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5875A - 베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셀 및 파워 배터리 - Google Patents

베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셀 및 파워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5875A
KR20200135875A KR1020207031327A KR20207031327A KR20200135875A KR 20200135875 A KR20200135875 A KR 20200135875A KR 1020207031327 A KR1020207031327 A KR 1020207031327A KR 20207031327 A KR20207031327 A KR 20207031327A KR 20200135875 A KR20200135875 A KR 20200135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late
battery
pole
conductive member
s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1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5097B1 (ko
Inventor
웬강 우
옌추 리우
쉬빈 공
쥔 탕
Original Assignee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35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3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H01M2/043
    • H01M2/0473
    • H01M2/06
    • H01M2/1241
    • H01M2/22
    • H01M2/3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 셀(100), 배터리 모듈(300), 파워 배터리(400) 및 전기 자동차(500)로서,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는 커버 플레이트(1), 제1 폴(2), 제2 폴(103a), 플립핑 부재(5), 스코어 부재(6), 제1 도전 부재(7) 및 신축 어셈블리(103b) 포함한다. 제2 폴(103a)은 서로 이격되는 상부 폴(3)과 하부 폴(4)을 포함한다. 상기 플립핑 부재(5)는 배터리 내부의 가스 압력의 작용에 의해 뒤집히며, 신축 어셈블리(103b)에 의해 제1 도전 부재(7)를 밀어서 이동시켜 스코어(62)를 파단시킴으로써, 하부 폴(4)로부터 상부 폴(3)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베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셀, 배터리 모듈, 파워 배터리 및 전기 자동차
본 출원은 2018년 4월 23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중국 특허출원 번호 201810368473.5의 우선권 및 이익을 주장하고, 상기 언급된 출원의 전체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포함된다.
본 개시는 배터리 분야, 특히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셀,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파워 배터리 및 파워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저장 유닛으로, 배터리는 다양한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파워 배터리는 새로운 에너지 자동차와 같은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배터리 팩은 충전 및 방전을 구현하기 위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셀로 구성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사용하여 전압 및 전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충전 상태를 계산한다. 전압 샘플링에 문제가 생기면 배터리가 과충전될 수 있다. 특히 삼원 시스템의 경우, 과충전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배터리가 연소되어 폭발된다.
기존의 기술방안: 배터리의 전압과 전류를 모니터링하고, 전류 적분 방법 및 개방 회로 전압 방법을 사용하여 배터리 레벨을 계산하고, 배터리 레벨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한다. 그러나 이 기술적 방안에는 단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의 전압 샘플링 또는 전류 샘플링이 실효되거나 소프트웨어가 실효되면, 배터리 충전을 제어할 수 없게 되어 지나치게 오래 지속될 수 있다. 특히 충전 파일에서 충전하는 경우, 충전 파일과 배터리 관리자 간의 통신이 실효되면, 과충전을 제어할 수 없으며, 일정 수준까지 과충전되면 배터리가 팽창되거나 심지어 폭발 또는 연소될 수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종래 기술에서는 회로 차단 기술방안 및 단락 보호 기술방안이 채택되고 있다.
회로 차단 방안에서, 배터리 내부의 가스 압력을 이용하여 플립핑 부재를 밀어 뒤집어 연결된 스코어 부재를 파단시킴으로써, 셀 코어를 폴로부터 분리시켜 셀 코어를 보호한다. 그러나 이 기술적 방안에는 일단 셀 코어가 분리되면 전체 회로가 끊어지게 되어 배터리 팩과 모듈이 작동이 멈추게 되고, 순수 전기 자동차는 즉시 전력 출력을 잃어 안전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단점이 존재한다. 단락 방안에서는, 배터리 내부의 가스 압력을 사용하여 플립핑 부재를 밀어 뒤집어 양극과 음극을 단락시키므로, 셀 코어 내부에 배치된 퓨즈가 끊어져 회로를 차단하여 셀 코어를 보호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 방안에서, 셀 코어 내부에 배치된 퓨즈가 끊어지면, 다량의 열이 발생하여 전해액의 기화 또는 기타 이상을 유발함에 따라, 셀 코어 내부에 더 심각한 비정상적인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배터리가 비정상적일 경우,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는 열 폭주로 인한 배터리의 팽창, 심지어 폭발 또는 연소를 방지하도록, 외부 회로로부터 셀 코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는 커버 플레이트, 제1 폴, 제2 폴, 플립핑 부재, 스코어 부재 및 제1 도전 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제1 폴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 폴은 서로 이격되는 상부 폴과 하부 폴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폴과 상기 하부 폴은 모두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전기적 절연 방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제2 폴은 상기 셀 코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도전 부재는 상기 상부 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스코어 부재는 상기 스코어 부재 상의 스코어에 의해 제1 스코어 부재와 제2 스코어 부재로 분할된다. 상기 제1 스코어 부재는 상기 제1 도전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 스코어 부재는 상기 하부 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플립핑 부재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 본체에 배치되며 배터리 내부의 가스와 연통된다. 상기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는 신축 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신축 어셈블리는 절연 기둥 및 상기 절연 기둥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슬리빙되는 슬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절연 기둥의 일단은 상기 플립핑 부재 및 상기 제1 도전 부재 중 하나에 연결된다. 상기 슬리브의 일단은 상기 플립핑 부재 및 상기 제1 도전 부재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다. 상기 플립핑 부재는 배터리 내부의 가스 압력의 작용 하에 뒤집히며, 상기 신축 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제1 도전 부재를 밀어서 상기 스코어를 파단시킴으로써, 상기 하부 폴로부터 상기 상부 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절연 기둥의 일단은 상기 플립핑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슬리브의 일단은 상기 제1 도전 부재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절연 기둥은 단차형 축 형상이며, 대경부(large-diameter portion) 및 소경부(small-diameter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대경부와 상기 소경부 사이에 단차면이 형성되고, 상기 소경부는 상기 슬리브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대경부는 상기 플립핑 부재 또는 상기 제1 도전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단차면이 상기 슬리브의 단면과 접촉 시, 상기 제1 도전 부재는 이동하기 시작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플립핑 부재에는 홈 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절연 기둥의 하단부는 상기 홈 구조에 결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제2 도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폴은 상기 제2 도전 부재에 전기적 절연 방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2 도전 부재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부 폴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 본체에 전기적 절연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 도전 부재는 상기 플립핑 부재의 구동 하에 이동하여, 상기 제2 도전 부재와 접촉되어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도전 부재는 상기 하부 폴, 상기 플립핑 부재, 상기 스코어 부재, 상기 제1 도전 부재 및 상기 신축 어셈블리를 커버하는 보호 커버로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도전 부재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측벽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폴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전기적 절연 방식으로 감입되고, 상기 측벽 플레이트의 하단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도전 부재는 상기 플립핑 부재의 구동 하에 이동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도전 부재에는 상기 제2 도전 부재와 접촉되도록 구성된 제1 돌출부가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돌출부의 상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2 도전 부재와 면 접촉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상면은 5°~20° 범위의 각도로 경사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절연 기둥은 동축으로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도전 부재는 본체부 및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상부 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는 긴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일단은 상기 슬리브 또는 상기 절연 기둥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의 타단은 상기 장착부에 유연하게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의 중부는 상기 제1 스코어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도전 부재는 일체형 전기 도전 시트이고, 상기 제1 도전 부재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장착부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의 두께는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장착부의 두께보다 얇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장착부에 평행되고, 상기 중간부는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장착부에 수직되며, 상기 본체부와 상기 장착부는 상기 중간부의 동일 측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부의 길이는 상기 장착부의 길이보다 길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 본체에는 배터리 내부의 가스와 연통되는 관통 홀이 설치되고, 상기 플립핑 부재는 상기 관통 홀을 커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스코어 부재에는 제2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도전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스코어는 제2 돌출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스코어는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스코어 부재는 상기 하부 폴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상부 폴 및 상기 하부 폴은 동축이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폴의 상단에는 상기 스코어 부재를 지지하는 환형 리세스가 형성되고, 상기 스코어 부재의 외주연은 상기 환형 리세스의 내주연에 결합 고정된다.
상기 기술적 방안에 의해, 배터리가 과충전되거나 기타 비정상적인 상태일 경우, 배터리의 온도가 상승되고 내부의 가스 압력이 증가되어, 플립핑 부재가 내부의 가스 압력의 작용 하에 뒤집혀 스코어를 파단시킬 수 있으므로, 외부 회로로부터 셀 코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시켜, 열 폭주로 인한 배터리의 폭발 또는 연소를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슬리브와 절연 기둥이 서로 감입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어, 배터리 내부의 가스 압력이 낮을 때, 플립핑 부재가 절연 기둥과 슬리브를 서로를 향해 이동되도록 구동한다. 이 이동 과정에서, 제1 도전 부재 및 스코어 부재는 모두 압력을 받지 않는 자연 상태가 된다. 배터리 내부의 가스 압력이 일정 값까지 상승될 때만, 신축 어셈블리가 최대 길이로 압축되어, 제1 도전 부재가 압력을 받기 시작한다. 가스 압력이 계속 상승됨에 따라, 제1 도전 부재는 변형되어 스코어 부재의 스코어를 파단시킨다. 즉, 본 개시에서 신축 어셈블리의 배치는 플립핑 부재가 일정 거리의 아이들 행정을 가질 수 있게 한다. 배터리 내부의 가스 압력이 낮을 때, 플립핑 부재의 이동 거리는 아이들 행정 내에서 제한되며, 이 과정에서 스코어 부재는 압력을 받지 않는다. 가스 압력이 미리 설정된 값으로 상승된 후에만 스코어 부재가 압력을 받기 시작한다. 따라서, 본 개시는 스코어 부재가 장기간 압력을 받는 상태로 인해, 결과적으로 스코어 부재의 실제 파단력이 설계 값보다 낮거나, 심지어 스코어 부재조차 조기에 실효되는 경우를 피할 수 있으므로, 스코어 부재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고 배터리의 안전성을 보장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셀 케이싱 및 상기 셀 케이싱 내에 수용되는 셀 코어를 포함하고, 전술한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셀이 제공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셀 케이싱을 패키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 폴과 상기 셀 코어는 내부 리드 아웃 부재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모듈이 제공된다. 상기 배터리 모듈은 전술한 복수 개의 셀 및 복수 개의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의 일단은 하나의 상기 셀의 제1 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의 타단은 다른 상기 셀의 제2 폴의 상부 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팩 하우징 및 상기 배터리 팩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파워 배터리가 제공된다. 상기 배터리 모듈은 전술한 배터리 모듈이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가 제공된다. 상기 전기 자동차는 전술한 파워 배터리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이하 구체적 실시방식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방식에 따른 파워 배터리의 부분 사시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방식에 따른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방식에 따른 제1 폴이 도시되지 않은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 부분의 개략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B 부분의 개략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방식에 따른 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방식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 이해해야 할 것은 서술된 구체적 실시방식들은 단지 본 개시를 예시하기 위해서만 사용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 하, 좌, 우"와 같은 위치의 명사는 달리 설명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해당 첨부 도면의 도면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되며, "내, 외"는 해당 구성 요소의 내부 및 외부를 의미한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커버 플레이트(1), 제1 폴(2), 제2 폴(103a), 플립핑 부재(5), 스코어 부재(6) 및 제1 도전 부재(7)를 포함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를 제공한다. 제1 폴(2)은 커버 플레이트(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폴(103a)은 서로 이격되는 상부 폴(3)과 하부 폴(4)을 포함한다. 상부 폴(3) 및 하부 폴(4)은 모두 커버 플레이트(1)에 전기적 절연 방식으로 고정된다. 제2 폴(4)은 셀 코어(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도전 부재(7)는 상부 폴(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스코어 부재(6)는 그 위에 스코어(62)에 의해 제1 스코어 부재(61) 및 제2 스코어 부재(63)로 구분된다. 제1 스코어 부재(61)는 제1 도전 부재(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스코어 부재(63)는 하부 폴(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커버 플레이트(1)는 커버 플레이트 본체(11)를 포함한다. 플립핑 부재(5)는 커버 플레이트 본체(11)에 배치되며 배터리 내부의 가스와 연통된다.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는 신축 어셈블리(103b)를 더 포함한다. 신축 어셈블리(103b)는 절연 기둥(8) 및 절연 기둥(8)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슬리빙되는 슬리브(200)를 포함한다. 절연 기둥(8)의 일단은 플립핑 부재(5) 및 제1 도전 부재(7) 중 하나에 연결된다. 슬리브(200)의 일단은 플립핑 부재(5) 및 제1 도전 부재(7)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다. 플립핑 부재(5)는 배터리 내부의 가스 압력의 작용 하에 뒤집히며, 신축 어셈블리(103b)에 의해 제1 도전 부재(7)를 밀어서 이동시켜 스코어(62)를 파단시킴으로써, 하부 폴(4)로부터 상부 폴(3)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 폴(2) 및 제2 폴(103a) 중 하나는 양극 폴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 폴이다. 선택적으로, 제1 폴(2)은 양극 폴이고, 제2 폴(103a)은 음극 폴이다. 커버 플레이트(1)는 제1 폴(2)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정상적일 경우, 제1 폴(2)과 제2 폴(103a)로부터 각각 전류가 입력 및 출력되어, 셀(100)의 충전 및 방전이 완료된다. 비정상 상태일 경우, 예를 들어 배터리가 과충전되면 플립핑 부재(5) 또는 기타 관련 부품이 빠르게 반응하여 제2 폴(103a)을 구성하는 상부 폴(3)과 하부 폴(4)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중단시킴으로, 배터리의 전류 입력 및 전류 출력이 중단되어 회로 차단 보호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방안에 의해, 배터리가 과충전되거나 기타 비정상적인 상태일 경우, 배터리의 온도가 상승되고 내부의 가스 압력이 증가되어, 플립핑 부재(5)가 배터리 내부의 가스 압력의 작용 하에 뒤집혀 스코어(62)를 파단시킬 수 있으므로, 외부 회로로부터 셀 코어(102)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시켜, 열 폭주로 인한 배터리의 폭발 또는 연소를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슬리브(200)와 절연 기둥(8)이 서로 네스팅(nested)되어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내부의 가스 압력이 낮을 때, 스코어 부재(6)에 응력이 가해지지 않아 스코어 부재(6)의 피로 파괴를 방지한다.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스코어 부재(6)에 대한 보호 원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방식에서, 절연 기둥(8)의 일단은 플립핑 부재(5)에 연결되고, 슬리브(200)의 일단은 제1 도전 부재(7)에 연결된다. 배터리 내부의 가스 압력이 낮을 때, 절연 기둥(8)은 플립핑 부재(5)를 따라 상향으로 이동하고, 슬리브(200)는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이 이동 과정에서, 제1 도전 부재(7) 및 스코어 부재(6)는 모두 압력을 받지 않는 자연 상태가 된다. 배터리 내부의 가스 압력이 미리 설정된 값으로 상승될 때만이, 신축 어셈블리(103b)가 최대 길이로 압축되어, 제1 도전 부재(7)가 압력을 받기 시작한다. 가스 압력이 계속 상승됨에 따라, 절연 기둥(8)은 플립핑 부재(5)를 따라 상향으로 이동하면서 슬리브(200)를 밀어 상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도전 부재(7)가 변형되어 스코어 부재(6)의 스코어(62)를 파괴시키도록 한다.
즉, 본 개시에서, 신축 어셈블리(103b)의 배치는 플립핑 부재(5)가 일정 거리의 아이들 행정을 가질 수 있게 한다. 배터리 내부의 가스 압력이 낮을 때, 플립핑 부재(5)의 이동 거리는 아이들 행정 내에서 제한되며, 이 과정에서 스코어 부재(6)는 압력을 받지 않는다. 가스 압력이 미리 설정된 값으로 상승된 후에만 스코어 부재(6)가 압력을 받기 시작한다. 따라서, 본 개시는 스코어 부재(6)가 장기간 압력을 받는 상태로 인해, 결과적으로 스코어 부재의 실제 파단력이 설계 값보다 낮거나, 심지어 스코어 부재조차 조기에 실효되는 경우를 피할 수 있으므로, 스코어 부재(5)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고 배터리의 안전성을 보장한다.
본 개시에서, 슬리브(200)는 제1 도전 부재(7)에 연결되고, 절연 기둥(8)은 플립핑 부재(5)에 연결되거나, 슬리브(200)는 플립핑 부재(5)에 연결되고, 절연 기둥(8)은 제1 도전 부재(7)에 연결된다. 일 실시방식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기둥(8)의 일단(하단)은 플립핑 부재(5)에 연결되고, 슬리브(200)의 일단(상단)은 제1 도전 부재(7)에 연결된다. 절연 기둥(8)의 상단은 슬리브(200)의 축을 따라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자유단으로 형성된다.
절연 기둥(8)은 임의의 적절한 구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방식에서, 절연 기둥(8)은 단차형 축 형상으로서, 대경부(large-diameter portion)(81) 및 소경부(small-diameter portion)(83)를 포함하고, 대경부(81)와 소경부(83) 사이에 단차면(82)이 형성되고, 소경부(83)는 슬리브(2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대경부(81)는 플립핑 부재(5) 또는 제1 도전 부재(7)에 연결된다.
따라서, 단차면(82)이 슬리브(200)의 단면(도 4에 도시된 슬리브(200)의 하단면)과 접촉될 때, 신축 어셈블리(103b)는 최소 길이가 되고, 제1 도전 부재(7)가 압력을 받기 시작한다. 이때, 절연 기둥(8)은 다시 상향으로 이동하여, 슬리브(200)를 밀어 상향으로 이동시켜 스코어(62)를 파단시킨다. 슬리브(200)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절연 기둥(8) 상의 단차면(82)의 배치는 슬리브(200)가 플립핑 부재(5)와 접촉되어 제1 도전 부재(7)와 플립핑 부재(5)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경부(81)가 플립핑 부재(5)에 연결됨으로써, 절연 기둥(8)이 플립핑 부재(5)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핑 부재(5)에는 홈 구조(52)가 설치되고, 절연 기둥(8)의 하단부는 홈 구조(52)에 결합되어, 절연 기둥(8)과 플립핑 부재(5) 사이의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다른 실시방식에서, 절연 기둥(8)과 플립핑 부재(5)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슬리브(200)는 또한 제1 도전 부재(7)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1)는 제2 도전 부재(12)를 더 포함하고, 상부 폴(3)은 제2 도전 부재(12)에 전기적 절연 방식으로 고정되고, 제2 도전 부재(12)는 커버 플레이트 본체(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하부 폴(4)은 커버 플레이트 본체(11)에 전기적 절연 방식으로 고정되고, 제1 도전 부재(7)는 플립핑 부재(5)의 구동 하에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제2 도전 부재(12)와 접촉되어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도록 한다.
배터리 내부에 비정상이 발생되면, 플립핑 부재(5)는 절연 기둥(8) 또는 슬리브(200)를 통해 제1 도전 부재(7)를 밀게 된다. 플립핑 부재(5)가 배터리 내부의 가스 압력의 작용 하에 스코어(62)를 파단시키면, 상부 폴(3)과 하부 폴(4)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중단된다. 플립핑 부재(5)가 더 뒤집힐 때, 제1 도전 부재(7)가 이동되도록 구동하여, 제1 도전 부재(7)가 제2 도전 부재(12)와 접촉됨으로써, 상부 폴(3)과 커버 플레이트(1)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부 폴(3)은 커버 플레이트(1)에 의해 제1 폴(2)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므로, 셀(100)의 양극 및 음극이 단락되고, 전체 회로에서 도선부분으로서 기능하여 전체 파워 배터리의 갑작스런 회로 차단을 피하고 자동차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배터리 작동의 신뢰성을 보장하고, 스코어 부재(6) 및 플립핑 부재(5)의 손상 또는 실효를 유발할 수 있는 우발적인 충격 또는 주변 환경에 의한 부식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일 실시방식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도전 부재(12)는 하부 폴(4), 플립핑 부재(5), 스코어 부재(6), 제1 도전 부재(7) 및 신축 어셈블리(103b)를 커버하는 보호 커버로서 형성될 수 있어, 전술한 부품, 특히 스코어 부재(6)에 대해 신뢰성 있는 보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도전 부재(12)는 임의의 적절한 구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도전 부재(12)는 상부 플레이트(121) 및 상부 플레이트(121)의 가장자리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측벽 플레이트(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 폴(3)은 상부 플레이트(121)에 전기적 절연 방식으로 감입되고, 측벽 플레이트(122)의 하단은 커버 플레이트 본체(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제2 도전 부재(12)는 용이하게 제조되고 셀(100)의 구조적 심미감을 향상시키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방식에서, 제1 도전 부재(7)는 플립핑 부재(5)의 구동 하에 상향으로 이동되어, 상부 플레이트(121)와 접촉됨으로써, 상부 폴(3)과 제1 폴(2)을 단락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전 부재(7)에는 제2 도전 부재(12)와 접촉하는 제1 돌출부(71)가 형성된다. 또한, 제1 돌출부(71)의 상면(711)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어, 제1 돌출부(71)가 상승 후 제2 도전 부재(12)와 면 접촉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전 부재(7)는 제2 도전 부재(12)를 향해 이동 시, 상면(711)이 상부 플레이트(121)의 하부와 면 접촉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도전 부재(7)와 제2 도전 부재(12) 간의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면 접촉은 선 접촉 또는 점 접촉에 비해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의 부품의 치수 및 위치와 같은 요소의 종합적인 고려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상면(711)은 5°~20° 범위의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71)와 절연 기둥(8)은 동축으로 배치될 수 있어, 제1 도전 부재(7)가 제2 도전 부재(12)와 적시에 접촉될 수 있도록 더욱 보장한다.
본 개시에서, 제1 도전 부재(7)는 임의의 적절한 구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전 부재(7)는 본체부(72) 및 장착부(73)를 포함한다. 장착부(73)는 상부 폴(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도전 부재(7)와 제2 도전 부재(12)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본체부(72)는 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72)의 일단은 슬리브(200) 또는 절연 기둥(8)에 연결되고, 본체부(72)의 타단은 장착부(73)에 유연하게 연결되고, 본체부(72)의 중부는 제1 스코어 부재(6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체부(72)의 일단이 장착부(73)에 유연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배터리 내부의 가스 압력의 작용 하에 플립핑 부재(5)가 뒤집힐 때, 본체부(72)는 장착부(73)와의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한다(즉, 본체부(72)가 레버리지됨(leveraged)). 본체부(72)의 중부가 제1 스코어 부재(61)에 전기적으로 연결, 즉 본체부(72)와 제1 스코어 부재(61) 간의 연결 지점이 본체부(72)와 슬리브(200) 또는 절연 기둥(8) 간의 연결 지점과, 본체부(72)와 장착부(73)(즉, 레버 받침점) 간의 연결 지점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본체부(72)와 제1 스코어 부재(61) 간의 연결 지점과 본체부(72)와 장착부(73) 간의 연결 지점 사이의 거리 (L1)은, 본체부(72)와 슬리브(200) 또는 절연 기둥(8) 간의 연결 지점과 본체부(72)와 장착부(73) 간의 연결 지점 사이의 거리(L2)보다 작다. 즉, L1 <L2로, 플립핑 부재(5)가 제1 도전 부재(7)를 이동시키도록 구동 시, 긴 힘의 아암을 가지도록 한다. 레버리지 원칙에 기초하여, 스코어(62)를 파단시키는 데 필요한 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한편으로, 플립핑 부재(5)의 크기는 더 작은 배터리에 적응하도록 축소될 수 있고,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의 범용성(universal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전류 차단에서의 배터리 커버 어셈블리(103)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체부(72)와 장착부(73) 사이의 유연한 연결은 본체부(72)를 상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데 더 작은 힘이 요구되어, 회로 차단 보호 및 단락 보호의 감도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제1 도전 부재(7)에 의해 상부 폴(3)에 인가되는 힘을 줄여, 상부 폴(3)과 제2 도전 부재(12) 사이의 연결위치에서의 구조적 안정성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본 개시에서, 본체부(72)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부(73)에 유연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전 부재(7)는 일체형 도전 시트일 수 있고, 제1 도전 부재(7)는 본체부(72)와 장착부(73)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부(74)를 더 포함하고, 중간부(74)의 두께는 본체부(72) 및 장착부(73)의 두께보다 얇다. 따라서, 중간부(74)의 강도를 약화시킴으로써, 본체부(72)를 상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데 필요한 힘을 더욱 줄이게 한다. 또한, 중간부(74)의 배치를 통해, 본체부(72)가 상부 폴(3)과 일정 거리로 이격됨으로써, 본체부(72)가 상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 도전 부재(12)와 접촉 시, 상부 폴(3)을 피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의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보장한다.
제조가 용이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72)는 장착부(73)에 평행되고, 중간부(74)는 본체부(72) 및 장착부(73)에 수직되고, 본체부(72) 및 장착부(73)는 중간부(74)의 동일 측에 위치하고, 본체부(72)의 길이는 장착부(73)의 길이보다 길다.
다른 대체적인 실시방식에서, 본체부(72)의 일단은 장착부(73)에 힌지 연결되어, 본체부(72)를 상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데 필요한 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 본체(11)에는 배터리 내부의 가스와 연통되는 관통 홀(111)이 설치되고, 플립핑 부재(5)는 관통 홀(111)을 커버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방식에서, 플립핑 부재(5)는 바닥 플레이트, 바닥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서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측벽, 측벽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플랜지(51)를 포함할 수 있고, 플랜지(51)는 커버 플레이트 본체(11)에 중첩되도록 구성된다. 플랜지(51)는 용접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 본체(11)에 연결되어, 회전 시 커버 플레이트 본체(11)로부터 플립핑 부재(5)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배터리에 대한 회로 차단 보호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본 실시방식에서, 플립핑 부재(5)는 관통 홀(111)을 실링 방식으로 커버하고, 이는 한편으로 배터리 내부의 가스가 관통 홀(111)로부터 넘쳐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플립핑 부재(5)에 대한 가스의 작용을 보장할 수 있다. 다른 한편, 플립핑 부재(5)에 의해 스코어 부재(6)가 배터리 내부로부터 격리됨에 따라, 스코어 부재(6)가 배터리 내부의 전해액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해액에 의한 부식으로 인한 스코어 부재(6)의 실효 위험을 제거하고, 전해액에 의한 오염으로 인한 부품 사이의 크리피지(creepage) 위험을 감소시켜, 사용과정에서의 관련 부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코어 부재(61)에는 제2 돌출부(6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부(611)는 제1 도전 부재(7)에 연결되어, 제1 도전 부재(7)와 제2 스코어 부재(63) 사이에 간극이 존재함으로써, 회로 차단 보호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즉, 배터리의 전체 회로 차단 보호 및 단락 과정에서, 제2 스코어 부재(63)와 제1 도전 부재(7)가 상시 비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보장함으로써, 이 과정에서 상부 폴(3)과 하부 폴(4)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개시에서, 하부 폴(4) 및 스코어 부재(6)는 임의의 적절한 연결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코어 부재(6)는 하부 폴(4)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 폴(3)과 하부 폴(4)은 동축이 아니다. 구체적으로, 하부 폴(4)의 상단에는 스코어 부재(6)를 지지하는 환형 리세스(41)가 형성되고, 스코어(6)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스코어 부재(6)의 외주연은 용접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환형 리세스(41)의 내주연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상부 폴(3) 및 하부 폴(4)은 동축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스코어(62)의 파단이 용이하도록, 스코어(62)는 제2 돌출부(611)를 둘러싸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스코어(62)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스 압력의 작용 하에 윤곽이 곡률 차이가 있기 때문에, 스코어(62)의 곡률이 큰 영역은 응력 집중으로 인해 더 많은 응력을 받게 되고 먼저 파손되어, 스코어(62)가 파단되는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는 제1 절연 링(9) 및 제2 절연 링(10)을 더 포함하고, 상부 폴(3)은 제1 절연 링(9)을 통해 제2 도전 부재(12)에 고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하부 폴(4)은 제2 절연 링(10)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 본체(11)에 고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방식에 따른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로 회로 차단 보호 및 단락 보호를 구현하는 동작 원리 및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배터리 내부의 가스 압력이 플립핑 부재(5)를 밀어 뒤집고, 플립핑 부재(5)는 절연 기둥(8)가 슬리브(200) 내에서 상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동하고, 절연 기둥(8)의 단차면(82)이 슬리브(200)의 하단면과 접촉 시, 제1 도전 부재(7)는 힘을 받기 시작하고 상향으로 이동되어 스코어(62)를 파단시킴으로써, 셀 코어(102)로부터 상부 폴(3)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시킨다.
다음으로, 플립핑 부재(5)는 더 뒤집혀 제1 도전 부재(7)를 상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돌출부(71)의 상단면(711)이 제2 도전 부재(12)에 접촉되어 연결되고, 이에 따라 상부 폴(3)과 제1 폴(2)을 단락시킨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셀(100)이 제공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100)은 셀 케이싱(101) 및 셀 케이싱(101) 내에 수용된 셀 코어(102)를 포함하고, 전술한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를 더 포함한다. 커버 플레이트(1)는 셀 케이싱(101)을 패키징하도록 구성된다. 하부 폴(4)과 셀 코어(102)는 내부 인출 부재(104)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모듈(300)이 제공된다. 배터리 모듈(300)은 복수 개의 셀(100) 및 복수 개의 커넥터(301)를 포함한다. 커넥터(301)의 일단은 하난의 셀(100)의 제1 폴(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커넥터(301)의 타단은 다른 셀(100)의 제2 폴(103a)의 상부 폴(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팩 하우징(401) 및 배터리 팩 하우징(401)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모듈(300)을 포함하는 파워 배터리(400)가 제공된다. 배터리 모듈(300)은 전술한 배터리 모듈(300)이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500)가 제공된다. 전기 자동차(500)는 전술한 파워 배터리(400)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실시방식의 구체적 세부 사항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개시의 기술적 방안에 대해 다양한 간단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단순한 변형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또한, 유의해야 할 것은, 상기 구체적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체적 기술 특징은 모순 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다양한 가능한 조합은 본 개시에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개시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조합 역시 본 개시의 범위에 속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커버 플레이트 11: 커버 플레이트 본체
111: 관통 홀 12: 제2 도전 부재
121: 상부 플레이트 122: 측벽 플레이트
2: 제1 폴 3: 상부 폴
4: 하부 폴 41: 환형 리세스
5: 플립핑 부재 51: 플랜지
52: 홈 구조 6: 스코어 부재
61: 제1 스코어 부재 611: 제2 돌출부
62: 스코어 63: 제2 스코어 부재
7: 제1 도전 부재 71: 제1 돌출부
711: 상면 72: 본체부
73: 장착부 74: 중간부
8: 절연 기둥 81: 대경부
82: 단차면 83: 소경부
9: 제1 절연 링 10: 제2 절연 링
100: 셀 101: 셀 케이싱
102: 셀 코어 103: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103a: 제2 폴 103b: 신축 어셈블리
104: 내부 인출 부재 200: 슬리브
300: 배터리 모듈 301: 커넥터
400: 파워 배터리 401: 배터리 팩 하우징
500: 전기 자동차
L1: 본체부와 제1 스코어 부재 간의 연결 지점과 본체부와 장착부 간의 연결 지점 사이의 거리
L2: 본체부와 슬리브 또는 절연 기둥 간의 연결 지점과 본체부와 장착부 간의 연결 지점 사이의 거리

Claims (25)

  1. 커버 플레이트(1), 제1 폴(2), 제2 폴(103a), 플립핑 부재(5), 스코어 부재(6) 및 제1 도전 부재(7)를 포함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로서, 상기 제1 폴(2)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폴은 서로 이격되는 상부 폴(3)과 하부 폴(4)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폴(3) 및 상기 하부 폴(4)은 모두 상기 커버 플레이트(1)에 전기적 절연 방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2 폴(4)은 셀 코어(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도전 부재(7)는 상기 상부 폴(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코어 부재(6)는 상기 스코어 부재(6) 상의 스코어(62)에 의해 제1 스코어 부재(61) 및 제2 스코어 부재(63)로 분할되고, 상기 제1 스코어 부재(61)는 상기 제1 도전 부재(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스코어 부재(63)는 상기 하부 폴(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1)는 커버 플레이트 본체(11)를 포함하고, 상기 플립핑 부재(5)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 본체(11)에 배치되며 배터리 내부의 가스와 연통되고, 상기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는 신축 어셈블리(103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축 어셈블리는 절연 기둥(8) 및 상기 절연 기둥(8)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슬리빙되는 슬리브(200)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기둥(8)의 일단은 상기 플립핑 부재(5) 및 상기 제1 도전 부재(7) 중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슬리브(200)의 타단은 상기 플립핑 부재(5) 및 상기 제1 도전 부재(7)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플립핑 부재(5)는 배터리 내부의 가스 압력의 작용 하에 뒤집히며, 상기 신축 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제1 도전 부재(7)를 밀어서 이동시켜 상기 스코어(62)를 파단시킴으로써, 상기 하부 폴(4)로부터 상기 상부 폴(3)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시키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기둥(8)의 일단은 상기 플립핑 부재(5)에 연결되고, 상기 슬리브(200)의 일단은 상기 제1 도전 부재(7)에 연결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기둥(8)은 단차형 축 형상이며, 대경부(large-diameter portion)(81) 및 소경부(small-diameter portion)(83)를 포함하고, 상기 대경부(81)와 상기 소경부(83) 사이에 단차면(82)이 형성되고, 상기 소경부(83)는 상기 슬리브(2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대경부 (81)는 상기 플립핑 부재(5) 또는 상기 제1 도전 부재(7)에 연결되고, 상기 단차면(82)이 상기 슬리브(200)의 단면과 접촉 시, 상기 제1 도전 부재(7)는 이동하기 시작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핑 부재(5)에는 홈 구조(52)가 설치되고, 상기 절연 기둥(8)의 하단부는 상기 홈 구조(52)에 결합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1)는 제2 도전 부재(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폴(3)은 상기 제2 도전 부재(12)에 전기적 절연 방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2 도전 부재(12)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 본체(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부 폴(4)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 본체(11)에 전기적 절연 방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1 도전 부재(7)는 상기 플립핑 부재(5)의 구동 하에 이동하여, 상기 제2 도전 부재(12)와 접촉되어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 부재(12)는 상기 하부 폴(4), 상기 플립핑 부재(5), 상기 스코어 부재(6), 상기 제1 도전 부재(7) 및 상기 신축 어셈블리를 커버하는 보호 커버로서 형성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 부재(12)는 상부 플레이트(121)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가장자리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측벽 플레이트(122)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폴(3)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 전기적 절연 방식으로 감입되고, 상기 측벽 플레이트(122)의 하단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 본체(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 부재(7)는 상기 플립핑 부재(5)의 구동 하에 이동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와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 부재(7)에는 상기 제2 도전 부재(12)와 접촉되도록 구성된 제1 돌출부(71)가 형성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71)의 상면(711)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돌출부(71)가 상기 제2 도체 부재(12)와 면 접촉을 형성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711)은 5°~20° 범위의 각도로 경사지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71)와 상기 절연 기둥(8)은 동축으로 배치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 부재(7)는 본체부(72) 및 장착부(73)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73)는 상기 상부 폴(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72)는 긴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72)의 일단이 상기 슬리브(200) 또는 상기 절연 기둥(8)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72)의 타단은 상기 장착부(73)에 유연하게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72)의 중부는 상기 제1 스코어 부재(6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 부재(7)는 일체형 도전 시트이고, 상기 제1 도전 부재(7)는 상기 본체부(72)와 상기 장착부(73)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부(7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74)의 두께는 상기 본체부(72) 및 상기 장착부(73)의 두께보다 얇은,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72)는 상기 장착부(73)에 평행되고, 상기 중간부(74)는 상기 본체부(72) 및 상기 장착부(73)에 수직되며, 상기 본체부(72)와 상기 장착부(73)는 상기 중간부(74)의 동일 측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부(72)의 길이는 상기 장착부(73)의 길이보다 긴,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 본체(11)에는 배터리 내부의 가스와 연통되는 관통 홀(111)이 설치되고, 상기 플립핑 부재(5)는 상기 관통 홀(111)을 커버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코어 부재(61)에는 제2 돌출부(611)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돌출부(611)는 상기 제1 도전 부재(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62)는 제2 돌출부(611)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62)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 부재(6)는 상기 하부 폴(4)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상부 폴(3) 및 상기 하부 폴(4)은 동축이 아닌,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폴(4)의 상단에는 상기 스코어 부재(6)를 지지하는 환형 리세스(41)가 형성되고, 상기 스코어 부재(6)의 외주연은 상기 환형 리세스(41)의 내주연에 결합 고정되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
  22. 셀 케이싱(101) 및 상기 셀 케이싱(101) 내에 수용되는 셀 코어(102)를 포함하는 셀(100)으로서, 상기 셀은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10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1)는 상기 셀 케이싱(101)을 패키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 폴(4)과 상기 셀 코어(102)는 내부 인출 부재(104)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셀(100).
  23. 제22항에 따른 복수 개의 셀(100) 및 복수 개의 커넥터(301)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300)로서, 상기 커넥터(301)의 일단은 하나의 상기 셀(100)의 제1 폴(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301)의 타단은 다른 상기 셀(100)의 제2 폴의 상부 폴(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 모듈(300).
  24. 배터리 팩 하우징(401) 및 상기 배터리 팩 하우징(401)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모듈(300)을 포함하는 파워 배터리(400)로서, 상기 배터리 모듈(300)은 제23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300)인, 파워 배터리(400).
  25. 제24항에 따른 파워 배터리(100)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500).
KR1020207031327A 2018-04-23 2019-04-11 베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셀 및 파워 배터리 KR1025550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368473.5 2018-04-23
CN201810368473.5A CN110391366B (zh) 2018-04-23 2018-04-23 电池盖板组件、单体电池、电池模组、动力电池和电动汽车
PCT/CN2019/082302 WO2019205951A1 (zh) 2018-04-23 2019-04-11 电池盖板组件、单体电池、电池模组、动力电池和电动汽车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875A true KR20200135875A (ko) 2020-12-03
KR102555097B1 KR102555097B1 (ko) 2023-07-14

Family

ID=68284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1327A KR102555097B1 (ko) 2018-04-23 2019-04-11 베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셀 및 파워 배터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37689B2 (ko)
EP (1) EP3780137B1 (ko)
JP (1) JP7002678B2 (ko)
KR (1) KR102555097B1 (ko)
CN (1) CN110391366B (ko)
TW (1) TWI704712B (ko)
WO (1) WO201920595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946952U (zh) * 2015-09-21 2016-01-06 宁德时代新能源科技有限公司 二次电池顶盖及二次电池
CN205790089U (zh) * 2016-05-31 2016-12-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盖板组件及电池
US20170047565A1 (en) * 2015-08-13 2017-02-16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CN206322739U (zh) * 2016-12-09 2017-07-11 东莞塔菲尔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顶盖的安全保护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2826B1 (en) 1999-08-11 2002-01-29 Therm-O-Disc, Incorporated Pressure and temperature responsive switch assembly
CN2854822Y (zh) * 2005-11-29 2007-01-03 罗新华 锂离子电池组合盖帽防爆装置
CN201037564Y (zh) * 2007-04-16 2008-03-1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电池安全阀
CN101567432B (zh) * 2009-06-05 2011-06-15 深圳市科达利实业股份有限公司 锂电池电芯的防爆及断电保护装置及其制作方法
KR101352840B1 (ko) * 2012-02-08 2014-01-21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배터리 과열 방지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배터리 팩
JP2013191355A (ja) 2012-03-13 2013-09-26 Sanyo Electric Co Ltd 二次電池セル、電源装置及び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並びに蓄電装置
KR102154330B1 (ko) * 2014-02-05 2020-09-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6296153B2 (ja) * 2014-05-12 2018-03-2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
EP3246756B1 (en) * 2015-01-14 2021-05-26 Kao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JP2016162621A (ja) 2015-03-03 2016-09-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
DE102016107971A1 (de) * 2015-05-14 2016-11-1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ekundärbatterie
CN205564868U (zh) * 2016-02-25 2016-09-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单体电池、电池模组、动力电池及电动汽车
CN107123775B (zh) * 2016-02-25 2020-09-1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单体电池、电池模组、动力电池及电动汽车
JP6460417B2 (ja) * 2016-10-05 2019-01-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の製造方法
CN106450136B (zh) * 2016-11-15 2020-02-1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及电池模组
CN207124215U (zh) 2017-09-07 2018-03-20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的顶盖组件以及二次电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47565A1 (en) * 2015-08-13 2017-02-16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CN204946952U (zh) * 2015-09-21 2016-01-06 宁德时代新能源科技有限公司 二次电池顶盖及二次电池
CN205790089U (zh) * 2016-05-31 2016-12-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盖板组件及电池
CN206322739U (zh) * 2016-12-09 2017-07-11 东莞塔菲尔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顶盖的安全保护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391366A (zh) 2019-10-29
US20210234242A1 (en) 2021-07-29
CN110391366B (zh) 2020-11-20
EP3780137A1 (en) 2021-02-17
US11437689B2 (en) 2022-09-06
JP7002678B2 (ja) 2022-01-20
EP3780137B1 (en) 2022-03-23
KR102555097B1 (ko) 2023-07-14
TW201944637A (zh) 2019-11-16
JP2021518982A (ja) 2021-08-05
TWI704712B (zh) 2020-09-11
WO2019205951A1 (zh) 2019-10-31
EP3780137A4 (en) 202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7170B1 (ko) 이차 전지
EP3104431B1 (en) Top cover structure of power battery and power battery
JP2010267615A (ja) 二次電池
CN104025334A (zh) 电池电芯、电池、机动车辆
KR20200097328A (ko)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싱글 셀, 배터리 모듈, 파워 배터리 및 전기 자동차
KR101608694B1 (ko) 2차 전지용 과충전 방지 장치
CN112968258B (zh) 电池盖板组件、电池、电池模组、动力电池和电动汽车
KR102477392B1 (ko) 배터리 시스템 및 전기 자동차
KR102555097B1 (ko) 베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셀 및 파워 배터리
WO2018153156A1 (zh) 一种电池电极组件、盖板组件及电池
CN110391365B (zh) 电池盖板组件、单体电池、电池模组、动力电池和电动汽车
US11424519B2 (en) Current interrupt apparatus and flipping member thereof, battery cover plate assembly, cell, battery module, power battery, and electric vehicle
CN110391388B (zh) 电池盖板组件、单体电池、电池模组、动力电池和电动汽车
KR20160142629A (ko) 전지 모듈
CN110391389B (zh) 电池盖板组件、单体电池、电池模组、动力电池和电动汽车
WO2019114772A1 (zh) 电流中断装置及其刻痕件、电池盖板组件、单体电池、电池模组、动力电池及电动汽车
CN110391364A (zh) 电池盖板组件、单体电池、电池模组、动力电池和电动汽车
US20200313150A1 (en) Battery system and electric vehicle
KR20190005668A (ko)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