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7755A - 우산 건조기 - Google Patents

우산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7755A
KR20130037755A KR1020110102163A KR20110102163A KR20130037755A KR 20130037755 A KR20130037755 A KR 20130037755A KR 1020110102163 A KR1020110102163 A KR 1020110102163A KR 20110102163 A KR20110102163 A KR 20110102163A KR 20130037755 A KR20130037755 A KR 20130037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dryer
opening
surface portio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명세
이순아
Original Assignee
임명세
이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명세, 이순아 filed Critical 임명세
Priority to KR1020110102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7755A/ko
Publication of KR20130037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7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8Seals, locks, e.g. gas barriers or air curtains, for drying en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출입구와 같은 좁은 통로에 비치되어 사용자의 통행에 불편을 초래하지 않도록 콤팩트한 사이즈로 제작되고, 또 신속하고 깨끗하게 젖은 우산을 건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건조기는 전면부, 후면부, 측면부, 하면부, 및 상면부를 포함하는 우산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 또는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며, 우산을 편 상태에서 우산을 삽입 및 제거가 가능한 제1개구부; 상기 제1개구부와 연통되며, 상기 전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개구부로 삽입된 상기 우산의 우산대가 관통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부는 상기 전면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하면부는 상기 전면부의 하단부와 상기 후면부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의 내벽에 형성된 분사홀을 통해 에어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우산 건조기 {A Dryer for Umbrella}
본 발명은 컴팩트하고 이동가능한 우산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비나 눈이 올 경우에 외출을 하기 위한 필수품으로 사용되어 왔고, 현재도 비나 눈에 의해서 옷이 젖는 것을 방지하는 도구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우천시 우산을 사용하고 실내로 들어가는 경우에 있어서는 우산에 묻은 빗물이 지면에 떨어지고 사용자도 우산을 소지하는데 상당한 불편을 느끼기 때문에 불필요한 물건이 될 수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실내로 들어오기 전에 직접 우산을 떨어서 빗물을 제거하거나, 아니면 일반 보관함에 임시적으로 우산을 보관하기도 하고, 또는 준비되어진 비닐 주머니에 우산을 넣어서 실내로 들고 간다.
위와 같이, 일반적으로 우산을 처리하는 방법은 우산에 묻은 물기를 완전히 제거할 수도 없고 우산을 소지한 사람에게도 상당한 불편을 줄 수 있다.
특히, 사람들이 많이 보이는 백화점이나 극장 등의 대중 시절에서는 우천시 사람들이 소지한 우산에 의하여 실내 환경이 더럽혀짐은 물론이고 타인에게도 피해를 줄 수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비에 젖은 우산을 소정 시간내에 손쉽게 건조하는 장치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또한, 최근 강수량이 급증하는 기상으로 인해 우산의 사용빈도는 급증하고 있고 우천시 비에 젖은 우산을 들고 건물내로 진입하는 경우 우산에서 떨어지는 빗물은 미끄러짐과 같은 안전사고, 건물의 청결불량, 사용자의 불쾌감 등을 야기하며, 신속하게 건조되지 않은 우산은 냄새와 곰팡이 등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사용되는 방법은 도 1과 같이 일회용 비닐에 의한 자동우산포장기가 보편적이다. 그러나 자동우산포장기에 의해 사용되는 비닐의 사용량이 연간 1억장이 넘으며, 비닐이 매립해서 썩는데만 50년이 걸리는 반환경적 제품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9-0007608호의 "우산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우산을 회전시켜 원심력을 이용해서 물기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외형이 매우 크고, 건조를 위해 우산을 장치에 넣고 빼는 것이 불편하여 유동인구가 많은 환경에서는 일반소비자가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하여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출입구와 같은 좁은 통로에 비치되어 사용자의 통행에 불편을 초래하지 않도록 콤팩트한 사이즈로 제작되고, 또 신속하고 깨끗하게 젖은 우산을 건조하기 위한 우산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건조기는 전면부, 후면부, 측면부, 하면부, 및 상면부를 포함하는 우산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 또는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며, 우산을 편 상태에서 우산을 삽입 및 제거가 가능한 제1개구부; 상기 제1개구부와 연통되며, 상기 전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개구부로 삽입된 상기 우산의 우산대가 관통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부는 상기 전면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하면부는 상기 전면부의 하단부와 상기 후면부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의 내벽에 형성된 분사홀을 통해 에어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개구부에는 상기 우산대가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거치홈에 우산대가 거치되면 거치홈의 설치되어 우산대의 거치를 감지하거나, 상기 전면부, 후면부, 상면부, 측면부 중 적어도 하나의 내벽에 설치되어 우산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감지센서에서 상기 우산이 감지되면, 상기 블로워 모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우산의 젖은 상태를 고려하여, 건조시간과 송풍되는 에어의 온도를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면부에는 상기 우산에서 제거된 물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후면부의 내벽에 형성된 분사홀은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는 분사 노즐이고, 적어도 하나의 홀을 통해 에어가 펼쳐진 상기 우산의 우산지에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개구부에 비산방지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면부의 외면에는 이동가능한 이동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수단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우산건조기의 외벽에는 광고, 단신뉴스를 제공하는 시청각장치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건조기를 사용하면, 우산을 보관과 동시에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 환경 개선 및 사용자의 불편함을 개선시키고, 제습 기능을 구비하여 비오는 날에 실내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백화점과 같이 많은 사람이 몰리는 장소의 여건에 따라 적합한 형태의 장치를 선택할 수 있고, 위치감지 센서에 의하여 자동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전 지식 없이 사용 할 수 있으며, 우산이 소정 시간 내에 건조됨으로써 사용자가 바로 실내로 우산을 소지하고 들어 갈 수 있기 때문에 우산의 보관에 의한 분실 및 별도의 보관 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비닐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서 우산을 소지하기 편하고 비닐의 불필요한 소모에 의한 환경오염 및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상기 비닐을 유지하고 관리하는데 있어서 관리자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운영 경비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건조기를 사용하면, 우산을 편 상태로 건조기를 통과시킴으로써 우산의 건조능력을 극대화시키고, 소비자가 우산 건조를 위해 대기하는 시간을 단최소화시킴으로써 대형건물, 공공기관 등에서 실질적으로 채택할 수 있다. 또한, 현재 편의성 때문에 사용되고 있는 일회용 우산포장기를 대체함으로써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 우산 비닐 포장기에 관한 사진이다.
도 2는 종래의 우산건조기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건조기의 개략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의 우산 건조기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건조기의 측면부를 도시한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우산 건조기에 관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 우산 비닐 포장기에 관한 사진이며, 도 2는 종래의 우산건조기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1과 같은 일회용 비닐에 의한 자동우산포장기는 사용되는 비닐에 의한 환경오염 문제가 있었고, 도 2와 같은 종래의 우산건조장치는 우산을 회전시켜 원심력을 이용해서 물기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외형이 매우 크고, 건조를 위해 우산을 장치에 넣고 빼는 방식이 불편하여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3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건조기의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건조기(1)는 측면부(100), 전면부(200), 후면부(300), 상면부(400), 하면부(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건조기(1)의 측면부(100)에는 제1개구부(110)가 형성되어 우산을 편 상태에서 우산을 삽입 및 제거가 가능하다.
제1개구부(110)는 양쪽 측면부(100) 모두에 형성되어 우산을 편 상태에서 측면부 일측의 제1개구부(110)를 통해서는 우산을 삽입하고, 타측의 제1개구부(110)를 통해서는 우산을 제거한다.
또한, 측면부(100)는 우산을 편 상태에서 관통가능한 정도의 제1개구부(110)가 형성된 패널을 전면부(200), 후면부(300), 상면부(400), 하면부(500)의 측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측면부(100)에 패널을 장착하지 않고, 전면부(200), 후면부(300), 상면부(400), 하면부(500)의 측면 자체의 개방된 상태를 제1개구부(11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측면부(100)의 제1개구부(110)를 통해 펼쳐진 우산의 우산지가 삽입되고, 제1개구부(100)와 연통되며, 전면부(200)에 형성된 제2개구부(210)를 통해 우산대가 삽입가능하다.
제1개구부(110)와 제2개구부(210)는 측면부(100)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어 우산지와 우산대가 삽입, 제거되는데 문제가 없다.
제1개구부(110)가 양쪽 측면부(110)에 모두 형성된 경우에는 제2개구부(210)도 전면부(20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모두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2개구부(210)에는 우산대를 거치하여 펼쳐진 우산을 우산 건조기(1)에 거치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거치홈(220)을 포함하고, 제2개구부(210)와 거치홈(220)은 서로 연결되어 T자 형상의 개구부를 형성한다.
거치홈(220)을 통해 우산대가 거치되고, 우산이 고정된 상태에서 펼쳐진 우산의 건조가 가능해진다.
후면부(300)는 전면부(20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전면부(200)와 후면부(300)의 일정 간격은 우산을 편 상태에서 우산지가 삽입가능한 정도의 거리면 충분하다.
상면부(400)는 후면부(300)의 상단부와 전면부(200)의 상단부간에 연결되고, 하면부(500)는 후면부(300)의 하단부와 전면부(200)의 하단부간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형성된다.
블로워 모터를 이용하여 에어를 젖은 우산에 분사하여 건조시키는데, 블로워 모터에서 생성된 에어는 후면부(300)의 내벽에 형성된 분사홀을 통해 분사되고, 에어가 펼쳐진 우산지에 사방으로 분사되면서 신속히 젖은 우산을 건조시키게 된다.
분사홀을 통해 분사되는 에어가 펼쳐진 우산지에 효과적으로 분사되기 위해, 후면부(300)의 내벽에 부착된 반구형 에어 분사 노즐이 형성된 분사홀(310)을 통해 펼쳐진 우산지에 에어가 분사된다. 반구형 에어 분사 노즐에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다각도로 에어를 분사하게 되므로 펼쳐진 반구형의 우산지에 보다 효과적으로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
분사홀(310)은 하나의 슬롯 형태로 형성된 노즐일 수도 있고 복수개의 홀을 포함하는 노즐을 분산시켜 배열하거나 일렬로 배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건조기(1)는 우산이 거치되면 자동으로 이를 인식하여 에어가 분사되도록 하기 위해, 거치홈(220)에 우산대가 접촉하면 이를 감지하고 블로워모터가 작동되도록 거치홈(220)에 감지센서(320)를 장착할 수도 있고, 전면부(200), 후면부(300), 상면부(400), 측면부(10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벽에 감지센서(320)를 부착하여 우산이 우산건조기(1) 내부에 삽입되었는지를 감지할 수도 있다.
감지센서(320)에서 우산이 감지되면, 제어장치(미도시)에서 블로워 모터가 작동되도록 신호를 보내고, 우산이 제거되면, 블로워 모터가 멈추도록 신호가 송신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320)는 우산의 유무를 감지하기도 하고, 우산의 젖은 상태 및 우산의 크기를 감지하는 다양한 센서를 부착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분사홀(310)에서 분사되는 에어의 양, 분사 시간, 에어의 온도를 제어시킬 수도 있다.
분사되는 에어는 온풍 또는 냉풍이 모두 가능하다.
분사홀(310)을 통해 에어가 우산지에 분사되면 우산지의 일부 물기는 증발하고, 일부는 에어의 분사압에 의해 우산건조기(1)의 하면부(500)로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우산에서 제거된 물기가 하면부(500)에 떨어지게 되면, 하면부(500)에 형성된 배출구(5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하면부(500)는 배출구(510)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우산지로부터 제거된 물기가 하면부(500)의 내면 어디에 떨어지더라도 배출구(510)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한다.
하면부(500)의 외면에는 이동가능한 이동수단(520)이 설치되어 우산건조기(1)의 이동 설치의 편의성을 높이고, 설치이후에는 이동수단(520)이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잠금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전면부(200), 후면부(300), 상면부(400), 측면부(100)의 외벽에는 광고를 위한 광고패널이 부착되될 수도 있고, 광고, 단신뉴스를 제공하는 시청각장치부(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의 우산 건조기의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의 우산건조기(1)는 상면부(400)에 제1개구부(110)가 형성되어 펼쳐진 우산이 상면부로부터 삽입제거 가능하고, 제2개구부(210)는 전면부(200)에 형성되어 우산대가 관통가능하게 형성된다.
제1개구부(110)와 제2개구부(210)는 서로 연통가능하며, 제2개구부(210) 자체가 거치홈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건조기의 측면부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건조기(1)의 측면부(100)에 형성된 제1개구부(110)의 경우에는 우산 건조시 물기가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비산방지부(120)가 제1개구부(110)에 형성될 수 있고, 비산 방지부(120)는 복수개의 비닐 커버가 측면부(100)에 설치되어 펼쳐진 우산이 삽입 제거되는데 별도의 개방, 폐쇄를 하지 않더라도 바로 삽입, 제거가 가능하면서도, 물기는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한다.
제1개구부(110)가 도 4와 같이, 상면부(100)에 형성된 경우에는 상면부(100)의 제1개구부(110)에 비산지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비산 방지부가 개폐가능한 도어로 형성되더라도 가능하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우산 건조기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우산건조기(1)는 측면부 일측에만 제1개구부(110)가 형성되고, 타측은 측면이 폐쇄되어 일측에 형성된 제1개구부(110)를 통해서 우산을 삽입, 제거를 한 방향으로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제1개구부(110)가 일측의 측면부(110)에만 형성되고, 타측의 측면부(110)는 폐쇄되어 있으므로, 제1개구부(110)가 형성된 측면부와 동일 측면의 전면부(200)의 일측으로부터 우산대를 관통시키기 위해 형성된 제2개구부(210)가 우산대를 거치시키는 제2개구부(210)의 중간에 형성된 거치홈(220)까지만 형성되면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산건조기(1)는 사용이 편리하고 건조의 주요 과정들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자 장비를 부착하고
있고, 펼친 우산을 우산 건조기(1) 외장 케이스 안으로 넣어 지정된 장소에 근접하면
감지센서(320)가 이를 감지하여 건조를 위한 블로워모터가 작동된다.
블로워 모터는 따뜻한 온도의 에어를 적절히 공급하여 우산을 건조시키며 이 때 공급되는 에어의 풍속과 풍량이 최적 상태가 되도록 조절가능하다.
우산의 삽입과 제거가 최대한 용이하며 빠른 시간 안에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도록 측면부(100)의 제1개구부(110)에는 복수개의 비닐 커버(120)가 부착된 구조로 구성되었으며 건조 시간은 상황에 따라서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장치에서 제어가능하다. 우산 건조기(1)의 측면부(100), 전면부(200), 후면부(300), 상면부(400), 하면부(500)를 포함하는 외장 케이스는 에어에 의하여 제거된 물이 외부로 튀지 않도록 측면부(100)에 복수개의 비닐 커버(120)가 부착되고, 제거된 물은 하면부(500)의 배출구(510)를 통해 분리 수집하여 쉽게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경,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우산 건조기 100: 측면부
110: 제1개구부 120: 비산방지부
200: 전면부 210: 제2개구부
300: 후면부 310: 분사홀
320: 감지센서 400: 상면부
500: 하면부 510: 배출구
520: 이동수단

Claims (10)

  1. 전면부, 후면부, 측면부, 하면부, 및 상면부를 포함하는 우산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 또는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며, 우산을 편 상태에서 우산을 삽입 및 제거가 가능한 제1개구부;
    상기 제1개구부와 연통되며, 상기 전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개구부로 삽입된 상기 우산의 우산대가 관통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부는 상기 전면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하면부는 상기 전면부의 하단부와 상기 후면부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의 내벽에 형성된 분사홀을 통해 에어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우산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구부에는 상기 우산대가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홈에 우산대가 거치되면 거치홈의 설치되어 우산대의 거치를 감지하거나, 상기 전면부, 후면부, 상면부, 측면부 중 적어도 하나의 내벽에 설치되어 우산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에서 상기 우산이 감지되면, 상기 블로워 모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건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우산의 젖은 상태를 고려하여, 건조시간과 송풍되는 에어의 온도를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건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에는 상기 우산에서 제거된 물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건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의 내벽에 형성된 분사홀은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는 분사 노즐이고, 적어도 하나의 홀을 통해 에어가 펼쳐진 상기 우산의 우산지에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건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부에 비산방지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건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의 외면에는 이동가능한 이동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수단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건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건조기의 외벽에는 광고, 단신뉴스를 제공하는 시청각장치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건조기.
KR1020110102163A 2011-10-07 2011-10-07 우산 건조기 KR201300377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163A KR20130037755A (ko) 2011-10-07 2011-10-07 우산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163A KR20130037755A (ko) 2011-10-07 2011-10-07 우산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755A true KR20130037755A (ko) 2013-04-17

Family

ID=48438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163A KR20130037755A (ko) 2011-10-07 2011-10-07 우산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775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018A (ko) 2017-08-25 2019-03-07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산 보관함
KR20190125780A (ko) * 2018-04-30 2019-11-0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20200049286A (ko) * 2018-10-31 2020-05-08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에어컴프레셔를 구비한 우산제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018A (ko) 2017-08-25 2019-03-07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산 보관함
KR20190125780A (ko) * 2018-04-30 2019-11-0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20200049286A (ko) * 2018-10-31 2020-05-08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에어컴프레셔를 구비한 우산제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6098Y1 (ko) 터널식 우산건조기
KR101676966B1 (ko) 우산 탈수장치
KR20150016837A (ko) 우산 건조장치
KR20130037755A (ko) 우산 건조기
KR101312699B1 (ko) 우산건조기
KR101249900B1 (ko) 우산 건조기
KR20090085170A (ko) 우산 건조장치
KR20130037760A (ko) 우산 건조 장치
KR20180122885A (ko) 분리식 자동우산건조기
KR20110075102A (ko) 송풍식 우산 건조 장치
KR20100128673A (ko) 우산 건조기
KR20160101378A (ko) 우산 자동 건조 장치
KR102352924B1 (ko) 건조기능을 갖는 우산꽂이
KR101973382B1 (ko) 제트 블레이드 기술을 이용한 자동 우산건조기
JPH06294579A (ja) 傘乾燥装置
KR960003898Y1 (ko) 우산탈수기
CN207228273U (zh) 一种带有埋墙式吹风机的厕所
KR20060098752A (ko) 압축 공기를 이용한 우산 탈수기
KR20200028126A (ko) 우산 물기제거장치
KR20200049286A (ko) 에어컴프레셔를 구비한 우산제수기
JPH0814738A (ja) 雨傘用脱水装置
KR200336647Y1 (ko) 우산 물기 제거기
KR102257455B1 (ko) 우산빗물제거장치
CN205894755U (zh) 一种取款机防护舱
KR200332407Y1 (ko) 자동우산꽂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