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0548A - 방진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방진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0548A
KR20200140548A KR1020190067311A KR20190067311A KR20200140548A KR 20200140548 A KR20200140548 A KR 20200140548A KR 1020190067311 A KR1020190067311 A KR 1020190067311A KR 20190067311 A KR20190067311 A KR 20190067311A KR 20200140548 A KR20200140548 A KR 20200140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connection
terminal
housing
operation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준
김재균
이태희
윤상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7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0548A/ko
Publication of KR20200140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5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방진 커넥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방진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은 단자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여 기기에 장착되고, 하우징은, 기기에 장착되는 제1접속부; 피연결단자가 접속하도록 제1접속부에 연결되는 제2접속부; 및 제1접속부에 대하여 제2접속부를 상대 회전 시키는 굴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방진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ANTI-VIBRATION CONNECTOR AND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넥터의 접속부 방향과 위치를 개선하여 진동 주파수의 방향에 따른 커넥터의 공진 영향을 회피하여 접속부의 접촉 불량을 해소할 수 있는 방진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진동이 발생하는 기기인 차량 등에는 각종 전자기기들의 특성상 전기신호를 전달하도록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접속부 방향과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기기에서 발생하는 진동 주파수의 방향에 따른 증폭된 공진 영향으로부터 발생하는 커넥터 단자의 접촉 불량을 회피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에 공진 영향을 회피하기 위한 방진 커넥터는 탄성부재 등에 의한 단자의 접압력을 높이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진 시 순간 접촉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진동 흡수 부재를 적용할 경우에도 공진 영향이 상쇄되지만 항상 존재하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커넥터의 접속부 방향과 위치를 개선하여 기기에서 발생하는 진동 주파수와 방향에 따른 커넥터의 증폭된 공진 영향을 회피하여 접속부의 접촉 불량을 해소할 수 있는 방진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 커넥터는 단자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여 기기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기에 장착되는 제1접속부; 피연결단자가 접속하도록 상기 제1접속부에 연결되는 제2접속부; 및 상기 제1접속부에 대하여 상기 제2접속부를 상대 회전 시키는 굴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자부는, 상기 굴절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접속부에 수용되는 전극단자; 상기 전극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접속부에 수용되는 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굴절부는, 상기 제2접속부의 회전 각도를 조정하여 고정시키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전극단자를 관통하고, 상기 연결단자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노출되는 작동버튼;을 포함하여 상기 작동버튼은 회전을 고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상기 작동버튼이 대응하여 끼워지는 걸림홈; 상기 회전축과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회전축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회전축에 마련되어 상기 단자부에서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굴절부의 회동을 허용하도록 연질의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버튼의 외측둘레와 상기 걸림홈은 다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버튼의 외측둘레부와 상기 걸림홈은 톱니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진 커넥터는 단자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이 마련되고, 하우징은 기기에 장착되는 제1접속부와, 피연결단자가 접속하도록 제1접속부에 연결되는 제2접속부 및 제1접속부에 대하여 제2접속부를 상대 회전 시키는 굴절부를 포함하여, 커넥터의 제1접속부와 제2접속부의 상대적 방향과 위치를 개선하여 기기에서 발생하는 진동 주파수와 방향에 따른 커넥터의 증폭된 공진 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진 커넥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진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로 하우징이 단면으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진 커넥터의 요부발취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진 커넥터의 요부발취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진 커넥터의 요부발취 정단면도로 굴절부의 각도가 회전되는 동작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진 커넥터의 요부발취 측단면도로 각도조절부에 의해 고정되는 동작상태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진 커넥터(10)는 단자부(140)를 수용하는 하우징(100)을 구비하며 차량의 엔진 등 진동이 발생하는 기기(11)에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기기(11)에 장착되는 제1접속부(110), 피연결단자(142)가 접속하도록 제1접속부(110)에 연결되는 제2접속부(120), 및 제1접속부(110)에 대하여 제2접속부(120)를 상대 회전 시키는 굴절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방진 커넥터(10)는 크게 단자부(140)가 수용되는 하우징(100)이 제1접속부(110)와 제2접속부(120)로 나눌 수 있되, 제1접속부(110)와 제2접속부(120)가 굴절부(150)에 의해 회전하여 제1접속부(110)에 대한 제2접속부(120)의 상대적 각도를 변경하여 방향과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제1접속부(110)는 기기(11)에 장착되는 것으로, 주로 차량의 엔진룸 상단부에 장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접속부(120)는 주로 센서가 접속될 수 있다. 이때 제2접속부(120)의 접압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엔진 진동이 주로 작용하는 방향이 일치하여 발생하는 공진에 의한 접속불량의 발생을 회피 하기 위해 후술할 굴절부(150)의 회전으로 제2접속부(120)의 각도를 변경 할 수 있다.
굴절부(150)는 하우징(100)에 수용되는 단자부(140)가 서로 대응하여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크게 제1접속부(110)와 제2접속부(120)로 구분되고, 단자부(140)는 제1접속부(110)에 수용되는 전극단자(141)와 제2접속부(120)에 수용되는 연결단자(142)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회동하여 각도를 변경할 수 있고, 전극단자(141)와 연결단자(142)가 서로 맞물려 관통되는 회전축(16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단자부(140)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단자부(140)를 구성하는 전극단자(141)와 연결단자(142)는 쌍을 이루어 구성될 수 있다. 전극단자(141)는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되는 PCB기판(14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PCB기판(143)은 제2접속부(120)와도 연결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160)는 회전축(161)이 전극단자(141)에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고, 연결단자(142)는 회전축(161)과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며, 작동버튼(163)은 회전축(161)의 일 단부에 연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극단자(141)는 원형의 관통공을 형성하고, 회전축(161)은 다각의 둘레를 형성하여 전극단자(141)에 자유회동이 가능하고, 연결단자(142)는 회전축(161)의 다각의 둘레와 대응하여 고정되므로 회동이 구속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연결단자(142)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전축(161)이 회전될 수 있고, 전극단자(141)와 연결단자(142)에 축방향으로 회전축(161)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작동버튼(163)은 회전축(161)의 일 단부에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므로 회전축(161)과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작동버튼(163)은 하우징(100)의 측면에 노출되어 조정된 회전각도를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100)의 측면에 작동버튼(163)과 대응하여 관통되는 걸림홈(111)이 형성되어 삽입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작동버튼(163)의 외측둘레와 걸림홈(111)은 다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톱니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164)은 회전축(161)이 축 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원래의 위치인 작동버튼(163)이 걸림홈(111)에 끼워지도록 하우징(100)의 내측과 회전축(161)의 타 단부에 연결되어 탄성에 의해 복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연결부(130)는 굴절부(150)와 대응하여 하우징(100)의 제1접속부(110)와 제2접속부(120) 사이에 마련되고, 굴절부(150)의 회동을 허용하도록 연질의 재질로 마련되어 연결될 수 있다.
도 3, 4, 5와 6을 참조하여 방진 커넥터(10)의 굴절부(150)를 회전하고 각도를 조정하여 고정시키는 작동방식을 순차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동버튼(163)은 하우징(100)의 걸림홈(111)에 끼워져 구속되어 있다. 이는 작동버튼(163)에 연동되는 회전축(161), 전극단자(141) 그리고 연결단자(142)를 수용하는 제1접속부(110)의 회전이 구속되므로 제1접속부(110)의 각도가 고정된다.
특히, 각도조절부(160)의 작동버튼(163)은 회전축(161)에서 분해된 상태에서 제공될 수 있다. 이때에는 회전축(161)과 연결단자(142) 그리고 제1접속부(110)의 회전이 자유롭다. 즉 제2접속부(120)를 미는 동작에 의해 회전시키면서 공진을 회피할 수 있는 각도로 굴절부(150)를 회전시킨다,
이때, 굴절부(150)의 회전각도(a)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각각 45도 이내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다. 이후 회전된 각도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회전축(161)에 작동버튼(163)을 체결하면서 작동버튼(163)의 외측둘레가 걸림홈(111)에 끼워지면서 작동버튼(163)의 회전을 구속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작동버튼(163)의 외측둘레부에 형성되는 걸림홈(111)은 다각형상 또는 톱니형상으로 대응하게 형성되는데, 즉 작동버튼(163)이 회전되는 것을 걸림홈(111)이 구속시켜 걸림홈(111)과 연동되는 제2접속부(120)의 회전된 각도가 고정된다. 또는, 작동버튼(163)을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밀거나 외측으로 당기는 동작에 의해 걸림홈(111)에 탈락시킨 후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먼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버튼(163)을 당기는 동작에 의해서도 걸림홈(111)에 작동버튼(163)의 외측둘레가 탈락되어 회전이 자유롭다. 이때에는 작동버튼(163)과 연동되는 회전축(161)이 축상으로 단자부(140)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고, 회전축(161)에 마련되는 걸림쇠(163)가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걸림하여 작동버튼(163)이 더 이상의 당겨질 수 없다. 이 후 제2접속부(120)의 각도를 조정한 이후에 당기고 있던 작동버튼(163)을 해지하면, 스프링(164)에 의해 회전축(161)과 연동되는 작동버튼(163)은 복귀하게 되고 작동버튼(163)의 외측둘레가 걸림홈(111)에 대응되게 끼워져 제2접속부(120)의 회전된 각도가 고정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작동버튼(163)을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밀어서 되는 동작의 경우에는 회전축(161)의 걸림쇠(163)가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가까이 구성되고, 작동버튼(163)이 걸림홈(111)을 이탈하도록 이송간격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버튼(163)을 밀어내는 동작에 의해서도 걸림홈(111)에 작동버튼(163)의 외측둘레가 탈락되면서 회전이 자유롭다. 이때에는 작동버튼(163)과 연동되는 회전축(161)이 축상으로 단자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고, 회전축(161)에 마련되는 걸림쇠(163)가 단자부(140)에 걸림하여 작동버튼(163)을 더 이상의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밀 수 없다. 이 후 제2접속부(120)의 각도를 조정하여 밀고 있던 작동버튼(163)을 해지하면, 스프링(164)에 의해 회전축(161)과 연동되는 작동버튼(163)은 복귀하게 되고 회전축(161)의 외측둘레가 걸림홈(111)에 대응되게 끼워져 제2접속부(120)의 회전된 각도가 고정된다.
이처럼, 상술한 방진 커넥터(10)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단자부(140)를 수용하는 하우징(100)은 기기(11)에 장착되는 제1접속부(110)와, 피연결단자(142)가 접속하도록 제1접속부(110)에 연결되는 제2접속부(120) 및 1접속부에 대하여 제2접속부(120)를 상대 회전 시키는 굴절부(150)를 포함하여, 커넥터(10)의 제1접속부(110)와 제2접속부(120)의 상대적 방향과 위치를 개선하여 기기(11)에서 발생하는 진동 주파수와 방향에 따른 커넥터(10)의 증폭된 공진 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기기, 100: 하우징,
110: 제1접속부, 111: 걸림홈,
120: 제2접속부, 130: 연결부,
140: 단자부, 141: 전극단자,
142: 연결단자, 143: PCB기판,
150: 굴절부, 160: 각도조절부,
161: 회전축(161), 162: 작동버튼,
163: 걸림쇠, 164: 스프링

Claims (8)

  1. 단자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여 기기에 장착되는 방진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기에 장착되는 제1접속부;
    피연결단자가 접속하도록 상기 제1접속부에 연결되는 제2접속부; 및
    상기 제1접속부에 대하여 상기 제2접속부를 상대 회전 시키는 굴절부;를 포함하는 방진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굴절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접속부에 수용되는 전극단자;
    상기 전극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접속부에 수용되는 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굴절부는,
    상기 제2접속부의 회전 각도를 조정하여 고정시키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방진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전극단자를 관통하고, 상기 연결단자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체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노출되는 작동버튼;을 포함하여 상기 작동버튼에 의해 회전을 고정하는 방진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상기 작동버튼이 대응하여 끼워지는 걸림홈;
    상기 회전축과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회전축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회전축에 마련되어 상기 단자부에서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쇠;를 더 포함하는 방진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굴절부의 회동을 허용하도록 연질의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방진 커넥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버튼의 외측둘레와 상기 걸림홈은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는 방진 커넥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버튼의 외측둘레부와 상기 걸림홈은 톱니형상으로 형성되는 방진 커넥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진 커넥터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190067311A 2019-06-07 2019-06-07 방진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2001405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311A KR20200140548A (ko) 2019-06-07 2019-06-07 방진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311A KR20200140548A (ko) 2019-06-07 2019-06-07 방진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548A true KR20200140548A (ko) 2020-12-16

Family

ID=74042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311A KR20200140548A (ko) 2019-06-07 2019-06-07 방진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05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3786B2 (en) Connector,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apparatus
JP4708223B2 (ja) 小型アンテナの脱着機構
JP4048503B2 (ja) パネル取付式電気コネクタ
US20080156526A1 (en) Click-fit connector for armored cables
JP2005332749A (ja) 電気コネクタ
JP6820301B2 (ja) 基板実装型コネクタ
JP2008067341A (ja) マイクロホン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マイクロホン
JP2015210292A (ja) 撮像装置
US20080008468A1 (en) Camera module
WO2019049537A1 (ja) 撮像装置
KR20200138837A (ko) 3축 짐벌 및 3축 짐벌 촬영장치
US20130164969A1 (en) Cable assembly having improved strain relief
KR20200140548A (ko) 방진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5653246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4808141B2 (ja) マイクロホン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マイクロホン
JP2013243065A (ja) コネクタ装置
US20170339486A1 (en) Microphone joint
JP6343494B2 (ja) コネクタ
JP2021064571A (ja) コネクタ
JP2015170516A (ja) コネクタ
JP2009259553A (ja) コネクタ
CN112888225A (zh) 一种遥控器和天线组件
JP2006190614A (ja) 同軸コネクタ
JP2002367725A (ja) コネクタのロック装置
CN109755810B (zh) 一种接口、外挂模块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