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0520A - 알로에 베라 겔을 함유하는 호흡기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로에 베라 겔을 함유하는 호흡기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0520A
KR20200140520A KR1020190067214A KR20190067214A KR20200140520A KR 20200140520 A KR20200140520 A KR 20200140520A KR 1020190067214 A KR1020190067214 A KR 1020190067214A KR 20190067214 A KR20190067214 A KR 20190067214A KR 20200140520 A KR20200140520 A KR 20200140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oe vera
vera gel
food composition
aloe
upper respira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은주
심규석
조은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베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베라
Priority to KR1020190067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0520A/ko
Publication of KR20200140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5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6Aloeaceae (Aloe family), e.g. aloe ve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02Alo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도감염을 포함하는 호흡기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알로에 베라 겔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알로에 베라 겔을 함유하는 호흡기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ALOE VERA GEL FOR PREVENTION, IMPROVEMENT AND TREATMENT OF RESPIRATORY DISEASES}
본 발명은, 상기도감염을 포함하는 호흡기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알로에 베라 겔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도감염은 상기도 부분인 코, 인두, 후두, 부비동 등 부분에 감염성 염증이 일어나는 것으로, 비강의 막힘, 인후통, 기침, 불쾌감 등 복합적인 증상으로 나타난다. 급성 상기도감염은 흔하게 감기라고 일컫는 급성 비인후염, 급성 편도염 등 질환을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이러한 상기도감염은 성인이 병원을 방문하는 이유로서 가장 흔한 질병 중의 하나이며, 국가적 측면에서도 상기도감염으로 인한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상기도감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이다.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는 다양하며, 가장 흔한 원인은 리노바이러스(rhinovirus)이다. 상기도감염은 감염된 사람이나 오염된 물건을 접촉한 후 코나 눈을 만지는 경우 또는 감염된 사람의 기침에 의해 생성된 작은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경우에 주로 발생한다. 비강에 침입한 바이러스는 비인강으로 옮겨진 후 상피세포 내에 유입되어 바이러스 복제가 일어나고, 결과적으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염증반응이 유발되면 콧물, 재채기, 비강의 막힘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
인체가 지속적으로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을 생성하더라도 바이러스에는 다양한 항원형(serotype)이 존재하기 때문에 해마다 반복하여 상기도감염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도감염은 다양한 원인체가 존재하므로 백신 등을 통한 예방은 어렵다고 판단되고 있으므로, 개인의 위생관리와 건강관리가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상황이다. 상기도감염의 재발성은 노인들에게서 관찰되는데, 나이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면역반응이 상기도감염의 취약 원인으로 밝혀진 바 있다. 따라서, 상기도감염과 관련하여 면역반응의 정상적인 조절이 중요하다.
한편, 알로에(Aloe)는 열대 지방에 서식하는 백합과(Liliaceae 계)의 알로에 속(Aloineae)에 속하는 식물로, 전 세계적으로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잘 알려진 소재는 알로에 베라(Aloe vera)로서, 그 잎을 가공 처리한 주스나 겔은 대표적인 건강기능식품의 하나이며, 또 제약이나 화장품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천연소재의 하나이다. 알로에 베라 겔은 약 99~99.5%가 수분이고 고형분은 약 0.5~1.0%이며, 그 중 다당체가 55%, 당류 17%, 미네랄 16%, 단백질 7%, 지방 4%, 페놀성분 1%로 구성되어 있다. 알로에 베라 겔의 고형분 중 큰 부분을 차지하는 다당체는 알로에 베라 겔의 주요 생리활성성분이며, 대표적으로 아세틸화 만난(acetylated mannan, 또는 아세만난(acemannan))이 있다. 이러한 아세틸화 만난은 항암 및 상처치유와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533191 호에서는 알로에 베라 겔을 포함하는 제2형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알로에 베라 겔의 여러 효능이 알려진 바 있으나, 상기도감염을 포함하는 호흡기질환의 예방 및 치료와 관련된 알로에 베라 겔의 효능은 아직 보고된 바 없었다.
본 발명은 알로에 베라 겔, 특히 특정 분자량 범위를 가지는 알로에 다당체를 함유하는 알로에 베라 겔이 상기도감염을 포함하는 호흡기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냄을 새로이 발견하고 이를 활용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알로에 베라 겔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알로에 베라 겔을 포함하는 호흡기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알로에 베라 겔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구현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구현예 및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알로에 다당체를 함유하는 알로에 베라 겔을 이용하여 호흡기질환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할 수 있는 식품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5 내지 400 kDa의 분자량을 갖는 알로에 다당체의 함유량이 높은 알로에 베라 겔을 섭취 또는 투여함으로써 호흡기질환의 발생률을 낮추고 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서 수행된 알로에 베라 겔의 상기도감염 예방 및 치료 효과 시험 일정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서 수행된 알로에 베라 겔의 상기도감염 예방 및 치료 효과 시험을 위해 사용된 설문지이다.
도 3은 실시예에서 수행된 알로에 베라 겔의 상기도감염 예방 및 치료 효과 시험의 결과 데이터이다.
도 4은 실시예에서 수행된 알로에 베라 겔의 상기도감염 예방 및 치료 효과 시험의 결과 데이터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용어 "예방" 이란, 조성물의 섭취 또는 투여에 의해 호흡기질환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치료" 또는 "개선"이란, 조성물의 섭취 또는 투여에 의해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용어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은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 희석제 또는 담체와 같은 다른 화학 성분들을 혼합한 혼합물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알로에 베라 겔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에 대하여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알로에 베라 겔을 포함하는 호흡기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알로에 베라 겔은, 알로에 베라 겔즙을 효소적으로 가수분해하고, 색소 및 안트라퀴논계 (anthraquinones) 물질을 제거한 후 건조함으로써 수득된 알로에 다당체를 함유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효소적 가수분해 공정에 의해, 알로에 베라 겔에 함유된 다당체 중 면역활성이 높은 특정 다당체 (예를 들어, 5 내지 400 kDa의 분자량을 갖는 저분자량 알로에 다당체)의 비율이 높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알로에 다당체는 가공된 알로에 베라 겔 (PAG, Processed Aloe vera gel)에 함유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알로에 조성물은 저분자량 알로에 다당체를 포함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호흡기질환의 개선,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알로에 베라 겔은 5 내지 400 kDa의 분자량을 갖는 알로에 다당체를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로에 베라 겔 내에 상기 5 내지 400 kDa의 분자량을 갖는 알로에 다당체가 약 1 중량% 내지 50 중량%, 약 5 중량% 내지 40 중량%, 약 10 중량% 내지 30 중량%, 또는 약 15 중량% 내지 20 중량% 포함되도록 가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5 내지 400 kDa의 분자량을 갖는 알로에 다당체의 중량 범위가 상기 수치범위 이하일 경우 호흡기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수치범위 이상을 가지는 알로에 베라 겔은 가공성이 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알로에 베라 겔은 200 내지 400kDa의 분자량, 50 내지 200kDa의 분자량 및 5 내지 50kDa의 분자량을 갖는 알로에 다당체를 각각 1: 0.1~7: 0.1~80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알로에 베라 겔을 0.01 중량% 내지 100 중량% 함유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알로에 베라 겔을 0.1 중량% 내지 80 중량%, 1 중량% 내지 60 중량%, 10 중량% 내지 30 중량%, 15 중량% 내지 30 중량% 또는 10 중량% 내지 20 중량% 함유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식품 조성물은 10 내지 200 mg/kg/일의 양으로 섭취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품 조성물은 10 내지 150 mg/kg/일, 10 내지 100 mg/kg/일, 10 내지 80 mg/kg/일, 10 내지 50 mg/kg/일, 20 내지 200 mg/kg/일, 30 내지 200 mg/kg/일, 15 내지 100 mg/kg/일, 20 내지 50 mg/kg/일, 또는 20 내지 40 mg/kg/일의 양으로 섭취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섭취량은 하루 1 회 적용되거나 또는 그 양을 분할하여 하루 2 회, 3 회 또는 4 회 이상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식품 조성물은 동물 또는 인간에게 섭취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동물은 소, 돼지, 개, 원숭이, 닭, 토끼, 염소 및 양을 포함하는 포유동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동물 또는 인간은 호흡기질환을 앓고 있는 개체이거나, 호흡기질환의 위험이 있는 개체이거나, 또는 건강한 개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호흡기 질환은 상기도감염, 급성 기관지염, 만성 기관지염, 폐렴, 결핵, 만성 기침, 만성 폐쇄성 폐질환 및 천식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식품 조성물은 발열, 콧물, 코막힘, 목아픔, 기침, 가래, 호흡곤란, 설사, 메스꺼움, 구토, 두통, 근육통, 쉰 목소리, 재채기, 이통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증상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외에 다양한 호흡기질환의 증상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알로에 베라 겔은 분말, 액상, 현탁액, 겔상 또는 고형상으로 가공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으며, 가공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알려진 방법들 중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알로에 베라 겔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기능성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시 식품의 주성분 또는 첨가제 및 보조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도감염을 포함하는 호흡기질환 및 발열, 콧물, 코막힘, 목아픔, 기침, 가래, 호흡곤란, 설사, 메스꺼움, 구토, 두통, 근육통, 쉰 목소리, 재채기, 이통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증상의 개선 및/또는 예방의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 및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15480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식품 조성물은 알로에 베라 겔, 이의 추출물, 이의 농축물 또는 이의 분말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의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식품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식품 조성물 중 경질캅셀제는 통상의 경질캅셀에 알로에 베라 겔, 이의 추출물, 이의 농축물 또는 이의 분말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 또는 그의 입상물 또는 제피한 입상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캅셀제는 알로에 베라 겔, 이의 추출물, 이의 농축물 또는 이의 분말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을 젤라틴 등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식품 조성물은 알로에 베라 겔, 이의 추출물, 이의 농축물 또는 이의 분말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과의 혼합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를, 또는 전분, 탈크 또는 적당한 물질로 환의를 입힐 수도 있다.
과립형태의 식품 조성물은 알로에 베라 겔, 이의 추출물, 이의 농축물 또는 이의 분말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과의 혼합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교미제, 착향제 등에 대한 용어 정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 그 기능 등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대한약전 해설편, 문성사, 한국약학대학협의회, 제 5 개정판, p33-48, 1989).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알로에 베라 겔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과 중복되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대해 설명한 내용은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서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알로에 베라 겔은 5 내지 400 kDa의 분자량을 갖는 알로에 다당체를 함유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10 내지 200 mg/kg/일의 양으로 투여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10 내지 150 mg/kg/일, 10 내지 100 mg/kg/일, 10 내지 80 mg/kg/일, 10 내지 50 mg/kg/일, 20 내지 200 mg/kg/일, 30 내지 200 mg/kg/일, 15 내지 100 mg/kg/일, 20 내지 50 mg/kg/일, 또는 20 내지 40 mg/kg/일의 양으로 투여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증상에 따라 저용량 또는 고용량으로 대상에게 투여함으로써, 호흡기질환 및 이의 증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량은 1 주일, 2 주일, 3 주일 또는 그 이상의 기간 동안 투여될 수 있고, 주 1 회, 주 2 회, 그 이상 또는 매일 투여될 수 있으며, 상기 용량은 하루 1 회 적용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하루 2 회, 3 회 또는 4 회 이상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동물 또는 인간에게 투여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동물은 소, 돼지, 개, 원숭이, 닭, 토끼, 염소 및 양을 포함하는 포유동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동물 또는 인간은 호흡기질환을 앓고 있는 개체이거나, 호흡기질환의 위험이 있는 개체이거나, 또는 건강한 개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호흡기 질환은 상기도감염, 급성 기관지염, 만성 기관지염, 폐렴, 결핵, 만성 기침, 만성 폐쇄성 폐질환 및 천식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발열, 콧물, 코막힘, 목아픔, 기침, 가래, 호흡곤란, 설사, 메스꺼움, 구토, 두통, 근육통, 쉰 목소리, 재채기, 이통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증상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알로에 베라 겔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도감염을 포함하는 호흡기질환, 및 발열, 콧물, 코막힘, 목아픔, 기침, 가래, 호흡곤란, 설사, 메스꺼움, 구토, 두통, 근육통, 쉰 목소리, 재채기, 이통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증상의 치료, 개선 및 예방에 유용하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이들 목적을 위하여 통상적인 무독성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보조제 및 전달체(vehicle)를 포함하는 투여 단위 제형의 형태로 경구적으로 또는 비경구적으로 (피하 주사, 정맥 주사, 근육내 주사, 흉골내 주사 또는 주입 등)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알로에 베라 겔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이 경구적으로 투여되는 경우, 경구용 조성물은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충진제, 가용화제 또는 유화제 및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염을 비롯한 불활성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용요법에 사용되는 정제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고형 담체를 사용하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형화 될 수 있다.
상기 "제약상 허용된 담체"란 조성물, 구체적으로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 성분 (활성 물질)을 제외한 성분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하고,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경구용 고형 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을 포함하고,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의 부형제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와 같은 윤활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경구용 액상 제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을 포함하고, 물, 리퀴드 파라핀 등의 희석제,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비경구용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를 포함하며, 비수성 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류 등을 포함하고,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대상에 경구 투여 또는 주사 투여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1. 알로에 베라 겔의 상기도감염 예방 및 치료 효과 시험 방법
(1) 재료
알로에 베라 겔의 상기도감염 예방 및 치료 효과 시험을 위해, 알로에 베라 겔즙을 효소적으로 가수분해함으로써 5 내지 400 kDa 분자량을 갖는 알로에 다당체 비율을 높이고, 이후 색소 및 안트라퀴논계 물질을 제거하고 건조함으로써, 5 내지 400 kDa 분자량을 갖는 가공된 알로에 다당체가 생초 대비 고농도로 포함된 가공된 알로에 베라 겔 (PAG) 분말을 시험군으로 사용하였다.
(2) 시험 개요: 랜덤화된 , 이중 맹검 , 위약 대조 시험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 시험 샘플은 아래와 같다
① 시험군 (알로에 베라 겔 분말): 알로에 베라 겔 분말로써 2,143 mg/일, 1 일 9 캡슐, 1 캡슐 = 500.0 mg. 시험군 1 캡슐의 성분 및 함량은 아래 표 1에 나타나 있다.
[표 1]
Figure pat00001
② 대조군 (위약): 알로에 베라 겔 분말로써 0 mg/일, 1 일 9 캡슐, 1 캡슐 = 500.0 mg. 대조군 1 캡슐의 성분 및 함량은 아래 표 2에 나타나 있다.
[표 2]
Figure pat00002
- 섭취량 및 섭취방법: 1 일 3 회, 1 회 3 캡슐 (9 캡슐/일), 아침, 점심, 저녁 식전에 복용
- 시험 샘플 섭취기간: 총 8주
- 연구 대상자 수 총 90 명 (시험군, 대조군 그룹별 45 명)
(3) 시험 일정
시험 일정의 개략도는 도 1 및 아래에 요약되어 있다.
① 방문 1 차: 시험군 또는 대조군 캡슐 섭취 시작
② 방문 2 차: (시험 샘플 섭취 4 주 경과) 백신 접종, 상기도감염 조사
③ 방문 3 차:(시험 샘플 섭취 8 주 경과 후 섭취종료) 상기도감염 조사
④ 추적 (Follow-up) 기간 동안의 상기도감염 조사는 월 1 회 전화모니터링을 통해 실시
⑤ 방문 4 차: 상기도감염 조사
(4) 상기도감염 발생률 및 증상의 정도 조사 방법
방문일 (방문 2 차 및 3 차)에 상기도감염 발생률 및 증상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인체적용 시험 샘플 섭취가 종료된 후 추적 기간 동안의 상기도감염 발생률 및 증상 정도의 평가는 연구담당자가 월 1 회 전화 모니터링을 통해 평가하였으며, 4 차 방문일에도 연구대상자는 시험담당자의 도움을 받아 설문지에 체크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설문지는 도 2에 나타나 있다.
평가에 포함되는 상기도감염 증상은 발열, 콧물, 코막힘, 목아픔, 기침, 가래, 호흡곤란, 설사, 메스꺼움, 구토, 두통, 근육통, 쉰목소리, 재채기, 이통 등 15 가지이며, 증상의 중증도는 증상이 없으면 (None) ‘0’, 조금이면 (Mild) ‘1’, 보통이면 (Moderate) ‘2’, 심하면 (Severe) ‘3’ 로 점수화 하였다. 증상 지속기간은 증상이 나타난 시점에서 증상이 소실될 때까지의 기간을 의미한다.
상기도감염 증상이 있었던 연구대상자는 시험담당자의 도움을 받아 구체적인 증상, 증상의 중증도 및 증상의 지속기간을 설문지에 체크하였다.
2. 알로에 베라 겔 섭취에 따른 상기도감염 발생률, 증상의 정도 및 증상기간 평가
시험 기간 동안 연구대상자의 상기도감염 발생률 및 증상정도, 증상기간을 섭취군 간에 비교·평가하였다 (도 3 및 도 4).
시험 기간 동안 전체 연구대상자 중에서 상기도감염이 총 118 건 발생하였으며, 시험군에서는 46 건 (38.98%), 대조군에서는 72 건 (61.02%) 발생하였다. 시험군과 대조군 간의 발생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012).
증상의 증증도는 각 증상별로 0 내지 3으로 점수화하여 평가하였으며, 총 연구기간 동안 발생한 상기도감염 증상의 증증도는 평균 3.56±2.71 점이였다. 증상의 증증도에서 시험군은 3.09±2.67 점, 대조군은 3.86±2.71 점으로 시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증상의 증증도 점수가 낮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041).
증상의 지속기간(Duration)은 평균 3.95±2.80 일이었으며, 시험군은 3.57±2.36 일, 대조군은 4.19±3.04 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364).
상기도감염의 증상별로 발생률, 증상 정도 및 증상 지속기간을 평가한 결과, 기침(Cough) 항목에서 시험군이 총 발생 건수 54 건 중 14 건 (33.33%), 대조군이 40 건 (74.07%)으로 시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적게 발생하여 섭취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08). 또한, 가래(Sputum)와 두통(Headache), 근육통(Myalgia) 항목에서 시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증상 발생률이 적은 경향을 보였다 (각각 p=0.056, p=0.060, p=0.060).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알로에 베라 겔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 질환이 상기도감염, 급성 기관지염, 만성 기관지염, 폐렴, 결핵, 만성 기침, 만성 폐쇄성 폐질환 및 천식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식품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로에 베라 겔은 5 내지 400 kDa의 분자량을 갖는 알로에 다당체를 함유하는 것인, 식품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로에 베라 겔을 0.01 중량% 내지 100 중량%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동물 또는 인간에게 섭취되기 위한, 식품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발열, 콧물, 코막힘, 목아픔, 기침, 가래, 호흡곤란, 설사, 메스꺼움, 구토, 두통, 근육통, 쉰 목소리, 재채기, 이통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증상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식품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로에 베라 겔은 분말, 액상, 현탁액, 겔상 또는 고형상으로 가공된 것인, 식품 조성물.
  8. 알로에 베라 겔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 질환이 상기도감염, 급성 기관지염, 만성 기관지염, 폐렴, 결핵, 만성 기침, 만성 폐쇄성 폐질환 및 천식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알로에 베라 겔은 5 내지 400 kDa의 분자량을 갖는 알로에 다당체를 함유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1. 제 8 항에 있어서,
    대상에 경구 투여 또는 주사 투여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12. 제 8 항에 있어서, 동물 또는 인간에게 투여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13. 제 8 항에 있어서,
    발열, 콧물, 코막힘, 목아픔, 기침, 가래, 호흡곤란, 설사, 메스꺼움, 구토, 두통, 근육통, 쉰 목소리, 재채기, 이통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증상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KR1020190067214A 2019-06-07 2019-06-07 알로에 베라 겔을 함유하는 호흡기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001405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214A KR20200140520A (ko) 2019-06-07 2019-06-07 알로에 베라 겔을 함유하는 호흡기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214A KR20200140520A (ko) 2019-06-07 2019-06-07 알로에 베라 겔을 함유하는 호흡기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520A true KR20200140520A (ko) 2020-12-16

Family

ID=74042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214A KR20200140520A (ko) 2019-06-07 2019-06-07 알로에 베라 겔을 함유하는 호흡기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05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xas et al. Colds and influenza: a review of diagnosis and conventional, botanical, and nutritional considerations.
Aoki et al. Oseltamivir: a clinical and pharmacological perspective
KR101801864B1 (ko) 인플루엔자, 감기 및 염증의 치료에서 레보세티리진 및 몬테루카스트의 용도
TWI787950B (zh) 用於預防、緩解或治療冠狀病毒感染的包括杜英萃取物作為活性成分之藥物組成物以及食品組成物
CN106668832B (zh) 一种多肽在制备治疗肠道病毒感染药物的应用
CN106138360A (zh) 一种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应用
US7867523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AU2010310406B2 (en) Herbal composition comprising ginger and goldenrod for the treatment of cold and flu
US20060222722A1 (en) Sublingual methods of treatment to alleviate or prevent arthritis
CN107106536A (zh) 治疗伴侣动物的腹泻的方法
CN105535406A (zh) 一种防治畜禽呼吸道疾病的中药组合物
CN104644734A (zh) 一种治疗ⅱ型糖尿病及其并发症的药物
KR20200140520A (ko) 알로에 베라 겔을 함유하는 호흡기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7186954A1 (en) Method for the improvement of speed and endurance capacity
KR20140030360A (ko) 홍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의사 증상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조성물
CN101972325A (zh) 用于治疗鸡球虫病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893240A (zh) 一种预防和/或治疗雾霾性呼吸系统疾病的组合物
JP6762007B2 (ja) 変形性関節症予防用組成物、変形性関節症予防用食品組成物、変形性関節症予防用食品添加物及び変形性関節症予防用医薬
KR20200140103A (ko) 틱장애, 뚜렛증후군 또는 강박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9137644A (ja) 抗ウイルス剤及び抗ウイルス組成物
CN103893158A (zh) 木糖醇在雾霾性呼吸系统疾病中的应用
CN107158195A (zh) 一种治疗小儿支气管哮喘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7595849A (zh) 一种抗焦虑并改善睡眠的药物组合物及其用途
JP2007145731A (ja) 止瀉効果を有する内服用製剤
AU2016100033A4 (en) Biopharmaceutical with antiviral ac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