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3184A -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용 cd 전선관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용 cd 전선관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3184A
KR20200143184A KR1020190093215A KR20190093215A KR20200143184A KR 20200143184 A KR20200143184 A KR 20200143184A KR 1020190093215 A KR1020190093215 A KR 1020190093215A KR 20190093215 A KR20190093215 A KR 20190093215A KR 20200143184 A KR20200143184 A KR 20200143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winding
wound
extruder
wi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9778B1 (ko
Inventor
박경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스메카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스메카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스메카트로닉스
Publication of KR20200143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38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speed of driving mechanism of unwinding, paying-out, forwarding, winding, or depositing devices, e.g. automatically in response to variations in tension
    • B65H59/384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speed of driving mechanism of unwinding, paying-out, forwarding, winding, or depositing devices, e.g. automatically in response to variations in tension using electronic means
    • B65H59/385Regulating winding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4Pulleys, rollers, or rotary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1/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metering predetermined lengths of running material
    • B65H61/005Applications of devices for metering predetermined lengths of running material for measuring speed of running ya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4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or replacing by cores, formers, or empty receptacles a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B65H67/044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 B65H67/048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having winding heads arranged on rotary capstan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51Encoders, e.g. lin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3Hollow or hose-like material
    • B65H2701/331Hollow or hose-like material leaving an extru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건물 등의 전선 보호관으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재 CD 전선관을 권선기에 롤 형태로 감을 수 있도록 임의속도로 이송시키기 위한,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용 CD 전선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용 CD 전선관 이송장치는
제1프레임에 중앙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되는 회전체에 제2,3구동모터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시 압출기로부터 이송되는 CD 전선관이 후방날개와 상기 후방날개와 대향되고 절첩가능한 전방날개 사이에 권선되는 제1,2권선기를 포함하는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용 CD 전선관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권선기 또는 제2권선기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압출기로부터 상기 제1,2권선기 중 어느 하나에 이송되는 상기 CD 전선관을 복수의 지지롤러에 의해 지지하는 CD 전선관 가이드부;
상기 CD 전선관 가이드부에 형성되고, 상기 압출기로부터 상기 제1,2권선기중 어느 하나에 이송되는 상기 CD 전선관의 감기는 속도를 가변 조정하기 위한 속도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용 CD 전선관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용 CD 전선관 이송장치{automatic winding device for CD wireway}
본 명세서는 CD 전선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건물 등의 전선 보호관으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재 CD 전선관을 권선기에 롤 형태로 감을 수 있도록 임의속도로 이송시키기 위한,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용 CD 전선관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재 CD 전선관은 롤 형상으로 형성되어 무게가 가벼워 작업현장에서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며, 스틸(steel) 관에 비해 결로현상이 적어 영하의 온도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온도 변화에 대한 수축이 거의 없기 때문에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내약품성, 내후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하고 가요성이 우수하므로 벤다 또는 토치 램프 등 기타의 공구가 불필요하며 배관작업이 용이하다.
전술한 CD 전선관은 내주연이 피부형이므로 마찰계수가 적어 전선의 인입이 용이하며, 합성수지 제품으로 타종류 관에 비해 소음이 적고, 전공칼(또는 톱날) 등으로 쉽게 절단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4887호에 게시된 폴리에틸렌 CD 전선관의 제조방법은
폴리에틸렌 CD 전선관 제조방법에 있어서,
압출기에 폴리에틸렌 레진 92 ~ 98 중량%, 난연제 10 ~ 15 중량%, 마스터배치(master batch) 2 ~ 3 중량%의 원료를 투입 후, 180 ~ 250℃의 온도로 압출기 내부에서 용융시키는 원료배합단계(S100);
180 ~ 250℃로 유지되는 압출기 내부의 스크류에 의해 50 ~ 80rpm 속도로 이송되면서 압출되는 압출단계(S200);
상기 압출된 혼합원료는 240 ~ 260℃의 온도를 갖는 금형장치 내부로 투입되어 전선관 형태로 배출되는 금형단계(S300);
상기 금형장치에서 배출되는 전선관은 5 ~ 10℃ 온도를 갖는 냉각수에서 냉각된 후, 600 ~ 800rpm 속도로 작동되는 인출기에서 인출되는 냉각 및 인출단계(S400);
상기 인출된 전선관의 내,외면이 원형상태를 유지하도록 규격화된 전선관 형상을 갖는 구조물에 상기 인출된 전선관을 통과시켜 최종 성형하는 성형단계(S500);
상기 성형된 전선관이 권취기에서 셋팅된 길이만큼 권취된 후 절단 및 포장되는 절단 및 포장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PE) 등의 원료를 혼합(S100) - 혼합된 원료를 압출(S200) - 압출된 원료를 전선관 형태로 배출(S300) - 배출되는 전선관을 냉각/인출(S400) - 인출된 전선관을 원형형태로 성형(S500) - 전선관을 절단/포장하는 단계(S600)를 거쳐 성형된 CD 전선관을 롤 형태로 권취시키는 작업을 자동화시킬 수 있는 권취장치와 관련되는 기술이 아직까지 실용화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압출성형된 CD 전선관을 롤 형태로 권취시키는 작업을 자동화시킴에 따라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롤 형태로 감긴 중량체의 CD 전선관을 후속공정(롤 형태로 감긴 CD 전선관이 풀리지 않도록 수 군데 바인딩시키는 작업을 말함)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자동화시킴에 따라 작업자 피로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의 연구개발 및 상용화가 동업종분야에서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114887호에 폴리에틸렌 씨디 전선관 제조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전선 보호관으로 사용되도록 압출성형된 CD 전선관을 롤 형태로 감는 권선기에 일정속도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용 CD 전선관 이송장치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압출기로부터 권선기에 이송되는 CD 전선관이 이송과정에서 지면쪽으로 처지거나 윗쪽으로 댕겨지지않도록 이송속도가 자동 조절되므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용 CD 전선관 이송장치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프레임에 중앙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되는 회전체에 제2,3구동모터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시 압출기로부터 이송되는 CD 전선관이 후방날개와 상기 후방날개와 대향되고 절첩가능한 전방날개 사이에 권선되는 제1,2권선기를 포함하는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용 CD 전선관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권선기 또는 제2권선기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압출기로부터 상기 제1,2권선기 중 어느 하나에 이송되는 상기 CD 전선관을 복수의 지지롤러에 의해 지지하는 CD 전선관 가이드부;
상기 CD 전선관 가이드부에 형성되고, 상기 압출기로부터 상기 제1,2권선기중 어느 하나에 이송되는 상기 CD 전선관의 감기는 속도를 가변 조정하기 위한 속도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용 CD 전선관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건물 등에 설치되는 전선의 보호관으로 사용되도록 압출성형된 CD 전선관을 롤 형태로 감는 권선기에 일정속도로 이송시켜 CD 전선관의 권선과정을 자동화시킴에 따라 작업성 및 실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압출기로부터 권선기에 이송되는 CD 전선관이 이송과정에서 지면쪽으로 지나치게 처지거나 윗쪽으로 댕겨지지않도록 이송속도가 자동 조절되므로 CD 전선관 이송됨을 체크하기 위한 작업인원을 최소화시켜 인건비용을 줄이고, 작업자 피로도를 줄일 수 있어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용 CD 전선관 이송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CD 전선관 이송장치를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에 적용시킨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CD 전선관 이송장치에 의해 CD 전선관을 권선기에 이송시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CD 전선관 이송장치에 의해 CD 전선관을 일측 권선기에 이송시켜 권선시킨 후, 타측 권선기에 CD 전선관을 권선하기 위해 180도 회전시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CD 전선관 이송장치에 의해 CD 전선관을 권취시키는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CD 전선관 이송장치가 적용되는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에서, CD 전선관에 밴드끈을 반경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밴딩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권취장치에서, CD 전선관이 권선되어 180도 회전된 후 CD 전선관을 커팅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2에 도시된 권취장치에서, CD 전선관이 권선되어 180도 회전된 후 CD 전선관을 커팅하는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권취장치에서, 권선기에 권선된 CD 전선관이 풀리지않도록 회전롤러에 의해 지지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권취장치에서, 권선기에 권선된 CD 전선관을 밴드끈에 의해 고정시킨 후 권선기로부터 롤 형태의 CD 전선관을 탈거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권취장치에서, 롤 형태로 권선된 CD 전선관을 밴드끈에 의해 바인딩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도 7에 도시된 권취릴로부터 이완되는 밴드끈을 CD 전선관에 공급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용 CD 전선관 이송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용 CD 전선관 이송장치는
제1프레임(10)에 중앙의 회전축(12)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되는 회전체(28)에 제2,3구동모터(13,14)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시 압출기(미 도시됨)로부터 이송되는 CD 전선관(15)이 후방날개(21)와 후방날개(21)와 대향되고 절첩가능한 전방날개(20) 사이에 권선되는 제1,2권선기(16,17)를 포함하는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용 CD 전선관 이송장치에 있어서:
제1권선기(16) 또는 제2권선기(17) 상류측(제1권선기(16) 또는 제2권선기(17)에 CD 전선관(15)을 감는 작업공정 전(前) 위치를 말함)에 위치하도록 제1프레임(10)에 장착되고, 압출기로부터 제1,2권선기(16,17) 중 어느 하나에 이송되는 CD 전선관(15)을 복수의 지지롤러(18)에 의해 지지하는 CD 전선관 가이드부(19);
CD 전선관 가이드부(19)에 형성되고, 압출기로부터 제1,2권선기(16,17)쪽으로 이송되는 CD 전선관(15)의 감기는 속도를 가변 조정하기 위한 속도조정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CD 전선관 가이드부(19)는
지지롤러(18) 중 어느 하나의 지지롤러에 형성되고, 압출기로부터 지지롤러(18)를 통과하여 제1,2권선기(16,17) 중 어느 하나에 이송되는 CD 전선관(15)이 설정된 임의길이(일 예로서, 80m∼100m를 말함)에 도달되는 것을 감지함에 따라 제2,3구동모터(13,14) 중 어느 하나를 정지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엔코더(36);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CD 전선관 가이드부(19) 일측에 연결되는 제1링크(46)와, 제1링크(46)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고 CD 전선관(15)을 지지하는 제2링크(48)와, 제1,2링크(46,48)의 힌지연결부에 장착되고 제2링크(48)의 상하 방향으로의 회동됨을 감지하는 제2엔코더(47);를 구비함에 따라, 압출기로부터 제1,2권선기(16,17) 중 어느 하나에 이송되는 CD 전선관(15) 이송속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링크(48)의 검출된 현재위치에 따라 제2구동모터(13) 또는 제3구동모터(14)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1,2권선기(16,17) 중 어느 하나의 회전속도를 가변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제1프레임(10)에 장착되어 정,역 방향(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을 말함)으로 회전되는 구동모터(39)와, 구동모터(39)와 연결되는 구동풀리(40)와, 구동풀리(40)에 벨트(41)를 통해 연결되는 피동풀리(42)를 포함하는 구동부(43);
피동풀리(4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리이드스크류(44);
리이드스크류(44)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고, CD 전선관 가이드부(19)가 장착되는 이동편(45);을 더 구비함에 따라,
이동편(45)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2권선기(16,17)의 전방 날개 및 후방 날개(20,21) 사이에 CD 전선관(15)이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권선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CD 전선관 이송장치가 적용되는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는
제1프레임(10)에 장착되는 제1구동모터(11)에 의해 중앙의 회전축(12)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되는 회전체(28), 제1프레임(10)에 장착되는 제2,3구동모터(13,14)에 의해 회전체(28)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시 압출기(미 도시됨)로부터 이송되는 호스 형태의 CD 전선관(15)이 권선되는 제1,2권선기(16,17);
압출기로부터 제1,2권선기(16,17) 중 어느 하나에 이송되는 CD 전선관(15)을 복수의 지지롤러(18)에 의해 지지하는 CD 전선관 가이드부(19);
제1,2권선기(16,17)중 어느 하나에 CD 전선관(15)을 권선시 전방 날개(20)가 날개용 에어실린더(50)에 의해 후방 날개(21)와 대향되도록 접히고, 제1,2권선기(16,17) 중 어느 하나로부터 롤 형태의 CD 전선관을 탈거시 전방 날개(20)가 날개용 에어실린더(50)에 의해 전방으로 전개되는 날개형 서포터(22);
회전체(28)가 180도 회전될 경우, 제1,2권선기(16,17) 중 어느 하나에 권선된 롤 형태의 CD 전선관(15)이 제1프레임(1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프레임(23)에 장착되는 서포터용 에어실린더(24)의 회전롤러(24a)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압착지지하는 한 쌍의 서포터(25);
제1,2권선기(16,17)에 전후진 운동하도록 장착되는 고정용 에어실린더(27) 및 커팅용 에어실린더(26)의 실린더로드에 형성되고, 제1,2권선기(16,17) 중 어느 하나에 CD 전선관(15)이 롤 형태로 권선되어 회전체(28)가 180도 회전될 경우 다른 하나에 CD 전선관(15)이 권선되도록 CD 전선관(15)을 고정 및 커팅하기 위한 고정편(29) 및 커터(30);
제2프레임(23)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권취릴(31)로부터 이완되고 피이딩롤러(51) 및 보조롤러(52) 사이를 통과하여 견인되는 밴드끈(32)에 의해 롤 형태의 CD 전선관(A)을 반경 방향으로 감싸 고정시킨 후, 연결부를 히터에 의해 열융착 및 커터에 의해 연결부의 인접부를 절단하는 바인더(33);
제1프레임(10)에 장착되는 탈거용 에어실린더(34)의 실린더로드에 형성되고, 바인더(33)에 의해 밴드끈(32)이 반경방향으로 고정된 롤 형태의 CD 전선관(A)을 제1,2권선기(16,17) 중 어느 하나로부터 탈거시키기 위한 한 쌍의 푸셔(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제1프레임(10)에 장착되는 가압용 에어실린더(37)의 실린더로드에 형성되고,
제1,2권선기(16,17) 중 어느 하나에 CD 전선관(15)이 권선되어 회전체(28)가 회전축(12)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될 경우, 다른 하나에 CD 전선관(15)을 권선시키기 위해 제1,2권선기(16,17) 사이에 위치하는 CD 전선관(15)을 절단시 CD 전선관(15)이 긴장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하기 위한 가압편(38);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인더(33)는
제2프레임(23)에 장착되는 바인더용 제1에어실린더(53)에 의해 180도 회전된 제1,2권선기(16,17) 중 어느 하나쪽으로 제1거리만큼 슬라이딩이동되는 제1베드(54);
제1베드(54)에 장착되는 제4구동모터(미 도시됨)에 연결되는 리이드스크류(56)에 의해 180도 회전된 제1,2권선기(16,17) 중 어느 하나쪽으로 제2거리만큼 슬라이딩이동되는 제2베드(59);
제2프레임(23)에 장착되는 제3베드(62)에 장착되는 바인더용 제2에어실린더(6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며, 피이딩 롤러(51) 및 보조 롤러(52)를 통과하는 체결끈(32)을 밴드끈 인도부(61)에 의해 롤 형태의 CD 전선관(A) 내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트랙 형태의 제1가이드(57);
제2베드(59)에 장착되고, 밴드끈 인도부(61)로부터 공급되는 밴드끈(32)을 로딩(loading)하기 위한 트랙 형태의 제2가이드(58);
제2베드(59)가 롤 형태의 CD 전선관(A)쪽으로 설정거리만큼 이동시 제1,2가이드(57,58)를 통과하여 공급되는 밴드끈(32)의 연결부위를 열융착하기 위한 히터(63) 및 이음연결된 밴드끈(32) 임의위치를 절단하기 위한 커터(미 도시됨);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서포터(25)에 장착되고, 제2베드(59)가 제2거리만큼 전진이동되는 것을 감지함에 따라 밴드끈(32)이 장력을 유지하도록 피이딩 롤러(5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검출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접촉센서(6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용 CD 전선관 이송장치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압출기(미 도시됨)에서 금형장치에 의해 호스 형태로 성형된 후 이송되는 CD 전선관(15)이 제2링크(48)의 가이드플레이트(도면부호 미 표기)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한 후 CD 전선관 가이드부(19)의 복수의 지지롤러(18)를 통과하여 제1권선기(16) 또는 제2권선기(17)쪽으로 이송된다(S100 참조).
이때, 압출기로부터 CD 전선관 가이드부(19)로 이송되는 CD 전선관(15)의 이송속도에 대응되게 CD 전선관(15)이 권선되는 제1권선기(16) 또는 제2권선기(17)의 회전속도를 가변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압출기로부터 CD 전선관 가이드부(19)로 이송되는 CD 전선관(15)의 이송속도에 따라 제2링크(48)의 상하 방향으로 회동됨을 제1링크(46)와 제2링크(48)의 연결부(힌지부)에 장착된 제2엔코더(47)에 의해 감지할 수 있다.
즉, 압출기로부터 이송되는 CD 전선관(15)이 설정속도보다 빠르게 이송될 경우(CD 전선관(15)이 제1,2권선기(16,17) 중 어느 하나에 감기는 속도보다 이송속도가 빠른 경우) 제2링크(48)의 외측단 및 CD 전선관(15)은 지면쪽으로 처지게 된다.
이와 반면에, CD 전선관(15)이 설정속도보다 느리게 이송될 경우(CD 전선관(15)이 제1,2권선기(16,17) 중 어느 하나에 감기는 속도가 이송속도가 빠른 경우) CD 전선관(15)에 의해 제2링크(48)는 상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CD 전선관(15)의 이송속도에 따라 제2링크(48)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경우, 제1링크(46)와 제2링크(48)의 연결부(힌진부를 말함)에 장착된 제2엔코더(47)에 의해 제2링크(48)의 회동됨을 감지하여 검출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압출기로부터 CD 전선관(15)이 설정속도보다 느리게 이송될 경우 제1권선기(16) 또는 제2권선기(17)의 회전속도를 늦춘다.
이와 반면에, 압출기로부터 CD 전선관(15)이 설정속도보다 빠르게 이송될 경우 제1권선기(16) 또는 제2권선기(17)의 회전속도를 높이도록 제2구동모터(13) 또는 제3구동모터(14)의 회전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전술한 CD 전선관 가이드부(19)의 지지롤러(18)를 통과한 CD 전선관(15)이 회전체(28)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1권선기(16) 또는 제2권선기(17)에 이송되어 권선된다(S200 참조).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지지롤러(18)를 통과한 CD 전선관(15)이 CD 전선관 가이드부(19)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피이더(49)(feeder)를 통과하여 제1프레임(10)에 장착된 제2구동모터(13)에 의해 회전되는 제1권선기(16)에 이송되어 권선된다.
이때, 제1프레임(10)에 장착된 제3구동모터(14)에 연결된 제2권선기(16)는 정지상태를 유지하므로 CD 전선관(15)이 권선되지 않게 된다.
CD 전선관 가이드부(19)를 통과한 CD 전선관(15)이 제1권선기(16)에 이송될 경우, 제1권선기(16)에 장착된 고정용 에어실린더(27)가 신장구동됨에 따라 실린더로드에 형성된 고정편(30)에 의해 CD 전선관(15) 단부를 제1권선기(16)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구동모터(13)에 연결되어 임의속도로 회전되는 제1권선기(16)에 CD 전선관(15)이 권선된다. 즉 CD 전선관(15)이 제1권선기(16)의 대향되도록 접힌 상태의 전방 날개(20) 및 후방 날개(21) 사이에 권선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CD 전선관 가이드부(19) 및 피이더(49)를 차례로 통과하는 CD 전선관(15)을 회전되는 제1권선기(16)에 권선시킬 경우, CD 전선관 가이드부(19)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전방 날개(20) 및 후방 날개(21) 사이에 균일하게 권선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0)에 장착된 구동모터(39)(서보모터)를 구동시킴에 따라 구동모터(39)에 장착된 구동풀리(40)와, 구동풀리(40)에 벨트(41)를 통해 연결된 피동풀리(42)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피동풀리(42)에 회저가능하게 설치된 리이드스크류(44)를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리이드스크류(44) 회전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편(45)에 장착된 CD 전선관 가이드부(19)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CD 전선관 가이드부(19)가 리이드스크류(44)를 따라 설정된 스트로크만큼 전후 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동되므로, 제1권선기(16)의 전방 날개(20) 및 후방 날개(21) 사이에서 CD 전선관(15)의 외경(굵기)에 대응되는 피치만큼 등간격을 유지하여 반복하여 이동되는 CD 전선관(15)을 균일하게 권선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CD 전선관 가이드부(19)의 지지롤러(18)를 통과하는 CD 전선관(15)을 제1권선기(16)에 권선시킬 경우, 지지롤러(18) 중 어느 하나의 지지롤러에 형성된 제1엔코더(36)(소위, 로터리 엔코더를 말함) 검출에 의해 CD 전선관 가이드부(19)를 통과하여 제1권선기(16)에 이송되는 CD 전선관(15)의 전체 길이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제1엔코더(36)에 의해 측정된 CD 전선관 가이드부(19)를 통과한 CD 전선관(15)의 전체 길이가 설정된 길이로 판단될 경우(일 예로서, CD 전선관(15)의 길이가 80m∼100m를 말하고, 외경에 따라 상이하게 됨)에, 제1엔코더(36)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해 제1권선기(16)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13)를 정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CD 전선관(15)이 제1권선기(16)에 설정된 길이로서 권선된 경우 제1프레임(10)에 장착된 제1구동모터(11)에 의해 회전체(28)를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킨다(S300 참조).
즉, 회전체(28)가 회전축(12)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의해 CD 전선관(15)이 롤 형태로 권선된 제1권선기(16)는 회전체(28) 좌측에 위치하고, CD 전선관(15)이 권선되지 않은 제2권선기(17)는 회전체(28)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제2프레임(23)에 장착된 한 쌍의 서포터용 에어실린더(24)의 신장구동시, 실린더로드에 형성된 서포터(25)의 회전롤러(24a)에 의해 제1권선기(16)에 권선된 롤 형태의 CD 전선관(A) 외측면을 가압하여 CD 전선관(15)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400 참조).
또한, CD 전선관(15)이 롤 형태로 권선된 제1권선기(16)가 회전축(12)을 중심축으로 하여 180도 회전될 경우, CD 전선관 가이드부(19)를 통과하는 CD 전선관(15)을 제2권선기(17)에 권선시킬 수 있도록 제1,2권선기(16,17) 사이의 임의위치에서 CD 전선관(15)을 절단하게 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프레임(10)에 장착되고, 제1,2권선기(16,17)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신축구동되는 가압용 에어실린더(37)의 신장구동시, 실린더로드에 형성된 가압편(38)에 의해 제1,2권선기(16,17) 사이의 CD 전선관(15)을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로 인해, 가압편(38) 가압에 의해 CD 전선관(15)이 장력을 유지함에 따라, 제2권선기(17)에 장착된 고정용 에어실린더(27)의 실린더로드에 형성된 고정편(29)에 의해 CD 전선관(15)을 고정한 후, 제2권선기(17)에 장착된 커팅용 에어실린더(26)의 실린더로드에 형성된 커터(30)에 의해 CD 전선관(15)을 용이하게 커팅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프레임(10)에 장착된 제3구동모터(14)를 구동시켜 제2권선기(17)를 회전시킴에 따라 압출기로부터 CD 전선관 가이드부(19)의 지지롤러(18)를 통과하는 CD 전선관(15)을 제2권선기(17)에 권선시킬 수 있다(S500A 참조).
이때, CD 전선관 가이드부(19)의 지지롤러(18)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CD 전선관(15)을 제2권선기(17)에 권선시키는 동작은 제1권선기(16)에 권선시키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제2권선기(17)에 권선된 롤 형태의 CD 전선관(A)을 한 쌍의 서포터(25)의 회전롤러(24a)에 의해 외측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바인더(33)에 의해 밴드끈(32)으로 반경 방향으로 감싸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제2프레임(23)에 장착된 권취릴(31)로부터 이완되어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공급되는 띠 형태의 밴드끈(32)이 제2프레임(23)에 장착되어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5구동모터(65)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피이딩 롤러(51)와, 피이딩 롤러(51)와 접촉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아이들러(idler) 형태의 보조 롤러(52)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밴드끈(32)이 롤 형태의 CD 전선관(A) 내측으로 이동되는 제3베드(62)에 장착된 제1가이드(57)의 체결끈 인도부(61)를 통과한 후, 제2베드(59)에 장착된 제2가이드(58)를 통과하여 히터(63) 및 커터부위에 공급될 경우 이송이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전술한 밴드끈(32) 선단이 히터(63) 및 커터부위에 공급될 경우, 로커(미 도시됨)에 의해 밴드끈(32) 선단을 홀딩(holding)하게 되고, 제5구동모터(65)의 역회전 구동에 의해 피이딩 롤러(5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시에 피이딩 롤러(51)와 밀착되는 보조 롤러(5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밴드끈(32)을 공급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겨 소정의 텐션을 유지할 경우, 피이딩 롤러(51)의 회전을 멈추게 된다.
이때, 제3베드(62)는 바인더용 제2에어실린더(60)의 수축구동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제2베드(59)의 제2가이드(58)는 리이드스크류(56)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제2베드(59)가 리이드스크류(56)에 의해 제1권선기(16)에 권선된 롤 형태의 CD 전선관(A)쪽으로 접근하게 되므로 히터(63)에 의해 밴드끈(32)의 밀착부위를 열융착시킨다. 미 도시된 커터에 의해 열융착된 밴드끈(32)의 소정위치를 커팅하여 절단한다.
제2베드(59)가 리이드스크류(56)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제2베드(59)에 장착된 제1,2가이드(16,17)가 제1권선기(16)에 권선된 롤 형태의 CD 전선관(A)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권취기(16)에 롤 형태로 권선된 CD 전선관(15)이 롤러 형태의 서포터(25)의 회전롤러(24a)에 의해 풀리지 않도록 지지된 상태에서, 권취릴(31)로부터 이완되는 밴드끈(32)이 피이딩 롤러(51) 및 보조 롤러(52) 사이를 통과한 후, 제3베드(62)의 제1가이드(57)에 형성된 밴드끈 인도부(61)에 의해 제2베드(59)의 제2가이드(58)를 통과하여 히터(63) 및 커터부위의 로커(64)에 공급되며, 피이딩 롤러(51) 및 보조 롤러(52)에 의해 밴드끈(32)이 텐션을 유지할 경우 히터(63)에 의해 밴드끈(32) 연결부위를 열융착시키고 커터에 의해 절단시키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일 예로서,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는 6개의 밴드끈(32)에 의해 롤 형태의 CD 전선관(A)을 반경 방향으로 감싸 고정시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권선기(16)에 권선된 롤 형태의 CD 전선관(A)을 밴드끈(32)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감싸 고정시킨 작업이 종료될 경우(일 예로서, 6개의 밴드끈이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고정됨)(S500 참조), 한 쌍의 서포터용 에어실린더(24)의 수축구동에 의해 서포터(25)의 회전롤러(24a)가 롤 형태의 CD 전선관(A)으로부터 이탈되고, 바인더(33)의 트랙형 제1,2가이드(57,58)가 초기위치로 복귀되고, 제1권선기(16)의 전방 날개(20)가 날개용 에어실린더(50)의 신장구동으로 인해 전방으로 전개될 경우(S600 참조), 제1프레임(10)에 장착된 탈거용 에어실린더(34)의 신장구동시 로드에 형성된 푸셔(35)에 의해 제1권선기(16)로부터 롤 형태의 CD 전선관(A)을 탈거시킬 수 있다(S700 참조).
이때, 롤 형태의 CD 전선관(A)을 푸셔(35)에 의해 제1권선기(16)로부터 탈거시킬 경우 날개용 에어실린더(50)의 수축구동으로 인해 전방 날개(20)를 후방 날개(21)와 대향되도록 접게 된다.
전술한 제1프레임(10)에 중앙의 회전축(12)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되는 회전체(28)에 제2,3구동모터(13,14)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시 압출기로부터 이송되는 CD 전선관(15)이 후방날개(21)와, 후방날개(21)와 대향되고 절첩가능한 전방날개(20) 사이에 권선되는 제1,2권선기(16,17)를 포함하는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의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출기로부터 성형후 이송되는 CD 전선관(15)을 CD 전선관 가이드부(19)를 통과시켜 회전체(28)에 장착되어 제2구동모터(13)에 의해 회전되는 제1권선기(16)에 롤 형태의 CD 전선관(A)을 권선시킨 후, 회전체(28)를 회전축(12)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킬 경우, 제3구동모터(14)에 의해 회전되는 제2권선기(17)에 CD 전선관(15)이 롤 형태의 CD 전선관(A)으로 권선되며, 동시에 제1권선기(16)에 권선된 롤 형태의 CD 전선관(A)을 밴드끈(32)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감싸 고정시키며, 제1권선기(16)로부터 롤 형태의 CD 전선관(A)을 탈거용 에어실린더(34)의 푸셔(35)에 의해 탈거시킬 경우에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한 CD 전선관 이송장치가 적용되는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의 1싸이클이 종료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제1프레임 11; 제1구동모터
12; 회전축 13; 제2구동모터
14; 제3구동모터 15; CD 전선관
16; 제1권선기 17; 제권선기
18; 지지롤러 19; CD 전선관 가이드부
20; 전방 날개 21; 후방 날개
22; 날개형 서포터 23; 제2프레임
24; 서포터용 에어실린더 25; 서포터
26; 커팅용 에어실린더 27; 고정용 에어실린더
28; 회전체 29; 고정편
30; 커터 31; 권취릴
32; 밴드끈 33; 바인더
34; 탈거용 에어실린더 35; 푸셔
36; 제1엔코더 37; 가압용 에어실린더
38; 가압편 39; 구동모터
40; 구동풀리 41; 벨트
42; 피동풀리 43; 구동부
44; 리이드스크류 45; 이동편
46; 제1링크 47; 제2엔코더
48; 제2링크 49; 피이더(feeder)
50; 날개용 에어실린더 51; 피이딩롤러
52; 보조롤러 53; 바인더용 제1에어실린더
54; 제1베드 55; 제4구동모터
56; 리이드스크류 57; 제1가이드
58; 제2가이드 59; 제2베드
60; 바인더용 제2에어실린더 61; 밴드끈 인도부
62; 제3베드 63; 히터
64; 접촉센서 65; 제5구동모터

Claims (4)

  1. 제1프레임에 중앙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되는 회전체에 제2,3구동모터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시 압출기로부터 이송되는 CD 전선관이 후방날개와 상기 후방날개와 대향되고 절첩가능한 전방날개 사이에 권선되는 제1,2권선기를 포함하는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용 CD 전선관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권선기 또는 제2권선기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압출기로부터 상기 제1,2권선기 중 어느 하나에 이송되는 상기 CD 전선관을 복수의 지지롤러에 의해 지지하는 CD 전선관 가이드부;
    상기 CD 전선관 가이드부에 형성되고, 상기 압출기로부터 상기 제1,2권선기중 어느 하나에 이송되는 상기 CD 전선관의 감기는 속도를 가변 조정하기 위한 속도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용 CD 전선관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D 전선관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롤러 중 어느 하나의 롤러에 형성되고, 상기 압출기로부터 상기 제1,2권선기 중 어느 하나에 이송되는 CD 전선관이 임의길이에 도달되는 것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제2,3구동모터 중 어느 하나를 정지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엔코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용 CD 전선관 이송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조정부는
    상기 CD 전선관 가이드부 일측에 연결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고 상기 CD 전선관을 지지하는 제2링크와, 상기 제1,2링크의 힌지연결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2링크의 상하 방향으로의 회동됨을 감지하는 제2엔코더;를 더 구비함에 따라, 상기 압출기로부터 제1,2권선기 중 어느 하나에 이송되는 CD 전선관의 이송속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상기 제2링크의 검출된 현재위치에 따라 상기 제2구동모터 또는 제3구동모터에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용 CD 전선관 이송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에 장착되어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구동풀리와, 구동풀리에 벨트를 통해 연결되는 피동풀리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피동풀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리이드스크류;
    상기 리이드스크류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고, CD 전선관 가이드부가 장착되는 이동편;을 더 구비함에 따라,
    상기 이동편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2권선기의 상기 전방 날개 및 후방 날개 사이에 상기 CD 전선관이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권선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용 CD 전선관 이송장치.
KR1020190093215A 2019-06-14 2019-07-31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용 cd 전선관 이송장치 KR1022497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658 2019-06-14
KR20190070658 2019-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184A true KR20200143184A (ko) 2020-12-23
KR102249778B1 KR102249778B1 (ko) 2021-05-10

Family

ID=74089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215A KR102249778B1 (ko) 2019-06-14 2019-07-31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용 cd 전선관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7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3133A (ja) * 1991-04-26 1993-02-23 Mirai Ind Co Ltd 管の自動巻取機
KR20100093305A (ko) * 2009-02-16 2010-08-25 일진에이테크 주식회사 가변 트래버스로 사의 권폭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탄성사용 권취기
KR20170004527A (ko) * 2015-07-03 2017-01-11 원광이엔텍 주식회사 광통신 포설용 마이크로튜브용 고속 정렬권취기
JP2018048019A (ja) * 2016-09-23 2018-03-29 大川三基株式会社 電線巻取装置、電線巻取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巻取電線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3133A (ja) * 1991-04-26 1993-02-23 Mirai Ind Co Ltd 管の自動巻取機
KR20100093305A (ko) * 2009-02-16 2010-08-25 일진에이테크 주식회사 가변 트래버스로 사의 권폭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탄성사용 권취기
KR20170004527A (ko) * 2015-07-03 2017-01-11 원광이엔텍 주식회사 광통신 포설용 마이크로튜브용 고속 정렬권취기
JP2018048019A (ja) * 2016-09-23 2018-03-29 大川三基株式会社 電線巻取装置、電線巻取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巻取電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778B1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9755B1 (ko)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
KR20200143185A (ko) Cd 전선관 자동 밴딩장치용 cd 전선관 풀림방지장치
KR102293780B1 (ko) Cd 전선관 자동 밴딩장치
GB1429445A (en) Method for wrapping elongate cylindrical objects
JPH11127837A (ja) 複合ウェブを形成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3666598A (en) Apparatus for making a rolling lobe diaphragm
CS270568B2 (en) Method of intermediate product production from first stage of radial tyre building
KR102339552B1 (ko) 콤바인 덕트관 무인 자동화 생산시스템
US4113546A (en) Apparatus for producing tubes by helically winding sheets
CA2548267A1 (en) Method and device for applying a reinforcement to a plastic pipe by way of a wrap welding process
ITUB20150273A1 (it) Macchina di formatura di un corpo cavo, in particolare un involucro di un motore a propellente solido, e testa di deposito per tale macchina di formatura
KR102249778B1 (ko) Cd 전선관 자동 권취장치용 cd 전선관 이송장치
IT9003473A1 (it) Metodo per la sostituzione di materiale in nastro in una macchina operatrice
FI56502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tillfoersel av armeringstraod vid framstaellning av en roerprodukt
JPS5881151A (ja) ラジアルタイヤのカ−カスバンド製造方法
ITPI20110082A1 (it) Apparecchiatura per eseguire una giunzione di testa tra corpi tubolari
NL1016404C2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ervaardigen van ge´soleerde buis.
CN2721278Y (zh) 一种15°~70°钢丝帘布裁断机
CN107662332B (zh) 一种卷筒料封膜机
JP4315578B2 (ja) コーティング用ゴムの逃がし機構、押出機及び裁断トレーン
BR0318617B1 (pt) Processo para produzir um produto semi-acabado para fabricar pneus para rodas de veículos, método para produzir pneus para veículo, aparelho para produzir um produto semi-acabado, e, instalação para produzir pneus de veículo
JPS62264173A (ja) 管の自動巻取結束機
KR100998157B1 (ko) 연속적 시트 권취기 및 권취 방법
CN114311763B (zh) 一种纤维筋材生产线及其生产方法
IT201800003240A1 (it) Convogliatore per trasportare rotoli di membrana a base di bitu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