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7495A - 액체 정량 유출용 캡 - Google Patents

액체 정량 유출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7495A
KR20200137495A KR1020190063963A KR20190063963A KR20200137495A KR 20200137495 A KR20200137495 A KR 20200137495A KR 1020190063963 A KR1020190063963 A KR 1020190063963A KR 20190063963 A KR20190063963 A KR 20190063963A KR 20200137495 A KR20200137495 A KR 20200137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container
opening
liquid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1479B1 (ko
Inventor
이삼현
Original Assignee
대한이피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이피에스(주) filed Critical 대한이피에스(주)
Priority to KR1020190063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479B1/ko
Publication of KR20200137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용기에 수용된 액체를 한 번에 일정량씩 유출시킬 수 있는 액체 정량 유출용 캡을 제공한다. 여기서, 액체 정량 유출용 캡은 연결부, 제1개폐부 그리고 제2개폐부를 포함한다. 연결부는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고, 입구의 축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한다. 제1개폐부는 연결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용기의 입구를 덮도록 마련되고, 연결부와 일체로 이동하면서 용기의 입구의 상단부를 개폐한다. 제2개폐부는 연결부의 내측에서 제1개폐부에 결합되어 용기의 입구의 내측에 위치되며, 입구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용기의 입구의 하단부를 개폐한다.

Description

액체 정량 유출용 캡{CAP FOR DRAINING CONSTANT QUANTITY OF LIQUID}
본 발명은 액체 정량 유출용 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에 수용된 액체를 한 번에 일정량씩 유출시킬 수 있는 액체 정량 유출용 캡에 관한 것이다.
용기 안의 액체를 사용하기 위해 외부로 부어낼 때 그 액체의 용도에 따라 정해지는 일정한 양을 부어내는 것은 중요하다.
예를 들어 요리 시에 간장이나 기름, 혹은 식초 등을 사용할 때 계량용 스푼 등으로 그 양을 재어서 넣거나, 물약을 정확한 양으로 복용하기 위해서 눈금이 표시된 뚜껑을 사용하고 있으며, 구강 청결제의 경우에는 병뚜껑을 계량을 위한 컵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용기에 담긴 액체를 일정량씩 부어 사용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은, 계량스푼, 계량컵 등의 계량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계량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바쁠 때나, 어린이나 노약자가 사용할 때나, 또는 차 안에서와 같이 흔들리는 장소에서 사용할 때 등의 경우에 정확한 양을 계량하기가 어려울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숙련도, 사용 장소 등에 구애 받지 않고 용기에 수용된 액체를 용이하게 정량으로 유출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15185호(2003.02.20.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용기에 수용된 액체를 한 번에 일정량씩 유출시킬 수 있는 액체 정량 유출용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고, 상기 입구의 축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입구를 덮도록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이동하면서 상기 용기의 입구의 상단부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 그리고 상기 연결부의 내측에서 상기 제1개폐부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의 입구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입구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용기의 입구의 하단부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를 포함하는 액체 정량 유출용 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용기의 입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유출슬릿을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용기의 입구를 덮는 커버부를 가지고, 상기 용기의 입구의 상단부는 상기 제1개폐부가 상기 연결부와 함께 상향 이동되어 상기 커버부가 상기 용기의 입구의 상단부에서 이격되면 상기 유출슬릿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제1개폐부가 상기 연결부와 함께 하향 이동되면 상기 커버부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는 상기 커버부의 하면에 상기 용기의 입구의 내측지름에 대응되는 외측지름을 가지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용기의 입구에 밀착 시에 상기 용기의 입구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용기의 입구의 상단부를 폐쇄하는 제1밸브 더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개폐부는 일단부는 상기 커버의 하부에 연결되고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바와, 상기 연장바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용기의 입구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개폐부와 일체로 이동하면서 상기 용기의 입구의 하단부를 개폐하는 제2밸브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제1지름으로 형성되고 액체를 수용하는 메인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저장부를 가지고, 상기 입구는 상기 제1지름보다 작은 제2지름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계량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2밸브는 상기 제2지름에 대응되는 외측지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는 상기 커버부의 중앙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측에는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연결공을 가지는 가이드부를 더 가지고, 상기 제2개폐부는 상기 연결공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연장바와, 상기 연장바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용기의 입구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연장바와 일체로 이동하면서 상기 용기의 입구의 하단부를 개폐하는 밸브와, 상기 연장바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연장바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외력이 입력되는 버튼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단차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연장바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단부가 상기 버튼을 지지하여 상기 밸브가 상기 용기의 입구의 하단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버튼을 탄발 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의 하단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에 의해 하측으로 탄발 지지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와 상기 연장바의 외주면 사이를 기밀하는 기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개폐부는 상기 연결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버튼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의 상부 내측지름에 대응되는 외측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장바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돌기를 더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 내측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장바의 하향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개폐부는 상기 밸브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의 하부 내측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장바의 상향 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제1지름으로 형성되고 액체를 수용하는 메인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저장부를 가지고, 상기 입구는 상기 제1지름보다 작은 제2지름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계량공간을 가지며, 상기 밸브는 상기 제2지름에 대응되는 외측지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는 상기 유출슬릿과 연결되고 상기 유출슬릿으로 유출되는 액체의 흐름을 안내하는 유출가이드를 더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의 외측에 수용공간을 마련하고, 회전 운동 및 직선 운동하는 복수의 개폐부를 마련하여 간단한 동작을 통해 유입구 및 유출구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용기의 액체가 유입구로 유입되어 수용공간에 채워지고, 수용공간에 채워진 액체는 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공간의 용적에 따라 계량된 양의 액체가 유출될 수 있기 때문에, 유출하고자 하는 액체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계량기가 없이도 원하는 양의 액체를 계량하여 유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 정량 유출용 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액체 정량 유출용 캡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액체 정량 유출용 캡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체 정량 유출용 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액체 정량 유출용 캡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액체 정량 유출용 캡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 정량 유출용 캡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은 도 1의 액체 정량 유출용 캡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정량 유출용 캡은 연결부(110), 제1개폐부(140) 그리고 제2개폐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10)는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10)의 입구(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액체를 물로 설명한다.
연결부(110)는 결합될 용기(10)의 입구(11)와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입구(11)의 축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제1개폐부(140)는 연결부(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용기(10)의 입구(11)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개폐부(140)는 연결부(110)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용기(10)의 입구(11)의 상단부를 개폐할 수 있다. 제1개폐부(140)는 연결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개폐부(140)는 몸체(141) 및 커버부(142)를 가질 수 있다.
몸체(141)는 연결부(110)와 연결되어 용기(10)의 입구(1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원주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유출슬릿(143)을 가질 수 있다. 유출슬릿(143)은 몸체(141)의 상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142)는 몸체(141)와 연결될 수 있으며, 용기(10)의 입구(11)를 덮을 수 있다.
제1개폐부(140)가 연결부(110)와 함께 상향 이동되어 커버부(142)가 용기(10)의 입구의 상단부에서 이격되면 용기(10)의 입구(11)의 상단부는 유출슬릿(143)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그러나, 제1개폐부(140)가 연결부(110)와 함께 하향 이동되어 커버부(142)가 용기(10)의 입구(11)의 상단부에 밀착되면 폐쇄될 수 있다.
한편, 제1개폐부(140)는 제1밸브(144)를 더 가질 수 있다.
제1밸브(144)는 커버부(142)의 하면에 용기(10)의 입구(11)의 내측지름에 대응되는 외측지름을 가지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밸브(144)는 용기(10)의 입구(1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하 이동하면서 용기(10)의 입구(11)의 상단부를 개폐할 수 있다.
즉, 연결부(110)가 상향 이동 시에 제1개폐부(140)가 함께 상향 이동되고, 제1밸브(144)가 용기(10)의 입구(11)의 상단부에서 이격되면 유출슬릿(143)에 의해 용기(10)의 입구(11)의 상단부는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110)가 하향 이동하여 제1개폐부(140)가 함께 하향 이동되면, 제1밸브(144)는 용기(10)의 입구(11)의 상단부 내주면에 밀착되어 유출슬릿(143)을 가려서 유출슬릿(143)이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제2개폐부(160)는 연결부(110)의 내측에서 제1개폐부(14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개폐부(160)는 용기(10)의 입구(11)의 내측에 위치되며, 용기(10)의 입구(11)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용기(10)의 입구(11)의 하단부를 개폐할 수 있다.
제2개폐부(160)는 연장바(161) 및 제2밸브(162)를 가질 수 있다.
연장바(161)는 일단부가 커버부(142)의 하부에 연결되고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장바(161)는 커버부(142)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밸브(162)는 연장바(161)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용기(10)의 입구(11)의 하측 부근에 위치될 수 있다. 제2밸브(162)는 제1개폐부(140)와 일체로 이동하면서 용기(10)의 입구의 하단부를 개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용기(10)는 입구(11)와 구분되는 저장부(16)를 가질 수 있다. 저장부(16)는 물을 수용하는 메인 저장공간(17)을 가질 수 있으며, 제1지름(D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입구(11)는 제1지름(D1)보다 작은 제2지름(D2)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계량공간(15)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밸브(162)는 제2지름(D2)에 대응되는 외측지름을 가질 수 있다. 연결부(110)가 용기(10)의 입구(11)의 하부로 이동되면 제2밸브(162)는 메인 저장공간(17)에 위치되고 용기(10)의 입구(11)의 하단부는 개방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110)가 용기(10)의 입구(11)의 상부로 이동되면 제2밸브(162)는 계량공간(15)에 위치되고 용기(10)의 입구(11)의 하단부는 폐쇄될 수 있다.
제1개폐부(140)는 유출가이드(190)를 더 가질 수 있다. 유출가이드(190)는 제1개폐부(140)의 상부에 구비되고 유출슬릿(143)과 연결되어 유출슬릿(143)으로 유출되는 물의 흐름을 안내할 수 있다.
유출가이드(190)는 제1개폐부(140)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유출슬릿(143)에서 유출되는 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컵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유출가이드(190)에 입을 대고, 용기(10)를 기울여 계량공간(15)에 수용된 물이 유출슬릿(143)을 통해 유출되면 마실 수 있다.
또한, 유출가이드(190)는 유출슬릿(143)으로 유출되는 물이 매끈한 곡선을 이루면서 따라지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가 따라지는 물의 낙하지점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도울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액체 정량 유출용 캡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부(110)가 입구(11)에 결합되어 하측으로 이동하면, 제2밸브(162)는 계량공간(15)에서 나와 메인 저장공간(17)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용기(10)의 입구(11)의 하단부는 개방될 수 있다. 이때는 메인 저장공간(17)의 물이 입구(11)의 계량공간(15)으로 유입되어 채워질 수 있는 유입상태일 수 있다.
그러다가, 도 3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부(110)가 상향 이동되어 제2밸브(162)가 계량공간(15)으로 이동하면 입구(11)의 하단부가 폐쇄될 수 있다. 이때는 계량공간(15)에 수용된 물이 메인 저장공간(17)에 수용된 물과 구획될 수 있는 폐쇄상태일 수 있다. 폐쇄상태에서는 입구(11)의 상단부는 제1밸브(144)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후, 도 3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부(110)가 더욱 상향 이동되면 제1밸브(144)는 입구(11)의 상단부와 이격되고, 유출슬릿(143)은 개방되어 계량공간(15)에 수용된 물은 유출슬릿(143)을 통해 유출될 수 있다. 이때는 계량공간(15)에 채워진 물이 유출슬릿(143)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상태일 수 있다. 유출상태에서도 제2밸브(162)는 계량공간(15)에 위치되고 제2밸브(162)의 외주면이 입구(1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용기(10)의 입구(11)의 하단부는 폐쇄된 상태이기 때문에, 유출슬릿(143)으로는 계량공간(15)에 수용된 물만 유출될 수 있다.
계량공간(15)의 용적은 1회 유출하고자 하는 물의 양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즉, 계량공간(15)의 용적이 결정되면, 사용자는 계량공간(15)에 물이 가득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유출시킬 물의 양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유출하고자 하는 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계량기가 없이도 원하는 양의 물을 정확하게 계량하여 유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체 정량 유출용 캡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액체 정량 유출용 캡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액체 정량 유출용 캡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정량 유출용 캡은 연결부(210), 제1개폐부(240) 그리고 제2개폐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10)는 용기(10)의 입구(11)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210)는 결합될 용기(10)의 입구(11)와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입구(11)의 축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제1개폐부(240)는 연결부(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용기(10)의 입구(11)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개폐부(240)는 연결부(210)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용기(10)의 입구(11)의 상단부를 개폐할 수 있다. 제1개폐부(240)는 연결부(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개폐부(240))는 몸체(241) 및 커버부(242)를 가질 수 있다.
몸체(241)는 연결부(210)와 연결되어 용기(10)의 입구(1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원주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유출슬릿(243)을 가질 수 있다.
커버부(242)는 몸체(241)와 연결될 수 있으며, 용기(10)의 입구(11)를 덮을 수 있다.
용기(10)의 입구(11)의 상단부는 제1개폐부(240)가 연결부(210)와 함께 상향 이동되어 커버부(242)가 용기(10)의 입구의 상단부에서 이격되면 유출슬릿(243)에 의해 개방되고, 제1개폐부(240)가 연결부(210)와 함께 하향 이동되면 커버부(242)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개폐부(240)는 가이드부(245)를 더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245)는 커버부(242)의 중앙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에는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연결공(246)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245)는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단차 형성될 수 있다.
제2개폐부(260)는 가이드부(245)에 결합되고, 상부는 제1개폐부(240)의 상측으로 위치되고 하부는 연결부(210)의 내측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제2개폐부(260)는 용기(10)의 입구(11)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용기(10)의 입구(11)의 하단부를 개폐할 수 있다.
제2개폐부(260)는 연장바(261), 밸브(262) 및 버튼(263)을 가질 수 있다.
연장바(261)는 가이드부(245)의 연결공(246)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밸브(262)는 연장바(261)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용기(10)의 입구(11)의 하측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밸브(262)는 연장바(261)와 일체로 이동하면서 용기(10)의 입구의 하단부를 개폐할 수 있다.
버튼(263)은 연장바(261)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커버부(242)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버튼(263)에는 연장바(261)가 길이방향, 구체적으로는 하향 이동되도록 하는 외력이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액체 정량 유출용 캡은 탄성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270)는 연결공(246)에 삽입될 수 있으며, 연장바(261)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270)는 상단부가 버튼(263)을 지지하여 밸브(262)가 용기(10)의 입구(11)의 하단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버튼(263)을 탄발 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270)는 외부에서 버튼(263)으로 외력이 입력되어 연장바(261)가 하향 이동하게 되면 수축될 수 있으며, 연장바(261)가 하향 이동 시 밸브(262)도 하향 이동되면서 용기(10)의 입구(11)의 하단부는 개방되게 된다. 그러다가, 버튼(263)으로 입력되는 외력이 제거되면, 수축되었던 탄성부(270)가 초기 상태로 복원되면서 버튼(263)을 밀어 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연장바(261)는 상향 이동되고 밸브(262)도 함께 상향 이동되면서 용기(10)의 입구(11)의 하단부는 폐쇄될 수 있다.
그리고, 액체 정량 유출용 캡은 기밀부재(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밀부재(280)는 연결공(246)에 삽입될 수 있으며, 탄성부(270)의 하단부와 가이드부(245)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270)가 압축 시에 기밀부재(280)는 탄성부(270)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장바(261)가 이동 시에도 가이드부(245)의 내부와 연장바(261)의 외주면 사이를 효과적으로 기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개폐부(260)는 안내돌기(264)를 더 가질 수 있다. 안내돌기(264)는 연결공(246)에 삽입되도록 버튼(263)의 하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안내돌기(264)는 연결공(246)의 상부 내측지름에 대응되는 외측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바(261)가 이동 시에 연결공(246)에 삽입되어 연장바(261)의 직선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버튼(263)은 가이드부(245)의 상부 내측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연장바(261)가 하향 이동 시에, 버튼(263)은 커버부(242)의 상면에 걸리게 되어 연장바(261)의 하향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제2개폐부(260)는 스토퍼(265)를 가질 수 있다. 스토퍼(265)는 밸브(262)의 상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공(246)의 하부 내측지름보다 큰 외측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265)는 연장바(261)가 상향 이동 시에 상부가 가이드부(245)의 하단부에 걸릴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토퍼(265)는 연장바(261)의 상향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개폐부(240)는 유출가이드(290)를 더 가질 수 있다. 유출가이드(290)는 제1개폐부(240)에 구비되고 유출슬릿(243)과 연결되어 유출슬릿(243)으로 유출되는 물의 흐름을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용기(10)는 입구(11)와 구분되는 저장부(16)를 가질 수 있다. 저장부(16)는 물을 수용하는 메인 저장공간(17)을 가질 수 있으며, 제1지름(D1)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입구(11)는 제1지름(D1)보다 작은 제2지름(D2)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계량공간(15)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밸브(262)는 제2지름(D2)에 대응되는 외측지름을 가질 수 있다. 연결부(210)가 용기(10)의 입구(11)의 하측으로 이동하면 밸브(262)는 메인 저장공간(17)에 위치되고 용기(10)의 입구(11)의 하단부는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정량 유출용 캡의 작동예를 설명하면, 먼저, 도 6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부(210)가 입구(11)에 결합되어 하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즉, 연결부(210)가 입구(11)에 최대로 조여진 상태에서, 버튼(263)에 외력이 가해져서 밸브(262)가 하향 이동하여 메인 저장공간(17)으로 이동하면 용기(10)의 입구(11)의 하단부는 개방될 수 있다. 이때는 메인 저장공간(17)의 물이 입구(11)의 계량공간(15)으로 유입되어 채워질 수 있는 유입상태일 수 있다.
그러다가, 도 6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버튼(263)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고 밸브(262)가 상향 이동하여 용기(10)의 입구(11)의 계량공간(15)으로 이동하면 밸브(262)의 외주면이 입구(1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입구(11)의 하단부는 폐쇄될 수 있다. 이때는 계량공간(15)에 수용된 물이 메인 저장공간(17)에 수용된 물과 구획되어 저장될 수 있는 폐쇄상태일 수 있다. 폐쇄상태에서는 입구(11)의 상단부는 커버부(242)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이후, 도 6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부(210)가 더욱 상향 이동되면 커버부(242)는 입구(11)의 상단부와 이격되고, 유출슬릿(243)은 개방되어 계량공간(15)에 수용된 물은 유출슬릿(243)을 통해 유출될 수 있다. 이때는 계량공간(15)에 채워진 물이 유출슬릿(243)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상태일 수 있다. 유출상태에서도 밸브(262)는 계량공간(15)에 위치되고 밸브(262)의 외주면이 입구(1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용기(10)의 입구(11)의 하단부는 폐쇄된 상태이기 때문에, 유출슬릿(243)으로는 계량공간(15)에 수용된 물만 유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계량공간(15)의 용적은 1회 유출하고자 하는 물의 양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즉, 계량공간(15)의 용적이 결정되면, 사용자는 계량공간(15)에 물이 가득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유출시킬 물의 양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유출하고자 하는 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계량기가 없이도 원하는 양의 물을 정확하게 계량하여 유출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용기
11: 입구
15: 계량공간
110,210: 연결부
140,240: 제1개폐부
143,243: 유출슬릿
144: 제1밸브
160,260: 제2개폐부
161,261: 연장바
162,262: 제2밸브
190,290: 유출가이드
245: 가이드부
263: 버튼
264: 안내돌기
265: 스토퍼
270: 탄성부

Claims (13)

  1.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고, 상기 입구의 축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입구를 덮도록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이동하면서 상기 용기의 입구의 상단부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 그리고
    상기 연결부의 내측에서 상기 제1개폐부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의 입구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입구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용기의 입구의 하단부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를 포함하는 액체 정량 유출용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용기의 입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유출슬릿을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용기의 입구를 덮는 커버부를 가지고,
    상기 용기의 입구의 상단부는 상기 제1개폐부가 상기 연결부와 함께 상향 이동되어 상기 커버부가 상기 용기의 입구의 상단부에서 이격되면 상기 유출슬릿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제1개폐부가 상기 연결부와 함께 하향 이동되면 상기 커버부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정량 유출용 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는
    상기 커버부의 하면에 상기 용기의 입구의 내측지름에 대응되는 외측지름을 가지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용기의 입구에 밀착 시에 상기 용기의 입구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용기의 입구의 상단부를 폐쇄하는 제1밸브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정량 유출용 캡.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폐부는
    일단부는 상기 커버의 하부에 연결되고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바와,
    상기 연장바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용기의 입구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개폐부와 일체로 이동하면서 상기 용기의 입구의 하단부를 개폐하는 제2밸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정량 유출용 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제1지름으로 형성되고 액체를 수용하는 메인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저장부를 가지고, 상기 입구는 상기 제1지름보다 작은 제2지름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계량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2밸브는 상기 제2지름에 대응되는 외측지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정량 유출용 캡.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는 상기 커버부의 중앙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측에는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연결공을 가지는 가이드부를 더 가지고,
    상기 제2개폐부는
    상기 연결공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연장바와,
    상기 연장바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용기의 입구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연장바와 일체로 이동하면서 상기 용기의 입구의 하단부를 개폐하는 밸브와,
    상기 연장바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연장바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외력이 입력되는 버튼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정량 유출용 캡.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단차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연장바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단부가 상기 버튼을 지지하여 상기 밸브가 상기 용기의 입구의 하단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버튼을 탄발 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정량 유출용 캡.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의 하단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에 의해 하측으로 탄발 지지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와 상기 연장바의 외주면 사이를 기밀하는 기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정량 유출용 캡.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폐부는
    상기 연결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버튼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의 상부 내측지름에 대응되는 외측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장바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돌기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정량 유출용 캡.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 내측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장바의 하향 이동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정량 유출용 캡.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폐부는 상기 밸브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의 하부 내측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장바의 상향 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정량 유출용 캡.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제1지름으로 형성되고 액체를 수용하는 메인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저장부를 가지고, 상기 입구는 상기 제1지름보다 작은 제2지름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계량공간을 가지며,
    상기 밸브는 상기 제2지름에 대응되는 외측지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정량 유출용 캡.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는
    상기 유출슬릿과 연결되고 상기 유출슬릿으로 유출되는 액체의 흐름을 안내하는 유출가이드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정량 유출용 캡.
KR1020190063963A 2019-05-30 2019-05-30 액체 정량 유출용 캡 KR102261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963A KR102261479B1 (ko) 2019-05-30 2019-05-30 액체 정량 유출용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963A KR102261479B1 (ko) 2019-05-30 2019-05-30 액체 정량 유출용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495A true KR20200137495A (ko) 2020-12-09
KR102261479B1 KR102261479B1 (ko) 2021-06-07

Family

ID=73787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963A KR102261479B1 (ko) 2019-05-30 2019-05-30 액체 정량 유출용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4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185A (ko) 2002-12-16 2003-02-20 이정민 액체정량 배출용기
JP2003128109A (ja) * 2001-10-22 2003-05-08 Kitano Seisaku Kk 定量注出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8109A (ja) * 2001-10-22 2003-05-08 Kitano Seisaku Kk 定量注出容器
KR20030015185A (ko) 2002-12-16 2003-02-20 이정민 액체정량 배출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1479B1 (ko)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91153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dispensing fluid
US9579262B2 (en) Cap and bottle
KR20090086913A (ko) 분말용 계량식 적량 분배기 클로져
US20090302063A1 (en) Dosing Device for a Fluid
JP6496655B2 (ja) 計量注出塗布容器
JP4176983B2 (ja) 定量注出容器
JP2007176589A (ja) 液体計量キャップ
KR102204433B1 (ko) 액체 정량 유출용 캡
KR102261479B1 (ko) 액체 정량 유출용 캡
KR102187341B1 (ko) 액체 정량 유출용 캡
US890018A (en) Dose-stopper.
KR101989618B1 (ko) 정확하게 정량된 계량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인출하는 정량용기
JP6679168B2 (ja) 定量注出容器
KR102114214B1 (ko) 액체 정량 유출용 캡
JP2006036319A (ja) 定量注出器
KR101151356B1 (ko) 정량 캡
JPH0344678Y2 (ko)
CN108414044B (zh) 计量分配器及其使用方法
JPH0245164Y2 (ko)
JPH0348048Y2 (ko)
JP7225651B2 (ja) ノズル付きキャップ
JP2005212851A (ja) 定量塗布容器
JPS6020595Y2 (ja) 計量キャップ
JP6295174B2 (ja) 計量注出器
JP7477445B2 (ja) 回転式計量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