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1739A - 차단벽 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 - Google Patents

차단벽 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1739A
KR20200141739A KR1020190068644A KR20190068644A KR20200141739A KR 20200141739 A KR20200141739 A KR 20200141739A KR 1020190068644 A KR1020190068644 A KR 1020190068644A KR 20190068644 A KR20190068644 A KR 20190068644A KR 20200141739 A KR20200141739 A KR 20200141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
receiving groove
vertical frame
horizontal fr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2794B1 (ko
Inventor
정웅선
Original Assignee
정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웅선 filed Critical 정웅선
Priority to KR1020190068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794B1/ko
Publication of KR20200141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8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closed position about a transverse axis situated in the road surface, e.g. tiltable sections of the road surface, tiltable park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29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ling by sound or vibrations, e.g. rumble strips; specially adapted for enforcing reduced speed, e.g. speed bumps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차단벽 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은, 도로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경사면과 후방 경사면을 가지며, 상부로 개방된 수용홈을 구비하는 방지턱부; 및 상기 수용홈 내에 수용되는 차단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기부는 상기 전방 경사면과 상기 후방 경사면 사이에서 길이방향에 수직한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프레임 및 상기 가로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일단은 상기 가로프레임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용홈 내에서 상기 방지턱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세로프레임을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세로프레임은 상기 가로프레임 및 상기 방지턱부와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차단기부는 상기 가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이 상기 수용홈 내에 수용된 접힘상태와 상기 가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이 상부로 세워져 상기 수용홈의 상부에 배치된 펼침상태 사이에서 변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단벽 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SPEED BUMP HAVING BARRIER FUNCTION}
본 발명은 접철식 차단기가 매입되어 차단벽 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적에 따라서 편리하게 과속 방지턱이나 차량 차단벽으로 용이하게 용도를 전환하여 보행자와 시설물의 안전 및 시설물의 운용 효율 증대뿐만 아니라 대상 차량의 안전까지 확보 가능한 도로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과속 방지턱이란 차량의 주행 속도를 강제로 낮추기 위하여 길바닥에 설치하는 도로 시설물로서, 주거 환경이나 보행자보호를 위해 설치되고, 보통 아스팔트 콘크리트나 플라스토머를 재질로 하여 도로상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차량의 차단장치는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려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주로 철구조물로 제작되며, 필요에 따라 보관장소로부터 이동시켜 필요한 위치에 차단장치로 사용된다.
이러한 과속 방지턱과 차량 차단장치의 기능을 함께 발현할 수 있도록 해서 소정의 목적을 달성하고 새로운 용도를 개발하고자 발명된 종래의 차단벽 겸용 과속 방지턱이 '특허문헌'에 개시되어 있고, 도 1은 종래의 차단벽 겸용 과속 방지턱을 도시한 것이다.
'특허문헌'에 개시된 종래의 차단벽 겸용 과속 방지턱(1)은 방지턱의 양쪽 경사판(2, 3)을 세우거나 눕히는 구동장치(7)를 이용해서 차단벽이나 방지턱으로 용도를 전환하여 사용한다. 구동장치(7)는 와이어(4), 풀리(5) 및 동력부(6)등을 이용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하천고수부지를 공용주차장으로 활용하거나 고수부지공원 및 공원주차장으로 활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고수부지 입구에 보행자 보호를 위한 과속 방지턱이 설치가 되어 있으나 호우경보 등 기상 악화로 고수부지를 폐쇄하고자 할 경우에 필요한 차단벽은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관련 직원들이 일일이 플라스틱 드럼통이나 출입차단 시설물, 심지어는 테이프 등으로 차량의 통행을 차단하고 있는 형편이기 때문에 인력과 시간의 낭비는 물론이고 차단 효율성도 크게 떨어지고 있다.
또한, 지하 주차장의 관리자가 따로 있지 않는 소규모 건물의 경우에는 업무시간 외에 주차장의 무단 사용을 막기위해서 이동식 바리케이트나 차량 출입방해물을 설치하여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고 있으나, 역시 인력의 낭비나 차단 시설물 보관을 위한 장소 등 비효율적인 요소가 많아서 개선의 필요성이 크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된 차량의 과속방지와 차량의 출입 통제의 필요성이 있는 곳에는 반드시 과속 방지턱을 설치하고 차량차단벽을 별도로 보관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앞의 두 가지 용도로서의 사용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손쉽게 용도 전환하여 대응하고 사용할 수 있는 도로 시설물에 대한 필요성은 크다.
하지만, 과속 방지턱의 필요성과 차량 출입통제를 위한 차단벽의 필요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종래의 특허 기술인 차단벽 겸용 과속방지턱은 과속방지턱 전체를 일으켜 세워야하기 때문에 필요한 구동장치가 커서, 과속방지턱의 표준 높이인 75~100mm 내에서 모두 설치되고 구동될 수가 없기 때문에 과속방지턱 설치시에 도로면을 일정 깊이로 파낸 후에 설치가 가능하며, 구동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여 설치비용과 공간활용의 측면에서 불리하다.
등록특허 제10-1699180호 (2017.01.17)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구조물로서 과속 방지턱의 역할과 차단벽의 역할을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설치하고 손쉽게 용도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접철식 차량 차단기가 매입되어 차단벽 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차단벽 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은, 도로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경사면과 후방 경사면을 가지며, 상부로 개방된 수용홈을 구비하는 방지턱부; 및 상기 수용홈 내에 수용되는 차단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기부는 상기 전방 경사면과 상기 후방 경사면 사이에서 길이방향에 수직한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프레임 및 상기 가로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일단은 상기 가로프레임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용홈 내에서 상기 방지턱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세로프레임을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세로프레임은 상기 가로프레임 및 상기 방지턱부와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차단기부는 상기 가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이 상기 수용홈 내에 수용된 접힘상태와 상기 가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이 상부로 세워져 상기 수용홈의 상부에 배치된 펼침상태 사이에서 변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은 상기 세로프레임의 상기 방지턱부와 연결되는 부분을 수용하는 한 쌍의 제1 수용홈과 상기 세로프레임을 수용하는 복수의 제2 수용홈 및 상기 가로프레임을 수용하는 제3 수용홈을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제1 수용홈은 상기 전방 경사면과 상기 후방 경사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3 수용홈은 한 쌍의 상기 제1 수용홈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폭방향을 따라서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며, 복수의 상기 제2 수용홈은 상기 제3 수용홈의 양측에서 한 쌍의 상기 제1 수용홈을 각각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폭방향에 대해 경사각을 가지며 사선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제1 수용홈은 끝단부가 상기 방지턱부의 상기 폭방향 일측 단부로 개방되고, 상기 제3 수용홈은 끝단부가 상기 방지턱부의 상기 폭방향 타측 단부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홈은 바닥면이 상기 방지턱부의 상기 폭방향 일측 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고, 상기 제3 수용홈은 바닥면이 상기 방지턱부의 상기 폭방향 타측 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용홈은 상기 차단기부가 접힘상태로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방지턱부의 상면 위로 상기 차단기부가 돌출되지 않는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세로프레임은 연결부를 통해 상기 가로프레임 및 상기 방지턱부와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세로프레임과 상기 가로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과 상기 방지턱부를 상호 연결하는 피봇 핀, 상기 피봇 핀의 끝단에 체결되는 피봇 핀 너트, 상기 세로프레임과 상기 가로프레임 사이 및 상기 세로프레임과 상기 방지턱부 사이에 개재되는 피봇 핀 와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기부의 펼침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세로프레임이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세로프레임의 좌우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세로프레임의 회전을 제한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기부는 한 쌍의 상기 제1 수용홈 내에 각각 배치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 수용홈 내에서 상기 세로프레임의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앵커홀이 뚫린 'ㄴ'자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차단기부는 상기 세로프레임에 체결되는 잠금부를 통해서 펼침상태로 유지하도록 잠김고정되며, 상기 잠금부는 한 쌍의 상기 세로프레임을 일체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단에 제공되어 상기 몸체와 단차를 형성하는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는 상기 몸체의 타단에 채워지는 자물쇠를 통해 잠김 및 잠김해제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은 하나의 장치로서 과속 방지턱과 차량 차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과속 방지턱과 차량 차단장치를 각각 구비하여 따로 보관할 필요가 없고, 설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과속 방지턱이 필요한 경우(차량이 지나가는 경우)와 차량 차단이 필요한 경우(차량이 지나가지 못하는 경우)가 배타적이라는 점 때문에 두 개의 목적을 위한 시설물이 같은 위치에 존재하지 못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은 하나의 장치로서 과속 방지턱과 차단벽의 기능을 상황에 따라 적절히 발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과속 방지턱에서 차단벽으로, 차단벽에서 과속 방지턱으로 자체에서 변환만 하면 되기 때문에, 기존에 사람이 차단벽용 설비를 보관 장소로부터 직접 옮기는 것과 같은 수고가 덜어져 유지 및 설치가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은 방지턱과 차단벽으로의 용도 전환을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손쉽게 인력으로 전환이 가능해서 전기 등 구동에너지의 공급이 불가능한 지역에서도 설치 및 용도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은 시설물의 설치에 있어서 기존의 방지턱 전용 과속 방지턱의 설치 방법과 방법이 동일하기 때문에 앞에 개시된 종래의 특허기술에 의한 차단벽 겸용 과속 방지턱의 설치에 필요한 도로 절단 및 설비 매립 작업 등의 부가적인 작업이 필요 없이 간단하게 필요한 부분에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은 도로의 폭이나 차선의 수, 적용 공간의 크기에 따라서 한 개 혹은 수 개를 연이어 혹은 별도로 나열하여 설치가 가능하며, 그 중 한 개 또는 수 개를 과속 방지턱이나 차단벽의 용도로 별도 전환하여 운용 목적에 맞춰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과속 방지턱의 개략도.
도 2a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차단벽 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의 개략도.
도 2b는 도 2a의 과속 방지턱이 차단벽을 구현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a의 과속 방지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및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2b의 과속 방지턱이 차단벽을 구현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과속 방지턱에서 제1 수용홈과 제2 수용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과속 방지턱에서 연결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과속 방지턱에서 고정부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과속 방지턱에서 잠금부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차단벽 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의 개략도 및 차단벽을 구현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0a 및 도 10b는 도 9a의 과속 방지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및 평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도 9b의 과속 방지턱이 차단벽을 구현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및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과속 방지턱에서 연결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과속 방지턱에서 고정부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과속 방지턱의 배열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과속 방지턱의 배열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과속 방지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과속 방지턱을 주차장의 진입로에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상부', '상면', '하', '하부', '하면', '측면'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실제로는 소자나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차단벽 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을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차단벽 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10)은 방지턱부(100)와 차단기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지턱부(100)는 도로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지턱부(100)는 앵커 볼트를 사용해서 도로에 고정될 수 있다.
방지턱부(100)는 차량이 진행하는 방향인 도로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경사면(101)과 후방 경사면(102)을 가질 수 있다. 방지턱부(100)는 전방 경사면(101)을 따라서 길이방향의 중앙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고 이후 후방 경사면(102)을 따라서 높이가 낮아지는 구조, 즉 전방 경사면(101)과 후방 경사면(101) 사이의 중앙이 상부로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전방 경사면(101)과 후방 경사면(102)은 차량의 오름과 내림을 안내할 수 있으며, 방지턱부(100) 중앙의 돌출 높이와 전방 경사면(101)과 후방 경사면(102)의 경사도 등은 차량의 과속 방지를 구현하기 위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방지턱부(100)는 상부로 개방된 수용홈(300)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차단기부(200)는 수용홈(30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차단기부(200)는 접혀진 상태로 수용홈(300) 내에 수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접힘상태에서 방지턱부(100)와 함께 과속 방지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차단기부(200)는 수용홈(300)에서 상부로 펼쳐진 상태로 방지턱부(100)의 상부에 세워질 수 있으며, 이러한 펼침상태에서 방지턱부(100)와 함께 차단기능을 수행하는 차단벽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기부(200)는 펼침상태에서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전방 경사면(101)과 후방 경사면(102) 사이를 가로지르는 구조로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단기부(200)는 전방 경사면과 후방 경사면 사이에서 길이방향에 수직한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프레임(210), 및 가로프레임(2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일단은 가로프레임(210)과 연결되고 타단은 수용홈(300) 내에서 방지턱부(100)와 연결되는 복수의 세로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가로프레임(210)은 차단기부(200)가 세워진 상태에서 구현하는 차단벽의 최상부 가로축을 이루고, 세로프레임(220)은 가로프레임(210)을 지지하며 차단벽의 수직축을 이루고 차단벽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복수의 세로프레임(220)은 가로프레임(210) 및 방지턱부(100)와 연결부(240)를 통해서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차단기부(200)는 접철식 구조를 가지며, 세로프레임(220) 및 가로프레임(210)이 수용홈(300) 내에 수용된 접힘상태와 세로프레임(220) 및 가로프레임(210)이 상부로 펼쳐져 수용홈(300)의 상부에 세워진 펼침상태 사이에서 변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접힘상태와 펼침상태 사이의 전환 과정에서 회동이 자유롭도록 연결부(240)는 세로프레임(220)과 가로프레임(210) 및 세로프레임(220)과 방지턱부(100)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피봇 핀(241), 피봇 핀(241)의 끝단에 체결되는 피봇 핀 너트(242), 세로프레임(220)과 가로프레임(210) 사이 및 세로프레임(220)과 방지턱부(100) 사이에 개재되는 피봇 핀 와셔(24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7a 및 도 7b에서와 같이, 차단기부(200)는 방지턱부(100)에 체결되는 고정부(250)를 통해서 펼침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방지턱부(100)의 세로프레임(220)과 연결되는 연결부(240)의 좌우 양쪽에는 각각 고정부(250)가 끼움결합되는 홈(110)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250)는 홈(110)에 끼움결합되어 펼침상태로 세워진 세로프레임(220)의 좌우 양쪽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세로프레임(220)의 회전을 제한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8a 및 도 8b에서와 같이, 차단기부(200)는 세로프레임(220)에 체결되는 잠금부(260)를 통해서 펼침상태를 유지하도록 잠김고정될 수 있다. 잠금부(260)는 연결부(240)를 통해 상호 연결된 한 쌍의 세로프레임(220)을 일체로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잠금부(260)는 한 쌍의 세로프레임(220)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몸체(261) 및 몸체(261)의 일단에 제공되어 몸체(261)와 단차를 형성하는 헤드(26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세로프레임(220) 중 잠금부(260)가 체결되는 한 쌍의 세로프레임(220)은 상부로 세워진 상태에서 가로프레임(210)의 상부 위로 더 연장되는 부분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연장되는 부분에는 잠금부(260)의 몸체(261)가 삽입되는 체결홀(221)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221)은 세로프레임(220)이 세워진 상태에서 가로프레임(210)의 바로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잠금부(260)가 가로프레임(210)의 상부를 가로지르며 한 쌍의 세로프레임(220)에 끼워짐으로써 가로프레임(210)과 세로프레임(220)의 회전을 가로막아 차단기부(200)는 펼침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몸체(261)의 타단에는 자물쇠(PL)가 채워질 수 있으며, 열쇠를 소지한 사용자만이 자물쇠(PL)를 풀도록 하여 잠금부(260)의 잠김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로프레임(210)과 세로프레임(220)의 표면에는 "진입 금지", "차단" 등과 같은 안내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형광색 또는 야광색 등을 사용해 운전자 또는 보행자가 용이하게 인식 및 식별할 수 있도록 표면을 처리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단기부(200)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세워져 펼침상태에서 차단벽을 구현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미도시)과 연계되어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방지턱부(100)는 차단기부(200)를 수용하기 위해 상부로 개방된 수용홈(300)을 구비할 수 있다. 수용홈(300)은 세로프레임(220)의 방지턱부(100)와 연결되는 부분을 수용하는 한 쌍의 제1 수용홈(310)과, 세로프레임(220)을 수용하는 복수의 제2 수용홈(320), 및 가로프레임(210)을 수용하는 제3 수용홈(33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수용홈(310)은 방지턱부(100)의 전방 경사면(101)과 후방 경사면(102)에 각각 구비되고, 제3 수용홈(330)은 한 쌍의 제1 수용홈(3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수용홈(310)과 제3 수용홈(330)은 방지턱부(100)의 폭방향을 따라서 상호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방지턱부(100)의 폭방향은 차량의 진행방향인 도로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수용홈(310)은 방지턱부(100)의 폭방향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제3 수용홈(330)은 방지턱부(100)의 폭방향의 타측 단부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1 수용홈(310)은 끝단부가 방지턱부(100)의 폭방향의 일측 단부로 개방되고, 제3 수용홈(330)은 끝단부가 방지턱부(100)의 폭방향의 타측 단부로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용홈(310)과 제3 수용홈(330) 내에 잔류하는 이물질, 빗물 등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5에서와 같이, 제1 수용홈(310)은 바닥면이 방지턱부(100)의 폭방향의 일측 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고, 제3 수용홈(330)은 바닥면이 방지턱부(100)의 폭방향의 타측 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 빗물 등이 잔류하지 못하고 바로바로 배출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수용홈(320)은 제3 수용홈(330)의 양측에서 한 쌍의 제1 수용홈(310)을 각각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b에서와 같이, 제2 수용홈(320)은 방지턱부(100)의 폭방향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θ1)을 가지며 제3 수용홈(330)에서 전방 경사면(101)과 후방 경사면(102)에 각각 구비되는 제1 수용홈(310)을 향해 사선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수용홈(320)은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2 수용홈(320)이 갖는 경사각(θ1)은 세로프레임(220)가 펼침상태로 세워진 상태에서 가로프레임(210)을 원점으로 삼각형 형태로 벌어진 양쪽 세로프레임(220) 사이의 세움각(θ2)의 절반에 해당할 수 있다.
수용홈(300)은 차단기부(200)가 접힘상태로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방지턱부(100)의 상면 위로 차단기부(200)가 돌출되지 않고, 차량의 통과시에 차단기부(200)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깊이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차단벽 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을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과속 방지턱(10')은 차단기부(200)가 지지프레임(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 내지 도 8에서 도시하는 실시예에 따른 과속 방지턱(10)을 구성하는 차단기부(200)와 기본적인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지지프레임(230)을 더 포함하는 점에서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과속 방지턱(10)을 구성하는 차단기부(200)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설명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에 상응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중복적으로 서술하지 아니한다.
차단기부(200)는 한 쌍의 제1 수용홈(310) 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230), 한 쌍의 지지프레임(230) 사이에서 폭방향으로 한 쌍의 지지프레임(23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로프레임(210), 및 가로프레임(2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일단은 가로프레임(210)과 연결되고 타단은 한 쌍의 지지프레임(230)과 연결되는 복수의 세로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230)은 세로프레임(220)을 지지하며 차단기부(200) 전체를 방지턱부(100)에 고정시켜 차단벽의 형태와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230)은 세로프레임(220)과의 연결 외에 방지턱부(100)에 고정될 필요가 있으므로 앵커홀(232)이 뚫린 앵글 형태, 예를 들어, 'ㄴ'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세로프레임(220)은 가로프레임(210) 및 지지프레임(230)과 연결부(240)를 통해서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접힘상태와 펼침상태 사이의 전환 과정에서 회동이 자유롭도록 연결부(240)는 세로프레임(220)과 가로프레임(210) 및 세로프레임(220)과 지지프레임(230)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피봇 핀(241), 피봇 핀(241)의 끝단에 체결되는 피봇 핀 너트(242), 세로프레임(220)과 가로프레임(210) 사이 및 세로프레임(220)과 지지프레임(230) 사이에 개재되는 피봇 핀 와셔(24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3a 및 도 13b에서와 같이, 차단기부(200)는 지지프레임(230)에 체결되는 고정부(250)를 통해서 펼침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230)의 세로프레임(220)과 연결되는 연결부(240)의 좌우 양쪽에는 각각 고정부(250)가 끼움결합되는 홈(231)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250)는 홈(231)에 끼움결합되어 펼침상태로 세워진 세로프레임(220)의 좌우 양쪽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세로프레임(220)의 회전을 제한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지지프레임(230)에는 세로프레임(220)이 펼침상태를 넘어서는 각도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4a 및 도 14b에서는 과속 방지턱(10)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4a 및 도 14b에서와 같이, 과속 방지턱(10)은 복수개가 연결되어 도로상에 설치될 수 있다. 과속 방지턱(10)의 수량과 설치 구조는 도로의 크기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용홈(300) 내에 잔류하는 이물질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과속 방지턱(10)은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배치구조로 배열될 수 있다. 다만, 과속 방지턱(10)의 배열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서 상호 접합되는 구조로 배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에서는 과속 방지턱(10)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배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5에서는 한 쌍의 과속 방지턱(10)이 도 14a 및 도 14b의 실시예와 달리 차단기부(200)가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펼쳐지는 구조로 배열되는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차단기부(200)의 펼침 방향에 따른 과속 방지턱(10)의 배열은 도로의 형태나 보행자의 관점에서 편리하도록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6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과속 방지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6에서는 단일의 과속 방지턱(10)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14a와 도 14b 및 도 15에서 개시하는 과속 방지턱(10)과 작동원리는 동일하지만 복수개를 연결배치하여 배열하지 않고 도로의 폭의 변화나 운용 목적에 따라서 한 개의 과속 방지턱(10)을 길게 제작하여 설치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과속 방지턱(10)을 주차장의 왕복 2차로 진입로에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며, 과속 방지턱(10) 네 개를 연결배치하여 구성한 배열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통로에서는 과속 방지턱(A)으로 사용될 수 있고, 폐쇄된 통로에서는 차단벽(B)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외에도 건물의 출입 통로나 관리가 필요한 일반 도로, 고속도로 등 과속 방지턱(A)과 차단벽(B)의 용도 전환이 종종 또는 수시로 요구되는 환경에 적합하며, 다수의 목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과속 방지턱
100... 방지턱부
101... 전방 경사면
102... 후방 경사면
200... 차단기부
210... 가로프레임
220... 세로프레임
230... 지지프레임
240... 연결부
250... 고정부
260... 잠금부
300... 수용홈
310... 제1 수용홈
320... 제2 수용홈
330... 제3 수용홈

Claims (11)

  1. 도로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경사면과 후방 경사면을 가지며, 상부로 개방된 수용홈을 구비하는 방지턱부; 및
    상기 수용홈 내에 수용되는 차단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기부는 상기 전방 경사면과 상기 후방 경사면 사이에서 길이방향에 수직한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프레임 및 상기 가로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일단은 상기 가로프레임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용홈 내에서 상기 방지턱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세로프레임을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세로프레임은 상기 가로프레임 및 상기 방지턱부와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차단기부는 상기 가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이 상기 수용홈 내에 수용된 접힘상태와 상기 가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이 상부로 세워져 상기 수용홈의 상부에 배치된 펼침상태 사이에서 변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벽 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세로프레임의 상기 방지턱부와 연결되는 부분을 수용하는 한 쌍의 제1 수용홈과 상기 세로프레임을 수용하는 복수의 제2 수용홈 및 상기 가로프레임을 수용하는 제3 수용홈을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제1 수용홈은 상기 전방 경사면과 상기 후방 경사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3 수용홈은 한 쌍의 상기 제1 수용홈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폭방향을 따라서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며,
    복수의 상기 제2 수용홈은 상기 제3 수용홈의 양측에서 한 쌍의 상기 제1 수용홈을 각각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폭방향에 대해 경사각을 가지며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벽 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
  3. 제2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제1 수용홈은 끝단부가 상기 방지턱부의 상기 폭방향 일측 단부로 개방되고, 상기 제3 수용홈은 끝단부가 상기 방지턱부의 상기 폭방향 타측 단부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벽 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홈은 바닥면이 상기 방지턱부의 상기 폭방향 일측 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고, 상기 제3 수용홈은 바닥면이 상기 방지턱부의 상기 폭방향 타측 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진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벽 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차단기부가 접힘상태로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방지턱부의 상면 위로 상기 차단기부가 돌출되지 않는 깊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벽 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프레임은 연결부를 통해 상기 가로프레임 및 상기 방지턱부와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세로프레임과 상기 가로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과 상기 방지턱부를 상호 연결하는 피봇 핀, 상기 피봇 핀의 끝단에 체결되는 피봇 핀 너트, 상기 세로프레임과 상기 가로프레임 사이 및 상기 세로프레임과 상기 방지턱부 사이에 개재되는 피봇 핀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벽 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부의 펼침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세로프레임이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세로프레임의 좌우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세로프레임의 회전을 제한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벽 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부는 한 쌍의 상기 제1 수용홈 내에 각각 배치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 수용홈 내에서 상기 세로프레임의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벽 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앵커홀이 뚫린 'ㄴ'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벽 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부는 상기 세로프레임에 체결되는 잠금부를 통해서 펼침상태로 유지하도록 잠김고정되며, 상기 잠금부는 한 쌍의 상기 세로프레임을 일체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단에 제공되어 상기 몸체와 단차를 형성하는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벽 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몸체의 타단에 채워지는 자물쇠를 통해 잠김 및 잠김해제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벽 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
KR1020190068644A 2019-06-11 2019-06-11 차단벽 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 KR102242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644A KR102242794B1 (ko) 2019-06-11 2019-06-11 차단벽 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644A KR102242794B1 (ko) 2019-06-11 2019-06-11 차단벽 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739A true KR20200141739A (ko) 2020-12-21
KR102242794B1 KR102242794B1 (ko) 2021-04-21

Family

ID=74090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644A KR102242794B1 (ko) 2019-06-11 2019-06-11 차단벽 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7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9121A (ja) * 2004-04-07 2005-10-27 Akihiro Yoshida 侵入規制装置
KR100666963B1 (ko) * 2006-09-27 2007-01-10 주식회사 거성이엔지건축사사무소 와이어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안전진출입장치
KR101699180B1 (ko) 2015-10-27 2017-01-23 정웅선 차단벽 겸용 과속 방지턱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시설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9121A (ja) * 2004-04-07 2005-10-27 Akihiro Yoshida 侵入規制装置
KR100666963B1 (ko) * 2006-09-27 2007-01-10 주식회사 거성이엔지건축사사무소 와이어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안전진출입장치
KR101699180B1 (ko) 2015-10-27 2017-01-23 정웅선 차단벽 겸용 과속 방지턱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시설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2794B1 (ko) 202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9594B1 (en) Shallow flush-mounted vehicle control barrier
US8197156B2 (en) Shallow mounted fixed vehicle barrier device
US8985890B2 (en) Vertically actuated vehicle barrier system
KR101090400B1 (ko) 도로의 측변에 설치되는 확장형 인도교의 시공방법
US20070068079A1 (en) Vehicle barrier control device
US20090035061A1 (en) Removable Bollard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1095059B1 (ko) 무단횡단방지 분리대
KR20150117041A (ko) 기존 교량 콘크리트와 구조적 일체화를 확보한 교량 확장형 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JP2013040467A (ja) 縁石併用型防護柵の支柱基礎ブロック
KR102242794B1 (ko) 차단벽 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
KR100843306B1 (ko) 교측 보도교 고정장치
KR100490960B1 (ko) 건축 부대시설용 볼라드
KR20120011567A (ko) 양개식 낙석방지책
KR101345550B1 (ko) 바리케이드 겸용 볼라드
KR101131933B1 (ko) 높이조절용 주차장 진출입 조절장치
KR20090049900A (ko) 지주의 지지구조
KR100977090B1 (ko) 차량 진입 방지용 볼라드
KR101018638B1 (ko) 둑을 쌓아 올린 도로나 제방도로 또는 교량에 설치되는 가설인도
KR102476879B1 (ko) 신속 시공이 가능한 싱글데크 회전형 비상회차장치
US20040079930A1 (en) Extending barrier on rollers with manually extensible and retractable pivoting elements
KR100798490B1 (ko) 도로변 매입형 보도 및 차도 겸용 차단기
KR101781538B1 (ko) 높이 및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콘크리트 기초 일체 가변형 지주 지지 장치
KR102416619B1 (ko) 가로등 지주체
KR102161171B1 (ko) 포장이 완료된 도로 위의 작은 하중을 받는 수직형 파일 기초공법에 의해 시공된 구조
KR200275971Y1 (ko) 개폐식 낙석붕괴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