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7367A - 볼베어링용 케이지 - Google Patents

볼베어링용 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7367A
KR20200137367A KR1020190063604A KR20190063604A KR20200137367A KR 20200137367 A KR20200137367 A KR 20200137367A KR 1020190063604 A KR1020190063604 A KR 1020190063604A KR 20190063604 A KR20190063604 A KR 20190063604A KR 20200137367 A KR20200137367 A KR 20200137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groove
coupling
cage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국
Original Assignee
셰플러코리아 유한책임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셰플러코리아 유한책임회사 filed Critical 셰플러코리아 유한책임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3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7367A/ko
Publication of KR20200137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3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8Ball cages
    • F16C33/3837Massive or moulded cages having cage pockets surrounding the balls, e.g. machined window cages
    • F16C33/3862Massive or moulded cages having cage pockets surrounding the balls, e.g. machined window cages comprising two annular parts joined tog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0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 F16C19/0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with a single row or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8Ball cages
    • F16C33/3887Details of individual pockets, e.g. shape or ball ret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된 오목한 포켓부(111)가 형성되고 이웃하는 포켓부(111) 사이에 결합부(113)가 구비되는 환상체인 2개의 케이지부재(110)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켓부(111)가 서로 마주하여 볼(RE)이 삽입되는 포켓이 형성되며; 상기 2개의 케이지부재(110)는 일측 케이지부재(110)의 결합돌기(115)가 타측 케이지부재(110)의 결합홈부(117)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결합돌기(115)는 타측 케이지부재(110)를 향하여 돌출되어 타측 케이지부재(110)에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홈부(117)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결합홈부(117)는 일측 케이지부재(110)를 향하여 내향 개구되고 적어도 반경 방향 일측으로 개구된 볼베어링용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볼베어링용 케이지{A Cage For Ball Bearing}
본 발명은 볼베어링용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결합되는 2개의 케이지부재로 이루어져 작동시 원심력에 의한 변형 저항이 크며, 결합이 용이하고 결합 과정에서 발생하는 케이지부재의 파손이나 영구 변형이 방지되며 케이지 부재간의 결합력이 증가하는 볼베어링용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고속회전용 볼베어링에 조립되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케이지는, 일본 공개번호 제2003-343571호에 공지되어 있다. 볼 베어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경면에 내륜궤도가 형성된 환상체인 내륜(1)과, 상기 내륜(1)보다 큰 지름을 가지며 내경면에 상기 내륜궤도로부터 반경 방향 이격된 외륜궤도가 형성된 환상체인 외륜(2)과, 상기 내륜궤도와 외륜궤도 사이에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전동체인 볼(3)과, 내륜(1)과 외륜(3)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볼(3)의 원주 방향이 유지되도록 하는 케이지(4)로 이루어진다. 도 1에서 도면부호 5는 내륜(1)과 외륜(3) 사이의 개구부에 구비되어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고 내부에 수용된 윤활제의 누설을 방지하는 환상체인 씰링부재(1)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케이지(4)는 축 방향으로 향하여 결합되는 2개의 환상체인 케이지부재(6a, 6b)로 이루어지며, 각 케이지부재(6a, 6b)의 대향면에는 볼(3)을 수용하는 반구형 포켓(7)이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인접한 포켓(7) 사이에는 축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8)와, 그 결합돌기(8)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공(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8)는 원주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11)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부(11)의 하부로 언더컷부(14)가 형성된다. 2개의 케이지부재(6a, 6b)는 일측 케이지부재의 결합돌기(8)가 타측 케이지부재의 결합공(9)에 삽입되어 걸림부(11)가 결합공(9)에 형성된 턱부에 걸리어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케이지(4)는 걸림부(11)가 결합공(9)에 삽입되어 결합공(9)에 형성된 턱부에 걸리는 과정에서 결합공(9)이나 결합돌기(8)가 변형되어야 하나, 결합공(9)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합 과정에서 결합공(9)의 변형이 용이하지 않고, 결합돌기(8)의 걸림부(11)가 언더컷부(14)의 전 접촉부에 걸쳐 결합공(9)에서 가압되므로 결합을 위하여 큰 외력이 필요하고, 따라서 결합이 어려우며 결합과정에서 결합공(9)이나 결합돌기(8)에 영구 변형이 발생할 염려가 있었다. 또한 각각의 케이지 부재(6a.6b)의 결합돌기(8)의 걸림부(11)가 같은 방향 일측으로 형성되어 케이지 부재(6a, 6b)간의 결합력이 감소하였다.
일본 공개번호 제2006-226430호 공개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결합이 용이하고, 결합에 작은 외력이 소요되며, 결합과정에서 영구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며 케이지 부재간의 결합력이 증가하는 볼베어링용 케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된 오목한 포켓부(111)가 형성되고 이웃하는 포켓부(111) 사이에 결합부(113)가 구비되는 환상체인 2개의 케이지부재(110)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켓부(111)가 서로 마주하여 볼(RE)이 삽입되는 포켓이 형성되며 상기 2개의 케이지부재(110)는 일측 케이지부재(110)의 결합돌기(115)가 타측 케이지부재(110)의 결합홈부(117)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결합돌기(115)는 타측 케이지부재(110)를 향하여 돌출되어 타측 케이지부재(110)에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홈부(117)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결합홈부(117)는 일측 케이지부재(110)를 향하여 내향 개구되고 적어도 반경 방향 일측으로 개구된 볼베어링용 케이지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결합돌기(115)의 축방향 단부에는 포켓부(111)을 향하며 타측 케이지부재(110)를 향하도록 경사져 원주방향 일측으로 돌출하는 제 1 돌기경사면(1151)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돌기경사면(1151)의 외측에 외향하는 제 1 돌기걸림턱면(1152)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돌기걸림턱면(1152)의 외측에 축방향으로 내향하는 제 1 돌기폭면(1153)이 형성되며, 결합돌기(115)의 제 1 돌기폭면(1153)의 원주방향 타측에서 상기 결합돌기(115)의 축방향 단부에 포켓부(111)를 향하여 타측 케이지부재(110)를 향하도록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축방향 돌기폭면(1154)이 형성되며 축방향 폭면(1154)의 축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포켓부(111)을 향하여 타측 케이지 부재(110)를 향하도록 경사져 제 1 돌기경사면(1151)의 원주방향 타측으로 돌출하는 제 2 돌기경사면(1155)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돌기경사면(1155)의 외측에 외향하는 제 2 돌기걸림턱면(1156)이 형성되고, 상기 제 2돌기 걸림턱면(1156)의 외측에 축방향으로 내향 연장된 제 2 돌기폭면(1157)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부(117)의 내향 개구된 원주방향 일측 단부에는 내향 경사진 제1 홈경사면(117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홈경사면(1171)의 외측으로 외향하는 제1 홈걸림턱면(1172)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홈걸림턱면(1172)의 외측의 원주방향 일측에 축향으로 내향 연장된 제1 홈폭면(1173)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부(117)의 내향 개구된 상기 제1 홈경사면(1171)의 원주방향 타측에는 제2 홈경사면(1174)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홈경사면(1174)의 외측으로 외향하는 제2 홈걸림턱면(1175)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홈걸림턱면(1175)의 외측의 원주방향 일측에 축방향으로 내향연장된 제2 홈폭면(1176)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115)는 제1 돌기경사면(1151)이 제 1 홈경사면(1171)을 지나 삽입되어 제1 돌기걸림턱면(1152)이 제1 홈걸림턱면(1172)에 걸리고 상기 제1돌기폭면(1153)은 제1 홈폭면(1173)과 마주하고, 제2 돌기경사면(1155)이 제 2 홈경사면(1174)을 지나 삽입되어 제2 돌기걸림턱면(1156)이 제 2 홈걸림턱면(1175)에 걸리고 상기 제2 돌기 폭면(1157)은 제2 홈폭면(1176)과 마주하며 결합홈부(117)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축방향 돌기폭면(1154)와 제2 돌기폭면(1157)의 축방향 길이는 제1 돌기 폭면(1153)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2 홈경사면(1174)의 축방향 길이는 제1 홈경사면(1171)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2 홈폭면(1176)의 축방향 길이는 제1 홈폭면(1173)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볼베어링용 케이지는 결합이 용이하고, 결합 과정에서 결합에 필요한 외력이 분산되므로 작은 외력으로 결합이 가능하며, 결합 과정에서 파손이나 영구 변형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며 케이지 부재간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볼베어링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볼베어링용 케이지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볼베어링용 케이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볼베어링용 케이지를 볼과 함께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볼베어링용 케이지를 이루는 케이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결합돌기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도 5의 결합홈부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도 5의 A부를 확대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본 발명에 따르는 볼베어링용 케이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볼베어링용 케이지를 볼과 함께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볼베어링용 케이지를 이루는 케이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결합돌기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도 5의 결합홈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도5의 A부를 확대도시한 것이다. 2개의 케이지부재는 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결합되며, 이하의 설명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케이지부재가 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방향을 내측 또는 내향으로, 반대 방향을 외측 또는 외향으로 하여 기재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볼베어링용 케이지를 이루는 케이지부재(110)는 폴리아미드(PA; PA6, PA66)와 같은 합성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볼베어링용 케이지는 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결합되는 환상체인 2개의 케이지부재(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부재(110)에는 마주하는 방향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오목한 포켓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포켓부(111) 사이에는 양측에 포켓부(111)에 연결된 결합부(113)가 구비된다. 2개의 케이지부재(110)가 결합되어 서로 마주하는 포켓부(111)는 볼(RE)이 삽입되는 포켓으로 형성된다.
2개의 케이지부재(110)는 일측 케이지부재(110)의 결합돌기(115)가 타측 케이지부재(110)의 결합홈부(117)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케이지부재(110)에 결합돌기(115)와 결합홈부(117)가 조를 이루어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조 구비되고, 타측 케이지부재(110)에도 결합돌기(115)와 결합홈부(117)가 조를 이루어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조 구비되어, 일측 케이지부재(110)의 결합돌기(115)가 타측 케이지부재(110)의 결합홈부(117)에 삽입되고, 타측 케이지부재(110)의 결합돌기(115)가 일측 케이지부재(110)의 결합홈부(117)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일측 케이지부재(110)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의 결합돌기(115)가 구비되고, 타측 케이지부재(110)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의 결합홈부(117)가 구비되어, 일측 케이지부재(110)의 결합돌기(115)가 타측 케이지부재(110)의 결합홈부(117)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일측 케이지부재(110)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의 결합돌기(115)와 결합홈부(117)가 교대로 구비되고, 타측 케이지부재(110)에도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의 결합돌기(117)와 결합홈부(117)가 교대로 구비되어, 결합홈부에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돌기(115)와 결합홈부(117)는 포켓부(111)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결합돌기(115)는 마주하는 케이지부재(110)를 향하여 내향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결합홈부(117)는 마주하는 케이지부재(110)에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부(117)는 적어도 반경 방향 일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도 5, 도 7 및 도 8에는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 내향하여 개구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결합홈부(117)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반경 방향 내측 및 외측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도 6 및 도 7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 내향 개구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결합돌기(115)의 축방향 단부의 일측에는 포켓부(111)을 향하며 타측 케이지부재(110)를 향하도록 경사져 원주방향 일측으로 돌출하는 제 1 돌기경사면(1151)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돌기경사면(1151)의 외측에 외향하는 제 1 돌기걸림턱면(1152)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돌기걸림턱면(1152)의 외측에 축방향으로 내향하는 제 1 돌기폭면(1153)이 구비된다.
결합돌기(115)의 제 1 돌기폭면(1153)의 원주방향 타측에서 상기 결합돌기(115)의 축방향 단부에 포켓부(111)를 향하여 타측 케이지부재(110)를 향하도록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축방향 돌기폭면(1154)이 형성되며 축방향 폭면(1154)의 축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포켓부(111)을 향하여 타측 케이지 부재(110)를 향하도록 경사져 제 1 돌기경사면(1151)의 원주방향 타측으로 돌출하는 제 2 돌기경사면(1155)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돌기경사면(1155)의 외측에 외향하는 제 2 돌기걸림턱면(1156)이 형성되고, 상기 제 2돌기 걸림턱면(1156)의 외측에 축방향으로 내향 연장된 제 2 돌기폭면(1157)이 구비된다.
상기 제1 돌기걸림턱면(1152)과 제2 돌기걸림턱면(1156)은 포켓부(111) 사이에 구비되는 결합부(113)의 내면이 결합면(113a)과 마주하게 된다. 상기 제1 돌기폭면(1152)은 제1 돌기걸림턱면(1152)과 결합면(113a) 사이에 연결되어 각각 이웃하는 포켓부(111)를 향하며 상기 제2 돌기폭면(1157)은 제 2 돌기걸림턱면(1156)과 결합면(113a) 사이에 연결되어 각각 이웃하는 포켓부(111)를 향한다.
상기 결합홈부(117)의 내향 개구된 원주방향 일측단부에는 내향 경사진 제1 홈경사면(1171)이 형성되고, 상기 홈경사면(1171)의 외측으로 외향하는 제1 홈걸림턱면(1172)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홈걸림턱면(1172)의 외측의 원주방향 일측에 축방향으로 내향 연장된 제1 홈폭면(1173)이 구비된다. 상기 제1 홈경사면(1171)의 원주방향 타측에는 제2 홈경사면(1174)이형성되고, 상기 제2 홈경사면(1174)의 외측으로 외향하는 제2 홈걸림턱면(1175)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홈걸림턱면(1175)의 외측의 원주방향 일측에 축방향으로 내향연장된 제2 홈폭면(1176)이 구비된다. 제1 홈걸림턱면(1172)와 제2 홈걸림턱면(1175)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 홈걸림턱면(1173)과 제2 홈걸림턱면(1175)과 마주하며 양단이 제1 홈폭면(1173)과 제2 홈폭면(1176)에 연결된 홈바닥면(117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결합홈부(1177)는 홈바닥면(1177)을 구비하지 않고 축 방향으로 관통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 양측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홈바닥면(1177)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돌기(115)는 제1 돌기경사면(1151)이 제 1 홈경사면(1171)을 지나 삽입되어 제1 돌기걸림턱면(1152)이 제1 홈걸림턱면(1172)에 걸리고 상기 제1돌기폭면(1153)은 제1 홈폭면(1173)과 마주하고, 제2 돌기경사면(1155)이 제 2 홈경사면(1174)을 지나 삽입되어 제2 돌기걸림턱면(1156)이 제 2 홈걸림턱면(1175)에 걸리고 상기 제2 돌기 폭면(1157)은 제2 홈폭면(1176)과 마주하며 결합홈부(117)에 결합된다.
결합돌기(115)는 결합홈부(117)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결합돌기(115)의 제1 돌기경사면(1151)이 제1 홈경사면(1171)을 가압하여 제1 홈경사면(1171)에는 폭방향으로 외력이 발생함으로써 제1 홈경사면(1171)이 폭방향으로 벌어지고 제2 돌기경사면(1155)이 제2 홈경사면(1174)을 가압하여 제2 홈경사면(1174)에는 폭방향으로 외측으로 외력이 발생함으로써 제2 홈경사면(1174)가 폭방향으로 벌어지면서 결합돌기(115)가 삽입된다. 제2 돌기경사면(1155)이 제1 홈경사면(1171)과 제2 홈경사면(1174)을 가압하며, 제1 홈경사면(1171)과 제2 홈경사면(1174)에는 폭 방향으로외측으로 외력이 발생하여 제1 홈경사면(1171)과 제 2 홈경사면(1174)가 폭방향으로 벌어지면서 결합돌기(115)가 삽입된다.
본 발명에서는 결합돌기(115)와 결합홈부(117)에 서로 다른 원주방향으로 2개의 제1 돌기걸림턱면(1152)과 제2 돌기걸림턱면(1156)을 형성된다. 상기 제1 돌기걸림턱면(1152)와 제2 돌기걸림턱면(1156)은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돌기(115)와 결합홈부(117)의 결합시 제1 돌기걸림턱면(1152)에서 발생하는 반력이 제2 돌기걸림턱면(1156)으로 분산되어 작은 외력으로 결합홈부(117)의 변형이 용이하므로 작은 외력으로 결합돌기(115)의 삽입이 가능하다. 그리고 결합되는 과정에서 결합돌기(115)나 결합홈부(117)에 발생하는 영구 변형 등의 손상 발생이 억제되며 케이지부재 간의 결합력이 증가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방향 돌기폭면(1154)와 제2 돌기폭면(1157)의 축방향 길이는 제1 돌기 폭면(1153)보다 작아 축방향 돌기폭면(1154)와 제2 돌기폭면(1157)사이에 제2 돌기경사면(1155)과 제2 돌기걸림턱면(1156)이 형성됨으로써 결합돌기(115)와 결합홈부(117)의 결합시 제1 돌기걸림턱면(1152)에서 발생하는 반력이 제2 돌기걸림턱면(1156)으로 분산되며 원주방향 양측에 제1 돌기걸림턱면(1152)와 제2 돌기걸림턱면(1156)이형성됨으로써 결합돌기(115)와 결함홈(117)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2 홈폭면(1176)의 축방향 길이가 제1 홈폭면(1173)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2 홈경사면(1174)의 축방향 길이가 제1 홈경사면(1171)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결합돌기(115)와 결합홈부(117)의 결합시 제2 돌기경사면(1155)이 지나는 제2 홈경사면(1174)의 면적이 감소하여 제2 돌기경사면(1155)과 제2 홈경사면(1174)사이의 마찰이 감소함으로써 작은 외력으로 조립이 가능하고, 결합돌기(115)나 결합홈부(117)의 손상이나 영구변형 발생 가능성이 감소하게 된다.
110: 케이지부재 111: 포켓부
113: 결합부 115: 결합돌기
117: 결합홈부

Claims (5)

  1.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된 오목한 포켓부(111)가 형성되고 이웃하는 포켓부(111) 사이에 결합부(113)가 구비되는 환상체인 2개의 케이지부재(110)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켓부(111)가 서로 마주하여 볼(RE)이 삽입되는 포켓이 형성되며;
    상기 2개의 케이지부재(110)는 일측 케이지부재(110)의 결합돌기(115)가 타측 케이지부재(110)의 결합홈부(117)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결합돌기(115)는 타측 케이지부재(110)를 향하여 돌출되어 타측 케이지부재(110)에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홈부(117)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결합홈부(117)는 일측 케이지부재(110)를 향하여 내향 개구되고 적어도 반경 방향 일측으로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베어링용 케이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115)의 축방향 단부에는 포켓부(111)을 향하며 타측 케이지부재(110)를 향하도록 경사져 원주방향 일측으로 돌출하는 제1 돌기경사면(1151)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돌기경사면(1151)의 외측에 외향하는 제1 돌기걸림턱면(1152)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돌기걸림턱면(1152)의 외측에 축방향으로 내향하는 제 1 돌기폭면(1153)이 형성되며;
    결합돌기(115)의 제 1 돌기폭면(1153)의 원주방향 타측에서 상기 결합돌기(115)의 축방향 단부에 포켓부(111)를 향하여 타측 케이지부재(110)를 향하도록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축방향 돌기폭면(1154)이 형성되며 축방향 폭면(1154)의 축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포켓부(111)을 향하여 타측 케이지 부재(110)를 향하도록 경사져 제 1 돌기경사면(1151)의 원주방향 타측으로 돌출하는 제 2 돌기경사면(1155)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돌기경사면(1155)의 외측에 외향하는 제 2 돌기걸림턱면(1156)이 형성되고, 상기 제 2돌기 걸림턱면(1156)의 외측에 축방향으로 내향 연장된 제 2 돌기폭면(1157)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부(117)의 내향 개구된 단부에는 내향 경사진 제1 홈경사면(117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홈경사면(1171)의 외측으로 외향하는 제1 홈걸림턱면(1172)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홈걸림턱면(1172)의 외측의 원주방향 일측에 축향으로 내향 연장된 제1 홈폭면(1173)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부(117)의 내향 개구된 상기 제1 홈경사면(1171)의 원주방향 타측에는 제2 홈경사면(1174)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홈경사면(1174)의 외측으로 외향하는 제2 홈걸림턱면(1175)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홈걸림턱면(1175)의 외측의 원주방향 일측에 축방향으로 내향연장된 제2 홈폭면(1176)이 형성되며;상기 결합돌기(115)는 제1 돌기경사면(1151)이 제 1 홈경사면(1171)을 지나 삽입되어 제1 돌기걸림턱면(1152)이 제1 홈걸림턱면(1172)에 걸리고 상기 제1돌기폭면(1153)은 제1 홈폭면(1173)과 마주하고
    제2 돌기경사면(1155)이 제 2 홈경사면(1174)을 지나 삽입되어 제2 돌기걸림턱면(1156)이 제 2 홈걸림턱면(1175)에 걸리고 상기 제2 돌기 폭면(1157)은 제2 홈폭면(1176)과 마주하며 결합홈부(117)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베어링용 케이지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돌기폭면(1154)와 제2 돌기폭면(1157)의 축방향 길이는 제1 돌기 폭면(1153)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베어링용 케이지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경사면(1174)의 축방향 길이는 제1 홈경사면(1171)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베어링용 케이지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폭면(1176)의 축방향 길이는 제1 홈폭면(1173)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베어링용 케이지
    .









KR1020190063604A 2019-05-30 2019-05-30 볼베어링용 케이지 KR202001373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604A KR20200137367A (ko) 2019-05-30 2019-05-30 볼베어링용 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604A KR20200137367A (ko) 2019-05-30 2019-05-30 볼베어링용 케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367A true KR20200137367A (ko) 2020-12-09

Family

ID=73786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604A KR20200137367A (ko) 2019-05-30 2019-05-30 볼베어링용 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736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6430A (ja) 2005-02-18 2006-08-31 Ntn Corp 玉軸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6430A (ja) 2005-02-18 2006-08-31 Ntn Corp 玉軸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4192B2 (en) Cage for ball bearing
JP2014500466A (ja) ボールベアリングのためのボールを保持したケージならびに深溝型ボールベアリング
US20180010637A1 (en) Rolling bearing
US9638254B2 (en) Rolling bearing
WO2021251027A1 (ja) フォロア軸受
KR20200137367A (ko) 볼베어링용 케이지
KR20010042054A (ko) 볼 베어링용 케이지와, 이러한 케이지를 구비하는 볼 베어링
KR102008139B1 (ko) 볼베어링용 케이지
JP2012067827A (ja) 玉軸受
JP2019158082A (ja) 円すいころ軸受
JP7485948B2 (ja) 自動調心ころ軸受用保持器
KR102064502B1 (ko) 볼 베어링용 케이지
KR101090208B1 (ko) 시일을 구비하는 구름베어링
KR101393101B1 (ko) 볼 스플라인
CN106468306B (zh) 轴承
KR20200093753A (ko) 볼 베어링용 케이지
KR20210051596A (ko)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
KR20180120905A (ko)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볼 베어링 및 그 조립 방법
KR102029662B1 (ko) 레이디얼 볼 베어링용 케이지
JP2009236223A (ja) 転がり軸受
KR101889296B1 (ko) 구름 베어링용 버클형 케이지
US10753390B2 (en) Self-aligning roller bearing
KR20200013847A (ko) 씰링 안정성이 향상된 볼 베어링
KR20220087194A (ko) 볼 베어링용 케이지
KR20190102670A (ko) 케이지 변형이 억제되는 구름 베어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