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5515A - 본딩 헤드 - Google Patents

본딩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5515A
KR20200135515A KR1020207030918A KR20207030918A KR20200135515A KR 20200135515 A KR20200135515 A KR 20200135515A KR 1020207030918 A KR1020207030918 A KR 1020207030918A KR 20207030918 A KR20207030918 A KR 20207030918A KR 20200135515 A KR20200135515 A KR 20200135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base
spring
load sensor
bond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0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9934B1 (ko
Inventor
토루 마에다
신 타카야마
Original Assignee
야마하 모터 로보틱스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모터 로보틱스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모터 로보틱스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35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44Apparatus for mounting on conductive members, e.g. leadframes or conductors on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52Mounting semiconductor bodies in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s to be conveyed not being semiconductor wafers or large planar substrates, e.g. chips, lead fram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e Bonding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베이스(11)와, 일단에 콜릿(21)이 부착되고, 베이스(11)에 대하여 회전축(13)의 둘레로 회전 자유롭게 부착되는 암(20)과, 암(20)의 타단과 베이스(11)와의 사이에 부착된 초기 장력을 가진 스프링(19)과, 스프링(19)의 인장력에 대항하여 암(20)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 부분(18)과, 콜릿(21)에 인가되는 상측 방향의 접지 하중을 검출하는 하중 센서(25)를 갖추고, 하중 센서(25)는 스토퍼 부분(18)에 의해 암(20)의 회전이 구속되어 있는 상태에서만 접지 검출을 행한다.

Description

본딩 헤드
본 발명은 본딩 헤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다이를 기판에 실장하는 본딩 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딩 장치에서는, 콜릿의 선단에 흡착한 반도체 다이가 기판의 표면에 접지한 것을 검출하는 접지 검출이 행해진다. 종래의 본딩 장치에서는, 콜릿을 스프링으로 지지하고, 콜릿의 선단이 접지했을 때의 콜릿 후단의 변위에 의한 접점의 해방에 의해 접지 검출을 행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개 평7-45644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기술에 의한 접지 검출은 변위가 접점을 개방할 정도의 크기가 되었을 때 접지를 검출하므로, 검출에 시간 지연이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경년적인 오염 등에 의해 콜릿의 상하 방향 지지부의 슬라이딩 저항이 증가하면 감도가 저하하여 오류 검출을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콜릿을 코일 스프링으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본딩 헤드가 이동할 때의 외력의 영향에 의해 콜릿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해 버려, 콜릿에 흡착되어 있는 반도체 다이의 위치 검출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본딩 헤드에 있어서, 접지 검출의 감도와 응답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외력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접지 검출을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본딩 헤드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베이스와, 일단에 본딩 툴이 부착되고, 베이스에 대하여 수평축 둘레로 회전 자유롭게 부착되는 암과, 암의 타단과 베이스와의 사이에 부착된 초기 장력을 가진 스프링과, 스프링의 바이어스력에 대항하여 암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와, 본딩 툴에 인가되는 상측 방향의 접지 하중을 검출하는 하중 센서를 갖추고, 하중 센서는 스토퍼에 의해 암의 회전이 구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접지 검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본딩 헤드에 있어서, 수평축은 축 방향의 중심선이 상기 암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본딩 헤드에 있어서, 스토퍼는 암의 타단이 맞닿는 베이스의 부분이며, 하중 센서는 베이스와 암과의 사이에 스프링과 직렬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하중 센서는 인장 하중을 검출해도 된다.
본 발명의 본딩 헤드에 있어서, 암은 베이스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한 브래킷에 회전 자유롭게 부착되고, 스토퍼는 브래킷으로부터 암의 선단측을 향하여 돌출한 부재이며, 하중 센서는 브래킷과 베이스와의 사이에 끼워 넣어져도 된다. 이 경우, 하중 센서는 압축 하중을 검출해도 된다.
본 발명의 본딩 헤드는 하중 센서에 의해 접지 검출을 행하므로, 접지 검출의 감도와 응답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외력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접지 검출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의 본딩 헤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본딩 헤드의 입단면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형태의 본딩 헤드의 입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의 본딩 헤드(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딩 헤드(100)는 도시하지 않은 Z 방향 구동 기구에 의해 상하 방향인 Z 방향으로 이동하는 베이스(11)와, 베이스(11)에 고정된 브래킷(12)과, 브래킷(12)의 하단에 회전 자유롭게 부착된 암(20)과, 암(20)의 Y 방향 마이너스측단(22)에 부착된 스프링(19)과, 하중 센서(25)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Z 방향은 상하 방향, XY 방향은 수평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도면 중의 XYZ의 각 화살표는 각각의 플러스 방향을 나타낸다.
베이스(11)는 직방체의 블록이며, 상단면에 선단이 Y 방향 마이너스측으로 뻗는 L자형의 돌출부(15)를 가지고 있다. 돌출부(15)의 Y 방향 마이너스측단에는, 스프링(19)의 상단이 걸어맞추어지는 훅(16)이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11)의 Y 방향 플러스측에는, 공기관(30)이 부착되는 구멍(33)과, 절결부(31)가 설치되어 있다. 구멍(33)에 부착된 공기관(30)의 상단은 절결부(31)로부터 Y 방향 플러스측으로 뻗어 있다.
베이스(11)의 Y 방향 플러스측의 면에는, H형의 후판 형상의 브래킷(12)이 부착되어 있다. H형을 구성하는 브래킷(12)의 상측의 절결부(31)에는 공기관(30)의 선단이 통과하고 있다. H형을 구성하는 브래킷(12)의 하측의 오목부(17)의 내측에는, 사각 단면이며 Y 방향으로 뻗는 봉 형상의 암(20)이 배치되어 있다. 암(20)은 하측의 오목부(17)의 양측 부분에 너트(14)로 고정된 수평 방향으로 뻗는 수평축인 회전축(13)의 둘레로 회전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회전축(13)은 축 방향의 중심선이 암(20)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암(20)의 일단인 Y 방향 플러스측단에는 본딩 툴인 콜릿(21)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암(20)의 타단인 Y 방향 마이너스측단(22)의 상측의 면은 베이스(11)의 Y 방향 마이너스측단의 하면에 설치된 스토퍼 부분(18)에 맞닿아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19)의 상단은 베이스(11)에 설치된 돌출부(15)의 Y 방향 마이너스측단에 부착된 훅(16)에 걸어맞추어지고, 스프링(19)의 하단은 하중 센서(25)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하중 센서(25)의 하단은 암(20)의 Y 방향 마이너스측단(22)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중 센서(25)는 베이스(11)와 암(20)의 사이에 스프링(19)과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스프링(19)은 초기 장력(F)이 걸릴 때까지는 늘어남이 제로이며, 초기 장력(F)을 초과하는 장력이 걸리면 비로소 전체 길이가 늘어나기 시작하는 초기 장력을 가진 스프링이다. 하중 센서(25)는 판 형상의 부재의 위에 피에조 소자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 등을 붙인 것으로, 판 형상 부재의 스트레인을 검출함으로써 판 형상 부재에 걸리는 인장력을 접지 하중으로 검출하는 것이다.
스프링(19)은 콜릿(21)이 접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초기 장력(F)보다도 작은 약한 장력이 바이어스력으로서 걸리도록 설정되어 있고, 이 장력에 의해 암(20)의 Y 방향 마이너스측단(22)의 상측의 면은 베이스(11)의 스토퍼 부분(18)에 밀어붙여져 있다. 이것에 의해, 암(20)의 회전이 구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토퍼 부분(18)은 스프링(19)의 바이어스력에 대항하여 암(20)의 회전을 구속하고 있다.
콜릿(21)의 선단이 접지하면, 암(20)에는 회전축(13)의 둘레의 회전 모멘트가 걸린다. 이 회전 모멘트에 의해, 암(20)의 Y 방향 마이너스측단(22)이 하측으로 끌어 당겨져, 하중 센서(25)에는 인장 하중이 가해진다. 하중 센서(25)는 이 인장 하중을 검출하고,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 콜릿(21)의 접지를 검출한다.
이때, 콜릿(21)의 선단에 인가되는 상측 방향의 힘에 의해 스프링(19), 하중 센서(25)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스프링(19)의 초기 장력(F)을 초과할 때까지는, 스프링(19)은 늘어나지 않으므로, 콜릿(21)으로부터 가해지는 상측 방향의 하중을 하중 센서(25)에서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콜릿(21)의 선단에 인가되는 상측 방향의 힘에 의해, 스프링(19), 하중 센서(25)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스프링(19)의 초기 장력(F)을 초과하면, 콜릿(21)으로부터의 상측 방향의 힘에 의해, 스프링(19)이 늘어나고, 암(20)의 Y 방향 마이너스측단(22)의 상측의 면이 베이스(11)의 스토퍼 부분(18)으로부터 떨어진다. 이 때문에, 콜릿(21)에 과대한 하중이 걸려, 콜릿(21)의 선단에 흡착하고 있는 반도체 다이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하중 센서(25)의 늘어남은 콜릿(21)의 상측 방향의 힘에 비례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하중 센서(25)는 스토퍼 부분(18)에 의해 암(20)의 회전이 구속되어 있는 상태에서만 접지 검출을 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본딩 헤드(100)는 하중 센서(25)에 의해 접지 검출을 행하므로, 접지 검출의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암(20)에 의해 콜릿(21)에 걸리는 하중을 증폭하여 하중 센서(25)에 걸도록 하고 있으므로, 하중의 검출 감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콜릿(21)의 선단에 큰 하중이 인가되었을 때는, 스프링(19)이 늘어남으로써 콜릿(21)의 선단에 걸리는 하중을 풀어주어, 콜릿(21)의 선단에 흡착되어 있는 반도체 다이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콜릿(21)이 접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프링(19)에 의해 암(20)의 Y 방향 마이너스측단(22)의 상측의 면을 베이스(11)의 스토퍼 부분(18)에 밀어 붙이고 있으므로, 본딩 헤드(100)의 이동 시에 콜릿(21)이 Z 방향으로 진동하지 않아, 본딩 헤드(100)의 이동 중에 콜릿(21)의 선단에 흡착된 반도체 다이의 위치 검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면서, 다른 실시형태의 본딩 헤드(200)에 대해 설명한다. 본딩 헤드(200)는 베이스(51)와, 브래킷(52)과, 암(54)과, 콜릿(55)과, 스토퍼(53)와, 스프링(56)과, 하중 센서(58)를 포함하고 있다.
브래킷(52)은 베이스(51)의 하측에 하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암(54)은 브래킷(52)의 하단부에 회전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스토퍼(53)는 브래킷(52)의 하단에 부착되고, 브래킷(52)으로부터 암(20)의 Y 방향 플러스측단 측을 향하여 돌출한 판 형상의 부재이다. 하중 센서(58)는 브래킷(52)과 베이스(51)의 사이에 끼워 넣어져 압축 하중을 검출한다.
본딩 헤드(200)의 스프링(56)은 앞에 설명한 본딩 헤드(100)의 스프링(19)과 동일한 초기 장력을 가진 스프링이며, 콜릿(21)의 선단이 접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초기 장력(F)보다 작은 약한 인장력으로 암(54)의 Y 방향 마이너스측단을 상측 방향으로 끌어당겨 올려서 암(54)의 하면을 스토퍼(53)의 상측의 면에 밀어붙이고 있다.
접지에 의해 콜릿(21)의 선단에 가해지는 상측 방향의 힘에 의해 스프링(56)에 걸리는 인장력이 초기 장력(F)보다도 작은 상태에서는, 스프링(56)의 늘어남은 제로이며, 콜릿(21)의 선단에 가해지는 하중은 하중 센서(58)에 의해 검출된다. 또한, 스프링(56)에 가해지는 하중이 초기 장력(F)을 초과한 경우에는, 스프링(56)이 늘어나 콜릿(21)의 선단에 가해지는 하중을 풀어준다.
이와 같이, 본딩 헤드(200)는 본딩 헤드(100)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1, 51 베이스, 12, 52 브래킷, 13 회전축, 14 너트, 15 돌출부, 16 훅, 17 오목부, 18 스토퍼 부분, 20, 54 암, 21, 55 콜릿, 22 Y 방향 마이너스측단, 25, 58 하중 센서, 30 공기관, 31 절결부, 33 구멍, 53 스토퍼, 100, 200 본딩 헤드, F 초기 장력.

Claims (6)

  1.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베이스와,
    일단에 본딩 툴이 부착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수평축의 둘레로 회전 자유롭게 부착되는 암과,
    상기 암의 타단과 상기 베이스와의 사이에 부착된 초기 장력을 가진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바이어스력에 대항하여 상기 암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와,
    상기 본딩 툴에 인가되는 상측 방향의 접지 하중을 검출하는 하중 센서를 갖추고,
    상기 하중 센서는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암의 회전이 구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접지 검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딩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축은 축 방향의 중심선이 상기 암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딩 헤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암의 타단이 맞닿는 상기 베이스의 부분이며,
    상기 하중 센서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암과의 사이에 상기 스프링과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딩 헤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센서는 인장 하중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딩 헤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한 브래킷에 회전 자유롭게 부착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상기 암의 선단측을 향하여 돌출한 부재이며,
    상기 하중 센서는 상기 브래킷과 상기 베이스와의 사이에 끼워 넣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딩 헤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센서는 압축 하중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딩 헤드.
KR1020207030918A 2018-08-06 2019-08-06 본딩 헤드 KR102399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47318 2018-08-06
JP2018147318 2018-08-06
PCT/JP2019/030995 WO2020032068A1 (ja) 2018-08-06 2019-08-06 ボンディングヘッ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515A true KR20200135515A (ko) 2020-12-02
KR102399934B1 KR102399934B1 (ko) 2022-05-19

Family

ID=69413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0918A KR102399934B1 (ko) 2018-08-06 2019-08-06 본딩 헤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905778B2 (ko)
KR (1) KR102399934B1 (ko)
CN (1) CN112585732A (ko)
TW (1) TWI711089B (ko)
WO (1) WO2020032068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5842U (ja) * 1983-11-18 1985-06-13 株式会社新川 ダイボンダ−のコレツトタツチ検出機構
JPH04133337U (ja) * 1991-06-03 1992-12-11 光洋電子工業株式会社 非接触検出器の取付構造
JPH0745644A (ja) 1993-07-26 1995-02-14 Shinkawa Ltd チップボンデイング方法及び装置
KR20100085030A (ko) * 2007-11-06 2010-07-28 파나소닉 주식회사 부품 실장기, 부품 장착 헤드 및 부품 장착 방법
KR20130088702A (ko) * 2012-01-31 2013-08-08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하이테크 인스트루먼츠 다이 본더 및 본딩 방법
CN107289872A (zh) * 2017-06-28 2017-10-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测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26488D0 (en) * 1988-11-11 1988-12-14 Emhart Deutschland Quality control for wire bonding
JP2501946B2 (ja) * 1990-09-26 1996-05-29 三菱電機株式会社 ダイボンド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2110706A (ja) * 2000-09-27 2002-04-12 Nidec Tosok Corp ボンディング装置
JP2008270591A (ja) * 2007-04-23 2008-11-06 Shinkawa Ltd ダイボンダにおける湾曲回路基板の固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62185B2 (ja) * 2011-07-12 2015-08-12 株式会社新川 ダイボンディ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5842U (ja) * 1983-11-18 1985-06-13 株式会社新川 ダイボンダ−のコレツトタツチ検出機構
JPH04133337U (ja) * 1991-06-03 1992-12-11 光洋電子工業株式会社 非接触検出器の取付構造
JPH0745644A (ja) 1993-07-26 1995-02-14 Shinkawa Ltd チップボンデイング方法及び装置
KR20100085030A (ko) * 2007-11-06 2010-07-28 파나소닉 주식회사 부품 실장기, 부품 장착 헤드 및 부품 장착 방법
KR20130088702A (ko) * 2012-01-31 2013-08-08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하이테크 인스트루먼츠 다이 본더 및 본딩 방법
CN107289872A (zh) * 2017-06-28 2017-10-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测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05778B2 (ja) 2021-07-21
WO2020032068A1 (ja) 2020-02-13
KR102399934B1 (ko) 2022-05-19
CN112585732A (zh) 2021-03-30
TW202008474A (zh) 2020-02-16
TWI711089B (zh) 2020-11-21
JPWO2020032068A1 (ja)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531239A (ja) 把持精度を改善したマニピュレータロボット用グリッパ、及び少なくとも1つの該グリッパを備えているマニピュレータロボット
EP106943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ic handler and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US10220519B2 (en) Contact control device
WO2017161193A4 (en) Optical probe with crash protection and probe clips
KR20200135515A (ko) 본딩 헤드
CA27555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machine
US6948387B2 (en) Clamp calibra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09117433A (ja) 加圧搭載ヘッドの制御方法及び装置
KR101149496B1 (ko) 이송로봇의 이송암
KR102062887B1 (ko) 드론시험장치
KR20110136036A (ko) 로봇 교시 장치 및 방법
US7964998B2 (en) Linearly actuated switch for robot crash protector device
KR101913696B1 (ko) 피검출물 누락 검사용 장치
JP7110546B2 (ja) 物体の持上げ可否判定方法
JP7144353B2 (ja) ネジ締付装置の異常検知方法
CN207551875U (zh) 一种高位拣选叉车链条松弛的检测装置
US7629545B1 (en) Impact-activated trigger with omni-directional sensor
JP7349189B1 (ja) スマートセンサ化グリッパ
KR20060081464A (ko) 웨이퍼 이송 장치
KR101923524B1 (ko) 근접센서장치
US20240109186A1 (en) Smart sensorized gripper
JP6791064B2 (ja) 高速引張試験機
JP2009155018A (ja) 荷役機械
JP2006313102A (ja) 形状測定装置
JPWO2022195697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