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101B1 - 볼 스플라인 - Google Patents

볼 스플라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101B1
KR101393101B1 KR1020120138791A KR20120138791A KR101393101B1 KR 101393101 B1 KR101393101 B1 KR 101393101B1 KR 1020120138791 A KR1020120138791 A KR 1020120138791A KR 20120138791 A KR20120138791 A KR 20120138791A KR 101393101 B1 KR101393101 B1 KR 101393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member
retainer
ball
loa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8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택원
Original Assignee
(주)원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에스티 filed Critical (주)원에스티
Priority to KR1020120138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16H25/2204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with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018Shaft assemblies for gearings
    • F16H57/0025Shaft assemblies for gearings with gearing elements rigidly connected to a shaft, e.g. securing gears or pulleys by specially adapted splines, keys or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스플라인 축과 너트 부재의 사이에 별도의 리테이너를 구성하고, 너트 부재 및 리테이너의 성형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리테이너 내면에 형성되는 부하 직선 홈 및 무부하 직선 홈의 가공 시간을 줄이고 볼 순환시 걸림 현상을 최소화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볼 스플라인이 개시된다. 볼 스플라인은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볼 전동 홈이 형성된 스플라인 축을 구비하고, 상기 스플라인 축이 관통되어 상기 볼 전동 홈과의 사이에 개재된 다수의 볼에 의해 상기 스플라인 축의 길이 방향으로 자유로이 직선 이동되는 너트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스플라인 축과 너트 부재의 사이에 리테이너가 구비되고, 상기 볼 전동 홈과 너트 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부하측 궤도의 사이에 부하 직선 통로가 형성되며, 너트 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무부하측 궤도와 리테이너의 외주면의 사이에 무부하 직선 통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소재의 가공이 매우 용이하며, 무부하측 직선 통로를 위한 별도의 홀 가공을 요구하지 않아 가공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볼의 원활한 순환을 통해 걸림 현상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볼 스플라인{BALL SPLINE}
본 발명은 볼 스플라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볼을 통해 스플라인 축과 너트 부재가 상대적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공작 기계나 각종 산업 기계에서 직선 안내 수단, 산업용 로봇에서 토크 전달 수단 등으로 사용되는 볼 스플라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 스플라인은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복수 조의 볼 전동 홈을 구비한 스플라인 축과, 다수의 볼을 통해 스플라인 축에 부착되며 볼의 무한 순환로를 구비하는 너트 부재를 구비하고, 볼의 무한 순환과 더불어 너트 부재가 스플라인 축의 주위를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 출원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9-0085137호에 개시된 종래의 볼 스플라인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스플라인 축(1)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볼(3)을 통해 스플라인 축(1)에 부착되는 너트 부재(2)로 구성되며, 너트 부재(2)가 스플라인 축(1)의 주위를 축 방향으로 자유로이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플라인 축(1)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을 따라 복수조(예를 들면 4조)의 볼 전동 홈(10)이 형성되고, 볼(3)은 볼 전동 홈(10)을 전동하면서 너트 부재(2)와 스플라인 축(1) 사이에서 하중을 부하한다. 상기 볼 전동 홈(10)은 너트 부재(2)가 스플라인 축(1)의 주위를 A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하중을 부하하는 볼 전동 홈(10a)과, B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하중을 부하하는 볼 전동 홈(10b)으로 구성된다. 서로 인접하는 볼 전동 홈(10a)과 볼 전동 홈(10b)이 그룹이 되어 스플라인 축(1)의 외주면에 복수의 그룹이 등간격으로 형성됨으로써, 너트 부재(2)와 스플라인 축(1) 사이에서 회전 토크를 전달한다.
너트 부재(2)는 너트 본체(4)와, 너트 본체(4)의 축방향 양단부에 볼트로 체결되는 한 쌍의 엔드 캡(5)으로 구성된다. 너트 본체(4)와 엔드 캡(5)은 모두 스플라인 축(1)이 삽입 통과되는 관통 구멍을 갖는다. 상기 너트 본체(4)의 외주면에는 키 홈(40)이 형성되어, 너트 부재(2)를 기계 장치에 설치할 때 사용된다. 너트 부재(2)는 볼(3)이 무한 순환하는 트랙 홈(30)을 스플라인 축(1)에 대면한 관통 구멍의 내주면에 갖는다.
상기 트랙 홈(30)은 스플라인 축(1)의 볼 전동 홈(10)과 마주보는 너트 본체(4)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부하 직선 홈(31)과, 너트 본체(4)의 내주면에 대해 부하 직선 홈(31)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되는 무부하 직선 홈(32)과, 부하 직선 홈(31)과 무부하 직선 홈(32) 사이에서 볼(3)의 전동 방향을 180°전환하며 볼(3)을 왕래시키는 볼 편향 홈(33)으로 구성된다. 상기 볼 편향 홈(33)은 엔드 캡(5)에 형성되어 있다. 트랙 홈(30)은 전체 영역이 스플라인 축(1)을 향해 개방되어, 트랙 홈(30)에 배열된 볼(3)은 스플라인 축(1)과 면한 상태로 트랙 홈(30) 내를 순환한다.
상기 무부하 직선 홈(32)은 볼(3)의 직경보다 약간 큰 곡률 반경을 가지는 통로로 형성되고, 스플라인 축(1)의 외주면을 향해 개방된 형태로 너트 부재(2)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엔드 캡(5)의 관통 구멍의 내주면에는 U자 형상의 볼 편향 홈(33)이 형성됨과 아울러, 스플라인 축(1)의 볼 전동 홈(10)과 약간의 간극을 통해 마주보는 시일 돌기부(50)가 형성된다. 엔드 캡(5)의 외주면에는 너트 본체(4)의 키 홈(40)에 연속하는 액세스 홈(51)이 형성되며, 엔드 캡(5)에는 너트 본체(4)에 대한 위치 결정용 스터드(52)가 돌출 설치된다. 상기 스터드(52)를 너트 본체(4)의 기준 구멍(41)에 끼워 맞춰, 엔드 캡(5) 측의 볼 편향 홈(33)과 너트 본체(4) 측의 부하 직선 홈(31) 및 무부하 직선 홈(32)이 정확하게 결합된다.
하지만, 종래의 볼 스플라인은 부하 직선 홈(31)과 무부하 직선 홈(32)이 모두 금속 재질인 너트 본체(4)의 내주면에 가공 형성됨에 따라, 가공 공정이 어렵고 복잡하며, 측정이 용이하지 않아 가공 부위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불량 부분이 판단되면 너트 부재(2) 전체를 다시 가공하여야 하고, 볼(3)의 열 수를 증가할 경우 너트 부재(2)와 엔드 캡(5)의 구조를 모두 변경하여야 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9-0085137호(2009.08.06)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스플라인 축과 너트 부재의 사이에 별도의 리테이너를 구성하고, 너트 부재 및 리테이너의 성형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리테이너 내면에 형성되는 부하 직선 홈 및 무부하 직선 홈의 가공 시간을 줄이고 볼 순환시 걸림 현상을 최소화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볼 스플라인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볼 스플라인은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볼 전동 홈이 형성된 스플라인 축을 구비하고, 상기 스플라인 축이 관통되어 상기 볼 전동 홈과의 사이에 개재된 다수의 볼에 의해 상기 스플라인 축의 길이 방향으로 자유로이 직선 이동되는 너트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스플라인 축과 너트 부재의 사이에 리테이너가 구비되고, 상기 볼 전동 홈과 너트 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부하측 궤도의 사이에 부하 직선 통로가 형성되며, 너트 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무부하측 궤도와 리테이너의 외주면의 사이에 무부하 직선 통로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볼 스플라인은 부하 직선 통로와 무부하 직선 통로를 너트 부재의 내경면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된 홈들과 리테이너에 내향 및 외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들의 상호 결합 구조를 통해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소재의 제조가 매우 용이하며, 무부하측 직선 통로를 위한 별도의 홈 가공이 요구되지 않아 가공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볼의 원활한 순환을 통해 걸림 현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볼 스플라인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너트 부재와 스플라인 축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너트 부재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종래의 엔드 캡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볼 스프라인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너트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너트 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너트 부재와 리테이너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테이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테이너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 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 캡과 리테이너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리테이너와 너트부재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볼 스플라인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볼 스프라인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너트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너트 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너트 부재와 리테이너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테이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테이너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 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 캡과 리테이너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3은 리테이너와 너트부재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한 사시도에서 원근을 고려하여 도시하였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0의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 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볼 스플라인(100)은 너트 부재(110)와, 리테이너(130) 및 엔드 캡(120)을 포함하여 스플라인 축에 결합된다.
스플라인 축은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플라인 축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볼 전동 홈이 형성된다. 너트 부재(110)는 내부가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 부위에 후술할 리테이너(130)가 삽입된 상태로 스플라인 축이 관통되어 볼 전동 홈과의 사이에 개재된 다수의 볼(101)에 의해 스플라인 축의 길이 방향으로 자유로이 직선 이동된다. 볼(101)은 볼 전동 홈을 전동하면서 너트 부재(110)가 스플라인 축에 대해 상대 이동 시 하중을 부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볼 전동 홈은 2개로 이루어지나, 다른 개수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너트 부재(110)에는 리테이너(130)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111)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111)은 너트 부재(110)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 단면이 6면의 모서리를 갖는 6각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 마주 보는 변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너트 부재(110)의 내주면인 삽입홀(111)에는 부하측 궤도(112) 및 무부하측 궤도(113)가 너트 부재(110)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라운드 된 모서리 중 가장 멀리 있는 한 쌍의 모서리에 무부하측 궤도(113)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무부하측 궤도(113)와 인접하며 서로 마주보는 변에 부하측 궤도(112)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부하측 궤도(112)는 마주보는 변 중 한 쌍 이상의 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하측 궤도(112) 및 무부하측 궤도(113)는 상기 삽입홀(111)의 내주면 상에 반경 방향으로 연속되는 선상에서 요입 형성된다. 상기 부하측 궤도(112)와 무부하측 궤도(113)의 단면은 원호 형상을 이룬다.
리테이너(130)는 스플라인 축과 너트 부재(11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너트 부재(110)의 삽입홀(111)에 구비된다. 상기 볼 전동 홈과 너트 부재(110)에 형성된 부하측 궤도(112)의 사이에 부하 직선 통로가 형성되며, 너트 부재(110)에 형성된 무부하측 궤도(113)와 리테이너(130)의 외주면의 사이에 무부하 직선 통로가 형성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리테이너(130)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부하 직선 홈(133)과 무부하 직선 홈(134)이 형성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부하 직선 홈(134)은 무부하측 궤도(113)와의 함께 무부하 직선 통로를 형성하도록 무부하측 궤도(113)의 단면은 원호 형상으로서, 단면 형상에 있어서 무부하측 궤도(113)와 마주하도록 외향되게 오목하게 형성된다.
부하 직선 홈(133)의 단면 형상은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원호 형상으로서, 단면 형상에 있어서, 단면이 원호 형상인 부하측 궤도(112)의 양측 단부에서 원호 형상을 이루어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단면에 있어서, 부하 직선 홈(133)은 양측으로 개구되며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원호 형상을 이룬다. 일측은 부하측 궤도(112)를 향하여 개구되고, 타측은 스플라인 축을 향하여 개구된다.
상기와 같이 리테이너(130)의 부하 직선 홈(133)과 무부하 직선 홈(134)이 각각 너트 부재(110)의 부하측 궤도(112)와 무부하측 궤도(113)와 함께 볼이 순환하는 통로를 형성하므로 부하측 궤도(112)와 무부하측 궤도(113)를 깊게 형성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고, 리테이너(130)을 원호형으로 형성하므로 너트 부재(110)의 삽입홀(111)을 단면 형상을 6각형으로 형성하고 넓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리테이너(130)는 제1 리테이너(130a) 및 제2 리테이너(130b)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리테이너(130a) 및 제2 리테이너(130b)의 각 내면은 원호(135)를 이루며, 각 외면은 4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4면은 너트 부재(110)의 삽입홀(111)의 연속하는 6면 중 4면에 접촉하도록 대응되게 이루어진다. 제1 리테이너(130a)와 제2 리테이너(130b)는 원호(135)가 서로 마주하도록 너트 부재(110)의 삽입홀(111)에 구비된다.
제1 리테이너(130a) 및 제2 리테이너(130b)가 너트 부재(110)의 삽입홀(111)에 위치하여 조립될 때, 단면 형상에 있어서 제1 리테이너(130a) 및 제2 리테이너(130b)의 부하 직선 홈(133)은 부하측 궤도(112)의 원호 양단에서 연장되는 형태를 이루도록 위치하고, 무부하 직선 홈(134)은 무부하측 궤도(113)와 마주하는 형태를 이루도록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에서 부하측 궤도(112)과 무부하측 궤도(113)의 원호각은 작게(예를 들면 90°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하측 궤도(112)의 원호와 부하 직선 홈(133)을 이루는 2개의 원호가 이루는 원호각은 180°보다 크게 형성되어 볼이 스플라인 축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리테이너(130)의 길이 방향 양측단에는 너트 부재(110)의 양단에 접촉되도록 플랜지(136)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36)에는 부하 직선 홈(133)과 무부하 직선 홈(134)이 연장되는 위치에 부하 직선 통로와 무부하 직선 통로를 후술할 볼 편향 홈(121)에 연통하기 위한 안내홀(132)이 플랜지(136)의 길이 방향 단부로 갈수록 확장 형성된다.
엔드 캡(120)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너트 부재(110)의 길이 방향 양단에 결합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엔드 캡(120)에는 조립홀(129)이 관통 형성되어 너트 부재(110)에 형성된 조립홀(119)에 볼트 등을 통해 체결된다. 상기 조립홀(129)은 2개의 지름으로 단턱을 가지고 형성된다.
상기 엔드 캡(120)의 안착홈(126) 바닥면에는 오목하게 볼 편향 홈(121)이 형성된다. 볼 편향 홈(121)은 부하 직선 통로와 무부하 직선 통로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부하 직선 통로와 무부하 직선 통로 사이에서 볼(101)을 180°방향 전환시켜, 부하 직선 통로와 무부하 직선 통로와 더불어 볼(101)의 무한 순환로를 형성하게 된다. 엔드 캡(120)에 리테이너(130)가 삽입된 너트 부재(110)의 양단에 조립될 때, 상기 볼 편향 홈(121)의 일측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무부하 직선 홈(134)의 양측 단부에 서로 마주하여 위치하고, 타측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부하 직선 홈(133)의 양측 단부에 서로 마주하여 위치하게 된다.
상기 엔드 캡(120)은 너트 부재(110)의 단부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플랜지(136)가 수용되는 안착홈(126)이 길이 방향으로 요입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26) 상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홈(128)이 길이 방향으로 더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136)에는 체결홈(128)에 조립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 돌기(131)가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리테이너(130)와 엔드 캡(120)이 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엔드 캡(120)의 내경면에는 볼 편향 홈(121)의 내측 단부에 무한 순환로 상의 볼(101)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돌기(127)가 내향 돌출 형성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엔드 캡(120)에는 돌출부(123)가 구비된다. 돌출부(123)는 볼 편향 홈(121)과 안내홀(132)이 면접하는 부위에 형성되며, 일 측에 볼(101)의 순환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돌출부(123)는 볼(101)의 순환면이 엔드 캡(120) 측에서 리테이너(130) 측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엔드 캡(120)과 리테이너(130) 간의 단차를 최소화한다. 따라서, 볼(101)의 원활한 순환이 가능해지며 볼(101)의 순환 궤적의 어긋남이 없어 걸림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볼 스플라인은 부하 직선 통로와 무부하 직선 통로를 너트 부재의 내경면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된 홈들과 리테이너에 내향 및 외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들의 상호 결합 구조를 통해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소재의 가공이 매우 용이하며, 무부하측 직선 통로를 위한 별도의 홀 가공을 요구하지 않아 가공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볼 스플라인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볼 스플라인 101 : 볼
110 : 너트 부재 111 : 삽입홀
112 : 부하측 궤도 113 : 무부하측 궤도
120 : 엔드 캡 121 : 볼 편향 홈
123 : 돌출부 126 : 안착홈
128 : 체결홈 130 : 리테이너
131 : 체결 돌기 132 : 안내홀
133 : 부하 직선 홈 134 : 무부하 직선 홈
135 : 원호 136 : 플랜지

Claims (8)

  1. 볼 전동 홈이 형성된 스플라인 축이 삽입되며 결합하고, 상기 스플라인 축이 관통되어 상기 볼 전동 홈과의 사이에 개재된 다수의 볼(101)에 의해 상기 스플라인 축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는 너트 부재(110)를 포함하는 볼 스플라인(100)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인 축과 너트 부재(110)의 사이에 리테이너(130)가 구비되고, 상기 볼 전동 홈과 상기 너트 부재(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부하측 궤도(112)의 사이에 부하 직선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너트 부재(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무부하측 궤도(113)와 상기 리테이너(130)의 외주면의 사이에 무부하 직선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리테이너(130)는 제1 리테이너(130a) 및 제2 리테이너(130b)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리테이너(130a) 및 제2 리테이너(130b)의 내면은 원호(135)를 이루며 외면은 4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4면은 너트 부재(110)의 삽입홀(111)의 연속하는 6면 중 4면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스플라인(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부재(110)에는 상기 리테이너(130)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111)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부하측 궤도(112) 및 무부하측 궤도(113)는 상기 삽입홀(111)의 내주면 상에 반경 방향으로 연속되는 선상에서 요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스플라인(100).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111)은 상기 너트 부재(110)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 단면이 6면의 모서리를 갖는 6각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 마주보는 변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라운드된 모서리 중 가장 멀리 있는 한 쌍의 모서리에 무부하측 궤도(113)가 각각 형성되고, 마주보는 변 중 한 쌍 이상의 변에 부하측 궤도(112)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스플라인(100).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30)는 상기 부하측 궤도(112)와 대응되도록 내향되게 오목한 부하 직선 홈(133)과, 상기 무부하측 궤도(113)와의 사이에서 무부하 직선 통로를 형성하도록 외향되게 오목한 무부하 직선 홈(13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스플라인(100).
  5. 삭제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부재(110)의 길이 방향 양단 측에 결합되고, 상기 부하 직선 통로와 무부하 직선 통로의 사이에서 볼(101)을 180°방향 전환시켜 볼(101)의 무한 순환로를 형성하는 볼 편향 홈(121)이 형성된 엔드 캡(120)을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130)의 길이 방향 양측에 상기 너트 부재(110)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굴곡 형성된 플랜지(136)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136)에 상기 부하 직선 통로와 무부하 직선 통로를 볼 편향 홈(121)에 연통하기 위한 안내홀(132)이 확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스플라인(100).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캡(120)은 너트 부재(110)의 단부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플랜지(136)를 수용하기 위한 안착홈(126)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26) 상에 체결홈(128)이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136)에는 상기 체결홈(128)에 조립되는 체결 돌기(131)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스플라인(100).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캡(120)에는 상기 볼 편향 홈(121)과 안내홀(132)이 면접하는 부위에 볼(101) 순환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돌출부(1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스플라인(100).
KR1020120138791A 2012-12-03 2012-12-03 볼 스플라인 KR101393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791A KR101393101B1 (ko) 2012-12-03 2012-12-03 볼 스플라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791A KR101393101B1 (ko) 2012-12-03 2012-12-03 볼 스플라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3101B1 true KR101393101B1 (ko) 2014-05-09

Family

ID=50893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8791A KR101393101B1 (ko) 2012-12-03 2012-12-03 볼 스플라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1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711B1 (ko) * 2020-02-17 2021-08-19 (주)원에스티 우회 궤도를 가지는 볼스플라인
KR20210136190A (ko) * 2020-05-06 2021-11-17 (주)원에스티 보강부쉬부를 가지는 볼스플라인
US12129889B2 (en) 2020-02-17 2024-10-29 Won St Co., Ltd. Ball spline having bypass trac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7170A (ja) * 2000-08-14 2002-02-22 Tdk Corp 電子部品実装ヘッドのガイド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部品実装装置
JP2003130050A (ja) * 2001-10-22 2003-05-08 Nippon Tokushu Bearing Kk ボールスプライン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7170A (ja) * 2000-08-14 2002-02-22 Tdk Corp 電子部品実装ヘッドのガイド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部品実装装置
JP2003130050A (ja) * 2001-10-22 2003-05-08 Nippon Tokushu Bearing Kk ボールスプライン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711B1 (ko) * 2020-02-17 2021-08-19 (주)원에스티 우회 궤도를 가지는 볼스플라인
WO2021167137A1 (ko) * 2020-02-17 2021-08-26 (주)원에스티 우회 궤도를 가지는 볼스플라인
CN115135907A (zh) * 2020-02-17 2022-09-30 Won St 株式会社 具有绕行轨道的滚珠花键
US12129889B2 (en) 2020-02-17 2024-10-29 Won St Co., Ltd. Ball spline having bypass track
KR20210136190A (ko) * 2020-05-06 2021-11-17 (주)원에스티 보강부쉬부를 가지는 볼스플라인
KR102441131B1 (ko) * 2020-05-06 2022-09-08 (주)원에스티 보강부쉬부를 가지는 볼스플라인
CN115698529A (zh) * 2020-05-06 2023-02-03 Won St 株式会社 具有加强衬套部的滚珠花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3019B2 (en) Turning bearing with separator
KR101770575B1 (ko) 직선운동 안내 유닛
KR101953941B1 (ko) 크로스 롤러 베어링
US10801546B2 (en) Ball bearing cam follower for an adjustable aircraft seat
KR101393101B1 (ko) 볼 스플라인
US10527096B2 (en) Rolling bearing
US8579511B2 (en) Turning bearing with loading hole for introduction of separator with roller
US8790021B2 (en) Spacer for twin-row rolling bearing
US20230204069A1 (en) Ball spline having reinforcement bush part
JP2008019921A (ja) 転がり軸受用保持器および転がり軸受
US6099410A (en) Linear-motion rolling guide unit with a flange cover
US8342974B2 (en) Ball spline
WO2019230976A1 (ja) こま式ボールねじ
JP2016142341A (ja) 循環こま及びこれを備えたボールねじ
JP2013024319A (ja) 転動装置
US9022665B2 (en) C-shaped spacer for rolling bearing
US20130202240A1 (en) Turning bearing with rollers between outer ring and inner ring
JP2009222209A (ja) スプライン付きボールねじ
KR102064502B1 (ko) 볼 베어링용 케이지
JP2011112206A (ja) ボールスプライン付きボールねじ
JP6230373B2 (ja) カムフォロア
KR102095296B1 (ko) 크레인 및 고소 장비 차량용 베어링 장치
KR20240130525A (ko) 롤러 스플라인
US8845204B2 (en) Spacer for rolling bearing with low friction contribution
JP2022127815A (ja) クロスローラ軸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