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312B1 -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312B1
KR101007312B1 KR1020080088987A KR20080088987A KR101007312B1 KR 101007312 B1 KR101007312 B1 KR 101007312B1 KR 1020080088987 A KR1020080088987 A KR 1020080088987A KR 20080088987 A KR20080088987 A KR 20080088987A KR 101007312 B1 KR101007312 B1 KR 101007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charge
case
water purification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0181A (ko
Inventor
홍승옥
Original Assignee
(주) 남양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남양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남양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80088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312B1/ko
Publication of KR20100030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36Ducting arrangements with ducts including air distributors, e.g. air collecting boxes with at least three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수를 정수장에서 정수할 때 살균 목적으로 사용되는 염소에 의해 발생되는 염소가스로 인한 정수 설비의 부식방지를 위하여 실내의 공기를 원활하게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환기장치에 있어서, 천장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덕트와, 벽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흡입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수장, 염소가스, 공기흡입기, 공기배출덕트, 시설물, 용수

Description

환기장치{A ventilation device}
본 발명은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수를 정수장에서 정수할 때 살균 목적으로 사용되는 염소에 의해 발생되는 염소가스로 인한 정수 설비의 부식방지를 위하여 실내의 공기를 원활하게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수를 정수하는 정수장에는 공급되는 용수를 정수함에 있어서 여러단계를 거처 정수하여 공업용 및 식수 등으로 사용되게 되는데, 특히 정수 과정에서 용수를 살균 등의 목적으로 염소를 투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염소가 투입되는 용수는 정수장 내에서 빨리 유출시키지 않고 정체 및 회류시킴으로써, 염소 그리고 용수 상호간에 혼합되도록 하여 용수를 살균시키고 있다.
그러나, 용수에 염소를 첨가하여 살균하는 과정 또는 잔류하는 염소 등에 의해 염소가스가 발생하게 되고, 이 염소가스는 정수장의 실내공기와 혼합된 상태에서 실내에 잔류하게 되어 이 염소가스에 의해 정수장의 실내에 설치된 정수설비에 심각한 부식 형상 등과 같은 악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정수설비를 유지보수 비용 이 상당히 많이 지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장의 천장을 2중으로 형성하여 실내의 공기가 외부로 자연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정수장 실내에 용수를 정수시킬 때 첨가하는 염소에서 발생되는 염소가스와 혼합된 오염된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천장을 2중으로 하여 정수장의 실내 공기를 자연배출시키는 경우에는 실내의 공기가 잘 순환되지 않아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되고, 또한 정수장 실내의 공기가 잘 순환되지 않아 염소가스에 오염된 공기에 의해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게 되는 요인이 되고, 정수시설 또한 염소가스에 노출되게 되어 부식의 발생을 촉진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정수장의 실내 공기를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때 오염되지 않은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강제로 공급함으로써 정수장 실내의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됨과 동시에 환기가 잘 되도록 하여 정수시 발생되는 염소가스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정수장의 실내 공기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킴으로써, 정수시에 발생되는 염소가스가 실내에 정체되어 있지 않게 되어 이 염소가스에 의해 정수장의 시설물 등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정수장의 규모에 따라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흡입기와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덕트의 설치를 선택적으로 하여 다수개를 설치함으로써, 정수장의 실내 공기 흐름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벽과 천장에 받침부재를 형성하고, 그 위에 공기흡입기를 설치한 후 실내로 외부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실내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여 정수장의 오염된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공기흡입기의 토출부가 하부를 향하도록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외부공기를 정수장의 실내로 공급할 때 상부에서 경사지게 외부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비중이 큰 염소가스를 비산되도록 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정수장의 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케이스에 구비된 토출부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여 실내의 공기가 어느 일측에 정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청결한 실내공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케이스의 공간부에 송풍기로부터 공급된 외부공기를 모아 다수개가 형성된 토출부로 분배함과 동시에 공기분배실에 모이는 외부공기의 압력에 의해 외부공기가 미치지 못하는 곳까지 외부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케이스의 흡입부와 송풍기의 배출공에서 각각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통과할 때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등 이물질을 2차에 걸쳐 걸러주게 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 이물질에 의해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환기장치에 있어서, 천장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덕트와, 벽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흡입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흡입기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와 연통되는 흡입부와 토출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공간부에 장착되어 흡입부로 공기를 흡인하여 토출부로 배출시키는 동작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흡입부는 케이스의 일측 외부로 돌출되도록 댐퍼에 의해 연결되고, 케이스와 댐퍼의 사이에는 필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토출부는 흡입부의 반대 방향에 설치되되,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게 다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는 토출부가 형성된 방향에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경사부는 하부 방향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공간부에 공기분배실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분배실은 케이스의 토출부와 동작부의 사이에 공간부에 형성된 격벽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동작부는 케이스의 공간부 바닥면에 지지대가 구비되고, 이 지지대의 상부에 안착 고정되는 모터가 구비되며, 이 모터의 모터축에 장착되는 팬이 구비된 송풍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모터축은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 모터축에 장착되는 팬이 구비되어 공기분배실과 연계되는 송풍기가 양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모터축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 모터축에 장착되는 팬이 내장되어 구성된 송풍기 한쌍이 공기분배실과 연계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분배실과 송풍기의 사이에는 진동을 흡수하는 캠퍼스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송풍기와 공기분배실의 사이에는 필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토출부는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어 외부로 돌출된 고정부재가 형성되되, 고정부재의 끝단부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고정부재의 원호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체결된 유동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에는 진동흡수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진동흡수부는 베이스의 상부에 이격되게 지지판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와 지지판의 사이에 구비되어 동작부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되, 베이스의 상부에 수용공이 형성된 안착구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안착구에 수용되는 탄성부재가 끼워지는 체결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기는 정수장의 벽면 상단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정수장의 벽 상단과 천장의 사이에 외측을 향하는 받침부재가 형성되고 이 받침부재에 공기흡입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공기흡입기로 외부 공기를 흡입되도록 가이드 하는 공기흡입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댐퍼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실내공기흡입공과 외부공기 흡입공이 형성되고, 이 실내공기흡입공과 외부공기흡입공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정수장의 실내 공기를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때 오염되지 않은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강제로 공급함으로써 정수장 실내의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됨과 동시에 환기가 잘 되도록 하여 정수시 발생되는 염소가스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수장의 실내 공기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킴으로써, 정수시에 발생되는 염소가스가 실내에 정체되어 있지 않게 되어 이 염소가스에 의해 정수장의 시설물 등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정수장의 규모에 따라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흡입기와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덕트의 설치를 선택적으로 하여 다수개를 설치함으로써, 정수장의 실내 공기 흐름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벽과 천장에 받침부재를 형성하고, 그 위에 공기흡입기를 설치한 후 실내로 외부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실내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여 정수장의 오염된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공기흡입기의 토출부가 하부를 향하도록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외부공기를 정수장의 실내로 공급할 때 상부에서 경사지게 외부공기를 분사함으로 써, 비중이 큰 염소가스를 비산되도록 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정수장의 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에 구비된 토출부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여 실내의 공기가 어느 일측에 정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청결한 실내공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케이스의 공간부에 송풍기로부터 공급된 외부공기를 모아 다수개가 형성된 토출부로 분배함과 동시에 공기분배실에 모이는 외부공기의 압력에 의해 외부공기가 미치지 못하는 곳까지 외부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케이스의 흡입부와 송풍기의 배출공에서 각각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통과할 때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등 이물질을 2차에 걸쳐 걸러주게 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 이물질에 의해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를 보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배출덕트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흡입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흡입기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공기흡입기를 보인 평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공기흡입기에 대한 토출부를 보인 요부 확대 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공기흡입기에 대한 진동흡수부를 보인 요부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수를 정수하는 정수장(100)에 있어서, 상기 정수장(100)의 천장(102)에 설치되어 용수를 살균할 때 사용되는 염소에 의해 발생하는 염소가스를 함유하고 있는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덕트(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배출덕트(110)는 통상적으로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것이 적용되는 것으로, 일예로 천장에 고정되는 고정구(112)가 구비되고, 이 고정구(112)의 상부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 가이드 하는 안내부재(114)가 형성되며, 이 안내부재(114)의 내측에 팬(116)이 구비되어 이 팬(116)을 회전시켜 실내 공기를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팬(116)을 회전시키는 모터(118)가 구비되고, 이 모터(118)를 커버하는 커버부재(120)로 구성된다.
나아가, 상기 공기배출덕트(110)는 하나의 일예로 하여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한 것이며, 이 이외에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통상의 수단과 방법이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정수장(100)의 측벽 외측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흡입기(2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흡입기(210)는 평판 형상의 베이스(212)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212)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216)가 양측면 중 어느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216)가 형성된 타측부에는 상기 흡입 부(216)를 통하여 흡입된 외부공기를 정수장(100)의 내부로 공급하는 토출부(218)가 구비되되, 내측에 공간부(215)가 형성되어 상기 정수장(100)의 벽(106)에 설치되는 케이스(214)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흡입부(216)는 상기 케이스(214)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댐퍼(216a)에 의해 서로 연결되되, 상기 케이스(314)와 댐퍼(216a)의 사이에는 필터(216b)가 더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흡입부(216)의 개방부는 하부를 향하도록 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부는 외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안내되어 케이스(214)의 내측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원호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필터(216b)는 원활하게 분리하여 청소나 교체할 수 있도록 인출식, 즉 케이스(214)와 댐퍼(216a)의 사이에 일측부가 개방된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필터(216b)를 삽입 고정시켜 자유롭게 입,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토출부(218)는 상기 케이스(214)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되,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가로 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토출부(218)는 다수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토출구(218)를 1개만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토출구(218)는 상기 케이스(214)와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부재(218a)가 구비되되, 상기 고정부재(218a)는 전면이 개방되고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고정부재(218a)에 끼워져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하,좌,우로 자유롭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유동부재(218b)가 체결 고정되되, 상기 유동부재(218b)는 상기 고정부재(218a)의 내측에 위치되어 개방부를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부재(218a)와 밀착되어 고정되는 위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부재(218b)를 작업자가 파지 한 상태에서 상,하,좌,우 원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유동부재(218b)는 고정부재(218a)의 원호의 안내에 따라 유동되게 되어 상기 유동부재(218b)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214)의 내측 공간부(215)에 장착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부(216)를 통하여 흡인하여 토출부(218)로 배출시키는 동작부(2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동작부(220)는 상기 케이스(214)의 공간부(215) 바닥면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지지대(221)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221)의 상부에는 모터(222)가 안착 고정되며, 상기 모터(222)는 양측부로는 양측부로 돌출되는 기어축(222a)에 체결 고정된 팬(225)이 내측에 구비된 송풍기(224)가 구비된다.
즉, 상기 모터(222)의 양측부로 돌출된 기어축(222a) 각각에 체결 고정된 팬(225)을 수용하여 케이스(214) 공간부(215)로 흡입된 공기를 다시 흡입하는 흡입공(224a)이 형성되고 이 흡입공(224a)으로 흡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공(224b)이 형성된 송풍기(224)를 한 쌍으로 하여 모터(222)의 양측부에 구비함으로써, 이 송풍기(224)의 동작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케이스(214)의 내측으로 흡입부(216)를 통하여 흡입하고 상기 케이스(214)의 내측으로 흡입된 공기는 송풍기(224)를 통하 여 토출부(218)로 배출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케이스(214)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토출부(218)와 상기 동작부(220)의 송풍기(224)의 배출공(224b) 사이에는 상기 송풍기(224)에 의해 케이스(214)의 공간부(215)로 흡입된 공기가 공급되어 토출부(218)로 배출시 송풍량을 크게 하여 멀리 보낼 수 있도록 격벽(215a)에 의해 케이스(214)의 공간부(215)가 분리되어 공기분배실(230)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공기분배실(230)은 상기 송풍기(224)의 배출공(224b)과 연계되고, 상기 토출부(218)가 연계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송풍기(224)와 공기분배실(230)의 사이에는 상기 송풍기의 진동이 공기분배실(23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캠퍼스(232)가 더 구비되고, 이 컴퍼스(232)의 내측에는 송풍기(224)의 배출공(224b)을 커버하여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등을 걸러주는 필터(23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12)에는 상기 모터(222)의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부(24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진동흡수부(240)는 상기 베이스(212)와 케이스(214)의 사이에 서로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214)가 안착 고정되는 지지판(242)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212)의 상부 각 모서리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244a)이 형성된 안착구(244)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242)의 하부에는 상기 베이스(214)의 안착구(244)와 대응되게 동일 위치에 체결구(246)가 형성되며, 이 결체구(246)에 탄성부재(S)가 체결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212)의 안착구(244)에 끼워져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흡입기(210)의 모터(222)가 작동되면서 상기 케이스(214)의 내측에 구비된 송풍기(224)와 모터(222)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탄성부재(S)에서 흡수하여 진동 및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 환기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 환기장치가 정수장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정수장(100)의 환기장치의 설치는 먼저, 정수장(100)의 천장(102)에 관통공(104)을 형성하고, 이 관통공(104)과 연통되게 체결 고정시키게 되면 공기배출덕트(110)의 설치가 모두 완료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정수장(100)의 벽(102)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이 관통공()에 상기 케이스(214)의 토출부(228) 방향이 끼워져 상기 토출부(228)가 정수장(100)의 내측부에 위치되게 설치한다.
이렇게 상기 공기공급덕트(210)를 설치한 후에 상기 모터(222)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팬(225)이 회전을 하면서 외부의 공기를 흡입부(226)를 통하여 흡입하여 상기 케이스(214)의 공간부(215)로 흡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흡입부(226)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필터(226b)를 통과하면서 상기 케이스(214)의 공간부(215)로 흡입될 때 먼지 등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흡 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스(214)의 공간부(215)로 흡입된 공기는 다시 상기 송풍기(224)의 흡입공(224a)을 통하여 송풍기(224) 내부로 흡입되고, 이때 팬(225)의 회전력에 의해 공기는 다시 배출공(224b)을 통하여 공기분배실(230)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공기분배실(230)로 이동되어 모인 공기는 상기 토출부(228)를 통하여 정수장(100)의 내부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토출부(228)의 연결부재(218b)를 작업자가 원하는 각도로 가변시키게 되면 상기 공기분배실(230)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다양한 각도로 공기를 공급시켜 코너부 등 공기가 미치지 못하는 구간까지 공급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공기분배실(230)에서 공기가 모인 상태에서 다수개의 토출부(228)를 통하여 배출되고, 상기 토출부(228)의 끝단부가 좁게 형성되어 있어 강한 압력으로 공기가 배출되게 되어 먼곳이나 모서리 등 공기가 미치지 않는 공간까지도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정수장(100) 실내의 공기를 원활하게 순환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정수장(100)의 실내로 공기를 공급한 후에 정수장(100)에 설치된 공기배출덕트(110)를 통하여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실내의 공기를 원활하게 환기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정수장(100)의 실내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쾌적한 작업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정수장(100)에서 용수를 살균할 때 사용하는 염소로부터 발생되는 염소가스가 일정한 장소에 정체되지 않고 상기 공기흡입기(210)의 공기 공급에 의해 실내의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고 순환되는 공기는 공기배출덕트(11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렇게 정수장(100)의 공기를 환기시킴으로써, 정수장(100)에 염소가스가 정체되는 것을 방지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염소가스에 작업자가 중독되는 등의 종래 문제점이 해결되게 된다.
따라서, 실내로 외부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용수의 살균시에 첨가하는 염소에서 발생되는 염소가스에 의해 작업자의 가스 중독 및 정수시설의 부식과 노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정수장시설의 유지보수비가 절감되고, 작업자가 안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상기 정수장(100)에 상기 공기배출덕트(110)와 상기 공기흡입기(210)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로써, 상기 정수장(100)의 규모에 따라 상기 공기배출덕트(110) 및 공기흡입기(210)를 선택하여 다수개를 설치하여 정수장(100)의 실내 공기를 환기시킴으로써, 쾌적한 정수장(100)의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환기장치는 상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용수를 살균 정화하는 정수장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생활오수 및 폐수를 정수하는 정수시설 및 실내 수영장, 실내 체육관, 격납고 등 실내 공기를 정화 및 환기시키는 모든 장소에 적용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공기흡입기가 정수장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도이고, 도 13은 도 11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1에 대한 평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되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는 정수장(100)의 천장(102)과 벽(106)면의 사이에 받침부재(107)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재(107)에 안착되되, 내측에 공간부(322)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322)와 연계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326)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부(326)의 반대 방향에는 건물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토출부(328)가 형성된 케이스(320)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케이스(320)는 토출부(328)가 정수장(100)의 벽(106)에 형성된 받침부재(107)에 케이스(320)의 하단부가 볼트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구(321)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흡입부(326)는 케이스(32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댐퍼(326b)에 의해 연결되는 흡입구(326a)가 형성되고, 이 댐퍼(326b)와 케이스(320)의 사이에는 필터(326c)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326a)를 통하여 흡입된 외부공기가 건물 내부로 공급될 때 외부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등 이물질을 걸러주어 깨끗한 외부공기를 건물 실내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20)의 일측부, 즉 건물의 내측에 위치한 방향에는 소 정의 각도록 경사진 경사부(32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부(323)는 하부를 향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에 토출부(328)가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토출부(328)는 케이스(320)의 경사부(323)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돌출된 끝단부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부재(328a)가 형성되며, 이 고정부재(328a)에 유동 가능하게 케이스(320)의 내측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체결되는 토출구(328b)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토출구(328b)는 상기 고정부재(328a)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상기 고정부재(328a)와 동일하게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여 작업자가 원활하게 토출구(328b)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토출부(328)는 케이스(320)의 경사부(323)에 등간격으로 가로 세로 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토출부(328)는 가로 세로 등간격이 외에 다양하게 연출하여 경사부(323)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320)의 공간부(322)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부(326)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부(328)로 공기를 배출시켜는 작동부(3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330)는 케이스(320)의 공간부(322)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대(332)가 구비되고, 이 지지대(332)의 상부에 안착 고정되되, 일측으로 모터축(334a)이 돌출 형성된 모터(334)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축(334a)에 장착되는 팬(337)을 수용하는 송풍기(336)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모터(334)에 의해 회전하는 팬(337)이 수용된 송풍기(336)는 케이스(320)의 공간부(322)에 서로 대응되게 한쌍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송풍기(336)는 내측에 모터축(334a)에 연결된 팬(337)이 구비되고,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공(336a)이 구비되며, 흡입공(336a)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공(336b)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20)의 공간부(322)에 송풍기(330)의 배출공(336b)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모이도록 격벽(341)에 의해 공기분배실(34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분배실(340)은 송풍기(330)의 배출공(336b)과 연계되고, 토출부(328)의 고정부재(328a)와 연계되게 송풍기(330)와 고정부재(328a)의 사이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기(330)의 배출공(336b)으로 배출된 공기는 공기분배실(340)에 모이게 되고 공기분배실(340)에 모인 공기는 다시 다수개가 구비된 토출부(328)의 고정부재(328a)와 토출구(328b)를 통하여 건물의 실내로 공급되게 된다.
또한, 상기 송풍기(330)의 배출공(336b) 테두리에는 송풍기(330)의 작동시에 발생되는 진동이 케이스(32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캠퍼스(34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330)의 배출공(36b)과 공기분배실(340)의 사이에는 외부의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등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244)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작용관계는 생 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수장의 환지장치는 정수장(100)의 벽(106) 상단부나 벽(106)과 천장(102)의 경계부에 설치하여 실내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즉, 벽(106)의 상단부에 공기흡입기(310)가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되는 받침부재(107)를 형성하여 이 받침부재(107)에 공기흡입기(310)를 안착시켜 설치한다.
이때에는 공기흡입기(310)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별도의 공기공급관(미도시)을 설치하여 공기흡입기(310)의 작동시에 외부 공기를 이 공기공급관을 통하여 흡입되게 된다.
이렇게 공기흡입기(310)를 설치함으로써, 정수장(100)의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를 케이스(320)의 경사부(323)에 의하여 하부 방향으로 외부공기를 공급하게 되어 더욱 효과적으로 실내의 공기가 순환될 수 있게 된다.
일예로, 정수장(100)에 공기흡입기(310)를 설치하는 경우에 수돗물을 정화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약품인 염소에서 발생되는 염소가스의 비중이 커 실내의 바닥에 깔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정수장(100)의 상부에서 외부 공기를 강제로 공급하여 하부 방향으로 분사 공급하게 되면 바닥에 있는 염소가스는 실내의 상부로 비산되게 되어 별도로 구비된 환풍기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되어 실내의 공기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기(310)로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공급할 때 흡입 되는 외부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등 이물질을 1차로 흡입부(326) 방향에 구비된 필터(326c)에서 걸러주고, 2차로 토출부(328) 방향에 구비된 필터(344)에서 한번 더 먼지 등 이물질을 걸러주게 되어 청결한 공기를 건물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외부공기로 인하여 실내의 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의 댐퍼(327)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은 케이스(320)에 고정되고 타측부에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실내공기흡입공(327a)과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흡입관(미도시)이 고정되는 외부공기흡입공(327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공기흡입공(327a)과 외부공기흡입공(327b)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또는 외부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차단판(327c)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차단판(327c)을 이용하여 실내공기흡입공(327a), 또는 외부공기흡입공(327b)을 선택하여 차단, 즉 외부공기흡입공(327b)을 차단하게 되면 실내공기흡입공(327a)을 통하여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어 다시 실내로 공급되게 되고, 반대로 실내공기흡입공(327a)을 차단하게 되면 외부공기흡입공(327b)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흡입되어 실내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은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수를 정수장에서 정수할 때 살균 목적으로 사용되는 염소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로 인한 정수 설비의 부식방지를 위하여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정수장 환기시설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를 보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배출덕트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흡입기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흡입기를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공기흡입기를 보인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공기흡입기에 대한 토출부를 보인 요부 확대도.
도 8는 본 발명의 공기흡입기에 대한 진동흡수부를 보인 요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 환기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 환기장치가 정수장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공기흡입기가 정수장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13은 도 11에 대한 측단면도.
도 14는 도 11에 대한 평단면도.
도 15는 도 11에 대한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 16은 도 11에 대하여 정수장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면.
도 17은 도 11에 대하여 정수장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정수장 102 : 천장
106 : 벽 107 : 받침부재
110 : 공기배출덕트 112 : 고정구
114 : 안내부재 116, 237, 337 : 팬
118, 234, 334 : 모터 120 : 커버부재
210, 310 : 송풍장치 212 : 베이스
220, 320 : 케이스 222, 322 : 공간부
226,326 : 흡입부 226a, 326a : 흡입구
226b, 326b, 327 : 댐퍼 226c, 326c, 344 : 필터
228, 328 : 토출부 228a, 328a : 고정부재
228b, 328b : 토출구 230, 330 : 작동부
232, 332 : 지지대 234a, 334a : 모터축
236, 336 : 송풍기 236a, 336a : 흡입공
236b, 336b : 배출공 240, 340 : 공기분배실
242, 342 : 캠퍼스 250 : 진동흡수부
252 : 지지판 254 : 안착구
256 : 체결구 323 : 경사부
S : 탄성부재

Claims (20)

  1. 환기장치에 있어서,
    천장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덕트와, 벽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흡입기로 이루어지되,
    상기 공기흡입기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와 연통되는 흡입부와 토출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공간부에 장착되어 흡입부로 공기를 흡인하여 토출부로 배출시키는 동작부와,
    상기 케이스의 토출부와 동작부의 사이에 공간부에 형성된 격벽에 의해 형성된 공기분배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케이스의 일측 외부로 돌출되도록 댐퍼에 의해 연결되고, 케이스와 댐퍼의 사이에는 필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흡입부의 반대 방향에 설치되되,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게 다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토출부가 형성된 방향에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하부 방향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케이스의 공간부 바닥면에 지지대가 구비되고,
    이 지지대의 상부에 안착 고정되는 모터가 구비되며,
    이 모터의 모터축에 장착되는 팬이 구비된 송풍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축은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 모터축에 팬이 장착되어 공기분배실과 연계되는 송풍기가 양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축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 모터축에 장착되는 팬이 내장되어 구성된 송풍기 한쌍이 공기분배실과 연계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배실과 송풍기의 사이에는 진동을 흡수하는 캠퍼스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와 공기분배실의 사이에는 필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어 외부로 돌출된 고정부재가 형성되되, 고정부재의 끝단부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고정부재의 원호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체결된 유동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기의 하단에는 베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진동흡수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부는 베이스의 상부에 이격되게 지지판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와 지지판의 사이에 구비되어 동작부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되, 베이스의 상부에 수용공이 형성된 안착구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안착구에 수용되는 탄성부재가 끼워지는 체결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기는 정수장의 벽면 상단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장의 벽 상단과 천장의 사이에 외측을 향하는 받침부재가 형성되고 이 받침부재에 공기흡입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기로 외부 공기를 흡입되도록 가이드 하는 공기흡입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2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실내공기흡입공과 외부공기흡입공이 형성되고, 이 실내공기흡입공과 외부공기흡입공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KR1020080088987A 2008-09-09 2008-09-09 환기장치 KR101007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987A KR101007312B1 (ko) 2008-09-09 2008-09-09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987A KR101007312B1 (ko) 2008-09-09 2008-09-09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181A KR20100030181A (ko) 2010-03-18
KR101007312B1 true KR101007312B1 (ko) 2011-01-13

Family

ID=42180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987A KR101007312B1 (ko) 2008-09-09 2008-09-09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3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910B1 (ko) * 2022-09-06 2023-02-09 성순모 송풍 가압장치가 구비된 정수장내 유충방지시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81036A (zh) * 2018-05-30 2018-12-11 王永妍 一种具有通风降温功能的轻钢板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6851A (ja) * 1996-12-17 1998-06-30 Matsushita Seiko Co Ltd 住宅の換気装置
KR20040015374A (ko) * 1999-08-04 2004-02-18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레이저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광헤드, 광학적 정보 기록재생 장치
KR200415374Y1 (ko) 2006-02-23 2006-05-02 윤태호 지붕설치용 환기장치
KR100872123B1 (ko) * 2008-03-17 2008-12-05 (주) 남양엔지니어링 정수장의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6851A (ja) * 1996-12-17 1998-06-30 Matsushita Seiko Co Ltd 住宅の換気装置
KR20040015374A (ko) * 1999-08-04 2004-02-18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레이저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광헤드, 광학적 정보 기록재생 장치
KR200415374Y1 (ko) 2006-02-23 2006-05-02 윤태호 지붕설치용 환기장치
KR100872123B1 (ko) * 2008-03-17 2008-12-05 (주) 남양엔지니어링 정수장의 환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910B1 (ko) * 2022-09-06 2023-02-09 성순모 송풍 가압장치가 구비된 정수장내 유충방지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181A (ko)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4271B1 (ko) 환기 청정 장치
EP1146841B1 (en) Method and device for ventilating a so called clean room
KR102074612B1 (ko) 환기형 시스템 공기정화기
US10072868B2 (en) Apparatus for evacuating contaminants and water vapor from an area above a swimming pool
KR102039106B1 (ko) 무덕트 노출형 열회수 환기장치
KR102163690B1 (ko) 공조장치부를 포함하는 밀폐부스
KR100872123B1 (ko) 정수장의 환기장치
KR101007312B1 (ko) 환기장치
KR102105006B1 (ko)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
US201401171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monitoring, regulating and removing contaminants from an area above a body of liquid
KR101817092B1 (ko) 공기청정기
KR100858520B1 (ko)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
KR101565067B1 (ko) 가습 기능을 갖는 전열교환식 공기순환장치
KR20210151666A (ko) 멸균 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환기방법
KR101999794B1 (ko)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KR20210034223A (ko) 외부공기의 유입이 방지되는 공기 청정시스템
KR101000448B1 (ko) 송풍장치
CA2742065C (en) Apparatus for evacuating contaminants and water vapor from an area above a swimming pool
KR102106596B1 (ko) 실내공기 청정기
KR101211278B1 (ko) 환기 청정 장치
KR101915396B1 (ko) 화장실용 환기장치
KR102116370B1 (ko) 공기청정 살균기
JP2536957B2 (ja) クリ―ンル―ム
JP2007295976A (ja) 花粉症対策マンション用エアシャワー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花粉症対策マンション
KR102067232B1 (ko) 벽부형 전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