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782B1 - 모니터용 다중 디스플레이케이스 - Google Patents

모니터용 다중 디스플레이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782B1
KR102340782B1 KR1020200185837A KR20200185837A KR102340782B1 KR 102340782 B1 KR102340782 B1 KR 102340782B1 KR 1020200185837 A KR1020200185837 A KR 1020200185837A KR 20200185837 A KR20200185837 A KR 20200185837A KR 102340782 B1 KR102340782 B1 KR 102340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nitor
hole
folding hing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준
김관형
추선애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85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7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4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detachable, e.g. for remote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용 다중 디스플레이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PC, 노트북 등의 모니터에 탈착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조디스플레이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용 다중 디스플레이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노트북,PC 등의 모니터에 본 발명의 다중디스플레이케이스를 체결함으로써 더 넓은 화면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여러 사람들과 함께 모니터를 볼 경우 다양한 방향에서 모니터 화면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니터용 다중 디스플레이케이스{Multiple display cases for monitors}
본 발명은 모니터용 다중 디스플레이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PC, 노트북 등의 모니터에 탈착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조디스플레이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용 다중 디스플레이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은 가지고 다닐 수 있는, 공책 크기 정도로 작은 컴퓨터를 지칭하는 명칭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은 본체에 작업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가 하나만 구비되어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혼자서 모니터를 보면서 여러 작업을 하거나, 컴퓨터 작업을 하면서 동시에 방송 시청을 하는 등 동시에 2가지 이상의 화면을 볼 필요가 있는 경우, 화면의 한계가 있다. 이 외에도 하나의 화면으로 두가지 이상의 일을 동시에 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특히 현장에서 노트북으로 캐드작업을 하는 작업자에게는 듀얼 디스플레이가 필수적이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들은 종래 기술에 제시된 듀얼 모니터 장치를 따로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듀얼 모니터 장치는 그래픽확장 포트를 이용해서 외부 기기를 연결해야한다. 이는 각 모니터마다 별도의 전원 케이블 및 모니터 연결 케이블을 구비해야 하므로 많은 케이블들이 차지하는 공간들로 인해 공간 활용도가 좋지 않을뿐더러 부속품이 많아 외부에 이동시 불편함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28051호 (2014.08.0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10407호 (2009.07.27)
본 발명의 목적은 노트북,PC 등의 모니터에 본 발명의 다중디스플레이케이스를 체결함으로써 더 넓은 화면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여러 사람들과 함께 모니터를 볼 경우 다양한 방향에서 모니터 화면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모니터에 체결되기 위해 모니터체결부(112)가 형성되고, 일측에 보조디스플레이부(120)와 맞닿도록 돌출되되 소정 크기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접이용힌지부(113)가 형성되는 본체결합부(110)와, 상기 본체결합부(110)의 일측에 위치하되 일측에 본체결합부(110)와 맞닿도록 돌출되되 소정 크기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접이용힌지부(124)가 형성되는 보조디스플레이부(120)와, 상기 본체결합부(110)의 제1접이용힌지부(113)와 상기 보조디스플레이부(120)의 제2접이용힌지부(124)의 하단에 형성되되, 제1접이용힌지부(113)의 관통홀과 제2접이용힌지부(124)의 관통홀과 각각 대응되도록 소정 크기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3접이용힌지부(130)와, 상기 본체결합부(110)의 제1접이용힌지부(113)의 관통홀을 지나 제3접이용힌지부(130)의 일측 관통홀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조디스플레이부(120)의 제2접이용힌지부(124)의 관통홀을 지나 제3접이용힌지부(130)의 타측 관통홀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힌지결합부(140)와, 다중디스플레이케이스(100)의 일측에 형성되되 노트북 본체 또는 PC 본체와 체결되어 보조디스플레이부(120)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포트(15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결합부(110)는 소정 크기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모니터 뒷면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받침판(111)과, 상기 받침판(111)의 테두리에 형성되되 모니터의 테두리부분이 체결되도록 소정의 공간을 가지고 형성되는 모니터체결부(112)와, 상기 받침판(111)의 일측에 형성되되 보조디스플레이부(120)의 제2접이용힌지부(124)와 이웃하도록 형성되되 소정 크기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접이용힌지부(113)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체결부(112)는 모니터 상단 테두리의 일측과 타측, 모니터 하단 테두리의 일측과 타측에 끼워져서 체결되도록 총 4개의 모니터체결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화면부(122)의 외주면을 감싸되 일측과 타측에 힌지결합되도록 형성되되, 일측면 하단과 타측면 하단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121a)을 포함하는 보조몸체부(121)와, 소정 크기의 판상 형태로 형성되되 보조몸체부(121)와 힌지결합되는 디스플레이화면부(122)와, 상기 보조몸체부(121)의 가이드홈(121a)에 일측과 타측이 각각 체결되어 형성되되 가이드홈(121a)에 형성된 홈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형성되는 높이조절용받침부(123)와, 상기 보조몸체부(121)와 디스플레이화면부(122)가 힌지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각도조절용힌지부(125)와, 상기 디스플레이화면부(122)의 일측면 하단에 위치하되, 디스플레이화면부(122)와 힌지결합되는 지지부(126)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용받침부(123)는 상기 보조몸체부(121)의 가이드홈(121a)에 수용되도록 소정 크기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높이조절부(123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다중 디스플레이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노트북,PC 등의 모니터에 본 발명의 다중디스플레이케이스를 체결함으로써 더 넓은 화면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여러 사람들과 함께 모니터를 볼 경우 다양한 방향에서 모니터 화면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중 디스플레이케이스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중 디스플레이케이스를 노트북 모니터에 체결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접이용힌지부의 작동상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보조디스플레이부(120)에 형성된 높이조절용받침부(123)의 높이를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중 디스플레이케이스의 접이용힌지부를 완전히 접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를 n1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중 디스플레이케이스의 접이용힌지부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각도조절용힌지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화면부(122)의 각도가 조절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을 n2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제1접이용힌지부(113)와 제2접이용힌지부(124), 제3접이용힌지부(130)가 맞물려있는 부분의 내부를 투영한 도면이며 도 9(b)는 도 9(a)를 분해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모니터용 다중 디스플레이케이스에 관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모니터용 다중 디스플레이케이스는 도 2와 같이 노트북(1) 등의 모니터에 탈착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조디스플레이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중디스플레이케이스는 본체결합부(110), 보조디스플레이부(120), 제3접이용힌지부(130), 힌지결합부(140), 연결포트(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결합부(110)는 모니터에 체결되기 위해 모니터체결부(112)가 형성되고, 일측에 보조디스플레이부(120)와 맞닿도록 돌출되되 소정 크기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접이용힌지부(113)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결합부(110)는 지지판(111), 모니터체결부(112), 제1접이용힌지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판(111)은 소정 크기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모니터 뒷면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모니터체결부(112)는 상기 받침판(111)의 테두리에 형성되되 모니터의 테두리부분이 체결되도록 소정의 공간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다.
도 1과 같이 상기 모니터체결부(112)는 모니터 상단 테두리의 일측과 타측, 모니터 하단 테두리의 일측과 타측에 끼워져서 체결되도록 총 4개의 모니터체결부(112)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모니터가 끼워져서 체결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접이용힌지부(113)는 상기 받침판(111)의 일측에 형성되되 보조디스플레이부(120)의 제2접이용힌지부(124)와 이웃하도록 형성되되 소정 크기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접이용힌지부(113)는 보조디스플레이(120)와 만나는 부분의 일측면에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안정적으로 움직이기 위해 소정 간격으로 2개의 제1접이용힌지부(113)가 형성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접이용힌지부(113)와 제2접이용힌지부(124)와 제3접이용힌지부(130)를 확대한 도면으로 이를 참고하면,
도 3(a)와 같이 제1접이용힌지부(113)를 중심축으로 두고 제1접이용힌지부(113)와 이웃하는 제2접이용힌지부(124)가 m1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2접이용힌지부(124)와 연결된 제3접이용힌지부(130) 부분도 m1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3(b)와 같은 형태가 되며,
도 3(b)에서 m2방향으로 제2접이용힌지부(124)가 더 회전하면 도 3(c)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도 3(c)와 같인 제2접이용힌지부(124)가 완전히 회전하게 되면 다중디스플레이케이스(100)의 보조디스플레이부(120)가 도 5와 같이 본체결합부(110)의 후면에 맞닿아 위치하게 된다. 도 6은 도 5를 n1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보조디스플레이부(120)는 상기 본체결합부(110)의 일측에 위치하되 일측에 본체결합부(110)와 맞닿도록 돌출되되 소정 크기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접이용힌지부(124)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보조디스플레이부(120)는 보조몸체부(121), 디스플레이화면부(122), 높이조절용받침부(123), 제2접이용힌지부(124), 각도조절용힌지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조몸체부(121)는 디스플레이화면부(122)의 외주면을 감싸되 일측과 타측에 힌지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보조몸체부(121)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가이드홈(121a)을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121a)은 상기 보조몸체부(121)의 일측면 하단과 타측면 하단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화면부(122)는 소정 크기의 판상 형태로 형성되되 보조몸체부(121)와 힌지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화면부(122)는 일반 디스플레이패널도 가능하며, 터치가 가능한 패널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중디스플레이케이스(100)를 연결포트(150)로 노트북 본체 또는 PC 본체와 연결시키면, 상기 디스플레이화면부(122)로 모니터 본체의 화면이 연결되어 듀얼모니터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높이조절용받침부(123)는 상기 보조몸체부(121)의 가이드홈(121a)에 일측과 타측이 각각 체결되어 형성되되 가이드홈(121a)에 형성된 홈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높이조절용받침부(123)는 높이조절부(123a)를 포함하되, 높이조절부(123a)는 상기 보조몸체부(121)의 가이드홈(121a)에 수용되도록 소정 크기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도 4는 높이조절용받침부(123)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과 같이 노트북 모니터 본체에 다중디스플레이케이스(100)를 체결시킨 후 보조디스플레이부(120)의 높이조절용받침(123)을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키어 보조디스플레이부(120)가 지면과 일직선이 되도록 한다.
제2접이용힌지부(124)는 상기 보조몸체부(121)의 일측에 형성되되 본체결합부(110)의 제1접이용힌지부(113)와 맞닿도록 형성되되 소정 크기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다.
각도조절용힌지부(125)는 상기 보조몸체부(121)와 디스플레이화면부(122)가 힌지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도 7은 각도조절용힌지(125)가 m3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디스플레이화면부(122)가 m3 방향으로 기울어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을 n2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지지부(126)는 상기 디스플레이화면부(122)의 일측면 하단에 위치하되, 디스플레이화면부(122)와 힌지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는 도 7, 8과 같이 디스플레이화면부(122)가 소정 각도 기울어졌을 때 디스플레이화면부(122)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3접이용힌지부(130)는 상기 본체결합부(110)의 제1접이용힌지부(113)와 보조디스플레이부(120)의 제2접이용힌지부(124)의 하단에 형성되되, 제1접이용힌지부(113)의 관통홀과 제2접이용힌지부(124)의 관통홀과 각각 대응되도록 소정 크기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다.
힌지결합부(140)는 제1접이용힌지부(113)의 관통홀을 지나 제3접이용힌지부(130)의 일측 관통홀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제2접이용힌지부(124)의 관통홀을 지나 제3접이용힌지부(130)의 타측 관통홀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힌지동작을 하는 것이다.
도 9(a)는 제1접이용힌지부(113)와 제2접이용힌지부(124), 제3접이용힌지부(130)가 맞물려있는 부분의 내부를 투영한 도면이며 도 9(b)는 도 9(a)를 분해한 도면으로 도면과 같이 힌지결합부(140)의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연결포트(150)는 다중디스플레이케이스(100)의 일측에 형성되되 노트북 본체 또는 PC 본체와 체결되어 보조디스플레이부(120)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다중디스플레이케이스
110 본체결합부
111 지지판
112 모니터체결부
113 제1접이용힌지부
120 보조디스플레이부
121 보조몸체부
121a 가이드홈
122 디스플레이화면부
123 높이조절용받침부
123a 높이조절부
124 제2접이용힌지부
125 각도조절용힌지부
130 제3접이용힌지부
140 힌지결합부
150 연결포트

Claims (3)

  1. 모니터에 체결되기 위해 모니터체결부(112)가 형성되고, 일측에 보조디스플레이부(120)와 맞닿도록 돌출되되 소정 크기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접이용힌지부(113)가 형성되는 본체결합부(110)와,
    상기 본체결합부(110)의 일측에 위치하되 일측에 본체결합부(110)와 맞닿도록 돌출되되 소정 크기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접이용힌지부(124)가 형성되는 보조디스플레이부(120)와,
    상기 본체결합부(110)의 제1접이용힌지부(113)와 상기 보조디스플레이부(120)의 제2접이용힌지부(124)의 하단에 형성되되, 제1접이용힌지부(113)의 관통홀과 제2접이용힌지부(124)의 관통홀과 각각 대응되도록 소정 크기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3접이용힌지부(130)와,
    상기 본체결합부(110)의 제1접이용힌지부(113)의 관통홀을 지나 제3접이용힌지부(130)의 일측 관통홀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조디스플레이부(120)의 제2접이용힌지부(124)의 관통홀을 지나 제3접이용힌지부(130)의 타측 관통홀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힌지결합부(140)와,
    다중디스플레이케이스(100)의 일측에 형성되되 노트북 본체 또는 PC 본체와 체결되어 보조디스플레이부(120)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포트(15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결합부(110)는
    소정 크기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모니터 뒷면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받침판(111)과,
    상기 받침판(111)의 테두리에 형성되되 모니터의 테두리부분이 체결되도록 소정의 공간을 가지고 형성되는 모니터체결부(112)와,
    상기 받침판(111)의 일측에 형성되되 보조디스플레이부(120)의 제2접이용힌지부(124)와 이웃하도록 형성되되 소정 크기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접이용힌지부(113)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체결부(112)는 모니터 상단 테두리의 일측과 타측, 모니터 하단 테두리의 일측과 타측에 끼워져서 체결되도록 총 4개의 모니터체결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화면부(122)의 외주면을 감싸되 일측과 타측에 힌지결합되도록 형성되되, 일측면 하단과 타측면 하단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121a)을 포함하는 보조몸체부(121)와,
    소정 크기의 판상 형태로 형성되되 보조몸체부(121)와 힌지결합되는 디스플레이화면부(122)와,
    상기 보조몸체부(121)의 가이드홈(121a)에 일측과 타측이 각각 체결되어 형성되되 가이드홈(121a)에 형성된 홈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형성되는 높이조절용받침부(123)와,
    상기 보조몸체부(121)와 디스플레이화면부(122)가 힌지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각도조절용힌지부(125)와,
    상기 디스플레이화면부(122)의 일측면 하단에 위치하되, 디스플레이화면부(122)와 힌지결합되는 지지부(126)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용받침부(123)는
    상기 보조몸체부(121)의 가이드홈(121a)에 수용되도록 소정 크기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높이조절부(123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다중 디스플레이케이스.
  2. 삭제
  3. 삭제
KR1020200185837A 2020-12-29 2020-12-29 모니터용 다중 디스플레이케이스 KR102340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837A KR102340782B1 (ko) 2020-12-29 2020-12-29 모니터용 다중 디스플레이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837A KR102340782B1 (ko) 2020-12-29 2020-12-29 모니터용 다중 디스플레이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782B1 true KR102340782B1 (ko) 2021-12-16

Family

ID=79033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837A KR102340782B1 (ko) 2020-12-29 2020-12-29 모니터용 다중 디스플레이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78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658A (ko) * 2000-02-26 2000-05-06 전정희 분리형 모니터 또는 다기능 분리 및 확장가능 다중모니터를 장착한 휴대용컴퓨터
JP2002533777A (ja) * 1998-12-23 2002-10-08 モスコヴィッチ,ジェリー コンピュータディスプレイ画面システムと調節式ディスプレイ画面取付台およびそのディスプレイ画面システム用旋回式ディスプレイ画面
US20030095373A1 (en) * 2001-11-20 2003-05-22 Duquette Daniel Louis Dual display device with lateral withdrawal for side-by-side viewing
KR20070069663A (ko) * 2005-12-28 2007-07-03 엘지엔시스(주) 멀티 모니터장치
KR100910407B1 (ko) 2007-11-12 2009-08-04 주식회사 디엔피시스템 듀얼 모니터
KR101428051B1 (ko) 2007-12-12 2014-08-08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듀얼 모니터
KR20160115627A (ko) * 2015-03-26 2016-10-06 전덕규 휴대형 컴퓨터용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3777A (ja) * 1998-12-23 2002-10-08 モスコヴィッチ,ジェリー コンピュータディスプレイ画面システムと調節式ディスプレイ画面取付台およびそのディスプレイ画面システム用旋回式ディスプレイ画面
KR20000024658A (ko) * 2000-02-26 2000-05-06 전정희 분리형 모니터 또는 다기능 분리 및 확장가능 다중모니터를 장착한 휴대용컴퓨터
US20030095373A1 (en) * 2001-11-20 2003-05-22 Duquette Daniel Louis Dual display device with lateral withdrawal for side-by-side viewing
KR20070069663A (ko) * 2005-12-28 2007-07-03 엘지엔시스(주) 멀티 모니터장치
KR100910407B1 (ko) 2007-11-12 2009-08-04 주식회사 디엔피시스템 듀얼 모니터
KR101428051B1 (ko) 2007-12-12 2014-08-08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듀얼 모니터
KR20160115627A (ko) * 2015-03-26 2016-10-06 전덕규 휴대형 컴퓨터용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4278B2 (en) Display apparatus
US8203832B2 (en) Dual-screen portable computer
WO2018042602A1 (ja) 情報処理装置
WO2001002536A3 (de) Präsentationsvorrichtung
US10487977B2 (en) Supporting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060185276A1 (en) LCD-embeddable screen structure
US20100116961A1 (en) Foldable System for Supporting Multiple Computer Monitors
US10114408B2 (en) Hidden compartment with ports for mini PC or PC stick
KR101955932B1 (ko) 탈착가능한 패드형 마우스가 구비된 노트북
JP2021523645A (ja) 回動軸体及び電子機器
KR102340782B1 (ko) 모니터용 다중 디스플레이케이스
TWM532044U (zh) 電子裝置
KR20070069663A (ko) 멀티 모니터장치
KR20040044829A (ko) 2단 액정화면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US6299464B1 (en) Multimonitor notebook
KR100910407B1 (ko) 듀얼 모니터
CN110439920B (zh) 铰链结构、铰链装置及电子设备
KR200201665Y1 (ko) 다화면 디스플레이 모니터
KR20180087632A (ko) 복수의 모니터를 구비한 랩탑 컴퓨터
KR20210073248A (ko)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폴더블 폰
KR200197838Y1 (ko) 세개의 착탈식 보조 모니터가 구비된 데스크탑 모니터
US20200371550A1 (en) Tri-folding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KR100584685B1 (ko) 모니터 접이식 일체형 컴퓨터
KR200197840Y1 (ko) 두개의 보조 모니터가 구비된 노트북 컴퓨터
KR100294261B1 (ko) 휴대용컴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