼 상태로 용접함으로써 표면에 헤어라인이 가공된 인쇄용 롤러를 제작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헤어라인이 가공된 인쇄용 롤러는 용접 부위에 이음매가 나타나 이음매를 처리하기 위한 추가 공정이 요구되며, 이음매에 의해 외주면에 형성된 헤어라인이 불연속적으로 형성된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16728호 (2006.08.21)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롤러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헤어라인 가공 면이 구비되어 인쇄용 롤러에 직접 헤어라인을 가공 가능한 헤어라인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다양한 패턴의 헤어라인을 가공할 수 있는 헤어라인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 장치는, 인쇄용 롤러를 고정하고 회전시키는 고정부, 롤러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회전하여 연삭함으로써 롤러에 곡선 패턴의 헤어라인을 가공하는 제1 가공부, 그리고 고정부 및 제1 가공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1 가공부는 일면이 롤러의 외주면과 밀착되고 회전하여 연삭하는 연삭층, 일면이 연삭층의 타면에 적층 고정되고,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층, 일면이 탄성층의 타면에 적층 고정되어 탄성층을 가압하는 가압층, 그리고 가압층의 타면 중심에 고정되어 가압층을 회전시키고, 가압층을 롤러에 접근시키며 롤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한다.
이때, 헤어라인 가공 장치는 롤러의 외주면을 둘러싼 상태로 롤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연삭함으로써 롤러에 직선 패턴의 헤어라인을 가공하는 제2 가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공부는 링 형상의 링 프레임, 링 프레임의 내주면을 따라 원심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끝단이 롤러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연삭하는 하나 이상의 연삭 모듈, 소정의 길이를 갖고, 길이 방향이 고정부에 고정된 롤러와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링 프레임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프레임, 그리고 일측이 링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측이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어 링 프레임을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삭 모듈은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실린더, 일면에 롤러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꼭지점이 형성되고, 타면이 실리더의 일면을 통해 실린더에 수용됨으로써 실린더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연삭 부재, 그리고 실린더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연삭 부재의 타면을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는 타면에 관통 홀이 마련되어 별도로 마련되는 공압기 또는 유압기와 연결되고, 제어부는 초기 상태에서는 실린더의 내부공간이 감압되도록 공압기 또는 유압기를 제어하고, 연삭 부재에 의한 연삭이 수행 중일 때는 내부공간의 감압이 해제되도록 공압기 또는 유압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요구되는 헤어라인의 패턴에 따른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패턴 정보에 따라 고정부, 제1 가공부 및 제2 가공부의 동작 여부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헤어라인 가공 장치는 링 프레임의 내주면에 배치되고 고정부에 고정된 롤러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링 프레임이 이동되는 상태에서 감지부가 롤러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이송 프레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감지부로부터 롤러의 위치 정보를 인가받고, 패턴 정보와 인가받은 롤러의 위치 정보를 기초하여 연삭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연삭 경로 정보에 따라 고정부의 회전과 제1 가공부 및 제2 가공부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롤러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헤어라인 가공 면이 구비되어 인쇄용 롤러에 직접 헤어라인을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인쇄용 롤러에 직접 헤어라인을 가공함으로써 용접에 의한 이음매가 존재하지 않아, 이음매를 처리하기 위한 추가 공정이 요구되지 않으며 롤러의 외주면에 연속되는 패턴의 헤어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형, 롤러의 길이 방향 직선형, 롤러의 원주 방향 직선형 및 사선형의 다양한 패턴의 헤어라인을 가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 장치를 이루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 장치의 고정부, 제1 가공부, 제2 가공부 및 감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 장치의 패턴 정보에 따른 롤러에 형성되는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 장치의 제1 가공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 장치의 고정부와 제1 가공부가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 장치의 제2 가공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 장치의 연삭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 장치의 고정부와 제2 가공부가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 장치의 감지부가 롤러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제2 가공부가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 장치가 헤어라인을 가공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 장치가 패턴 정보에 따라 헤어라인을 가공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 장치를 이루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 장치의 고정부(100), 제1 가공부(200), 제2 가공부(300) 및 감지부(400)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 장치의 패턴 정보에 따른 롤러에 형성되는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 장치는 고정부(100), 제1 가공부(200), 제2 가공부(300), 감지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고정부(100)는 헤어라인 가공이 요구되는 인쇄용 롤러의 중심축에 결합하여 고정시키고, 고정된 롤러(R)를 회전시킨다.
제1 가공부(200)는 고정부에 고정된 롤러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회전하여 롤러의 외주면을 연삭함으로써, 롤러의 외주면에 곡선 패턴의 헤어라인을 가공한다.
제2 가공부(300)는 고정부에 고정된 롤러의 외주면을 환위한 상태로 롤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롤러의 외주면을 연삭함으로써 직선 패턴의 헤어라인을 가공한다.
감지부(400)는 고정부에 고정된 롤러(R)의 위치를 감지한다. 여기서 감지부(400)는 제2 가공부의 링 프레임(310)에 배치됨으로써, 링 프레임(310)이 고정부에 고정된 롤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제2 가공부(300)에 배치되는 감지부(400)도 함께 이동하며 고정된 롤러(R)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패턴 정보에 따라 고정부(100)의 회전 동작과, 제1 가공부(200) 및 제2 가공부(300) 연삭을 위한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생성된 패턴 정보에 대응되는 패턴의 헤어라인이 가공되도록 한다.
여기서, 패턴 정보는 롤러의 외주면에 형성되길 원하는 헤어라인의 패턴에 관한 정보로 도 3a에 도시된 곡선형의 제1 패턴, 도 3b에 도시된 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형의 제2 패턴, 도 3c에 도시된 롤러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형의 제3 패턴 및 도 3d에 도시된 사선형의 제4 패턴 중 하나 이상의 패턴이 포함된 패턴 정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 장치의 제1 가공부(2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 장치의 고정부(100)와 제1 가공부(200)가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5를 참조하면, 제1 가공부(200)는 연삭층(210), 탄성층(220), 가압층(230) 및 회전축(240)을 포함할 수 있다.
연삭층(210)은 롤러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회전되어 롤러의 외주면을 연삭함으로써 롤러에 제1 패턴의 헤어라인울 가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연삭층(210)은 롤러의 외주면의 곡면에 대응하여 형태가 변형 가능한 가변형 재질로 마련되며, 연삭층(210)의 롤러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하측 면에는 세라믹, 다이아몬드, 지르코니아 등의 경도가 높은 광물의 가루가 부착될 수 있다.
탄성층(220)은 연삭층(210)의 상측에 적층되어 고정되고 탄성이 높은 고무, 스펀지와 같은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연삭층(210)이 롤러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가압층(230)은 탄성층(220)의 상측에 적층되어 고정되고 탄성층(220)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한다. 여기서 가압층(230)은 회전축(240)에 의해 비교적 좁은 면적에 가압되는 힘이 넓은 면적으로 분산되어 탄성층(220)에 전달되도록 한다.
회전축(240)은 고정층(230)의 상측 중심에 고정된다. 그리고 회전축(240)은 고정층(230)을 롤러에 접근시켜 연삭층(210)이 롤러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연삭층(210)이 밀착되면 고정층(230)을 회전시켜 연삭층(210)이 롤러의 표면을 원형의 패턴으로 연삭하도록 한다.
또한, 회전축(240)은 연삭층(210)이 회전되는 상태에서 고정층(230)을 롤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연삭층(210)에 의한 연삭 공정이 롤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행되도록 한다. 이때, 회전축(240)의 회전 및 이동은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되며, 연삭층(210)에 의한 연삭 공정이 진행될 때, 제어부(500)는 고정부(100)도 함께 회전하도록 제어하여 연삭층(210)에 의한 연삭 공정이 롤러의 원주방향을 따라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 장치의 제2 가공부(3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 장치의 연삭 모듈(320)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 장치의 고정부(100)와 제2 가공부(300)가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8을 참조하면, 제2 가공부(300)는 링 프레임(310), 연삭 모듈(320), 가이드 프레임(330) 및 이송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링 프레임(310)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부에 고정된 롤러(R)의 외주면을 이격된 상태로 환위하도록 마련된다.
연삭 모듈(320)은 링 프레임(330)을 따라 링 프레임의 원심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돌출된 끝단이 롤러(R)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롤러의 외주면을 연삭함으로써 롤러(R)의 외주면에 제2 내지 제4 패턴의 헤어라인을 가공한다.
이때, 연삭 모듈(320)은 복수로 마련되어 서로 간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연삭 모듈(320)은 실린더(321), 연삭 부재(322) 및 탄성 부재(323)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321)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연삭 부재(320)는 실린더(321)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내부공간에 삽입됨으로써 실린더(321)와 결합되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며, 노출된 일면에는 롤러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롤러의 외주면을 연삭하는 꼭지점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실린더(321)의 내부공간은 연삭 부재(320)와의 결합에 의해 밀폐된다.
탄성 부재(323)는 실린더(321)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연삭 부재(322)를 실린더(321)로부터 외측으로 밀어냄으로써 연삭 부재(322)가 롤러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실린더(321)의 하면에는 관통 홀이 마련됨으로써 관통 홀을 통해 별도로 마련되는 공압기 또는 유압기의 튜브(t)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500)는 연삭 부재(322)에 의한 가공이 수행되고 있지 않은 초기 상태일 때, 공압기 또는 유압기가 실린더(321)의 내부공간을 감압시키도록 하여 연삭 부재(322)가 최대한 실린더(321)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고, 연삭 부재(322)에 의한 롤러의 표면 역삭이 수행 중일 때에는 공압기 또는 유압기에 의한 감압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링 프레임(310)이 롤러(R)와 중첩되는 과정에서의 연삭 부재(322)가 롤러(R)에 걸림을 방지할 수 있고, 감지부(400)에 의한 감지를 위해 링 프레임(310)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연삭 부재(322)에 의해 롤러(R)가 연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프레임(330)은 소정의 길이를 갖고 길이 방향이 고정부에 고정된 롤러(R)와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링 프레임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한다.
이송 프레임(340)은 일측이 링 프레임(310)에 고정되고 타측이 가이드 프레임(330)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어 링 프레임(310)을 가이드 프레임(330)을 따라 이동시킨다.
제어부(500)는 롤러(R)에 제2 패턴으로 헤어라인을 가공하기 위해, 고정부(100)는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제2 가공부(300)만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고정부(100)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링 프레임(310)을 일측에서 타측까지 가이드 프레임(330)을 따라 이동시키되, 링 프레임(310)이 롤러의 일측 끝단(P1)에 위치될 때 실린더(321)의 내부공간에 감압이 해체되도록 하여 연삭 부재(322)가 롤러(R)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롤러(R)에 제2 패턴으로 형성되는 헤어라인이 가공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롤러(R)에 제3 패턴으로 헤어라인을 가공하기 위해, 고정부(100)가 회전하는 상태로 제2 가공부(300)가 불연속적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고정부(100)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링 프레임(310)을 롤러의 일측 끝단(P1) 또는 롤러의 일측 끝단(P1)을 미세하게 지나쳐 롤러와 중첩되는 위치까지 이동하여 정지하도록 한 후, 실린더(321)의 내부공간에 감압이 해제되도록 하여 연삭 부재(322)가 롤러(R)의 원주 방향으로 연삭하도록 하고, 실린더(321)의 내부공간이 감압되도록 한 상태로 링 프레임(310)이 롤러의 타측 끝단(P2)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하게 한 뒤 다시 실린더(321)의 내부공간의 감압이 해제되도록 하는 제어를 반복함으로써, 롤러(R)의 제3 패턴으로 형성되는 헤어라인이 가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롤러(R)에 제4 패턴의 헤어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고정부(100)가 회전하는 상태로 제2 가공부(300)가 연속적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고정부(100)가 회전하는 상태로 링 프레임(310)을 일측에서 타측까지 가이드 프레임(330)을 따라 이동시키되, 링 프레임(310)이 롤러의 일측 끝단(P1)에 위치될 때 실린더(321)의 내부공간에 감압이 해체되도록 하여 연삭 부재(322)가 롤러(R)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롤러(R)에 제4 패턴으로 형성되는 헤어라인이 가공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가공부(300)에는 한 쌍의 링 프레임과 한 쌍의 링 프레임에 각각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연삭 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500)는 한 쌍의 링 프레임 롤러의 길이방향을 이분하여 이동하도록 각각의 경로를 생성하여,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공부(300)에 한 쌍의 링 프레임이 마련되는 경우, 한 쌍의 링 프레임은 서로 간에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함께 이동하며 각각에 배치된 연삭 부재가 헤어라인을 가공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조밀한 각격의 헤어라인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링 프레임에 배치되는 연삭 부재와 제2 링 프레임에 배치되는 연삭 부재는 서로 간에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한 쌍의 링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로 헤어라인을 가공할 때 더욱 조밀한 간격의 헤어라인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 장치의 감지부(400)가 롤러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제2 가공부(300)가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감지부(400)는 링 프레임(310)에 배치되고, 제어부(500)는 고정부(100)에 롤러(R)가 고정되면 링 프레임(310)이 가이드 프레임(330)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링 프레임(310)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감지부(400)가 롤러(R)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400)는 링 프레임(310)의 원심을 향해 객체를 감지하도록 링 프레임(310)의 내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감지부(400)는 레이저를 조사하여 객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레이저 센서일 수 있다.
또한, 감지부(400)는 링 프레임(3100)이 가이드 프레임(330)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객체를 감지하여 객체와의 거리(L1)를 감지할 수 있고, 객체의 위치 변화를 통해 롤러(R)의 일측 끝단(P1)과 타측 끝단(P2)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400)에서 감지된 정보들은 제어부(500)에 인가되고, 제어부(500)는 인가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롤러(R)의 두께와 길이(L2)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 장치가 헤어라인을 가공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 장치는 롤러의 외주면에 헤어라인을 가공하기 위해, 롤러(R)가 고정부(100)에 고정된다(S1010). 제어부(500)는 롤러(R)가 고정되면 외부에서의 입력에 의해 패턴 정보를 생성한다(S1020). 패턴 정보가 생성되면 감지부(400)는 롤러의 위치를 감지한다(S1030).
그리고 제어부(500)는 감지부(400)로부터 롤러의 위치 정보를 인가받고, 입력된 패턴 정보와 인가받은 롤러의 위치 정보를 기초하여 연삭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S1040), 생성된 연삭 경로 정보에 따라 고정부(100), 제1 가공부(200) 및 제2 가공부(200)의 동작을 제어하여 롤러에 헤어라인을 가공한다(S1050).
여기서 제어부(500)에 의해 생성되는 연삭 경로 정보는 고정된 롤러에 요청된 패턴의 헤어라인을 가광하기 위한 경로 정보로, 고정부(100)의 회전 여부, 회전축(240)의 회전여부와 이동 경로, 링 프레임(310)의 이동 경로, 실린더(321)의 내부공간의 감압이 해제되는 위치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 장치가 패턴 정보에 따라 헤어라인을 가공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 장치는 제1 내지 제4 패턴 중 하나 이상의 패턴이 포함된 헤어라인을 가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공정 순서를 살펴보면, 우선 롤러(R)가 고정부(100)에 고정되고(S1110), 제어부(500)는 롤러(R)가 고정되면 외부에서의 입력에 의해 패턴 정보를 생성한다(S1120). 그리고 패턴 정보가 생성되면 감지부(400)는 롤러의 위치를 감지한다(S1130).
제어부(500)는 생성된 패턴 정보에 제1 패턴이 포함되었는지 판단하고(S1140), 제1 패턴이 포함되었으면(S1140-Y), 제1 패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연삭 경로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되는 제1 연삭 경로 정보는 고정부(100)가 회전되도록 하고, 고정부(100)가 회전되는 상태에서 회전축(240)이 회전되도록 하고, 연삭층(210)이 롤러(R)에 밀착될 때까지 회전축(240)이 롤러(R)를 향해 이동하도록 하고, 연삭층(210)이 롤러(R)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축(24)이 롤러의 일측 끝단(P1)에서 타측 끝단(P2)까지 이동하도록 하는 정보이다.
제어부(500)는 제1 연삭 경로 정보가 생성되면 생성된 제1 연삭 경로 정보에 따라 고정부(100) 및 제1 가공부(2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S1150). 그리고 제어부(500)는 생성된 패턴 정보에 제2 패턴이 포함되는지 판단한다(S1155).
만약, 생성된 패턴정보에 제1 패턴이 포함되지 않았다면(S1140-N) 제어부는 제1 연삭 경로 정보 생성 및 제1 연삭 경로 정보에 따른 고정부(100) 및 제1 가공부(200)의 동작 제어를 생략하고 생성된 패턴 정보에 제2 패턴이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S1155).
제어부(500)는 생성된 패턴 정보에 제2 패턴이 포함되었으면(S1155-Y), 제2 패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연삭 경로 정보를 생성한다(S1160).
이때, 생성되는 제2 연삭 경로 정보는 롤러에 제2 패턴의 헤어라인이 가공되도록 링 프레임(310) 및 공압기 또는 유압기를 제어하는 정보이다.
제어부(500)는 제2 연삭 경로 정보가 생성되면 생성된 제2 연삭 경로 정보에 따라 제2 가공부(3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S1165). 그리고 제어부(500)는 생성된 패턴 정보에 제3 패턴이 포함되는지 판단한다(S1170).
만약, 생성된 패턴정보에 제2 패턴이 포함되지 않았다면(S1155-N) 제어부는 제2 연삭 경로 정보 생성 및 제2 연삭 경로 정보에 따른 제1 가공부(200)의 동작 제어를 생략하고 생성된 패턴 정보에 제3 패턴이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S1170).
제어부(500)는 생성된 패턴 정보에 제3 패턴이 포함되었으면(S1170-Y), 제3 패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3 연삭 경로 정보를 생성한다(S1175).
이때, 생성되는 제3 연삭 경로 정보는 롤러에 제3 패턴의 헤어라인이 가공되도록 고정부(100), 링 프레임(310) 및 공압기 또는 유압기를 제어하는 정보이다.
제어부(500)는 제3 연삭 경로 정보가 생성되면 생성된 제3 연삭 경로 정보에 따라 고정부(100)가 회전하고, 제2 가공부(300)가 불연속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S1180). 그리고 제어부(500)는 생성된 패턴 정보에 제4 패턴이 포함되는지 판단한다(S1185).
만약, 생성된 패턴정보에 제2 패턴이 포함되지 않았다면(S1170-N) 제어부는 제3 연삭 경로 정보 생성 및 제3 연삭 경로 정보에 따른 고정부(100) 및 제1 가공부(200)의 동작 제어를 생략하고 생성된 패턴 정보에 제4 패턴이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S1185).
제어부(500)는 생성된 패턴 정보에 제4 패턴이 포함되었으면(S1185-Y), 제4 패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4 연삭 경로 정보를 생성한다(S1190).
이때, 생성되는 제4 연삭 경로 정보는 롤러에 제4 패턴의 헤어라인이 가공되도록 고정부(100), 링 프레임(310) 및 공압기 또는 유압기를 제어하는 정보이다.
제어부(500)는 제4 연삭 경로 정보가 생성되면 생성된 제4 연삭 경로 정보에 따라 고정부(100)가 회전하고, 제2 가공부(300)가 연속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S1195).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고정부
200: 제1 가공부
210: 연삭층
220: 탄성층
230: 가압층
240: 회전축
300: 제2 가공부
310: 링 프레임
320: 연삭 모듈
321: 실린더
322: 연삭 부재
323: 탄성 부재
330: 가이드 프레임
340: 이송 프레임
400: 감지부
500: 제어부
R: 롤러

Claims (8)

  1. 인쇄용 롤러를 고정하고 회전시키는 고정부;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회전하여 연삭함으로써 상기 롤러에 곡선 패턴의 헤어라인을 가공하는 제1 가공부; 및
    상기 고정부 및 제1 가공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공부는
    일면이 상기 롤러의 외주면과 밀착되고 회전하여 연삭하는 연삭층;
    일면이 상기 연삭층의 타면에 적층 고정되고,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층;
    일면이 상기 탄성층의 타면에 적층 고정되어 상기 탄성층을 가압하는 가압층; 및
    상기 가압층의 타면 중심에 고정되어 상기 가압층을 회전시키고, 상기 가압층을 상기 롤러에 접근시키며 상기 롤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라인 가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라인 가공 장치는
    상기 롤러의 외주면을 둘러싼 상태로 상기 롤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연삭함으로써 상기 롤러에 직선 패턴의 헤어라인을 가공하는 제2 가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라인 가공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공부는
    링 형상의 링 프레임;
    상기 링 프레임의 내주면을 따라 원심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끝단이 상기 롤러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연삭하는 하나 이상의 연삭 모듈;
    소정의 길이를 갖고, 길이 방향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롤러와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링 프레임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일측이 상기 링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링 프레임을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라인 가공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삭 모듈은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실린더;
    일면에 상기 롤러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꼭지점이 형성되고, 타면이 상기 실리더의 일면을 통해 상기 실린더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실린더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연삭 부재; 및
    상기 실린더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연삭 부재의 타면을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라인 가공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타면에 관통 홀이 마련되어 별도로 마련되는 공압기 또는 유압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초기 상태에서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공간이 감압되도록 상기 공압기 또는 유압기를 제어하고, 상기 연삭 부재에 의한 연삭이 수행 중일 때는 상기 내부공간의 감압이 해제되도록 상기 공압기 또는 유압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라인 가공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요구되는 헤어라인의 패턴에 따른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패턴 정보에 따라 상기 고정부, 제1 가공부 및 제2 가공부의 동작 여부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라인 가공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라인 가공 장치는
    상기 링 프레임의 내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롤러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링 프레임이 이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가 상기 롤러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이송 프레임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라인 가공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롤러의 위치 정보를 인가받고, 상기 패턴 정보와 인가받은 롤러의 위치 정보를 기초하여 연삭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연삭 경로 정보에 따라 상기 고정부의 회전과 상기 제1 가공부 및 제2 가공부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라인 가공 장치.
KR1020190071222A 2019-06-17 2019-06-17 헤어라인 가공 장치 KR102202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222A KR102202747B1 (ko) 2019-06-17 2019-06-17 헤어라인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222A KR102202747B1 (ko) 2019-06-17 2019-06-17 헤어라인 가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767A true KR20200143767A (ko) 2020-12-28
KR102202747B1 KR102202747B1 (ko) 2021-01-13

Family

ID=74087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222A KR102202747B1 (ko) 2019-06-17 2019-06-17 헤어라인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7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164A (ko) 2021-11-08 2022-01-06 (주)에스케이엠 장식필름의 헤어라인패턴 형성장치
KR102565687B1 (ko) 2022-10-13 2023-08-09 송경희 헤어라인패턴 형성기계의 스크래칭 스크랩 제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2459B1 (ko) * 1994-01-06 1998-12-01 나가이 토모오 인쇄용 롤러 및 그 제조방법
JPH11138651A (ja) * 1997-11-11 1999-05-25 Yasuhiro Mori 複合パイプの製造方法
KR100616728B1 (ko) 2005-07-07 2006-08-28 드림칼라(주) 필름표면에 스크래치 각인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27141A (ko) * 2009-05-25 2010-12-03 주식회사 삼성 이앤지 헤어라인 가공장치
KR20120059313A (ko) * 2010-11-30 2012-06-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연마 홀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2459B1 (ko) * 1994-01-06 1998-12-01 나가이 토모오 인쇄용 롤러 및 그 제조방법
JPH11138651A (ja) * 1997-11-11 1999-05-25 Yasuhiro Mori 複合パイプの製造方法
KR100616728B1 (ko) 2005-07-07 2006-08-28 드림칼라(주) 필름표면에 스크래치 각인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27141A (ko) * 2009-05-25 2010-12-03 주식회사 삼성 이앤지 헤어라인 가공장치
KR20120059313A (ko) * 2010-11-30 2012-06-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연마 홀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164A (ko) 2021-11-08 2022-01-06 (주)에스케이엠 장식필름의 헤어라인패턴 형성장치
KR102565687B1 (ko) 2022-10-13 2023-08-09 송경희 헤어라인패턴 형성기계의 스크래칭 스크랩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2747B1 (ko) 202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2747B1 (ko) 헤어라인 가공 장치
CN100549491C (zh) 用于保护机控式操作设备的装置与方法
CN107912027B (zh) 用于切割、印刷或压印的设备和方法
JP7312103B2 (ja) 化学機械研磨スマートリング
JP7074606B2 (ja) 基板を保持するためのトップリングおよび基板処理装置
JP4949544B2 (ja) ベルト研削装置
JP6847811B2 (ja) 研磨方法および研磨装置
CN109746823B (zh) 研磨方法及研磨装置
US11890715B2 (en) Polishing carrier head with piezoelectric pressure control
JPH09256158A (ja) 連続真空処理装置
JP7447285B2 (ja) 複数の角度方向加圧可能区域を有する研磨キャリアヘッド
EP35303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gear
CN107214543A (zh) 一种用于数控机床的圆柱形工件夹紧装置
US20200368874A1 (en) Polishing apparatus and polishing method
KR102167967B1 (ko)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
JP7300297B2 (ja) 積層メンブレン、積層メンブレンを備える基板保持装置および基板処理装置
US10449757B2 (en) Processing unit and label printing machine having the processing unit
KR102561765B1 (ko) 롤러에 대한 가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패터닝 장치
EP1768480A1 (en) Device to orient a supporting plate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axes
CN217310352U (zh) 一种超声探头及超声诊断设备
JP2005125423A (ja) フイルムラップ装置のシュー組立体
KR102003927B1 (ko) 3d 프린터의 코터의 자가복구 시스템 및 자가복구 방법
JP2010078410A (ja) 磁気式ロータリエンコーダ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H05253778A (ja) セラミックス構造体の保持装置
TW202420386A (zh) 電漿處理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