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3657A - 피부미용장치 - Google Patents

피부미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3657A
KR20200143657A KR1020200151185A KR20200151185A KR20200143657A KR 20200143657 A KR20200143657 A KR 20200143657A KR 1020200151185 A KR1020200151185 A KR 1020200151185A KR 20200151185 A KR20200151185 A KR 20200151185A KR 20200143657 A KR20200143657 A KR 20200143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age
roller
skin
uni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1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7600B1 (ko
Inventor
김정락
김동후
김지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7001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89190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
Priority to KR1020200151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600B1/ko
Publication of KR20200143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92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07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 A61H2015/0014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cylinder-like, i.e.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61N2001/083Monitoring integrity of contacts, e.g. by impedance measur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들 및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더욱 효과적인 피부미용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얼굴에 대해 턱선을 따라 양쪽에서 동시에 물리적 마사지와 전기 자극을 제공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피부 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등 얼굴에 대한 피부 미용에 더욱 적합한 피부미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는, 제1 가압지지부와 제2 가압지지부를 구비하는 핸들; 상기 제1 가압지지부의 단부에 구비되며 한 쌍의 마사지롤러를 구비하는 제1 마사지유닛; 상기 제2 가압지지부의 단부에 구비되며 한 쌍의 마사지롤러를 구비하는 제2 마사지유닛; 및 고주파 전기 자극을 제공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피부미용장치{SKIN CARE DEVICE}
본 발명은 피부미용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얼굴 등의 피부에 마사지와 고주파 전기 자극을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피부 노화의 방지 및 피부 탄력의 개선 등을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피부미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피부는 나이가 들면서 탄력이 줄어들고 피부가 늘어져 주름이 생기며 장시간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 각질이 두꺼워져 피부가 투명하지 않고 피부의 혈액순환 능력이 저감하며, 피부에 대한 수분 및 영양분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피부에 영양을 부여하는 영양 크림과 같은 기능성 물질을 피부에 도포하거나 피부에 물리적인 자극을 부여해 혈액순환을 더욱 원활하게 하는 피부 마사지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이에 더하여, 피부에 대한 고주파 전기 자극이 피부에 도포된 영양분의 흡수를 촉진하고 피부에 심부열을 발생시켜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등의 효과에 대해 이미 알려져 있다.
최근들어 피부미용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면서, 피부에 대한 마사지와 고주파 전기 자극을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피부의 탄력을 개선하고 노화를 방지하는 등의 피부미용기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피부에 대한 마사지 및 고주파 전기 자극을 동시에 제공하도록 하는 피부미용기에 관한 선행기술문헌이 다수 공개되어 있는데, 대표적인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특허출원 제10-2018-7002938호, 특허출원 제10-2015-0111040호, 특허출원 제10-2017-7027957호, 특허출원 제10-2017-0122435호 등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들은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마사지볼을 피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하 이동시킴에 따라 마사지볼이 피부에 대해 마사지를 수행하면서 마사지볼을 통해 전기 자극을 피부에 제공하도록 하는 피부미용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들과 같은 종래의 기술은 피부의 한쪽 면만을 마사지하면서 전기 자극을 제공하기 때문에, 특히 얼굴의 턱선과 같이 동시에 양쪽 턱에 자극이 가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들에 의한 피부미용장치가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들에 의한 피부미용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특정 부위에 대해 사용하기에는 적합할지라도 그와 같은 신체에 사용하기 적합한 장치를 얼굴에 사용하는 것은, 얼굴과 신체의 팔다리 등의 피부 구조가 완전히 다르다는 점에서 부적절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주파 전기 자극을 피부에 가한다는 점에서 피부미용장치를 피부에 접촉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전기 자극이 제공되도록 제어될 필요가 있는데,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들은 그와 같은 점에 대해서는 상당히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출원 제10-2018-7002938호
특허출원 제10-2015-0111040호
특허출원 제10-2017-7027957호
특허출원 제10-2017-012243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들 및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더욱 효과적인 피부미용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얼굴에 대해 턱선을 따라 양쪽에서 동시에 물리적 마사지와 전기 자극을 제공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피부 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등 얼굴에 대한 피부 미용에 더욱 적합한 피부미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는, 제1 가압지지부와 제2 가압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가압지지부와 제2 가압지지부 사이를 벌림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려는 방향으로 가압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핸들; 상기 제1 가압지지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피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을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피부를 마사지하는 한 쌍의 마사지롤러를 구비하는 제1 마사지유닛; 상기 제2 가압지지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피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을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피부를 마사지하는 한 쌍의 마사지롤러를 구비하는 제2 마사지유닛; 및 상기 제1 마사지유닛 및 제2 마사지유닛 각각이 구비하는 한 쌍의 마사지롤러를 통해 접촉된 피부에 고주파 전기 자극을 제공하는 것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마사지유닛 및 제2 마사지유닛 각각은, 상기 한 쌍의 마사지롤러로서 제1 마사지롤러와 제2 마사지롤러가 피부에 동시에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된 상태를 지지하는 지지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본체는, 상기 제1 마사지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1 롤러지지부와, 상기 제2 마사지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 롤러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마사지유닛 및 제2 마사지유닛 각각은, 상기 한 쌍의 마사지롤러로서 제1 마사지롤러와 제2 마사지롤러가 피부에 동시에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된 상태를 지지하는 지지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마사지롤러는 제1 롤러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2 마사지롤러는 제2 롤러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 롤러지지축은 수평방향에 대해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각도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롤러지지축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제1 마사지롤러의 회전진행방향과 상기 핸들의 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본체가 이동하는 방향이 각도의 편차가 발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롤러지지축은 상기 제1 롤러지지축과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수평방향에 대해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각도로 구비되어 상기 제2 롤러지지축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제2 마사지롤러의 회전진행방향과 상기 핸들의 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본체가 이동하는 방향이 각도의 편차가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마사지유닛 및 제2 마사지유닛 각각은, 상기 한 쌍의 마사지롤러로서 제1 마사지롤러와 제2 마사지롤러가 피부에 동시에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된 상태를 지지하는 지지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마사지롤러는 고정된 제1 회전지지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2 마사지롤러는 고정된 제2 회전지지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 회전지지축은 수평방향에 대해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각도로 구비되어 상기 제1 회전지지축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제1 마사지롤러의 회전진행방향과 상기 핸들의 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본체가 이동하는 방향이 각도의 편차가 발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회전지지축은 상기 제1 회전지지축과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수평방향에 대해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각도로 구비되어 상기 제2 회전지지축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제2 마사지롤러의 회전진행방향과 상기 핸들의 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본체가 이동하는 방향이 각도의 편차가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마사지유닛 및 제2 마사지유닛 각각은, 상기 한 쌍의 마사지롤러로서 제1 마사지롤러와 제2 마사지롤러가 피부에 동시에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된 상태를 지지하는 지지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본체는, 상기 제1 마사지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1 롤러지지부와, 상기 제2 마사지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 롤러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롤러지지부와 상기 제2 롤러지지부가 피부 접촉 방향으로 180˚보다 작은 각도로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가압부재를 더 포함하여, 피부 접촉시 상기 제1 가압지지부와 제2 가압지지부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각 지지본체가 피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가압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롤러지지부의 제1 마사지롤러와 상기 제2 롤러지지부의 제2 마사지롤러가 접촉된 피부를 감싸도록 하여 피부 마사지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마사지유닛 및 상기 제2 마사지유닛 각각이 구비하는 한 쌍의 마사지롤러가 각각 피부에 접촉한 경우에, 또는 상기 피부에 접촉하여 상기 핸들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피부 마사지를 하는 경우에 상기 한 쌍의 마사지롤러를 통해 상기 고주파 전기 자극을 제공하며, 상기 한 쌍의 마사지롤러가 피부에 접촉하지 않거나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고주파 전기 자극의 제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장치는, 한 쌍의 가압지지부를 구비하는 핸들, 그리고 각각의 가압지지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마사지유닛을 이용하여 특히 사용자의 얼굴에 대해 턱선을 따라 마사지유닛이 양쪽에서 동시에 물리적 마사지와 전기 자극을 제공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피부 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의 기본적인 구성과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피부미용장치를 사용자의 얼굴에 사용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구성에 마사지롤러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부의 구성이 추가된 피부미용장치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에 제1 가압지지부 및 제2 가압지지부가 벌어질 때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의 구성이 추가된 피부미용장치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의 마사지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도 5에 도시된 마사지유닛의 결합 상태에 대한 평면도를, (b)는 도 5에 도시된 마사지유닛의 결합 상태에 대한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의 마사지유닛의 동작을 위에서 내려다 본 상태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b)는 도 7의 (a)에 도시된 마사지유닛의 동작을 정면에서 본 상태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을 통해 설명한 회전감지부의 구체적인 여러 가지 예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4를 통해 설명한 압력감지부의 구체적인 여러 가지 예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에 이용되는 피부접촉 검출부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의 기본적인 구성과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의 (a)는 도 13의 (a)에 대응하여 피부미용장치가 정상 상태에 있을 때의 주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의 (b)는 도 13의 (b)에 대응하여 피부미용장치가 각각의 가압지지부가 서로 벌어진 경우에 주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의 주요 구성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의 제어 관련 구성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의 마사지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8의 (a)는 도 17에 도시된 마사지유닛의 결합 상태에 대한 평면도를, (b)는 도 17에 도시된 마사지유닛의 결합 상태에 대한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의 (a)는 도 17에 도시된 하나의 마사지롤러(330a)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b)는 (a)에 나타낸 I-I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의 기본적인 구성과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피부미용장치를 사용자의 얼굴에 사용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구성에 마사지롤러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부의 구성이 추가된 피부미용장치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에 제1 가압지지부 및 제2 가압지지부가 벌어질 때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의 구성이 추가된 피부미용장치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는, 제1 가압지지부(110) 및 제2 가압지지부(120)를 구비하는 핸들(100)과, 상기 제1 가압지지부(110) 및 제2 가압지지부(120) 각각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1 마사지유닛(210) 및 제2 마사지유닛(220)과, 컨트롤러(미도시, 컨트롤러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하고 있음)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압지지부(110)와 제2 가압지지부(120)를 구비하며,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압지지부(110)와 제2 가압지지부(120) 사이를 벌림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려는 방향으로 가압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의 전체 프레임 또는 본체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1 마사지유닛(2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압지지부(110)의 단부에 구비되고 제2 마사지유닛(220)은 제2 가압지지부(120)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마사지유닛(210) 및 제2 마사지유닛(220)에는 각각 한 쌍의 마사지롤러(310, 320)가 구비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의 제1 가압지지부(110) 및 제2 가압지지부(120)를 벌려서 그 사이에 얼굴 등과 같은 피부 부위를 위치시켜 제1 마사지유닛(210) 및 제2 마사지유닛(220)이 동시에 얼굴 등의 피부 부위에 접촉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100) 부분을 파지하여 위아래로 이동시킴에 따라 제1 마사지유닛(210)의 한 쌍의 마사지롤러(310)과 제2 마사지유닛(220)의 한 쌍의 마사지롤러(320)가 각각 피부 상에서 구르면서 피부는 마사지하게 된다.
이때, 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제1 마사지유닛(210) 및 제2 마사지유닛(220)은 각각 컨트롤러(미도시)와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에는 고주파 발생기가 구비되어 상기 고주파 발생기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마사지유닛(210) 및 제2 마사지유닛(220) 각각이 구비하는 한 쌍의 마사지롤러(310, 320)를 통해 접촉된 피부에 고주파 전기 자극을 제공한다.
즉, 사용자가 핸들(100)을 잡고 피부미용장치를 위아래로 이동시키면, 도 2의 (a)에 도시된 상태에서 (b)에 도시된 상태로, 다시 (a)에 도시된 상태로 갔다가 다시 (b)에 도시된 상태로 반복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제1 마사지유닛(210)의 한 쌍의 마사지롤러(310)가 얼굴의 일측면에, 제2 마사지유닛(220)의 한 쌍의 마사지롤러(320)가 얼굴의 타측면에 각각 접촉되도록 제1 가압지지부(110) 및 제2 가압지지부(120)를 벌리면, 상기 제1 가압지지부(110) 및 제2 가압지지부(120)에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1 마사지유닛(210)의 한 쌍의 마사지롤러(310) 및 제2 마사지유닛(220)의 한 쌍의 마사지롤러(320)가 각각 얼굴의 양측면에 동시에 밀착된 상태로 움직이면서 피부 마사지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컨트롤러에 의해 고주파 전기 자극이 한 쌍의 마사지롤러(310, 320)를 통해 피부에 제공됨으로써 피부 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마사지롤러(310, 320)는 금속 재질을 갖거나 금속 도금이 되어 있어서 고주파 전류가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장치는 제1 마사지유닛(210) 및 제2 마사지유닛(220) 각각이 구비하는 한 쌍의 마사지롤러(310, 320)가 각각 피부에 접촉한 경우에, 또는 피부에 접촉하여 핸들(10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피부 마사지를 하는 경우에 컨트롤러가 각 마사지유닛 상의 한 쌍의 마사지롤러(310, 320)를 통해 고주파 전기 자극을 제공하며, 상기 한 쌍의 마사지롤러(310, 320)가 피부에 접촉하지 않거나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고주파 전기 자극의 제공을 차단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감전 위험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안전성 향상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사지유닛(210) 및 제2 마사지유닛(22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한 쌍의 마사지롤러(310, 320)가 회전하는지 여부 또는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회전감지부(4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감지부(400)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감지부(400)가 구비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피비미용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컨트롤러(600)는 회전감지부(400)의 감지 결과에 따라 각 마사지유닛(210, 220)의 한 쌍의 마사지롤러(310, 320)가 회전하는 경우에 또는 회전감지부(40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마사지롤러(310, 320)의 회전속도를 산출하고 그 산출된 회전속도에 따라 고주파 전기 자극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600)는 각 마사지유닛(400) 상의 한 쌍의 마사지롤러(310, 320)가 회전하지 않거나 산출된 회전속도가 미리 설정된 값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고주파 전기 자극의 제공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가 피부미용장치를 피부미용에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파지만 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마사지롤러를 만지는 등의 경우 고주파 전류에 의해 감전될 수 있는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회전감지부(400)는 두 개의 마사지유닛(210, 220) 중 어느 한 쪽에만 구비될 수 있고 양쪽에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
각각의 마사지유닛(210, 220)은 원칙적으로는 동시에 사용되기 때문에 한 쪽의 마사지유닛에만 회전감지부가 구비되어도 바람직한 작동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한 회전감지부(400)가 양쪽의 마사지유닛(210, 220)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컨트롤러(600)는 양쪽의 마사지유닛에 각각 구비된 회전감지부(400) 모두로부터 동시에 감지신호를 받지 않고 한 쪽의 회전감지부(400)로부터만 감지신호를 받아서 고주파 전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한 쪽의 회전감지부(40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신호에 이상이 있는 등 오류가 감지되면 해당 회전감지부(400)로부터의 감지신호를 받는 것을 중단하고 다른 한 쪽의 회전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받아 고주파 전기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양쪽의 회전감지부 중 하나만 활성화시키고 다른 하나는 비활성화시키며 그 비활성화시킨 회전감지부는 활성화된 회전감지부의 오류 등의 경우에 예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는 안전성 향상을 위한 수단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압지지부(110) 및 제2 가압지지부(1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가압지지부(110) 및 제2 가압지지부(120)가 벌어진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압력감지부(5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압력감지부(500)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압력감지부(500)가 구비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피비미용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컨트롤러(600)는 압력감지부(50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1 가압지지부(110) 및 제2 가압지지부(120)가 벌어진 상태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에 고주파 전기 자극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가압지지부(110) 및 제2 가압지지부(120)가 벌어짐에 따라 압력감지부(500)가 미리 설정된 범위의 압력값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지속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그 경우에 컨트롤러가 고주파 전류를 각 마사지유닛(210, 220)으로 인가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피부미용장치를 피부미용에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제1 가압지지부(110) 및 제2 가압지지부(120)를 벌려서 가압력을 확인하는 등의 행위를 하는 경우에는 고주파 전류의 인가를 차단함으로써 고주파 전류에 의해 감전될 수 있는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장치가 회전감지부(400) 및 압력감지부(500)를 구비하는 것은 감전 위험의 방지 등과 같은 안전성 향상을 위한 목적도 있지만 사용자의 편의상 향상이라는 측면에서도 큰 효과가 있다.
즉,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컨트롤러의 전원을 켠 상태에서 고주파 전기 자극이 피부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버튼이나 스위치를 피부 마사지를 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누르는 등의 불편함이 없이, 단순히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장치를 사용하기만 하면 상기한 회전감지부(400)나 압력감지부(500)의 감지에 의해 자동으로 고주파 전기 자극이 전달되고 사용을 중단하는 즉시 고주파 전기 자극의 전달이 차단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장치는 핸들(100) 부분에 핸들본체(101)를 케이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핸들본체(101) 내부에 압력감지부(500)를 장착할 수도 있고, 컨트롤러(600)를 핸들본체(101)와 별도로 분리하여 유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컨트롤러(600)를 핸들본체(101)에 내장하도록 구성하고 충전배터리 등이 내장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장치를 무선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1 가압지지부(110)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1 마사지유닛(210) 및 제2 가압지지부(120)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2 마사지유닛(220)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효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의 제1 마사지유닛(210) 및 제2 마사지유닛(22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며 그 각각이 구비하는 한 쌍의 마사지롤러(310, 320) 역시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이하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부분에서는 제1 마사지유닛(210) 및 제2 마사지유닛(220)을 통칭하여 마사지유닛이라고 하고, 그 각각이 구비하는 한 쌍의 마사지롤러(310, 320)는 한 쪽의 한 쌍의 마사지롤러(310)에 대해 제1 마사지롤러(311) 및 제2 마사지롤러(312)로 대표하여 설명하기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의 마사지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의 (a)는 도 5에 도시된 마사지유닛의 결합 상태에 대한 평면도를, (b)는 도 5에 도시된 마사지유닛의 결합 상태에 대한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며,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의 마사지유닛의 동작을 위에서 내려다 본 상태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b)는 도 7의 (a)에 도시된 마사지유닛의 동작을 정면에서 본 상태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의 마사지유닛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의 마사지유닛은 지지본체(200)와, 제1 마사지롤러(311) 및 제1 롤러지지축(313)과, 제2 마사지롤러(312) 및 제2 롤러지지축(314)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200)는 제1 마사지롤러(311)와 제2 마사지롤러(312)가 피부에 동시에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된 상태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구성요소로서 마사지유닛의 몸체에 해당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지지본체(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사지롤러(311)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1 롤러지지부(230)와, 제2 마사지롤러(312)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 롤러지지부(24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러지지부(230)에는 제1 마사지롤러(311)가 설치되는 제1 롤러설치부(231)가 구비되고, 제2 롤러지지부(240)에는 제2 마사지롤러(312)가 설치되는 제2 롤러설치부(2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롤러지지부(230)의 제1 롤러설치부(231)에는 일단에 결합홈(Ch1)이 형성되고 타단의 제1 축지지부(232)에 관통홀(Th1)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마사지롤러(311)(제1 마사지롤러(311)의 중심부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가 상기 제1 롤러설치부(231)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1 롤러지지축(313)이 제1 축지지부(232)의 관통홀(Th1) 및 제1 마사지롤러(311)의 중공된 중심부를 관통하여 그 단부의 결합부(Cp1)가 상기 결합홈(Ch1)에 결합되도록 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롤러지지축(313)의 결합부(Cp1)가 형성된 반대쪽에는 축헤드(SH1)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롤러지지축(313)의 결합부(Cp1)가 결합홈(Ch1)에 결합될 때 제1 축지지부(232)에 걸림되어 상기 제1 롤러지지축(313)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마사지롤러(311)의 중공된 중심부의 양쪽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부싱(B)이 구비되어 상기 제1 마사지롤러(311)가 제1 롤러지지축(31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원활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롤러지지부(240)의 제2 롤러설치부(241)에는 일단에 결합홈(Ch2)이 형성되고 타단의 제2 축지지부(242)에 관통홀(Th2)이 형성되어, 상기 제2 마사지롤러(312)(제2 마사지롤러(312)의 중심부도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가 상기 제2 롤러설치부(241)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2 롤러지지축(314)이 제2 축지지부(242)의 관통홀(Th2) 및 제2 마사지롤러(312)의 중공된 중심부를 관통하여 그 단부의 결합부(Cp2)가 상기 결합홈(Ch2)에 결합되도록 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롤러지지축(314)의 결합부(Cp2)가 형성된 반대쪽에는 축헤드(SH2)가 구비되어 상기 제2 롤러지지축(314)의 결합부(Cp2)가 결합홈(Ch2)에 결합될 때 제2 축지지부(242)에 걸림되어 상기 제2 롤러지지축(314)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마사지롤러(312)의 중공된 중심부의 양쪽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부싱(B)이 구비되어 상기 제2 마사지롤러(312)가 제2 롤러지지축(314)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원활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사지롤러(311) 및 제2 마사지롤러(31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마사지홈(R)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 등에서는 상기 제1 마사지롤러(311) 및 제2 마사지롤러(312)가 럼주통이나 항아리의 형상을 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사지롤러의 양쪽에서 지지력이 제공되는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는 형태로서 피부 마사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라면 여하한 형태의 롤러로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의 마사지유닛은, 위에서 내려다 봤을 때 제1 롤러지지부(230) 및 제2 롤러지지부(240)가 피부 접촉 방향으로 180˚보다 작은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마사지롤러(311)의 제1 롤러지지축의 중심선(ds1)이 수평선(H) 기준으로 안쪽으로 a1 각도만큼 기울어지고, 제2 마사지롤러(312)의 제2 롤러지지축의 중심선(ds1)이 수평선(H) 기준으로 안쪽으로 a1 각도만큼 기울어져서, 제1 마사지롤러(311)와 제2 마사지롤러(312)가 피부 접촉 방향으로 180˚보다 작은 a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마사지롤러(311)와 제2 마사지롤러(312)가 피부 접촉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오므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피부 접촉시 제1 가압지지부와 제2 가압지지부의 가압력에 의해 제1 롤러지지부(230)의 제1 마사지롤러(311)와 제2 롤러지지부(240)의 제2 마사지롤러(312)가 접촉된 피부를 감싸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의 마사지유닛은, 정면에서 봤을 때 제1 마사지롤러(311) 및 제2 마사지롤러(312)가 각각 수평선(H)을 기준으로 바깥쪽이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각도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롤러지지축의 중심선(ds2)이 수평방향(H)에 대해 아래쪽으로 b1 각도로 기울어져서 구비되고, 제2 롤러지지축의 중심선(ds2)이 수평방향(H)에 대해 아래쪽으로 b1 각도로 기울어져서 구비되어, 두 롤러지지축의 중심선이 "ㅅ"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마사지롤러(311, 312)의 구성에 따른 작용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마사지롤러(311)와 제2 마사지롤러(312)가 피부 접촉 방향으로 180˚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 접촉시 제1 가압지지부와 제2 가압지지부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1 롤러지지부(230)의 제1 마사지롤러(311)와 상기 제2 롤러지지부(240)의 제2 마사지롤러(312)가 밀착된 피부를 감싸도록 한 상태에서 핸들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마사지롤러(311) 및 제2 마사지롤러(312)가 접촉된 피부를 따라 마사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피부에 대한 마사지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마사지롤러(311)와 제2 마사지롤러(312)가 밀착된 피부를 감싸면서 마사지홈(R)에 의한 마사지 효과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컨트롤러(600)에 의해 제1 마사지롤러(311)와 제2 마사지롤러(312)를 통해 고주파 전기 자극이 가해지도록 할 수 있어 피붕 대한 지방 분해를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피부의 탄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때, 제1 마사지롤러(311)와 제2 마사지롤러(312)의 피부에 대한 밀착력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러지지부(230)와 제2 롤러지지부(240)가 피부 접촉 방향으로 180˚보다 작은 각도로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가압부재(270)를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탄성가압부재(270)는 코일스프링 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상기 탄성가압부재(27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제1 롤러지지부(230)와 제2 롤러지지부(240)가 탄성가압부재(270)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좁혀지는 방향으로 어느 정도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 롤러지지부(230)와 제2 롤러지지부(240)가 가운데 힌지축을 중심으로 서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 힌지축에 상기한 바와 같은 탄성가압부재(270)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롤러지지부(230) 및 제2 롤러지지부(240)가 더욱 좁혀지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 전체의 구성으로 볼 때, 각각의 마사지유닛이 양쪽에서 각각 피부 접촉시 제1 가압지지부와 제2 가압지지부의 가압력에 의해 각 마사지유닛의 지지본체가 피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탄성가압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롤러지지부의 제1 마사지롤러와 제2 롤러지지부의 제2 마사지롤러가 접촉된 피부를 감싸도록 하여 피부 마사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마사지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의 (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에 대해 두 롤러지지축의 중심선이 "ㅅ"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제1 마사지롤러(311) 및 제2 마사지롤러(312)가 각각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각도로 구성함으로써,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러지지축에 의해 회전하는 제1 마사지롤러(311)의 회전진행방향(Rd1)과 핸들의 이동에 따라 지지본체가 이동하는 방향(Pd)이 각도의 편차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2 롤러지지축에 의해 회전하는 제2 마사지롤러(312)의 회전진행방향(Rd2)과 핸들의 이동에 따라 지지본체가 이동하는 방향(Pd)이 각도의 편차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마사지롤러(311)의 회전진행방향(Rd1)과 지지본체의 이동방향(Pd) 및 제2 마사지롤러(312)의 회전진행방향(Rd2)과 지지본체의 이동방향(Pd)이 각각 편차가 발생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지본체가 그 이동방향(Pd)으로 이동함에 따라 각 마사지롤러(311, 312)가 단순히 그 이동방향(Pd)을 따라서 회전하기만하는 것이 아니라, 도 7의 (b)에 도면번호 Md로 나타낸 방향으로 피부를 이동방향(Pd)에 대해 측면 쪽으로 눌러 펴주는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마치 엄지손가락으로 피부를 눌러 펴주는 것과 비슷한 느낌으로 각 마사지롤러(311, 312)가 피부를 마사지할 수 있어서 마사지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여 앞서 도 3을 통해 설명한 회전감지부의 구체적인 여러 가지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의 좌측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의 지지본체의 양쪽 롤러지지부 중 한쪽의 롤러지지부(230)에 대한 단면을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지지축(313)의 양단에 부싱(B)이 설치되고 마사지롤러(311)의 중공된 중심부를 관통하는 구성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이때 일측 부싱(B)과 타측 부싱(B) 사이에 롤러지지축(313)과 마사지롤러(311) 사이의 공간이 형성되며 그 공간을 통해 상기한 바와 같은 회전감지부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마사지롤러(311)의 롤러지지축(313)과 대향되는 면을 롤러 내측면(311a)이라 칭하기로 한다.
도 8에서는 (a) 내지 (c)에서 롤러내측면(311a)과 롤러지지축(313)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으며 각각 여러 가지 회전감지부의 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먼저 도 8의 (a)에 도시된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내측면(311a)의 롤러지지축(313)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접촉단자(411)가 구비되고 롤러지지축(313)에는 그 둘레를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접점(412)이 구비되어, 마사지롤러(311)가 롤러지지축(313)에 대해 회전시 상기 접촉단자(411)가 상기 복수의 접점(412)에 순차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에 적용되는 회전감지부는 상기 접촉단자(411)에 미리 설정된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413)와, 상기 복수의 접점(412) 각각과 연결되어 접촉단자(411)가 접촉하는 접점(41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41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마사지롤러(311)가 회전하면 접촉단자(411)는 롤러지지축(313)의 외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하다가 접점(412)에 접촉될 때에는 소정의 신호가 수신부(414)에 수신되고 접점과 접점 사이에 접촉될 때에는 수신부(414)에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등, 상기 마사지롤러(31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신부(414)는 소정의 신호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수신하게 된다. 이때 송신부(413)는 지속적으로 미리 설정된 신호를 송신한다.
컨트롤러(600)는 수신부(414)가 수신하는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마사지롤러(311)가 회전하는 경우에 또는 마사지롤러(311)의 회전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회전속도에 따라 고주파 전기 자극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600)는 상기 수신부(414)가 일정 패턴의 신호를 수신하면 피부미용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고주파 전류를 인가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수신부(414)가 수신하는 신호의 패턴을 통해 신호의 주기 및 그 주기를 이용한 회전속도를 계산할 수 있으며, 그 계산된 회전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값의 범위에 포함될 경우 사용자가 피부미용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고주파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한편, 도 8의 (b)에 도시된 예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이용되는 회전감지부는 롤러내측면(311a)의 롤러지지축(313)과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자기센서(421)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롤러지지축(313)의 둘레를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자성체(422)가 구비되어 마사지롤러(311)가 롤러지지축(313)에 대해 회전시 자기센서(421)가 복수의 자성체(422)로부터 각각 자기장을 순차적으로 감지하도록 할 수 있고 컨트롤러(600)는 상기 자기센서(421)로부터 그 감지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600)는 자기센서(421)가 감지하는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마사지롤러(311)가 회전하는 경우에 또는 상기 마사지롤러(311)의 회전속도를 산출하고 그 산출된 회전속도에 따라 고주파 전기 자극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마사지롤러(311)가 회전하면 롤러내측면(311a)에 설치된 자기센서(421)가 롤러지지축(313)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다가 자성체(422)를 지나가면서 자기장을 감지하여 신호가 급격히 변화하는데, 다수의 자성체(422)를 순차로 지나면서 자기센서(421)가 소정의 패턴으로 반복되는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를 컨트롤러(600)가 분석하여 마사지롤러(311)의 회전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600)는 상기 자기센서(421)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의 분석을 통해 피부미용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고주파 전류를 인가할 수 있고, 또는 계산된 회전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값의 범위에 포함될 경우 사용자가 피부미용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고주파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한편, 도 8의 (c)에 도시된 예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이용되는 회전감지부는 롤러내측면(311a)의 롤러지지축(313)과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수발광센서(431) 및 롤러지지축(313)의 둘레를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반사부(4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발광센서(431)는 반사형 광센서로서 일정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고 그 광이 반사되는 것을 수광하는 센서이다.
상기 마사지롤러(311)가 롤러지지축(313)에 대해 회전시 수발광센서(431)가 광을 조사하고 이때 반사부(432)를 지남에 따라 상기 수발광센서(431)가 반사광을 감지하게 되며, 이러한 반사광의 감지는 마사지롤러(311)가 회전하는 동안 수발광센서(431)가 복수의 반사부(432)를 순차적으로 지나면서 일정 간격으로 발생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600)는 수발광센서(431)가 감지하는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마사지롤러(311)가 회전하는 경우에 또는 상기 마사지롤러(311)의 회전속도를 산출하고 그 산출된 회전속도에 따라 고주파 전기 자극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마사지롤러(311)가 회전하면 롤러내측면(311a)에 설치된 수발광센서(431)가 롤러지지축(313)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다가 반사부(432)를 지나가면서 반사광을 감지하는데, 다수의 반사부(432)를 순차로 지나면서 수발광센서(431)가 소정의 패턴으로 반복되는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를 컨트롤러(600)가 분석하여 마사지롤러(311)의 회전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600)는 상기 수발광센서(431)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의 분석을 통해 피부미용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고주파 전류를 인가할 수 있고, 또는 계산된 회전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값의 범위에 포함될 경우 사용자가 피부미용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고주파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도 8의 (c)에서는 '수발광센서 - 반사부'의 조합에 의한 구성으로 회전감지부를 구성한 경우를 설명하였는데, 이와 동일한 원리로 '수광센서-발광소자'의 조합에 의하여 회전감지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한 도 8의 (c)에 도시된 예에서 수발광센서 대신 '수광센서'를 구비하고 복수의 반사부 대신 복수의 발광소자를 구비함으로써 수광센서가 롤러지지축(313)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다가 발광소자를 지나가면서 그 발광소자가 조사하는 광을 감지하는데, 다수의 발광소자를 순차로 지나면서 수광센서가 소정의 패턴으로 반복되는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고 컨트롤러(600)가 이에 기초하여 고주파 전류의 인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앞서 도 4를 통해 설명한 압력감지부의 구체적인 여러 가지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에 이용되는 압력감지부로서 핸들 부분의 핸들본체(101)에 구비되는 스트레인게이지(5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예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다.
상기 스트레인게이지(510)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상 상태에서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압지지부(110) 및 제2 가압지지부(120) 사이가 벌어짐에 따라 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으로서, 컨트롤러(600)는 상기 스트레인게이지(510)에 의해 감지되는 압력에 따라 제1 가압지지부(110) 및 제2 가압지지부(120)가 벌어진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고 그 벌어진 상태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에 고주파 전기 자극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600)는 상기 스트레인게이지(510)에 의해 감지되는 압력이 미리 설정된 값에 미치지 못할 경우 사용자가 피부미용장치를 사용하는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고주파 전기 자극을 제공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0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에 이용되는 압력감지부로서 제1 가압지지부(110) 및 제2 가압지지부(120)에 각각 구비되는 접점(521) 및 접점스위치(522)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상태에서는 접점(521)이 접점스위치(522)에 접촉된 상태인데, 제1 가압지지부(110) 및 제2 가압지지부(120) 사이가 벌어지면 그에 따라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521)과 접점스위치(522)가 서로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점(521)과 접점스위치(522)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는 컨트롤러(600)가 접점(521)을 통해 전송된 신호를 접점스위치(522)를 통해 수신할 수 있는데, 상기 접점(521)과 접점스위치(522)가 분리되면 컨트롤러(600)가 접점스위치(522)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제1 가압지지부(110) 및 제2 가압지지부(120) 사이가 벌어진 상태인지를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컨트롤러(600)는 접점스위치의 단락 여부를 감지함에 따라 제1 가압지지부(110) 및 제2 가압지지부(120)가 벌어진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고 그 벌어진 상태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에 고주파 전기 자극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안전성 향상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는,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회전감지부를 이용하는 경우와 도 4,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압력감지부를 이용하는 경우 외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접촉 검출부(530)를 이용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마사지유닛이 구비하는 제1 마사지롤러(311) 및 제2 마사지롤러(312)에 미리 설정된 신호를 송출하고 각 마사지롤러(311, 31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송출 신호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마사지롤러(311, 312)가 피부에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피부접촉 검출부(530)가 검출하도록 할 수 있다.
각 마사지롤러(311, 312)가 피부에 접촉되면 피부의 임피던스에 의해 각 마사지롤러(311, 312)에 인가된 신호가 변형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컨트롤러(600)는 상기 피부접촉 검출부(530)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마사지롤러(311, 312)가 피부에 접촉한 상태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에 고주파 전기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에 관한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도 12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2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b)는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의 (a) 및 (b)는 도 12에 도시된 피부미용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는 제1 가압지지부(130) 및 제2 가압지지부(140)를 구비하는 핸들(100)과, 상기 제1 가압지지부(130) 및 제2 가압지지부(140) 각각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1 마사지유닛(210a) 및 제2 마사지유닛(220a)과,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다른 피부미용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도 1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00)이 핸들케이스(102) 및 핸들커버(103)를 포함하는 케이싱 형태의 핸들로서 구성되며, 상기 핸들케이스(102)에 상기 제1 가압지지부(130) 및 제2 가압지지부(140)가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구성된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의 핸들커버(103)를 분리한 상태를 도 12의 (b)에서 나타내고 있는데,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압지지부(130) 및 제2 가압지지부(140)가 각각 핸들케이스(102)의 일측 및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구성된다.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압지지부(130)는 일측에 고정되는 제1 회전가이드(132)를 포함하고, 제2 가압지지부(140)는 일측에 고정되는 제2 회전가이드(142)를 포함하며, 제1 회전가이드(132)와 제2 회전가이드(142)는 가이드그립(150)에 의해 지지되는데, 상기 가이드그립(150)은 상기 제1 가압지지부(130) 및 제2 가압지지부(140)가 각각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회전가이드(132) 및 제2 회전가이드(142)가 각각 회전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케이스(102)의 상부에는 상기 제1 회전가이드(132) 및 제2 회전가이드(142), 그리고 가이드그립(150)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가압력 조절부(170)가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그립(150)과 상기 가압력 조절부(170) 사이에는 탄성부재(160)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160)는 제1 가압지지부(130) 및 제2 가압지지부(140)가 각각 회전하여 벌어지는 경우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기 제1 가압지지부(130) 및 제2 가압지지부(140)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려는 방향으로 가압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상기 가압력 조절부(170)의 돌출부는 핸들커버(103)의 장홈(104)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는 상기 가압력 조절부(170)의 돌출부를 조작하면서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데, 이때 핸들커버(103) 전면에 형성되는 조절단계표시부(105)에 따라 돌출부를 각 단계로 조작하면서 상기한 가압력을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재(160)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그립(15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가압력 조절부(17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데, 상기 탄성부재(16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스프링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제1 가압지지부(130) 및 제2 가압지지부(140)가 사용자의 얼굴 등과 같은 피부 부위에 위치시킴에 따라 둘 사이가 벌어지면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한 가압지지부(130, 140)의 회전가이드(132, 142) 및 가이드그립(150), 탄성부재(160)의 동작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을 도 14의 (a) 및 (b)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의 (a)는 도 13의 (a)에 대응하여 피부미용장치가 정상 상태에 있을 때의 주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의 (b)는 도 13의 (b)에 대응하여 피부미용장치가 각각의 가압지지부가 서로 벌어진 경우에 주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케이스(102)의 상부에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가압지지부(130) 및 제2 가압지지부(140)는 각각 제1 회전가이드(132) 및 제2 회전가이드(142)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회전가이드(132) 및 제2 회전가이드(142)는 곡선가이드홈(133, 143)을 각각 형성한다.
그리고, 제1 회전가이드(132) 및 제2 회전가이드(142) 각각의 곡선가이드홈(133, 143)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가이드그립(150)의 그립부(152)가 상기 곡선가이드홈(133, 143)을 관통하여 가이드그립(150)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도 1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그립(150)은 핸들케이스(102)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106)에서 슬라이딩하며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압지지부(130) 및 제2 가압지지부(140)가 각각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회전가이드(132) 및 제2 회전가이드(142)가 각각 회전하게 되고, 이때 그립부(152)가 상기 제1 회전가이드(132)의 곡선가이드홈(133) 및 제2 회전가이드(142)의 곡선가이드홈(143)을 따라 상기 제1 회전가이드(132) 및 제2 회전가이드(142) 각각의 회전을 가이드하고, 이에 따라 가이드그립(150)은 슬라이드홈(106)을 따라 상향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탄성부재(160)의 일단이 상기 가이드그립(15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그립(150)은 상향 이동을 할 때 상기 탄성부재(160)를 인장시키면서 이동을 함으로써, 상기 인장된 탄성부재(160)의 탄성 복원력이 상기 가이드그립(150)을 아래로 당기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제1 가압지지부(130) 및 제2 가압지지부(140)가 서로 가압력이 생기게 된다.
제1 가압지지부(130)의 제1 마사지유닛(210a) 및 제2 가압지지부(140)의 제2 마사지유닛(220a)을 이용하여 얼굴 등에 위치시키면서 상기 제1 가압지지부(130) 및 제2 가압지지부(140)가 각각 회전하면서 상기 제1 회전가이드(132) 및 제2 회전가이드(142)에 의해 가이드그립(150)이 위로 이동을 하고, 이때 상기 가이드그립(150)이 탄성부재(160)를 당겨서 상기 탄성부재(160)가 탄성 복원력으로 상기 가이드그립(150)을 당김으로써 상기 제1 가압지지부(130) 및 제2 가압지지부(140)가 서로 가압력이 생기게 되며, 마사지가 종료된 후 마사지유닛(210a, 220a)을 얼굴 등으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면, 탄성부재(16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그립(150)은 아래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1 회전가이드(132) 및 제2 회전가이드(142)가 그립부(152)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 가압지지부(130) 및 제2 가압지지부(140)가 원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
한편,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의 신호 전달 및 제어에 관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도 12의 (b)에 도시된 핸들케이스(102) 내부의 구성을 좀 더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도 12의 (b)에서는 생략했던 구성으로서 신호전달부(450)를 반투명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에서는 앞서 설명했던 여러 가지 구성들이 좀 더 확대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미설명 부호인 102a는 핸들케이스(102)의 상부 측면 쪽에 형성되어 제1 가압지지부(130) 및 제2 가압지지부(14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회동홈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피부미용장치와 마찬가지로, 제1 마사지유닛(210a) 및 제2 마사지유닛(220a) 각각이 구비하는 한 쌍의 마사지롤러(330, 340)가 각각 피부에 접촉한 경우에, 또는 피부에 접촉하여 핸들(10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피부 마사지를 하는 경우에 컨트롤러가 각 마사지롤러(310, 320)를 통해 고주파 전기 자극을 제공하며, 상기 한 쌍의 마사지롤러(310, 320)가 피부에 접촉하지 않거나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고주파 전기 자극의 제공을 차단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감전 위험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 역시 앞서 도 3 및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마사지롤러(330, 340)가 회전하는지 여부 또는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회전감지부(4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컨트롤러(600)는 각 회전감지부(400)로부터 감지신호를 받고 또한 각각의 마사지롤러(330, 340)로 고주파 전기를 인가하기도 하고 차단하기도 하는 등의 제어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되는데, 이런 여러 신호선들이 컨트롤러(60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장치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기 때문에, 이러한 제어 신호의 전달 체계를 앞서 설명한 신호전달부(450)를 이용하여 간소화할 수 있다.
즉,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전달부(450)는 컨트롤러(60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기적 연결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신호전달부(450)와 컨트롤러(600)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신호전달부(450)에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 통신 모듈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컨트롤러(600)에도 무선 통신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신호전달부(450)는, 컨트롤러(600)로부터 전송되는 고주파 전기 자극에 관한 신호를 포함하는 각종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1 마사지유닛 및 제2 마사지유닛 각각의 마사지롤러(330, 340)로 전달하며, 상기 각각의 마사지롤러(330, 340)부터 수신되는 전기 신호(즉, 회전감지부(400)로부터 전달되는 감지 신호 등)를 컨트롤러(600)로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핸들케이스(102) 내부에서는 신호선이 다소 복잡하게 구성될 수 있지만, 컨트롤러(600)는 신호전달부(450)와 단일하게 연결되기만 하면 되므로 제어 구성을 상당히 간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제1 가압지지부(130)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1 마사지유닛(210a) 및 제2 가압지지부(140)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2 마사지유닛(220a)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효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의 제1 마사지유닛(210a) 및 제2 마사지유닛(220a)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며 그 각각이 구비하는 한 쌍의 마사지롤러(330, 340) 역시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이하의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부분에서는 제1 마사지유닛(210a) 및 제2 마사지유닛(220a)을 통칭하여 마사지유닛이라고 하고, 그 각각이 구비하는 한 쌍의 마사지롤러(330, 340)는 한 쪽의 한 쌍의 마사지롤러(330)에 대해 제1 마사지롤러(330a) 및 제2 마사지롤러(330b)로 대표하여 설명하기록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의 마사지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8의 (a)는 도 17에 도시된 마사지유닛의 결합 상태에 대한 평면도를, (b)는 도 17에 도시된 마사지유닛의 결합 상태에 대한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며, 도 19의 (a)는 도 17에 도시된 하나의 마사지롤러(330a)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b)는 (a)에 나타낸 I-I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의 가압지지부 및 마사지유닛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의 마사지유닛은 지지본체(200a)와, 제1 마사지롤러(330a) 및 제2 마사지롤러(330b)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본체(200a)에는 가압지지부(130)의 일단에 구비되는 지지부결합부(130a)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지지부(130)의 타단에는 회전가이드(132)가 고정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회전가이드(132)는 가압지지부(130)에 결합되는 가이드결합부(132a)와 곡선가이드홈(133)이 형성된 가이드부(132b)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200a)는 제1 마사지롤러(330a)와 제2 마사지롤러(330b)가 피부에 동시에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된 상태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구성요소로서 마사지유닛의 몸체에 해당하는 구성요소이다.
앞서 설명한 도 5에 지지본체(200)와 비교할 때 도 17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의 지지본체(200a) 제1 마사지롤러(330a) 및 제2 마사지롤러(330b)가 각각 양측 지지가 아니라 일측 지지의 형태로 구성된다는 점이다.
도 17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의 지지본체(200a) 역시 앞서 살펴본 지지본체(200)와 마찬가지로 제1 마사지롤러(330a)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1 롤러지지부(250)와, 제2 마사지롤러(330b)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 롤러지지부(26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러지지부(250)의 일측에는 제1 축고정지지부(252)가 구비되어 제1 마사지롤러(330a)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1 회전지지축(332)이 상기 제1 축고정지지부(252)에 축고정체결부(bs)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마사지롤러(330a)가 상기 제1 회전지지축(332)에 의해(즉, 제1 회전지지축(332)의 내부 구성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제2 롤러지지부(260)의 일측에는 제2 축고정지지부(262)가 구비되어 제2 마사지롤러(330b)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2 회전지지축(333)이 상기 제2 축고정지지부(262)에 축고정체결부(bs)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2 마사지롤러(330b)가 상기 제2 회전지지축(333)에 의해(즉, 제2 회전지지축(333)의 내부 구성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회전지지축(332, 333)에 의해 마사지롤러(330a, 330b)가 회전할 수 있는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에서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도 18의 (a) 및 (b)는 앞서 설명한 도 6의 (a) 및 (b)와 대응되며 단지 마사지롤러가 결합된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고 한 쌍의 마사지롤러가 이루는 각도 등에 관한 특징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도 6의 (a)와 마찬가지로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마사지유닛(210a)은, 위에서 내려다 봤을 때 제1 롤러지지부(250) 및 제2 롤러지지부(260)가 피부 접촉 방향으로 180˚보다 작은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마사지롤러(330a)의 제1 회전지지축의 중심선(ds1)이 수평선(H) 기준으로 안쪽으로 a1 각도만큼 기울어지고, 제2 마사지롤러(330b)의 제2 회전지지축의 중심선(ds1)이 수평선(H) 기준으로 안쪽으로 a1 각도만큼 기울어져서, 제1 마사지롤러(330a)와 제2 마사지롤러(330b)가 피부 접촉 방향으로 180˚보다 작은 a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촉된 피부를 양 마사지롤러가 감싸도록 할 수 있다).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마사지유닛(210a)은, 정면에서 봤을 때 제1 마사지롤러(330a) 및 제2 마사지롤러(330b)가 각각 수평선(H)을 기준으로 바깥쪽이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각도로 구성되도록, 즉 두 회전지지축의 중심선이 “ㅅ”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른 효과는 앞서 도 7을 통해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리고 도면상으로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본 실시예에서도 지지본체(200a)는 제1 마사지롤러(330a)와 제2 마사지롤러(330b)의 피부에 대한 밀착력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탄성가압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19의 (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마사지롤러(330a)는 회전지지축(332)과, 상기 회전지지축(332)을 덮어서 고정되는 롤러캡(331)을 포함하여, 상기 회전지지축(332)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롤러캡(331)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제1 회전지지축 및 제2 회전지지축은 도 19에 도시된 회전지지축(332)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제1 롤러캡 및 제2 롤러캡은 도 19에 도시된 롤러캡(33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9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지지축(332)은 축부재(332a), 결합지지부(332b), 슈라우드(332c), 접촉부재(332d)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축부재(332a)는 마시지롤러(330a)의 회전의 중심이 되며 일단이 상기 제1 축고정지지부(252)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슈라우드(332c)는 상기 축부재(332a)에 끼워지고(소정의 간극을 유지하면서 끼워지고 슈라우드(332c)는 축부재(332a)와 체결되지 않고 서로 분리되어 축고정지지부(252)에 고정된 축부재를 중심으로 슈라우드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롤러캡(331)에 결합하여 상기 롤러캡(331)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슈라우드(332c)가 함께 회전하되, 축부재(332a)를 기준으로 회전한다.
상기 축부재(332a)에 슈라우드(332c)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축부재(332a)의 단부에 결합지지부(332b)가 결합되어, 상기 슈라우드(332c)가 축부재(332a)를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촉부재(332d)는, 축부재(332a)의 타단에 구비되며 롤러캡(331)의 내부에 접촉되어 축부재(332a)를 통해 전달되는 고주파 전기를 롤러캡(331)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 19의 (a)에서 일측에 상기 접촉부재(332d)를 좀 더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는데, 이를 참조하면 접촉부재(332d)는, 축부재(332a)의 단부에 결합되는 접촉베이스(CB)와, 상기 접촉베이스(CB)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프링(미도시)과,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상기 롤러캡(331)의 내부에 접촉되는 볼접촉부(BA)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재(332d)는 접촉베이스(CB) 부분이 축부재(332a)에 결합되고 상기 접촉베이스(CB) 내부에 구비되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볼 형상의 볼접촉부(BA)가 롤러캡(331)의 내부에 접촉되되 상기 접촉베이스(CB) 내부의 스프링에 의해 탄성을 가지고 밀착되어 롤러캡(331)이 회전하면서 유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볼접촉부(BA)가 안정적으로 롤러캡(331) 내부에 밀착되어 접촉이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축부재(332a)와 접촉부재(332d), 그리고 롤러캡(331)은 전기 전도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앞서 설명한 신호전달부(450, 도 16 참조)와 상기 축부재(332a)가 전기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컨트롤러(600, 도 16 참조)로부터 신호전달부(450)로 고주파 전기 자극에 대한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신호전달부(450)는 축부재(332a)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기 고주파 전기 자극에 대한 신호를 전달하며, 그 신호는 접촉부재(332d)의 볼접촉부(BA)를 통해 롤러캡(331)에 전달되어, 상기 롤러캡(331)과 맞닿는 사용자의 피부에 고주파 전기 자극을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부재(332a)와 슈라우드(332c) 사이 또는 결합지지부(332b)와 슈라우드(332c) 사이는 일정한 간극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부분에 앞서 도 8을 통해 설명한 바 있는 회전감지부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마사지롤러의 회전을 감지하는 구성으로서, i) 접촉단자(411)와 복수의 접점(412)을 이용하는 구성, ii) 자기센서(421)와 복수의 자성체(422)를 이용하는 구성, iii) 수발광센서(431)와 복수의 반사부(432)를 이용하는 구성 등이 있다.
도 8 및 도 19의 (b)를 동시에 참조하면, i) 접촉단자(411)와 복수의 접점(412)을 이용하는 구성은, 마사지롤러 내부에서 회전하는 부분의 일면에 접촉단자(411)가 구비되고, 마사지롤러 내부에서 고정되어 있는 부분에 둘레를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접점(412)이 구비되어, 마사지롤러가 회전할 때 접촉단자(411)가 복수의 접점(412)에 순차적으로 접촉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회전하는 부분’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마사지롤러(311)의 롤러내측면(311a)이 되고, 도 19의 (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롤러캡(311)에 고정된 슈라우드(332c)가 된다.
그리고 ‘고정되어 있는 부분’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롤러지지축(313)이 되고, 도 19의 (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축부재(332a) 또는 상기 축부재(332a)에 고정된 결합지지부(332b)가 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나 도 19의 (a) 및 (b)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나 접촉단자와 복수의 접점을 이용하여 송신부(413)와 수신부(414)를 포함하는 회전감지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송신부(413)와 수신부(414)는 컨트롤러(6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앞서 설명하였듯이 신호전달부(450, 도 16 참조)와 연결되어 간접적으로 컨트롤러(600)로 신호를 전달하고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8 및 도 19의 (b)를 동시에 참조할 때, ii) 자기센서(421)와 복수의 자성체(422)을 이용하는 구성은, 마사지롤러 내부에서 회전하는 부분의 일면에 회전감지부로서 자기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마사지롤러 내부에서 고정되어 있는 부분에 둘레를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자성체가 구비되어, 마사지롤러가 회전할 때 자기센서가 복수의 자성체로부터 자기장을 순차적으로 감지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여기서도, ‘회전하는 부분’은 마사지롤러(311)의 롤러내측면(311a)이 되거나(도 8의 경우), 롤러캡(311)에 고정된 슈라우드(332c)가 되며(도 19의 경우), ‘고정되어 있는 부분’은 롤러지지축(313)이 되거나(도 8의 경우), 축부재(332a) 또는 축부재(332a)에 고정된 결합지지부(332b)가 된다(도 19의 경우).
이 경우에도 회전감지부인 자기센서(421)는 신호전달부와 연결되고 이를 통해 컨트롤러로 감지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19의 (b)를 동시에 참조할 때, iii) 수발광센서(431)와 복수의 반사부(432)를 이용하는 구성은, 마사지롤러 내부에서 회전하는 부분의 일면에 수발광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마사지롤러 내부에서 고정되어 있는 부분에 둘레를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반사부가 구비되어 회전감지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마사지롤러가 회전할 때 수발광센서가 복수의 반사부로부터 각각 반사되는 광을 감지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여기서도, ‘회전하는 부분’은 마사지롤러(311)의 롤러내측면(311a)이 되거나(도 8의 경우), 롤러캡(311)에 고정된 슈라우드(332c)가 되며(도 19의 경우), ‘고정되어 있는 부분’은 롤러지지축(313)이 되거나(도 8의 경우), 축부재(332a) 또는 축부재(332a)에 고정된 결합지지부(332b)가 된다(도 19의 경우).
이 경우에도 수발광센서(431)는 신호전달부와 연결되고 이를 통해 컨트롤러로 감지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수발광센서를 수광센서로, 복수의 반사부를 복수의 발광소자로 각각 대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압력감지부’의 구성은 도 12 등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2의 (b)에서 탄성부재(160)를 로드셀과 같은 압력감지장치와 함께 장착하여 상기 탄성부재(160)가 인장되어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는 경우(제1 가압지지부와 제2 가압지지부가 서로 벌어지는 경우) 로드셀이 그 압력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가이드그립(150)과 슬라이드홈(106) 사이에서 가이드그립(150)에 접촉단자를, 슬라이드홈(106)의 위쪽 부분에 접점을 각각 구비하고, 제1 가압지지부(130)와 제2 가압지지부(140)가 각각 회전함으로써 제1 회전가이드(132) 및 제2 회전가이드(142)에 의해 가이드그립(150)이 위로 이동하면서 접촉단자가 접점에 맞닿음으로써 제1 가압지지부(130) 및 제2 가압지지부(140) 사이에 가압력이 작용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피부접촉검출부(530)’의 구성 역시 도 12 등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장치는, 한 쌍의 가압지지부를 구비하는 핸들, 그리고 각각의 가압지지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마사지유닛을 이용하여 특히 사용자의 얼굴에 대해 턱선을 따라 마사지유닛이 양쪽에서 동시에 물리적 마사지와 전기 자극을 제공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피부 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마사지롤러가 피부에 접촉한 경우에 또는 소정의 회전속도로 동작하는 경우에 또는 각각의 가압지지부가 벌려진 경우에 그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피부미용장치를 사용하고 있는지 합리적으로 판단하여 고주파 전류를 인가하도록 하고 그와 같은 경우가 아니면 전류의 인가를 차단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감전 위험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장점이 있다.
또한, 불편한 조작 등이 없이 단순히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장치를 사용하기만 하면 컨트롤러가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고주파 전기 자극이 전달되고 사용을 중단하는 즉시 고주파 전기 자극의 전달이 차단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특장점이 있다.
100: 핸들, 101: 핸들본체
110: 제1 가압지지부, 120: 제2 가압지지부
200: 지지본체, 210: 제1 마사지유닛
220: 제2 마사지유닛, 230: 제1 롤러지지부
240: 제2 롤러지지부, 310, 320: 한 쌍의 마사지롤러
311: 제1 마사지롤러, 312: 제2 마사지롤러
313: 제1 롤러지지축, 314: 제2 롤러지지축
400: 회전감지부, 500: 압력감지부
530: 피부접촉검출부, 600: 컨트롤러

Claims (6)

  1. 제1 가압지지부와 제2 가압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가압지지부와 제2 가압지지부 사이를 벌림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려는 방향으로 가압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핸들;
    상기 제1 가압지지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피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을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피부를 마사지하는 한 쌍의 마사지롤러를 구비하는 제1 마사지유닛;
    상기 제2 가압지지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피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을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피부를 마사지하는 한 쌍의 마사지롤러를 구비하는 제2 마사지유닛; 및
    상기 제1 마사지유닛 및 제2 마사지유닛 각각이 구비하는 한 쌍의 마사지롤러를 통해 접촉된 피부에 고주파 전기 자극을 제공하는 것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피부미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사지유닛 및 제2 마사지유닛 각각은,
    상기 한 쌍의 마사지롤러로서 제1 마사지롤러와 제2 마사지롤러가 피부에 동시에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된 상태를 지지하는 지지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본체는,
    상기 제1 마사지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1 롤러지지부와, 상기 제2 마사지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 롤러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사지유닛 및 제2 마사지유닛 각각은, 상기 한 쌍의 마사지롤러로서 제1 마사지롤러와 제2 마사지롤러가 피부에 동시에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된 상태를 지지하는 지지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마사지롤러는 제1 롤러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2 마사지롤러는 제2 롤러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 롤러지지축은 수평방향에 대해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각도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롤러지지축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제1 마사지롤러의 회전진행방향과 상기 핸들의 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본체가 이동하는 방향이 각도의 편차가 발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롤러지지축은 상기 제1 롤러지지축과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수평방향에 대해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각도로 구비되어 상기 제2 롤러지지축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제2 마사지롤러의 회전진행방향과 상기 핸들의 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본체가 이동하는 방향이 각도의 편차가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사지유닛 및 제2 마사지유닛 각각은, 상기 한 쌍의 마사지롤러로서 제1 마사지롤러와 제2 마사지롤러가 피부에 동시에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된 상태를 지지하는 지지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마사지롤러는 고정된 제1 회전지지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2 마사지롤러는 고정된 제2 회전지지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 회전지지축은 수평방향에 대해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각도로 구비되어 상기 제1 회전지지축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제1 마사지롤러의 회전진행방향과 상기 핸들의 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본체가 이동하는 방향이 각도의 편차가 발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회전지지축은 상기 제1 회전지지축과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수평방향에 대해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각도로 구비되어 상기 제2 회전지지축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제2 마사지롤러의 회전진행방향과 상기 핸들의 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본체가 이동하는 방향이 각도의 편차가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사지유닛 및 제2 마사지유닛 각각은, 상기 한 쌍의 마사지롤러로서 제1 마사지롤러와 제2 마사지롤러가 피부에 동시에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된 상태를 지지하는 지지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본체는,
    상기 제1 마사지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1 롤러지지부와, 상기 제2 마사지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 롤러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롤러지지부와 상기 제2 롤러지지부가 피부 접촉 방향으로 180˚보다 작은 각도로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가압부재를 더 포함하여,
    피부 접촉시 상기 제1 가압지지부와 제2 가압지지부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각 지지본체가 피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가압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롤러지지부의 제1 마사지롤러와 상기 제2 롤러지지부의 제2 마사지롤러가 접촉된 피부를 감싸도록 하여 피부 마사지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마사지유닛 및 상기 제2 마사지유닛 각각이 구비하는 한 쌍의 마사지롤러가 각각 피부에 접촉한 경우에, 또는 상기 피부에 접촉하여 상기 핸들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피부 마사지를 하는 경우에 상기 한 쌍의 마사지롤러를 통해 상기 고주파 전기 자극을 제공하며, 상기 한 쌍의 마사지롤러가 피부에 접촉하지 않거나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고주파 전기 자극의 제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장치.
KR1020200151185A 2019-06-13 2020-11-12 피부미용장치 KR102417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185A KR102417600B1 (ko) 2019-06-13 2020-11-12 피부미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011A KR102189190B1 (ko) 2018-09-19 2019-06-13 피부미용장치
KR1020200151185A KR102417600B1 (ko) 2019-06-13 2020-11-12 피부미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011A Division KR102189190B1 (ko) 2018-09-19 2019-06-13 피부미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657A true KR20200143657A (ko) 2020-12-24
KR102417600B1 KR102417600B1 (ko) 2022-07-07

Family

ID=74087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185A KR102417600B1 (ko) 2019-06-13 2020-11-12 피부미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6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63176A (ja) * 2014-01-30 2015-09-10 株式会社 Mtg 美容器
KR20170060431A (ko) * 2015-11-24 2017-06-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미용 장치
KR101744934B1 (ko) * 2016-04-29 2017-06-08 한성호 고주파를 이용한 마사지 롤러
JP2017119076A (ja) * 2015-12-28 2017-07-06 株式会社 Mtg 美容器
KR20180125862A (ko) * 2017-05-16 2018-11-26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미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63176A (ja) * 2014-01-30 2015-09-10 株式会社 Mtg 美容器
KR20170060431A (ko) * 2015-11-24 2017-06-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미용 장치
JP2017119076A (ja) * 2015-12-28 2017-07-06 株式会社 Mtg 美容器
KR101744934B1 (ko) * 2016-04-29 2017-06-08 한성호 고주파를 이용한 마사지 롤러
KR20180125862A (ko) * 2017-05-16 2018-11-26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미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600B1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9190B1 (ko) 피부미용장치
KR20190003280A (ko) 상지 재활 로봇
KR102383166B1 (ko)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다리 마사지부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371403B1 (ko) 회동 가능한 팔 마사지부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KR101007498B1 (ko) 머리 마사지 장치
KR20200074397A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발바닥 마사지 모듈을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KR20200143657A (ko) 피부미용장치
KR102397462B1 (ko) 회동 가능한 팔 마사지부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CN213641975U (zh) 按摩组件以及包括该按摩组件的按摩装置
KR20200118670A (ko)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74161B1 (ko) 손에 광 테라피를 제공하는 기능을 겸비한 마사지 장치
KR102217136B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팔 마사지 모듈을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CN211610676U (zh) 应用角度传感器的按摩器
KR20030040588A (ko) 마사지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43291B1 (ko) 심장가압장치
KR102168894B1 (ko) 체압 측정이 가능한 마사지 장치
KR102195034B1 (ko) 체압 측정이 가능한 마사지 장치
KR102363449B1 (ko) 마사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KR102646795B1 (ko) 회전 가능한 팔 마사지부를 갖는 마사지 장치
KR20190101790A (ko) 다리 마사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KR102406737B1 (ko) 심전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KR20220035053A (ko) 회동 가능한 팔 마사지부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KR102063400B1 (ko) 어깨 마사지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사지 장치
KR20210022178A (ko) 마사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KR20220017979A (ko) 마사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