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9624B1 - 디퓨저 - Google Patents

디퓨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624B1
KR101599624B1 KR1020140109379A KR20140109379A KR101599624B1 KR 101599624 B1 KR101599624 B1 KR 101599624B1 KR 1020140109379 A KR1020140109379 A KR 1020140109379A KR 20140109379 A KR20140109379 A KR 20140109379A KR 101599624 B1 KR101599624 B1 KR 101599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rection changing
airflow
diffuser
air flow
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송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옴니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옴니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옴니벤트
Priority to KR1020140109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6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2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having one or more bowls or cones diverging in the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에 연결되어 상기 덕트를 통해 유도된 공기를 토출하는 디퓨저(diffuser)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는 덕트와 연결되는 덕트 연결부와 상기 덕트 연결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원형의 토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토출구를 연속된 곡면으로 둘러싸는 기류 안내부를 포함하는 디퓨저 케이싱과, 상기 디퓨저 케이싱의 토출구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거나 상기 토출구의 개도율을 조절하는 댐핑콘(damping cone), 그리고 상기 디퓨저 케이싱의 기류 안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류 안내부의 연속된 곡면을 이어주거나 단절시키는 기류 방향 변환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퓨저{DIFFUSER}
본 발명은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지 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개도율 대비 공기의 토출 유량을 선형적으 제어할 수 있는 디퓨저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 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은 주거 공간 또는 사무 공간과 같은 대중이 모이는 장소나 기계 설비 등을 설치한 공장 내부에 설치되어 쾌적한 실내 온도 및 습도를 유지시킨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 시스템은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방 장치부와, 온기를 발생시키는 난방 장치부와, 냉방 장치부 또는 난방 장치부에서 발생한 냉기 또는 온기(이하, '기류'라 한다)를 실내 공간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송풍시키는 블로어와, 블로어에 연결되어 기류를 실내 공간으로 유도하는 덕트, 그리고 덕트의 출구에 설치되어 콜드 드래프트(cold draft) 또는 스월링(swirling) 현상 없이 기류를 실내로 토출시키기 위한 디퓨저(diffuser)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퓨저는 건축 구조물의 천장 구조와, 용도, 그리고 필요에 따라 원형 디퓨저와 선형 디퓨저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모터를 사용하여 전동으로 디퓨저의 개도율을 조절하는 디퓨저도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디퓨저에서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은 기류의 온도, 즉 계절마다 상이하게 요구된다. 이에, 디퓨저가 토출 기류를 변경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별도의 가이드 블레이드 또는 베인 등을 설치하여 기류의 방향을 변환해야 했으나, 이는 구조가 복잡하고 미관을 저해하는 요소가 되었다.
또한, 가이드 블레이드 또는 베인을 사용하여 기류를 변환하게 되면 풍량의 손실을 가져오거나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체적인 미관의 변화없이 용이하게 토출 기류의 방향을 변환할 수 있는 디퓨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덕트에 연결되어 상기 덕트를 통해 유도된 공기를 토출하는 디퓨저(diffuser)는 덕트와 연결되는 덕트 연결부와 상기 덕트 연결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원형의 토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토출구를 연속된 곡면으로 둘러싸는 기류 안내부를 포함하는 디퓨저 케이싱과, 상기 디퓨저 케이싱의 토출구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거나 상기 토출구의 개도율을 조절하는 댐핑콘(damping cone), 그리고 상기 디퓨저 케이싱의 기류 안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류 안내부의 연속된 곡면을 이어주거나 단절시키는 기류 방향 변환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기류 안내부의 연속된 곡면은 상하 방향에서 좌우 방향으로 만곡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퓨저 케이싱의 기류 안내부에는 환형의 변환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류 방향 변환 장치는 상기 환형의 변환홀에 마련되어 상기 디퓨저 케이싱의 기류 안내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여 상기 기류 안내부의 연속된 곡면을 단절시키거나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기류 안내부의 연속된 곡면을 이어주는 환형의 기류 방향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류 방향 변환 장치는 경사지게 형성된 높낮이 가변 레일과, 상기 환형의 기류 방향 변환부의 상부를 지지하는 환형 프레임, 그리고 상기 환형 프레임에서 돌출되어 상기 높낮이 가변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환형의 기류 방향 변환부를 상하 운동시키는 상하 운동용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낮이 가변 레일은 상기 기류 안내부의 상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류 방향 변환 장치는 상기 환형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랙기어부와, 상기 랙기어부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부, 그리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를 회전시키는 기류 방향 변환용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류 방향 변환용 구동 모터의 동작에 의해 상기 환형 프레임이 회전하면 상기 상하 운동용 돌기부가 상기 높낮이 가변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환형의 기류 방향 변환부를 상하 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기류 방향 변환 장치는 상기 환형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기류 방향 변환용 구동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리미트 스위치 및 스위치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류 방향 변환 장치는 상기 환형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환형의 기류 방향 변환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디퓨저는 상기 댐핑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댐핑콘 승강 모터와, 상기 댐핑콘 승강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며 일측이 상기 댐핑콘의 상부를 관통하여 돌출된 스크류 샤프트, 그리고 상기 디퓨저 케이싱의 덕트 연결부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댐핑콘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디퓨저는 상기 댐핑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댐핑콘 승강 모터를 제어하는 승강 모터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댐핑콘은 수용 공간을 가지고 하부가 개구된 콘본체와, 상기 콘본체의 개구된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콘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댐핑콘 승강 모터와 상기 승강 모터 회로 기판은 상기 콘본체의 수용 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전술한 디퓨저는 상기 댐핑콘에 결합되어 상기 댐핑콘이 상기 디퓨저 케이싱의 토출구를 폐쇄할 때 상기 디퓨저 케이싱과 접촉하여 상기 토출구를 밀폐시키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퓨저는 전체적인 미관의 변화없이 용이하게 토출 기류의 방향을 변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디퓨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퓨저 케이싱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기류 방향 변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디퓨저의 동작 상태를 순차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diffuser, 101)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101)는 건축 구조물에 설치된 덕트에 연결되어 덕트를 통해 유도된 공기를 토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101)는 디퓨저 케이싱(200), 댐핑콘(damping cone, 300), 및 기류 방향 변환 장치(5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101)는 댐핑콘 승강 모터(800), 스크류 샤프트(810), 승강 모터 회로 기판(850), 댐핑콘 지지 프레임(700), 가이드 봉(870), 및 실링 부재(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퓨저 케이싱(200)은 덕트와 연결되는 덕트 연결부(210)와, 덕트 연결부(21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원형의 토출구(209)를 형성하는 기류 안내부(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류 안내부(220)는 토출구(209)를 연속된 곡면으로 둘러싼다. 구체적으로, 기류 안내부(220)는 덕트 연결부(210)로부터 연장된 상항 방향에서 건축 구조물의 천장과 평행한 좌우 방향으로 휘어진 구조를 갖는다. 즉, 기류 안내부(220)의 연속된 곡면은 상하 방향에서 좌우 방향으로 만곡된 면을 포함한다.
또한, 디퓨저 케이싱(200)의 기류 안내부(220)에는 환형의 변환홀(290)이 형성될 수 있다.
댐핑콘(damping cone, 300)은 디퓨저 케이싱(200)의 토출구(209)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형의 토출구(209)를 개폐하거나 토출구(209)의 개도율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댐핑콘(300)은 수용 공간을 가지고 하부가 개구된 콘본체(310)와, 콘본체(310)의 개구된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콘본체(310)의 개구된 하부를 커버하는 콘커버(320)를 포함한다.
콘본체(310)와 콘커버(320)는 나사 결합 또는 끼움 결합 등 해당 기술 분야의 종사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결합 방법으로 분리 가능하게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실링 부재(900)는 댐핑콘(300)에 결합되어 댐핑콘(300)이 상승하여 디퓨저 케이싱(200)의 토출구(209)를 폐쇄할 때 디퓨저 케이싱(200)과 접촉하여 토출구(209)를 밀폐시킨다. 즉, 실링 부재(900)는 댐핑콘(300)가 상승하여 토출구(209)를 폐쇄할 때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댐핑콘(300)가 안정적으로 토출구(209)를 개폐할 수 있게 한다. 토출구(209)의 폐쇄시 미세한 틈새가 생기면, 틈새로 공기가 누기되면서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실링 부재(900)는 틈새 없이 토출구(209)를 밀폐시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실링 부재(900)는 댐핑콘(3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댐핑콘(300)을 토출구(209)에서 꺼내면 실링 부재(90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실링 부재(900)는 합성 수지와 같이 해당 기술 분야의 종사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댐핑콘 승강 모터(800)는 댐핑콘(300)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 동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댐핑콘 승강 모터(800)는 댐핑콘(300)의 콘본체(310)의 수용 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된다.
또한, 댐핑콘 승강 모터(800)는 회전 각도와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스텝 모터(step motor)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승강 모터 회로 기판(850)은 댐핑콘 승강 모터(800)를 제어하며, 승강 모터 회로 기판(850)도 댐핑콘 승강 모터(800)와 마찬가지로 댐핑콘(300) 내부의 수용 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댐핑콘(300)의 콘커버(320)를 콘본체로(310)부터 분리시켜 용이하게 댐핑콘 승강 모터(800) 및 승강 모터 회로 기판(850)를 꺼낼 수 있다. 즉, 댐핑콘 승강 모터(800)와 승강 모터 회로 기판(850)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도 2에서 참조부호 88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댐핑콘(300)에 내장된 댐핑콘 승강 모터(500) 및 승강 모터 회로 기판(850)에 전원 또는 통신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 및 통신선을 나타낸다.
스크류 샤프트(810)는 댐핑콘(300)에 내장된 댐핑콘 승강 모터(800)의 회전축과 연결된다. 그리고 스크류 샤프트(810)의 일측이 댐핑콘(300)의 상부를 관통하여 돌출된다.
또한, 스크류 샤프트(810)의 나사산을 확대하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스크류 샤프트(81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댐핑콘 지지 프레임(700)은 디퓨저 케이싱(200)의 덕트 연결부(210) 내측에 설치되어 스크류 샤프트(810)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와 같이, 스크류 샤프트(810)는 댐핑콘 지지 프레임(700)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댐핑콘 승강 모터(800)의 회전축에 타측이 연결되어 댐핑콘 승강 모터(800)로부터 회전 동력을 공급받아 댐핑콘(300)을 승강 또는 하강시킨다.
즉, 댐핑콘 승강 모터(800)가 스크류 샤프트(810)를 회전시키면, 스크류 샤프트(810)가 댐핑콘 지지 프레임(700)과 상대 운동하면서 댐핑콘(300)을 승강 또는 하강 시킨다.
가이드 봉(870)은 댐핑콘(300)의 상부에 스크류 샤프트(810)의 축방향과 나란히 마련된다.
또한, 댐핑콘 지지 프레임(700)은 가이드 봉(870)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이드 봉(870)은 댐핑콘 승강 모터(800)의 동작에 따라 댐핑콘(300)이 승하강할 때, 댐핑콘(300)이 승하강 동작 이외에 불필요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기류 방향 변환 장치(500)는 디퓨저 케이싱(200)의 토출구(209)로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상대적으로 수직에 가까운 방향과 상대적으로 수평에 가까운 방향 중 하나로 절환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류 방향 변환 장치(500)는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를 이용하여 기류의 방향을 변환시킨다.
코안다 효과는 벽면이나 천장면에 접근하여 분출된 기류가 그 면에 빨려서 부착하여 흐르는 경향을 갖는 것을 말한다. 또한, 코안다 효과가 발생되면 한쪽만 확산하므로 자유 분류에 비해 속도의 감쇠가 작고, 도달 거리가 길어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류 방향 변환 장치(500)는 디퓨저 케이싱(200)의 기류 안내부(220)에 설치되어 기류 안내부(220)의 연속된 곡면을 이어주거나 단절시키는 동작을 수행하여 토출 기류의 방향을 변환시킨다.
기류 방향 변환 장치(500)가 기류 안내부(220)의 연속된 곡면을 이어줄 경우, 코안다 효과에 의해 디퓨저 케이싱(200)의 토출구(209)로 토출되는 기류가 기류 안내부(220)의 연속된 곡면을 타고 확산하여 상대적으로 수평에 가까운 방향으로 토출 기류가 형성된다.
반대로, 기류 방향 변환 장치(500)가 기류 안내부(220)의 연속된 곡면을 단절시키면, 코안다 효과가 일어나지 않아 디퓨저 케이싱(200)의 토출구(209)로 토출되는 기류가 기류 안내부(220)의 연속된 곡면을 타고 확산하지 못하고 상대적으로 수직에 가까운 방향으로 토출 기류가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류 방향 변환 장치(500)는 기류 방향 변환부(510), 높낮이 가변 레일(250), 환형 프레임(550), 상하 운동용 돌기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류 방향 변환 장치(500)는 랙기어부(560), 피니언 기어부(570), 기류 방향 변환용 구동 모터(580), 리미트 스위치(541), 스위치 회로 기판(545),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 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류 방향 변환부(510)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디퓨저 케이싱(200)의 기류 안내부(220)의 환형의 변환홀(290)에 마련된다. 기류 방향 변환부(510)는 디퓨저 케이싱(200)의 기류 안내부(22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기류 안내부(220)의 연속된 곡면을 단절시키거나 상방으로 이동하여 기류 안내부(220)의 연속된 곡면을 이어준다.
높낮이 가변 레일(250)은 디퓨저 케이싱(200)의 환형의 변환홀(290)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높낮이 가변 레일(250)은 일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거나 높아지는 경사진 구간을 포함한다.
또한, 높낮이 가변 레일(250)은 기류 안내부(220)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이때, 높낮이 가변 레일(250)은 기류 안내부(220)의 상부면에 결합되거나 기류 안내부(2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높낮이 가변 레일(250)은 기류 안내부(220)의 상부면에 일체로 형성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환형 프레임(550)은 환형의 기류 방향 변환부(510)의 상부를 지지한다. 그리고 상하 운동용 돌기부(520)는 환형 프레임(550)에서 연장 돌출되어 높낮이 가변 레일(250)에 맞물린다. 즉, 상하 운동용 돌기부(520)는 환형 프레임(550)에서 돌출되어 높낮이 가변 레일(250)을 따라 이동하면서 환형의 기류 방향 변환부(510)를 상하 운동시킨다.
랙기어부(560)는 환형 프레임(550)의 일측에 형성되고, 피니언 기어부(570)는 랙기어부(560)와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기류 방향 변환용 구동 모터(580)는 피니언 기어부(570)를 회전시킨다.
이때, 랙기어부(560)는 환형 프레임(550)과 결합되거나 환형 프레임(55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기류 방향 변환용 구동 모터(580)의 동작에 의해 피니언 기어부(570)가 회전하면 랙기어부(560)가 이동하면서 환형 프레임(550)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하 운동용 돌기부(520)가 높낮이 가변 레일(250)을 따라 이동하면서 환형 프레임(550)에 지지된 기류 방향 변환부(510)를 상하 운동시키게 된다. 기류 방향 변환부(510)는 상하 운동하면서 기류 안내부(220)의 연속된 곡면을 단절시키거나 기류 안내부(220)의 연속된 곡면을 이어준다.
리미트 스위치(541)와 스위치 회로 기판(545)은 환형 프레임(550)의 움직임에 따라 기류 방향 변환용 구동 모터(580)를 제어한다. 즉, 리미트 스위치(541)와 스위치 회로 기판(545)을 통해 기류 방향 변환부(510)가 상하 운동하면서 기류 안내부(220)의 연속된 곡면을 단절시키거나 기류 안내부(220)의 연속된 곡면을 이어줄 수 있도록 환형 프레임(550)의 위치를 제어한다.
토션 스프링(530)은 환형 프레임(550)에 설치되어 환형의 기류 방향 변환부(51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토션 스프링(530)은 환형 프레임(550)에 의해 지지되는 기류 방향 변환부(510)가 정위치에서 불필요하게 유동하지 않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기류 방향 변환 장치(500)는, 앞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낮이 가변 레일(250), 환형 프레임(550), 상하 운동용 돌기부(520), 랙기어부(560), 피니언 기어부(570), 기류 방향 변환용 구동 모터(580), 리미트 스위치(541), 스위치 회로 기판(545), 토션 스프링(530) 등을 커버하거나 지지하는 변환 커버부(5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101)는 전체적인 미관의 변화없이 용이하게 토출 기류의 방향을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류 방향 변환부(510)가 디퓨저 케이싱(200)의 기류 안내부(220)의 연속된 곡면을 이어줄 때에는, 기류 방향 변환부(510)가 디퓨저 케이싱(200)의 변환홀(290)에 전부 수용되어 전체적인 외관에 변화가 없다.
그리고 기류 방향 변환부(510)가 디퓨저 케이싱(200)의 기류 안내부(220)의 연속된 곡면을 단절시킬 때에는, 기류 방향 변환부(510)의 일부가 돌출되나 사용자가 이를 시각적으로 구분하기 용이하지 않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퓨저(101)의 전체적인 미관을 저해하거나 외관에 변화를 쉽게 느끼지 못하는 상태로, 디퓨저(101)에서 토출되는 토출 기류의 방향을 용이하게 변환시킬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가이드 블레이드 또는 베인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가이드 블레이드 또는 베인을 사용하여 기류를 변환할 때 발생되는 소음이나 풍량의 손실도 해결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101)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류 방향 변환 장치(500)의 기류 방향 변환부(510)가 상승하여 디퓨저 케이싱(200)의 기류 안내부(220)의 연속된 곡면을 이어주면, 코안다 효과에 의해 디퓨저 케이싱(200)의 토출구(209)로 토출되는 토출 기류가 기류 안내부(220)의 연속된 곡면을 타고 확산하여 상대적으로 수평에 가까운 방향으로 토출 기류가 형성된다.
이러한 기류 방향 변환 장치(500)의 동작은 디퓨저(101)가 차가운 공기를 토출할 때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디퓨저(101)가 여름철 차가운 공기를 토출할 경우에는 차가운 공기가 아래로 내려가는 특성으로 인해 토출 기류가 수평 방향에 가깝게 좌우로 향하는 것이 유리하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류 방향 변환 장치(500)의 기류 방향 변환부(510)가 하강하여 디퓨저 케이싱(200)의 기류 안내부(220)의 연속된 곡면을 단절시키면, 코안다 효과가 일어나지 않아 디퓨저 케이싱(200)의 토출구(209)로 토출되는 토출 기류가 기류 안내부(220)의 연속된 곡면을 타고 확산하지 못하고 상대적으로 수직에 가까운 방향으로 토출 기류가 형성된다.
이러한 기류 방향 변환 장치(500)의 동작은 디퓨저(101)가 따뜻한 공기를 토출할 때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디퓨저(101)가 겨울철 따뜻한 공기를 토출할 경우에는 뜨거운 공기가 위로 올라가는 특성으로 인해 토출 기류가 수직 방향에 가깝게 아래로 향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디퓨저
200: 디퓨저 케이싱 209: 토출구
210: 덕트 연결부 220: 기류 안내부
250: 높낮이 가변 레일 290: 변환홀
300: 댐핑콘 310: 콘본체
320: 콘커버 500: 기류 방향 변환 장치
510: 기류 방향 변환부 520: 상하 운동용 돌기부
530: 토션 스프링 541: 리미트 스위치
545: 스위치 회로 기판 550: 환형 프레임
560: 랙기어부 570: 피니언 기어부
580: 기류 방향 변환용 구동 모터
590: 변환 커버부 700: 댐핑콘 지지 프레임
800: 댐핑콘 승강 모터 810: 스크류 샤프트
850: 승강 모터 회로 기판 870: 가이드 봉
900: 실링 부재

Claims (11)

  1. 덕트에 연결되어 상기 덕트를 통해 유도된 공기를 토출하는 디퓨저(diffuser)에 있어서,
    덕트와 연결되는 덕트 연결부와, 상기 덕트 연결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원형의 토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토출구를 연속된 곡면으로 둘러싸는 기류 안내부를 포함하는 디퓨저 케이싱;
    상기 디퓨저 케이싱의 토출구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거나 상기 토출구의 개도율을 조절하는 댐핑콘(damping cone); 및
    상기 디퓨저 케이싱의 기류 안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류 안내부의 연속된 곡면을 이어주거나 단절시키는 기류 방향 변환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디퓨저 케이싱의 기류 안내부에는 환형의 변환홀이 형성되고,
    상기 기류 방향 변환 장치는 상기 환형의 변환홀에 마련되어 상기 디퓨저 케이싱의 기류 안내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여 상기 기류 안내부의 연속된 곡면을 단절시키거나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기류 안내부의 연속된 곡면을 이어주는 환형의 기류 방향 변환부를 포함하는 디퓨저.
  2. 제1항에서,
    상기 기류 안내부의 연속된 곡면은 상하 방향에서 좌우 방향으로 만곡된 면을 포함하는 디퓨저.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기류 방향 변환 장치는,
    경사지게 형성된 높낮이 가변 레일과;
    상기 환형의 기류 방향 변환부의 상부를 지지하는 환형 프레임; 그리고
    상기 환형 프레임에서 돌출되어 상기 높낮이 가변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환형의 기류 방향 변환부를 상하 운동시키는 상하 운동용 돌기부
    를 더 포함하는 디퓨저.
  5. 제4항에서,
    상기 높낮이 가변 레일은 상기 기류 안내부의 상부면에 설치된 디퓨저.
  6. 제4항에서,
    상기 기류 방향 변환 장치는,
    상기 환형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랙기어부와;
    상기 랙기어부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부; 그리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를 회전시키는 기류 방향 변환용 구동 모터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류 방향 변환용 구동 모터의 동작에 의해 상기 환형 프레임이 회전하면 상기 상하 운동용 돌기부가 상기 높낮이 가변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환형의 기류 방향 변환부를 상하 운동시키는 디퓨저.
  7. 제6항에서,
    상기 기류 방향 변환 장치는 상기 환형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기류 방향 변환용 구동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리미트 스위치 및 스위치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는 디퓨저.
  8. 제4항에서,
    상기 기류 방향 변환 장치는 상기 환형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환형의 기류 방향 변환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을 더 포함하는 디퓨저.
  9.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댐핑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댐핑콘 승강 모터;
    상기 댐핑콘 승강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며 일측이 상기 댐핑콘의 상부를 관통하여 돌출된 스크류 샤프트; 및
    상기 디퓨저 케이싱의 덕트 연결부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댐핑콘 지지 프레임
    을 더 포함하는 디퓨저.
  10. 제9항에서,
    상기 댐핑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댐핑콘 승강 모터를 제어하는 승강 모터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댐핑콘은 수용 공간을 가지고 하부가 개구된 콘본체와, 상기 콘본체의 개구된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콘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댐핑콘 승강 모터와 상기 승강 모터 회로 기판은 상기 콘본체의 수용 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는 디퓨저.
  11. 제9항에서,상기 댐핑콘에 결합되어 상기 댐핑콘이 상기 디퓨저 케이싱의 토출구를 폐쇄할 때 상기 디퓨저 케이싱과 접촉하여 상기 토출구를 밀폐시키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퓨저.
KR1020140109379A 2014-08-22 2014-08-22 디퓨저 KR101599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379A KR101599624B1 (ko) 2014-08-22 2014-08-22 디퓨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379A KR101599624B1 (ko) 2014-08-22 2014-08-22 디퓨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9624B1 true KR101599624B1 (ko) 2016-03-03

Family

ID=55535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379A KR101599624B1 (ko) 2014-08-22 2014-08-22 디퓨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62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4845A1 (zh) * 2016-11-24 2018-05-3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面板组件及空调器
KR20200134601A (ko) * 2019-05-22 2020-12-02 성경선 환기 디퓨저용 청소 어댑터
KR20210084050A (ko) * 2019-12-27 2021-07-07 현대건설주식회사 전동 디퓨저를 이용한 실별 환기 시스템
WO2021167439A1 (ko) * 2020-02-19 2021-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WO2022111212A1 (zh) * 2020-11-26 2022-06-0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立式空调室内机
EP4296587A1 (en) * 2022-06-23 2023-12-27 Innoair OÜ An autonomous ventilation control device, an autonomous system of ventilation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utonomous ventila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5889U (ko) * 1989-08-09 1991-04-08
JPH0712847U (ja) * 1993-08-03 1995-03-03 協立エアテック株式会社 汚染防止型吹出口
JP3035889U (ja) 1996-09-18 1997-04-04 空調技研工業株式会社 吹出口装置
JP2004003735A (ja) * 2002-05-31 2004-01-08 Kuken Kogyo Co Ltd 吹出口装置
KR100940184B1 (ko) * 2009-01-20 2010-02-04 주식회사 옴니벤트 전동 디퓨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5889U (ko) * 1989-08-09 1991-04-08
JPH0712847U (ja) * 1993-08-03 1995-03-03 協立エアテック株式会社 汚染防止型吹出口
JP3035889U (ja) 1996-09-18 1997-04-04 空調技研工業株式会社 吹出口装置
JP2004003735A (ja) * 2002-05-31 2004-01-08 Kuken Kogyo Co Ltd 吹出口装置
KR100940184B1 (ko) * 2009-01-20 2010-02-04 주식회사 옴니벤트 전동 디퓨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4845A1 (zh) * 2016-11-24 2018-05-3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面板组件及空调器
KR20200134601A (ko) * 2019-05-22 2020-12-02 성경선 환기 디퓨저용 청소 어댑터
KR102267418B1 (ko) * 2019-05-22 2021-06-21 성경선 환기 디퓨저용 청소 어댑터
KR20210084050A (ko) * 2019-12-27 2021-07-07 현대건설주식회사 전동 디퓨저를 이용한 실별 환기 시스템
KR102307343B1 (ko) 2019-12-27 2021-09-29 현대건설(주) 전동 디퓨저를 이용한 실별 환기 시스템
WO2021167439A1 (ko) * 2020-02-19 2021-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WO2022111212A1 (zh) * 2020-11-26 2022-06-0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立式空调室内机
EP4296587A1 (en) * 2022-06-23 2023-12-27 Innoair OÜ An autonomous ventilation control device, an autonomous system of ventilation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utonomous ventil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624B1 (ko) 디퓨저
KR10183341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013833B1 (ko) 공기 조화 장치용 헤드 커버 조립체 및 공기 조화 장치
CN105222227B (zh) 立式空调器及其使用方法
KR20180050695A (ko) 플로어-스탠딩 에어 컨디셔너
CN105157110A (zh) 立式空调器
CN105115134A (zh) 空气调节装置顶盖组件及空气调节装置
CN104315694A (zh) 室内风管机
KR101155723B1 (ko) 자동 개폐식 디퓨저
CN106678988B (zh) 空调器及其导风装置
CN205536312U (zh) 一种多功能冷雾空调
CN105091115A (zh) 立式空调器
CN205090483U (zh) 立式空调器
CN105352156B (zh) 一种空调扫风装置及空调设备
CN105135526B (zh) 立式空调器
CN205078481U (zh) 一种无叶风扇空气加湿结构
CN104566900B (zh) 中央空调矩形风口射流调节装置
CN107906649B (zh) 一种空气调节装置及其空调扇
CN105222309A (zh) 立式空调器
CN107796047B (zh) 一种空调室内机及其控制方法
CN205048562U (zh) 立式空调器
CN205078426U (zh) 一种风扇装置
KR101455569B1 (ko) 디퓨저
CN205048684U (zh) 空气调节装置顶盖组件及空气调节装置
CN204105669U (zh) 电动窗帘与空调联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