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2747A - 이식기 - Google Patents

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2747A
KR20200132747A KR1020200058050A KR20200058050A KR20200132747A KR 20200132747 A KR20200132747 A KR 20200132747A KR 1020200058050 A KR1020200058050 A KR 1020200058050A KR 20200058050 A KR20200058050 A KR 20200058050A KR 20200132747 A KR20200132747 A KR 20200132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ing
sensor
gyrus
vehicle body
seed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미 무라나미
노부히로 야마네
요시히코 오쿠보
코타 아즈마
아키오 타사키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32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7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6H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6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or detectors for adapting the seat or seat part, e.g. to the position of an occupa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01C9/0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 B60N2002/026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기체 전후 방향의 경사를 검지하고, 작업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때에는 작업을 중단시켜 모종의 식부 자세의 흐트러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기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식기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주행 차체(40)에 주행륜(44)과 식부 호퍼(20a, 20b)를 설치하고, 주행 차체(40)의 후방부에 식부 호퍼(20a, 20b)가 식부한 모종의 주위의 흙을 고르게 하는 복토 진압륜(37)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주행 차체(40)의 경사 각도가 소정 각도 이상이 되면 복토 진압륜(37)과 접촉해서 주행륜(44) 및 식부 호퍼(20a, 20b)로의 전동을 정지시키는 경사 센서(194, 194)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식기{TRANSPLANTER}
본 발명은 양파나 상추 등의 야채 모종의 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모종 공급 장치에 투입된 모종을 모종 식부 장치로 포장에 식부하는 이식기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이 이식기에는 기체의 좌우 방향으로의 경사를 검지하는 좌우 경사 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좌우 경사 센서의 검지에 의해 롤링 실린더가 신축됨으로써 기체의 자세가 이랑면에 대해서 수평으로 유지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모종 식부 장치가 이랑면에 대해서 대략 수직인 자세로 유지되므로 모종의 식부 자세가 흐트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일본 특허공개 2012-90595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이식기에서는 기체 좌우 방향, 즉 롤링 방향의 경사는 검지되고, 롤링 실린더의 자동적인 신축에 의해 기체의 자세가 수평으로 유지되지만 기체 전후 방향, 즉 피칭 방향의 경사는 검지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모종 식부 장치가 이랑면에 대해 전방 경사 또는 후방 경사 자세가 되고, 모종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경사진 자세로 식부되어 버려 모종의 식부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경사져서 식부된 모종은 각도에 따라서는 자중(自重)이나 바람에 의해 도복되어 버리므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다시 심을 필요가 있어 여분의 노력이나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경사 각도가 크면 기체가 밸런스를 유지할 수 없어 전도되어 버려서 모종 공급 장치나 기체 상의 모종이 포장에 낙하되어 모종이 병들어 이식에 적합하지 않게 되는 문제나, 모종을 주워 모으는 여분의 노력이나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것에 추가하여 전도 시에 기체의 각 부가 손상되어 작업을 속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나 수리에 여분의 시간과 비용이 필요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과제를 고려하여 기체 전후 방향의 경사를 검지하고, 작업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때에는 작업을 중단시켜 모종의 식부 자세의 흐트러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기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기술적 수단을 강구했다.
즉, 청구항 1의 발명은 주행 차체(40)에 주행륜(44)과 식부 호퍼(20a, 20b)를 설치하는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주행 차체(40)의 후방부에 상기 식부 호퍼(20a, 20b)가 식부한 모종의 주위의 흙을 고르게 하는 복토 진압륜(37)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주행 차체(40)의 경사 각도가 소정 각도 이상이 되면 상기 복토 진압륜(37)과 접촉해서 상기 주행륜(44) 및 식부 호퍼(20a, 20b)로의 전동을 정지시키는 경사 센서(194, 19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라고 했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복토 진압륜(37)은 상기 주행 차체(4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좌우의 진압 암(370, 370)과, 상기 좌우의 진압 암(370, 370)에 설치하는 진압 회전체(371, 371)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 센서(194)는 좌우 1쌍 설치하고, 상기 경사 센서(194, 194) 중 좌우 어느 한쪽이 진압 암(370, 370)에 접촉하면 상기 주행륜(44) 및 식부 호퍼(20a, 20b)로의 전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라고 했다.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주행 차체(40)에 작업자의 탑승을 검지하는 탑승 센서(195)를 설치하고, 상기 탑승 센서(195)가 비검지일 때에는 상기 주행 차체(40)의 경사 각도가 소정 각도 이상이 되어도 상기 경사 센서(194, 194)는 상기 주행륜(44) 및 식부 호퍼(20a, 20b)로의 전동을 정지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라고 했다.
청구항 3에 있어서,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주행 차체(40)에 이랑의 단부를 검지하면 통지 장치(181)를 작동시키는 제 1 이랑단 센서(182)를 설치하고, 상기 제 1 이랑단 센서(182)가 비검지 상태이며, 또한 상기 탑승 센서(195)가 검지 상태가 아니면 상기 경사 센서(194, 194)는 상기 주행 차체(40)가 소정 각도 이상의 전방 상승 경사 자세가 되어도 상기 주행륜(44) 및 식부 호퍼(20a, 20b)로의 전동을 정지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라고 했다.
청구항 4에 있어서, 청구항 5에 의한 발명은 상기 제 1 이랑단 센서(182)가 검지 상태일 때에 이랑의 단부를 검지하면 상기 주행륜(44) 및 식부 호퍼(20a, 20b)로의 전동을 정지시키는 제 2 이랑단 센서(188)를 설치하고, 상기 제 2 이랑단 센서(188)는 상기 제 1 이랑단 센서(182)보다 기체 후방측에 설치하고, 상기 주행륜(44) 및 식부 호퍼(20a, 20b)로의 전동의 정지는 상기 제 1 이랑단 센서(182)와 제 2 이랑단 센서(188)가 각각 검지 상태이며, 또한 상기 탑승 센서(195)가 검지 상태일 때에 상기 주행륜(44) 및 식부 호퍼(20a, 20b)로의 전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라고 했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해 주행 차체(40)가 전후 방향으로 크게 경사졌을 때 주행륜(44) 및 식부 호퍼(20a, 20b)로의 전동이 자동 정지함으로써 부적절한 자세로 모종이 식부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과도한 경사에 의해 기체가 쓰러져서 파손되는 것이나 적재한 모종이 낙하되어 상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복토 진압륜(37)을 주행 차체(40)의 경사 검지에 사용함으로써 주행 차체(40)가 전방 상승 경사 자세가 되어도 접지해 있는 복토 진압륜(37)에 경사 센서(194)를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고, 주행 및 식부 전동을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해 청구항 1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하여 주행 차체(40)가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도 경사지고 있을 때이어도 전방 상승 경사 자세가 되었을 때 좌우의 경사 센서(194, 194) 중 어느 한쪽이 좌우의 진압 암(370, 370)에 접촉하면 주행 및 식부 전동을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부적절한 자세로 모종이 식부되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하여 탑승 센서(195)가 비검지일 때에는 주행 차체(40)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경사져도 주행 및 식부 전동을 정지시키지 않음으로써 기체를 이동시킬 때나 유지 보수 작업 시에 전동이 정지되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하여 제 1 이랑단 센서(182)와 탑승 센서(195)가 비검지일 때에는 주행 차체(40)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경사져도 주행 및 식부 전동을 정지시키지 않음으로써 기체를 이동시킬 때나 유지 보수 작업 시에 전동이 정지되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하여 작업자가 주행 차체(40)에 탑승하고, 이랑을 걸쳐 모종의 식부 작업을 행하면서 주행하고 있을 때에만 주행 차체(40)가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상 경사지면 주행 및 식부 전동을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정지가 방지되어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도 1은 이식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이식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이식기의 배면도이다.
도 4는 이식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이식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기체 전방측의 범퍼의 주변을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이다.
도 7은 기체 전방측의 범퍼의 주변을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이다.
도 8은 기체 전방측의 범퍼의 주변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9는 승강 기구와 좌우의 식부 호퍼의 열 간 조절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승강 기구와 좌우의 식부 호퍼의 열 간 조절 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승강 기구와 좌우의 식부 호퍼의 열 간 조절 기구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2는 승강 기구와 좌우의 식부 호퍼의 열 간 조절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식부 호퍼의 개폐 기구의 요부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4는 기체 후방부의 조종부나 식부 장치, 모종 공급 장치 등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 1 이랑단 센서나 탑승 스텝 등을 나타내는 이식기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16은 각종 센서와 대응하는 작동 부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작업자의 탑승 시에 과잉 경사 센서가 검지 상태가 되면 전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8은 작업자의 탑승 시에 좌우 어느 쪽의 과잉 경사 센서가 검지 상태가 되면 전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9는 이랑 상의 식부 작업 주행 중에 과잉 경사 센서가 검지 상태가 되고, 또한 작업자가 탑승해 있으면 전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0은 제 2 이랑단 센서를 구비하는 이식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21은 제 1 이랑단 센서와 제 2 이랑단 센서가 이랑단으로의 도달을 검지하면 전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2는 이랑단에서 이랑면 센서가 이랑으로부터 멀어져 차고가 내려가고, 과잉 경사 센서가 검지 상태가 되면 전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3은 이랑단에서 이랑면 센서가 이랑으로부터 멀어져 차고가 내려가고, 과잉 경사 센서가 검지 상태가 됨과 아울러, 제 1 이랑단 센서와 제 2 이랑단 센서가 이랑단으로의 도달을 검지하면 전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조종 핸들(404)을 배치한 측을 후방으로 하고, 엔진(41)을 배치한 측을 전방으로 한다. 그리고 기체 전방측을 향해서 오른손측을 우측으로 하고, 왼손측을 좌측으로 한다.
본원의 이식기(10)는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차체(40)와, 주행 차체(40)의 후방부에 설치한 보행 조종용의 조종 핸들(404)과, 포장에 모종을 식부하는 식부 장치(42)와, 식부 장치(42)에 모종을 공급하는 모종 공급 장치(43)를 구비한다.
주행 차체(40)는 기체 전방부에 미션 케이스(39)를 설치하고, 미션 케이스(39)의 전방측에 구동 장치인 엔진(41)을 설치한다. 미션 케이스(39)의 좌우 양측의 기체 후방측 하부에는 주행륜(44)의 좌우 위치를 변경하는 트레드 조절이 가능한 차축을 덮는 차축 커버(101)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차축 커버(101)의 기체 외측 단부에는 기체 후방측에 설치하는 주행륜(44)에 구동력을 전동하는 주행 전동 케이스(38)를 각각 상하 회동 가능하게 장착한다.
또한, 좌우의 주행륜(44)은 주행 전동 케이스(38)와, 후술하는 전후 프레임(103)의 좌우 사이에 각각 배치함으로써 기체의 좌우 폭을 누르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단, 모종의 식부 작업을 행하는 이랑 폭 등의 조건에 대응시키기 위해 좌우의 주행륜(44)을 주행 전동 케이스(38)의 기체 외측에 장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 두면 대응 가능한 작업 조건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좌우의 차축 커버(101)가 내부의 차축(도시 생략)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들 차축 커버(101)에 주행 전동 케이스(38)를 각각 장착하고, 후술하는 승강 실린더(300)나 롤링 실린더(310)의 신축에 의해 차축 커버(101)가 회전함으로써 주행 전동 케이스(38)가 상하 회동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도 1로부터 도 5,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미션 케이스(39)로부터 전동되어 식부 장치(42) 및 모종 공급 장치(43)로 구동력을 분기 공급하는 전동 케이스(26)에 적어도 전동 케이스(26)의 좌우 측면과 배면을 덮는 베이스 플레이트(400)를 설치하고, 베이스 플레이트(400)의 후방부에 프레임 스테이(401)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다. 그리고 프레임 스테이(401)에 기체 후방측 상방을 향해서 원호를 그리는 형상으로 돌출되는 핸들 프레임(402)을 설치하고, 핸들 프레임(402)의 후방부에는 차고의 상하 조절이나 주행 및 식부 작업의 전동의 온오프 등을 조작하는 조종부 유닛(403)을 설치함과 아울러, 모종의 식부를 행하지 않는 이동 시 등에 작업자가 기체를 조작할 때에 파지하는 조종 핸들(404)을 설치한다. 조종 핸들(404)은 핸들 프레임(402)을 중심으로 해서 기체 좌우 방향으로, 또한 기체 후방을 향해서 굴곡하는 형상이며, 좌우의 후방부측에는 주행륜(44)으로의 전동을 온오프하는 사이드 클러치 조작 레버(405)를 각각 설치한다. 또한, 조종 핸들(47) 중 좌우 어느 일측에는 엔진(41)의 출력을 증감 조작하는 제 1 스로틀 레버(406)를 설치한다.
그리고 핸들(404)의 좌우 사이에는 조종 패널(47a)을 설치하고, 조종 패널(47a)에는 승강 실린더(300)를 신축 조작해서 주행 차체(40)의 차고를 조절하는 차고 조절 레버(123)와, 좌우의 주행 전동 케이스(38) 및 전동 케이스(26)로의 구동력의 전동을 온오프하는 주클러치 레버(125)와, 엔진(41)의 시동의 가부를 스위칭함과 아울러, 정지 조작을 행하는 제 1 엔진 스위치(407)와, 주행 차체(40)의 주행 전동을 이동속, 식부 작업속, 주행 중립 및 후진 중 어느 하나로 스위칭하는 주변속 레버(150)를 설치한다.
엔진(41)을 시킬 때에는 작업자는 제 1 엔진 스위치(407)를 온 위치로 조작한다. 엔진(41)을 정지시킬 때에는 제 1 엔진 스위치(407)를 가볍게 누르면 내장된 토크 스프링(도시 생략)의 힘으로 오프 위치로 스위칭되어 엔진(41)이 정지 상태가 된다.
오프 조작 시에는 제 1 엔진 스위치(407)를 가볍게 누르면 좋으므로 주행 및 식부를 바로 멈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랑단에 도달했을 때에 바로 주행과 식부가 정지되므로 이랑이 아닌 개소에서의 모종의 식부 동작이 방지되고, 여분으로 소비되는 모종이 감소한다. 또한, 다음의 식부 작업을 행하는 이랑에 기체를 이동시킬 때 여분인 이동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연료 소비나 작업 시간이 경감된다.
조종 핸들(47)의 기체 전방측이며, 또한 전동 케이스(26)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투입되는 모종을 좌우의 식부 호퍼(20a, 20b)에 반송하는 모종 공급 장치(43)가 설치된다. 모종 공급 장치(43)의 후방부와, 핸들 프레임(402)의 후방측 상부이며, 또한 조종 패널(47a)의 전방측에 설치하는 보강 연결 스테이(151)에 걸쳐서 조종 핸들(47) 및 모종 공급 장치(43)의 부근의 강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진동을 저감시키는 전후 방향의 보강 프레임(152)을 설치한다.
그리고 보강 프레임(152)의 전후 사이에 측면으로부터 볼 때 L자형상의 회동 지지 플레이트(153)를 배면으로부터 볼 때에 기체 좌우 타측(기체 우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자세로 장착한다. 회동 지지 플레이트(153)는 기체 좌우 타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이 개방측에 시인 회동 암(154)의 기부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한다. 또한, 시인 회동 암(154)은 기체 좌우 일측(기체 좌측)에는 핸들 프레임(402)에 접촉할 때까지 회동 가능하게 하고, 기체 좌우 타측에는 회동 지지 플레이트(153)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회동 가능하게 한다. 환언하면, 회동 지지 플레이트(153)는 시인 회동 암(154)을 기체 좌우 타측 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 모종 공급 장치(43)와 시인 회동 암(154)이 대략 평행, 내지 기체 외측을 향하는 하방 경사 자세가 되는 위치에서 기체 하부측에 위치하는 회동 규제부(153a)에 의해 회동을 규제한다.
또한, 시인 회동 암(154)을 설치하는 부분의 하방에는 기체 좌우 타측의 식부 호퍼(20b)를 상승시키는 좌우 타측의 상하 이동 기구(21)가 상하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지만 회동 규제부(153a)에 접촉할 때까지 기체 좌우 타측으로 회동시킨 시인 회동 암(154)은 최대한으로 상방 회동한 상하 이동 기구(21)보다 기체 상방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한다.
시인 회동 암(154)의 단부측에는 주행 차체(40)의 진행 방향상, 즉 기체 전방측의 경치가 비치고, 작업 좌석(46) 및 플로어 스텝(122)에 주행 차체(40)의 진행 방향을 등을 지고 탑승하는 작업자가 시인하는 시인 부재(155)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이 시인 부재(155)는 기체 후방측에 볼형상의 연결체(도시 생략)를 갖고, 이 볼형상의 연결체를 시인 회동 암(154)측의 연결 구멍부(도시 생략)에 나사 삽입하여 회전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구성이다.
시인 부재(155)를 미러(155a)로 하면 장착하는 것만으로 기체 전방측의 경치를 비출 수 있으므로 장착에 의한 비용의 상승이 억제된다. 또한, 태양광 등의 반사에 의해 보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러(155a)의 상측에 셰이드(도시 생략) 등을 장착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시인 장치(157)가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시인 회동 암(154)을 전후 방향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기체 좌우 방향에 원호형상으로 회동시켜 시인 부재(155)의 좌우 위치 및 상하 높이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 자세, 예를 들면 작업 좌석(46)에 앉아서 작업을 하거나 플로어 스텝(122)에 일어서서 작업을 하거나, 작업자의 체격에 맞춰서 시인 부재(155)에 비추는 기체 전방의 경치를 보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모종의 식부 작업을 종료하는 이랑단으로의 접근이나 진로 상의 장해물의 유무 등을 확실하게 발견할 수 있으므로 이랑 이외의 개소에서 모종을 쓸데없이 심어버리는 것이나 장해물과의 접촉으로 주행 차체(40)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작업자는 진행 방향을 등을 지고, 기체 후방측에 배치되는 모종 공급 장치(43)에 모종을 투입할 필요가 있지만 기체 전방측의 상황을 보기 위해 배후를 향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모종의 공급이 도중에 중단되어 식부 호퍼(20a, 20b)가 포장에 모종을 식부하지 않는 소위 결주(缺株)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결주의 발생 개소에 모종을 수작업으로 심을 필요가 없어져 작업자의 노력이 경감된다.
그리고 수납 시 등 기체 좌우 일측을 향해서 시인 회동 암(154)을 회동시키면 시인 회동 암(154)은 기체의 좌우 일측 단부보다 기체 내측에 위치하고, 또한 기체의 좌우 폭 내에 수납되는 구성이 되므로 수납 장소에서 시인 장치(157)가 걸려서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비사용 시 등에 기체 좌우 타측의 회동 규제부(153a)를 향해서 최대한 시인 회동 암(154)을 회동시켜도 시인 회동 암(154)은 상하 이동 기구(21)와 간섭하지 않는 상방 위치에 위치하므로 시인 회동 암(154)이 상하 이동 기구(21)와의 접촉으로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시인 장치(157)는 기부측이 보강 프레임(152)의 전후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기체의 진동이 시인 장치(157)에 전해지기 어려워 시인 부재(155)에 비추는 경치가 시인하기 쉬워진다.
또한, 핸들 프레임(402)과 모종 공급 장치(43)를 보강 프레임(152)으로 연결 함으로써 기체의 강도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시인 회동 암(154)의 회동 지지 플레이트(153)로의 부착을 더블 너트로 하여 분리되는 것이나 자중으로 하방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작업자의 회동 조작에서는 가벼운 힘으로 회동하는 구성으로 하면 조절 작업이 용이하고, 또한 공구가 없어도 조절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미션 케이스(39)의 기체 전방측이며, 또한 좌우 양측에는 정면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コ자형상의 범퍼 지지 프레임(108)을 기체 전방측으로 돌출시켜 설치한다. 그리고 좌우의 범퍼 지지 프레임(108)의 전방에는 기체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범퍼(109)를 설치한다.
또한, 도 6~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범퍼(109)는 판체의 기체 전방측과 좌우 양측을 하방으로 절곡한 범퍼 플레이트(109a)와, 범퍼 플레이트(109a)의 상면에 착탈 가능한 프론트 웨이트(109b)와, 범퍼 플레이트(109a)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범퍼 로드(109c)로 구성된다. 프론트 웨이트(109b)는 비교적 중량이 있고, 또한 단단한 소재로 구성되어 범퍼 플레이트(109a)보다 기체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한다.
이에 따라 중량과 경도를 갖는 소재로 구성되는 프론트 웨이트(109b)가 가장 기체 전방으로 돌출되므로 장해물에 접촉했을 때에 범퍼 플레이트(109a)까지 손상이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좌우의 범퍼 지지 프레임(108)의 기체 전방측이며, 또한 기체 하부측에는 기체 하측이 개구부가 되는 오목부(도시 생략)를 형성하고, 이들 오목부에 기체 좌우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전방부 들보 프레임(110)을 꽂아 넣어서 고정한다.
전방부 들보 프레임(110)을 설치함으로써 좌우의 범퍼 지지 프레임(108)과 미션 케이스(39)로 기체 전방측에도 사각형으로 프레임이 조립되므로 기체 전방측의 강도가 향상된다. 특히, 범퍼(109)가 장해물에 접촉했을 때 전방부 들보 프레임(110)에 좌우의 범퍼 지지 프레임(108)을 꽂아 넣어서 고정하고 있으므로 좌우의 범퍼 지지 프레임(108)의 후방부측에 파손이나 충격이 전해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미션 케이스(39)를 기체에 조립할 때 좌우의 범퍼 지지 프레임(108)의 오목부를 전방부 들보 프레임(110)에 꽂아 넣고 나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미션 케이스(39)의 전후 위치를 고정한 후에 좌우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미션 케이스(39)의 부착 위치의 어긋남에 의해 조립 작업이 밀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미션 케이스(39)의 전방측이며, 또한 좌우 일측에 엔진(41)의 후방부를 적재하고, 엔진(41)의 전방부는 전방부 들보 프레임(110)의 좌우 중앙부 부근에 배치하는 엔진 마운트에 적재하는 구성으로 하지만 엔진(41)이 배치되는 측의 범퍼 지지 프레임(108)과 엔진(41)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다. 즉, 범퍼 지지 프레임(108)은 엔진(41)을 하방으로부터 받는 부재는 아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범퍼(109)가 장해물에 접촉했을 때의 충격이 범퍼 지지 프레임(108)으로부터 엔진(41)에 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엔진(41)이 파손되는 것이나 충격에 의해 작동 불량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범퍼 지지 프레임(108)이 충격으로 변형되어도 엔진(41)의 적재 상태에 영향을 끼치기 어려운 구성이 되고, 범퍼(109)가 파손되어도 엔진(41)의 동력으로 작업이나 이동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범퍼 플레이트(109a)의 좌우 양측에는 범퍼 로드(109c)를 장착하는 좌우 방향의 오목부를 갖는 스텝 지지 플레이트(111)를 각각 장착한다. 좌우의 스텝 지지 플레이트(111)는 전방부 들보 프레임(110)의 기체 후방측이며, 또한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하는 보강 암(112)을 통해 지지하는 구성으로 한다.
좌우의 스텝 지지 플레이트(111)의 상면은 평탄하며, 주행 차체(40)의 기체좌우 일측(기체 좌측)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기체 전방측으로부터 타고 내릴 때에 발을 얹는 전방측 탑승 스텝(113)의 기체 전방측 부분을 장착한다. 한편, 기체 좌우 타측(기체 우측)에는 식부 호퍼(20a, 20b)가 식부하는 모종끼리의 전후 간격, 소위 주간을 설정하는 주간 주변속 레버(801)와 주간 부변속 레버(802), 및 주변속 레버(150)가 식부속으로 조작되어 있을 때에 제 1 식부속 또는 제 2 식부속을 선택하는 식부 변속 레버(803)를 지지하는 주간 스위칭 커버(114)를 형성한다.
전방측 탑승 스텝(113)은 기체 전방측이며, 또한 상하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 발 받침부(113a)와, 하부 발 받침부(113a)보다 기체 후방측이며, 또한 상하 방향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발 받침부(113b)와, 하부 발 받침부(113a)와 상측 발 받침부(113b)의 상하 사이에 위치하고, 기체 외측 방향을 향해서 비틀어져 경사지는 중간 경사부(113c)로 구성된다. 하부 발 받침부(113a)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 돌기(113d)를 복수 형성하는 것으로 하고, 중간 경사부(113c)는 타고 내릴 때에 작업자가 발을 심리적으로 얹기 어려운 경사 각도이며, 또한 하부 발 받침부(113a)와 상측 발 받침부(113b) 사이에서 이동할 때에 걸쳐서 통과되는 전후 길이로 한다.
한편, 주간 스위칭 커버(114)는 기체 전방측이며, 또한 상하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 대부(114a)와, 하측 대부(114a)보다 기체 후방측이며, 또한 상하 방향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대부(114b)와, 하측 대부(114a)와 상측 대부(114b)의 상하 사이에 위치하고, 기체 외측 방향을 향해서 비틀어져 경사짐과 아울러, 주간 주변속 레버(801)와 주간 부변속 레버(802), 및 주변속 레버(150)가 각각 이동하는 이동 홈을 형성한 레버 장착부(114c)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측 탑승 스텝(113)과 주간 스위칭 커버(114)는 좌우 대칭인 형상이며, 기체 좌우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주간 스위칭 커버(114)로 하고, 기체 좌우 타측에 설치되는 것을 전방측 탑승 스텝(113)으로 해도 좋다.
그리고 상측 발 받침부(113b) 및 상측 대부(114b)의 기체 후방측에는 기체 측방으로부터 작업자가 타고 내림과 아울러, 작업 시의 발판이 되는 측부 스텝(118)을 각각 설치한다. 측부 스텝(118)은 틀 내에 종횡으로 판체를 배치하여 복수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작업자의 구두창에 부착된 흙을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좌우의 측부 스텝(118)의 좌우 사이에는 탑승하는 작업자의 발판이 되는 중앙 스텝(119)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상에 의해 플로어 스텝(122)이 구성된다.
전방측 탑승 스텝(113), 주간 스위칭 커버(114), 좌우의 측부 스텝(118), 및 중앙 스텝(119)의 부착은 각각 독립적으로 행하는, 즉 하나의 부착 부재로 조인트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부분적인 유지 보수 작업 시에 각 스텝 구성체를 분리할 때 별도의 스텝 구성체를 분리할 필요가 없어 유지 보수 작업의 능률이 향상된다.
전방측 탑승 스텝(113)의 전방측 하부에는 전방측 탑승 스텝(113)으로의 타고 내릴 때에 작업자가 발을 얹는 승강 보조 기구(170)를 장착한다. 승강 보조 기구(170)는 기체 외측에 위치하는 측면으로부터 볼 때 L자형상이며, 굴곡 부분보다 기체 하측에 기체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 1 돌출부(171a)를 갖는 외측 지지 암(171)과,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정면으로부터 볼 때 L자형상이며, 굴곡 부분보다 기체 하측에 기체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2 돌출부(172a)를 갖는 내측 지지 암(172)과, 제 1 돌출부(171a)와 제 2 돌출부(172a)에 걸쳐서 설치하는 승강 보조 스텝(173)으로 구성한다.
외측 지지 암(171)은 스텝 지지 플레이트(111)와 함께 조인트 볼트(174…)로 조인트하여 주행 차체(40)에 장착한다. 또한, 내측 지지 암(172)은 범퍼 플레이트(109a)와 함께 조인트 볼트(174…)로 조인트하여 주행 차체(40)에 장착한다.
이에 따라 조인트 볼트(174…)로 복수의 부재를 조이는 구성이 되므로 주행 차체(40)의 기체 전방측 부근의 강도의 향상이 도모되고, 작업자의 타고 내릴 때에 의한 하중에 의한 내구성의 저하가 경감된다.
또한, 승강 보조 스텝(173)을 설치함으로써 이랑의 높이 등에 맞춰서 주행 차체(40)의 차고를 높게 하고 있어도 작업자는 승강 보조 스텝(173)에 발을 얹고, 전방측 탑승 스텝(113)의 하측 발 받침부(113a)에 발을 단계적으로 얹어서 올라탐과 아울러, 반대의 동작에 의해 내릴 수 있으므로 타고 내릴 때에 발을 높게 올릴 필요나 뛰어 내릴 필요가 없어 작업자의 신체로의 부담이 경감된다.
그리고 승강 보조 스텝(173)을 제 1 돌출부(171a)와 제 2 돌출부(172a)에 걸쳐서 설치함으로써 승강 보조 스텝(173)의 좌우 폭 내에 외측 지지 암(171)과 내측 지지 암(172)이 위치하지 않으므로 작업자의 발이 외측 지지 암(171)과 내측 지지 암(172)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주행 차체(40)의 차고를 하강시켰을 때나 식부 작업 중에는 승강 보조 기구(170)는 불필요해질 뿐만 아니라 차고에 따라서는 이랑면이나 이랑의 법면에 접촉해서 이랑을 무너뜨리고, 모종의 식부 정밀도를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측 지지 암(171)과 내측 지지 암(172)의 기부를 더블 너트(도시 생략)로 장착하고, 조인트 볼트(174…)를 회동 지점으로 하여 외측 지지 암(171)과 내측 지지 암(172)을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승강 보조 기구(170)를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면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불필요할 때에는 승강 보조 기구(170)를 이랑면으로부터 이간하는 상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승강 보조 기구(170)가 이랑을 무너뜨리는 것이 방지되어 모종의 식부 정밀도가 유지된다.
도 1~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간 스위칭 커버(114)의 하부에는 자중에 의해 하방 회동해서 이랑면에 접촉하고, 주행 차체(40)가 이랑의 단에 도달해서 접지하지 않게 되면 추가로 하방 회동하고, 포장단에 도달한 것을 작업자에게 알리는 통지 장치(181)를 작동시키는 제 1 이랑단 센서(182)를 지지하는 이랑단 센서 스테이(182a)를 설치한다. 통지 장치(181)는 주행 차체(40)의 각 부에 장착하는 부저나 램프 또는 작업자의 정보 단말에 통지하는 통신 장치로 한다.
제 1 이랑단 센서(182)는 센서 암(183)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센서 암(183)의 하부에 이랑면 접지 롤러(184)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고, 센서 암(183)을 하방으로 바이어싱하는 접지 바이어싱 스프링(185)을 설치함과 아울러, 센서 암(183)의 기부에는 소정 각도 이상이 되면 온(또는 오프)이 되는 제 1 이랑단 검지 스위치(186)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접지 바이어싱 스프링(185)은 긴 구멍을 따라 각도 조절 가능한 검지 조절 플레이트(187)에 상단부측을 장착하고, 이랑 높이에 맞춰서 작동하는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한다.
이 제 1 이랑단 센서(182)는 모종의 식부 작업 주행의 개시 시 주행 차체(40)의 차고 조정에 의해 이랑면에 접지시킨다. 회전 가능한 이랑면 접지 롤러(184)를 접지시키고 있음으로써 이랑면을 무너뜨리기 어렵고, 또한 미세한 요철을 고르게 할 수 있어 모종의 식부 정밀도의 향상이 도모된다.
그리고 주행 차체(40)가 전진을 계속해서 이랑의 단부에 도달하여 이랑면 접지 롤러(184)가 이랑면에 접촉하지 않게 되면 접지 바이어싱 스프링(185)의 바이어싱력과, 센서 암(183)과 이랑면 접지 롤러(184)의 자중에 의해 센서 암(183)이 하방 회동하여 제 1 이랑단 검지 스위치(186)가 눌리지 않은 상태가 된다. 제 1 이랑단 검지 스위치(186)가 눌리지 않게 되면 통지 장치(181)에 통전됨으로써 통지 장치(181)가 작동하여 작업자에게 주행 차체(40)의 기체 전단 부근이 이랑단에 도달 한 것을 통지한다.
또한, 제 1 이랑단 센서(182)가 이랑단을 검지한 시점에서는 이랑에는 수 주분의 식부 스페이스가 남아있으므로 작업자는 기체를 즉시 정지시키는 것은 아니고, 나머지의 식부 스페이스에 식부되는 수의 모종을 모종 공급 장치(43)에 투입하면서 정지 조작을 준비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배후를 돌아보는 일 없이 이랑단으로의 접근을 알 수 있으므로 모종을 이랑 상에 식부 종료하는 타이밍에서 기체를 정지시킬 수 있고, 여분인 주행에 의한 연료의 소비나 다음 작업 열로의 이동 거리가 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랑단이 가까워졌을 때 모종 공급 장치(43)에 투입하는 모종의 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식부 작업 주행의 정지 조작이 늦어서 식부 호퍼(20a, 20b)가 식부 동작을 행해도 이랑이 아닌 개소에 모종이 방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 4,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센서 암(183)을 좌우 1쌍의 센서 암(183a, 183a)으로 하고, 이랑면 접지 롤러(184)를 좌우의 이랑면 접지 롤러(184a, 184a)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고, 좌우의 제 1 이랑 검지 스위치(186, 186)를 각각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에 따라 좌우의 센서 암(183, 183) 중 어느 한쪽이 하방 회동해서 대응하는 제 1 이랑 검지 스위치(186, 186)의 일방이 눌리지 않는 상태가 되면 통지 장치(181)가 작동함으로써 이랑단이 풍우에 의해 무너져서 형상이 흐트러져 있어도 이랑단이 검지되기 쉬워 작업자에 의한 식부 작업 주행의 정지 조작이 타이밍 좋게 행해진다.
또한, 주행 차체(40)의 기체 전방측의 좌우 양측이며, 또한 주행륜(44)보다 기체 전방측에는 전방부 들보 프레임(110)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기체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는 횡 프레임(16)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 전륜(45)을 설치한다.
그리고 주행 전동 케이스(38)의 전방부의 회동 축심 위치에는 미션 케이스(39)로부터 좌우 양외측방으로 연장시킨 구동축의 선단이 들어가고, 미션 케이스(39) 내의 주행부계 변속 전동부를 거친 주행용의 동력이 주행 전동 케이스(38) 내의 전동 기구에 전달되어 있다. 그리고 주행용의 동력은 주행 전동 케이스(38) 내의 전동 기구를 통해 주행용 전동 케이스(38)의 주행 차축(12)으로 전동되어 주행륜(44)이 구동 회전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미션 케이스(39) 내에 설치한 좌우 각각의 사이드 클러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좌우의 각 주행륜(44)의 구동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기체를 선회시킬 때에는 사이드 클러치에 의해 선회 내측이 되는 좌우 일방의 주행륜(44)을 비구동 상태로 하여 선회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주행 전동 케이스(38)에는 주행 전동 케이스(38)의 전방부측을 회동 지점으로 하여 주행륜(44)을 상하시키는 상하 회동하는 구동 수단이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행 전동 케이스(38)의 미션 케이스(39)로의 부착부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암(13)이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암(13)이 미션 케이스(39)에 고정된 승강 실린더(300)의 피스톤 로드 선단에 부착된 연결체의 좌우 양측부와 연결한다. 좌우 일방측(우측)은 연결 로드로 연결하고, 타방측(좌측)은 기체의 경사에 대응해서 신축 작동 가능한 좌우 수평 실린더로 연결한다.
승강 실린더(300)가 작동해서 그 피스톤 로드가 기체 후방으로 돌출되면 좌우의 암(13)은 후방으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주행 전동 케이스(38)가 하방으로 회동하여 기체가 상승한다. 반대로 승강 실린더(300)의 피스톤 로드가 기체 전방으로 이동해서 실린더 내에 들어가면 좌우의 암(13)은 전방으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주행 전동 케이스(38)가 상방으로 회동하여 기체가 하강한다.
이 승강 실린더(300)는 이랑면에 접지하여 기체와 이랑면의 상하 간격의 변동에 따라 동작하는 이랑면 센서(14)에 의해 작동한다. 이랑면 센서(14)의 동작은 기체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이랑 상면 높이를 검출하는 동작으로 이루어지고, 그 이랑면 센서(14)의 검출 동작에 의거하여 기체를 이랑 상면 높이에 대응해서 설정 높이가 되는 구성으로 승강 실린더(300)가 작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좌우 수평 실린더가 신축 작동하면 그 좌우 수평 실린더와 연결하는 좌측의 암(13)이 회동하고, 좌측의 주행륜(44)만을 상하 이동시켜서 기체를 좌우로 경사지게 한다. 이 좌우 수평 실린더는 좌우 수평을 기준으로 하여 기체의 좌우 경사를 검출하는 센서의 검출 결과에 의거해서 작동하여 기체를 좌우 수평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승강 실린더(300)는 상기 이랑면 센서(14)에 의한 검지 또는 기체 후방부에 설치하는 차고 조절 레버(123)의 조작에 의해 신축되어 차고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차고 조절 레버(123)는 기체 전방측에 차고를 높게 하는 「고」포지션, 기체 후방측에 차고를 낮게 하는 「저」포지션을 가짐과 아울러, 「저」포지션으로부터 기체 외측 방향에는 승강 실린더(300)의 신축을 정지시켜서 차고를 유지하는 「고정」 포지션을 갖는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 프레임(16)은 전방부 들보 프레임(110)에 전후 방향의 축 중심으로 롤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횡 프레임(16)의 좌우 양측부에는 상하로 긴 종 프레임(17)을 장착한다. 그리고 좌우 전륜(45)은 종 프레임(17)의 하단부 측방에 고착된 전륜 차축(18)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좌우 전륜(45)은 기체의 좌우 중앙의 전후 방향의 축심 둘레에 롤링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횡 프레임(16)의 좌우 양측부를 기준으로 하여 종 프레임(17)이 상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륜(45)의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조종 핸들(47)은 기체 후방부에 설치되고, 주행륜(44)의 주행 차축(12)보다 기체 후방측, 즉 미션 케이스(39)에 전단부를 고정한 기체 프레임(19)의 후단부에 장착된다. 기체 프레임(19)은 기체의 좌우 중앙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 중간부로부터 비스듬히 후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조종 핸들(47)은 기체 프레임(19)의 후단부로부터 좌우에 후방으로 연장되고, 그 각 후단부를 조종 핸들(47)의 그립부로 하고 있다.
식부 장치(42)는 선단이 하방을 향하는 부리형상의 복수의 식부구와, 식부구의 하단부가 포장면보다 상방이 되는 위치와 포장면보다 하방이 되는 위치에 식부구를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 기구(21)와, 부리형상의 식부구의 하단부가 폐쇄되어 상방으로부터 모종을 받아서 내측으로 모종을 수용 가능한 폐쇄 상태와, 식부구의 하단부가 좌우로 개방되어 내측에 수용한 모종을 하방으로 방출 가능하게 하는 개방 상태로 식부구를 개폐하는 개폐 기구를 구비한다.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원의 식부 장치(42)는 2개의 식부 호퍼(20a)와 식부 호퍼(20b)를 좌우로 나란히 배치한 2열 심기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들 식부 호퍼(20a) 및 식부 호퍼(20b)는 미션 케이스(39)로부터 전동되는 전동 케이스(26)의 좌우 양측부에 설치된 상하 이동 기구(21)에 각각 장착된다.
그리고 도 9~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이동 기구(21)는 상하의 링크 암(21a, 21b)으로 구성되고, 상하의 링크 암(21a, 21b)은 전단부측을 전동 케이스(26)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각각 장착함과 아울러, 후단부측을 좌우의 링크 홀더(210, 210)의 좌우 사이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각각 장착한다. 상측 링크 암(21a)의 전단부는 전동 케이스(2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비원형 캠(211)의 회전축으로부터 외주 가장자리부측으로 이간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하 이동 기구(21)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식부 호퍼(20a, 20b)를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요동시키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전동 케이스(26)는 기체 프레임(19)에 하부를 고정한 부착 부재의 상부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식부 호퍼(20a, 20b) 및 상하 이동 기구(21)의 후단부측은 측면으로부터 볼 때 좌우의 주행륜(44, 44)의 후단부보다 기체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각각의 기체 외측방은 다른 부재가 없는 공간부로 하고 있다.
특히, 상측 링크 암(21a)의 전단부를 비원형 캠(211)에 장착하는 위치는 식부 호퍼(20a, 20b)의 정궤적(靜軌跡)에 있어서 모종을 받고 나서 하사점을 향할 때까지의 동안에 식부 호퍼(20a, 20b)를 후방 경사 자세로부터 포장면에 대해서 대략 수직인 자세로 변화됨과 아울러, 하사점으로부터 상승하기 시작하면 수직인 자세로부터 전방 경사 자세로 변화되는 위치로 한다.
이에 따라 식부 호퍼(20a, 20b)의 동궤적(動軌跡)에 있어서 모종을 식부하기 위해 토 중에 진입하는 시간 및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식부 호퍼(20a, 20b)가 포장에 형성하는 식부 구멍의 크기가 작게 억제되므로 모종이 쓰러져서 식부 자세가 흐트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식부 호퍼(20a, 20b)가 상사점 부근에서 크게 전방 경사진 자세가 되므로 작업자가 투입하는 모종을 소정 위치까지 반송해서 낙하 공급하는 모종 공급 장치(43)의 낙하 공급 위치에 식부 호퍼(20a, 20b)의 상단부를 가까이할 수 있으므로 모종이 식부 호퍼(20a, 20b) 내에 공급되지 않아 결주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모종이 낙하 공급될 때의 식부 호퍼(20a, 20b)가 경사 자세인 것에 의해 식부 호퍼(20a, 20b) 내에 들어간 모종을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을 향해서 미끄러지게 해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식부 호퍼(20a, 20b) 내에 모종이 머물러 식부 호퍼(20a, 20b)가 토 중에 들어가도 모종이 식부되지 않아 결주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비원형 캠(211)과 상측 링크 암(21a) 사이에는 복수의 원호상의 조절 긴 구멍(212a…)을 형성한 조절 플레이트(212)를 배치하고, 조절 긴 구멍(212a…)에 볼트 등의 고정 부재를 꽂아 넣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작업자가 의도하는 식부 호퍼(20a, 20b)의 전후 경사 각도로 조절 가능한 구성으로 한다.
이에 따라 모종의 길이나 식부 깊이 등의 작업 조건에 맞춰 식부 호퍼(20a, 20b)의 전후 경사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모종이 생육에 적합한 자세나 식부 깊이로 식부되어 모종의 생육이 양호해진다.
상기 상하 이동 기구(21)의 승강 구동력은 상기 비원형 캠(211)의 회전축보다 기체 후방측에 설치하는 승강 구동축(213)으로부터 전동된다. 상기 승강 구동축(213)에는 부등원형상의 승강 캠(214)을 장착하고, 상기 승강 캠(214)과 상측 링크 암(21a)의 좌우 사이에 상측 링크 암(21a)을 상하 회동시키는 승강 크랭크(215)를 설치한다. 또한, 하측 링크 암(21b)은 상측 링크 암(21a)의 상하 회동에 연동해서 상하 회동하는 것이며, 상하 이동 기구(21)를 평행 링크로 하는 것이다.
상기 승강 크랭크(215)는 일단을 승강 캠(214)으로부터 기체 외측을 향하는 회동축에 장착하고, 타단을 상측 링크 암(21a)의 기체 내측에 설치하는 연결 플레이트(216)에 장착하고, 식부 호퍼(20a, 20b)의 궤적을 모종의 식부 및 모종 공급 장치(43)로부터의 모종의 수취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
또한, 연결 플레이트(216)는 상측 링크 암(21a)으로부터 기체 하방을 향해 돌출시키고, 하단부를 하측 링크 암(21b)의 상단부 내지 상단부보다 약간 상방에 위치시켜서 배치하고, 연결 플레이트(216)의 하단부 부근에 승강 크랭크(215)의 타단부를 장착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승강 크랭크(215)를 기체 하방 부근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중심이 기체 하부 부근이 됨으로써 기체가 부재의 중량 등에 의해 전후로 경사지기 어려워져 모종의 식부 깊이나 식부 자세가 안정된다.
또한, 승강 크랭크(215)의 타단부를 연결 플레이트(216)에 장착함으로써 상측 링크 암(21a)이 승강 크랭크(215)로부터 직접 부하를 받지 않는 구성이 되므로 상측 링크 암(21a)의 내구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상기와 같이 승강 동작에 의해 가해지는 부하가 작으므로 상하의 링크 암(21a, 21b)은 내부가 중공의 각파이프로 구성하면 좋다. 상하의 링크 암(21a, 21b)이 경량이면 승강 크랭크(215)나 승강 캠(214)을 통해 전동 케이스(26)에 전해지는 부하가 작아지므로 전동 케이스(26)의 내구성도 향상된다.
또한, 중량에 의해 상승 속도가 지나치게 늦어지는 것이나 하강 속도가 지나치게 빨라질 일이 없고, 식부 호퍼(20a, 20b)의 승강 궤적이 안정되고, 모종의 식부 자세나 식부 깊이가 안정되어 생육이 양호해진다.
또한, 전동 케이스(26)와 상하 이동 기구(21)의 좌우 사이에 승강 캠(214), 승강 크랭크(215), 및 연결 플레이트(216)를 배치함으로써 상하의 링크 암(21a, 21b)이 상하 회동 시에 간섭하지 않는 구성이 되므로 상하의 링크 암(21a, 21b)을 양쪽 모두 직선형상으로 할 수 있고, 구성의 간소화나 강도의 유지가 가능해진다.
또한, 식부 호퍼(20a, 20b)의 승강 및 전후 경동을 모종의 식부에 의해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해 상측 링크 암(21a)과 하측 링크 암(21b)의 전후 길이는 상이한 것으로 한다. 본 건에서는 상측 링크 암(21a)이 하측 링크 암(21b)보다 짧게 구성되어 있다.
상하의 링크 암(21a, 21b)의 후단부는 상기와 같이 좌우의 링크 홀더(210, 210)의 좌우 사이에 상하 간격을 두고 장착하지만, 이때 상측 링크 암(21a)의 장착 위치를 하측 링크 암(21b)의 장착 위치보다 기체 전방측에 위치시킨다.
이에 따라, 식부 호퍼(20a, 20b)가 상사점 부근으로 상승했을 때에는 상하의 링크 암(21a, 21b)의 후단부측의 지점 간 거리가 길어져 식부 호퍼(20a, 20b)의 전후 요동량이 작게 억제되므로 모종 공급 장치(43)의 낙하 공급 위치 부근에서 식부 호퍼(20a, 20b) 상측의 전후 위치량이 변화되기 어려워 모종을 받아서 놓치는 경우가 감소한다.
또한, 식부 호퍼(20a, 20b)가 하사점 부근으로 상승했을 때에는 상하의 링크 암(21a, 21b)의 후단부측의 지점 간 거리가 짧아져 식부 호퍼(20a, 20b)의 전후 요동량이 커지므로 식부 호퍼(20a, 20b)를 후방 경사 자세로부터 전방 경사 자세로 변경시킬 수 있고, 식부 호퍼(20a, 20b)가 모종에 접촉해서 쓰러뜨리거나 상처를 입히거나 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하측 링크 암(21b)의 전단부에는 식부 호퍼(20a, 20b)를 승강 위치에 맞춰서 개폐시키는 개폐 기구를 작동시키는 개폐 와이어(220)를 상단부측에 장착 한 개폐 암(218)을 전후 회동 가능하게 장착한다. 상기 개폐 암(218)의 상부 후방측에는 상기 비원형 캠(211)의 지름이 일정 이상인 부분이 통과할 때에 접촉하는 접촉 롤러(219)를 설치한다.
비원형 캠(211)이 접촉하면 개폐 암(218)이 전방 회동하여 개폐 와이어(220)를 당김으로써 식부 호퍼(20a, 20b)가 폐쇄되어 가고, 비원형 캠(211)이 접촉하지 않게 되면 개폐 암(218)이 후방 회동하여 개폐 와이어(220)가 풀림으로써 식부 호퍼(20a, 20b)가 개방되어 가는 구성이다.
또한, 식부 호퍼(20a, 20b)가 개방되는 것은 하강 도중으로부터 모종을 식부해서 상승하기 시작하는 동안이며, 폐쇄되는 것은 모종을 식부해서 상승하기 시작하고 나서 모종을 받아서 다시 하강하는 동안이며, 비원형 캠(211)의 형상은 대응하는 것이다.
상기 좌우의 호퍼 홀더(210, 210)의 후방부측에는 기체 후방측으로 개구하는 コ자형상으로 노치부(221)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 노치부(221)의 상부 및 하부에는 호퍼 홀더(210)의 구성체가 기체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한다.
식부 호퍼(20a, 20b)는 호퍼 홀더(225)의 상방에 호퍼 커버(226)를 기체 후방측 방향을 향해서 씌우고, 기체 후방측이며, 또한 좌우 양측의 상면을 노치해서 개방 공간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호퍼 홀더(225)의 후방부측의 벽면과 호퍼 커버(226)의 후방부측의 벽면의 전후 사이에 좌우의 회동 지지축(227, 227)을 각각 형성하고, 회동 지지축(227, 227)에는 각각 회동 암(228, 228)을 회동 가능하게 장착한다. 상기 좌우의 회동 암(228, 228)은 대부분이 개방 공간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시킨다.
좌우의 회동 지지축(227, 227)은 링크 홀더(210, 210)의 노치부(221)나 열 간 조절 플레이트(222)보다 기체 하측에 배치한다.
이에 따라 호퍼 홀더(225)측의 회동 지지축(227, 227)을 열 간 조절 플레이트(222)의 하부측이며, 또한 링크 홀더(210, 210)와 전후 간격을 크게 벌리는 일 없이 배치할 수 있으므로 식부 호퍼(20a, 20b)의 전후 위치가 뒤로 지나치게 가지 않아 콤팩트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 암(228, 228) 중 기체 외측에 개폐 와이어(220)의 케이블 아우터를 장착하고, 기체 내측에 케이블 이너를 접속하여 개폐 와이어(220)의 인장과 느슨함에 의해 좌우의 회동 암(228, 228)이 회동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좌우의 회동 지지축(227, 227)에는 좌우의 호퍼 스테이(229, 229)를 하부측에 장착하는 コ자형상의 개폐 암(230, 230)을 좌우 회동 가능하게 각각 장착한다. 상기 개폐 암(230, 230)은 호퍼 스테이(229, 229)의 전후 및 측면의 상방을 덮는 형상이며,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면의 상부측에는 좌우 방향의 요철이 상하 방향으로 번갈아 맞물리는 기어부(230a, 230a)가 각각 형성된다. 이 기어부(230a, 230a)의 맞물림에 의해 개폐 암(230, 230)의 개폐 시의 회동량을 동조시키는 구성이며, 식부 호퍼(20a, 20b)로부터 모종을 치우침 없이 개방 가능한 개도가 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개폐 암(230, 230)의 전후면의 기체 하부측에는 좌우 각각에 지지핀(232, 232)을 설치하고, 좌우의 지지핀(232, 232)에 좌우의 개폐 암(230, 230)을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스프링(233)을 전후에 각각 배치한다.
또한, 호퍼 스테이(229, 229)는 전후의 상방에 절곡된 부분을 개폐 암(230, 230)의 전후부와 연결하고, 전후 방향의 저부의 각 기체 내측부에는 좌우의 호퍼 구성체(231, 231)를 장착하는 반원형상의 노치부를 형성하고 있다. 좌우의 호퍼 구성체(231, 231)는 개방할 때에는 하단부측일수록 좌우 방향으로 크게 개방함과 아울러, 폐쇄했을 때에는 상하에 걸쳐서 단면끼리가 대략 균등하게 접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호퍼 구성체(231, 231)의 하단부 부근은 판형상으로 형성하고, 토 중에 진입할 때의 저항을 경감하는 형상으로 한다.
또한, 호퍼 커버(226)에 좌우의 호퍼 구성체(231, 231)의 최상부와 대략 동 지름 내지 약간 소경의 개구부(도시 생략)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에 모종 공급 장치(43)로부터 공급되는 모종을 들어가게 해서 좌우의 호퍼 구성체(231, 231)의 내부에 안내하는 모종 가이드(234)를 꽂아 넣어서 장착한다. 또한, 상기 좌우의 호퍼 구성체(231, 231)의 상단부 부근의 지름은 상단부 부근으로부터 하측의 지름보다 대경으로 한다.
상기 모종 가이드(234) 중 호퍼 커버(226)보다 하측은 대략 동 지름으로 하고, 호퍼 커버(226)보다 상측은 기체 상측일수록 대경으로 구성하여 측면으로부터 볼 때 및 배면으로부터 볼 때 테이퍼형상으로 한다.
모종 가이드(234)의 상부측이 테이퍼형상임으로써 상단측의 지름이 최대가 되므로 모종이 낙하 공급되는 위치가 다소 어긋나도 모종을 받아낼 수 있고, 식부 호퍼(20a, 20b)가 모종을 식부하여 손상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모종 가이드(234)의 하부측의 지름을 호퍼 구성체(231, 231)의 상단부의 지름과 대략 동 지름 내지 약간 소경으로 한 것에 의해 모종 가이드(234)와 호퍼 구성체(231, 231)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모종을 확실하게 이어받게 할 수 있어 확실하게 모종이 식부된다.
각 모종 수용체(22)는 상하에 개구하는 통형상체와, 그 통형상체의 하측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바닥 덮개를 갖고, 서로 루프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동 기구(23)는 연결한 각 모종 수용체(22)가 좌우의 식부 호퍼(20a, 20b)의 상방 근방을 통과하는 상태이며, 기체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좌우로 긴 타원형상의 루프형상의 궤적으로 연결한 모종 수용체(22)를 좌측 둘레에 둘레 회동시킨다. 모종 낙하 기구는 모종 수용체(22)의 바닥 덮개를 그 모종 수용체(22)에 대응하는 식부 호퍼(20a, 20b)의 상방 위치에서 개방한다.
본원에서는 모종 수용체(22)의 외주에 원통 외주부를 형성하고, 그 원통 외주부에 외측으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는 결합부(둥근 구명)를 형성하고, 2개의 모종 수용체(22)를 연결하는 연결체를 복수 형성했다. 그리고 그 연결체의 결합부를 모종 수용체(22)의 원통 외주부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그 원통 외주부를 회동축으로 하여 옆의 모종 수용체(22)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태로서 복수의 모종 수용체(22)를 서로 연결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모종 수용체(22)는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직선형상 부분(28)이어도 원호형상으로 이동하는 원호형상 부분(29)이어도 인접하는 모종 수용체(22)의 간격이 바뀌지 않으므로 모종 수용체(22)로부터 좌우의 식부 호퍼(20a, 20b)로 모종을 공급하는 개소에서 모종 수용체(22)의 좌우의 식부 호퍼(20a, 20b)를 기준으로 한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모종 공급이 적정하게 행해져 확실한 모종의 식부를 할 수 있다.
모종 공급 장치(43)의 이동 기구(23)는 무단 체인과 같이 서로 연결하는 모종 수용체(22)를 좌우에 설치한 스프로킷의 외주의 원호형상 노치부에 권취되고, 이 좌우의 스프로킷을 전동 케이스(26) 내로부터 인출한 동력으로 구동 회전함으로써 각 모종 수용체(22)를 둘레 회동시키는 구성으로 한다.
모종 수용체(22)가 주회하는 주회 이동 경로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형상 부분(28)과, 스프로킷에 의해 직선형상 부분(28)으로부터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원호형상으로 구부러지는 원호형상 부분(29)을 구비한 타원형상이며, 좌우의 주행륜(44)보다 기체 내측에 배치된다.
모종 공급 장치(43)의 모종 수용체(22)는 직선형상 부분(28)에서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좌우 양측부의 원호형상 부분(29)에서는 모종 수용체(22)끼리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거나 해서 모종 공급 장치(43)의 구동에 부하를 부여하여 파손시키거나, 모종의 낙하 공급 타이밍을 불안정하게 하거나 할 우려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모종 수용체(22)의 내주 가장자리부이며, 또한 모종 공급 장치(43)의 좌우 양외측부에는 구동 회전하는 스타 휠(240, 240)을 각각 설치하고, 스타 휠(240, 240)의 외주 가장자리부에는 등간격으로 돌기부가 형성된다. 이들 돌기부를 모종 수용체(22)의 간격부에 들어가게 함으로써 모종 공급 장치(43)의 좌우 양측의 원호형상 부분(29)을 통과할 때의 각 모종 수용체(22)의 위치를 각각 유지함으로써 과부하의 발생이나 모종의 낙하 공급 타이밍의 어긋남의 발생을 방지한다.
작업자는 작업 좌석(46)에 착좌 또는 플로어 스텝(122) 상에 서서 모종 공급 장치(43)에 모종의 공급 작업을 행하지만 보충용의 모종이 없어졌을 때나 어떠한 문제, 예를 들면 모종의 식부 자세가 연속해서 식부되지 않는 것이 발생했을 때에는 주행 차체(40)의 주행의 정지나 식부 호퍼(20a, 20b)의 구동을 멈출 필요가 있다. 또한, 작업자의 페이스보다 주행 속도나 식부 호퍼(20a, 20b)의 승강 페이스가 빠를 때에는 엔진(41)의 출력을 저하시켜 작업을 행하기 쉬운 속도로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조작을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좌석(46)에 착좌한 채 또는 플로어 스텝(122) 상으로부터 내리는 일 없이 행하기 위해 상기 모종 공급 장치(43)의 기체 전방측이며, 또한 좌우 일측 단부, 즉 작업 좌석(46)에 착좌한 작업자의 오른손측에는 엔진(41)의 시동의 가부를 스위칭함과 아울러, 정지 조작을 행하는 제 2 엔진 스위치(408)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엔진 스위치(408)보다 기체 내측(기체 좌우 타측) 부근이 되는 위치에는 엔진(41)의 출력을 증감 조작하는 제 2 스로틀 레버(409)를 기체 좌우 방향으로 회동 조작 가능하게 설치한다.
또한, 상기 제 2 엔진 스위치(408)는 제 1 엔진 스위치(407)와 동일 조작 방법이지만 엔진(41)은 이들 제 1 엔진 스위치(407)와 제 2 엔진 스위치(408)의 양쪽이 온 위치로 조작되어 있지 않으면 시동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이동 시 등 작업자가 기체의 후방에서 조종 핸들(47)을 쥐고 조종할 때에는 제 1 엔진 스위치(407)로 정지 조작을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모종의 식부 작업 시 등 주행 차체(40)에 탑승하고 있을 때에는 제 2 엔진 스위치(408)를 오프 조작해서 엔진(41)을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탑승 중에 주행 차체(40)로부터 내려서 제 1 엔진 스위치(407)를 오프 조작하러 갈 필요가 없고, 식부 또는 기체에 문제를 발생시키는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스로틀 레버(409)를 주행 차체(40) 상으로부터 조작할 수 있으므로 엔진(41)의 출력을 증감 조작할 때에 주행 차체(40)를 타고 내릴 필요가 없어 작업 능률이나 작업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좌우의 식부 호퍼(20a, 20b)는 주행 차축(12)의 위치보다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모종 공급 장치(43)는 좌우의 식부 호퍼(20a, 20b)에 맞춰서 모종 수용체(22)가 한 바퀴로 주회 이동하여 모종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식부 호퍼(20a, 20b)는 각각 제 1 낙하 공급 위치(31a) 및 제 2 낙하 공급 위치(31b)에서 모종 수용체(22)로부터 모종이 낙하 공급된다.
그리고 좌우의 식부 호퍼(20a, 20b)에 대응해서 낙하 공급하는 모종을 수용하는 모종 수용체(22)를 각각 설치하고, 모종 수용체(22)가 대응하는 좌우의 식부 호퍼(20a, 20b)의 상방에 왔을 때만 바닥 덮개가 개방되고, 대응하지 않는 좌우의 식부 호퍼(20a, 20b)의 상방에서는 바닥 덮개가 개방되지 않는 구성으로 한다.
즉, 식부 호퍼(20a)에 대응하는 모종 수용체(22)는 제 1 낙하 공급 위치(31a)에 왔을 때만, 식부 호퍼(20b)에 대응하는 모종 수용체(22)는 제 2 낙하 공급 위치(31b)에 왔을 때만 각각의 바닥 덮개가 개방되어 대응하는 식부 호퍼(20a, 20b)에 모종이 공급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 1 낙하 공급 위치(31a) 및 제 2 낙하 공급 위치(31b)는 좌우의 식부 호퍼(20a, 20b)의 열 간을 조절했을 때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한다.
이동 기구(23)의 작동 주기는 상하 이동 기구(21)의 작동 주기에 동기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으며, 좌우의 식부 호퍼(20a, 20b)에 대응하는 모종 수용체(22)를 합쳐서 1개의 모종 수용체 유닛으로 하고, 그 모종 수용체 유닛을 복수 연결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모종 수용체(22)가 좌우의 낙하 공급 위치(31a, 31b)를 직렬적으로 통과하면서 좌우의 식부 호퍼(20a, 20b)에 대응하여 모종 공급 누락이 발생하는 일 없이 모종을 공급할 수 있고, 또한 좌우의 낙하 공급 위치(31a, 31b)를 통과한 후에 모종이 공급되지 않은 모종 수용체(22)가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해 남기는 일 없이 좌우의 식부 호퍼(20a, 20b)에 대응하여 모종을 공급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원의 이식기(10)는 좌우의 식부 호퍼(20a, 20b)가 식부한 모종에 맞춰 흙을 고르게 하는 복토 진압륜(37)을 좌우의 식부 호퍼(20a, 20b)의 모종 식부 위치의 각 후방 좌우 양측의 근방 위치에 설치한다. 좌우의 복토 진압륜(37)은 1개의 봉재를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J형상으로 굴곡시켜서 구성한 각각 별개로 상하 회동 가능한 진압 암(370, 370)과, 좌우의 진압 암(370, 370)의 후방부측에 각각 좌우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진압 회전체(371, 371)로 구성한다.
또한, 진압 암(370)은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일측 단부가 주행 차체(40)의 후방부측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후방을 향해서 돌출되는 직선 부분의 후방부를 상방으로 굴곡시킨 후 기체 외측으로 굴곡시키고, 또한 하방으로 굴곡시켜 기체 내측의 직선 부분과 동일 상하 위치에서 기체 전방측으로 굴곡시킨다. 그리고 좌우의 진압 회전체(371, 371) 중 기체 외측의 진압 회전체(371)는 기체 전방측으로 굴곡하는 기체 외측의 직선 부분에 설치되고, 기체 내측의 진압 회전체(371)는 기체 내측의 직선 부분에 장착된다.
상기에 의해 진압 암(370)의 후방부에 기체 상방을 향해서 돌출되는 회피 부분(372)이 형성되고, 좌우의 진압 회전체(371, 371)는 좌우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에 따라 식부 호퍼(20a, 20b)가 식부한 모종은 좌우의 진압 회전체(371, 371)의 좌우 간격부를 통과하면서 주변의 흙을 고르게 함과 아울러, 회피 부분(372)의 하방을 통과하므로 복토 진압륜(37, 37)에 넘어뜨려져서 식부 자세가 흐트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좌우의 진압 암(370, 370)은 각각 기체 좌우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장착하고, 식부 호퍼(20a, 20b)의 열 간 설정에 맞춰 진압하는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한다. 또한, 좌우의 진압 회전체(371, 371)에 대해서도 각각 좌우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하면 식부 후의 모종의 주위의 흙이 확실하게 굳혀져서 모종이 도복이나 저온에 의해 생육 불량을 일으키는 것이 방지된다.
주행 차체(40)가 작업을 행하는 포장은 경사지인 경우도 있다. 이식기(10)는 진행 방향 후방측에 전동 케이스(26)나 모종 공급 장치(43), 식부 호퍼(20a, 20b) 등의 중량물이 탑재되어 있으며, 상방 경사에서는 기체 전방측이 들뜨기 쉽다. 이 들뜸을 억제하기 위해 주행 차체(40) 전방측에는 엔진(41)이나 미션 케이스(39)를 배치함과 아울러,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 좌석(46)을 배치하여 전후의 중량 밸런스를 맞추고 있지만 그래도 경사 작업 장소에 따라서는 기체 전방측이 들떠 전방 상승 경사 자세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 모종이 이랑면에 후방 경사 자세로 식부되어 볼품이 없을 뿐만 아니라 생육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특히, 작업의 진행에 의해 연료 탱크 내의 연료가 소비됨과 아울러, 예비 모종 틀(50)에 재치한 보충용의 모종이 감소하면 기체 전방측의 중량이 변동되어 전방 상승 경사 자세로 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또한, 모종 공급 장치(43)로부터 식부 호퍼(20a, 20b)에 모종이 투입될 때 식부 호퍼(20a, 20b)의 상측 개구부에 모종이 들어가지 않아 포장에 낙하하고, 또한 본래 식부가 행해지는 위치에서는 결주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식부 호퍼(20a, 20b) 내에 모종이 들어갔다고 해도 식부 호퍼(20a, 20b) 내의 기체 후방측으로 가서 투입되므로 주행 차체(40)의 전후 경사와 함께 보다 식부 자세가 흐트러질 우려가 있다.
또한, 경사 각도가 지나치게 커지면 주행 차체(40)가 전도되어 재치한 모종을 주워 모으는 시간이 발생함과 아울러, 전도 시에 기체 각 부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진압 암(370, 370)의 부착 기부측에 주행 차체(40)가 소정 각도 이상 회동하면 좌우의 진압 암(370, 370)에 접촉하는 좌우의 경사 센서(194, 194)를 각각 설치한다. 상기 좌우의 경사 센서(194, 194)는 좌우 어느 한쪽이 눌려서 검지 상태가 되면 주행 차체(40)가 소정 각도(예: 5~10°) 이상으로 전방 상승 경사지는 자세가 되었다고 판단하여 엔진(41)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미션 케이스(39) 내에 있어서 좌우의 주행 전동 케이스(38) 및 전동 케이스(26)로의 구동력의 전동을 차단한다.
또한, 엔진(41)의 정지는 정지 액추에이터(41a)를 작동시켜서 행한다. 또한, 좌우의 주행 전동 케이스(38) 및 전동 케이스(26)로의 구동력의 전동의 차단은 주행 클러치(도시 생략)의 온오프를 스위칭하는 주행 전동 액추에이터(38a), 식부 클러치(도시 생략)의 온오프를 스위칭하는 식부 전동 액추에이터(26a)를 각각 작동시키거나 또는 주행 클러치 및 식부 클러치보다 전동 상측의 주 클러치(도시 생략)를 온오프하는 주전동 액추에이터(125a)를 작동시켜서 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주행 차체(40)가 모종의 식부 작업에 적합하지 않은 경사 자세가 되면 식부 작업 주행이 자동 정지되므로 모종의 식부 자세가 흐트러지는 것이 방지됨과 아울러, 전도에 의해 기체 각 부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 16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경사 센서(194, 194)의 좌우 어느 한쪽이 검지 상태가 되면, 식부 작업 주행이 정지함으로써 주행 차체(40)가 기체 좌우 방향으로도 경사져도 과잉한 전방 상승 경사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좌우의 경사 센서(194, 194)가 검지 상태가 될 때에는 기체 전방측에 하중을 가할 필요가 있으므로 범퍼(109) 등에 밸런스 웨이트(도시 생략)의 장착부를 형성해 둔다.
주행 차체(40)의 전방 상승 경사는 식부 작업 주행 중에 발생하면 문제이지만 모종을 식부하지 않는 작업 시, 예를 들면 포장으로의 이동 시나 트럭 등의 수송 수단으로 하역할 때에는 작업자가 기체 후방부로부터 조종 핸들(47)을 잡고 조종하고 있으므로 특별히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단차를 넘을 때나 적재함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주행 차체(40)를 좌우의 경사 센서(194, 194)가 경사를 검지하는 경사 각도 이상으로 전방 상승 경사시킬 필요가 있다. 이때, 엔진(41) 또는 주행 전동이 정지해버리면 작업자는 인력으로 주행 차체(40)를 이동시키지 않으면 안되고, 여분의 노력이 필요해짐과 아울러, 엔진(41)을 재시동하지 않으면 안되어 연료의 소비가 필요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 좌석(46) 또는 플로어 스텝(122)의 중앙 스텝(119)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작업자의 탑승을 검지하는 탑승 센서(195)를 설치한다. 탑승 센서(195)가 작업자의 탑승을 검지하고 있을 때에 좌우의 경사 센서(194, 194)가 과잉한 경사를 검지하면 엔진(41) 또는 주행 및 식부 전동이 정지하고, 작업자의 탑승을 검지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좌우의 경사 센서(194, 194)가 과잉한 경사를 검지해도 엔진(41) 또는 주행 및 식부 전동을 정지시키지 않는 구성으로 한다.
이에 따라 식부 작업을 행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주행 차체(40)를 구동력에 의해 계속해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 능률이 향상됨과 아울러, 작업자의 노력의 경감이 도모된다.
또한, 오검지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이랑단 센서(182)가 이랑단으로의 도달을 검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며, 또한 좌우의 경사 센서(194, 194)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검지 상태인 것을 조건으로 하면 좋다. 이랑 상을 통과하고 있지 않은 장소에서는 제 1 이랑단 센서(182)의 센서 암(183)은 하방으로 회동하고 있으며, 항상 이랑단을 검지하고 있는 상태임과 아울러, 전방 상승 경사 자세에서는 지면에 요철이 있어도 접촉하기 어려우므로 오검지에 의한 엔진(41)이나 주행 및 식부 전동의 정지가 방지된다.
좌우의 식부 호퍼(20a, 20b)는 모종의 식부 작업 조건에 맞춰 좌우 위치를 조절하고, 열 간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설정 열 간에 맞춰 이랑면 센서(14)의 접지 위치를 변경하지 않으면 검지 정밀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행 차체(40)는 승강 실린더(300)에 의해 좌우의 주행 전동 케이스(38)를 상하 회동시켜서 식부 깊이를 변경하는 구성이지만 좌우의 식부 호퍼(20a, 20b)의 식부 깊이를 각각 가능한 한 적절하게 하기 위해 좌우의 주행 전동 케이스(38) 중 좌우 한쪽, 본 건에서는 기체 좌측의 주행 전동 케이스(38)를 별개로 상하 회동시키는 롤링 제어가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좌측의 주행 전동 케이스(38)와 유압 천칭(303)의 기체 좌측 단부 사이에 롤링 실린더(310)를 배치하고, 좌우의 복토 진압륜(37)의 상하 회동량의 차에 맞춰 롤링 실린더(310)를 신장 또는 수축하는 구성이다.
또한, 이랑면 센서(14)는 이랑단을 넘어서 접지하지 않게 되면 하방 회동하고, 그 때에 주행 차체(40)의 차고를 하강시킨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다음 식부 작업을 행하는 이랑에서 다시 차고 조절을 행할 필요가 있으므로 적절한 식부 작업 높이의 조절이 행해져 모종의 식부 정밀도가 향상된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랑면 센서(14)의 기체 좌우 일측에는 이랑면 센서(14)와 함께 접지하여 상방 회동하고, 이랑단에 도달하면 하방 회동하고, 주행 차체(40)가 모종의 식부 범위를 초과하는 위치에 도달한 것을 검지하는 제 2 이랑단 센서(188)를 설치한다. 제 2 이랑단 센서(188)는 이랑단 검지 회동 암(189)을 이랑면 센서(14)의 기체 좌우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랑단 검지 회동 암(189)의 하부에 이랑단 검지 접지 플레이트(190)와, 이랑단 검지 접지 플레이트(190)가 하방 회동하면 이랑단 검지 회동 암(189)이 이간되어 접속 상태(또는 차단 상태)가 되는 제 2 이랑단 검지 스위치(191)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도 16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이랑단 검지 스위치(186)가 이랑단을 검지하고 있는 상태로 상기 제 2 이랑단 검지 스위치(191)가 이랑단을 검지하면 엔진(41)이 정지하거나 또는 미션 케이스(39) 내의 좌우의 주행 전동 케이스(38) 및 전동 케이스(26)로의 구동력의 전동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모종의 식부 스페이스에 모두 모종을 식부한 후 이랑으로부터 떨어지기 전에 주행 및 식부 전동이 차단되므로 여분의 주행이나 식부 동작이 방지되어 연료 소비가 억제됨과 아울러, 모종이 이랑 이외의 개소에서 방출되어 지면에 낙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 1 이랑단 센서(182)와 제 2 이랑단 센서(188)가 함께 이랑단을 검지하지 않으면 주행 및 식부 전동이 차단되지 않음으로써, 예를 들면 이랑면에 발생한 큰 함몰부에 의해 제 2 이랑단 센서(188)가 하방 회동해서 제 2 이랑단 검지 스위치(191)가 검지 상태가 되어도 식부 작업 주행이 중단되는 일이 없어 작업 능률의 저하가 방지된다.
또한, 제 1 이랑단 센서(182)와 제 2 이랑단 센서(188)가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이간하여 배치됨으로써 이랑의 도중에 큰 함몰부가 발생되어 있으며, 제 1 이랑단 센서(182)와 제 2 이랑단 센서(188)가 각각 대폭 하방 회동하는 개소가 있어도 어느 한쪽이 접지하고 있으면 식부 작업 주행이 중단되는 일이 없어 작업 능률의 저하가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제 2 이랑단 센서(188) 대신에 이랑면 센서(14)와 좌우의 경사 센서(194, 194)를 이랑단에서의 주행 차체(40)의 정지에 사용해도 좋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차체(40)가 전진하고, 이랑면 센서(14)가 이랑면으로부터 떨어져 하방 회동하면 승강 실린더(300)가 신장되어 좌우의 주행 전동 케이스(38, 38)가 상방 회동하고, 주행 차체(40)의 차고를 내린다. 이때, 좌우의 복토 진압륜(37, 37)은 아직 이랑면에 접지하고 있으므로 좌우의 진압 암(370, 370)은 상방으로 회동하여 좌우의 경사 센서(194, 194)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엔진(41) 또는 주행 및 식부 전동이 정지되어 이랑단이며, 또한 이랑 상의 식부 스페이스에 모종을 식부한 위치에서 주행 차체(40)를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여분의 연료나 모종의 소비가 방지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제 2 이랑단 센서(188)를 추가하고, 제 1 이랑단 센서(182)와 제 2 이랑단 센서(188)의 양쪽이 이랑단을 검지한 상태로 좌우의 경사 센서(194, 194)가 검지 상태가 되면, 엔진(41) 또는 주행 및 식부 전동이 정지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이랑단 센서(188)를 사용함으로써 이랑면에 접지한 상태의 제 1 이랑단 센서(182)가 이랑면의 볼록부에 의해 상방 회동하고, 또한 이랑면의 볼록부에 의해 좌우의 진압 암(370, 370)이 상방 회동해서 경사 센서(194, 194)에 접촉해도 주행 및 식부 전동이 정지하지 않으므로 오검지의 방지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 있어서는 제 1 이랑단 센서(182)가 이랑단을 검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좌우의 진압 암(370, 370)이 좌우의 경사 센서(194, 194)에 접촉하면 엔진(41) 또는 주행 및 식부 전동을 정지시키는 조건으로 하고, 주행 차체(40)가 전방 상승 경사 자세가 되었을 때에 확실하게 정지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제 1 이랑단 센서(182)는, 좌우의 진압 암(370, 370)이 좌우의 경사 센서(194, 194)에 접촉하는 전방 상승 경사 각도에서는 이랑면에 접지한 상태가 되는 구성으로 한다.
본원에서는 모종 공급 장치(43)에 모종을 보급하는 작업자가 승차하여 모종 보급 작업을 행하기 위해 작업자가 앉는 작업 좌석(46)을 설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종 공급 장치(43) 전방측이 되는 기체 좌우 중앙 위치에 후방 방향으로 작업 좌석(46)을 배치한다. 작업 좌석(46)에 앉은 작업자는 모종 공급 장치(43)의 전방측부를 향해서 후방측 방향 자세로 착좌하고, 모종 공급 장치(43)의 전방측부, 특히 모종 수용체(22)의 주회 이동 경로에 있어서의 전방측의 직선형상 부분(28)에 대응하여 모종 보급 작업을 행한다.
또한, 조종 패널(47a)의 좌우 타측에는 미션 케이스(39)에 내장되고, 좌우의 주행 전동 케이스(38) 및 전동 케이스(26)로의 구동력의 전동을 온오프하는 주클러치 레버(125)를 설치한다.
기체 후방부의 조종 핸들(47)에 의한 작업자의 조작은 포장으로의 이동, 수송 수단으로부터의 하역, 창고로의 수납이나 포장단에서의 선회 시에 행해지는 것이다. 한편, 모종의 식부 작업 시에는 작업자는 작업 좌석(46)에 탑승해 있으며, 조종 핸들(47)의 조종 패널(47a)에서의 조작을 행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주행 차체(40) 상에는 작업 좌석(46)에 탑승한 작업자용의 차체상 조종부(126)를 형성한다.
도 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모종 공급 장치(43)의 하부에는 기체 후방측에 상방 경사지는 후방부 스텝(127)을 설치하고, 상기 후방부 스텝(127)의 좌우 어느 일측, 본 건에서는 기체 우측(작업 좌석(46)에 착좌한 작업자를 기준으로 하면 좌측)의 단부에 도 2, 도 4, 도 5,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상 조종부(126)를 형성한다.
상기 차체상 조종부(126)는 가장 기체 외측에 주행 차체(40)의 차고를 조절하여 식부 호퍼(20a, 20b)의 식부 깊이를 조절하는 제 2 차고 조절 레버(128)를 배치하고, 상기 제 2 차고 조절 레버(128)보다 기체 내측에 제 2 주클러치 레버(129)를 배치한다.
또한, 모종의 식부 작업 시에는 기본적으로 차고를 고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 2 차고 조절 레버(128)는 「고」포지션과 「저」포지션만을 갖는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후방부 스텝(127)의 외측 단부에는 제 2 차고 조절 레버(128)를 틀 내에 넣음과 아울러, 차고의 기준을 나타내는 표시 눈금을 형성한 차고 조절 레버 가이드(130)를 기체 전방측을 향하는 상방 경사 자세로 설치하고, 차고 조절 레버 가이드(130)의 기체 내측방에는 제 2 주클러치 레버(129)를 틀 내에 넣는 주클러치 레버 가이드(131)를 기체 전방측을 향하는 상방 경사 자세로 설치한다.
또한, 제 2 차고 조절 레버(128)는 제 2 주클러치 레버(129)보다 기체 전방측으로의 돌출량을 크게 한다.
또한, 제 2 차고 조절 레버(128)와 제 2 주클러치 레버(129)는 기체 좌우 일측(기체 우측)의 부착 지지 플레이트(105) 및 전후의 들보 프레임(106f, 106r)에 기부측을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으로 하면 별도 부착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부품 점수의 삭감이 도모된다.
또한, 차체상 조종부(126)보다 기체 좌우 타측, 즉 기체 좌측에는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를 온오프 조작하는 사이드 클러치 페달(132L, 132R)을 후방부 스텝(127)의 상면에 노출시켜서 설치한다.
차고 조절 레버 가이드(130)와 주클러치 레버 가이드(131)는 측부 스텝(118)의 상면과의 사이에 일정한 상하 간격(S)을 두고 배치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상하 간격(S)은 작업자의 발을 들어가게 해도 공간이 확보되는 정도(예: 15~20㎝ 정도)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플로어 스텝(122) 상 및 작업 좌석(46)에 탑승한 작업자는 주행 차체(40)로부터 내리는 일 없이 식부 깊이의 수동 조작이나 식부 작업의 온오프를 수동 조작할 수 있으므로 작업 능률이 향상됨과 아울러, 모종의 식부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제 2 주클러치 레버(129)를 제 2 차고 조절 레버(128)보다 작업 좌석(46)에 가까운 기체 내측에 배치함으로써 모종의 보충이나 식부 상태의 수정, 휴식 등일 때에 사용하는 제 2 주클러치 레버(129)에 작업자의 손이 닿기 쉬워 노력의 경감이 도모된다.
특히, 문제의 발생 시에 신속하게 모종의 식부 작업을 중단할 수 있고, 모종의 다시 심기 작업이 불필요해짐과 아울러, 생육에 적합하지 않아 파기되는 모종의 수가 감소한다.
또한, 제 2 차고 조절 레버(128)를 제 2 주클러치 레버(129)보다 기체 전방측으로 돌출시킨 것에 의해 작업 좌석(46)으로부터 먼 측의 제 2 차고 조절 레버(128)를 조작할 때에 팔을 크게 뻗을 필요가 없어 작업자의 노력이 경감된다.
그리고 후방부 스텝(127)에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 페달(132L, 132R)을 설치함으로써 주행 차체(40)의 진행 방향이 이랑을 기준으로 하는 직진 방향으로부터 벗어나고 있을 때에 사이드 클러치 페달(132L, 132R) 중 어느 쪽을 조작해서 대응하는 사이드 클러치를 일시적으로 오프 상태로 함으로써 주행 차체(40)의 진로를 수정할 수 있고, 모종의 식부 위치가 좌우 방향으로 사행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차고 조절 레버 가이드(130)와 주클러치 레버 가이드(131), 즉 차체상 조종부(126)와 측부 스텝(118)의 상하 사이에 상하 간격(S)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의해 작업 좌석(46)에 탑승하는 작업자의 발의 움직임이 방해되지 않고, 작업자는 편한 자세로 탑승할 수 있어 노력의 경감이 도모된다.
작업 좌석(46)의 좌우 양측에서 기체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또한 주행륜(44)의 주행 차축(12)의 상방 위치에 모종 공급 장치(43)에 보급하는 모종을 수용 가능한 예비 모종 틀(50)을 설치한다.
예비 모종 틀(50)은 주행 차체(40)의 기체 외측으로 돌출되는 모종 재치 지주(51)의 상부에 지지 스테이(52)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 스테이(52)에 회동 상태와 비회동 상태를 스위칭 가능한 모종 재치 회동 암(53)을 설치하고, 모종 재치 회동 암(53)에는 상하 방향의 모종 틀 프레임(54, 54)을 간격을 두고 배치함과 아울러, 모종 틀 프레임(54, 54)의 동일 면에 보충용의 모종을 수용하는 모종 상자나 모종 트레이 등의 용기를 재치하는 재치대(55)의 일측 단부를 장착해서 구성한다.
재치대(55)는 상하 방향으로 1개만 설치해도 좋지만, 용기의 인출에 지장 없는 상하 방향의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해도 좋다.
상기 구성의 예비 모종 틀(50)은 주행 차체(4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하고, 상황에 맞춰 지지 스테이(52) 상에서 모종 재치 회동 암(53)을 회동시킨다. 예를 들면, 모종의 식부 작업 시에는 재치대(55)의 길이 방향을 기체 전후 방향으로 향함으로써 재치대(55)로부터 모종의 용기를 인출하거나 빈 용기를 되돌리기 쉽게 함으로써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위치에서는 재치대(55)가 주행 차체(40)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므로 작업자가 주행 차체(40)의 탑승 가능한 부분의 단부를 파악하기 쉬워져 주행 차체(40) 상으로부터 발이 돌출되어 자세를 무너뜨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주행 차체(40)에 작업자가 타고 내릴 때에는 모종 재치 회동 암(53)을 약 90°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주행 차체(40)의 좌우 양측에 타고 내리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또한, 작업자는 주행 차체(40)의 기체 전방측으로부터도 타고 내릴 수 있지만, 모종 재치 회동 암(53)을 회동시켜서 모종 틀 프레임(54, 54)이 기체 전방측에 위치하고, 재치대(55)가 기체 후방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하면 작업자는 모종 틀 프레임(54, 54)을 난간으로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주행 차체(40)의 타고 내림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재치대(55)에 모종의 용기를 적재 또는 인출할 때 기체 후방측으로부터 있으면 용기의 적재, 인출을 방해하는 부재가 없으므로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작업 좌석(46)의 주행 차체(40)로의 부착은 정면으로부터 볼 때 또는 배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コ자형상이며, 엔진(41) 등의 상방을 덮는 기체 커버(48)를 걸치는 좌석 프레임(49) 중 기체 좌우 방향이 되는 부분의 상부에 장착한다. 좌석 프레임(49)의 상부에는 기체 전방측을 향하는 좌우의 시트 스테이(49a)의 기부가 장착되어 있으며, 작업 좌석(46)은 좌우의 시트 스테이(49a)의 기부측의 좌우 방향의 회동 지점을 중심으로 기체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에 따라 작업 좌석(46)을 모종 공급 장치(43)의 기체 전방측 단부 부근에 접촉하는 자세로 재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 중단 시에 작업자의 착좌 부분에 모래나 빗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포장에 모종을 이식할 때 포장의 토질이나 주변의 수환경 또는 작업 전의 날씨 등의 조건을 고려하여 식부한 모종의 부근에 물을 공급하는 소위 관수 작업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본원의 이식기에는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주행 전동 케이스(38, 38)에 물탱크(600)를 재치하는 물탱크 홀더(601)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물탱크(600)에 저장된 관수용의 물은 주행 차체(40)의 저부이며, 또한 기체 전후 중앙 부근에 설치되는 관수 펌프(도시 생략)의 동작에 의해 퍼 올려짐과 아울러, 식부 호퍼(20a, 20b)가 모종을 식부하는 위치에 배출된다. 관수 펌프는 식부 호퍼(20a, 20b)의 수에 맞춰 배치하고, 주행 차체(40)의 좌우 중앙부를 기준으로 해서 간격을 두고 좌우로 배치한다.
20a: 식부 호퍼 20b: 식부 호퍼
37: 복토 진압륜 40: 주행 차체
44: 주행륜 181: 통지 장치
182: 제 1 이랑단 센서 188: 제 2 이랑단 센서
194: 경사 센서 195: 탑승 센서
370: 진압 암 371: 진압 회전체

Claims (5)

  1. 주행 차체(40)에 주행륜(44)과 식부 호퍼(20a, 20b)를 설치하는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주행 차체(40)의 후방부에 상기 식부 호퍼(20a, 20b)가 식부한 모종의 주위의 흙을 고르게 하는 복토 진압륜(37)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주행 차체(40)의 경사 각도가 소정 각도 이상이 되면 상기 복토 진압륜(37)과 접촉해서 상기 주행륜(44) 및 식부 호퍼(20a, 20b)로의 전동을 정지시키는 경사 센서(194, 19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토 진압륜(37)은 상기 주행 차체(4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좌우의 진압 암(370, 370)과, 상기 좌우의 진압 암(370, 370)에 설치하는 진압 회전체(371, 371)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 센서(194)는 좌우 1쌍 설치하고, 상기 경사 센서(194, 194)의 좌우 어느 한쪽이 진압 암(370, 370)에 접촉하면 상기 주행륜(44) 및 식부 호퍼(20a, 20b)로의 전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차체(40)에 작업자의 탑승을 검지하는 탑승 센서(195)를 설치하고,
    상기 탑승 센서(195)가 비검지일 때에는 상기 주행 차체(40)의 경사 각도가 소정 각도 이상이 되어도 상기 경사 센서(194, 194)는 상기 주행륜(44) 및 식부 호퍼(20a, 20b)로의 전동을 정지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차체(40)에 이랑의 단부를 검지하면 통지 장치(181)를 작동시키는 제 1 이랑단 센서(182)를 설치하고,
    상기 제 1 이랑단 센서(182)가 비검지 상태이며, 또한 상기 탑승 센서(195)가 검지 상태가 아니면 상기 경사 센서(194, 194)는 상기 주행 차체(40)가 소정 각도 이상의 전방 상승 경사 자세가 되어도 상기 주행륜(44) 및 식부 호퍼(20a, 20b)로의 전동을 정지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랑단 센서(182)가 검지 상태일 때에 이랑의 단부를 검지하면 상기 주행륜(44) 및 식부 호퍼(20a, 20b)로의 전동을 정지시키는 제 2 이랑단 센서(188)를 설치하고,
    상기 제 2 이랑단 센서(188)는 상기 제 1 이랑단 센서(182)보다 기체 후방측에 설치하고,
    상기 주행륜(44) 및 식부 호퍼(20a, 20b)로의 전동의 정지는 상기 제 1 이랑단 센서(182)와 제 2 이랑단 센서(188)가 각각 검지 상태이며, 또한 상기 탑승 센서(195)가 검지 상태일 때에 상기 주행륜(44) 및 식부 호퍼(20a, 20b)로의 전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
KR1020200058050A 2019-05-15 2020-05-15 이식기 KR202001327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92283A JP6888646B2 (ja) 2019-05-15 2019-05-15 移植機
JPJP-P-2019-092283 2019-05-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747A true KR20200132747A (ko) 2020-11-25

Family

ID=73223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050A KR20200132747A (ko) 2019-05-15 2020-05-15 이식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888646B2 (ko)
KR (1) KR20200132747A (ko)
CN (1) CN111937547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0595A (ja) 2010-10-28 2012-05-17 Iseki & Co Ltd 移植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5359A (ja) * 1997-10-27 1999-07-21 Alps Electric Co Ltd 傾斜センサ
JP2000245207A (ja) * 1999-02-26 2000-09-12 Kubota Corp 移植機
JP2005242983A (ja) * 2004-01-30 2005-09-08 Ntt Docomo Inc 入力キー及び入力装置
JP2011067135A (ja) * 2009-09-25 2011-04-07 Iseki & Co Ltd 苗植機
CN204798167U (zh) * 2015-04-01 2015-11-25 吴大平 一种能上下楼梯的电动轮椅
CN106550637B (zh) * 2015-09-30 2020-06-09 株式会社久保田 移植作业机
CN105474810B (zh) * 2016-01-22 2017-07-21 江苏大学 一种作畦机配套用智能仿形清沟装置及其控制方法
JP2018001867A (ja) * 2016-06-29 2018-01-11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JP6704184B2 (ja) * 2017-05-31 2020-06-03 井関農機株式会社 移植機
JP6881233B2 (ja) * 2017-10-27 2021-06-02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0595A (ja) 2010-10-28 2012-05-17 Iseki & Co Ltd 移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88646B2 (ja) 2021-06-16
CN111937547A (zh) 2020-11-17
JP2020184949A (ja) 2020-11-19
CN111937547B (zh) 2023-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5670B1 (ko) 묘식기
JP6888598B2 (ja) 移植機
KR100923239B1 (ko) 복수조 이식 묘식기
KR20200026088A (ko) 이식기
JP6107739B2 (ja) 苗移植機
KR20200132747A (ko) 이식기
JP6984634B2 (ja) 移植機
JP7028222B2 (ja) 移植機
CN213152889U (zh) 移植机
CN213152888U (zh) 移植机
JP6897661B2 (ja) 移植機
JP7294261B2 (ja) 移植機
JP6933199B2 (ja) 移植機
JP2023182802A (ja) 移植機
JP2022016924A5 (ko)
JP2001016931A (ja) 田植機
JP2020054259A (ja) 苗移植機
JP2020184949A5 (ko)
JP2013176331A (ja) 苗移植機
JP7180647B2 (ja) 移植機
JP2013102735A (ja) 苗移植機
JP2021180615A (ja) 移植機
JP2022129852A (ja) 作業車両
JP2021185823A (ja) 移植機
JP2011160703A (ja) 苗移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