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0907A -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 - Google Patents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0907A
KR20200130907A KR1020190055407A KR20190055407A KR20200130907A KR 20200130907 A KR20200130907 A KR 20200130907A KR 1020190055407 A KR1020190055407 A KR 1020190055407A KR 20190055407 A KR20190055407 A KR 20190055407A KR 20200130907 A KR20200130907 A KR 20200130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ing
metal fiber
combustion unit
gas burner
diffus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7763B1 (ko
Inventor
송영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에스가스에너지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에스가스에너지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에스가스에너지연구소
Priority to KR1020190055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763B1/ko
Publication of KR20200130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11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47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gas 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88Broilers with vertically disposed heat sources and food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메탈화이버 패드를 포함하는 제1 연소부; 및 상기 제1 메탈화이버 패드와 이격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메탈화이버 패드를 포함하는 제 2 연소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BI-DIRECTIONAL METALFIBER TYPE GAS BURNER ROASTER}
본 발명은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 대한 발명이다.
기존의 가스버너 구이기는 패드의 아래에서 점화가 이루어 지고 패드의 아래쪽에서부터 패드의 위쪽에 놓이게 되는 식재료로 열 공급이 이루어 지는 가스버너 구이기가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가스버너 구이기는 식재료의 한쪽 면을 가열하고 반대쪽 면을 순차적으로 가열해야 하므로 조리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또한, 양면이 동일한 조리시간으로 가열되지 않아서 식재료가 균일하게 조리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였었다.
또한, 기존의 가스버너 구이기의 구조로 식재료를 가열하면 육즙 및 기름 등의 이물질이 패드의 아래쪽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이물질 등이 버너에 떨어져 오염되거나 노즐에 눌어붙어 심하면 가스가 불완전 연소되어 열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육즙 및 기름 등의 이물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버너의 오염 및 열효율 저하를 해소할 수 있는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식재료의 양쪽 면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어 조리 시간을 단축하고 식재료의 양쪽 면을 균일하게 조리할 수 있는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양방향에서 가열하여 식재료를 뒤집지 않아도 되는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메탈화이버 패드를 포함하는 제1 연소부; 및 상기 제1 메탈화이버 패드와 이격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메탈화이버 패드를 포함하는 제2 연소부를 포함하는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가스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공기와 혼합시켜 상기 제1 연소부 및 상기 제2 연소부에 공급할 수 있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기에서 혼합된 상기 공기와 상기 가스가 유동하기 위한 공용통로; 상기 공용통로로부터 유입된 상기 공기와 상기 가스가 상기 제1 연소부로 유동하기 위한 제1 공급부; 및 상기 공용통로로부터 유입된 상기 공기와 상기 가스가 상기 제2 연소부로 유동하기 위한 제2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급부와 상기 제2 공급부는 상기 공용통로로부터 분지된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공급부는, 상기 제1 연소부에 가까운 부분일수록 내부 공간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제1 확산부재; 및 상기 제1 확산부재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확산부재로 유입된 상기 공기와 상기 가스가 상기 제1 연소부에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분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공급부는, 상기 제2 연소부에 가까운 부분일수록 내부 공간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제2 확산부재; 및 상기 제2 확산부재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확산부재로 유입된 상기 공기와 상기 가스가 상기 제2 연소부에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분산판을 포함하는,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분산판은 상기 공기와 상기 가스가 상기 제1 확산부재 내부로 유입되는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분산판은 상기 공기와 상기 가스가 상기 제2 확산부재 내부로 유입되는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확산부재에는 상기 공기와 상기 가스가 유입되기 위한 제1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분산판은 상기 제1 유입구와 이격되고 상기 제1 유입구에 대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제2 확산부재에는 상기 공기와 상기 가스가 유입되기 위한 제2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분산판은 상기 제2 유입구와 이격되고 상기 제2 유입구에 대향하여 연장되는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식재료를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제1 연소부와 상기 제2 연소부 사이에 선택적으로 삽일될 수 있는 구이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이용 부재는 상기 제1 연소부와 상기 제2 연소부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이용 부재 보다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구이용 부재에 지지된 상기 식재료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이물질통을 더 포함하는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이용 부재를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이용 부재는 제1 구이 바디; 및 상기 제1 구이 바디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구이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이 바디 및 상기 제2 구이 바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구이용 부재가 상기 제1 연소부와 상기 제2 연소부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프레임에 접촉 지지되는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이용 부재는 상기 구이용 부재가 상기 제1 연소부와 상기 제2 연소부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 구이 바디 및 상기 제2 구이 바디의 가장자리가 상기 프레임에 접촉 지지되는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메탈화이버 패드 및 상기 제2 메탈화이버 패드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가 식재료의 양쪽 면을 동시에 가열하여 식재료를 균일하게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리하는 사람이 식재료를 뒤집어주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육즙 및 기름 등의 이물질이 버너로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가 식재료의 양쪽 면을 동시에 가열하여 조리시간을 단축 할 수 있으며, 육류의 경우 육즙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의 상부 프레임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4에 도시된 공급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의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의 공용통로, 및 송풍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의 구이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의 상부 프레임의 정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유입', '공급', '유동', '결합'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유입, 공급, 유동, 결합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하부, 상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본 명세서의, 상하 방향은 도 1의 z축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앞뒤 방향은 도 1의 y축 방향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앞면은 도 1의 상부 프레임(110)의 전면, 뒷면은 도 1 상부 프레임(110)의 후면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1)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고기 등의 식재료를 조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1)는 가스의 연소를 통해 열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연소를 위해 공기와 가스를 혼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1) 내에서 공기와 가스가 혼합된 기체는 혼합기로 명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1)는 프레임(100), 제1 연소부(200), 제2 연소부(300), 제1 공급부(400), 제2 공급부(500), 공용통로(600), 송풍기(700), 구이용 부재(800), 및 이물질통(90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1)의 다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100)은 제1 연소부(200), 제2 연소부(300), 제1 공급부(400), 제2 공급부(500), 공용통로(600), 송풍기(700), 구이용 부재(800), 및 이물질통(90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100)은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 3 내지 도 4를 더 참조하면, 상부 프레임(110)은 구이용 부재(8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프레임(110)에는 스토퍼(111) 및 고정구(112)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111)는 이물질통(900)이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110)은 연소가 발생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 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연소가 발생하는 제1 연소부(200)와 제2 연소부(30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110)의 상면의 일부가 개방되고, 상부 프레임(110)의 앞면과 뒷면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
고정구(112)는 구이용 부재(800)를 접촉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구는 상부 프레임(1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구(112)는 상부 고정구(112a) 및 하부 고정구(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고정구(112a)는 제1 구이 바디(810) 및 제2 구이 바디(820)가 삽입되도록 소정 간격 이격된 고정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고정구(112a)는 구이용 부재(800)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접촉될 수 있다. 구이용 부재(800)가 프레임(100) 내에 삽입되었을 때, 구이용 부재(800)의 제1 구이 바디(810) 및 제2 구이 바디(820)의 상측 가장자리는 상부 고정구(112a)에 의해 밀착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고정구(112a)는 상부 프레임(11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하부 고정구(112b)는 제1 구이 바디(810) 및 제2 구이 바디(820)가 삽입되도록 소정 간격 이격된 고정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고정구(112b)는 구이용 부재(800)의 하측 가장자리부에 접촉될 수 있다. 구이용 부재(800)가 프레임(100) 내에 삽입되었을 때, 구이용 부재(800)의 제1 구이 바디(810) 및 제2 구이 바디(820)의 하측 가장자리는 하부 고정구(112b)에 의해 밀착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고정구(112b)는 이물질통(900) 위쪽으로 이격되어 상부 프레임(11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부 고정구(112b)는 식재료로부터 배출된 이물질이 하부 고정구(112b) 아래쪽에 배치된 이물질통(900)에 수용될 수 있도록 중심부를 따라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20)은 상부 프레임(1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부 프레임(11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프레임(120)은 공용통로(600), 송풍기(700)를 더 지지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20)의 외면은 일부 또는 전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더 참조하면, 제1 연소부(200)는 식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가스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소부(200)는 제1 메탈화이버 패드(210), 및 제1 점화플러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탈화이버 패드(210)는 제1 공급부(400)를 통해 혼합기를 공급받고, 제1 메탈화이버 패드(210)에 공급된 가스는 제1 점화플러그(220)에 의해 점화 되어 연소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소부(200)에서의 연소에 의해 구이용 부재(800)의 제1 구이 바디(810)측으로 열이 가해질 수 있다.
제1 점화플러그(220)는 제1 메탈화이버 패드(210)에 점화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점화플러그(220)는 제1 메탈화이버 패드(21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메탈화이버 패드(2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1 확산부재(420)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메탈화이버 패드(210)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소부(300)는 식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가스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연소부(300)는 제2 메탈화이버 패드(310), 제2 점화플러그(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메탈화이버 패드(310)는 제1 메탈화이버 패드(21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메탈화이버 패드(310)는 제1 메탈화이버 패드(210)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메탈화이버 패드(310)는 제2 공급부(500)를 통해 혼합기를 공급받고, 제2 메탈화이버 패드(310)에 공급된 가스는 제2 점화플러그(320)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연소부(300)에서의 연소에 의해 구이용 부재(800)의 제2 구이 바디(820)측으로 열이 가해질 수 있다.
제2 점화플러그(320)는 제2 메탈화이버 패드(310)에 점화할 수 있다. 제2 점화플러그(320)는 제2 메탈화이버 패드(31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메탈화이버 패드(3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2 확산부재(520)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메탈화이버 패드(310)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더 참조하면, 제1 공급부(400)는 공용통로(600)로부터 유입된 혼합기가 제1 연소부(200)로 유동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공급부(400)는 제1 연소부(2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공급부(400)는 제1 통로(410), 제1 확산부재(420) 및 제1 분산판(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로(410)는 공용통로(600)로부터 유입된 혼합기가 제1 확산부재(420)로 유동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통로(410)의 일측 단부는 공용통로(6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통로(410)의 타측 단부는 제1 확산부재(4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확산부재(420)는 제1 공급부(400)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혼합기를 확산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확산부재(420) 내부로 유입된 혼합기는 제1 연소부(200)를 향해 유동하는 동안 넓게 확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확산부재(420)는 제1 유입구(421) 및 제1 연소부 지지구(4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혼합기는 제1 통로(410)로부터 제1 유입구(421)을 통하여 제1 확산부재(4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확산부재(420) 내부로 유입된 혼합기는 제1 연소부 지지구(422)를 통하여 제1 연소부(200)로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확산부재(420)는 제1 연소부(200)에 가까워질수록 내부 공간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확산부재(420)의 종단면적은 제1 유입구(421)에서부터 제1 연소부 지지구(422)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입구(421)는 혼합기가 제1 통로(410)로부터 제1 확산부재(420)로 유입되기 위한 개구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유입구(421)는 제1 확산부재(420)의 제1 통로(410)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소부 지지구(422)는 혼합기가 제1 확산부재(420)로부터 제1 연소부(200)로 유동하기 위한 개구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소부 지지구(422)는 제1 확산부재(420)의 제1 메탈화이버 패드(210)를 지지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분산판(430)은 제1 확산부재(420) 내부로 유입된 혼합기가 제1 연소부(200)에 고르게 퍼져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분산판(430)은 제1 확산부재(4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분산판(430)은 제1 연소부 지지구(422)보다 제1 유입구(421) 측에 더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분산판(430)은 혼합기가 제1 확산부재(420)로 유입되는 제1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산판(430)은 제1 유입구(421)와 이격되고 제1 유입구(421)에 대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혼합기의 유동방향은 제1 분산판(430)에 의해 제1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방향으로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합기는 제1 분산판(430)에 의해 제1 분산판(430)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유동방향이 변동될 수 있다. 이러한 혼합기는 제1 분산판(430)에 의해 제1 메탈화이버 패드(210)에 더욱 고르게 분산되어 공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도 5)에서는 제1 방향이 오른쪽 방향(+x 방향)인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 내지 도 6을 더 참조하면, 제2 공급부(500)는 공용통로(600)로부터 유입된 혼합기가 제2 연소부(300)로 유동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공급부(500)는 제2 연소부(3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공급부(500)는 제2 통로(510), 제2 확산부재(520) 및 제2 분산판(5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로(510)는 공용통로(600)로부터 유입된 혼합기가 제2 확산부재(520)로 유동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통로(510)의 일측 단부는 공용통로(6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통로(510)의 타측 단부는 제2 확산부재(5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확산부재(520)는 제2 공급부(500)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혼합기를 확산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확산부재(520) 내부로 유입된 혼합기는 제2 연소부(300)를 향해 유동하는 동안 넓게 확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확산부재(520)는 제2 유입구(521) 및 제2 연소부 지지구(5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혼합기는 제2 통로(510)로부터 제2 유입구(521)을 통하여 제2 확산부재(5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확산부재(520) 내부로 유입된 혼합기는 제2 연소부 지지구(522)를 통하여 제2 연소부(300)로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확산부재(520)는 제2 연소부(200)에 가까워질수록 내부 공간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확산부재(520)의 종단면적은 제2 유입구(521)에서부터 제2 연소부 지지구(522)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입구(521)는 혼합기가 제2 통로(510)로부터 제2 확산부재(520)로 유입되기 위한 개구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유입구(521)는 제2 확산부재(520)의 제2 통로(510)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소부 지지구(522)는 혼합기가 제2 확산부재(520)로부터 제2 연소부(300)로 유동하기 위한 개구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연소부 지지구(522)는 제2 확산부재(520)의 제2 메탈화이버 패드(310)를 지지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분산판(530)은 제2 확산부재(520) 내부로 유입된 혼합기가 제2 연소부(300)에 고르게 퍼져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분산판(530)은 제2 확산부재(5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분산판(530)은 제2 연소부 지지구(522)보다 제2 유입구(521) 측에 더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분산판(530)은 혼합기가 제2 확산부재(520)로 유입되는 제2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분산판(530)은 제2 유입구(521)와 이격되고 제2 유입구(521)에 대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혼합기의 유동방향은 제2 분산판(530)에 의해 제2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방향으로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합기는 제2 분산판(530)에 의해 제2 분산판(530)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유동방향이 변동될 수 있다. 이러한 혼합기는 제2 분산판(530)에 의해 제2 메탈화이버 패드(310)에 더욱 고르게 분산되어 공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도 5)에서는 제2 방향이 왼쪽 방향(-x 방향)인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공용통로(600)는 송풍기(700)로부터 공급받은 혼합기가 유동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로(410)와 제2 통로(510)는 공용통로(600)로부터 분지되어 송풍기(700)로부터 공급받은 혼합기가 균일하게 제1 통로(410)와 제2 통로(510)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통로(410)의 하측 단부와 제2 통로(510)의 하측 단부는 공용통로(600)의 상측 단부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송풍기(700)는 가스공급 장치(미도시)로부터 공급받은 가스와 공기를 혼합시켜 공용통로(600)로 공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스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송풍기(700)에 의해 서로 혼합되어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혼합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송풍기(700)는 공용통로(600)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이용 부재(800)는 식재료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이용 부재(800)는 프레임(100)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구이용 부재(800)는 제1 구이 바디(810), 제2 구이 바디(820), 손잡이(830) 및 고정부재(8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이용 부재(800)는 상부 프레임(110)의 앞면과 뒷면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하여 제1 연소부(200)와 제2 연소부(300) 사이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구이용 부재(800)는 제1 연소부(200)와 제2 연소부(300)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부 프레임(110)에 지지될 수 있다.
도 7을 더 참조하면, 제1 구이 바디(810)와 제2 구이 바디(820)는 식재료를 제1 구이 바디(810)와 제2 구이 바디(820) 사이에 지지할 수 있다. 구이용 부재(800)가 프레임(100)으로부터 빠져나온 상태에서 제1 구이 바디(810)와 제2 구이 바디(820)는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구이 바디(810) 및 제2 구이 바디(820)의 적어도 일부는 구이용 부재(800)가 제1 연소부(200)와 제2 연소부(300)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 상부 프레임(110)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이용 부재(800)가 제1 연소부(200)와 제2 연소부(300)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 제1 구이 바디(810) 및 제2 구이 바디(820)의 가장자리는 상부 프레임(110)의 상부 고정구(112a)와 하부 고정부(112b)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상부 고정구(112a)와 하부 고정구(112b)는 제1 구이 바디(810)와 제2 구이 바디(820)가 그 사이에 식재료가 개재된 상태에서 서로에 대하여 밀착하도록 구이용 부재(800)를 가압할 수 있다. 식재료는 상부 고정구(112a)와 하부 고정구(112b)의 가압에 의해 제1 구이 바디(810)와 제2 구이 바디(820) 사이에 눌린채로 지지되어 구이용 부재(800)의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이 바디(810)에서 식재료와 접촉하는 부분과 제2 구이 바디(820)에서 식재료에 접촉하는 부분에는 식재료가 미끄러지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돌기 및 홈 중 하나 이상인 미끄럼 방지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부는 제1 구이 바디(810)에서 제2 구이 바디(820)에 대향하는 부분과, 제2 구이 바디(820)에서 제1 구이 바디(810)에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구이 바디(810)의 미끄럼 방지부와 제2 구이 바디(820)의 미끄럼 방지부는 서로에 대하여 대향하여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돌기일 수 있다.
손잡이(830)는 구이용 부재(800)를 파지할 수 있는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830)는 제1 구이 바디(810) 및 제2 구이 바디(82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손잡이(830)를 파지하여, 구이용 부재(800)를 제1 연소부(200)와 제2 연소부(300) 사이에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고정부재(840)는 제1 구이 바디(810)와 제2 구이 바디(820)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구이 바디(810)와 제2 구이 바디(820) 사이에 게재된 식재료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840)는 제1 구이 바디(810) 및 제2 구이 바디(820)와 연결된 손잡이(830)를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이 바디(810)와 제2 구이 바디(820)를 겹치게 한 후, 고정부재(840)를 손잡이(830)에 밀어서 고정해 주면 식재료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이물질통(900)은 구이용 부재(800)에 지지된 식재료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통(900)은 구이용 부재(80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 프레임(110)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이물질통(9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가 스토퍼(111)가 제공될 수 있다. 스토퍼(110)는 상부 프레임(110)의 뒷면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물질통(900)이 상부 프레임(110)의 앞면에 삽입되어 상부 프레임(110)의 뒷면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스토퍼(111)가 이물질통(900)을 막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식재료를 조리하기 위해 식재료가 구이용 부재(800)의 제1 구이 바디(810)와 제2 구이 바디(820)의 사이에 게재되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식재료가 지지된 구이용 부재(800)를 상부 고정구(112a)의 사이 및 하부 고정구(112b)의 사이에서 고정되도록 제1 연소부(200) 및 제2 연소부(300) 사이에 삽입 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1)를 작동시키면 외부 가스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된 가스는 공기와 송풍기(700)에서 혼합되어 공용통로(600)로 유입될 수 있다. 공용통로(600)로 유입된 혼합기는 제1 공급부(400) 및 제2 공급부(500)를 거쳐서 제1 연소부(200) 및 제2 연소부(300)에 각각 공급될 수 있다. 이후, 제1 연소부(200) 및 제2 연소부(300)로 유입된 혼합기는 제1 점화플러그(220) 및 제2 점화플러그(320)에 의하여 각각 점화되어 연소가 발생될 수 있다.
식재료가 제1 연소부(200)와 제2 연소부(300)에 의해 가열되는 동안 식재료로부터 이물질이 발생하여 배출될 수 있다. 식재료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은 아래로 낙하하여 이물질통(900)에 수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식재료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이 수용된 이물질통(900)을 수거하여 외부에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이물질통(900)을 다시 상부 프레임(110)에 삽일할 수 있다.
이처럼,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1)는 식재료가 지지된 구이용 부재(800)를 제1 연소부(200) 및 제2 연소부(300) 사이에 삽입하면 뒤집지 않더라도 식재료의 양쪽이 균일하게 조리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쪽을 동시에 가열하여 조리시간이 단축된다는 효과가 있다. 이물질통(900)은 식재료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이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1)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 100: 프레임
110: 상부프레임 111: 스토퍼
112: 고정구 112a: 상부 고정구
112b: 하부 고정구 120: 하부프레임
200: 제1 연소부 210: 제1 메탈화이버 패드
220: 제1 점화플러그 300: 제2 연소부
310: 제2 메탈화이버 패드 320: 제2 점화플러그
400: 제1 공급부 410: 제1 통로
420: 제1 확산부재 421: 제1 유입구
422: 제1 연소부 지지구 430: 제1 분산판
500: 제2 공급부 510: 제2 통로
520: 제2 확산부재 521: 제2 유입구
522: 제2 연소부 지지구 530: 제2 분산판
600: 공용통로 700: 송풍기
800: 구이용 부재 810: 제1 구이 바디
820: 제2 구이 바디 830: 손잡이
840: 고정부재 900: 이물질통

Claims (11)

  1.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메탈화이버 패드를 포함하는 제1 연소부; 및
    상기 제1 메탈화이버 패드와 이격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메탈화이버 패드를 포함하는 제2 연소부를 포함하는,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스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공기와 혼합시켜 상기 제1 연소부 및 상기 제2 연소부에 공급할 수 있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에서 혼합된 상기 공기와 상기 가스가 유동하기 위한 공용통로;
    상기 공용통로로부터 유입된 상기 공기와 상기 가스가 상기 제1 연소부로 유동하기 위한 제1 공급부; 및
    상기 공용통로로부터 유입된 상기 공기와 상기 가스가 상기 제2 연소부로 유동하기 위한 제2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급부와 상기 제2 공급부는 상기 공용통로로부터 분지된,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부는,
    상기 제1 연소부에 가까운 부분일수록 내부 공간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제1 확산부재; 및
    상기 제1 확산부재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확산부재로 유입된 상기 공기와 상기 가스가 상기 제1 연소부에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분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공급부는,
    상기 제2 연소부에 가까운 부분일수록 내부 공간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제2 확산부재; 및
    상기 제2 확산부재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확산부재로 유입된 상기 공기와 상기 가스가 상기 제2 연소부에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분산판을 포함하는,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산판은 상기 공기와 상기 가스가 상기 제1 확산부재 내부로 유입되는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분산판은 상기 공기와 상기 가스가 상기 제2 확산부재 내부로 유입되는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산부재에는 상기 공기와 상기 가스가 유입되기 위한 제1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분산판은 상기 제1 유입구와 이격되고 상기 제1 유입구에 대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제2 확산부재에는 상기 공기와 상기 가스가 유입되기 위한 제2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분산판은 상기 제2 유입구와 이격되고 상기 제2 유입구에 대향하여 연장되는,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식재료를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제1 연소부와 상기 제2 연소부 사이에 선택적으로 삽일될 수 있는 구이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이용 부재는 상기 제1 연소부와 상기 제2 연소부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용 부재 보다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구이용 부재에 지지된 상기 식재료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이물질통을 더 포함하는,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용 부재를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이용 부재는,
    제1 구이 바디; 및
    상기 제1 구이 바디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구이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이 바디 및 상기 제2 구이 바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구이용 부재가 상기 제1 연소부와 상기 제2 연소부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프레임에 접촉 지지되는,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용 부재는,
    상기 구이용 부재가 상기 제1 연소부와 상기 제2 연소부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 구이 바디 및 상기 제2 구이 바디의 가장자리가 상기 프레임에 접촉 지지되는,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탈화이버 패드 및 상기 제2 메탈화이버 패드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
KR1020190055407A 2019-05-13 2019-05-13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 KR102207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407A KR102207763B1 (ko) 2019-05-13 2019-05-13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407A KR102207763B1 (ko) 2019-05-13 2019-05-13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907A true KR20200130907A (ko) 2020-11-23
KR102207763B1 KR102207763B1 (ko) 2021-01-26

Family

ID=73680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407A KR102207763B1 (ko) 2019-05-13 2019-05-13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7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0146A (ja) * 1998-08-31 2000-03-07 Korea Atom Energ Res Inst 多孔性耐熱金属繊維マットを利用した自然混合形表面燃焼式ガスバーナーと公転及び自転機能を兼備した自動バーベキュー調理装置
KR200410913Y1 (ko) * 2005-12-09 2006-03-10 박재근 양면 구이가 가능한 할로겐 히터가 구비된 바베큐 구이기
KR20110010218A (ko) * 2009-07-24 2011-02-01 이지행 냄새 배출 카트리지를 구비한 조리용기의 뚜껑
US20160367073A1 (en) * 2014-07-11 2016-12-22 Dennis Carl Smith Automatic cook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0146A (ja) * 1998-08-31 2000-03-07 Korea Atom Energ Res Inst 多孔性耐熱金属繊維マットを利用した自然混合形表面燃焼式ガスバーナーと公転及び自転機能を兼備した自動バーベキュー調理装置
KR200410913Y1 (ko) * 2005-12-09 2006-03-10 박재근 양면 구이가 가능한 할로겐 히터가 구비된 바베큐 구이기
KR20110010218A (ko) * 2009-07-24 2011-02-01 이지행 냄새 배출 카트리지를 구비한 조리용기의 뚜껑
US20160367073A1 (en) * 2014-07-11 2016-12-22 Dennis Carl Smith Automatic coo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7763B1 (ko) 202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6028B1 (en) Infrared emitting apparatus
CN101563009B (zh) 具有凹形放射器的烹饪装置
US6425388B1 (en) Pizza oven deck
US20190293299A1 (en) Grill
US20220322877A1 (en) Modular cooking appliance
KR102207763B1 (ko) 양방향 메탈화이버 가스버너 구이기
KR101464495B1 (ko) 바베큐 장치
US11022324B2 (en) Cooking appliance and combustion control method of a cooking appliance
KR20140139860A (ko) 기름이 분리 배출되는 이중팬
KR200179509Y1 (ko) 고기 구이기
KR20080005957U (ko) 구이용 불판
US7380548B2 (en) Stove apparatus
KR100796321B1 (ko) 구이 장치
KR102317765B1 (ko) 고기구이용 화덕장치
KR20200127852A (ko) 회전식 오븐용 꼬치고정장치
KR200173588Y1 (ko) 직화 고기 구이판용 받침대
JPH11128091A (ja) 電気調理器
CN111315270B (zh) 具有加压空气源的烧烤设备
KR20040094586A (ko) 직화가열식 양면팬
US20200397186A1 (en) Reversible heat diffuser for gas grill
KR960002835Y1 (ko) 고기 구이기
KR0117454Y1 (ko) 가스렌지의 구이판 구조
KR20100107307A (ko) 옥수수를 연료로 한 구이기용 열분산판
KR200353953Y1 (ko) 이층 구이기
KR200249200Y1 (ko) 숯-가스겸용 고기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