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683B1 - 양방향 듀얼모니터 구현을 위한 회동힌지를 구비한 노트북 - Google Patents

양방향 듀얼모니터 구현을 위한 회동힌지를 구비한 노트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683B1
KR101796683B1 KR1020160065398A KR20160065398A KR101796683B1 KR 101796683 B1 KR101796683 B1 KR 101796683B1 KR 1020160065398 A KR1020160065398 A KR 1020160065398A KR 20160065398 A KR20160065398 A KR 20160065398A KR 101796683 B1 KR101796683 B1 KR 101796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monitor
auxiliary
notebook
auxiliary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현
Original Assignee
김보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현 filed Critical 김보현
Priority to KR1020160065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6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듀얼모니터 구현을 위한 회동힌지를 구비한 노트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트북의 양쪽 일측에 회동힌지를 설치하여, 회동힌지가 형성된 노트북에 보조모니터를 탈부착하는 회동힌지를 구비한 양방향 듀얼모니터 노트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기존의 노트북에 탈부착이 가능한 듀얼모니터를 장착하기 위한 회전되는 회동힌지를 제공하며, 듀얼모니터가 장착되기 위한 회동힌지가 부착된 노트북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듀얼모니터 구현을 위한 회동힌지를 구비한 노트북{omitted}
본 발명은 양방향 듀얼모니터 구현을 위한 회동힌지를 구비한 노트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트북의 양측에 회동힌지를 설치하여, 회동힌지가 형성된 노트북에 보조모니터를 탈부착하는 양방향 듀얼모니터 구현을 위한 회동힌지를 구비한 노트북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은 가지고 다닐 수 있는, 공책 크기 정도로 작은 컴퓨터를 지칭하는 명칭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은 본체에 작업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가 하나만 구비되어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혼자서 모니터를 보면서 여러 작업을 하거나, 컴퓨터 작업을 하면서 동시에 방송 시청을 하는 등 동시에 2가지 이상의 화면을 볼 필요가 있는 경우, 화면의 한계가 있다. 이 외에도 하나의 화면으로 두가지 이상의 일을 동시에 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특히 현장에서 노트북으로 캐드작업을 하는 작업자에게는 듀얼 디스플레이가 필수적이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들은 종래 기술에 제시된 듀얼 모니터 장치를 따로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듀얼 모니터 장치는 그래픽확장 포트를 이용해서 외부 기기를 연결해야한다. 이는 각 모니터마다 별도의 전원 케이블 및 모니터 연결 케이블을 구비해야 하므로 많은 케이블들이 차지하는 공간들로 인해 공간 활용도가 좋지 않을뿐더러 부속품이 많아 외부에 이동시 불편함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475750호 (2014.12.17)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35415호 (2015.07.03)
본 발명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제 1목적은 기존의 노트북에 탈부착이 가능한 듀얼모니터를 장착하기 위한 회동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2목적은 회전 가능한 회동힌지에 부착된 듀얼모니터가 장착된 노트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모니터(110)를 구비한 노트북본체(100); 상기 노트북본체(100)에 연결되어 출력화면을 확장시키는 보조모니터(200); 상기 노트북본체(100)의 일측에 체결되며, 힌지바디부(310)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바디부(310)의 일측에 보조모니터(200)가 체결되는 회동힌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노트북본체(100)는 출력물이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주모니터(110); 상기 주모니터(110)의 양측 하단에 위치하고, AUX케이블 단자로 형성되는 힌지삽입홈(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보조모니터(200)는 보조모니터(200)의 양측에 대응되어 형성되며, 접지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자력이 강한 자석으로 형성되는 제1체결부(210a); 보조모니터(200)의 양측에 대응되어 형성되며, 접지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자력이 강한 자석으로 형성되는 제2체결부(210b); 상기 제1체결부(210a) 및 제2체결부(210b)의 하부 일측에 각각 형성되는 보조입출력단자(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회동힌지(300)는 보조모니터(200)와 결합되는 힌지바디부(310); 힌지바디부(310)에 측벽부(321a)와 단턱(322b)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힌지(300)에 체결되기 위해 강한 자력을 가진 자석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체결부(320); 힌지바디부(310)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보조모니터(200)를 수용하도록 보조모니터(200)의 제1,2체결부(210a, 210b)와 대응되는 형태로 함몰부가 생김으로써 측벽부(321a)와 단턱(322b)이 형성되되, 자력이 강한 자석으로 형성되는 모니터체결부(320); 힌지바디부(310)의 일측에 위치하며, 보조모니터(200)에 형성된 보조입출력단자(220)에 대응되는 볼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출력단자(330); 힌지바디부(310)의 단부에 위치하며, 힌지삽입홈(120)에 체결되도록 힌지삽입홈(120)과 대응되는 AUX케이블 단자로 형성되는 힌지결합부(340);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모니터(200)는 투명한 디스플레이 패널로 형성되며, 상기 회동힌지(300)는 회동힌지(300)의 측벽부(321a)가 서로 마주보도록 노트북본체(100)의 양측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보조모니터(200)의 제1체결부(210a)와 제2체결부(210b)가 양측에 형성된 회동힌지(300)에 체결됨으로써 주모니터(110)를 덮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듀얼모니터 구현을 위한 회동힌지를 구비한 노트북을 제시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기존의 노트북에 탈부착이 가능한 듀얼모니터를 장착하기 위한 회전되는 회동힌지를 제공하며, 양방향 듀얼모니터가 장착되기 위한 회동힌지가 부착된 노트북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본체에 관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삽입홈을 확대한 확대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모니터에 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모니터의 배면 및 보조모니터의 양일측에 형성된 접지단자를 확대한 도면.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힌지에 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체결부의 상측 및 하측을 확대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입출력단자를 확대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결합부를 확대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본체와 회동힌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본체의 힌지삽입홈과 회동힌지의 힌지결합부가 삽입고정된 상태의 내부를 확대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모니터는 노트북본체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한 상태.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모니터가 노트북본체의 좌측에 위치한 회동힌지에 체결된 상태를 확대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모니터의 접지단자와 회동힌지의 주입출력단자가 접지된 상태를 확대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모니터가 노트북본체에 대응되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모니터가 노트북본체에 대응되어 부착된 상태를 위쪽에서 바라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는 공지기술의 설명은 생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도시된 도 11과 같이 회동힌지를 구비한 양방향 듀얼모니터 노트북에 관한 것이며, 상기 노트북은 도 1의 노트북본체(100), 도 3의 보조모니터(200) 및 도 5의 회동힌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설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본체(100)에 관한 도면이며, 상기 노트북본체(100)는 주모니터(110) 및 주모니터(110)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삽입홈(12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주모니터(110)는 노트북본체(100)에 형성되며, 출력물이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힌지삽입홈(120)은 주모니터(110)의 양측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도 1, 2와 같이 양측 하단에 형성된다.
도 2는 힌지삽입홈(120)의 확대도 및 이의 내부형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도 2(b)에 따르면 힌지삽입홈(120)은 회동힌지(300)의 힌지결합부(340)가 삽입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힌지삽입홈(120)은 회전이 용이함과 동시에 듀얼모니터와 노트북간 통신단절이 되지 않도록 회동힌지(300)의 힌지결합부(340)와 노트북본체(100)의 힌지삽입홈(120)에 각각 대응되는 단자가 형성되어야 하므로 AUX 케이블 단자와 같은 형태가 바람직하다.
도 3은 보조모니터(200)에 관한 도면이다.
상기 보조모니터(200)는 노트북본체(100)에 연결되어 출력화면을 확장시킴으로써 동시에 여러 개의 창을 사용하며, 이는 사용자가 노트북을 이용해 작업할 때에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보조모니터(200)는 주모니터(110)만 사용시에는 양단 체결부(210a, 210b)가 회동힌지(300)에 동시에 결합되어 주모니터커버(보호필름)로 사용가능하도록 투명한 디스플레이로 형성되며 이는 유리와 같은 얇은 두께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모니터(200)는 제1체결부(210a), 제2체결부(210b) 및 보조입출력단자(2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부(210a) 및 제2체결부(210b)는 보조모니터(200)의 양측에 각각 대응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210a, 210b)에 의해 상기 노트북본체(100)의 주모니터(110)와 상기 보조모니터(200)가 체결된다. 상기 체결부(210a, 210b)의 소재는 보조모니터(200)와의 체결 및 보조입출력단자(220)의 접지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자력이 강한 자석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상기 보조모니터(200)의 배면 및 보조입출력단자(220)의 확대도이며, 상기 보조입출력단자(220)는 제1체결부(210a) 및 제2체결부(210b)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조입출력단자(220)는 제1체결부(210a) 및 제2체결부(210b)의 하부 일측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입출력단자(220)는 회동힌지(300)의 주입출력단자(330)와 접지되어 전원 및 영상 신호가 보조모니터(200)로 출력되도록 통신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회동힌지(300)에 관한 도면이다. 상기 회동힌지(300)는 노트북본체(100)에 보조모니터(200)가 체결되기 위해 구비된 장치이다.
도 5에 도시된 회동힌지(300)는 노트북본체(100)의 우측에 형성된 것을 예시한 것이며, 좌측에 형성된 회동힌지(300)는 이와 대칭하는 형태이다.
또한 상기 회동힌지(300)는 힌지바디부(310), 모니터체결부(320), 주입출력단자(330), 힌지결합부(34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모니터체결부(320)는 힌지바디부(3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1체결부(210a) 및 제2체결부(210b)에 각각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모니터체결부(320)는 보조모니터(200)가 회동힌지(300)에 체결되기 위해 강한 자력을 가진 자석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상기 회동힌지(300)의 상측 및 하측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시된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회동힌지(300)에 형성된 모니터체결부(320)는 보조모니터(200)를 수용하는 함몰부가 생겨 측벽부(321a) 및 단턱(322a)을 형성한다. 상기 모니터체결부(320)의 측벽부(321a) 및 단턱(322a)은 보조모니터(200)에 형성된 체결부(210a)의 형태와 대응되는 깊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는 보조모니터(200)가 회동힌지(300)에 체결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 도 15의 위쪽에서 바라본 체결상태를 나타낸 도면 참고 )
도 7은 주입출력단자(330)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주입출력단자(330)는 힌지바디부(310)의 일측에 위치하며, 보조모니터(200)에 형성된 보조입출력단자(220)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주입출력단자(330)는 볼형태로 형성이 된다. 또한 주입출력단자(330)는 보조모니터(200)의 보조입출력단자(220)와 접지될 때 전원이 공급되어 주모니터(110)의 영상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8은 힌지결합부(340)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힌지결합부(340)는 힌지바디부(310)의 단부에 위치하며, 원기둥 형상으로 되되 축방향으로 표면에 다수의 주입출력단자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결합부(340)는 노트북본체(100)의 힌지삽입홈(120)과 체결될 때 노트북본체(100)와 통신이 단절되지 않도록 AUX케이블 단자와 같은 형태가 바람직하다. 이는 회동힌지(300)가 360˚로 회전이 용이함과 동시에 회전중에도 신호전달이 끊기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보조모니터(200)가 회동힌지(300)에 체결될 때 회전되어 각도조절이 용이하다.
아래는 도 9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본체(100), 보조모니터(200) 및 회동힌지(300)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는 내용이다.
도 9는 노트북본체(100)와 회동힌지(30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9에 따르면, 회동힌지(300)는 주모니터(110)의 양측에 대응되어 각각 위치한다.
도 10은 노트북본체(100)와 회동힌지(300)가 체결된 부분의 내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에 따르면 주모니터(1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힌지삽입홈(120)에 힌지바디부(310)의 단부에 형성된 힌지결합부(340)가 삽입고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힌지삽입홈(120)은 힌지결합부(340)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상기 도 9가 형성된 후 체결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에 따르면 보조모니터(200)는 노트북본체(100)의 좌측에 위치한 상태이며, 상기 보조모니터(200)는 노트북본체(100)의 좌측에 위치한 회동힌지(300)와 체결된다. 도 11(b)에 따르면, 보조모니터(200)는 노트북본체(100)의 우측에 위치한 상태이며, 상기 보조모니터(200)는 노트북본체(100)의 우측에 위치한 회동힌지(300)와 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두 개의 보조모니터(200)가 노트북본체(100)의 양측에 동시에 체결되는 경우도 있다. 상기와 같이 양측에 동시에 체결되는 경우 사용자가 화면을 더 넓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보조모니터(200)만 있으면 별도의 입력단자나 케이블 없이 손쉽게 보조모니터(200)를 추가로 더 설치할 수 있다.
도 12는 상기 도 11의 체결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따르면, 상기 도 11(a)와 같이 보조모니터(200)가 노트북본체(300)의 좌측에 위치한 회동힌지(300)에 체결된 상태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a)는 상기 회동힌지(300)와 보조모니터(200)의 상측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b)는 상기 회동힌지(300)와 보조모니터(200)의 하측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상기 도 11의 확대도이며, 구체적으로는 보조모니터(200)의 보조입출력단자(220)와 회동힌지(300)의 주입출력단자(330)가 접지된 상태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a)는 보조모니터(200)의 보조입출력단자(220)와 회동힌지(300)의 주입출력단자(330)가 접지된 상태를 정면에서 투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b)는 보조모니터(200)의 보조입출력단자(220)와 회동힌지(300)의 주입출력단자(330)가 접지된 상태를 측면에서 투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모니터(200)가 노트북본체(100)에 대응되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상기 보조모니터(200)가 노트북본체(100)의 양쪽 체결부(210a, 210b)가 각각 위치한 회동힌지(300)에 부착되며, 노트북본체(100)의 주모니터(110)를 덮게 된다.(도 15 참고)
또한 도 14의 상태로 체결된 보조모니터(200)는 양측이 다 접지되어 있으므로 전원이 차단되어 보호필름모드로 변환이 된다. 이는 상기 도 11와 비교했을때 도 11은 보조모니터(200)가 확장된 상태로 인식하여 접지된 단자에 전원공급 및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상태이며, 도 14의 보조모니터(200)는 보호필름모드로 변환되는 상태로서 차이가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모니터(200)가 노트북본체(100)에 대응되어 부착된 상태를 위쪽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5는 보조모니터(200)가 노트북본체(100)에 대응되어 부착된 것을 단순도식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양방향 듀얼모니터 구현을 위한 회동힌지를 구비한 노트북에 대한 것이다. 이는 종래의 기술에 제시된 듀얼모니터(보조모니터)를 휴대하는 것에 대한 불편함을 개선하며, 추가로 선을 연결하지 않고도 전원이 공급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노트북본체
110 주모니터
120 힌지삽입홈
200 보조모니터
210a 제1체결부
210b 제2체결부
220 보조입출력단자
300 회동힌지
310 힌지바디부
320 모니터체결부
321a,b 측벽부
322a,b 단턱
330 주입출력단자
340 힌지결합부

Claims (3)

  1. 주모니터(110)를 구비한 노트북본체(100);
    상기 노트북본체(100)에 연결되어 출력화면을 확장시키는 보조모니터(200);
    상기 노트북본체(100)의 일측 또는 타측에 체결되며, 힌지바디부(310)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바디부(310)의 일측에 보조모니터(200)가 체결되는 회동힌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노트북본체(100)는
    출력물이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주모니터(110);
    상기 주모니터(110)의 양측 하단에 위치하고, AUX케이블 단자로 형성되는 힌지삽입홈(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보조모니터(200)는
    보조모니터(200)의 양측에 대응되어 형성되며, 접지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자력이 강한 자석으로 형성되는 제1체결부(210a);
    보조모니터(200)의 양측에 대응되어 형성되며, 접지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자력이 강한 자석으로 형성되는 제2체결부(210b);
    상기 제1체결부(210a) 및 제2체결부(210b)의 하부 일측에 각각 형성되는 보조입출력단자(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회동힌지(300)는
    보조모니터(200)와 결합되는 힌지바디부(310);
    힌지바디부(310)에 측벽부(321a)와 단턱(322b)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힌지(300)에 체결되기 위해 강한 자력을 가진 자석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체결부(320);
    힌지바디부(310)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보조모니터(200)를 수용하도록 보조모니터(200)의 제1,2체결부(210a, 210b)와 대응되는 형태로 함몰부가 생김으로써 측벽부(321a)와 단턱(322b)이 형성되되, 자력이 강한 자석으로 형성되는 모니터체결부(320);
    힌지바디부(310)의 일측에 위치하며, 보조모니터(200)에 형성된 보조입출력단자(220)에 대응되는 볼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출력단자(330);
    힌지바디부(310)의 단부에 위치하며, 힌지삽입홈(120)에 체결되도록 힌지삽입홈(120)과 대응되는 AUX케이블 단자로 형성되는 힌지결합부(340);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모니터(200)는 투명한 디스플레이 패널로 형성되며,
    상기 회동힌지(300)는 회동힌지(300)의 측벽부(321a)가 서로 마주보도록 노트북본체(100)의 양측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보조모니터(200)의 제1체결부(210a)와 제2체결부(210b)가 양측에 형성된 회동힌지(300)에 체결됨으로써 주모니터(110)를 덮음으로써 보조모니터(200)의 전원이 차단되어 보조모니터(200)가 보호필름모드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듀얼모니터 구현을 위한 회동힌지를 구비한 노트북.
  2. 삭제
  3. 삭제
KR1020160065398A 2016-05-27 2016-05-27 양방향 듀얼모니터 구현을 위한 회동힌지를 구비한 노트북 KR101796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398A KR101796683B1 (ko) 2016-05-27 2016-05-27 양방향 듀얼모니터 구현을 위한 회동힌지를 구비한 노트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398A KR101796683B1 (ko) 2016-05-27 2016-05-27 양방향 듀얼모니터 구현을 위한 회동힌지를 구비한 노트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683B1 true KR101796683B1 (ko) 2017-11-10

Family

ID=60386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398A KR101796683B1 (ko) 2016-05-27 2016-05-27 양방향 듀얼모니터 구현을 위한 회동힌지를 구비한 노트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6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1300A1 (ko) 2019-06-14 2020-12-17 주식회사 비엘디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
KR20200144788A (ko) 2019-06-19 2020-12-30 주식회사 비엘디 상하 배치된 폴더타입의 듀얼모니터
KR102264923B1 (ko) 2020-09-11 2021-06-11 김봉수 다기능 듀얼 모니터 장치
WO2022149695A1 (ko) * 2021-01-07 2022-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디바이스와, 상기 듀얼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2193A1 (en) * 2011-04-11 2012-10-18 Eric Koenig Expandable multi-core telecommunication and video process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2193A1 (en) * 2011-04-11 2012-10-18 Eric Koenig Expandable multi-core telecommunication and video processing apparatu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1300A1 (ko) 2019-06-14 2020-12-17 주식회사 비엘디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
KR20200142909A (ko) 2019-06-14 2020-12-23 주식회사 비엘디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
US11513559B2 (en) 2019-06-14 2022-11-29 Bld Co., Ltd Laptop having dual monitors that are arranged vertically
KR20200144788A (ko) 2019-06-19 2020-12-30 주식회사 비엘디 상하 배치된 폴더타입의 듀얼모니터
US11449097B2 (en) 2019-06-19 2022-09-20 Bld Co., Ltd Vertically arranged folder-type dual monitor
KR102264923B1 (ko) 2020-09-11 2021-06-11 김봉수 다기능 듀얼 모니터 장치
WO2022149695A1 (ko) * 2021-01-07 2022-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디바이스와, 상기 듀얼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683B1 (ko) 양방향 듀얼모니터 구현을 위한 회동힌지를 구비한 노트북
US9176536B2 (en) Wireless display for electronic devices
US8964382B2 (en) Computing device with support member
US82795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entry from a removable portable device cover
KR19980034366A (ko) 액정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구조
US7737964B2 (en) On-screen display system
EP3343907B1 (en) Television mainboard device, connection device, television, and television system
US20040155861A1 (en) Portable display monitor
US11853634B2 (en) Detachable display system
KR101737927B1 (ko)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US8072746B2 (en) Electronic device with a casing with a containing space for storing an adapting element when not in use
EP3457248B1 (en) Mainboard and display panel
US10880635B2 (en) Electronic device
WO2020093373A1 (zh) 电子装置及可扩展装置
US20180004477A1 (en) Integrated display device for mobile terminal
CN207234959U (zh) 一种带画面分割显示功能的显示器
KR101043637B1 (ko) 휴대용 듀얼 모니터의 카메라 모듈 결합구조
CN201845278U (zh) 带隐形摄像头的计算机
KR102340782B1 (ko) 모니터용 다중 디스플레이케이스
TW201312453A (zh) 顯示裝置
KR20110028603A (ko)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
JP2012058557A (ja) 表示装置
KR100429449B1 (ko) 휴대용 멀티표시장치
WO2002098123A2 (en) Portable display monitor
KR20050077088A (ko) 박막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