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1674A -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1674A
KR20200131674A KR1020190056566A KR20190056566A KR20200131674A KR 20200131674 A KR20200131674 A KR 20200131674A KR 1020190056566 A KR1020190056566 A KR 1020190056566A KR 20190056566 A KR20190056566 A KR 20190056566A KR 20200131674 A KR20200131674 A KR 20200131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sorting
transfer
elastic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7357B1 (ko
Inventor
박경기
박재균
Original Assignee
박경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기 filed Critical 박경기
Priority to KR1020190056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357B1/ko
Publication of KR20200131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using video scanning devices, e.g. TV-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01Semiconductor waf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66Marks, test patterns or identification means
    • H05K1/0269Marks, test patterns or identification means for visual or optical insp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6Inspection; Monitoring; Alig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을 이송시킴과 아울러 및 선별하여 분리시키도록 된 부품검사장치로서,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로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공급부와, 상기 부품공급부에서 전달된 부품을 이송시키는 부품이송부와, 상기 부품이송부에서 전달된 부품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검사카메라들로 이루어진 비전검사부와, 검사된 부품을 선별이송시키는 선별이송부와, 상기 선별이송부에 의해 이동된 부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선별배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품이송부는 상기 하우징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이송실린더와, 상기 이송실린더의 구동축에 회전되게 상단부가 설치되는 회전샤프트와, 상기 회전샤프트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품공급부를 통해 전달된 부품을 파지하는 파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회전샤프트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블럭과, 상기 고정블럭에 설치되는 파지실린더와, 상기 파지실린더의 파지축에 고정되어 이송되는 이송블럭으로 이루어져, 부품을 검사하여 정상부품 또는 불량부품여부를 판단 후 검사할 부품을 검사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검사된 부품을 밀어낸 후 검사위치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부품의 빠른 교체가 가능하게 되고 기구적인 구성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 { Parts inspection system with parts transfer and selective discharge structure }
본 발명은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을 검사하여 정상부품 또는 불량부품여부를 판단 후 검사할 부품을 검사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검사된 부품을 밀어낸 후 검사위치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부품의 빠른 교체가 가능하게 되고 기구적인 구성을 줄일 수 있게 되는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부품의 검사를 위한 3차원비전검사방법은, 컨베이어를 통해 검사대상물이 수평 이송되면 위치조절장치에서 초기 위치를 조절하고, 조절이 완료된 후 격자무늬 구조를 띈 조명을 엘이디 부품 또는 인쇄회로기판에 조사하고 카메라가 조사된 격자무늬 광의 변형된 형태를 촬영한다.
이후 격자무늬 광의 변형된 형태를 통해 촬영 부분의 높이를 연산하고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높이와 연관되는검사대상물의 양호/불량을 검사한다.
또한, 카메라를 통한 검사대상물의 2차원적 촬영 및 기준 영상과의 비교를 통해서도 표면실장부품의 실장 유/무 및 실장 불량 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비전검사장치는 제품을 이송시키면서 검사된 부품을 검사된 장소에서 이송시킬 수 없어 별도의 검사된 제품을 이송시키는 장치를 마련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인해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제조장치가 복잡해져 유지보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 제157206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을 검사하여 정상부품 또는 불량부품여부를 판단 후 검사할 부품을 검사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검사된 부품을 밀어낸 후 검사위치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부품의 빠른 교체가 가능하게 되고 기구적인 구성을 줄일 수 있게 되는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부품을 이송시킴과 아울러 및 선별하여 분리시키도록 된 부품검사장치로서,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로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공급부와, 상기 부품공급부에서 전달된 부품을 이송시키는 부품이송부와, 상기 부품이송부에서 전달된 부품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검사카메라들로 이루어진 비전검사부와, 검사된 부품을 선별이송시키는 선별이송부와, 상기 선별이송부에 의해 이동된 부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선별배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품이송부는 상기 하우징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이송실린더와, 상기 이송실린더의 구동축에 회전되게 상단부가 설치되는 회전샤프트와, 상기 회전샤프트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품공급부를 통해 전달된 부품을 파지하는 파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회전샤프트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블럭과, 상기 고정블럭에 설치되는 파지실린더와, 상기 파지실린더의 파지축에 고정되어 이송되는 이송블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별이송부는 상기 하우징본체에 설치되는 선별실린더와, 상기 선별실린더의 선별축에 형성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에 끼움되어 이송되며, 상기 회전샤프트에 고정되는 가이드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별이송부는 상기 하우징본체에 설치되고 측부축에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회전관이 마련된 측부실린더와, 상기 회전관에 상단부가 고정되는 연결샤프트와, 상기 연결샤프트의 상단부에 회전되게 힌지결합되는 하단부가 상기 헤드에 회전되게 힌지결합된는 작동샤프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별배출부는 하우징본체에 형성되며 이송된 부품이 배치되는 배치돌부와, 상기 배치돌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정상부품이 배출되도록 하는 정상부품배출관과, 상기 배지돌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불량부품이 배출되도록 하는 불량부품배출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지부에는 부품을 탄성에 의해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탄성가압고정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탄성가압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블럭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곡선의 안내탄성돌부와, 상기 이송블럭에 설치되어 고정되고, 가압축이 상기 이송블럭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관통되게 배치되는 가압실린더와, 상기 가압축에 일단이 고정되는 가압코일스프링과, 상기 이송블럭의 내측면에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작동홈과, 상기 작동홈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코일스프링의 타단에 고정되는 연결가압패널과, 상기 연결가압패널의 일면에 형성되는 탄성가압패널과, 상기 탄성가압패널의 일면에 형성되어 부품을 가압하는 탄성가압돌기들과, 상기 헤드의 저면에 형성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에 일부가 끼움되어 안내되며, 상기 이송블럭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이송안내롤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별배출부에는 선별되어 이동되는 과정에서 부품의 걸림 및 마찰을 줄이도록 마찰저감선별안내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마찰저감선별안내수단은 상기 베이스패널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체결되어 회전되며, 상기 정상부품배출관와 상기 불량부품배출관의 폐쇄하며 배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정상부품배출관 또는 상기 불량부품배출관의 상부를 개방시키는 회전패널과, 상기 회전패널의 상면에 형성되는 부품을 안내하는 부품이송롤러들과, 상기 회전패널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부품안내홀과, 상기 부품안내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부품안내롤러들과, 상기 회전패널의 저면에 형성되는 진동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상부품배출관와 상기 불량부품배출관에는 부품과의 충돌을 완충시키도록 탄성충돌완충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탄성충돌완충수단은 상기 정상부품배출관 및 상기 불량부품배출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구동홈과, 상기 작동홈의 내측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탄성완충코일스프링들과, 상기 탄성완충코일스프링들의 타단을 연결하며 고정되는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의 일면에 고정되는 탄성완충패널과, 상기 탄성완충패널의 일면에 형성되고, 하향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안내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상부품배출과와 상기 불량부품배출과에는 이동하는 부품의 이불질을 제거함과 아울러 충돌에 따른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이물질탄성제거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이물질탄성제거수단은 상기 정상부품배출과와 상기 불량부품배출관에 끼움되어 부착되는 탄성완충관과, 상기 탄성완충관에 끼움되는 가축완충관과, 상기 가축완충관의 내측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이물질분리핀들과, 상기 탄성완충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가죽완충관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탄성안내핀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는 부품을 검사하여 정상부품 또는 불량부품여부를 판단 후 검사할 부품을 검사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검사된 부품을 밀어낸 후 검사위치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부품의 빠른 교체가 가능하게 되고 기구적인 구성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의 부품이송부 및 선별이송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의 부품이송부 및 선별이송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의 부품이송부 및 선별이송부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의 선별배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의 선별배출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의 부품이송부 및 선별이송부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의 부품이송부 및 선별이송부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의 선별배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의 선별배출부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의 선별배출부의 다른 실시예의 회전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의 탄성가압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의 이물질탄성제거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의 부품이송부 및 선별이송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의 부품이송부 및 선별이송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의 부품이송부 및 선별이송부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의 선별배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의 선별배출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의 부품이송부 및 선별이송부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의 부품이송부 및 선별이송부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의 선별배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의 선별배출부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의 선별배출부의 다른 실시예의 회전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의 탄성가압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의 이물질탄성제거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부품검사장치라 명명함)는 장치 및 기구에 사용되는 부품을 이송시킴과 아울러 및 선별하여 분리시키도록 된 부품검사장치(10)로서, 이에 이와같은 부품검사장치(10)는 하우징본체(20)와 부품공급부(30)와 부품이송부(40)와 비전검사부(50)와 선별이송부(60)와 선별배출부(7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본체(20)는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되어, 전달된 부품을 검사 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본체(20)에는 제어부가 마련되어 상기 부품공급부(30)와 상기 부품이송부(40)와 상기 비전검사부(50)와 상기 선별이송부(60) 및 상기 선별배출부(70)의 구동을 전기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상기 부품공급부(30)는 상기 하우징본체(20)의 일측에 배치되고, 연결패널로 상호 연결한 후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되고, 상기 연결패널에는 컨베이어를 설치하여 검사할 부품을 부품공급부(30)에서 상기 하우징본체(20)로 이송시켜 공급하게 된다.
상기 부품이송부(40)는 상기 하우징본체(20)에 마련되어 상기 부품공급부(30)에서 전달된 부품을 상기 선별배출부(70)의 배치돌부(71)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부품이송부(40)는 상기 하우징본체(20)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는 브라켓에 나사체결되게 설치되는 이송실린더(41)와, 상기 이송실린더(41)의 구동축(411)에 회전되게 상단부가 설치되는 회전샤프트(42)와, 상기 회전샤프트(42)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품공급부(30)를 통해 전달된 부품을 파지하는 파지부(43)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와 같이 구동축(411)에 힌지홈이 형성된 힌지블럭을 끼워 고정시킨 후 힌지홈에 형성되는 힌지축에 회동되게 회전샤프트(42)의 상단부를 축결합시키게 되며, 다르게는 상기 회전샤프트(42)는 상기 구동축(411)에 힌지결합하여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파지부(43)는 상기 회전샤프트(42)의 하단부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헤드(431)와, 상기 헤드(431)의 저면에 나사체결고정되는 고정블럭(432)과, 상기 고정블럭(432)에 관통되게 배치된 후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파지실린더(433)와, 상기 파지실린더(433)의 파지축에 나사체결되게 고정되어 이송되는 이송블럭(43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지실린더(433)의 구동에 의해 상기 이송블럭(434)이 이송할 부품을 가압하여 상기 이송블러과 상기 고정블럭(432) 사이에 부품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비전검사부(50)는 상기 부품이송부(40)에서 전달된 부품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검사카메라(51)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검사카메라(51)는 상기 하우징본체(20)의 내부에 용접되는 베이스패널(21)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부품을 촬영하여 입력된 형상정보와 동일일하거나 차이가 있을 경우 상기 제어부에 그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한 비전검사부(50)를 제품의 형상을 불량을 검사하도록 된 장비이며 제품의 불량을 판별하여 그 정보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는 장비이면 어느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선별이송부(60)는 상기 비전검사부(50)의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검사된 부품을 선별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선별이송부(60)는 상기 하우징본체(20)의 내측 상면에 형성되는 브라켓에 나사체결되는 선별실린더(61)와, 상기 선별실린더(61)의 선별축(611)에 형성되는 상단부가 용접되는 지지샤프트(612)와 상기 지지샤프트(612)의 하단부에 일단이 용접되는 결합샤프트(613)와 상기 결합샤프트(613)의 타단에 용접되는 가이드봉(62)과, 상기 가이드봉(62)에 끼움되어 상기 가이드봉(62)을 따라 이송되며, 상기 회전샤프트(42)에 용접되어 고정되고 상기 결합샤프트(613)가 이동되도록 이동슬릿이 형성된 가이드관(6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봉(62)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관(63)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시켜 유격공간을 갖도록 한다.
즉, 비전검사부(50)가 부품을 검사하여 정상 또는 불량여부를 판단한 후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게 되면, 제어부가 상기 이송실린더(41)를 구동시켜 검사할 부품을 배치돌부(71)방향을 이동시키게 됨과 아울러 상기 선별실린더(61)에 신호를 전달하여 구동시켜 상기 부품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샤프트(42)를 회전시키게 되고, 회동된 상태로 회전샤프트(42)의 파지부(43)가 검사가 완료된 부품의 양측(도 5 도면상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한 곳에 배치된 후 상기 선별실린더(61)의 구동에 의해 파지부(43)가 검사된 부품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밀어 내어 정상부품배출관(72) 또는 불량부품배출관(73)으로 인입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선별실린더(61)는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르 정상부품으로 배출시킬 경우 정상부품배출관(72)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샤프트(42)와 파지부(43)를 회전시키게 되고, 불량부품을 배출시킬 경우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다르게는, 상기 선별이송부(60)를 상기 하우징본체(20)에 설치되고 측부축(641)에 베어링(642)과 상기 베어링(642)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회전관(643)이 마련된 측부실린더(64)와, 상기 회전관(643)에 상단부가 고정되는 연결샤프트(65)와, 상기 연결샤프트(65)의 상단부에 회전되게 힌지결합되는 하단부가 상기 헤드(431)에 회전되게 힌지결합된는 작동샤프트(66)로 이루어진다.
즉, 전술된 바와 같이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이동되는 회전샤프트(42)와 파지부(43)를 상기 측부실린더(64)의 구동에 의해 회전시켜 검사가 완료된 부품의 양측면 어느 하나의 측면과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배치시킨 후 상기 측부실린더(64)의 구동에 의해 검사가완료된 부품을 밀어내어 정상부품배출관(72) 또는 불량부품배출관(73)으로 인입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측부실린더(64)는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여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선별배출부(70)는 상기 선별이송부(60)에 의해 이동된 부품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선별배출부(70)는 하우징본체(20)의 베이스패널(21)의 상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이송된 부품이 상부 배치되는 배치돌부(71)와, 상기 배치돌부(71)의 일측에 형성되어 정상부품이 배출되도록 하는 정상부품배출관(72)과, 상기 배지돌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불량부품이 배출되도록 하는 불량부품배출관(7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본체(20)에는 상기 정상부품배출관(72)과 상기 불량부품배출관(73)에 연결되어 상기 정상부품배출관(72)과 상기 불량부품배출관(73)에서 전달되는 정상부품 또는 불량부품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배출레일의 상단부가 상기 정상부품배출관(72)과 상기 불량부품배출관(73)의 하단부에 나사체결되어, 자중에 의해 정상부품 또는 불량부품이 자중에 의해 이동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정상부품배출관(72) 및 상기 불량부품배출관(73)은 상기 베이스패널(21)에 형성되는 관통된 구조의 결합홀들에 끼움된 후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파지부(43)에는 부품을 탄성에 의해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탄성가압고정수단(80)이 더 마련되며, 상기 탄성가압고정수단(80)은 상기 고정블럭(432)의 내측면에 접착되어 이송될 부품을 가압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곡선의 안내탄성돌부(81)와, 상기 이송블럭(434)에 설치되어 고정되고, 가압축(821)이 상기 이송블럭(434)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관통되게 배치되고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가압실린더(82)와, 상기 가압축(821)에 일단이 용접되게 고정되는 가압코일스프링(83)과, 상기 이송블럭(434)의 내측면에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작동홈(84)과, 상기 작동홈(84)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코일스프링(83)의 타단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연결가압패널(85)과, 상기 연결가압패널(85)의 일면에 접착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가압패널(86)과, 상기 탄성가압패널(86)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송할 부품을 가압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가압돌기(87)들과, 상기 헤드(431)의 저면에 형성되는 안내홈(88)과, 상기 안내홈(88)에 일부가 끼움되어 안내되며, 상기 이송블럭(434)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이송안내롤러(89)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안내탄성돌부(81)와 가압코일스프링(83)과 탄성가압패널(86) 및 탄성가압돌기(87)들에 의한 탄성에 의해 이송할 부품이 가압되어 고정됨으로써, 파지되는 과정에서 마찰 또는 가압에 의해 부품이 균열이 발생하거나 부분적으로 눌려져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파지실린더(433)와 함께 상기 가압실린더(82)가 이송할 부품을 가압하여 고정력을 제공하고 이송하는 과정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선별배출부(70)에는 선별되어 이동되는 과정에서 부품의 걸림 및 마찰을 줄이도록 마찰저감선별안내수단(90)이 더 마련되고, 상기 마찰저감선별안내수단(90)은 상기 베이스패널(21)의 상면에 형성되는 결착홈의 일부가 끼움된 후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구동모터(91)와, 상기 구동모터(91)의 회전되는 축부에 끼움되어 회전되며, 상기 정상부품배출관(72)와 상기 불량부품배출관(73)의 상부를 폐쇄하며 배치되고, 상기 구동모터(91)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정상부품배출관(72) 또는 상기 불량부품배출관(73)의 상부를 개방시키는 회전패널(92)과, 상기 회전패널(92)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회전패널(92)이 회전시 부품을 상기 정상부품배출관(72) 또는 상기 불량부품배출관(73)로 안내하여 상기 회전패널(92)과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품이송롤러(921)들과, 상기 회전패널(92)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부품이송롤러(921)를 통해 이동되는 부품을 관통시켜 상기 회전패널(92)의 회전범위를 줄일 수 있게 되는 부품안내홀(922)과, 상기 부품안내홀(922)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부품안내홀(922)로 인입되는 부품을 안내하여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부품안내롤러(922a)들과, 상기 회전패널(92)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바이브레이터인 진동기(93)로 이루어져, 상기 진동기(93)의 진동에 의해 부품이 걸림없이 상기 회전패널(92)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며, 검사된 부품의 배출이송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배출를 위해 이송과정중 마찰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패널(92)의 상면에는 중앙에 수평의 지지면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면의 양단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경사면을 더 형성하여 상기 회전패널이 회전시 상기 경사면을 따라 부품이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패널(92)의 내부에는 상기 부품이송롤러(921)를 회전시키도록 안내구동모터가 더 인서트되게 마련되고 상기 안내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부품이송롤러의 축을 상호 용접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안내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부품이송롤러가 회전하여 부품을 안내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게 부품이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상부품배출관(72)와 상기 불량부품배출관(73)에는 부품과의 충돌을 완충시키도록 탄성충돌완충수단(94)이 더 마련되고, 상기 탄성충돌완충수단(94)은 상기 정상부품배출관(72) 및 상기 불량부품배출관(73)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구동홈(941)과, 상기 구동홈(941)의 내측면에 일단이 융착되어 고정되는 탄성완충코일스프링(942)들과, 상기 탄성완충코일스프링(942)들의 타단을 연결하며 융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구동홈(941)에 배치되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지지패널(943)과, 상기 지지패널(943)의 일면에 접착되고, 상기 구동홈(941)에 배치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완충패널(944)과, 상기 탄성완충패널(944)의 일면에 형성되고, 하향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구동홈(941)에서 외부에 돌출되게 배치되는 경사안내면(945)으로 이루어져, 이동되는 부품을 충돌시 상기 경사안내면(945)에 의해 하향으로 안내함과 아울러 충돌시 상기 탄성완충코일스프링(942)과 탄성완충패널(944)에 의해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정상부품배출관(72)와 상기 불량부품배출관(73)에는 이동하는 부품의 이불질을 제거함과 아울러 충돌에 따른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이물질탄성제거수단(100)이 더 마련되고, 상기 이물질탄성제거수단(100)은 상기 정상부품배출관(72)와 상기 불량부품배출관(73)에 끼움되어 내측면에 부착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이동되는 부품이 상기 정상부품배출관(72)와 상기 불량부품배출관(73)과 충돌하여 손상되거나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충격을 완충시키는 사각의 탄성완충관(101)과, 상기 탄성완충관(101)에 끼움되어 부착되는 가죽재 또는 합성가죽재로 이루어져 이동되는 부품과 충돌시 충격을 완충시키게 되고, 부품 표면이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 가축완충관과, 상기 가축완충관의 내측면에 일단이 접착되어 고정되는 가죽재 또는 합성가죽재로 이물질분리핀(103)들과, 상기 탄성완충관(101)에 일단이 접착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가죽완충관(102)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탄성안내핀(104)들로 이루어져, 상기 이물질분리핀(103)과 상기 탄성안내핀(104)에 의해 상기 정상부품배출관(72)와 상기 불량부품배출관(73)을 따라 이동되는 부품이 충돌시 충격을 완충시키게 되고,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별도의 세척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부품검사장치
20 : 하우징본체
21 : 베이스패널
30 : 부품공급부
40 : 부품이송부
41 : 이송실린더
411 : 구동축
42 : 회전샤프트
43 : 파지부
431 : 헤드
432 : 고정블럭
433 : 파지실린더
434 : 이송블럭
50 : 비전검사부
51 : 검사카메라
60 : 선별이송부
61 : 선별실린더
611 : 선별축
612 : 지지샤프트
613 : 결합샤프트
62 : 가이드봉
63 : 가이드관
64 : 측부실린더
641 : 측부축
642 : 베어링
643 : 회전관
65 : 연결샤프트
66 : 작동샤프트
70 : 선별배출부
71 : 배치돌부
72 : 정상부품배출관
73 : 불량부품배출관
80 : 탄성가압고정수단
81 : 안내탄성돌부
82 : 가압실린더
821 : 가압축
83 : 가압코일스프링
84 : 작동홈
85 : 연결가압패널
86 : 탄성가압패널
87 : 탄성가압돌기
88 : 안내홈
89 : 이송안내롤러
90 : 마찰저감선별안내수단
91 : 구동모터
92 : 회전패널
921 : 부품이송롤러
922 : 부품안내홀
922a : 부품안내롤러
93 : 진동기
94 : 탄성충돌완충수단
941 : 구동홈
942 : 탄성완충코일스프링
943 : 지지패널
944 : 탄성완충패널
945 : 경사안내면
100 : 이물질탄성제거수단
101 : 탄성완충관
102 : 가죽완충관
103 : 이물질분리핀
104 : 탄성안내핀

Claims (7)

  1. 부품을 이송시킴과 아울러 및 선별하여 분리시키도록 된 부품검사장치로서,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본체;
    상기 하우징본체로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공급부;
    상기 부품공급부에서 전달된 부품을 이송시키는 부품이송부;
    상기 부품이송부에서 전달된 부품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검사카메라들로 이루어진 비전검사부;
    검사된 부품을 선별이송시키는 선별이송부; 및
    상기 선별이송부에 의해 이동된 부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선별배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품이송부는 상기 하우징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이송실린더와,
    상기 이송실린더의 구동축에 회전되게 상단부가 설치되는 회전샤프트와,
    상기 회전샤프트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품공급부를 통해 전달된 부품을 파지하는 파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회전샤프트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블럭과,
    상기 고정블럭에 설치되는 파지실린더와,
    상기 파지실린더의 파지축에 고정되어 이송되는 이송블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이송부는 상기 하우징본체에 설치되는 선별실린더와,
    상기 선별실린더의 선별축에 형성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에 끼움되어 이송되며, 상기 회전샤프트에 고정되는 가이드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이송부는 상기 하우징본체에 설치되고 측부축에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회전관이 마련된 측부실린더와,
    상기 회전관에 상단부가 고정되는 연결샤프트와,
    상기 연결샤프트의 상단부에 회전되게 힌지결합되는 하단부가 상기 헤드에 회전되게 힌지결합된는 작동샤프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배출부는 하우징본체에 형성되며 이송된 부품이 배치되는 배치돌부와,
    상기 배치돌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정상부품이 배출되도록 하는 정상부품배출관과,
    상기 배지돌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불량부품이 배출되도록 하는 불량부품배출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에는 부품을 탄성에 의해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탄성가압고정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탄성가압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블럭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곡선의 안내탄성돌부와,
    상기 이송블럭에 설치되어 고정되고, 가압축이 상기 이송블럭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관통되게 배치되는 가압실린더와,
    상기 가압축에 일단이 고정되는 가압코일스프링과,
    상기 이송블럭의 내측면에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작동홈과,
    상기 작동홈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코일스프링의 타단에 고정되는 연결가압패널과,
    상기 연결가압패널의 일면에 형성되는 탄성가압패널과,
    상기 탄성가압패널의 일면에 형성되어 부품을 가압하는 탄성가압돌기들과,
    상기 헤드의 저면에 형성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에 일부가 끼움되어 안내되며, 상기 이송블럭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이송안내롤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배출부에는 선별되어 이동되는 과정에서 부품의 걸림 및 마찰을 줄이도록 마찰저감선별안내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마찰저감선별안내수단은 상기 베이스패널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체결되어 회전되며, 상기 정상부품배출관와 상기 불량부품배출관의 폐쇄하며 배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정상부품배출관 또는 상기 불량부품배출관의 상부를 개방시키는 회전패널과,
    상기 회전패널의 상면에 형성되는 부품을 안내하는 부품이송롤러들과,
    상기 회전패널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부품안내홀과,
    상기 부품안내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부품안내롤러들과,
    상기 회전패널의 저면에 형성되는 진동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상부품배출관와 상기 불량부품배출관에는 부품과의 충돌을 완충시키도록 탄성충돌완충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탄성충돌완충수단은 상기 정상부품배출관 및 상기 불량부품배출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구동홈과,
    상기 작동홈의 내측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탄성완충코일스프링들과,
    상기 탄성완충코일스프링들의 타단을 연결하며 고정되는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의 일면에 고정되는 탄성완충패널과,
    상기 탄성완충패널의 일면에 형성되고, 하향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안내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부품배출과와 상기 불량부품배출과에는 이동하는 부품의 이불질을 제거함과 아울러 충돌에 따른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이물질탄성제거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이물질탄성제거수단은 상기 정상부품배출과와 상기 불량부품배출관에 끼움되어 부착되는 탄성완충관과,
    상기 탄성완충관에 끼움되는 가축완충관과,
    상기 가축완충관의 내측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이물질분리핀들과,
    상기 탄성완충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가죽완충관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탄성안내핀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



KR1020190056566A 2019-05-14 2019-05-14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 KR102187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566A KR102187357B1 (ko) 2019-05-14 2019-05-14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566A KR102187357B1 (ko) 2019-05-14 2019-05-14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674A true KR20200131674A (ko) 2020-11-24
KR102187357B1 KR102187357B1 (ko) 2020-12-04

Family

ID=73679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566A KR102187357B1 (ko) 2019-05-14 2019-05-14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3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99294A (zh) * 2021-06-16 2021-09-17 陈健 一种电池多级别分选设备
KR20220095534A (ko) 2020-12-30 2022-07-07 아진산업(주) 소형 프레스용 작업 안전 장치
CN117622848A (zh) * 2024-01-26 2024-03-01 山西省交通规划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粉煤灰砖块运输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064B1 (ko) 2015-07-24 2015-11-25 정영택 금속가공물 표면검사용 비전검사장치
KR20160105738A (ko) * 2016-08-25 2016-09-07 (주)자비스 이송 제어 구조 방식의 자동 검사를 위한 엑스레이 검사 장치
KR101786452B1 (ko) * 2016-09-08 2017-10-18 (주)이티에스 윈도우글라스 비전검사장치
KR20180063027A (ko) * 2016-11-09 2018-06-11 주식회사 에스디옵틱스 렌즈 어셈블리 검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064B1 (ko) 2015-07-24 2015-11-25 정영택 금속가공물 표면검사용 비전검사장치
KR20160105738A (ko) * 2016-08-25 2016-09-07 (주)자비스 이송 제어 구조 방식의 자동 검사를 위한 엑스레이 검사 장치
KR101786452B1 (ko) * 2016-09-08 2017-10-18 (주)이티에스 윈도우글라스 비전검사장치
KR20180063027A (ko) * 2016-11-09 2018-06-11 주식회사 에스디옵틱스 렌즈 어셈블리 검사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534A (ko) 2020-12-30 2022-07-07 아진산업(주) 소형 프레스용 작업 안전 장치
CN113399294A (zh) * 2021-06-16 2021-09-17 陈健 一种电池多级别分选设备
CN117622848A (zh) * 2024-01-26 2024-03-01 山西省交通规划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粉煤灰砖块运输装置
CN117622848B (zh) * 2024-01-26 2024-04-09 山西省交通规划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粉煤灰砖块运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357B1 (ko) 2020-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7357B1 (ko) 부품이송 및 선별배출구조를 갖는 부품검사장치
US7364043B2 (en) Fastener inspection system
US7553110B2 (en) Conveying equipment and inspection device
EP1698889A1 (en) Front and back surface inspecting apparatus for tablet, and tablet appearance inspec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1312136A (zh) 焊球印刷装置
JP2013209183A (ja) 頭付き棒状部品の整列移送装置および頭付き棒状部品の選別装置
CN111940330A (zh) 一种橡胶轴套组合件检测机
KR200463519Y1 (ko) 표면실장기판 검사장치
JP2004012257A (ja) ワークの外観検査装置および外観検査方法
KR101776002B1 (ko) 테이퍼 롤러 검사 시스템
KR101360111B1 (ko) 부품분류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전자부품 특성검사분류장치
JP2007329269A (ja) 部品廃棄ボックス
JP2002243654A (ja) 製品検査装置及び該製品検査装置を用いた製品検査方法
JP2004255253A (ja) ワークの選別装置および選別方法
JPH09215963A (ja) 揺動式搬送装置
KR101092674B1 (ko) 소형압축스프링의 n,s극 선별 순차이송장치
WO2002079766A1 (fr) Appareil pour examiner les cartes a circuits imprimes
CN114340172B (zh) 印刷系统及其印刷后检测装置和方法
KR20160094701A (ko) 다수 렌즈 공급용 렌즈 피더
EP3882034B1 (en) Printing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an body
KR19980028745A (ko) 솔더볼 범핑장비
JPS6258855B2 (ko)
CN117046743A (zh) 一种矿石运输装置及运输方法
CN216965419U (zh) 一种丝印外观检测装置
CN211563720U (zh) 一种能自动筛选不合格品的轴承端面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