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139B1 - 볼베어링용 케이지 - Google Patents

볼베어링용 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139B1
KR102008139B1 KR1020180047289A KR20180047289A KR102008139B1 KR 102008139 B1 KR102008139 B1 KR 102008139B1 KR 1020180047289 A KR1020180047289 A KR 1020180047289A KR 20180047289 A KR20180047289 A KR 20180047289A KR 102008139 B1 KR102008139 B1 KR 102008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oupling
projection
cage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국
Original Assignee
셰플러코리아(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셰플러코리아(유) filed Critical 셰플러코리아(유)
Priority to KR1020180047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8Ball cages
    • F16C33/3837Massive or moulded cages having cage pockets surrounding the balls, e.g. machined window cages
    • F16C33/3862Massive or moulded cages having cage pockets surrounding the balls, e.g. machined window cages comprising two annular parts joined tog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2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된 오목한 포켓부(111)가 형성되고 이웃하는 포켓부(111) 사이에 결합부(113)가 구비되는 환상체인 2개의 케이지부재(110)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켓부(111)가 서로 마주하여 볼(RE)이 삽입되는 포켓이 형성되며; 상기 2개의 케이지부재(110)는 일측 케이지부재(110)의 결합돌기(115)가 타측 케이지부재(110)의 결합홈부(117)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결합돌기(115)는 타측 케이지부재(110)를 향하여 돌출되어 타측 케이지부재(110)에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홈부(117)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결합홈부(117)는 일측 케이지부재(110)를 향하여 내향 개구되고 적어도 반경 방향 일측으로 개구된 볼베어링용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볼베어링용 케이지{A Cage For Ball Bearing}
본 발명은 볼베어링용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결합되는 2개의 케이지부재로 이루어져 작동시 원심력에 의한 변형 저항이 크며, 결합이 용이하고 결합 과정에서 발생하는 케이지부재의 파손이나 영구 변형이 방지되는 볼베어링용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고속회전용 볼베어링에 조립되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케이지는, 일본 공개번호 제2003-343571호에 공지되어 있다. 볼 베어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경면에 내륜궤도가 형성된 환상체인 내륜(1)과, 상기 내륜(1)보다 큰 지름을 가지며 내경면에 상기 내륜궤도로부터 반경 방향 이격된 외륜궤도가 형성된 환상체인 외륜(2)과, 상기 내륜궤도와 외륜궤도 사이에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전동체인 볼(3)과, 내륜(1)과 외륜(3)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볼(3)의 원주 방향이 유지되도록 하는 케이지(4)로 이루어진다. 도 1에서 도면부호 5는 내륜(1)과 외륜(3) 사이의 개구부에 구비되어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고 내부에 수용된 윤활제의 누설을 방지하는 환상체인 씰링부재(1)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케이지(4)는 축 방향으로 향하여 결합되는 2개의 환상체인 케이지부재(6a, 6b)로 이루어지며, 각 케이지부재(6a, 6b)의 대향면에는 볼(3)을 수용하는 반구형 포켓(7)이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인접한 포켓(7) 사이에는 축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8)와, 그 결합돌기(8)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공(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8)는 원주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11)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부(11)의 하부로 언더컷부(14)가 형성된다. 2개의 케이지부재(6a, 6b)는 일측 케이지부재의 결합돌기(8)가 타측 케이지부재의 결합공(9)에 삽입되어 걸림부(11)가 결림공에 형성된 턱부에 걸리어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케이지(4)는 걸림부(11)가 결합공(9)에 삽입되어 결합공(9)에 형성된 턱부에 걸리는 과정에서 결합공(9)이나 결합돌기(8)가 변형되어야 하나, 결합공(9)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합 과정에서 결합공(9)의 변형이 용이하지 않고, 결합돌기(8)의 걸림부(11)가 전 접촉부에 걸쳐 결합공(9)에서 가압되므로 결합을 위하여 큰 외력이 필요하고, 따라서 결합이 어려우며 결합과정에서 결합공(9)이나 결합돌기(8)에 영구 변형이 발생할 염려가 있었다.
일본 공개번호 제2006-226430호 공개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결합이 용이하고, 결합에 작은 외력이 소요되며, 결합과정에서 영구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는 볼베어링용 케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된 오목한 포켓부가 형성되고 이웃하는 포켓부 사이에 결합부가 구비되는 환상체인 2개의 케이지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켓부가 서로 마주하여 볼이 삽입되는 포켓이 형성되며; 상기 2개의 케이지부재는 일측 케이지부재의 결합돌기가 타측 케이지부재의 결합홈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결합돌기는 타측 케이지부재를 향하여 돌출되어 타측 케이지부재에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홈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결합홈부는 일측 케이지부재를 향하여 내향 개구되고 적어도 반경 방향 일측으로 개구된 볼베어링용 케이지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결합돌기의 단부의 양측에는 포켓을 향하며 타측 케이지부재를 향하도록 경사져 단부로 갈수록 서로의 폭 방향 거리가 가까워지는 돌기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경사면의 외측에 외향하는 돌기걸림턱면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걸림턱면의 외측에 서로 배향하는 돌기폭면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부의 내향 개구된 단부에는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며 내향 경사진 홈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홈경사면의 외측으로 외향하는 홈걸림턱면이 형성되며, 상기 홈걸림턱면의 외측에 서로 마주하는 홈폭면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는 돌기경사면이 홈경사면을 지나 삽입되어 돌기걸림턱면이 홈걸림턱면에 걸리고 상기 돌기폭면은 홈폭면과 마주하여 결합홈부에 결합되며; 상기 돌기걸림턱면과 홈걸림턱면의 중첩량은 결합홈부가 반경 방향으로 개구된 쪽에서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결합홈부가 반경 방향 양측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돌기걸림턱면과 홈걸림턱면의 중첩량은 반경 방향 일측 또는 양측으로 갈수록 증가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돌기경사면의 외측 단부인 돌기경사단부 사이의 거리는 길이 방향으로 결합홈부가 반경 방향으로 개구된 단부 쪽에서 큰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돌기걸림턱면의 폭은 결합홈부의 반경 방향으로 개구된 단부 쪽에서 크며, 결합돌기가 결합홈부에 결합될 때 돌기걸림턱면과 홈걸림턱면의 중첩량은 결합홈부가 반경 방향으로 개구된 쪽에서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돌기걸림턱면에 대한 돌기경사면의 경사각(θ3)은 결합홈부의 반경 방향 개구부 쪽에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홈경사면의 외측 단부인 홈경사단부 사이의 폭 방향 거리는 결합홈부가 반경 방향으로 개구된 단부로 쪽에서 작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홈걸림턱면의 폭은 결합홈부가 반경 방향 개구된 단부 쪽에서 크며, 결합돌기가 결합홈부에 결합될 때 돌기걸림턱면과 홈걸림턱면의 중첩량은 결합홈부의 반경 방향으로 개구된 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홈걸림턱면에 대한 홈경사면의 경사각(θ3)은 결합홈부의 반경 방향 개구부 쪽에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결합돌기와 결합홈부는 결합부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지부재의 결합부에는 결합돌기와 결합홈부가 나란하게 구비되며; 일측 케이지부재의 결합돌기가 타측 케이지부재의 결합홈부에 삽입되고, 타측 케이지부재의 결합돌기가 일측 케이지부재의 결합홈부에 삽입되어, 2개의 케이지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볼베어링용 케이지는 결합이 용이하고, 결합 과정에서 결합에 필요한 외력이 분산되므로 작은 외력으로 결합이 가능하며, 결합 과정에서 파손이나 영구 변형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볼베어링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볼베어링용 케이지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볼베어링용 케이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볼베어링용 케이지를 볼과 함께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볼베어링용 케이지를 이루는 케이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도 5의 B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케이지부재에 구비된 결합돌기와 결합홈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케이지부재에 구비된 결합돌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 10은 결합돌기와 결합홈부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 11은 결합돌기와 결합홈부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12는 케이지부재에 구비된 결합돌기와 결합홈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결합홈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 14는 결합돌기와 결합홈부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본 발명에 따르는 볼베어링용 케이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볼베어링용 케이지를 볼과 함께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볼베어링용 케이지를 이루는 케이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도 5의 B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케이지부재에 구비된 결합돌기와 결합홈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케이지부재에 구비된 결합돌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 10은 결합돌기와 결합홈부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 11은 결합돌기와 결합홈부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12는 케이지부재에 구비된 결합돌기와 결합홈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결합홈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 14는 결합돌기와 결합홈부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2개의 케이지부재는 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결합되며, 이하의 설명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케이지부재가 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방향을 내측 또는 내향으로, 반대 방향을 외측 또는 외향으로 하여 기재한다.
그리고 결합돌기(115)와 결합홈부(117)의 설명에서 도 8의 가로 방향을 폭 방향으로 세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볼베어링용 케이지를 이루는 케이지부재(110)는 폴리아미드(PA; PA6, PA66, PA46) 또는 PEAK와 같은 합성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재질의 예시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볼베어링용 케이지는 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결합되는 환상체인 2개의 케이지부재(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부재(110)에는 마주하는 방향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오목한 포켓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포켓부(111) 사이에는 양측에 포켓부(111)에 연결된 결합부(111)가 구비된다. 2개의 케이지부재(110)가 결합되어 서로 마주하는 포켓부(111)는 볼(RE)이 삽입되는 포켓으로 형성된다.
2개의 케이지부재(110)는 일측 케이지부재(110)의 결합돌기(115)가 타측 케이지부재(110)의 결합홈부(117)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케이지부재(110)에 결합돌기(115)와 결합홈부(117)가 조를 이루어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조 구비되고, 타측 케이지부재(110)에도 결합돌기(115)와 결합홈부(117)가 조를 이루어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조 구비되어, 일측 케이지부재(110)의 결합돌기(115)가 타측 케이지부재(110)의 결합홈부(117)에 삽입되고, 타측 케이지부재(110)의 결합돌기(115)가 일측 케이지부재(110)의 결합홈부(117)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일측 케이지부재(110)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의 결합돌기(115)가 구비되고, 타측 케이지부재(110)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의 결합홈부(117)가 구비되어, 일측 케이지부재(110)의 결합돌기(115)가 타측 케이지부재(110)의 결합홈부(117)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일측 케이지부재(110)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의 결합돌기(115)와 결합홈부(117)가 교대로 구비되고, 타측 케이지부재(110)에도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의 결합돌기(117)와 결합홈부(117)가 교대로 구비되어, 결합홈부에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돌기(115)와 결합홈부(117)는 포켓부(111)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결합돌기(115)는 마주하는 케이지부재(110)를 향하여 내향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결합홈부(117)는 마주하는 케이지부재(110)에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부(117)는 적어도 반경 방향 일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도 5, 도 6, 도 7, 도 8 및 도 11에는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 내향하여 개구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결합홈부(117)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반경 방향 내측 및 외측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도 6, 도 7,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 내향 개구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결합돌기(115)의 단부의 양측에는 포켓부(111)을 향하며 마주하는 케이지부재(110)를 향하도록 경사져 단부로 갈수록 서로의 폭 방향 거리가 가까워지는 돌기경사면(1151)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경사면(1151)의 외측에 외향하는 돌기걸림턱면(1153)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걸림턱면(1153)의 외측에 서로 배향하는 돌기폭면(1153)이 구비된다.
상기 돌기걸림턱면(1153)은 포켓부(111) 사이에 구비되는 결합부(113)의 내면이 결합면(113a)과 마주하게 된다. 상기 돌기폭면(1153)은 양단이 돌기걸림턱면(1153)과 결합면(113a) 사이에 연결되어 각각 이웃하는 포켓부(111)를 향한다. 배향하는 돌기폭면(1153)은 평행하게 구비될 수도 있고, 반경 내향 쪽에서 돌기폭면(1153)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도록 서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 도 7, 도 8, 도 12에서 도면부호 1157은 결합돌기(115)의 내측 단부에 양단이 돌기경사면(1151)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돌기끝면을 도시한 것이다. 결합돌기(115)는 돌기끝면(1157)을 구비하지 않고 내측 단부에서 돌기경사면(1151)이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결합홈부(117)의 내향 개구된 단부에는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며 내향 경사진 홈경사면(1171)이 형성되고, 상기 홈경사면(1171)의 외측으로 외향하는 홈걸림턱면(1173)이 형성되며, 상기 홈걸림턱면(1173)의 외측에 서로 마주하는 홈폭면(1175)이 구비된다. 상기 홈걸림턱면(1173)의 단부인 홈경사단부 사이의 폭 방향 거리는 홈폭면(1175) 사이의 폭 방향 거리보다 크다. 홈걸림턱면(1173)으로부터 이격되어 홈걸림턱면(1173)과 마주하며 양단이 홈폭면(1175)에 연결된 홈바닥면(117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결합홈부(117)는 홈바닥면(1177)을 구비하지 않고 축 방향으로 관통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 양측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홈바닥면(1177)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돌기(115)는 결합홈부(117)에 삽입될 때, 돌기경사면(1151)이 홈경사면(1171)을 지나 삽입되어 돌기걸림턱면(1153)이 홈걸림턱면(1173)에 걸리고 상기 돌기폭면(1155)은 홈폭면(1175)과 마주하여 결합홈부(117)에 결합된다.
도 11 및 도 14는 결합돌기(115)가 결합홈부(117)에 삽입되어, 돌기걸림턱면(1153)이 홈걸림턱면(1173)에 걸린 상태의 평면 투영도로서, 돌기걸림턱면(1153)은 홈걸림턱면(1173)과 마주하며, 도 11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으로 개구된 쪽에서 돌기걸림턱면(1153)과 홈걸림턱면(1173)의 중첩량(OL)이 크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으로 개구된 쪽으로 갈수록 돌기걸림턱면(1153)과 홈걸림턱면(1173)의 중첩량(OL)이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 일측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면, 돌기걸림턱면(1153)과 홈걸림턱면(1173)의 폭 방향 중첩량(OL)은 반경 방향 일측으로 개구된 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 양측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면, 돌기걸림턱면(1153)과 홈걸림턱면(1173)의 폭 방향 중첩량(OL)은 길이 방향으로 '<'형태로 형성되어, 반경 방향 중심에서는 작고 반경 방향 개구된 단부로 갈수록 크게 형성된다. 물론,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 양측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돌기걸림턱면(1153)과 홈걸림턱면(1173)의 폭 방향 중첩량(OL)을 반경 방향 일측으로 개구된 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합돌기(115)는 결합홈부(117)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결합돌기(115)의 돌기경사면(117)이 홈경사면(1171)을 가압하며, 홈경사면(1171)에는 폭 방향으로 양측으로 외력이 발생하여 홈경사면(1171)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결합돌기(115)가 삽입된다.
본 발명에서는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으로 적어도 일측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고, 반경 방향으로 개구된 쪽에서는 작은 외력으로 결합홈부(117)의 변형이 용이하므로 작은 외력으로 결합돌기(115)의 삽입이 가능하고, 결합되는 과정에서 결합돌기(115)나 결합홈부(117)에 발생하는 영구 변형 등의 손상 발생이 억제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경사면(1151)의 외측 단부인 돌기경사단부(1151a) 사이의 폭 방향 거리는 길이 방향으로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으로 개구된 단부 쪽에서 큰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돌기걸림턱면(1153)의 폭은 결합홈부(117)의 반경 방향으로 개구된 단부 쪽에서 크며, 결합돌기(115)가 결합홈부(117)에 결합될 때 돌기걸림턱면(1153)과 홈걸림턱면(1173)의 중첩량(OL)은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으로 개구된 쪽에서 크게 된다.
상기 돌기경사면(1151)의 외측 단부인 돌기경사단부(1151a) 사이의 폭 방향 거리는 길이 방향으로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으로 개구된 단부 쪽으로 갈수록 커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돌기걸림턱면(1153)의 폭은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으로 개구된 단부 쪽으로 갈수록 크며, 결합돌기(115)가 결합홈부(117)에 결합될 때 돌기걸림턱면(1153)과 홈걸림턱면(1173)의 중첩량(OL)은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으로 개구된 쪽으로 갈수록 증가한다(도 11 참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경사면(1151)의 외측 단부인 돌기경사단부(1151a) 사이의 폭 방향 거리는 길이 방향으로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으로 개구된 단부 쪽에서 큰 형태로 형성되면, 상기 돌기걸림턱면(1153)에 대한 돌기경사면(1151)의 경사각(θ3)은 결합홈부(117)의 반경 방향 개구부 쪽에서 작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경사면(1151)의 외측 단부인 돌기경사단부(1151a) 사이의 폭 방향 거리는 길이 방향으로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으로 개구된 단부 쪽에서 갈수록 크게 형성되면, 상기 돌기걸림턱면(1153)에 대한 돌기경사면(1151)의 경사각(θ3)은 결합홈부(117)의 반경 방향 개구부 쪽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돌기걸림턱면(1153)은 평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기걸림턱면(1153)은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되며, 돌기경사면(1151)은 돌기걸림턱면(1153)에 대하여 결합홈부(117)의 반경 방향 개구부 쪽으로 갈수록 경사각(θ3)이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 9에서 도면부호 L1은 돌기경사단부(1151a)가 경사지게 형성되므로써, 돌기걸림턱면(1153)의 폭이 감소하는 제1 후퇴길이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돌기경사면(1151)이 형성되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을 위하여 결합돌기(115)를 결합홈부(117)에 삽입할 때 결합홈부(117)의 반경 방향 개구부 쪽에서 돌기경사면(1151)이 홈경사면(1171)을 가압하는 외력이 크게 되고, 결합홈부(117)의 반경 방향 개구부의 반대쪽에서는 개구부 쪽보다 작게 작용 된다. 그리고 결합홈부(117)의 개구된 쪽에서는 반대쪽보다 폭 방향으로 변형이 용이하므로, 결합돌기(115) 조립 과정에서 작은 외력으로 조립이 가능하고, 결합돌기(115)나 결합홈부(117)의 손상이나 영구 변형의 발생 가능성이 감소하게 된다.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 양측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돌기경사단부(1151a) 사이의 폭 방향 거리는 반경 방향 내외측으로 갈수록 증가하고, 반경 방향으로 중심부로 갈수록 감소한다. 그리고 돌기걸림턱면(1153)에 대한 돌기경사면(1151)의 경사각(θ3)은 반경 방향 중심부에서 크고, 반경 방향 내외측 단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볼베어링용 케이지를 이루는 케이지부재(110)에 구비되는 결합돌기(115)와 결합홈부(117)의 변형 예를 도시한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경사면(1171)의 외측 단부인 홈경사단부(1171a) 사이의 폭 방향 거리는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으로 개구된 단부로 쪽에서 작게 형성되어, 상기 홈걸림턱면(1173)의 폭은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 개구된 단부 쪽에서 크게 형성된다. 홈폭면(1175)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돌기경사단부(1151a)는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며, 돌기걸림턱면(1153)은 길이 방향을 따라 같은 폭을 가진다.
상기 홈걸림턱면(1173)이 반경 방향 개구된 단부 쪽에서 크게 형성되므로, 결합돌기(115)가 결합홈부(117)에 결합될 때 돌기걸림턱면(1153)과 홈걸림턱면(1173)의 중첩량(OL)은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으로 개구된 쪽에서 크게 된다.
상기 홈경사면(1171)의 외측 단부인 홈경사단부(1171a) 사이의 폭 방향 거리는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으로 개구된 단부로 쪽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홈걸림턱면(1173)의 폭은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 개구된 단부 쪽으로 갈수록 크며, 결합돌기(115)가 결합홈부(117)에 결합될 때 돌기걸림턱면(1153)과 홈걸림턱면(1173)의 중첩량(OL)은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으로 개구된 쪽으로 갈수록 증가한다(도 14 참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걸림턱면(1153)에 대한 홈경사면(1151)의 경사각(θ4)은 결합홈부(117)의 반경 방향 개구부 쪽에서 작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홈걸림턱면(1173)에 대한 홈경사면(1171)의 경사각(θ4)은 결합홈부(117)의 반경 방향 개구부 쪽으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홈걸림턱면(1173)은 평면으로 형성되며,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홈부(117)가 형성되므로, 결합을 위하여 결합돌기(115)를 결합홈부(117)에 삽입할 때 결합홈부(117)의 반경 방향 개구부 쪽에서 돌기경사면(1151)이 홈경사면(1171)을 가압하는 외력이 크게 되고, 결합홈부(117)의 반경 방향 개구부의 반대쪽에서는 개구부 쪽보다 작게 작용한다. 그리고 결합홈부(117)의 개구된 쪽에서는 반대쪽보다 폭 방향으로 변형이 용이하므로, 결합돌기(115) 조립 과정에서 작은 외력으로 조립이 가능하고, 결합돌기(115)나 결합홈부(117)의 손상이나 영구 변형의 발생 가능성이 감소하게 된다.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 양측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홈경사단부(1171a) 사이의 폭 방향 거리는 반경 방향 내외측으로 갈수록 감소하고, 반경 방향으로 중심부로 갈수록 증가한다. 그리고 홈걸림턱면(1173)에 대한 홈경사면(1171)의 경사각(θ4)은 반경 방향 중심부에서 크고, 반경 방향 내외측 단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결합돌기(115)와 결합홈부(117)는 포켓부(111) 사이에 구비되는 결합부(113)에 형성된다. 결합시 결합부(113)의 축 방향 내면인 결합면(113a)은 서로 마주하여 접하여 구비된다.
110: 케이지부재 111: 포켓부
113: 결합부 115: 결합돌기
117: 결합홈부

Claims (8)

  1.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된 오목한 포켓부(111가 형성되고 이웃하는 포켓부(111) 사이에 결합부(113)가 구비되는 환상체인 2개의 케이지부재(110)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켓부(111)가 서로 마주하여 볼(RE)이 삽입되는 포켓이 형성되며;
    상기 2개의 케이지부재(110)는 일측 케이지부재(110)의 결합돌기(115)가 타측 케이지부재(110)의 결합홈부(117)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결합돌기(115)는 타측 케이지부재(110)를 향하여 돌출되어 타측 케이지부재(110)에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홈부(117)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결합홈부(117)는 일측 케이지부재(110)를 향하여 내향 개구되고 적어도 반경 방향 일측으로 개구되고,
    상기 결합돌기(115)의 단부의 양측에는 포켓부(111)을 향하며 타측 케이지부재(110)를 향하도록 경사져 단부로 갈수록 서로의 폭 방향 거리가 가까워지는 돌기경사면(1151)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경사면(1151)의 외측에 외향하는 돌기걸림턱면(1153)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걸림턱면(1153)의 외측에 서로 배향하는 돌기폭면(1155)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부(117)의 내향 개구된 단부에는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며 내향 경사진 홈경사면(1171)이 형성되고, 상기 홈경사면(1171)의 외측으로 외향하는 홈걸림턱면(1173)이 형성되며, 상기 홈걸림턱면(1173)의 외측에 서로 마주하는 홈폭면(1175)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115)는 돌기경사면(1151)이 홈경사면(1171)을 지나 삽입되어 돌기걸림턱면(1153)이 홈걸림턱면(1173)에 걸리고 상기 돌기폭면(1155)은 홈폭면(1175)과 마주하여 결합홈부(117)에 결합되며;
    상기 돌기걸림턱면(1153)과 홈걸림턱면(1173)의 중첩량은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으로 개구된 쪽에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베어링용 케이지.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 양측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돌기걸림턱면(1153)과 홈걸림턱면(1173)의 중첩량은 반경 방향 일측 또는 양측으로 갈수록 증가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베어링용 케이지.
  4. 제1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경사면(1151)의 외측 단부인 돌기경사단부(1151a) 사이의 거리는 길이 방향으로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으로 개구된 단부 쪽에서 큰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돌기걸림턱면(1153)의 폭은 결합홈부(117)의 반경 방향으로 개구된 단부 쪽에서 크며, 결합돌기(115)가 결합홈부(117)에 결합될 때 돌기걸림턱면(1153)과 홈걸림턱면(1173)의 중첩량은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으로 개구된 쪽에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베어링용 케이지.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걸림턱면(1153)에 대한 돌기경사면(1151)의 경사각(θ3)은 결합홈부(117)의 반경 방향 개구부 쪽에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베어링용 케이지.
  6. 제1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홈경사면(1171)의 외측 단부인 홈경사단부 사이의 폭 방향 거리는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으로 개구된 단부로 쪽에서 작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홈걸림턱면(1173)의 폭은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 개구된 단부 쪽에서 크며, 결합돌기(115)가 결합홈부(117)에 결합될 때 돌기걸림턱면(1153)과 홈걸림턱면(1173)의 중첩량은 결합홈부(117)가 반경 방향으로 개구된 쪽에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베어링용 케이지.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홈걸림턱면(1173)에 대한 홈경사면(1151)의 경사각(θ4)은 결합홈부(117)의 반경 방향 개구부 쪽에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베어링용 케이지.
  8. 제1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115)와 결합홈부(117)는 결합부(113)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지부재(110)의 결합부(113)에는 결합돌기(115)와 결합홈부(117)가 나란하게 구비되며; 일측 케이지부재(110)의 결합돌기(115)가 타측 케이지부재(110)의 결합홈부(117)에 삽입되고, 타측 케이지부재(110)의 결합돌기(115)가 일측 케이지부재(110)의 결합홈부(117)에 삽입되어, 2개의 케이지부재(11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베어링용 케이지.
KR1020180047289A 2018-04-24 2018-04-24 볼베어링용 케이지 KR102008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289A KR102008139B1 (ko) 2018-04-24 2018-04-24 볼베어링용 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289A KR102008139B1 (ko) 2018-04-24 2018-04-24 볼베어링용 케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139B1 true KR102008139B1 (ko) 2019-10-21

Family

ID=68460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289A KR102008139B1 (ko) 2018-04-24 2018-04-24 볼베어링용 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1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3223U (ja) * 1983-04-18 1984-11-01 株式会社不二越 2つ割り保持器
JP2006226430A (ja) 2005-02-18 2006-08-31 Ntn Corp 玉軸受
JP2007040383A (ja) * 2005-08-02 2007-02-15 Nsk Ltd 玉軸受用保持器及び玉軸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3223U (ja) * 1983-04-18 1984-11-01 株式会社不二越 2つ割り保持器
JP2006226430A (ja) 2005-02-18 2006-08-31 Ntn Corp 玉軸受
JP2007040383A (ja) * 2005-08-02 2007-02-15 Nsk Ltd 玉軸受用保持器及び玉軸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9838B2 (en) Ball retaining cage for bearings and a deep groove ball bearing
CN108397476B (zh) 滚珠轴承
US8414192B2 (en) Cage for ball bearing
US20180010637A1 (en) Rolling bearing
US7988365B2 (en) Cage for a bearing assembly
US9982716B2 (en) Synthetic resin retainer and ball bearing
KR102008139B1 (ko) 볼베어링용 케이지
US20160290401A1 (en) Rolling bearing
US10704603B2 (en) Method of assembling tapered roller bearing, and jig for use in the method
JP2012067827A (ja) 玉軸受
KR20200137367A (ko) 볼베어링용 케이지
KR102064502B1 (ko) 볼 베어링용 케이지
KR101896374B1 (ko) 구름베어링용 끼워맞춤형 케이지
KR20200093753A (ko) 볼 베어링용 케이지
US20150167739A1 (en) Retainer for radial roller bearing
KR101889296B1 (ko) 구름 베어링용 버클형 케이지
GB1594582A (en) Cage for a rolling element bearing
KR102029662B1 (ko) 레이디얼 볼 베어링용 케이지
KR101992647B1 (ko) 볼 베어링용 케이지
JP2009236223A (ja) 転がり軸受
KR20220087194A (ko) 볼 베어링용 케이지
KR101967675B1 (ko) 결합형 볼 베어링용 케이지
KR101986988B1 (ko) 볼 베어링 케이지
KR20160082776A (ko)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
KR20180120905A (ko)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볼 베어링 및 그 조립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