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0443A - 승강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0443A
KR20200140443A KR1020190066902A KR20190066902A KR20200140443A KR 20200140443 A KR20200140443 A KR 20200140443A KR 1020190066902 A KR1020190066902 A KR 1020190066902A KR 20190066902 A KR20190066902 A KR 20190066902A KR 20200140443 A KR20200140443 A KR 20200140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bicycle
lifting module
fram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8529B1 (ko
Inventor
성하경
성지환
Original Assignee
성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하경 filed Critical 성하경
Priority to KR1020190066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529B1/ko
Publication of KR20200140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8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recesses or channelled rails for embracing the bottom part of a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2700/00Supports or stands for two-whee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직립배치되고 하부에는 제1걸림턱(112)이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턱(112)의 하부 위치에는 제2걸림턱(113)이 형성된 지주프레임(110); 상기 지주프레임(110)에 지지되어 상하로 승강하며 상기 제1걸림턱(112)에 선택적으로 걸림지지되는 제1록킹부(122)가 구비된 제1승강모듈(120);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에 자전거가 거치되며 기단부가 상기 제1승강모듈(120)에 체결되어 함께 승강이동하는 거치프레임(130); 상기 제1승강모듈(120)의 직하부에 배치되고 지주프레임(110)에 지지되어 상하로 승강하며 상기 제2걸림턱(113)에 선택적으로 걸림지지되는 제2록킹부(142)가 구비된 제2승강모듈(140); 상기 지주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1탄성력으로 상기 제1승강모듈(120)을 상향으로 끌어당기며 제2탄성력으로 상기 제2승강모듈(140)을 상향으로 끌어당기는 상승구동부(150);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1록킹부(122)의 걸림지지된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제1스위치부(160); 및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2록킹부(142)의 걸림지지된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제2스위치부(170);를 포함하는 승강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승강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장치{BICYCLE PARKING APPARATUS WITH LIFTING FUNCTION}
본 발명은 승강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가 거치된 거치프레임을 일정높이로 상승시켜 상승한 거치프레임의 하부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승강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의 승강구동식 자전거 거치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고하면 종래의 자전거 거치장치는 채널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는 연장된 길이를 따라 슬라이딩공간부(111)가 마련되며 바닥면에 하단이 고정된 상태로 직립배치되는 수직채널(110)과, 수직채널(110) 내에 배치되어 슬라이딩공간부(111)를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승강모듈(120)과, 수직채널(110)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승강모듈(120)에 체결되어 승강모듈(120)을 상향으로 끌어당기는 상승구동부(130)와, 수평방향으로 연장배치되어 상부에 자전거(10)가 직립된 상태로 거치되며 일단이 승강모듈(120)에 체결되어 승강모듈(120)과 함께 승강이동하는 거치프레임(140) 및, 승강모듈(120)에 장착되며 일측이 상기 수직채널(110)의 하부에 지지되면서 승강모듈(120)의 하강한 상태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록킹수단(150)으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자전거(10)를 거치프레임(140)에 거치한 후 록킹수단(150)을 이용하여 승강모듈(120)의 하강 고정된 상태를 해제시키면 상승구동부(130)의 끌어당기는 힘으로 승강모듈(120)을 상승시켜 거치프레임(140)을 일정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자전거(10)가 거치프레임(140)에 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록킹수단(150)이 해제되면 자전거(10)가 거치될 때의 힘으로 상승구동부(130)가 승강모듈(120)을 끌어당기기 때문에 거치프레임(140)이 고속으로 상승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불안감을 느끼게 하며 심한 경우 상승하는 거치프레임(140)과 신체가 충돌하여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45804호(2016.07.28), 승강구동식 자전거 거치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거치프레임에 자전거가 거치된 경우와 거치되지 않은 경우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힘으로 거치프레임을 상승시킴으로써 자전거가 거치되지 않은 거치프레임이 고속으로 상승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승강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장치는,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직립배치되고 하부에는 제1걸림턱(112)이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턱(112)의 하부 위치에는 제2걸림턱(113)이 형성된 지주프레임(110); 상기 지주프레임(110)에 지지되어 상하로 승강하며 상기 제1걸림턱(112)에 선택적으로 걸림지지되는 제1록킹부(122)가 구비된 제1승강모듈(120);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에 자전거가 거치되며 기단부가 상기 제1승강모듈(120)에 체결되어 함께 승강이동하는 거치프레임(130); 상기 제1승강모듈(120)의 직하부에 배치되고 지주프레임(110)에 지지되어 상하로 승강하며 상기 제2걸림턱(113)에 선택적으로 걸림지지되는 제2록킹부(142)가 구비된 제2승강모듈(140); 상기 지주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1탄성력으로 상기 제1승강모듈(120)을 상향으로 끌어당기며 제2탄성력으로 상기 제2승강모듈(140)을 상향으로 끌어당기는 상승구동부(150);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1록킹부(122)의 걸림지지된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제1스위치부(160); 및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2록킹부(142)의 걸림지지된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제2스위치부(1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록킹부(122)는 제1승강모듈(120)이 하강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제1걸림턱(112)에 걸림지지되고 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제1걸림턱(112)으로부터 이탈되며 제1탄성스프링(124)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가압되고, 상기 제1스위치부(16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1록킹부(122)를 후방으로 잡아당기는 수단이며, 상기 제2록킹부(142)는 제2승강모듈(140)이 하강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제2걸림턱(113)에 걸림지지되고 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제2걸림턱(113)으로부터 이탈되며 제2탄성스프링(144)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가압되고, 상기 제2스위치부(17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2록킹부(142)를 후방으로 잡아당기는 수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위치부(160)는 제1록킹부(122)와 연결되도록 거치프레임(130)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록킹부(122)를 후방으로 잡아당기면서 제1록킹부(122)를 제1걸림턱(112)으로부터 이탈시키며, 상기 제2스위치부(170)는 제2록킹부(142)와 연결되도록 거치프레임(130)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2록킹부(142)를 후방으로 잡아당기면서 제2록킹부(142)를 제2걸림턱(113)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위치부(170)는, 상기 거치프레임(130)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자전거를 거치프레임(130)에 거치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자전거의 바퀴(W)에 가압되면서 회동동작하는 회동프레임(171)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프레임(171)의 회동동작에 의해 상기 제2록킹부(142)의 록킹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위치부(160)는, 거치프레임(130)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후방으로 회동동작하는 제1레버(161) 및, 상기 제1록킹부(122)와 제1레버(161) 사이에 연결되어 제1레버(161)의 회동동작에 따라 제1록킹부(122)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1견인바(16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승강모듈(120) 내에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동작하는 동작편(145)과, 상기 제1승강모듈(120) 내에서 상기 동작편(145)을 전방으로 탄성가압하는 제3탄성스프링(146) 및, 상하로 연장배치되어 상기 제2록킹부(142)와 동작편(145)을 상하로 연결하는 연결바(147)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스위치부(170)는, 거치프레임(130) 상에서 상기 회동프레임(171)과 연결되어 회동프레임(171)의 회동동작에 따라 전후방으로 회동동작하는 제2레버(172) 및, 상기 동작편(145)과 제2레버(172) 사이에 연결되어 제2레버(172)의 회동동작에 따라 상기 동작편(145)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2견인바(1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승구동부(150)는, 상기 지주프레임(11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배치되며 내부에 장착된 탄성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받는 제1스프링롤러(151)와, 상기 지주프레임(110) 상에서 제1스프링롤러(151)의 상부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수평배치되며 내부에 장착된 탄성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받는 제2스프링롤러(152)와, 상기 제1스프링롤러(151)와 제1승강모듈(120) 사이에 연결되어 제1탄성력으로 제1승강모듈(120)을 상승시키는 제1탄성부재(153) 및, 상기 제2스프링롤러(152)와 제2승강모듈(140) 사이에 연결되어 제2탄성력으로 제2승강모듈(140)을 상승시키는 제2탄성부재(15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탄성력은 자전거가 거치되지 않은 거치프레임(130)을 완만한 속도로 상승시키는 정도의 탄성력이며, 상기 제2탄성력은 제1탄성력과 함께 자전거가 거치된 거치프레임(130)을 완만한 속도로 상승시키는 정도의 탄성력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장치에 의하면, 지주프레임(110) 상에서 상승구동부(150)에 의해 상향으로 끌어 당겨지는 제1승강모듈(120)과 제2승강모듈(140)을 제1스위치부(160)와 제2스위치부(170)를 이용하여 각각의 록킹상태를 해제할 수 있어, 거치프레임(130)에 자전거가 거치된 상태에서는 제1승강모듈(120)과 제2승강모듈(140)에 가해지는 탄성력의 힘으로 거치프레임(130)을 상승시키고 자전거가 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승강모듈(120)에 가해지는 탄성력의 힘으로 거치프레임(130)을 상승시키는 것과 같이, 거치프레임(130)에 자전거가 거치된 경우와 거치되지 않은 경우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힘으로 거치프레임(130)을 상승시킴으로서 자전거가 거치되지 않은 거치프레임(130)이 고속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거치프레임(130)에 자전거를 거치시키면 자전거의 바퀴(W)에 의해 회동프레임(171)이 가압되어 회동하면서 제2승강모듈(140)의 하향 고정된 록킹상태를 자동으로 해제시킬 수 있으며, 거치프레임(130)의 선단에 장착된 제1레버(161)를 조작하는 것으로 제1승강모듈(120)의 하향 고정된 록킹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승강구동식 자전거 거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저면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승강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장치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장치(100)는 거치프레임(130)에 자전거가 거치된 경우와 거치되지 않은 경우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힘으로 거치프레임(130)을 상승시킴으로써 자전거가 거치되지 않은 거치프레임(130)이 고속으로 상승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전거 거치장치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프레임(110), 제1승강모듈(120), 거치프레임(130), 제2승강모듈(140), 상승구동부(150), 제1스위치부(160) 및 제2스위치부(170)를 포함한다.
먼저, 지주프레임(110)은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어 거치프레임(130) 및 자전거의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구조물로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직립배치되고 연장된 길이를 따라 제1승강모듈(120) 및 제2승강모듈(140)의 승강경로를 제공하는 레일홈(111)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제1승강모듈(120)이 걸림지지되는 제1걸림턱(112)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턱(112)의 하부 위치에는 제2승강모듈(140)이 걸림지지되는 제2걸림턱(113)이 돌출형성된다.
상기 제1승강모듈(120)은 거치프레임(130)을 승강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레일홈(111) 내에서 슬라이딩하는 롤러(121)가 장착되어 지주프레임(110)에 지지되어 레일홈(111)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며 상기 제1걸림턱(112)에 선택적으로 걸림지지되는 제1록킹부(122)가 구비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록킹부(122)는 제1승강모듈(120)이 하강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제1걸림턱(112)에 걸림지지되고 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제1걸림턱(112)으로부터 이탈되며 제1승강모듈(120) 내에 배치된 제1탄성스프링(124)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가압된다.
상기 거치프레임(130)은 자전거를 거치하는 프레임구조물로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에 자전거가 직립한 상태로 거치되며 기단부가 제1승강모듈(120)에 체결되어 함게 승강이동한다. 여기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프레임(130) 양측에는 일정높이로 하부지지프레임(132)이 형성되어 거치된 자전거의 바퀴(W) 하부를 측방지지하며, 상기 하부지지프레임(132)의 전방측 상부에는 거치된 자전거의 바퀴(W) 상부를 측방지지하는 상부지지프레임(131)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지지프레임(131)은 기단부를 중심으로 선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자전거가 거치프레임(130) 상에 거치된 상태에서 회동하여 바퀴(W)의 상부를 향해 회동함으로써 측방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지지프레임(132)과 상부지지프레임(131)의 구성을 통해 거치프레임(130)에 거치된 자전거가 승강동작 간에 발생하는 진동 및 유동에 의해 전복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모듈(140)은 자전거가 거치된 거치프레임(130)을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보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지주프레임(110) 상에서 제1승강모듈(120)의 직하부에 배치되고 레일홈(111) 내에서 슬라이딩 하는 롤러(141)가 장착되어 레일홈(111)을 따라 지주프레임(110)에 지지되어 상하로 승강하며 제2걸림턱(113)에 선택적으로 걸리지지되는 제2록킹부(142)가 구비된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록킹부(142)는 제2승강모듈(140)이 하강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제2걸림턱(113)에 걸림지지되고 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제2걸림턱(113)으로부터 이탈되며 제2탄성스프링(144)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가압된다.
상기 상승구동부(150)는 거치프레임(130) 및 거치된 자전거를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지주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1탄성력으로 제1승강모듈(120)을 상향으로 끌어당기며 제2탄성력으로 제2승강모듈(140)을 상향으로 끌어당긴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승구동부(150)는, 상기 지주프레임(11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배치되며 내부에 장착된 탄성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받는 제1스프링롤러(151)와, 상기 지주프레임(110) 상에서 제1스프링롤러(151)의 상부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수평배치되며 내부에 장착된 탄성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받는 제2스프링롤러(152)와, 상기 제1스프링롤러(151)와 제1승강모듈(120) 사이에 연결되어 제1탄성력으로 제1승강모듈(120)을 상승시키는 제1탄성부재(153) 및, 상기 제2스프링롤러(152)와 제2승강모듈(140) 사이에 연결되어 제2탄성력으로 제2승강모듈(140)을 상승시키는 제2탄성부재(15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탄성력은 자전거가 거치되지 않은 거치프레임(130)을 완만한 속도로 상승시키는 정도의 탄성력이며, 상기 제2탄성력은 자전거를 완만한 속도로 상승시키는 정도의 탄성력으로 즉, 제1탄성력과 함께 자전거가 거치된 거치프레임(130)을 완만한 속도로 상승시키는 정도의 탄성력이다. 따라서, 상기 제1탄성력과 제2탄성력의 크기는 거치프레임(130)의 무게와 거치가능한 자전거의 평균적인 무게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완만한 속도는 사용자가 불안감을 느끼지 않고 거치프레임(130)과 신체간의 충돌로 부상을 입지 않을 정도의 속도(예를 들면 초속 0.5m 내지 1m)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1탄성부재(153), 제탄성부재(154)로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각 스프링롤러(151,1152)에 권취될 수 있는 신축시트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밖에 스프링롤러와 신축시트의 조합된 구성을 대신하여 탄성스프링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스위치부(16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제1록킹부(122)의 걸림지지된 록킹상태를 해제하며, 제2스위치부(17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제2록킹부(142)의 걸림지지된 록킹상태를 해제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스위치부(16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제1록킹부(122)를 후방으로 잡아당기는 수단이며 제2스위치부(17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2록킹부(142)를 후방으로 잡아당기는 수단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스위치부(160)는 제1록킹부(122)와 연결되도록 거치프레임(130)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록킹부(122)를 후방으로 잡아당기면서 제1록킹부(122)를 제1걸림턱(112)으로부터 이탈시키며, 상기 제2스위치부(170)는 제2록킹부(142)와 연결되도록 거치프레임(130)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2록킹부(142)를 후방으로 잡아당기면서 제2록킹부(142)를 제2걸림턱(113)으로부터 이탈시킨다.
또한, 상기 제2스위치부(170)는, 상기 거치프레임(130)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자전거를 거치프레임(130)에 거치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자전거의 바퀴(W)에 가압되면서 회동동작하는 회동프레임(171)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프레임(171)의 회동동작에 의해 상기 제2록킹부(142)의 록킹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스위치부(160)는, 거치프레임(130)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후방으로 회동동작하는 제1레버(161) 및, 상기 제1록킹부(122)와 제1레버(161) 사이에 연결되어 제1레버(161)의 회동동작에 따라 제1록킹부(122)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1견인바(162)를 포함한다.
더불어, 상기 제1승강모듈(120) 내에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동작하는 동작편(145)과, 상기 제1승강모듈(120) 내에서 상기 동작편(145)을 전방으로 탄성가압하는 제3탄성스프링(146) 및, 상하로 연장배치되어 상기 제2록킹부(142)와 동작편(145)을 상하로 연결하는 연결바(147)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스위치부(170)는, 거치프레임(130) 상에서 상기 회동프레임(171)과 연결되어 회동프레임(171)의 회동동작에 따라 전후방으로 회동동작하는 제2레버(172) 및, 상기 동작편(145)과 제2레버(172) 사이에 연결되어 제2레버(172)의 회동동작에 따라 상기 동작편(145)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2견인바(173)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프레임(130)에 자전거가 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레버(161)를 회동시키면 제1견인바(162)가 제1록킹부(122)를 후방으로 잡아당겨 제1걸림턱(112)에 걸림지지된 제1록킹부(122)의 단부가 이탈되면서 제1승강모듈(120)의 록킹상태가 해제되며, 제2록킹부(142)은 작동되지 않아 제1걸림턱(112)에 걸림지지된 록킹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승강모듈(120)의 록킹상태가 해제되면서 제1승강모듈(120)과 연결된 제1탄성스프링(124)의 탄성력으로 제1승강모듈(120)이 상향으로 잡아당겨지게 되어 거치프레임(130)이 일정높이로 상승하게 된다.
반면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프레임(130)에 자전거를 거치하면서 회동프레임(171)이 거치되는 자전거의 바퀴(W)에 가압되면서 회동동작하게 되면 제2레버(172)가 회동하면서 제2견인바(173)가 동작편(145)을 후방으로 잡아당기게 되고, 연결바(147)를 통해 동작편(145)에 연결된 제2록킹부(142)가 후방으로 함께 잡아당겨지게 되어 제2걸림턱(113)에 걸림지지된 제2록킹부(142)의 단부가 이탈되면서 제2승강모듈(140)의 록킹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승강모듈(120)과 제2승강모듈(140)의 록킹상태가 함께 해제되면서 제1승강모듈(120)과 연결된 제1탄성스프링(124)의 탄성력과 제2승강모듈(140)에 연결된 제2탄성스프링(144)의 탄성력이 제1승강모듈(120)과 제2승강모듈(140)을 상향으로 잡아당ㄱ기 되어 자전거가 거치된 거치프레임(130)이 일정높이로 상승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장치(100)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지주프레임(110) 상에서 상승구동부(150)에 의해 상향으로 끌어 당겨지는 제1승강모듈(120)과 제2승강모듈(140)을 제1스위치부(160)와 제2스위치부(170)를 이용하여 각각의 록킹상태를 해제할 수 있어, 거치프레임(130)에 자전거가 거치된 상태에서는 제1승강모듈(120)과 제2승강모듈(140)에 가해지는 탄성력의 힘으로 거치프레임(130)을 상승시키고 자전거가 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승강모듈(120)에 가해지는 탄성력의 힘으로 거치프레임(130)을 상승시키는 것과 같이, 거치프레임(130)에 자전거가 거치된 경우와 거치되지 않은 경우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힘으로 거치프레임(130)을 상승시킴으로서 자전거가 거치되지 않은 거치프레임(130)이 고속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거치프레임(130)에 자전거를 거치시키면 자전거의 바퀴(W)에 의해 회동프레임(171)이 가압되어 회동하면서 제2승강모듈(140)의 하향 고정된 록킹상태를 자동으로 해제시킬 수 있으며, 거치프레임(130)의 선단에 장착된 제1레버(161)를 조작하는 것으로 제1승강모듈(120)의 하향 고정된 록킹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자전거 거치장치
110...지주프레임 120...제1승강모듈
130...거치프레임 140...제2승강모듈
150...상승구동부 160...제1스위치부
170...제2스위치부

Claims (7)

  1.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직립배치되고 하부에는 제1걸림턱(112)이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턱(112)의 하부 위치에는 제2걸림턱(113)이 형성된 지주프레임(110);
    상기 지주프레임(110)에 지지되어 상하로 승강하며 상기 제1걸림턱(112)에 선택적으로 걸림지지되는 제1록킹부(122)가 구비된 제1승강모듈(120);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에 자전거가 거치되며 기단부가 상기 제1승강모듈(120)에 체결되어 함께 승강이동하는 거치프레임(130);
    상기 제1승강모듈(120)의 직하부에 배치되고 지주프레임(110)에 지지되어 상하로 승강하며 상기 제2걸림턱(113)에 선택적으로 걸림지지되는 제2록킹부(142)가 구비된 제2승강모듈(140);
    상기 지주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1탄성력으로 상기 제1승강모듈(120)을 상향으로 끌어당기며 제2탄성력으로 상기 제2승강모듈(140)을 상향으로 끌어당기는 상승구동부(150);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1록킹부(122)의 걸림지지된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제1스위치부(160); 및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2록킹부(142)의 걸림지지된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제2스위치부(170);를 포함하는 승강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록킹부(122)는 제1승강모듈(120)이 하강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제1걸림턱(112)에 걸림지지되고 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제1걸림턱(112)으로부터 이탈되며 제1탄성스프링(124)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가압되고,
    상기 제1스위치부(16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1록킹부(122)를 후방으로 잡아당기는 수단이며,
    상기 제2록킹부(142)는 제2승강모듈(140)이 하강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제2걸림턱(113)에 걸림지지되고 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제2걸림턱(113)으로부터 이탈되며 제2탄성스프링(144)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가압되고,
    상기 제2스위치부(17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2록킹부(142)를 후방으로 잡아당기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부(160)는 제1록킹부(122)와 연결되도록 거치프레임(130)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록킹부(122)를 후방으로 잡아당기면서 제1록킹부(122)를 제1걸림턱(112)으로부터 이탈시키며,
    상기 제2스위치부(170)는 제2록킹부(142)와 연결되도록 거치프레임(130)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2록킹부(142)를 후방으로 잡아당기면서 제2록킹부(142)를 제2걸림턱(113)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치부(170)는, 상기 거치프레임(130)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자전거를 거치프레임(130)에 거치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자전거의 바퀴(W)에 가압되면서 회동동작하는 회동프레임(171)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프레임(171)의 회동동작에 의해 상기 제2록킹부(142)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부(160)는, 거치프레임(130)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후방으로 회동동작하는 제1레버(161) 및, 상기 제1록킹부(122)와 제1레버(161) 사이에 연결되어 제1레버(161)의 회동동작에 따라 제1록킹부(122)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1견인바(16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승강모듈(120) 내에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동작하는 동작편(145)과,
    상기 제1승강모듈(120) 내에서 상기 동작편(145)을 전방으로 탄성가압하는 제3탄성스프링(146) 및,
    상하로 연장배치되어 상기 제2록킹부(142)와 동작편(145)을 상하로 연결하는 연결바(147)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스위치부(170)는, 거치프레임(130) 상에서 상기 회동프레임(171)과 연결되어 회동프레임(171)의 회동동작에 따라 전후방으로 회동동작하는 제2레버(172) 및, 상기 동작편(145)과 제2레버(172) 사이에 연결되어 제2레버(172)의 회동동작에 따라 상기 동작편(145)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2견인바(17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승구동부(150)는,
    상기 지주프레임(11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배치되며 내부에 장착된 탄성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받는 제1스프링롤러(151)와,
    상기 지주프레임(110) 상에서 제1스프링롤러(151)의 상부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수평배치되며 내부에 장착된 탄성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받는 제2스프링롤러(152)와,
    상기 제1스프링롤러(151)와 제1승강모듈(120) 사이에 연결되어 제1탄성력으로 제1승강모듈(120)을 상승시키는 제1탄성부재(153) 및,
    상기 제2스프링롤러(152)와 제2승강모듈(140) 사이에 연결되어 제2탄성력으로 제2승강모듈(140)을 상승시키는 제2탄성부재(1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력은 자전거가 거치되지 않은 거치프레임(130)을 완만한 속도로 상승시키는 정도의 탄성력이며,
    상기 제2탄성력은 제1탄성력과 함께 자전거가 거치된 거치프레임(130)을 완만한 속도로 상승시키는 정도의 탄성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장치.
KR1020190066902A 2019-06-05 2019-06-05 승강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장치 KR102208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902A KR102208529B1 (ko) 2019-06-05 2019-06-05 승강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902A KR102208529B1 (ko) 2019-06-05 2019-06-05 승강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443A true KR20200140443A (ko) 2020-12-16
KR102208529B1 KR102208529B1 (ko) 2021-01-27

Family

ID=74042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902A KR102208529B1 (ko) 2019-06-05 2019-06-05 승강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5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5886A (ja) * 2009-06-23 2011-01-13 Sanwa Seisakusho:Kk 昇降式駐輪装置
KR101645804B1 (ko) 2014-09-03 2016-08-05 성하경 승강구동식 자전거 거치장치
JP6183873B1 (ja) * 2016-09-05 2017-08-23 株式会社Oss 駐輪機
JP2017185957A (ja) * 2016-04-08 2017-10-12 株式会社ダイケン 駐輪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5886A (ja) * 2009-06-23 2011-01-13 Sanwa Seisakusho:Kk 昇降式駐輪装置
KR101645804B1 (ko) 2014-09-03 2016-08-05 성하경 승강구동식 자전거 거치장치
JP2017185957A (ja) * 2016-04-08 2017-10-12 株式会社ダイケン 駐輪装置
JP6183873B1 (ja) * 2016-09-05 2017-08-23 株式会社Oss 駐輪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8529B1 (ko)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3583A (ko) 차량용 시트 높이 조절장치
US20050239607A1 (en) Treadmill with front and rear inclination adjustment unit
JP6644634B2 (ja) 救助昇降機システム
US20230174360A1 (en) Forklift
KR102208529B1 (ko) 승강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장치
JP6868511B2 (ja) 避難装置
KR20090114756A (ko) 탈착 가능한 전동식 헤드레스트
KR101811173B1 (ko) 저상 탑승이 가능한 고소작업차
KR102325075B1 (ko) 계단 승월 장치
KR102445702B1 (ko) 장애물 극복유닛과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동휠체어
JP2010075567A (ja) 車両用昇降装置
JP7089397B2 (ja) 駐輪装置
JP4692036B2 (ja) 自動車の可動フロア装置
KR101854388B1 (ko)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JP2002178930A (ja) 階段走行可能な運搬車
JP2019042158A (ja) 避難装置
KR101581881B1 (ko) 모니터 자동수납 책상
KR200403336Y1 (ko) 헤드레스트.
WO2019024144A1 (zh) 一种轿厢电梯用多功能扶手
KR20150035999A (ko) 건설기계 운전실용 풋 레스트
CN109572896B (zh) 一种驾驶省力的独轮电动平衡车
JP2022007421A (ja) リフター装置。
JP3154591U (ja) 階段昇降装置
CN210124462U (zh) 升降裁判椅
JP3331488B2 (ja) 昇降台のバウンド抑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