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522A - 높은 그래프트 수준을 갖는 작용화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 Google Patents

높은 그래프트 수준을 갖는 작용화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2522A
KR20200142522A KR1020207031160A KR20207031160A KR20200142522A KR 20200142522 A KR20200142522 A KR 20200142522A KR 1020207031160 A KR1020207031160 A KR 1020207031160A KR 20207031160 A KR20207031160 A KR 20207031160A KR 20200142522 A KR20200142522 A KR 20200142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lpha
weight
olefins
addi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1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6424B1 (ko
Inventor
완푸 마
산토쉬 에스. 바위스카
위 진
링 장-왓슨
알란 월터 맥렌나그한
올라프 헨슈케
Original Assignee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00142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 C08F25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on to polymers of olefins having two or thre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4Monomers containing five or mor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6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14Este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1/00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1/06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하기 특성을 포함하는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A) ≥ 1.80의 중합체 사슬 당 그래프트의 수; 및
B) ≤ 50,000 mPaㆍs의 용융 점도(177℃에서).

Description

높은 그래프트 수준을 갖는 작용화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표면 처리되고 코팅된 포장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였다. 표면 처리되고 코팅된 판지는 포장재 산업에서 더 보편적이 되었다. 이러한 판지는 통상 표면 상에서 광택 오일 프린팅(glossy oil printing), 또는 왁스, 또는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BOPP)으로 코팅되어, 매우 낮은 다공성을 갖거나 다공성이 없는 표면을 초래한다. 이들 판지는 상기 업계에서 "하드 투 본드(hard to bond)" 기재(substrate)라고 한다. 메탈로센 또는 다른 "단일 부위 촉매화된" 올레핀계 중합체에 기초한 필요한 핫 멜트 접착제(HMA) 또는 EVA는 이들 하드 투 본드 기재에의 제한된 접착을 갖는 것으로 실증되었다. 이러한 "하드 투 본드" 기재에의 향상된 접착을 갖는 새로운 HMA 제제를 개발하는 필요성이 존재한다.
접착제 조성물 및/또는 작용화된 중합체는 하기 참조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2017년 10월 11일에 출원된 WO2007146875, WO2008097898, WO2014042815, US20150166853, WO2016028909, WO2017058627, US20170114257, 국제 출원 PCT/US17/056090, 및 2017년 11월 17일에 출원된 국제 출원 PCT/US17/062161. 그러나,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이러한 "하드 투 본드" 기재에의 향상된 접착을 갖는 새로운 HMA 제제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요구는 하기의 발명에 의해 충족되었다.
하기 특성을 포함하는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A) ≥ 1.80의 중합체 사슬 당 그래프트의 수; 및
B) ≤ 50,000 mPaㆍs의 용융 점도(177℃에서).
도 1은 열 응력 시험 방법을 위한 시험 샘플 및 시험 구성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새로운 접착제 조성물은 작용화된 또는 비-작용화된 에틸렌/알파 올레핀 혼성중합체에 기초한 종래의 EVA계 제제 또는 종래의 HMA 제제와 비교하여, UV 바니시드(varnished)(UV 경화된 코팅) 기재 및 조밀형 골판지(dense corrugated cardboard)에의 향상된 접착을 갖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하기 특성을 포함하는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A) ≥ 1.80의 중합체 사슬 당 그래프트의 수; 및
B) ≤ 50,000 mPaㆍs의 용융 점도(177℃에서).
조성물은 본원에 기재된 둘 이상의 구현예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는 본원에서 기재된 둘 이상의 구현예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는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이다.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 0.855 g/cc, 또는 ≥ 0.860 g/cc, 또는 ≥ 0.865 g/cc, 또는 ≥ 0.870 g/cc의 밀도(1 cc = 1 cm3)를 가진다.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 0.900 g/cc, 또는 ≤ 0.895 g/cc, 또는 ≤ 0.890 g/cc, 또는 ≤ 0.885 g/cc의 밀도(1 cc = 1 cm3)를 가진다.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0.855 내지 0.900 g/cc, 또는 0.860 내지 0.890 g/cc, 또는 0.865 내지 0.885 g/cc의 밀도를 가진다.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 5,000 mPaㆍs, 또는 ≥ 6,000 mPaㆍs, 또는 ≥ 7,000 mPaㆍs, 또는 ≥ 8,000 mPaㆍs, ≥ 9,000 mPaㆍs, 또는 ≥ 10,000 mPaㆍs, 또는 ≥ 12,000 mPaㆍs의 용융 점도(177℃)를 가진다.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 45,000 mPaㆍs, 또는 ≤ 40,000 mPaㆍs, 또는 ≤ 35,000 mPaㆍs, 또는 ≤ 30,000 mPaㆍs, 또는 ≤ 25,000 mPaㆍs의 용융 점도(177℃)를 가진다.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 28,000 mPaㆍs, 또는 ≤ 26,000 mPaㆍs, 또는 ≤ 24,000 mPaㆍs, 또는 ≤ 22,000 mPaㆍs의 용융 점도(177℃)를 가진다.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5,000 내지 30,000 mPaㆍs, 10,000 내지 28,000 mPaㆍs, 또는 12,000 내지 26,000 mPaㆍs, 또는 14,000 내지 24,000 mPaㆍs, 또는 16,000 내지 22,000 mPaㆍs의 용융 점도(177℃)를 가진다.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이다.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말레산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이다.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 5 중량%, 또는 ≥ 10 중량%, 또는 ≥ 1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 60 중량%, 또는 ≤ 55 중량%, 또는 ≤ 50 중량%, 또는 ≤ 4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중합체 사슬 당 ≥ 1.85, 또는 ≥ 1.90, 또는 ≥ 1.95, 또는 ≥ 2.00의 그래프트를 가진다. 본원에서 용어 "그래프트"는 그래프팅된 산 및/또는 무수물 작용화제를 지칭한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중합체 사슬 당 ≤ 5.00, 또는 ≤ 4.50, 또는 ≤ 4.00, 또는 ≤ 3.50의 그래프트를 가진다.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상기 혼성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 1.0, 또는 ≥ 1.2, 또는 ≥ 1.4 또는 ≥ 1.8 중량%의 그래프팅된 산 및/또는 무수물 기를 가진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상기 혼성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 6.0 또는 ≤ 5.5, 또는 ≤ 5.0 또는 ≤ 4.5의 그래프팅된 산 및/또는 무수물을 가진다.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 5,000 g/mole, 또는 ≥ 6,000 g/mole, 또는 ≥ 7,000 g/mole, 또는 ≥ 8,000 g/mole, ≥ 9,000 g/mole, 또는 ≥ 10,000 g/mole의 수 평균 분자량(Mn)을 가진다.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 50,000 g/mole, 또는 ≤ 45,000 g/mole, 또는 ≤ 40,000 g/mole, 또는 ≤ 35,000 g/mole, 또는 ≤ 30,000 g/mole, 또는 ≤ 25,000 g/mole, 또는 ≤ 20,000 g/mole, 또는 ≥ 15,000 g/mole의 수 평균 분자량(Mn)을 가진다.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 1.80, 또는 ≥ 1.90, 또는 ≥ 2.00, 또는 ≥ 2.10의 분자량 분포(Mw/Mn)를 가진다.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 3.00, 또는 ≤ 2.80, 또는 ≤ 2.60, 또는 ≤ 2.40의 분자량 분포(Mw/Mn)를 가진다.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 95 중량%, 또는 ≥ 98 중량%, 또는 ≥ 99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상기 조성물은 점착부여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점착부여제는 비제한적으로, 지방족, 지환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 및 변형된 탄화수소 및 수소화된 버전; 테르펜 및 변형된 테르펜 및 수소화된 버전; 및 로진 및 로진 유도체 및 수소화된 버전; 및 이들 점착부여제 중 2개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상기 조성물은 왁스를 추가로 포함한다. 왁스는 비제한적으로, 파라핀 왁스, 미세결정질 왁스, 고밀도,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열 분해성 왁스, 부산물 폴리에틸렌 왁스, 피셔-트롭쉬 왁스, 산화된 피셔-트롭쉬 왁스, 및 작용화된 왁스, 예컨대 하이드록실 스테아르아미드 왁스 및 지방 아미드 왁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상기 조성물은 비-작용화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비-작용화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제2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2개의 혼성중합체(또는 공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특성, 예컨대 용융 점도(177C), 밀도, Mn 또는 Mw/Mn이 상이하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상기 조성물은 ≥ 500 mPaㆍs, 또는 ≥ 600 mPaㆍs, 또는 ≥ 700 mPas, 또는 ≥ 800 mPaㆍs, ≥ 900 mPaㆍs, 또는 ≥ 1,000 mPaㆍs의 용융 점도(177℃)를 가진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상기 조성물은 ≤ 5,000 mPaㆍs, 또는 ≤ 4,500 mPaㆍs, 또는 ≤ 4,000 mPaㆍs, 또는 ≤ 3,500 mPaㆍs, 또는 ≤ 3,000 mPaㆍs, 또는 ≤ 2,500 mPaㆍs, 또는 ≤ 2,000 mPaㆍs, 또는 ≤ 1,500 mPaㆍs의 용융 점도(177℃)를 가진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상기 조성물은 ≥ 40℃, 또는 ≥ 45℃, 또는 ≥ 50℃, 또는 ≥ 55℃, ≥ 60℃의 열 응력을 가진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상기 조성물은 ≤ 95℃, 또는 ≤ 90℃, 또는 ≤ 85℃, 또는 ≤ 80℃, 또는 ≤ 75℃의 열 응력을 가진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상기 조성물은 70% 내지 100%, 또는 75% 내지 100%, 또는 80% 내지 100%, 또는 85% 내지 100%, 또는 90% 내지 100%의 섬유 인열(Fiber Tear)(-20℃)을 가진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상기 조성물은 70% 내지 100%, 또는 75% 내지 100%, 또는 80% 내지 100%의 섬유 인열(23℃)을 가진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상기 조성물은 70% 내지 100%, 또는 75% 내지 100%, 또는 80% 내지 100%, 또는 85% 내지 100%, 또는 90% 내지 100%의 섬유 인열(60℃)을 가진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상기 조성물은 UV 바니시드 기재 또는 조밀형 골판지에 본딩 시, 70% 내지 100%, 또는 75% 내지 100%, 또는 80% 내지 100%, 또는 85% 내지 100%, 또는 90% 내지 100%의 섬유 인열(-20℃)을 가진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상기 조성물은 UV 바니시드 기재 또는 조밀형 골판지에 본딩 시, 70% 내지 100%, 또는 75% 내지 100%, 또는 80% 내지 100%의 섬유 인열(23℃)을 가진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상기 조성물은 UV 바니시드 기재 또는 조밀형 골판지에 본딩 시, 70% 내지 100%, 또는 75% 내지 100%, 또는 80% 내지 100%, 또는 85% 내지 100%, 또는 90% 내지 100%의 섬유 인열(60℃)을 가진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상기 조성물은 펠렛 형태(예를 들어, 단일 펠렛)이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상기 조성물은, 필름 24.6 cm3 당 ≤ 20, 또는 ≤ 18, 또는 ≤ 16, 또는 ≤ 14, 또는 ≤ 12, 또는 ≤ 10, 또는 ≤ 8.0, 또는 ≤ 7.0, 또는 ≤ 6.0, 또는 ≤ 5.0 mm2의 겔 함량 (GI200)을 가진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 0.10 중량%, 또는 < 0.05 중량%, 또는 < 0.01 중량%의 EVA를 포함한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EVA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 0.10 중량%, 또는 < 0.05 중량%, 또는 < 0.01 중량%의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포함한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 0.10 중량%, 또는 < 0.05 중량%, 또는 < 0.01 중량%의, 중합된 형태의 스티렌을 함유하는 중합체를 포함한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중합된 형태의 스티렌을 함유하는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 0.10 중량%, 또는 < 0.05 중량%, 또는 < 0.01 중량%의 플루오로-함유 중합체를 포함한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플루오로-함유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 0.10 중량%, 또는 < 0.05 중량%, 또는 < 0.01 중량%의 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폴리우레탄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상기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첨가제는 항산화제, 난연제, UV 안정화제, 가소제, 착색제, 충전제(예를 들어, 무기 충전제) 및 슬립제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최종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 초과, 또는 ≥ 0.1 중량%, 또는 ≥ 0.2 중량%, 또는 ≥ 0.5 중량% 내지 ≤ 10.0 중량%, 또는 ≤ 5.0 중량%, 또는 ≤ 2.0 중량%, 또는 ≤ 1.0 중량%의 조합 중량의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한다.
또한, 본원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구현예의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물품이 제공된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상기 물품은 필름 구조물, 접착성 프라이머 조성물, 분산액, 자동차 부품, 또는 건물 또는 건설 부품으로부터 선택된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상기 물품은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필름 구조물로부터 선택된다.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중합체는 상기 혼성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60 중량% 이상, 나아가 70 중량% 이상, 나아가 80 중량% 이상, 나아가 85 중량% 이상, 또는 90 중량%의 중합된 에틸렌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는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이다.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바람직하게는 C3-C10 α-올레핀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보다 바람직한 α-올레핀은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및 1-옥텐을 포함하고, 나아가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하고, 나아가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 0.855 g/cc, 또는 ≥ 0.860 g/cc, 또는 ≥ 0.865 g/cc, 또는 ≥ 0.870 g/cc의 밀도(1 cc = 1 cm3)를 가진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 0.920 g/cc, 또는 ≤ 0.915 g/cc, 또는 ≤ 0.910 g/cc, 또는 ≤ 0.905 g/cc, 또는 ≤ 0.900 g/cc의 밀도를 가진다. 적합한 α-올레핀은 상기에 기재되어 있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 100 dg/분, ≥ 150 dg/분, 또는 ≥ 200 dg/분, 또는 ≥ 250 dg/분, 또는 ≥ 300 dg/분, 또는 ≥ 350 dg/분의 용융 지수(I2, 2.16 kg, 190℃)를 갖는다.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 2500 dg/분, 또는 ≤ 2000 dg/분, 또는 ≤ 1500 dg/분, 또는 ≤ 1000 dg/분, 또는 ≤ 500 dg/분의 용융 지수(I2, 2.16 kg, 190℃)를 갖는다. 적합한 α-올레핀은 상기에 기재되어 있다.
에틸렌계 혼성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2개 이상의 구현예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의 개요
a) 하기 특성을 포함하는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A) ≥ 1.80의 중합체 사슬 당 그래프트의 수; 및
B) ≤ 50,000 mPaㆍs의 용융 점도(177℃에서).
b) 상기 a)에 있어서, 상기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는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인, 조성물.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c) 상기 a) 또는 b)에 있어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 0.855 g/cc, 또는 ≥ 0.860 g/cc, 또는 ≥ 0.865 g/cc, 또는 ≥ 0.870 g/cc의 밀도(1 cc = 1 cm3)를 갖는, 조성물.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d) 상기 a) 내지 c)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 0.900 g/cc, 또는 ≤ 0.895 g/cc, 또는 ≤ 0.890 g/cc, 또는 ≤ 0.885 g/cc의 밀도(1 cc = 1 cm3)를 갖는, 조성물.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e) 상기 a) 내지 d)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0.855 내지 0.900 g/cc, 또는 0.860 내지 0.890 g/cc, 또는 0.865 내지 0.885 g/cc의 밀도를 갖는, 조성물.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f) 상기 a) 내지 e)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 5,000 mPaㆍs, 또는 ≥ 6,000 mPaㆍs, 또는 ≥ 7,000 mPaㆍs, 또는 ≥ 8,000 mPaㆍs, ≥ 9,000 mPaㆍs, 또는 ≥ 10,000 mPaㆍs, 또는 ≥ 12,000 mPaㆍs의 용융 점도(177℃)를 갖는, 조성물.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g) 상기 a) 내지 f)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 45,000 mPaㆍs, 또는 ≤ 40,000 mPaㆍs, 또는 ≤ 35,000 mPaㆍs, 또는 ≤ 30,000 mPaㆍs, 또는 ≤ 25,000 mPaㆍs의 용융 점도(177℃)를 갖는, 조성물.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h) 상기 a) 내지 g)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 28,000 mPaㆍs, 또는 ≤ 26,000 mPaㆍs, 또는 ≤ 24,000 mPaㆍs, 또는 ≤ 22,000 mPaㆍs의 용융 점도(177℃)를 갖는, 조성물.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i) 상기 a) 내지 h)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5,000 내지 30,000 mPaㆍs, 10,000 내지 28,000 mPaㆍs, 또는 12,000 내지 26,000 mPaㆍs, 또는 14,000 내지 24,000 mPaㆍs, 또는 16,000 내지 22,000 mPaㆍs의 용융 점도(177℃)를 갖는, 조성물.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j) 상기 a) 내지 i)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인, 조성물.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k) 상기 a) 내지 j)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말레산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인, 조성물.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l) 상기 a) 내지 k)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 5 중량%, 또는 ≥ 10 중량%, 또는 ≥ 1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m) 상기 a) 내지 l)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 60 중량%, 또는 ≤ 55 중량%, 또는 ≤ 50 중량%, 또는 ≤ 4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n) 상기 a) 내지 m)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중합체 사슬 당 ≥ 1.85, 또는 ≥ 1.90, 또는 ≥ 1.95, 또는 ≥ 2.00의 그래프트를 갖는, 조성물. 본원에서 용어 "그래프트"는 그래프팅된 산 및/또는 무수물 작용화제를 지칭한다.
o) 상기 a) 내지 n)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중합체 사슬 당 ≤ 5.00, 또는 ≤ 4.50, 또는 ≤ 4.00, 또는 ≤ 3.50의 그래프트를 갖는, 조성물.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p) 상기 a) 내지 o)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상기 혼성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 1.0, 또는 ≥ 1.2, 또는 ≥ 1.4 또는 ≥ 1.8 중량%의 그래프팅된 산 및/또는 무수물 기를 갖는, 조성물.
q) 상기 a) 내지 p)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상기 혼성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 6.0 또는 ≤ 5.5, 또는 ≤ 5.0 또는 ≤ 4.5의 그래프팅된 산 및/또는 무수물을 갖는, 조성물.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r) 상기 a) 내지 q)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 5,000 g/mole, 또는 ≥ 6,000 g/mole, 또는 ≥ 7,000 g/mole, 또는 ≥ 8,000 g/mole, ≥ 9,000 g/mole, 또는 ≥ 10,000 g/mole의 수 평균 분자량(Mn)을 갖는, 조성물.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s) 상기 a) 내지 r)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 50,000 g/mole, 또는 ≤ 45,000 g/mole, 또는 ≤ 40,000 g/mole, 또는 ≤ 35,000 g/mole, 또는 ≤ 30,000 g/mole, 또는 ≤ 25,000 g/mole, 또는 ≤ 20,000 g/mole, 또는 ≥ 15,000 g/mole의 수 평균 분자량(Mn)을 갖는, 조성물.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t) 상기 a) 내지 s)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 1.80, 또는 ≥ 1.90, 또는 ≥ 2.00, 또는 ≥ 2.10의 분자량 분포(Mw/Mn)를 갖는, 조성물.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u) 상기 a) 내지 t)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 3.00, 또는 ≤ 2.80, 또는 ≤ 2.60, 또는 ≤ 2.40의 분자량 분포(Mw/Mn)를 갖는, 조성물.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v) 상기 a) 내지 u)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 95 중량%, 또는 ≥ 98 중량%, 또는 ≥ 99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적합한 α-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추가의 C3-C10 α-올레핀, 및 추가의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w) 상기 a) 내지 v)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점착부여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점착부여제는 비제한적으로, 지방족, 지환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 및 변형된 탄화수소 및 수소화된 버전; 테르펜 및 변형된 테르펜 및 수소화된 버전; 및 로진 및 로진 유도체 및 수소화된 버전; 및 이들 점착부여제 중 2개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x) 상기 a) 내지 w)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왁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왁스는 비제한적으로, 파라핀 왁스, 미세결정질 왁스, 고밀도,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열 분해성 왁스, 부산물 폴리에틸렌 왁스, 피셔-트롭쉬 왁스, 산화된 피셔-트롭쉬 왁스, 및 작용화된 왁스, 예컨대 하이드록실 스테아르아미드 왁스 및 지방 아미드 왁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y) 상기 a) 내지 x)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작용화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비-작용화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z) 상기 a) 내지 y)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제2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추가의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2개의 혼성중합체(또는 공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특성, 예컨대 용융 점도(177C), 밀도, Mn 또는 Mw/Mn이 상이한, 조성물.
aa) 상기 a) 내지 z)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 500 mPaㆍs, 또는 ≥ 600 mPaㆍs, 또는 ≥ 700 mPas, 또는 ≥ 800 mPaㆍs, ≥ 900 mPaㆍs, 또는 ≥ 1,000 mPaㆍs의 용융 점도(177℃)를 갖는, 조성물.
bb) 상기 a) 내지 aa)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 5,000 mPaㆍs, 또는 ≤ 4,500 mPaㆍs, 또는 ≤ 4,000 mPaㆍs, 또는 ≤ 3,500 mPaㆍs, 또는 ≤ 3,000 mPaㆍs, 또는 ≤ 2,500 mPaㆍs, 또는 ≤ 2,000 mPaㆍs, 또는 ≤ 1,500 mPaㆍs의 용융 점도(177℃)를 갖는, 조성물.
cc) 상기 a) 내지 bb)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 40℃, 또는 ≥ 45℃, 또는 ≥ 50℃, 또는 ≥ 55℃, ≥ 60℃의 열 응력을 갖는, 조성물.
dd) 상기 a) 내지 cc)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 95℃, 또는 ≤ 90℃, 또는 ≤ 85℃, 또는 ≤ 80℃, 또는 ≤ 75℃의 열 응력을 갖는, 조성물.
ee) 상기 a) 내지 dd)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70% 내지 100%, 또는 75% 내지 100%, 또는 80% 내지 100%, 또는 85% 내지 100%, 또는 90% 내지 100%의 섬유 인열(Fiber Tear)(-20℃)을 갖는, 조성물.
ff) 상기 a) 내지 ee)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70% 내지 100%, 또는 75% 내지 100%, 또는 80% 내지 100%의 섬유 인열(23℃)을 갖는, 조성물.
gg) 상기 a) 내지 ff)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70% 내지 100%, 또는 75% 내지 100%, 또는 80% 내지 100%, 또는 85% 내지 100%, 또는 90% 내지 100%의 섬유 인열(60℃)을 갖는, 조성물.
hh) 상기 a) 내지 gg)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UV 바니시드 기재 또는 조밀형 골판지에 본딩 시, 70% 내지 100%, 또는 75% 내지 100%, 또는 80% 내지 100%, 또는 85% 내지 100%, 또는 90% 내지 100%의 섬유 인열(-20℃)을 갖는, 조성물.
ii) 상기 a) 내지 hh)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UV 바니시드 기재 또는 조밀형 골판지에 본딩 시, 70% 내지 100%, 또는 75% 내지 100%, 또는 80% 내지 100%의 섬유 인열(23℃)을 갖는, 조성물.
jj) 상기 a) 내지 ii)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UV 바니시드 기재 또는 조밀형 골판지에 본딩 시, 70% 내지 100%, 또는 75% 내지 100%, 또는 80% 내지 100%, 또는 85% 내지 100%, 또는 90% 내지 100%의 섬유 인열(60℃)을 갖는, 조성물.
kk) 상기 a) 내지 jj)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펠렛 형태(예를 들어, 단일 펠렛)인, 조성물.
ll) 상기 a) 내지 kk)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필름 24.6 cm3 당 ≤ 20, 또는 ≤ 18, 또는 ≤ 16, 또는 ≤ 14, 또는 ≤ 12, 또는 ≤ 10, 또는 ≤ 8.0, 또는 ≤ 7.0, 또는 ≤ 6.0, 또는 ≤ 5.0 mm2의 겔 함량(GI200)을 갖는, 조성물.
mm) 상기 a) 내지 ll)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 0.10 중량%, 또는 < 0.05 중량%, 또는 < 0.01 중량%의 EVA를 포함하는, 조성물. 추가의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EVA를 포함하지 않는다.
nn) 상기 a) 내지 mm)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 0.10 중량%, 또는 < 0.05 중량%, 또는 < 0.01 중량%의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추가의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oo) 상기 a) 내지 nn)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 0.10 중량%, 또는 < 0.05 중량%, 또는 < 0.01 중량%의, 중합된 형태의 스티렌을 함유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추가의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중합된 형태의 스티렌을 함유하는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pp) 상기 a) 내지 oo)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 0.10 중량%, 또는 < 0.05 중량%, 또는 < 0.01 중량%의 플루오로-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추가의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플루오로-함유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qq) 상기 a) 내지 pp)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 0.10 중량%, 또는 < 0.05 중량%, 또는 < 0.01 중량%의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조성물. 추가의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폴리우레탄을 포함하지 않는다.
rr) 상기 a) 내지 qq)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첨가제는 항산화제, 난연제, UV 안정화제, 가소제, 착색제, 충전제(예를 들어, 무기 충전제) 및 슬립제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ss) 상기 a) 내지 rr)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최종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 초과, 또는 ≥ 0.1 중량%, 또는 ≥ 0.2 중량%, 또는 ≥ 0.5 중량% 내지 ≤ 10.0 중량%, 또는 ≤ 5.0 중량%, 또는 ≤ 2.0 중량%, 또는 ≤ 1.0 중량%의 조합 중량의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tt) 상기 a) 내지 ss)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물품.
uu) 상기 tt)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필름 구조물, 접착성 프라이머 조성물, 분산액, 자동차 부품, 또는 건물 또는 건설 부품으로부터 선택되는, 물품. 본원에 기재된 일 구현예, 또는 구현예들의 조합에서, 상기 물품은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필름 구조물로부터 선택된다.
정의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모든 시험 방법은 본 개시내용의 출원일 당시 유효한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물질 또는 물질들의 혼합물뿐만 아니라 조성물의 물질로부터 형성된 반응 생성물 및 분해 생성물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임의의 반응 생성물 및/또는 분해 생성물은 미량으로 존재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중합체"는 동일한 유형 또는 상이한 유형인지와 무관하게 단량체를 중합함으로써 제조된 중합체 화합물을 지칭한다. 따라서, 일반적 용어 중합체는 이하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 동종중합체(단지 하나의 유형의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중합체를 지칭하기 위해 이용되며, 이때 미량의 불순물이 중합체 구조 내에 혼입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됨) 및 용어 혼성중합체를 포함한다. 미량의 불순물, 예를 들어 촉매 잔류물이 중합체 내로 및/또는 중합체 내에 혼입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혼성중합체"는 적어도 2가지의 상이한 유형의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제조된 중합체를 지칭한다. 따라서, 일반적 용어 혼성중합체는, 공중합체(2가지 상이한 유형의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중합체를 지칭하는 데 이용됨), 및 2가지 초과의 상이한 유형의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중합체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올레핀계 중합체"는 상기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또는 대부분 양의 중합된 형태의 올레핀 단량체, 예를 들면,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는 중합체를 지칭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는 (상기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대부분 양의 올레핀 단량체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상기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대부분의 양의 중합된 형태의 프로필렌 단량체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는 중합체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에틸렌계 중합체"는, (상기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50 중량% 또는 대부분 양의 중합된 형태의 에틸렌 단량체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는 중합체를 지칭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에틸렌계 중합체는 (상기 에틸렌계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대부분 양의 에틸렌 단량체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상기 혼성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50 중량% 또는 대부분 양의 중합된 형태의 에틸렌 단량체, 및 적어도 하나의 α-올레핀을 포함하는 혼성중합체를 지칭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대부분 양의 에틸렌 단량체 및 적어도 하나의 α-올레핀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50 중량% 또는 대부분 양의 중합된 형태의 에틸렌 단량체, 및 하나의 α-올레핀을 단지 2가지 단량체 유형으로서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지칭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대부분 양의 에틸렌 단량체 및 하나의 α-올레핀을 유일한 단량체 유형으로서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유사한 용어는 그래프트 형태의 본딩된 카르복실산기 및/또는 본딩된 무수물기를 포함하는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유사한 용어는 그래프트 형태의 본딩된 무수물기를 포함하는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를 지칭한다. 당업계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미량의 무수물기는 예를 들어, 대기 중에서 물과의 반응으로 인해 카르복실산기를 형성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작용화제"는 중합체(즉, 에틸렌계 중합체) 내로(예를 들어, 혼입됨) 및/또는 중합체 상으로(예를 들어, 그래프트됨) 본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작용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작용기"는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예를 들어, O, N, Si, Cl)를 포함하는 화학기를 지칭한다. 작용기는 불포화를 부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작용기는 산 및 무수물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유리-라디칼 개시제"는 라디칼 반응을 위한 라디칼 화학종을 생성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용어 "포함하는", "포함되는", "갖는" 및 이들의 파생어는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임의의 부가적인 구성성분, 단계 또는 절차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임의의 의심을 피하기 위하여, 용어 "포함하는"의 사용을 통해 청구된 모든 조성물은, 반대로 언급되지 않는 한, 중합체성이든 그렇지 않든 간에 임의의 부가적인 첨가제, 보조제 또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용어 "~로 본질적으로 구성된"은, 실시 가능성에 본질적이지 않은 것을 제외한 임의의 다른 구성성분, 단계 또는 절차를 임의의 계속되는 열거 범위에서 배제한다. 용어 "~로 구성된"은, 구체적으로 나열되거나 열거되지 않은 임의의 구성성분, 단계 또는 절차를 배제한다.
시험 방법
밀도
밀도는 ASTM D792, 방법 B에 따라 측정되었다. 그 결과는 입방 센티미터 당 그램(g)(g/cc 또는 g/cm3)으로 기록되었다.
말레산 무수물 함량(MAH)-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광도법(FTIR) 분석
말레산 무수물의 농도는, 폴리에틸렌 경우 파수 2019 cm-1에서인 중합체 기준 피크에 대한 파수 1791 cm-1에서의 말레산 무수물의 피크 높이의 비에 의해 결정된다. 말레산 무수물 함량은 이 비를 적절한 보정 상수와 곱함으로써 계산된다. 말레산 그래프팅된 올레핀계 중합체에 사용되는 방정식(폴리에틸렌에 대한 기준 피크와 함께)은 방정식 1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하기 형태를 가진다.
MAH (중량%) = A * {[FTIR 피크면적@ 1791 cm-1]/[ FTIR 피크면적 2019 cm-1] + B* [FTIR 피크면적@ 1712 cm-1]/[ FTIR_피크면적@ 2019 cm-1]} (방정식 1)
보정 상수 A는 당업계에 공지된 C13 NMR 표준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실제 보정 상수는 장비 및 중합체에 따라 약간 상이할 수 있다. 파수 1712 cm-1에서의 제2 구성성분은 말레산의 존재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이는 새로 그래프팅된 물질의 경우 무시할 만하다. 그러나, 시간 경과에 따라 수분의 존재 하에, 말레산 무수물은 말레산으로 쉽게 전환된다. 표면적에 따라, 단 며칠 만에 주위 조건 하에 유의미한 가수분해가 일어날 수 있다. 산(acid)은 파수 1712 cm-1에서 별개의 피크를 가진다. 방정식 1에서 상수 B는 무수물과 산 기 사이의 흡광 계수(extinction coefficient) 차이에 대한 교정값이다.
샘플 제조 절차는 150-180℃에서 1시간 동안, 가열된 프레스 내에서 2개의 보호용 필름 사이에 전형적으로 0.05 내지 0.15 밀리미터 두께의 압착물(pressing)을 만듦으로써 시작한다. MYLAR 및 TEFLON은 압반(platen)으로부터 샘플을 보호하는 데 적합한 보호용 필름이다. 알루미늄 호일은 절대 사용되어서는 안된다(말레산 무수물이 알루미늄과 반응함). 압반은 압력(약 10 톤) 하에 약 5분 동안 있어야 한다. 상기 샘플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적절한 샘플 홀더에 배치한 다음, FTIR에서 스캔한다. 각각의 샘플을 스캔하기 이전에 혹은 필요 시에, 배경 스캔이 진행되어야 한다. 시험의 정밀도는 양호하며, 이때 고유(inherent) 변동성은 ±5% 미만이다. 샘플은 과도한 가수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건조제와 함께 보관되어야 한다. 생성물 내 수분 함량은 0.1 중량%만큼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그러나, 산으로의 무수물의 전환이 온도에 따라 가역적이지만, 완전한 전환을 위해서는 1주일까지 소요될 수 있다. 복귀(reversion)는 진공 오븐 내에서 150℃에서 최상으로 수행되며; 양호한 진공(>27 인치 Hg)이 필요하다. 진공이 적당한 수준에 못미친다면, 샘플은 산화하여 대략 1740 cm-1에서 적외선 피크를 초래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그래프트 수준값을 너무 낮게 유발할 것이다. 말레산 무수물 및 산은 각각 약 1791 cm-1 및 1712 cm-1에서의 피크로 표시된다.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은 내부 IR5 적외선 검출기(IR5)가 장착된 PolymerChar GPC-IR(스페인 발렌시아 소재) 고온 GPC 크로마토그래프로 구성된다. 오토샘플러 오븐 격실은 160℃로 설정되고, 컬럼 격실은 150℃로 설정된다. 사용된 컬럼은 4개의 Agilent "혼합형 A" 30 cm 20-마이크론 선형 혼합층 컬럼, 및 20-um 예비-컬럼이다. 크로마토그래피 용매는 200 ppm의 부틸화된 하이드록시톨루엔(BHT)을 함유하는 1,2,4-트리클로로벤젠이다. 용매 공급원을 질소 스파징(sparge)한다. 사용된 주입 부피는 200 마이크로리터이고, 유량은 1.0 밀리리터/분이다.
GPC 컬럼 세트의 보정은 개별 분자량 사이에 적어도 10개의 분리를 갖는, 6개의 "칵테일" 혼합물에 배열된, 580 내지 8,400,000 g/몰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21개의 "좁은 분자량 분포 폴리스티렌 표준물"로 수행된다. 상기 표준물은 Agilent Technologies로부터 구입된다. 폴리스티렌 표준물을, 1,000,000 g/몰 이상의 분자량의 경우 "50 밀리리터의 용매 중 0.025 그램"으로 제조하고, 1,000,000 g/몰 미만의 분자량의 경우 "50 밀리리터의 용매 중 0.05 그램"으로 제조한다. 상기 폴리스티렌 표준물을 80℃에서 부드럽게 교반하면서 30분 동안 용해시킨다. 방정식 2(문헌[Williams and Ward, J. Polym. Sci., Polym. Let., 6, 621 (1968)]에 기재된 바와 같음)를 사용하여 폴리스티렌 표준물 피크 분자량을 에틸렌계 중합체 분자량으로 전환시키며:
Figure pct00001
(방정식 2), 여기서, M은 분자량이며, A는 0.4315의 값을 갖고, B는 1.0과 동일하다.
각각의 에틸렌계 중합체-당량 보정점에 정합되도록 5차 다항식을 사용한다. NIST 표준물 NBS 1475를 52,000 g/mol의 분자량으로 수득하도록 컬럼 분해능 및 대역-확장 효과(band-broadening effects)를 교정하기 위해 A를 약간 조정한다(대략 0.415 내지 0.44).
GPC 컬럼 세트의 총 플레이트 카운트는 에이코산("50 밀리리터의 TCB 중 0.04 g"으로 제조되고, 부드럽게 교반하면서 20분 동안 용해됨)으로 수행한다. 플레이트 카운트(방정식 3) 및 대칭(방정식 4)을 하기 방정식에 따라 200 마이크로리터 주입 시 측정하며:
Figure pct00002
(방정식 3), 상기 방정식 3에서, RV는 체류 체적을 밀리리터 단위로 나타낸 것이며, 피크 폭은 밀리리터 단위이고, 피크 최대치는 피크의 최대 높이이며, 1/2 높이는 피크 최대치의 1/2 높이이고;
Figure pct00003
(방정식 4), 상기 방정식 4에서, RV는 체류 체적을 밀리리터 단위로 나타낸 것이며, 피크 폭은 밀리리터 단위이고, 피크 최대치는 피크의 최대 높이이며, 1/10 높이는 피크 최대치의 1/10 높이이고, 후미(rear) 피크는 피크 최대치 이후의 체류 체적에서의 피크 테일(peak tail)을 지칭하며, 선두(front) 피크는 피크 최대치 이전의 체류 체적 앞의 피크를 지칭한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을 위한 플레이트 카운트는 22,000보다 커야 하고, 대칭도는 0.98 내지 1.22여야 한다.
샘플은 PolymerChar "기기 제어(Instrument Control)"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반자동 방식으로 제조되며, 여기서, 상기 샘플을 2 mg/ml로 중량-표적화하고, 용매(200 ppm BHT를 함유하였음)를 질소로 미리 스파징된 격벽 마개를 갖는(septa-capped) 바이알에 PolymerChar 고온 오토샘플러를 통해 첨가한다. 샘플을 "저속" 진탕(shaking) 하에 160℃에서 3시간 동안 용해시킨다.
Mn(GPC), Mw(GPC) 및 Mz(GPC)의 계산은 PolymerChar GPCOne™ 소프트웨어, 각각 등간격을 갖는 데이터 수집점(i)에서 기준선-차감된(baseline-subtracted) IR 크로마토그램(IR i ), 및 방정식 6으로부터 상기 점 i에 대한 좁은 표준물 보정 곡선으로부터 수득된 에틸렌계 중합체 당량 분자량(g/mol로 표기된 M 폴리에틸렌,i )을 사용하여, 방정식 5 내지 8에 따라, PolymerChar GPC-IR 크로마토그래프의 내부 IR5 검출기(측정 채널)를 사용한 GPC 결과에 기초한다. 후속하여, 에틸렌계 중합체 샘플에 대한 GPC 분자량 분포(GPC-MWD) 플롯(wtGPC(lgMW) 대 lgMW 플롯, 여기서 wtGPC(lgMW)는 IgMW의 분자량을 갖는 에틸렌계 중합체 분자의 중량 분율임)이 수득될 수 있다. 분자량은 g/몰이고, wtGPC(lgMW)는 하기 방정식 5를 따른다:
Figure pct00004
(방정식 5).
수-평균 분자량(Mn(GPC)), 중량-평균 분자량(Mw(GPC)) 및 z-평균 분자량(Mz(GPC))은 하기 방정식으로서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ct00005
(방정식 6),
Figure pct00006
(방정식 7);
Figure pct00007
(방정식 8).
시간 경과에 따른 편차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PolymerChar GPC-IR 시스템으로 제어되는 마이크로펌프를 통해 유량 마커(데칸)를 각각의 샘플 내로 도입한다. 이 유량 마커(FM)는 좁은 표준물 보정 내에서의 데칸 피크의 RV 정렬(RV(FM 보정됨))에 대한 샘플 내의 각각의 데칸 피크의 RV 정렬(RV(FM 샘플))에 의해 각각의 샘플에 대해 펌프 유량(유량(공칭))을 선형으로 교정하는 데 사용된다. 그 다음, 데칸 마커 피크 시간에서의 임의의 변화는 전체 진행 동안 유량의 선형-이동(유량(유효))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 유동 마커 피크의 RV 측정의 최고 정확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최소-자승 피팅 루틴이 사용되어 유동 마커 농도 크로마토그램의 피크를 2차 방정식에 맞춘다. 그 다음, 상기 2차 방정식의 1차 도함수가 실제 피크 위치를 풀기 위해 사용된다. 유량 마커 피크에 기초하여 시스템을 보정한 후, (좁은 표준물 보정에 대한) 유효 유량은 방정식 9로서 계산된다. 유량 마커 피크의 처리는 PolymerChar GPCOne™ 소프트웨어를 통해 수행된다. 허용 가능한 유량 교정은 유효 유량이 공칭 유량의 0.5% 이내에 있어야 하는 정도이다.
Figure pct00008
(방정식 9).
사슬 당 그래프트 계산 방법
사슬 당 그래프트를 하기 식 A를 사용하여 계산한다:
Figure pct00009
(식 A), 상기 식 A에서, 98은 MAH 분자량이다. 그래프팅된 중합체의 수 평균 분자량(Mn)은 GPC 시험 방법(상기 기재됨)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섬유 인열
섬유 인열(%) UV 바니시드 기재 또는 조밀형 골판지를 사용한 조성물의 섬유 인열 퍼센트(FT)를 표준화된 방법에 따라 결정하였다. 샘플 조성물의 비드(0.00014 lb/in)를 Olinger 본드 시험기를 사용하여 판지 쿠폰(5 x 6 cm) 상에 적용하고, 제2 쿠폰을 상기 샘플 조성물의 상부 상에 빠르게 배치하였다. 약 3초 동안 가볍게 손가락으로 압력을 가하여 본드를 제자리에 고정시켰다. 샘플을 실온 및 50% 상대 습도에서 적어도 4시간 동안 컨디셔닝하였다. 다음, 샘플을 시험 온도에서 5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컨디셔닝하였다. 샘플(n=5)을 손을 이용하고 파괴 모드(섬유 인열, 응집 파괴, 접착 파괴)에 의해 떼어내고, 평균 결과를 기록하였다.
열 응력
열 응력 저항(열 응력)을, Institute of Packaging Professions(IoPP)에 의해 제조된 "Suggested Test Method for Determining the Heat Stress Resistance of Hot Melt Adhesives," 방법 T-3006에 따라 측정하였다. 하나의 샘플을 제조하기 위해, 2 인치(50.8 mm) x 3-3/16 인치(81 mm), 및 2 인치(50.8 mm) x 5-1/2 인치(139.7 mm)의 치수를 갖는 Inland Corrugated Cardboard로부터 입수 가능한 2개의 판지 쿠폰(길이 방향에서 진행되는 플루트(flute)를 갖는 절단물)을, 0.00014 lb/인치의 조성물을 Olinger 본드 시험기(적용 온도 177℃)를 사용하여 적용함으로써 본딩시키고, 이 시험기를 사용하여 쿠폰을 일정 압력에서 압축시켰으며 이때 추가의 열 적용은 없었다. 상기 조성물을 더 짧은 쿠폰의 중심에서 플루트에 수직으로 적용하였고, 상기 쿠폰을 상기 조성물이 긴 쿠폰의 한 단부로부터 ¾ 인치(19 mm)가 되도록 본딩시켰다. 각각의 조성물에 대해 5개의 복제물을 만들었다. 각각의 쿠폰을 22℃-23℃ 및 50% 상대 습도에서 24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그 다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짧은 쿠폰 단부가 샘플 홀더(12)의 모서리와 정렬되도록 샘플(10)을 샘플 홀더(12)에 로딩하였다. 샘플(10)은 샘플 홀더(10)의 넓은 플레이트(14)로 제자리에 고정되었고, 상기 플레이트(14)는 윙너트(16)에 의해 샘플 홀더(12)에 고정되었다. "200 g" 추(18)를 본드로부터 3.94 인치(100 mm)의 거리에서 쿠폰(20)에 부착시켰다. 추(18)는 상기 추에 부착된 페그(peg)를 더 긴 쿠폰의 단부에서 만들어진 홀에 놓음으로써 고정되었다. 그 후에, 쿠폰(20) 및 부착된 추(18)를 함유하는 샘플 홀더(12)를 설정된 온도에서 평형화된 대류 오븐(도시되지 않음) 내에 배치하고, 상기 오븐에서 24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24시간의 종료 시, 적어도 80%의 본드(즉, 4개의 본드)가 실패하지 않으면, 샘플은 시험 온도에서 내열성 시험을 통과한 것으로 간주된다. 최대 통과 열 응력 저항(온도)이 결정될 때까지 오븐 온도를 변화시켰다. 모든 새로운 본딩 쿠폰 샘플을 각각의 시험 온도에 사용하였다. 결과는 열 응력 온도(℃)로 보고된다.
용융-점도
용융 점도(177℃ 또는 주지된 온도에서)는 Brookfield 점도계 모델 및 Brookfield RV-DV-II-Pro 점도계 스핀들 31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샘플을 알루미늄 일회용 튜브형 챔버에 붓고, 이를 다시 Brookfield Thermosel 내로 삽입하고 제자리에 고정시켰다. 샘플 챔버는 Brookfield Thermosel의 하단에 맞는 노치를 상기 하단 상에 갖고 있어서, 스핀들이 삽입되고 회전할 때 챔버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용융된 샘플이 샘플 챔버의 상단보다 1 인치 아래에 올 때까지, 샘플(대략 8-10 그램)을 필요한 온도까지 가열하였다. 점도계 장치를 낮추고, 스핀들을 샘플 챔버의 중간부에 침지시켰으며, 여기서, 상기 스핀들은 챔버의 측면에 닿지 않았다. 점도계 상의 브래킷(bracket)이 Thermosel 상에 정렬될 때까지 계속 낮추었다. 점도계를 켜고 정상(steady) 전단 속도로 작동하도록 설정하여, 점도계의 rpm 출력을 기준으로 총 토크 용량의 40 내지 60% 범위의 토크 판독값을 초래하였다. 15분 동안, 또는 값이 안정화될 때까지 매분마다 판독을 수행하였고, 이 시점에서 최종 판독을 기록하였다.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DSC)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DSC)은 광범위한 온도에 걸쳐 중합체의 용융, 결정화, 및 유리전이 거동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CS(냉장 냉각 시스템) 및 오토샘플러가 장착된 TA Instruments Q1000 DSC를 사용하여, 이 분석을 수행하였다. 시험 동안, 50 ml/분의 질소 퍼지 가스 유동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샘플을 190℃에서 박막으로 용융 압축시킨 다음, 용융된 샘플을 실온(25℃)까지 공냉시켰다. "3-10 mg", 6 mm 직경의 시편을 냉각된 중합체로부터 추출하며, 칭량하고, 경량 알루미늄 팬(50 mg)에 배치시키고, 압착 폐쇄시켰다. 그 다음, 이의 열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샘플 온도를 상하로 램핑(ramping)하여 열 유량 대 온도 프로파일을 생성함으로써 샘플의 열 거동을 결정하였다. 먼저, 샘플을 180℃까지 빠르게 가열하고 3분 동안 등온으로 유지시켜, 이의 열 이력을 제거하였다. 다음, 샘플을 10℃/분의 냉각 속도로 -80℃까지 냉각시키고, 등온을 -80℃에서 3분 동안 유지시켰다. 그 다음, 샘플을 10℃/분의 가열 속도로 180℃(이것은 "제2 열" 램프임)까지 가열하였다. 냉각 및 제2 가열 곡선을 기록하였다. 결정된 값은 외삽된(extrapolated) 용융 개시, Tm 및 외삽된 결정화 개시, Tc이다.
융해열(Hf) 및 피크 용융 온도는 제2 가열 곡선으로부터 보고되었다. 피크 결정화 온도는 냉각 곡선으로부터 결정되었다.
용융점 Tm은 먼저 용융 전이의 출발과 종료 사이에서 기준선을 드로잉함으로써 DSC 가열 곡선으로부터 결정되었다. 그 다음, 접선을 용융 피크의 저온 측(side) 상의 데이터로 드로잉하였다. 이 선이 기준선과 교차하는 곳은 외삽된 용융 개시 용융(Tm)이다. 이는 문헌[Bernhard Wunderlich, The Basis of Thermal Analysis, in Thermal Characterization of Polymeric Materials 92, 277-278 (Edith A. Turi ed., 2d ed. 1997)]에 기재된 바와 같다.
결정화 온도 Tc는 결정화 피크의 고온 측 상에서 접선이 드로잉된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같이 DSC 냉각 곡선으로부터 결정되었다. 이 접선이 기준선과 교차하는 곳은 외삽된 결정화 개시(Tc)이다.
유리 전이 온도 Tg는, 문헌[Bernhard Wunderlich, The Basis of Thermal Analysis, in Thermal Characterization of Polymeric Materials 92, 278-279 (Edith A. Turi ed., 2d ed. 199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샘플의 절반이 액체열 용량을 획득한 경우 DSC 가열 곡선으로부터 결정되었다. 기준선은 유리 전이 영역의 아래위로부터 드로잉되었고, Tg 영역을 통해 외삽되었다. 샘플 열용량이 이들 기준선 사이에서 중간에 있는 온도가 Tg이다.
박리 접착 실패 온도(PAFT) 및 전단 접착 실패 온도(SAFT)
박리 접착 실패 온도(PAFT)는 박리 모드에서 "100 g 중량"으로 ASTM D 4498에 따라 시험되었다. 이 시험은 실온(25℃/77℉)에서 출발되었고, 온도는 0.5℃/분의 평균 속도로 증가되었다.
전단 접착 실패 온도(SAFT)는 전단 모드에서 "500 g 중량"으로 ASTM D 4498에 따라 측정되었다. 이 시험은 실온(25℃/77℉)에서 출발되었고, 오븐 온도는 0.5℃/분의 평균 속도로 램핑되었다. 시편이 실패한 온도를 기록하였다.
PAFT 및 SAFT 시험을 위한 샘플은 각각 6 x 12 인치(152 x 305 mm) 치수의 40 파운드 크래프트 종이 2 장을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길이방향이고 1 인치(25 mm) 갭으로 분리된 하단 시트 상에, 편측(one sided)의, 감압성 테이프, 예컨대 마스킹 테이프의 2개의 "1.75 인치 또는 2.00 인치(45 mm 또는 51 mm) 폭" 스트립을 평행한 방식으로 접착시켰다. 시험될 조성물 샘플을 177℃(350℉)까지 가열하고, 테이프 스트립 사이에 형성된 갭의 중심 아래로 균일하게 드리즐(drizzle)하였다. 그 후에, 조성물이 과도하게 두꺼워질 수 있기 전에, 1개의 막대가 테이프 바로 위에 올라가고 동일한 테이프의 스트립으로 갭의 각각의 측면 상에서, 이어서 제2 막대, 및 (2개의 막대 사이의) 제2 종이 시트가 시밍(shim)되는 2개의 유리 막대는 시트의 길이를 따라 아래로 미끄러졌다. 이는, 제1 로드가 테이프 스트립 사이의 갭에서 조성물을 균일하게 확산시키고 제2 로드가 갭의 상부에 걸쳐 그리고 테이프 스트립의 상부에 제2 시트를 균일하게 압축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그러므로, 샘플 시트의 단일 "1 인치(25.4 mm) 폭" 스트립은 2개의 테이프 스트립 사이에서 생성되었고, 종이 시트를 본딩시켰다. 이렇게 본딩된 시트를 "폭 1 인치(25.4 mm)" 및 "길이 3 인치(76.2 mm)"의 스트립으로 십자형으로 절단하였으며, 각 스트립은 중앙에 "1 인치 x 1 인치(25 mm x 25mm)" 접착제 샘플 본드를 가졌다. 그 다음, 스트립을 원하는 대로 PAFT 및 SAFT 시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MAH 작용화된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1의 제조
반응 혼합물은 취급 및 공급의 편의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미네랄 오일(1:1)로 희석된 베이스 중합체, 말레산 무수물(MAH) 및 퍼옥사이드(POX)로 구성되었다. POX는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산(DBPH, CAS No. 78-63-7)이었고, 이는 Arkema 또는 Akzo Nobel Corp로부터 입수될 수 있다. MAH는 MagnaKron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되었다. "350 SUS 화이트 미네랄 오일"을 사용하여 POX를 희석시켰다. 표 1을 참조한다. 그래프팅 반응을 수행하였고(압출기), 그래프팅된 중합체를 펠렛화하였다.
Figure pct00010
장비 및 실험 조건
그래프팅 반응을 탠덤(tandem)으로 배열된 2개의 92 mm, 동-회전(co-rotating) 트윈 스크류 압출기에서 수행하였다. 각각의 압출기는 11개의 배럴(44 L/D)로 구성되어서, 88의 총 L/D 비를 제공하였다. 각각의 압출기에 대해, 최대 스크류 속도는 625 rpm이고, 모터 출력은 700 HP였다. 압출 셋업에는 "중량 감속식 공급장치(loss-in-weight feeder)"가 장착되어 있고, POX 및 용융된 MAH를 제1 압출기의 배럴 4B 및 배럴 3B 각각에서 압출기 내로 계량하였다. 진행 속도는 1200 내지 2000 lbs/hr이었다. 불활성 분위기를 유지하고 산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압출기 1의 제1 배럴에서 시간 당 대략 5 표준 입방 피트(SCFH)로 질소 가스를 주입하였다. 진공(20' Hg)이 압출기 2의 배럴 10에서 당겨졌다. 압출기 1 및 압출기 2에 대한 작동 조건은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압출기 2의 다운스트림의 "화합 셋업"은 기어 펌프, 스크린 변화기, 워터 슬라이드, 스트랜드 펠렛화기를 포함하였다.
Figure pct00011
펠렛화
습식 절단 워터 슬라이드, 스트랜드 펠렛화기는 공칭 0.125" 다이 홀(die hole) 직경 개구를 갖는 40개의 홀 다이(hole die)로 구성되었다. 상기 워터 슬라이드는 8개의 분무 노즐(구역 당 3개 분무 노즐)을 가졌고, 결과적인 펠렛/물 슬러리를 스핀 드라이어를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물 온도를 50-65℉로부터 유지시켰고, 물을 대략 60 gpm으로 상기 워터 슬라이드에 펌핑하였다. 절단기 속도는 약 1200 ± 150 rpm이었다.
2. 조성물의 제조
조성물, 나아가 핫 멜트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물질은 하기 표 3에 제시되어 있다. 표 3의 출발 물질을 칭량한 다음, 온도 제어기가 장착된 소형 캔 믹서를 사용하여 100 rpm에서 30분 동안 177℃에서 용융 배합한다. 조성물 및 이들의 적용 성능 데이터는 하기 표 3 내지 5에 제공된다.
사슬 당 그래프트를 식 A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예를 들어, EO 1(MAH 작용화된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1)의 경우, 식 A(상기 참조)에서 MAH 그래프트 수준 1.92 중량% 및 Mn 10367 g/mol을 치환하면, 그래프트 당 사슬 = (1.92/98)/(98.08/10367) = 2.07이다.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UV 바니시드 기재에 대한 핫 멜트 접착제 조성물 및 적용 성능 데이터는 표 4에 열거된다. 표 4에 제시된 바와 같이, MAH 작용화된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실시예 1 및 실시예 2)은 (i) -20℃ 내지 60℃ 범위에서 더 높은 섬유 인열(≥80%), 및 (ii) EVA(CS.1) 또는 GA 1950 단독(CS.2) 또는 GA1950과 GA 1000R(CS.3 및 CS.4) 또는 주지된 바와 같이 사슬 당 더 낮은 그래프트를 갖는 GA 1950과 MAH 그래프팅된 에틸렌계 중합체(CS.5, CS.6, CS.7 및 CS.8)를 함유하는 비교 조성물보다 더 높은 열 응력(≥64℃)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4
"조밀형 골판지"에 대한 핫 멜트 접착제 조성물 및 적용 성능 데이터는 표 5에 열거된다. 표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MAH 작용화된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실시예 3)은 (i) -20℃ 내지 60℃ 범위에서 더 높은 섬유 인열(≥80%), 및 (ii) EVA(CS.1) 또는 GA 1900 단독(CS.9) 또는 GA 1900과 GA 1000R(CS.10) 또는 주지된 바와 같이 사슬 당 더 낮은 그래프트를 갖는 GA 1900과 MAH 그래프팅된 에틸렌계 중합체(CS.11 및 CS.12)를 함유하는 비교 조성물보다 더 높은 열 응력(≥60℃)을 나타낸다.

Claims (10)

  1. 하기 특성을 포함하는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A) ≥ 1.80의 중합체 사슬 당 그래프트의 수; 및
    B) ≤ 50,000 mPaㆍs의 용융 점도(177℃에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는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인,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는 0.855 내지 0.900 g/cc의 밀도를 갖는,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는 5.000 내지 30.000 mPaㆍs의 용융 점도(177℃)를 갖는,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는 말레산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인,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 및/또는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는 상기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6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착부여제 및 왁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UV 바니시드(varnished) 기재 또는 조밀형 골판지(dense corrugated cardboard)에 본딩(bond) 시, ≥ 40℃의 열 응력(Heat Stress)을 갖는,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UV 바니시드 기재 또는 조밀형 골판지에 본딩 시, -20℃ 내지 60℃ 범위에서 ≥ 80%의 섬유 인열(Fiber Tear)을 갖는,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물품.
KR1020207031160A 2018-04-12 2018-04-12 높은 그래프트 수준을 갖는 작용화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KR1026564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082781 WO2019196051A1 (en) 2018-04-12 2018-04-12 Functionalized ethylene/alpha-olefin interpolymers with high graft leve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522A true KR20200142522A (ko) 2020-12-22
KR102656424B1 KR102656424B1 (ko) 2024-04-12

Family

ID=68163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1160A KR102656424B1 (ko) 2018-04-12 2018-04-12 높은 그래프트 수준을 갖는 작용화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618818B2 (ko)
EP (1) EP3774935A4 (ko)
JP (1) JP7373501B2 (ko)
KR (1) KR102656424B1 (ko)
CN (1) CN111868107B (ko)
BR (1) BR112020019570B1 (ko)
WO (1) WO201919605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2176A (ko) * 2006-06-15 2014-01-29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관능화된 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6120A (ja) * 1984-11-22 1986-06-13 Mitsui Petrochem Ind Ltd 液状変性エチレン系ランダム共重合体
JP2706754B2 (ja) * 1993-11-26 1998-01-28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アスファルト改質剤及びアスファルト組成物
JP2909698B2 (ja) * 1994-04-13 1999-06-23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電子写真トナー用離型剤
US7125929B2 (en) 2004-05-11 2006-10-24 Equistar Chemicals, Lp Adhesive composition having improved clarity for coextruded barrier films
JP2006052246A (ja) 2004-08-10 2006-02-23 Seiko Polymer Corp 不飽和カルボン酸変性ポリ−α−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および製造方法
US7253231B2 (en) * 2005-01-31 2007-08-07 Afton Chemical Corporation Grafted multi-functional olefin copolymer VI modifiers and uses thereof
US7378481B1 (en) 2007-02-08 2008-05-27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Hot Melt Adhesives
US8076407B2 (en) * 2008-02-08 2011-12-13 Henkel Ag & Co. Kgaa Hot melt adhesive
CN101747576B (zh) 2008-12-22 2012-05-23 上海日之升新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粘结pa的热塑性弹性体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9052671B2 (en) * 2009-02-03 2015-06-09 Xerox Corporation Method for paper treatment
CN103813901B (zh) 2011-09-19 2016-08-24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多层结构件和由其制备的制品
WO2013185340A1 (en) * 2012-06-15 2013-12-1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dhesive compositions containing modified ethylene-based polymers
US20140079897A1 (en) 2012-09-14 2014-03-20 Henkel Corporation Adhesive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WO2014040271A1 (en) * 2012-09-14 2014-03-20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ion containing a low viscosity ethylene/alpha-olefin copolymer or a low viscosity functionalized ethylene/alpha-olefin copolymer
JP6736465B2 (ja) 2013-12-30 2020-08-05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官能化低粘度エチレン系ポリマー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
WO2016026121A1 (en) 2014-08-21 2016-02-2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dhesive compositions comprising low molecular weight functionalized olefin-based polymers
CN108138017B (zh) 2015-09-30 2020-07-24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粘合剂组合物
EP3159387A1 (en) 2015-10-23 2017-04-26 Bostik Sa Hot-melt adhesive composition for elastic attachments
BR112019007381B1 (pt) 2016-10-12 2022-12-20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rocesso para formar um "polímero à base de etileno funcionalizado
WO2018098796A1 (en) 2016-12-02 2018-06-0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rocess to form a composition containing functionalized and un-functionalized ethylene-based polym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2176A (ko) * 2006-06-15 2014-01-29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관능화된 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73501B2 (ja) 2023-11-02
EP3774935A1 (en) 2021-02-17
US11618818B2 (en) 2023-04-04
WO2019196051A1 (en) 2019-10-17
EP3774935A4 (en) 2021-12-01
CN111868107A (zh) 2020-10-30
JP2021526163A (ja) 2021-09-30
BR112020019570A2 (pt) 2021-01-05
CN111868107B (zh) 2023-06-13
US20210198473A1 (en) 2021-07-01
BR112020019570B1 (pt) 2023-04-25
KR102656424B1 (ko) 2024-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5242B2 (en) Adhesive compositions containing modified ethylene-based polymers
US10329461B2 (en) Adhesive compositions comprising low molecular weight functionalized olefin-based polymers
AU2014293082B2 (en) Adhesive compositions containing functionalized ethylene/alpha-olefin interpolymers and rosin-based tackifiers
AU2019200305A1 (en) Adhesive compositions containing modified ethylene-based polymers and compatible tackifiers
KR102656424B1 (ko) 높은 그래프트 수준을 갖는 작용화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CN113825814A (zh) 粘合剂组合物
KR20230045047A (ko) 에틸렌 다중-블록 혼성중합체 및 작용화된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기반으로 한 접착제 제제
US20240101800A1 (en) Ethylene/alpha-olefin interpolymer based compositions with excellent adhesion properties
WO2018044275A1 (en) Ethylene/c3-c6 alpha-olefin interpolymers with improved pellet flow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