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0082A - 액처리장치 및 액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액처리장치 및 액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0082A
KR20200130082A KR1020200020304A KR20200020304A KR20200130082A KR 20200130082 A KR20200130082 A KR 20200130082A KR 1020200020304 A KR1020200020304 A KR 1020200020304A KR 20200020304 A KR20200020304 A KR 20200020304A KR 20200130082 A KR20200130082 A KR 20200130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bble
tank
liquid
treatmen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5527B1 (ko
Inventor
아키히로 다니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기노 마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기노 마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기노 마신
Publication of KR20200130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5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gas bubbles or moving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4Breaking emulsions
    • B01D17/045Breaking emulsions with coales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1Diffusers having injection means, e.g. nozzles with circumferential outlet
    • B01F3/04248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고비중액의 폐기량을 감소하는 액처리장치 및 액처리방법을 제공한다.
액처리장치(10)는 탱크(11)에 저류된 처리액(13)을 이송하는 급액펌프(15)와, 처리액(13)이 유입되고, 처리액(13)의 액면 근방에 배치되고, 처리액(13) 상에 부상한 부상물을 배출하는 부상물 배출구(23b)를 갖는 기포조(23)와, 기포조(23)의 외부에 배치되고, 급액펌프(15)로부터 이송된 처리액(13)에 공기를 혼입시켜 미세 기포를 발생하는 미세 기포 발생기(17)와, 기포조(23)와 하부에서 접속되는 분리조(29)와, 분리조(29)의 액면으로부터 흘러넘치는 처리액(13)을 탱크(11)로 되돌리는 순환관(31)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처리장치 및 액처리방법{LIQUID TREATMENT APPARATUS AND LIQUID TREATMENT METHOD}
본 발명은 액처리장치 및 액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槽)와, 조 내에 설치된 마이크로버블 발생체와, 액체를 마이크로버블 발생체에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마이크로버블 발생체에 공기 등의 가스체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장치를 갖는 에멀전 탈유화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개 2015-155092호 공보). 종래의 에멀전 탈유화장치에서는 마이크로버블 발생체로부터 나온 마이크로버블에 의해 액중의 에멀전을 탈유화하고, 상호 친화성이 없는 적어도 2가지의 액으로 분리하여, 일방의 액체를 마이크로버블과 함께 부상시킨다.
종래의 에멀전 탈유화장치에서는 제거하는 저비중액과 함께 고비중액이 폐기된다.
본 발명은 고비중액의 폐기량을 감소하는 액처리장치 및 액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탱크에 저류된 처리액을 이송하는 급액(給液)펌프와,
상기 처리액이 유입되는 기포조(氣泡槽)로서,
상기 처리액의 액면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처리액 상에 부상한 부상물(浮上物)을 배출하는 부상물 배출구를 갖는 기포조와,
상기 기포조의 외부에 배치되는 미세 기포 발생기로서, 상기 급액펌프로부터 이송된 상기 처리액에 공기를 혼입시켜 미세 기포를 발생하는 미세 기포 발생기와,
상기 기포조와 하부에서 접속되는 분리조(分離槽)와,
상기 분리조의 액면으로부터 흘러넘치는 상기 처리액을 상기 탱크로 되돌리는 순환관(循環管)을 포함하는 액처리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탱크에 저류된, 이물과 유분을 포함하는 처리액에, 기포조의 외부에서 공기의 미세 기포를 혼입하고,
상기 미세 기포가 혼입된 상기 처리액이 상기 기포조에 유입되고,
상기 미세 기포가, 상기 이물과 상기 유분에 부착되어 상기 기포조 내를 부상하고,
상기 처리액이 상기 기포조의 하방으로부터 분리조로 유입되고,
상기 분리조에서 상기 처리액을 상기 탱크로 순환시키고,
상기 기포조의 액면의 상방에서 상기 부상물을 배출하는 액처리방법이다.
기포조는 폐쇄된 탱크이다. 미세 기포 발생기는 기포조의 외부에 설치된다. 미세 기포 발생기는 탱크와 기포조를 접속하는 경로에 배치된다. 기포 출구의 하단은 처리액의 액면에서 이간(離間)된다. 바람직하게는, 기포 출구의 상단은 천판보다 낮다. 기포조의 액면보다 상방으로 펼쳐지는 공간을 기포 부상조(浮上槽)라고 일컫는다. 배출구는 기포조에 배치된다. 배출구의 높이는 액면 높이의 근방이다. 배출구의 높이는 액면보다 상방일 수 있다. 기포제거 펌프는 감압 펌프이다. 코어레서는 처리액의 액면 아래에 배치된다.
기포 발생기는 예를 들면 공기 전단(剪斷)형이다. 기포 발생기는 선회류식의 미세 기포 발생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처리장치 및 액처리방법에 의하면, 고비중액의 폐기량을 감소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액처리장치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처리조의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면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의 액처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의 액처리장치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의 처리조의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이다.
(제1 실시형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액처리장치(10)는 급액펌프(15), 발생기(미세 기포 발생기, 17), 처리조(處理槽)(22)를 가진다. 액처리장치(10)는 역지(逆止) 밸브(19), 스로틀(21), 배출 밸브(부상물 배출 밸브, 47), 기포제거 펌프(45) 및 드레인 탱크(49)를 가질 수 있다.
액처리장치(10)는 탱크(11)에 저류된 처리액(13)에 포함되는 이물과 유분을 제거한다. 탱크(11)는, 예를 들면 공작기계나 세척기의 탱크이다. 처리액(13)은 예를 들면 수계 쿨란트나 수계 세정액이다. 이물은 예를 들면 잘린 부스러기, 섬유 부스러기나 지립(砥粒)이다. 유분은 예를 들면 오일, 그리스이다. 이물과 유분은 처리액(13) 중에 혼탁해진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조(22)는 기포조(23), 분리조(29), 순환구(31a) 및 배출구(부상물 배출구, 23b)를 가진다. 처리조(22)는 천판(36), 측벽(39), 하방 구획판(25), 상방 구획판(27), 순환관(31), 수나사(31b), 유입구(제2 유입구, 23a), 기포 출구(41), 회수홈통(43), 반려구(返戾口)(46) 및 코어레서(26)를 가질 수 있다.
처리조(22)는 대략 직육면체이며, 저면(底面)(22a)을 가진다. 예를 들면, 처리조(22)는 탱크(11)의 상방에 설치된다. 저면(22a)은 기포조(23)와 분리조(29)로 공유된다. 저면(22a)은 수평일 수 있다.
분리조(29)는 상방에서 보았을 때 처리조(22)의 한 구석에 배치된다. 분리조(29)는 상방에서 보았을 때 L자형의 분리벽(29a)으로 기포조(23)와 나눠진다. 분리벽(29a)의 하방은 개구되어, 분리조(29)와 기포조(23)를 접속한다.
평면 III은 순환관(31)의 중심선을 포함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환관(31)은 분리조(29)의 중앙에 세워 배치된다. 순환관(31)의 상방의 개구가 순환구(31a)가 된다. 처리조(22) 내로 유입된 처리액(13)은 순환구(31a)로 흘러넘쳐 탱크(11)로 되돌아간다. 처리액(13)의 액면(14)의 높이는 순환구(31a)에 의해 정해진다.
순환관(31)은 고정관(31e), 수나사(31b), 조정구(31c)를 가질 수 있다. 고정관(31e)은 저면(22a)으로부터 세워 배치된다. 수나사(31b)는 고정관(31e) 상단부에 설치된다. 조정구(31c)는 내면에 암나사(31d)를 가진다. 수나사(31b)에 조정구(31c)가 나사 체결된다. 순환관(31)은 탱크(11)와 접속된다. 액면 조정구(31c)는 나사 체결되는 분량에 따라 분리조(29) 내의 액면(14)의 높이를 조정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포조(23)는 측판(23c, 23d), 천판(36) 및 측벽(39)을 가진다. 측판(23c)의 상단은 천판(36)보다 높을 수 있다. 측판(23c)의 상단은 분리벽(29a)의 상단보다 높을 수 있다. 측벽(39)의 상단은 측판(23c)의 상단보다 낮다. 측벽(39)은 기포조(23)와 회수홈통(43)을 분리한다. 천판(36)은 수평일 수 있다. 천판(36)의 높이는 액면(14)보다 확실히 높다. 기포조(23)는 측판(23c), 측벽(39) 및 천판(36)에 의해 폐쇄된다. 기포조(23)는 액면(14)의 상방에, 폐쇄된 공간인 부상(浮上)실(33)을 가진다.
기포 출구(41)는 측벽(39)의 상부에 배치된다. 기포 출구(41)의 하단은 액면(14)보다 확실히 상방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기포 출구(41)의 상단은 천판(36)과 멀어져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기포 출구(41)가 배치될 수 있다. 기포 출구(41)는 상방에서 보았을 때 분리조(29)에서 먼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방 구획판(27)은 저면(22a)과 간극을 두어 기포조(23)의 내부에 세워진다. 상방 구획판(27)은 측판(23d)과 평행하다. 상방 구획판(27)의 상단은 순환구(31a)보다 높다. 상방 구획판(27)은 액면(14)보다 상방까지 연장된다.
하방 구획판(25)은 저면(22a)을 접하여 기포조(23)에 세워진다. 하방 구획판(25)은 측판(23d)과 상방 구획판(27) 사이에 측판(23d)과 평행으로 배치된다. 하방 구획판(25)의 상단은 순환구(31a)보다 낮다. 하방 구획판(25)의 상단은 액면(14)의 하방에 위치한다.
하나 또는 복수의 상방 구획판(27)과 하나 또는 복수의 하방 구획판(25)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하방 구획판(25)만 배치될 수 있다. 상방 구획판(27)과 하방 구획판(25)은 교호적(交互的)으로 배치된다.
회수홈통(43)은 측판(23d)의 상방단에 접속하여 기포조(23)의 외측에 배치된다. 회수홈통(43)은 기포 출구(41)를 면(面)하여 배치된다. 회수홈통(43)은 측판(43c), 저판(43b) 및 회수구(43a)를 가진다. 측판(43c)은 측판(23c)과 연속된다. 측판(43c)의 상단은 측판(23c)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판(43b)은 회수구(43a)를 향해 하방으로 기울어진다. 회수구(43a)는 회수홈통(43)의 저부(底部)에 배치된다.
배출구(23b)는 순환구(31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배출구(23b)는 순환구(31a)보다 약간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배출 밸브(47)는 두방향 밸브이다. 배출 밸브(47)는 예를 들면 수동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이다. 배출구(23b)는 배출 밸브(47)의 일방의 입구와 접속된다. 배출 밸브(47)의 타방의 입구는 드레인 탱크(49)와 접속된다.
유입구(23a)는 측판(23d)의 하방 단부에 설치된다. 유입구(23a)는 저면(22a)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입구(23a)는 상방에서 보았을 때 분리조(29)에서 먼 위치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유입구(23a)는 하방 구획판(25)과 상방 구획판(27)보다 분리조(29)에서 먼 위치에 배치된다.
반려구(46)는 천판(36)에 설치될 수 있다. 반려구(46)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반려구(46)의 하단은 순환구(31a)보다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방에서 보았을 때 반려구(46)는 분리조(29)에서 먼 위치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반려구(46)는 상방에서 보았을 때 하방 구획판(25)과 상방 구획판(27)보다 분리조(29)에서 먼 위치에 배치된다.
코어레서(26)는 측판(23d), 상방 구획판(27), 하방 구획판(25)을 따라 배치된다. 코어레서(26)는 복수의 소판(26a) 및 연결봉(26b)을 가진다. 소판(26a)은 예를 들면 길쭉한 직사각형이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소판(26a)은 예를 들면 30㎜×60㎜~50㎜×100㎜의 크기를 가진다. 소판(26a)의 2개의 장변은 예를 들면 하방을 향해 구부러진다. 소판(26a)의 단면은 V자형 또는 U자형일 수 있다. 소판(26a)은 예를 들면 동일한 간격으로 상하 방향으로 정렬된다. 복수의 소판(26a)은 연결봉(26b)으로 연결된다.
급액펌프(15)는 급액구(15a) 및 토출구(15b)를 가진다. 급액펌프(15)는 예를 들면 원심 펌프, 공기압 구동식 다이어프램 펌프이다. 급액펌프(15)는 탱크(11)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15b)는 발생기(17)를 통해 유입구(23a)에 접속된다. 급액구(15a)는 탱크(11)에 접속된다.
발생기(17)는 예를 들면 이미 알려진 미세 기포 발생기이다. 발생기(17)는 예를 들면 공기 전단형이다. 바람직하게는, 발생기(17)는 20㎛ 내지 50㎛의 기포를 생성한다. 발생기(17)는 기포조(23)의 외부에 배치된다. 발생기(17)는 공기 유입구(17e), 처리액 유입구(17f) 및 유출구(제2 유출구, 17g)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유입구(17e)는 역지 밸브(19) 및 스로틀(21)을 통해 외기와 접속된다. 역지 밸브(19)는 유입구(제1 유입구, 19a) 및 유출구(제1 유출구, 19b)를 가진다. 유입구(19a)는 스로틀(21)과 접속된다. 유출구(19b)는 공기 유입구(17e)와 접속된다. 역지 밸브(19)는 공기 유입구(17e)로부터 처리액이 외기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처리액 유입구(17f)는 토출구(15b)와 접속된다. 유출구(17g)는 유입구(23a)와 접속된다.
기포제거 펌프(45)는 흡입구(45a) 및 토출구(45b)를 가진다. 기포제거 펌프(45)는 예를 들면 이젝터 펌프, 다이어프램 펌프, 로터리 펌프이다. 흡입구(45a)는 회수구(43a)와 접속된다. 토출구(45b)는 반려구(46)와 접속된다.
또한, 기포 출구(41), 회수홈통(43), 기포제거 펌프(45) 및 반려구(46)는 생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을 참조하여 액처리방법을 설명한다.
급액펌프(15)는 탱크(11)로부터 처리액(13)을 발생기(17)로 이송한다. 발생기(17)는 공기 유입구(17e)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처리액(13)에 공기를 미세 기포로서 혼입한다(S1).
미세 기포가 혼입된 처리액(13)은 유입구(23a)로부터 기포조(23)로 유입된다(S2).
미세 기포가 처리액(13) 중의 유분과 이물에 부착된다(S3).
처리액(13)은 하방 구획판(25)의 상방과 상방 구획판(27)의 하방을 통과하면서 기포조(23)를 흐른다. 미세 기포가 부착된 유분과 이물이 기포조(23) 내를 부상한다(S4).
기포가 부착된 유분과 이물이 서로 결합된다(S5). 처리액(13)이 코어레서(26)를 통과할 때, 처리액(13)의 흐름이 불규칙해진다. 기포가 부착된 유분과 이물이 소판(26a)에 충돌하고, 또는 기포가 부착된 유분과 이물이 서로 접촉하여, 유분과 이물의 결합이 촉진된다.
유분과 이물은 기포와 함께 부상실(33)에 부상물로서 부유한다. 부상물이 부상실(33)을 채우면, 부상물은 기포 출구(41)로부터 흘러넘친다. 넘친 부상물은 회수홈통(43)으로 회수된다(S6).
기포제거 펌프(45)는 회수된 부상물을 흡입한다. 부상물 중의 기포는 감압에 의해 잃게 되어 소멸된다. 기포가 제거된 부상물은 반려구(46)로부터 기포조(23)로 유입된다(S7).
처리액(13)은 분리벽(29a)의 하방으로부터 분리조(29)로 유입된다(S11).
처리액(13)은 순환구(31a)로 흘러넘치고, 순환관(31)을 통해 탱크(11)로 순환된다(S12).
배출 밸브(47)가 개방되고, 부상물은 배출구(23b)로부터 배출된다(S21). 배출 밸브(47)는 예를 들면 500시간 마다 개방되어 부상물을 배출한다.
단계 S1~S7, S11 및 S12는 연속하여 실행된다. 또, 단계 S6, S7은 생략할 수 있다.
기포 출구(41)로부터 흘러넘친 부상물은 회수홈통(43)으로 회수되어, 기포가 제거되어 기포조(23)로 되돌려진다. 이로 인해, 배출구(23b)로부터 배출되는 부상물에 포함되는 처리액(13)이 감소된다.
기포조(23)가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기포의 소멸이 촉진된다. 측판(23c)이 천판(36)보다 상방까지 연장되기 때문에, 기포 출구(41)로부터 흘러넘친 기포가 처리조(22)로부터 흘러넘치는 것이 억제된다.
(제2 실시형태)
도 5 및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액처리장치(100)는 처리조(122)를 가진다. 처리조(122)는 제1 천판(35), 제2 천판(37), 측판(23e) 및 측벽(139)을 가진다.
측판(23e)은 기포조(23)와 회수홈통(43)을 구획한다. 측판(23e)의 상단은 측판(23c)의 상단보다 낮다.
제1 천판(35)과 제2 천판(37)은 기포조(23)의 상방을 덮는다.
제1 천판(35)은 측판(23e)의 상단으로부터, 처리조(122)의 중앙을 향해 높아지도록 기울어진다. 제1 천판(35)은 측판(23e)과 접속된다.
제2 천판(37)은 처리조(122)의 중앙부에서, 제1 천판(35)보다 높게 배치된다. 제2 천판(37)은 측판(23d)에서 먼 지점이 하방이 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제2 천판(37)은 분리벽(29a)과 접속된다. 제2 천판(37)은 확실히 액면(14)과 이간된다.
기포 출구(41)는 제1 천판(35)의 상방, 또한, 제2 천판(37)의 하방에 배치된다. 기포 출구(41)는 순환구(31a)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제1 천판(35)과 제2 천판(37) 사이에, 측벽(139)이 배치될 수 있다. 기포 출구(41)는 측벽(139)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천판(35)과 제2 천판(37) 사이에, 상하로 폭의 좁은 측벽(139)이 배치되고, 측벽(139)에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복수의 기포 출구(41)가 배치된다. 측벽(139)은 제1 천판(35)과 제2 천판(37)을 보지(保持)한다.
반려구(46)는 제1 천판(35)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액처리방법을 설명한다. 부상한 유분과 이물은 기포와 함께 액면(14)의 상방으로 부상물로서 부유한다. 부상물이 부상실(33)에 차면, 부상물은 기포 출구(41)로부터 흘러넘친다. 넘친 부유물은 제1 천판(35)의 상면을 흘러내려, 회수홈통(43)으로 회수된다(S6).
그 외의 단계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형이 가능하며,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항의 모든 것이 본 발명의 대상이 된다. 상기 실시형태는 바람직한 예를 나타낸 것이지만, 당업자이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으로부터 각종 대체예, 수정예, 변형예 혹은 개량예를 실현할 수 있고, 이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0 액처리장치
11 탱크
13 처리액
17 발생기(기포 발생기)
23 기포조
23b 배출구(부상물 배출구)
29 분리조
43 회수홈통
45 기포제거 펌프
31a 순환구

Claims (13)

  1. 탱크(11)에 저류된 처리액(13)을 이송하는 급액(給液)펌프(15)와,
    상기 처리액(13)이 유입되는 기포조(氣泡槽)(23)로서, 상기 처리액(13)의 액면(14)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처리액(13) 상에 부상한 부상물(浮上物)을 배출하는 부상물 배출구(23b)를 갖는 기포조(23)와,
    상기 기포조(23)의 외부에 배치되는 미세 기포 발생기(17)로서, 상기 급액펌프(15)로부터 이송된 상기 처리액(13)에 공기를 혼입시켜 미세 기포를 발생하는 미세 기포 발생기(17)와,
    상기 기포조(23)와 하부에서 접속되는 분리조(分離槽)(29)와,
    상기 분리조(29)의 상기 액면(14)으로부터 흘러넘치는 상기 처리액(13)을 상기 탱크(11)로 되돌리는 순환관(循環管)(31)을 포함하는 액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대기에 개방되는 제1 유입구(19a)와, 제1 유출구(19b)를 갖는 역지(逆止) 밸브(19)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포조(23)는 하부에 배치된 제2 유입구(23a)를 가지고,
    상기 미세 기포 발생기(17)는,
    상기 급액펌프(15)와 접속되는 처리액 유입구(17f)와,
    상기 제1 유출구(19b)와 접속되는 공기 유입구(17e)와,
    상기 제2 유입구(23a)와 접속되는 제2 유출구(17g)를 포함하는, 액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물 배출구(23b)에 접속되는 부상물 배출 밸브(47)
    를 더 포함하는 액처리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조(23)에 배치되는 하방 구획판(25)으로서, 상기 기포조(23)의 저면(底面)(22a)과 접하는 하단과, 상기 액면(14)의 하방에 위치되는 상단을 갖는 하방 구획판(25)과,
    상기 기포조(23)에 배치되는 상방 구획판(27)으로서, 상기 액면(14)의 상방에 위치되는 상단과, 상기 저면(22a) 근방에서 상기 저면(22a)의 상방에 위치되는 하단을 갖는 상방 구획판(27)
    을 더 포함하는 액처리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조(23)에 배치되는 코어레서(26)로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간극을 두어 상하 방향에 배치된 복수의 소판(小板)(26a)을 갖는 코어레서(26)
    를 더 포함하는 액처리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조(23)는 상부에 배치된 기포 출구(41)를 가지고,
    상기 기포 출구(41)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기포 출구(41)에서 배출된 상기 부상물을 회수하는 회수홈통(43)과,
    상기 회수홈통(43)에 접속되는 흡입구(45a)와, 상기 기포조(23)에 접속되는 토출구(45b)를 갖는 기포제거 펌프(45)
    를 더 포함하는 액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조(23)는 측벽(39)을 가지고,
    상기 기포 출구(41)는 상기 측벽(39) 상에 배치되는, 액처리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출구(41)는 상기 액면(14)에서 이간(離間)되도록 상기 기포조(23)의 상부에 배치되는, 액처리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홈통(43)은, 상기 회수홈통(43)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45a)와 접속되는 회수구(43a)를 포함하는, 액처리장치.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조(23)는,
    상기 회수홈통(43)에서 상기 기포조(23)의 중앙을 향해 올라가는 제1 천판(35)과,
    상기 회수홈통(43)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포조(23)의 중앙부에서 상기 제1 천판(35)의 상방에 위치되는 제2 천판(37)을 포함하고,
    상기 기포 출구(41)는 상기 제1 천판(35)과 상기 제2 천판(37) 사이에 배치되는, 액처리장치.
  11. 탱크(11)에 저류된, 이물과 유분을 포함하는 처리액(13)에, 기포조(23)의 외부에서 공기의 미세 기포를 혼입하고,
    상기 미세 기포가 혼입된 상기 처리액(13)이 상기 기포조(23)에 유입되고,
    상기 미세 기포가 상기 이물과 상기 유분에 부착되어 상기 기포조(23) 내를 부상하고,
    상기 처리액(13)이 상기 기포조(23)의 하방으로부터 분리조(29)로 유입되고,
    상기 분리조(29)에서 상기 처리액(13)을 상기 탱크(11)로 순환시키고,
    상기 기포조(23)의 액면(14)의 상방에서 부상물을 배출하는, 액처리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기포가 부착된 상기 이물과 상기 유분이 소판(26a)에 충돌하여 결합되는, 액처리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부상한 상기 미세 기포와, 상기 이물과 상기 유분과, 상기 처리액(13)을 포함하는 상기 부상물이 상기 기포조(23)를 채워, 기포 출구(41)로부터 흘러넘치고,
    상기 부상물이 회수홈통(43)으로 회수되고,
    상기 회수홈통(43)으로 회수된 상기 부상물의 기포가 부서져, 상기 기포조(23)로 되돌려지는, 액처리방법.
KR1020200020304A 2019-05-10 2020-02-19 액처리장치 및 액처리방법 KR1024055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89954 2019-05-10
JPJP-P-2019-089954 2019-05-10
JP2019215987A JP6912550B2 (ja) 2019-05-10 2019-11-29 液処理装置および液処理方法
JPJP-P-2019-215987 2019-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082A true KR20200130082A (ko) 2020-11-18
KR102405527B1 KR102405527B1 (ko) 2022-06-03

Family

ID=73222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304A KR102405527B1 (ko) 2019-05-10 2020-02-19 액처리장치 및 액처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912550B2 (ko)
KR (1) KR1024055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62121B1 (ja) * 2021-06-30 2022-05-02 株式会社スギノマシン 液処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2771U (ja) * 1997-04-22 1997-10-31 レイボルド株式会社 含油水の油水分離装置
JP2010264355A (ja) * 2009-05-13 2010-11-25 Eishin Techno Kk 浮上油回収装置
JP2013136039A (ja) * 2011-12-28 2013-07-11 Daihatsu Motor Co Ltd 油分分離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9638A (en) * 1996-02-01 1997-09-23 Southco, Inc. Fastening device
JP4774194B2 (ja) * 2003-03-18 2011-09-14 株式会社ブンリ 濾過装置
WO2008024755A1 (en) * 2006-08-24 2008-02-28 Morse Dwain E Control system and process for wastewater treatment
JP4605818B2 (ja) * 2008-07-03 2011-01-05 株式会社サシュウ産業 浮上油回収装置および浮上油回収方法
JP5552611B1 (ja) * 2013-09-13 2014-07-16 産機テクノス株式会社 浮上油吸引装置及び分離槽
JP2020054971A (ja) * 2018-10-03 2020-04-09 株式会社スギノマシン 液処理装置および液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2771U (ja) * 1997-04-22 1997-10-31 レイボルド株式会社 含油水の油水分離装置
JP2010264355A (ja) * 2009-05-13 2010-11-25 Eishin Techno Kk 浮上油回収装置
JP2013136039A (ja) * 2011-12-28 2013-07-11 Daihatsu Motor Co Ltd 油分分離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85565A (ja) 2020-11-19
KR102405527B1 (ko) 2022-06-03
JP6912550B2 (ja) 202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04252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liquid mixtures
CN111905412B (zh) 液体处理装置以及液体处理方法
KR20200130082A (ko) 액처리장치 및 액처리방법
US6868974B2 (en) Sedimentation filtration installation
KR20170131243A (ko) 배수처리장치 및 배수처리방법
JP2020054971A (ja) 液処理装置および液処理方法
US7484627B2 (en) EIP pack for separating oil from water
EP0826404B1 (en) Tank for deaeration of water
KR101270236B1 (ko) 기포를 이용한 유분 분리장치
KR101741440B1 (ko) 절삭유 재활용 분리장치
KR102162015B1 (ko) 임시침전지구조를 갖는 아치형 부상분리장치
CN110652764B (zh) 分离装置
KR102442310B1 (ko) 액처리장치 및 액처리방법
SU98272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делени твердых частиц и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от жидкости
KR200303086Y1 (ko) 스컴 분리장치
JP3232849U (ja) 液処理装置
JP4713841B2 (ja) 液体分離装置
RU125483U1 (ru) Трехфазный сепаратор
SU1187841A2 (ru) Аппарат дл дегазации воды
KR20220133100A (ko) 유수 분리 장치 및 유수 분리 방법
JP2005349279A (ja) 油液分離装置
TWM591883U (zh) 油水分離裝置
JPH0547271B2 (ko)
JPH05269308A (ja) 液清浄循環装置
JPH0671106A (ja) 混合流体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