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8433A - 교류식으로 변경가능한 전기 회로 및 전기 회로 내의 전류 경로를 변경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교류식으로 변경가능한 전기 회로 및 전기 회로 내의 전류 경로를 변경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8433A
KR20200128433A KR1020207029362A KR20207029362A KR20200128433A KR 20200128433 A KR20200128433 A KR 20200128433A KR 1020207029362 A KR1020207029362 A KR 1020207029362A KR 20207029362 A KR20207029362 A KR 20207029362A KR 20200128433 A KR20200128433 A KR 20200128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branch
alternating current
gap
se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9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챠 코프리브체크
브랑 르바
Original Assignee
넬라 라즈보즈니 센터 자 일렉트로인더스트리조 인 일렉트로니코, 디.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넬라 라즈보즈니 센터 자 일렉트로인더스트리조 인 일렉트로니코, 디.오.오. filed Critical 넬라 라즈보즈니 센터 자 일렉트로인더스트리조 인 일렉트로니코, 디.오.오.
Publication of KR20200128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84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3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dynamic converters
    • H02M3/3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dynamic converters using mechanical contact-making and -breaking parts to interrupt a single potent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9/00Switching devices actuated by an explosion produced within the device and initiated by an electric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9/00Switching devices actuated by an explosion produced within the device and initiated by an electric current
    • H01H39/006Opening by severing a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9/00Switching devices actuated by an explosion produced within the device and initiated by an electric current
    • H01H39/004Clos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9/00Switching devices actuated by an explosion produced within the device and initiated by an electric current
    • H01H2039/008Switching devices actuated by an explosion produced within the device and initiated by an electric current using the switch for a battery cuto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uses (AREA)
  • Air Bag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교류식으로 변경가능한 전기 회로는, 적어도 직류 또는 교류 전압원(1), 및 기본 도전체(2)의 일차 브랜치(21)와 이차 브랜치(22)를 통해 상기 전압원(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부하(L)를 포함하고, 교류 도전체(23)가 상기 기본 도전체(2)에 병렬 접속되어, 각각의 미리 정해진 상황에서, 즉, 각각의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함으로써, 상기 일차 브랜치(21)가 물리적으로 인터럽트되며, 이때 상기 일차 브랜치(21)를 통해 초기에 흐른 전류가 상기 교류 도전체(23)를 통해 재방향설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본 도전체(2)의 각각의 대응하는 브랜치(21)에 병렬 접속된 상기 교류 도전체(23)가 두 개의 도전성 섹션(231, 232)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도전성 섹션은, 서로 정렬되고, 미리 정해진 거리로 서로 이격되고, 이에 따라 이들 섹션 사이에 갭(G)이 형성되고, 기본 도전체(21)의 상기 브랜치(21)는, 각각의 미리 정해진 상황에서, 즉, 각각의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함으로써, 상기 브랜치(21)의 나머지로부터 분리가능하고 교류 도전체(23)의 상기 섹션들(231, 232) 사이의 상기 갭(G) 내로 변위가능한 도전성 섹션(210)을 포함하고, 여기서 갭이 브리징되며 도전성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전기 회로 내의 전류 경로를 변경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Description

교류식으로 변경가능한 전기 회로 및 전기 회로 내의 전류 경로를 변경하는 방법
본 발명은 교류식으로 변경가능한 전기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전기 회로는, 적어도 직류 전압원 또는 교류 전압원, 및 기본 도전체의 일차 브랜치와 이차 브랜치를 통해 상기 전압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부하(load)를 포함하고, 교류 도전체가 상기 기본 도전체에 병렬 접속되어, 각각의 미리 정해진 상황에서, 즉, 각각의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함으로써, 상기 일차 브랜치가 인터럽트되고, 이때 상기 일차 브랜치를 통해 초기에 흐른 전류가 상기 교류 도전체를 통해 재방향설정(redirect)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회로 내의 전류 경로를 변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 과제, 즉, 앞에서 언급한 기능부를 이용하여 전기 회로를 구상하는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서, 이 경우, 전기 회로가 상기 회로의 기본 도전체의 일차 브랜치로부터 상기 기본 도전체에 병렬 접속된 교류 도전체로 재방향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기본 도전체의 일차 브랜치의 상기 브랜치가 동시에 비가역적으로 인터럽트되며, 또한, 전기 회로의 인터럽트 또는 재방향설정, 즉, 인터럽트되는 회로의 재확립 가능성, 인터럽트 소자의 편향이나 진동, 전기 아크의 발생, 또는 도전체나 접촉면의 과열, 또는 단락에 의해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잠재적인 부정적 영향을 피할 수 있다.
직류 전압 회로를 인터럽트하기 위한 스위치 조립체는, 슬로베니아 특허출원 번호 P-201700339에 개시되어 있으며, 일차 도전체와 이차 도전체의 전기적 상호접속의 확립시 각각의 직류 전압원과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부하 사이에 장착가능하다. 전압원의 일차 극은 상기 스위치 조립체의 도전체들을 통해 각각의 전기 부하의 일차 전극과 대응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전압원의 이차 극은 각각의 전기 부하의 이차 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에서의 상기 일차 도전체는 서로 병렬 접속되는 두 개의 브랜치로 형성되며, 여기서, 제1 브랜치는 용융 부재를 갖는 전기 퓨즈를 포함하고, 제2 브랜치는, 일차 도전체의 제2 브랜치를 인터럽트할 수 있는 인터럽트 부재를 포함하는 파이로테크닉(pyrotechnic) 스위치, 및 전기 펄스에 기초하여 내부에 함유된 적어도 하나의 화학 반응물의 폭발에 의해 일차 도전체의 상기 제2 브랜치의 인터럽트로 인해 상기 인터럽트 부재를 변위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파이로테크닉 스위치는 이러한 인터럽트 부재를 포함하고, 인터럽트 부재는, 상기 파이로테크닉 스위치 내에서, 자신의 제1 위치, 즉, 일차 도전체의 상기 제2 브랜치가 도전성을 갖고 상기 인터럽트 부재가 이차 도전체로부터 충분한 거리로 떨어져 유지되는 도전성 위치로부터 제2 위치, 즉, 상기 인터럽트 부재가 스위치 조립체의 이차 도전체와 도전성 접촉 상태로 위치하고 있는 동안 스위치 조립체의 일차 도전체의 제2 브랜치를 통하는 전류가 인터럽트되는 인터럽트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책에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인터럽트 부재를 통해 스위치 조립체의 이차 도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며,
- 전기 펄스에 기초하여 내부에 함유된 적어도 하나의 화학 반응물의 폭발성 화학 반응을 개시하는 데 적합한 전기적 개시 부품;
- 상기 화학물의 화학 반응 동안 상기 개시 부품의 기동시 이차 도전체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일차 도전체와 접촉하는 자신의 제1 위치로부터 이차 도전체와 접촉하는 자신의 제2 위치로의 인터럽트 부재의 변위 수행으로 인해 인터럽트 부재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기동 부재; 및
- 서로 직렬 접속되는 양측 브랜치에 부가되며, 일차 도전체의 상기 브랜치들에 직렬로 각각의 전압원과 각각의 전기 부하에 접속되는 방식으로 상기 일차 도전체 내에 집적되는 전기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회로는, 스위치 조립체의 정기적 동작 동안에는 인터럽트되고 전기 과부하가 발생할 때에만 폐쇄되며 즉 도전성을 갖는, 접촉 부재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가역적 전기 퓨즈, 및 스위치 조립체의 정기적 동작 동안에는 인터럽트되고 스위치 조립체 내의 전류가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자마자 폐쇄되는 즉 도전성을 갖는, 인터럽트 부재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 리드(reed)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액추에이터의 상기 퓨즈 및 액추에이터의 상기 전자기 스위치는 서로 병렬 접속되고, 그 경우에도, 액추에이터에 하나보다 많은 퓨즈가 제공되는 경우, 각각의 일회용 퓨즈가 서로 병렬 접속되고, 그리고 상당히 유사하게, 액추에이터에 하나보다 많은 이러한 스위치가 제공되는 경우, 각각의 일회용 전자기 스위치가 또한 서로 병렬 접속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터럽트 부재는 전류 경로를 재방향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인터럽트 부재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변위함으로써, 하나의 도전체를 통한 전류가 인터럽트되지만, 전류의 변경된 경로로 인해, 동시에 교류 도전체를 통한 다른 회로가 확립된다. 그러나, 인터럽트 부재에 작용하는 상당히 큰 힘으로 인해 상기 인터럽트 부재를 빠르게 변위함으로써, 부정적 영향이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인터럽트 부재의 편향이나 진동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일반적으로 인터럽트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 상기 도전체를 통한 전기 회로의 불필요한 재확립을 초래할 수 있으며, 또는 심지어 전기 아크의 발생, 혹은 도전체 또는 접촉면의 과열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전류 과부하를 검출하기 위한 기기는, EP 2 811 549 A1에 개시되어 있으며, 과부하의 경우 도전체의 인터럽트를 가능하게 하지만, 전류가 다른 도전체 내로 재방향설정되게 할 수는 없다. 이러한 기기는 두 개의 도전체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도전체를 통해 각각의 부하가 전압원에 접속된다. 상기 도전체들은, 각 도전체에 가깝게 기체 침투불가 챔버를 통해 연장되며, 파이로테크닉 액추에이터에 더하여, 각각의 대응 도전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가능한 피스톤을 이용할 수 있는 원통형 영역도 이용가능하다. 액추에이터는, 미리 정해진 상황에서 미리 정해진 조건이 충족될 때 트리거된다. 상기 파이로테크닉 액추에이터를 트리거함으로써, 상기 챔버 내의 압력이 급격하게 증가하며, 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을 도전체를 향하게 변위하며, 이어서 전기 회로 내의 다른 부품들에 의해 검출되는 단락을 동시에 확립함으로써 피스톤에 의한 각 도전체의 단절, 즉, 인터럽트가 발생하고, 이러한 단락 발생시, 그 다른 부품들이 회로를 인터럽트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전기 회로의 상기 인터럽트는 비교적 빠르게 수행되지만, 그 인터럽트까지의 조치 순서는 상당히 부적절하다.
본 발명은, 교류식으로 변경가능한 전기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이 전기 회로는, 적어도 직류 전압원 또는 교류 전압원, 및 기본 도전체의 일차 브랜치와 이차 브랜치를 통해 상기 전압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부하를 포함하고, 교류 도전체가 상기 기본 도전체에 병렬 접속되어, 각각의 미리 정해진 상황에서, 즉, 각각의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함으로써, 상기 일차 브랜치가 물리적으로 인터럽트되고, 이때 상기 일차 브랜치를 통해 초기에 흐른 전류가 이어서 상기 교류 도전체를 통해 재방향설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본 도전체의 각각의 대응 브랜치에 병렬 접속된 상기 교류 도전체를 제공하며, 이러한 교류 도전체는, 서로 정렬되고 미리 정해진 거리로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도전성 섹션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섹션들 사이에 전기적 절연 갭이 형성되고, 기본 도전체의 상기 브랜치는, 각각의 미리 정해진 상황에서, 즉, 각각의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함으로써, 상기 브랜치의 나머지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가능하고 교류 도전체의 상기 섹션들 사이의 상기 갭 내로 변위가능한 도전성 섹션을 포함하며, 여기서 갭은 브리징(bridge)되고 도전성을 갖게 된다.
상기 도전성 섹션은, 기본 도전체의 상기 브랜치의 물질의 일부를 나타내며,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취약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취약 영역에서 적절한 기계적 부하 발생(loading)에 의해 상기 브랜치의 잔여 물질로부터 떨어져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취약 영역은, 실질적으로 횡단면이 기본 도전체의 브랜치의 잔여 영역보다 본질적으로 작은 영역이다.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들 중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 회로는, 상기 도전체들에 더하여, 파이로테크닉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이러한 액추에이터는, 각각의 미리 정해진 상황에서 각각의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함으로써 트리거되는 데 적합하고, 기본 도전체의 상기 취약 브랜치의 상기 섹션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이어서, 상기 섹션은, 상기 파이로테크닉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브랜치의 나머지로부터 떨어져 기계적으로 분리가능하며 교류 도전체의 상기 섹션들 사이의 갭 내로 변위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취약 부분을 구비하는 기본 도전체의 브랜치의 상기 분리가능한 섹션은, 상기 파이로테크닉 액추에이터를 향하는 자신의 측면 상에 캐비티를 구비하고, 또한, 교류 도전체의 상기 섹션들 사이의 상기 갭을 향하는 자신의 반대측면 상에 갭 내의 교류 도전체의 상기 섹션들 사이에 가압되고 막히는(jammed) 데 적합한 볼록 외면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분리가능한 섹션은, 상기 취약 영역들의 영역에서 기본 도전체의 상기 브랜치의 나머지로부터 떨어져 분리가능하며 압력에 의해 교류 도전체의 섹션들 사이에서 막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갭 내로 변위가능하고, 이는 각각의 미리 정해진 상황에서 각각의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함으로써 개시되는 상기 파이로테크닉 액추에이터 내의 화학 반응물들의 폭발에 의해 확립된다. 이를 위해, 상기 파이로테크닉 액추에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접속되고, 이 센서는, 각각의 미리 정해진 상황에서 각각의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함으로써, 상기 액추에이터의 기동에 필요한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센서는, 가속 및/또는 온도 및/또는 전류 값을 검출하는 데 적합한 센서이다.
또한, 상기 교류 도전체는, 기본 도전체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브랜치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전기 부품에, 또는 기본 도전체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브랜치와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전기 회로에도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기 회로 내의 전류의 각 경로를 변경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 회로는, 적어도 직류 또는 교류 전압원, 및 기본 도전체의 일차 브랜치와 이차 브랜치를 통해 상기 전압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부하를 포함하고, 교류 도전체가 상기 기본 도전체의 하나의 브랜치에 병렬 접속되고 갭에 의해 인터럽트되어, 각각의 미리 정해진 상황에서 각각의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함으로써, 상기 브랜치가 물리적으로 인터럽트될 수 있고, 이때 그 내부의 전류가 상기 교류 도전체를 통해 재방향설정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상기 전압원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회로 내의 전류의 상기 재방향설정은, 기본 도전체의 브랜치의 섹션을 브랜치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물리적으로 제거하고 또한 상기 섹션을 상기 브랜치에 병렬 접속된 교류 도전체의 상기 섹션들 사이의 상기 갭 내로 변위함으로써 수행되며, 이에 따라 상기 섹션들 사이의 상기 갭이 브리징되고, 전류가 상기 교류 도전체를 통해 재방향설정되는 한편, 상기 브랜치는 영구적으로 인터럽트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를 통하는 전류의 각 도통이 비활성화된다.
여기서, 상기 섹션을 교류 도전체의 양측 섹션들 사이의 상기 갭 내로 변위하는 것은, 기계적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또는 상기 파이로테크닉 액추에이터 내의 화학 반응물들의 폭발에 의해, 또는 적절한 자계에 의해서도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제시되어 있는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개략적으로 제시된 초기 상태의 전기 회로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회로에서 기본 도전체의 인터럽트되지 않은 브랜치 및 인터럽트된 교류 도전체를 상세히 도시한다.
도 3은 도 2와 같지만 회로에서의 전류의 재방향설정을 상세히 도시한다.
도 4는 인터럽트에 적합한 기본 도전체의 브랜치의 가능한 실시예들 중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교류식으로 변경가능한 전기 회로는, 본 실시예에서 직류 전압원인 적어도 전압원(1), 및 기본 도전체(2)의 일차 브랜치(21)와 이차 브랜치(22)를 통해 상기 전압원(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부하(L)를 포함한다. 상기 전압원(1)은 선택적으로 교류 전압원일 수 있다.
교류 도전체(23)가 상기 기본 도전체(2)에 병렬 접속되어, 각각의 미리 정해진 상황에서, 즉, 각각의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함으로써, 상기 일차 브랜치(21)가 물리적으로 인터럽트되며, 이때 상기 일차 브랜치(21)를 통해 초기에 흐른 전류가 상기 교류 도전체(23)를 통해 재방향설정된다.
상기 기본 도전체(2)의 각각의 대응하는 브랜치(21)에 병렬 접속된 상기 교류 도전체(23)는 두 개의 도전성 섹션(231, 232)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도전성 섹션은, 서로 정렬되고, 갭(G)을 형성하는 미리 정해진 거리로 서로 이격되고, 또한, 각각 그 자체가 기본 도전체(2)에 속하는 브랜치(21)에 각각 접속된다. 결국, 도 1과 도 2에 따른 상태에서, 도전성을 갖지 않는, 상기 섹션들(231, 232) 사이의 갭(G)을 이용할 수 있다.
기본 도전체(2)의 상기 브랜치(21)는, 각각의 미리 정해진 상황에서, 즉, 각각의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함으로써 상기 브랜치(21)의 나머지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가능하며 교류 도전체(23)의 상기 섹션들(231, 232) 사이의 상기 갭(G) 내로 변위가능한 도전성 섹션(210)을 포함하며, 여기서 갭은 브리징되고 도전성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전성 섹션(210)은,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취약 영역(211, 212)이 제공된 기본 도전체(2)의 상기 브랜치(21)의 물질의 일부를 나타내며, 이러한 일부는, 상기 취약 영역(211, 212)에서 적절한 기계적 부하 발생에 의해 상기 브랜치(21)의 잔여 물질로부터 떨어져 분리가능하다. 상기 취약 영역(211, 212)은, 횡단면이 본질적으로 기본 도전체(2)의 브랜치(21)의 나머지 영역보다 작은 영역이다(도 4).
도 4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 회로는, 상기 도전체(21, 22, 23)에 더하여, 각각의 미리 정해진 상황에서 각각의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함으로써 트리거되는 데 적합하며 기본 도전체(2)의 상기 취약 브랜치(21)의 상기 섹션(210)에 인접하게 배치된 파이로테크닉 액추에이터(24)도 포함한다. 결국, 상기 섹션(210)은, 상기 파이로테크닉 액추에이터(24)에 의해 상기 브랜치(21)의 나머지로부터 떨어져 기계적으로 분리가능하고, 교류 도전체(23)의 상기 섹션들(231, 232) 사이의 갭(G) 내로 변위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취약 부분(211, 212)이 제공된 기본 도전체(2)의 브랜치(21)의 상기 분리가능한 섹션(210)은, 상기 파이로테크닉 액추에이터(24)를 향하는 자신의 측면 상에 캐비티(210')를 갖고, 또한, 교류 도전체(23)의 상기 섹션들(231, 232) 사이의 상기 갭(G)을 향하는 자신의 반대측면 상에 가압된 후 갭(G) 내의 교류 도전체(23)의 상기 섹션들(231, 232) 사이에서 막히는 데 적합한 볼록 외면(210")을 갖는다. 상기 분리가능한 섹션(210)은, 상기 취약 영역(211, 212)에서 기본 도전체(2)의 상기 브랜치(21)의 나머지로부터 떨어져 분리가능하며, 상기 파이로테크닉 액추에이터(24) 내의 화학 반응물들의 폭발에 의해 확립되는 압력에 의해 교류 도전체(23)의 섹션들(231, 232) 사이에서 막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갭(G) 내로 변위가능하고, 이러한 폭발은 각각의 미리 정해진 상황에서 상기 액추에이터(24)를 트리거하고 각각의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함으로써 개시된다. 상기 오목 캐비티(210')가 존재함으로써, 폭발에 의해 상기 섹션(210)을 변위하는 효율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각각의 미리 정해진 상황에서 각각의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함으로써 액추에이터(24)의 상기 트리거를 보장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24)는 액추에이터의 기동에 필요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25)에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25)는, 전기 회로 내의 전기 회로의 가속 또는 온도 또는 각각의 값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 또는 다른 임의의 적절한 센서일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상기 교류 도전체(23)가 기본 도전체(2)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브랜치(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전기 부품에 또는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전기 회로에도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 퓨즈(26)는 상기 브랜치(21)에 병렬 접속된다. 상기 전기 회로가 활성 직류 또는 교류 전압원에 의해 통전될 때마다, 이렇게 발생하는 전류는, 기본 도전체(2)의 양측 브랜치(21, 22)를 통해 그리고 부하(L)를 통해 상기 전압원(1)으로부터 흐르지만, 상기 섹션들(231, 232) 사이의 갭(G) 영역에서 인터럽트되는 한 교류 도전체(23)를 통해 흐르지는 않는다.
각각의 미리 정해진 상황이 발생하고 각각의 미리 정해진 조건이 충족된 직후, 예를 들어 전기 과부하가 발생하거나 또는 가속을 검출하는 상기 센서(25)에 의해 식별되는 예컨대 전동 차량 충돌에 의한 다른 임의의 심각한 상황에서, 교류 도전체(23)에 병렬 접속된 브랜치(21)의 상기 섹션(210)은,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상기 브랜치(21)의 나머지로부터 분리되고 교류 도전체(23) 상의 갭(G)의 영역 내로 변위되며, 이때 상기 교류 도전체는 브리징되며, 즉, 인터럽트되지 않고 여기서 도전성을 갖는 한편, 이전에 활성이었던 브랜치(21)는 인터럽트 상태로 유지되어 결국 도전성을 더는 갖지 않는다. 섹션(21)의 상기 변위는 빠르고 비가역적인 방식으로 수행되며, 이에 따라 섹션이 교류 도전체(23)의 양측 섹션(231, 232) 사이에서 막힌 상태로 유지된다.
통상의 기술자는, 상기 브랜치(21)를 통한 이러한 인터럽트된 회로의 실제 재확립 가능성이 없다는 점, 예를 들어 인터럽트 소자, 즉, 섹션(210)의 예컨대 편향이나 진동의 가능성이 없다는 점, 및 도전체(21, 22, 23)의 전기 아크의 확립 또는 과열 혹은 단락의 확립의 가능성이 없다는 점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앞에서 언급한 문제점이 여기서 완벽하게 해결된다는 점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는, 전기 회로 내에서, 즉, 적어도 직류 또는 교류 전압원(1) 및 기본 도전체(2)의 일차 브랜치(21)와 이차 브랜치(22)를 통해 상기 전압원(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부하(L)를 포함하는 회로 내에서 전류 경로를 변경하는 방법도 제안하며, 교류 도전체(23)는, 상기 기본 도전체(23)의 하나의 브랜치(21)에 병렬 접속되고 갭(G)에 의해 인터럽트되어, 각각의 미리 정해진 상황에서 각각의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함으로써, 상기 브랜치(21)가 물리적으로 인터럽트될 수 있고, 이때 그 내부의 전류가 상기 교류 도전체(23)를 통해 재방향설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전압원(1)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회로 내의 전류의 상기 재방향설정이, 기본 도전체(2)의 브랜치(21)의 섹션(210)을 물리적으로 제거하고 상기 섹션(210)을 상기 브랜치(21)에 병렬 접속된 교류 도전체(23)의 상기 섹션들(231, 232) 사이의 상기 갭(G) 내로 변위함으로써 수행되고, 이에 따라 여기서 상기 섹션들(231, 232) 사이의 상기 갭(G)이 여기서 브리징되고 전류가 상기 교류 도전체(23)를 통해 재방향설정되는 한편, 상기 브랜치(21)는 영구적으로 인터럽트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러한 브랜치를 통한 전류의 각각의 도통이 비활성화되는 것을 제안한다.
상기 섹션(210)을 교류 도전체(23)의 양측 섹션(231, 232) 사이의 상기 갭(G) 내로 변위하는 것은, 기계적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또는 폭발에 의해, 또는 선택적으로 적절한 자계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전류의 상기 재방향설정이 실현되는 전기 회로도 이러한 방법에 따라 구현되며 앞에서 언급한 기술적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소한다는 점은 명백하다.

Claims (16)

  1. 교류식으로 변경가능한 전기 회로로서, 적어도 하나의 직류 전압원(1) 또는 교류 전압원(1), 및 기본 도전체(2)의 일차 브랜치(21)와 이차 브랜치(22)를 통해 상기 전압원(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부하(load; L)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 도전체(2)에 교류 도전체(23)가 병렬 접속되어, 각각의 미리 정해진 상황에서, 즉, 각각의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함으로써, 상기 일차 브랜치(21)가 물리적으로 인터럽트되고, 이때, 상기 일차 브랜치(21)를 통해 초기에 흐른 전류가 상기 교류 도전체(23)를 통해 재방향설정되는, 전기 회로에 있어서,
    상기 기본 도전체(2)의 각각의 대응하는 브랜치(21)에 병렬 접속된 상기 교류 도전체(23)는, 서로 정렬되고 미리 정해진 거리로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도전성 섹션(231, 232)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상기 두 개의 도전성 섹션 간에 절연 갭(G)이 형성되고, 상기 기본 도전체(2)의 브랜치(21)는, 각각의 미리 정해진 상황에서, 즉, 각각의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함으로써 상기 브랜치(21)의 나머지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가능하고 상기 교류 도전체(23)의 섹션들(231, 232) 사이의 상기 갭(G) 내로 변위가능한 도전성 섹션(210)을 포함하고, 여기서 갭이 브리징(bridge)되고 도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섹션(210)은,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취약 영역(211, 212)이 제공된 상기 기본 도전체(2)의 브랜치(21)의 물질의 일부를 나타내고, 상기 물질의 일부는, 상기 취약 영역(211, 212)에서 적절한 기계적 부하 발생에 의해 상기 브랜치(21)의 잔여 물질로부터 떨어져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 영역(211, 212)은, 횡단면이 상기 기본 도전체(2)의 브랜치(21)의 나머지 영역에서보다 본질적으로 작은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회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21, 22, 23)에 더하여, 각각의 미리 정해진 상황에서 각각의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함으로써 트리거되는 데 적합하고 상기 기본 도전체(2)의 취약한 브랜치(21)의 상기 섹션(210)에 인접하게 배치된 파이로테크닉 액추에이터(pyrotechnic actuator; 24)를 더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상기 섹션(210)은, 상기 파이로테크닉 액추에이터(24)에 의해 상기 브랜치(21)의 나머지로부터 떨어져 기계적으로 분리가능하고 교류 도전체(23)의 상기 섹션들(231, 232) 사이의 상기 갭(G) 내로 변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한 부분(211, 212)이 제공된 상기 기본 도전체(2)의 브랜치(21)의 상기 분리가능한 섹션(210)은, 상기 파이로테크닉 액추에이터(24)를 향하는 자신의 측면 상에 캐비티(210')를 갖고, 또한, 상기 교류 도전체(23)의 상기 섹션들(231, 232) 사이의 갭(G)을 향하는 자신의 반대측면 상에 상기 갭(G) 내의 상기 교류 도전체(23)의 상기 섹션들(231, 232) 사이에서 가압되고 막히는 데 적합한 볼록 외면(21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가능한 섹션(210)은, 상기 취약 영역(211, 212)의 영역에서 상기 기본 도전체(2)의 브랜치(21)의 나머지로부터 떨어져 분리가능하고, 각각의 미리 정해진 상황에서 각각의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함으로써 개시되는 상기 파이로테크닉 액추에이터(24) 내에서의 화학 반응물들의 폭발에 의해 확립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교류 도전체(23)의 섹션들(231, 232) 사이에서 막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갭(G) 내로 변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회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로테크닉 액추에이터(24)는, 각각의 미리 정해진 상황에서 각각의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함으로써 상기 액추에이터의 기동에 필요한 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25)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25)는 가속 검출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회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25)는 온도 검출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회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25)는 상기 기본 도전체(2)의 전류의 값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회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도전체(23)는, 상기 기본 도전체(2)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브랜치(22)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전기 부품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회로.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도전체(23)는, 상기 기본 도전체(2)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브랜치(22)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전기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회로.
  13. 전기 회로 내의 전류 경로를 변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직류 또는 교류 전압원(1), 및 기본 도전체(2)의 일차 브랜치(21)와 이차 브랜치(22)를 통해 상기 전압원(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부하(L)를 포함하고, 교류 도전체(23)가 상기 기본 도전체(23)의 하나의 브랜치(21)에 병렬 접속되고 갭(G)에 의해 인터럽트되며, 이에 따라 각각의 미리 정해진 상황에서 각각의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함으로써, 상기 브랜치(21)가 물리적으로 인터럽트될 수 있고, 이때 브랜치 내의 전류가 상기 교류 도전체(23)를 통해 재방향설정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압원(1)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회로 내의 전류의 상기 재방향설정은, 상기 기본 도전체(2)의 브랜치(21)의 섹션(210)을 상기 브랜치의 나머지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함으로써, 또한, 상기 섹션(210)을 상기 브랜치(21)에 병렬 접속된 상기 교류 도전체(23)의 섹션들(231, 232) 사이의 상기 갭(G) 내로 변위함으로써 수행되고, 이에 따라 상기 섹션들(231, 232) 사이의 상기 갭(G)이 브리징되고 전류가 상기 교류 도전체(23)를 통해 재방향설정되는 한편, 상기 브랜치(21)는 영구적으로 인터럽트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브랜치를 통하는 상기 전류의 각각의 도통이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210)을 상기 교류 도전체(23)의 양측 섹션들(231, 232) 사이의 상기 갭(G) 내로 변위하는 것은 기계적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210)을 상기 교류 도전체(23)의 양측 섹션들(231, 232) 사이의 상기 갭(G) 내로 변위하는 것은 폭발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210)을 상기 교류 도전체(23)의 양측 섹션들(231, 232) 사이의 상기 갭(G) 내로 변위하는 것은 적절한 자계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07029362A 2018-03-14 2018-12-05 교류식으로 변경가능한 전기 회로 및 전기 회로 내의 전류 경로를 변경하는 방법 KR202001284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I201800060A SI25615A (sl) 2018-03-14 2018-03-14 Alternativno spremenljiv električni tokokrog in postopek spreminjanja poti električnega toka v električnem tokokrogu
SIP-201800060 2018-03-14
PCT/SI2018/000025 WO2019177546A1 (en) 2018-03-14 2018-12-05 Alternatively changeable electric circuit and method for changing of electric current path within an electric circu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433A true KR20200128433A (ko) 2020-11-12

Family

ID=65199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9362A KR20200128433A (ko) 2018-03-14 2018-12-05 교류식으로 변경가능한 전기 회로 및 전기 회로 내의 전류 경로를 변경하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152175B2 (ko)
EP (2) EP4099554A1 (ko)
JP (1) JP2021517342A (ko)
KR (1) KR20200128433A (ko)
CN (1) CN111989852B (ko)
ES (1) ES2920504T3 (ko)
PL (1) PL3766167T3 (ko)
SI (1) SI25615A (ko)
WO (1) WO20191775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I25930A (sl) * 2019-11-06 2021-05-31 Nela Razvojni Center Za Elektroindustrijo In Elektroniko, D.O.O. Stikalni sklop za prekinitev enosmernega električnega tokokroga z dvema viroma električne napetosti
JP2021170522A (ja) * 2020-04-14 2021-10-28 エス・オー・シー株式会社 遮断器
CN113258540A (zh) * 2021-06-28 2021-08-13 西安中熔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电路断开及使储能元器件释能的电路控制装置
FR3124886A1 (fr) * 2021-06-30 2023-01-06 Airbus Operations Ensemble coupe-circuit pyrotechnique pour aeronef, et aeronef comprenant un tel ensemble.
SI26274A (sl) * 2021-11-11 2023-05-31 ETI Elektrolelement, d.o.o. Proti električnim preobremenitvam zaščiten enosmerni električni tokokrog z dvosmernim napajanjem
JP2023119853A (ja) * 2022-02-17 2023-08-29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保護素子
JP2023167817A (ja) * 2022-05-13 2023-11-24 太平洋精工株式会社 電気回路遮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418141A1 (ru) * 1971-05-25 1977-02-05 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М.В.Ломоносова Выключатель взрывного типа
JPH07114867A (ja) * 1993-10-18 1995-05-02 Fuji Electric Co Ltd 爆薬スイッチ
US5793275A (en) * 1995-10-23 1998-08-11 Iversen; Arthur H. Exothermically assisted arc limiting fuses
US6222439B1 (en) * 1998-02-17 2001-04-2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ircuit breaking device
DE19817133A1 (de) * 1998-04-19 1999-10-28 Lell Peter Powerswitch
GB2352879A (en) 1999-07-30 2001-02-07 W W Grew & Company Ltd Electrical circuit breakers
US7336474B2 (en) * 1999-09-23 2008-02-26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Microelectromechanical devices
JP2001135217A (ja) * 1999-11-05 2001-05-18 Yazaki Corp 回路遮断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ワイヤーハーネス装置
US7875997B2 (en) * 2003-08-08 2011-01-25 Delphi Technologies, Inc. Circuit interruption device
US7498923B2 (en) * 2004-09-08 2009-03-03 Iversen Arthur H Fast acting, low cost, high power transfer switch
CN102282751B (zh) * 2009-01-16 2014-04-16 Abb技术有限公司 具有冗余开关单元的电压源换流器的经由烟火式闭合的机械开关的故障防护
JP5359982B2 (ja) * 2009-06-29 2013-12-04 豊田合成株式会社 車両の電気回路遮断装置
FR2953324B1 (fr) 2009-11-27 2012-06-08 Snpe Materiaux Energetiques Interrupteur electrique a tiroir coulissant formant coupe-circuit ou commutateur
CN104350569B (zh) * 2012-06-13 2016-06-15 Abb技术有限公司 旁路开关组件
JP5874583B2 (ja) * 2012-08-29 2016-03-02 豊田合成株式会社 導通遮断装置
EP2811549B1 (en) 2013-06-07 2018-09-19 Autoliv Development AB Over-current responsive device
EP3286772B1 (en) * 2015-04-24 2019-06-12 ABB Schweiz AG Bypass switch comprising a movable member with a first conductive section and a second conductive section
JP6413931B2 (ja) * 2015-05-29 2018-10-31 豊田合成株式会社 導通遮断装置
JP6765873B2 (ja) * 2016-06-29 2020-10-07 株式会社ダイセル 電気回路遮断装置
SI25500B (sl) 2017-08-01 2024-02-29 Eti Elektroelement, D.O.O. Stikalni sklop za prekinitev enosmernega električnega tokokrog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59035A1 (en) 2021-05-27
EP4099554A1 (en) 2022-12-07
EP3766167B1 (en) 2022-03-30
EP3766167A1 (en) 2021-01-20
PL3766167T3 (pl) 2022-10-10
JP2021517342A (ja) 2021-07-15
SI25615A (sl) 2019-09-30
CN111989852B (zh) 2024-05-10
ES2920504T3 (es) 2022-08-04
US11152175B2 (en) 2021-10-19
WO2019177546A1 (en) 2019-09-19
CN111989852A (zh) 202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28433A (ko) 교류식으로 변경가능한 전기 회로 및 전기 회로 내의 전류 경로를 변경하는 방법
KR101798730B1 (ko) 고전압 전기 시스템용 스위칭 및 보호 장치
CN111587469A (zh) 烟火切换装置
JP2021077630A (ja) 火工式機構を組み込んだスイッチング装置に用いられるコンタクト浮揚トリガ機構
JP2022538172A (ja) 電気回路遮断器
US20220209530A1 (en) Lightning protection spark gap assembly and method for operating a lightning protection spark gap assembly
JP2020535624A (ja) 火工式切換えデバイス
CN104040670A (zh) 用于切换电负载电路的设备和方法
AU2018399890B2 (en) Short-circuiting device for use in low-voltage and medium-voltage systems for the protection of property and persons
HRP20211207T1 (hr) Prekidački sklop za prekid električnog kruga istosmjerne struje sa aktuatorom
CN108885952B (zh) 用于传导和切断电流的开关设备
EP3840006B1 (en) Active and passive fuse module
KR20220002441A (ko) 직류 전기 회로 차단 스위치 어셈블리
US20230343532A1 (en) Pyrotechnic circuit breaker
CN115036193A (zh) 一种高可靠性主被动一体保护装置
WO2021091497A1 (en) Switch for interruption of a direct current circuit powered by two electric voltage sources
GB2577346A (en) Switch with pyrotechnic actuator
JP7495431B2 (ja) 直流電気回路遮断スイッチアセンブリ
WO2023152907A1 (ja) 電気回路切替装置
EP3073501B1 (en) Multipole lineal switch
SI26322A (sl) Stikalo za ireverzibilno prekinitev električnega tokokrog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