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909A -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 - Google Patents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2909A
KR20200142909A KR1020190070414A KR20190070414A KR20200142909A KR 20200142909 A KR20200142909 A KR 20200142909A KR 1020190070414 A KR1020190070414 A KR 1020190070414A KR 20190070414 A KR20190070414 A KR 20190070414A KR 20200142909 A KR20200142909 A KR 20200142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touch pad
sub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6953B1 (ko
Inventor
현의섭
정태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엘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엘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엘디
Priority to KR1020190070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953B1/ko
Priority to US17/596,562 priority patent/US11513559B2/en
Priority to JP2021574336A priority patent/JP7417016B2/ja
Priority to CN202080044083.8A priority patent/CN114080581B/zh
Priority to PCT/KR2020/007644 priority patent/WO2020251300A1/ko
Priority to EP20821619.2A priority patent/EP3985478A4/en
Publication of KR20200142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changing, e.g. reversing, the face orientation of the screen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e.g. for folding into tablet PC like position or orienting toward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user to show to a second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06F1/169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the I/O peripheral being a secondary touch screen used as control interface, e.g. virtual buttons or sli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G06F3/0213Arrangements provid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in a keyboard, e.g. trackball, mini-joysti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크기의 세로폭을 갖는 메인 모니터(210)와, 일측에 메인 모니터(210)를 폴딩하도록 형성된 제1힌지부(221)와, 제1힌지부(221)와 이격되어 상판 하단에 배열 형성된 키보드(222)가 형성된 본체(220)와, 제1크기의 세로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2크기의 세로폭을 갖고, 키보드(222)에 인접하여 본체(220)의 상판 상단에 형성된 제2힌지부(231)를 기준으로 일정 경사각도로 승강하는 폴더형태의 서브 모니터(230)를 포함하여, 메인 모니터(210)와 서브 모니터(230)를 통해, 화면을 분할하여 상이한 UI를 각각 제공할 수 있는,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Notebook having Vertically Arranged Dual Monitor}
본 발명은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니터에 표출되는 화면의 효율적 운용을 위하여 기존의 모니터에 별도의 서브 모니터를 제공할 수 있는,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문화와 문명 발달의 이기로서 컴퓨터 또는 TV와 같은 기기들의 화상운용에 따른 편의를 제공받고 의지하는 것이 일상화되는 현실에서 모니터에 표출되는 화면의 컨텐츠는 점점 다양한 형태와 다량으로 제공되고 있는 추세임을 감안할 때 기존 모니터의 제한된 면적으로는 화면의 컨텐츠 제공자측면에서는 컨텐츠 제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원하는 형식과 양만큼의 컨텐츠를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입장에서도 제한된 면적을 통해 제공된 다중의 화면들이 중첩되고 분할 축소됨으로 인하여 화면 운용의 불편과 비효율을 감수해야 하는 현실이다.
이에, 이와 같은 기존 모니터에 화면 컨텐츠를 표출하는 데 있어서 제한된 양과 형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서브 모니터를 제공함으로써 모니터상의 효율적인 화면운용에 기여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편, 기존의 노트북의 구조와 형태를 유지하면서 추가의 서브 모니터를 제공한다면 추가의 서브 모니터 설치로 인해 기기는 두께가 두꺼워지며 중량도 증가할 것이므로 이는 포터블의 일체형기기로서 경량과 슬림화의 추세에 역행하는 것이 되므로 추가의 서브 모니터를 제공한다 하여도 기존의 슬림화가 유지되고 중량이 증가하지 않는 것이 필수적인 요건으로 전제되어야 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796683호(양방향 듀얼모니터 구현을 위한 회동힌지를 구비한 노트북, 2017.11.10)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440315호(보조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 및 그 노트북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2014.10.02)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경량화 및 슬림화를 구현하면서도 보조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서브 모니터를 구현하고, 서브 모니터를 설치공간확보를 위해 터치패드를 대체할 수 있는 마우스모듈 또는 터치키보드를 구현할 수 있는,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크기의 세로폭을 갖는 메인 모니터; 일측에 상기 메인 모니터를 폴딩하도록 형성된 제1힌지부와, 상기 제1힌지부와 이격되어 상판 하단에 배열 형성된 키보드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제1크기의 세로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2크기의 세로폭을 갖고, 상기 키보드에 인접하여 상기 본체의 상판 상단에 형성된 제2힌지부를 기준으로 일정 경사각도로 승강하는 폴더형태의 서브 모니터;를 포함하여, 상기 메인 모니터와 상기 서브 모니터를 통해, 화면을 분할하여 상이한 UI를 각각 제공하는,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키보드의 방향키를 대체하여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을 장착하여 배치하거나,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을 마우스형태로 구성하여 상기 서브 모니터의 일측 하단에 내장되어 보관되도록 하되, 상기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은, 좌표를 인식하여 포인팅을 수행하는 원판형상의 터치패드; 상기 터치패드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터치패드의 상부를 원형의 센터터치패드와 사이드터치패드로 분할하는 링형상의 제1분할경계막과, 상기 사이드터치패드를 호형상으로 개별분할하는 직선형상의 제2분할경계막으로 구성되는, 분할경계막; 중앙영역에 터치패드 배선라인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터치패드 상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터치패드를 수용하면서 외곽영역은 분할되어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가압에 의해 사이드버튼기능을 수행하는 해당 사이드버튼; 중앙영역에 상기 터치패드 배선라인이 연결되는 터치패드 FPCB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버튼에 상응하여 외곽영역에 방사상 형태로 배열되어 상기 사이드버튼의 가압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2개 이상의 사이드버튼접점이 각각 형성된 FPCB; 및 상기 분할경계막과 상기 터치패드와 상기 사이드버튼과 상기 FPCB가 내측에 순차적으로 적층 수용되는 상부/하부하우징을 포함하여, 근거리포인팅시, 상기 센터터치패드에 의해 단독 수행하도록 하고, 원거리포인팅시, 상기 센터터치패드와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조합에 의해 병행 수행하도록 하되, 원거리포인팅은 상기 센터터치패드의 터치를 시작하여 상기 해당 사이드터치패드에 도달할 때의 터치반응감도를 기억하게 하고,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에 도달하여 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는 반복 터치하지 않아도 상기 터치반응감도대로 이동이 계속되도록 하여, 원하는 포인팅좌표에 도달하여 터치를 떼면 원하는 포인팅좌표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하도록 하여서, 상기 터치패드의 극소면적으로 원하는 만큼의 무한대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우스형태의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은, 상기 서브 모니터 하단의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키보드와 연동하는 결합형 모듈로 구성되거나, 상기 서브 모니터 하단의 상기 본체의 일측면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키보드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구동하는 분리형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터치패드 및 상기 사이드버튼은 상기 제2분할경계막에 의해 동등간격으로 STU와 STD와 STL와 STR의 해당 사이드터치패드 및 SBU와 SBD와 SBL과 SBR의 해당 사이드버튼으로 각각 4분할되어 구성되며, 상기 센터터치패드, 상기 사이드터치패드 또는 상기 사이드버튼의 단독 또는 특정조합으로 그래픽컨트롤러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분할경계막은 0.5mm 내지 1.0mm의 높이로 설정되어, 경계를 인식할 수준의 높이로 설정되되, 상기 특정조합에 의한 연동시 터치하면서 경계를 쉽게 넘어갈 수준의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크기는 상기 제1크기의 35% 내지 45%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UI조작에 의해 주화면과 보조화면을 분할하여, 상기 메인 모니터와 상기 서브 모니터에 각각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메인 모니터에는 작업중인 주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서브 모니터에는 팝업광고 또는 프로그램 업데이트 알림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유튜브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메신저 또는 SNS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메인 모니터에는 문서작성툴 또는 개발툴 또는 이미지 편집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서브 모니터에는 해당 툴의 리본메뉴를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메인 모니터에는 화상회의 다중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서브 모니터에는 보조작업중인 보조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제공자에 의해 수정 및 변경되어 제공되는 UI를 주화면과 보조화면으로 분할하여서, 상기 메인 모니터와 상기 서브 모니터에 각각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메인 모니터에는 작업중인 주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서브 모니터에는 기동중인 프로그램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최근에 사용한 파일 또는 최근에 사용한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모니터에는 유튜브 전체화면모드로 유튜브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서브 모니터에는 재생할 유튜브영상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메인 모니터에는 스트리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서브 모니터에는 채팅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메인 모니터에는 프리젠테이션 프로그램의 슬라이쇼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서브 모니터에는 프리젠테이션 프로그램의 슬라이드 개요화면 또는 편집화면을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메인 모니터에는 웹쇼핑 홈 페이지의 검색결과 리스트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서브 모니터에는 검색결과 리스트에서 선택된 상품에 대한 상품상세 정보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보드는, 문자키캡과 기능키캡과 숫자키캡과 특수키캡과 방향키캡이 형성된 키캡부; 상기 키캡부의 해당 키캡의 하단에 각각 결합된 접점과 멤브레인 스위치로 구성된 구동회로부;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를 지지하는 지지대; 특정 형상으로 그룹핑된 다수의 상기 키캡의 상단에 각각 형성된 터치센서로 구성된 터치패드; 상기 터치패드의 양단에 인접하여 형성된 좌클릭키와 우클릭키; 및 상기 터치패드의 터치와 연동하여 커서를 이동시키고, 상기 클릭키의 가압에 의해 클릭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패드는 스페이스키캡을 기준으로 역삼각형 형태로 문자키캡까지 그룹핑되어 형성되며, 상기 클릭키는 상기 스페이스키캡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터치센서는, 상기 스페이스키캡과, 상기 문자키캡의 하단라인의 6개 키캡과, 중간라인의 7개 키캡과, 상단라인의 8개 키캡 상단에 각각 형성되어서, 키보드로서의 기본기능을 수행하면서 그래픽 컨트롤러로서의 터치패드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터치센서를 구비한 멀티기능 수행 터치 키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모니터를 상기 본체를 상하방향으로 폴딩하도록 형성된 제1힌지부의 하단에는 좌우 90° 또는 180°로 힌지회전하는 제3힌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면표출을 위한 추가의 서브 모니터를 제공한다는 것은 다양한 형태의 화면과 화면운용의 추가적 기능 제공에 있어 공간적 제한을 극복하게 하여 주는 것으로서 프로그램제공자에게는 환영할 만한 변화이며 이와 같이 서브 모니터가 제공되면 프로그램제공자는 효율적인 화면 배분을 모색하여 실제 제공된 모니터 크기보다 더 큰 모니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어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화면 운용의 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브 모니터가 제공되면 사용자는 프로그램제공자가 제공하는 효율적인 화면 배분의 혜택을 누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임의로 형태를 변화시키고 재배치할 수 있도록 제공된 화면의 경우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기호와 효율에 ??추어 화면을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터치패드를 제거하여 터치패드가 차지하였던 공간을 보조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서브 모니터가 위치하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고, 극소 면적과 초박형으로도 그래픽 콘트롤러로서 완벽한 수행이 가능함으로써 4차원 터치패드 모듈과 터치센서를 구비한 멀티기능 수행 터치 키보드가 기존 노트북의 터치패드를 대체함과 동시에 키보드의 극소 공간을 점유하여 배치됨으로써 보조화면제공을 위한 서브 모니터 설치공간확보의 해결책이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브 모니터의 제공이 프로그램제공자와 사용자 공히 혜택을 누린다는 것이 반론의 여지가 없다. 그러므로 화면의 운용을 위하여 듀얼모니터를제공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대세로서 표준화와 규격화로 자리잡게 될 것이며, 결국 프로그램제공자들도 이와 같은 대세로서의 표준 규격화된 비율의 듀얼모니터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화면과 기능들을 제공할 것으로 모니터 제공 양태 변화의 전기를 마련하여 시장을 재편하는 촉발제가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터치패드의 터치센서는 키보드 표면에 부착하여 기능을 수행하되 키보드 전체표면에 부착할 것이 아니라 운용의 효율성과 편리성 및 생산의 경제성을 고려하여 최소한 기존의 터치패드의 만큼의 면적을 제공하고, 기본형 키보드의 스페이스바를 시작으로 역삼각형 형태로 문자 키보드의 표면 부분까지 터치센서를 부착하여서, 그래픽 콘트롤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존의 마우스와 노트북의 터치패드를 대체함으로써 별도의 그래픽 콘트롤러를 구비하여 컴퓨터를 운용하는 불편을 배제하고 특별히 노트북의 경우에 있어서는 터치패드를 대체 제거함으로써 터치패드가 차지하였던 키보드 터치패드와 하단의 팜레스트가 차지하였던 공간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스페이스바를 분할하여 좌클릭키와 우클릭키를 각각 구성하여서, 마우스 또는 터치패드의 좌우클릭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의 단면도 및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의 서브 모니터의 폴딩동작을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의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의 적용을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의 사용예를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3의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을 분리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의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의 FPCB의 배선도 및 사이드버튼의 가압동작을 예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의 터치센서를 구비한 멀티기능 수행 터치 키보드의 적용을 예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8의 터치센서를 구비한 멀티기능 수행 터치 키보드의 사용예를 예시한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2의 듀얼모니터 노트북의 사용자의 UI조작에 의한 모니터 분할 사용을 각각 예시한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도 2의 듀얼모니터 노트북의 프로그램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UI에 의한 모니터 분할 사용을 각각 예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한 상하 배치된 폴딩타입의 듀얼모니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 및 도 18은 도 1의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의 메인 모니터의 회전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은, 전체적으로, 제1크기의 세로폭을 갖는 메인 모니터(210)와, 일측에 메인 모니터(210)를 폴딩하도록 형성된 제1힌지부(221)와, 제1힌지부(221)와 이격되어 상판 하단에 배열 형성된 키보드(222)가 형성된 본체(220)와, 제1크기의 세로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2크기의 세로폭을 갖고, 키보드(222)에 인접하여 본체(220)의 상판 상단에 형성된 제2힌지부(231)를 기준으로 일정 경사각도로 승강하는 폴더형태의 서브 모니터(230)를 포함하여, 메인 모니터(210)와 서브 모니터(230)를 통해, 화면을 분할하여 상이한 UI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가로폭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서브 모니터(230)의 제2크기는 메인 모니터(210)의 제1크기의 35% 내지 45%로, 바람직하게는 40%로 형성되어서, 서브 모니터(230)의 가독성과 활용성을 확보하면서 서브 모니터(230)로 인한 중량을 최소화하여 경량화를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효율과 편의에 의하여 사용시 서브 모니터(230)의 상단을 제2힌지부(231)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승시켜 일정각도로 경사진 형태로 추가작업 또는 보조작업을 위한 모니터로 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서브 모니터(230)에 의한 추가작업 또는 보조작업을 위한 모니터 운용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의 기호와 효율에 맞춘 UI조작에 의해 주화면과 보조화면을 분할하여, 메인 모니터(210)와 서브 모니터(220)에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임의로 형태를 변화시키고 재배치할 수 있도록 제공된 화면의 경우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기호와 효율에 맞추어 화면을 분할 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편의에 맞게 주화면을 메인 모니터(210)에 배치하고, 보조화면은 서브 모니터(220)에 분리하여 적절히 배치하여서, 화면의 운용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화면 운용 예시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의 (a) 내지 (c)를 참고하면, 메인 모니터(210)에는 작업중인 문서편집 또는 웹서핑의 주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모니터(220)에는 팝업광고(돌출광고)(a) 또는 프로그램 업데이트 알림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유튜브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b) 메신저 또는 SNS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c).
이에, 작업중에 예고없이 갑자기 나타나는 팝업광고와 프로그램 업데이트 알림의 돌출화면은, 작업중인 주화면을 가려서 최상위 화면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작업에 집중하고 싶은 사용자한테는 항상 불편과 불만의 대상이 된다. 그러므로 윈도우 작업표시줄을 보조화면으로 이동해서 표시해 두어서 모든 광고 및 돌출화면이 보조화면에 표시되어 불편과 불만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유튜브를 시청하면서 문서편집이나 웹서핑할 경우, 멀티 작업을 가능하게 하려면 양쪽의 윈도우가 모두 보이도록 화면을 분할해서 윈도우의 크기를 작게 조정해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와 같은 비효율과 불편을 극복하기 위하여 주화면에 문서편집이나 웹서핑 화면을 배치하고 보조화면에 유튜브를 재생하면 간단하게 멀티작업이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문서편집이나 웹서핑의 주작업을 하면서, 메신저(카카오톡, 라인, 페이스북메신저)나 SNS(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스마트폰에 연동되는 프로그램을 이용할 경우 화면이 겹치게 표시되므로 메시지확인 및 송신이 불편하다. 그러므로 주화면에서 문서편집이나 웹서핑 화면을 배치하고 보조화면에 메신저나 SNS 화면을 배치해서 사용하면 화면전환없이 메시지 확인이 가능하여 편리하게 동시작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a) 및 (b)를 참고하면, 메인 모니터(210)에는 문서작성툴 또는 개발툴 또는 이미지 편집툴을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모니터(220)에는 해당 툴의 리본메뉴를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a), 메인 모니터(210)에는 화상회의 다중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모니터(220)에는 보조작업중인 보조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이에,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복잡해짐에 따라 이를 수용하기 위해 문서작성툴과 개발툴과 이미지 편집툴의 기능은 다양해지고 다기능화되어 리본메뉴에 표시해야 할 아이콘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어서 메뉴를 표시하는 영역은 점점 넓어지고 작업을 하는 메인 모니터(210)의 활용가능 주화면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각 툴의 리본메뉴와 주작업 윈도우를 분리해서 주화면에 주작업 윈도우만 배치하고 보조화면에 리본메뉴를 배치하면 공간 활용이 극대화되어 주작업 윈도우를 최대 크기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상대와 전체화면모드로 화상회의 중에 회의에 필요한 보조자료를 검색한다든지 회의에 참고할 자료를 보면서 회의할 경우에, 보조화면에서 자료검색 및 참고자료를 실행하면 효율적인 화상회의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음,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제공자에 의해 수정 및 변경되어 제공되는 UI를 주화면과 보조화면으로 분할하여서, 메인 모니터(210)와 서브 모니터(220)에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임의로 UI의 수정과 변경 및 배치를 할 수 없는 경우로서 듀얼모니터의 화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회사가 애초에 듀얼모니터에 맞게 화면의 UI를 수정 및 변경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공간사용이 가능한 화면 운용 예시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의 (a) 및 (b)를 참고하면, 메인 모니터(210)에는 작업중인 주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모니터에는 기동중인 프로그램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a), 최근에 사용한 파일 또는 최근에 사용한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이에,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모니터(220)는 작업표시줄/[현재 기동되어 있는 프로그램 리스트] 표시영역으로 사용하는데, alt-tab 또는 win-tab 키를 입력하면 [현재 기동되어 있는 프로그램 리스트]가 표시되고, 리스트 중에서 프로그램을 선택해서 메인 윈도우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는데, [현재 기동되어 있는 프로그램 리스트]가 작업중인 메인윈도우 위에 표시된다는 단점이 있어서, 보조화면을 활용하여 [현재 기동되어 있는 프로그램 리스트]를 항상 표시해 두면, 필요한 프로그램으로의 전환이 한번의 동작으로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win-tab 키를 입력하면 [현재 기동되어 있는 프로그램 리스트]의 하단에 [현재까지 기동했던 프로그램 리스트]가 표시되고, 리스트 중에서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해당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메인윈도우로 표시할 수 있는데, [현재까지 기동했던 프로그램 리스트]가 작업중인 메인윈도우 위에 표시된다는 것과 win-tab 키를 누르고 아래로 이동해야 하는 두번의 동작 후에 리스트를 볼 수 있다는 단점이 있어서, 보조화면을 활용하여 [현재까지 기동했던 프로그램 리스트]를 항상 표시해 두면, 필요한 프로그램으로의 전환이 쉽게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메인 모니터(210)에는 유튜브 전체화면모드로 유튜브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모니터(220)에는 재생할 유튜브영상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도 13의 (a)), 메인 모니터(210)에는 스트리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모니터(220)에는 채팅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도 13의 (b)), 메인 모니터(210)에는 프리젠테이션 프로그램의 슬라이쇼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모니터(220)에는 프리젠테이션 프로그램의 슬라이드 개요화면 또는 편집화면을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도 14), 메인 모니터(210)에는 웹쇼핑 홈 페이지의 검색결과 리스트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모니터(220)에는 검색결과 리스트에서 선택된 상품에 대한 상품상세 정보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5).
이에, 유튜브를 전체화면모드로 시청하다가 다른 동영상을 보려면 전체화면모드를 종료해야 다른 동영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데, 주화면에 유튜브를 전체화면모드로 재생할 수 있게 하고 보조화면에서 재생할 리스트를 보면서 다음에 재생할 동영상을 선택하도록 하면 한번의 동작으로 다음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어서 편리해질 수 있다.
또한, 네트위크 게임 및 유튜브 방송은 공동의 목적을 가진 사용자들이 모여서 게임을 하거나 방송을 보면서 서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채팅을 하는데, 주로 화면의 한쪽에 채팅내용을 표시하여 게임화면의 일부분 또는 방송화면의 일부분에 표시하게 되는데, 유튜브의 경우 방송화면을 전체화면모드로 표시하면 채팅내용을 볼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네트위크 게임화면 또는 유튜브 방송화면에서 채팅화면을 분리해서 주화면에 게임화면이나 방송화면을 전체화면모드로 표시하더라도 보조화면에서 채팅내용을 볼 수 있어서 게임실행 및 유튜브 방송시청을 원활히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파워포인트에서 슬라이드를 편집하다가 슬라이드쇼 화면으로 이동하게 되면 슬라이드가 전체화면모드로 표시되므로, 슬라이드를 편집하거나 다른 슬라이드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전체화면모드로 표시된 슬라이드화면을 종료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러므로 주화면에 슬라이드쇼 화면을 항상 표시한 상태로 보조화면에 슬라이드개요화면이나 편집화면을 배치하여 표시하게 한다면, 슬라이드쇼 화면을 확인하면서 편집과 다른 슬라이드선택이 편리하게 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웹쇼핑 홈페이지는 상품검색을 한 후에 검색결과리스트 페이지에서 상품을 선택하면 상세정보 페이지화면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어서, 검색결과리스트 페이지와 상품상세정보 페이지를 앞으로 뒤로 이동하면서 쇼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러므로 주화면에 상품상세정보 페이지를 표시하고 보조화면에 검색결과리스트 페이지를 표시해서, 상품검색결과리스트에서 선택된 상품상세정보 페이지를 주화면에 표시하면 한번의 선택으로 상품상세정보 페이지를 볼 수 있게 되어 쇼핑의 편리성을 배가할 수 있다.
한편,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222)의 방향키(222a)를 대체하여 4차원 터치패드 모듈(100A)을 장착하여 배치하거나,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을 마우스형태(100B)로 구성하여 서브 모니터(230)의 일측 하단에 내장되어 보관되도록 하여서, 초박형과 초소형으로 그래픽 콘트롤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4차원 터치패드 모듈(100A)을 키보드에 장착 배치하거나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을 장착한 마우스(100B)를 제공하여 터치패드를 대체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차원 터치패드 모듈(100A)을 기존 노트북 키보드의 방향키(222a)가 배치되었던 위치에 탑재시키며 이때 4차원 터치패드 모듈(100A)은 그래픽 콘트롤러의 기능뿐만 아니라 방향키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도 3의 (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을 장착한 별도의 초박, 소형의 그래픽 콘트롤러인 마우스(100B)를 제작하여 서브 모니터(230) 아래에 내장시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마우스형태의 4차원 터치패드 모듈(100B)은, 서브 모니터(230) 하단의 본체(220)의 일측면에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키보드(222)와 연동하는 결합형 모듈로 구성되거나, 서브 모니터(230) 하단의 본체(220)의 일측면으로부터 인출되어 키보드(222)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구동하는 분리형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은, 구체적으로, 터치패드(110)와, 센터터치패드영역과 각 사이드터치패드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경계막(120)과,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의 가압에 의해 해당 사이드버튼기능을 수행하는 사이드버튼(130)과, 터치패드 FPCB 연결부(141) 및 사이드버튼접점(142)이 각각 형성된 FPCB(140)와, 상부/하부하우징(150,160)을 포함하여, 근거리포인팅시에는, 센터터치패드(111)에 의해 단독 수행하도록 하고, 원거리포인팅시에는, 센터터치패드(111)와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의 조합에 의해 병행 수행하도록 하되, 원거리포인팅은 센터터치패드(111)의 터치를 시작하여 해당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에 도달할 때의 터치반응감도를 기억하게 하고,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에 도달하여 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는 반복 터치하지 않아도 기억된 터치반응감도대로 이동이 계속되도록 하여, 원하는 포인팅좌표에 도달하여 터치를 떼면 원하는 포인팅좌표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하도록 하여서, 터치패드(110)의 극소면적으로도 원하는 만큼의 무한대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할 수 있다.
우선, 터치패드(110)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터치센서(미도시)의 터치에 의한 포인팅좌표를 인식하여 포인팅을 수행한다.
예컨대, 터치패드(110)는 근거리포인팅을 단독 수행하는 센터터치패드(111)와, 원거리포인팅과 터치패드의 다양한 기본기능 및 기존의 터치패드가 제공하지 않는 부가기능을 병행 수행하는 사이드터치패드(112a,b,c,d)로 분할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이드터치패드(112a,b,c,d)는 후술하는 제2분할경계막(122)에 의해 동등간격으로 STU(Side Touch Up)(112a)와 STD(Side Touch Down)(112b)와 STL(Side Touch Left)(112c)와 STR(Side Touch Right)(112d)의 해당 사이드터치패드로 각각 4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구체적으로, 원거리포인팅은 센터터치패드(111)에서 터치를 시작하여 해당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에 도달할 때의 터치반응감도를 기억하게 하고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에 도달하여 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는 반복 터치하지 않아도 기억된 터치반응감도대로 이동이 계속되도록 설계되어 원하는 포인팅좌표에 도달하여 터치를 떼면 원하는 포인팅좌표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센터터치패드(111)에서 시작하여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에 도달할 때의 터치반응감도를 기억하게 하고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에 터치가 지속되는 동안에 반복 터치하지 않아도 기억된 터치반응감도대로 무한대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정되어서, 기존터치패드와 비교되지 않는 극소면적으로도 원하는 만큼의 원거리포인팅을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음, 분할경계막(120)은, 터치패드(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터치패드(110)의 상부영역을 원형의 센터터치패드(111)와 외곽의 사이드터치패드(112a,b,c,d)로 분할하는 링형상의 제1분할경계막(121)과, 사이드터치패드(112a,b,c,d)를 호형상으로 균등하게 개별분할하는 직선형상의 제2분할경계막(12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분할경계막(120)은 0.5mm 내지 1.0mm의 높이로 설정되어, 센터터치패드(111)와 사이드터치패드(112a,b,c,d) 사이의 경계를 인식할 수준의 높이로 설정되되, 원거리포인팅을 위한 센터터치패드(111)와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의 특정조합에 의한 연동시 터치하면서 경계를 쉽게 넘어갈 수준의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분할경계막(120)은 터치패드(110)를 분할하여 다양하고 세분화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면서, 센터터치패드(111)와 각 사이드터치패드(112a,b,c,d)별로 설정된 선택적 기능의 경계를 넘어선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가락의 촉각으로 제1분할경계막(121)과 제2분할경계막(122)에 의한 물리적 경계를 쉽게 인식하도록 한다.
다음, 사이드버튼(130)은, 중앙영역에 터치패드 배선라인(113)이 관통하는 관통홀(131)이 형성되고, 터치패드(110) 상부가 노출되도록 터치패드(110)를 수용하는 하우징역할(A)을 하면서 외곽영역은 제2분할경계막(122)에 의해 분할되어 해당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의 가압에 의해 해당 사이드버튼기능(B)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사이드버튼(130)은 전술한 제2분할경계막(122)에 의해 동등간격으로 SBU(Side Button Up)(131a)와 SBD(Side Button Down)(131b)와 SBL(Side Button Left)(131c)과 SBR(Side Button Right)(131d)의 해당 사이드버튼으로 각각 4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센터터치패드(111), 사이드터치패드(112a,b,c,d) 또는 사이드버튼(130)의 단독으로 또는 특정조합으로 그래픽컨트롤러로서의 기본기능 및 부가기능의 다양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FPCB(140)는, 중앙영역에 터치패드 배선라인(113)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패드 FPCB 연결부(141)가 형성되고, 사이드버튼(130)에 상응하여 외곽영역에 방사상 형태로 배열되어 해당 사이드버튼(130)의 가압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2개 이상의 탄성적인 사이드버튼접점(142)이 각각 형성된다.
예컨대, SBU(131a)와 SBD(131b)와 SBL(131c)과 SBR(131d)의 사이드버튼(130)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4 사이드버튼접점(142a,b,c,d)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하나의 사이드버튼(SB;131a,b,c,d)의 가압(push)에 의해 대응하는 하나의 사이드버튼접점(SBCP;142a,b,c,d)이 통전되도록 하여 사이드버튼(SB)의 클릭과 더블클릭과 길게누름을 각각 인식하게 된다.
다음, 상부/하부하우징(150,160)은, 분할경계막(120)과 터치패드(110)와 사이드버튼(130)과 FPCB(140)가 내측에 순차적으로 적층 수용한다.
또한, 터치패드 배선라인(113)과 사이드버튼 배선라인(144)으로 구성된 회로라인(C)은 상부하우징(150) 또는 하부하우징(160)의 일측에 개구된 연결홈(미도시)을 통해 외부기기의 연결단자(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은 기존의 마우스와 터치패드의 장점을 융합함과 동시에 운용원리를 재설정함으로써 노트북에서 제공되는 기존의 터치패드의 면적도 사용자로서는 그다지 만족스러운 면적은 아니라 할 수 있는데도 4차원 터치패드 모듈에는 기존의 터치패드의 면적에 비하여 비교가 되지 않게 작은 면적의 터치패드가 구비되고 초박의 소형임에도 기존의 마우스나 터치패드와 같이 마우스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며 더불어 기존의 마우스나 터치패드가 제공하지 않는 새로운 기능도 부가 제공하여 효율성과 편리성을 배가 할 수 있다.
또한, 극소 면적과 초박형으로도 그래픽 콘트롤러로서 완벽한 수행이 가능함으로써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이 기존 노트북의 터치패드를 대체함과 동시에 키보드의 극소 공간을 점유하여 배치됨으로써 보조화면제공을 위한 서브 모니터 설치공간확보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의 터치센서를 구비한 멀티기능 수행 터치 키보드의 적용을 예시한 것이고, 도 9는 도 8의 터치센서를 구비한 멀티기능 수행 터치 키보드의 사용예를 예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터치센서를 구비한 멀티기능 수행 터치 키보드는, 키캡부(410)와, 구동회로부(미도시)와, 지지대(미도시)와, 특정 형상으로 그룹핑된 다수의 키캡(411)의 상단에 각각 형성된 터치센서로 구성된 터치패드(430)와, 터치패드(430)의 양단에 인접하여 형성된 좌클릭키(441)와 우클릭키(442)와, 터치패드(430)의 터치와 연동하여 커서를 이동시키고, 클릭키의 가압에 의해 클릭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키보드로서의 기본기능을 수행하면서 그래픽 컨트롤러로서의 터치패드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우선, 키캡부(410)는, 적용되는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 또는 울트라북의 컴퓨터의 종류와, 86키 또는 101키 또는 103키 또는 106키의 다양한 자판규격에 따라, 상이하게 배열되는 문자키캡과 기능키캡과 숫자키캡과 특수키캡과 방향키캡으로 구성된다.
다음, 구동회로부는, 키캡부(410)의 해당 키캡(411)의 하단에 각각 결합된 접점과 멤브레인 스위치로 구성되되, 멤브레인방식 또는 무접점방식 또는 기계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상응하여, 지지대가 멤브레인 스위치를 지지할 수 있다.
다음, 터치패드(430)는, 특정 형상으로 그룹핑된 다수의 키캡(411)의 상단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터치센서로 구성된다.
여기서, 터치패드(430)는 스페이스키캡(443)을 기준으로 역삼각형 형태로 문자키캡까지 그룹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터치센서는, 스페이스키캡(443)과, 문자키캡의 하단라인의 6개 키캡('ㅊ'부터 ','까지)(111)과, 중간라인의 7개 키캡('ㅇ'부터 'l'까지)(111)과, 상단라인의 8개 키캡('ㄷ'부터 'ㅔ'까지)(111) 상단에 각각 형성되어서, 역삼각형 형태의 터치패드(430)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터치패드(430)의 외곽라인을 구성하는 해당 키캡(411)의 상단 테두리에는 일정높이의 격벽(미도시)이 형성되어 터치패드(430)의 터치영역을 구분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7의 (a)(적색) 및 (b)(청색)에 의해 표시된 터치패드 외곽라인을 따라 촉각에 의해 터치영역을 인지하여, 사용자 시선을 작업중인 화면으로부터 이탈시키지 않고서도 터치패드(430)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터치패드(430)의 외곽라인을 구성하는 해당 키캡(411)과, 인접하는 다른 키캡(411)은 일정거리 이격되어(미도시) 형성되어 터치패드(430)의 터치영역을 구분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터치패드(430)의 키캡(411)과, 인접하는 다른 키캡(411) 사이에 여유공간을 두어서 촉각에 의해 터치영역을 인지하여 사용자 시선을 작업중인 화면으로부터 이탈시키지 않고서도 터치패드(430)를 인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 통상의 터치패드 또는 마우스의 좌클릭기능과 우클릭기능을 수행하는 좌클릭키(441)와 우클릭키(442)가 터치패드(430)의 양단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즉, 도 7의 (b)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좌클릭키(441)와 우클릭키(442)는 스페이스키캡(443)의 양단에 각각 별도로 형성되어서, 좌클릭키(441)와 우클릭키(442)의 가압에 의해 좌클릭기능과 우클릭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좌클릭키(441)와 우클릭키(442)는 충분한 면적이 제공되는 스페이스키캡(443)의 양단부분을 각각 문자키캡의 크기로 분할하여 좌클릭 버튼 및 우클릭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우클릭키(442)의 더블 스트로크와 연동하여, 스페이스키캡(443) 상단면의 터치패드영역을 좌우로 터치하여 좌우스크롤을 수행하며, 스페이스키캡(443)을 제외한 터치패드영역을 상하로 터치하여 상하스크롤을 수행하며, 좌클릭키(441)의 스트로크 및 더블 스트로크에 의하여 좌클릭 및 더블 클릭을 각각 수행하고, 우클릭키(442)의 스트로크에 의하여 우클릭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는, 터치패드(430)의 터치와 연동하여 디스플레이상의 커서를 이동시키고, 좌클릭키(441)와 우클릭키(442)의 가압에 의해 디스플레이상의 클릭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에,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드(430)의 터치와 연동하여 커서를 이동시키고,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클릭키(441)와 우클릭키(442)의 가압에 의해 클릭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노트북의 터치패드 또는 하단의 팜레스트 위치에 키캡부(410) 및 터치패드(430)가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노트북 상단의 여유공간에 메인모니터(210) 이외에 별도의 서브모니터(220)를 제2힌지부(231)를 기준으로 힌지회전하도록 형성하여서, 앞서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술한 모니터상의 효율적인 화면운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1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한 상하 배치된 폴딩타입의 듀얼모니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단일 모니터를 상하 배치된 폴딩타입의 듀얼모니터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변형예에 의한 상하 배치된 폴딩타입의 듀얼모니터는, 제1크기의 세로폭을 갖는 메인 모니터(310)와, 제1크기의 세로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2크기의 세로폭을 갖고, 메인 모니터(310)의 하단에 형성된 힌지부를 기준으로 일정 경사각도로 승강하는 폴더형태의 서브 모니터(320)를 포함하여, 메인 모니터(310)와 서브 모니터(320)를 통해, 화면을 분할하여 상이한 UI를 각각 제공하고, 서브 모니터(320) 하단의 본체(220)의 일측면에 내장되어 보관되는 마우스형태의 4차원 터치패드 모듈(100B)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모니터(310)와 서브 모니터(320)의 화면분할구성에 의한 사용예와 4차원 터치패드 모듈(100B)의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의 사용예와 구성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7 및 도 18은 도 1의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의 메인 모니터의 회전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메인 모니터(210)를 본체(220)를 상하방향으로 폴딩하도록 형성된 제1힌지부(221)의 하단에는 좌우 90° 또는 180°로 자유롭게 힌지회전하는 제3힌지부(240)가 고정 형성되어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혀진 메인 모니터(210)를 제1힌지부(221)에 의해 열어 젖힌 후, 제3힌지부(240)에 의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90° 또는 180°로 좌우 회전시켜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의 구성에 의해서, 터치패드를 제거하여 터치패드가 차지하였던 공간을 보조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서브 모니터가 위치하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고, 극소 면적과 초박형으로도 그래픽 콘트롤러로서 완벽한 수행이 가능함으로써 4차원 터치패드 모듈과 터치센서를 구비한 터치 키보드가 기존 노트북의 터치패드를 대체함과 동시에 키보드의 극소 공간을 점유하여 배치됨으로써 보조화면제공을 위한 서브 모니터 설치공간확보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210,310 : 메인 모니터 220 : 본체
221 : 제1힌지부 222 : 키보드
222a : 방향키 230,320 : 서브 모니터
231 : 제2힌지부 240 : 제3힌지부
100A : 4차원 터치패드 모듈 100B : 마우스형태의 4차원 터치패드 모듈
110 : 터치패드 111 : 센터터치패드
112a,b,c,d : 사이드터치패드 112a : STU
112b : STD 112c : STL
112d : STR 120 : 분할경계막
121 : 제1분할경계막 122 : 제2분할경계막
130 : 사이드버튼 131 : 관통홀
132a : SBU 132b : SBD
132c : SBL 132d : SBR
140 : FPCB 141 : 터치패드 FPCB 연결부
142a,b,c,d : 사이드버튼접점 150 : 상부하우징
160 : 하부하우징
410 : 키캡부 411 : 키캡
430 : 터치패드 441 : 좌클릭키
442 : 우클릭키 443 : 스페이스키캡

Claims (10)

  1. 제1크기의 세로폭을 갖는 메인 모니터;
    일측에 상기 메인 모니터를 폴딩하도록 형성된 제1힌지부와, 상기 제1힌지부와 이격되어 상판 하단에 배열 형성된 키보드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제1크기의 세로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2크기의 세로폭을 갖고, 상기 키보드에 인접하여 상기 본체의 상판 상단에 형성된 제2힌지부를 기준으로 일정 경사각도로 승강하는 폴더형태의 서브 모니터;를 포함하여,
    상기 메인 모니터와 상기 서브 모니터를 통해, 화면을 분할하여 상이한 UI를 각각 제공하는,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의 방향키를 대체하여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을 장착하여 배치하거나,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을 마우스형태로 구성하여 상기 서브 모니터의 일측 하단에 내장되어 보관되도록 하되,
    상기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은,
    좌표를 인식하여 포인팅을 수행하는 원판형상의 터치패드; 상기 터치패드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터치패드의 상부를 원형의 센터터치패드와 사이드터치패드로 분할하는 링형상의 제1분할경계막과, 상기 사이드터치패드를 호형상으로 개별분할하는 직선형상의 제2분할경계막으로 구성되는, 분할경계막; 중앙영역에 터치패드 배선라인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터치패드 상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터치패드를 수용하면서 외곽영역은 분할되어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가압에 의해 사이드버튼기능을 수행하는 해당 사이드버튼; 중앙영역에 상기 터치패드 배선라인이 연결되는 터치패드 FPCB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버튼에 상응하여 외곽영역에 방사상 형태로 배열되어 상기 사이드버튼의 가압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2개 이상의 사이드버튼접점이 각각 형성된 FPCB; 및 상기 분할경계막과 상기 터치패드와 상기 사이드버튼과 상기 FPCB가 내측에 순차적으로 적층 수용되는 상부/하부하우징을 포함하여, 근거리포인팅시, 상기 센터터치패드에 의해 단독 수행하도록 하고, 원거리포인팅시, 상기 센터터치패드와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조합에 의해 병행 수행하도록 하되, 원거리포인팅은 상기 센터터치패드의 터치를 시작하여 상기 해당 사이드터치패드에 도달할 때의 터치반응감도를 기억하게 하고,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에 도달하여 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는 반복 터치하지 않아도 상기 터치반응감도대로 이동이 계속되도록 하여, 원하는 포인팅좌표에 도달하여 터치를 떼면 원하는 포인팅좌표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하도록 하여서, 상기 터치패드의 극소면적으로 원하는 만큼의 무한대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형태의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은, 상기 서브 모니터 하단의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키보드와 연동하는 결합형 모듈로 구성되거나, 상기 서브 모니터 하단의 상기 본체의 일측면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키보드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구동하는 분리형 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터치패드 및 상기 사이드버튼은 상기 제2분할경계막에 의해 동등간격으로 STU와 STD와 STL와 STR의 해당 사이드터치패드 및 SBU와 SBD와 SBL과 SBR의 해당 사이드버튼으로 각각 4분할되어 구성되며,
    상기 센터터치패드, 상기 사이드터치패드 또는 상기 사이드버튼의 단독 또는 특정조합으로 그래픽컨트롤러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분할경계막은 0.5mm 내지 1.0mm의 높이로 설정되어, 경계를 인식할 수준의 높이로 설정되되, 상기 특정조합에 의한 연동시 터치하면서 경계를 쉽게 넘어갈 수준의 높이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크기는 상기 제1크기의 35% 내지 45%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
  6.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UI조작에 의해 주화면과 보조화면을 분할하여, 상기 메인 모니터와 상기 서브 모니터에 각각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메인 모니터에는 작업중인 주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서브 모니터에는 팝업광고 또는 프로그램 업데이트 알림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유튜브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메신저 또는 SNS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메인 모니터에는 문서작성툴 또는 개발툴 또는 이미지 편집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서브 모니터에는 해당 툴의 리본메뉴를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메인 모니터에는 화상회의 다중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서브 모니터에는 보조작업중인 보조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
  7. 제3항에 있어서,
    프로그램제공자에 의해 수정 및 변경되어 제공되는 UI를 주화면과 보조화면으로 분할하여서, 상기 메인 모니터와 상기 서브 모니터에 각각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메인 모니터에는 작업중인 주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서브 모니터에는 기동중인 프로그램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최근에 사용한 파일 또는 최근에 사용한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모니터에는 유튜브 전체화면모드로 유튜브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서브 모니터에는 재생할 유튜브영상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메인 모니터에는 스트리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서브 모니터에는 채팅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메인 모니터에는 프리젠테이션 프로그램의 슬라이쇼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서브 모니터에는 프리젠테이션 프로그램의 슬라이드 개요화면 또는 편집화면을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메인 모니터에는 웹쇼핑 홈 페이지의 검색결과 리스트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서브 모니터에는 검색결과 리스트에서 선택된 상품에 대한 상품상세 정보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는,
    문자키캡과 기능키캡과 숫자키캡과 특수키캡과 방향키캡이 형성된 키캡부; 상기 키캡부의 해당 키캡의 하단에 각각 결합된 접점과 멤브레인 스위치로 구성된 구동회로부;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를 지지하는 지지대; 특정 형상으로 그룹핑된 다수의 상기 키캡의 상단에 각각 형성된 터치센서로 구성된 터치패드; 상기 터치패드의 양단에 인접하여 형성된 좌클릭키와 우클릭키; 및 상기 터치패드의 터치와 연동하여 커서를 이동시키고, 상기 클릭키의 가압에 의해 클릭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패드는 스페이스키캡을 기준으로 역삼각형 형태로 문자키캡까지 그룹핑되어 형성되며, 상기 클릭키는 상기 스페이스키캡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터치센서는, 상기 스페이스키캡과, 상기 문자키캡의 하단라인의 6개 키캡과, 중간라인의 7개 키캡과, 상단라인의 8개 키캡 상단에 각각 형성되어서, 키보드로서의 기본기능을 수행하면서 그래픽 컨트롤러로서의 터치패드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터치센서를 구비한 멀티기능 수행 터치 키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모니터를 상기 본체를 상하방향으로 폴딩하도록 형성된 제1힌지부의 하단에는 좌우 90° 또는 180°로 힌지회전하는 제3힌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
KR1020190070414A 2019-06-14 2019-06-14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 KR102236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414A KR102236953B1 (ko) 2019-06-14 2019-06-14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
US17/596,562 US11513559B2 (en) 2019-06-14 2020-06-12 Laptop having dual monitors that are arranged vertically
JP2021574336A JP7417016B2 (ja) 2019-06-14 2020-06-12 上下に配設されたデュアルモニターを備えたノートパソコン
CN202080044083.8A CN114080581B (zh) 2019-06-14 2020-06-12 设置有上下配置的双显示器的笔记本电脑
PCT/KR2020/007644 WO2020251300A1 (ko) 2019-06-14 2020-06-12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
EP20821619.2A EP3985478A4 (en) 2019-06-14 2020-06-12 Laptop having dual monitors that are arranged vertical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414A KR102236953B1 (ko) 2019-06-14 2019-06-14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909A true KR20200142909A (ko) 2020-12-23
KR102236953B1 KR102236953B1 (ko) 2021-04-05

Family

ID=73782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414A KR102236953B1 (ko) 2019-06-14 2019-06-14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13559B2 (ko)
EP (1) EP3985478A4 (ko)
JP (1) JP7417016B2 (ko)
KR (1) KR102236953B1 (ko)
CN (1) CN114080581B (ko)
WO (1) WO202025130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9275A1 (ko) * 2021-02-08 2022-08-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키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2177216A1 (ko) * 2021-02-17 2022-08-25 삼성전자 주식회사 포인터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70496S1 (en) * 2020-02-18 2022-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1017594S1 (en) * 2020-12-15 2024-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tebook
US20220253109A1 (en) * 2021-02-08 2022-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ultiple key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23075329A1 (ko) * 2021-10-25 2023-05-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외부 액세서리의 부착을 검출하는 방법
CN115212582A (zh) * 2022-06-20 2022-10-21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显示方法、车辆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74565A1 (en) * 2010-12-02 2012-11-01 George Moser Multitasking Portable Computer
KR101440315B1 (ko) 2012-11-05 2014-10-02 (주)와이에스테크 보조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 및 그 노트북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796683B1 (ko) 2016-05-27 2017-11-10 김보현 양방향 듀얼모니터 구현을 위한 회동힌지를 구비한 노트북
US20180210504A1 (en) * 2017-01-23 2018-07-26 George Moser Laptop computer with multiple integrated displays
KR20180126965A (ko) * 2017-05-19 2018-11-28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탈착가능한 패드형 마우스가 구비된 노트북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2440B1 (en) 1998-03-27 2002-03-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exibly interfaceable portable computing device
JP2003228439A (ja) * 2002-02-05 2003-08-15 Mitsunobu Maruo 多画面ディスプレイを装備したパソコン
EP1585295A1 (en) * 2004-04-05 2005-10-1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Interface for electronic device
CN201369020Y (zh) * 2009-01-24 2009-12-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键盘、笔记本电脑
CN102081427A (zh) * 2009-11-26 2011-06-01 上海德通能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折叠式笔记本电脑的键盘结构
KR101521996B1 (ko) 2012-11-19 2015-05-28 (주)아이티버스 터치패드 입력장치
WO2014192344A1 (ja) * 2013-05-28 2014-12-04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US20150103010A1 (en) * 2013-10-11 2015-04-16 Microsoft Corporation Keyboard with Integrated Pointing Functionality
US9829928B2 (en) * 2015-06-15 2017-11-28 Asustek Computer Inc. Keyboard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JP6827781B2 (ja) * 2016-11-29 2021-02-10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18122451A (ja) * 2017-01-30 2018-08-09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と印刷制御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TWI790429B (zh) * 2020-04-10 2023-01-21 宏碁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與其螢幕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74565A1 (en) * 2010-12-02 2012-11-01 George Moser Multitasking Portable Computer
KR101440315B1 (ko) 2012-11-05 2014-10-02 (주)와이에스테크 보조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 및 그 노트북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796683B1 (ko) 2016-05-27 2017-11-10 김보현 양방향 듀얼모니터 구현을 위한 회동힌지를 구비한 노트북
US20180210504A1 (en) * 2017-01-23 2018-07-26 George Moser Laptop computer with multiple integrated displays
KR20180126965A (ko) * 2017-05-19 2018-11-28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탈착가능한 패드형 마우스가 구비된 노트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9275A1 (ko) * 2021-02-08 2022-08-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키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2177216A1 (ko) * 2021-02-17 2022-08-25 삼성전자 주식회사 포인터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85478A1 (en) 2022-04-20
KR102236953B1 (ko) 2021-04-05
JP7417016B2 (ja) 2024-01-18
EP3985478A4 (en) 2023-06-28
US11513559B2 (en) 2022-11-29
CN114080581A (zh) 2022-02-22
JP2022536399A (ja) 2022-08-15
US20220206535A1 (en) 2022-06-30
CN114080581B (zh) 2024-03-26
WO2020251300A1 (ko) 202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6953B1 (ko)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
EP2595043B1 (en) Mobile device for execut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thereof
US10613706B2 (en) Gesture controls for multi-screen hierarchical applications
US8638315B2 (en) Virtual touch screen system
US8259077B2 (en) Electronic device for inputting user command 3-dimensionally and method for employing the same
KR102319162B1 (ko) 터치센서를 구비한 멀티기능 수행 터치 키보드
US8471822B2 (en) Dual-sided track pad
KR10205964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68131B1 (ko) 다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방법
CN103218109A (zh) 用于安卓操作系统的双窗口解决方案
GB2467759A (en) User interface which scrolls items to select in a direction based on the orientation of a control unit
CN102339208A (zh) 界面显示调整方法及应用其的触控显示器
US11449097B2 (en) Vertically arranged folder-type dual monitor
Huot Touch Interfaces
Chung et al. Display button: a marriage of GUI and PUI
TW201313005A (zh) 智慧型輸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