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3043A -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3043A
KR20200143043A KR1020190070842A KR20190070842A KR20200143043A KR 20200143043 A KR20200143043 A KR 20200143043A KR 1020190070842 A KR1020190070842 A KR 1020190070842A KR 20190070842 A KR20190070842 A KR 20190070842A KR 20200143043 A KR20200143043 A KR 20200143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acrylate
meth
polarizer
protect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욱
권송아
권윤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070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3043A/ko
Publication of KR20200143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0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SAME}
본 명세서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은 보호 필름을 편광자에 접합하기 위한 용도로 접착제층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높은 유리전이온도(Tg)와 고온 모듈러스(Modulus)값을 얻기 위하여, 접착제층 조성으로서 대부분 양이온 에폭시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상기 양이온 에폭시 조성물은 광산발생제로서 PF6 -이 포함된 물질을 사용하는데, 조성물의 경화 시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하여 PF6 -가 PF5로 변화되고, 상기 PF5는 고온, 고습한 조건에서 불산(HF)을 형성하게 된다.
편광판은 알루미늄 프레임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용도에서는 상기 불산(HF)이 알루미늄 프레임을 부식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알루미늄 프레임을 부식시키지 않는 편광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7-0076318 A
일반적으로, 편광판 접착제 조성물로서는 광양이온 에폭시 화합물이 포함되고, 양이온계 광산발생제로 PF6 -이 포함된 광산발생제를 사용한다. 상기 PF6 -이 포함된 광산발생제는 우수한 광경화 성능을 갖지만, 알루미늄 프레임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의 다른 부재에 대한 내부식성은 충분하지 못하였다. 즉, 알루미늄 성분은 포함하는 광학 부재에 접합될 경우 알루미늄 성분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에 대한 높은 내부식성이 요구된다.
이것은, 편광판을 실제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하여 고온 고습한 조건에 노출할 경우 광산발생제에 의해 접착제층에 함유되었던 PF6 -가 불산(HF)로 변화하게 되고, 이 불산에 의해 알루미늄(Al)이 쉽게 이온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에 대한 내부식성이 우수한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는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구비된 보호 필름; 및 상기 편광자와 상기 보호 필름 사이에 각각 구비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으로서,
60℃의 온도 및 상대 습도 90%의 챔버의 순수 용액에 침지하고 72시간 방치하는 추출 조건 하에서,
상기 순수 용액의 질량(kg) 및 상기 편광판의 질량(g)에 대한 불산(HF)의 검출량(mg)이 50 mg/(kg·g) 이하인 것인 편광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술한 편광판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편광판은 광학 부재, 특히 알루미늄 성분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에 대한 내부식성이 우수하다. 또한, 자외선이 조사되는 제조 과정 또는 고온 고습한 환경의 사용 환경에서 화상 표시 장치의 다른 광학 부재에 대한 내부식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의 예시적인 적층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알루미늄 변색이 되는 것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박리력 평가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구비된 보호 필름; 및 상기 편광자와 상기 보호 필름 사이에 각각 구비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으로서,
60℃의 온도 및 상대 습도 90%의 챔버의 순수 용액에 침지하고 72시간 방치하는 추출 조건 하에서,
상기 순수 용액의 질량(kg) 및 상기 편광판의 질량(g)에 대한 불산(HF)의 검출량(mg)이 50 mg/(kg·g) 이하인 것인 편광판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 조건"은 편광판이 고온 및 고습 환경에서 방치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방치 시간은 72 시간일 수 있다. 상기 고온 및 고습 환경 하에서 아래 화학식에 의하여 광산발생제에 포함된 플루오로포스페이트 음이온(PF6 -)이 불산(HF)으로 변하게 되고, 불산이 순수 속에 추출되게 된다.
Figure pat00001
상기 불산의 검출량의 수치가 낮다는 것은, 불산의 발생량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수치 범위는 순수 용액의 질량(kg) 및 편광판의 질량(g)에 대한 불산(HF)의 검출량(mg)이 60 mg/(kg·g)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mg/(kg·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mg/(kg·g)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편광판을 알루미늄 성분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에 적용할 때, 고온 및 가습 조건 하에서 접착제층으로부터 발생된 불산의 영향으로, 상기 알루미늄 성분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가 쉽게 부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불산의 발생량을 제어하여 상술한 광학 부재의 부식 문제를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상기 불산의 검출량은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이온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이온크로마토그래피의 측정 방법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불산의 검출량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먼저 시험용 편광판 시편을 제작한다. 예를 들어, 편광자의 일면에 접착제층을 매개로 보호 필름을 적층하여 시편을 제작할 수 있다. 단, 편광자 대신에 일반적인 투명 기재가 사용될 수 있고, 보호 필름 대신에 박리용 시트가 접착제층에 접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 시편을 온도 60℃의 순수 용액(증류수)에서 72 시간 동안 보관하여 불산의 검출을 유도한다. 즉, 상기 순수 용액에 불산가 추출되게 되고, 불산이 추출된 증류수를 '추출액'이라고 명명한다.
이후, 이온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상기 추출액 내의 불산의 양(단위:mg)을 측정하고, 시험편에서의 순수 용액의 질량 및 편광판의 질량에 대한 불산의 양(mg/kg)을 산출한다. 이를 편광판의 무게(g)로 나누는데, 예를 들어 편광판의 무게를 2g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온크로마토그래피의 측정 조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하기 조건을 사용할 수 있다.
- 이온크로마토그래피의 측정 조건
분석 장치: ICS-3000(Thermo Fisher Scientific사 제품)
분리 칼럼: Ion Pac AS18
가드 칼럼: Ion Pac AG18
검출기: 전기 전도도 검출기(Suppressed Conductivity Detector)
용리액: KOH 용액(30.5 mM)
용리액 유량: 1mL/min
용리액 주입량: 25ul
상기 접착제층은 경화성 성분, 광산발생제 및 라디칼 개시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이 경화되면서 편광자와 보호 필름이 서로 접합하게 된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은 α선, β선, γ선, 중성자선, 전자선 등의 전리성 방사선 또는 자외선 등이 있으나, 특히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양이온 경화형 또는 라디칼 경화형 조성물일 수 있으며, 상기 경화성 성분은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양이온 중합 또는 라디칼 중합을 일으켜 경화할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상기 경화성 성분의 중합 경화에 의해 접착력이 발현된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이 라디칼 경화 방법 또는 양이온 경화 방법 둘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도 경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두가지 방법 중 어떤 방법으로도 경화가 될 수 있는 조성물을 "하이브리드(hybrid) 경화형 조성물"이라고 한다.
상기 경화성 성분은 에폭시 화합물, 옥세탄 화합물 및 아크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조성물의 경화 후의 열팽창계수를 낮추어 주기 위한 것으로서,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 방향족 에폭시 화합물, 수소화 에폭시 화합물 또는 에폭시기 함유 (메트)아크릴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은 지환족 에폭시 고리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으로서, 에폭시기가 지방족 고리를 구성하는 인접하는 2개의 탄소 원자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디시클로펜타디엔디옥사이드, 리모넨디옥사이드, 4-비닐시클로헥센디옥사이드, 2,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디시클로펜타디엔디옥사이드, 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조성물의 경화 후의 열팽창계수를 낮추어 주고,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접착제층의 강도(hardness)를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복실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의 예시로서는 노볼락 에폭시, 비스페놀 A 계 에폭시, 비스페놀 F 계 에폭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1,4-부탄디올디글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디글시딜에테르, 레조시놀디글리시딜에테르, 디에틸렌글라이콜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라이콜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n-부틸 글리시딜 에테르, 2-에틸헥실 글리시딜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에폭시 화합물은,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를 포함하는 에폭시 화합물을 의미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에테르, 4,4'-메틸렌디페놀 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F의 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S의 디글리시딜에테르와 같은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페놀노볼락 에폭시 수지, 크레졸노볼락 에폭시 수지, 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페놀노볼락 에폭시 수지와 같은 노볼락형의 에폭시 수지; 테트라히드록시페닐 메탄의 글리시딜에테르,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의 글리시딜에테르, 에폭시화폴리비닐페놀과 같은 다관능형의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소화 에폭시 화합물은, 상기 방향족 에폭시 화합물을 촉매의 존재하에 가압 하에서 선택적으로 수소화 반응을 행함으로써 얻어지는 에폭시 화합물을 의미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그 중에서도 특히 수소화한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에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폭시기 함유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은, 분자 내에 에폭시기와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모두 포함하는 화합물을 의미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2-메틸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부틸아크릴레이트, 6,7-에폭시헵틸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2-메틸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3,4-에폭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6,7-에폭시헵틸메타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옥세탄 화합물은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옥세타닐기를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다양한 옥세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상기 옥세탄 화합물로는, 3-에틸-3-〔(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메틸〕옥세탄, 1,4-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메틸〕벤젠, 1,4-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벤젠, 1,3-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벤젠, 1,2-비스〔(3-에틸 옥세탄-3-일)메톡시〕벤젠, 4,4'-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비페닐, 2,2'-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비페닐, 3,3',5,5'-테트라메틸-4,4'-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비페닐, 2,7-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나프탈렌, 비스〔4-{(3-에틸옥세탄-3-일)메톡시}페닐〕메탄, 비스〔2-{(3-에틸옥세탄-3-일)메톡시}페닐〕메탄, 2,2-비스〔4-{(3-에틸옥세탄-3-일)메톡시}페닐〕프로판, 노볼락형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의 3-클로로메틸-3-에틸옥세탄에 의한 에테르화 변성물, 3(4),8(9)-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메틸〕-트리시클로[5.2.1.0 2,6 ]데칸, 2,3-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메틸〕노르보르난, 1,1,1-트리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메틸〕프로판, 1-부톡시-2,2-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메틸〕부탄, 1,2-비스〔{2-(3-에틸옥세탄-3-일)메톡시}에틸티오〕에탄, 비스〔{4-(3-에틸옥세탄-3-일)메틸티오}페닐〕술피드, 1,6-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2,2,3,3,4,4,5,5-옥타플루오로헥산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은 단관능 아크릴계 화합물, 및 다관능 아크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을 포함한다. 여기서, 아크릴계 화합물은 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화합물뿐만 아니라, 메타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단관능 아크릴계 화합물은 분자 내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1개 포함한다.
상기 다관능 아크릴계 화합물은 분자 내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2개 이상, 구체적으로 2 내지 6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관능 아크릴계 화합물 및 다관능 아크릴계 화합물은 분자 내 1 개 이상의 친수성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친수성기는 수산기, 포스페이트기, 또는 카르복시기일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친수성기를 포함하는 단관능 아크릴계 화합물은 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단관능 아크릴계 화합물은 페녹시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2-페닐티오-1-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6-(4,6-디브로모-2-이소프로필 페녹시)-1-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6-(4,6-디브로모-2-sec-부틸 페녹시)-1-헥실 (메타) 아크릴레이트, 2,6-디브로모-4-노닐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 2,6-디브로모-4-도데실 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 2-(1-나프틸옥시)-1-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2-나프틸옥시)-1-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1-나프틸옥시)-1-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6-(2-나프틸옥시)-1-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8-(1-나프틸옥시)-1-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4-tert-부틸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8-(2-나프틸옥시)-1-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타)아크릴레이트(isobornyl (meth)acrylate),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노르보나닐(norbornanyl) (메타)아크릴레이트, 노르보네닐(norbornenyl)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디에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티닐시클로헥산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티닐시클로헥센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티닐데카히드로나프탈렌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1-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닐옥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사이클로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닐옥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3-디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관능 아크릴계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데칸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노난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아디페이트(neopentylglycol adipate)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hydroxyl puivalic acid)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dicyclopentanyl)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타)아크릴록시 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알릴(allyl)화 시클로헥실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롤 디시클로펜탄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헥사히드로프탈산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프로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아다만탄(adamantane) 디(메타)아크릴레이트,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fluorine) 또는 2-(5-((부타-1,3-디엔-2-일옥시)메틸-5-에틸-1,3-디옥산-2-일)2-메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3'-(4,4'-(propane-2,2-diyl)bis(4,1-phenylene))bis(oxy)bis(2-hydroxypropane-3,1-diyl) di(meth)acrylate, 3,3'-(4,4'-(propane-2,2-diyl)bis(4,1-phenylene))bis(oxy)bis(2-hydroxypropane-3,1-diyl) di(meth)acrylate 및 3,3'-(2,2-dimethylpropane-1,3-diyl)bis(oxy)bis(2-hydroxypropane-3,1-diyl) di(meth)acrylate 등의 2관능 아크릴계 화합물;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드 변성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3 관능형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스(메타)아크릴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3관능 아크릴계 화합물; 디글리세린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 아크릴계 화합물;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5관능 아크릴계 화합물; 및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예컨대, 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 및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의 반응물), 등의 6관능 아크릴계 화합물을 포함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실란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란 화합물은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실란 화합물일 수 있다. 이 경우,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 시 실란 화합물에 의한 경화 정도가 조절되어 보호 필름과 편광자에 대한 접착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실란 화합물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비닐클로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p-스티릴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트리에톡시실릴-N-(1,3-디메틸부틸리덴)프로필아민,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스(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설파이드, 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산발생제는 상기 경화성 성분을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한 중합으로 경화시켜 접착제층을 형성한다. 상기 광산발생제는 자외선의 조사에 루이스 산을 발생시켜 경화성 성분의 중합 반응을 개시시키는 것이다. 상기 광산발생제는 상기 양이온 경화성 성분에 혼합되더라도 보존 안정성과 작업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상기 광산발생제가 불소 원자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산발생제는 플루오로포스페이트 음이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양이온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광산발생제의 종류는 불소 원자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벤젠디아조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벤젠디아조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벤젠디아조늄 헥사플루오로보레이트, 디페닐요오도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디페닐요오도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디페닐요오도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디(4-노닐페닐)요오도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트리페닐술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트리페닐술포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트리페닐술포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4,4'-비스[디페닐술포니오]디페닐술피드 비스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4'-비스[디(β-히드록시에톡시)페닐술포니오]디페닐술피드 비스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4'-비스[디(β히드록시에톡시)페닐술포니오]디페닐술피드 비스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7-[디(p-톨루일)술포니오]-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페닐카보닐-4'-디페닐술포니오-디페닐술피드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p-tert-부틸페닐카보닐)-4'-디페닐술포니오-디페닐술피드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p-tert-부틸페닐카보닐)-4'-디(p-톨루일)술포니오-디페닐술피드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가 있다.
상기 광산발생제의 함량이 상기 경화성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라디칼 개시제를 포함한다.
상기 라디칼 개시제의 함량이 상기 경화성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에서 상기 라디칼 개시제가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경화속도 및 경화도가 떨어져 접착력 및 물리적 물성이 부족해지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너무 빠른 경화속도로 접착제 조성물의 이동성을 떨어뜨려 느린 경화속도를 가진 다른 반응들을 방해하여 접착력이 낮아지게 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라디칼 개시제는, 라디칼 중합성을 촉진하여 경화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라디칼 개시제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라디칼 개시제들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라디칼 개시제는, 예를 들면,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판온(2-Hydroxy-2-methyl-1-phenyl-1-propanone), 2-히드록시-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메틸-1-프로판온(2-Hydroxy-1-[4-(2-hydroxyethoxy) phenyl]-2-methyl-1-propanone), 메틸벤조일포르메이트(Methylbenzoylformate), 옥시-페닐-아세트산-2-[2-옥소-2-페닐-아세톡시-에톡시]-에틸 에스테르(oxy-phenyl-acetic acid -2-[2 oxo-2phenyl-acetoxy-ethoxy]-ethyl ester), 옥시-페닐-아세트산-2-[2-하이드록시-에톡시]-에틸 에스테르(oxy-phenyl-acetic acid-2-[2-hydroxy-ethoxy]-ethyl ester), 알파-디메톡시-알파-페닐아세토페논(alpha-dimethoxy-alpha-phenylacetophenone), 2-벤질-2-(디메틸아미노)1-[4-(4-모르폴리닐) 페닐]-1-부타논(2-Benzyl-2-(dimethylamino)-1-[4-(4-morpholinyl) phenyl]-1-butanone), 2-메틸-1-[4-(메틸티오)페닐]-2-(4-모르폴리닐)-1-프로판온(2-Methyl-1-[4-(methylthio)phenyl] -2-(4-morpholinyl)-1-propanone), 디페닐 (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사이드(Diphenyl (2,4,6-trimethylbenzoyl)-phosphine oxide), 포스핀 옥사이드(Phosphine oxide), 페닐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phenylbis(2,4,6-trimethylbenzoyl)-phosphineoxide)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페닐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phenylbis(2,4,6-trimethylbenzoyl)-phosphineoxide)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광증감제를 포함한다
상기 광증감제의 함량이 상기 경화성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중량부일 수 있다. 광증감제가 상기 함량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접착제의 경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접착력 및 내수성 등의 접착성능을 우수하게 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광증감제는 예를 들면, 카르보닐 화합물, 유기 황화합물, 과황화물, 레독스계 화합물, 아조 및 디아조 화합물, 안트라센계 화합물, 할로겐 화합물, 광환원성 색소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는 0 초과 20㎛ 이하, 0 초과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또는 0.1 내지 5㎛정도인 것이 좋다. 접착제층 두께가 너무 얇은 경우에는 접착제층의 균일도 및 접착력 저하될 수 있으며, 접착층 두께가 너무 두꺼운 경우에는 편광판 외관이 주름이 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편광자는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편광자, 예를 들면, 요오드 또는 2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PVA)로 이루어진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염착시켜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편광자는 보호층(또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며, 편광판은 편광자와 보호층(또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2색성 색소로 염색하고, 그 2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2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 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 및 이들 공정이 실시되어 2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일축 연신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보호층을 접합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상기 일축 연신은 2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 전에 행할 수도 있고, 2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과 동시에 행할 수도 있고, 2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 후에 행할 수도 있다. 일축 연신을 2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 후에 행하는 경우, 이 일축 연신은 붕산 처리 전에 행할 수도 있고, 붕산 처리 중에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복수의 단계에서 일축 연신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축 연신을 하기 위해서는 주속이 서로 다른 롤 사이에서 일축으로 연신 할 수도 있고, 열 롤을 이용하여 일축으로 연신 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 중에서 연신을 행하는 건식 연신일 수도 있고, 용제에 의해 팽윤한 상태에서 연신을 행하는 습식 연신일 수도 있다. 연신 배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 4배 내지 8배 이다.
한편, 상기 편광자는 두께가 5㎛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2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편광자의 두께가 상기 수치 범위보다 얇으면 광학특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수치 범위보다 두꺼우면 저온(예를 들어, -30℃)에서의 편광자 수축량이 커져서 전체적인 편광판의 열에 관련한 내구성을 약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자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인 경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수지의 유도체로는 폴리비닐포르말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시판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예컨대, 구라레 사의 P30, PE30, PE60, 일본합성사의 M2000, M3000, M6000 등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중합도가 1,000 내지 10,000이 바람직하고, 1,500 내지 5,00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합도가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할 때, 분자의 움직임이 자유롭고,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 등과 유연하게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 재료로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단성, 등방성등이 뛰어나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셀룰로스다이아세테이트, 셀룰로스 트라이아세테이트 등의 셀룰로스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의 아크릴 수지, 폴리스타이렌이나 아크릴로나이트릴ㆍ스타이렌 공중합체(AS 수지) 등의 폴리스타이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ㆍ프로필렌 공중합체, 사이클로올레핀 폴리머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나일론이나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등의 폴리아마이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설폰 수지, 폴리에테르설폰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폴리비닐알코올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이들 수지의 블렌드물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셀룰로스와 지방산과의 에스터인 셀룰로스 수지, 사이클로올레핀 폴리머(CO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다. 셀룰로스 수지로서는 셀룰로스트라이아세테이트(TAC), 셀룰로스다이아세테이트, 셀룰로스트라이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스 다이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입수 용이성이나 비용의 관점에서 셀룰로스 트라이아세테이트, 사이클로올레핀 폴리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고, 입수 용이성이나 수분의 투과성의 관점을 고려하면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아크릴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보호 필름의 수분투과성이 높다면, 수분이 보호 필름을 투과해서 용이하게 편광자 측으로 들어가 버려, 편광자의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지만, 사이클로올레핀 폴리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아크릴 수지를 이용하면 그것을 유의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셀룰로스 트라이아세테이트는 비누화된 것도 사용할 수 있지만, 미비누화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가 0㎛ 초과 1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할 때, 접착 성능이 발현되면서도 광학 특성을 크게 해치지 않는다.
상기 접착제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프 소재 보호 필름 또는 시클로올레핀 소재 보호 필름에 대한 박리력이 100 gf/20mm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도 보호 필름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박리력의 측정 방법은 실험예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103)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층(102, 104)을 매개로 접착된 보호 필름(101, 105)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는 상술한 편광판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은 화상 표시 장치의 골격을 유지하며, 내부에 수납되는 각종 구성 요소를 보호한다. 상기 프레임은 강성 및 발열 특성이 좋은 금속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마그네슘 합금, 구리, 구리 합금, 및 전이 아연 도금 강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특히, 상기 프레임은 알루미늄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액정 패널, 플라즈마 패널 및 유기발광 패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및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LED)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액정 패널 및 이 액정 패널의 양면에 각각 구비된 편광판들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편광판 중 적어도 하나가 전술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포함되는 표시 패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그 종류에 제한되지 않고, TN(twisted nematic)형, STN(super twisted nematic)형, F(ferroelectic)형 또는 PD(polymer dispersed)형과 같은 수동 행렬 방식의 패널; 2단자형(two terminal) 또는 3단자형(three terminal)과 같은 능동 행렬 방식의 패널; 횡전계형(IPS; In Plane Switching) 패널 및 수직배향형(VA; Vertical Alignment) 패널 등의 공지의 패널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기타 구성, 예를 들면, 상부 및 하부 기판(예를 들어, 컬러 필터 기판 또는 어레이 기판) 등의 종류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구성이 제한 없이 채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 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가 아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예: 편광판 제조>
아래 표 1의 조성을 갖는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의 양면에 이를 도포하여 PET 보호 필름을 적층하였다. 이후, 보호 필름의 양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함으로써 편광자와 보호 필름을 접합하였다. 즉, 편광자의 양면에 접착제층을 매개로 보호 필름이 구비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구분 비교예 실시예
1 2 3 4 1 2 3 4
에폭시 화합물 A1 30 30 30 40 0 0 0 0
A2 40 20 30 30 0 0 0 0
옥세탄 화합물 B 20 40 30 20 0 0 0 0
실란 화합물 C 0 0 0 10 20 15 15 25
아크릴계 화합물 D1 10 0 0 0 0 15 15 10
D2 0 0 10 0 10 15 15 30
D3 0 10 0 0 40 20 20 15
D4 0 0 0 0 30 35 35 20
광산발생제 I1 2.5 0 0 0 2.5 0 0 0
I2 0 2.5 0 0 0 0 0 3.3
I3 0 0 2.5 1.25 0 2.5 2.5 0
라디칼 개시제 I4 0 0 0 0 1.5 1.5 1.5 1.5
광증감제 I5 1 1 1 1 1 1 1 1
에폭시 화합물
A1: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
CEL-20021P(3',4'-Epoxycyclohexane)methyl 3,4-epoxycyclohexylcarboxylate)
A2: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
LD-204(1,4-Cyclohexanedimetanol diglycidyl ether)
옥세탄 화합물
B: OXT-221(3-Ethyl-3[[(3-ethyloxetane-3-yl)methoxy]methyl] oxetane)
실란 화합물
C: KBM-403(3-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아크릴계 화합물
D1: A-NOD-N(1,9-Nonanediol diacrylate)
D2: HBA(Hydroxybutylacrylate)
D3: DPGDAG(Tripropyleneglycol diacrylate)
D4: Tris(2-hydroxyethyl)isocyanurate Triacrylate
광산 발생제
I1: CPI-100P(san-apro사 제조)
Figure pat00002
(양이온), PF6(음이온)
I2: Irgacure-250(BASF사 제조)
Figure pat00003

I3: IK-1(san-apro 사 제조)
Figure pat00004
(양이온), (Rf)nPF6-n (음이온)
라디칼 개시제
I4: TPO(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BASF사 제조)
광증감제
I5: ITX(isopropyl thioxanthone, IHT사 제조)
<실험예>
1. 불산 검출 함량 평가
상기 제조예의 편광판의 전체 무게가 2g이 되도록 가공하고, 불산 검출 함량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온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상기 추출액 내의 불산의 양(단위:mg)을 측정하고, 시험편에서의 순수 용액의 질량(kg) 및 편광판의 질량(g)에 대한 불산의 양(mg/kg·g)을 산출한다. 이온크로마토그래피의 측정 조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하기 조건을 사용할 수 있다.
이온크로마토그래피의 측정 조건
분석 장치: ICS-3000(Thermo Fisher Scientific사 제품)
분리 칼럼: Ion Pac AS18
가드 칼럼: Ion Pac AG18
검출기: 전기 전도도 검출기(Suppressed Conductivity Detector)
용리액: KOH 용액(30.5 mM)
용리액 유량: 1mL/min
용리액 주입량: 25ul
순수 용액의 질량(kg) 및 편광판의 질량(g)에 대한 불산(HF)의 검출량(mg)를 계산하여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2. 알루미늄 프레임 변색 평가
상기 제조예의 편광판을 알루미늄 프레임에 부착한 후, 고온 고습(60℃, RH 90%) 환경 하에서 72 시간 동안 방치하고, 알루미늄 프레임에 부착된 편광판을 제거하여 변색 여부를 관찰하였다. 변색이 되었는 지 여부는, 알루미늄 프레임의 편광판 박리면이 흰색으로 변색된 것으로부터 판단하였다.
변색이 된 것을 NG, 변색이 되지 않은 것을 OK로 표시하여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도 3의 상단이 OK로 표시된 편광판을, 도 3의 하단이 NG로 표시된 편광판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3. 보호 필름 박리력 평가
미리 준비된 편광자(LG CHEM 제조)의 양면에 상기 제조된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박리용 보호 필름(COP 필름)을 적층하였다. 이후, 조사량(적산 광량)이 2,000mJ/cm2이 되도록, 파장 365nm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편광자와 박리용 보호 필름을 서로 접착시켰으며, 폭 2cm * 길이 15cm의 크기로 재단하여 편광판 샘플을 제조하였다.
도 4과 같이, 상기 박리용 보호 필름을 박리 속도 0.5cm/sec의 박리 속도 및 90도의 박리 각도로 3cm 이상 박리하였으며, 이때의 박리력을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상기 박리력 측정시 XT Plus Texture Analyzer(TA사 제조)를 사용하였다. 상기 박리력이 100 gf/20mm 이상인 것을 OK로 표시하였다.
구분 비교예 실시예
1 2 3 4 1 2 3 4
불산 검출 함량
(mg/kg·g)
205 185 120 70 25 15 7.5 35
알루미늄 프레임 변색 평가 NG NG NG NG OK OK OK OK
보호 필름 박리력 평가 OK OK OK OK OK OK OK OK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은 보호 필름에 대한 박리력이 우수하면서도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도 불산의 검출이 억제되므로,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 시 알루미늄 프레임의 변색을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1)

  1.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구비된 보호 필름; 및 상기 편광자와 상기 보호 필름 사이에 각각 구비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으로서,
    60℃의 온도 및 상대 습도 90%의 챔버의 순수 용액에 침지하고 72시간 방치하는 추출 조건 하에서,
    상기 순수 용액의 질량(kg) 및 상기 편광판의 질량(g)에 대한 불산(HF)의 검출량(mg)이 50 mg/(kg·g) 이하인 것인 편광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이 경화성 성분, 광산발생제 및 라디칼개시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성분은 에폭시 화합물, 옥세탄 화합물 및 아크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인 편광판.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산발생제가 불소 원자를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산발생제가 플루오로포스페이트 음이온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산발생제의 함량이 상기 경화성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인 것인 편광판.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이 실란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실란 화합물은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실란 화합물인 것인 편광판.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가 0㎛ 초과 20㎛ 이하의 범위 내인 편광판.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프 소재 보호 필름 또는 시클로올레핀 소재 보호 필름에 대한 박리력이 100 gf/20mm 이상인 것인 편광판.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190070842A 2019-06-14 2019-06-14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202001430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842A KR20200143043A (ko) 2019-06-14 2019-06-14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842A KR20200143043A (ko) 2019-06-14 2019-06-14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043A true KR20200143043A (ko) 2020-12-23

Family

ID=74089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842A KR20200143043A (ko) 2019-06-14 2019-06-14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304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6318A (ko) 2006-01-18 2007-07-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의 제조 방법, 그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화상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6318A (ko) 2006-01-18 2007-07-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의 제조 방법, 그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화상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39358A1 (ja) 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7071786B2 (ja) 積層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積層光学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ならびに易接着処理樹脂フィルム
KR101653416B1 (ko) 편광판, 광학 부재 및 액정 표시 장치
JP5855947B2 (ja) 光硬化性接着剤、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積層光学部材
KR101630938B1 (ko) 편광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TWI537617B (zh) 偏光板、光學組件及液晶顯示裝置
TWI708682B (zh) 積層光學薄膜之製造方法
KR20180013769A (ko) 광학 적층체
JP2013160775A (ja) 偏光板及び光学部材
CN106569297B (zh) 偏振板
JP2014137477A (ja) 偏光板
CN112334799B (zh) 起偏镜、偏振膜、光学膜、以及图像显示装置
JP2016118779A (ja) 光硬化性接着剤、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積層光学部材
KR102403282B1 (ko)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KR20200066222A (ko) 광경화성 접착제, 편광판 및 적층 광학 부재
CN108693587B (zh) 光学层叠体
KR102181860B1 (ko)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CN112088324B (zh) 偏光板、用于制造其的方法和包括其的图像显示装置
KR20200143043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CN106569296B (zh) 偏振板
KR102103619B1 (ko)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보호필름 및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2375634B1 (ko)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장치
KR102050620B1 (ko)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CN112334798B (zh) 起偏镜、偏振膜、光学膜、以及图像显示装置
KR102051173B1 (ko)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