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907A - 방화성능을 향상시킨 건축물용 스텝 타입 복층유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화성능을 향상시킨 건축물용 스텝 타입 복층유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907A
KR20200134907A KR1020190061091A KR20190061091A KR20200134907A KR 20200134907 A KR20200134907 A KR 20200134907A KR 1020190061091 A KR1020190061091 A KR 1020190061091A KR 20190061091 A KR20190061091 A KR 20190061091A KR 20200134907 A KR20200134907 A KR 20200134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rame
locking
pressing member
build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5491B1 (ko
Inventor
김환엽
Original Assignee
(주)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테크 filed Critical (주)한테크
Priority to KR1020190061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491B1/ko
Publication of KR20200134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7Details of the cross-section of the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21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with special provisions for fitting in window frames or to adjacent units; Separate edge protecting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성능을 향상시킨 건축물용 스텝 타입 복층유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단차부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마감재; 상기 프레임의 단차부와 상기 마감재 사이에 고정되게 배치되되, 양 단부의 길이가 서로 다른 제1 유리 및 제2 유리와, 상기 제1 유리와 제2 유리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하는 간격유지재로 구성되는 복층유리; 및 상기 제1 유리 및 제2 유리 중,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유리의 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단착부에 밀착되게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유리의 단부와 상기 마감재에 개재되어 상기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유리를 항상 프레임의 단차부 쪽으로 가압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화성능을 향상시킨 건축물용 스텝 타입 복층유리 시스템{Multi-layer glass system of step type for building}
본 발명은 방화성능을 향상시킨 건축물용 스텝 타입 복층유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 시 복층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유리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화재의 확산을 예방하도록 한 방화성능을 향상시킨 건축물용 스텝 타입 복측유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주체구조인 기둥과 보의 골조만으로 건축물에 가해지는 수직하중과, 바람이나 지진 등에 의한 수평하중을 지지하는 구조에서 벽체는 단순히 공간을 칸막이하는 커튼 구실만 하기 때문에, 이 때의 벽체를 커튼월이라고 하며, 한국 건축 용어로는 비내력 칸막이벽이라고 한다.
외부로부터의 비나 바람을 막고 소음이나 열을 차단하는 구실을 하며, 기둥과 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유리 등을 사용한 벽면은 근대적인 건축양식으로 특히 외장용으로서 큰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커튼월은 특히 고층 또는 초고층 건축물에 많이 사용된다. 즉, 높이가 100m 이상의 건축물이면 외부에서 비계조립이 어렵기 때문에 미리 공장에서 제작한 외벽 패널을 들어올려서 붙이는 방법이 많이 쓰이고 있다.
이와 같이 공장에서 제작되면,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패널은 규격화되어 통일되는 것이 특징이며, 이 때문에 건축물의 외관도 공업적인 새로운 구성을 보여주게 된다.
종래의 커튼월은 상하 슬라브에 복수의 수직프레임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되고, 이 수직프레임들에는 소정의 높이 차를 두고 복수의 수평프레임이 결합되며, 이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사이에는 복층유리가 나란히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건축물용 커튼월 시스템에 적용되는 복층유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건축물용 커튼월 시스템(10)은,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 슬라브에 대하여 고정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20)과, 이 복수의 수직프레임들 사이에 소정의 높이 차를 두고 고정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미도시됨) 및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복층유리(2,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수직프레임(20) 및 수평프레임(이하에서는, 프레임으로 통칭함.)은 복층유리(2,4)가 안착되기 위한 단차부가 형성되도록, 전체적인 폭이 상대적으로 큰 제1 프레임부(22)와, 이 제1 프레임부(22)의 일면 중앙 부위로부터 돌출되게 결합되어 제1 프레임부(2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폭이 작은 제2 프레임부(24)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프레임(20)의 제2 프레임부(24) 양측 면에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복층유리(2,4)들이 안착되기 위한 단턱부(도면부호 미부여)가 형성되어 있다.
복층유리(2,4)는 제1 유리(2)와 제2 유리(4)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고, 제1 유리(2)와 제2 유리(4)를 일정 간격만큼 이격시키기 위하여 제1 유리(2)와 제2 유리(4) 사이에는 탄성재질의 간격유지재(4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20)과 대향되는 반대측에는 제1 유리(2)의 단부측을 가압하여 복층유리(2,4)가 안정되게 고정시키기 위한 마감재(30)가 배치되고, 이 마감재(30)와 프레임(20)의 제2 프레임부(24)는 볼트 또는 나사 등의 결합부재(32)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건축물용 커튼월 시스템(10)은, 제1 유리(2)와 제2 유리(4)로 구성되는 복층유리(2,4)가 프레임(20)의 제1 프레임부(22)와 마감재(30) 사이에 그 단부가 배치되되, 제1 유리(2) 및 제2 유리(4)는 탄성재질의 간격유지재(40)에 의해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지지된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간격유지재(40)의 손상 시 제1 유리(2) 및 제2 유리(4)는 그 지지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간격유지재(40)는 고무나 실리콘 재질 등과 같이 열에 의해 쉽게 변형이 이루어지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있는바, 화재 등에 의해 복층유리(2,4)에 열이 가해지는 경우, 간격유지재(40)가 열에 의해 변형됨에 따라 제1 유리(2) 및 제2 유리(4)는 그 지지력을 상실하게 되어 유동성을 갖게 되는바, 복층유리(2,4)와 프레임(2)과의 틈새를 통해 화재에 따른 유독가스가 유입되거나 화재를 확산시키게 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아래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그 열이 위층으로 전달됨에 따라 위층의 복층유리(2,4)에 그대로 열이 전달되는 경우, 위층의 복층유리 즉, 제1 유리(2)와 제2 유리(4)에 개재된 간격유지재(40)가 열에 의해 변형 등 손상되면, 제1 유리(2) 및 제2 유리(4)는 그 지지력을 상실하고 유동성을 가지게 되는바, 마감재(30)와 복층유리(2,4) 및 프레임(20) 사이의 틈새로 유독가스가 위층으로 유입되거나 또는 화재가 상기 틈새를 통해 위층으로 확산될 우려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960436호(2019.03.14.) 한국특허공개 제10-2019-0032680호(2019.03.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재 발생 시 복층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유리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화재의 확산을 예방하도록 한 방화성능을 향상시킨 건축물용 스텝 타입 복측유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성능을 향상시킨 건축물용 스텝 타입 복층유리 시스템은, 단차부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마감재; 상기 프레임의 단차부와 상기 마감재 사이에 고정되게 배치되되, 양 단부의 길이가 서로 다른 제1 유리 및 제2 유리와, 상기 제1 유리와 제2 유리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하는 간격유지재로 구성되는 복층유리; 및 상기 제1 유리 및 제2 유리 중,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유리의 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단착부에 밀착되게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유리의 단부와 상기 마감재에 개재되어 상기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유리를 항상 프레임의 단차부 쪽으로 가압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압부재는, 내화금속 재질이고, 일 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되기 위한 걸림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부재는, 내화금속 재질이고, 사각 단면 형상의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의 일측 면으로부터 일정 너비만큼 돌출된 제2 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제1 부재의 양 면에는 각각 제1 걸림돌기 및 제2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제1 걸림돌기 및 제2 걸림돌기 중, 어느 하나의 걸림돌기가 걸림되기 위한 걸림 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 홈에 걸림된 어느 하나의 걸림돌기의 대향 면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걸림돌기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유리의 끝단 내면에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제1 프레임부와, 상기 제1 프레임부의 일 면 중앙 부위로부터 돌출되게 결합되되, 상기 제1 프레임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제2 프레임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측면에 걸림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감재와 상기 제2 프레임부는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성능을 향상시킨 건축물용 스텝 타입 복층유리 시스템에 의하면, 화재 발생 시 복층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유리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유독가스의 유입 및 화재의 확산 등이 예방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축물용 커튼월 시스템에 적용되는 복층유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화성능을 향상시킨 건축물용 스텝 타입 복층유리 시스템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화성능을 향상시킨 건축물용 스텝 타입 복층유리 시스템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성능을 향상시킨 건축물용 스텝 타입복층유리 시스템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화성능을 향상시킨 건축물용 스텝 타입 복층유리 시스템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용 스텝 타입 복층유리 시스템(100)은,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 슬라브에 대하여 고정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130)과, 이 복수의 수직프레임(130)들 사이에 소정의 높이 차를 두고 고정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미도시됨) 및 수직프레임(130)과 수평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복층유리(110,1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수직프레임(130) 및 수평프레임(이하에서는, 프레임(130)으로 통칭함.)은 복층유리(110,120)가 안착되기 위한 단차부(도면부호 미부여)가 형성되도록, 전체적인 폭이 상대적으로 큰 제1 프레임부(132)와, 이 제1 프레임부(132)의 일면 중앙 부위로부터 돌출되게 결합되어 제1 프레임부(13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폭이 작은 제2 프레임부(134)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130)의 제2 프레임부(134) 양측에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복층유리(110,120)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유리가 안착되고, 후술되는 가압부재(200)가 안착되기 위한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층유리(110,120)는 제1 유리(110)와 제2 유리(120)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되, 그 단부의 길이가 다르게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복층유리(110,120) 중, 내측에 배치되는 제1 유리(110)는 그 단부가 프레임(130)의 단차부에 안착되어 제2 프레임부(134)의 일 측면과 밀접하게 위치되고,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유리(120)는 그 단부가 제1 유리(110)의 단부 측에 안착되어 제1 유리(110)를 프레임(130)의 단차부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200)의 일측 면과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유리(110)에 비하여 제2 유리(120)는 그 전체적인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됨으로써, 그 단부가 단차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층유리(110,120)를 이루는 제1 유리(110)와 제2 유리(120)를 일정 간격만큼 이격시키기 위하여 제1 유리(110)와 제2 유리(120) 사이에는 탄성재질의 간격유지재(150)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130)과 대향되는 반대측에는 가압부재(200)의 일 면을 가압함에 따라 가압부재(200) 및 제1 유리(110)를 안정되게 고정시키기 위한 마감재(140)가 배치되고, 이 마감재(140)와 프레임(130)의 제2 프레임부(134)는 볼트 또는 나사 등의 결합부재(142)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재(200)는 열에 의해 쉽게 변형되거나 녹지 않는 내화금속 재질로 제작된 것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압부재(200)는 대략 사각 단면 형상의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일측 면에는 걸림돌기(210)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프레임(130)의 제2 프레임부(134) 양 측면에는 가압부재(200)의 걸림돌기(210)에 대응하는 걸림 홈(136)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재(200)의 일 측면에 형성된 걸림돌기(210)는 프레임(130)의 제2 프레임부(134)에 형성된 걸림 홈(136)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됨으로써, 복층유리(110,120)의 설치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의 이탈이 예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화성능을 향상시킨 건축물용 스텝 타입 복층유리 시스템(100)의 결합관계 및 그에 따른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레임(130)의 단차부에 제1 유리(110)의 단부를 안착시키되, 그 끝단이 제2 프레임부(134)의 일 면과 밀접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다음에, 제1 유리(110)의 단부에 가압부재(200)가 안착되도록 하되, 가압부재(200)의 걸림돌기(210)를 제2 프레임부(134)의 걸림 홈(136)에 끼워맞추어 고정되도록 한다.
계속해서, 제1 유리(110)에 대하여 간격유지재(150)에 의해 일정 간격이 이격된 상태로 제2 유리(120)를 적층되게 배치하여 고정시킨다.
이 때, 제2 유리(120)의 단부 끝단은 가압부재(200)의 일 면에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마감재(140)를 가압부재(200) 및 제2 프레임부(134)의 일 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마감재(140)와 제2 프레임부(134)를 볼트나 나사 등의 결합부재(142)로서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따라서, 가압부재(200)는 제1 유리(110)의 단부 측 일 면과 마감재(14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제1 유리(110)를 프레임(130)의 단차부 방향으로 항상 가압하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가압부재(200)와 제2 프레임부(134)가 걸림돌기(210) 및 걸림 홈(136)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가압부재(200)와 제2 프레임부(134)는 볼트나 나사 등의 결합부재로서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화성능을 향상시킨 건축물용 스텝 타입 복층유리 시스템(100)의 경우, 화재 발생 등에 의해 복층유리(110,120)에 열이 전달되어 복층유리(110,120)에 개재된 탄성재질의 간격유지재(150)가 변형 또는 손상되더라도 외측의 제2 유리(120)만 유동성을 가질 뿐, 제1 유리(110)는 가압부재(200)에 의해 프레임(130)의 단차부에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바, 화재에 의한 열기나 유독가스 등의 유입이 차단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화성능을 향상시킨 건축물용 스텝 타입 복층유리 시스템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일 실시 예에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용 스텝 타입 복층유리 시스템(100)은,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 슬라브에 대하여 고정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130)과, 이 복수의 수직프레임(130)들 사이에 소정의 높이 차를 두고 고정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미도시됨) 및 수직프레임(130)과 수평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복층유리(110,1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수직프레임(130) 및 수평프레임(이하에서는, 프레임(130)으로 통칭함.)은 복층유리(110,120)가 안착되기 위한 단차부가 형성되도록, 전체적인 폭이 상대적으로 큰 제1 프레임부(132)와, 이 제1 프레임부(132)의 일면 중앙 부위로부터 돌출되게 결합되어 제1 프레임부(13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폭이 작은 제2 프레임부(134)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130)의 제2 프레임부(134) 양측에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복층유리(110,120)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유리가 안착되고, 후술되는 가압부재(300)가 안착되기 위한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층유리(110,120)는 제1 유리(110)와 제2 유리(120)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되, 그 단부의 길이가 다르게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복층유리(110,120) 중, 내측에 배치되는 제1 유리(110)는 그 단부가 프레임(130)의 단차부에 안착되어 제2 프레임부(134)의 일 측면과 밀접하게 위치되고,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유리(120)는 그 단부가 제1 유리(110)의 단부 측에 안착되어 제1 유리(110)를 프레임(130)의 단차부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300)의 일측 면과 밀착이 이루어지면서 가압부재(300)의 후술되는 단턱부(도면부호 미부여)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유리(110)에 비하여 제2 유리(120)는 그 전체적인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됨으로써, 그 단부가 단차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층유리(110,120)를 이루는 제1 유리(110)와 제2 유리(120)를 일정 간격만큼 이격시키기 위하여 제1 유리(110)와 제2 유리(120) 사이에는 탄성재질의 간격유지재(150)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130)과 대향되는 반대 측에는 가압부재(300)의 일 면을 가압함에 따라 가압부재(300) 및 제1 유리(110)를 안정되게 고정시키기 위한 마감재(140)가 배치되고, 이 마감재(140)와 프레임(130)의 제2 프레임부(134)는 볼트 또는 나사 등의 결합부재(142)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재(300)는 열에 의해 쉽게 변형되거나 녹지 않는 내화금속 재질로 제작된 것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압부재(300)는 대략 사각 단면 형상의 봉 형태로 형성되는 제1 부재(310)와, 이 제1 부재(310)의 일측 면으로부터 일정 너비만큼 돌출된 제2 부재(311)로 구성되어 대략 ㄱ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부재(310)의 양 면에는 각각 제1 걸림돌기(314) 및 제2 걸림돌기(312)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프레임(130)의 제2 프레임부(134) 양 측면에는 가압부재(300)의 제1 걸림돌기(314)에 대응하는 걸림 홈(136)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재(300)의 제1 부재(310) 일 측면에 형성된 제1 걸림돌기(314)는 프레임(130)의 제2 프레임부(134)에 형성된 걸림 홈(136)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되고, 제1 부재(310)의 타 측면에 형성된 제2 걸림돌기(312)는 제2 유리(120)의 끝단 내면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됨으로써, 복층유리(110,120)의 설치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의 이탈이 예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화성능을 향상시킨 건축물용 스텝 타입 복층유리 시스템(100)의 결합관계 및 그에 따른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레임(130)의 단차부에 제1 유리(110)의 단부를 안착시키되, 그 끝단이 제2 프레임부(134)의 일 면과 밀접하게 위치되도록 한다.
다음에, 제1 유리(110)에 대하여 간격유지재(150)에 의해 일정 간격이 이격된 상태로 제2 유리(120)를 적층되게 배치하여 고정시킨다.
계속해서, 제1 유리(110)의 단부에 가압부재(300)가 안착되도록 하되, 가압부재(300)의 제1 걸림돌기(314)를 제2 프레임부(134)의 걸림 홈(136)에 끼워맞추어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가압부재(300)의 제2 걸림돌기(312)를 제2 유리(120)의 끝단 내면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제2 유리(120)의 단부는 가압부재(300)의 제1 부재(310)와 제2 부재(311) 사이의 단턱부에 의해 감싸지도록 한다.
따라서, 제2 유리(120)의 단부는 가압부재(300)의 단턱부와 제2 걸림돌기(312) 사이에 삽입된 형태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마감재(140)를 가압부재(300)의 일 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마감재(140)와 제2 프레임부(134)를 볼트나 나사 등의 결합부재(142)로서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따라서, 가압부재(300)는 제1 유리(110)의 단부 측 일 면과 마감재(14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제1 유리(110)를 프레임(130)의 단차부 방향으로 항상 가압하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가압부재(300)와 제2 프레임부(134)가 제1 걸림돌기(314) 및 걸림 홈(136)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가압부재(300)와 제2 프레임부(134)는 볼트나 나사 등의 결합부재로서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화성능을 향상시킨 건축물용 스텝 타입 복층유리 시스템(100)의 경우, 화재 발생 등에 의해 복층유리(110,120)에 열이 전달되어 복층유리(110,120)에 개재된 탄성재질의 간격유지재(150)가 변형 또는 손상되더라도 외측의 제2 유리(120)는 가압부재의 제2 걸림돌기(312)와 단턱부 사이에 고정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1 유리(110)는 가압부재(300)에 의해 프레임(130)의 단차부에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바, 화재에 의한 열기나 유독가스 등의 유입이 차단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복층유리 110 : 제1 유리
120 : 제2 유리 130 : 프레임
132 : 제1 프레임부 134 : 제2 프레임부
136 : 걸림 홈 140 : 마감재
150 : 간격유지재 200 : 가압부재
210 : 걸림돌기 300 : 가압부재
310 : 제1 부재 311 : 제2 부재
312 : 제2 걸림돌기 314 : 제1 걸림돌기

Claims (5)

  1. 단차부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마감재;
    상기 프레임의 단차부와 상기 마감재 사이에 고정되게 배치되되, 양 단부의 길이가 서로 다른 제1 유리 및 제2 유리와, 상기 제1 유리와 제2 유리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하는 간격유지재로 구성되는 복층유리; 및
    상기 제1 유리 및 제2 유리 중,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유리의 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단착부에 밀착되게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유리의 단부와 상기 마감재에 개재되어 상기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유리를 항상 프레임의 단차부 쪽으로 가압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성능을 향상시킨 건축물용 스텝 타입 복층유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내화금속 재질이고,
    일 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되기 위한 걸림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성능을 향상시킨 건축물용 스텝 타입 복층유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내화금속 재질이고,
    사각 단면 형상의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의 일측 면으로부터 일정 너비만큼 돌출된 제2 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제1 부재의 양 면에는 각각 제1 걸림돌기 및 제2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제1 걸림돌기 및 제2 걸림돌기 중, 어느 하나의 걸림돌기가 걸림되기 위한 걸림 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 홈에 걸림된 어느 하나의 걸림돌기의 대향 면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걸림돌기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유리의 끝단 내면에 걸림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성능을 향상시킨 건축물용 스텝 타입 복층유리 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제1 프레임부와,
    상기 제1 프레임부의 일 면 중앙 부위로부터 돌출되게 결합되되, 상기 제1 프레임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제2 프레임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측면에 걸림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성능을 향상시킨 건축물용 스텝 타입 복층유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와 상기 제2 프레임부는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성능을 향상시킨 건축물용 스텝 타입 복층유리 시스템.
KR1020190061091A 2019-05-24 2019-05-24 방화성능을 향상시킨 건축물용 스텝 타입 복층유리 시스템 KR102245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091A KR102245491B1 (ko) 2019-05-24 2019-05-24 방화성능을 향상시킨 건축물용 스텝 타입 복층유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091A KR102245491B1 (ko) 2019-05-24 2019-05-24 방화성능을 향상시킨 건축물용 스텝 타입 복층유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907A true KR20200134907A (ko) 2020-12-02
KR102245491B1 KR102245491B1 (ko) 2021-04-30

Family

ID=73791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091A KR102245491B1 (ko) 2019-05-24 2019-05-24 방화성능을 향상시킨 건축물용 스텝 타입 복층유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54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307B1 (ko) * 2021-12-09 2022-10-26 주식회사 위드플러스에스 방화 성능이 향상된 커튼월 창호 및 커튼월 창호의 설치 방법
KR20230048810A (ko) * 2021-10-05 2023-04-12 김정섭 접합유리 제조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접합유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227B1 (ko) * 2023-03-30 2023-08-29 (주)남강 복수 개의 공기층 형성을 통해 단열 및 수밀이 극대화된 커튼월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8885A (ko) * 2001-01-18 2003-10-08 필킹톤 피엘씨 밀봉된 글레이징 유닛
KR101602678B1 (ko) * 2015-07-23 2016-03-11 송미선 커튼 월 프레임
KR101676339B1 (ko) * 2016-03-11 2016-11-15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단열 및 수밀성능이 증가된 pvc 복합 커튼월
KR101960436B1 (ko) 2017-07-21 2019-03-20 (주)윈가람 추가발포를 이용한 3단계 단열커튼월
KR20190032680A (ko) 2017-09-18 2019-03-28 주식회사 다원건설 단열 커튼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8885A (ko) * 2001-01-18 2003-10-08 필킹톤 피엘씨 밀봉된 글레이징 유닛
KR101602678B1 (ko) * 2015-07-23 2016-03-11 송미선 커튼 월 프레임
KR101676339B1 (ko) * 2016-03-11 2016-11-15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단열 및 수밀성능이 증가된 pvc 복합 커튼월
KR101960436B1 (ko) 2017-07-21 2019-03-20 (주)윈가람 추가발포를 이용한 3단계 단열커튼월
KR20190032680A (ko) 2017-09-18 2019-03-28 주식회사 다원건설 단열 커튼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8810A (ko) * 2021-10-05 2023-04-12 김정섭 접합유리 제조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접합유리
KR102459307B1 (ko) * 2021-12-09 2022-10-26 주식회사 위드플러스에스 방화 성능이 향상된 커튼월 창호 및 커튼월 창호의 설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5491B1 (ko)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491B1 (ko) 방화성능을 향상시킨 건축물용 스텝 타입 복층유리 시스템
KR101218639B1 (ko) 이중단열복합 커튼월 프레임
KR101939898B1 (ko) 간단한 연결구조로 형성되어 다양한 시공방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커튼월.
KR101022501B1 (ko) 연결어댑터를 이용한 이질재 결합구조
KR101121149B1 (ko) 스틸 커튼월의 결합구조
JP2014159700A (ja) 建物の断熱構造
JP5631237B2 (ja) 建物の断熱構造
JP6893427B2 (ja) 建物
JP6177759B2 (ja) 大判化外壁パネル
EP3561189B1 (en) A partition wall, especially for creation of a fire compartment in rooms of buildings
KR102240604B1 (ko) 커튼월 프레임의 접합 시스템 및 방법
JP5123685B2 (ja) 建物の軒先構造
JP2018027189A (ja) 垂壁パネル及び防煙垂壁
KR101151874B1 (ko) 방화 난간 구조
JP7479960B2 (ja) 天井用骨材の連結構造および連結方法
KR102213029B1 (ko) 커튼 월 구조의 외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외부 장식재
JP6491551B2 (ja) 建物の吸音構造
JP6483582B2 (ja) 建具
KR101708466B1 (ko) 커튼 월의 코너 바 프레임 조립체
KR101099477B1 (ko) 커튼월의 프레임 결합구조
JP6951238B2 (ja) 方立
JP6238804B2 (ja) ユニット式建物の柱梁連結構造
JP2014095202A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の耐火ボード支持構造、及び鉄骨梁の複合耐火被覆構造
JP2017066635A (ja) ユニットルームの天井構造
JP5694031B2 (ja) 建物の内壁パネル設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