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0689A - 수술로 생성된 구멍에 사용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 Google Patents

수술로 생성된 구멍에 사용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0689A
KR20200130689A KR1020207025744A KR20207025744A KR20200130689A KR 20200130689 A KR20200130689 A KR 20200130689A KR 1020207025744 A KR1020207025744 A KR 1020207025744A KR 20207025744 A KR20207025744 A KR 20207025744A KR 20200130689 A KR20200130689 A KR 20200130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device
tubular member
shell
hole
tub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5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그레고리 브라이언 오'그래디
존 빌케이 데이비슨
로버트 브루스 데이비슨
Original Assignee
더 인사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인사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더 인사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30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6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7Closure means other tha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1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with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5Valves or valv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luid inlets or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3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adhesive seals for securing to the body, e.g. of hydrocolloid type, e.g. gels, starches, karaya gu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 A61F5/448Means for attaching bag to seal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 A61F2005/4455Implan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 A61F5/449Body securing means, e.g. belts,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64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with multiple inlets or multiple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76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for introducing or removing fluids into or out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82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with implanted tubes connected to the 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88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protectors, caps or covers therefor

Abstract

수술로 생성된 제1 구멍과 수술로 생성된 제2 구멍을 연결하고 그 사이에서 내용물을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디바이스는 중공 몸체 부재 및 중공 몸체에 부수적인 제1 및 제2 관형 다리들을 포함하고, 각각 제1 및 제2 수술로 생성된 구멍들 내로 삽입되도록 조정된다. 디바이스는 중공 몸체를 폐쇄하고 제1 및 제2 수술로 생성된 구멍들 사이에서 내용물을 수동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관형 다리들 사이의 밀봉된 경로를 완성하기 위한 캡을 더 포함한다. 원치 않는 피부 영역들로부터 내용물을 멀리 유지하고/하거나 사용하기 쉬운 디바이스를 제공하도록 조합하여 작동하는 디바이스의 밀봉 특징부들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수술로 생성된 구멍에 사용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본 발명은 수술로 생성된 구멍들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배타적이지는 않지만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수술로 생성된 위장관의 장루들(ostomies) 또는 소공들(stomas)을 연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대장암은 결장 또는 직장에서 발달하는 암으로 현재 전 세계에서 세 번째로 가장 널리 퍼져 있는 암이다. 회장 절개술은 대장암 관리, 특히 직장암 관리를 위한, 초석으로 남아 있다. 회장 절개술은 소화기 내용물이 배변 주머니(stoma bag)로 흐를 수 있도록 회장(원위 소장)을 분할해서 일단 또는 양단을 환자의 피부로 가져오는 것을 포함한다. 전통적으로, 소화기 내용물은 결장을 우회해서 배변 주머니에 포집된 후 수동으로 비워진다.
루프 회장 절개술은 회장에 대해 원위의 위장관이 대장 수술 후 치유되는 동안에 소화기 내용물을 일시적으로 방향 전환시키려는 일반적인 유형의 회장 절개술이다. 일반적으로, 루프 회장 절개술은 치유가 이루어지면 장의 분할된 단부를 다시 재연결함으로써 반전될 것이다. 방사선 검사는 일반적으로 치유가 이루어졌고 장에서 새지 않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반전 수술 전에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환자는 회장에 대해 원위의 위장관이 충분히 치유되기 위해 방사선 누출 검사를 수행하고 반전 수술을 고려하도록 적어도 1-2주를 필요로 한다.
누출 검사 후, 일부 환자는 수술 후 1-2주 이내에 수행된 회장 절개술의 "조기 반전"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수술 후 대략 6-12주에 회장 절개 반전 수술이 이루어지는 것이 더 일반적이다. 수술 위험을 증가시키는 내부 유착이 존재하기 때문에 수술 후 2-6주 사이에 반전 수술을 수행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환자가 화학 요법을 받는 경우, 수술이 안전하게 수행될 수 있기 전에, 화학 요법이 완료될 때까지 수개월 동안 회장 절개술을 유지할 수도 있다.
소화기 내용물이 환자의 신체에서 배출됨에 따라, 회장 절개술은 수분, 전해질, 및 특정 영양소를 흡수하는 결장을 우회하므로 환자는 체액, 전해질, 및 영양소 손실로 고통을 받을 수 있다. 그 결과, 환자는 탈수 및 그에 따른 신장 손상을 겪을 수 있으며 정맥 주사액 교체와 관리를 위해 병원에 재입원할 수도 있다. 일부 환자는 "고 배출성(high output)"의 회장 절개술을 받으면, 탈수 및 신장 손상의 위험이 증가하므로, 장통과를 늦추는 약물로 그리고 내약성이 좋지 않을 수 있는 경구 수액제로 추가 관리될 수도 있다. 소공 환자는 흔히 필요로 하는 추가 관리로 인한 많은 병원 자원 및 소공 관련 탈수로 인한 관련된 재입원을 이용한다.
화학 요법을 받은 회장 절개 환자는 또한 화학 요법 중에 과도한 소공 배출을 겪을 수 있어서, 용량 감소, 병원 재허가 및 차선의 요법을 초래한다. 어떠한 내장 영양소도 없는 결장을 장기간 방치하면 직장암 수술 후 장 기능이 좋지 않은 "전방 절제 증후군"의 위험이 증가할 수도 있다. 전방 절제 증후군은 대장암 생존자의 삶의 질이 더 나빠지는 것과 연관된다.
회장 절개술이 반전되는 경우, 환자는 부분적으로 영양 부족으로 회장 절개에 대해 원위의 내장 상태가 열악하게 되어 장폐색(장 기능의 느린 회복)을 겪을 수 있다. 루프 회장 절개술은 또한 통상적으로 결장 건강에 기여하고 있는 결장을 차지하는 박테리아 마이크로바이옴을 고갈시켜, 그 결과 반전 수술을 받은 환자는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 감염을 겪을 수 있다.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 감염은 입원 기간을 연장시켜 심각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으며, 항생제, 수술 또는 분변 이식과 같은 추가 치료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배변 주머니가 필요할 수 있는 또 다른 그룹의 환자는 내장과 피부 간의 비정상적인 연결부인 장피부 누공이 있는 환자이다. 장피부 누공은 수술의 합병증으로, 또는 외상성 손상으로 인해, 또는 염증성 장 질환과 같은 다른 질병 과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일부 신생아는 내장의 분절이 괴사되는 괴사성 장염이란 질병으로 인해 장피부 누공이나 소공이 생길 수 있다.
일 유형의 배변 주머니는 일반적으로 장피부 누공 위에 놓여져서 소화기 내용물을 포착한다. 누공이 있는 환자는 흔히 영양 부족을 겪으며, 정맥을 통해 제공되는 비경구 영양과 같은 보조 영양에 의존할 수 있다. 비경구 영양은 일반적으로 가계성 감염 및 간 손상 가능성으로 인해 비싸고 위험한 치료이다.
또한, 환자는 일반적으로 배변 주머니 및 연관된 폐기물을 착용하고 관리하는 것을 싫어한다. 환자는 또한 회장 절개부를 비우기 위해 밤새 깨어 있을 수도 있어서, 수면 패턴을 방해한다. 환자, 간병인, 및 의료 전문가가 배변 주머니의 폐기물을 보다 쉽게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배변 주머니가 전혀 필요하지 않고, 내용물이 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으로 단순히 흐르는 디바이스가 필요하다. 일부 응용 분야에서, 그러한 디바이스는 방사선 누출 검사가 수행된 후 소공 반전 수술 시점까지 소공 손실에 대한 일시적인 해결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되며, 그러한 디바이스는 일시적인 소공들로 인한 많은 부작용을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허 명세서 및 다른 문서를 포함하는 외부 정보원을 참조한 경우, 이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특징을 논의하기 위한 맥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이러한 정보원에 대한 언급은 임의의 관할권에서 해당 정보원이 선행 기술이거나 관련 기술 분야의 일반적인 지식의 일부임을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목적을 위해, 방법 단계가 순차적으로 기술되는 경우, 그 순서를 해석하는 다른 논리적 방식이 없는 한, 그 순서는 단계가 그 순서에 따라 연대순으로 정리되어야 함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단점들 중 일부를 극복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선하는 또는 적어도 대중에게 유용한 선택을 제공하는 수술로 생성된 구멍들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정의
'포함하다(comprise)'라는 용어는 다양한 관할권에서, 배타적이거나 포괄적인 의미가 있다고 생각될 수 있는 것으로 인정된다. 본 명세서의 목적을 위해 그리고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용어 '포함한다'는 포괄적인 의미를 가져야 할 것이다- 즉, 이는 직접 언급하는 나열된 구성요소들, 뿐만 아니라 다른 명시되지 않은 구성요소들 또는 요소들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취해질 것이다. 이러한 이론적 근거는 또한 '포함하다' 또는 '포함되는' 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가 장치 또는 방법 또는 프로세스의 하나 이상의 단계와 관련하여 사용될 때에도 사용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될 때, 용어 "및/또는"은 "및" 또는 "또는" 또는 둘 모두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될 때, 명사들 뒤의 "(들)"은 명사의 복수형 및/또는 단수형을 의미한다.
청구범위에서 사용되거나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를 위한(for)'이라는 단어는 '~에 적합한(suitable for)'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예를 들어, 명시된 특정 목적을 위해 특히 '조정되는(adapted)' 또는 '구성되는(configured)'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술로 생성된 제1 구멍을 수술로 생성된 제2 구멍과 연결하고 상기 제1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2 구멍으로 내용물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는,
본체 입구 및 본체 출구를 갖는 중공 본체 부재;
상기 본체 입구와 유체 연통하고 그로부터 종속하는 제1 관형 부재로서, 상기 중공 본체 부재로부터 떨어진 원위 단부에 위치되는 입구를 갖는, 상기 제1 관형 부재; 및
상기 본체 출구와 유체 연통하고 그로부터 종속하는 제2 관형 부재로서, 상기 중공 본체 부재로부터 떨어진 원위 단부에 위치되는 출구를 갖는, 상기 제2 관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 몸체 부재는 몸체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1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2 구멍으로 내용물의 수동적 전달을 위해 상기 제1 관형 부재와 상기 제2 관형 부재 사이의 경로를 완성하기 위해 상기 몸체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캡을 포함하는, 연결 디바이스를 광범위하게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캡은 상기 제1 및 제2 수술로 생성된 구멍들 주변 공간의 체적을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획정하는 쉘을 추가로 획정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쉘은 강성 또는 반강성이고, 상기 디바이스가 환자에 부착될 때 상기 수술로 생성된 구멍들 내에 상기 제1 및 제2 관형 부재들을 유지하기 위해 하향 압력을 가하도록 조정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캡은 상기 몸체 개구를 밀봉하도록 조정된 상기 캡의 내부 표면상에 경로 밀봉부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수술로 생성된 구멍들 상기 주변 공간의 체적은 상기 제1 수술로 생성된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2 수술로 생성된 구멍으로 전달되는 내용물이 상기 주변 공간의 체적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제1 관형 부재와 상기 제2 관형 부재 사이의 상기 경로로부터 분리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캡은 분리되고 제거 가능하며 제거될 때 상기 중공 몸체 부재의 내부 표면에 대한 접근을 허용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거 가능한 캡은 자기 연결 또는 압입 연결을 통해 상기 중공 몸체 부재에 연결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캡 및 상기 쉘이 일체로 형성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중공 몸체 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관형 부재들이 일체로 형성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관형 부재들은 상기 중공 몸체 부재로부터 분리되고 제거 가능하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관형 부재 및 제2 관형 부재는 가요성 및 탄성이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디바이스는 환자의 피부 및 상기 수술로 생성된 제1 및 제2 구멍들 주위에 제거 가능한 부착을 위한 판 구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 구조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측 및 제2 측을 갖는 막으로서, 상기 막의 상기 제1 측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막; 및
상기 막의 상기 제2 측에 부착되는 제1 판 결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판 결합 부재는 협력하는 제1 결합 부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판 구조는 상기 막의 상기 제1 측 상의 접착제 코팅을 드러내기 위해 사용 중에 벗겨지도록 조정되는 보호 층을 더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막은 상기 막의 중심 또는 그 부근에 적어도 하나의 애퍼처를 포함하되, 상기 애퍼처의 크기는 상기 판 구조가 사용되도록 의도되는 구멍(들)의 크기와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결합 부재는 상기 쉘을 상기 판 구조에 연결하도록 조정되는 상기 쉘의 쉘 결합 부재이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판 결합 부재 및 상기 제1 결합 부재는 홈 및 돌출부 형태의 상보적 특징부들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유체 저항성 및/또는 유체 흡수성이고 수술 중 환자의 신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커버하도록 조정되는 패드를 더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패드는 상기 패드의 가요성을 증가시키도록 조정되는 격자 스프링 편향 부재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패드 상의 패드 결합 부재가 상기 패드를 상기 판 구조에 연결하도록 조정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판 결합 부재는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수밀 결합을 형성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1 판 결합 부재는 제1 결합 부재와 클립핑되도록 조정되는 링 형태의 클립이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쉘은 상기 쉘의 둘레로부터 연장되는 평평한 테두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평평한 테두리는 환자의 피부에 맞닿아 안착하도록 구성되는 밑면을 가진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평평한 테두리의 상기 밑면은 상기 쉘을 상기 환자의 피부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관형 부재 및 상기 제2 관형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원위 단부는 상기 내용물이 통과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케이지 지지부들 및 인접하는 케이지 지지부들 사이에 케이지 개구들을 갖는 케이지 특징부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케이지 특징부는 테이퍼져서 상기 케이지 특징부가 상기 중공 몸체 부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직경이 감소하게 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하나 또는 양자의 관형 부재는 상기 관형 부재의 상기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케이지는 상기 케이지 특징부의 길이 방향 축 주위에 균일하게 분산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들은 가요성이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들은 5mm 내지 12mm의 직경을 가진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들은 20mm 내지 60mm의 길이를 가진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관형 부재 및 상기 제2 관형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관형 부재의 벽 두께 및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관형 부재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내부 리브(rib)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관형 부재는 이완된 상태에서 오목한 외향 표면을 갖는 나팔 모양 고정 부분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나팔 모양 부분은 각각의 관형 부재의 상기 원위 단부에 또는 그쪽으로 위치되는 팽창식 커프의 형태이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관형 부재 및 상기 제2 관형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원위 단부는 사면이어서, 비스듬한 애퍼처를 획정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관형 부재들 중 하나는 상기 제1 및 제2 관형 부재들 중 다른 하나보다 길어서 더 긴 상기 관형 부재가 각각의 상기 수술로 생성된 구멍 내로 더 삽입되게 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관형 부재들은 각각 대략 8 French 내지 12 French 사이의 크기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관형 부재들은 각각 대략 32 French 내지 42 French 사이의 크기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관형 부재는 상기 제2 관형 부재보다 큰 직경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고무, 라텍스 또는 플라스틱이 다음의
a) 제1 관형 부재,
b) 제2 관형 부재,
c) 몸체 부재,
d) 케이지 특징부,
e)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 중 하나 이상을 형성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관형 부재, 제2 관형 부재 및/또는 상기 중공 몸체 부재는 형상 기억을 갖는 가요성 메시, 및 상기 메시와 연관되고 삽입을 위해 접철식이고 상기 수술로 생성된 구멍들에 유지를 위해 확장식인 벽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가요성 메쉬는 니티놀 합금 메쉬로서 형성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술로 생성된 제1 구멍을 수술로 생성된 제2 구멍과 연결하는 방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이전의 절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연결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제1 관형 부재의 입구를 상기 제1 구멍 내로 삽입하고 상기 제2 관형 부재의 출구를 제2 구멍 내로 삽입하여 상기 제1 및 제2 구멍들이 상기 제1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2 구멍으로 내용물의 수동적 전달을 위해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연결되게 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판 구조의 막의 제1 측을 환자의 피부에 위치 및 접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및 제2 수술로 생성된 구멍들 주변 공간의 체적을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획정하도록 쉘을 상기 제1 및 제2 수술로 생성된 구멍들 위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판 결합 부재를 쉘 결합 부재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쉘을 상기 판 구조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관형 부재와 상기 제2 관형 부재 사이의 상기 경로를 폐쇄하기 위해 몸체 개구 위에 캡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전의 절들에 설명된 바와 같은 연결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수술로 생성된 제1 구멍을 수술로 생성된 제2 구멍과 연결하는 방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관형 부재 또는 제2 관형 부재를 각각의 상기 구멍 내로 삽입하기 전에 각각의 상기 부재를 접는 단계; 및
삽입 이후 각각의 상기 부재를 해제시키고 각각의 상기 부재가 각각의 상기 구멍 내에 유지되도록 확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술로 생성된 구멍으로부터 소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연결 디바이스를 광범위하게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는,
몸체 개구 및 상기 몸체 개구로부터 떨어진 원위 단부에 위치되는 입구를 갖는 관형 부재로서, 상기 입구는 상기 수술로 생성된 구멍 내로 삽입되도록 조정되는 상기 관형 부재; 및
상기 몸체 개구를 폐쇄하여 내부 챔버를 형성하기 위한 캡을 포함하며;
상기 관형 부재의 상기 원위 단부는 상기 내용물이 통과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케이지 지지부들 및 인접하는 케이지 지지부들 사이에 케이지 개구들을 갖는 케이지 특징부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디바이스는 수술 동안 환자의 피부 및 환자의 신체에 형성된 상기 구멍 주위에 제거 가능한 부착을 위한 판 구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 구조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측 및 제2 측을 갖는 막으로서, 상기 막의 상기 제1 측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막; 및
상기 막의 상기 제2 측에 부착되거나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제1 판 결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판 결합 부재는 협력하는 제1 결합 부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캡은 상기 공간의 체적이 상기 내부 챔버와 분리되고 상기 관형 부재로 들어가는 상기 내용물이 상기 주변 공간의 체적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수술로 생성된 구멍 주변 공간의 체적을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획정하는 쉘을 추가로 획정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쉘은 상기 쉘을 상기 판 구조에 연결하도록 조정되는 쉘 결합 부재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판 결합 부재 및 상기 제1 결합 부재는 홈 및 돌출부 형태의 상보적 특징부들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디바이스는 유체 저항성 및/또는 유체 흡수성이고 수술 중 환자의 신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커버하도록 조정되는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는 상기 패드의 가요성을 증가시키도록 조정되는 격자 스프링 편향 부재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캡은 분리되고 제거 가능하며 제거될 때 상기 관형 부재의 내부 표면에 대한 접근을 허용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케이지 특징부는 테이퍼져서 상기 케이지 특징부가 상기 몸체 개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직경이 감소하게 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관형 부재는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는 5mm 내지 12mm의 직경을 가진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는 20mm 내지 60mm의 길이를 가진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는 가요성이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관형 부재는 상기 관형 부재의 벽 두께 및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관형 부재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내부 리브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관형 부재는 형상 기억을 갖는 가요성 메시, 및 상기 메시와 연관되고 삽입을 위해 접철식이고 상기 수술로 생성된 구멍들에 유지를 위해 확장식인 벽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가요성 메쉬는 니티놀 합금 메쉬로서 형성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관형 부재는 가요성 및 탄성이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쉘은 상기 쉘의 둘레로부터 연장되는 평평한 테두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평평한 테두리는 환자의 피부에 맞닿아 안착하도록 구성되는 밑면을 가진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평평한 테두리의 상기 밑면은 상기 쉘을 상기 환자의 피부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관형 부재는 신생아 환자들을 위해 조정되는 대략 8 French 내지 12 French 사이의 크기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관형 부재는 신생아 환자들을 위해 조정되는 대략 32 French 내지 42 French 사이의 크기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술로 생성된 구멍으로부터 소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연결 디바이스를 광범위하게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는,
몸체 개구 및 상기 몸체 개구로부터 떨어진 원위 단부에 위치되는 입구를 갖는 관형 부재로서, 상기 입구는 상기 수술로 생성된 구멍 내로 삽입되도록 조정되는 상기 관형 부재; 및
개구를 포함하는 쉘로서, 서로 대향하는 내부 및 외부 측을 가지며, 상기 수술로 생성된 구멍 주변 공간의 체적을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획정하는, 상기 쉘을 포함하며,
상기 쉘은 소화 내용물이 상기 쉘의 상기 외부 측 상으로 상기 몸체 개구를 빠져 나가도록 상기 몸체 개구에 또는 그쪽으로 상기 관형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쉘은 협력하는 제1 결합 부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 쉘 결합 부재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디바이스는 환자의 피부 및 상기 수술로 생성된 구멍 주위에 제거 가능한 부착을 위한 판 구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 구조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측 및 제2 측을 갖는 막으로서, 상기 막의 상기 제1 측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막; 및
상기 막의 상기 제2 측에 부착되는 제1 판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판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판 결합 부재는 상기 제1 쉘 결합 부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쉘 결합 부재는 상기 쉘의 하측 둘레에 위치되어, 상기 쉘의 상기 하측 둘레를 상기 판 구조에 결합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쉘은 협력하는 제2 결합 부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2 쉘 결합 부재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몸체 개구로부터 소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몸체 개구를 커버하도록 조정되는 배변 주머니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변 주머니는 상기 제2 쉘 결합 부재에 연결되도록 조정되는 주머니 결합 부재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쉘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쉘 결합 부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고 상기 제1 쉘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쉘 결합 부재는 양면의 통합된 결합 구조이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쉘 결합 부재들은 협력하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 부재들과 수밀 결합을 형성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판 결합 부재들 및 협력하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 부재들은 홈들 및 돌출부들 형태의 상보적 특징부들을 가진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쉘은 강성 또는 반강성이고 상기 디바이스가 환자에 부착될 때 상기 수술로 생성된 구멍 내에 상기 관형 부재를 유지하기 위해 하향 압력을 가하도록 조정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쉘 애퍼처를 폐쇄하기 위한 캡 또는 플러그를 더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관형 부재의 상기 원위 단부는 케이지 지지부들 및 인접하는 케이지 지지부들 사이에 케이지 개구들을 갖는 케이지 특징부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케이지 특징부는 테이퍼져서 상기 케이지 특징부가 상기 몸체 개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직경이 감소하게 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관형 부재는 상기 관형 부재의 상기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는 5mm 내지 12mm의 직경을 가진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는 20mm 내지 60 mm의 길이를 가진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는 가요성이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관형 부재는 상기 관형 부재의 벽 두께 및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관형 부재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내부 리브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관형 부재는 이완된 상태에서 오목한 외향 표면을 갖는 나팔 모양 고정 부분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고정 수단들은 상기 관형 부재의 상기 원위 단부에 또는 그쪽으로 위치되는 팽창식 커프의 형태이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관형 부재의 상기 원위 단부는 사면이어서, 비스듬한 애퍼처를 획정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관형 부재는 형상 기억을 갖는 가요성 메시, 및 상기 메시와 연관되고 삽입을 위해 접철식이고 상기 수술로 생성된 구멍들에 유지를 위해 확장식인 벽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가요성은 니티놀 합금 메쉬로서 형성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관형 부재는 가요성 및 탄성이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쉘은 상기 쉘의 둘레로부터 연장되는 평평한 테두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평평한 테두리는 환자의 피부에 맞닿아 안착하도록 구성되는 밑면을 가진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평평한 테두리의 상기 밑면은 상기 쉘을 상기 환자의 피부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관형 부재는 신생아 환자들을 위해 조정되는 대략 8 French 내지 12 French 사이의 크기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관형 부재는 신생아 환자들을 위해 조정되는 대략 32 French 내지 42 French 사이의 크기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소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수술로 생성된 구멍에 연결하는 방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연결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관형 부재의 입구를 상기 수술로 생성된 구멍 내로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전의 절에 설명된 바와 같은 소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수술로 생성된 구멍에 연결하는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이전의 절들에 설명된 바와 같은 판 구조의 막의 제1 측을 환자의 피부에 위치 및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및 제2 수술로 생성된 구멍들 주변 공간의 체적을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획정하도록 쉘을 상기 수술로 생성된 구멍들 위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제1 판 결합 부재를 쉘 결합 부재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쉘을 상기 판 구조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몸체 개구로부터 소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몸체 개구 위에 배변 주머니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제2 판 결합 부재를 주머니 결합 부재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배변 주머니를 상기 판 구조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관형 부재를 상기 구멍 내로 삽입하기 전에 상기 부재를 접는 단계; 및
삽입 이후 상기 부재가 확장하고 상기 구멍 내에 유지되도록 그것을 해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2 구멍으로 내용물을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는 둘러싸는 벽을 갖는 관형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외부 표면 및 내부 표면을 가지며, 제1 개방 단부로부터 제2 개방 단부로 연장되며,
상기 몸체는 가요성이고 형상 기억을 가지고,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는 단면이 실질적으로 타원형 또는 원형이며,
상기 몸체는 상기 디바이스가 삽입을 위해 접어진 다음 유지를 위해 접어지지 않은 초기 상태로 확장하거나 확장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게 하는 재료로 구성되고,
두 개의 상기 수술로 생성된 구멍 사이에 내용물을 위한 경로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개방 단부는 상기 제1 구멍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개방 단부는 상기 제2 구멍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몸체는 형상 기억을 갖는 가요성 메쉬를 포함하고, 상기 벽은 상기 메쉬와 연관되어 상기 관형 몸체를 내용물이 상기 제1과 제2 구멍들 사이를 통과하도록 형성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가요성 메시는 상기 몸체의 적어도 대부분을 연장하는 일련의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상기 일련의 필라멘트는 상기 벽과 접합되고 삽입을 위해 접철식이며 상기 수술로 생성된 구멍들에 유지를 위해 확장식이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가요성 메쉬는 니티놀 합금 메쉬로 형성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몸체 부분은 굴곡부를 포함하여 U자형, V자형 또는 다른 아치형을 형성하고 상기 골곡부의 양측에 제1 및 제2 림(limb)을 형성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림 및 제2 림은 상기 제1 및 제2 구멍들 내로 삽입되도록 서로에게 가압되어 조정되고, 상기 수술로 생성된 제1 및 제2 구멍들에 유지하기 위해 해제될 때 서로 멀어지는 경향이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개방 단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수술로 생성된 제1 및 제2 구멍들 내로 삽입되고 그것들에 유지되도록 구성된 나팔 모양 고정 부분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몸체 부분은 제거될 때 상기 몸체 부분의 상기 내부 표면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거 가능한 캡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몸체 부분은 상기 외부 표면상에 훅(hook) 또는 루프(loop) 부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 부재는 보조 디바이스에 대한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데 적합하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몸체 부분은 실리콘, 고무, 라텍스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은 단지 예로서 주어지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그리고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명확해질 수 있다.
이하의 설명을 위해, 용어들 "상측", "하측", "우측", "좌측", "수직", "수평", "상단", "하단", "측 방향", "길이 방향" 및 파생어들은 도면들에 배향될 때 본 발명과 관련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달리 명시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양한 대안적인 변형을 가정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되고 이하의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구체적인 디바이스들은 단순히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된 구체적인 치수들 및 기타 물리적 특성들은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단지 예로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며,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연결 디바이스의 정면도를 이완된 상태에서 도시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의 연결 디바이스의 정면도를 이완된 상태에서 도시한다.
도 2b는 임의적인 부착 수단들, 임의적인 돌출부들 및 제1 유형의 임의적인 캡을 갖는 제2 바람직한 실시예의 연결 디바이스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c는 캡이 신체 부위에서 제거된 연결 디바이스의 부분 분해 조립도를 도시한다.
도 2d는 두 개의 임의적인 캡을 포함하는 캡 배열체를 갖는 본 발명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의 연결 디바이스의 정면 부분 분해 조립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바람직한 실시예의 연결 디바이스의 사시도를 이완된 상태에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바람직한 실시예의 연결 디바이스의 사시도를 이완된 상태에서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연결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바람직한 방법을 도시한다.
도 6a는 판 구조와 결합된 커버 디바이스의 상단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b는 도 6a의 분해 조립도를 도시한다.
도 6c는 커버 디바이스 및 판 구조를 포함하는 부품들의 키트의 분해 조립도를 도시한다.
도 7a는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디바이스의 분해 조립 사시도이다.
도 8은 통합된 캡을 포함하는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디바람직한 바이스의 분해 조립 사시도이다.
도 10은 팽창식 고정 커프를 도시하는 더 바람직한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통합된 캡을 갖는 도 10의 디바이스의 밑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삽입기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는 사면 다리 단부들을 도시하는 대안적인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케이지 특징부를 포함하는 다시 단부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들을 포함하는 다시 단부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두꺼워진 벽 영역을 갖는 다리들의 단면도이다.
도 18a는 조밀한 근막을 통해 삽입된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8b는 조밀한 근막을 통해 삽입된 케이지 및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 특징부들을 갖는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9는 배변 주머니를 갖는 하나의 다리가 있는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디바이스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21a는 애퍼처를 갖는 쉘의 개략도이다.
도 21b는 플러그를 갖는 쉘의 개략도이다.
도 21c는 소공으로부터 이어지는 관을 갖는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도들이다.
도 22는 평평한 테두리를 갖는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실시예들 및/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가능한 변형 및 수정이 본 명세서에 설명되고/거나 청구범위에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쉽게 명백할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은 실시예(들) 및/또는 도면(들)에 어떤 식으로도 제한되지 않는다.
제1 바람직한 실시예
도 1 내지 도 1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결 디바이스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연결 디바이스의 정면도를 이완된 상태에서 도시한다. 연결 디바이스는 제1 장루를 제2 장루와 연결하고 내용물을 제1 장루로부터 제2 장루로 전달하는데 적합하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연결 디바이스(100)는 둘러싸는 벽을 갖는 몸체 부분(102)을 포함하며, 이는 즉 관형이고 만곡된 부분(104)을 갖는다. 제1 개방 단부(106) 및 제2 개방 단부(108)가 있다.
몸체 부분(102)은 가요성 및 탄성인 재료로 만들어져 형상 기억 및/또는 탄력성을 갖는다, 즉 몸체 부분(102)은 그것의 원래의 만곡된 형상으로 회복되는 속성을 갖는다. 그것의 이완된 상태에서, 몸체 부분(102)은 U자형 또는 V자형 또는 임의의 다른 아치형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방 단부(106) 및 제2 개방 단부(108)는 나팔 모양/약간의 깔때기 모양이므로 그러한 나팔 모양 단부들 각각의 내경은 나팔 모양이 아닌 몸체 부분(102)의 내경보다 크다. 제1 개방 단부(106) 및 제2 개방 단부(108)의 나팔 모양은 디바이스(100)가 장루들 또는 소공들 내부에 삽입될 때 연결 디바이스(100)의 고정을 돕는다.
그러한 나팔 모양은 또한 연결 디바이스(100)의 가장자리들 주위에서 유체 또는 장 내용물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멍 또는 루멘의 내벽을 밀봉하는 역할도 한다. 이에 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디바이스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몸체 부분(102)은 중공의 일반적으로 원통형 덮인 메쉬 구조이다. 몸체 부분(102)의 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몸체 부분(102)의 대부분, 가장 바람직하게는 전체 몸체 부분(102)으로 연장되는 일련의 와이어 또는 필라멘트를 포함한다.
메쉬 구조의 필라멘트들은 바람직하게는 탄성 형상 메모리 합금 와이어들, 예를 들어, 니티놀과 같은 탄성 재료들로 만들어진 것들이다. 대안적으로, 몸체 부분(102)은 실리콘으로 덮인 니티놀로 형성된다. 다른 재료들은 형상 기억 중합체들 또는 금속들, 또는 단순히 탄성 재료(들), 또는 삽입을 위해 접어진 다음 유지를 위해 확장하는 능력을 가진 기타 재료(들)를 포함할 수 있다.
몸통 벽은 메시가 접철 및 확장될 때, 벽도 이동하여 원하는 몸통 프로파일을 제공하도록 메시와 연관된다. 가요성 메쉬는 몸체 벽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가요성 메쉬는 몸체 벽과 몸체가 메쉬와 연관될 수 있게 하는 다른 층 또는 다른 레이-업 사이에 위치될 것으로도 예상된다.
바람직하게는, 벽은 메쉬가 확장 또는 수축될 때, 벽이 메쉬와 함께 이동하도록 벽에 접합된다.
결과적인 구조는 장 내용물이 통과할 수 있는 관이지만, 이는 또한 관에 그것의 자연 상태에서 그것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 및/또는 배치 전에 압축/접철되는 능력을 부여하는 탄성이기도 하다. 필라멘트들은 편조 형태로 함께 연속적으로 직조될 수 있지만, 구조는 직조된 구조로 제한되지 않고,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용접, 크로셰 세공, 니팅, 타잉, 봉합 또는 그러한 메쉬 또는 상호 연결되는 구조들의 임의의 다른 적합한 생산 방법과 같은 다른 유사한 제조를 포함한다.
제2 바람직한 실시예
도 2a는 본 발명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의 연결 디바이스의 정면도를 이완된 상태에서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제1 바람직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이러한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 디바이스(200)는 관형이고 만곡된 부분(204)을 갖는 몸체 부분(202)을 포함한다. 제1 개방 단부(206) 및 제2 개방 단부(208)가 있다.
몸체 부분(202)은 가요성 및 탄성인 재료로 만들어져 형상 기억 및/또는 탄력성을 갖는다, 즉 몸체 부분(202)은 그것의 원래의 만곡된 형상으로 회복되는 속성을 갖는다. 그것의 이완된 상태에서, 몸체 부분(202)은 U자형 또는 V자형 또는 임의의 다른 아치형을 가질 수 있다.
제1 개방 단부(206) 및 제2 개방 단부(208)는 나팔 모양/약간의 깔때기 모양이므로 그러한 나팔 모양 단부들 각각의 내경은 나팔 모양이 아닌 몸체 부분(202)의 내경보다 크다. 제1 개방 단부(206) 및 제2 개방 단부(208)의 나팔 모양은 디바이스(200)가 장루들 또는 소공들 내부에 삽입될 때 연결 디바이스(200)의 고정을 돕는다. 그러한 나팔 모양은 또한 연결 디바이스(200)의 가장자리들 주위에서 유체 또는 장 내용물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멍 또는 루멘의 내벽을 밀봉하는 역할도 한다.
도 1에 도시된 디바이스(200)의 실시예와 달리, 연결 디바이스(202)의 몸체 부분(202)은 메쉬 강화 구조로서 형성되지 않고, 대신 비메쉬 관형 구조로서 형성된다. 몸체 부분(202)에 적합한 구성 재료의 일부 예는 의료용 실리콘, 실리콘 고무, 폴리우레탄, PVC 또는 라텍스 고무이다. 다른 재료들은 형상 기억 중합체들 또는 금속들, 또는 단순히 탄성 재료(들), 또는 삽입을 위해 접어진 다음 유지를 위해 확장하는 능력을 가진 기타 재료(들)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200)의 몸체 부분(202) 또는 몸체 부분(202)의 일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디바이스(200)는 임의적으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팔 모양 개방 단부(206 및 208) 위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개방 단부(206) 및 제2 개방 단부(208)의 나팔 모양은 신체의 구멍들 또는 소공들 상의 연결 디바이스(200)의 고정을 돕는다. 이러한 임의적인 돌출부들(216)이 또한 고정을 돕고 보다 강한 그립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돌출부들(216)은 임의적으로 양 단부(206 및 208) 대신에, 제1 개방 단부(206) 및 제2 개방 단부(208) 중 하나 위에만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들(216)은 원주형 돌출부들(미도시)의 형태일 수도 있다, 즉 나팔 모양 개방 단부들(206 및 208) 바로 위 몸체 부분의 외부 표면상에 원주 주위로 연장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200)는 임의적으로 만곡된 부분의 정점에 또는 그 부근에 적어도 하나의 캡(205) 및/또는 몸체 부분(202)의 외부 표면상에 하나 이상의 부착 수단(21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b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캡 배열들의 여러 예를 도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캡(205)은 제거 가능한 자기 캡(magnetic cap)이다. 바람직하게는, 캡(205)과 체결되는 몸체 부분(202)의 부분 또한 자성 재료로 만들어져서 캡(205)이 몸체 부분(202)으로부터 자기적으로 부착 및 분리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힌지 연결, 나사 연결, 편향 수단, 파스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한 체결과 같이, 캡(205)을 몸체 부분(202)에 체결하기 위한 다른 대안적인 수단이 동등하게 가능하다. 캡(205) 또는 캡(205)의 적어도 일부분은 마개 유형일 수 있다, 즉 가요성 탄성 재료로 구성되어, 캡(205)의 적어도 일부분이 압축되거나 압착될 수 있게 되어 그것이 내부 부분(211)의 입구 포트를 통과할 수 있게 하고 삽입되면, 캡(205)의 압축 부분은 몸체 부분(202)의 내부 표면에 대해 자체 확장함으로써 밀봉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캡(205)이 있으면 몸체 부분(202)의 내부 부분(211)에 대한 접근이 허용된다. 몸체 부분(202)의 내부에 대한 그러한 접근은 디바이스(200)의 내부 부분(211)을 청소하고 디바이스(200)가 환자의 신체에 주입될 때 디바이스(200)의 내부 부분(211)으로부터 막힘 또는 잠재적인 막힘을 해제하거나 플러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디바이스(200)는 하나의 캡 대신, 도 2d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수의 캡, 예를 들어, 두 개의 캡(205a, 205b)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제1 캡(205a)은 디바이스(200)의 좌측(201)의 내부 부분(211)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고 캡(205b)은 디바이스(200)의 우측(203)의 내부 부분(211)에 대한 접근을 허용한다. 그러한 접근은 디바이스(200)의 좌측(201) 및 우측(203) 또는 양자의 내부 부분(211)을 청소하고 디바이스(200)가 환자의 신체에 주입될 때 디바이스(200)의 내부 부분(211)으로부터 막힘 또는 잠재적인 막힘(200)을 해제하거나 플러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캡들(205a, 205b)은 제거 가능한 자기 캡들이다. 바람직하게는, 캡들(205a, 205b)과 체결되는 몸체 부분(202)의 부분들 또한 자성 재료로 만들어져서 캡들(205a, 205b)이 몸체 부분(202)으로부터 자기적으로 부착 및 분리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힌지 연결, 나사 연결, 편향 수단, 파스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한 체결과 같이 캡들(205a, 205b)을 몸체 부분에 체결하기 위한 다른 대안적인 수단이 동등하게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캡들(205a, 205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의 부분은 상술된 바와 같이 마개 유형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캡의 부착은 적어도 누설 저항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디바이스(200)는 주로 부착 수단(215)에 부착하기에 적합한 대응 수단들을 갖는 배변 주머니 벨트와 같은 보조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에 연결하기 위한 루프 형태의 부착 수단들(215)을 임의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부착 수단들(215)은 훅들, 클립들, 훅 앤 루프 파스너들 등과 같이 보조 디바이스들에 부착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부착 수단들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메쉬 강화 구조를 갖는 도 1의 연결 디바이스(100)는 나팔 모양 개방 단부(들)(106, 108) 위의 돌출부(들) 및/또는 도 2b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상술된 것들과 유사한 적어도 하나의 캡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수단들을 포함하도록 동일하게 설계될 수 있다. 캡은 자석 또는 마개 유형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몸체 부분(102)의 메시 구조의 정점에 위치된다. 유사하게, 디바이스(100)는 또한 하나 이상의 부착 수단을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상술된 것들 유사하게, 디바이스(100)의 부착 수단들은 몸체 부분(202)을 형성하는 동일한 메쉬 구조의 일부로 형성되거나 임의의 적합한 수단들에 의해 몸체 부분에 연결되는 다른 구조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캡(205) 및/또는 부착 수단들(215) 및/또는 돌출부들(216)은 순전히 임의적이다. 캡들(215)이 있거나 없는 덜 복잡한 설계에서도, 여전히 대안적인 기술들을 통해 막힘 또는 잠재적 막힘을 유발하는 내용물을 플러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환자에게 영향을 받은 위장 막힘을 희석하고 플러싱 수 있는 구강 용액(이를테면, 구강 '가스트로그라핀(gastrografin)'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투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또한 막힘 또는 잠재적 막힘이 발생하는 경우 디바이스(100, 200)를 모두 제거하고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디바이스(100, 200)의 몸체 부분(102, 202)은 가요성 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디바이스(102, 202)에 외력을 가하여 압착하는 것 또는 진동도 임의의 막힘 또는 잠재적 막힘을 청소하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임의적으로, 디바이스(100, 200)의 라이닝은 내용물의 통과를 돕고 막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윤활성 재료 또는 윤활성 라이너로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또는 PTFE) 또는 적합한 나노 입자들 또는 생체 적합성 재료들이 윤활성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3 바람직한 실시예 및 제4 바람직한 실시예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제3 바람직한 실시예 및 제4 바람직한 실시예의 연결 디바이스(300) 사시도들을 이완된 상태에서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바람직한 실시예의 디바이스(300)의 몸체 부분(300)은 관형이고 외부 표면(304), 내부 표면(305) 및 길이 방향으로 대향되는 제1 및 제2 개방 단부들(306 및 308)을 가진다.
몸체 부분(302)은 가요성 및 탄성인 재료로 만들어져 형상 기억 및/또는 탄력성을 갖는다, 즉 몸체 부분(302)은 그것의 원래의 세장형 형상으로 회복되는 속성을 가진다.
제1 개방 단부(306) 및 제2 개방 단부(308)는 나팔 모양/약간의 깔때기 모양이므로 그러한 나팔 모양 단부들 각각의 내경은 나팔 모양이 아닌 몸체 부분(302)의 내경보다 크다. 제1 개방 단부(306) 및 제2 개방 단부(308)의 나팔 모양은 디바이스(300)가 장루들 또는 소공들 내부에 삽입될 때 연결 디바이스(300)의 고정을 돕는다. 그러한 나팔 모양은 또한 연결 디바이스(300)의 가장자리들 주위에서 유체 또는 장 내용물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멍 또는 루멘의 내벽을 밀봉하는 역할도 한다.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디바이스(100)와 유사하게, 연결 디바이스(300)의 이러한 제3 바람직한 실시예의 몸체 부분(302)은 중공의 일반적으로 원통형 메쉬 강화 구조이다. 몸체 부분(302)의 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몸체 부분(302)의 길이의 대부분, 가장 바람직하게는 몸체 부분(302)의 전체 길이만큼 연장되는 일련의 와이어 또는 필라멘트를 포함한다.
메쉬 구조의 필라멘트들은 바람직하게는 탄성 형상 메모리 합금 와이어들, 예를 들어, 니티놀과 같은 탄성 재료들로 만들어진 것들이다. 대안적으로, 몸체 부분(102)은 실리콘으로 덮인 니티놀로 형성된다. 다른 재료들은 형상 기억 중합체들 또는 금속들, 또는 단순히 탄성 재료(들), 또는 삽입을 위해 접어진 다음 유지를 위해 확장하는 능력을 가진 기타 재료(들)를 포함할 수 있다. 필라멘트들은 편조 형태로 함께 연속적으로 직조될 수 있지만, 구조는 직조된 구조로 제한되지 않고,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니팅, 용접, 크로셰 세공, 봉합, 타잉, 또는 그러한 메쉬 또는 상호 연결되는 구조들의 임의의 다른 적합한 생산 방법과 같은 다른 유사한 제조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바람직한 실시예의 디바이스(400)는 상술된 제3 바람직한 실시예의 디바이스(3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디바이스(300)와 관련하여 위의 설명 대부분이 디바이스(400)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디바이스(300)의 실시예와 달리, 연결 디바이스(402)의 몸체 부분(402)은 메쉬 강화 구조를 포함하지 않고, 대신 비메쉬 관형 구조로서 형성된다. 몸체 부분(402)에 적합한 구성 재료의 일부 예는 의료용 실리콘, 실리콘 고무, 폴리우레탄, PVC 또는 라텍스 고무이다. 다른 재료들은 형상 기억 중합체들 또는 금속들, 또는 단순히 탄성 재료(들), 또는 삽입을 위해 접어진 다음 유지를 위해 확장하는 능력을 가진 기타 재료(들)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400)의 몸체 부분(402) 또는 몸체 부분(402)의 일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3 및 제4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디바이스들(300 및 400)은 도 2b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돌출부(들) 및/또는 캡(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부착 수단(들)을 임의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캡(들)은 디바이스들(300 및 400)이 아치형 이를테면 U자형 또는 실질적으로 U자형으로 굴곡될 때, 캡이 만곡된 부분의 정점 또는 그 부근에 나타나도록 세장형 몸체 부분(302 및 402)의 중간에 또는 그 부근의 외부 표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하나 이상의 부착 수단이 외부 표면상의 연장된 몸체 부분의 중간 부분과 나팔 모양 부분(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 동안(즉 주입 동안), 제3 및 제4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디바이스들(300 및 400)은 외력을 가하여 U자형 또는 V자형 또는 실질적으로 U자형 또는 V자형과 같은 아치형으로 굴곡되도록 구성된다. 굴곡될 때, 제3 바람직한 실시예의 디바이스(300)는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디바이스(100)와 유사하게 보일 수 있다. 유사하게, 제4 바람직한 실시예의 디바이스(400)는 본 발명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의 디바이스(200)와 유사하게 보일 수 있다. 외력이 해제될 때, 제3 바람직한 실시예의 디바이스(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것의 초기 굴곡되지 않은 상태로 돌아가는 경향이 있을 것이고, 제4 바람직한 실시예의 디바이스(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것의 초기 굴곡되지 않을 상태로 되돌아가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탄성은 장벽에 힘을 가하여 디바이스를 제자리에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제5 바람직한 실시예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5 바람직한 실시예의 연결 디바이스(120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5 바람직한 실시예의 연결 디바이스(1200)는 상술된 연결 디바이스들(100, 200, 300 및 400)에 대한 대안을 제공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연결 디바이스(1200)는 두 개의 관형 부재, 즉 제1 관형 부재(1201) 및 제2 관형 부재(1202) 및 중공 몸체 부재/중간 부재(1203)를 포함한다.
제1 관형 부재(1201)는 길이 방향으로 대향되는 제1 및 제2 개방 단부들(1206 및 1207)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제2 관형 부재는 또한 길이 방향으로 대향되는 제1 및 제2 개방 단부들(1208 및 1209)을 포함한다.
관형 부재들(1201 및 1202)은 가요성 및 탄성인 재료로 만들어져 형상 기억 및/또는 탄력성을 갖는다, 즉 관형 부재는 그것의 원래의 이완된 형상으로 회복되는 속성을 갖는다.
관형 부재들(1201 및 1202)의 제1 개방 단부들(1206 및 1208)은 바람직하게는 나팔 모양/약간의 깔때기 모양이므로 그러한 나팔 모양 단부들 각각의 외경은 나팔 모양이 아닌 몸체 부분의 내경보다 크다. 제1 개방 단부(1206) 및 제2 개방 단부(1208)의 나팔 모양은 디바이스(1200)가 장루들 또는 소공들 내부에 삽입될 때 연결 디바이스(1200)의 고정을 돕는다. 그러한 나팔 모양은 또한 연결 디바이스(1200)의 가장자리들 주위에서 유체 또는 장 내용물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멍 또는 루멘의 내벽을 밀봉하는 역할도 한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 부재들(1201 및 1202)의 제2 개방 단부들(1207 및 1209)은 바람직하게는 칼라 또는 나팔 모양 부분들(1207a 및 1209a)을 갖는다.
중공 몸체 부재(1203)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 구조의 형태이다. 연결 구조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형성물, 즉 입구(1207b) 및 출구(1209b)를 포함한다. 제1 관형 부재(1201)의 제2 개방 단부(1207) 및/또는 칼라 또는 나팔 모양 부분(1207a)은 입구(1207b) 및 제2 개방 단부(1209)와 고정(결합/삽입)되도록 조정되고/거나 제2 관형 부재(1202)의 칼라 또는 나팔 모양 부분(1209b)은 출구(1209b)와 고정(결합/삽입)되도록 조정된다. 예를 들어, 적어도 제2 개방 단부들(1207 및 1209) 및/또는 칼라 또는 나팔 모양 부분들(1207a 및 1209a)은 입구(1207b) 및 출구(1209b)를 통한 삽입을 위해 접힐 수 있고 삽입되면, 그것들은 각각의 입구(1207b) 및 출구(1209b)에 대한 유지를 위해 그것들의 초기 이완된 또는 접히지 않은 상태로 확장할 수 있다. 적어도 이러한 이유로, 관형 부재(1201 및 1202)는 삽입을 위해 접어진 다음 유지를 위해 그것들의 이완된, 즉 초기 접히지 않은 위치로 확장하는 능력을 가진 재료(들)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재료(들)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및 제3 실시예들(100 및 300) 또는 제2 및 제4(200 및 400) 실시예들의 구성에 대해 상술한 바와 동일한 재료(들)일 수 있다.
관형 부재들(1201 및 1202)은 제1 및 제3 실시예들(100 및 300)에 대해 상술한 것들과 유사한 메쉬 구조를 갖거나 제2 및 제4 실시예들(200 및 400)에 대해 상술한 것들과 유사한 비메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관형 부재들(1201 또는 1202) 중 하나는 메쉬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다른 관형 부재(1201 또는 1202)는 비메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칼라 또는 나팔 모양 부분들(1207a 및 1209a)은 관형 부재들(1201 및 1202)이 입구(1207b) 및 출구(1209b)를 통해 삽입/결합될 때 관형 부재들(1201 및 1202)의 고정을 돕는다. 그러한 나팔 모양은 또한 관형 부재들(1201 및 1202)의 가장자리들 주위에서 유체 또는 장 내용물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입구(1207b) 및 출구(1209b)의 내벽을 밀봉하는 역할도 한다. 그에 따라, 칼라 또는 나팔 모양 부분들(1207 및 1209a)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관형 부재들(1201 및 1202)을 입구(1207b) 및 출구(1209b)에 부착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대안적인 수단들, 예를 들어, 나사산 연결, 클립 또는 스냅 핏 연결을 통한 부착, 파스너들을 사용한 부착, 자기 연결 등이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또한, 관형 부재들(1201, 1202)은 브릿징 중공 몸체 부재(1203)와 일체형일 수 있다.
중간 부재(1203)는 바람직하게는 관형 부재와 동일한 재료, 또는 상이한 재료들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중공 몸체 부재(1203) 또는 그것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및 제3 실시예들(100 및 300)에 대해 상술한 것들과 유사한 메쉬 구조를 갖거나 제2 및 제4 실시예들(200 및 400)에 대해 상술한 것들과 유사한 비메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적용될 때, 중간 부재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소공 구멍들을 커버함에 따라 손상 또는 마모로부터 보호한다.
임의적으로 디바이스(1200)는 제거 가능한 캡(1205)을 포함한다.
일부 바람직한 설계에서, 캡은 자기 캡이다. 바람직하게는, 캡(1205)과 체결되는 중간 부재(1203)의 부분 또한 자성 재료로 만들어져서 캡(1205)이 중간 부재(1203)로부터 자기적으로 부착 및 분리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힌지 연결, 나사 연결, 클립핑 메커니즘, 편향 수단, 파스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한 체결과 같이, 캡(1203)을 중간 부재(1203)에 체결하기 위한 다른 대안적인 수단이 동등하게 가능하다. 캡(1205) 또는 캡(1205)의 적어도 일부분은 도 2b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마개 유형일 수도 있다.
캡(1205)이 있으면 중공 몸체 부재(1203) 뿐만 아니라 관형 부재(들)의 내부 부분에 대한 접근이 허용된다. 내부 부분들에 대한 그러한 접근은 내부 부분들을 청소하고 디바이스(1200)가 환자의 신체에 주입될 때 디바이스(1200)의 내부 부분으로부터 막힘 또는 잠재적 막힘을 해제하거나 플러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캡들(1205)이 있거나 없는 덜 복잡한 설계에서도, 여전히 대안적인 기술들을 통해 막힘 또는 잠재적 막힘을 유발하는 내용물을 플러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환자에게 영향을 받은 위장 막힘을 희석하고 플러싱할 수 있는 구강 용액(이를테면, 구강 '가스트로그라핀(gastrografin)'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투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또한 막힘 또는 잠재적 막힘이 발생하는 경우 디바이스(100, 200)를 모두 제거하고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외부로부터 디바이스(1200)에 외력을 가하여 압착하는 것 또는 진동도 임의의 막힘 또는 잠재적 막힘을 청소하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임의적으로, 디바이스(1200)의 라이닝은 내용물의 통과를 돕고 막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윤활성 재료 또는 윤활성 라이너로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또는 PTFE) 또는 적합한 나노 입자들 또는 생체 적합성 재료들이 윤활성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디바이스는 제1 관형 부재, 제2 관형 부재 및/또는 중간 부재의 외부 표면상에 도 2b에 도시된 부착 수단들과 유사한 적어도 하나의 부착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 부재는 훅 또는 루프 형태일 수 있고 보조 디바이스(이를테면 배변 주머니 벨트)에 대한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데 적합하다.
바람직한 사용 방법
본 발명의 연결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하나의 바람직한 방법이 이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연결 디바이스(100)를 사용하는 하나의 방법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제1 구멍 또는 개구(501)를 제2 구멍 또는 개구(502)와 연결하는 연결 디바이스(100)를 도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개구들(501, 502) 각각은 통상적으로 수술로 생성된 개구인 위장관의 장루 또는 소공이다.
도 5b에 도시된 예에서, 연결 디바이스(100)는 훅 형태의 임의적인 부착 수단들(115) 및 개방 단부들(106 및 108) 양자의 나팔 모양 부분들 위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임의적인 돌출부들(116)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연결 디바이스(100)는 제1 개방 단부(106)로부터 제2 개방 단부(108)로 측정될 때 약 140mm로 연장되며, 몸체 부분(102)의 나팔 모양이 아닌 부분의 내경은 약 18mm 직경이고 몸체 부분(102)의 나팔 모양 부분의 내경은 약 24mm이다. 이러한 치수들은 단지 예들일 뿐이라는 점에 유의한다. 연결 디바이스(100)의 직경 및 크기는 소공(들)의 '불룩한(pout)' 정도 및/또는 환자 크기, 연령, 성별 또는 신체 질량 지수 또는 비만과 같은 다른 해부학적 변형 예들과 같은 여러 요인에 따라 더 작거나 더 클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의 제1 개방 단부(106)의 적어도 나팔 모양 부분은 위장관의 제1 개구(501) 내로 삽입되고 디바이스(100)의 제2 개방 단부(108)의 적어도 나팔 모양 부분은 위장관의 제2 개구 내로 삽입된다. 이러한 예에서, 약 40mm의 디바이스(100)가 제1 개구(501) 내로 삽입되고 약 40mm의 디바이스(100)가 제2 개구(502) 내로 삽입된다. 디바이스(100)의 나머지 약 60mm의 일부를 형성하는 만곡된 부분은 삽입되지 않아 환자의 피부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예에서 주어지는 삽입 및 연결 길이들은 달라질 수 있음에 유의한다.
디바이스는 먼저 접히거나 압축된 형태로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되면, 디바이스(100)는 그것의 초기 이완된(접히지 않은 상태) 상태로 확장하거나 확장하는 경향이 있다. 달성되는 이완 정도는 통상적으로 장벽에 의해 생성되는 긴장에 의해 제한된다.
삽입은 손 및/또는 적절한 삽입 도구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되면, 연결 디바이스(100)는 소화 내용물이 제1 개구(501)로부터 제2 개구(502)로 흐를 수 있는 흐름 경로를 제공한다.
나팔 모양 개방형 단부들(106 및 108)은 위장관의 벽에 맞닿아 디바이스(100)가 고정되게 함으로써 우발적인 제거를 방지한다. 그러한 나팔 모양은 또한 연결 디바이스(100)의 가장자리들 주위에서 유체 또는 장 내용물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멍 또는 루멘의 내벽을 밀봉하는 역할도 한다. 임의적인 돌출부들(116)은 위장관에 맞닿음으로써 추가 그립을 제공하여 디바이스(100)의 고정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의 연결 디바이스(200)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제3 및 제4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연결 디바이스들(300, 400)에 관하여, 디바이스들(300, 400)은 먼저 U자형 또는 V자형 또는 실질적으로 U자형 또는 V자형과 같은 아치형으로 굴곡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완된 상태 동안 만곡된 형상의 연결 디바이스들(100, 200)은 그러한 만곡된 디바이스들(100, 200)의 각도가 이완된 상태에서 덜 예리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는 삽입될 때, 그러한 연결 디바이스들이 위장관(또는 소장 또는 대장) 벽들에 닿아 바깥쪽으로 약간 확장됨을 의미한다. 이는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그렇게 위장관 벽들에 닿아 바깥쪽으로 약간 확장되는 것은 장의 연동 동안 디바이스들(100 및 200)의 유지를 돕기에 충분하지만, 동시에 장에 대한 압력이 너무 커 혈액 공급의 국소 손실 또는 "압박 괴사"를 유발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적어도 그러한 이유로, 제1 및 제2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연결 디바이스들(100, 200)은 본 발명의 제3 및 제4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연결 디바이스들(300, 400)보다 더 바람직한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디바이스들(100, 200, 300, 400)의 굴곡 변형량 및 탄성 속성들이 장벽에 가해지는 역 스프링력의 양을 결정할 것이라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속성들은 요구되는 상황들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이제 제5 바람직한 실시예의 연결 디바이스(1200)를 사용하는 하나의 바람직한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제1 관형 부재(1201)의 제1 개방 단부(1206)의 적어도 나팔 모양 부분은 위장관의 제1 개구(501) 내로 삽입되고 제2 관형 부재(1202)의 제2 개방 단부(1208)의 적어도 나팔 모양 부분은 위장관의 제2 개구(502) 내로 삽입된다.
관형 단부들(1201 및 1202)은 먼저 접히거나 압축된 형태로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되면, 관형 단부들(1201 및 1202)은 그것들의 이완된(접히지 않은 상태) 상태로 확장하거나 확장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한 삽입은 손 및/또는 적절한 삽입 도구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제1 관형 부재(1201)의 적어도 제2 개방 단부(1207)는 중간 부재(1203)의 입구(1207b)로 결합/삽입되고 제2 관형 부재(1202)의 적어도 제2 개방 단부(1209)는 중간 부재(1203)의 출구(1209b)로 결합/삽입된다. 디바이스(1200)의 일부를 형성하는 중간 부재(1203)는 삽입되지 않아 환자의 피부 외부로 노출된다.
캡(1205)이 있는 경우, 캡은 닫히는 것이 보장된다.
그러한 방식으로, 연결 디바이스(1200)는 소화 내용물이 제1 개구(501)로부터 제2 개구(502)로 흐를 수 있는 흐름 경로를 제공한다.
제1 관형 부재(1201), 제2 관형 부재(1202) 및 중간 부재(1203)가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조립될 때, 제1 관형 부재(1201)의 제1 개방 단부(1206)는 연결 디바이스(1200)의 제1 개방 단부가 되고 제2 관형 부재(1202)의 제1 개방 단부(1208)는 연결 디바이스(1200)의 제2 개방 단부가 된다.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연결 디바이스들(100, 200, 300, 400 및 1200)은 사용이 간편하고, 전통적인 디바이스들과 달리, 전통적인 배변 주머니가 필요하지 않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를 도시한다. 패드(702)는 수술 중 환자의 신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커버하도록 조정되는 유체 저항성 또는 부분적으로 유체 저항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구멍은 수술로 생성된 개구인 위장관의 장루 또는 소공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체 저항성 재료는 네오프렌 또는 고무 또는 라텍스, 또는 실리콘 또는 적합한 중합체이다.
패드(702)는 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는 임의적으로 볼록 구조(70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패드는 서로 연결되거나 주변 가장자리 부분들에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층 중 하나는 임의적으로 패드의 가요성 및/또는 탄성을 증가시키도록 조정되는 편향 부재(이를테면 스프링)일 수 있다. 편향 부재는 또한 격자 형태일 수도 있다.
사용 시, 패드(702)는 커버링 디바이스로 기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패드(702)는 장루 또는 소공을 커버 또는 밀봉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패드(700)가 피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 테이프가 판 위에 그리고 피부 위에 사용될 수 있다.
패드(702)는 사용자가 허리 주위에 그것을 착용할 수 있게 하는 스트랩들 및/또는 보조 디바이스들(이를테면 배변 주머니 벨트)에 연결하기 위한 부착 수단들을 임의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패드(702)는 네오프렌 및/또는 훅 앤 루프 파스너들로 만들어진 벨트와 같은 배변 주머니 벨트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패드(702)는 커버링 디바이스로 기능할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링 디바이스(700)의 분해 조립도를 도시한다. 커버링 디바이스(700)는 수술 중 환자의 신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커버하는데 적합하다. 구멍은 수술로 생성된 개구인 위장관의 장루 또는 소공일 수 있다.
커버링 디바이스(700)는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 디바이스이다. 제1 부분은 상술한 패드(6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패드(702)이다. 제2 부분은 패드(702)에 의해 지지되도록 조정되는 결합 부재(704)이다. 결합 부재(704)는 커버링 디바이스(700)의 일부이거나 커버링 디바이스(700)의 외부에 있는 다른 결합 부재의 협력하는 결합 구조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결합 구조(706)를 포함한다.
결합 부재(704)는 바람직하게는 링 형태의 클립이다.
결합 구조는 협력하는 돌출부(들)를 고정하도록 조정되는 홈의 형태일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결합 부재(704)의 결합 구조는 협력하는 홈(들)에 고정되도록 조정되는 돌출부의 형태일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커버링 디바이스(700)는 패드의 가요성 및/또는 탄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패드와 제1 결합 부재 사이에 위치되거나 그 사이에 위치되도록 조정되는 편향 부재(이를테면 스프링)를 임의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의 편향 부재는 격자 형태일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커버링 디바이스는 기계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수단을 임의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부착 수단들(이를테면 훅 또는 루프)은 보조 디바이스에 대한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판 구조
도 9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판 구조(900)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b는 도 9a의 판 구조(900)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판 구조(900)는 수술 동안 환자의 피부에 그리고 환자의 신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 주위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구멍은 수술로 생성된 개구인 위장관의 장루 또는 소공일 수 있다.
판 구조(900)는 제1 측(902a) 및 제2 측(902b)을 갖는 얇은 막(902)을 포함한다. 막(902)의 제1 측(902a)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막(902)의 제2 측(902b)에는 결합 부재(904)가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결합 부재(904)는 판 구조(900)의 일부이거나 판 구조(900)의 외부에 있는 다른 결합 부재의 협력하는 결합 구조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결합 구조(906)를 포함한다.
결합 부재(904)는 바람직하게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800) 형태의 클립이다.
막(902)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또는 비닐 재료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막(902)의 제1 측(902a)은 환자의 피부에 접착(바람직하게는 밀봉)하기 위한 접착제 코팅을 갖는다. 접착제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접착제 코팅을 드러내기 위해 사용 중에 벗겨지도록 조정되는 적합한 보호 층으로 덮여 있다. 대안적으로, 접착제는 접착제 코팅을 갖는 대신, 사용 시에 막의 한 측에 수동으로 도포될 수도 있다.
결합 부재(904)의 결합 구조(906)는 협력하는 돌출부(들)를 고정하도록 조정되는 홈의 형태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결합 부재(902)의 결합 구조(906)는 협력하는 홈(들)에 고정되도록 조정되는 돌출부의 형태일 수 있다.
막은 막(902)의 중심 또는 그 부근에 애퍼처를 포함하고 애퍼처의 크기는 판 구조(900)가 사용되도록 의도되는 환자의 신체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임의적으로, 판 구조(900)는 미리 형성된 애퍼처(들)(905)를 갖지 않으며,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사용 전에 절단 도구를 사용하여 적합한 크기의 애퍼처(들)를 실제로 만든다. 결합 부재(902)는 판 구조를 사용하기 전에 애퍼처를 생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천공들을 가질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판 구조(900)는 기계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수단을 임의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부착 수단들(이를테면 훅 또는 루프)은 보조 디바이스에 대한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사용 시, 보호 커버링 재료는 사용자에 의해 벗겨져 접착 코팅이 노출된다. 일 실시예에서, 접착제 코팅이 이미 막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막의 제1 측(902a)에 접착제를 수동으로 도포한다. 그 다음 막(902)에 이미 존재하거나 막(902)에 생성된 애퍼처(들)(905)는 환자의 신체에 형성된 구멍(들)과 정렬되어 애퍼처(들)가 막(902)으로 덮이지 않고 막(902)의 제1 측(902a)이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도록 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판 구조(900)와 커버링 디바이스(700)가 사용 중에 함께 고정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핑 판(700)의 결합 부재(704)는 판 구조(900)의 결합 부재(904)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구체적인 예에서, 커버링 디바이스(700)의 결합 부재(704)의 결합 구조(706)는 홈으로서 형성된다. 그러한 홈은 돌출부로서 형성되는 판 구조(900)의 결합 부재(904)의 결합 구조(906)를 밀봉하거나 고정하도록 조정된다. 밀봉 또는 고정의 한 유형은 스냅 핏 연결일 수 있다.
하나의 옵션에서, 판 구조(900) 및 커버링 디바이스(700)를 포함하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장치가 제조되고 수술 중 환자의 신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멍을 커버하기에 적합한 커버의 구성을 위한 부품들의 키트로서 공급된다.
도 6c는 적어도 판 구조(1115)를 포함하는 부품들의 키트(800) 및 패드(702),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711) 및 결합 부재(704)를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임의적인 구성요소들과 함께 포함하는 커버링 디바이스(700)를 도시한다. 편향 부재(들)(711)는 연결 디바이스에 대한 지지를 제공한다. 편향 부재(711)는 격자 형태이다.
패드(702)가 바깥쪽으로 밀릴 때, 편향 부재(711)의 외측 가장자리가 들어 올려져, 스프링 효과를 제공한다. 그 다음 패드(702)에 더 단단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연결 디바이스는 제1, 제2, 제3, 제4 또는 제5 양태들에 설명된 바와 같은 연결 디바이스(100, 200, 300, 400 또는 1200), 및 상술한 바와 같은 패드(700)를 포함하는 키트의 형태일 수 있다. 사용 시에 패드(700)는 그렇지 않으면 환자의 신체 외부에 노출될 연결 디바이스의 일부분에 지지되도록 조정된다.
키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판 구조(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 시, 커버핑 디바이스(700)의 결합 부재(704)는 판 구조(900)의 결합 부재(904)에 결합되도록 조정된다.
보다 바람직한 사용 방법
본 발명의 연결 디바이스가 도 5a 및 5b를 참조하여 상술한 방식으로 주입되면, 접착 재료를 간단하게 부착하여 환자의 피부 외부에 노출되는 연결 디바이스(100, 200, 300, 400, 1200 또는 2100)의 부분을 고정할 수 있다.
이제 제1 구멍을 제2 구멍과 연결하기 위해 연결 디바이스(100, 200, 300, 400, 1200 또는 2100)를 상술한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는 하나의 바람직한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예에서 각 구멍은 통상적으로 수술로 생성된 개구인 위장관의 장루 또는 소공이다. 방법은 적어도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판 구조(900)의 막(902)의 제1 측(902a)을 환자의 피부에 위치시키고 부착하는 단계; 및
연결 디바이스(100, 200, 300, 400 또는 1200)의 제1 개방 단부(106, 206, 306, 406 또는 1206)를 제1 구멍으로 삽입하고 연결 디바이스의 제2 개방 단부(108, 208, 308, 408 또는 1208)를 제2 구멍으로 삽입하는 단계.
제1 개방 단부(106, 206, 306, 406 또는 1206) 및 제2 개방 단부(108, 208, 308, 408 또는 1208)는 이미 막(902)에 존재하거나 막(902)에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애퍼처를 통해 각각의 구멍으로 삽입된다.
방법은 환자의 신체 외부에 있는 연결 디바이스의 임의의 부분 위에 접착 재료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방법은 환자의 신체 외부에 있는 연결 디바이스(100, 200, 300, 400 또는 1200)의 임의의 부분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은 패드(600)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방법은 판 구조(900)의 결합 부재(904)를 커버링 디바이스(700)의 결합 부재(704)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통합되는 디바이스들
이제 도 8 내지 도 18b를 참조하여, 디바이스(1200)의 다양한 추가 특징이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도면들에 설명된 개별적인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은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들을 달성하기 위해 조합하여 통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특히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통합된 디바이스(2100)가 중공 몸체 부재(2203), 그리고 몸체 입구 및 출구와 유체 연통하고 그것들에 종속하는 제1 및 제2 관형 다리들(2108, 2106)을 포함하는 통합된 디바이스(2100)가 도시되어 있다. 중공 몸체 부재(2203)는 몸체 개구를 포함하고, 캡(2005)은 몸체 개구를 폐쇄하여 다리들 사이의 통로를 완성한다.
디바이스의 설명된 모든 구성은 상이한 요구들을 가진 상이한 환자들에 맞게 조정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은 신생아 환자들 또는 성인 환자들에게 필요한 프로파일 크기를 지정해야 한다.
일부 구성에서, 관형 부재들은 신생아 환자들에게 적합한 8 French 내지 12 French 사이의 크기이다.
다른 구성들에서, 관형 부재들은 성힌 환자들에게 적합한 32 French 내지 42 French 사이의 크기이다.
일부 구성에서, 이전과 같이 환자의 피부에 접착 및 밀봉하기 위해 접착 백킹을 갖는 가요성 판 구조(2900)가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연결 링(2001)은 쉘(2005)에 직접 결합된 가요성 판(2904) 상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캡(2005)은 도 7a 및 도 7b에 설명된 바와 같이 쉘을 획정한다. 쉘(2005)은 소공들 주변 공간의 체적을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획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수술로 생성된 구멍들 주변 공간의 체적은 제1 수술로 생성된 구멍으로부터 제2 수술로 생성된 구멍으로 전달되는 내용물이 주변 공간의 체적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제1 관형 부재와 제2 관형 부재 사이의 경로로부터 분리된다.
2005와 링(2001) 사이의 결합은 실질적으로 누설 저항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릿지(2011)는 대응하는 홈(2012)(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과 결합하도록 조정되지만, 이러한 특징들은 반전되거나 임의의 다른 적합한 결합이 채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결합은 가요성 판(2900)에 쉘(2005)의 안전한 유지를 가능하게 하면서 또한 환자/의사가 2005를 상당히 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이를 돕기 위해, 탭(2006)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구성들에서, 판 구조(2900)는 없고, 쉘(2005)은 환자의 피부에 직접 안착된다. 이는 미숙아 또는 피부가 약한 다른 환자들에게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환자들의 피부는 일부 전통적으로 베이스 판과 같은 접착제로 인해 손상되거나 찢어질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쉘(2005)은 쉘의 둘레(2008)로부터 연장되는 평평한 테두리(2009)을 포함한다. 평평한 테두리(2009)는 환자의 피부에 맞닿아 안착하도록 구성되는 밑면을 갖는다. 평평한 테두리는 환자에 편안하게 배치될 수 있는 평평한 표면을 제공한다.
환자의 피부에 맞닿아 안착하도록 구성된 평평한 테두리(2009)는 쉘(2005)과 통합되거나, 디바이스의 다른 부분과 통합되거나, 또는 디바이스에 결합되는 별도의 구성 요소일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디바이스(1)는 쉘을 환자에게 접착시킴으로써 환자에게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평평한 테두리(2009)의 밑면은 쉘을 환자의 피부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를 포함한다.
다른 구성들에서는, 디바이스가 환자에 접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부드러운 스트랩을 사용하여 디바이스가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쉘(205)은 강성 또는 반강성이고 디바이스가 환자에 부착될 때 수술로 생성된 구멍들 내에 다리들을 유지하기 위해 하향 압력을 가하도록 조정된다.
도 1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캡(2005)은 또한 제자리에 있을 때 디바이스(2100)의 입구 다리(2106)와 출구 다리(2108) 사이의 경로를 완성하는 캡 부분(2205)을 일체로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성들에서, 캡(2005)은 도 1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개구를 밀봉하기 위해 캡의 내부 표면/밑면 상에 경로 밀봉부를 포함한다.
임의적으로, 도 9에 언급된 캡(2005)은 소화 내용물의 배수를 허용하기 위해 상부가 개방된 캡으로 대체될 수 있다. 배수 캡은 (후술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퍼처(3201)를 갖는 쉘(3200)과 유사하다.
이러한 캡은 급성 수술 직후와 같은 상황들에서 유용하며, 디바이스를 부은 소공 내로 삽입하여 그것을 흐르게 유지하고 폐색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다음 준비가 될 때, 애퍼처가 없는 캡(2005)이 몸체(2203) 위에 위치되어 디바이스(2100)의 입구 다리(2106)와 출구 다리(2108) 사이의 경로를 완성하고, 근위로부터 원위 소공으로 영양분이 재순환되게 할 수 있다.
도 8,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디바이스가 메인 몸체(2203), 가요성 판(2900 및 2205)의 세 개의 구성 요소들로 축소되면, 디바이스의 작동이 단순화될 수 있다. 부품들을 줄이면 필요한 조립이 적고 잠재적인 누설 경로가 줄어드는 이점들이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또한 각각 입구 및 출구 다리들(2106 및 2108)의 다리들(2013)을 포함한다. 각 다리 단부(2013)는 디바이스와 장관 사이에서 소화 내용물이 흐를 수 있게 하는 애퍼처를 포함한다.
일부 구성에서, 관형 부재들의 다리 단부들(2013)은 사면이어서, 비스듬한 애퍼처(2015)를 획정한다. 이러한 특징은 다른 설명된 실시예들에 포함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바람직한 구성들에서, 제1 관형 부재 및 제2 관형 부재의 사면 단부 구성들은 서로 반대쪽을 향한다.
사면 단부들(2013)은 애퍼처의 충분히 큰 단면적을 유지하면서, 디바이스의 삽입을 도울 수 있다. 사면 단부(2013) 배열은 또한 장관의 벽이 디바이스의 삽입된 단부들 위에서 펄럭이거나, 그것들을 커버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다른 구성에서, 하나 또는 양쪽 다리 단부(2013)는 도 15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케이지 특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지 특징부는 테이퍼져서, 그것이 디바이스의 몸체(2203)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직경이 감소하게 된다. 케이지 특징부는 선형으로 또는 비선형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테이퍼진 케이지 다리 단부는 테이퍼진 단부에서 코(2016)(도 15 참조)를 형성하여, 다리들을 소공 및 장관 내로 삽입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테이퍼진 프로파일을 가진 디바이스는 디바이스를 소공 내로 삽입하는데 도움이 되는 별도의 삽입기 요소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테이퍼진 케이지 다리 단부가 장관 내로 삽입됨에 따라, 장관은 서서히 강제로 열린다. 다리 단부의 프로파일은 소공 및/또는 장벽에 손상을 주지 않고 소공을 통해 디바이스를 가이드할 수 있다. 테이퍼진 케이지 다리는 디바이스의 삽입을 보조하여, 의료 전문가나 환자가 디바이스를 소공에 쉽게 삽입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테이퍼진 케이지 특징부는 케이지 지지부들(2017)을 포함하여 테이퍼진 다리 단부 프로파일을 형성한다. 테이퍼진 케이지 특징부는 소화 내용물의 흐름을 허용하기 위해 인접한 케이지 지지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케이지 개구들(2018)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지 개구들(2018)은 소화 내용물이 케이지 지지부들 사이에서 쉽게 흐를 수 있도록 크기 및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지 개구들(2018)은 케이지 특징부가 디바이스와 장관 사이의 소화 내용물의 흐름을 과도하게 억제하지 않도록 충분히 크다.
바람직한 구성들에서, 케이지 개구들(2018)은 적어도 이를 달성하기 위해 그것이 종속하는 다리의 단면적의 총 면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지 개구들은 다리 단부들의 테이퍼링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삼각형이다.
바람직하게는, 테이퍼진 케이지 특징부는 둘 이상의 케이지 지지부(2017)에 의해 형성된다. 도시된 구성에서, 테이퍼진 케이지 특징부는 세 개의 케이지 지지부로 형성된다.
케이지 지지부들은 장관을 열어두고 장관 내부 벽들을 떨어뜨려 체결하고 유지함으로써 장벽이 접히는 것을 방지한다.
케이지 지지부들(2017)은 내부 벽들(2)에 가압하므로, 그것들은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관 벽(2)이 다리 단부 위에서 접히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특징은 소화 내용물의 흐름이 적거나 없을 때 특히 유용할 수 있다.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관의 벽(3)은 플랩을 형성하고 다리 단부를 통한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장관의 벽들이 보다 조밀한 근막(4) 또는 근육 조직들에서 함께 힘을 받을 때 폐색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케이지 기능은 이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소화기 내용물이 통과하여 이동하도록 최소한으로 제한된 개방 경로를 제공하려면 장관을 개방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장관이 개방 상태로 유지되지 않으면, 장벽들이 접히거나 안쪽으로 압축되어, 장관의 직경이 줄어든다. 유동 영역 감소를 극복하기 위해 더 높은 압력이 생성된다.
높은 장내 압력은 환자에게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장벽에 손상을 입히고 막힐 수 있으므로 장관 내 높은 압력은 바람직하지 않다. 환자에 팽만감, 메스꺼움, 통증 또는 구토와 같은 증상들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압력 축적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소화 내용물이 디바이스로 난입하여 누설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압력 축적은 바람직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소화 내용물은 근위 장 개구에 맞게 조정된 입구 다리(2108)로부터 원위 장 개구에 맞게 조정된 출구 다리(2106)로 흐른다. 이 디바이스는 바람직한 구성에서 수동이므로, 소화 내용물은 단지 소화 내용물을 근위 다리로부터 원위 다리로 가압하기에 충분한 압력이 생성되는 경우 원위 장 개구에 맞게 조정된 다리에서 흘러나온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지는 장관을 개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케이지 특징부의 길이 방향 축 주위에 균일하게 분산된다.
임의적으로, 3개의 케이지 지지부가 테이퍼진 케이지 단부 주위에 120°간격으로 떨어져 위치된다.
임의적으로, 4개의 케이지 지지부가 테이퍼진 케이지 단부 주위에 90°간격으로 떨어져 위치된다.
테이퍼진 케이지 단부의 구조는 삽입의 용이성, 디바이스가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장관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 그리고 소화 내용물이 흐를 수 있게 하기 위해 개구들의 면적을 최대화하는 것 사이에 시너지를 제공하는 다목적 기능이다.
바람직하게는, 테이퍼진 케이지 단부의 구조는 의료 장비 또는 전용 삽입기 디바이스 없이도 디바이스를 환자에 삽입될 수 있게 하여, 삽입의 용이성을 개선한다. 이는 도구가 없거나 의료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이 디바이스를 쉽게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임의적으로, 디바이스의 다리들은 도 16 &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2030)를 더 포함한다.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들(2030)은 다리들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들(2030)은 소공 내로 삽입되도록 조정되는 디바이스의 다른 부분들보다 작은 직경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성들에서,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들(2030)은 5mm 내지 12mm의 직경을 가진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들(2030)은 20mm 내지 60mm의 길이를 가진다.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들(2030)은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를 따라 소공 내로 삽입되도록 조정되는 디바이스 부분들보다 먼저 소공 내로 쉽게 통과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길이를 제공함으로써 소공을 통해 장관(2) 내로 디바이스의 삽입을 돕는다.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들(2030)은 디바이스의 후속 부분들보다 더 적은 저항으로 소공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성들에서,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들(2030)은 가요성이다. 가요성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들(2030)은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들이 장관을 부드럽게 곧게 펴면서도 장관의 자연적인 프로파일/굴곡을 허용할 수 있기 때문에, 소공을 통해 장관(2)으로 불편함을 줄이면서 쉽게 삽입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들(2030)은 실리콘 또는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는 다른 적합한 재료들과 같은 유연한 및 가요성인 재료를 포함한다.
설명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들(2030)은 디바이스의 삽입 용이성을 개선한다. 이는 환자가 디바이스를 올바른 위치 내로 삽입할 수 있다는 확신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가요성 가이드 부재들(2030)은 디바이스의 입구 및 출구에서 또는 그 부근에서 루멘의 일부가 되고/거나 장관을 부드럽게 곧게 펴도록 장의 형태로 구부러지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바람직한 구성들에서, 입구 및 출구 다리들의 외벽은 내공 및 장관 내로 삽입되도록 조정된 원형 단면 프로파일을 형성한다. 원형 다리 프로파일은 불편함을 최소화하면서 다리들이 삽입될 수 있게 하고 소공 및 장벽에 손상을 줄 가능성을 줄인다.
일부 구성에서, 입구 및 출구 다리들의 외부 측벽(2040)은 다리들의 벽 두께(2042)가 다리들의 둘레 주위에서 균일하도록 원형 프로파일을 형성한다.
다른 구성들에서, 입구 및 출구 다리들의 측벽은 원형이 아닌 프로파일을 형성하여, 다리들의 벽 두께(2042)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들의 둘레 주위에서 균일하지 않게 된다.
일 구성에서, 다리들은 다리의 내부 벽(2041)이 안쪽으로 돌출하도록, 다리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내부 리브(2044)를 포함한다. 내부 리브는 다리의 두꺼워진 벽 영역에서 벽 두께를 증가시켜 유로 영역을 너무 많이 줄이지 않으면서 다리의 강성을 증가시킨다.
다리의 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내부 리브(2044)는 다리가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때 다리를 비교적 강성으로 유지함으로써, 다리의 삽입을 돕는다. 내부 리브(2044)를 갖는 더 단단한 다리는 이를테면 삽입 동안 다리 단부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다리가 짧아질 때, 다리가 접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내부 리브(2044)가 있은 다리는 다리에 더 단단한 구조를 제공하며, 이는 디바이스가 소공을 통해 완전히 삽입되고 올바른 개방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그것의 구조를 길이 방향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디바이스 사용의 용이성과 환자가 디바이스를 성공적으로 삽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개선할 수 있다.
내부 리브는 다리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리브는 다리의 상당한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일부 구성에서, 디바이스의 입구 다리(2106) 및 출구 다리(2108)는 도 9 및 도 1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길이들을 갖는다.
바람직한 구성들에서, 근위 단부 내로 삽입되도록 조정된 입구 레그(2106)는 원위 단부에 맞게 조정된 출구 레그(2108)보다 더 짧다. 소화 내용물을 장관에서 더 하류로 보내려면 원위 단부 내로 삽입되도록 조정된 다리가 더 길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이한 다리 길이들은 소공의 통상적인 배향과 대응한다. 입구 다리(2106)는 디바이스가 소공에 더 잘 안착되도록 더 짧다. 이는 일반적으로 소화 내용물이 환자 신체 외부(그리고 배변 주머니로)로 향하도록 장루의 근위 림이 외전되기 때문이다. 외전된 소공은 소화 내용물이 환자의 피부에서 멀어지게 보내고 누설 가능성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사실상, 더 짧은 입구 레그(2106)는 디바이스(2013)의 양 단부가 장관 내에서 유사한 깊이들에 위치되게 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입구 및 출구 다리들(2106, 2108)의 단차는 다리들의 돌출 또는 나팔 모양 영역들(예를 들어, 커프들(2120))이 서로 인접하지 않게 위치됨을 의미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할 수 있다. 다리들이 단차는 각각의 다리들에서의 나팔 모양 영역들이 서로 밀면서 과도한 압력이 발생할 가능성을 제한할 것이다. 과도한 압력은 혈액 공급의 손실과 압박 괴사로 이어질 수 있으며, 복벽에 천공을 일으켜 심각한 합병증이 될 수 있다.
다른 구성들에서, 입구 다리(2106)는 출구 다리(2108)보다 더 길다.
일부 구성에서, 입구 다리는 출구 다리보다 더 큰 직경을 포함한다. 더 좁은 출구 다리는 예를 들어, 폐용 위축 또는 허혈로 인한 원위 장루 또는 점액 누공 또는 협착 원위 개구들이 있는 성인에, 또한 장 폐쇄증 수술 후 어린이에게도 나타나는 좁은 원위 개구들의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임의적으로, 디바이스는 보다 효과적인 밀봉을 이루고, 디바이스의 다리들 주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누설을 잡고/거나 제한하기 위해, 2005 아래 공간 2014(도 11 참조)에, 거즈, 폼, 왁스, 스펀지 또는 젤(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흡수성 재료를 포함한다.
특히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여, 디바이스(2100)의 추가적인 임의적 특징들이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는, 커프들(2120)이 디바이스(2100)의 다리들의 단부들에 위치되는 팽창 가능한 링 벌룬들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2100)가 소공 내로 삽입된 후, 각각의 커프(2120)는 식염수 또는 다른 적합한 기체/액체의 주입을 통해 팽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구(2121)가 제공되고 각 커프(2120)와 유체 연통된다. 각 커프로 그리고/또는 각 커프로부터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밸브가 제공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장에서 밀봉을 개선하고/거나 유지를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연결 디바이스(2100)를 소공 내에 위치시키는 것을 보조하기에 적합한 삽입기 장치(2300)가 도시되어 있다.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강성이고, 연결 디바이스(2100)에 삽입하기에 적합한 형태를 취한다. 삽입기 장치(2300)는 각각 연결 디바이스 다리(2108 및 2106) 내부에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배향된 다리 부분(2308) 및 다리 부분(2306)을 포함한다. 탄성 및 가요성 연결 디바이스(2100) 내부에 삽입기(2300)가 있으면, 연결 디바이스는 소공 내로 더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삽입기(2300)는 후술될 바와 같이, 적절한 유지 커프의 배치를 돕기 위해 각 단부에서 또는 그쪽으로 구근 모양 영역들(2400)을 임의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리들을 순차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삽입기가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추가의 대안적인 유지 커프(2220)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유지 커프들(222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쪽으로 오목한 자연스러운 이완된 상태를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유지 커프들(2220)은 또한 형상 기억을 갖는 가요성 및 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커프들(2220)은 삽입기(2300)(도 13에 도시되고 구근 모양 영역들(2400)을 포함함)가 커넥터 몸체(2203) 내로 삽입될 때 볼록한 외향 형상을 갖춘다. 이러한 상태에서, 삽입기 및 연결기 몸체가 소공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삽입기(2300)의 회수시, 구근 모양 영역(2400)은 더 이상 커프들(2220)을 볼록한 외향 상태로 압박하지 않고, 커프들(2220)은 그것들의 자연스러운 바깥쪽으로 오목한 상태로 이완된다. 이는 유지 커프들이 효과적으로 '반전'되도록 하여 장벽에 진공을 생성하여, 밀봉 및/또는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추가의 대안적인 설계들에서, 디바이스의 다리들은 또한 피부의 원형 소공 애퍼처를 통해 최적으로 통과하고 정렬하기 위해, 반원형 또는 타원형을 취할 수도 있다.
단일 다리
다른 구성에서, 디바이스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관형 다리 부재(3001)를 포함한다. 단일 관형 다리 부재는 가요성 및 탄성이다.
이중 다리 구성들에 대해 설명된 임의의 기능들은 단일 다리 구성들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 구성의 단일 관형 다리 디바이스는 말단 소공 내로 삽입되도록 조정된다. 하나의 다리가 있는 디바이스는 방광 절제 후 소변 저장소를 만들기 위해 소장의 한 부분으로 말단 소공을 만드는 요로 절제술에서도 유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일 관형 다리 디바이스는 근위 소공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는 소공으로부터 소화 내용물을 수용하는데 특히 유용할 수 있다.
단일 다리가 있는 디바이스는 통상적으로 소공에서의 소화 내용물을 환자의 피부로부터 멀어지게 하고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 주머니(3100)로 보내는데 사용될 수 있는 소공 어댑터 역할을 한다.
사용하지 않는 기간에는 이를테면 환자가 운동을 시작할 때 소공에 연결된 디바이스가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또는 플러그(3402)를 사용하여 차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캡 또는 플러그(3402)가 쉘 애퍼처를 폐쇄한다.
다른 구성들에서 상술된 특징들은 단일 관형 다리 구성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쉽게 삽입될 수 있고 소공 내에 머무르며 누설 가능성이 적은 간단한 수동 디바이스의 유사한 이점들을 제공한다.
일부 구성에서, 단일 다리(3001) 디바이스는 도 7a 내지 도 18b에서 설명된 구성들과 유사하지만 하나의 관형 다리 부재를 갖는다. 이러한 단일 다리 구성에 따른 디바이스는 몸체 개구(3002) 및 몸체 개구로부터 떨어진 원위 단부에 위치되는 입구(3003)를 포함하며, 입구는 수술로 생성된 구멍 내로 삽입되도록 조정된다.
바람직한 구성들에서, 단일 다리 디바이스는 케이지 지지부들 및 인접하는 케이지 지지부들 사이에 케이지 개구들을 갖는 케이지 특징부(3004)를 포함한다. 두 다리 연결 디바이스에서 전술된 케이지 특징은 단일 다리 디바이스에서 동일한 이점들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단일 다리 디바이스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구조(3300)를 포함한다. 판 구조는 도 8 및 도 9에 설명되고 도시된 구성에서 설명된 구조(2900)와 유사하다.
일부 구성에서, 단일 다리 디바이스는 환자의 피부에 맞닿아 배치되는 쉘을 포함하며, 평평한 테두리는 도 22에 설명되고 도시된 구조와 같이 쉘의 둘레로부터 연장된다.
일 구성에서, 단일 다리 디바이스는 도 7b에 도시된 캡(1205)과 유사한, 몸체 개구를 폐쇄하여 내부 챔버를 형성하기 위한 캡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성들에서, 단일 다리 디바이스는 공간의 체적이 내부 챔버와 분리되고 관형 부재로 들어가는 내용물이 주변 공간의 체적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소공 주변 공간의 체적을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획정하는 쉘(3200)을 포함한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는 다른 구성에서. 쉘(3200)은 소공 주변 공간의 체적을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획정한다. 쉘(3200)은 서로 대향하는 내부 및 외부 측을 갖는다.
일부 구성에서, 쉘(3200)은 애퍼처(3201)를 포함한다. 애퍼처(3201)는 도 19 및 도 21a에서 화살표들로 표기된 바와 같이, 소화 내용물이 관형 다리(3001)에서 흘러 나올 수 있게 한다. 애퍼처(3201)는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3402)를 사용하여 일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쉘(3200)은 소화 내용물이 쉘의 외부 측 상으로 몸체 개구를 빠져 나가도록 몸체 개구(3200)에 또는 그쪽으로 다리/관형 부재(3001)에 연결된다(도 19). 구성요소들의 상호 작용은 소화 내용물이 소공에서 흘러 나와 피부(및 판 구조)로부터 멀어지고,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깨끗한 유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쉘(3200)의 내부 측은 소화 내용물로부터 부리되고 '깨끗한' 상태로 유지된다.
쉘 부재(3200)는 바람직하게는 환자의 피부(또는 판 구조)와, 배변 주머니에 있는 소화 내용물의 격납 사이에 분리된 챔버를 제공한다.
쉘 부재(3200)는 바람직하게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쉘 결합 부재(3202)를 포함한다. 쉘 결합 부재는 협력하는 결합 부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쉘 결합 부재(3202)는 판 결합 부재(3302)에 연결된다. 쉘 및 판 결합을 연결하면 쉘이 판 부재 상에 유지된다. 쉘이 판에 고정될 때, 관형 다리(3001)에 하향 압력이 가해져 소공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바람직한 구성들에서, 몸체 개구로부터 소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해 몸체 개구(3002)를 커버하도록 배변 주머니가 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배변 주머니(3100)는 주머니를 쉘(3200)에 연결하도록 조정될 주머니 결합 부재(3101)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쉘은 제2 결합 부재(3203)를 포함한다. 주머니 결합 부재(3101)는 제2 쉘 결합 부재(3203)에 연결되도록 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쉘 결합 부재들은 디바이스의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수밀 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쉘의 둘레 주위로 이어진다.
일부 구성에서, 주머니(3100)는 쉘의 하측 둘레(3210)에 결합된다. 하측 둘레의 결합을 통해 주머니가 전체 쉘 위에 놓이도록 하여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형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제1 쉘 결합 부재(3202) 및 제2 쉘 결합 부재(3203)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둘레를 갖는다.
바람직한 구성들에서, 제1 쉘 결합 부재(3202) 및 제2 쉘 결합 부재(3203)는 양면의 통합된 결합 구조(3205)이다. 통합된 결합 구조는 쉘이 판 구조(3300) 및 주머니(3100) 양자를 연결하는 간단한 구조를 제공한다.
일부 구성에서 통합된 결합 구조(3205)는 배변 주머니(3100)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외부 또는 상향 결합, 및 베이스 판 구조(3300)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내부 또는 하향 결합을 제공한다.
일부 구성에서, 디바이스는 관(3007)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관(3007)은 (다리(3001)를 통해) 내공으로부터 밀봉된 애퍼처를 통해 쉘(3200)의 외부로 내용물을 전달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관은 소공 부위로부터 다리 스트랩과 같이 복부보다는 주머니를 유지하기에 더 편리한 장소로 내용물을 운반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직업을 가진 환자들 또는 그들이 특정 활동을 수행하는 경우 더 편리하고 선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화 내용물을 복부가 아닌 다른 곳(예를 들어, 바닥)에 위치한 배변 주머니로 보내는 관은 환자가 보다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게 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설명된 구성들은 상이한 의료 요구들을 가진 상이한 환자들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 구성에서, 디바이스는 도 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관 절개 환자들에 사용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요루들(7)은 일반적으로 방광암(또는 방광을 침범하는 암들)과 관련하여, 방광 제거(방광 절제술) 후 소변을 몸 밖으로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소공들이다. 요관들은 말단 소공과 동일한 방식으로 신체를 빠져 나가는 소장의 분리된 부분에 봉합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관(3007)은 소변을 보다 분리된 또는 유용한 위치로 멀리 운반하기 위해 제공된다.
예를 들어, 환자는 복부보다는 소변 주머니의 무게를 다리에 싣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소변 주머니의 무게를 소공 밀봉부로부터 멀리 옮기면 밀봉부에 장력을 줄여 누설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변형
전술한 내용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예로서 주어졌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바와 같이 그러한 모든 수정 및 변형은 본 발명의 넓은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될 것으로 예상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연결 디바이스의 나팔 모양 단부들은 양쪽 개방 단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나팔 모양 단부가 두 단부 중 하나에만 존재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임의적으로, 연결 디바이스는 개방 단부들 중 하나에 고정하기 위한 적절한 추가 및/또는 대체 수단들 또는 방법들을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연결 디바이스들은 소화 내용물을 하나의 장루로부터 다른 장루로 전환하기 위해 수술로 생성된 위장관의 장루들 또는 소공들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제시된다. 그러나 연결 디바이스들은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거나 내용물을 하나의 구멍으로부터 다른 구멍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사람 또는 다른 동물들의 신체에 형성된 다른 적합한 구멍들(질병으로 인해 생성된 구멍 포함)을 연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b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각 연결 디바이스의 몸체 부분은 단일 부품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몸체 부분은 대안적으로 하나로 된 몸체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연결되는 둘 이상의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에서, 몸체 부분은 적어도 캡,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제거 가능한 캡과 연결되는 두 개의 별개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조각을 연결하거나 결합하는 다른 대안적인 방법들은 파스너들 등을 사용하여 용접, 접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 조각에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나사 배열, 클립 배열, 스냅 핏 배열 및/또는 자기 연결을 위한 배열과 같은 적합한 결합 메커니즘들이 제공될 수 있다.
연결 디바이스들은 벨트 또는 스트랩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광범위하게는,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지칭되거나 지시된 부분, 요소 및 특징 및 상기 부분, 요소 또는 특징 중 임의의 둘 이상의 임의의 또는 모든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본 발명과 관련된 당 업계에 알려진 등가물을 갖는 특정 정수가 본원에 언급된 경우, 이러한 알려진 등가물은 개별적으로 제시된 것처럼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추가 이점들
상술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통상의 기술자는 여기에 대안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소화 내용물의 그러한 수동적 전환을 매력적이지 않게 만든 과거의 주요 문제들을 최소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커버 설계들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한 주요 문제들은 다음과 같다.
i) 수동 전환 관 주변의 누설-그러한 누설은 제한 및/또는 흡수될 수 있다.
ii) 근위(상류) 장의 연동 또는 우발적인 제거에 의한 관의 축출-사용하기 쉬운 커버들은 설명된 대로 연결 디바이스를 제자리에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iii) 패시브 공간에서 내용물의 정체/막힘-설명된 디바이스(및/또는 존재하는 경우 캡)의 유연한 특성은 막힘 제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설명된 실시예들은 소공(들) 내로 삽입되도록 조정된다. 소공과 같이 수술로 생성된 구멍 위에 간단히 위치되는 것이 아니라 삽입되도록 조정된 디바이스가 바람직하다.
설명된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와 환자 사이의 소화 내용물의 유입 및 유출이 환자의 신체 내에서 발생(즉, 다리들(2106, 2108, 3001)이 소공 내로 삽입됨)하므로 누설 가능성을 제한한다.
다리(들)가 있는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외전된 정상 소공 내로 삽입되도록 조정된다(소공이 환자의 피부를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소화 내용물이 바깥쪽으로 향한다).
디바이스는 또한 수축 또는 탈출과 같은 문제들이 있을 때 소공들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환자가 수축된 소공을 가지고 있거나, 소공이 피부 표면 아래에 있거나 또는 피부 표면에 맞닿아 평평하게 놓여 있는 경우(외전되지 않음), 디바이스의 다리들은 소화 내용물을 환자의 피부로부터 멀리 가이드하여 누설 가능성을 줄인다. 전통적으로 이러한 소공들은 일반적으로 누설을 유발하고 주변 피부를 손상시키는 문제들이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또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관 내벽이 피부 개구를 통해 짧아져 소공(6)이 탈출된 환자들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탈출된 소공(6)은 디바이스가 소공에 지속적으로 낮은 하향 압력을 가함에 따라 디바이스가 소공을 통해 삽입될 때 감소되거나 반전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삽입될 때, 소공이 다시 탈출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한다.
일부 구성에서, 디바이스가 소공 내에 삽입된 다리(들)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해 고정되도록, 캡 또는 쉘이 판 구조(2900, 3300)에 결합되거나 환자의 신체에 맞닿아 부착/압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쉘은 강성 또는 반강성이다.
설명된 디바이스들은 또한 피부 주름 또는 비만의 경우 피지 후에 또는 흉터나 기형의 다른 영역들에 놓이는 소공들과 같이, 불완전하게 위치된 소공들을 위한 다른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배변 주머니)에 대한 어댑터 역할을 하기 때문에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설명된 디바이스들은 막히는 경향이 있는 소공들을 갖거나, 장이 부어오르는 환자들에, 또는 복벽을 통한 소공 애퍼처가 너무 조일 때 특히 유용하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디바이스는 소화 내용물이 좁아지거나 막힌 부위를 통해 흐르기 위한 장관 스트레이너 또는 도관 역할을 한다.
이러한 수동 디바이스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디바이스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설명된 디바이스는 소공으로 디바이스를 삽입하는 편의성을 개선한다. 사용하기 쉬운 디바이스는 치료 순응도를 높일 수 있다.
근위와 원위 장 개구 사이의 구동력은 유동 압력에 의해 제공되고, 일반적으로 외부 펌프가 필요하지 않다. 설명된 간단한 디바이스는 기계적 고장 가능성을 줄인다.
또한, 디바이스는 재사용을 위해 일부 구성에서 쉽게 청소/소독될 수 있다.
설명된 디바이스는 의료 전문가 또는 환자가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디바이스를 간단하고 사용하기 쉽게 만드는 특정 기능들을 포함한다.
연결 디바이스의 이점은 그것이 부분적으로 외부 구성요소이고, 사실상 영향이 적다는 점이다. 연결 디바이스는 전통적인 배변 주머니를 착용하는 것보다 훨씬 사용하기 쉽고 부담이 적다.
환자들은 바람직한 구성들에서 연결 디바이스이가 휴대용이고, 가정에서 자체 작동 및/또는 관리될 수 있으므로 디바이스가 매력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환자가 스스로 디바이스를 관리할 수 있으므로 일부 병원 자원이 절약될 수 있어 유용하다.
배변 주머니를 비울 걱정이 없다. 연결 디바이스는 환자의 독립성을 가능하게 하고 그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주머니들이 가득 차게 될 때 때때로 발생하는 배변 주머니 누설 위험이 없다.
본 발명이 관련된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구성 변경 및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응용 분야가 제안될 것이다.

Claims (106)

  1. 수술로 생성된 제1 구멍을 수술로 생성된 제2 구멍과 연결하고 상기 제1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2 구멍으로 내용물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 디바이스로서,
    본체 입구 및 본체 출구를 갖는 중공 본체 부재;
    상기 본체 입구와 유체 연통하고 그로부터 종속하는 제1 관형 부재로서, 상기 중공 본체 부재로부터 떨어진 원위 단부에 위치되는 입구를 갖는, 상기 제1 관형 부재; 및
    상기 본체 출구와 유체 연통하고 그로부터 종속하는 제2 관형 부재로서, 상기 중공 본체 부재로부터 떨어진 원위 단부에 위치되는 출구를 갖는, 상기 제2 세관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 몸체 부재는 몸체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1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2 구멍으로 내용물의 수동적 전달을 위해 상기 제1 관형 부재와 상기 제2 관형 부재 사이의 경로를 완성하기 위해 상기 몸체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제1 및 제2 수술로 생성된 구멍들 주변 공간의 체적을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획정하는 쉘을 추가로 획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강성 또는 반강성이고, 상기 디바이스가 환자에 부착될 때 상기 수술로 생성된 구멍들 내에 상기 제1 및 제2 관형 부재들을 유지하기 위해 하향 압력을 가하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몸체 개구를 밀봉하도록 조정된 상기 캡의 내부 표면상에 경로 밀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수술로 생성된 구멍들 상기 주변 공간의 체적은 상기 제1 수술로 생성된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2 수술로 생성된 구멍으로 전달되는 내용물이 상기 주변 공간의 체적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제1 관형 부재와 상기 제2 관형 부재 사이의 상기 경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분리되고 제거 가능하며 제거될 때 상기 중공 몸체 부재의 내부 표면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가능한 캡은 자기 연결 또는 압입 연결을 통해 상기 중공 몸체 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8.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및 상기 쉘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몸체 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관형 부재들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관형 부재들은 상기 중공 몸체 부재로부터 분리되고 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형 부재 및 제2 관형 부재는 가요성 및 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환자의 피부 및 상기 수술로 생성된 제1 및 제2 구멍들 주위에 제거 가능한 부착을 위한 판 구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 구조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측 및 제2 측을 갖는 막으로서, 상기 막의 상기 제1 측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막; 및
    상기 막의 상기 제2 측에 부착되는 제1 판 결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판 결합 부재는 협력하는 제1 결합 부재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부재는 상기 쉘을 상기 판 구조에 연결하도록 조정되는 상기 쉘의 쉘 결합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 결합 부재 및 상기 제1 결합 부재는 홈 및 돌출부 형태의 상보적 특징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 저항성 및/또는 유체 흡수성이고 수술 중 환자의 신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커버하도록 조정되는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상기 패드의 가요성을 증가시키도록 조정되는 격자 스프링 편향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상의 패드 결합 부재가 상기 패드를 상기 판 구조에 연결하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18. 제 12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 결합 부재는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수밀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19. 제 12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판 결합 부재는 제1 결합 부재와 클립핑되도록 조정되는 링 형태의 클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20. 제 13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상기 쉘의 둘레로부터 연장되는 평평한 테두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평평한 테두리는 환자의 피부에 맞닿아 안착하도록 구성되는 밑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평한 테두리의 상기 밑면은 상기 쉘을 상기 환자의 피부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형 부재 및 상기 제2 관형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원위 단부는 상기 내용물이 통과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케이지 지지부들 및 인접하는 케이지 지지부들 사이에 케이지 개구들을 갖는 케이지 특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특징부는 테이퍼져서 상기 케이지 특징부가 상기 중공 몸체 부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직경이 감소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양자의 관형 부재는 상기 관형 부재의 상기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25.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들은 가요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들은 5mm 내지 12mm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27. 제 24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들은 20mm 내지 60mm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28.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형 부재 및 상기 제2 관형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관형 부재의 벽 두께 및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관형 부재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내부 리브(ri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29. 제 1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관형 부재는 이완된 상태에서 오목한 외향 표면을 갖는 나팔 모양 고정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30. 제 1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팔 모양 부분은 각각의 관형 부재의 상기 원위 단부에 또는 그쪽으로 위치되는 팽창식 커프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31. 제 1 항 내지 제 21 항 및 제 24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형 부재 및 상기 제2 관형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원위 단부는 사면이어서, 비스듬한 애퍼처를 획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32. 제 1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관형 부재들 중 하나는 상기 제1 및 제2 관형 부재들 중 다른 하나보다 길어서 더 긴 상기 관형 부재가 각각의 상기 수술로 생성된 구멍 내로 더 삽입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33. 제 1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관형 부재들은 각각 대략 8 French 내지 12 French 사이의 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34. 제 1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관형 부재들은 각각 대략 32 French 내지 42 French 사이의 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35. 제 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형 부재는 상기 제2 관형 부재보다 큰 직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36. 제 1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고무, 라텍스 또는 플라스틱이 다음의,
    f) 제1 관형 부재,
    g) 제2 관형 부재,
    h) 몸체 부재,
    I) 케이지 특징부 및
    j)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 중 하나 이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37. 제 1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형 부재, 제2 관형 부재 및/또는 상기 중공 몸체 부재는 형상 기억을 갖는 가요성 메시 및 상기 메시와 연관되고 삽입을 위해 접철식이고 상기 수술로 생성된 구멍들에 유지를 위해 확장식인 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38. 제 1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요성 메쉬는 니티놀 합금 메쉬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39. 수술로 생성 제1 구멍을 수술로 생성된 제2 구멍과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연결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제1 관형 부재의 입구를 상기 제1 구멍 내로 삽입하고 상기 제2 관형 부재의 출구를 제2 구멍 내로 삽입하여 상기 제1 및 제2 구멍들이 상기 제1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2 구멍으로 내용물의 수동적 전달을 위해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연결되게 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수술로 생성된 제1 구멍을 수술로 생성된 제2 구멍과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판 구조의 막의 제1 측을 환자의 피부에 위치 및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1. 제 39 항 또는 제 40 항에 있어서 수술로 생성된 제1 구멍을 수술로 생성된 제2 구멍과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수술로 생성된 구멍들 주변 공간의 체적을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획정하도록 제 2 항 내지 제 5 항 및 제 20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쉘을 상기 제1 및 제2 수술로 생성된 구멍들 위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판 결합 부재를 쉘 결합 부재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쉘을 상기 판 구조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2. 제 39 항 내지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술로 생성된 제1 구멍을 수술로 생성된 제2 구멍과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관형 부재와 상기 제2 관형 부재 사이의 상기 경로를 폐쇄하기 위해 몸체 개구 위에 캡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3. 제 39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수술로 생성된 제1 구멍을 수술로 생성된 제2 구멍과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관형 부재 또는 제2 관형 부재를 각각의 상기 구멍 내로 삽입하기 전에 각각의 상기 부재를 접는 단계; 및
    삽입 이후 각각의 상기 부재를 해제시키고 각각의 상기 부재가 각각의 상기 구멍 내에 유지되도록 확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수술로 생성된 구멍으로부터 소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연결 디바이스로서,
    몸체 개구 및 상기 몸체 개구로부터 떨어진 원위 단부에 위치되는 입구를 갖는 관형 부재로서, 상기 입구는 상기 수술로 생성된 구멍 내로 삽입되도록 조정되는 상기 관형 부재; 및
    상기 몸체 개구를 폐쇄하여 내부 챔버를 형성하기 위한 캡을 포함하며,
    상기 관형 부재의 상기 원위 단부는 상기 내용물이 통과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케이지 지지부들 및 인접하는 케이지 지지부들 사이에 케이지 개구들을 갖는 케이지 특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수술 동안 환자의 피부 및 환자의 신체에 형성된 상기 구멍 주위에 제거 가능한 부착을 위한 판 구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 구조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측 및 제2 측을 갖는 막으로서, 상기 막의 상기 제1 측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막; 및
    상기 막의 상기 제2 측에 부착되거나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제1 판 결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판 결합 부재는 협력하는 제1 결합 부재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46. 제 44 항 또는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공간의 체적이 상기 내부 챔버와 분리되고 상기 관형 부재로 들어가는 상기 내용물이 상기 주변 공간의 체적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수술로 생성된 구멍 주변 공간의 체적을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획정하는 쉘을 추가로 획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47. 제 44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상기 쉘을 상기 판 구조에 연결하도록 조정되는 쉘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48. 제 45 항 내지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 결합 부재 및 상기 제1 결합 부재는 홈 및 돌출부 형태의 상보적 특징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49. 제 44 항 내지 제 4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유체 저항성 및/또는 유체 흡수성이고 수술 중 환자의 신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커버하도록 조정되는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는 상기 패드의 가요성을 증가시키도록 조정되는 격자 스프링 편향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50. 제 44 항 내지 제 4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분리되고 제거 가능하며 제거될 때 상기 관형 부재의 내부 표면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51. 제 44 항 내지 제 5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특징부는 테이퍼져서 상기 케이지 특징부가 상기 몸체 개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직경이 감소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52. 제 44 항 내지 제 5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는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53. 제 44 항 내지 제 5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는 5mm 내지 12mm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54. 제 52 항 또는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는 20mm 내지 60mm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55. 제 52 항 내지 제 5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관형 부재는 가요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56. 제 44 항 내지 제 5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는 상기 관형 부재의 벽 두께 및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관형 부재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내부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57. 제 44 항 내지 제 5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는 형상 기억을 갖는 가요성 메시, 및 상기 메시와 연관되고 삽입을 위해 접철식이고 상기 수술로 생성된 구멍들에 유지를 위해 확장식인 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58. 제 44 항 내지 제 5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메쉬는 니티놀 합금 메쉬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59. 제 44 항 내지 제 5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는 가요성 및 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60. 제 46 항 내지 제 5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상기 쉘의 둘레로부터 연장되는 평평한 테두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평평한 테두리는 환자의 피부에 맞닿아 안착하도록 구성되는 밑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61. 제 44 항 내지 제 6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평한 테두리의 상기 밑면은 상기 쉘을 상기 환자의 피부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62. 제 44 항 내지 제 6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는 대략 8 French 내지 12 French 사이의 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63. 제 44 항 내지 제 6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형 부재는 대략 32 French 내지 42 French 사이의 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64. 수술로 생성된 구멍으로부터 소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연결 디바이스로서,
    몸체 개구 및 상기 몸체 개구로부터 떨어진 원위 단부에 위치되는 입구를 갖는 관형 부재로서, 상기 입구는 상기 수술로 생성된 구멍 내로 삽입되도록 조정되는 상기 관형 부재; 및
    개구를 포함하는 쉘로서, 서로 대향하는 내부 및 외부 측을 가지며, 상기 수술로 생성된 구멍 주변 공간의 체적을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획정하는 상기 쉘을 포함하며,
    상기 쉘은 소화 내용물이 상기 쉘의 상기 외부 측상으로 상기 몸체 개구를 빠져 나가도록 상기 몸체 개구에 또는 그쪽으로 상기 관형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쉘은 협력하는 제1 결합 부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 쉘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65.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환자의 피부 및 상기 수술로 생성된 구멍 주위에 제거 가능한 부착을 위한 판 구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 구조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측 및 제2 측을 갖는 막으로서, 상기 막의 상기 제1 측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막; 및
    상기 막의 상기 제2 측에 부착되는 제1 판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판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판 결합 부재는 상기 제1 쉘 결합 부재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66. 제 64 항 또는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쉘 결합 부재는 상기 쉘의 하측 둘레에 위치되어, 상기 쉘의 상기 하측 둘레를 상기 판 구조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67. 제 64 항 내지 제 6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협력하는 제2 결합 부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2 쉘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68. 제 65 항 또는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개구로부터 소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몸체 개구를 커버하도록 조정되는 배변 주머니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변 주머니는 상기 제2 쉘 결합 부재에 연결되도록 조정되는 주머니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69. 제 65 항 내지 제 6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쉘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쉘 결합 부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고 상기 제1 쉘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쉘 결합 부재는 양면의 통합되는 결합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70. 제 67 항 내지 제 6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쉘 결합 부재들은 협력하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 부재들과 수밀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71. 제 67 항 내지 제 7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판 결합 부재들 및 협력하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 부재들은 홈들 및 돌출부들 형태의 상보적 특징부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72. 제 65 항 내지 제 7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강성 또는 반강성이고 상기 디바이스가 환자에 부착될 때 상기 수술로 생성된 구멍 내에 상기 관형 부재를 유지하기 위해 하향 압력을 가하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73. 제 64 항 내지 제 7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쉘 애퍼처를 폐쇄하기 위한 캡 또는 플러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74. 제 65 항 내지 제 7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의 상기 원위 단부는 케이지 지지부들 및 인접하는 케이지 지지부들 사이에 케이지 개구들을 갖는 케이지 특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75. 제 64 항 내지 제 7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특징부는 테이퍼져서 상기 케이지 특징부가 상기 몸체 개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직경이 감소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76. 제 64 항 내지 제 7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는 상기 관형 부재의 상기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77. 제 64 항 내지 제 7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는 5mm 내지 12mm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78. 제 76 항 내지 제 7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부재는 20mm 내지 60mm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79. 제 74 항 내지 제 7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관형 부재는 가요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80. 제 64 항 내지 제 7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는 상기 관형 부재의 벽 두께 및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관형 부재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내부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81. 제 64 항 내지 제 8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는 이완된 상태에서 오목한 외향 표면을 갖는 나팔 모양 고정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82. 제 63 항 내지 제 8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들은 상기 관형 부재의 상기 원위 단부에 또는 그쪽으로 위치되는 팽창식 커프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83. 제 64 항 내지 제 76 항 및 제 79 항 내지 제 8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의 상기 원위 단부는 사면이어서, 비스듬한 애퍼처를 획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84. 제 64 항 내지 제 8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는 형상 기억을 갖는 가요성 메시, 및 상기 메시와 연관되고 삽입을 위해 접철식이고 상기 수술로 생성된 구멍들에 유지를 위해 확장식인 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85. 제 64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메쉬는 니티놀 합금 메쉬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86. 제 64 항 내지 제 8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는 가요성 및 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87. 제 64 항 내지 제 8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상기 쉘의 둘레로부터 연장되는 평평한 테두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평평한 테두리는 환자의 피부에 맞닿아 안착하도록 구성되는 밑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88. 제 64 항 내지 제 8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평한 테두리의 상기 밑면은 상기 쉘을 상기 환자의 피부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89. 제 64 항 내지 제 8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는 신생아 환자들을 위해 조정되는 대략 8 French 내지 12 French 사이의 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90. 제 64 항 내지 제 8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형 부재는 대략 32 French 내지 42 French 사이의 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91. 제 64 항 내지 제 9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와 유체 연통하고 그로부터 이어지며 상기 쉘을 통해 연장되는 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92. 소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수술로 생성된 구멍에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제 64 항 내지 제 91 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연결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관형 부재의 입구를 상기 수술로 생성된 구멍 내로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3. 제 89 항에 있어서 소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수술로 생성된 구멍에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제 65 항 내지 제 71 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판 구조의 막의 제1 측을 환자의 피부에 위치 및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4. 제 64 항 내지 제 91 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소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수술로 생성된 구멍에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수술로 생성된 구멍들 주변 공간의 체적을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획정하도록 어느 한 항에 청구된 쉘을 상기 수술로 생성된 구멍들 위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제1 판 결합 부재를 쉘 결합 부재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쉘을 상기 판 구조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5. 제 92 항 내지 제 94 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소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수술로 생성된 구멍에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몸체 개구로부터 소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몸체 개구 위에 배변 주머니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제2 판 결합 부재를 주머니 결합 부재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배변 주머니를 상기 판 구조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6. 제 92 항 내지 제 95 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소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수술로 생성된 구멍에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관형 부재를 상기 구멍 내로 삽입하기 전에 상기 부재를 접는 단계; 및
    삽입 이후 상기 부재가 확장하고 상기 구멍 내에 유지되도록 그것을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7. 수술로 생성된 제1 구멍을 수술로 생성된 제2 구멍과 연결하고 상기 제1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2 구멍으로 내용물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 디바이스로서,
    상기 디바이스는 둘러싸는 벽을 갖는 관형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외부 표면 및 내부 표면을 가지며, 제1 개방 단부로부터 제2 개방 단부로 연장되고;
    상기 몸체는 가요성이고 형상 기억을 갖고;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는 단면이 실질적으로 타원형 또는 원형이고;
    상기 몸체는 상기 디바이스가 삽입을 위해 접어진 다음 유지를 위해 접어지지 않은 초기 상태로 확장하거나 확장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게 하는 재료로 구성되고;
    두 개의 상기 수술로 생성된 구멍 사이에 내용물을 위한 경로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개방 단부는 상기 제1 구멍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개방 단부는 상기 제2 구멍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98. 제 97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형상 기억을 갖는 가요성 메쉬를 포함하고, 상기 벽은 상기 메쉬와 연관되어 상기 관형 몸체를 내용물이 상기 제1 및 제2 구멍들 사이를 통과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99. 제 97 항 또는 제 98 항에 있어서, 가요성 메시는 상기 몸체의 적어도 대부분을 연장하는 일련의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상기 일련의 필라멘트는 상기 벽과 접합되고 삽입을 위해 접철식이며 상기 수술로 생성된 구멍들에 유지를 위해 확장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100. 제 97 항 내지 제 9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메쉬는 니티놀 합금 메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101. 제 97 항 내지 제 9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부분은 굴곡부를 포함하여 U자형, V자형 또는 다른 아치형을 형성하고 상기 골곡부의 양측에 제1 및 제2 림(limb)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102. 제 97 항 내지 제 10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림 및 제2 림은 상기 제1 및 제2 구멍들 내로 삽입되도록 서로에게 가압되어 조정되고, 상기 수술로 생성된 제1 및 제2 구멍들에 유지하기 위해 해제될 때 서로 멀어지는 경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103. 제 97 항 내지 제 10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개방 단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수술로 생성된 제1 및 제2 구멍들 내로 삽입되고 그것들에 유지되도록 구성된 나팔 모양 고정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104. 제 97 항 내지 제 10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부분은 제거될 때 상기 몸체 부분의 상기 내부 표면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거 가능한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105. 제 97 항 내지 제 10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부분은 상기 외부 표면상에 훅(hook) 또는 루프(loop) 부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 부재는 보조 디바이스에 대한 부착을 가능하게 하는데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106. 제 97 항 내지 제 10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부분은 실리콘, 고무, 라텍스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KR1020207025744A 2018-03-08 2019-03-08 수술로 생성된 구멍에 사용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KR202001306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Z74060318 2018-03-08
NZ740603 2018-03-08
NZ74498918 2018-08-07
NZ744989 2018-08-07
NZ74508618 2018-08-08
NZ745086 2018-08-08
PCT/IB2019/051873 WO2019171335A1 (en) 2018-03-08 2019-03-08 Devices for use with surgically created orif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689A true KR20200130689A (ko) 2020-11-19

Family

ID=67845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744A KR20200130689A (ko) 2018-03-08 2019-03-08 수술로 생성된 구멍에 사용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10369492A1 (ko)
EP (1) EP3761924A4 (ko)
JP (1) JP2021517479A (ko)
KR (1) KR20200130689A (ko)
CN (1) CN111818885B (ko)
AU (1) AU2019229894A1 (ko)
CA (1) CA3091903A1 (ko)
SG (1) SG11202008164RA (ko)
WO (1) WO20191713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20014059A2 (pt) * 2018-01-19 2020-12-01 Coloplast A/S sistema para aplicar uma cobertura de estoma, cobertura de estoma, e, kit de peças.
US20200155338A1 (en) * 2018-11-19 2020-05-21 Karla K. Meteer Prosthetic stoma device and method of application
EP3692956A1 (en) * 2019-02-07 2020-08-12 ConvaTec Technologies Inc. Adjustable convex ostomy device
US11357541B2 (en) * 2019-04-10 2022-06-14 Phillip Cash Protective bubble
WO2020220025A1 (en) * 2019-04-25 2020-10-29 Convatec Technologies Inc. Ostomy wafers incorporating adhesives and foam layers, device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s of applying
EP3900682A1 (en) * 2020-04-22 2021-10-27 Servizo Galego de Saude Continuity device for derivative ileostomy
CN114145900B (zh) * 2021-12-09 2023-08-18 四川大学华西第二医院 一种预防新生儿肠造口术后肠管脱垂的造口底盘
AU2023219842B1 (en) * 2022-09-01 2023-10-05 Hollister Incorporated Ostomy appliance for providing customized and localized convex support
EP4360599A1 (en) * 2022-10-31 2024-05-01 Centre Hospitalier Universitaire De Toulouse Protecting and connecting device of at least one stoma site emerging out of a patient's skin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0057B2 (ja) * 1992-02-06 2001-09-17 アルケア株式会社 ストーマ用トレーナー
GB9314638D0 (en) * 1993-07-15 1993-08-25 Salim Aws S M Colostomy catheter
US7087041B2 (en) * 1998-02-25 2006-08-08 Zassi Medical Evolutions, Inc. Pad for use with continent ostomy port
DK200101517A (da) * 2001-10-15 2003-04-16 Coloplast As En stomiindretning
US6723079B2 (en) 2002-03-27 2004-04-20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ontrolled evacuation ostomy device with external seal
US7338465B2 (en) * 2002-07-02 2008-03-04 Patton Medical Devices, Lp Infus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PL2303201T3 (pl) * 2008-06-19 2017-10-31 Convatec Technologies Inc Urządzenia stomijne do kierowania wypływu treści
EP2370030B1 (en) * 2008-11-12 2015-08-05 Coloplast A/S To control bending in a skin plate for use in an ostomy appliance
EP3603588A1 (en) * 2009-07-14 2020-02-05 B.Braun Medical Ostomy containment device
US8821464B2 (en) * 2009-07-14 2014-09-02 Stimatix Gi Ltd. Disposable ostomy assemblies
PT2482767E (pt) * 2009-10-01 2016-02-16 Ostomycure As Um dispositivo clínico de fecho
EP3178452B2 (en) * 2010-12-17 2022-05-18 Coloplast A/S A convex supporting device for an ostomy appliance
US20150209173A1 (en) * 2011-01-14 2015-07-30 Peter Kratky Device for a Temporary Ileostomy or Urostomy Closure
US9545329B2 (en) * 2011-02-21 2017-01-17 International Medical Technology Flow control and collection device
BR112013022861A2 (pt) * 2011-03-08 2016-12-06 Gore & Ass dispositivo médico para uso com um estoma
US20120238959A1 (en) * 2011-03-14 2012-09-20 C.R. Bard, Inc. Biased Internal Bolster for a Medical Device
ITMO20110326A1 (it) * 2011-12-16 2013-06-17 Azzolini Graziano Dispositivo medico perfezionato per la realizzazione di ileostomie e/o digiunostomie
FR3001635B1 (fr) 2013-02-05 2015-02-20 Chru Lille Dispositif permettant un flux de bol alimentaire entre deux stomies
US20150305986A1 (en) * 2014-04-23 2015-10-29 Curtis R. Snyder Feeding Tube Protective Cover Device
US10028893B2 (en) * 2014-06-18 2018-07-24 University Of Virginia Patent Foundation Ostomy pump system and rel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FR3034984B1 (fr) * 2015-04-14 2020-12-25 Centre Hospitalier Regional Univ Lille Connecteur passif entre deux stomies rapprochees
FR3034983B1 (fr) * 2015-04-14 2021-02-12 Centre Hospitalier Regional Univ Lille Dispositif de circulation de bol alimentaire entre deux stomies comprenant un collecteur et un socle demontables
FR3044891B1 (fr) * 2015-12-15 2017-12-08 Centre Hospitalier Regional Univ Lille Dispositif permettant un flux de bol alimentaire entre deux stomies comprenant un ballonnet anti-reflux presentant un col pour le passage du bol alimentaire
US10449081B2 (en) * 2017-02-18 2019-10-22 Choon Kee Lee Ostomy apparatus
TWI666008B (zh) * 2017-07-17 2019-07-21 林志豪 造口接合儲存裝置
CN107625573A (zh) * 2017-10-19 2018-01-26 四川省肿瘤医院 肠道双腔造瘘粪便转流装置
US11311404B2 (en) * 2018-01-04 2022-04-26 Covidien Lp Stomal divert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818885A (zh) 2020-10-23
US20210369492A1 (en) 2021-12-02
EP3761924A1 (en) 2021-01-13
CN111818885B (zh) 2023-04-14
EP3761924A4 (en) 2021-12-01
SG11202008164RA (en) 2020-09-29
JP2021517479A (ja) 2021-07-26
WO2019171335A1 (en) 2019-09-12
CA3091903A1 (en) 2019-09-12
AU2019229894A1 (en) 202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30689A (ko) 수술로 생성된 구멍에 사용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US10449083B2 (en) Incontinence collection device and related methods
JP5465531B2 (ja) 排泄物処理システム
US9987160B2 (en) Ostomy port
US8777912B2 (en) Waste management system
US10813787B2 (en) Ostomy management device
ES2241592T3 (es) Apertura continente para la ostomia.
US8998862B2 (en) Ostomy containment device
JP7422438B2 (ja) 組織空洞内にシースを係留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US20090131893A1 (en) Fistula connector
JP2006501875A (ja) 自制式オストミーポートとともに使用するパッド
JP2002504394A (ja) 自制式人工肛門形成口
JP2012509110A (ja) 排泄物管理システム
WO2022224175A1 (en) Improved feeding catheter
MXPA00006931A (en) Continent ostomy 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