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211A - 벌룬 카테터 - Google Patents

벌룬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211A
KR20200134211A KR1020207021502A KR20207021502A KR20200134211A KR 20200134211 A KR20200134211 A KR 20200134211A KR 1020207021502 A KR1020207021502 A KR 1020207021502A KR 20207021502 A KR20207021502 A KR 20207021502A KR 20200134211 A KR20200134211 A KR 20200134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tip
joint
inner shaft
base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1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히로 미키
유타카 에리카와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34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2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06Balloons formed between concentric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4Balloon catheters used for angioplas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27Making of balloon catheters
    • A61M25/1034Joining of shaft and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4Catheters; Hollow probes having two or more concentrically arranged tubes for forming a concentric cathete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025/0183Rapid exchange or monorail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5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a balloon suitable for drug delivery, e.g. by using holes for delivery, drug coating or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79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radio-opaque markers in the region of the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84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features for increasing the shape stability, the reproducibility or for limiting expansion, e.g. containments, wrapped around fibres, yarns or str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61M29/02Dilators made of swellable material
    • A61M2029/025Dilators made of swellabl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guiding el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과제] 벌룬 카테터가 만곡된 경우에도, 벌룬·아우터 샤프트 사이의 벗겨짐, 또는 벌룬·이너 샤프트 사이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벌룬의 단부 근방에서의 킹크를 방지할 수 있는 벌룬 카테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벌룬(5)과, 벌룬(5)의 기단에 접합부(j2)에 의해 접합된 아우터 샤프트(3)와, 아우터 샤프트(3)에 삽입되어 벌룬(5)의 선단에 접합부(j1)에 의해 접합된 이너 샤프트(9)와, 그 이너 샤프트(9)에 배치된 선단 측 마커(7a) 및 기단 측 마커(7b)를 구비하며, 선단 측 마커(7a)의 양단은, 벌룬(5)과 이너 샤프트(9)와의 접합부(j1)의 기단 접합 위치(j1p)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고, 기단 측 마커(7b)의 양단은,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3)와의 접합부(j2)의 기단 접합 위치(j2p)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벌룬 카테터
본 발명은, 의료 분야에서 사용되는 벌룬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환자의 혈관 등의 체내 관강(管腔) 내에 형성된 협착부(狹窄部)를 확장하여, 혈액이나 소화액의 흐름을 회복시키는 치료용 벌룬 카테터나, 벌룬을 혈관벽이나 소화기관벽까지 확장시켜 고정함으로써, 내부에 삽입한 가이드 와이어 등의 의료 기구를 조작시켜 쉽게 하는 고정용 벌룬 카테터가 알려져 있다.
벌룬 카테터는, 일반적으로, 확장 수축 가능한 벌룬과, 벌룬의 후단에 접합된 아우터 샤프트와, 벌룬과 아우터 샤프트와의 내부에 삽입되고, 벌룬의 선단에 접합된 이너 샤프트를 구비한다. 여기서, 이너 샤프트는,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해서 사용되고, 아우터 샤프트와 이너 샤프트와의 사이에 마련된 루멘은, 벌룬을 확장 수축하기 위해서, 벌룬에 액체(생리 식염수나 조영제 등의 액체)를 유출입(流出入)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또, 벌룬 카테터의 벌룬 내에는, 시술 중에 벌룬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방사선 불투과성의 마커가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벌룬과, 그 벌룬의 기단(基端)에 접합된 외관(外管)샤프트(이하, '아우터 샤프트'라고 기재함)와, 그 아우터 샤프트 내에 삽입되고, 벌룬의 선단에 접합된 내관(內管) 샤프트(이하, '이너 샤프트'라고 기재함)와, 그 이너 샤프트에 형성된 선단 측 조영 마커 및 기단 측 조영용 마커를 구비한 벌룬 카테터가 기재되어 있다(도 2 등 참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벌룬 카테터에서는, 벌룬 카테터를 구성하는 벌룬의 선단이 이너 샤프트에 접합되고, 벌룬의 기단이 아우터 샤프트에 접합되어 있다.
그렇지만, 벌룬 카테터를 환자의 체내 관강에 삽입하고, 벌룬이 만곡된 경우에는, 벌룬과 아우터 샤프트와의 접합부 및 벌룬과 이너 샤프트와의 접합부에 응력이 집중하여, 그들의 접합부가 벗겨지기 쉬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벌룬 카테터에서는, 기단 측 조영용 마커가 벌룬과 아우터 샤프트와의 접합부의 접합폭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벌룬과 아우터 샤프트와의 접합부에 응력이 더 집중하여, 그들의 접합부가 더 벗겨지기 쉬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 제6103721호 공보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상술한 문제에 대응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벌룬 카테터가 만곡된 경우에도, 벌룬·아우터 샤프트 사이의 벗겨짐, 또는 벌룬·이너 샤프트 사이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벌룬의 단부 근방에서의 킹크(kink)를 방지할 수 있는 벌룬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벌룬과, 상기 벌룬의 기단(基端)에 제1 접합부에 의해 접합된 아우터 샤프트와, 상기 아우터 샤프트에 삽입되고, 상기 벌룬의 선단에 제2 접합부에 의해 접합된 이너 샤프트와, 상기 이너 샤프트에 배치된 마커를 구비한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마커의 양단은, 상기 이너 샤프트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1 접합부의 선단 및 기단, 그리고, 상기 제2 접합부의 선단 및 기단 중 적어도 1개의 단부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제1 형태의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마커의 양단은, 상기 이너 샤프트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1 접합부의 선단 및 기단, 또는, 상기 제2 접합부의 선단 및 기단을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3 형태는, 제1 형태 또는 제2 형태의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샤프트의 선단은, 상기 제1 접합부의 선단보다도 선단 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4 형태는, 제3 형태의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마커의 선단은, 상기 아우터 샤프트의 선단보다도 선단 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제5 형태는, 제1 형태 내지 제4 형태 중 어느 하나의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제2 접합부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제1 접합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하면, 벌룬과, 상기 벌룬의 기단에 제1 접합부에 의해 접합된 아우터 샤프트와, 상기 아우터 샤프트에 삽입되고, 벌룬의 선단에 제2 접합부에 의해 접합된 이너 샤프트와, 상기 이너 샤프트에 배치된 마커를 구비한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 마커의 양단은, 이너 샤프트의 길이 방향에서, 제1 접합부의 선단 및 기단, 그리고, 제2 접합부의 선단 및 기단 중 적어도 1개의 단부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벌룬 카테터가 만곡된 경우에도, 벌룬·아우터 샤프트 사이의 벗겨짐, 또는 벌룬·이너 샤프트 사이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고, 벌룬의 단부 근방에서의 킹크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의하면, 제1 형태의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 마커의 양단은, 이너 샤프트의 길이 방향에서, 제1 접합부의 선단 및 기단, 또는, 제2 접합부의 선단 및 기단을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벌룬 카테터가 만곡된 경우에, 벌룬·아우터 샤프트 사이의 벗겨짐, 또는 벌룬·이너 샤프트 사이의 벗겨짐을 더 방지할 수 있고, 벌룬의 단부 근방에서의 킹크를 더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의하면, 제1 형태 또는 제2 형태의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 아우터 샤프트의 선단은, 제1 접합부보다도 선단 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제1 형태 또는 제2 형태의 벌룬 카테터의 효과에 더하여, 벌룬의 기단부 근방의 길이 방향에서의 강성 서변(徐變, 서서히 변하는 것)을 보다 매끄럽게 하여, 벌룬 카테터가 만곡된 경우에, 벌룬·아우터 샤프트 사이의 벗겨짐을 더 방지할 수 있고, 벌룬의 단부 근방에서의 킹크를 더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의하면, 제3 형태의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 마커의 선단은, 아우터 샤프트의 선단보다도 선단 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제3 형태의 벌룬 카테터의 효과에 더하여, 벌룬 카테터가 만곡된 경우에, 벌룬·아우터 샤프트 사이의 벗겨짐을 더 방지할 수 있고, 벌룬의 단부 근방에서의 킹크를 더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벌룬 기단부에서의 네킹(necking) 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하게 벌룬을 디플레이트(deflate)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의하면, 제1 형태 내지 제4 형태 중 어느 하나의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 마커는, 제2 접합부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고, 제1 접합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형태 내지 제4 형태 중 어느 하나의 벌룬 카테터의 효과에 더하여, 벌룬 카테터의 선단부를 더 세경화(細俓化)하고, 또한 유연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의 전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한 벌룬 카테터 선단부 근방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제2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 선단부 근방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제3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 선단부 근방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제4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 선단부 근방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제5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 선단부 근방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제6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 선단부 근방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사용하는 도면은,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과장하여 표현되어 있고, 그 치수는 실제의 치수와는 다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의 전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한 벌룬 카테터 선단부 근방의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1)는, 장척(長尺)인 아우터 샤프트(3)와, 아우터 샤프트(3)의 선단에 마련된 벌룬(5)과, 벌룬(5)의 선단에 마련된 선단 팁(tip)(8)과, 아우터 샤프트(3) 및 벌룬(5)의 내부에 삽입되고, 벌룬(5)의 선단(先端)에 접합된 이너 샤프트(9)(도 2 참조)와, 아우터 샤프트(3)의 기단(基端)에 마련된 커넥터(2)로 구성되어 있다.
아우터 샤프트(3)는, 장척의 또한 가요성의 관 모양 부재이며,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선단이 벌룬(5)의 기단에 접합되고, 그 기단은 커넥터(2)의 선단에 접합되어 있다. 아우터 샤프트(3)는, 그 내부에 이너 샤프트(9)가 삽입 통과하고, 이너 샤프트(9)와의 사이에, 벌룬(5)의 내부 공간(4) 및 커넥터(2) 내의 루멘(도시하지 않음)에 연통하는 루멘(3b)을 가진다.
또, 아우터 샤프트(3)는, 길이 방향의 도중에,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인, 가이드 와이어 포트(3a)를 구비하며, 가이드 와이어 포트(3a)에는, 이너 샤프트(9)의 기단이 접합되어 있다.
아우터 샤프트(3)를 구성하는 재료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연질 폴리염화비닐 등의 열가소성 수지, 실리콘 고무, 라텍스 고무 등의 각종 고무류,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등의 각종 엘라스토머, 폴리아미드, 결정성 폴리에틸렌,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등의 결정성 플라스틱 등의 가요성 재료로서, 생체 적합성을 가지는 재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 가능하다.
벌룬(5)은, 벌룬(5) 내의 압력의 변화에 의해 내부의 용적이 증대·축소되어, 확장 및 수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벌룬(5)은, 통 모양으로 확장되는 본체부와, 그 본체부로부터 선단을 향해 서서히 외경이 축소되도록 마련된 선단측 원추부(圓錐部)와, 본체부로부터 기단을 향해 서서히 외경이 축소되도록 마련된 기단측 원추부로 구성되고, 벌룬(5)이 확장되는 것에 의해서, 내부에 내부 공간(4)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벌룬(5)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선단이 이너 샤프트(9)의 선단에 접합되고, 그 기단이 아우터 샤프트(3)의 선단에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커넥터(2)의 개구부(2a)로부터 주입된 생리 식염수 등의 액체는, 커넥터(2) 내의 루멘(도시하지 않음) 및 루멘(3b)을 통해, 벌룬(5) 내의 내부 공간(4)에 저류(貯留)되고, 벌룬(5)은, 저류되는 액체의 양에 의해서 확장 및 수축된다.
벌룬(5)을 구성하는 재료는, 어느 정도 유연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가교형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등의 열가소성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실리콘 고무, 라텍스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또, 벌룬(5)은, 상기 재료를 사용한 단층 구조로 형성해도 좋고, 2층 이상의 라미네이트 구조로 형성해도 괜찮다. 또, 벌룬(5)은, 그 표면에 항혈전성을 가지는 물질을 코팅해도 좋다.
선단 팁(8)은, 벌룬(5)의 선단 및 이너 샤프트(9)의 선단에 접속되어 있고, 이너 샤프트(9)의 루멘(9b)에 연통하는 루멘(8b)과, 그 루멘(8b)의 선단을 구성하는 개구부(8a)를 가지고, 외경이 선단을 향해 서서히 축소되는 테이퍼 형상을 나타낸다.
선단 팁(8)을 구성하는 재료는, 어느 정도의 가요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연질 폴리염화비닐,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등의 열가소성 수지, 실리콘 고무, 라텍스 고무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너 샤프트(9)는, 장척의 또한 가요성의 관 모양 부재이며, 아우터 샤프트(3) 및 벌룬(5)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이너 샤프트(9)의 선단은, 벌룬(5)의 선단에 접합되고, 이너 샤프트(9)의 기단은, 아우터 샤프트(3)의 가이드 와이어 포트(3a)에 접합되며, 내부에 루멘(9b)을 가진다.
이너 샤프트(9)를 구성하는 재료는, 상술의 아우터 샤프트(3)를 구성하는 재료와 동일한 재료가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연질 폴리염화비닐 등의 열가소성 수지, 실리콘 고무, 라텍스 고무 등의 각종 고무류,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등의 각종 엘라스토머, 폴리아미드, 결정성 폴리에틸렌,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등의 결정성 플라스틱 등의 가요성 재료로서, 생체 적합성을 가지는 재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이너 샤프트(9)에는, 시술 중에 벌룬(5)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방사선 불투과성의 2개의 선단 측 마커(7a) 및 기단 측 마커(7b)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벌룬(5)과 이너 샤프트(9)와의 접합 위치와, 선단 측 마커(7a)의 위치와의 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벌룬(5)과 이너 샤프트(9)와의 접합부(j1)(본 발명의 「제2 접합부」에 상당)의 접합 위치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이 선단 접합 위치(j1d)이고, 그 선단 접합 위치(j1d)로부터 기단 측으로 접합폭 Wj1의 위치에 기단 접합 위치(j1p)가 있다.
그것에 대해, 선단 측 마커(7a)는, 그 선단 위치(7ad)가, 접합부(j1)의 선단 접합 위치(j1d)보다도, 이너 샤프트(9)(또는 벌룬 카테터(1))의 길이 방향 기단 측에 있고, 기단 위치(7ap)가, 선단 위치(7ad)로부터 기단 측으로 폭 W7a의 위치로서, 접합부(j1)의 기단 접합 위치(j1p)보다도 이너 샤프트(9)(또는 벌룬 카테터(1))의 길이 방향 기단 측에 있다.
즉, 선단 측 마커(7a)의 양단은, 이너 샤프트(9)(또는 벌룬 카테터(1))의 길이 방향에서, 벌룬(5)과 이너 샤프트(9)와의 접합부(j1)의 기단 접합 위치(j1p)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선단 측 마커(7a)의 양단이, 이너 샤프트(9)(또는 벌룬 카테터(1))의 길이 방향에서, 벌룬(5)과 이너 샤프트(9)와의 접합부(j1)의 기단 접합 위치(j1p)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벌룬 카테터(1)가 만곡된 경우에, 벌룬(5)과 이너 샤프트(9)와의 기단 접합 위치(j1p)에서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고, 벌룬(5)의 단부 근방에서의 킹크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3)와의 접합 위치와, 기단 측 마커(7b)의 위치와의 관계를 설명한다.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3)와의 접합부(j2)(본 발명의 「제1 접합부」에 상당)의 접합 위치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이 선단 접합 위치(j2d)이고, 그 선단 접합 위치(j2d)로부터 기단 측으로 접합폭 Wj2의 위치에 기단 접합 위치(j2p)가 있다.
그것에 대해, 기단 측 마커(7b)는, 그 선단 위치(7bd)가, 접합부(j2)의 선단 접합 위치(j2d)보다도, 이너 샤프트(9)(또는 벌룬 카테터(1))의 길이 방향 기단 측에 있고, 기단 위치(7bp)가, 선단 위치(7bd)로부터 기단 측으로 폭 W7b의 위치로서, 접합부(j2)의 기단 접합 위치(j2p)보다도 이너 샤프트(9)(또는 벌룬 카테터(1))의 길이 방향 기단 측에 있다.
즉, 기단 측 마커(7b)의 양단은, 이너 샤프트(9)(또는 벌룬 카테터(1))의 길이 방향에서,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3)와의 접합부(j2)의 기단 접합 위치(j2p)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기단 측 마커(7b)의 양단이, 이너 샤프트(9)(또는 벌룬 카테터(1))의 길이 방향에서,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3)와의 접합부(j2)의 기단 접합 위치(j2p)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벌룬 카테터(1)가 만곡된 경우에,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3)와의 기단 접합 위치(j2p)에서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고, 벌룬(5)의 단부 근방에서의 킹크를 방지할 수 있다.
선단 측 마커(7a) 및 기단 측 마커(7b)를 구성하는 재료는, 예를 들면, 텅스텐, 금, 플라티나, 이리듐, 플라티나-이리듐 합금, 탄탈 등의 방사선 불투과성 금속 혹은 금속 화합물, 또는, 텅스텐, 삼산화 비스무트(bismuth), 황산 바륨 등의 방사선 불투과성의 재료를 수지 재료에 혼련하여 형성한 방사선 불투과성의 수지 등이 사용 가능하다.
커넥터(2)는, 아우터 샤프트(3)의 기단에 접합되고, 아우터 샤프트(3)의 루멘(3b)에 연통하는 루멘(도시하지 않음)과, 그 루멘의 기단에 개구부(2a)를 가지고, 그 개구부(2a)에 접속된 시린지(syringe)로부터 생리 식염수 등의 액체가 주입된다.
커넥터(2)를 구성하는 재료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술폰, 폴리아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스틸렌 공중합체 등의 열가소성 수지가 사용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1)에 의하면, 벌룬(5)과, 그 벌룬(5)의 기단에 접합부(j2)에 의해 접합된 아우터 샤프트(3)와, 그 아우터 샤프트(3)에 삽입되고, 벌룬(5)의 선단에 접합부(j1)에 의해 접합된 이너 샤프트(9)와, 그 이너 샤프트(9)에 배치된 선단 측 마커(7a) 및 기단 측 마커(7b)를 구비하며, 선단 측 마커(7a)의 양단은, 이너 샤프트(9)(또는 벌룬 카테터(1))의 길이 방향에서, 벌룬(5)과 이너 샤프트(9)와의 접합부(j1)의 기단 접합 위치(j1p)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벌룬 카테터(1)가 만곡된 경우에, 벌룬(5)과 이너 샤프트(9)와의 기단 접합 위치(j1p)에서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고, 벌룬(5)의 단부 근방에서의 킹크를 방지할 수 있다.
또, 기단 측 마커(7b)의 양단은, 이너 샤프트(9)(또는 벌룬 카테터(1))의 길이 방향에서,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3)와의 접합부(j2)의 기단 접합 위치(j2p)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벌룬 카테터(1)가 만곡된 경우에,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3)와의 기단 접합 위치(j2p)에서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고, 벌룬(5)의 단부 근방에서의 킹크를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사용하는 도면도,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과장하여 표현되어 있고, 그 치수는 실제의 치수와는 다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하지만, 벌룬 카테터의 전체도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제2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 선단부 근방의 종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10)는, 장척인 아우터 샤프트(3)와, 아우터 샤프트(3)의 선단에 마련된 벌룬(5)과, 벌룬(5)의 선단에 마련된 선단 팁(8)과, 아우터 샤프트(3) 및 벌룬(5)의 내부에 삽입되고, 벌룬(5)의 선단에 접합된 이너 샤프트(19)와, 아우터 샤프트(3)의 기단에 마련된 커넥터(2)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이너 샤프트(19)는, 제1 실시 형태의 이너 샤프트(9)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제1 실시 형태의 이너 샤프트(9)와 비교하면, 후술하는 선단 측 마커(17a)의 배치 위치와의 관계로부터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다.
즉, 이너 샤프트(19)도, 장척의 또한 가요성의 관 모양 부재이며, 아우터 샤프트(3) 및 벌룬(5)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벌룬(5)의 선단에 접합되고, 이너 샤프트(9)의 기단은, 아우터 샤프트(3)의 가이드 와이어 포트(3a)에 접합되고, 내부에 루멘(19b)을 가진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이너 샤프트(19)에는, 시술 중에 벌룬(5)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방사선 불투과성의 두 개의 선단 측 마커(17a) 및 기단 측 마커(17b)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벌룬(5)과 이너 샤프트(19)와의 접합 위치와, 선단 측 마커(17a)의 위치와의 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벌룬(5)과 이너 샤프트(19)와의 접합부(j3)(본 발명의 「제2 접합부」에 상당)의 접합 위치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이 선단 접합 위치(j3d)이고, 그 선단 접합 위치(j3d)로부터 기단 측으로 접합폭 Wj3의 위치에 기단 접합 위치(j3p)가 있다.
그것에 대해, 선단 측 마커(17a)는, 그 선단 위치(17ad)가, 접합부(j3)의 선단 접합 위치(j3d)보다도, 이너 샤프트(19)(또는 벌룬 카테터(10))의 길이 방향 선단 측에 있고, 기단 위치(17ap)가, 선단 위치(17ad)로부터 기단 측에 폭 W17a의 위치로서, 접합부(j3)의 기단 접합 위치(j3p)보다도 이너 샤프트(19)(또는 벌룬 카테터(10))의 길이 방향 선단 측에 있다.
즉, 선단 측 마커(17a)의 양단은, 이너 샤프트(19)(또는 벌룬 카테터(10))의 길이 방향에서, 벌룬(5)과 이너 샤프트(19)와의 접합부(j3)의 선단 접합 위치(j3d)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선단 측 마커(17a)의 양단이, 이너 샤프트(19)(또는 벌룬 카테터(10))의 길이 방향에서, 벌룬(5)과 이너 샤프트(19)와의 접합부(j3)의 선단 접합 위치(j3d)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벌룬 카테터(10)가 만곡된 경우에, 벌룬(5)과 이너 샤프트(19)와의 선단 접합 위치(j3d)에서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고, 벌룬(5)의 단부 근방에서의 킹크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3)와의 접합 위치와, 기단 측 마커(17b)의 위치와의 관계를 설명한다.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3)와의 접합부(j4)(본 발명의 「제1 접합부」에 상당)의 접합 위치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이 선단 접합 위치(j4d)이고, 그 선단 접합 위치(j4d)로부터 기단 측으로 접합폭 Wj4의 위치에 기단 접합 위치(j4p)가 있다.
그것에 대해, 기단 측 마커(17b)는, 그 선단 위치(17bd)가, 접합부(j4)의 선단 접합 위치(j4d)보다도, 이너 샤프트(19)(또는 벌룬 카테터(10))의 길이 방향 선단 측에 있고, 기단 위치(17bp)가, 선단 위치(17bd)로부터 기단 측으로 폭 W17b의 위치로서, 접합부(j4)의 기단 접합 위치(j4p)보다도 이너 샤프트(19)(또는 벌룬 카테터(10))의 길이 방향 선단 측에 있다.
즉, 기단 측 마커(17b)의 양단은, 이너 샤프트(19)(또는 벌룬 카테터(10))의 길이 방향에서,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3)와의 접합부(j4)의 선단 접합 위치(j4d)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기단 측 마커(17b)의 양단이, 이너 샤프트(19)(또는 벌룬 카테터(10))의 길이 방향에서,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3)와의 접합부(j4)의 선단 접합 위치(j4d)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벌룬 카테터(10)가 만곡된 경우에,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3)와의 선단 접합 위치(j4d)에서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고, 벌룬(5)의 단부 근방에서의 킹크를 방지할 수 있다.
선단 측 마커(17a) 및 기단 측 마커(17b)를 구성하는 재료는, 제1 실시 형태의 선단 측 마커(7a) 및 기단 측 마커(7b)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10)에 의하면, 벌룬(5)과, 그 벌룬(5)의 기단에 접합부(j4)에 의해 접합된 아우터 샤프트(3)와, 그 아우터 샤프트(3)에 삽입되고, 벌룬(5)의 선단에 접합부(j3)에 의해 접합된 이너 샤프트(19)와, 그 이너 샤프트(19)에 배치된 선단 측 마커(17a) 및 기단 측 마커(17b)를 구비하며, 선단 측 마커(17a)의 양단이, 이너 샤프트(19)(또는 벌룬 카테터(10))의 길이 방향에서, 벌룬(5)과 이너 샤프트(19)와의 접합부(j3)의 선단 접합 위치(j3d)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벌룬 카테터(10)가 만곡된 경우에, 벌룬(5)과 이너 샤프트(19)와의 선단 접합 위치(j3d)에서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고, 벌룬(5)의 단부 근방에서의 킹크를 방지할 수 있다.
또, 기단 측 마커(17b)의 양단이, 이너 샤프트(19)(또는 벌룬 카테터(10))의 길이 방향에서,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3)와의 접합부(j4)의 선단 접합 위치(j4d)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벌룬 카테터(10)가 만곡된 경우에,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3)와의 선단 접합 위치(j4d)에서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고, 벌룬(5)의 단부 근방에서의 킹크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선단 측 마커(7a)의 양단이, 이너 샤프트(9)(또는 벌룬 카테터(1))의 길이 방향에서, 벌룬(5)과 이너 샤프트(9)와의 접합부(j1)(본 발명의 「제2 접합부」에 상당)의 기단 접합 위치(j1p)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는 경우, 그리고 기단 측 마커(7b)의 양단이, 이너 샤프트(9)(또는 벌룬 카테터(1))의 길이 방향에서,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3)와의 접합부(j2)(본 발명의 「제1 접합부」에 상당)의 기단 접합 위치(j2p)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했다.
또,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선단 측 마커(17a)의 양단이, 이너 샤프트(19)(또는 벌룬 카테터(10))의 길이 방향에서, 벌룬(5)과 이너 샤프트(19)와의 접합부(j3)(본 발명의 「제2 접합부」에 상당)의 선단 접합 위치(j3d)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는 경우, 그리고 기단 측 마커(17b)의 양단이, 이너 샤프트(19)(또는 벌룬 카테터(10))의 길이 방향에서,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3)와의 접합부(j4)(본 발명의 「제1 접합부」에 상당)의 선단 접합 위치(j4d)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선단 측 마커의 양단은, 벌룬과 이너 샤프트와의 접합부의 선단 접합 위치 및 기단 접합 위치 중 적어도 일방을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으면 되며, 기단 측 마커의 양단도, 벌룬과 아우터 샤프트와의 접합부의 선단 접합 위치 및 기단 접합 위치 중 적어도 일방을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그 경우에는, 마커가 걸쳐진 접합부의 단부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사용하는 도면도,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과장하여 표현되어 있고, 그 치수는 실제의 치수와는 다르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하지만, 벌룬 카테터의 전체도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제3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 선단부 근방의 종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20)는, 장척인 아우터 샤프트(3)와, 아우터 샤프트(3)의 선단에 마련된 벌룬(5)과, 벌룬(5)의 선단에 마련된 선단 팁(8)과, 아우터 샤프트(3) 및 벌룬(5)의 내부에 삽입되고, 벌룬(5)의 선단에 접합된 이너 샤프트(19)와, 아우터 샤프트(3)의 기단에 마련된 커넥터(2)로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이너 샤프트(19)에는, 시술 중에 벌룬(5)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방사선 불투과성의 2개의 선단 측 마커(27a) 및 기단 측 마커(27b)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벌룬(5)과 이너 샤프트(19)와의 접합 위치와, 선단 측 마커(27a)의 위치와의 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벌룬(5)과 이너 샤프트(19)와의 접합부(j5)(본 발명의 「제2 접합부」에 상당)의 접합 위치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이 선단 접합 위치(j5d)로서, 그 선단 접합 위치(j5d)로부터 기단 측으로 접합폭 Wj5의 위치에 기단 접합 위치(j5p)가 있다.
그것에 대해, 선단 측 마커(27a)는, 그 선단 위치(27ad)가, 접합부(j5)의 선단 접합 위치(j5d)보다도, 이너 샤프트(19)(또는 벌룬 카테터(20))의 길이 방향 선단 측에 있고, 기단 위치(27ap)가, 선단 위치(27ad)로부터 기단 측에 폭 W27a의 위치로서, 접합부(j5)의 기단 접합 위치(j5p)보다도 이너 샤프트(19)(또는 벌룬 카테터(20))의 길이 방향 기단 측에 있다.
즉, 선단 측 마커(27a)의 양단은, 이너 샤프트(19)(또는 벌룬 카테터(20))의 길이 방향에서, 벌룬(5)과 이너 샤프트(19)와의 접합부(j5)의 선단 접합 위치(j5d) 및 기단 접합 위치(j5p)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선단 측 마커(27a)의 양단이, 이너 샤프트(19)(또는 벌룬 카테터(20))의 길이 방향에서, 벌룬(5)과 이너 샤프트(19)와의 접합부(j5)의 선단 접합 위치(j5d) 및 기단 접합 위치(j5p)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벌룬 카테터(20)가 만곡된 경우에, 벌룬(5)과 이너 샤프트(19)와의 선단 접합 위치(j5d) 및 기단 접합 위치(j5p)에서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고, 벌룬(5)의 단부 근방에서의 킹크를 더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3)와의 접합 위치와, 기단 측 마커(27b)의 위치와의 관계를 설명한다.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3)와의 접합부(j6)(본 발명의 「제1 접합부」에 상당)의 접합 위치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이 선단 접합 위치(j6d)이고, 그 선단 접합 위치(j6d)로부터 기단 측으로 접합폭 Wj6의 위치에 기단 접합 위치(j6p)가 있다.
그것에 대해, 기단 측 마커(27b)는, 그 선단 위치(27bd)가, 접합부(j6)의 선단 접합 위치(j6d)보다도, 이너 샤프트(19)(또는 벌룬 카테터(20))의 길이 방향 선단 측에 있고, 기단 위치(27bp)가, 선단 위치(27bd)로부터 기단 측으로 폭 W27b의 위치로서, 접합부(j6)의 기단 접합 위치(j6p)보다도 이너 샤프트(19)(또는 벌룬 카테터(20))의 길이 방향 기단 측에 있다.
즉, 기단 측 마커(27b)의 양단은, 이너 샤프트(19)(또는 벌룬 카테터(20))의 길이 방향에서,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3)와의 접합부(j6)의 선단 접합 위치(j6d) 및 기단 접합 위치(j6p)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기단 측 마커(27b)의 양단이, 이너 샤프트(19)(또는 벌룬 카테터(20))의 길이 방향에서,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3)와의 접합부(j6)의 선단 접합 위치(j6d) 및 기단 접합 위치(j6p)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벌룬 카테터(20)가 만곡된 경우에,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3)와의 접합부(j6)의 선단 접합 위치(j6d) 및 기단 접합 위치(j6p)에서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고, 벌룬(5)의 단부 근방에서의 킹크를 방지할 수 있다.
선단 측 마커(27a) 및 기단 측 마커(27b)를 구성하는 재료는, 제1 실시 형태의 선단 측 마커(7a) 및 기단 측 마커(7b)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20)에 의하면, 벌룬(5)과, 그 벌룬(5)의 기단에 접합부(j6)에 의해 접합된 아우터 샤프트(3)와, 그 아우터 샤프트(3)에 삽입되고, 벌룬(5)의 선단에 접합부(j5)에 의해 접합된 이너 샤프트(19)와, 그 이너 샤프트(19)에 배치된 선단 측 마커(27a) 및 기단 측 마커(27b)를 구비하며, 선단 측 마커(27a)의 양단은, 이너 샤프트(19)(또는 벌룬 카테터(20))의 길이 방향에서, 접합부(j5)의 선단 접합 위치(j5d) 및 기단 접합 위치(j5p)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고, 기단 측 마커(27b)의 양단은, 이너 샤프트(19)(또는 벌룬 카테터(20))의 길이 방향에서, 접합부(j6)의 선단 접합 위치(j6d) 및 기단 접합 위치(j6p)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벌룬 카테터(20)가 만곡된 경우에, 벌룬(5)과 이너 샤프트(19)와의 접합부(j5)의 선단 접합 위치(j5d) 및 기단 접합 위치(j5p)에서의 벗겨짐, 및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3)와의 접합부(j6)의 선단 접합 위치(j6d) 및 기단 접합 위치(j6p)에서의 벗겨짐을 더 방지할 수 있고, 벌룬의 단부 근방에서의 킹크를 더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단 측 마커(27a)의 양단이, 이너 샤프트(19)(또는 벌룬 카테터(20))의 길이 방향에서, 벌룬(5)과 이너 샤프트(19)와의 접합부(j5)의 선단 접합 위치(j5d) 및 기단 접합 위치(j5p)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고, 기단 측 마커(27b)의 양단이, 이너 샤프트(19)(또는 벌룬 카테터(20))의 길이 방향에서,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3)와의 접합부(j6)의 선단 접합 위치(j6d) 및 기단 접합 위치(j6p)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선단 측 마커(27a)의 양단 및 기단 측 마커(27b)의 양단 중 적어도 일방의 양단이 접합부의 선단 접합 위치 및 기단 접합 위치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으면, 사이에 걸치게 배치된 접합부의 선단 접합 위치 및 기단 접합 위치에서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고, 사이에 걸치게 배치된 접합부의 근방에서 벌룬의 킹크를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사용하는 도면도,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과장하여 표현되어 있고, 그 치수는 실제의 치수와는 다르다.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설명하지만, 벌룬 카테터의 전체도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제4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 선단부 근방의 종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30)는, 장척인 아우터 샤프트(3)와, 아우터 샤프트(3)의 선단에 마련된 벌룬(5)과, 벌룬(5)의 선단에 마련된 선단 팁(8)과, 아우터 샤프트(3) 및 벌룬(5)의 내부에 삽입되고, 벌룬(5)의 선단에 접합된 이너 샤프트(9)와, 아우터 샤프트(3)의 기단에 마련된 커넥터(2)로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이너 샤프트(9)에는, 시술 중에 벌룬(5)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방사선 불투과성의 기단 측 마커(37b)가 마련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이너 샤프트(9)에는, 벌룬(5)의 선단 측에 방사성 불투과성의 마커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단, 벌룬(5)과 이너 샤프트(9)와의 접합부(j7)의 접합 위치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이 선단 접합 위치(j7d)이고, 그 선단 접합 위치(j7d)로부터 기단 측으로 접합폭 Wj7의 위치에 기단 접합 위치(j7p)가 있다.
여기서,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3)와의 접합 위치와, 기단 측 마커(37b)의 위치와의 관계를 설명한다.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3)와의 접합부(j8)(본 발명의 「제1 접합부」에 상당)의 접합 위치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이 선단 접합 위치(j8d)로서, 그 선단 접합 위치(j8d)로부터 기단 측으로 접합폭 Wj8의 위치에 기단 접합 위치(j8p)가 있다.
그것에 대해, 기단 측 마커(37b)는, 그 선단 위치(37bd)가, 접합부(j8)의 선단 접합 위치(j8d)보다도, 이너 샤프트(9)(또는 벌룬 카테터(30))의 길이 방향 선단 측에 있고, 기단 위치(37bp)가, 선단 위치(37bd)로부터 기단 측으로 폭 W37b의 위치로서, 접합부(j8)의 기단 접합 위치(j8p)보다도 이너 샤프트(9)(또는 벌룬 카테터(30))의 길이 방향 기단 측에 있다.
즉, 기단 측 마커(37b)의 양단은, 이너 샤프트(9)(또는 벌룬 카테터(30))의 길이 방향에서,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3)와의 접합부(j8)의 선단 접합 위치(j8d) 및 기단 접합 위치(j8p)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기단 측 마커(37b)의 양단이, 이너 샤프트(9)(또는 벌룬 카테터(30))의 길이 방향에서,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3)와의 접합부(j8)의 선단 접합 위치(j8d) 및 기단 접합 위치(j8p)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벌룬 카테터(30)가 만곡된 경우에,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3)와의 접합부(j8)의 선단 접합 위치(j8d) 및 기단 접합 위치(j8p)에서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고, 벌룬(5)의 단부 근방에서의 킹크를 방지할 수 있다.
기단 측 마커(37b)를 구성하는 재료는, 제1 실시 형태의 선단 측 마커(7a) 및 기단 측 마커(7b)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30)에 의하면, 벌룬(5)과, 그 벌룬(5)의 기단에 접합부(j8)에 의해 접합된 아우터 샤프트(3)와, 그 아우터 샤프트(3)에 삽입되고, 벌룬(5)의 선단에 접합부(j7)에 의해 접합된 이너 샤프트(9)와, 그 이너 샤프트(9)에 배치된 기단 측 마커(37b)를 구비하며, 마커는, 선단 측 접합부(j7)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고, 기단측 접합부(j8)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벌룬 카테터(30)의 선단부를 더 세경화하고, 또한 유연하게 할 수 있다.
또, 선단 측 마커(37b)의 양단은, 이너 샤프트(9)(또는 벌룬 카테터(30))의 길이 방향에서, 기단 접합부(j8)의 선단 접합 위치(j8d) 및 기단 접합 위치(j8p)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벌룬 카테터(30)가 만곡된 경우에,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3)와의 선단 접합 위치(j8d) 및 기단 접합 위치(j8p)에서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고, 벌룬(5)의 단부 근방에서의 킹크를 방지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사용하는 도면도,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과장하여 표현되어 있고, 그 치수는 실제의 치수와는 다르다.
이하,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를 설명하지만, 벌룬 카테터의 전체도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제5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 선단부 근방의 종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40)는, 장척인 아우터 샤프트(43)와, 아우터 샤프트(43)의 선단부에 마련된 벌룬(5)과, 벌룬(5)의 선단에 마련된 선단 팁(8)과, 아우터 샤프트(43) 및 벌룬(5)의 내부에 삽입되고, 벌룬(5)의 선단에 접합된 이너 샤프트(9)와, 아우터 샤프트(3)의 기단에 마련된 커넥터(2)로 구성되어 있다.
아우터 샤프트(43)는, 장척의 또한 가요성의 관 모양 부재이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선단(43d)은, 벌룬(5)의 기단과 아우터 샤프트(43)와의 접합부(jb)의 선단보다도 선단 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기단은 커넥터(2)의 선단에 접합되어 있다.
아우터 샤프트(43)는, 그 내부에 이너 샤프트(9)가 삽입 통과하고, 이너 샤프트(9)와의 사이에, 벌룬(5)의 내부 공간(4) 및 커넥터(2) 내의 루멘(도시하지 않음)에 연통하는 루멘(43b)을 가진다.
또, 아우터 샤프트(43)는, 아우터 샤프트(3)와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의 도중에,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인, 가이드 와이어 포트(43a)(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며, 가이드 와이어 포트(43a)에는, 이너 샤프트(9)의 기단이 접합되어 있다.
또, 아우터 샤프트(43)에는, 아우터 샤프트(3)와 동일한 재료가 사용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이너 샤프트(9)에는, 시술 중에 벌룬(5)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방사선 불투과성의 기단 측 마커(47b)가 마련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이너 샤프트(9)에는, 벌룬(5)의 선단 측에 방사성 불투과성의 마커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단, 벌룬(5)과 이너 샤프트(9)와의 접합부(ja)의 접합 위치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이 선단 접합 위치(jad)이고, 그 선단 접합 위치(jad)로부터 기단 측으로 접합폭 Wja의 위치에 기단 접합 위치(jap)가 있다.
여기서,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43)와의 접합 위치와, 기단 측 마커(47b)의 위치와의 관계를 설명한다.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43)와의 접합부(jb)(본 발명의 「제1 접합부」에 상당)의 접합 위치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이 선단 접합 위치(jbd)이고, 그 선단 접합 위치(jbd)로부터 기단 측으로 접합폭 Wjb의 위치에 기단 접합 위치(jbp)가 있다.
그것에 대해, 기단 측 마커(47b)는, 그 선단 위치(47bd)가, 접합부(jb)의 선단 접합 위치(jbd)보다도, 이너 샤프트(9)(또는 벌룬 카테터(40))의 길이 방향 선단 측에 있고, 기단 위치(47bp)가, 선단 위치(47bd)로부터 기단 측에 폭 W47b의 위치로서, 접합부(jb)의 기단 접합 위치(jbp)보다도 이너 샤프트(9)(또는 벌룬 카테터(40))의 길이 방향 기단 측에 있다.
즉, 기단 측 마커(47b)의 양단은, 이너 샤프트(9)(또는 벌룬 카테터(40))의 길이 방향에서,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43)와의 접합부(jb)의 선단 접합 위치(jbd) 및 기단 접합 위치(jbp)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상술한 바와 같이, 아우터 샤프트(43)의 선단(43d)은, 접합부(jb)의 선단(jbd)보다도 선단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기단 측 마커(47b)의 양단은, 이너 샤프트(9)(또는 벌룬 카테터(40))의 길이 방향에서,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43)와의 접합부(jb)의 선단 접합 위치(jbd) 및 기단 접합 위치(jbp)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고, 또한, 아우터 샤프트(43)의 선단(43d)이, 접합부(jb)의 선단 접합 위치(jbd)보다도 선단 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벌룬(5)의 기단부 근방의 길이 방향에서의 강성 서변을 보다 매끄럽게 하여, 벌룬 카테터(40)가 만곡된 경우에,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43)와의 선단 접합 위치(jbd) 및 기단 접합 위치(jbp)에서의 벗겨짐을 더 방지할 수 있고, 벌룬(5)의 단부 근방에서의 킹크를 더 방지할 수 있다.
기단 측 마커(47b)를 구성하는 재료는, 제1 실시 형태의 선단 측 마커(7a) 및 기단 측 마커(7b)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40)에 의하면, 벌룬(5)과, 그 벌룬(5)의 기단에 접합부(jb)에 의해 접합된 아우터 샤프트(43)와, 그 아우터 샤프트(43)에 삽입되고, 벌룬(5)의 선단에 접합부(ja)에 의해 접합된 이너 샤프트(9)와, 그 이너 샤프트(9)에 배치된 기단 측 마커(37b)를 구비하며, 마커는, 접합부(ja)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고, 접합부(jb)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벌룬 카테터(40)의 선단부를 더 세경화하고, 또한 유연하게 할 수 있다.
또, 기단 측 마커(47b)의 양단은, 이너 샤프트(9)(또는 벌룬 카테터(40))의 길이 방향에서,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43)와의 접합부(jb)의 선단 접합 위치(jbd) 및 기단 접합 위치(jbp)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고, 또한, 아우터 샤프트(43)의 선단(43d)이, 접합부(jb)의 선단(jbd)보다도 선단 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벌룬(5)의 기단부 근방의 길이 방향에서의 강성 서변을 보다 매끄럽게 하여, 벌룬 카테터(40)가 만곡된 경우에,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43)와의 선단 접합 위치(jbd) 및 기단 접합 위치(jbp)에서의 벗겨짐을 더 방지할 수 있고, 벌룬(5)의 단부 근방에서의 킹크를 더 방지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사용하는 도면도,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과장하여 표현되어 있고, 그 치수는 실제의 치수와는 다르다.
이하,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를 설명하지만, 벌룬 카테터의 전체도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제6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 선단부 근방의 종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50)는, 장척인 아우터 샤프트(43)와, 아우터 샤프트(43)의 선단에 마련된 벌룬(5)과, 벌룬(5)의 선단에 마련된 선단 팁(8)과, 아우터 샤프트(43) 및 벌룬(5)의 내부에 삽입되고, 벌룬(5)의 선단에 접합된 이너 샤프트(9)와, 아우터 샤프트(3)의 기단에 마련된 커넥터(2)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이너 샤프트(9)에는, 시술 중에 벌룬(5)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방사선 불투과성의 기단 측 마커(57b)가 마련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이너 샤프트(9)에는, 벌룬(5)의 선단 측에 방사성 불투과성의 마커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단, 벌룬(5)과 이너 샤프트(9)와의 접합부(jc)의 접합 위치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이 선단 접합 위치(jcd)이고, 그 선단 접합 위치(jcd)로부터 기단 측으로 접합폭 Wjc의 위치에 기단 접합 위치(jcp)가 있다.
여기서,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43)와의 접합 위치와, 기단 측 마커(57b)의 위치와의 관계를 설명한다.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43)와의 접합부(jd)(본 발명의 「제1 접합부」에 상당)의 접합 위치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이 선단 접합 위치(jdd)이고, 그 선단 접합 위치(jdd)로부터 기단 측으로 접합폭 Wjd의 위치에 기단 접합 위치(jdp)가 있다.
그것에 대해, 기단 측 마커(57b)는, 그 선단 위치(57bd)가, 접합부(jd)의 선단 접합 위치(jdd)보다도, 이너 샤프트(9)(또는 벌룬 카테터(50))의 길이 방향 선단 측에 있고, 또한, 아우터 샤프트(43)의 선단(43d)보다도, 이너 샤프트(9)(또는 벌룬 카테터(50))의 길이 방향 선단 측에 있다.
또, 기단 위치(57bp)는, 선단 위치(57bd)로부터 기단 측으로 폭 W57b의 위치 로서, 접합부(jd)의 기단 접합 위치(jdp)보다도 이너 샤프트(9)(또는 벌룬 카테터(50))의 길이 방향 기단 측에 있다.
즉, 기단 측 마커(57b)의 양단은, 이너 샤프트(9)(또는 벌룬 카테터(50))의 길이 방향에서,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43)와의 접합부(jd)의 선단 접합 위치(jdd) 및 기단 접합 위치(jdp)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상술한 바와 같이, 기단 측 마커(57b)의 선단 위치(57bd)는, 아우터 샤프트(43)의 선단(43d)보다도, 이너 샤프트(9)(또는 벌룬 카테터(50))의 길이 방향 선단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기단 측 마커(57b)의 양단은, 이너 샤프트(9)(또는 벌룬 카테터(50))의 길이 방향에서,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43)와의 접합부(jd)의 선단 접합 위치(jdd) 및 기단 접합 위치(jdp)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고, 또한, 아우터 샤프트(43)의 선단이, 접합부(jd)의 선단(jdd)보다도 선단 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기단 측 마커(57b)의 선단 위치(57bd)가, 아우터 샤프트(43)의 선단(43d)보다도 선단 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벌룬 카테터(50)가 만곡된 경우에,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43)와의 선단 접합 위치(jdd) 및 기단 접합 위치(jdp)에서의 벗겨짐을 더 방지할 수 있고, 벌룬(5)의 단부 근방에서의 킹크를 더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벌룬(5)의 기단부에서의 네킹 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하게 벌룬(5)을 디플레이트(defalte)할 수 있다.
기단 측 마커(57b)를 구성하는 재료는, 제1 실시 형태의 선단 측 마커(7a) 및 기단 측 마커(7b)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50)에 의하면, 벌룬(5)과, 그 벌룬(5)의 기단에 접합부(jd)에 의해 접합된 아우터 샤프트(43)와, 그 아우터 샤프트(43)에 삽입되고, 벌룬(5)의 선단에 접합부(jc)에 의해 접합된 이너 샤프트(9)와, 그 이너 샤프트(9)에 배치된 기단 측 마커(57b)를 구비하며, 마커는, 접합부(jc)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고, 접합부(jd)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벌룬 카테터(50)의 선단부를 더 세경화하고, 또한 유연하게 할 수 있다.
또, 기단 측 마커(57b)의 양단은, 이너 샤프트(9)(또는 벌룬 카테터(50))의 길이 방향에서,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43)와의 접합부(jd)의 선단 접합 위치(jdd) 및 기단 접합 위치(jdp)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고, 또한, 아우터 샤프트(43)의 선단이, 접합부(jd)의 선단 접합 위치(jdd)보다도 선단 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게다가, 기단 측 마커(57b)의 선단 위치(57bd)가, 아우터 샤프트(43)의 선단(43d)보다도 선단 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벌룬 카테터(50)가 만곡된 경우에, 벌룬(5)과 아우터 샤프트(43)와의 선단 접합 위치(jdd) 및 기단 접합 위치(jdp)에서의 벗겨짐을 더 방지할 수 있고, 벌룬(5)의 단부 근방에서의 킹크를 더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벌룬(5)의 기단부에서의 네킹 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하게 벌룬(5)을 디플레이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각종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에 대해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4 실시 형태 내지 제 6 실시 형태에서는, 이너 샤프트(9)의 벌룬(5)의 선단 측에 상당하는 위치에 방사성 불투과성의 마커를 마련하지 않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벌룬 카테터의 선단부를 세경화할 필요가 없고, 또는, 카테터의 선단부를 너무 유연하게 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제1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1) 및 제2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10)와 마찬가지로, 벌룬(5)의 선단 측에 상당하는 위치에 방사성 불투과성의 마커를 마련하도록 해도 괜찮다.
10, 20, 30, 40, 50 - 벌룬 카테터 2 - 커넥터
3, 43 - 아우터 샤프트 4 - 내부 공간
5 - 벌룬 8 - 선단 팁
9, 19 - 이너 샤프트 7a, 17a, 27a - 선단 측 마커
7b, 17b, 27b, 37b, 47b, 57b - 기단 측 마커
j1, j2, j3, j4, j5, j6, j7, j8, ja, jb, jc, jd - 접합부

Claims (5)

  1. 벌룬과,
    상기 벌룬의 기단(基端)에 제1 접합부에 의해 접합된 아우터 샤프트와,
    상기 아우터 샤프트에 삽입되고, 상기 벌룬의 선단에 제2 접합부에 의해 접합된 이너 샤프트와,
    상기 이너 샤프트에 배치된 마커를 구비한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마커의 양단은, 상기 이너 샤프트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1 접합부의 선단 및 기단, 그리고, 상기 제2 접합부의 선단 및 기단 중 적어도 1개의 단부를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커의 양단은, 상기 이너 샤프트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1 접합부의 선단 및 기단, 또는, 상기 제2 접합부의 선단 및 기단을 사이에 걸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샤프트의 선단은, 상기 제1 접합부의 선단보다도 선단 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커의 선단은, 상기 아우터 샤프트의 선단보다도 선단 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제2 접합부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제1 접합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
KR1020207021502A 2018-03-23 2018-03-23 벌룬 카테터 KR202001342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11780 WO2019180928A1 (ja) 2018-03-23 2018-03-23 バルーンカテーテ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211A true KR20200134211A (ko) 2020-12-01

Family

ID=67988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1502A KR20200134211A (ko) 2018-03-23 2018-03-23 벌룬 카테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330735A1 (ko)
EP (1) EP3769806A4 (ko)
JP (1) JP7124058B2 (ko)
KR (1) KR20200134211A (ko)
CN (1) CN111655323A (ko)
WO (1) WO201918092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721B2 (ko) 1978-07-07 1986-02-04 Fuji Heavy Ind Ltd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17831A1 (fr) * 1997-10-08 1999-04-15 Kaneka Corporation Catheter a ballonnet et procede de fabrication
JP4796699B2 (ja) * 2001-01-10 2011-10-19 川澄化学工業株式会社 コイル状マーカー並びにカテーテル及びバルーンカテーテル
US7744619B2 (en) * 2004-02-24 2010-06-2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Rotatable catheter assembly
JP2005278905A (ja) * 2004-03-30 2005-10-13 Kawasumi Lab Inc 造影用マーカー及びカテーテル
US9352133B2 (en) * 2005-06-09 2016-05-3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Balloon catheters with increased column strength
WO2007007560A1 (ja) * 2005-07-08 2007-01-18 Goodman Co., Ltd. カテーテル
KR101482671B1 (ko) * 2006-08-21 2015-01-14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벌룬 카테터
WO2013134702A1 (en) * 2012-03-09 2013-09-12 Clearstream Technologies Limited Balloon catheter with floating hub
JP6103721B2 (ja) 2012-03-26 2017-03-29 テルモ株式会社 バルーンカテーテ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721B2 (ko) 1978-07-07 1986-02-04 Fuji Heavy Ind Lt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80928A1 (ja) 2019-09-26
EP3769806A4 (en) 2022-01-19
CN111655323A (zh) 2020-09-11
EP3769806A1 (en) 2021-01-27
US20200330735A1 (en) 2020-10-22
JP7124058B2 (ja) 2022-08-23
JPWO2019180928A1 (ja)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88576B1 (en) Vascular catheter
ES2202354T3 (es) Cateter de balon reforzado de intercambio rapido.
ES2276296T3 (es) Dispositivo de infusion.
US9017309B2 (en) Thrombus-aspiration catheter
EP3043858B1 (en) Low-profile occlusion catheter
US5514108A (en) Soft flexible catheter tip for use in angiography
ES2226668T3 (es) Cabeza de cateter que no se obstruye.
US5163431A (en) Angiographic catheter
US5599319A (en) Soft flexible catheter tip for use in angiography
US10695531B2 (en) Balloon catheter and medical elongated body
US9211389B2 (en) Offset soft tip with proposed tooling
ES2942762T3 (es) Catéter con conector de catéter
EP0351734B1 (en) Balloon catheter
KR20200134211A (ko) 벌룬 카테터
ES2391416T3 (es) Punta de catéter
US20220080163A1 (en) Balloon catheter
CN215084026U (zh) 导管
JPH0434914B2 (ko)
JP2004261299A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JP6035033B2 (ja) ステント拡張用バルーン、バルーンカテーテルおよび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
US20230129088A1 (en) Catheter
US5769829A (en) Catheter guidable by means of flow
KR20240070053A (ko) 기어 방식의 조향 핸들을 구비하는 말단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테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20240069200A (ko) 3층 구조의 말단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테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20240069482A (ko) 스테인리스 링을 구비하는 말단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테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