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1694A -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1694A
KR20020001694A KR1020010075770A KR20010075770A KR20020001694A KR 20020001694 A KR20020001694 A KR 20020001694A KR 1020010075770 A KR1020010075770 A KR 1020010075770A KR 20010075770 A KR20010075770 A KR 20010075770A KR 20020001694 A KR20020001694 A KR 20020001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roove
guide hole
sliding member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복
Original Assignee
박창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복 filed Critical 박창복
Priority to KR1020010075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1694A/ko
Publication of KR20020001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169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7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by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문이나 옷장문 등에 손가락 등이 끼여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미적감각을 유지하고자 하는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문지지부재(200)는 문부재(300)가 힌지부재(310)를 중심으로 회전시 인체보호수단(400)의 제1보호부재(410) 및 제2보호부재(420)가 가이드되도록 하측돌출부(216)의 부분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가이드구멍(220) 및 제2가이드구멍(23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문부재(300)는 제1보호부재(410)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결착홈(320)과, 상기 제2보호부재(420)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2결착홈(32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체보호수단(400)은 상기 제1가이드구멍(220)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도록 원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보호부재(410)와, 상기 제2가이드구멍(230)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도록 원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보호부재(42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OPEN-CLOSED APPARATUS FOR SAFETY FOR BEING USED IN THE DOOR AND SO ON}
본 발명은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문이나 옷장문 등에 손가락 등이 끼여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미적감각을 유지하고자 하는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통상적인 방문은 도시되지 않은 통상의 힌지를 중심으로 방문이 개폐되도록 되어 있어서, 방문을 열었을 때에는 방문을 지지하는 벽체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므로서 어린아이 등이 놀다가 그 사이에 손을 넣은 후 문을 닫게 되는 경우 불의의 사고를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문이나 옷장문 등에 손가락이 끼이지 않도록 방지하므로서 갑작스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는, 벽체(100)에 결착되어 있는 문지지부재(200)와, 상기 문지지부재(200)에 힌지부재(310)에 의해 결착되어 회전되는 문부재(300)와, 상기 문지지부재(200) 및 문부재(300)에 결착되어 손가락 등이 끼이지 않도록 하는 인체보호수단(400)으로 구성되어 있는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지지부재(200)는 상기 벽체(100)와 결착되어 있는 상측부(210)와, 상기 상측부(210)의 하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하측돌출부(216)와, 상기 힌지부재(310)를 중심으로 일측면에 형성되어 복수개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착되는 문접촉측면부(214)와, 상기 문부재(300)가 상기 힌지부재(310)를 중심으로 회전시 상기 인체보호수단(400)의 제1보호부재(410) 및 제2보호부재(420)가 가이드되도록 상기 하측돌출부(216)의 부분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가이드구멍(220) 및 제2가이드구멍(23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문부재(300)는 제1보호부재(41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체결수단(416)에 의해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결착홈(320)과, 상기 제2보호부재(42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체결수단(426)에 의해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2결착홈(32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체보호수단(400)은 상기 제1가이드구멍(220)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도록 원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보호부재(410)와, 상기 제2가이드구멍(230)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도록 원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보호부재(420)와, 상기 제1보호부재(410)의 일단부가 상기 문부재(300)에 고정되도록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체결되어 있는 체결수단(416)과, 상기 제2보호부재(420)의 일단부가 상기 문부재(300)에 고정되도록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체결되어 있는 체결수단(426)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은, 벽체(100)에 결착되어 있는 문지지부재(200)와, 상기 힌지부재(31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힌지지지부(312)에 결착되어 있는 문부재(300)와, 상기 문지지부재(200) 및 문부재(300)의 사이에 형성되어 손가락 등을 보호하도록 플렉시블하게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인체보호수단(400)으로 구성되어 있는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지지부재(200)는 상기 인체보호수단(400)의 일단부가 결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측부(260)와, 상기 제1보호부재(440)의 일단부가 고정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가이드구멍(242)과, 상기 제2보호부재(450)의 일단부가 고정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가이드구멍(24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문부재(300)는 상기 제1보호부재(440)의 타단부가 고정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가이드구멍(364)과, 상기 제2보호부재(450)의 일단부가 고정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가이드구멍(36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인체보호수단(400)은 플레시블하게 복수개의 절곡부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서 양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제1보호부재(440)와, 상기 제1보호부재(440)의 내측에 플렉시블하게 복수개의 절곡부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양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제2보호부재(45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은, 개폐되는 문부재(510,530)와, 상기 문부재(510,530)가 회전가능하도록 힌지작용을 하는 힌지부재(550)와, 상기 문부재(510)가 회전하여 열렸을 경우 상기 옷장(500)의 내부에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재(570)와, 상기 문부재(510)의 일측면에 손가락 등이 끼이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인체보호수단(600)으로 구성되어 있는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부재(510)에는 일측면에 오목하게 홈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512)과, 상기 문부재(530)의 일측면에 오목하게 홈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532)과, 가이드홈(512)의 외측으로 가이드홈이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514)와, 상기 가이드홈(532)의 외측으로 가이드홈이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534)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체보호수단(600)은 상기 가이드홈(512)의 내부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돌출과 수축이 반복되는 제1슬라이딩부재(610)와, 상기 가이드홈(532)의 내부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돌출과 수축이 반복되는 제2슬라이딩부재(620)와, 상기 가이드홈(512)의 내측 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610)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61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탄성부재(618)와, 상기 가이드홈(532)의 내측 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620)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620)가 이동될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탄성부재(628)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힌지부재가 결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문지지부재 및 문부재 및 인체보호수단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실시예가 회전하여 동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실시예가 동작하여 문이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벽체 200 : 문지지부재
210, 260 : 상측부 214 : 문접촉측면부
216 : 하측돌출부 220, 240, 242 : 제1가이드구멍
230, 244, 250 : 제2가이드구멍
300 : 문부재 310 : 힌지부재
320 : 제1결착홈 322 : 제2결착홈
400 : 인체보호수단 410, 440 : 제1보호부재
416, 426, 430, 432 : 체결수단
420, 450 : 제2보호부재 500 : 옷장
510, 530, 540, 542 : 문부재
514, 534 : 걸림부 550 : 힌지부재
570 : 지지부재 600 : 인체보호수단
610 : 제1슬라이딩부재 612, 616, 622, 626 : 측면부
614, 624 : 선단부 617, 627 : 걸림돌출부
618, 628 : 탄성부재 620 : 제2슬라이딩부재
본 발명의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첨부도면을 통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에 대한 개략도로서, 벽체(100)는 건물의 벽이며, 상기 벽체(100)에 결착되어 있는 문지지부재(200)와, 상기 문지지부재(200)에 힌지부재(310)에 의해 결착되어 회전되는 문부재(300)와, 상기 문지지부재(200) 및 문부재(300)에 결착되어 손가락 등이 끼이지 않도록 하는 인체보호수단(40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상기 문지지부재(200) 및 문부재(300)의 사이에 형성되어 손가락 등을 보호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인체보호수단(400)의 동작에 대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4는 상기 힌지부재(310), 312 및 314 부분을 생략하고 상기 문지지부재(200)와 문부재(300)와 인체보호수단(400)이 동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상기 문지지부재(2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가정의 방문 등에 사용되는 형태중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에 기술한 상기 문지지부재(200)의 형태와 상이한 형태로 벽체(100)와 결착되어 있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며, 상기 문지지부재(200)는 상기 벽체(100)와 결착되어 있는 상측부(210)와, 상기 상측부(210)의 하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하측돌출부(216)와, 상기 힌지부재(310)를 중심으로 일측면에 형성되어 복수개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착되는 문접촉측면부(214)와, 상기 문부재(300)가 상기 힌지부재(310)를 중심으로 회전시 상기 인체보호수단(400)의 제1보호부재(410) 및 제2보호부재(420)가 가이드되도록 상기 하측돌출부(216)의 부분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가이드구멍(220) 및 제2가이드구멍(2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문지지부재(200)는 통상적인 경우에는 문접촉측면부(214)에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따라서 상기 하측돌출부(216)와 같이 좌측면 및 하측면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보호부재(410) 및 제2보호부재(420)가 회전시 가이드하도록 좌측면 및 하측면을 돌출되도록 형성한 것이며, 상기 제1가이드구멍(220) 및 제2가이드구멍(230)의 원형을 형성하기 어려운점을 감안하여 상기 문지지부재(200)의 하단부 즉, 2열의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에 대해서 금형 등으로 일체로 형성하여 구비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문지지부재(200)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에 기술한 문지지부재(200)와의 차이점은 상기 하측돌출부(216)에 형성된 제1가이드구멍(220) 및 제2가이드구멍(230)의 원형형상을 제작하기 어려운 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상기 문접촉측면부(214)에 대해서 수직으로 제1가이드구멍(240) 및 제2가이드구멍(250)을 형성하여 상기 제1보호부재(410) 및 제2보호부재(420)가 가이드되도록 하였다는 점이며, 이때 상기 제1보호부재(410) 및 제2보호부재(420)는 플렉시블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제1보호부재(410) 및 제2보호부재(420)가 상기 제1가이드구멍(240) 및 제2가이드구멍(250)의 내부에 가이드되다가 상기 제1가이드구멍(240) 및 제2가이드구멍(250)에서 이탈되었을 때 일정변위로 변위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문부재(30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문의 구조를 간단하게 도시한 것으로서, 힌지부재(310)는 손잡이이며, 상기 제1보호부재(41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체결수단(416)에 의해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결착홈(320)과, 상기 제2보호부재(42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체결수단(426)에 의해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2결착홈(322)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재(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각종 방문 등에 사용되는 결착수단이며, 상기 힌지부재(310)의 일측면은 상기 문접촉측면부(214)의 일측면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복수개의 나사못 등에 의한 체결수단으로 관통구멍(318)에 체결되고, 상기 힌지부재(310)의 타측면은 상기 문부재(300)의 내측면에 복수개의 나사못 등에 의해 체결되므로서 상기 문부재(300)가 상기 문지지부재(200)에 결착되어 자유롭게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인체보호수단(40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구멍(220)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도록 원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보호부재(410)와, 상기 제2가이드구멍(230)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도록 원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보호부재(420)와, 상기 제1보호부재(410)의 일단부가 상기 문부재(300)에 고정되도록 나사못 또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체결되어 있는 체결수단(416)과, 상기 제2보호부재(420)의 일단부가 상기 문부재(300)에 고정되도록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체결되어 있는 체결수단(426)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수단(416) 및 체결수단(426)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나사못 또는 본드 또는 볼트 등을 이용하거나 또는 오목 및 볼록구조를 형성하여 결착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인체보호수단(400)은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문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일체로 원형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사용상태에 따라서는 몇 개의 부분으로 구분하여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며, 또한 상기 제1보호부재(410) 및 제2보호부재(420)의 재질은 도 2에 도시된 경우에는 원형형상으로 형성하여 플렉시블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1가이드구멍(220) 및 제2가이드구멍(230)에 가이드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에는 직선형태의 제1가이드구멍(240) 및 제2가이드구멍(250)에 가이드되도록 고무재질 또는 플라스틱재질 등과 같은 플렉시블한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은 상기 문지지부재(200)에 별도의 가이드부분인 제1가이드구멍(220) 및 제2가이드구멍(230) 등을 형성하지 않도록 한 것이며, 상기 벽체(100)에 결착되어 있는 문지지부재(200)와, 상기 힌지부재(31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312에 결착되어 있는 문부재(300)와, 상기 문지지부재(200) 및 문부재(300)의 사이에 형성되어 손가락 등을 보호하도록 플렉시블하게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인체보호수단(4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문지지부재(200)는 상기 인체보호수단(400)의 일단부가 결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측부(260)와, 상기 제1보호부재(440)의 일단부가 고정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가이드구멍(242)과, 상기 제2보호부재(450)의 일단부가 고정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가이드구멍(244)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문부재(300)에는 상기 제1보호부재(440)의 타단부가 고정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가이드구멍(364)과, 상기 제2보호부재(450)의 일단부가 고정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가이드구멍(362)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인체보호수단(400)은 플레시블하게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서 양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제1보호부재(440)와, 상기 제1보호부재(440)의 내측에 플렉시블하게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양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제2보호부재(4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보호부재(440) 및 제2보호부재(450)는 상기 문부재(300)가 회전하여 문이 닫히게 된 경우에는 상기 제1가이드구멍(242,364),제2가이드구멍(244,362)의 홈에 삽입되어 접혀있듯이 형성되어 외부에서 볼때는 상기 제1보호부재(440) 및 제2보호부재(450)가 전혀 노출되지 않고 있다가, 상기 문부재(300)가 회전하여 문이 열리게 되면 손가락 등이 상기 문지지부재(200) 및 문부재(300)의 틈으로 끼이지 않도록 펼쳐지는 것이며, 상기 체결수단(430) 및 체결수단(432)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본드, 나사못, 또는 이와 유사한 결착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1보호부재(440) 및 제2보호부재(450)의 재질은 플렉시블하게 절곡되더라도 절단되지 않으면서 외부에서 손가락이나 물건이 간단하게 끼이지 않을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재질이면 되는데, 이러한 재질은 통상적으로 플라스틱을 이용한 재질을 이용하거나 또는 고무재품을 이용한 재질 또는 두꺼운 비닐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는 방문을 예로 들어 기술하였으나, 도 7의 실시예는 옷장 등을 포함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개폐되는 문부재(510), 문부재(530), 문부재(540) 및 문부재(542)와, 상기 문부재(510) 등이 회전가능하도록 힌지작용을 하는 힌지부재(550)와, 상기 문부재(510)가 회전하여 열렸을 경우 상기 옷장(500)의 내부에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재(570)와, 상기 문부재(510)의 일측면의 사이에 손가락 등이 끼이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인체보호수단(60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8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문부재(510) 및 문부재(530)가 동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이때 상기 지지부재(570)에 결착되어 있는 복수개의 힌지부재(550)에 의해서 상기 문부재(510) 및 문부재(530)가 회전하게 되므로서 열렸다 닫혔다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문부재(510)의 일측면에 오목하게 홈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512)과, 상기 문부재(530)의 일측면에 오목하게 홈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532)과, 가이드홈(512)의 외측으로 가이드홈이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514)와, 상기 가이드홈(532)의 외측으로 가이드홈이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53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인체보호수단(600)은 상기 가이드홈(512)의 내부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돌출과 수축이 반복되는 제1슬라이딩부재(610)와, 상기 가이드홈(532)의 내부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돌출과 수축이 반복되는 제2슬라이딩부재(620)와, 상기 가이드홈(512)의 내측 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610)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61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탄성부재(618)와, 상기 가이드홈(532)의 내측 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620)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62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탄성부재(62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610)는 상기 가이드홈(512)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514)에 가이드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61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일측 또는 양측면에 대칭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걸림돌출부(617)와,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610)의 선단 외측면에 굴곡이 형성되어 있는 측면부(612)와,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610)의 선단부인 선단부(614)와, 상기 측면부(612)의 타측면에 굴곡이 형성되어 있는 측면부(61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620)는 상기 가이드홈(512)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534)에 가이드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62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일측 또는 양측면에 대칭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걸림돌출부(627)와,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620)의 선단 외측면에 굴곡이 형성되어 있는 측면부(622)와,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620)의 선단부인 선단부(624)와, 상기 측면부(622)의 타측면에 굴곡이 형성되어 있는 측면부(62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9는 도 8이 회전하여 상기 문부재(510) 및 문부재(530)가 닫히게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즉 상기 문부재(510) 및 문부재(530)가 닫혀있다가 회전하여 열릴 경우, 외부에서 손가락 등이 ℓ의 공간에 삽입되더라도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610) 및 제2슬라이딩부재(620)의 선단부인 선단부(614) 및 선단부(624)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삽입되지 않게 되어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 기술한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610) 및 제2슬라이딩부재(620)의 외측면에 형성된 굴곡부인 측면부(612),측면부(616),측면부(622) 및 측면부(626)는 서로 같은 곡률반경 또는 서로 다른 곡률반경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610) 및 제2슬라이딩부재(620)의 구성을 옷장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필요한 경우에는 몇 개의 부분으로 절개하여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며, 그리고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610) 및 제2슬라이딩부재(620)의 돌출길이인 h도 동일 또는 상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에 대한 동작설명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도 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부재(300)를 열게되면, 상기 문부재(300)에 결착되어 있는 힌지부재(310)를 중심으로 상기 문부재(300)가 회전하게 되므로서 열리게 된다.
이때 상기 문부재(3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열리게 되면, 상기 문부재(300)의 제1결착홈(320) 및 제2결착홈(322)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수단(416) 및 체결수단(426)에 의해 상기 제1보호부재(410) 및 제2보호부재(420)가 상기 문부재(300)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문부재(300)가 시계방향으로 상기 힌지부재(31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보호부재(410) 및 제2보호부재(420)는 상기 하측돌출부(216)에 형성되어 있는 제1가이드구멍(220) 및 제2가이드구멍(230)에 가이드되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서 외부에서 손가락이나 기타 물건을 가지고 상기 문부재(300)와 문지지부재(20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할 수 없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문부재(300)를 닫을 경우에는 상기에 기술한 내용과 반대로 동작하게 되며, 상기 문부재(3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어서 상기 문부재(300)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제1보호부재(410) 및 제2보호부재(420)도 상기 문부재(300)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다가 상기 하측돌출부(216)에 형성되어 있는 제1가이드구멍(220) 및 제2가이드구멍(230)에 가이드되면서 그 내부로 삽입되므로서 문이 자연스럽게 닫히게 된다.
도 6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도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와 같이 제1보호부재(410) 및 제2보호부재(420)가 상기 제1가이드구멍(240) 및 제2가이드구멍(250)에 가이드되면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서 손가락 등이 틈새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문부재(510)를 잡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문부재(510)가 도 7에 도시된 복수개의 힌지부재(550)에 힌지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문부재(51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문부재(510)의 선단부에 형성된 문부재(510)에 삽입되어 있는 제1슬라이딩부재(610)의 하단부가 상기 탄성부재(618)의 탄성력에 의해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이때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610)의 외측면에 형성된 측면부(612) 및 측면부(616)에 의해서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610)가 외측으로 상기 지지부재(570)의 선단부와 접촉되면서 돌출되다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열린 상태에서는 최대한으로 돌출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610)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돌출부(617)가 상기 걸림부(514)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되므로서, 만약에 사용자 P방향에서 손가락 등을 삽입하더라도 손가락 등이 삽입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문부재(530)에서는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620)의 선단부인 선단부(624)가 상기 가이드홈(532)에 형성된 탄성부재(628)의 탄성력의 작용에 의해서 외측으로 일정거리 돌출하게 되다가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620)에 형성된 걸림돌출부(627)가 걸림부(534)에 가이드되어 더 이상 돌출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문부재(530)도 문부재(510)와 같이 동시에 열게 되면, 상기에 기술한 상기 문부재(510)의 경우와 같이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620)도 상기 탄성부재(628)의 탄성력의 작용으로 최대한으로 외측으로 돌출하게 되므로서 상기 문부재(510)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등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문부재(510) 및 문부재(530)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닫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므로서, 어린아이가 손가락 등을 상기 틈새인 ℓ에 삽입하더라도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610) 및 제2슬라이딩부재(620)의 선단부인 선단부(614) 및 선단부(624)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그 내부로 손가락 등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ℓ의 공간 사이에 손가락이 끼인 것을 모르고 문을 열게 되므로서 발생하는 불의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는, 방문이나 옷장문 등에 손가락이 끼이지 않도록 방지하므로서 갑작스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발명이다.

Claims (8)

  1. 벽체(100)에 결착되어 있는 문지지부재(200)와, 상기 문지지부재(200)에 힌지부재(310)에 의해 결착되어 회전되는 문부재(300)와, 상기 문지지부재(200) 및 문부재(300)에 결착되어 손가락 등이 끼이지 않도록 하는 인체보호수단(400)으로 구성되어 있는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지지부재(200)는 상기 벽체(100)와 결착되어 있는 상측부(210)와, 상기 상측부(210)의 하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하측돌출부(216)와, 상기 힌지부재(310)를 중심으로 일측면에 형성되어 복수개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착되는 문접촉측면부(214)와, 상기 문부재(300)가 상기 힌지부재(310)를 중심으로 회전시 상기 인체보호수단(400)의 제1보호부재(410) 및 제2보호부재(420)가 가이드되도록 상기 하측돌출부(216)의 부분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가이드구멍(220) 및 제2가이드구멍(23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문부재(300)는 제1보호부재(41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체결수단(416)에 의해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결착홈(320)과, 상기 제2보호부재(42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체결수단(426)에 의해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2결착홈(32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체보호수단(400)은 상기 제1가이드구멍(220)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도록 원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보호부재(410)와, 상기 제2가이드구멍(230)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도록 원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보호부재(420)와, 상기 제1보호부재(410)의 일단부가 상기 문부재(300)에 고정되도록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체결되어 있는 체결수단(416)과, 상기 제2보호부재(420)의 일단부가 상기 문부재(300)에 고정되도록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체결되어 있는 체결수단(426)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지지부재(200)는 상기 문접촉측면부(214)에 대해서 직선으로 제1가이드구멍(240) 및 제2가이드구멍(25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부재(410) 및 제2보호부재(420)는 플렉시블한 플라스틱 또는 고무 또는 이와 유사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
  4. 벽체(100)에 결착되어 있는 문지지부재(200)와, 상기 힌지부재(31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힌지지지부(312)에 결착되어 있는 문부재(300)와, 상기 문지지부재(200) 및 문부재(300)의 사이에 형성되어 손가락 등을 보호하도록 플렉시블하게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인체보호수단(400)으로 구성되어 있는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지지부재(200)는 상기 인체보호수단(400)의 일단부가 결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측부(260)와, 상기 제1보호부재(440)의 일단부가 고정되도록 홈이형성되어 있는 제1가이드구멍(242)과, 상기 제2보호부재(450)의 일단부가 고정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가이드구멍(24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문부재(300)는 상기 제1보호부재(440)의 타단부가 고정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가이드구멍(364)과, 상기 제2보호부재(450)의 일단부가 고정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가이드구멍(36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인체보호수단(400)은 플레시블하게 복수개의 절곡부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서 양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제1보호부재(440)와, 상기 제1보호부재(440)의 내측에 플렉시블하게 복수개의 절곡부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양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제2보호부재(45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
  5. 개폐되는 문부재(510,530)와, 상기 문부재(510,530)가 회전가능하도록 힌지작용을 하는 힌지부재(550)와, 상기 문부재(510)가 회전하여 열렸을 경우 상기 옷장(500)의 내부에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재(570)와, 상기 문부재(510)의 일측면에 손가락 등이 끼이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인체보호수단(600)으로 구성되어 있는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부재(510)에는 일측면에 오목하게 홈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512)과, 상기 문부재(530)의 일측면에 오목하게 홈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532)과, 가이드홈(512)의 외측으로 가이드홈이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514)와, 상기 가이드홈(532)의 외측으로 가이드홈이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534)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체보호수단(600)은 상기 가이드홈(512)의 내부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돌출과 수축이 반복되는 제1슬라이딩부재(610)와, 상기 가이드홈(532)의 내부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돌출과 수축이 반복되는 제2슬라이딩부재(620)와, 상기 가이드홈(512)의 내측 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610)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61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탄성부재(618)와, 상기 가이드홈(532)의 내측 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620)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62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탄성부재(628)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610)는 상기 가이드홈(512)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514)에 가이드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61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일측 또는 양측면에 대칭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걸림돌출부(617)와,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610)의 선단 외측면에 굴곡이 형성되어 있는 측면부(612)와,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610)의 선단부인 선단부(614)와, 상기 측면부(612)의 타측면에 굴곡이 형성되어 있는 측면부(616)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620)는 상기 가이드홈(512)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534)에 가이드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62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일측 또는 양측면에 대칭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걸림돌출부(627)와,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620)의 선단 외측면에 굴곡이 형성되어 있는 측면부(622)와,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620)의 선단부인 선단부(624)와, 상기 측면부(622)의 타측면에 굴곡이 형성되어 있는 측면부(62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610) 및 제2슬라이딩부재(620)의 외측면에 형성된 굴곡부인 측면부(612),측면부(616),측면부(622) 및 측면부(626)는 서로 같은 곡률반경 또는 서로 다른 곡률반경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
  8. 제 1 또는 제 2 또는 제 3 또는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보호수단(400)은 방문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복수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
KR1020010075770A 2001-12-03 2001-12-03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 KR200200016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770A KR20020001694A (ko) 2001-12-03 2001-12-03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770A KR20020001694A (ko) 2001-12-03 2001-12-03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1694A true KR20020001694A (ko) 2002-01-09

Family

ID=19716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770A KR20020001694A (ko) 2001-12-03 2001-12-03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1694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0753B2 (en) 2001-11-07 2005-04-19 Hitachi, Ltd. Distribu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KR100824370B1 (ko) * 2006-10-10 2008-04-25 노승현 문짝용 다단식 손끼임 방지기구
WO2011082133A2 (en) 2010-01-04 2011-07-07 Klauber Robert D Door finger pinch preventer
KR101435542B1 (ko) * 2005-09-30 2014-10-22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
CN104234568A (zh) * 2014-09-30 2014-12-24 卢秋华 一种防夹手门结构
KR101995237B1 (ko) * 2018-01-09 2019-07-02 유한동력 주식회사 도어용 손가락 끼임방지장치
KR102090660B1 (ko) * 2019-07-18 2020-03-18 주식회사 현대정밀 매립형 도어 틈새 차단용 차단막 어셈블리와 이를 구비한 도어 구조체
KR102141494B1 (ko) * 2019-11-19 2020-08-05 문창식 손 끼임 방지 장치 및 손 끼임 방지 문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0753B2 (en) 2001-11-07 2005-04-19 Hitachi, Ltd. Distribu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KR101435542B1 (ko) * 2005-09-30 2014-10-22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
KR100824370B1 (ko) * 2006-10-10 2008-04-25 노승현 문짝용 다단식 손끼임 방지기구
WO2011082133A2 (en) 2010-01-04 2011-07-07 Klauber Robert D Door finger pinch preventer
CN104234568A (zh) * 2014-09-30 2014-12-24 卢秋华 一种防夹手门结构
KR101995237B1 (ko) * 2018-01-09 2019-07-02 유한동력 주식회사 도어용 손가락 끼임방지장치
KR102090660B1 (ko) * 2019-07-18 2020-03-18 주식회사 현대정밀 매립형 도어 틈새 차단용 차단막 어셈블리와 이를 구비한 도어 구조체
KR102141494B1 (ko) * 2019-11-19 2020-08-05 문창식 손 끼임 방지 장치 및 손 끼임 방지 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01694A (ko) 방문 등에 사용되는 안전용 개폐장치
KR102033856B1 (ko) 손 끼임 방지 장치
JPH10306632A (ja) 蝶番式ロックキー
KR20200127475A (ko) 손끼임 방지 장치
KR20190096250A (ko) 손끼임방지용 도어힌지장치
KR20220021828A (ko) 여닫이문용 손끼임 방지장치
KR102205532B1 (ko) 손끼임 방지 장치
JP3773483B2 (ja) 安全機構付引き手
KR20090084396A (ko) 골프크럽용 헤드커버
KR101170008B1 (ko) 출입문의 급속개폐 방지용 안전장치
KR200275876Y1 (ko) 가구용 힌지
KR102416450B1 (ko)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여닫이 도어용 스토퍼
KR102168638B1 (ko) 축 이동이 가능한 여닫이 도어용 힌지축 지지장치
KR20220132331A (ko) 끼임방지도어
KR200244234Y1 (ko) 손가락끼임방지장치
CA2460464C (en) Casement window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JPH10212870A (ja) 折り畳み扉
KR200311006Y1 (ko) 대문용 잠금안전장치
KR102249340B1 (ko) 도어 손끼임 방지장치
KR102505561B1 (ko) 여닫이 도어용 손끼임 방지장치
KR200219421Y1 (ko) 강화유리도어용 측면 보호캡
KR102085310B1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도어모서리 간섭방지를 겸한 문틀 커버장치
KR200269323Y1 (ko) 가구용 힌지
KR200193657Y1 (ko) 도어갭커버
JP2000110416A (ja) 引戸用安全引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