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8515A - 시트 포장체 - Google Patents

시트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8515A
KR20200128515A KR1020207019916A KR20207019916A KR20200128515A KR 20200128515 A KR20200128515 A KR 20200128515A KR 1020207019916 A KR1020207019916 A KR 1020207019916A KR 20207019916 A KR20207019916 A KR 20207019916A KR 20200128515 A KR20200128515 A KR 20200128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sheet
packaging bag
opening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9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히코 가토
Original Assignee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28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85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B65D77/38Weakened closure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4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or accessories
    • B65D75/56Handles or other suspension means
    • B65D75/566Hand holes or suspension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 B65D85/67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 B65D85/6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on 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시트가 통상 코어의 둘레 방향으로 감긴 시트 롤과, 상기 시트 롤이 수용된 포장백을 갖는 시트 포장체로서, 상기 시트 롤은, 롤 폭 방향의 적어도 일방의 단면이 상기 포장백의 상면과 대면하고, 상기 통상 코어는, 상기 시트 롤의 상기 일방의 단면측의 단 가장자리가 개구되는 개구부를 갖고, 상기 상면에는, 상기 통상 코어의 상기 개구부와 겹치는 제 1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시트 포장체.

Description

시트 포장체
본 발명은, 시트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시트 포장체에서는, 토일렛 페이퍼나 키친 페이퍼 등의 위생 박엽지가 롤상으로 감긴 상태에서, 수지 필름 등으로 형성된 포장백에 수용되어 있다. 최근, 생활자의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로부터, 장기 사용이 가능하고 수납성이나 스톡성이 높은 일용품이 선호되는 경향이 있으며, 시트 포장체에 수용되는 위생 박엽지에 있어서, 롤의 감긴 길이를 증대시킨 장척 사양의 상품이 많이 전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장척 사양의 키친 롤에서는, 1 개의 키친 롤을 다 사용할 때까지 어느 정도의 기간을 요하고, 또, 식재를 취급하는 장면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키친 롤을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포장백이 요구되고 있다. 또, 위생 박엽지가 수용된 포장백을 찢을 때, 깔끔하게 찢을 수 없는 케이스도 많아, 시트 포장체를 구성하는 포장백이 개봉하기 쉬운 것일 것도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04449호 (특허문헌 1) 에는, 롤상 키친 페이퍼를 포장하는 포장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 포장체에서는, 포장백의 전면에 개봉용의 절취선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04449호
그러나, 종래의 시트 포장체에서는,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는 장소나 시트 포장체의 여는 방법을 알 수 없어, 사용자는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장소부터 무리하게 개봉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시트 포장체를 개봉하는 데에 강한 힘이 필요해져, 사용자에 따라서는 개봉하기 어려운 것이 되고 있다. 또, 사용자에 따라 개봉하는 장소나 개봉 후의 상태가 상이하기 때문에, 개봉 후의 포장백으로부터 제품을 취출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개봉용의 절취선을 따라 개봉한 경우라도, 시트 포장체의 포장백이나 손잡이부가 넓은 범위에 걸쳐서 찢어지는 경향이 있어, 남은 제품을 그대로 개봉 후의 시트 포장체의 포장백 내에 청결하게 보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개봉성, 취출성, 및 개봉 후의 보관성이 우수한 시트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시트가 통상 코어의 둘레 방향으로 감긴 시트 롤과, 상기 시트 롤이 수용된 포장백을 갖는 시트 포장체로서, 상기 시트 롤은, 롤 폭 방향의 적어도 일방의 단면이 상기 포장백의 상면과 대면하고, 상기 통상 코어는, 상기 시트 롤의 상기 일방의 단면측의 단 가장자리가 개구되는 개구부를 갖고, 상기 상면에는, 상기 통상 코어의 상기 개구부와 겹치는 제 1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시트 포장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개봉성, 취출성, 및 개봉 후의 보관성이 우수한 포장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 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에 있어서, 포장백에 수용되는 시트 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에 있어서, 포장백의 측면을 전개하여 포장백의 상면과 면일하게 한 도면이다.
도 4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의 사용 상태 (개봉 전)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의 사용 상태 (개봉시)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의 사용 상태 (개봉시)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의 사용 상태 (개봉 후)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에 있어서, 포장백의 측면을 전개하여 포장백의 상면과 면일하게 한 도면이다.
도 9 는,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에 있어서, 포장백의 측면을 전개하여 포장백의 상면과 면일하게 한 도면이다.
도 10 은,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에 있어서, 포장백의 측면을 전개하여 포장백의 상면과 면일하게 한 도면이다.
도 11 은,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에 있어서, 포장백의 측면을 전개하여 포장백의 상면과 면일하게 한 도면이다.
도 12 는,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에 있어서, 포장백의 측면을 전개하여 포장백의 상면과 면일하게 한 도면이다.
도 13 은, 종래의 시트 포장체 (비교예 1) 에 있어서, 포장백의 측면을 전개하여 포장백의 상면과 면일하게 한 도면이다.
도 14 는, 종래의 시트 포장체 (비교예 2) 에 있어서, 포장백의 측면을 전개하여 포장백의 상면과 면일하게 한 도면이다.
도 15 는, 본 실시형태를 참고로 한 시트 포장체 (참고예 1) 에 있어서, 포장백의 측면을 전개하여 포장백의 상면과 면일하게 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 도면에 있어서의 각 부 재의 축척은 실제와는 상이한 경우가 있다. 또, 이하에 나타내는 설명에서는, 각 도면에 있어서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시트 포장체의 상하 방향 (높이 방향) 의 일방을 위 또는 상방이라고 하고, 타방을 아래 또는 하방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 3 축 방향 (X 방향, Y 방향, Z 방향) 의 3 차원 직교 좌표계를 사용하여, 시트 포장체의 폭 방향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좌우 방향 또는 가로 방향) 을 X 방향으로 하고, 시트 포장체의 안길이 방향 (좌우 방향과 수평하게 직교하는 방향) 을 Y 방향으로 하고, 시트 포장체의 높이 방향 (상하 방향) 을 Z 방향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 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 (100)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포장백에 수용되는 시트 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에 있어서, 포장백의 측면을 전개하여 포장백의 상면과 면일하게 한 도면이다.
도 1 에 있어서, 시트 포장체 (100) 는, 시트 롤 (SR) 이 포장백 (FB) 에 수용 (또는 수납) 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 포장백 (FB) 은, 본체부 (10), 손잡이부 (20), 손가락 걸이부 (30) 를 구비하고 있다. 포장백 (FB) 은, 수지 필름 등으로부터 제대기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시트 포장체 (100) 는, 본 발명의 시트 포장체의 일례이다. 또, 포장백 (FB)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에 있어서, 시트 롤을 수용하는 포장백의 일례이고, 시트 롤 (SR) 은, 본 발명의 시트 포장체에 있어서, 포장백에 수용되는 시트 롤의 일례이다.
포장백 (FB) 의 본체부 (10) 는, 도 1,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시트 롤 (SR) 이 수용되는 시트 포장체 (100) 의 본체부를 구성한다. 본체부 (10) 는, 수지 필름이 통상으로 형성된 통상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통상 필름이 거싯상으로 접어 넣어진 주머니상으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 도 3 참조).
본체부 (10) 를 형성하는 통상 필름 (수지 필름) 의 재질은 임의이다. 이와 같은 수지 필름에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PE), PE-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EVOH)-PE 의 적층체 (PE/EVOH/PE) 등의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수지 필름의 두께는 임의이다. 예를 들어, 수지 필름으로서 PE, PE/EVOH/PE 를 사용하는 경우, 수지 필름의 두께는 10 ∼ 70 ㎛ 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 ∼ 6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50 ㎛ 이다.
포장백 (FB) 의 본체부 (10) 는, 상면 (11), 하면 (12), 1 쌍의 제 1 측면 (13) (일방의 측면 (13a), 타방의 측면 (13b)), 및 1 쌍의 제 2 측면 (14) (일방의 측면 (14a), 타방의 측면 (14b)) 을 갖는다.
상면 (11) 은, 본체부 (10) 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다. 하면 (12) 은, 본체부 (10) 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면 (11) 과 Z 방향 (상하 방향 또는 시트 포장체 (100) 의 높이 방향) 으로 대향하고 있다. 1 쌍의 제 1 측면 (13) 은, 상면 (11) 및 하면 (12) 사이에 배치되어 Y 방향 (시트 포장체 (100) 의 안길이 방향) 으로 대향한다. 1 쌍의 제 2 측면 (14) 은, 상면 (11) 및 하면 (12) 사이에 배치되어 X 방향 (시트 포장체 (100) 의 폭 방향 또는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좌우 방향) 으로 대향한다.
또한, 상면 (11) 은, 시트 포장체 (100) 에 있어서, 포장백의 상면의 일례이고, 하면 (12) 은, 포장백의 하면의 일례이고, 1 쌍의 제 1 측면 (13) 및/또는 1 쌍의 제 2 측면 (14) 은, 포장백의 측면의 일례이다.
도 1,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백 (FB) 의 본체부 (10) 의 상면 (11) 에는, 손잡이부 (20) 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 (20) 는, 시트 포장체 (100) 를 손 또는 손가락 (이하, 손가락이라고 한다) 으로 쥐는 (또는 잡는 부분) 부분을 구성한다. 손잡이부 (20) 는, 본체부 (10) 와 마찬가지로, 수지 필름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손잡이부 (20) 는, 열 융착 (히트 시일) 에 의해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시일부에 의해, 상면 (11) 의 접속부 (11a) 에 본체부 (10) 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시일부를 형성하기 위한 열 융착 (히트 시일) 은,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거싯상으로 접어 넣어진 수지 필름을, 손잡이 성형용의 열판으로 형압하는 수법 (스탬프 방식) 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또, 손잡이부 (20) 에는, 손잡이부 (20) 를 장착한 본체부 (10) 가 시트 포장체 (100) 의 제조시 또는 유통시에 파열되지 않도록, 본체부 (10) 와 시트 포장체 (100) 의 외부를 연통하는 공기공 (도시 생략) 을 형성해도 된다.
손잡이부 (20) 에는, 추가로, 손잡이부 (20) 를 잡을 때에 손가락을 걸기 위한 손가락 걸이부 (30) 가 형성되어 있다. 손가락 걸이부 (30) 는, 손잡이부 (20) 의 좌우 방향 (X 방향) 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 손가락 걸이부 (30) 는, 좌우 방향 (X 방향) 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타원상의 2 개 슬릿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릿의 형태는 임의이며, 예를 들어, 절취선으로 형성하고, 그 절취선을 찢음으로써 손가락 걸이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 걸이부 (30) 의 형상은, 타원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직선상, 곡선상,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의 형상이나 이들과 유사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 손가락 걸이부 (30) 는, 2 개의 슬릿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슬릿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손가락 걸이부 (30) 를 1 개 또는 3 개 이상의 슬릿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 손가락 걸이부 (30) 는, 도시되지 않은 히트 시일에 둘러싸여 손잡이부 (20) 에 배치할 수 있다. 히트 시일은, 손잡이부 (20) 의 형성과 마찬가지로, 열 융착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손가락 걸이부 (30) 는, 히트 시일의 내측에, 히트 시일과 멀어져 배치할 수 있다.
또, 손잡이부 (20) 에는, 손잡이부 (20) 의 손가락 걸이부 (30) 가 형성되는 부분을 보강하는 보강 필름 (도시 생략) 을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은 보강 필름의 양태는 임의이지만, 손잡이부 (20) 의 형성과 마찬가지로, 열 융착 (히트 시일) 에 의해, 손잡이부 (20) 에 첩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보강 필름은, 띠상의 수지 필름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보강 필름의 재질은, 손잡이부 (20) 를 구성하는 수지 필름의 재질과 동일해도 되고, 또 상이해도 된다. 보강 필름의 두께 치수는 임의이고, 예를 들어, 손잡이부 (20) 가 늘어나거나, 파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2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 (100) 에서는,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ST) 가 통상 코어 (PT) 의 둘레 방향으로 감긴 시트 롤 (SR) 과, 시트 롤 (SR) 이 수용된 포장백 (FB) 을 갖는다. 여기서, 시트 (ST) 는, 본 발명의 시트 포장체에 있어서의 시트 롤의 일부를 구성하는 시트의 일례이다. 또, 통상 코어 (PT) 는, 본 발명의 시트 포장체에 있어서의 시트 롤의 일부를 구성하는 통상 코어의 일례이다.
포장백 (FB) 의 본체부 (10) 에 수용된 시트 롤 (SR) 의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포장백 (FB) 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 (Z 방향) 의 높이 (롤 폭) 가 약 85 ㎜ ∼ 3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로 방향 (X 방향) 의 폭 (롤 직경) 이 약 80 ㎜ ∼ 12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시트 롤 (SR) 의 형태는, 통상 코어를 갖는 것이면, 롤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포장백 (FB) 에 수용되는 시트 롤 (SR) 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토일렛 페이퍼, 키친 페이퍼, 티슈 페이퍼, 페이퍼 타올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또, 포장백 (FB) 에 수용되는 시트 롤 (SR) 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 개여도 되고, 2 개 이상이어도 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롤상의 토일렛 페이퍼가 1 단에 4 개 나열된 것이 2 단으로 쌓아 올려진 상태로 합계 8 개 수납되어 있다 (도 1 참조). 또한, 포장백 (FB) 의 본체부 (10) 내에 수용되는 시트 롤 (SR) 의 배열은, 이 배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롤상의 키친 페이퍼 (키친 롤) 를 1 단 쌓기로 4 개 나열한 것, 또는, 롤상의 토일렛 페이퍼 (토일렛 롤) 를 1 단 쌓기로 5 개 이상 나열한 것을, 포장백 (FB) 의 본체부 (10) 내에 수용해도 된다.
시트 (ST)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위생 박엽지를 구성하는 크레이프지를 사용할 수 있다. 크레이프지는, 초지 공정에 있어서 초지기의 드라이어의 출구에서, 닥터 블레이드라고 불리는 날을 댐으로써 표면에 미세한 주름이 형성된 종이이다.
시트 (ST) 를 구성하는 크레이프지에는, 원지의 원료가 펄프를 주재로 하는 종이가 사용된다. 펄프 조성은, 토일렛 페이퍼, 키친 페이퍼 등의 위생 박엽지에 있어서의 공지된 조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펄프의 배합 비율을 5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 로 할 수 있다.
또, 크레이프지에 있어서의 펄프 조성은, 예를 들어, NBKP (침엽수 크라프트 펄프) 나 NUKP (침엽수 미표백 펄프) 등의 침엽수 펄프와, LBKP (활엽수 크라프트 펄프) 나 LUKP (활엽수 미표백 펄프) 등의 활엽수 펄프를 적절한 비율로 사용할 수 있다. 침엽수 펄프와 활엽수 펄프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20 : 80 ∼ 80 : 20 이다.
크레이프지의 평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JIS P 8124 (1998) 로 측정된 평량 (또는 미평 (米坪)) 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 (ST) 를 구성하는 크레이프지의 평량은, 1 플라이당, 바람직하게는 10.0 ∼ 50.0 g/㎡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 40.0 g/㎡ 이다.
또, 크레이프지의 종이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JIS P 8111 (1998) 의 환경하에서 측정된 종이 두께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 (ST) 를 구성하는 크레이프지의 종이 두께는, 1 플라이당, 바람직하게는 50 ∼ 5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330 ㎛ 이다.
또한, 종이 두께의 측정 방법은, 시험편을 JIS P 8111 (1998) 의 조건하에서 충분히 조습한 후, 동 조건하에서 다이얼 시크니스 게이지 (두께 측정기)「PEACOCK G 형」(오자키 제작소 제조) 을 사용하여 2 플라이의 상태에서 측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플런저와 측정대 사이에 찌꺼기, 티끌 등이 없는 것을 확인하여 플런저를 측정대 위에 내려 놓고, 그 다이얼 시크니스 게이지의 메모리를 이동시켜 제로점을 맞춘다. 이어서, 플런저를 올려 시료를 시험대 위에 놓고, 플런저를 천천히 내려 놓았을 때의 게이지를 판독한다. 이 때, 플런저는 올려 놓는 것만으로 한다. 플런저의 단자는 금속제이고 직경 10 ㎜ 의 원형의 평면이 종이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닿도록 한다. 또, 종이 두께 측정시의 하중은 약 70 gf 이다. 또한, 종이 두께는 측정을 10 회 실시하여 얻어지는 평균값으로 한다.
또, 시트 (ST) 를 구성하는 크레이프지에는, 1 플라이의 상태에서 엠보스 가공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엠보스 가공은, 예를 들어, 공지된 스틸 러버식의 엠보스 부여 방법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볼록 엠보스 롤을 크레이프지에 가압하여, 크레이프지의 일방의 면 상에 볼록 엠보스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 크레이프지 타방의 면에는 볼록 엠보스에 대응하는 오목 엠보스가 형성된다.
또한, 크레이프지에 형성되는 볼록 엠보스의 정상부 (또는 볼록 엠보스에 대응하는 오목 엠보스의 개구부) 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상, 삼각형상, 원형상 등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 볼록 엠보스의 측면은, 크레이프지의 볼록 엠보스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으로부터 볼록 엠보스의 정상부를 향하여 도시되지 않은 테이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테이퍼의 측면을 갖는 볼록 엠보스를 형성함으로써, 시트 (ST) 가 두께 방향으로 찌부러지기 어려워진다.
시트 (ST) 의 플라이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 플라이 이상으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플라이 (1 장 겹침) 또는 2 플라이 (2 장 겹침) 이다. 또, 시트 (ST) 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장척 (또는 띠상) 의 위생 박엽지에 소정의 간격으로 절취용의 절취선이 형성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ST) 는, 상기 서술한 볼록 엠보스가 형성된 크레이프지가 1 플라이 (2 장 겹침) 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트 (ST) 는, 볼록 엠보스가 형성된 2 장의 크레이프지가 적층되어 일체화된 적층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적층 구조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의 위생 박엽지의 적층 구조에서 채용되고 있는 팁투팁 형식의 적층 구조, 네스티드 형식의 적층 구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적층 구조는, 2 장의 크레이프지를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착제에는, 적층 구조를 갖는 위생 박엽지에 채용되는 공지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착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전분, 변성 전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통상 코어 (PT) 는, 둘레 방향으로 시트 (ST) 가 감기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원통상의 권심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통상 코어 (PT) 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이,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시트 (ST) 가 토일렛 페이퍼, 키친 페이퍼 등의 위생 박엽지인 경우에는, 원통상의 후지 (厚紙) 제의 권심 (지관이라고도 한다) 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롤 (SR) 이, 롤 폭 방향 (Z 방향) 의 적어도 일방의 단면 (EF) 이 포장백 (FB) 의 본체부 (10) 의 상면 (11) 과 대면한다. 또, 통상 코어 (PT) 는, 시트 롤 (SR) 의 일방의 단면 (EF) 측의 단 가장자리 (TE) 가 개구되는 개구부 (OP) 를 갖는다. 여기서, 통상 코어 (PT) 의 개구부 (OP) 는, 통상 코어 (PT) 내의 공간과 연통되어 있다. 또, 통상 코어 (PT) 의 개구부 (OP) 에는, 통상 코어 (PT) 의 단 가장자리 (TE) 도 포함된다.
그리고, 포장백 (FB) (본체부 (10)) 의 상면 (11) 에는, 통상 코어 (PT) 의 개구부 (OP) 와 겹치는 제 1 슬릿 (40)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슬릿 (40) 의 형태는 임의이며, 예를 들어 절취선 등의 절입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슬릿 (40) 이 절취선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절취선을 찢음으로써 절입이 형성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슬릿 (40) 을 형성하는 절취선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제 1 슬릿 (40) 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직선, 곡선, 삼각형, 사각형, 원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절취선은 임의의 타이 및 컷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타이가 바람직하게는 1.0 ∼ 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6.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4.0 ㎜ 이다. 또 컷은 바람직하게는 0.3 ∼ 3.0 ㎜,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2.5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2.0 ㎜ 이다.
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슬릿 (40) 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부 (OP) 의 중앙부 (OC) 와 겹쳐 있다 (도 1, 도 3 참조). 여기서, 개구부 (OP) 의 중앙부 (OC) 는, 개구부 (OP) 의 중심을 포함하는 개구부 (OP) 의 중앙의 영역을 나타낸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슬릿 (40) 의 일부 (40a) 가, 개구부 (OP) 의 중앙부 (OC) 와 겹치도록, 제 1 슬릿 (40) 이 상면 (11) 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슬릿 (40) 이, 1 개의 선상 슬릿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선상 슬릿은, 슬릿의 형상이 선상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선상 슬릿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직선, 곡선 등의 선형으로 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선상 슬릿이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 ∼ 도 7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 (100) 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4 ∼ 도 7 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의한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시트 포장체 (100) 에 있어서, 시트 롤 (SR) 의 롤 폭 방향 (Z 방향) 의 적어도 일방의 단면 (EF) 이 포장백 (FB) 의 본체부 (10) 의 상면 (11) 과 대면한다. 또, 통상 코어 (PT) 는, 시트 롤 (SR) 의 일방의 단면 (EF) 측의 통상 코어 (PT) 의 단 가장자리 (TE) 가 개구되는 개구부 (OP) 를 갖는다. 또한, 포장백 (FB) 의 본체부 (10) 의 상면 (11) 에는, 통상 코어 (PT) 의 개구부 (OP) 와 겹치는 제 1 슬릿 (40)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포장백 (FB) 의 본체부 (10) 의 상면 (11) 에 형성된 제 1 슬릿 (40) 이, 통상 코어 (PT) 내의 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 (OP) 와 겹쳐 있다. 이로써, 포장백 (FB) 의 본체부 (10) 의 상면 (11) 의 제 1 슬릿 (40) 이 형성된 부분은, 통상 코어 (PT) 의 개구부 (OP) 에 대해 휘기 쉽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슬릿 (40) 을 손가락 (F) 으로 찢어 포장백 (FB) 을 개봉할 때에, 제 1 슬릿 (40) 에 손가락 (F) 이 걸리기 쉬워, 포장백 (FB) 의 개봉이 용이하다 (도 4, 도 5 참조).
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슬릿 (40) 에 걸린 손가락 (F) 은, 통상 코어 (PT) 의 개구부 (OP) 로부터 통상 코어 (PT) 의 내측의 공간에 삽입되기 때문에, 시트 롤 (SR) 에 손가락 (F) 이 직접 닿는 경우는 없다. 그 때문에, 제 1 슬릿 (40) 에 손가락 (F) 을 걸어 제 1 슬릿 (40) 을 찢을 때에, 손가락 (F) 이 시트 롤 (SR) 에 닿아 시트 (ST) 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참조).
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슬릿 (40) 으로부터 통상 코어 (PT) 의 개구부 (OP) 를 향하여 손가락 (F) 을 밀어 넣음으로써, 제 1 슬릿 (40) 이 간단하게 찢어져, 손가락 (F) 이 통상 코어 (PT) 의 내측의 공간에 삽입된다. 그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적은 힘으로 포장백 (FB) 을 개봉할 수 있다.
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적은 힘으로 포장백 (FB) 을 개봉할 수 있음으로써, 포장백 (FB) 에 형성되는 개봉구의 치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포장백 (FB) 의 개봉구의 치수를, 시트 롤 (SR) 을 취출하기 쉬운 치수로 조정할 수 있다.
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포장백 (FB) 의 개봉구의 치수 조정이 용이한 점에서, 포장백 (FB) 의 개봉구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포장백 (FB) 의 개봉 후에도 일부의 시트 롤 (SR) 을 취출한 후의 나머지 시트 롤 (SR) 을 진애 (티끌, 먼지, 찌꺼기 등) 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6, 도 7 참조). 이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 (100) 는, 개봉성, 취출성, 및 개봉 후의 보관성이 우수하다.
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슬릿 (40) 의 일부 (40a) 가, 개구부 (OP) 의 중앙부 (OC) 와 겹침으로써, 제 1 슬릿 (40) 은 반드시 통상 코어 (PT) 의 개구부 (OP) 의 중앙부 (OC) 와 겹치도록 상면 (11) 에 배치되게 된다. 이로써,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포장백 (FB) 의 개봉시에 손가락 (F) 이 제 1 슬릿 (40) 에 걸리기 쉬워져, 제 1 슬릿 (40) 이 찢어지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시트 포장체 (100) 의 개봉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슬릿 (40) 이, 적어도 1 개의 선상 슬릿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슬릿 (40) 의 형성이 용이하다. 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슬릿 (40) 이 이와 같은 선상 슬릿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슬릿 (40) 의 적어도 1 개의 단부를, 포장백 (FB) (본체부 (10)) 의 상면 (11) 과 연속하는 제 1 측면 (13) 또는 제 2 측면 (14) 측을 향하여 연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슬릿 (40) 의 단부 (40b) 또는 단부 (40b) 와 단부 (40c) 의 양방이, 포장백 (FB) (본체부 (10)) 의 일방의 측면 (13a) 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슬릿 (40) 을 찢은 후, 포장백 (FB) 이 찢어지는 방향이 본체부 (10) 의 상면 (11) 으로부터 제 1 측면 (13) (일방의 측면 (13a)) 을 향하여 나아가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포장백 (FB) 을 본체부 (10) 의 상면 (11) 으로부터 제 1 측면 (13) 을 향하여 간단하게 개봉할 수 있기 때문에, 시트 롤 (SR) 의 취출이 용이해진다 (도 1, 도 3, 도 6, 도 7 참조).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 의 측면을 전개하여 포장백의 상면과 면일하게 한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제 3 실시형태)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 및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슬릿 (40) 이, 제 1 슬릿 (40) 을 구성하는 선상 슬릿의 적어도 2 개의 단부 (40b, 40c) 가, 포장백 (FB) 의 측면 (제 1 측면 (13), 제 2 측면 (14)) 중 동일한 측면 (일방의 측면 (13a)) 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슬릿 (40) 은, 1 개의 U 자상의 선상 슬릿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U 자상의 선상 슬릿을 채용함으로써, 제 1 슬릿 (40) 은, 통상 코어 (PT) 의 개구부 (OP) 의 중앙부 (OC) 와 겹치는 제 1 슬릿 (40) 의 일부 (40a) 로부터 단부 (40b) 로 연장되는 방향과, 단부 (40c) 로 연장되는 방향을, 포장백 (FB) 의 동일한 측면 (일방의 측면 (13a)) 을 향하여 연장시킬 수 있다.
또,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 개의 직선상의 선상 슬릿이, 개구부 (OP) 의 중앙부 (OC) 와 겹치는 제 1 슬릿 (40) 의 일부 (40a) 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슬릿 (40) 의 일부 (40a) 로부터 단부 (40b) 로 연장되는 방향과, 단부 (40c) 로 연장되는 방향과, 또한 단부 (40d) 로 연장되는 방향이 상이하다. 이 중, 제 1 슬릿 (40) 의 일부 (40a) 로부터 단부 (40b) 로 연장되는 방향과, 단부 (40c) 로 연장되는 방향이, 포장백 (FB) 의 동일한 측면 (일방의 측면 (13a)) 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로써, 제 2 실시형태 및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슬릿 (40) 이 찢어지는 방향이, 적어도 2 개의 방향으로 분산되기 때문에, 제 1 슬릿 (40) 이 찢어지기 쉬워진다.
또, 제 2 실시형태 및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슬릿 (40) 이, 제 1 슬릿 (40) 을 구성하는 선상 슬릿의 2 개의 단부 (40b, 40c) 로부터 포장백 (FB) 의 동일한 측면 (일방의 측면 (13a)) 을 향하여 2 개의 방향으로 찢어짐으로써, 포장백 (FB) 의 개봉구에 대응하는 파단편이 형성된다. 이 파단편은, 제 1 슬릿 (40) 이 파단되어 형성되는 (또는 젖혀지는) 포장백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 파단편을 집음으로써, 시트 포장체의 개봉이 더욱 용이해진다. 그 때문에, 제 2 실시형태 및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시트 포장체 (100) 의 개봉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제 4 실시형태)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4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체 (100) 에서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슬릿 (40) 이, 개구부 (OP) 와 겹치는 기부 (41) 와, 기부 (41) 와 연속해서 통상 코어 (PT) 의 단 가장자리 (TE) 가까이의 시트 롤 (SR) 의 단면 (EF) 의 일부 (EP) 와 겹치는 연장부 (42 (42a, 42b)) 를 갖는다.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슬릿 (40) 의 기부 (41) 가 개구부 (OP) 와 겹치기 때문에, 기부 (41) 을 통하여 포장백 (FB) 을 개봉할 수 있다. 또, 제 1 슬릿 (40) 의 연장부 (42 (42a, 42b)) 가, 기부 (41) 와 연속해서 통상 코어 (PT) 의 단 가장자리 (TE) 가까이의 시트 롤 (SR) 의 단면 (EF) 의 일부 (EP) 와 겹치기 때문에, 기부 (41) 가 찢어진 후, 연장부 (42 (42a, 42b)) 를 통하여 추가로 포장백 (FB) 을 개봉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슬릿 (40) 이 찢어진 후, 제 1 슬릿 (40)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포장백 (FB) 을 찢을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4 실시형태에서는, 포장백 (FB) 의 개봉이 더욱 용이해진다.
또, 제 4 실시형태에서는, 관점을 바꾸면, 제 1 슬릿 (40) 이 개구부 (OP) 의 내측 부분과 완전히 겹치지 않는 경우에는, 제 1 슬릿 (40) 의 기부 (41) 가 개구부 (OP) 와 겹치는 부분이 되고, 제 1 슬릿 (40) 의 연장부 (42 (42a, 42b)) 가 개구부 (OP) 와 겹치지 않는 부분 (통상 코어 (PT) 의 단 가장자리 (TE) 가까이의 시트 롤 (SR) 의 단면 (EF) 의 일부 (EP) 와 겹치는 부분) 이 될 수 있다. 그 때문에, 포장백 (FB) 의 본체부 (10) 의 상면 (11) 에 형성되는 제 1 슬릿 (40) 의 위치가 개구부 (OP) 에 대해 다소 어긋나도, 우수한 포장백 (FB) 의 개봉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제 5 실시형태)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제 6 실시형태)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5 실시형태 및 제 6 실시형태에서는, 도 11,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백 (FB) 의 본체부 (10) 의 상면 (11) 과 제 1 측면 (13) (일방의 측면 (13a)) 에, 제 1 슬릿 (40) 과 연속해서 본체부 (10) 의 상면 (11) 으로부터 제 1 측면 (13) (일방의 측면 (13a)) 으로 연장되는 제 2 슬릿 (50 (51, 52)) 이 형성되어 있다.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슬릿 (40) 과 연속하는 제 2 슬릿 (50) 이, 포장백 (FB) 의 본체부 (10) 의 상면 (11) 과 제 1 측면 (13) (일방의 측면 (13a)) 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백 (FB) 이 개봉되는 방향이, 제 1 슬릿 (40) 이 찢어진 후에 제 2 슬릿 (50) 을 향하기 쉽다. 이로써, 제 5 실시형태에서는, 포장백 (FB) 의 본체부 (10) 의 상면 (11) 으로부터 제 1 측면 (13) (일방의 측면 (13a)) 에 걸쳐 포장백 (FB) 을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또, 제 6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슬릿 (40) 과 연속하는 제 2 슬릿 (50) 이, 2 개의 선상 슬릿의 단부 (40b) 와 단부 (40c) 와 연속하는 2 개의 제 2 슬릿 (50 (51, 52)) 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6 실시형태에서는, 이 2 개의 제 2 슬릿 (50 (51, 52)) 이, 포장백 (FB) 의 본체부 (10) 의 상면 (11) 과 제 1 측면 (13) (일방의 측면 (13a)) 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백 (FB) 이 개봉되는 방향이, 제 1 슬릿 (40) 이 찢어진 후에 2 개의 제 2 슬릿 (50 (51, 52)) 을 향하기 쉽다. 이로써, 제 6 실시형태에서는, 포장백 (FB) 의 본체부 (10) 의 상면 (11) 으로부터 제 1 측면 (13) (일방의 측면 (13a)) 에 걸쳐 포장백 (FB) 을 더욱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실시예를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비교예의 평가는, 이하의 시험에 의해 실시하였다.
[시트 포장체 (시험체)]
시험체로서, 시트 롤 (SR) 이 포장백 (FB) 에 수용된 시트 포장체 (100) 를 준비하였다. 시트 롤 (SR) 에는, 8 개의 롤상의 토일렛 페이퍼 (다이오 제지 주식회사 제조의「에리에르 토일렛 티슈 60 m 싱글 (147 g/롤)」) 를 사용하였다. 토일렛 페이퍼의 치수는, 시트 포장체 (100) 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 (Z 방향) 의 높이 (롤 폭) 가 약 114 ㎜ 이고, 가로 방향 (X 방향) 의 폭 (롤 직경) 이 약 106 ㎜ 이다. 8 개의 시트 롤 (SR) 은, 1 단에 4 개 나열한 것을 2 단으로 겹쳐 수용하였다. 또, 포장백 (FB) 은, 두께 25 ㎛ 의 폴리에틸렌 (PE) 제의 필름을 통상으로 한 것을, 제대기에 의해 거싯상으로 접어 넣어 제조하였다.
[개봉 저항 시험]
시트 포장체 (100) 에 대해, 개봉 저항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은, 푸시풀 게이지 (이마다사 제조, 형번 : Z2-20) 에 평형 표준 어태치먼트 (A-2) 및 연장 로드 (A-6) 을 사용하여, 포장백 (FB) 에 형성된 슬릿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밀어 넣고, 필름이 파단될 때까지의 수치를 판독하여, 개봉 저항값 (kgf) 을 측정하였다. 또한, 슬릿이 없는 경우에는, 지관의 중앙부로부터 필름이 파단될 때까지 밀어 넣어, 개봉 저항값을 측정하였다. 시험은, 각 실시예·비교예에 대해 5 회 실시하고, 평균의 수치를 산출하였다. 또, 참고예 1 에 대해서는, 시트 롤 (SR) 이 간섭하여 개봉할 수 없었기 때문에, 측정 불능 (-) 으로 하였다. 개봉 저항 시험의 평가는, 개봉 저항값이 2.00 kgf 미만인 경우에 양호하다고 평가하고, 개봉 저항값이 2.00 kgf 이상인 경우에는 양호하지 않다 (불량) 고 평가하였다.
[개봉성]
시트 포장체 (100) 의 포장백 (FB) 에 형성된 슬릿을 따라, 사용자가 한 손으로 개봉했을 때 (슬릿이 없는 경우에는 자유롭게 개봉했을 때) 의 열기 쉬움 (개봉성) 을 평가하였다. 시험은, 각 실시예·비교예에 대해 5 회 실시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5 회 중 5 회 모두 한 손으로 개봉할 수 있었다 (양호)
× : 5 회 중 1 회도 한 손으로 개봉할 수 없었다 (불량)
[취출성]
시트 포장체 (100) 를 개봉한 후에 시트 포장체 (100) 내의 시트 롤 (SR) 을 1 롤 취출했을 때의 취출하기 쉬움 (취출성) 을 평가하였다. 취출성은, 각 실시예·비교예에 대해 5 명의 사용자에 의해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점수화하고, 그 평균값으로부터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균값이 3.5 점 이상인 경우에 양호하다고 평가하였다.
5 점 : 매우 취출하기 쉽다
4 점 : 취출하기 쉽다
3 점 :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다
2 점 : 취출하기 어렵다
1 점 : 매우 취출하기 어렵다
[보관성]
개봉한 시트 포장체 (100) 내의 시트 롤 (SR) 을 1 롤 취출한 후에, 시트 포장체 (100) 내에 남은 시트 롤 (SR) 을 개봉 후의 포장백 (FB) 으로 쌀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개봉 후의 보관성을 평가하였다. 시험은, 각 실시예·비교예에 대해 5 회 실시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5 회 중 5 회 모두 쌀 수 있었다 (양호)
× : 5 회 중 1 회 이상 쌀 수 없었다 (불량)
[실시예 1]
도 1, 도 3 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체 (100) 를 제조하였다. 이 시트 포장체 (100) 에서는, 포장백 (FB) 의 본체부 (10) 의 상면 (11) 에, 통상 코어 (PT) 의 개구부 (OP) 와 겹치는 제 1 슬릿 (40) 을 형성하였다. 또, 제 1 슬릿 (40) 은, 1 개의 선상 슬릿으로 구성하고, 제 1 슬릿 (40) 의 형상을 직선상으로 하였다. 이 시트 포장체 (100) 에 대해, 개봉성, 취출성, 보관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도 8 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체 (100) 를 제조하였다. 이 시트 포장체 (100) 에서는, 제 1 슬릿 (40) 의 형상이 U 자상이고, 제 1 슬릿 (40) 의 일부 (40a) 로부터 단부 (40b) 로 연장되는 방향과, 단부 (40c) 로 연장되는 방향이 동일한 측면 (일방의 측면 (13a)) 을 향하는 방향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시트 포장체 (100) 를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도 9 에 나타내는 제 3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체 (100) 를 제조하였다. 이 시트 포장체 (100) 에서는, 제 1 슬릿 (40) 의 형상을, 3 개의 직선상의 선상 슬릿이 제 1 슬릿 (40) 의 일부 (40a) 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하고, 제 1 슬릿 (40) 의 일부 (40a) 로부터 단부 (40b) 로 연장되는 방향과, 단부 (40c) 로 연장되는 방향과, 단부 (40d) 로 연장되는 방향이 상이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시트 포장체 (100) 를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4]
도 10 에 나타내는 제 4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체 (100) 를 준비하였다. 이 시트 포장체 (100) 에서는, 제 1 슬릿 (40) 에, 개구부 (OP) 와 겹치는 기부 (41) 와, 기부 (41) 와 연속해서 통상 코어 (PT) 의 단 가장자리 (TE) 가까이의 시트 롤 (SR) 의 단면 (EF) 의 일부 (EP) 와 겹치는 (개구부 (OP) 와 겹치지 않는) 연장부 (42 (42a, 42b)) 를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시트 포장체 (100) 를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5]
도 11 에 나타내는 제 5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체 (100) 를 준비하였다. 이 시트 포장체 (100) 에서는, 포장백 (FB) 의 본체부 (10) 의 상면 (11) 과 제 1 측면 (13) (일방의 측면 (13a)) 에, 제 1 슬릿 (40) (단부 (40b)) 과 연속해서 본체부 (10) 의 상면 (11) 으로부터 제 1 측면 (13) (일방의 측면 (13a)) 으로 연장되는 제 2 슬릿 (50 (51, 52)) 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시트 포장체 (100) 를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6]
도 12 에 나타내는 제 6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체 (100) 를 준비하였다. 이 시트 포장체 (100) 에서는, 포장백 (FB) 의 본체부 (10) 의 상면 (11) 과 제 1 측면 (13) (일방의 측면 (13a)) 에, 제 1 슬릿 (40) (단부 (40b), 단부 (40c)) 와 연속해서 상면 (11) 으로부터 제 1 측면 (13) (일방의 측면 (13a)) 으로 연장되는 제 2 슬릿 (50 (51, 52)) 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시트 포장체 (100) 를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도 13 에 나타내는 시트 포장체 (100) 를 준비하였다. 이 시트 포장체 (100) 에서는, 제 1 슬릿 (40) 을 형성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시트 포장체 (100) 를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도 14 에 나타내는 시트 포장체 (100) 를 준비하였다. 이 시트 포장체 (100) 에서는, 포장백 (FB) 의 본체부 (10) 의 제 1 측면 (13) (일방의 측면 (13a)) 에, 통상 코어 (PT) 의 개구부 (OP) 와 겹치지 않는 직선상의 슬릿 (60) 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시트 포장체 (100) 를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참고예 1]
도 15 에 나타내는 시트 포장체 (100) 를 준비하였다. 이 시트 포장체 (100) 에서는, 포장백 (FB) 의 본체부 (10) 의 상면 (11) 으로부터 제 1 측면 (13) (일방의 측면 (13a)) 에, 통상 코어 (PT) 의 개구부 (OP) 와 겹치지 않는 직선상의 슬릿 (60) 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시트 포장체 (100) 를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 로부터, 포장백 (FB) 의 본체부 (10) 의 상면 (11) 에, 통상 코어 (PT) 의 개구부 (OP) 와 겹치는 제 1 슬릿 (40) 을 형성한 시트 포장체 (100) 는, 모두 개봉 저항값은 2.00 kgf 미만 (양호) 이고, 개봉성은 ○ (양호) 이고, 취출성은 3.5 이상 (양호) 이고, 보관성은 ○ (양호) 였다 (실시예 1 ∼ 6).
이에 반해, 포장백 (FB) 의 본체부 (10) 의 상면 (11) 에, 통상 코어 (PT) 의 개구부 (OP) 와 겹치는 제 1 슬릿 (40)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시트 포장체 (100) 는, 어느 것이 개봉 저항값은 2.00 kgf 이상 (불량) 이고, 개봉성은 × (불량) 이고, 취출성은 3.5 미만이고, 보관성은 불량 (×) 이었다 (비교예 1, 2, 참고예 1). 또한, 참고예 1 은, 개봉 저항 시험에 있어서, 시트 롤 (SR) 이 간섭하여 개봉할 수 없었다 (측정 불능).
이들 결과로부터, 통상 코어의 개구부와 겹치는 제 1 슬릿을 포장백의 상면에 형성하는 것으로부터, 개봉성, 취출성, 보관성이 우수한 시트 포장체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를 부기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 1 양태는, 시트가 통상 코어의 둘레 방향으로 감긴 시트 롤과, 상기 시트 롤이 수용된 포장백을 갖는 시트 포장체로서, 상기 시트 롤은, 롤 폭 방향의 적어도 일방의 단면이 상기 포장백의 상면과 대면하고, 상기 통상 코어는, 상기 시트 롤의 상기 일방의 단면측의 단 가장자리가 개구되는 개구부를 갖고, 상기 상면에는, 상기 통상 코어의 상기 개구부와 겹치는 제 1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시트 포장체를 제공한다.
제 1 양태에서는, 시트 포장체에 있어서, 시트 롤의 롤 폭 방향의 적어도 일방의 단면이 포장백의 상면과 대면한다. 또, 통상 코어는, 시트 롤의 일방의 단면측의 단 가장자리가 개구되는 개구부를 갖는다. 그리고, 포장백의 상면에, 통상 코어의 개구부와 겹치는 제 1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상 코어의 개구부는, 통상 코어 내의 공간과 연통되어 있다. 또, 통상 코어의 개구부에는, 통상 코어의 단 가장자리도 포함된다.
제 1 양태에서는, 포장백의 상면에 형성된 제 1 슬릿이, 이와 같은 통상 코어 내의 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와 겹치기 때문에, 포장백의 상면의 제 1 슬릿이 형성된 부분은, 통상 코어의 개구부에 대해 휘기 쉽다. 이로써, 제 1 양태에서는, 포장백을 개봉할 때에, 제 1 슬릿에 손가락이 걸리기 쉽기 때문에, 포장백의 개봉이 용이하다.
또, 제 1 양태에서는, 제 1 슬릿에 걸린 손가락은, 통상 코어의 개구부로부터 통상 코어의 내측의 공간에 삽입되기 때문에, 시트 롤에 손가락이 직접 닿는 경우는 없다. 그 때문에, 제 1 슬릿에 손가락을 걸어 제 1 슬릿을 찢을 때에, 손가락이 시트 롤에 닿아 시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1 양태에서는, 제 1 슬릿으로부터 통상 코어의 개구부를 향하여 손가락을 밀어 넣음으로써, 손가락은 제 1 슬릿으로부터 통상 코어의 내측의 공간에 삽입되어, 제 1 슬릿을 간단하게 찢을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1 양태에서는, 적은 힘으로 포장백을 개봉할 수 있다.
또, 제 1 양태에서는, 적은 힘으로 포장백을 개봉할 수 있음으로서, 포장백에 형성되는 개봉구의 치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포장백의 개봉구의 치수를, 시트 롤을 취출하기 쉬운 치수로 조정할 수 있다.
또, 제 1 양태에서는, 포장백의 개봉구의 치수 조정이 용이한 점에서, 포장백의 개봉시에 포장백의 개봉구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포장백의 개봉 후에도 시트 롤을 취출한 후의 나머지 시트 롤을 진애 (티끌, 먼지, 찌꺼기 등) 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양태에 의하면, 개봉성, 취출성, 및 개봉 후의 보관성이 우수한 시트 포장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 2 양태는, 상기 제 1 슬릿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구부의 중앙부와 겹치는, 포장체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구부의 중앙부란, 개구부의 중심을 포함하는 개구부의 중앙의 영역을 의미한다. 또, 제 1 슬릿의 적어도 일부란, 제 1 슬릿의 전부 또는 일부가 개구부의 중앙부와 겹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양태에서는, 제 1 슬릿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부의 중앙부와 겹침으로써, 제 1 슬릿은 반드시 통상 코어의 개구부의 중앙부와 겹치도록 상면에 배치되게 된다. 그 때문에, 제 2 양태에서는, 포장백의 개봉시에 손가락이 제 1 슬릿에 걸리기 쉬워져, 제 1 슬릿이 찢어지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제 2 양태에 의하면, 시트 포장체의 개봉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 3 양태는, 상기 제 1 슬릿이, 적어도 1 개의 선상 슬릿으로 구성되어 있는, 시트 포장체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적어도 1 개의 슬릿이란, 제 1 슬릿이 1 개 또는 복수 개의 슬릿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 선상 슬릿이란, 슬릿의 형상이 선상인 것을 나타낸다. 제 3 양태에서는, 제 1 슬릿을 이와 같은 선상 슬릿으로 구성함으로써, 제 1 슬릿의 형성이 용이하다.
또, 제 3 양태에서는, 제 1 슬릿이 이와 같은 선상 슬릿이기 때문에, 슬릿의 적어도 1 개의 단부를, 상면과 연속하는 포장백의 측면측을 향하여 연장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3 양태에서는, 제 1 슬릿을 찢은 후, 포장백이 찢어지는 방향이 상면으로부터 측면을 향하여 나아가기 쉬워진다. 이로써, 제 3 양태에서는, 포장백을 상면으로부터 측면을 향하여 간단하게 개봉할 수 있기 때문에, 시트 롤의 취출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 4 양태는, 상기 선상 슬릿의 적어도 2 개의 단부가, 상기 포장백의 측면 중 동일한 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시트 포장체를 제공한다. 제 4 양태에서는, 제 1 슬릿을 구성하는 선상 슬릿의 적어도 2 개의 단부가, 포장백의 측면 중 동일한 측면을 향하여 연장됨으로써, 제 1 슬릿이 찢어지는 방향이, 적어도 2 개의 방향으로 분산되기 때문에, 제 1 슬릿이 찢어지기 쉬워진다.
또, 제 4 양태에서는, 제 1 슬릿이 포장백의 동일한 측면을 향하여 적어도 2 개의 방향으로 찢어짐으로써, 포장백의 개봉구에 대응하는 파단편 (제 1 슬릿이 파단되어 형성되는 (또는 젖혀지는) 포장백의 일부) 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파단편을 집음으로써, 시트 포장체의 개봉이 더욱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 5 양태는, 상기 제 1 슬릿이, 상기 개구부와 겹치는 기부와, 상기 기부와 연속해서 상기 통상 코어의 상기 단 가장자리 가까이의 상기 단면의 일부와 겹치는 연장부를 갖는, 시트 포장체를 제공한다. 제 5 양태에서는, 제 1 슬릿의 기부가 개구부와 겹치기 때문에, 기부를 통하여 포장백을 개봉할 수 있다.
또, 제 1 슬릿의 연장부가, 기부와 연속해서 개구부의 단 가장자리 가까이의 단면의 일부와 겹치기 때문에, 기부가 찢어진 후, 연장부를 통하여 더욱 포장백을 개봉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슬릿이 찢어진 후, 제 1 슬릿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포장백을 찢을 수 있다. 그 때문에, 포장백의 개봉이 더욱 용이해진다.
또, 관점을 바꾸면, 제 1 슬릿이 개구부의 내측 부분과 완전히 겹치지 않는 경우에는, 제 1 슬릿의 기부가 개구부와 겹치는 부분이 되고, 제 1 슬릿의 연장부가 개구부와 겹치지 않는 부분 (통상 코어의 일방의 단 가장자리 가까이의 시트 롤의 단면의 일부와 겹치는 부분) 이 될 수 있다. 그 때문에, 포장백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 1 슬릿의 위치가, 개구부에 대해 다소 어긋나 있는 경우라도, 포장백의 개봉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 6 양태는, 상기 제 1 슬릿과 연속해서 상기 포장백의 상기 상면으로부터 상기 포장백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제 2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시트 포장체를 제공한다. 제 6 양태에서는, 제 1 슬릿과 연속하는 제 2 슬릿이, 포장백의 상면과 측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백이 개봉되는 방향이, 제 1 슬릿이 찢어진 후에 제 2 슬릿을 향하기 쉽다. 그 때문에, 제 6 양태에서는, 포장백의 상면으로부터 측면에 걸쳐 포장백을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본 출원은, 2018년 3월 2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8-63601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전체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100 : 시트 포장체
SR : 시트 롤
EF : 단면
EP : 단면의 일부
ST : 시트
PT : 통상 코어
TE : 단 가장자리
OP : 개구부
OC : 중앙부
FB : 포장백
11 : 상면
11a : 접속부
12 : 하면
13 : 제 1 측면
13a : 일방의 측면
14 : 제 2 측면
20 : 손잡이부
30 : 손가락 걸이부
40 : 제 1 슬릿
40a : 일부
40b : 단부
40c : 단부
40d : 단부
41 : 기부
42, 42a, 42b : 연장부
50, 51, 52 : 제 2 슬릿
F : 손가락

Claims (6)

  1. 시트가 통상 코어의 둘레 방향으로 감긴 시트 롤과,
    상기 시트 롤이 수용된 포장백을 갖는, 시트 포장체로서,
    상기 시트 롤은, 롤 폭 방향의 적어도 일방의 단면이 상기 포장백의 상면과 대면하고,
    상기 통상 코어는, 상기 시트 롤의 상기 일방의 단면측의 단 가장자리가 개구되는 개구부를 갖고,
    상기 상면에는, 상기 통상 코어의 상기 개구부와 겹치는 제 1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시트 포장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릿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구부의 중앙부와 겹치는, 시트 포장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릿은, 적어도 1 개의 선상 슬릿으로 구성되어 있는, 시트 포장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상 슬릿의 적어도 2 개의 단부가, 상기 포장백의 측면 중 동일한 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시트 포장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릿은, 상기 개구부와 겹치는 기부와, 상기 기부와 연속해서 상기 통상 코어의 상기 단 가장자리 가까이의 상기 단면의 일부와 겹치는 연장부를 갖는, 시트 포장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릿과 연속해서 상기 포장백의 상기 상면으로부터 상기 포장백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제 2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시트 포장체.
KR1020207019916A 2018-03-29 2018-11-29 시트 포장체 KR202001285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63601A JP6530529B1 (ja) 2018-03-29 2018-03-29 シート包装体
JPJP-P-2018-063601 2018-03-29
PCT/JP2018/044056 WO2019187347A1 (ja) 2018-03-29 2018-11-29 シート包装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515A true KR20200128515A (ko) 2020-11-13

Family

ID=66821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916A KR20200128515A (ko) 2018-03-29 2018-11-29 시트 포장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58774B2 (ko)
EP (1) EP3778425B1 (ko)
JP (1) JP6530529B1 (ko)
KR (1) KR20200128515A (ko)
CN (1) CN111801282A (ko)
WO (1) WO20191873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72806B2 (ja) * 2019-10-01 2023-11-01 大王製紙株式会社 トイレットロール包装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4449A (ja) 2001-09-26 2003-04-09 Oji Paper Co Ltd キッチンペーパーの包装体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06273A (en) * 1929-04-03 1931-05-19 Harrison R Williams Paper manufacture
JPS5428618U (ko) * 1977-07-28 1979-02-24
JP3060143U (ja) * 1998-11-18 1999-07-30 株式会社クレシア トイレットペーパーロール包装体
JP3153528B2 (ja) * 1999-04-21 2001-04-09 日本フィルム株式会社 ロールペーパー用包装袋
JP2002120864A (ja) * 2000-10-16 2002-04-23 Sugiyama Daizo 不織布ロール包装物
JP2004269009A (ja) * 2003-03-11 2004-09-30 Crecia Corp 包装袋
EP2017190A1 (en) * 2007-07-20 2009-01-21 SCA Hygiene Products AB Pack for containing hygiene products
JP5014913B2 (ja) * 2007-08-03 2012-08-29 福助工業株式会社 包装袋
US8220700B2 (en) * 2009-11-10 2012-07-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asy-opening paper towel product
JP2011189965A (ja) * 2010-03-15 2011-09-29 Nippon Paper Crecia Co Ltd 包装袋及びロール製品パッケージ。
US9821923B2 (en) * 2010-11-04 2017-11-21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Method of packaging product units and a package of product units
JP6003584B2 (ja) * 2012-11-28 2016-10-05 凸版印刷株式会社 シール蓋および蓋材
CN203047788U (zh) * 2012-12-11 2013-07-10 向玉忠 抽纸的塑料包装
JP6250338B2 (ja) * 2013-09-10 2017-12-20 大王製紙株式会社 キッチンペーパーロール包装体
CN104071430A (zh) * 2014-06-24 2014-10-01 金红叶纸业集团有限公司 包装袋
TWM498179U (zh) * 2014-11-19 2015-04-01 Kimberly Clark Taiwan 具有可再附著提把之可再封型吸收性物件包裝
CN205169199U (zh) * 2015-11-21 2016-04-20 上虞金钟彩印包装有限公司 食品包装袋
CN206183134U (zh) * 2016-08-24 2017-05-24 武汉圣世联盟纸业有限公司 纸巾盒盖及其纸巾盒
JP2018063601A (ja) 2016-10-13 2018-04-19 株式会社ナカヨ アンチウイルス機能を有する外部メモリアダプタ
CN106377196A (zh) * 2016-12-13 2017-02-08 苍南县棋源包装科技有限公司 立柱状抽取式纸巾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4449A (ja) 2001-09-26 2003-04-09 Oji Paper Co Ltd キッチンペーパーの包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30529B1 (ja) 2019-06-12
EP3778425B1 (en) 2023-09-06
WO2019187347A1 (ja) 2019-10-03
EP3778425A1 (en) 2021-02-17
CN111801282A (zh) 2020-10-20
EP3778425A4 (en) 2021-05-19
US20210002053A1 (en) 2021-01-07
US11358774B2 (en) 2022-06-14
JP2019172325A (ja)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00323A1 (en) Sheet package
JP6771000B2 (ja) 衛生薄葉紙包装体
JP7104226B2 (ja) 薄葉紙包装体
KR20200128515A (ko) 시트 포장체
KR20200131821A (ko) 포장백
JP7308017B2 (ja) 薄葉紙包装体
JP7015803B2 (ja) シート包装体
JP6548769B1 (ja) 衛生薄葉紙
JP7329990B2 (ja) シート包装体及びシート包装体の製造方法
WO2022209718A1 (ja) 包装体
WO2022209909A1 (ja) 包装体
WO2022264578A1 (ja) 包装体
WO2022209911A1 (ja) 包装体
JP7271229B2 (ja) シート包装体
JP7423885B2 (ja) ロール製品パッケージ
JP7403278B2 (ja) シート包装体
JP7221730B2 (ja) シート包装体
JP7061909B2 (ja) シート収容体
JP7049161B2 (ja) 包装袋、包装袋の使用方法、および包装袋の製造方法
JP2022154668A (ja) 包装体
JP2020164175A (ja) シート包装体
JP2022154667A5 (ko)
JP2022156859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