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0819A -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 포토크로믹 적층체, 및 해당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사용한 광학 물품 - Google Patents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 포토크로믹 적층체, 및 해당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사용한 광학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0819A
KR20200140819A KR1020207028409A KR20207028409A KR20200140819A KR 20200140819 A KR20200140819 A KR 20200140819A KR 1020207028409 A KR1020207028409 A KR 1020207028409A KR 20207028409 A KR20207028409 A KR 20207028409A KR 20200140819 A KR20200140819 A KR 20200140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chromic
resin
group
component
adhesiv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8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미츠 히라렌
가츠히로 모리
준지 모모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꾸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꾸야마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꾸야마
Publication of KR20200140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8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2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condensation resins of aldehydes, e.g. with phenols, ureas or melam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66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prepar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and/or lactones
    • C08G18/4269Lactones
    • C08G18/4277Caprolactone and/or substituted caprolact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4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 C08G18/75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5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 C08G18/75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and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a secondary carbon atom of the cycloaliphatic ring, e.g. isophorone diisocya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 C08G18/75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at least two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s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8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two or more cycloaliph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2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2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2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09J175/12Polyurethanes from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nd active hydrogen,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an isocyanate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9/00Tenebrescent materials, i.e. materials for which the range of wavelengths for energy absorption is changed as a result of excitation by some form of energy
    • C09K9/02Organic tenebrescent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3Photochromic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2Weather resis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70/00Compositions for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2Presence of unspecified polymer
    • C09J2400/228Presence of unspecified polymer in the pretreated surface to be join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9/00Presence of polycarbonate
    • C09J2469/008Presence of polycarbonate in the pretreated surface to be join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5/00Presence of polyuretha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07Non-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88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xygen as the only heteroatom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2Photochromic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분자량이 300 이상인 분자쇄를 치환기로서 갖는 포토크로믹 화합물, 및 (B) 접착성 우레탄(우레아)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연화점이 140 내지 220℃가 되는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 및 해당 접착성 조성물을 사용한 포토크로믹 적층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 시트를 접합하기 위한 접착층으로서 기능하는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이며, 해당 조성물을 사용한 포토크로믹 적층체는, 우수한 포토크로믹 특성, 밀착성, 및 가공성을 나타내는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 포토크로믹 적층체, 및 해당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사용한 광학 물품
본 발명은 접착성을 갖는 신규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광학 시트, 특히, 유기 수지를 포함하는 광학 시트끼리를 고온에서도 견고하게 접착할 수 있고, 또한 우수한 포토크로믹 특성을 발휘하는, 신규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해당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신규 포토크로믹 적층체, 및 신규 광학 물품에 관한 것이다. 부언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 우레탄(우레아) 수지는, 우레탄 결합만의 우레탄 수지, 그리고 우레탄 결합 및 우레아 결합의 양쪽을 포함하는 우레탄우레아 수지의 양쪽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근년 미국을 중심으로 하여, 방현성을 갖는 선글라스 등에, 투명하고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사용한 플라스틱 기재의 수요가 급속하게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플라스틱제 선글라스에 있어서는, 포토크로믹 색소와 조합함으로써, 주위의 밝기에 따라서 투과율이 변화함으로써 방현성을 조절할 수 있는 플라스틱제 포토크로믹 선글라스가 급속하게 인기를 얻고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제 포토크로믹 선글라스의 가공은, 반드시 용이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에 포토크로믹제를 첨가한 포토크로믹성 도료를 사용하는 경우(특허문헌 1 참조)에는, 이하의 점에서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해당 방법에서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 표면에, 해당 도료를 포함하는 포토크로믹성 피막을 형성한 복합 필름을 내부에 장착한 금형 내에,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를 사출 성형하는 것이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의 성질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지만,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과의 밀착성이 불충분해서, 양호한 포토크로믹 특성을 갖는 선글라스를 얻는 것은 곤란하였다.
또한, 포토크로믹 특성이 양호한 합성 수지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이하의 방법이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트 등의 투명한 합성 수지층의 편면에 포토크로믹 특성을 갖는 수지층을 연속적으로 도포한다. 다음으로 해당 수지층의 건조를 행한 후에(수지층이 접착층이 된다), 다른 투명한 시트를 접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 참조). 그러나, 이들 방법에는, 상기 포토크로믹 특성을 갖는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구체적으로는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이 테트라히드로푸란이나, 톨루엔과 같은 용제를 포함하기 때문에, 해당 수지 조성물을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트 등에 도포한 때에, 투명한 해당 시트가 용해될 우려가 있었다. 그 결과, 외관 불량이 발생하거나, 우레탄 수지 중에 용출한 합성 수지에 의해 포토크로믹 특성이 저하되거나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합 필름 대신에 "포토크로믹 색소를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수지 접착층에 의해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트를 접합한 적층 시트"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특허문헌 4 및 특허문헌 5 참조).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상기 적층 시트에 있어서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트의 밀착성이나 내열성이 불충분하였다. 이 때문에, 상기 적층체를 금형에 장착하고, 이어서 해당 금형에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광학 물품을 제조한 경우, 얻어지는 광학 물품에 있어서 박리가 발생하거나, 광학 왜곡이 발생하거나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소61-5910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02-099513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96103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제2003-519398호 공보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4-096666호 명세서 국제 공개 제2013-099640호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7-0327736호 명세서
한편, 내열성이 높은,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의 개발도 진행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6, 및 7 참조). 이들 방법에 있어서는, 우레탄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제를 포함하지만, 말단에 반응성기를 갖는 프리폴리머를 가교시키거나, 또는 주폴리머쇄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가교시켜서, 내열성이 좋은 포토크로믹 접착층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내열성이 좋은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이하의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즉, 상기 방법에서는, 근년 요구되는, 보다 고도의 포토크로믹 특성을 유지할 수 없다고 하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로, 광학 시트를 접합할 때의 접착층으로서 사용한 경우에, 우수한 밀착성, 내열성을 갖고, 우수한 포토크로믹성을 발휘하는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광학 시트가 포토크로믹성을 갖는 접착층에 의해 접합된 적층 구조를 포함하는 포토크로믹 적층체이며, 우수한 밀착성, 우수한 내열성, 및 우수한 포토크로믹 특성을 갖는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상기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사용한, 밀착성, 및 포토크로믹 특성이 우수한 광학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하였다. 그리고, 포토크로믹 화합물의 구조와, 우레탄(우레아) 수지의 구조의 조합을 여러가지 검토하였다. 그 결과, 특정한 우레탄(우레아) 접착성 수지와, 특정한 구조를 갖는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조합하여, 특정한 연화점을 갖는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로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제1 본 발명은
(A) 분자량이 300 이상인 분자쇄를 치환기로서 갖는 포토크로믹 화합물(이하, 간단히 「(A) 성분」이라 하는 경우도 있다.), 및
(B) 접착성 우레탄(우레아) 수지(이하, 간단히 「(B) 성분」이라 하는 경우도 있다.)를 포함하고,
연화점이 140 내지 220℃가 되는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이다.
제2 본 발명은 서로 대향하는 2매의 (D) 광학 시트가 상기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접착층을 통하여 접합되는 적층 구조를 포함하는 포토크로믹 적층체이다.
제3 본 발명은 상기 포토크로믹 적층체의 적어도 한쪽 외표면 상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알릴 수지, (메트)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우레탄우레아 수지, 폴리티오우레탄 수지, 폴리에폭시 수지, 폴리티오에폭시 수지, 및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를 포함하는 (E) 합성 수지층을 적층한 광학 물품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 시트끼리를 고온에서도 견고하게 접착할 수 있고, 또한 우수한 포토크로믹 특성을 발휘하는,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이 된다. 그 때문에, 해당 광학 시트를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으로 접합한 포토크로믹 적층체는, 추가로 그 위에 사출 성형 등에 의해 비교적 고온의 수지를 적층했다고 해도, 박리 등의 성형성 불량을 발생하기 어렵다. 그에 더하여 얻어진 광학 물품은, 우수한 포토크로믹 특성을 발휘하는 것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적층체의 적합한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 개략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5에서 사용한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접착층)의 연화점을 측정했을 때의 측정도(열 기계 분석 Thermal Mechanical Analysis의 측정도)이다.
본 발명은, (A) 포토크로믹 화합물과, (B) 접착성 우레탄(우레아) 수지를 포함하는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이다. 그리고,
상기 (A) 포토크로믹 화합물이, 분자량이 300 이상인 분자쇄를 치환기로서 갖는 것이며, 또한
상기 (B) 접착성 우레탄(우레아)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연화점이 140 내지 220℃인 내열성을 갖는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이다. 부언하면, 연화점의 측정 방법은,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한 값이다.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은, 특히, 광학 시트와의 접착성이 우수하다.
이하, 이들에 대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먼저 처음에, (A) 포토크로믹 화합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A) 포토크로믹 화합물>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포토크로믹 화합물 (A)는, 분자량이 300 이상인 분자쇄를 치환기로서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없이 공지된 화합물 중에서 임의의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분자량이 300 이상인 분자쇄는, 고분자량의 것이기 때문에,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제조할 때에, 1종류의 분자쇄가 아니라, 복수 종류의 분자쇄를 갖는 것이 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해당 분자쇄의 분자량은, 평균값을 취하면 된다. 또한, 이 평균값은, 수 평균 분자량이면 된다. 이 분자량은, 포토크로믹 화합물의 제조 시의 원료의 종류에 의해 확인할 수 있고, 제조물부터 확인하는 경우에는, NMR, IR, 질량 분석 등의 공지된 수단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사용한 원료로부터 구한 분자량을 채용하고 있다.
(A) 성분이, 분자량 300 이상의 분자쇄를 가짐으로써, 높은 내열성을 갖는,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B) 성분 중에 있어서도, 고도의 포토크로믹 특성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해당 분자쇄의 분자량은, 포토크로믹 특성, 그의 배합량, 및 (A) 성분 자체의 생산성을 고려하면 300 내지 25,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400 내지 2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40 내지 15,0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00 내지 10,00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높은 포토크로믹 특성, 접착층 등 중에 있어서의 (A) 성분의 분산성, 및 (A) 성분 자체의 생산성을 고려하면, 해당 분자쇄의 분자량은, 700 내지 5,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 내지 3,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해당 분자쇄의 수는, 포토크로믹 화합물 1분자에 대하여 적어도 0.5개 이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해당 분자쇄의 수가 가장 적어지는 경우에도, 2개의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해당 분자쇄로 결합하는 구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분자쇄의 수의 상한은, 분자쇄의 분자량과의 균형, 포토크로믹 특성 등을 고려하면, 포토크로믹 화합물 1분자에 대하여 4개가 바람직하고, 2개가 바람직하고, 1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 성분은, 포토크로믹 특성을 발휘하는 분자 구조가, 광의 조사에 의해 분자의 일부가 개열하여 발색하고, 개열한 개소가 재결합함으로써 퇴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포토크로믹 화합물이 가역적으로 발색과 퇴색을 반복하기 위해서는, 개열과 재결합이 일어나는 때에 분자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자유 공간의 존재(분자의 자유도)가 대단히 중요해진다. 이러한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경우, 특히, 해당 분자쇄의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A)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국제 공개 제2000-015630호, 국제 공개 제2004-041961호, 국제 공개 제2005-105874호, 국제 공개 제2005-105875호, 국제 공개 제2006-022825호, 국제 공개 제2009-146509호, 국제 공개 제2010-20770호, 국제 공개 제2012-121414호, 국제 공개 제2012-149599호, 국제 공개 제2012-162725호, 국제 공개 제2012-176918호, 국제 공개 제2013-078086호 등에 기재된, 상기 분자쇄를 갖는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한 (A) 포토크로믹 화합물>
본 발명에 있어서, 적합한 (A) 성분은, 하기 식 (1) 및 (2)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포토크로믹 화합물이다.
PC-(L-Chain) (1)
PC-(L-Chain-L')-PC' (2)
상기 식 (1) 또는 식 (2) 중,
L 및 L'는, 각각, 폴리옥시알킬렌쇄, (티오)에스테르기, (티오)아미드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를 포함하는 2가의 유기기이며, L과 L'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Chain은, 폴리실록산쇄, 폴리옥시알킬렌쇄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쇄를 포함하는 1가 또는 2가의 유기기이며,
L 및 Chain, 또는 L, L' 및 Chain의 합계의 분자량이 상기 분자쇄의 분자량에 해당한다. 즉, 식 (1)에 있어서의 L 및 Chain, 또는 식 (2)에 있어서의 L, L' 및 Chain의 부분이 분자쇄에 해당한다.
상기 식 (1) 또는 식 (2) 중,
PC 또는 PC'는, 각각, 하기 식 (3) 내지 (7)로 표시되는 기본 골격을 갖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 (3) 내지 (7)에 있어서, 괄호 중 분자 구조가 PC 또는 PC'의 기본 골격이며, 선은 L 또는 L'와 결합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식 (3) 내지 (7)로 표시되는 기본 골격에 있어서,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탄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 중, 하나의 원자가 2가의 유기기인 L 또는 L'와 직접 결합하고, 기타의 원자는 다른 치환기를 가져도 되거나, 또는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탄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 중, 하나의 원자가 치환기를 통하여 2가의 유기기인 L 또는 L'와 결합하고, 기타의 원자는 다른 치환기를 가져도 된다.
즉, 적합한 (A) 성분은, 상기 기본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해당 기본 골격에 있어서,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탄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 중, 하나의 원자가 L 및 Chain, 또는 L, L' 및 Chain(분자쇄)과 직접 결합하고, 기타의 원자는, 다른 치환기, 또는 수소 원자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합한 (A) 성분은,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탄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 중, 하나의 원자가 치환기를 통하여 분자쇄와 결합하고, 기타의 원자는, 다른 치환기, 또는 수소 원자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PC와 PC'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이어서, 상기 식 (3) 내지 (7)의 특히 적합한 기본 골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PC 또는 PC'는 각각 하기 식 (3') 내지 (7')로 표시되는 기본 골격을 갖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3')로 표시되는 기본 골격(식 (3)의 적합한 기본 골격)>
상기 식 (3)으로 표시되는 기본 골격에 있어서, 바람직한 기본 골격은, 하기 식 (3')로 표시되는 구조이다.
Figure pct00002
상기 식 (3')에 있어서, 괄호 중 분자 구조가 PC 또는 PC'의 기본 골격이며, 선은 L 또는 L'와 결합하는 것을 나타낸다.
<식 (3'); R1 및 R2>
상기 식 (3')에 있어서의 R1 및 R2는, 각각, 수소 원자, 히드록실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의 할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3 내지 8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 아미노기, 치환 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복소환기, 시아노기,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티오기,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티오기, 니트로기, 포르밀기, 히드록시카르보닐기, 탄소수 2 내지 7의 알킬카르보닐기, 탄소수 2 내지 7의 알콕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7 내지 11의 아르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7 내지 11의 아르알콕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옥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기,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3 내지 12의 헤테로아릴기, 티올기, 탄소수 2 내지 9의 알콕시알킬티오기, 탄소수 1 내지 6의 할로알킬티오기, 또는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3 내지 8의 시클로알킬티오기 등을 들 수 있다.
<식 (3'); R3 및 R4>
상기 식 (3')에 있어서의 R3 및 R4는, 각각, 수소 원자,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3 내지 20의 헤테로아릴기이다.
해당 아릴기 또는 해당 헤테로아릴기가 갖는 치환기는,
히드록실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의 할로알킬기, 탄소수 3 내지 8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 아미노기, 복소환기, 시아노기,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티오기,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티오기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를 들 수 있다.
<식 (3'); R5 및 R6>
상기 식 (3')에 있어서의 R5 및 R6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카르복실기, 아세틸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10의 알케닐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10의 히드록시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아미노알킬기, 탄소수 3 내지 2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탄소수 2 내지 15의 알콕시카르보닐기, 또는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3 내지 20의 헤테로아릴기 등을 들 수 있다.
<식 (3'); 분자쇄 R1 내지 R6이 분자쇄를 갖는 경우>
상기 식 (3')로 표시되는 기본 골격이 갖는 분자쇄는, R1 내지 R6의 하나가 결합손이 되어, 직접, 기본 골격과 결합할 수 있다. 즉, R1 내지 R6의 하나가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L-Chain) 또는 -(L-Chain-L')-이 되어도 된다(R1 내지 R6의 하나가 분자쇄가 될 수 있다.). 부언하면, R1 내지 R6은, R1, R2, R3, R4, R5, R6을 통합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하, R1 내지 R6을 사용한 경우에는 이것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
또한, R1 내지 R6 중,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기의 해당 치환기가 「분자쇄」가 될 수도 있다.
나아가, R1 내지 R6의 하나의 치환기(단, 수소 원자를 제외한다)를 통하여, 분자쇄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알킬기의 말단에 분자쇄를 갖는(알킬기를 통하여 분자쇄를 갖는) 경우에는, 당연하게도, R1 내지 R6의 알킬기는 알킬렌기가 된다.
<식 (3'); R1 내지 R6의 적합한 기>
이상과 같은 기 중에서도, 얻어진 포토크로믹 화합물의 발색 농도, 발색 색조 등을 고려하면, 상기 식 (3')에 있어서의, 적합한 R1 내지 R6은, 이하와 같다.
적합한 R1, R2는, 수소 원자, 상기 알킬기, 상기 알콕시기, 상기 복소환기, 상기 아릴기, 상기 아릴티오기이다.
적합한 R3, R4는, 상기 알킬기, 상기 알콕시기, 상기 치환 아미노기, 상기 복소환기, 또는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이다.
적합한 R5, R6은, 상기 알킬기, 상기 알케닐기, 상기 알콕시기, 상기 아릴기, 상기 알콕시카르보닐기, 또는 상기 헤테로아릴기이다. 또한, 적어도 한쪽 기가,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L-Chain) 또는 -(L-Chain-L')-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분자쇄는, R3, R4, R5 또는 R6의 어느 것에 치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4')로 표시되는 기본 골격(식 (4)의 적합한 기본 골격)>
상기 식 (4)로 표시되는 기본 골격에 있어서, 바람직한 기본 골격은, 하기 식 (4')로 표시되는 구조이다.
Figure pct00003
<식 (4'); R1, R2, R3 및 R4>
상기 식 (4')에 있어서의 R1 내지 R4는, 상기 식 (3')의 <식 (3'); R1 및 R2>, <식 (3'); R3 및 R4>에서 설명한 기와 동일한 기를 들 수 있다.
<식 (4'); R7>
상기 식 (4')에 있어서의 R7은, 상기 식 (3')의 <식 (3'); R1 및 R2>에서 설명한 기와 동일한 기를 들 수 있다.
<식 (4'); R8 및 R9>
상기 식 (4')에 있어서의 R8 및 R9는, 각각, 수소 원자, 히드록실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의 할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3 내지 8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 아미노기, 치환 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복소환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알킬기, 포르밀기, 히드록시카르보닐기, 탄소수 2 내지 7의 알킬카르보닐기, 탄소수 2 내지 7의 알콕시카르보닐기, 할로겐 원자,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7 내지 11의 아르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7 내지 11의 아르알콕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기, 티올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3 내지 8의 시클로알킬티오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 또는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티오기이다.
또한, 상기 식 (4')에 있어서의 R8 및 R9는, 2개가 하나가 되어, 그들이 결합하는 13위치의 탄소 원자와 함께, 환원 탄소수가 3 내지 20인 지방족환, 상기 지방족환에 방향족환 혹은 방향족 복소환이 축환한 축합 다환, 환원 원자수가 3 내지 20인 복소환, 또는 상기 복소환에 방향족환 혹은 방향족 복소환이 축환한 축합 다환을 형성해도 되고, 단, 이들 환은 치환기를 가져도 된다. 혹은 그들이 결합하는 13위치의 탄소 원자와 함께, 환원 탄소수가 3 내지 20인 지방족 탄화수소환,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환에 방향족환 혹은 방향족 복소환이 축환한 축합 다환, 환원 원자수가 3 내지 20인 복소환, 또는 상기 복소환에 방향족 탄화수소환 혹은 방향족 복소환이 축환한 축합 다환기를 형성해도 된다.
<식 (4'); 분자쇄 R1 내지 R4, R7 내지 R9가 분자쇄를 갖는 경우>
상기 식 (4')로 표시되는 기본 골격이 갖는 분자쇄는, R1 내지 R4, R7 내지 R9의 하나가 결합손이 되어, 직접, 기본 골격과 결합할 수 있다. 즉, R1 내지 R4, R7 내지 R9의 하나가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L-Chain) 또는 -(L-Chain-L')-이 되어도 된다(R1 내지 R4, R7 내지 R9의 하나가 분자쇄가 될 수 있다.).
또한, R1 내지 R4, R7 내지 R9 중,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기의 해당 치환기가 「분자쇄」가 될 수도 있다.
나아가, R1 내지 R4, R7 내지 R9의 하나의 치환기(단, 수소 원자를 제외한다)를 통하여, 분자쇄를 가질 수도 있다.
<식 (4'); R1 내지 R4, R7 내지 R9의 적합한 기>
상기 식 (4')에 있어서의, 적합한 R1 내지 R4, R7 내지 R9는, 이하와 같다.
적합한 R1, R2, R3, R4는, 상기 식 (3')로 표시된 적합한 기와 마찬가지이며, R7은, 수소 원자, 상기 알콕시기, 상기 복소환기, 상기 아릴기가 바람직하고, R8 및 R9는, 상기 히드록실기, 상기 알킬기, 상기 알콕시기, R8 및 R9가 결합하는 13위치의 탄소 원자와 환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분자쇄는, R3, R4, R7 내지 R9의 어느 것에 치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5')로 표시되는 기본 골격(식 (5)의 적합한 기본 골격)>
상기 식 (5)로 표시되는 기본 골격에 있어서, 바람직한 기본 골격은, 하기 식 (5')로 표시되는 구조이다.
Figure pct00004
상기 식 (5')에 있어서, 괄호 중 분자 구조가 PC 또는 PC'의 기본 골격이며, 선은 L 또는 L'와 결합하는 것을 나타낸다.
<식 (5'); R3 및 R4>
상기 식 (5')에 있어서의 R3 및 R4는, 상기 식 (3')의 <식 (3'); R3 및 R4>에서 설명한 기와 동일한 기를 들 수 있다.
<식 (5'); R10, R11 및 R12>
상기 식 (5')에 있어서의 R10 내지 R12는, 상기 식 (3')의 <식 (3'); R1 및 R2>에서 설명한 기와 동일한 기를 들 수 있다.
<식 (5'); 분자쇄 R3, R4, R10 내지 R12가 분자쇄를 갖는 경우>
상기 식 (5')로 표시되는 기본 골격이 갖는 분자쇄는, R3, R4, R10 내지 R12의 하나가 결합손이 되어, 직접, 기본 골격과 결합할 수 있다. 즉, R3, R4, R10 내지 R12의 하나가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L-Chain) 또는 -(L-Chain-L')-이 되어도 된다(R3, R4, R10 내지 R12의 하나가 분자쇄가 될 수 있다.).
또한, R3, R4, R10 내지 R12 중,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기의 해당 치환기가 「분자쇄」가 될 수도 있다.
나아가, R3, R4, R10 내지 R12의 하나의 치환기(단, 수소 원자를 제외한다)를 통하여, 분자쇄를 가질 수도 있다.
<식 (6')로 표시되는 기본 골격(식 (6)의 적합한 기본 골격)>
상기 식 (6)으로 표시되는 기본 골격에 있어서, 바람직한 기본 골격은, 하기 식 (6')로 표시되는 구조이다.
Figure pct00005
상기 식 (6')에 있어서, 괄호 중 분자 구조가 PC 또는 PC'의 기본 골격이며, 선은 L 또는 L'와 결합하는 것을 나타낸다.
<식 (6'); R13, R17, R18 및 R19>
상기 식 (6')에 있어서의 R13, R17, R18 및 R19는, 상기 식 (3')의 <식 (3'); R1 및 R2>에서 설명한 기와 동일한 기를 들 수 있다.
<식 (6'); R16>
상기 식 (6')에 있어서의 R16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5의 할로알킬기, 탄소수 1 내지 5의 디할로알킬기, 탄소수 1 내지 5의 트리할로알킬기, 탄소수 3 내지 20의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비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를 들 수 있다.
<식 (6'); R14 및 R15>
상기 식 (6')에 있어서의 R14 및 R15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3 내지 20의 시클로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식 (6'); 분자쇄 R13 내지 R19가 분자쇄를 갖는 경우>
상기 식 (6')로 표시되는 기본 골격이 갖는 분자쇄는, R13 내지 R19의 하나가 결합손이 되어, 직접, 기본 골격과 결합할 수 있다. 즉, R13 내지 R19의 하나가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L-Chain) 또는 -(L-Chain-L')-이 되어도 된다(R13 내지 R19의 하나가 분자쇄가 될 수 있다.).
또한, R13 내지 R19 중,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기의 해당 치환기가 「분자쇄」가 될 수도 있다.
나아가, R13 내지 R19의 하나의 치환기(단, 수소 원자를 제외한다)를 통하여, 분자쇄를 가질 수도 있다.
<식 (7')로 표시되는 기본 골격(식 (7)의 적합한 기본 골격)>
상기 식 (7)로 표시되는 기본 골격에 있어서, 바람직한 기본 골격은, 하기 식 (7')로 표시되는 구조이다.
Figure pct00006
상기 식 (7')에 있어서, 괄호 중 분자 구조가 PC 또는 PC'의 기본 골격이며, 선은 L 또는 L'와 결합하는 것을 나타낸다.
<식 (7'); R13, R18 및 R19)>
상기 식 (7')에 있어서의 R13, R18 및 R19는, 상기 식 (6')의 <식 (6'); R13, R17, R18 및 R19)>((<식 (3'); R1 및 R2>))에서 설명한 기와 동일한 기를 들 수 있다.
<식 (7'); R14 및 R15>
상기 식 (7')에 있어서의 R14 및 R15는, 상기 식 (6')의 <식 (6'); R14 및 R15>에서 설명한 기와 동일한 기를 들 수 있다.
<식 (7'); R20 및 R21>
상기 식 (7')에 있어서의 R20 및 R21은, 상기 식 (6')의 <식 (6'); R14 및 R15>((<식 (7'); R14 및 R15>))에서 설명한 기와 동일한 기를 들 수 있다.
<식 (7'); 분자쇄 R13 내지 R15, 및 R18 내지 R21이 분자쇄를 갖는 경우>
상기 식 (7')로 표시되는 기본 골격이 갖는 분자쇄는, R13 내지 R15, 및 R18 내지 R21의 하나가 결합손이 되어, 직접, 기본 골격과 결합할 수 있다. 즉, R13 내지 R15, 및 R18 내지 R21의 하나가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L-Chain) 또는 -(L-Chain-L')-이 되어도 된다(R13 내지 R15, 및 R18 내지 R21의 하나가 분자쇄가 될 수 있다.).
또한, R13 내지 R15, 및 R18 내지 R21 중,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기의 해당 치환기가 「분자쇄」가 될 수도 있다.
나아가, R13 내지 R15, 및 R18 내지 R21의 하나의 치환기(단, 수소 원자를 제외한다)를 통하여, 분자쇄를 가질 수도 있다.
<(A) 성분 적합한 2가의 유기기인 L 또는 L'>
상기 식 (1) 및 (2)에 있어서, L 또는 L'는, 폴리옥시알킬렌쇄, (티오)에스테르기, (티오)아미드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를 포함하는 2가의 결합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식 (8)로 표시되는 2가의 유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7
식 중,
R22는, 2가의 기이며,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렌기, 환을 형성하는 탄소수가 3 내지 12의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시클로알킬기, 환을 형성하는 탄소수가 6 내지 12의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아릴기, 또는 환을 형성하는 원자의 수가 3 내지 12인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복소환기이며,
R23은, 2가의 기이며,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렌기, 환을 형성하는 탄소수가 3 내지 12의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시클로알킬기, 또는 환을 형성하는 탄소수가 6 내지 12의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아릴기이며,
R24는, 2가의 기이며,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렌기, 환을 형성하는 탄소수가 3 내지 12의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시클로알킬기, 또는 환을 형성하는 탄소수가 6 내지 12의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아릴기이며,
R27은, 2가의 기이며,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렌기, 환을 형성하는 탄소수가 3 내지 12의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시클로알킬기, 환을 형성하는 탄소수가 6 내지 12의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아릴기, 또는 환을 형성하는 원자의 수가 3 내지 12인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복소환기이며,
X1 및 X2는, 2가의 기이며, 각각 독립적으로, 직결, O, S, 아미노기, 치환 아미노기, (티오)아미드기, 또는 (티오)에스테르기이며,
R23'는, 2가의 기이며,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렌기, 환을 형성하는 탄소수가 3 내지 12의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시클로알킬기, 또는 환을 형성하는 탄소수가 6 내지 12의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아릴기이며,
d는 0 내지 50의 정수이며, e는 0 내지 50의 정수이며, e'는 0 내지 50의 정수이며, f는 0 내지 50의 정수이며, g는 0 내지 50의 정수이며, 2개의 e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d가 2 이상인 경우, 복수 있는 R22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e가 2 이상인 경우, 복수 있는 e의 단위의 2가의 기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e'가 2 이상인 경우, 복수 있는 e'의 단위의 2가의 기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f가 2 이상인 경우, 복수 있는 f의 단위의 2가의 기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g가 2 이상인 경우, 복수 있는 g의 단위의 2가의 기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또한, L, L'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점선부가 포토크로믹 부위와의 결합을 나타내고 있다. 부언하면, 포토크로믹 부위란, PC 또는 PC'를 의미한다.
상기 식 (8)에 있어서, d는 0인 것이 바람직하고, e, e', f 및 g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2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2개의 e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X1 및 X2는 O(산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R23, R23', R24 및 R27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의 알킬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8)의 바람직한 것을 예시하면,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2가의 기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8
<(A) 성분 적합한 Chain 부분>
상기 식 (1) 및 (2)에 있어서, 「Chain」 부분은, 폴리알킬렌옥시드쇄, 폴리에스테르쇄, 폴리에스테르폴리에테르쇄, 및 폴리실록산쇄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쇄를 포함하는 1가, 또는 2가의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하기 식 (9a) 내지 (9d)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9
식 (9a) 내지 (9c) 중,
R25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렌기이며, 동일 분자 내에 복수의 R25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R25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n은, 상기 올리고머쇄기의 반복 단위를 가리키는 것이며, 3 내지 200의 정수이며, 복수 있는 반복 단위의 2가의 기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식 (9d) 중,
R26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4의 아릴기이며, 동일 분자 내에 복수의 R26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R26은, 서로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적합한 (A) 성분>
본 발명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상기 (A) 성분으로서는, 하기 조합의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은, PC 또는 PC'가 상기 식 (3'), (4') 및 (5')의 나프토피란 골격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이며, L, L'가 상기 식 (8)이며, 「Chain」 부분이 상기 식 (9a) 내지 (9d)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이다.
이어서, (B) 성분인 접착성 우레탄(우레아) 수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B) 접착성 우레탄(우레아) 수지>
본 발명에 있어서, (B) 접착성 우레탄(우레아) 수지가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의 연화점을 주로 결정한다. (A) 성분 및 (B) 성분을 포함하는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의 연화점이 140 내지 220℃를 충족하는 (B) 성분이어야만 한다. 그 때문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B) 성분의 연화점은, 특히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C) 성분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140 내지 220℃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내지 2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60 내지 19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C) 성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C) 성분에 의한 가교 효과가 요망되기 때문에, (B) 성분 단독의 연화점은, 120 내지 220℃인 것이 바람직하고, 130 내지 2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0 내지 190℃인 것 더욱 바람직하고, 140 내지 17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C) 성분을 사용한 경우에는, 이 (C) 성분에서 해당 (B) 성분을 가교한 우레탄(우레아) 수지의 연화점이, 140 내지 220℃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내지 2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5 내지 19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60 내지 19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부언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 연화점은,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가리킨다. 이 연화점은,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형성하는,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의 연화점에 상당한다. 즉, (D) 광학 시트를 접합하고 있는,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의 연화점이다. 이 연화점은,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의 연화점이지만, 해당 포토크로믹 화합물은, 연화점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 때문에, (B) 성분, 또는 (B) 성분과 (C) 성분의 반응물(우레탄(우레아) 수지)의 연화점이, 140 내지 220℃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0 내지 200℃가 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5 내지 19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60 내지 190℃가 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연화점의 (B) 성분, 또는 (C) 성분에 의해 가교한 우레탄(우레아) 접착성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연화점이 140 내지 220℃인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B) 성분은, 접착성, 포토크로믹 특성의 관점에서, (B1)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수 평균 분자량 400 내지 3000의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 및 폴리카프로락톤폴리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폴리올 화합물(이하, 간단히 (B1) 성분이라 하는 경우도 있다.), 및 (B2)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하, 간단히 (B2) 성분이라 하는 경우도 있다.)을 반응하여 얻어지는 우레탄(우레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이들 각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B1) 성분; 폴리올 화합물
해당 우레탄(우레아) 수지에 사용되는 폴리올 화합물로서는,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 폴리카프로락톤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등의 폴리올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열성, 밀착성, 포토크로믹 특성 등의 관점에서,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 폴리카프로락톤폴리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폴리올 화합물의 수 평균 분자량은, 400 내지 3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내열성, 포토크로믹 특성의 관점에서, 수 평균 분자량은 400 내지 2500인 것이 바람직하고, 400 내지 2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B2) 성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해당 우레탄(우레아) 수지에 사용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내후성의 관점에서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또는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테트라메틸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1,6-디이소시아네이트, 옥타메틸렌-1,8-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산-1,6-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시클로헥산-1,3-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1,4-디이소시아네이트, 2,4-메틸시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2,6-메틸시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노르보르넨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의 이성체 혼합물, 헥사히드로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히드로톨루엔-2,6-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히드로페닐렌-1,3-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히드로페닐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들 수 있고, 특히 내열성의 관점에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의 이성체 혼합물, 노르보르넨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접착성 우레탄(우레아) 수지 (B)는, 상기 (B1), (B2) 성분에 추가로, (B3)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할 수 있는 기를 갖는 분자량 50 내지 300의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이하, 간단히 (B3) 성분이라 하는 경우도 있다.)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 (B3)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B3) 성분;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
해당 우레탄(우레아) 수지에 사용되는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은, (B) 우레탄(우레아) 수지를 합성할 때의 쇄 연장제, 또는 가교제로서 기능하는 것이며, 얻어지는 우레탄(우레아) 수지의 내열성, 포토크로믹 특성의 관점에서, 분자량 50 내지 300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디아민 화합물, 트리아민 화합물 등의 아미노기 함유 화합물, 디올 화합물, 트리올 화합물 등의 수산기 함유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해당 아미노기 함유 화합물로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화합물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이소포론디아민, 에틸렌디아민, 1,2-디아미노프로판, 1,3-디아미노프로판, 1,2-디아미노부탄, 1,3-디아미노부탄, 1,4-디아미노부탄, 1,5-디아미노펜탄, 1,6-디아미노헥산, 피페라진, N,N-비스-(2-아미노에틸)피페라진,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비스-(4-아미노-3-부틸시클로헥실)메탄, 1,2-, 1,3- 및 1,4-디아미노시클로헥산, 노르보르난디아민, 히드라진, 아디프산디히드라진, 페닐렌디아민, 4,4'-디페닐메탄디아민, N,N'-디에틸에틸렌디아민, N,N'-디메틸에틸렌디아민, N,N'-디프로필에틸렌디아민, N,N'-디부틸에틸렌디아민, N-메틸에틸렌디아민, N-에틸에틸렌디아민, 비스(헥사메틸렌)트리아민, 1,2,5-펜탄트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밀착성, 내열성, 포토크로믹 특성, 및 우레탄(우레아) 수지의 합성 용이함의 관점에서, 아미노기 함유 화합물은, 분자 내에 아미노기를 2개 갖고, 지환식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이소포론디아민,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노르보르난디아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수산기 함유 화합물로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화합물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1,5-디히드록시펜탄, 1,6-디히드록시헥산, 1,7-디히드록시헵탄, 1,8-디히드록시옥탄, 1,9-디히드록시노난, 1,10-디히드록시데칸, 1,11-디히드록시운데칸, 1,12-디히드록시도데칸, 네오펜틸글리콜, 글리세린,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디(트리메틸올프로판), 부탄트리올, 1,2-메틸글루코사이드,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펜타에리트리톨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밀착성, 내열성, 포토크로믹 특성의 관점에서,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수산기 함유 화합물이며, 분자량이 50 내지 300(g/mol)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수산기를 2개 갖는 것으로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을 들 수 있다. 3개 이상 수산기를 갖는 것으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 디(트리메틸올프로판)을 들 수 있다.
(B4) 성분; 반응 정지제
본 발명에 있어서, (B) 성분은, 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의 반응성기여도 되지만,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C) 성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말단이 비반응성기가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C) 성분을 배합하는 경우에는, (B) 성분은, 분자 말단에 잔존하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할 수 있는 활성 수소기를 갖는 공지된 단관능 물질(반응 정지제; 이하, 간단히 (B4) 성분이라 하는 경우도 있다.)과 반응시켜, 비반응성으로 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정지제로서는, 아민, 알코올, 티올, 및 카르복실산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노르말부틸아민, sec-부틸아민, tert-부틸아민, 디부틸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노르말부탄올, sec-부탄올, tert-부탄올, 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산화 방지 기능성 부여 화합물, 광안정성 기능성 부여 화합물을 반응 정지제로서 사용함으로써, 폴리우레탄-우레아 수지에 기능성 부여 화합물을 도입함과 동시에 말단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불활성화할 수 있다.
<우레탄(우레아) 수지에 있어서의 (B1), (B2), (B3), 및 (B4) 성분의 사용량>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접착성 우레탄(우레아) 수지(B 성분)를 구성하는 상기 각 성분, 즉 (B1) 성분, (B2) 성분의 양비는, 우레탄(우레아) 수지를 사용하는 용도 등을 감안하여 적절히 결정하면 되지만, 얻어지는 우레탄(우레아) 수지의 내열성, 접착력 등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양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B1) 성분에 포함되는 수산기의 총 몰수를 n1이라 하고, (B2) 성분에 포함되는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총 몰수를 n2라 했을 때에, n1:n2=0.2 내지 0.8:1.0이 되는 양비가 바람직하고, n1:n2=0.3 내지 0.7:1.0이 되는 양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B1), (B2) 성분에 추가로, (B3) 성분을 구성 성분에 사용한 경우, (B1) 성분, (B2) 성분, (B3) 성분의 양비는, 얻어지는 우레탄(우레아) 수지의 내열성, 접착력 등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양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B1) 성분에 포함되는 수산기의 총 몰수를 n1이라 하고, (B2) 성분에 포함되는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총 몰수를 n2라 하고, (B3) 성분에 포함되는 활성 수소기의 총 몰수를 n3이라 했을 때에, n1:n2:n3=0.2 내지 0.8:1.0:0.2 내지 0.8이 되는 양비가 바람직하고, 특히 n1:n2:n3=0.3 내지 0.7:1.0:0.3 내지 0.7이 되는 양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n1 내지 n3은, 각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화합물의 사용 몰수와 해당 화합물 1분자 중에 존재하는 각 기의 수의 곱으로서 구할 수 있다.
(B4) 성분을 사용하여, 말단을 비반응성기로 하는 경우에는, (B4) 성분에 포함되는 활성 수소기의 총 몰수를 n4라 했을 때에,
n1:n2:n3:n4=0.2 내지 0.8:1.0:0.2 내지 0.8:0.01 내지 0.2로 하는 양비가 바람직하고, n1:n2:n3:n4=0.3 내지 0.7:1.0:0.3 내지 0.7:0.01 내지 0.18로 하는 양비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B4) 성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n2=n1+n3+n4=1.0이 된다.
<(B) 성분 우레탄(우레아) 접착성 수지의 합성 방법>
상기 (B1) 성분, (B2) 성분을 반응시켜서, (B) 성분을 얻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적합하게 (B) 성분을 얻을 수 있다.
(합성 방법)
(B1) 성분과 (B2) 성분을 반응시켜서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얻고, 이어서 해당 우레탄 프리폴리머와, (B3) 성분을 반응성시킴으로써, (B) 성분이 되는 접착성 우레탄(우레아) 수지를 합성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B1) 성분과 (B2) 성분의 반응은, 용매의 존재 하 또는 비존재 하에서 양자를 질소 혹은 아르곤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 중, 25 내지 120℃에서 0.5 내지 24시간 반응시키면 된다. 용매로서는, 메틸에틸케톤, 디에틸케톤, 톨루엔, 헥산, 헵탄, 아세트산에틸,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술폭시드(DMSO), 테트라히드로푸란(THF) 등의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반응 시에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중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불순물로서의 물과의 반응을 피하기 위해서, 각종 반응 시제 및 용매는, 미리 탈수 처리를 행하고, 충분히 건조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응을 행할 때에는, 디라우릴산디부틸주석, 디메틸이미다졸, 트리에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1,6-헥사디아민, 테트라메틸-1,2-에탄디아민,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 등의 촉매를 사용해도 된다. 촉매를 사용할 때의 첨가량으로서는, 해당 B 성분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1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얻어진 우레탄 프리폴리머와 (B3) 성분의 반응은, 용매의 존재 하 또는 비존재 하에서 양자를 질소 혹은 아르곤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 중, -10 내지 100℃에서 0.5 내지 24시간 반응시키면 된다. 용매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t-부탄올, 2-부탄올, n-부탄올, 메틸에틸케톤, 디에틸케톤, 톨루엔, 헥산, 헵탄, 아세트산에틸, DMF, DMSO, THF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B3) 성분에 3관능 이상의 활성 수소기를 갖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유기 용매에 용해하지 않는 가교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 후술하는 포토크로믹 적층체의 제조에 있어서, (B1) 성분과 (B2) 성분을 반응시켜서 얻어진 프리폴리머와, (B3) 성분을 혼합하여,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형성한 후, 가열 처리에 의해 상기 프리폴리머와 (B3) 성분을 반응시킴으로써, (B) 성분을 형성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B4) 성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마지막으로 (B4) 성분을 사용하여 말단을 비반응성기로 하면 된다.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은, 상기 (A) 성분, 및 상기 (B) 접착성 우레탄(우레아)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연화점이 140 내지 220℃가 되야만 한다. 즉, 특정한 분자쇄를 갖는 상기 (A) 성분을 사용하고, 상기 (B) 접착성 우레탄(우레아) 수지를 포함하고, 또한 연화점을 140 내지 220℃로 조정해야만 한다.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의 연화점이 140℃ 미만인 경우에는, 포토크로믹 특성은 양호하기는 하지만, 후술하는 광학 물품을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B) 성분을 포함하는 접착층이 연화되는 것에 의한 불량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연화점이 2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포토크로믹 특성의 저하가 보이고, 광학 시트와의 밀착성도 저하되는 경향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통상이면, 연화점이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내열성은 향상되고, 고온 시의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본 발명자 등의 검토에 의하면, 상기 (A) 성분을 포토크로믹 화합물에 사용한 경우,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의 연화점을 140 내지 220℃로 하지 않으면, 고온 시의 밀착성, 및 우수한 포토크로믹 특성을 발휘할 수 없음을 알았다. 포토크로믹 특성, 및 고온 시의 밀착성을 고려하면,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의 연화점은, 150 내지 2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5 내지 19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60 내지 19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의 연화점은, (B) 성분의 내열성, (A) 성분의 조성·배합량,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C) 성분의 배합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은, 상기 (A) 성분, (B) 성분, 및 그 밖의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각 성분을 혼합하는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성분을 용융 혼련하여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로 하고 펠릿화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대로 시트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 성분을 유기 용제에 녹임으로써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은, 특히 광학 시트끼리를 접합하기 위한 포토크로믹성 접착제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을 통하여 광학 시트를 서로 접합함으로써,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A) 포토크로믹 화합물의 배합량>
본 발명에 있어서, 포토크로믹 화합물의 배합량은, 포토크로믹 특성의 관점에서, (B)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0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합량이 너무 적을 경우에는, 충분한 발색 농도나 내구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 한편, 너무 많은 경우에는, 포토크로믹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에 용해하기 어려워져, 조성물의 균일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접착력(밀착력)이 저하되는 경향도 있다. 발색 농도나 내구성과 같은 포토크로믹 특성을 유지한 채, 접착성을 충분히 유지하기 위해서는, 포토크로믹 화합물의 첨가량은, 수지 성분 합계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0.0질량부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내지 15.0질량부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C)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하, 간단히 (C) 성분이라 하는 경우도 있다.)을 배합하고, (B) 성분을 일부 가교한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로 할 수도 있다. 이어서, 이 (C)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C) 성분;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에 있어서, (B) 성분인 접착성 우레탄(우레아) 수지의 연화점이 140℃ 미만인 경우에도, (C) 성분을 배합함으로써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의 연화점을 140℃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 이유는, (B) 성분의 우레탄(우레아) 수지 중의 우레탄(우레아) 결합에 (C) 성분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작용하여, 부분적으로 고분자량화, 또는 가교 구조를 형성한다고 생각되어,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의 연화점을 140 내지 220℃의 범위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C) 성분을 포함하는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은, 광학 시트와의 밀착성, 내열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 중에서도, 해당 우레탄(우레아) 수지가 분자 말단에 반응성기를 갖지 않는 비반응성 우레탄(우레아) 수지인 경우, 특히 (B4) 성분을 배합하여 말단을 비반응성기로 한 (B) 성분을 사용한 경우에, (C) 성분을 병용함으로써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B) 성분의 연화점이 140℃ 미만인 경우의 설명을 했지만,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의 연화점이 140 내지 220℃의 범위를 충족하는 것이면, 당연, 연화점이 140℃ 이상인 (B) 성분과 (C) 성분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해당 (C) 성분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의 이성체 혼합물, 시클로부탄-1,3-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1,3-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1,4-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히드로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히드로톨루엔-2,6-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히드로페닐렌-1,3-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히드로페닐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의 3량체(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뷰렛 화합물,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어덕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의 이성체 혼합물,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의 3량체(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뷰렛 화합물, 및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C) 성분의 배합 비율은, 사용하는 우레탄(우레아) 수지에 따라 적절히 결정하면 되지만, 접착성 우레탄(우레아) 수지 성분((B)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4.0 내지 2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합량이 너무 적을 경우에는, 충분한 접착성, 및 내열성의 향상 효과를 얻지 못한다. 또한, 너무 많은 경우에는, 우레탄(우레아) 수지의 백탁, 접착성의 저하 등이 일어나는 경향이 있다.
(C) 성분을 배합한 경우의 포토크로믹 접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일반적인 유기 용매에 용해하지 않는 가교 구조를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그 때문에, 이하의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포토크로믹 적층체의 제조에 있어서, (B) 성분과 (C) 성분을 혼합하여,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준비한 후, 가열 처리에 의해 (B) 성분과 (C) 성분을 반응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비교적 연화점이 낮은 (B) 성분을 (C) 성분과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우레탄(우레아) 수지가 일부 가교한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내열성과, 우수한 포토크로믹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베이스가 되는 (B) 성분의 연화점이 낮은 것에 의해, 포토크로믹 화합물이 운동(개환·폐환 등)하기 쉬운 상황이 된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 상황을 살리면서, (C) 성분으로 부분적으로 가교하여, 연화점을 높이는 것에 의해, 포토크로믹 특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이 형태로 함으로써, 분자량이 300 이상인 분자쇄를 치환기로서 갖는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사용하는 효과를 보다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구체적으로는, 포토크로믹 특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B) 접착성 우레탄(우레아) 수지의 연화점은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5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40℃이다. 또한, (B) 접착성 우레탄(우레아) 수지의 연화점은,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의 연화점보다도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의 차(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의 연화점-(B) 접착성 우레탄(우레아) 수지의 연화점)는 5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2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차가 5 내지 30℃가 되는 것에 의해, 특히 얻어지는 성형체(예를 들어, 광학 물품)의 퇴색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어, 포토크로믹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 기타의 첨가제>
본 발명에 있어서,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에는, 포토크로믹 특성을 부여하는 성분 이외에, 계면 활성제, 힌더드아민 광안정제, 힌더드페놀 산화 방지제, 페놀계 라디칼 보충제, 황계 산화 방지제, 인계 산화 방지제, 자외선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이형제, 착색 방지제, 대전 방지제, 형광 염료, 염료, 안료, 향료, 가소제 등의 첨가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이들 첨가제로서는, 공지된 화합물이 전혀 제한 없이 사용되고, 이들은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들 첨가제는,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제조할 때에 혼합하면 된다. 상기 첨가제의 첨가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B)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첨가제의 합계량이 0.001 내지 10질량부의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접착층은, 일단, 해당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의 혼합물과, 유기 용매를 혼합한 용액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유기 용매의 존재 하,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구성하기 위하여 각 성분의 혼합물을 충분히 혼합함과 함께, 해당 용액을 사용하여 도포층을 형성한다. 그 후, 이 도막층으로부터 유기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유기 용매를 포함하지 않는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접착층)의 연화점이 140 내지 220℃가 되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기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포토크로믹 화합물((A) 성분), 우레탄(우레아) 수지((B) 성분), 나아가,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그 밖의 성분을 혼합하기 쉬워진다. 그리고,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 또는 해당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의 혼합물의 점도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광학 시트에 도포할 때의 조작성 및 도포층 두께의 균일성을 높게 할 수도 있다. 부언하면, 광학 시트로서 유기 용매로 침범되기 쉬운 재질의 것을 사용한 경우에는, 외관 불량이 발생하거나, 포토크로믹 특성이 저하되거나 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할 것이 염려되지만, 이러한 문제는, 후술하는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 또는 해당 각 성분의 혼합물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여러 종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용매로서 광학 시트를 침범하기 어려운 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도 상기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유기 용매를 예시하면,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i-프로판올, 2-펜탄올, 3-펜탄올, 3-메틸-2-부탄올, 4-메틸-2-펜탄올, n-부탄올, t-부탄올, 2-부탄올, t-펜틸알코올2,2,2-트리플루오로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이소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n-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n-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t-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n-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등의 다가 알코올 유도체; 디아세톤 알코올; 메틸에틸케톤, 디에틸케톤, n-프로필메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이소프로필케톤, n-부틸메틸케톤 등의 케톤류; 톨루엔; 헥산; 헵탄;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2-메톡시에틸, 아세트산-2-에톡시에틸 등의 아세테이트류;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술폭시드(DMSO); 테트라히드로푸란(THF); 시클로헥사논;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사용하는 (B) 성분의 종류나 광학 시트의 재질에 따라서 적절히 선정하여 사용하면 되지만, (B) 성분에는 이소시아네이트기가 포함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는 기를 포함하지 않는 유기 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보다 적합한 유기 용제로서는, 메틸에틸케톤, 디에틸케톤, n-프로필메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이소프로필케톤, n-부틸메틸케톤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2-메톡시에틸, 아세트산-2-에톡시에틸 등의 아세테이트류; DMF; DMSO; THF;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용매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접착성 우레탄(우레아) 수지 성분((B)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500질량부가 바람직하다.
이하, 포토크로믹 적층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포토크로믹 적층체>
포토크로믹 적층체는, 서로 대향하는 2매의 광학 시트가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접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을 통하여 접합된 적층 구조를 포함한다. 도 1에, 해당 포토크로믹 적층체의 적합한 층 구성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하면 포토크로믹 적층체(1)는, 광학 시트(2, 4)가,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층(3)을 통하여 접합되어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접착층의 연화점이 140 내지 220℃가 될 필요가 있다. 이 포토크로믹 적층체에 사용할 수 있는 광학 시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D) 광학 시트>
본 발명에 있어서, (D) 광학 시트로서는, 광투과성을 갖는 시트이면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입수의 용이성 및 가공의 용이함 등의 관점에서 수지제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해당 (D) 광학 시트의 원료로서 적합한 수지를 예시하면,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메트)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우레탄우레아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및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접착성이 양호하여 사출 성형법에 대한 적용성이 높다는 이유에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해당 (D) 광학 시트의 막 두께는, 20 내지 1000㎛가 바람직하고, 얻어지는 포토크로믹 적층체의 가공성의 관점에서, 50 내지 500㎛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D) 광학 시트의 표면(상면 및 하면)은 알칼리 용액이나, 산 용액 등의 약액을 사용한 화학 처리, 연마 처리,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스마 방전 처리, UV 오존 처리 등이 물리적인 표면 처리를 행해도 상관없다.
또한, 본 발명의 (D) 광학 시트의 표면(상면 및 하면)에는, 하기와 같은 도막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막층은,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 수분산 폴리에스테르 수지, 수분산 아크릴 수지, 수분산 폴리우레탄·아크릴 수지 등의 수분산성 폴리머; 상기 수분산성 폴리머 중, 카르보닐기를 갖는 폴리머와 히드라지드 화합물의 가교체;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수용성 폴리머의 가교체; (메트)아크릴기를 갖는 중합성 모노머, 및/또는 에폭시기, (메트)아크릴기, 비닐기, 아미노기, 및 머캅토기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갖는 가수분해성 유기 규소 화합물의 조성물; 실라놀기 혹은 가수분해하여 실라놀기를 형성할 수 있는 기, (메트)아크릴레이트기, 에폭시기, 및 비닐기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성기를 갖는 우레탄우레아 수지의 조성물; 프로페닐에테르기 함유 화합물, 폴리엔 화합물 및 티올 화합물을 포함하는 엔/티올계 조성물, 옥세탄 화합물 등을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 등의, 수지, 가교체, 조성물로 형성되면 된다. 해당 도막층을 특히 최표면(포토크로믹 접착성 시트가 존재하지 않는 측)에 형성함으로써,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조성물, 알릴계 모노머 조성물, 티오우레탄계 모노머 조성물, 우레탄계 모노머 조성물, 티오에폭시계 모노머 조성물 등의 열경화성 수지(광학 기재)를 형성하는 모노머 조성물 중에, 친숙해지기 쉽고,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매설할 수 있다. 그 결과, 해당 열경화성 수지(광학 기재)와 해당 포토크로믹 적층체의 밀착성이 양호한, 해당 열경화성 수지(광학 기재) 중에 해당 포토크로믹 적층체가 매설된 광학 물품을 얻을 수도 있다.
<포토크로믹 적층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적층체는, 서로 대향하는 2매의 광학 시트를,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을 통하여 접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부언하면, 해당 접착층의 두께는, 포토크로믹 화합물의 발색 농도, 내후성 및 접착 강도 등의 관점에서, 5 내지 100㎛, 특히 10 내지 6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접착층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에 용매를 배합하여 얻어지는 혼합물이 적당한 점도로 조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한쪽 광학 시트 상에 해당 혼합물을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가열)건조를 행한 후, 다른 광학 시트를 (가열)압착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I) 평활한 기재 상에 해당 혼합물을 연전시킨 후에 건조시킴으로써 유기 용매를 제거하고, 그 후, 기재를 박리하여, 포토크로믹성 접착 시트를 제작하고, 이어서 (II) 서로 대향하는 2매의 광학 시트의 사이에 상기 포토크로믹성 접착 시트를 개재시켜서 해당 2매의 광학 시트를 접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제조할 수도 있다. 최종적인 처리를 종료하여 얻어진 포토크로믹 적층체에 있어서, 포토크로믹성 접착 시트의 부분이 접착층이 된다. 부언하면, 상기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은, 해당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해당 혼합물을 접착층으로 할 때에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평활한 기재의 재질로서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제에 내성이 있는 것, 또한 해당 접착층이 박리하기 쉬운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유리, 스테인리스, 테플론(등록 상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나아가 실리콘계나 불소계 등의 박리성을 향상시키는 코팅층을 적층시킨 플라스틱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채용한 경우에는, 용매의 종류 및 광학 시트의 종류에 구애되지 않고, 용매의 사용에 기인하는 악영향을 배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제조 방법 중에서도, 본 발명의 (B) 성분인 접착성 우레탄(우레아) 수지를 구성하는 (B3) 성분에, 3관능 이상의 활성 수소기를 갖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유기 용매에 용해하지 않는 가교 구조를 형성한다. 그 때문에, 이하의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제조할 때에, (A) 성분, (B1) 성분, 및 (B2) 성분으로 구성된 우레탄(우레아) 프리폴리머, 및 3관능 이상의 활성 수소기를 갖는 (B3) 성분을 유기 용매와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평활한 기재상으로 도포한 후, 건조에 의해 유기 용제를 제거함과 함께, 우레탄(우레아) 프리폴리머와 3관능 이상의 활성 수소기를 갖는 (B3) 성분을 반응시켜 (B) 성분을 얻는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적층체는, 광학 시트와의 접착성을 보다 향상시킬 목적으로,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의 양측에,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우레탄(우레아) 수지를 포함하는 별도의 접착층(제2 접착층)을 적층하고, 2매의 광학 시트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포토크로믹 적층체여도 된다. 즉, 해당 적층체는, 광학 시트, 제2 접착층,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층, 제2 접착층, 광학 시트가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는 적층체이다.
이 제2 접착층은, 상기 (B) 성분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B1), (B2), (B3) 성분이, n1:n2:n3=0.30 내지 0.90:1:0.10 내지 0.70이 되는 양비가 바람직하고, 또한 n1:n2:n3=0.40 내지 0.80:1:0.20 내지 0.60이 되는 양비의 (B)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B4) 성분을 사용한 경우에는, n1:n2:n3:n4=0.30 내지 0.89:1.0:0.10 내지 0.69:0.01 내지 0.20이 되는 양비가 바람직하고, n1:n2:n3:n4=0.40 내지 0.80:1.0:0.15 내지 0.58:0.01 내지 0.15가 되는 양비의 (B)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부언하면, (B1) 내지 (B4) 성분은, (B) 성분의 설명에서 한 것과 동일한 이유로 동일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적합한 화합물도 동일하다.
또한, 이 제2 접착층을 형성하는 (B) 성분, 즉, 제2 접착층 그 자체는, 연화점이 140 내지 220℃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층보다도 제2 접착층이 얇은 경우에는, 큰 영향은 줄 일이 없다. 단, 제2 접착층도, 후술하는 사출 성형의 성형성에 영향을 줄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이 제2 접착층도,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접착층)과 동일하게, 연화점이 150 내지 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60 내지 190℃가 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부언하면, 제2 접착층에는,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C) 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얻어지는 우레탄(우레아) 수지(제2 접착층)의 연화점이, 140 내지 220℃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0 내지 2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5 내지 19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60 내지 19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즉,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베이스가 되는 수지 그 자체의 연화점이 상기 범위를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접착층의 막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5 내지 1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언하면, 2매의 광학 시트의 양쪽에 제2 접착층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의 두께에 대한, 제2 접착층의 합계 두께의 비(제2 접착층의 합계 두께/접착층의 두께)가 0.1 내지 0.9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3 내지 0.7이 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학 물품>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포토크로믹 적층체의 적어도 한쪽 외표면에, 플라스틱 광학 기재 등의 합성 수지층을 적층한 광학 물품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포토크로믹 적층체와, 플라스틱 렌즈 본체 등의 광학 기재를 일체화함으로써 광학 물품을 얻는다. 이 광학 기재의 원료로서는, 상기 광학 시트의 원료와 마찬가지의 것을 들 수 있다. 일체화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금형 내에 장착한 후에, 광학 기재(예를 들어, 렌즈 본체)를 구성하기 위한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 성형하는 방법(이하, 간단히 사출 성형법이라고도 한다.), 광학 기재의 표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첩부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광학 기재를 형성할 수 있는 중합성 모노머 중에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침지한 후, 해당 중합성 모노머를 경화시킴으로써, 광학 기재 중에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매설시켜서 일체화할 수도 있다. 그 때문에, 상기 광학 물품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광학 기재 상에 상기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적층한 것이어도 되고, 해당 플라스틱 광학 기재 내에 매설한 것이어도 된다. 해당 플라스틱 광학 기재 등의 합성 수지층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알릴 수지, (메트)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우레탄우레아 수지, 폴리티오우레탄 수지, 폴리에폭시 수지, 폴리티오에폭시 수지, 및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등의 공지된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적층체는, 광학 기재와 일체화하기 전에, 굽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렌즈상의 구면 형상으로 가공할 수도 있다.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구면 형상으로 굽힘 가공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열 프레스 가공, 가압 가공, 감압 흡인 가공 등을 들 수 있다.
굽힘 가공할 때의 온도는, 포토크로믹 적층체에 사용되고 있는 광학 시트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하면 되지만, 120℃ 초과 200℃ 이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굽힘 가공한 포토크로믹 적층체는, 사출 성형기의 금형 내에 설치되고, 사출 성형에 의해 광학 기재와 해당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일체화하면 된다. 사출 성형에는 일반의 사출 성형기나 사출 압축 성형기 등이 사용된다. 사출 성형의 성형 조건은, 광학 기재를 형성하는 수지의 종류, 물성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하면 된다. 통상, 성형기 중의 수지 온도는 180 내지 330℃,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20℃이다. 또한, 사출 압력은 50 내지 1700kg/㎠, 바람직하게는 70kg/㎠ 내지 1500kg/㎠이다.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적층체의 우수한 내열성 효과라고 추측되지만, 우레아 결합을 갖지 않는 우레탄 수지를 접착층에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고온에서 사출 성형을 행했을 때에도, 면 변형, 접착층의 용융에 의한 포토크로믹 적층체의 측면으로부터의 용출, 박리 등은 관측되지 않았다.
실시예
이하에 예시하는 몇 가지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는,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 성분으로서 사용한 화합물 등의 약호를 정리한다.
(A 성분): 포토크로믹 화합물
<PC1>의 합성
실시예에 사용한 하기 식 (PC1)은 예를 들어, 국제 공개 제2009-146509호에 기재된 제조 방법을 참고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제 공개 제2009-146509호에 있어서, 2-히드록시-에톡시카르보닐기를 갖는 나프토피란 화합물과 카르복실기를 양쪽 말단에 갖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분자쇄의 (평균) 분자량은, 1350이다. 해당 PC1은, 분자쇄를 치환기로서 갖는 포토크로믹 화합물이다.
Figure pct00010
<PC2>의 합성
상기 식 (PC1)로 표시되는 포토크로믹 화합물과 마찬가지로, 국제 공개 제2009-146509호에 기재된 방법을 참고로 하여, 그에 대응하는 나프토피란 화합물을 반응시켜서 합성하였다. 분자쇄의 (평균) 분자량은 1438이다. 해당 PC2는, 분자쇄를 치환기로서 갖는 포토크로믹 화합물이다.
Figure pct00011
<PC3>
Figure pct00012
<PC4>
Figure pct00013
부언하면, 상기 PC3, PC4는, 분자쇄를 갖지 않는 포토크로믹 화합물이다.
(B1) 성분: 폴리올 화합물
PL1: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 가부시키가이샤제 듀라놀(1,5-펜탄디올과 헥산디올을 원료로 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 수 평균 분자량 500).
PL2: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 가부시키가이샤제 듀라놀(1,5-펜탄디올과 헥산디올을 원료로 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 수 평균 분자량 800).
PL3: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 가부시키가이샤제 듀라놀(1,5-펜탄디올과 헥산디올을 원료로 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 수 평균 분자량 1000).
PL4: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 가부시키가이샤제 듀라놀(1,5-펜탄디올과 헥산디올을 원료로 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 수 평균 분자량 2000).
PL5: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플락셀(폴리카프로락톤폴리올, 수 평균 분자량 830).
PL6: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플락셀(폴리카프로락톤폴리올, 수 평균 분자량 1000).
(B2) 성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NCO1: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의 이성체 혼합물.
NCO2: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B3) 성분: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
H1: 1,4-부탄디올.
H2: 이소포론디아민.
H3: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H4: 트리메틸올프로판.
H5: 디(트리메틸올프로판).
(B4) 성분; 반응 정지제
HA1: 1,2,2,6,6-펜타메틸-4-아미노피페리딘.
HA2: n-부틸아민.
(C) 성분
C1: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의 이성체 혼합물.
C2: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3량체(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 가부시키가이샤제, 제품명 듀라네이트 24A-100).
그 밖의 성분
·L1: 에틸렌비스(옥시에틸렌)비스[3-(5-tert-부틸-4-히드록시-m-톨릴)프로피오네이트](시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제, Irganox245).
·L2: DOW CORNING TORAY L-7001(도레이·다우코닝 가부시키가이샤제, 계면 활성제).
유기 용매
D1: THF(테트라히드로푸란).
D2: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B) 성분의 전구체 합성
우레탄 수지(U1; (B) 성분의 전구체)의 합성
교반 날개, 냉각관,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을 갖는 3구 플라스크에, 수 평균 분자량 500의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B1) 성분: PL1) 250g,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B2) 성분: NCO1) 262.4g을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100℃에서 8시간 반응시켜, 프리폴리머를 합성하였다. 반응의 종점은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역적정법에 의해 확인하였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30℃ 부근까지 냉각하고, THF 1632g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쇄 연장제인 1,4-부탄디올((B3) 성분: H1) 31.5g을 적하하고, 25℃에서 1시간 반응시켜, 우레탄 수지 (U1)의 THF 용액을 얻었다.
우레탄 수지(U2 내지 U13; (B) 성분)의 합성
표 1에 나타내는 폴리올 화합물((B1) 성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2) 성분),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B3) 성분)을 사용하고, 전술한 U1의 합성 방법과 마찬가지로 하여, U2 내지 U13을 합성하였다. U1 내지 U13의 (B1), (B2), (B3) 성분의 종류, 몰 배합 비율을 표 1에 정리하였다.
부언하면, 이들 U1 내지 U13은,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각 실시예·비교예에 있어서,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로 할 때, 가교제로서 추가로 (B3) 성분과 혼합하여 베이스의 (B) 성분으로 하였다. 그 때문에, 표 1에는, (B) 성분의 전구체로서 각 배합량을 기재하였다.
Figure pct00014
우레탄우레아 수지 (UU1)의 합성
교반 날개, 냉각관,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을 갖는 3구 플라스크에, 수 평균 분자량 500의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B1) 성분: PL1) 350g,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B2) 성분: NCO2) 222.3g을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 100℃에서 8시간 반응시켜, 프리폴리머를 합성하였다. 반응의 종점은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역적정법에 의해 확인하였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30℃ 부근까지 냉각하고, THF 2190g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쇄 연장제인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B3) 성분: H3) 53g을 적하하고, 25℃에서 1시간 반응시키고, 그 후 추가로, 1,2,2,6,6-펜타메틸-4-아미노피페리딘((B4) 성분: HA1) 10.5g을 적하하고, 25℃에서 1시간 반응시켜, 우레탄우레아 수지 (UU1)의 THF 용액을 얻었다.
우레탄우레아 수지(UU2 내지 UU11)의 합성
표 2에 나타내는 폴리올 화합물((B1) 성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2) 성분),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B3) 성분), 및 반응 정지제((B4) 성분)를 사용하고, 전술한 UU1의 합성 방법과 마찬가지로 하여, UU2 내지 UU11을 합성하였다.
이상, UU1 내지 UU11의 B1, B2, B3, 성분의 종류, 몰 배합 비율을 표 2에 정리하였다. 또한, 별도로, 제작한 각 (B) 성분(즉, UU1 내지 UU11)의 연화점을 표 2에 나타냈다. 연화점은,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Figure pct00015
제2 접착층용 우레탄우레아 수지 (W1)의 합성
교반 날개, 냉각관,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을 갖는 3구 플라스크에, 수 평균 분자량 1000의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B1) 성분: PL3) 225g,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B2) 성분: NCO2) 100g을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 100℃에서 8시간 반응시켜, 프리폴리머를 합성하였다. 반응의 종점은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역적정법에 의해 확인하였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30℃ 부근까지 냉각하고,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2057g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쇄 연장제인 이소포론디아민(((B3) 성분: H2)) 36g을 적하하고, 25℃에서 1시간 반응시키고, 그 후 추가로, 반응 정지제인 n-부틸아민((B4) 성분: HA2)) 2g을 적하하고, 25℃에서 1시간 반응시켜, 제2 접착층용 우레탄우레아 수지 (W1) 용액을 얻었다. 또한, 별도로, 제작한 (W1) 성분(제2 접착층)의 연화점은 170℃였다. 연화점은,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1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의 조제
우레탄 수지 (U1)의 THF 용액 10g, 포토크로믹 화합물 (PC1) 75mg, 가교제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B3) 성분: H4) 30mg, 추가로 산화 방지제로서 에틸렌비스(옥시에틸렌)비스[3-(5-tert-부틸-4-히드록시-m-톨릴)프로피오네이트] 25mg, 계면 활성제로서 DOW CORNING TORAY L-7001 3m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교반·혼합을 행하여,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구성하기 위한 혼합물을 얻었다. 각 성분의 배합 비율을 표 3에 나타냈다.
상기,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필름(데이진 듀퐁 필름 가부시키가이샤제 퓨렉스 필름, 실리콘 도막 구비)에 도포하고, 80℃에서 5분간 건조시킨 후, PET제 필름을 박리하여 두께 약 40㎛의 포토크로믹성 접착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포토크로믹성 접착 시트를, 두께 300㎛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트 2매의 사이에 끼우고, 40℃, 진공 하에서 24시간 정치하였다. 그 후, 70℃에서 70시간 가열 처리하고, 이어서 60℃, 80%RH에서 24시간의 가습 처리를 행하고, 마지막으로 40℃, 진공 하에서 24시간 정치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포토크로믹 특성을 갖는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얻었다. 이상과 같은 처리를 행한 후의 포토크로믹성 접착 시트가,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이 된다.
포토크로믹 특성으로서의 발색 농도는 0.9이며, 퇴색 속도는 40초였다. 또한, 박리 강도는 23℃ 분위기 하에서 140N/25㎜, 150℃ 분위기에서 20N/25㎜였다. 또한, 해당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의 연화점을 이하와 같이 측정한 바, 연화점은 190℃였다.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의 막 두께, 제2 접착층의 사용 유무·막 두께에 대하여 표 3에 나타냈다.
다음으로 이들의 평가 방법, 및 포토크로믹 적층체의 평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연화점(TMA 측정)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의 연화점은,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의 연화점이며,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작한 시료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적층체와는 별도로, 시료를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2매의 PET제 필름 사이에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구성하는 혼합물(유기 용매를 포함한다)을 도포한 후, 80℃에서 5분간 건조시켰다. 그 후, PET제 필름을 박리하고, 70℃에서 70시간 가열 처리하고, 이어서 60℃, 80%RH에서 24시간의 가습 처리를 행하고, 마지막으로 40℃, 진공 하에서 24시간 정치함으로써, 포토크로믹성 접착 시트(접착층)를 얻었다.
얻어진 포토크로믹성 접착 시트(접착층)의 연화점은, 열 기계 측정 장치(세이코 인스트루먼트사제, TMA120C)를 사용하여, 하기 조건에서 측정한 연화 온도를 의미한다. 연화점(연화 온도)을 구하는 방법은, JIS K7196에 기재된 방법에 따랐다.
〔측정 조건〕 승온 속도: 10℃/분, 측정 온도 범위: 30 내지 250℃, 프로브: 선단 직경 0.5㎜의 침입 프로브. 이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포토크로믹 특성
얻어진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시료로 하고, 이것에, (주)하마마츠 포토닉스제의 크세논 램프 L-2480(300W) SHL-100을, 에어로매스 필터(코닝사제)를 통하여 23℃, 포토크로믹 적층체 표면에서의 빔 강도 365㎚=2.4mW/㎠, 245㎚=24μW/㎠로 300초간 조사하여 발색시켜, 포토크로믹 적층체의 포토크로믹 특성을 측정하였다.
1) 최대 흡수 파장(λmax): (주)오츠카 덴시 고교제의 분광 광도계(순간 멀티채널 포토디렉터 MCPD1000)에 의해 구한 발색 후의 최대 흡수 파장이다. 해당 최대 흡수 파장은, 발색 시의 색조에 관한 것이다.
2) 발색 농도〔ε(300)-ε(0)〕: 상기 최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300초간 조사한 후의 흡광도 ε(300)과 최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미조사 시의 흡광도 ε(0)의 차. 이 값이 높을수록 포토크로믹성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3) 퇴색 속도〔t1/2(sec.)〕: 300초간 조사 후, 광의 조사를 멈췄을 때에, 시료의 상기 최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흡광도가 〔ε(300)-ε(0)〕의 1/2까지 저하되는 데 요하는 시간. 이 시간이 짧을수록 포토크로믹성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이들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박리 강도
얻어진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25×100㎜의 접착 부분을 갖는 시험편으로 하고, 시험기(오토그래프 AGS-500NX, 시마즈 세이사쿠쇼제)에 장착하고, 크로스헤드 속도 100㎜/min으로 인장 시험을 행하고, 각각 하기 1) 내지 2)의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1) 23℃ 분위기 하의 박리 강도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시험을 실시하였다.
2) 150℃ 분위기 하의 박리 강도는, 항온조를 장착한 시험기에 시험편을 설치하고, 150℃ 조건 하에서 10분 정치한 후, 상기와 같이 하여 측정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열)굽힘 가공성
얻어진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굽힘 가공기(LEMA사제 CPL32)를 사용하여, 열 성형에 의해, 구면 형상으로 굽힘 가공을 행하였다. 흡인구를 갖는 오목형의 금형에, φ8㎝의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설치하고, 흡인하면서 140℃에서 2분 가열하였다. 금형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구면 형상으로 가공된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얻었다. 굽힘 가공한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20매 제작하고, 외관 평가를 행한 바, 외관 불량은 확인되지 않고, 수율은 100%였다. 이들 결과를 표 7에 나타냈다. 부언하면, 상기 외관 평가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굽힘 가공성에 있어서의 외관 평가
외관 평가는, 고압 수은등을 굽힘 가공한 포토크로믹 적층체 표면에 조사하고, 그의 투영을 눈으로 봐서 관찰하고, 포토크로믹 적층체에 기포가 발생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기포의 발생이 전혀 없는 굽힘 가공한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양품으로 하고, 기포가 1개 이상 발생한 굽힘 가공한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불량으로 하였다. 표 7에 불량 매수를 기재하였다.
사출 성형성
얻어진 굽힘 가공한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구면 형상의 금형에 설치하고, 100℃로 가열하였다. 사출 성형기에 120℃, 5시간의 예비 가열을 행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의 펠릿(데이진카세이제 팬라이트)을 충전하고, 300℃, 60rpm으로 가열 용융하고, 사출 압력 1400kg/㎠로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설치한 금형에 사출함으로써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와 일체화하여,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포토크로믹성 안경 렌즈를 제조하였다. 포토크로믹성 안경 렌즈의 외관 평가를 행한 바, 외관 불량은 확인되지 않고, (열)굽힘 가공을 포함한 토탈 수율은 100%였다. 부언하면, 사출 성형성의 확인에는, 상기 (열)굽힘 가공에서 양품이라고 판단한 굽힘 가공한 포토크로믹 적층체만을 사용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7에 나타냈다. 부언하면, 상기 외관 평가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사출 성형성에 있어서의 외관 평가
외관 평가는, 고압 수은등을 포토크로믹성 안경 렌즈에 조사하고, 그의 투영을 눈으로 봐서 관찰하고, 접착성 우레탄(우레아) 수지의 용융에 의한 사출 불량, 및 기포가 발생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접착성 우레탄(우레아) 수지의 용융에 의한 외관 불량, 및 기포의 발생이 전혀 없는 포토크로믹성 안경 렌즈를 양품으로 하고, 접착성 우레탄(우레아) 수지의 용융에 의한 외관 불량, 또는 기포가 1군데 이상 발생한 포토크로믹성 안경 렌즈를 불량으로 하였다. 표 7에 불량 매수를 기재하였다.
실시예 2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의 조제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접착층)의 조제와 동일한 방법으로 동일한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구성하는 혼합물을 얻었다. 표 3에 배합을 나타냈다.
제2 접착층용 접착제의 조정
제2 접착층용 우레탄우레아 수지 (W1)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용액 25g에, 계면 활성제로서 DOW CORNING TORAY L-7001 2.5m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교반·혼합을 행하여, 제2 접착층용 접착제를 얻었다.
포토크로믹 적층체의 제작
제2 접착층용 접착제를 두께 300㎛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트 상에 도포하고, 110℃에서 10분간 건조시킴으로써, 막 두께 10㎛의 제2 접착층을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트를 얻었다.
상기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구성하는 혼합물을, PET제 필름(데이진 듀퐁 필름 가부시키가이샤제 퓨렉스 필름, 실리콘 도막 구비)에 도포하고, 80℃에서 10분간 건조시킨 후, PET제 필름을 박리하여 두께 약 40㎛의 포토크로믹성 접착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포토크로믹성 접착 시트를, 전술한 제2 접착층을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트 2매의 사이에 끼우고, 40℃, 진공 하에서 24시간 정치한 후, 70℃에서 70시간 가열 처리하고, 이어서 60℃, 80%RH에서 24시간의 가습 처리를 행하고, 마지막으로 40℃, 진공 하에서 24시간 정치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포토크로믹 특성을 갖는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얻었다. 이상과 같은 처리를 행한 후의 포토크로믹성 접착 시트가,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이 된다.
포토크로믹 특성으로서의 발색 농도는 0.9이며, 퇴색 속도는 40초였다. 또한, 박리 강도는 23℃ 분위기 하에서 180N/25㎜, 150℃ 분위기에서 40N/25㎜였다. 또한, 별도로,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제작한 포토크로믹 접착성 시트의 연화점은, 190℃였다.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의 막 두께, 제2 접착층의 사용 유무·막 두께에 대하여 표 3에 나타냈다. 부언하면, 표 3에 있어서의 제2 접착층의 두께는, 한쪽 시트 상의 두께이다. 그 때문에, 2매의 시트를 접합하는 경우에는, 제2 접착층의 합계 두께는, 표 3의 값의 배가 된다.
또한, 얻어진 포토크로믹 적층체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를 행하고, 포토크로믹 특성·박리 강도는 표 5, 굽힘 가공, 사출 성형성은 표 7에 나타냈다.
실시예 3 내지 14
표 3에 나타낸 (A) 포토크로믹 화합물, (B) 접착성 우레탄(우레아) 수지, (B3)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조정하였다. 얻어진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의 연화점을 실시예 1,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표 3에 나타냈다.
또한, 각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제2 접착층 없음), 또는 실시예 2(제2 접착층 있음)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따라서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의 막 두께, 제2 접착층의 사용 유무·막 두께에 대하여 표 3에 나타냈다. 또한, 얻어진 포토크로믹 적층체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를 행하고, 포토크로믹 특성·박리 강도는 표 5, 굽힘 가공, 사출 성형성은 표 7에 나타냈다.
비교예 1 내지 4
표 3에 나타낸 (A) 포토크로믹 화합물, (B) 접착성 우레탄(우레아) 수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조정하였다. 얻어진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의 연화점을 실시예 1,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표 3에 나타냈다.
또한, 각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제2 접착층 없음), 또는 실시예 2(제2 접착층 있음)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따라서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의 막 두께, 제2 접착층의 사용 유무·막 두께에 대하여 표 3에 나타냈다. 또한, 얻어진 포토크로믹 적층체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를 행하고, 포토크로믹 특성·박리 강도는 표 5, 굽힘 가공, 사출 성형성은 표 7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16
실시예 15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의 조제
우레탄우레아 수지 (UU1)의 THF 용액 10g, 포토크로믹 화합물(PC1) 82mg,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의 이성체 혼합물((C) 성분; C1) 250mg, 추가로 산화 방지제로서 에틸렌비스(옥시에틸렌)비스[3-(5-tert-부틸-4-히드록시-m-톨릴)프로피오네이트] 28mg, 계면 활성제로서 DOW CORNING TORAY L-7001 3m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교반·혼합을 행하여,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구성하는 혼합물을 얻었다. 각 성분의 배합 비율을 표 4에 나타냈다. 연화점도 표 4에 나타냈다.
포토크로믹 적층체의 제작
상기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필름(데이진 듀퐁 필름 가부시키가이샤제 퓨렉스 필름, 실리콘 도막 구비)에 도포하고, 80℃에서 5분간 건조시킨 후, PET제 필름을 박리하여 두께 약 40㎛의 포토크로믹성 접착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포토크로믹성 접착 시트를, 두께 300㎛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트 2매의 사이에 끼우고, 40℃, 진공 하에서 24시간 정치한 후, 100℃에서 1시간 가열 처리하고, 이어서 60℃, 80%RH에서 24시간의 가습 처리를 행하고, 마지막으로 40℃, 진공 하에서 24시간 정치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포토크로믹 특성을 갖는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얻었다. 이상과 같은 처리를 행한 후의 포토크로믹성 접착 시트가,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이 된다.
포토크로믹 특성으로서의 발색 농도는 0.9이며, 퇴색 속도는 45초였다. 또한, 박리 강도는 23℃ 분위기 하에서 120N/25㎜, 150℃ 분위기에서 15N/25㎜였다. 또한, 별도로,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제작한 포토크로믹 접착성 시트의 연화점은, 180℃였다.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의 막 두께, 제2 접착층의 사용 유무·막 두께에 대하여 표 4에 나타냈다. 부언하면, 표 4에 있어서의 제2 접착층의 두께는, 한쪽 시트 상의 두께이다. 그 때문에, 2매의 시트를 접합하는 경우에는, 제2 접착층의 합계 두께는, 표 4의 값의 배가 된다.
또한, 얻어진 포토크로믹 적층체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를 행하고, 포토크로믹 특성·박리 강도는 표 6, 굽힘 가공, 사출 성형성은 표 7에 나타냈다.
실시예 16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의 조제
실시예 15에 있어서의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의 조제와 동일한 방법으로 동일한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구성하는 혼합물을 얻었다. 표 4에 배합을 나타냈다.
제2 접착층용 접착제의 조정
제2 접착층용 우레탄우레아 수지 (W1)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용액 25g에, 계면 활성제로서 DOW CORNING TORAY L-7001 2.5m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교반·혼합을 행하여, 제2 접착층용 접착제를 얻었다.
포토크로믹 적층체의 제작
제2 접착층용 접착제를 두께 300㎛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트 상에 도포하고, 110℃에서 10분간 건조시킴으로써, 막 두께 10㎛의 제2 접착층을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트를 얻었다.
상기,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필름(데이진 듀퐁 필름 가부시키가이샤제 퓨렉스 필름, 실리콘 도막 구비)에 도포하고, 80℃에서 5분간 건조시킨 후, PET제 필름을 박리하여 두께 약 40㎛의 포토크로믹성 접착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포토크로믹성 접착 시트를, 두께 300㎛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트 2매의 사이에 끼우고, 40℃, 진공 하에서 24시간 정치한 후, 100℃에서 1시간 가열 처리하고, 이어서 60℃, 80%RH에서 24시간의 가습 처리를 행하고, 마지막으로 40℃, 진공 하에서 24시간 정치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포토크로믹 특성을 갖는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얻었다. 이상과 같은 처리를 행한 후의 포토크로믹성 접착 시트가,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이 된다.
포토크로믹 특성으로서의 발색 농도는 0.9이며, 퇴색 속도는 45초였다. 또한, 박리 강도는 23℃ 분위기 하에서 200N/25㎜, 150℃ 분위기에서 60N/25㎜였다. 또한, 별도로,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제작한 포토크로믹 접착성 시트의 연화점은, 180℃였다.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의 막 두께, 제2 접착층의 사용 유무·막 두께에 대하여 표 4에 나타냈다.
또한, 얻어진 포토크로믹 적층체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를 행하고, 포토크로믹 특성·박리 강도는 표 6, 굽힘 가공, 사출 성형성은 표 7에 나타냈다.
실시예 17 내지 33
표 4에 나타낸 (A) 포토크로믹 화합물, (B) 접착성 우레탄(우레아) 수지, (C) 성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5, 16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조정하였다.
얻어진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의 연화점을 실시예 15, 16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표 4에 나타냈다.
또한, 각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5(제2 접착층 없음), 또는 실시예 16(제2 접착층 있음)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따라서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의 막 두께, 제2 접착층의 사용 유무·막 두께에 대하여 표 4에 나타냈다. 또한, 얻어진 포토크로믹 적층체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를 행하고, 포토크로믹 특성·박리 강도는 표 6, 굽힘 가공성, 사출 성형성은 표 7에 나타냈다.
비교예 5 내지 8
표 4에 나타낸 (A) 포토크로믹 화합물, (B) 접착성 우레탄(우레아) 수지, C 성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5, 16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조정하였다.
얻어진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의 연화점을 실시예 15, 16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표 4에 나타냈다.
또한, 각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5(제2 접착층 없음), 또는 실시예 16(제2 접착층 있음)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따라서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의 막 두께, 제2 접착층의 사용 유무·막 두께에 대하여 표 4에 나타냈다. 또한, 얻어진 포토크로믹 적층체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를 행하고, 포토크로믹 특성·박리 강도는 표 6, 굽힘 가공, 사출 성형성은 표 7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상기 실시예 1 내지 33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A) 분자량이 300 이상인 분자쇄를 치환기로서 갖는 포토크로믹 화합물, 및 (B) 접착성 우레탄(우레아) 수지를 포함하는, 연화점이 140 내지 220℃가 되는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포토크로믹 특성, 박리 강도(밀착성), 굽힘 가공성, 사출 성형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 내지 8에서는, 본 발명의 (A) 성분과 (B) 성분 중 어느 한쪽밖에 사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포토크로믹 특성, 박리 강도(밀착성), 굽힘 가공성, 사출 성형성의 모두를 동시에 충족할 수는 없었다.
1: 포토크로믹 적층체
2: 광학 시트
3: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층
4: 광학 시트

Claims (9)

  1. (A) 분자량이 300 이상인 분자쇄를 치환기로서 갖는 포토크로믹 화합물, 및
    (B) 접착성 우레탄(우레아)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연화점이 140 내지 220℃가 되는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접착성 우레탄(우레아) 수지가,
    (B1)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수 평균 분자량 400 내지 3000의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 및 폴리카프로락톤폴리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폴리올 화합물, 및
    (B2)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하여 얻어지는 우레탄(우레아) 수지인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 접착성 우레탄(우레아) 수지가, 상기 (B1) 성분 및 (B2) 성분에 추가로,
    (B3)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할 수 있는 기를 갖는 분자량 50 내지 300의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을 반응하여 얻어지는 우레탄(우레아) 수지인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C)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포토크로믹 화합물이, 하기 식 (1) 및 하기 식 (2)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
    PC-(L-Chain) (1)
    PC-(L-Chain-L')-PC' (2)
    {식 (1) 또는 식 (2) 중,
    PC 또는 PC'는, 각각, 하기 식 (3) 내지 (7)로 표시되는 기본 골격을 갖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고,
    해당 기본 골격에 있어서,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탄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 중, 하나의 원자가 2가의 유기기인 L 또는 L'와 직접 결합하고, 기타의 원자는 다른 치환기를 가져도 되거나, 또는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탄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 중, 하나의 원자가 치환기를 통하여 2가의 유기기인 L 또는 L'와 결합하고, 기타의 원자는 다른 치환기를 가져도 되고,
    추가로, PC와 PC'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L 및 L'는, 각각, 폴리옥시알킬렌쇄, (티오)에스테르기, (티오)아미드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를 포함하는 2가의 유기기이며, L과 L'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Chain은, 폴리실록산쇄, 폴리옥시알킬렌쇄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쇄를 포함하는 1가 또는 2가의 유기기이며,
    L 및 Chain, 또는 L, L' 및 Chain의 합계의 분자량이 상기 분자쇄의 분자량에 해당한다.}.
    Figure pct00021

    (상기 식 (3) 내지 (7)에 있어서, 괄호 중 분자 구조가 PC 또는 PC'의 기본 골격이며, 선은 L 또는 L'와 결합하는 것을 나타낸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포토크로믹 화합물의 기본 골격이, 하기 식 (3') 내지 (7')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갖는 기본 골격이 되는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
    Figure pct00022

    (상기 식 (3') 내지 (7')에 있어서,
    R1 내지 R21은, 수소 원자, 상기 L 또는 L'와 직접 결합하는 결합손, 치환기, 또는 그 치환기를 통하여 상기 L 또는 L'와 결합하는 기이다.).
  7. 서로 대향하는 2매의 (D) 광학 시트가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접착층을 통하여 접합되는 적층 구조를 포함하는 포토크로믹 적층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 광학 시트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메트)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우레탄우레아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및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크로믹 적층체.
  9. 제7항 또는 제8항에 기재된 포토크로믹 적층체의 적어도 한쪽 외표면 상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알릴 수지, (메트)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우레탄우레아 수지, 폴리티오우레탄 수지, 폴리에폭시 수지, 폴리티오에폭시 수지, 및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를 포함하는 (E) 합성 수지층을 적층한 광학 물품.
KR1020207028409A 2018-04-05 2019-04-04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 포토크로믹 적층체, 및 해당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사용한 광학 물품 KR202001408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73508 2018-04-05
JPJP-P-2018-073508 2018-04-05
PCT/JP2019/014976 WO2019194281A1 (ja) 2018-04-05 2019-04-04 フォトクロミック接着性組成物、フォトクロミック積層体、及び該フォトクロミック積層体を用いた光学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819A true KR20200140819A (ko) 2020-12-16

Family

ID=68100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409A KR20200140819A (ko) 2018-04-05 2019-04-04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 포토크로믹 적층체, 및 해당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사용한 광학 물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155830A1 (ko)
EP (1) EP3779530A4 (ko)
JP (1) JP7045446B2 (ko)
KR (1) KR20200140819A (ko)
CN (1) CN112204437B (ko)
BR (1) BR112020020189A2 (ko)
MX (1) MX2020010481A (ko)
WO (1) WO20191942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61224B (zh) 2011-06-13 2019-06-01 日商尼康股份有限公司 照明光學系統、曝光裝置以及元件製造方法
US20230280500A1 (en) * 2020-08-06 2023-09-07 Tokuyama Corporation Photochromic compound, photochromic curable composition, cured body, lens and eyeglasses
CN114031594B (zh) * 2021-09-10 2023-06-20 江苏视科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双苯并色烯类化合物及其应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910A (ja) 1984-06-21 1986-01-11 Mitsubishi Gas Chem Co Inc フオトクロミツク性に優れた合成樹脂成形品の製法
JP2002196103A (ja) 2000-12-25 2002-07-10 Mitsubishi Gas Chem Co Inc フォトクロミック特性を有する合成樹脂積層体の製造方法
WO2002099513A1 (fr) 2001-06-01 2002-12-12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Produit en plastique moule a caracteristiques photochromiques et/ou polarisantes
JP2003519398A (ja) 1999-12-30 2003-06-17 バイエル・コーポレーシヨン ホトクロミ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US20040096666A1 (en) 2002-11-14 2004-05-20 Knox Carol L. Photochromic article
WO2013099640A1 (ja) 2011-12-26 2013-07-04 株式会社トクヤマ フォトクロミック組成物
US20170327736A1 (en) 2013-01-09 2017-11-16 Vision Ease, Lp Photochromic Polyurethane Laminat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1892A (en) 1998-09-11 1999-10-05 Ppg Industries Ohio, Inc. Polyalkoxylated naphthopyrans
JP4476930B2 (ja) 2002-11-04 2010-06-09 アドバンスト・ポリメリック・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ッド フォトクロミック組成物および光透過性物品
AU2002952454A0 (en) * 2002-11-04 2002-11-21 Polymers Australia Pty Limited Photochromic compositions and light transmissible particles
AU2005238090A1 (en) 2004-04-30 2005-11-10 Advanced Polymerik Pty Ltd Photochromic compositions and articles comprising siloxane, alkylene or substituted alkylene oligomers
US7465415B2 (en) * 2004-07-30 2008-12-16 Ppg Industries Ohio, Inc. Photochromic materials derived from ring-opening monomers and photochromic initiators
US8647538B2 (en) 2005-04-08 2014-02-11 Transitions Optical, Inc. Photochromic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photochromic moieties
US8865029B2 (en) 2008-06-05 2014-10-21 Vivimed Labs Europe Ltd. Photochromic polymer and composition comprising photochromic polymer
US20110190455A1 (en) * 2008-08-18 2011-08-04 Vivimed Labs Europe Ltd. Polydialkylsiloxane-bridged bi-photochromic molecules
GB0815109D0 (en) 2008-08-18 2008-09-24 James Robinson Ltd Polydialkylsiloxane-bridged bi-photochromic molecules
JP5813095B2 (ja) 2011-03-08 2015-11-17 株式会社トクヤマ クロメン化合物
MX2013011788A (es) * 2011-04-13 2014-03-26 Tokuyama Corp Composicion fotocromica.
WO2012149599A1 (en) 2011-05-03 2012-11-08 Advanced Polymerik Pty Ltd Photochromic polymer
EP2714767B1 (en) 2011-06-03 2020-07-22 Vivimed Labs Europe Ltd Photochromic polymers
WO2012176918A1 (ja) 2011-06-23 2012-12-27 株式会社トクヤマ クロメン化合物
AU2012281586B2 (en) * 2011-07-11 2016-05-12 Tokuyama Corporation Photochromic curable composition
MX2018007795A (es) * 2015-12-28 2018-09-05 Tokuyama Corp Laminado y articulo optico que comprende material laminado.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910A (ja) 1984-06-21 1986-01-11 Mitsubishi Gas Chem Co Inc フオトクロミツク性に優れた合成樹脂成形品の製法
JP2003519398A (ja) 1999-12-30 2003-06-17 バイエル・コーポレーシヨン ホトクロミ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JP2002196103A (ja) 2000-12-25 2002-07-10 Mitsubishi Gas Chem Co Inc フォトクロミック特性を有する合成樹脂積層体の製造方法
WO2002099513A1 (fr) 2001-06-01 2002-12-12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Produit en plastique moule a caracteristiques photochromiques et/ou polarisantes
US20040096666A1 (en) 2002-11-14 2004-05-20 Knox Carol L. Photochromic article
WO2013099640A1 (ja) 2011-12-26 2013-07-04 株式会社トクヤマ フォトクロミック組成物
US20170327736A1 (en) 2013-01-09 2017-11-16 Vision Ease, Lp Photochromic Polyurethane Lamin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9194281A1 (ja) 2021-04-22
WO2019194281A1 (ja) 2019-10-10
EP3779530A4 (en) 2022-01-05
US20210155830A1 (en) 2021-05-27
EP3779530A1 (en) 2021-02-17
CN112204437A (zh) 2021-01-08
JP7045446B2 (ja) 2022-03-31
BR112020020189A2 (pt) 2021-01-05
CN112204437B (zh) 2022-12-20
MX2020010481A (es) 202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9638B2 (ja) フォトクロミック組成物
JP6755887B2 (ja) 積層体、及び該積層体を用いた光学物品
KR102197929B1 (ko) 접착성 조성물, 적층체 및 해당 적층체를 사용한 광학 물품
JP5743616B2 (ja) フォトクロミック組成物
KR20200140819A (ko) 포토크로믹 접착성 조성물, 포토크로믹 적층체, 및 해당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사용한 광학 물품
JP6579938B2 (ja) フォトクロミック組成物、及び該組成物からなる積層体、及び該積層体を用いた物品
JP5863317B2 (ja) フォトクロミック組成物
JP5967877B2 (ja) フォトクロミック組成物、および光学物品
JP2016132696A (ja) スプレーコート用フォトクロミック組成物、及びフォトクロミック特性を有する光学物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