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601A - 환기 디퓨저용 청소 어댑터 - Google Patents

환기 디퓨저용 청소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601A
KR20200134601A KR1020190060255A KR20190060255A KR20200134601A KR 20200134601 A KR20200134601 A KR 20200134601A KR 1020190060255 A KR1020190060255 A KR 1020190060255A KR 20190060255 A KR20190060255 A KR 20190060255A KR 20200134601 A KR20200134601 A KR 20200134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diffuser
diffuser
cleaning adapter
ventilat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7418B1 (ko
Inventor
성경선
이경준
Original Assignee
성경선
구보공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경선, 구보공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경선
Priority to KR1020190060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418B1/ko
Publication of KR20200134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2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having one or more bowls or cones diverging in the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공기조화용 환기 디퓨저를 청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청소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기 디퓨저의 배기구를 차단하는 차단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의 내측에는 상기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개방구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배출구를 갖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에 청소기가 연결되고, 상기 청소기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환기 디퓨저 내부의 먼지 또는 이물질이 상기 개방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된 후 상기 배출구를 통해 청소기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디퓨저용 청소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기 디퓨저용 청소 어댑터{cleaning adapter for ventilation diffuser}
본 발명은 실내 천장에 설치된 환기 디퓨저를 청소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청소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설치하여 냉,난방용 공기나 외기를 직접 실내에 투입하기도 하지만, 공기조화기를 별도의 공조실에 설치하고, 냉,난방용 공기나 외부로부터 흡입(이하, 이를 단순히 "공조"라고도 함)한 공기를 건물 실내에 설치되는 덕트를 통하여 실내의 각 룸에 투입하기도 한다. 특히, 대형병원, 대형 실험실, 대형 공장, 대형 빌딩 등 업무용 건물에 있어서는 대용량의 공기조화기로부터 여러 룸에 사용할 공기를 공조한 후 이를 덕트를 통하여 실내에 투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덕트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유도하는 것으로, 상기 덕트의 실내측 말단에는 덕트보다 단면적을 확대하여 공기를 여러 방향으로 확산시켜 주기 위한 디퓨저(diffuser)가 연결된다.
상기 디퓨저는 건물 실내의 천장 또는 벽체에 설치되고, 냉,난방용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거나 건물 내외부의 공기를 자연스럽게 환기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수단으로 사용된다.
공기조화기나 에어컨 또는 히터에 의해 냉각되거나 가열되는 공기는 실내를 순환하는 공기이거나, 실내 공기에 일부 외부 공기를 혼합한 공기이고, 환기장치에서 공급하는 공기는 외부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 중에는 열교환기, 히터, 필터, 팬, 덕트 등으로부터 유래하는 세균뿐만 아니라, 외부 공기로부터 실내로 유입되는 (초)미세먼지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와 세균이 포함된 공기가 실내에 투입되면, 호흡기 질환, 피부 질환 등 각종 인체 질환을 일으키게 되는 것은 자명하다. 특히 병원이나 실험실 등에서는 이러한 미세먼지와 세균이 포함된 공기가 실내에 투입될 경우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 올 수 있으므로, 공기가 실내에 투입되기 전 공기 중의 미세먼지와 세균을 확실히 필터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종래 환기 디퓨저는 건물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어 있어 환기 디퓨저의 청소작업이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청소작업 중 환기 디퓨저 내부의 먼지 또는 오염물질이 실내 공간으로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289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886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청소 어댑터는, 상부는 환기 디퓨저의 배기구를 차단하면서 환기 디퓨저에 연결되고, 하부는 청소기와 연결되며, 청소기의 흡입력에 의해 환기 디퓨저 내부의 먼지가 내부로 유입된 후 청소기로 배출되며, 이로 인해 환기 디퓨저의 청소작업이 간단하고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환기 디퓨저용 청소 어댑터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환기 디퓨저용 청소 어댑터는, 덕트가 연결되는 흡기구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배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덕트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실내로 안내하는 환기 디퓨저를 청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배기구를 차단하는 차단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의 내측에는 상기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개방구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배출구를 갖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에 청소기가 연결되고, 상기 청소기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환기 디퓨저 내부의 먼지 또는 이물질이 상기 개방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배출구를 통해 청소기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환기 디퓨저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대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구가 형성되고, 개방구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소정 길이의 체결부재가 형성되며,
본 발명의 환기 디퓨저용 청소 어댑터는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고정구에 체결되어서 상기 환기 디퓨저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되는 환기 디퓨저와 청소기의 연결이 쉽게 이루어지도록하여 환기 디퓨저 및/또는 덕트의 청소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기 디퓨저의 배기구를 차단하고, 청소기의 흡입력이 환기 디퓨저의 내부까지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환기 디퓨저의 내부 먼지가 실내 공간으로 배출되지 않고 청소기로 모두 배출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기 디퓨저의 청소작업시, 가정 또는 회사에 구비된 청소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별도의 청소용구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 디퓨저용 청소 어댑터의 개략도
도 2 및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어댑터와 환기 디퓨저의 분해 및 결합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 디퓨저용 청소 어댑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나태는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어댑터와 청소기의 결합관계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 디퓨저용 청소 어댑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및 이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모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터가 구비되는 환기 디퓨저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물 실내의 천장(A)에 설치되는 환기 디퓨저(D)의 청소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청소 어댑터로, 더욱 상세하게는 덕트(1)가 연결되는 흡기구(11)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배기구(12)가 형성되며 상기 덕트(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실내로 안내하는 환기 디퓨저(D)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12)를 차단하는 차단부(110)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110)의 내측에는 상기 배기구(12)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개방구(111)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배출구(121)를 갖는 연결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20)에 청소기(2)가 연결되어서 상기 청소기(2)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환기 디퓨저(D)의 내부 먼지 또는 이물질이 상기 개방구(11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배출구(121)를 통해 청소기(2)로 배출되도록 하는 환기 디퓨저용 청소 어댑터(100)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환기 디퓨저(D)는, 덕트(1)와 연결되는 흡기구(11)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흡기구(1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12)를 갖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하부에서 배기구(12)의 외측에 형성되는 플랜지부에 결합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대(22)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구(21)가 내측에 구비되는 링 형상의 고정판(20);을 포함한다.
상기 환기 디퓨저(D)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본체(10)의 하측에는, 상기 배기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배기조절판;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20)은 천장(A)에 체결되는 본체(10)의 하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면서 배기조절판의 체결을 위한 고정구(21)가 내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21)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대(22)에 지지되어 고정판(20)의 내측 중앙부에 고정되고, 내주연에 나사골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구(21)는 상기 고정판(20)에 형성되지만, 상기 고정판(20)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대(22)에 의해 지지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환기 디퓨저(D)는 건물 실내의 천장(A)에 설치되고, 장시간 사용에 의해 덕트(1)와 디퓨저(D) 본체(10)의 내부 공기가 오염되거나 내부에 먼지 또는 이물질 등이 쌓이게 되며, 이러한 오염된 공기와 오염물질을 환기 디퓨저(D)에서 제거함으로써 상기 오염물질이 실내 공간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청소기를 사용하여 실내 천장(A)에 설치된 환기 디퓨저(D)의 청소를 쉽고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청소용 어댑터(100)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배기구(12)를 차단하는 차단부(100)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100)의 내측에는 상기 배기구(12)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개방구(111)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배출구(121)를 갖는 연결부(1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20)에는 청소기(2)의 연장봉(2a)이 연결되고, 상기 청소기(2)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환기 디퓨저(D) 내부의 먼지 또는 이물질이 상기 개방구(111)를 통해 본 발명의 청소 어댑터(100)의 내부로 유입된 된 후 상기 배출구(121)를 통해 청소기(2)로 배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소 어댑터(100)는, 소정 부피를 갖는 아이스크림콘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며, 환기 디퓨저(D)와 청소기(2)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배기구(12)를 차단하는 차단부(110); 상기 배기구(1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내부로 유입(또는 흡입)되기 위해 차단부(110)의 내측에 형성되는 개방구(111); 및 상기 개방구(11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21)를 갖는 소정 길이의 연결구(120);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부(110)는 상기 배기구(12)를 차단하는 것으로, 상기 배기구(1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판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에는 소정 반경의 개방구(11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구(12)가 차단부(110)에 의해 차단될 때, 상기 배기구(12)를 통해 배출되는 환기 디퓨저(D) 내부의 공기 또는 이물질이 상기 개방구(111)를 통해 본 발명의 청소 어댑터(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110)의 테두리는 사선형태의 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는, 상기 차단부(110)가 상기 배기구(12)를 차단할때, 상기 배기구(12) 또는 고정판(20)의 내주연에 밀착된다.
한편, 상기 차단부(110)의 하부에는 소정 반경의 배출구(121)를 갖는 연결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120)는, 상부는 상기 차단부(110)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내부에 소정 공간을 갖고, 하부는 상기 개방구(111)와 연통하는 배출구(12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개방구(111)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부 공간을 지나 상기 배출구(1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20)의 하부에는 청소기(2)의 연장봉(2a)이 연결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소 어댑터(100)는 상기 디퓨저(D)와 청소기(2)에 연결되고, 환기 디퓨저(D) 내부의 공기 및/또는 이물질이 내부를 안전하게 통과한 후 청소기(2)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청소 어댑터(100)는, 상기 디퓨저(D)에 결합할 때, 상기 차단판(110)이 상기 디퓨저(D)의 하측에서 배기구(12)로 삽입되면서 억지끼움되거나 환기 디퓨저(D)의 본체(10)에 고정판(20)이 마련된 경우에는 상기 고정판(20)의 내주연에 삽입되어 억지끼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 어댑터(100)가 상기 환기 디퓨저(D)에 결합할 때에는 환기 디퓨저(D)에 구비된 배기조절판(미도시)을 디퓨저(D)에서 먼저 분리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어댑터(100)와 환기 디퓨저(D)의 결합에 있어서, 상기 환기 디퓨저(D)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대(22)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구(21)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111)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112)에 의해 지지되는 소정 길이의 체결부재(1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113)가 상기 고정구(21)에 체결됨으로써 본 발명의 청소 어댑터(100)가 상기 환기 디퓨저(D)에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체결부재(113)는 상기 고정구(21)에 억지끼움될 수 있고, 후크체결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21)는 환기 디퓨저(D)의 본체(10) 내측에 형성될 수 있고, 본체(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판(2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21)의 내주연에는 나사골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113)의 외주연에는 나사골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113)가 상기 고정구(21)에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청소 어댑터(100)는, 상기 체결부재(113)가 고정구(21)에 체결되고, 체결부재(113)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배기구(12)의 하측에서 상승하면서 상기 배기구(12)를 차단하며, 타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배기구(12)의 하측으로 하강하여 상기 고정구(21)에서 분리됨으로써 환기 디퓨저(D)에서 분리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부재(113)는 상기 개방구(11)의 내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112)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지지대(112)는, 일단부는 상기 지지대(112)의 하부를 지지하고, 타단부는 개방구(111)의 내주연에 연결되며, 상기 개방구(111)의 내측에 다수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111)의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체결부재(113)의 하부를 지지하는 일단부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져 상기 체결부재(113)의 하단부가 차단부(110)의 테두리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방구(111)는 다수의 상기 지지대(112)에 의해 다수로 분할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는 사선형태 또는 삿갓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차단부(110)가 배기구(12)를 차단할 때, 상기 체결부재(113)와 개방구(111)가 배기구(12)의 내측에 위치하고, 삿갓형태로 형성되어 디퓨저(D) 내부에서 디퓨져(D)의 내주연과 상부를 동시에 향하는 개방구(111)에 의해 디퓨저(D) 내부 곳곳의 공기 또는 먼지가 빠르고 원할하게 본 발명의 청소 어댑터(100) 내부로 유입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113)는 소정 너비를 갖는 지지판(114)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대(112)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판(114)에 연결된다.
즉, 상기 체결부재(113)가 상기 지지판(114)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지지되고, 상기 지지대(112)는 상기 지지판(114)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차단부(110)의 내측에 상기 지지대(112) 및/또는 체결부재(113)를 더욱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판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지지대에 대응하는 삿갓형상일 수도 있다. 그러나 지지대의 형상이 상술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차단부(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는 상기 차단부(110)를 지지하면서 개방구(11)와 연통하는 소정 공간이 내측에 형성되고, 하부는 소정 길이 돌출되면서 내측에 배출구(121)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120)는 청소기(2)의 연장봉(2a)이 연결되는 것으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경이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고, 청소기(2)의 연장봉(2a)이 상기 연결부(120)에 끼워져 상측으로 이동할수록 억지끼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20)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연에는 소정 반경의 끼움공(122)이 형성되고, 상기 청소기(2)의 연장봉(2a)에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탄성돌기(2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병의 청소 어댑터(100)와 청소기(2)가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단단히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끼움공(122)은 끼움홈일 수 있고, 상하방양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소 어댑터(10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단부는 상기 연결부(12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청소기의 연장봉(2a)에 연결되는 소정 길이의 주름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120)에는 청소기(2)의 연장봉(2a)이 연결되기 전, 소정 길이의 주름관을 먼저 연결하고, 이후 상기 주름관의 타단부에 지상에 마련되는 청소기를 연결하며, 이로 이해 천장(A)에 설치되는 환기 디퓨저(D)의 청소작업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어댑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차단부(110)의 테두리에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합성수지재의 패킹부재(115)가 형성된다.
즉, 상기 패킹부재(115)는, 상기 배기구(12)가 차단부(110)에 의해 차단될 때, 상기 배기구(12)의 내주연에 밀착하여서 상기 차단부(110)와 배기구(12) 사이의 형성될 수 있는 틈새를 차단하고, 이로 인해 배기구(12)로 배출되는 공기가 모두 본 발명의 청소 어댑터로 유입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청소 어댑터(100)는, 배기조절판이 분리된 환기 디퓨저(D)에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체결부재(113)가 고정구(21)에 체결되어 상기 디퓨저(D)에 쉽게 결합하고, 회전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차단부(110)가 디퓨저(D)의 배기구(12)를 차단하며, 이후 상기 연결부(120)에 청소기(2)를 연결하고 청소기를 작동함으로써, 환기 디퓨저(D)의 청소 작업이 간단하고 쉽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환기 디퓨저(D)와 청소기(2)를 연결하고, 상기 청소기의 흡입력에 의해 천장(A)에 설치되는 환기 디퓨저(D) 및/또는 덕트(1) 내부의 먼지 및 이물질이 내부를 통과한 후 청소기(2)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A : 천장 D : 디퓨저
1 : 덕트 2 : 청소기
2a : 연장봉 2b : 탄성돌기
10 : 본체 11 : 흡기구
12 : 배기구 20 : 고정판
21 : 고정구 22 : 고정대
100 : 청소 어댑터 110 : 차단부
111 : 개방구 112 : 지지대
113 : 체결부재 114 : 지지판
115 : 패킹부재

Claims (7)

  1. 덕트(1)가 연결되는 흡기구(11)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배기구(12)가 형성되며, 상기 덕트(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실내로 안내하는 환기 디퓨저(D)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12)를 차단하는 차단부(110)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110)의 내측에는 상기 배기구(12)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개방구(111)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배출구(121)를 갖는 연결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20)에 청소기(2)가 연결되며, 상기 청소기(2)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환기 디퓨저(D) 내부의 먼지 또는 이물질이 상기 개방구(11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배출구(121)를 통해 청소기(2)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디퓨저용 청소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디퓨저(D)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대(22)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구(21)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111)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112)에 의해 지지되는 체결부재(113)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113)가 상기 고정구(21)에 체결되어서 상기 환기 디퓨저(D)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디퓨저용 청소 어댑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21)의 내주연에는 나사골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113)의 외주연에는 상기 나사골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113)는 상기 고정구(21)에 체결되고,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디퓨저용 청소 어댑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110)의 테두리에는 상기 차단부(110)와 배기구(12)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는 패킹부재(1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디퓨저용 청소 어댑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12)는,
    상기 개방구(111)의 내측에 다수 형성되고,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개방구(111)를 다수로 분할하며, 체결부재(113)에 연결되는 일단부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개방구(11)가 환기 디퓨저(D)의 내측면에 대해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디퓨저용 청소 어댑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차단부(110)의 하부에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디퓨저용 청소 어댑터.
  7.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113)는 소정 너비의 지지판(114)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112)의 일단부가 상기 지지판(11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환기 디퓨저용 청소 어댑터.
KR1020190060255A 2019-05-22 2019-05-22 환기 디퓨저용 청소 어댑터 KR102267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255A KR102267418B1 (ko) 2019-05-22 2019-05-22 환기 디퓨저용 청소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255A KR102267418B1 (ko) 2019-05-22 2019-05-22 환기 디퓨저용 청소 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601A true KR20200134601A (ko) 2020-12-02
KR102267418B1 KR102267418B1 (ko) 2021-06-21

Family

ID=73791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255A KR102267418B1 (ko) 2019-05-22 2019-05-22 환기 디퓨저용 청소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41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862B1 (ko) 2010-04-29 2010-09-02 최진규 가변형 코어를 갖는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
FR2942025B1 (fr) * 2009-02-11 2011-03-11 Aldes Aeraulique Diffuseur d'air, installation de ventillation et procede de nettoyage correspondants
KR20120017876A (ko) * 2010-08-20 2012-02-29 박희성 방향제가 구비된 전동식 디퓨져
JP2013057460A (ja) * 2011-09-08 2013-03-28 Toshiba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130092894A (ko) 2012-02-13 2013-08-21 유원엔지니어링(주) 변풍량 디퓨저 및 무선통신을 이용한 공기조화 온도제어 시스템
KR101599624B1 (ko) * 2014-08-22 2016-03-03 주식회사 옴니벤트 디퓨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2025B1 (fr) * 2009-02-11 2011-03-11 Aldes Aeraulique Diffuseur d'air, installation de ventillation et procede de nettoyage correspondants
KR100978862B1 (ko) 2010-04-29 2010-09-02 최진규 가변형 코어를 갖는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
KR20120017876A (ko) * 2010-08-20 2012-02-29 박희성 방향제가 구비된 전동식 디퓨져
JP2013057460A (ja) * 2011-09-08 2013-03-28 Toshiba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130092894A (ko) 2012-02-13 2013-08-21 유원엔지니어링(주) 변풍량 디퓨저 및 무선통신을 이용한 공기조화 온도제어 시스템
KR101599624B1 (ko) * 2014-08-22 2016-03-03 주식회사 옴니벤트 디퓨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418B1 (ko) 202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4271B1 (ko) 환기 청정 장치
US7497771B2 (en) Ventilating system
US7591720B2 (en) Ventilating system
KR101990355B1 (ko) 욕실 환기팬을 이용한 환기시스템
US20060199509A1 (en) Ventilating system
KR101817092B1 (ko) 공기청정기
KR102267418B1 (ko) 환기 디퓨저용 청소 어댑터
KR102225287B1 (ko) 필터가 구비되는 환기 디퓨저
KR20200125268A (ko) 필터 교환형 환기 디퓨저
JP2017101847A (ja) 天井埋込型室内ユニット
KR20140005142U (ko) 천장형 에어컨디셔너 청소용 가림막
KR20180054193A (ko) 물을 이용한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
KR102589011B1 (ko)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
KR101762354B1 (ko) 온도조절기능을 갖는 환기장치
JP2551923Y2 (ja) クリーンルーム
KR102106596B1 (ko) 실내공기 청정기
KR200229933Y1 (ko) 고청정 항온 항습 환기장치
KR102230924B1 (ko) 대규모 시설용 공기조화기
KR200468966Y1 (ko) 시공과 관리가 용이한 환기장치
JP3218042U (ja) 換気装置
KR101211278B1 (ko) 환기 청정 장치
JP2018004211A (ja) 送風装置
KR101007312B1 (ko) 환기장치
KR101468603B1 (ko) 공기 조화기의 정압유지장치
JPH0466034A (ja) 動物飼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