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856A - 우산물기제거기 - Google Patents

우산물기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856A
KR20200134856A KR1020190060972A KR20190060972A KR20200134856A KR 20200134856 A KR20200134856 A KR 20200134856A KR 1020190060972 A KR1020190060972 A KR 1020190060972A KR 20190060972 A KR20190060972 A KR 20190060972A KR 20200134856 A KR20200134856 A KR 20200134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drainage
protruding member
module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3607B1 (ko
Inventor
이경원
Original Assignee
이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원 filed Critical 이경원
Priority to KR1020190060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607B1/ko
Priority to PCT/KR2020/004778 priority patent/WO2020242044A1/ko
Publication of KR20200134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물기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공기의 분사를 통해 우산의 물기를 제거하는 물기제거부가 우산의 길이에 따라 작동 여부가 결정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하여 다양한 길이를 가진 우산에 대한 효율적인 물기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고, 우산이 통과하는 본체부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에 의해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우산의 접힌 부분 사이사이의 물기 제거도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우산물기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우산물기제거기{A Water Elimination Apparatus of Umbrella}
본 발명은 우산물기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공기의 분사를 통해 우산의 물기를 제거하는 물기제거부가 우산의 길이에 따라 작동 여부가 결정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하여 다양한 길이를 가진 우산에 대한 효율적인 물기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고, 우산이 통과하는 본체부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에 의해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우산의 접힌 부분 사이사이의 물기 제거도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우산물기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우산은 비나 눈이 올 경우 외출을 하기 위한 필수품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우천시 우산을 실내로 가지고 들어가는 경우 바닥을 미끄럽게 하여 사고를 유발할 수 있고, 실내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호텔, 백화점, 학교, 상가 및 사무용 빌딩 등의 건물에는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우산의 빗물을 제거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로는 우산의 물기가 제대로 제거되지 않아 대부분 별도의 비닐에 우산을 담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 비닐 사용량이 증가하고 비닐 처리에 어려움이 있고, 우산을 비닐에 담아둘 경우 우산이 부식 및 오염되며, 실내에서 별도로 우산을 말리도록 할 경우 역시 실내를 오염시키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우산의 물기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우산물기제거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1526260호(2015.06.01. 등록)"극세사 원단을 이용한 우산빗물 제거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압축공기의 분사를 통해 우산의 물기를 제거하는 물기제거부가 우산의 길이에 따라 작동 여부가 결정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하여 다양한 길이를 가진 우산에 대한 효율적인 물기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우산물기제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우산물기제거기의 효율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우산물기제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우산의 접힌 부분 사이사이의 물기 제거도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우산물기제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돌출부재가 우산의 접힌 부분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고, 돌출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우산물기제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우산의 고른 물기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우산물기제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배수통을 빼거나 기울이지 않고도 배수통의 물을 외부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우산물기제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배수로로부터 배출되는 유량에 따라 자동으로 물기제거부의 작동시간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물기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우산물기제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압축공기의 분사에도 우산물기제거기의 외부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우산물기제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우산물기제거기는 우산이 지나가는 통로를 형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압축공기의 분사를 통해 본체부를 지나가는 우산의 물기를 제거하는 물기제거부와; 우산물기제거기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와; 우산으로부터 제거된 물기를 수용하여 배출하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기제거부는 본체부를 통과하는 우산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하고, 우산의 길이에 따라 작동하도록 우산의 이동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우산물기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물기제거부는 본체부의 하측을 통과하는 우산을 감지하여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제1제거부와, 본체부의 상측을 통과하는 우산을 감지하여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제2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우산물기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물기제거부에서 우산을 감지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우산감지모듈과, 각 물기제거부에서 우산이 감지되는 경우 각 물기제거부를 일정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작동개시모듈과, 특정 물기제거부의 작동 중 타 물기제거부의 우산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특정 물기제거부의 작동을 중단하고 타 물기제거부를 작동시키는 배타적작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우산물기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물기제거부는 본체부의 일정 깊이에 형성되어 본체부를 통과하는 우산을 감지하는 센서모듈과; 본체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돌출분사모듈과; 본체부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관통분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우산물기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돌출분사모듈은 본체부의 내측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내측으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를 본체부에 고정시키며, 돌출부재 내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유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재는 돌출부재의 일 지점에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굽혀지는 굽힘체와; 돌출부재를 따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압축공기가 우산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우산물기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는 각 물기제거부에 복수개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분사홀은 돌출부재의 위치에 따라 우산을 향해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우산물기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는 각 물기제거부의 전후측에 한 쌍이 형성되며, 전측의 돌출부재는 후측으로, 후측의 돌출부재는 전측으로 분사홀이 관통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우산물기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는 본체부에 형성되는 높이에 따라 상,중,하측 돌출부재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측돌출부재는 하측 방향에, 중측돌출부재는 가운데에, 하측돌출부재는 상측 방향에 분사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우산물기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우산이 이동하는 통로의 하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우산으로부터 제거되는 물이 모여지며, 하측으로 배수홀이 관통되어 모여진 물을 배출하는 배수로와; 상기 배수로의 하측에 형성되어 배수홀을 통과한 물을 수용하는 배수통;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통은 배수통의 일측면에 관통형성되어 배수통의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드레인홀과, 배수통의 바닥에 형성되어 드레인홀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우산물기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배수로의 전후측에 형성되어 배수로의 전후 방향에서 중앙측을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송풍홀과, 상기 배수홀을 통과하는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로는 본체부의 전후 방향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하고, 가장 낮은 지점에 배수홀이 관통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유량정보를 수신하는 유량정보수신모듈과, 각 물기제거부에서 우산이 감지되는 경우 유량정보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유량이 일정 유량이 될 때까지 물기제거부의 작동을 계속하는 작동연장모듈과, 유량이 일정 유량 미만이 되는 경우 물기제거부의 작동을 자동으로 중단하는 자동작동중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우산물기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우산이 이동하는 통로 상측에 탄성을 가진 부재로 형성되어 우산이 이동하는 통로로부터 물기가 상측으로 튀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압축공기의 분사를 통해 우산의 물기를 제거하는 물기제거부가 우산의 길이에 따라 작동 여부가 결정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하여 다양한 길이를 가진 우산에 대한 효율적인 물기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각 물기제거부에서 우산의 감지에 따라 자동으로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면서, 우산의 감지에 의해 복수의 물기제거부 중 하나에서만 자동으로 압축공기의 분사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우산물기제거기의 효율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우산이 통과하는 본체부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에 의해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우산의 접힌 부분 사이사이의 물기 제거도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탄성에 의한 돌출부재의 굽힘이 가능하도록 하여 우산의 접힌 부분 사이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우산의 통과에도 돌출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각 물기제거부에 복수의 돌출부재를 형성하도록 하면서, 돌출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위치에 분사홀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우산의 고른 물기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배수통을 빼거나 기울이지 않고도 배수통의 물을 외부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배수로로부터 배출되는 유량에 따라 자동으로 물기제거부의 작동시간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물기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압축공기의 분사에도 우산물기제거기의 외부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물기제거기의 사시도
도 2는 우산이 이동하는 본체부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돌출부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물기제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배수통의 경사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물기제거기의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물기제거기의 배수부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물기제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물기제거기를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우산물기제거기는 우산(U)이 지나가는 통로를 형성하는 본체부(4)와; 상기 본체부(4)의 내측에 형성되어 압축공기의 분사를 통해 본체부(4)를 지나가는 우산(U)의 물기를 제거하는 물기제거부(1)와; 우산물기제거기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2)와; 우산(U)으로부터 제거된 물기를 수용하여 배출하는 배수부(3);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우산물기제거기는 우산(U)의 이동방향(P)을 따라 복수의 물기제거부(1)를 형성하도록 하고, 각각의 물기제거부(1)가 우산의 길이에 따라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장우산과 단우산 등 다양한 길이를 갖는 우산의 물기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제거하도록 하였다. 이하에서는 물기제거부(1)가 길이가 긴 장우산과 길이가 짧은 단우산을 각각 감지하여 물기를 제거할 수 있는 제1제거부(1')와 제2제거부(1")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상기 물기제거부(1)는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물기제거부(1)가 다양한 길이의 우산을 각각 감지하여 별개로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물기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도 1의 A,B,C,D,E,F 방향을 각각 상하좌우전후 방향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상기 물기제거부(1)는 압축공기의 분사를 통해 우산의 물기를 제거하는 구성으로, 우산이 이동하는 본체부(4)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우산이 이동하는 통로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물기제거부(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우산의 이동방향(P)에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어 우산의 길이에 따른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각 물기제거부(1)는 센서모듈(11)을 포함하여 각 물기제거부(1)를 통과하는 우산을 감지하도록 하고, 이때 각 물기제거부(1)의 센서모듈(11)은 서로 상이한 높이로 형성되어 각각 다른 길이의 우산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물기제거부(1)는 본체부(4)의 내측에 관통 형성되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관통분사모듈(15)을 포함함과 함께, 본체부(4)의 내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돌출분사모듈(13)을 포함하여, 우산의 접힌 원단 사이사이에도 압축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물기제거부(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제거부(1') 및 제2제거부(1")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제1제거부(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센서모듈(11)이 형성되어 길이가 긴 장우산(U1)을 감지하여 작동하도록 하고, 제2제거부(1")는 상측에 센서모듈(11)이 형성되어 길이가 짧은 단우산(U2)을 감지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2제거부(1',1")는 각각에서 센서모듈(11)에 의해 우산이 감지되는 경우 일정 시간 작동하여 우산의 물기가 충분히 제거될 수 있도록 하면서, 서로 일 물기제거부(1)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타 물기제거부(1)의 작동은 중단되도록 하여 우산이 위치하는 물기제거부(1)만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작동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1,2제거부(1',1")는 센서모듈(11) 및 돌출분사모듈(13), 관통분사모듈(15)의 위치만이 다소 상이할 뿐 그 구체적인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함께 설명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만을 별도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센서모듈(11)은 각 물기제거부(1)에 형성되어 우산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일 예로 적외선 모듈이 적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센서모듈(11)은 각 물기제거부(1)별로 상이한 높이로 형성되어 다양한 길이의 우산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제1,2제거부(1,1")가 형성되는 경우 제1제거부(1')의 제1센서(11')와 제2제거부(1")의 제2센서(11")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센서(11')는 우산이 이동하는 통로의 하측에 형성되어 길이가 긴 장우산(U1)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제거부(1')는 제1센서(11')에 의해 장우산(U1)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작동하게 된다. 또한, 제2센서(11")는 우산이 이동하는 통로의 상측에 형성되어 길이가 짧은 단우산(U2)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제거부(1")는 단우산(U2)에 대해서도 작동하여 물기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2제거부(1,1")는 장우산(U1)과 단우산(U2)의 물기를 각각 제거하도록 할 수 있으며, 장우산(U1)의 경우에는 단우산(U2)보다 상대적으로 제거해야 할 물기가 많으므로, 제2제거부(1")에도 통과시켜 장우산(U1)의 경우에도 효과적인 물기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2제거부(1,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시에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각각 배타적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므로, 각각 장우산(U1) 및 단우산(U2)의 물기를 제거하여 우산물기제거기의 효율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장우산(U1)의 경우에는 제2제거부(1")에서도 추가적으로 물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효과적인 물기의 제거도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돌출분사모듈(13)은 우산(U)이 통과하는 본체부(4)의 내측 공간으로 돌출되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구성으로, 각 물기제거부(1)에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분사모듈(13)은 다양한 개수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각 물기제거부(1)를 통과하는 우산에 대한 효과적인 물기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하고, 또한 각 물기제거부(1)의 전후측에 한 쌍이 형성되어 물기제거부(1) 내의 우산(U)으로 전후측에서 압축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돌출분사모듈(1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중하의 위치에, 그리고 각 상중하의 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한 쌍이 형성되어 각 물기제거부(1)를 통과하는 우산에 대한 고른 압축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분사모듈(13)은 제1제거부(1')의 제1돌출분사모듈(13')과 제2제거부(1")의 제2돌출분사모듈(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장우산(U1)의 물기를 제거하는 제1돌출분사모듈(13')보다 단우산(U2)의 물기를 제거하는 제2돌출분사모듈(13")이 더욱 상측에서 좁은 간격으로 형성되어 단우산(U2)에 대한 더욱 효과적인 물기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각 물기제거부(1)는 각 물기제거부(1)에서 감지되는 우산의 길이에 적합하도록 효과적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분사모듈(1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4)의 내측으로부터 우산(U)의 이동공간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131)와, 돌출부재(131)를 본체부(4)에 고정시키는 유입관(133)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2돌출분사모듈(13',13")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통일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돌출부재(131)는 본체부(4)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원통형 부재로 형성되어 압축공기를 공급받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131)는 외부에 관통되는 분사홀(131a)을 형성하여 돌출부재(131) 내부에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우산(U)이 이동하는 공간으로 분사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돌출부재(131)의 일 지점에는 탄성을 가진 굽힘체(131b)가 형성되어 돌출부재(131)의 탄성 굽힘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재(131)는 접혀있는 우산의 원단 속으로 삽입되어 압축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우산의 접혀 있는 부분에 대해서도 효과적인 물기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131)는 도 3의(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돌출부재(131-1), 중측돌출부재(131-2), 하측돌출부재(131-3)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 그 설치 높이에 따라 상측, 중측, 하측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측돌출부재(131-1)에는 하측 방향에, 중측돌출부재(131-2)에는 가운데 방향에, 하측돌출부재(131-3)에는 상측 방향에 분사홀(131a)이 형성되어 우산(U)을 향해 효과적인 압축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각 상,중,하측돌출부재(13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전측돌출부재(131-11,131-21,131-31)와 후측돌출부재(131-12,131-22,131-32)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전측돌출부재(131-11,131-21,131-31)는 후측으로 분사홀(131a)을 형성하고, 후측돌출부재(131-12,131-22,131-32)는 전측으로 분사홀(131a)을 형성하여 각 물기제거부(1)에 수용된 우산(U)에 집중적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일 예로 상측의 전측돌출부재(131-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의 후측 방향으로 분사홀(131a)이 형성되며, 하측의 후측돌출부재(131-32)는 상측의 전측 방향으로 분사홀(131a)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분사홀(131a)은 돌출부재(131)에 관통 형성되어 돌출부재(131) 내의 압축공기가 외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재(131)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분사홀(131a)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돌출부재(131)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우산(U)을 향한 고르고 효과적인 압축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굽힘체(131b)는 돌출부재(131)의 일 지점에 탄성을 가진 부재로 형성되어 돌출부재(131)의 굽힘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본체부(4)와 인접하는 지점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굽힘체(131b)는 돌출부재(131)가 굽힘체(131b)의 탄성에 의해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도록 하여, 우산(U)의 접혀진 부분 속으로 쉽게 들어가도록 할 수 있으며, 돌출부재(131)가 우산(U)과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입관(133)은 상기 돌출부재(131)를 본체부(4)에 고정시키며, 내부의 빈 공간이 돌출부재(131)의 내부와 연통되어 본체부(4) 내를 흐르는 압축공기가 각 돌출부재(131)내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관통분사모듈(15)은 본체부(4)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우산(U)이 이동하는 본체부(4) 내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구성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구멍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통분사모듈(15)은 제1,2제거부(1,1")에 각각 제1,2관통분사모듈(15',15")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돌출분사모듈(13)과 같이 제1제거부(1')보다 제2제거부(1")에서 더욱 상측지점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는 우산물기제거기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감지모듈(21), 작동개시모듈(22), 배타적작동모듈(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산감지모듈(21)은 각 센서모듈(11)에서 우산을 감지한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각 센서모듈(11)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작동개시모듈(22)에 의해 물기제거부(1)가 작동하도록 한다.
상기 작동개시모듈(22)은 각 센서모듈(11)에 의해 우산이 감지되는 경우 각 물기제거부(1)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각 물기제거부(1)에 대한 압축공기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센서(11')에 의해 우산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제거부(1'), 즉 제1돌출분사모듈(13')과 제1관통분사모듈(15')로 압축공기가 공급되어 분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2센서(11")에 의해 우산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제2돌출분사모듈(13")과 제2관통분사모듈(15")로 압축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작동개시모듈(22)은 우산이 감지되는 경우 일정 시간동안 물기제거부(1)의 작동이 계속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일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에도 우산이 계속 감지되는 경우에는 물기제거부(1)의 작동을 계속하고, 우산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물기제거부(1)의 작동을 중단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일 물기제거부(1)의 작동이 계속되고 있는 도중에도 타 물기제거부(1)의 작동이 개시되는 경우에는 상기 배타적작동모듈(23)에 의해 일 물기제거부(1)의 작동을 중단하도록 한다.
상기 배타적작동모듈(23)은 복수의 물기제거부(1) 중 하나의 물기제거부(1)만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다시 말해 우산이 감지되는 물기제거부(1)에서만 압축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물기제거부(1)는 우산감지모듈(21)에 의해 우산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작동개시모듈(22)에 의해 우산이 감지된 물기제거부(1)에서 일정시간 동안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데, 일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우산이 다른 물기제거부(1)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물기제거부(1)에서 불필요한 압축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기존 물기제거부(1)에서의 압축공기의 분사를 중지하고 현재 우산이 존재하는 물기제거부(1)에 대해서만 압축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우산 길이에 맞게 원하는 물기제거부(1)로 우산을 이동시키며 물기를 제거할 수 있고, 그럼에도 불필요한 압축공기의 분사를 차단하여 전력 소모를 절감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3)는 우산(U)으로부터 제거되는 물을 수용하여 배출하는 구성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이 이동하는 통로의 하단에 형성되어 물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수로(31)와, 배수로(31)를 흐르는 물을 수용하는 배수통(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로(31)는 우산이 이동하는 통로의 하단에 우산으로부터 제거되는 물이 모여지도록 중앙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배수로(31) 상에는 복수의 배수홀(311)이 관통 형성되어 배수로(31)를 흐르는 물이 배수홀(311)을 통해 배수통(32)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수통(32)을 배수로(31)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용하고, 이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구성으로, 본체부(4)와 탈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일측에 형성되는 드레인홀(322)을 통해 배수통(32)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홀(322)에는 별도의 튜브가 연결되어 배수통(32) 내의 물이 상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드레인홀(322)을 개폐하도록 구성하여 배수통(32)이 꽉 찼을 경우에만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는 배수통(32)의 단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5(a)는 정면에서 바라본 방향의 단면도, 도 5(b)는 측면에서 바라본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상기 배수통(32)의 바닥에는 경사면(321)이 형성되어 어느 방향에서 바라보나 드레인홀(322) 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배수통(32)에 수용되는 물은 경사면(321)을 따라 항상 드레인홀(322) 측으로 흐르게 되며, 드레인홀(322)에 별도의 튜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배수통(32)의 물이 드레인홀(322)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고, 드레인홀(322)이 개폐되는 경우에도 배수통(32)을 분리하거나 본체부(4) 전체를 기울일 필요없이 배수통(32) 내의 물이 드레인홀(322)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4)는 우산이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우산이 이동하는 통로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물기제거부(1)가 형성되어 압축공기의 분사를 통해 우산의 물기를 제거하도록 하고, 우산이 이동하는 통로의 하단에는 배수부(3)가 형성되어 우산으로부터 제거되는 물기를 수용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4)는 우산이 이동하는 통로의 상측에 차단브러쉬(41)를 형성하여 압축공기의 분사에 따라 우산으로부터 제거되는 물기가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우산이 이동하는 통로의 양측으로 일정 공간을 형성하여 압축공기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차단브러쉬(41)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어 우산(U)의 이동과 물기의 차단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생략하여 표시하였으나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산이 이동하는 통로 양측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물기의 차단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4)는 그 하단에 이동바퀴(42)를 형성하여 본체부(4)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본체부(4) 내에는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압축모듈(43)이 형성될 수 있고, 스위치, 누전차단기 등이 설치되는 제어박스(4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4)는 좁은 공간에 형성되는 경우 압축모듈(43) 등을 본체부(4) 내에 형성하지 않고 별도의 배관을 통해 압축공기를 공급받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물기제거기를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우산물기제거기는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물기제거부(1), 제어부(2), 배수부(3), 본체부(4)를 포함하나, 물기제거부(1)의 작동이 배수부(3)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유량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물기제거부(1)에서 우산이 감지되는 경우 일정 시간 작동하고 자동으로 멈추도록 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배수부(3)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양에 따라, 더욱 정확하게는 배수로(31)의 배수홀(311)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유량에 따라 물기제거부(1)의 작동을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이고 편리한 물기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2)는 유량정보수신모듈(24), 작동연장모듈(25), 자동작동중단모듈(26)을 추가로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배수부(3)는 상기 배수로(31)의 형상을 변경하면서 송풍홀(33) 및 유량센서(34)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 유량정보수신모듈(24)은 우산으로부터 제거되는 물기의 양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배수로(31)의 배수홀(311)을 통과하는 유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유량정보수신모듈(24)은 배수홀(311)에 설치되는 유량센서(34)로부터 유량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물기제거부(1)의 작동이 유량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작동연장모듈(25)은 유량정보에 따라 물기제거부(1)의 작동을 연장하는 구성으로, 각 물기제거부(1)는 센서모듈(11)에 의해 우산이 감지되는 경우 작동개시모듈(22)에 의해 작동이 개시되어 일정시간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하는데, 일정 시간의 경과후에도 배수홀(311)을 통과하는 유량이 일정값 이상인 경우 물기제거부(1)의 작동시간을 연장하도록 한다. 따라서, 우산의 물기가 제거될 때까지 물기제거부(1)의 충분한 작동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자동작동중단모듈(26)은 상기 유량정보수신모듈(24)에 의해 수신되는 유량정보가 일정값 미만인 경우 물기제거부(1)의 작동을 중단하는 구성으로, 우산으로부터 물기가 충분하게 제거되어 배수홀(311)을 통과하는 물의 유량이 일정값 미만으로 줄어들었을 경우 물기제거부(1)의 작동을 자동으로 중단하도록 함으로써 우산으로부터 물의 충분한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수로(31)는 일 실시예와 같이 중앙측으로 모여지도록 형성되면서, 이와 동시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서 중앙측으로 갈수록도 낮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하여, 가장 낮은 위치에서 배수홀(311)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배수홀(311)은 배수로(31)의 가장 낮은 위치에 하나만이 형성되며, 이를 통해 배수홀(311)로부터 배출되는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이에 따른 물기제거부(1)의 작동조절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송풍홀(33)은 배수로(31) 상에 형성되어 배수로(31)의 물이 배수홀(311)을 향해 빠르게 모여져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우산에서 제거되는 물의 유량 측정을 통한 물기제거부(1)의 작동조절이 더욱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물기제거부(1)의 작동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송풍홀(33)은 배수로(31)의 전후측 끝단에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압축모듈(43)로부터 생성되는 압축공기가 송풍홀(33)을 통해 배수홀(311)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배수로(31)로 수용되는 물이 빠르게 배수홀(311)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량센서(34)는 배수홀(311)의 일측에 형성되어 배수홀(311)을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측정되는 유량에 따라 물기제거부(1)의 작동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유량센서(34)에 의해 측정되는 물의 유량은 우산으로부터 제거되는 물의 양을 의미하며, 우산으로부터 제거되는 물이 일정값 이하가 될때까지 물기제거부(1)를 자동으로 작동시키도록 함으로써 물기의 제거가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더구나 우산으로부터 제거되는 물은 중앙측으로 경사지는 배수로(31)를 통해 하나의 배수홀(311)로 모여져 배출되고, 송풍홀(33)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더욱 빠른 속도로 모여져 배출되므로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어, 우산으로부터 제거되는 물의 양에 따른 물기제거부(1)의 자동 작동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물기제거부
1': 제1제거부 1": 제2제거부
11: 센서모듈 11': 제1센서 11": 제2센서
13: 돌출분사모듈 13': 제1돌출분사모듈 13": 제2돌출분사모듈
131: 돌출부재 131a: 분사홀 131b: 굽힘체 133: 유입관
15: 관통분사모듈 15': 제1관통분사모듈 15": 제2관통분사모듈
2: 제어부
21: 우산감지모듈 22: 작동개시모듈 23: 배타적작동모듈
24: 유량정보수신모듈 25: 작동연장모듈 26: 자동작동중단모듈
3: 배수부
31: 배수로 311: 배수홀 32: 배수통 321: 경사면
322: 드레인홀 33: 송풍홀 34: 유량센서
4: 본체부
41: 차단브러쉬 42: 이동바튀 43: 압축모듈 44: 제어박스
U: 우산 U1: 장우산 U2: 단우산
P: 이동방향

Claims (11)

  1. 우산이 지나가는 통로를 형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압축공기의 분사를 통해 본체부를 지나가는 우산의 물기를 제거하는 물기제거부와;
    우산물기제거기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와;
    우산으로부터 제거된 물기를 수용하여 배출하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기제거부는,
    본체부를 통과하는 우산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하고, 우산의 길이에 따라 작동하도록 우산의 이동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물기제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기제거부는
    본체부의 하측을 통과하는 우산을 감지하여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제1제거부와, 본체부의 상측을 통과하는 우산을 감지하여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제2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물기제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물기제거부에서 우산을 감지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우산감지모듈과, 각 물기제거부에서 우산이 감지되는 경우 각 물기제거부를 일정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작동개시모듈과, 특정 물기제거부의 작동 중 타 물기제거부의 우산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특정 물기제거부의 작동을 중단하고 타 물기제거부를 작동시키는 배타적작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물기제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기제거부는
    본체부의 일정 깊이에 형성되어 본체부를 통과하는 우산을 감지하는 센서모듈과; 본체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돌출분사모듈과; 본체부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관통분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물기제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분사모듈은
    본체부의 내측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내측으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를 본체부에 고정시키며, 돌출부재 내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유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재는,
    돌출부재의 일 지점에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굽혀지는 굽힘체와; 돌출부재를 따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압축공기가 우산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물기제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는
    각 물기제거부에 복수개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분사홀은 돌출부재의 위치에 따라 우산을 향해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물기제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는
    각 물기제거부의 전후측에 한 쌍이 형성되며,
    전측의 돌출부재는 후측으로, 후측의 돌출부재는 전측으로 분사홀이 관통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물기제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는
    본체부에 형성되는 높이에 따라 상,중,하측 돌출부재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측돌출부재는 하측 방향에, 중측돌출부재는 가운데에, 하측돌출부재는 상측 방향에 분사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물기제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우산이 이동하는 통로의 하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우산으로부터 제거되는 물이 모여지며, 하측으로 배수홀이 관통되어 모여진 물을 배출하는 배수로와; 상기 배수로의 하측에 형성되어 배수홀을 통과한 물을 수용하는 배수통;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통은,
    배수통의 일측면에 관통형성되어 배수통의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드레인홀과, 배수통의 바닥에 형성되어 드레인홀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물기제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배수로의 전후측에 형성되어 배수로의 전후 방향에서 중앙측을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송풍홀과, 상기 배수홀을 통과하는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로는 본체부의 전후 방향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하고, 가장 낮은 지점에 배수홀이 관통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유량정보를 수신하는 유량정보수신모듈과, 각 물기제거부에서 우산이 감지되는 경우 유량정보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유량이 일정 유량이 될 때까지 물기제거부의 작동을 계속하는 작동연장모듈과, 유량이 일정 유량 미만이 되는 경우 물기제거부의 작동을 자동으로 중단하는 자동작동중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물기제거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우산이 이동하는 통로 상측에 탄성을 가진 부재로 형성되어 우산이 이동하는 통로로부터 물기가 상측으로 튀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물기제거기.
KR1020190060972A 2019-05-24 2019-05-24 우산물기제거기 KR102353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972A KR102353607B1 (ko) 2019-05-24 2019-05-24 우산물기제거기
PCT/KR2020/004778 WO2020242044A1 (ko) 2019-05-24 2020-04-08 우산물기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972A KR102353607B1 (ko) 2019-05-24 2019-05-24 우산물기제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856A true KR20200134856A (ko) 2020-12-02
KR102353607B1 KR102353607B1 (ko) 2022-01-21

Family

ID=73553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972A KR102353607B1 (ko) 2019-05-24 2019-05-24 우산물기제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53607B1 (ko)
WO (1) WO2020242044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7187U (ko) * 1990-01-20 1991-10-04
JPH05332521A (ja) * 1992-06-02 1993-12-14 Kobe Steel Ltd 流動床炉における無触媒脱硝方法
JP2005324134A (ja) * 2004-05-14 2005-11-24 Altia Hashimoto Co Ltd 排出ガス浄化用還元剤の水溶液作製装置
KR101287075B1 (ko) * 2013-01-09 2013-07-17 진도종합건설(주) 유동상식 소각로의 음식물 폐수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KR20150016837A (ko) * 2013-08-05 2015-02-13 유성덕 우산 건조장치
KR101645946B1 (ko) * 2015-02-11 2016-08-0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산 건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1378A (ko) * 2015-02-17 2016-08-2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산 자동 건조 장치
KR20170067327A (ko) * 2015-12-08 2017-06-16 임주생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7187U (ko) * 1990-01-20 1991-10-04
JPH05332521A (ja) * 1992-06-02 1993-12-14 Kobe Steel Ltd 流動床炉における無触媒脱硝方法
JP2005324134A (ja) * 2004-05-14 2005-11-24 Altia Hashimoto Co Ltd 排出ガス浄化用還元剤の水溶液作製装置
KR101287075B1 (ko) * 2013-01-09 2013-07-17 진도종합건설(주) 유동상식 소각로의 음식물 폐수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KR20150016837A (ko) * 2013-08-05 2015-02-13 유성덕 우산 건조장치
KR101645946B1 (ko) * 2015-02-11 2016-08-0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산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607B1 (ko) 2022-01-21
WO2020242044A1 (ko) 202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6161B1 (ko) 신발 이물질 제거장치
KR200466098Y1 (ko) 터널식 우산건조기
JP3798005B2 (ja) ペット洗浄乾燥装置
KR20150016837A (ko) 우산 건조장치
KR102485379B1 (ko) 신발 바닥면의 세정수단이 구비되는 먼지 털이장치
KR200462640Y1 (ko) 우산 건조 장치
KR102473046B1 (ko) 에어 워시 장치
US1180236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iquid-based lint collection
KR20200134856A (ko) 우산물기제거기
KR200469310Y1 (ko) 우산 건조장치
KR20120096750A (ko) 우산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102176916B1 (ko) 고압분사 공기순환방식 우산 빗물 제거기
KR102101861B1 (ko) 통풍량 조절 기능을 갖는 우산 건조장치
JP2004011315A (ja) 手の洗浄・乾燥・消毒セット
KR20210025803A (ko) 우산 탈수장치
KR200358094Y1 (ko) 스팀 세차장치
KR101767105B1 (ko) 셀프 세차용 컨테이너
KR101855180B1 (ko) 에어타월이 구비된 자동수전
KR101973382B1 (ko) 제트 블레이드 기술을 이용한 자동 우산건조기
KR102004677B1 (ko)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
US11752526B1 (en) Shoe sole cleaning device
KR20100128673A (ko) 우산 건조기
KR20210006082A (ko) 우산 탈수장치
KR20130037755A (ko) 우산 건조기
JPH0720541Y2 (ja) 傘等の水切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