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455B1 - 우산빗물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우산빗물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455B1
KR102257455B1 KR1020210004416A KR20210004416A KR102257455B1 KR 102257455 B1 KR102257455 B1 KR 102257455B1 KR 1020210004416 A KR1020210004416 A KR 1020210004416A KR 20210004416 A KR20210004416 A KR 20210004416A KR 102257455 B1 KR102257455 B1 KR 102257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umbrella
case
front wall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은
Original Assignee
권영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은 filed Critical 권영은
Priority to KR1020210004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4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entrifug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supplying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r several in selected proportions to a spray apparatus, e.g. to a single spray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2Applications of driving mechanism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토출장치(200);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서 떨어진 물이 수집되는 탱크(30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00)는, 우산이 진입되는 입구(102); 우산이 빠져나가는 출구(104); 상기 입구(102) 및 출구(104)를 연결하고, 상기 우산의 샤프트(11)가 관통되어 이동하는 가이드웨이(120);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토출장치의 공기가 토출되는 내부공간(105);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펼친 상태의 우산을 케이스 내부에 삽입하여 우산에 뭍은 빗물을 제거할 수 있고, 산의 캐노피를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하기 때문에, 캐노피에 뭍은 빗물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우산빗물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a rainwater}
본 발명은 우산빗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살에 비를 막는 커버를 씌워 구성된다. 비를 막는 천은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함습성이 낮은 재질을 사용된다.
우산은 비를 맞으면 빗물이 천에 스며들거나 물방울 형태로 커버에 잔류하게 된다. 커버 표면에 뭍은 물이 최소한으로 잔류되도록 커버 표면에 발수코팅이 실시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산의 사용 후에는 커버 표면에 빗물이 잔류하게 되고, 잔류 빗물이 실내의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일회용 비닐 커버가 사용된다.
하지만 일회용 비닐 커버는 대량의 폐기물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종래의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51589호에 개시된 우산빗물제거장치는 접힌 상태의 우산을 통과시켜 우산 표면에 뭍은 빗물을 닦아내는 방식으로 우산의 잔류 빗물을 제거하였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우산빗물제거장치는 접힌 상태의 우산을 대상으로 잔류 빗물을 제거하기 때문에, 빗물 제거에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51589호
본 발명은 펼친 상태의 우산에서 빗물을 제거할 수 있는 우산빗물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우산의 잔류빗물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우산빗물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우산의 잔류빗물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우산빗물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저장된 빗물을 용이하게 배출하고, 내부에 빗물이 잔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우산빗물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토출장치(200);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서 떨어진 물이 수집되는 탱크(30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00)는, 우산이 진입되는 입구(102); 우산이 빠져나가는 출구(104); 상기 입구(102) 및 출구(104)를 연결하고, 상기 우산의 샤프트(11)가 관통되어 이동하는 가이드웨이(120);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토출장치의 공기가 토출되는 내부공간(105);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사용자를 향하게 배치된 프론트월(111); 상기 프론트월(111)과 마주보게 배치된 리어월(112); 상기 프론트월(111) 및 리어월(112)을 연결하고 상기 입구(102)가 형성된 제 1 사이드월(113); 상기 프론트월(111) 및 리어월(112)을 연결하고, 상기 출구(104)가 형성된 제 2 사이드월(114); 상기 프론트월(111) 및 리어월(112)을 연결하고, 상측을 향하게 배치된 탑월(1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웨이(120)는, 웨이입구(122), 웨이출구(124) 및 웨이패스(125)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입구(122)가 상기 제1사이드월(113)에 형성되고, 상기 웨이출구(124)가 상기 제2사이드월(114)에 형성되며, 상기 웨이패스(125)가 상기 프론트월(11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월(111)은 수직 방향에 대해 경사각(A)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각(A)이 5도 이상 45도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웨이패스(125) 상측에 배치된 프론트월을 어퍼프론트월이라 하고, 하측에 배치된 프론트월을 로어프론트월이라 한다.
상기 공기토출장치(200)는, 상기 내부공간(105)의 상측에 배치되고,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공기를 토출하는 어퍼노즐(210); 상기 내부공간(105)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공기를 토출하는 로어노즐(220); 상기 어퍼노즐(210)이 배치된 어퍼패널(230); 상기 로어노즐(220)이 배치된 로어패널(240); 상기 어퍼노즐(210) 및 로어노즐(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공기압축기(250);를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펼친 상태의 우산을 케이스 내부에 삽입하여 우산에 뭍은 빗물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우산의 캐노피를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하기 때문에, 캐노피에 뭍은 빗물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센서를 통해 우산 또는 사용자를 감지하여 공기압축기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우산의 잔류빗물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압축기의 사용시간을 줄여 소비전력을 절감하고 작동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우산에서 분리된 빗물을 효과적으로 수집하여 탱크에 저장하고, 배수시설을 고려하여 저장된 빗물을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우산빗물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른 방향에서 본 우산빗물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하측에서 본 우산빗물제거장치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제1사이드월이 내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프론트월이 개방된 내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노즐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3에 도시된 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용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우산빗물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우산빗물제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른 방향에서 본 우산빗물제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하측에서 본 우산빗물제거장치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우측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용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빗물제거장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토출장치(20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서 떨어진 물이 수집되는 탱크(300)와, 상기 케이스(100)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토출장치(200)에 전원을 제공하는 파워서플라이(400)를 포함한다.
우산(10)은 샤프트(11)와, 상기 샤프트(11)에 결합되고,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접히고 펼쳐지는 리브(미도시)와, 상기 샤프트(11) 및 리브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리브를 지지하는 스프레더(미도시)와, 상기 리브에 결합된 캐노피(1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브(12), 스프레더(13) 및 캐노피(15)가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삽입되어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샤프트(11)는 상기 케이스(100)를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된 가이드웨이(12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00)에 삽입되는 상기 리브(12), 스프레더(13) 및 캐노피(15)를 삽입부(19)라 정의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삽입부(19)가 진입되는 입구(102)와, 상기 삽입부(19)가 빠져나가는 출구(104)와, 상기 입구(102) 및 출구(104)를 연결하고, 상기 샤프트(11)가 관통되는 가이드웨이(12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가 토출되는 내부공간(105, 도 11 참조)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외형을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사용자를 향하게 배치된 프론트월(111)과, 상기 프론트월(111)과 마주보게 배치된 리어월(112)과, 상기 프론트월(111) 및 리어월(112)을 연결하고 상기 입구(102)가 형성된 제 1 사이드월(113)과, 상기 프론트월(111) 및 리어월(112)을 연결하고, 상기 출구(104)가 형성된 제 2 사이드월(114)과, 상기 프론트월(111) 및 리어월(112)을 연결하고, 상측을 향하게 배치된 탑월(115)을 포함한다.
상기 입구(102) 및 출구(104)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입구(102) 및 출구(104)는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 상기 입구(102)를 통해서만 우산이 삽입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우측에 입구(102)가 배치되고, 좌측에 출구(104)가 배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좌측이 입구로 사용되고 우측이 출구로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입구(102) 및 출구(104)는 상기 우산의 삽입부(19)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일반적인 우산의 삽입부(19) 형상이 반구형이기 때문에, 상기 입구(102) 및 출구(104)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구(102)에는 우산의 캡(미도시)에 대응되는 캡입구(103)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출구(104)에는 우산의 캡에 대응되는 캡출구(10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입구(103)는 입구(102)와 연결되고, 상기 캡출구(105)는 출구(104)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캡입구(103) 및 캡출구(105)를 통해 캡이 비정상적으로 긴 우산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입구(102)의 정면경계(102a)가 직선으로 형성되고, 배면경계(102b)가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출구(104)의 정면경계(104a)가 직선으로 형성되고, 배면경계(104b)가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웨이(120)에 상기 샤프트(11)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웨이(120)를 따라 상기 샤프트(11)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웨이(120)는 웨이입구(122), 웨이출구(124) 및 웨이패스(125)를 포함한다.
상기 웨이입구(122)는 상기 제 1 사이드월(113)에 배치되고, 상기 입구(102)와 연통된다.
상기 웨이출구(124)는 상기 제 2 사이드월(114)에 배치되고, 상기 출구(104)에 연통된다.
상기 웨이패스(125)는 상기 웨이입구(122) 및 웨이출구(124)를 연결하고, 상기 프론트월(111)에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월(111)은 제1프론트월 및 제2프론트월을 포함한다.
상기 웨이패스(125)의 상측에 제1프론트월이 배치되고, 상기 웨이패스(125)의 하측에 제2프론트월이 배치된다. 상기 제1프론트월 및 제2프론트월 사이에 상기 웨이패스(125)가 형성된다.
상기 웨이입구(122)의 길이방향과 웨이패스(125)의 길이방향이 교차될 수 있다. 상기 웨이출구(124)의 길이방향과 웨이패스(125)의 길이방향이 교차될 수 있다.
상기 웨이패스(125)는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웨이패스(125)는 상하 방향으로 굴곡을 형성하는 곡선으로 형성되고, 이를 통해 샤프트(11)의 이동길이를 증가시킨다.
상기 웨이패스(125)의 길이가 증가될 경우, 삽입부(19)의 체류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고, 토출공기와의 접촉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캐노피(15)의 잔류빗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사용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웨이패스(125)가 배치된 프론트월(111)이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월(111)은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론트월(111)은 수직방향에 대해 경사각(A)을 형성한다. 상기 경사각(A)은 5도 이상 45도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각(A)은 수직방향에 대해 13도로 형성된다. 상기 경사각(A)은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린이와 같이 키가 작은 사용자의 경우 경사각(A)이 작을 수 있고, 성인의 경우 경사각(A)이 클 수 있다. 또한 동양인에 비해 서양인의 체형이 더 크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상기 경사각(A)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프론트월(111)이 수직하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탑월(115)에 탑도어(116)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탑도어(116)를 회전시켜 상기 케이스 내부공간 상측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탑도어(116)는 상측으로 회전되는 구조이다.
상기 탑도어(116)를 개방하여 후술하는 어퍼패널(230)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리어월(112)에 리어도어(117)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리어도어(117)를 회전시켜 상기 케이스 내부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리어도어(117)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좌우 2개의 리어도어(117)가 배치된다.
상기 리어도어(117)를 개방하여 후술하는 어퍼패널(230) 및 로어패널(240)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탑도어(116) 또는 리어도어(117)의 개방을 통해 후술하는 공기토출장치(200), 파워서플라이(400)와 같이 내부공간(105)에 배치되는 부품을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100)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레그(11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이동을 위해 다수개의 휠(13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도 4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1의 제1사이드월이 내부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의 프론트월이 개방된 내부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노즐의 확대도이고, 도 14는 도 3에 도시된 탱크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토출장치(200)는 내부공간(105)의 상측에 배치되고,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공기를 토출하는 어퍼노즐(210)과, 내부공간(105)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공기를 토출하는 로어노즐(220)과, 상기 어퍼노즐(210)이 배치된 어퍼패널(230)과, 상기 로어노즐(220)이 배치된 로어패널(240)과, 상기 어퍼노즐(210) 및 로어노즐(220)에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공기압축기(25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토출장치(200)는 케이스(100)의 내부공간(105)에 배치된다.
상기 어퍼노즐(210) 및 로어노즐(220)의 형상 및 구조는 동일하고, 설치위치 및 배치방향이 상이하다. 상기
상기 어퍼노즐(210)에 어퍼토출구(211)가 배치되고, 상기 로어노즐(220)에 로어토출구(221)가 배치된다. 상기 어퍼노즐(210)이 로어노즐(220) 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토출구(211) 및 로어토출구(221)는 슬릿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어퍼토출구(211) 및 로어토출구(221)가 홀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토출구(211) 및 로어토출구(221)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어퍼토출구(211) 및 로어토출구(221)가 수평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퍼토출구(211)는 수직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어퍼토출구(211)는 전방 하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전방 하측을 향해 공기를 토출한다.
상기 로어토출구(221)는 수직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로어토출구(221)는 전방 상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전방 상측을 향해 공기를 토출한다.
상기 가이드웨이(120)에 샤프트(11)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샤프트(11)를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된 캐노피(15)를 상부캐노피(15a)라 하고, 상기 샤프트(11)를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된 캐노피(15)를 하부캐노피(15b)라 한다.
상기 우산이 상기 가이드웨이(120)를 따라 이동할 때, 샤프트(11)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상부캐노피(15a) 또는 하부캐노피(15b)가 캐노피(15)의 특정 영역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프론트월(111)이 경사각(A)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샤프트(11)가 가이드웨이(120)에 삽입될 경우, 상기 우산의 캡은 하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11) 또한 하측을 향하게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어퍼노즐(210)은 상기 상부캐노피(15a)를 향해 토출공기를 분사하고, 상기 로어노즐(220)은 상기 하부캐노피(15b)를 향해 공기를 토출한다.
상기 상부캐노피(15a)에 분사된 공기는 상기 상부캐노피(15a)에 뭍은 빗물을 캐노피(15)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캐노피(15b)에 분사된 공기는 상기 하부캐노피(15b)에 뭍은 빗물을 캐노피(15)에서 분리시킬 수 있고, 상기 분리된 빗물은 내부공간(105)의 하측으로 낙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캐노피(15a)에 분사된 공기는 상기 상부캐노피(15a)에 뭍은 빗물을 증발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캐노피(15b)에 분사된 공기는 상기 하부캐노피(15b)에 뭍은 빗물을 증발시킬 수 있다.
상기 어퍼노즐(210) 및 로어노즐(220)에서 분사되는 공기의 압력 및 속도는 상기 캐노피(15)에 뭍은 빗물을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압력 및 속도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어퍼노즐(210) 및 로어노즐(220)에서 분사되는 공기는 상기 캐노피(15)에 뭍은 빗물을 분리시킬 뿐만 아니라 자연증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잔여빗물을 보다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어퍼토출구(211)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어퍼토출공기라 정의하고, 로어토출구(221)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로어토출공기라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토출공기 및 로어노출공기는 서로 교차되게 분사된다.
상기 어퍼토출공기 및 로어토출공기는 프론트월(111)을 향하게 분사될 뿐만 아니라 상기 샤프트(11)를 향하게 분사된다. 즉, 어퍼토출공기 및 로어토출공기는 상기 샤프트(11)와 평행하지 않고, 교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퍼토출공기를 하측으로 분사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어퍼패널(230)을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한다. 로어토출공기를 상측으로 분사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로어패널(240)을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어퍼패널(230) 또는 로어패널(240)을 수직하게 배치하고, 어퍼노즐(210)의 형상을 변경하여 어퍼토출구(211)를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하거나 로어노즐(220)의 형상을 변경하여 로어토출구(221)를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패널(230)은 수직방향에 대해 어퍼경사각(B)을 형성하고, 로어패널(240)은 수직방향에 대해 로어경사각(C)을 형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경사각(C)은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에 대한 각도이고, 상기 어퍼경사각(B)은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에 대한 각도이다.
상기 우산의 샤프트(11)가 하측을 향하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어퍼경사각(B)보다 로어경사각(C)이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월(111) 경사각(A)과 비교할 때, 상기 어퍼경사각(B) 및 로어경사각(C)이 상기 프론트월(111) 경사각(A)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어경사각(C) > 어퍼경사각(B) > 프론트월 경사각(A)" 의 관계를 형성한다.
상기 프론트월 경사각(A)을 고려할 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경사각(C)은 13도 이상 60도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바람직하고, 상기 어퍼경사각(B)은 상기 프론트월 경사각(A) 보다 크고 로어경사각(C)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패널(230) 및 로어패널(240)은 교차되게 배치되고, 상기 어퍼패널(230) 및 로어패널(240) 사이의 각도를 패널사이각(D)이라 정의한다.
상기 어퍼패널(230) 및 로어패널(240)은 하나의 패널을 절곡하게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어퍼패널(230) 및 로어패널(240)을 각각 제작한 후 조립하여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퍼패널(230) 및 로어패널(240) 사이에 연결패널(235)이 배치되고, 상기 연결패널(235)은 수직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패널(230)의 하단(232)이 연결패널(235)의 상단에 연결되고, 로어패널(240)의 상단(241)이 연결패널(235)의 하단에 연결된다.
상기 패널사이각(D)은 90도 이상 180도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패널사이각(D)은 우산 캐노피(15)의 곡률반경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공간(105)에서 비산된 빗물을 모으기 위해 가이드패널(26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패널(260)의 전단이 높고, 후단이 낮게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패널(260)은 수직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패널(260)의 경사각을 가이드경사각(E)으로 정의한다. 상기 가이드경사각(E)에 특별한 제약은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론트월 경사각(A)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경사각(E)이 커서 상기 가이드패널(260)이 보다 수직하게 배치되는 경우, 우산의 캐노피 하단과 접촉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상기 샤프트(11)의 경사각과 유사하게 가이드경사각(E)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가이드패널(260)의 하단(262)은 로어패널(240)의 하단(242)과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어패널(240) 및 가이드패널(260) 사이에 드레인홀(270)이 배치된다. 상기 로어패널(240) 및 가이드패널(260) 사이를 빗물수로(265)로 정의한다.
로어패널(240) 및 가이드패널(260)이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우산에서 분리된 빗물은 상기 로어패널(240) 및 가이드패널(260)의 하측으로 이동된 후, 상기 드레인홀(270)을 통해 탱크(300)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로어패널(240) 및 가이드패널(260)의 각 하단은 드레인홀(270)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빗물수로(265)는 좌우 방향에 대해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빗물수로(265)의 입구 측이 출구 측 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잔류된 빗물이 빗물수로(265)에 고일 경우, 세균 또는 곰팡이 등이 증식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를 오염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빗물제거장치는 빗물수로(265)에 경사를 형성시켜 빗물을 드레인홀(270)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케이스(100) 내부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100) 내부 내에 UV LAMP(600)가 설치 되어 건조기 내부내에 세균 증식 및 곰팡이를 억제할 수 있으며, 이외에 공기 살균 기능도 유지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빗물수로(265)를 향하도록 UV LAMP(6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퍼패널(230) 및 로어패널(240)을 내부공간(105)에 설치하기 위해, 프레임들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구조물들을 고정 또는 지지하는 프레임들을 프레임어셈블리(500)라 정의한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500)는 탑뷰로 볼 때, 상기 케이스(100)의 4모서리에 배치되는 4개의 코너프레임(501)(502)들과, 상기 코너프레임들을 연결하는 4개의 수평프레임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들 중, 상기 프론트월(111)에 밀착된 것을 프론트프레임(511)이라 하고, 리어월(512)에 밀착된 것을 리어프레임(512)이라 하며, 제1사이드월(113)에 밀착된 것을 제1사이드프레임(미도시)이라 하고, 제2사이드월(114)에 밀착된 것을 제2사이드프레임(514)라 한다.
상기 수평프레임들(511)(512)(514)은 상기 코너프레임들들(501)(502)의 높이 중간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프레임들(511)(512)(514)의 상측에 상기 가이드패널(260) 및 로어패널(240)이 배치되고, 상기 수평프레임들(511)(512)(514)이 상기 가이드패널(260) 및 로어패널(240)을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어퍼패널(230)을 지지하는 어퍼프레임(523), 로어패널(240)을 지지하는 로어프레임(524)이 각각 배치된다.
상기 로어패널(240)의 하부에 상기 탱크(300) 및 공기압축기(25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어패널(240) 및 리어월(112) 사이에 상기 공기압축기(250) 및 파워서플라이(400)가 배치된다. 상기 공기압축기(250) 및 파워서플라이(400)는 상기 탱크(300) 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공기압축기(250) 및 파워서플라이(400)는 상기 수평프레임들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공기압축기(250)는 상기 어퍼노즐(210) 및 로어노즐(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압축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공기압축기(250)를 상기 하중이 큰 탱크(300)와 결합하거나 프레임어셈블리(500)에 결합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공기압축기(250)의 작동시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압축기(250)를 통해 각 노즐(210)(220)에 압축공기를 제공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다수개의 팬이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팬은 블로어 팬(blower fan)일 수 있다. 상기 팬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어퍼노즐(210) 및 로어노즐(220) 각각에 팬이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팬은 어퍼노즐(210) 및 로어노즐(220)의 개수만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탱크(300)는 상기 수평프레임들 하측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탱크(300)는 상기 로어패널(24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탱크(300)는 상기 드레인홀(270)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드레인홀(270)에서 낙하되는 빗물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탱크(300)는 상기 케이스(100)에 결합된다. 상기 탱크(300)는 상기 프레임어셈블리(50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탱크(300)는 상기 수평프레임들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프레임들 및 코너프레임들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탱크가 상기 케이스에서 분리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탱크는 상기 드레인홀(270)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탱크(300)의 하단(301)은 상기 레크(110) 및 휠(130)의 하단보다 높게 배치되고, 이를 통해 이동 시 탱크의 하단(301)이 지면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 5, 7, 14를 참조하면, 상기 탱크(300)는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하우징(310)과, 상기 하우징(310)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310) 내부의 빗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관(320)과, 상기 배수관(320)에 배치된 배수밸브(330)를 포함한다.
배수시설이 있는 공간에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빗물제거장치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배수관(320)을 통해 저장된 빗물을 배출할 배수시설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배수관(320)에 호스 등을 연결하고, 상기 배수밸브(330)를 개방하여 하우징(310) 내부에 저장된 빗물을 배출할 수 있다.
배수시설이 없는 장소인 경우, 하우징(310)에 빗물을 저장하고, 배수시설이 있는 장소까지 우산빗물제거장치를 이동시킨 후 빗물을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배수밸브(330)는 개폐밸브가 사용된다.
상기 하우징(310)은 빗물을 용이하게 저장하고 배출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310)은 하우징탑(311)(312), 하우징바텀(313)(314), 하우징사이드(315)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310)은 좌측면, 우측면, 전면, 후면 및 저면이 막힌 형태이고, 빗물을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해 상면 일부가 개방된다.
상기 하우징탑(311)(312)는 상측벽을 형성한다.
전방 측에 배치된 하우징탑을 제1하우징탑(311)이라 하고, 후방 측에 배치된 하우징탑(312)을 제2하우징탑(312)이라 한다.
상기 제1하우징탑(311)은 전단이 높고, 후단이 낮게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탑(312)은 전단이 낮고, 후단이 높게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탑(311)의 후단과 제2하우징탑(312)의 전단이 결합된다. 상기 제1하우징탑(311) 및 제2하우징탑(312)은 소정의 사이각을 형성한다.
상기 제1하우징탑(311) 및 제2하우징탑(312)의 결합을 통해 하측으로 오목한 형태가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홀(270)에서 낙하된 빗물은 제1하우징탑(311) 및 제2하우징탑(312)의 상측면으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탑(311) 및 제2하우징탑(312)의 경계에 슬릿(340)이 형성된다. 상기 슬릿(340)은 상기 하우징(310)을 관통한다.
상기 슬릿(340)은 상기 제1하우징탑(311) 및 제2하우징탑(312)의 경계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릿(340)은 하우징(3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슬릿(340)은 상기 드레인홀(270) 들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드레인홀(270)들에서 낙하된 빗물이 상기 슬릿(340)을 통해 상기 하우징(310) 내부로 직접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슬릿(340)은 상기 빗물수로(265)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드레인홀(270) 들에서 낙하된 빗물은 상기 제1하우징탑(311) 및 제2하우징탑(312)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슬릿(340)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바텀(313)(314)는 하측벽을 형성한다.
전방 측에 배치된 하우징바텀을 제1하우징바텀(313)이라 하고, 후방 측에 배치된 하우징바텀을 제2하우징바텀(314)이라 한다.
상기 제1하우징바텀(313)은 전단이 높고, 후단이 낮게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바텀(314)은 전단이 낮고, 후단이 높게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바텀(313)의 후단과 제2하우징바텀(314)의 전단이 결합된다. 상기 제1하우징바텀(313) 및 제2하우징바텀(314)은 소정의 사이각을 형성한다.
상기 제1하우징바텀(313) 및 제2하우징바텀(314)의 결합을 통해 하측으로 오목한 형태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사이드(315)는 측벽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사이드(315)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 좌측면, 우측면 및 배면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사이드(315)에 상기 배수관(320)이 배치된다.
상기 배수관(320)은 상기 제1하우징바텀(313) 및 제2하우징바텀(31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하우징바텀(313) 및 제2하우징바텀(314)과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관(320)이 상기 제1하우징바텀(313) 및 제2하우징바텀(314)에 가깝게 배치됨으로서, 빗물이 상기 하우징(310) 내부에 고이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수관(320)은 하우징(31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각 배수관(320)에 배수밸브(330)가 배치된다. 그래서 배수시설과 가까운 쪽의 배수관을 통해 저장된 빗물을 배출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압축기(250)는 인가된 전원을 통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공기압축기(250)의 구조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파워서플라이(400)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파워서플라이(400)는 외부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외부전력이 공급가능한 경우, 상기 파워서플라이(400)는 입력받는 전원을 상기 공기압축기(25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파워서플라이(400)는 AC-DC 컨버터 또는 DC-DC 컨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변환된 전원을 상기 공기압축기(25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워서플라이(400)는 공급받은 전원을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직류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자동차용 폐배터리가 사용되거나 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폐배터리 또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는 24V, 36V 또는 360V 직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110V 또는 220V 교류 전류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통해 상기 공기압축기(250)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AC-DC 컨버터 또는 DC-DC 컨버터가 사용될 수 있다.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전지자동차의 배터리의 경우 각각 다른 전압을 사용하는 바, 이에 대응하는 AC-DC 컨버터 또는 DC-DC 컨버터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 6, 12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100)에 사용자를 감지하는 센서들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들은 사용자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프론트월(111)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센서들이 케이스의 다른 부분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우산빗물제거장치는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할 수 있는 열화상카메라(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화상카메라(610)는 상기 프론트월(111)에 배치되되, 상기 웨이패스(125)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열화상카메라(610)는 상측으로 경사진 프론트월(111)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안면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열감지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우산빗물제거장치는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감지센서(620)(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센서(620)(630)는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일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센서(620)(630)는 상기 프론트월(11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월(111)에 위치감지센서(620)(630)가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를 직접 검출하는 것을 타켓으로 한다.
입구(102) 측에 배치된 위치감지센서를 제1위치감지센서(620)라 하고, 출구(104) 측에 배치된 위치감지센서를 제2위치감지센서(630)라 한다.
사용자가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620) 전방에 위치될 경우,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620)가 사용자를 감지하고, 상기 공기압축기(25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630) 전방에 위치될 경우,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630)가 사용자를 감지하고, 상기 공기압축기(25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630)가 사용자를 감지한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620)에서 사용자를 감지한 경우, 상기 공기압축기(250)를 계속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제2위치감지센서(630)가 사용자를 감지한 즉시 공기압축기를 정지시키지 않고, 소정 시간 동안 공기압축기의 작동을 지속시킨 후, 공기압축기의 온/오프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사용자의 이동방향이 반대인 경우,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630)에서 사용자를 먼저 감지하고,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620)에서 사용자를 나중에 감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빗물제거장치는 웨이입구(122) 또는 웨이출구(124) 중 어느 쪽으로 우산이 삽입되어도 작동될 수 있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위치감지센서(620)(630)가 상기 가이드웨이(12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센서(620)(630)는 웨이입구(122), 웨이패스(125) 또는 웨이출구(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웨이(120)에 위치감지센서(620)(630)가 배치되는 경우, 우산의 샤프트(11)를 감지하는 것을 타겟으로 한다.
웨이입구(122) 측에 배치된 위치감지센서를 제1위치감지센서(620)라 하고, 웨이출구(124) 측에 배치된 위치감지센서를 제2위치감지센서(630)라 한다.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620)에서 샤프트(11)를 감지한 경우 공기압축기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630)에서 샤프트(11)를 감지한 경우 공기압축기를 정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630)가 샤프트(11)를 감지한 즉시 공기압축기를 정지시키지 않고, 소정 시간 동안 공기압축기의 작동을 지속시킨 후, 공기압축기의 온/오프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2와 같이, 어퍼노즐(210) 및 로어노즐(220)이 수평방향에 대해 열을 형성할 수 있다. 어퍼노즐(210) 및 로어노즐(220)은 상하 방향에 대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퍼노즐(210) 및 로어노즐(220)의 상하 배열을 우측에서 부터 제1열(201), 제2열(202), 제3열(203), 제4열(204), 제5열(205) 및 제6열(206)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620)에서 사용자 또는 샤프트를 감지한 경우, 상기 공기압축기(250)를 작동시키고, 공기유로를 제어하여 제1열(201)부터 제6열(206) 순으로 압축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축공기를 순차 제공할 경우, 공기가 공급되는 노즐의 개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동일한 공기압축기 용량으로 더 강한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630)에서 사용자 또는 샤프트를 감지한 경우, 소정 시간 후에 공기압축기(250)를 정지시킬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우산빗물제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정면도이고, 도 18은 도 16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빗물제거장치는 우산을 자동으로 이송시키는 자동이송장치(7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웨이패스(1125)는 직선으로 형성된다. 상기 웨이패스(1125)는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어퍼프론트월(111a) 및 로어프론트월(111b) 사이에 상기 웨이패스(1125)가 형성되고, 상기 웨이패스(1125)에 상기 자동이송장치(700)가 배치된다.
상기 내부공간(105)의 빗물이 상기 웨이패스(1125) 밖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튼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튼은 웨이패스(1125)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커튼(701)과,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커튼(702)을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커튼(701) 및 리어커튼(702)이 상기 웨이패스(1125)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동이송장치(700)는 상기 웨이패스(1125)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배치된다.
상기 자동이송장치(700)는 상기 프론트커튼(701) 및 리어커튼(702)에 의해 일부가 가려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이송장치(700)는 프론트커튼(701) 및 리어커튼(70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자동이송장치(700)는 거치된 우산 샤프트(11)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자동이송장치(700)는 컨베이어-벨트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자동이송장치(700)는 제1위치감지센서(620) 또는 제2위치감지센서(630)의 신호에 따라 작동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자동이송장치(700)는, 정면에서 볼 때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롤러(720)(730)와, 상기 롤러(720)(73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벨트모터(미도시)와, 상기 롤러(720)(730)를 감싸게 배치되고, 상기 벨트모터의 작동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순환되는 벨트(710)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720)(730) 중 좌측에 배치된 것을 제 1 롤러(720)라 하고, 우측에 배치된 것을 제 2 롤러(730)라 한다.
상기 제 1 롤러(720) 및 제 2 롤러(730)의 롤러축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롤러축은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축은 전방 측 단이 높고, 후방 측 단이 낮게 배치된다. 상기 롤러축의 경사각은 상기 프론트월(111)의 경사각(A)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벨트(710)는 상기 제 1 롤러(720) 및 제 2 롤러(730)를 감싸게 형성된다.
상기 벨트(710)에는 상기 우산의 샤프트(11)가 삽입될 수 있는 홀더(71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더(715)는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715)의 홈에 상기 샤프트(11)가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더(715)는 상기 벨트(710)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620)에서 우산이 감지된 경우, 상기 벨트모터는 상기 벨트(710)를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630) 측(본 실시예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630)에서 우산이 감지된 경우, 상기 벨트모터는 상기 벨트(710)를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620) 측(본 실시예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빗물제거장치는 우산이 진입하는 방향과 무관하게 작동될 수 있고, 웨이패스(1125)로 삽입된 우산을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빗물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케이스 200 : 공기토출장치
300 : 탱크 400 : 파워서플라이
500 : 프레임어셈블리

Claims (5)

  1.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토출장치(200);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서 떨어진 물이 수집되는 탱크(300); 및 상기 케이스(100)에 배치되고, 우산의 샤프트를 자동으로 이송시키는 자동이송장치(70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00)는,
    사용자를 향하게 배치된 프론트월(111);
    상기 프론트월(111)과 마주보게 배치된 리어월(112);
    상기 프론트월(111) 및 리어월(112)을 연결하고 입구(102)가 형성된 제 1 사이드월(113);
    상기 프론트월(111) 및 리어월(112)을 연결하고, 출구(104)가 형성된 제 2 사이드월(114);
    상기 프론트월(111) 및 리어월(112)을 연결하고, 상측을 향하게 배치된 탑월(115);
    상기 제 1 사이드월(113)을 관통하게 형성되고, 우산이 진입되는 상기 입구(102);
    상기 제 2 사이드월(114)을 관통하게 형성되고, 우산이 빠져나가는 상기 출구(104);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입구(102) 및 출구(104)와 연통되며, 상기 공기토출장치의 공기가 토출되는 내부공간(105);
    상기 프론트월을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입구(102) 및 출구(104)를 연결하며, 상기 우산의 샤프트(11)가 관통되어 이동하는 가이드웨이(12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웨이는,
    상기 제 1 사이드월을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입구(102)와 연통되며, 상기 샤프트(11)가 관통되는 웨이입구;
    상기 제 2 사이드월을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출구(104)와 연통되며, 상기 샤프트(11)가 관통되는 웨이출구;
    상기 프론트월을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웨이입구 및 웨이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샤프트(11)가 관통되는 웨이패스;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이송장치(700)는,
    상기 웨이패스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롤러 및 제 2 롤러;
    상기 제 1 롤러 및 제 2 롤러를 감싸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롤러 및 제 2 롤러의 회전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순환되는 벨트;
    상기 제 1 롤러 또는 제 2 롤러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회전시키는 벨트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에 배치되고, 상기 우산의 샤프트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홀더;를 포함하는 우산빗물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이송장치는 상기 웨이패스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벨트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커튼;
    상기 벨트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커튼;을 더 포함하는 우산빗물제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입구 측에 배치된 제 1 위치감지센서;
    상기 케이스의 출구 측에 배치된 제 2 위치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위치감지센서 또는 상기 제 2 위치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벨트모터의 작동방향을 전환시키는 우산빗물제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월(111)은 수직 방향에 대해 경사각(A)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각(A)이 5도 이상 45도 이하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롤러 및 제 2 롤러의 각 롤러축이 상기 프론트월의 경사각(A)과 평행하게 배치된 우산빗물제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토출장치(200)는,
    상기 내부공간(105)의 상측에 배치되고,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공기를 토출하는 어퍼노즐(210);
    상기 내부공간(105)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공기를 토출하는 로어노즐(220);
    상기 어퍼노즐(210)이 배치된 어퍼패널(230);
    상기 로어노즐(220)이 배치된 로어패널(240);
    상기 어퍼노즐(210) 및 로어노즐(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공기압축기(250);를 포함하는 우산빗물제거장치.
KR1020210004416A 2021-01-13 2021-01-13 우산빗물제거장치 KR102257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416A KR102257455B1 (ko) 2021-01-13 2021-01-13 우산빗물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416A KR102257455B1 (ko) 2021-01-13 2021-01-13 우산빗물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7455B1 true KR102257455B1 (ko) 2021-05-27

Family

ID=76135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416A KR102257455B1 (ko) 2021-01-13 2021-01-13 우산빗물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4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098Y1 (ko) * 2013-01-14 2013-04-03 이태신 터널식 우산건조기
KR101851589B1 (ko) 2016-06-28 2018-04-24 (주)파인코리아코포레이션 우산 빗물제거 탈수장치
KR20200028071A (ko) * 2018-09-05 2020-03-16 황인석 우산빗물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098Y1 (ko) * 2013-01-14 2013-04-03 이태신 터널식 우산건조기
KR101851589B1 (ko) 2016-06-28 2018-04-24 (주)파인코리아코포레이션 우산 빗물제거 탈수장치
KR20200028071A (ko) * 2018-09-05 2020-03-16 황인석 우산빗물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9290B2 (en) Clothes dryer
US8065778B2 (en) Robot cleaner
US7197885B2 (en) Water separator with ribs
CN104949215A (zh) 除湿机
KR102011662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102257455B1 (ko) 우산빗물제거장치
US20210010193A1 (en) Garment care apparatus
CN107109765A (zh) 具有热交换器和冷凝物收集器的衣物处理设备
TW202015557A (zh) 除濕機
EP3163190B1 (en)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KR20090085170A (ko) 우산 건조장치
KR20110075102A (ko) 송풍식 우산 건조 장치
CN112869632A (zh) 基站及其清洁方法、智能机器系统
KR102637004B1 (ko) 욕실용 로봇 청소기
US20230210289A1 (en) Hanger device
KR102176916B1 (ko) 고압분사 공기순환방식 우산 빗물 제거기
KR100953675B1 (ko) 천장 부착형 복합 가습 장치
US10875392B2 (en) Tonneau cover with integrated drying cavity
JP2003260008A (ja) 手乾燥装置
KR102426506B1 (ko) 제트블레이드 기술을 이용한 우산의 빗물제거장치
CN114829698A (zh) 衣物处理设备和控制衣物处理设备的方法
KR20210103105A (ko) 의류 처리장치
KR10146777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53607B1 (ko) 우산물기제거기
CN210197646U (zh) 除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