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967B1 -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967B1
KR102167967B1 KR1020190086156A KR20190086156A KR102167967B1 KR 102167967 B1 KR102167967 B1 KR 102167967B1 KR 1020190086156 A KR1020190086156 A KR 1020190086156A KR 20190086156 A KR20190086156 A KR 20190086156A KR 102167967 B1 KR102167967 B1 KR 102167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oller
processing
metal plat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양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양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양이엔지
Priority to KR1020190086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9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 B24B5/0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for grinding cylindrical surfaces exter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 B24B49/02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stantaneous size and required size of the workpiece acted upon, the measuring or gauging being continuous or intermittent
    • B24B49/04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stantaneous size and required size of the workpiece acted upon, the measuring or gauging being continuous or intermittent involving measurement of the workpiece at the place of grinding during grinding operation
    • B24B49/045Specially adapted gauging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는 금속판을 고정시키는 판 고정부, 롤러를 고정하고 회전시키는 롤러 고정부, 판 고정부에 고정된 금속판 또는 롤러 고정부에 고정된 롤러의 표면을 연삭하여 헤어라인을 가공하는 가공부, 객체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 가공부 및 감지부가 결합되고 결합된 가공부 및 감지부를 이동시키는 이송부, 그리고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객체와의 거리 값을 인가받고, 인가받은 거리 값을 기초로 연삭 경로를 생성하여 가공부가 생성된 연삭 경로에 따라 고정된 금속판 또는 롤러의 표면을 연삭하도록 동작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가공부를 이용하여 금속판 뿐 아니라 인쇄용 롤러의 표면에도 헤어라인을 가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Multi Hair Line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용 롤러의 외주면에 직접 헤어라인을 가공하고, 하나의 헤어라인 가공 수단을 이용하여 인쇄용 롤러뿐 아니라 금속판의 표면에도 헤어라인을 가공할 수 있는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판이나 동판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판과 같은 금속 재질로 된 가공물은 금속 고유의 광택으로 인한 눈부심을 방지하고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에 헤어라인을 형성시킨다.
한편, 각종 전자제품의 하우징, 스위치 단말기의 키패드 등을 보호하기 위해 표면에 필름이 부착되는데, 이와 같은 필름에는 금속 표면과 같은 헤어라인을 인쇄하여 금속성 질감을 갖도록 하여 심미성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은 헤어라인 인쇄 필름은 표면에 헤어라인이 가공된 인쇄용 롤러로 필름에 UV(Ultra Violet)인쇄를 수행하여 제조된다.
종래에는 인쇄용 롤러에 헤어라인을 가공하는 방법으로 롤러 외주면의 곡률로 인하여 롤러의 외주면에 직접 헤어라인을 가공하지 않고, 얇은 평판의 표면에 헤어라인이 형성되도록 가공하고, 헤어라인이 가공된 얇은 평판을 인쇄용 롤러의 외주면에 둘러싼 상태로 용접함으로써 표면에 헤어라인이 가공된 인쇄용 롤러를 제작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방법으로 제작된 인쇄용 롤러는 용접 부위에 이음매가 나타나 이음매를 처리하기 위한 추가 공정이 요구되며, 이음매에 의해 외주면에 형성된 헤어라인이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심미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어 인쇄용 롤러에 헤어라인을 직접 가공할 수 있는 헤어라인 가공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인쇄용 롤러에 헤어라인을 가공하는 장치는 금속판에 헤어라인을 가공하는 장치와는 별도로 구비되어야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추가 비용과 공간이 추가로 요구된다는 문재가 있어 인쇄용 롤러뿐만 아니라 금속판에도 함께 헤어라인을 가공할 수 있는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16728호 (2006.08.21)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하나의 헤어라인 가공 수단을 이용하여 금속판 뿐만 아니라 인쇄용 롤러의 표면에도 헤어라인을 가공할 수 있는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롤러의 외주면의 곡률과 상관없이 롤러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헤어라인을 가공할 수 있는 헤어라인 가공 수단이 구비되는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헤어라인 가공을 위해 인쇄용 롤러 또는 금속판을 연삭하는 과정에서 인쇄용 롤러 또는 금속판을 고정하는 고정 수단과 헤어라인 가공 수단 간에 간섭이 없도록 하는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는 금속판을 고정시키는 판 고정부, 롤러를 고정하고 회전시키는 롤러 고정부, 판 고정부에 고정된 금속판 또는 롤러 고정부에 고정된 롤러의 표면을 연삭하여 헤어라인을 가공하는 가공부, 객체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 가공부 및 감지부가 결합되고 결합된 가공부 및 감지부를 이동시키는 이송부, 그리고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객체와의 거리 값을 인가받고, 인가받은 거리 값을 기초로 연삭 경로를 생성하여 가공부가 생성된 연삭 경로에 따라 고정된 금속판 또는 롤러의 표면을 연삭하도록 동작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롤러 고정부는 한 쌍을 이뤄 서로 간에 근접하게 전진 이동하거나 서로 간에 멀어지게 후퇴 이동하도록 마련되고, 제어부는 감지부로부터 인가받은 객체와의 거리 값을 기초로 어느 하나의 롤러 고정부에 롤러가 거치되었다 판단되면 한 쌍의 롤러 고정부가 전진 이동하여 거치된 롤러를 고정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판 고정부는 한 쌍을 이뤄 서로 간에 근접하게 전진 이동하거나 서로 간에 멀어지게 후퇴 이동하도록 마련되고, 제어부는 감지부로부터 인가받은 객체와의 거리 값을 기초로 한 쌍의 판 고정부 사이에 금속판이 거치되었다 판단되면 한 쌍의 판 고정부가 전진 이동하여 거치된 금속판을 고정하도록 동작 제어하고, 한 쌍의 롤러 고정부가 후퇴 이동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가공부는 고정된 금속판 또는 롤러를 연삭하도록 마련되는 복수개의 가공핀을 포함하고, 가공핀은 개별적으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롤러 고정부에 롤러가 고정되면, 제어부는 감지부가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며 객체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동작 제어하고,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위치별 단위 거리 값을 인가받아 인가받은 단위 거리 값을 기초로 가공핀의 길이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일부 가공핀이 최소 길이로 축소되어 연삭 공정에서 제외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판 고정부에 고정된 금속판에 연삭 공정을 수행할 때, 고정된 금속판의 상측 영역을 이탈하는 가공핀은 최소 길이로 축소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가공부를 이용하여 금속판 뿐 아니라 인쇄용 롤러의 표면에도 헤어라인을 가공할 수 있다.
또한, 가공부가 롤러의 외주면의 곡률에 맞추어 형태를 변환함으로써 롤러의 곡률과 상관없이 롤러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헤어라인을 가공할 수 있다.
또한, 헤어라인 가공을 위해 인쇄용 롤러 또는 금속판을 연삭하는 과정에서 판 고정부 및 롤러 고정부와 가공부 간의간섭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를 대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에 금속판이 거치되었을 때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의 가공부가 금속판을 연삭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에 롤러가 거치되었을 때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의 가공부가 롤러를 연삭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의 가공핀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의 감지부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의 제어부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가 금속판 또는 롤러에 헤어라인을 가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의 제어부가 롤러 연삭 경로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의 제어부가 금속판 연삭 경로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를 대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에 금속판(P)이 거치되었을 때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의 가공부(300)가 금속판(P)을 연삭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에 롤러(R)가 거치되었을 때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의 가공부(300)가 롤러(R)를 연삭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는 판 고정부(100), 롤러 고정부(200), 가공부(300), 감지부(400), 이송부(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먼저 판 고정부(100)은 베이스(B)에 거치된 금속판(P)을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판 고정부(100)은 베이스(B)에 상면에 배치되고 쌍을 이뤄 마련되는 제1 고정 블록(110) 및 제2 고정 블록(120)을 포함하고, 제1 고정 블록 및 제2 고정 블록(110, 120)은 서로 간에 근접한 방향으로 전진 이동하거나 서로 간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이때, 베이스(B)에는 제1 고정 블록(110) 및 제2 고정 블록(120)의 이동 방향에 따라 레일 이 형성되고 제1 고정 블록(110) 및 제2 고정 블록(120)은 레일을 통해 전진 이동하거나 후퇴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 블록(110) 및 제2 고정 블록(120)의 사이에 금속판(P)이 거치되면, 제1 고정 블록(110) 및 제2 고정 블록(120)은 금속판(P)의 양 측단을 가압하도록 전진 이동하여 금속판(P)을 고정시키고, 가압이 해제되도록 후퇴 이동하여 금속판(P)에 대한 고정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롤러 고정부(200)는 거치된 롤러(R)를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롤러 고정부(200)는 판 고정부(1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쌍을 이뤄 마련되는 제1 고정 샤프트(210) 및 제2 고정 샤프트(220)를 포함하고, 제1 고정 샤프트(210) 및 제2 고정 샤프트(220)는 서로 간에 근접한 방향으로 전진 이동하거나 서로 간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롤러(R)는 제1 고정 샤프트(210) 또는 제2 고정 샤프트(220)에 중심공이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고, 제1 고정 샤프트(210) 또는 제2 고정 샤프트(220)에 롤러(R)가 거치되면, 제1 고정 샤프트(210) 및 제2 고정 샤프트(220)는 롤러(R)가 제1 고정 샤프트(210) 및 제2 고정 샤프트(220) 모두에 삽입되도록 전진 이동하여 롤러(R)를 고정시키고, 제1 고정 샤프트(210) 또는 제2 고정 샤프트(220)가 이탈되도록 후퇴 이동하여 롤러(R)에 대한 고정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 샤프트(210) 및 제2 고정 샤프트(220)는 롤러(R)가 고정된 상태에서 롤러(R)의 축이 되어 롤러를 회전시킬 수 있다.
가공부(300)는 판 고정부에 고정된 금속판(P) 또는 롤러 고정부에 고정된 롤러(R)의 표면을 연삭하여 헤어라인을 가공한다. 이를 위해 가공부(300)는 가공핀(310), 하우징(330) 및 높이 조절 샤프트(350)를 포함할 수 있다.
가공핀(310)은 판 고정부에 고정된 금속판 또는 롤러 고정부에 고정된 롤러를 연삭하기 위해 일측 끝단이 날카롭게 마련되고, 행과 열을 이뤄 배열되도록 복수개로 마련되며, 복수개의 가공핀(310)은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개별적으로 길이가 조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밖에 가공핀(310)에 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하우징(330)은 가공핀(310)이 하측 방향으로 수용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가공핀(310)은 연삭 부재(31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우징(330)에 수용된다.
높이 조절 샤프트(350)는 하우징(330)이 제1축 이송 프레임(510)을 따라 이송되도록 일단이 하우징의 상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1축 이송 프레임(510)에 결합되어 제1축 이송 프레임(510)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높이 조절 샤프트(350)는 하우징(33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높이 조절 샤프트(350)는 일부 영역이 겹치게 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마련되거나, 또는 타단이 제1축 이송 프레임(510)을 관통하여 상하 이동하는 방식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감지부(400)는 객체까지의 거리를 감지하고 감지된 객체와의 거리 값을 제어부(600)에 인가하여 제어부(600)가 거리 값을 이용하여 금속판(P) 또는 롤러(R)의 거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그리고 감지부(400)는 제1축 이송 프레임(510)에 결합되어 제1축 이송 프레임(510)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부(400)는 센서(410)와 연결 샤프트(4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410)는 객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 센서이고, 연결 샤프트(430)는 센서(410)가 제1축 이송 프레임(510)을 따리 이송되도록 일단이 센서(410)와 결합되고 타단이 제1축 이송 프레임(510)과 결합될 수 있다.
이송부(500)는 가공부(300) 및 감지부(400)와 결합되어 가공부(300) 및 감지부(400)를 이송시키기 위해 마련되며, 제1축 이송 프레임(510)과 제2축 이송 프레임(530)을 포함한다.
제1축 이송 프레임(510)은 가공부(300) 및 감지부(400)가 결합되고, 결합된 가공부(300)와 감지부(400)가 제1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레일이 형성되며 제1축 방향의 길이를 갖는 형태로 마련된다. 여기서 제1축 방향은 롤러 고정부에 고정된 롤러(R)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다.
제2축 이송 프레임(530)은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한 쌍의 제2축 이송 프레임(530)은 제1축 이송 프레임(51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고, 결합된 제1축 이송 프레임(510)과 이에 결합된 가공부(300) 및 감지부(400)가 제2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레일이 형성되며 제2축 방향의 길이를 갖는 형태로 마련된다. 여기서 제2축 방향은 제1축 방향과 수직 방향이다.
제어부(600)는 감지부(400)로부터 감지된 객체와의 거리 값을 인가받고, 이를 기초로 판 고정부(100), 롤러 고정부(200), 가공부(300), 감지부(400) 및 이송부(500)를 동작 제어한다.
제어부(600)는 감지부(400)로부터 인가받은 객체와의 거리 값을 기초로 한 쌍의 판 고정부(100) 사이에 금속판(P)이 거치되었다 판단되면 한 쌍의 판 고정부(100)이 전진 이동하여 거치된 금속판(P)을 고정하도록 동작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감지부(400)로부터 인가받은 객체와의 거리 값을 기초로 어느 하나의 롤러 고정부(200)에 롤러(R)가 거치되었다 판단되면 한 쌍의 롤러 고정부(300-1, 300-2)가 전진 이동하여 거치된 롤러(R)를 고정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감지부(400)로부터 인가받은 객체와의 거리 값(l1)이 감지부(400)로부터 베이스(B)까지의 거리 값을 설정된 값 이내로 초과하는 경우 금속판(P)이 거치되었다 판단하여 판 고정부(100)이 전진 이동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감지부(400)로부터 인가받은 객체와의 거리 값(l2)이 감지부(400)로부터 롤러 고정부(200)가 이루는 연장선까지의 거리 값을 설정된 값 이내로 초과하는 경우 롤러(R)가 거치되었다 판단하여 롤러 고정부(200)가 전진 이동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가공부(300)가 고정된 금속판(P)을 연삭하는 과정에서 롤러 고정부(200)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600)는 롤러 고정부(200)가 후퇴 이동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판 고정부(100)이 금속판(P)을 고정하면, 감지부(400)가 제1축 및 제2축 방향을 따라 이송되며 객체와의 위치별 단위 거리를 감지하도록 감지부의 센서(410), 제1축 이송 프레임(510) 및 제2축 이송 프레임(530)을 동작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감지부(400)로부터 감지된 위치별 단위 거리를 기초하여 금속판(P)의 위치 및 면적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 및 면적 정보를 기초로 연삭 경로를 생성하여 가공부(300)가 생성된 연삭 경로에 따라 고정된 금속판(P)의 표면을 연삭하도록 가공부의 높이 조절 샤프트(350), 가공핀(310), 제1축 이송 프레임(510) 및 제2축 이송 프레임(530)을 동작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600)는 롤러 고정부(200)가 롤러(R)를 고정하면, 감지부(400)가 제1축 방향을 따라 이송되며 객체와의 위치별 단위 거리를 감지하도록 감지부의 센서(410) 및 제1축 이송 프레임(510)을 동작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감지부(400)로부터 감지된 위치별 단위 거리를 기초하여 롤러(R)의 위치 및 길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 및 길이 정보를 기초로 연삭 경로를 생성하여 가공부(300)가 생성된 연삭 경로에 따라 롤러 고정부에 의해 회전하는 롤러(R)의 표면을 연삭하도록 롤러 고정부(200), 가공부의 높이 조절 샤프트(350), 가공핀(310) 및 제1축 이송 프레임(510)을 동작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600)에 의해 생성되는 연삭 경로는 가공핀(310) 및 하우징(330)이 금속판(P) 또는 롤러(R)의 표면을 연삭하기 위해 이동되는 모든 경로가 포함되며, 구체적으로 가공핀(310)이 금속판(P) 또는 롤러(P)에 밀칙되도록 가공핀(310) 및 하우징(330)이 수직 이동하는 경로와, 금속판(P) 및 롤러(R)의 표면 연삭을 위해 가공핀(310)이 금속판(P)에 밀착된 상태에서 가공핀(310) 및 하우징(330)이 제1축 및 제2축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롤러 고정부(200)에 롤러(R)가 고정되면, 제어부(600)는 감지부(400)가 위치별 단위 거리를 감지하도록 센서(410) 및 제2축 이송 프레임(530)을 동작 제어하고 감지부(400)로부터 감지된 위치별 단위 거리 값을 인가받아 단위 거리 값을 기초로 하여 가공핀(310)의 길이를 개별 제어할 수 있으며, 그 밖에 가공핀(310)과 이를 개별 제어하는 제어부(600)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도 6 내지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6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의 가공핀(310)의 길이가 조절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의 감지부(400)가 제2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위치별 단위 거리를 감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의 제어부(600)가 감지부(400)로부터 인가받은 단위 거리 값을 기초로 가공핀(310)을 개별 제어하는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의 가공부(300)는 개별적인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개의 가공핀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가공핀(310)은 제어부(600)에 의해 길이가 개별 제어될 수 있다. 이는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의 가공부(300)가 평면의 금속판(P)의 표면뿐 아니라 곡면의 롤러(R)의 표면에도 헤어라인을 가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의 가공핀(310)은 연삭 부재(311) 및 이를 수용하는 수용 부재(31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삭 부재는 고정된 금속판(P) 또는 고정된 롤러(R)에 밀착되어 금속판(P)의 표면 또는 롤러(R)의 외주면을 연삭하기 위해 일측 끝단에 꼭짓점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쐐기형상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수용 부재(313)는 연삭 부재(311)의 일측 끝단이 포함된 일부분이 돌출된 상태로 연삭 부재(311)를 수용하기 위해 일측면이 개방되고 내부 공간(S)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수용 부재의 내부 공간(S)은 압력이 조절되도록 별도로 마련되는 공압기 또는 유압기와 튜브(T)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의 튜브(T)는 수용 부재(313)의 타측면을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600)는 별도로 마련되는 공압기 또는 유압기를 동작 제어함으로써 수용 부재의 내부 공간(S)의 압력을 조절하고, 수용 부재의 내부 공간(S)의 압력 조절을 통해 연삭 부재(311)의 돌출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가공핀(310)의 길이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롤러 고정부(200)에 롤러(R)가 고정되면 제어부(600)는 감지부(400)가 위치별 단위 거리를 감지하도록 센서(410) 및 제2축 이송 프레임(530)을 동작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거치된 롤러(R)가 한 쌍의 롤러 고정부(200)에 의해 고정되면 감지부의 센서(410)가 제2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2축 이송 프레임(530)을 동작 제어하고, 제2축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센서(410)가 위치별 단위 거리를 감지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600)는 감지부의 센서(410)가 제2축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송되며 위치별 단위 거리를 감지하거나 불연속적으로 이송되며 단위 거리를 감지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제어부(600)가 감지부의 센서(410)가 제2축 방향을 따라 불연속 적으로 이송되며 단위 거리를 감지하도록 동작 제어하는 경우 제어부(600)는 감지부의 센서(410)가 기준 거리만큼 이송 후 정지 상태에서 객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으며, 여기서 기준 거리는 연속 배치되는 연삭 부재(311)의 꼭짓점 간의 거리일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600)는 감지부(400)로부터 감지된 위치별 단위 거리 값을 인가받고, 인가받은 단위 거리 값을 기초로 하여 가공핀(310)의 길이를 개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400)가 연속적으로 이송되며 위치별 단위 거리를 감지한 경우, 제어부(600)는 인가받은 단위 거리 값을 기초로 하여 롤러 고정부에 고정된 롤러(R)의 외주면 곡률을 산출하고, 복수개의 연삭 부재(311)의 꼭짓점이 이루는 가상의 곡선이 산출된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가공핀(310)의 길이를 개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인가받은 위치별 단위 거리 값을 기초로 하여 위치별 단위 거리의 변화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변화 값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연삭 부재(311)의 꼭짓점이 이루는 가상의 곡선이 롤러의 외주면이 이루는 곡선과 동일한 곡선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연삭 부재(311)의 돌출 정도를 개별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의 가공부(300)는 롤러 고정부에 고정된 롤러(R)의 외주면이 이루는 곡률과 무관하게 고정된 롤러(R)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고른 깊이의 헤어라인을 가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의 제어부(600)는 고정된 금속판(P) 또는 롤러(R)에 가공되는 헤어라인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일부 가공핀의 길이가 최소 길이로 축소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600)는 일측으로부터 짝수 번째 배치되는 가공핀의 연삭 부재(311)가 최소한으로 돌출되도록 동작 제어하여 연삭 공정에서 제외되도록 함으로써 생성되는 헤어라인의 간격이 모든 연삭 부재(311)가 연삭 공정에 참여하도록 하였을 때 보다 두 배의 간격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가 금속판(P) 또는 롤러(R)에 헤어라인을 가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가 금속판(P) 또는 롤러(R)에 헤어라인을 가공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감지부(400)가 객체와의 거리를 감지하고 감지된 객체와의 거리 값을 제어부(600)에 인가한다(S1010). 이때, 제어부(600)는 감지부(400)가 제1축 및 제2축 방향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제1축 이송 프레임(510)임 제2축 이송 프레임(530)을 동작 제어하며, 가공부(300)가 제1축 방향의 끝단에 위치하도록 제1축 이송 프레임(510)을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감지부(400)로부터 인가받은 객체와의 거리 값을 기초로 금속판(P)의 거치 여부를 판단한다(S1020). 만약, 금속판(P)이 거치되었다 판단되면(S1020-Y), 제어부(600)는 판 고정부(100)이 전진 이동하도록 동작 제어하여 거치된 금속판이 판 고정부(100)에 고정되도록 하고(S1030). 롤러 고정부(200)가 후퇴 이동하도록 동작 제어하여 롤러 고정부(200)의 가공부(300)에 대한 간섭이 방지되도록 한다(S1040).
판 고정부(100)에 금속판(P)이 고정되면, 제어부(600)는 금속판의 연삭 경로를 생성한다(S1050). 그리고 제어부(600)는 가공부(300), 제1축 이송 프레임(510) 및 제2축 이송 프레임(530)을 동작 제어하여 생성된 금속판의 연삭 경로에 따라 금속판(P)이 연삭되도록 한다(S1110). 이때, 제어부(600)는 감지부(400)가 제1축 이송 프레임(510)의 끝단에 위치하도록 제1축 이송 프레임(510)을 동작 제어한다.
반면에 금속판(P)이 거치되지 않았다 판단되면(S1020-N), 제어부(600)는 감지부(400)로부터 인가받은 객체와의 거리 값을 기초로 롤러(R)가 거치되었는지 판단한다(S1060). 제어부(600)는 롤러(R)가 거치되지 않았다 판단되면(S1060-N), 감지부(400)가 다시 객체를 감지하도록 동작 제어한다(S1010).
만약, 롤러(R)가 거치되었다 판단되면(S1060-Y), 제어부는 롤러 고정부(200)를 전진 이동하도록 동작 제어하여 롤러(R)가 고정되도록 한다(S1070).
그리고 롤러 고정부(200)에 롤러(R)가 고정되면, 제어부(600)는 롤러의 연삭 경로를 생성한다(S1080). 그리고 제어부(600)는 감지부(400)가 제2축 방향을 따라 이송되며 롤러(R)와의 위치별 단위 거리를 감지하도록 감지부(400) 및 제2축 이송 프레임(530)을 동작 제어한다(S1090).
제어부(600)는 감지부(400)로부터 인가받은 단위 거리 값을 기초로 하여 가공핀(310)의 길이가 개별 조절되어 각각의 연삭 부재의 꼭짓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롤러(R) 외주면의 곡률과 동일해지도록 유압기 또는 공압기를 동작 제어하고(S1100), 제어부(600)는 롤러 고정부(200) 가공부(300), 제1축 이송 프레임(510)을 동작 제어하여 생성된 롤러의 연삭 경로에 따라 가공부(300)가 회전하는 금속판(P)을 연삭하도록 한다(S1110). 이때, 제어부(600)는 감지부(400)가 제1축 이송 프레임(510)의 끝단에 위치하도록 제1축 이송 프레임(510)을 동작 제어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의 제어부(600)가 롤러 연삭 경로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헤어라인 가공장치의 제어부(600)가 롤러 연삭 경로를 생성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제어부(600)는 감지부(400)가 제1축 방향을 따라 이송되며 고정된 롤러(R)와의 단위 거리를 감지하도록 한다(S1081).
그리고 제어부(600)는 감지부(400)로부터 감지된 단위 거리 값을 인가받고, 인가받은 단위 거리 값을 기초로 고정된 롤러(R)의 길이 및 위치를 산출한다(S1082). 마지막으로 제어부(600)는 산출된 롤러(R)의 길이 및 위치 값을 기초로 롤러의 연삭 경로를 생성한다(S1083).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의 제어부(600)가 금속판 연삭 경로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헤어라인 가공장치의 제어부(600)가 금속판 연삭 경로를 생성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제어부(600)는 감지부(400)가 제1축 및 제2축 방향을 따라 이송되며 고정된 금속판(P)과의 단위 거리를 감지하도록 한다(S1051).
그리고 제어부(600)는 감지부(400)로부터 감지된 단위 거리 값을 인가받고, 인가받은 단위 거리 값을 기초로 고정된 금속판(P)의 면적 및 위치를 산출한다(S1052). 이어서 제어부(600)는 산출된 금속판(P)의 면적 및 위치 값을 기초로 금속판의 연삭 경로를 생성하고(S1053), 연삭 경로를 따라 가공부(300)가 고정된 금속판(P)을 연삭할 때 고정된 금속판(P)의 상측 영역을 벗어나게 되는 이탈 가공핀 정보를 생성한다(S1054).
이때 생성되는 이탈 가공 정보에는 연삭 경로 중 어느 지점에서 어떤 가공핀이 금속판(P)의 상측 영역을 벗어나게 되는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제어부(600)는 생성된 이탈 가공핀 정보 기초하여 가공부(300)가 연삭 경로에 따라 연삭 공정을 수행할 때 금속판(P)의 상측 영역을 벗어나는 가공핀은 최소 길이로 축소되었다가 다시 금속판(P)의 상측 영역으로 복귀할 때 축소 전의 길이로 복귀하도록 유압기 또는 공압기를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판 고정부
110: 제1 고정 블록
120: 제2 고정 블록
200: 롤러 고정부
210: 제1 고정 샤프트
220: 제2 고정 샤프트
300: 가공부
310: 가공핀
311: 연삭 부재
313: 수용 부재
330: 하우징
350: 높이 조절 샤프트
400: 감지부
410: 센서
430: 연결 샤프트
500: 이송부
510: 제1축 이송 프레임
530: 제2축 이송 프레임
600: 제어부

Claims (7)

  1. 금속판을 고정시키는 판 고정부;
    롤러를 고정하고 회전시키는 롤러 고정부;
    상기 판 고정부에 고정된 금속판 또는 상기 롤러 고정부에 고정된 롤러의 표면을 연삭하여 헤어라인을 가공하는 가공부;
    객체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가공부 및 감지부가 결합되고 결합된 상기 가공부 및 감지부를 이동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객체와의 거리 값을 인가받고, 인가받은 거리 값을 기초로 연삭 경로를 생성하며, 상기 연삭 경로에 따라 상기 가공부가 금속판 또는 롤러의 표면을 연삭하도록 동작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고정부는
    서로 간에 근접하게 전진 이동하거나 서로 간에 멀어지게 후퇴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고정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인가받은 객체와의 거리 값을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고정 샤프트에 롤러가 삽입 거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한 쌍의 상기 고정 샤프트가 전진 이동하여 거치된 롤러를 고정하도록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 고정부는
    서로 간에 근접하게 전진 이동하거나 서로 간에 멀어지게 후퇴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고정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인가받은 객체와의 거리 값을 기초하여 상기 판 고정부 상면에 상기 금속판이 거치되었다 판단되면 한 쌍의 상기 고정 블록이 전진 이동하여 거치된 상기 금속판을 고정하도록 동작 제어하고, 상기 가공부가 고정된 상기 금속판의 표면 연삭 중에 상기 고정 샤프트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한 쌍의 상기 고정 샤프트가 후퇴 이동하도록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는
    고정된 금속판 또는 롤러를 연삭하도록 일측 끝단이 날카롭게 마련되는 복수개의 가공핀;
    상가 가공핀의 일측 끝단이 노출된 상태로 복수개의 상기 가공핀이 고정 수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및 가공핀이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도록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이송부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 및 가공핀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높이 조절 샤프트
    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핀은 개별적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고정부에 롤러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가 이동하며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롤러 외주면까지의 거리를 상기 롤러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감지하도록 제어부에 의해 동작 제어되고,
    상기 제어부는 감지부에의해 감지된 위치별 거리 값에 따라 가공핀의 길이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부 가공핀이 최소 길이로 축소되어 연삭 공정에서 제외되도록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 고정부에 고정된 금속판에 연삭 공정을 수행할 때, 고정된 금속판의 상측 영역을 이탈하는 가공핀은 최소 길이로 축소되도록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
KR1020190086156A 2019-07-17 2019-07-17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 KR102167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156A KR102167967B1 (ko) 2019-07-17 2019-07-17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156A KR102167967B1 (ko) 2019-07-17 2019-07-17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7967B1 true KR102167967B1 (ko) 2020-10-20

Family

ID=73025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156A KR102167967B1 (ko) 2019-07-17 2019-07-17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9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728B1 (ko) 2005-07-07 2006-08-28 드림칼라(주) 필름표면에 스크래치 각인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16925A (ko) * 2009-04-23 2010-11-02 조유연 헤어라인 형성기
KR101554609B1 (ko) * 2013-09-24 2015-09-21 (주)뉴옵틱스 원통 금형, 원통 금형 처리 장치 및 원통 금형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728B1 (ko) 2005-07-07 2006-08-28 드림칼라(주) 필름표면에 스크래치 각인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16925A (ko) * 2009-04-23 2010-11-02 조유연 헤어라인 형성기
KR101554609B1 (ko) * 2013-09-24 2015-09-21 (주)뉴옵틱스 원통 금형, 원통 금형 처리 장치 및 원통 금형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23581B (zh) 控制双向幅材张力的设备和使用该设备控制双向幅材张力的方法
KR102362288B1 (ko) 필름 절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167967B1 (ko) 멀티 헤어라인 가공장치
WO2016181886A1 (ja) シート部材の搬送方法及び搬送装置
CN105637425A (zh) 图像加热设备和成像设备
CN109219570B (zh) 可进行蛇行修正的带状材料的搬运装置
KR102202747B1 (ko) 헤어라인 가공 장치
EP3078619A1 (en) Transport apparatus,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transport method
US20190308836A1 (en) Registration system of a printing device with multi-rotational wheels
US20190308834A1 (en) Registration system with omni wheels
JPH05124758A (ja) ウエブの蛇行修正装置
JP2015191128A (ja) 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12874173B (zh) 一种用于在连续金属条带上数字打印的打印组件及方法
JPS644845B2 (ko)
KR20200068804A (ko) 필름 절단 장치 및 방법
JP3617086B2 (ja) 金属帯の剪断方法
JP3030027B2 (ja) 冷却コンベア上に重ねて載置されるリングを中心に位置合わせする装置
CN218560579U (zh) 一种印刷正反套印检测装置
JP5059409B2 (ja) ウェブ整列装置および方法
JP7259318B2 (ja) カール矯正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N220299896U (zh) 一种纸张位置调整设备
JPH08133539A (ja) 表面に有機物層を有する金属帯の蛇行修正装置及び蛇行修正方法
JP6349434B1 (ja) 印刷方法及び印刷機
JPH08268600A (ja) 帳票の傾き修正機構
JP2001335210A (ja) フリーローラ及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状ワークの巻き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