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1214A - 하이드로겔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하이드로겔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1214A
KR20200141214A KR1020190067913A KR20190067913A KR20200141214A KR 20200141214 A KR20200141214 A KR 20200141214A KR 1020190067913 A KR1020190067913 A KR 1020190067913A KR 20190067913 A KR20190067913 A KR 20190067913A KR 20200141214 A KR20200141214 A KR 20200141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hydrogel composition
mixture
sodium alg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봉열
김기명
엄광현
정설빈
박건희
이서혁
박윤지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엄광현
박윤지
박건희
이서혁
김기명
정설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엄광현, 박윤지, 박건희, 이서혁, 김기명, 정설빈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67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1214A/ko
Publication of KR20200141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2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3Alginic acid;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원은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및 카라기난(Carrageenan)을 포함하는 겔화제; 덱스판테놀(Dexpanthenol) 및 퀘르세틴(Quercetin)을 포함하는 활성성분;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보습제; 및 젖산 칼슘을 포함하는 점증제;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이드로겔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HYDROGEL COMPOSITION, PREPARING METHOD FOR HYDROGEL COMPOSITION AND 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본원은 하이드로겔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하이드로겔(hydrogel)은 정제수를 분산매체로 하는 삼차원 친수성 고분자 망상구조를 가진 물질로서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면서도 천연 조직과 같은 유연성을 나타내므로 상처드레싱, 콘텍트 렌즈, 약제, 화장품, 보형물, 폐수처리제 등을 포함하는 여러 의약, 미용, 환경 산업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마스크팩의 경우, 외형 유지를 위하여 합성수지, 부직포, 메쉬 또는 망에 하이드로겔을 부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부직포에서 하이드로겔이 떨어져 나가는 경우가 많으며, 합성수지 등을 사용한 하이드로겔의 경우 생체 적합성 및 안정성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천연에서 유래한 물질을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피부미용을 위해서 화장품을 적용할 때는 피부상처를 치료할 때와는 다르게 적용부위에 장시간 보호구를 붙여줄 수 없으며, 단시간 동안만 보호구를 붙인 후에 곧바로 제거하여야 한다. 이러한 피부미용에서 그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하이드로겔이 이용되며, 피부에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하여 쉬트 또는 팻치 형태로 만들어져 사용된다. 비록 이러한 하이드로겔 제품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하이드로겔이 겔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한 피부와의 친화성에 한계가 있어서 미용제가 하이드로겔에서 피부로 전달되는 데 만족할 만한 양과 속도를 가질 수 없다.
즉, 피부미용시 피부에 적용한 하이드로겔은 그 속에 함유되어 있는 미용제가 다량 신속하게 하이드로겔에서 피부로 전달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하이드로겔이 종래기술에 비하여 미용제가 피부 속으로 신속하고 고르게 전달되는 특징을 가져야 하며, 그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신규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요구된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774342 호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조성물, 이를 통해 제조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등록특허는 정제수, 카라기난, 로커스트빈검, 잔탄검 및 타마린드씨검을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조성물의 성형체 및 상기 성형체에 충진되는 정제수, 다가 알코올, 천연추출물, 기능성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함유하는 에센스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개시하고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은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은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 1 측면은,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및 카라기난(Carrageenan)을 포함하는 겔화제; 덱스판테놀(Dexpanthenol) 및 퀘르세틴(Quercetin)을 포함하는 활성성분;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보습제; 및 젖산 칼슘을 포함하는 점증제;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 총중량 대비 중량부로서, 알긴산나트륨 0.1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 카라기난 0.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덱스판테놀 0.0005 중량부 내지 0.001 중량부, 퀘르세틴 0.001 중량부 내지 0.002 중량부, 글리세린 1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및 젖산 칼슘 0.1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활성성분은 프로폴리스를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1,2-헥산디올(1,2-Hexanediol), 카프릴릴글라이콜(Caprylyl Glycol),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Glyceryl Caprylate), p-아니식산(p-Anisic Acid),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를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천연 방부제는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5 중량부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알긴산나트륨은 캡슐화되고, 상기 활성 성분이 상기 캡슐화된 알긴산나트륨 사이에 위치하는 것인,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제 2 측면은,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알긴산나트륨 및 글리세린을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10 분 동안 교반시켜 제 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카라기난 수용액 및 1,2-헥산디올을 유리막대로 저어주면서 75℃ 내지 80℃의 온도에서 10 분 동안 교반시켜 제 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젖산칼슘 수용액, 덱스판테놀 및 퀘르세틴을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5 분 동안 교반시켜 제 3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1 혼합물 및 상기 제 2 혼합물을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5 분 동안 교반시켜 제 4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4 혼합물 및 상기 제 3 혼합물을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5 분 동안 교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알긴산나트륨은 상기 제 4 혼합물 및 상기 제 3 혼합물을 교반시키는 단계에 의해 캡슐화되고, 상기 활성 성분이 상기 캡슐화된 알긴산나트륨 사이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 총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알긴산나트륨 0.1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 카라기난 0.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덱스판테놀 0.0005 중량부 내지 0.001 중량부, 퀘르세틴 0.001 중량부 내지 0.002 중량부, 글리세린 1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젖산 칼슘 0.1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 및 1,2-헥산디올 0.5 중량부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 3 혼합물은 프로폴리스를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제 3 측면은,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워시오프형 및/또는 필오프형 팩(pack)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알긴산나트륨의 용매 및 보습제로서 증류수 대신 글리세린을 사용하여 용매의 점도를 높여 알긴산나트륨의 반응성을 낮춤으로써 알긴산나트륨 간의 가교수를 줄이고, 이를 통해 하이드로겔이 형성되는 집합의 크기를 줄여 보다 단단한 겔이 아닌 환부나 피부에 적당량을 바를 수 있는 형태로 바꾸어 약물이 단시간 내에 신속하게 피부에 침투될 수 있다.
특히, 본원에 따른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알긴산나트륨의 캡슐화에 의해 활성성분들의 유지력이 증가함은 물론 표면적의 증가로 인한 하이드로겔의 효율성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가의 활성성분을 소량만 첨가해도 뛰어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긴산나트륨의 캡슐화는 카라기난의 패킹 단위를 줄여서 실온에서 고체화 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원에 따른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젖산 칼슘과 알긴산나트륨이 서로 이온가교형성을 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이고 탄탄한 제형을 얻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화장료 조성물, 예를 들어, 필오프형 팩으로 이용하는 경우 이를 떼어낼 때 피부에 잔여물이 남지 않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 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 의 (a) 내지 (d)는 본원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촬영한 사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의 기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한다.
이하, 본원의 하이드로겔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원이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 1 측면은,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및 카라기난(Carrageenan)을 포함하는 겔화제; 덱스판테놀(Dexpanthenol) 및 퀘르세틴(Quercetin)을 포함하는 활성성분;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보습제; 및 젖산 칼슘을 포함하는 점증제;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공한다.
알긴산나트륨은 해조산 나트륨 혹은 해조젤이라고도 불리우며, 백색 또는 담황색 섬유상, 알갱이, 과립 또는 가루로서 거의 냄새가 없으며 맛도 없다. 알코올에 녹지 않으며 클로로폼과 같은 유기용매도 녹지 않고 탄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나트륨에 천천히 녹는다. 상기 알긴산나트륨은 생체에 독성이 없어서 의약품 전달체로 사용이 되며, 생분해성 성질로 인해 환경오염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먹어도 인체에 해가 없을 정도로 안전한 물질이다.
한편,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경우 단단한 겔상태(푸딩형태)를 유지하면서 기지체인 하이드로겔 속의 함유되어 있는 약물이 피부쪽으로 방출되는 기능을 한다. 피부 미용을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단시간 이내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효과적으로 약물이 전달되어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의 경우 장시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흡수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약물이 더 많았다. 또한, 알긴산나트륨의 하이드로겔 형태가 매우 조밀하고 단단하기 때문에 이미 형성된 겔 형태를 바꿀 수 없어 하나의 형태로만 사용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알긴산나트륨의 용매 및 보습제로서 증류수 대신 글리세린을 사용하여 용매의 점도를 높여 알긴산나트륨의 반응성을 낮춤으로써 알긴산나트륨 간의 가교수를 줄이고, 이를 통해 하이드로겔이 형성되는 집합의 크기를 줄여 보다 단단한 겔이 아닌 환부나 피부에 적당량을 바를 수 있는 형태로 바꾸어 약물이 단시간 내에 신속하게 피부에 침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의 하이드로겔은 필오프형 뿐만 아니라 워시오프형 팩으로도 이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활성성분은 상기 알긴산나트륨은 캡슐화되고, 상기 활성 성분이 상기 캡슐화된 알긴산나트륨 사이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피부 미백 효과, 피부의 주름개선 효과, 피부를 곱게 태워주거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 등을 갖는 제품의 원료가 되는 레티놀(retinol), 비타민 A, C 등과 같은 유효 성분의 경우 물질의 효능은 좋지만 빛과 열, 공기에 노출이 되면 안정성이 떨어지고 피부로의 낮은 흡수율로 인해 비용에 비해 낮은 효과를 보인다. 이에 화장품으로 이용되는 레티놀, 토코페롤(tocoperol), 비타민 A, C 등과 같은 불안정한 물질을 안정하게 함으로써 외부조건으로부터 생리활성성분들을 보호하며, 피부친화성을 높여 피부흡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고기능성의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형 기술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캡슐화이다.
캡슐화는 하나의 물질을 또 다른 물질로 감싸는 처리 과정을 통틀어 말하며, 제조되는 입자의 크기는 작게는 수 나노미터(nm)부터 크게는 수 밀리미터(mm) 수준이다. 캡슐화를 통해 활성물질의 사용 범위를 넓힐 수 있으며 특유의 향이나 맛을 감출 수 있고 안정성 향상 및 가시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알긴산나트륨의 캡슐화로 인해 상기 활성성분들의 유지력이 증가함은 물론 표면적의 증가로 인한 하이드로겔의 효율성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가의 활성성분을 소량만 첨가해도 뛰어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긴산나트륨의 캡슐화는 카라기난의 패킹 단위를 줄여서 실온에서 고체화 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카라기난은 홍조류 진도박(Chondrus)과 석초(Giartina)의 세포간물질을 추출하여 얻은 점성 고분자 전해질인 다당류 혼합물이다. 카라기난은 보수력이 매우 우수한 편으로서 시간이 지나도 점도가 변화하지 않는다. 카라기난은 칼슘과 겔화되어 우수한 보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겔화가 된 후 높은 온도에서 용액상태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낮은 농도의 카라기난을 사용함으로써 높은 온도에서도 하이드로겔의 높은 점도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습력 또한 증가시킬 수 있다.
덱스판테놀은 식물과 동물에 널리 분포하는 복합 비타민 B 인 판토텐산의 합성 유도체로서, 피부의 상피와 내피에 신속하게 흡수되어 체내에서 판토텐산(비타민 B5)로 변화하게 되는데, 이는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촉진시켜 노화를 방지하는 콜라겐을 조성시키고, 기저세포를 증식시켜 피부재생에 매우 효과적이다.
퀘르세틴은 우리 몸에 해로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폴리페놀 성분 중 하나로서, 암세포에 공급되는 영양소와 산소를 차단해 암의 성장을 막을 수 있다. 퀘르세틴은 항산화 효과뿐 아니라 질병의 초기단계인 염증반응 억제, 질병 유발 유전자 발현 억제, 정상적인 신호전달 회복, 암의 전이 억제 등 효과가 있다.
젖산 칼슘은 백색 분말 또는 입상으로 냄새가 없거나 약간 특이한 냄새가 있는 칼슘염류 강화제이다. 젖산 칼슘과 알긴산나트륨이 서로 이온가교형성을 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이고 탄탄한 제형을 얻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화장료 조성물, 예를 들어, 필오프형 팩으로 이용하는 경우 이를 떼어낼 때 피부에 잔여물이 남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 총중량 대비 중량부로서, 알긴산나트륨 0.1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 카라기난 0.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덱스판테놀 0.0005 중량부 내지 0.001 중량부, 퀘르세틴 0.001 중량부 내지 0.002 중량부, 글리세린 1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및 젖산 칼슘 0.1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 총중량 대비 중량부로서, 알긴산나트륨 0.3150 중량부, 카라기난 0.7874 중량부, 덱스판테놀 0.0007559 중량부, 퀘르세틴 0.001134 중량부, 글리세린 19.8421 중량부 및 젖산 칼슘 0.3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활성성분은 프로폴리스를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폴리스는 꿀벌이 자신의 생존과 번식을 위해 여러 식물에서 뽑아낸 수지(樹脂)와 같은 물질에 자신의 침과 효소 등을 섞어서 만든 물질로서, 성분으로는 유기물과 미네랄(무기염류)이 가장 많고, 미네랄, 비타민, 아미노산, 지방, 유기산, 플라보노이드 등은 세포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테르펜류 등은 항암 작용을 한다. 프로폴리스의 주요한 효능으로는 항염·항산화·면역증강 등이 있다. 항염 효과를 내는 것은 사람의 몸에 염증을 일으키는 프로스타그란딘을 만들어내는 효소를 절반까지 줄이기 때문이다. 또한, 주요 성분인 플라보노이드가 활성산소를 없애기 때문에 항산화 효과가 있다.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케르세틴 등이 있어 암세포의 유전자가 복제되기 전에 차단하는 일을 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1,2-헥산디올(1,2-Hexanediol), 카프릴릴글라이콜(Caprylyl Glycol),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Glyceryl Caprylate), p-아니식산(p-Anisic Acid),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를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장품은 미생물에 오염되면 미생물 대사에 의해 유화수소, 아민, 암모니아, 지방산의 변취, 점도변화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이유로 제품에 대한 안전성,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역할에 알맞은 적절한 성능을 가진 물질을 선택하여 방부제로 사용해야 하는 것이다. 화장품에 주로 사용되는 합성 방부제에는 파라벤류, 페녹시에탄올, 쿼터늄-15,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클로페네신 등이 있는데 화장품을 오염시키는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저해하기 위하여 정해진 한도 내에서 혼합하여 방부제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화장품은 장기간 동안 인체의 피부에 직접 사용하므로 소량을 사용하더라도 인체에는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화장품 방부제의 선택시 항생력, 무독성, 무자극, 화장품제와의 적합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기존의 합성방부제중 화장품, 의약품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파라벤류의 방부제들도 피부알러지, 피부자극, 환경호르몬으로서의 가능성 및 내성균 유발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허용된 기준내의 사용도 불신되고 있고 지속적인 체내 축적으로 인한 급·만성 독성, 돌연변이 및 암 유발 등의 새로운 문제 가능성이 대두 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1,2-헥산디올과 같은 천연방부제를 사용함으로써 피부 자극, 피부 알러지 등 부작용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더 나아가서 환경오염 등 인체 및 환경에 무해한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천연 방부제는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5 중량부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연 방부제는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1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원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상기 알긴산나트륨의 캡슐화로 인해 상기 활성성분을 공기와의 접촉으로부터 보호하여 항균효과가 뛰어나므로 별도의 방부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원에서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보존성 및 안정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천연방부제를 사용하도록 한다.
본원의 제 2 측면은,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의 제 2 측면에 따른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본원의 제 1 측면과 중복되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본원의 제 1 측면에 기재된 내용은 본원의 제 2 측면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 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1 을 참조하여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알긴산나트륨 및 글리세린을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10 분 동안 교반시켜 제 1 혼합물을 제조한다 (S100).
이어서, 카라기난 수용액 및 1,2-헥산디올을 유리막대로 저어주면서 75℃ 내지 80℃의 온도에서 10 분 동안 교반시켜 제 2 혼합물을 제조한다 (S200).
이어서, 젖산칼슘 수용액, 덱스판테놀 및 퀘르세틴을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5 분 동안 교반시켜 제 3 혼합물을 제조한다 (S300).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 3 혼합물은 프로폴리스를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상기 제 1 혼합물 및 상기 제 2 혼합물을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5 분 동안 교반시켜 제 4 혼합물을 제조한다 (S400).
이어서, 상기 제 4 혼합물 및 상기 제 3 혼합물을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5 분 동안 교반시킨다 (S500).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알긴산나트륨은 상기 제 4 혼합물 및 상기 제 3 혼합물을 교반시키는 단계에 의해 캡슐화되고, 상기 활성 성분이 상기 캡슐화된 알긴산나트륨 사이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교반을 통해 상기 알긴산나트륨과 상기 젖산칼슘이 반응함으로써 상기 알긴산나트륨이 캡슐화되고, 상기 활성 성분이 상기 캡슐화된 알긴산나트륨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알긴산나트륨의 캡슐화로 인해 상기 활성성분들의 유지력이 증가함은 물론 표면적의 증가로 인한 하이드로겔의 효율성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가의 활성성분을 소량만 첨가해도 뛰어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긴산나트륨의 캡슐화는 카라기난의 패킹 단위를 줄여서 실온에서 고체화 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 총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알긴산나트륨 0.1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 카라기난 0.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덱스판테놀 0.0005 중량부 내지 0.001 중량부, 퀘르세틴 0.001 중량부 내지 0.002 중량부, 글리세린 1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젖산 칼슘 0.1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 및 1,2-헥산디올 0.5 중량부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 총중량 대비 중량부로서, 알긴산나트륨 0.3150 중량부, 카라기난 0.7874 중량부, 덱스판테놀 0.0007559 중량부, 퀘르세틴 0.001134 중량부, 글리세린 19.8421 중량부, 젖산 칼슘 0.3150 중량부 및 1,2-헥산디올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제 3 측면은,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의 제 3 측면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본원의 제 1 측면과 중복되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본원의 제 1 측면에 기재된 내용은 본원의 제 3 측면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워시오프형 및/또는 필오프형 팩(pack)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원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제조
먼저, 알긴산나트륨 0.5 g 및 글리세린 25 ml 을 20℃의 온도에서 10 분 동안 교반시켰다. 증류수 100 ml 에 카라기난 5 g 을 넣고 100℃에서 5 분 동안 교반시키고, 이후 카라기난 수용액 25 ml 및 1,2-헥산디올 1 ml 을 유리막대로 저어주면서 75℃의 온도에서 10 분 동안 교반시켰다. 증류수 100 ml 에 젖산칼슘 0.5 g 을 넣어 젖산칼슘 수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젖산칼슘 수용액 25 ml, 덱스판테놀 0.0753 g 및 퀘르세틴 0.0753 g 을 20℃의 온도에서 5 분 동안 교반시켰다.
이어서, 상기 알긴산나트륨 및 글리세린 혼합물, 상기 젖산칼슘 수용액, 덱스판테놀 및 퀘르세틴 혼합물 및 상기 카라기난 수용액 및 1,2-헥산디올 혼합물을 20℃의 온도에서 5 분 동안 교반시켜 노란색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알긴산나트륨 0.5 g 및 글리세린 25 ml 을 20℃의 온도에서 10 분 동안 교반시켰다. 증류수 100 ml 에 젖산칼슘 0.5 g 을 넣어 젖산칼슘 수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젖산칼슘 수용액 25 ml, 덱스판테놀 0.049 g 및 퀘르세틴 0.049 g 을 20℃의 온도에서 5 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알긴산나트륨 및 글리세린 혼합물 및 상기 젖산칼슘 수용액, 덱스판테놀 및 퀘르세틴 혼합물을 20℃의 온도에서 10 분 동안 교반시켜 노란색의 크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알긴산나트륨 0.5 g 및 글리세린 25 ml 을 20℃의 온도에서 10 분 동안 교반시켰다. 증류수 100 ml 에 카라기난 5 g 을 넣고 5 분 동안 100℃에서 교반시키고, 이후 카라기난 수용액 25 ml, 글리세린 10 g 및 에틸렌글라이콜 1 g 을 100℃에서 5 분 동안 교반시켰다. 증류수 25 ml 에 덱스판테놀 0.0611 g 및 퀘르세틴 0.0611 g 을 20℃의 온도에서 5 분 동안 교반시켰다. 이후, 상기 알긴산나트륨 및 글리세린 혼합물, 카라기난 수용액, 글리세린 및 에틸렌글라이콜 혼합물 및 덱스판테놀 및 퀘르세틴 혼합물을 20℃의 온도에서 10 분 동안 교반시켜 노란색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먼저, 증류수 100 ml 에 카라기난 5 g 을 넣고 100℃에서 5 분 동안 교반시키고, 이후 카라기난 수용액 25 ml 및 1,2-헥산디올 0.5 ml 을 유리막대로 저어주면서 75℃의 온도에서 10 분 동안 교반시켰다. 증류수 100 ml 에 젖산칼슘 0.5 g 을 넣어 젖산칼슘 수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젖산칼슘 수용액 25 ml, 덱스판테놀 0.0513 g 및 퀘르세틴 0.0513 g 을 20℃의 온도에서 5 분 동안 교반시켰다.
이어서, 상기 카라기난 수용액 및 1,2-헥산디올 혼합물 및 상기 젖산칼슘 수용액, 덱스판테놀 및 퀘르세틴 혼합물을 20℃의 온도에서 5 분 동안 교반시켜 노란색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도 2 의 (a) 내지 (d)는 본원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촬영한 사진이다. 구체적으로, 도 2 의 (a)는 상기 비교예 1, 도 2 의 (b)는 상기 비교예 2, 도 2 의 (c)는 상기 비교예 3, 및 도 2 의 (d)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조성물이다.
도 2 의 (a) 내지 (d)를 참조하면, 상기 비교예 3 에서는 카라기난을 녹였다가 굳히는 과정에서 젖산칼슘을 첨가하였다. 카라기난만 단독으로 실험했을 때는 굳고나서 겔이 부서지는 형태였기 때문에 필오프형 팩으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했으나, 상기 비교예 3 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카라기난과 젖산칼슘의 적절한 배합을 통해서 떼어낼 때 부서지지 않으며 피부에 잔여물이 남지 않고 깔끔하게 떨어지는 젤리 제형을 얻음으로써 보완하였다. 그러나 100% 천연성분을 사용했기 때문에 별도의 보존제 없이 상온에서 보관하였을 때 상기 비교예 3 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퀘르세틴이 산화가 되어 갈변하였다.
반면, 상기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알긴산나트륨을 녹이는 용매로서 물 대신 글리세린을 이용하여 보습력과 점성을 높이는데 초점을 두었다. 또한 상기 비교예 3 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알긴산을 추가하여, 알긴산나트륨과 젖산칼슘이 서로 이온가교형성을 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이고 탄탄한 제형을 얻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조성물 역시 팩으로 사용한 후 떼어낼 때 피부에 잔여물이 남지 않았다. 나아가, 알긴산나트륨의 캡슐화로 인해 활성성분을 공기와의 접촉으로부터 보호하여 비교예 3 의 하이드로겔 조성물과는 달리 변성이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및 카라기난(Carrageenan)을 포함하는 겔화제;
    덱스판테놀(Dexpanthenol) 및 퀘르세틴(Quercetin)을 포함하는 활성성분;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보습제; 및
    젖산 칼슘을 포함하는 점증제;
    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 총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알긴산나트륨 0.1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 카라기난 0.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덱스판테놀 0.0005 중량부 내지 0.001 중량부, 퀘르세틴 0.001 중량부 내지 0.002 중량부, 글리세린 1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및 젖산 칼슘 0.1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하이드로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성분은 프로폴리스를 추가 포함하는 것인, 하이드로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1,2-헥산디올(1,2-Hexanediol), 카프릴릴글라이콜(Caprylyl Glycol),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Glyceryl Caprylate), p-아니식산(p-Anisic Acid),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를 추가 포함하는 것인, 하이드로겔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방부제는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5 중량부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하이드로겔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긴산나트륨은 캡슐화되고, 상기 활성 성분이 상기 캡슐화된 알긴산나트륨 사이에 위치하는 것인, 하이드로겔 조성물.
  7. 제 1 항에 따른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알긴산나트륨 및 글리세린을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10 분 동안 교반시켜 제 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카라기난 수용액 및 1,2-헥산디올을 유리막대로 저어주면서 75℃ 내지 80℃의 온도에서 10 분 동안 교반시켜 제 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젖산칼슘 수용액, 덱스판테놀 및 퀘르세틴을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5 분 동안 교반시켜 제 3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1 혼합물 및 상기 제 2 혼합물을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5 분 동안 교반시켜 제 4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4 혼합물 및 상기 제 3 혼합물을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5 분 동안 교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알긴산나트륨은 상기 제 4 혼합물 및 상기 제 3 혼합물을 교반시키는 단계에 의해 캡슐화되고, 상기 활성 성분이 상기 캡슐화된 알긴산나트륨 사이에 위치하는 것인,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 총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알긴산나트륨 0.1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 카라기난 0.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덱스판테놀 0.0005 중량부 내지 0.001 중량부, 퀘르세틴 0.001 중량부 내지 0.002 중량부, 글리세린 1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젖산 칼슘 0.1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 및 1,2-헥산디올 0.5 중량부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혼합물은 프로폴리스를 추가 포함하는 것인,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워시오프형 및/또는 필오프형 팩(pack)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67913A 2019-06-10 2019-06-10 하이드로겔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412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913A KR20200141214A (ko) 2019-06-10 2019-06-10 하이드로겔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913A KR20200141214A (ko) 2019-06-10 2019-06-10 하이드로겔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214A true KR20200141214A (ko) 2020-12-18

Family

ID=74041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913A KR20200141214A (ko) 2019-06-10 2019-06-10 하이드로겔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12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670A (ko) * 2021-01-26 2022-08-02 정유진 친환경 생분해 물질을 이용한 식품 포장 방법, 식품 포장재 및 상기 식품 포장 방법을 위한 자동 식품 포장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670A (ko) * 2021-01-26 2022-08-02 정유진 친환경 생분해 물질을 이용한 식품 포장 방법, 식품 포장재 및 상기 식품 포장 방법을 위한 자동 식품 포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8207B2 (ja) 水溶性ヒアルロン酸ゲ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61121B1 (ko) 고농도 비타민c 및 비타민c 유도체의 투명 졸, 겔 조성물
US20100316739A1 (en) Chitosan gel for dermatological use,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use of same
EP2921164A1 (en) Sticky hydrogel cosmetic composition
KR101735384B1 (ko) 시트형 팩용 클레이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형 클레이 마스크 팩
WO2010143196A1 (en) Novel synergistic transparent / translucent hydrogel composition; method of preparing it and a sheet / film made thereform
KR101582660B1 (ko) 방사선을 이용한 콜라겐 함유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제조
TW201538181A (zh) 用於潤滑保濕消毒滅菌之半流體組成物及其使用方法
JPH06211623A (ja) 凍結乾燥バイオマトリックス
KR20180003443A (ko) 분자량이 상이한 히알루론산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998937B (zh) 含有甘油葡糖苷(αGG)的系列化妆品及其制备方法
KR20150049027A (ko) 방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99269B1 (ko) 2-파트 스킨 케어 제제
WO2013047982A2 (ko) 이수 특성에 따른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증진용 하이드로 겔 조성물
KR101895037B1 (ko) 스피큘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US20110081401A1 (en) Dermal patch comprising chondrus crispus extract
KR20200141214A (ko) 하이드로겔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0536810A (ja) 水及び有効成分含有ゲル
Perchyonok et al. Insights into functional tetracycline/antioxidant containing chitosan hydrogels as potential bio-active restorative materials: structure, func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CN108403637B (zh) 一种口腔喷雾制剂及其制备方法
JP2020521769A (ja) プロバイオティクスの制御送達のための安定化された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74362B2 (ja) パック用ソルト,及びそれを用いたパック剤
JP6898622B2 (ja) 皮膚又は粘膜の外用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皮膚又は粘膜の外用剤の基剤
KR102076302B1 (ko)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마스크팩
Mathew et al. Fucoidans: a marine antioxid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