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7475A - 손끼임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손끼임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7475A
KR20200127475A KR1020190051663A KR20190051663A KR20200127475A KR 20200127475 A KR20200127475 A KR 20200127475A KR 1020190051663 A KR1020190051663 A KR 1020190051663A KR 20190051663 A KR20190051663 A KR 20190051663A KR 20200127475 A KR20200127475 A KR 20200127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topper
external force
hand
pinch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6223B1 (ko
Inventor
이범현
Original Assignee
이범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범현 filed Critical 이범현
Priority to KR1020190051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223B1/ko
Publication of KR20200127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006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타겟 물체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의 변경은 가능하지만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의 변경은 차단시킬 수 있는 손끼임 방지 장치가 개시된다. 이러한 손끼임 방지 장치는 제2 구조체가 제1 구조체와 인접할 때 닫힘 상태로 제1 구조체와 멀어질 때 열림 상태로 있는 타겟 물체에 장착되고, 바닥부 및 측벽부를 포함하여 제1 방향으로 향하는 부분에 오픈부를 형성하는 몸체 하우징, 측벽부 중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향하는 일측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몸체 하우징을 제1 및 제2 구조체들 중 어느 하나에 고정시키는 부착 유닛, 제1 방향으로의 상단부가 몸체 하우징으로 노출되도록 오픈부를 통해 몸체 하우징에 삽입된 손끼임 방지 몸체, 및 바닥부 및 손끼임 방지 몸체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 유닛을 포함한다. 손끼임 방지 몸체는 제1 방향으로의 상단부가 외력에 의해 제1 및 제2 방향들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한 뒤 해당 외력에 제거되면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제2 구조체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의 이동은 가능하지만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의 이동은 차단됨에 따라, 손가락이 제1 및 제2 구조체들 사이에 끼어 부상을 당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손끼임 방지 장치{SAFETY DEVICE FOR HAND PROTECTION}
본 발명은 손끼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랍, 문 등에 손가락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손끼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랍장이나 책상, 옷장 등의 가구에는 각종 물건을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는 서랍이 설치된다. 가구에 설치된 서랍은 가구 본체에 형성된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열림 상태가 될 수 있고, 열림 상태에서 가구 본체의 삽입공간으로 다시 이동하여 닫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이러한 서랍이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다시 이동할 때, 부주의로 인하여 사람의 손가락이 서랍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있다면, 해당 사람의 손가락이 끼어 부상을 당할 수 있다. 특히, 유아나 어린이가 호기심에 의해 서랍을 열어본 후, 자신의 손가락을 서랍 내부공간에 집어넣은 상태에서 서랍을 몸으로 밀어 닫을 경우, 해당 유아나 어린이의 손가락이 크게 다칠 수 있다.
서랍에서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 한국공개실용신안 20-2013-0002109에서 '가구의 서랍용 손 끼임 방지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서랍에서의 손 끼임 방지구조는 서랍이 폐쇄되는 구간의 끝부분에서 서랍을 임시 정지시키는 완충스토퍼를 구비함으로써, 부주의로 서랍 안쪽에 손가락을 넣은 상태로 서랍 폐쇄시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손 끼임 방지구조는 서랍 내부에 완충스토퍼를 설치해야만 하므로, 설치가 까다롭고 서랍이 완전히 닫히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구나 방에는 문틀과 문짝으로 구성된 여닫이문이 설치된다. 이러한 여닫이문은 문짝을 밀거나 당겼을 때 열림 상태가 될 수 있고, 반대로 열림 상태에서 문짝을 당기거나 밀었을 때 닫힘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짝이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다시 이동할 때, 부주의로 인하여 사람의 손가락이 문틀과 문짝 또는 문짝과 문짝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면, 해당 사람의 손가락이 끼어 부상을 당할 수 있다. 특히, 유아나 어린이가 문틀과 문짝 또는 문짝과 문짝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갑자기 바람 또는 외력에 의해 문짝이 닫치게 될 경우 해당 유아나 어린이의 손가락이 크게 다칠 수 있다.
여닫이문에서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 한국공개특허 20-2009-0111942에서 '도어 고정 및 닫힘 방지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여닫이문에서의 손 끼임 방지구조는 문짝에 고무몸체를 끼워 문짝이 닫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람의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손 끼임 방지구조는 문짝에 고무몸체를 끼워야만 하므로, 문짝이 완전히 닫히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임의의 물체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의 변경은 가능하지만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의 변경은 차단시킬 수 있는 손끼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손끼임 방지 장치는 타겟 물체에 장착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몸체 하우징, 부착 유닛, 손끼임 방지 몸체 및 스프링 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타겟 물체는 제1 구조체 및 제2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조체가 상기 제1 구조체와 인접하게 될 때 닫힘 상태에 있고 상기 제1 구조체로부터 멀어질 때 열림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몸체 하우징은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와 연결된 측벽부를 포함하여,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향하는 부분에 오픈부를 형성한다. 상기 부착 유닛은 상기 측벽부 중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향하는 일측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몸체 하우징을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들 중 어느 하나에 고정시킨다.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상단부가 상기 몸체 하우징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오픈부를 통해 상기 몸체 하우징에 삽입된다. 상기 스프링 유닛은 상기 바닥부 및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상단부가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1 외력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 뒤 상기 제1 외력에 제거되면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다. 상기 회전 방향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부착 유닛의 반대측을 향하도록 회전하는 방향이다.
상기 손끼임 방지 장치는,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 중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제1 측면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측벽부 중 상기 제3 방향을 향하는 측면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1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하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끼임 방지 장치는,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 중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과 교차하는 제4 방향을 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제2 측면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측벽부 중 상기 제4 방향을 향하는 측면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2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하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끼임 방지 장치는, 상기 제1 가이드부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가이드홀 중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단부까지 이동될 경우, 상기 제2 외력이 제거된 후 상기 스프링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측면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상기 측벽부로부터 돌출된 가이드봉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가이드봉이 상기 제1 가이드홀 중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단부에 형성된 오픈 모드 영역에 위치할 때, 상기 스프링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스토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 돌기는, 상기 오픈 모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한 위치에 상기 제1 가이드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는 가이드 몸체 및 복원력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몸체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상기 측벽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복원력 제공부는 상기 가이드 몸체 중 상기 제1 측면 수용홈과 마주하는 하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측면 수용홈에 삽입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측면 수용홈을 향하는 제3 외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몸체가 이동한 후 상기 제3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원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측벽부에는, 상기 제1 가이드홀 중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스토퍼홀과, 상기 제1 가이드홀 중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스토퍼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스토퍼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가이드 몸체로부터 상기 제1 스토퍼홀의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스토퍼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외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몸체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함께 이동한 후 상기 제2 외력이 제거될 때 상기 스프링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스토퍼홀로 다시 삽입되며, 상기 제2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스토퍼홀까지 이동하여 상기 제2 스토퍼홀에 삽입된 경우 상기 스프링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스토퍼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몸체에는, 상기 제1 방향을 향하는 스토퍼면과, 상기 스토퍼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이동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스토퍼면은, 상기 스토퍼 몸체가 상기 제2 스토퍼홀에 삽입시 상기 스프링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스토퍼홀의 측부에 걸리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3 외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몸체가 상기 제1 측면 수용홈 내로 이동시, 상기 제2 스토퍼홀의 측부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 몸체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경사면은, 상기 스토퍼 몸체가 상기 제1 스토퍼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원력 제공부는 하부 몸체 및 상부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몸체는 상기 제1 측면 수용홈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 몸체는 상기 하부 몸체 및 상기 가이드 몸체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3 외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몸체가 이동한 후 상기 제3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원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몸체와 연결되는 영역에서 상기 하부 몸체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원력 제공부는 걸림 몸체부 및 스프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 몸체부는 상기 제1 측면 수용홈에 삽입되어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몸체 및 상기 스토퍼 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스토퍼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폭 및 상기 제2 스토퍼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폭보다 긴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걸림 몸체부 및 상기 제1 측면 수용홈의 바닥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외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몸체가 이동한 후 상기 제3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원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는 상기 몸체 하우징 내에 삽입된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몸체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된 제2 몸체부와,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들을 연결시키는 몸체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 연결부는, 상기 제2 몸체부가 상기 제1 몸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들을 연결시키고, 상기 제1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몸체부가 상기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 뒤 상기 제1 외력에 제거되면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부 중 상기 몸체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향하는 영역에는 제1 접촉면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몸체부 중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향하는 영역에는 상기 제1 접촉면과 마주하는 제2 접촉면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몸체 연결부 중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외측면에는 외측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 연결부 중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외측면에는 내측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부, 상기 제2 몸체부 및 상기 몸체 연결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1 몸체부에는 상기 몸체 연결부의 제1 측부를 수용하는 제1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몸체부에는 상기 제1 측부와 대향하는 상기 몸체 연결부의 제2 측부를 수용하는 제2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 연결부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홈들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들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부에는, 상기 제2 몸체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외측면 및 상기 제2 몸체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외측면 사이를 연결시키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끼임 방지 장치는 상기 제2 몸체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외측면에 배치된 완충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끼임 방지 장치는 상기 제2 몸체부의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외측면 중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단부에 배치된 범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 유닛은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방향들은 서로 수직하게 교차할 수 있다.
상기 타겟 물체는 여닫이문 및 서랍이 설치된 가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손끼임 방지 장치에 따르면, 상기 손끼임 방지 장치가 제2 구조체와 일부에 걸쳐지도록 제1 구조체에 부착된다고 할 때,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가 몸체 하우징 내로 삽입되면서 회전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함에 따라, 상기 제1 구조체가 외력에 의해 이동하여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가 자체적인 탄성과 스프링 유닛의 복원력에 의해 원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상기 제1 구조체가 외력에 의해 이동하여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변경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구조체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변경되어 있을 때, 사람의 손가락이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들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1 구조체가 다시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변경되는 것이 차단됨에 따라, 상기 사람의 손가락이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들 사이에 끼어 부상을 당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가 상기 몸체 하우징 내로 삽입되도록 이동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제1 구조체를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가 상기 몸체 하우징 내로 삽입되어 스토퍼부에 의해 고정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제1 구조체를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또는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끼임 방지 장치의 일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손끼임 방지 장치를 제2 방향으로 바라본 손끼임 방지 장치의 다른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손끼임 방지 장치를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바라본 손끼임 방지 장치의 또 다른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손끼임 방지 장치를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바라본 손끼임 방지 장치의 상면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손끼임 방지 장치를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손끼임 방지 장치 중 제2 가이드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손끼임 방지 장치에서 손끼임 방지 몸체가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몸체 하우징 내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손끼임 방지 장치에서 손끼임 방지 몸체가 오픈 모드 영역까지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몸체 하우징 내에서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손끼임 방지 장치 중 부착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손끼임 방지 장치를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바라본 손끼임 방지 장치의 다른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손끼임 방지 장치 중 연결 몸체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손끼임 방지 장치를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손끼임 방지 장치가 설치된 서랍장의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서랍장을 Ⅲ-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A 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서랍장의 서랍이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서랍이 이동하여 서랍이 열림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서랍이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서랍이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이동되도록, 손끼임 방지 몸체가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몸체 하우징 내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는 도 18의 서랍이 열림 상태 및 닫힘 상태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되도록, 손끼임 방지 몸체가 오픈 모드 영역까지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몸체 하우징 내에서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3의 손끼임 방지 장치가 윗 서랍의 외측면에 부착된 후 아랫 서랍이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의 손끼임 방지 장치가 설치된 여닫이문의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여닫이문을 Ⅳ-Ⅳ'선을 따라 절단한 후 확대해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와 다르게 손끼임 방지 장치가 여닫이문의 문틀 상부의 외측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1의 손끼임 방지 장치가 쌍여닫이문의 두 문에 걸쳐서 설치된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6은 도 1의 손끼임 방지 장치가 여닫이문의 문뜰 일측부에 설치된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끼임 방지 장치의 일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손끼임 방지 장치를 Ⅴ-Ⅴ'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7의 손끼임 방지 장치를 Ⅵ-Ⅵ'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7의 손끼임 방지 장치에서 손끼임 방지 몸체가 오픈 모드 영역까지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몸체 하우징 내에서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손끼임 방지 장치를 도 28의 Ⅴ-Ⅴ'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30의 손끼임 방지 장치를 도 28의 Ⅵ-Ⅵ'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3은 도 27의 손끼임 방지 장치 중 연결 몸체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손끼임 방지 장치의 일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5는 도 34의 손끼임 방지 장치 중 제1 가이드부 및 스토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6은 도 34의 손끼임 방지 장치를 Ⅶ-Ⅶ'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7은 도 34의 손끼임 방지 장치를 Ⅷ-Ⅷ'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손끼임 방지 장치의 일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9는 도 38의 손끼임 방지 장치과 다른 실시예의 일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0은 도 38의 손끼임 방지 장치과 또 다른 실시예의 일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끼임 방지 장치의 일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손끼임 방지 장치를 제2 방향으로 바라본 손끼임 방지 장치의 다른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손끼임 방지 장치를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바라본 손끼임 방지 장치의 또 다른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손끼임 방지 장치를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바라본 손끼임 방지 장치의 상면을 도시한 상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손끼임 방지 장치를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손끼임 방지 장치 중 제2 가이드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손끼임 방지 장치에서 손끼임 방지 몸체가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몸체 하우징 내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손끼임 방지 장치에서 손끼임 방지 몸체가 오픈 모드 영역까지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몸체 하우징 내에서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손끼임 방지 장치는 제1 구조체 및 제2 구조체를 포함하는 임의의 타겟 물체, 예를 들어 서랍이 구비된 가구에 장착되어 상기 타겟 물체가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변경될 때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때, 상기 제2 구조체가 상기 제1 구조체와 인접하게 될 때, 상기 타겟 물체는 닫힘 상태에 있고, 상기 제1 구조체로부터 멀어질 때, 상기 타겟 물체는 열림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타겟 물체가 서랍장이라고 할 때, 상기 제1 구조체는 상기 서랍장의 몸체이거나 상기 서랍장의 어느 하나의 서랍일 수 있고, 상기 제2 구조체는 상기 서랍장의 몸체와 인접하게 배치된 어느 하나의 서랍이거나, 상기 서랍장의 어느 하나 서랍과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하나의 서랍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손끼임 방지 장치는 몸체 하우징(100), 부착 유닛(200), 손끼임 방지 몸체(300) 및 스프링 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 하우징(100)은 바닥부(110) 및 상기 바닥부(110)의 가장자리와 연결된 측벽부를 포함하여,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향하는 부분에 오픈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 하우징(100)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상기 바닥부(110) 및 상기 바닥부(110)의 4변과 연결된 제1 내지 제4 측벽부들(120, 130, 140, 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 유닛(200)은 상기 몸체 하우징(100)의 측벽부 중 상기 제1 방향(D1)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제2 방향(D2)을 향하는 일측면, 예를 들어 상기 제1 측벽부(120)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몸체 하우징(100)을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들 중 어느 하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착 유닛(200)은 상기 몸체 하우징(100)을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들 중 어느 하나에 고정시키는 접착층일 수 있다.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상단부가 상기 몸체 하우징(100)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오픈부를 통해 상기 몸체 하우징(100)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상단부가 상기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1 외력에 의해 회전 방향(R)으로 회전한 뒤 상기 제1 외력에 제거되면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 방향(R)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D1, D2)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제3 방향(D3)을 중심으로 상기 부착 유닛(200)의 반대측을 향하도록 회전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유닛(400)은 상기 바닥부(110) 및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 유닛(400)은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가 상기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몸체 하우징(100) 내로 삽입될 때, 원 위치로 이동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닥부(110)의 중심에는 상기 스프링 유닛(400)의 하단부를 수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바닥 돌기(112)가 형성되고,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의 하면에는 상기 스프링 유닛(400)의 상단부를 수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스프링 수용홈(316)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는 제1 몸체부(310), 제2 몸체부(320), 및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들(310, 320)을 연결시키는 몸체 연결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부(310)는 합성수지, 예를 들어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부(310)는 상기 몸체 하우징(100)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하거나 일부가 변형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부(110)와 마주하는 상기 제1 몸체부(310)의 하면에는 상기 스프링 수용홈(3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부(320)는 상기 제1 몸체부(310)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2 몸체부(320)는 합성수지, 예를 들어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몸체부(320)는 상기 제1 몸체부(310)와 동일한 재질의 고무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재질의 고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2 몸체부(320)도 상기 몸체 하우징(100)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하거나 일부가 변형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 연결부(330)는 상기 제1 몸체부(310) 및 상기 제2 몸체부(320)을 연결시킨다. 상기 몸체 연결부(330)는 합성수지, 예를 들어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 연결부(330)는 상기 제1 몸체부(310) 또는 상기 제2 몸체부(320)와 동일한 재질의 고무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상기 제1 몸체부(310) 및 상기 제2 몸체부(320)와 서로 다른 재질의 고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1 몸체부(310), 상기 제2 몸체부(320) 및 상기 몸체 연결부(33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몸체부(310), 상기 제2 몸체부(320) 및 상기 몸체 연결부(330)는 동일한 재질의 고무로 동일한 제조 공정에 의해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몸체 연결부(330)는 상기 제2 몸체부(320)가 상기 제1 몸체부(310)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 방향(R)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들(310, 320)을 연결시키고, 상기 제1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몸체부(320)가 상기 회전 방향(R)으로 회전한 뒤 상기 제1 외력에 제거되면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몸체부(310) 중 상기 몸체 연결부(330)로부터 상기 제2 방향(D2)으로 향하는 영역에는, 제1 접촉면(CP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몸체부(320) 중 상기 몸체 연결부(330)로부터 상기 제2 방향(D2)으로 향하는 영역에는, 상기 제1 접촉면(CP1)과 마주하는 제2 접촉면(CP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접촉면(CP1)은 상기 제2 몸체부(120)와 마주하는 상기 제1 몸체부(310)의 상면 중 상기 몸체 연결부(330)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접촉면(CP2)은 상기 제1 몸체부(310)와 마주하는 상기 제2 몸체부(320)의 하면 중 상기 몸체 연결부(330)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몸체부(320)가 상기 회전 방향(R)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 접촉면(CP1) 및 상기 제2 접촉면(CP2) 사이가 벌어질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몸체 연결부(330)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2 몸체부(320)가 상기 회전 방향(R1)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1 외력의 반대 방향으로의 힘이 상기 제2 몸체부(320)에 가해지면, 상기 제1 접촉면(CP1) 및 상기 제2 접촉면(CP2)이 서로 접촉하게 되어, 결국 상기 제2 몸체부(320)가 상기 회전 방향(R)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 연결부(330) 중 상기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의 외측면에는, 외측홈(33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측홈(332)은 반원, 반타원, 직삼각형, 사다리꼴 또는 라운드진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1 외력이 상기 제2 몸체부(320)에 가해질 때, 상기 제2 몸체부(320)가 보다 용이하게 상기 제1 몸체부(310)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 방향(R)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외측홈(332)은 상기 제2 몸체부(320)가 상기 제1 몸체부(310) 측으로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갖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 연결부(330) 중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외측면에는 내측홈(334)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측홈(334)은 상기 제1 방향(D1)과 평행하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들(310, 320)의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중심축 또는 상기 중심축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접촉면(CP1) 및 상기 제2 접촉면(CP2)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홈(334)은 반원, 반타원, 직삼각형, 사다리꼴 또는 라운드진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홈(334)은 도면과 같이 상기 외측홈(332)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외측홈(332)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외력이 상기 제2 몸체부(320)에 가해질 때, 상기 제2 몸체부(320)가 보다 용이하게 상기 제1 몸체부(310)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 방향(R)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내측홈(334)은 상기 제2 몸체부(320)가 상기 제1 몸체부(310)로부터 용이하게 펼쳐질 수 있도록 도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측홈(334)에는, 상기 제2 몸체부(320)가 상기 제1 몸체부(310)로부터 좀 더 용이하게 펼쳐질 수 있도록 복수의 주름들(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몸체부(220)에는, 상기 제2 몸체부(220)의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외측면 및 상기 제2 몸체부(D2)의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외측면 사이를 연결시키는 경사면(SP)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면(SP)은 도면에서와 같이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와 다르게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는 범퍼부(340) 및 완충 지지부(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퍼부(340)는 상기 제2 몸체부(320)의 상기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의 외측면 중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범퍼부(340)는 상기 경사면(SP)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제2 몸체부(320)의 외측면 중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범퍼부(340)는 직육면체 형상, 도면과 같이 상기 제2 몸체부(320)의 외측면과 마주하지 않는 모서리들이 제거되어 라운드진 직육면체 형상,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라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범퍼부(340)는 도면과 같이 상기 제2 몸체부(320)에 부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범퍼부(340)는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 수단에 의해 상기 제2 몸체부(32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범퍼부(340)는 합성수지, 예를 들어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충격 흡수가 용이하도록 상기 제2 몸체부(320)보다 탄성이 크고 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범퍼부(340)는 상기 제2 몸체부(3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 몸체부(320)가 제조될 때, 상기 범퍼부(340)도 함께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완충 지지부(350)는 상기 제2 몸체부(320)의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완충 지지부(350)는 상기 경사면(SP) 및 상기 제2 접촉면(CP2)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제2 몸체부(320)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 지지부(350)는 상기 제2 방향(D2)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단면이 상기 제3 방향(D3)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완충 지지부(350)는 도면과 같이 상기 제2 몸체부(320)에 부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완충 지지부(350)는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 수단에 의해 상기 제2 몸체부(32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완충 지지부(350)는 합성수지, 예를 들어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충격 흡수가 용이하도록 상기 제2 몸체부(320)보다 탄성이 크고 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완충 지지부(350)는 상기 제2 몸체부(3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 몸체부(320)가 제조될 때, 상기 완충 지지부(350)도 함께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손끼임 장지 장치는 제1 가이드부(500) 및 제2 가이드부(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500)는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의 제1 몸체부(310) 중 상기 제3 방향(D3)을 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제1 측면 수용홈(312)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몸체부(3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부(50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 하우징(100)의 측벽부 중 상기 제3 방향(D3)을 향하는 측면, 예를 들어 상기 제3 측벽부(140)에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1 가이드홀(GH1)에 삽입되어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가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상하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이드부(500)는 상기 제1 측면 수용홈(312)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몸체부(310)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가이드홀(GH1)을 관통하여 상기 제3 측벽부(14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제1 가이드봉(5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상기 제1 가이드봉(510)을 이용하여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를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부(600)는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의 제1 몸체부(310) 중 상기 제3 방향(D3)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제2 측면 수용홈(314)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몸체부(3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부(60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 하우징(100)의 측벽부 중 상기 제3 방향(D3)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측면, 예를 들어 상기 제4 측벽부(150)에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2 가이드홀(GH2)에 삽입되어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가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상하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가이드부(600)는 상기 제2 측면 수용홈(314)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몸체부(310)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가이드홀(GH2)에 삽입되도록 배치된 제2 가이드봉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가이드봉은 도 5와 같이 상기 제2 가이드홀(GH2)에 삽입되어 배치되되 상기 제4 측벽부(150)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도 6과 같이 상기 제2 가이드홀(GH2)을 관통하여 상기 제4 측벽부(15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가이드봉은 상기 제1 가이드봉(510)을 보조하여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손끼임 장지 장치는 스토퍼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700)는 상기 제1 가이드부(500)가 상기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가이드홀(GH1) 중 상기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의 단부까지 이동될 경우, 상기 제2 외력이 제거된 후 상기 스프링 유닛(400)에 의해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제1 가이드부(500)가 상기 제1 가이드봉(510)일 경우, 상기 스토퍼부(700)는 상기 제1 가이드봉(510)이 상기 제1 가이드홀(GH1) 중 상기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의 단부에 형성된 오픈 모드 영역에 위치할 때, 상기 스프링 유닛(400)에 의해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제1 스토퍼 돌기(7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스토퍼 돌기(710)는 상기 오픈 모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인접한 위치에 상기 제1 가이드홀(GH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가이드부(500)가 도 7과 같이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되 상기 제1 스토퍼 돌기(710)를 통과하지 못한 경우, 해당 외력이 제거된 후 상기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반면,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가이드부(500)가 도 8과 같이 상기 제1 스토퍼 돌기(710)를 통과하도록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할 경우, 해당 외력이 제거되더라도 해당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2 가이드봉이 상기 제2 가이드홀(GH2) 중 상기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의 단부에 위치할 때 고정시킬 수 있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제2 스토퍼 돌기(750)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 스토퍼 돌기(750)는 상기 제1 스토퍼 돌기(710)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2 가이드홀(GH2)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토퍼 돌기(750)는 상기 제1 스토퍼 돌기(710)와 함께 이중으로 스토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 하우징(100)의 측벽부 중 상기 제2 방향(D2)을 향하는 측면, 예를 들어 상기 제1 측벽부(120)의 상단부에는,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가 상기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몸체 하우징(100)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완충 지지부(350)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측벽홈(12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가 상기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몸체 하우징(100)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완충 지지부(350)가 상기 제1 측벽부(120)의 상단부와 부딪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 하우징(100)의 측벽부 중 상기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측면, 예를 들어 상기 제2 측벽부(130)의 상단부에는,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가 상기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몸체 하우징(100) 내로 삽입되면서 상기 회전 방향(R)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측벽홈(13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가 상기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몸체 하우징(100) 내로 삽입되면서 상기 회전 방향(R)으로 회전될 때,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가 상기 제1 측벽부(120)의 상단부와 부딪치지 않을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손끼임 방지 장치 중 부착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손끼임 방지 장치를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바라본 손끼임 방지 장치의 다른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부착 유닛(200)은 제1 부착부(210) 및 제2 부착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착부(210)는 상기 제1 측벽부(120)에 예를 들어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 수단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착부(220)는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들 중 어느 하나의 구조체 중 상기 제1 측벽부(120)와 마주하는 일면에 예를 들어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 수단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부착부들(210, 220)은 서로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고, 외력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부착부들(210, 220)은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될 수도 있고, 벨크로(Velcro)에 의해 서로 부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부착 유닛(200)은 서로 부착되되 외력에 의해 서로 분리도 가능한 상기 제1 및 제2 부착부들(210, 220)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손끼임 방지 장치가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들 중 어느 하나의 구조체에 부착되어 사용되다가, 사용할 필요가 없어졌을 때 상기 어느 하나의 구조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1은 도 1의 손끼임 방지 장치 중 연결 몸체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손끼임 방지 장치를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 연결부(130)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들(310, 320)과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들(310, 32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몸체 연결부(330)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들(310, 320)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들(310, 32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 연결부(330)는 합성수지, 예를 들어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들(310, 320)보다 탄성, 연성 또는 휘어짐이 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 연결부(330)가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들(310, 320)보다 탄성, 연성 또는 휘어짐이 큰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제2 몸체부(320)가 상기 회전 방향(R)으로 보다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부(310)에는, 상기 몸체 연결부(330)의 제1 측부, 즉 하단부를 수용하는 제1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몸체부(320)에는, 상기 제1 측부와 대향하는 상기 몸체 연결부(330)의 제2 측부, 즉 상단부를 수용하는 제2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 연결부(330)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홈들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들(310, 320)을 연결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결합홈에 삽입되는 상기 몸체 연결부(330)의 제1 측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톱니돌기(미도시)가 상기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에 수직하거나 예각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결합홈에는 상기 제1 톱니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톱니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톱니돌기가 상기 몸체 연결부(330)의 제1 측부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톱니홈도 상기 제1 결합홈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 연결부(330)의 제1 측부에 상기 제1 톱니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결합홈에 상기 제1 톱니홈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상기 몸체 연결부(330)의 제1 측부가 상기 제1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상기 제1 방향(D1)으로 분리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상기 몸체 연결부(330)의 제1 측부 및 상기 제1 몸체부(310) 사이의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합홈에 삽입되는 상기 몸체 연결부(330)의 제2 측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톱니돌기(미도시)가 상기 제1 방향(D1)에 수직하거나 예각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결합홈에는 상기 제2 톱니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톱니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톱니돌기가 상기 몸체 연결부(330)의 제2 측부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톱니홈도 상기 제2 결합홈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 연결부(330)의 제2 측부에 상기 제2 톱니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결합홈에 상기 제2 톱니홈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상기 몸체 연결부(330)의 제2 측부가 상기 제2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상기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상기 몸체 연결부(330)의 제2 측부 및 상기 제2 몸체부(120) 사이의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 연결부(330)가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들(310, 320)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될 때,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제1 톱니돌기, 상기 제1 톱니홈, 상기 제2 톱니돌기 및 상기 제2 톱니홈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 연결부(330) 중 상기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 측에 상기 외측홈(332)에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몸체 연결부(330) 중 상기 제2 방향(D2) 측에는 상기 내측홈(334)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상기 손끼임 방지 장치가 서랍장의 임의의 서랍의 내측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손끼임 방지 장치가 동작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3은 도 1의 손끼임 방지 장치가 설치된 서랍장의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서랍장을 Ⅲ-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A 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에서 서랍장의 서랍이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서랍이 이동하여 서랍이 열림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손끼임 방지 장치가 서랍장(10)의 임의의 서랍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손끼임 방지 장치가 부착된 서랍(이하, '타겟 서랍'이라 함)을 상기 제2 방향(D2)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타겟 서랍과 이웃하는 서랍 또는 서랍장의 몸체(이하, '이웃 몸체'라 함)의 하단부가 상기 제2 몸체부(320)의 경사면(SP)에 접하게 되면서 상기 제2 몸체부(320)에 상기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1 외력과 상기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외력이 가해지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제1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접촉면(CP1) 및 상기 제2 접촉면(CP2) 사이가 벌어지면서, 상기 제2 몸체부(120)가 상기 몸체 연결부(130)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 방향(R)으로 회전하게 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외력에 의해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가 상기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몸체 하우징(100) 내로 더 삽입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타겟 서랍이 열림 상태로 이동하여 상기 제2 몸체부(320)에 가해지던 상기 제1 및 제2 외력들이 제거되게 되면, 상기 몸체 연결부(330)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2 몸체부(320)가 상기 회전 방향(R1)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있고, 상기 스프링 유닛(40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여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7의 서랍이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이후, 사용자가 상기 타겟 서랍을 상기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서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변경시키려 하더라도, 상기 타겟 서랍이 상기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제2 몸체부(320)에 형성된 상기 범퍼부(340)가 상기 이웃 몸체의 하단부에 부딪치게 되어, 닫힘 상태로 변경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힘이 계속 상기 제2 몸체부(320)에 가해지게 되더라도, 상기 제1 접촉면(CP1) 및 상기 제2 접촉면(CP2)이 서로 접촉하게 되어, 결국 상기 제2 몸체부(320)가 상기 회전 방향(R)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강한 힘에 상기 제2 몸체부(320)가 상기 회전 방향(R)의 반대 방향으로 일부 휘어지더라도 상기 제2 몸체부(320)에 형성된 상기 완충 지지부(350)가 상기 타겟 서랍의 내측면에 접하게 됨에 따라, 상기 제2 몸체부(320)가 상기 회전 방향(R)의 반대 방향으로 과도하게 휘어져서 상기 손끼임 방지 장치가 파손되거나 상기 타겟 서랍이 닫힘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도 19는 도 18의 서랍이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이동되도록, 손끼임 방지 몸체가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몸체 하우징 내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를 상기 이웃 몸체의 하단과 부딪치기 않도록 상기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시킨 후, 상기 타겟 서랍을 상기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밀게 되면 상기 타겟 서랍을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후, 닫힘 상태에서는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는 상기 스프링 유닛(400)의 복원력에 의해 원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도 20는 도 18의 서랍이 열림 상태 및 닫힘 상태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되도록, 손끼임 방지 몸체가 오픈 모드 영역까지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몸체 하우징 내에서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를 상기 스토퍼부(700)인 상기 제1 스토퍼 돌기(710)를 통과하도록 상기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는 상기 몸체 하우징(100) 내에 더 깊게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타겟 서랍이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또는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1은 도 13의 손끼임 방지 장치가 윗 서랍의 외측면에 부착된 후 아랫 서랍이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손끼임 방지 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들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도 있지만,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들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몸체 하우징(100)이 상기 부착 유닛(200)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들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끼임 방지 장치가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들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손끼임 방지 장치가 동작되는 과정은, 상기 손끼임 방지 장치가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들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손끼임 방지 장치가 동작되는 과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2는 도 1의 손끼임 방지 장치가 설치된 여닫이문의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여닫이문을 Ⅳ-Ⅳ'선을 따라 절단한 후 확대해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4는 도 22와 다르게 손끼임 방지 장치가 여닫이문의 문틀 상부의 외측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5는 도 1의 손끼임 방지 장치가 쌍여닫이문의 두 문에 걸쳐서 설치된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6은 도 1의 손끼임 방지 장치가 여닫이문의 문뜰 일측부에 설치된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2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손끼임 방지 장치는 서랍장이 아닌 다른 대상, 예를 들어 여닫이문 또는 여닫이문을 갖고 있는 가구에 부착되어 동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여닫이문은 외여닫이문일 수도 있고, 쌍여닫이문일 수도 있다.
우선, 상기 손끼임 방지 장치는 쌍여닫이문을 갖고 있는 가구에 부착되어 동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손끼임 방지 장치는 도 22 및 도 23와 같이 쌍여닫이문의 내측면의 상단에 문틀 상부에 걸치도록 부착될 수도 있고, 도 24와 같이 쌍여닫이문의 문틀 상부의 외측면에 쌍여닫이문의 상단에 걸치도록 부착될 수도 있으며, 도 25와 같이 쌍여닫이문의 두 문에 걸쳐서 부착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손끼임 방지 장치는 여닫이문으로 이루어진 출입문에 부착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손끼임 방지 장치는 도 26과 같이 여닫이문의 문틀 일측부, 예를 들어 우측 문틀에 여닫이문의 우측단에 걸치도록 부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손끼임 방지 장치가 여닫이문 또는 여닫이문을 갖고 있는 가구에 부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손끼임 방지 장치가 동작되는 과정은, 상기 손끼임 방지 장치가 서랍이 구비된 가구에 부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손끼임 방지 장치가 동작되는 과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손끼임 방지 장치가 상기 제2 구조체와 일부에 걸쳐지도록 상기 제1 구조체에 부착된다고 할 때,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가 상기 몸체 하우징(100) 내로 삽입되면서 상기 회전 방향(R)으로만 회전 가능함에 따라, 상기 제1 구조체가 외력에 의해 이동하여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가 자체적인 탄성과 상기 스프링 유닛(400)의 복원력에 의해 원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상기 제1 구조체가 외력에 의해 이동하여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변경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구조체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변경되어 있을 때, 사람의 손가락이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들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1 구조체가 다시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변경되는 것이 차단됨에 따라, 상기 사람의 손가락이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들 사이에 끼어 부상을 당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가 상기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몸체 하우징(100) 내로 삽입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제1 구조체를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가 상기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스토퍼부(700)인 상기 제1 스토퍼 돌기(710)에 의해 고정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타겟 서랍이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또는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2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끼임 방지 장치의 일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8은 도 27의 손끼임 방지 장치를 Ⅴ-Ⅴ'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29는 도 27의 손끼임 방지 장치를 Ⅵ-Ⅵ'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30은 도 27의 손끼임 방지 장치에서 손끼임 방지 몸체가 오픈 모드 영역까지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몸체 하우징 내에서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1은 도 30의 손끼임 방지 장치를 도 28의 Ⅴ-Ⅴ'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32는 도 30의 손끼임 방지 장치를 도 28의 Ⅵ-Ⅵ'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33은 도 27의 손끼임 방지 장치 중 연결 몸체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손끼임 방지 장치는 제1 가이드부(500) 및 스토퍼부(700)에 관련한 내용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26을 통해 설명한 제1 실시예에 의한 손끼임 방지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7 내지 도 3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가이드부(500)는 가이드 몸체(520) 및 복원력 제공부(5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몸체(52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가이드홀(GH1)을 관통하여 상기 제3 측벽부(14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복원력 제공부(530)는 상기 가이드 몸체(520) 중 상기 제1 측면 수용홈(312)과 마주하는 하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측면 수용홈(312)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원력 제공부(530)는 상기 제1 측면 수용홈(312)을 향하는 제3 외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몸체(520)가 이동한 후 상기 제3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원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측벽부(140)에는, 상기 제1 가이드홀(GH1)와 연결되는 제1 스토퍼홀(SH1) 및 제2 스토퍼홀(SH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스토퍼홀(SH1)은 상기 제1 가이드홀(GH1) 중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D2) 또는 상기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토퍼홀(SH2)은 상기 제1 가이드홀(GH1) 중 상기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스토퍼홀(SH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가이드홀(GH1), 상기 제1 스토퍼홀(SH1) 및 상기 제2 스토퍼홀(SH2)은 ??-자 형상 또는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700)는, 상기 가이드 몸체(520)로부터 상기 제1 스토퍼홀(SH1)의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스토퍼홀(SH1)에 삽입된 스토퍼 몸체(7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몸체(720)는 상기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2 외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몸체(520)이 상기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함께 이동한 후, 상기 제2 외력이 제거될 때 상기 스프링 유닛(40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스토퍼홀(SH1)로 다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 몸체(720)는 상기 제2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스토퍼홀(SH2)까지 이동하여 상기 제2 스토퍼홀(SH2)에 삽입된 경우, 상기 스프링 유닛(40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스토퍼홀(SH2) 내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토퍼 몸체(720)에는, 상기 제1 방향(D1)을 향하는 스토퍼면(722)과, 상기 스토퍼면(722)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이동 경사면(7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면(722)은, 상기 스토퍼 몸체(720)가 상기 제2 스토퍼홀(SH2)에 삽입시 상기 스프링 유닛(40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스토퍼홀(SH2)의 측부에 걸리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면(722)은 상기 제3 외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몸체(520)가 상기 제1 측면 수용홈(312) 내로 이동시, 상기 제2 스토퍼홀(SH2)의 측부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 몸체(52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가이드 몸체(520)를 눌러 상기 제1 측면 수용홈(312) 내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스토퍼면(722)이 상기 제2 스토퍼홀(SH2)의 측부에 걸리지 않도록 해제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상기 스토퍼 몸체(720)는 상기 스프링 유닛(40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스토퍼홀(SH1)로 다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이동 경사면(724)은, 상기 스토퍼 몸체(720)가 상기 제1 스토퍼홀(SH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면(722)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경사면(724)은 외측으로 라운드지도록 경사진 면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를 눌러 이동시킬 경우, 상기 스토퍼 몸체(720)가 용이하게 상기 제1 스토퍼홀(SH1)에서 벗어나서 상기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원력 제공부(530)는 하부 몸체(532) 및 상부 몸체(5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몸체(532)는 상기 제1 측면 수용홈(312)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D1)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 몸체(534)는 상기 하부 몸체(532) 및 상기 가이드 몸체(520)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3 외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몸체(520)가 이동한 후 상기 제3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원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몸체(520)와 연결되는 영역에서 상기 하부 몸체(52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몸체(532) 및 상기 상부 몸체(534)는 ??-자 형상, ■-자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몸체(520) 중 상기 제3 방향(D3)을 향하는 상면은 상기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상기 가이드 몸체(520)의 상면을 용이하게 눌러 상기 스토퍼 몸체(720)를 상기 제1 측면 수용홈(312)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몸체(520), 상기 하부 몸체(532), 상기 상부 몸체(534) 및 상기 스토퍼 몸체(720)는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 몸체(720)가 상기 제2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스토퍼홀(SH2)까지 이동하여 상기 제2 스토퍼홀(SH2)에 삽입된 경우, 상기 스프링 유닛(40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스토퍼홀(SH2) 내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타겟 서랍이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또는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 3>
도 3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손끼임 방지 장치의 일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5는 도 34의 손끼임 방지 장치 중 제1 가이드부 및 스토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6은 도 34의 손끼임 방지 장치를 Ⅶ-Ⅶ'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37은 도 34의 손끼임 방지 장치를 Ⅷ-Ⅷ'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손끼임 방지 장치는 제1 가이드부(500)의 복원력 제공부(530)에 관련한 내용을 제외하면, 도 27 내지 도 33을 통해 설명한 제2 실시예에 의한 손끼임 방지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4 내지 도 37을 참조하면, 상기 복원력 제공부(530)는 걸림 몸체부(533), 스프링부(534) 및 스프링 고정 돌기부(5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 몸체부(533)는 상기 제1 측면 수용홈(312)에 삽입되어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몸체(520) 및 상기 스토퍼 몸체(72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 몸체부(533)는 상기 제1 스토퍼홀(SH1) 및 상기 제2 스토퍼홀(SH2)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1 스토퍼홀(SH1)의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폭 및 상기 제2 스토퍼홀(SH2)의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폭보다 긴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프링부(534)는 상기 걸림 몸체부(533) 및 상기 제1 측면 수용홈(312)의 바닥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외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몸체(520)가 이동한 후 상기 제3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원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고정 돌기부(535)는 상기 걸림 몸체부(533)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1 측면 수용홈(312)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부(534) 내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스프링부(534)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몸체(520) 중 상기 제3 방향(D3)을 향하는 상면은 제2 실시예와 다르게 상기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동일한 높이를 갖는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몸체(520), 상기 걸림 몸체부(533), 상기 스프링 고정 돌기부(535) 및 상기 스토퍼 몸체(72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 4>
도 3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손끼임 방지 장치의 일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손끼임 방지 장치는 손끼임 방지 몸체(300)에 관련한 내용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26을 통해 설명한 제1 실시예에 의한 손끼임 방지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8을 참조하면,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에서, 상기 제1 몸체부(310), 상기 제2 몸체부(320) 및 상기 몸체 연결부(330)가 일체화된 하나의 몸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의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상단부는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에서의 범퍼부(340)는 생략될 수 있다.
도 39는 도 38의 손끼임 방지 장치과 다른 실시예의 일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9를 참조하면,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의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상단부에는 제1 실시예에서의 경사면(SP)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0은 도 38의 손끼임 방지 장치과 또 다른 실시예의 일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0을 참조하면,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300)는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몸체부(310), 상기 제2 몸체부(320) 및 상기 몸체 연결부(330)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몸체 하우징 110 : 바닥부
120, 130, 140, 140 : 제1 내지 제4 측벽부
GH1 : 제1 가이드홀 GH2 : 제2 가이드홀
SH1 : 제1 스토퍼홀 SH2 : 제2 스토퍼홀
200 : 부착 유닛 300 : 손끼임 방지 몸체
310 : 제1 몸체부 312 : 제1 측면 수용홈
314 : 제2 측면 수용홈 316 : 스프링 수용홈
320 : 제2 몸체부 SP : 경사면
CP1 : 제1 접촉면 CP2 : 제2 접촉면
330 : 연결 몸체부 332 : 외측혼
334 : 내측홈 340 : 범퍼부
350 : 완충 지지부 400 : 스프링 유닛
500 : 제1 가이드부 510 : 제1 가이드봉
520 : 가이드 몸체 530 : 복원력 제공부
600 : 제2 가이드부 700 : 스토퍼부
710 : 제1 스토퍼 돌기 720 : 스토퍼 몸체

Claims (19)

  1. 제1 구조체 및 제2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조체가 상기 제1 구조체와 인접하게 될 때 닫힘 상태에 있고 상기 제1 구조체로부터 멀어질 때 열림 상태에 있는 타겟 물체에 장착되는 손끼임 방지 장치에 있어서,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와 연결된 측벽부를 포함하여,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향하는 부분에 오픈부를 형성하는 몸체 하우징;
    상기 측벽부 중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향하는 일측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몸체 하우징을 상기 제1 및 제2 구조체들 중 어느 하나에 고정시키는 부착 유닛;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상단부가 상기 몸체 하우징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오픈부를 통해 상기 몸체 하우징에 삽입된 손끼임 방지 몸체; 및
    상기 바닥부 및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상단부가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1 외력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 뒤 상기 제1 외력에 제거되면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갖고,
    상기 회전 방향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부착 유닛의 반대측을 향하도록 회전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끼임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 중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제1 측면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측벽부 중 상기 제3 방향을 향하는 측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1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하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끼임 방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 중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과 교차하는 제4 방향을 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제2 측면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측벽부 중 상기 제4 방향을 향하는 측면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2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하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끼임 방지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가이드홀 중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단부까지 이동될 경우, 상기 제2 외력이 제거된 후 상기 스프링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끼임 방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측면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상기 측벽부로부터 돌출된 가이드봉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가이드봉이 상기 제1 가이드홀 중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단부에 형성된 오픈 모드 영역에 위치할 때, 상기 스프링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스토퍼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 돌기는, 상기 오픈 모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한 위치에 상기 제1 가이드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끼임 방지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상기 측벽부로부터 돌출된 가이드 몸체; 및
    상기 가이드 몸체 중 상기 제1 측면 수용홈과 마주하는 하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측면 수용홈에 삽입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측면 수용홈을 향하는 제3 외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몸체가 이동한 후 상기 제3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원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력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에는, 상기 제1 가이드홀 중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스토퍼홀과, 상기 제1 가이드홀 중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스토퍼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스토퍼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가이드 몸체로부터 상기 제1 스토퍼홀의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스토퍼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외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몸체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함께 이동한 후 상기 제2 외력이 제거될 때 상기 스프링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스토퍼홀로 다시 삽입되며, 상기 제2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스토퍼홀까지 이동하여 상기 제2 스토퍼홀에 삽입된 경우 상기 스프링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스토퍼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몸체에는, 상기 제1 방향을 향하는 스토퍼면과, 상기 스토퍼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이동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면은, 상기 스토퍼 몸체가 상기 제2 스토퍼홀에 삽입시 상기 스프링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스토퍼홀의 측부에 걸리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3 외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몸체가 상기 제1 측면 수용홈 내로 이동시, 상기 제2 스토퍼홀의 측부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 몸체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 경사면은, 상기 스토퍼 몸체가 상기 제1 스토퍼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끼임 방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력 제공부는
    상기 제1 측면 수용홈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갖는 하부 몸체; 및
    상기 하부 몸체 및 상기 가이드 몸체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3 외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몸체가 이동한 후 상기 제3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원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몸체와 연결되는 영역에서 상기 하부 몸체와 이격되어 배치된 상부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끼임 방지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력 제공부는
    상기 제1 측면 수용홈에 삽입되어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몸체 및 상기 스토퍼 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스토퍼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폭 및 상기 제2 스토퍼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폭보다 긴 폭을 갖는 걸림 몸체부; 및
    상기 걸림 몸체부 및 상기 제1 측면 수용홈의 바닥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외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몸체가 이동한 후 상기 제3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원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끼임 방지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끼임 방지 몸체는
    상기 몸체 하우징 내에 삽입된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몸체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된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들을 연결시키는 몸체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 연결부는
    상기 제2 몸체부가 상기 제1 몸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들을 연결시키고, 상기 제1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몸체부가 상기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 뒤 상기 제1 외력에 제거되면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끼임 방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 중 상기 몸체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향하는 영역에는 제1 접촉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부 중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향하는 영역에는 상기 제1 접촉면과 마주하는 제2 접촉면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 연결부 중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외측면에는 외측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끼임 방지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연결부 중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외측면에는 내측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끼임 방지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 상기 제2 몸체부 및 상기 몸체 연결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끼임 방지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에는 상기 몸체 연결부의 제1 측부를 수용하는 제1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몸체부에는 상기 제1 측부와 대향하는 상기 몸체 연결부의 제2 측부를 수용하는 제2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 연결부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홈들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들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끼임 방지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부에는
    상기 제2 몸체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외측면 및 상기 제2 몸체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외측면 사이를 연결시키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끼임 방지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외측면에 배치된 완충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끼임 방지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부의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외측면 중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단부에 배치된 범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끼임 방지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유닛은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끼임 방지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방향들은 서로 수직하게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끼임 방지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물체는 여닫이문 및 서랍이 설치된 가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끼임 방지 장치.
KR1020190051663A 2019-05-02 2019-05-02 손끼임 방지 장치 KR102186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663A KR102186223B1 (ko) 2019-05-02 2019-05-02 손끼임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663A KR102186223B1 (ko) 2019-05-02 2019-05-02 손끼임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475A true KR20200127475A (ko) 2020-11-11
KR102186223B1 KR102186223B1 (ko) 2020-12-03

Family

ID=73451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663A KR102186223B1 (ko) 2019-05-02 2019-05-02 손끼임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2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634A1 (ko) * 2020-06-26 2021-12-30 이범현 손끼임 방지 장치
KR20220144985A (ko) *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아이엠유 문 스토퍼
KR20230030919A (ko) * 2021-08-26 2023-03-07 주식회사 아이엠유 손끼임 방지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1345A (ja) * 2000-04-28 2001-11-09 Okuda Seisakusho:Kk 地震時ロック装置とこれを有する収納ボックス
KR200406433Y1 (ko) * 2005-11-08 2006-01-20 최명진 도어버팀장치
US20150091313A1 (en) * 2013-10-01 2015-04-02 Jeffrey Hal Braselton Safety Device for Lockable Receptacles
KR101801781B1 (ko) * 2016-06-21 2017-12-28 강민성 미닫이문용 손가락 끼임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1345A (ja) * 2000-04-28 2001-11-09 Okuda Seisakusho:Kk 地震時ロック装置とこれを有する収納ボックス
KR200406433Y1 (ko) * 2005-11-08 2006-01-20 최명진 도어버팀장치
US20150091313A1 (en) * 2013-10-01 2015-04-02 Jeffrey Hal Braselton Safety Device for Lockable Receptacles
KR101801781B1 (ko) * 2016-06-21 2017-12-28 강민성 미닫이문용 손가락 끼임방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634A1 (ko) * 2020-06-26 2021-12-30 이범현 손끼임 방지 장치
KR20220144985A (ko) *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아이엠유 문 스토퍼
KR20230030919A (ko) * 2021-08-26 2023-03-07 주식회사 아이엠유 손끼임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223B1 (ko) 202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6223B1 (ko) 손끼임 방지 장치
EP2868858B1 (en) Safety door
KR102033856B1 (ko) 손 끼임 방지 장치
GB2429741A (en) Anti-movement device for closure member
KR20150113757A (ko) 여닫이문용 안전보호대
KR20170017368A (ko) 문틈 끼임 방지 여닫이문
KR102205532B1 (ko) 손끼임 방지 장치
KR102243060B1 (ko) 경첩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KR102092506B1 (ko)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
KR20220019507A (ko)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
CN219782013U (zh) 手卡住防止装置
KR200485308Y1 (ko) 셔터식 도어를 갖는 욕실수납장
KR20020001694A (ko)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
KR102410129B1 (ko) 손끼임 방지 장치
KR102267498B1 (ko) 손끼임 방지용 안전출입도어
KR102649935B1 (ko) 손끼임 방지 장치
KR20110052625A (ko) 도어 어셈블리
KR102152797B1 (ko)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KR102085314B1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문틀의 단턱 모서리 간섭방지 겸용 커버장치
KR101704586B1 (ko) 슬라이딩 도어 정위치장치
JP2020190119A (ja) 指挟み防止装置
KR102416155B1 (ko) 손끼임 방지 장치
JP5130133B2 (ja) 折戸構造
KR200380072Y1 (ko) 도어 안전장치
JP2511022Y2 (ja) 吊り引き戸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