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985A - 문 스토퍼 - Google Patents

문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4985A
KR20220144985A KR1020210051533A KR20210051533A KR20220144985A KR 20220144985 A KR20220144985 A KR 20220144985A KR 1020210051533 A KR1020210051533 A KR 1020210051533A KR 20210051533 A KR20210051533 A KR 20210051533A KR 20220144985 A KR20220144985 A KR 20220144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nit
locking
housing
sto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2415B1 (ko
Inventor
이범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엠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엠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엠유
Priority to KR1020210051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415B1/ko
Publication of KR20220144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문과 문틀의 일 측에 형성된 안쪽 문틈에서의 손 끼임 사고를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문 스토퍼가 개시된다. 이러한 문 스토퍼는 문틀의 일 측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문을 스토핑(stopping)할 수 있는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부착 유닛에 의해 상기 문틀에 부착되는 하우징 유닛과, 상기 하우징 유닛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탄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문이 상기 문틀로부터 열릴 때 상기 문 및 상기 문틀의 일 측 사이에 형성된 문틈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문을 스토핑할 수 있는 스토핑 유닛과, 상기 문이 상기 문틀에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문틀로부터 열려 있는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스토핑 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문틈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스토핑 유닛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문틀에 부착된 상기 문 스토퍼가 상기 문이 열려 상기 문틈이 형성될 때, 상기 스토핑 유닛이 상기 문틈에 자동으로 삽입되어 상기 문틈에서의 손끼임 사고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문 스토퍼{DOOR STOPPER}
본 발명은 문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닫이문의 안쪽 문틈에서 발생되는 손가락 끼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문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에는 각종 출입문, 예를 들어 방문, 현관문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출입문은 개폐가 쉽고 안팎에서 잠금 장치를 편리하게 작동할 수 있는 여닫이문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 설치되는 여닫이문은 벽면에 개방 공간에 설치되는 사각형태의 문틀과, 상기 문틀의 일 측에 경첩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문이 상기 경첩에 의해 회전 이동되어 상기 문틀로부터 열리게 되면, 상기 문과 상기 문틀의 일 측 사이에는 안쪽 문틈이 형성될 수 있다.
대부분의 어린 아이들은 가정에서 방과 방 사이 또는 방과 거실 사이를 오가면서 놀이를 즐기고 있다. 여기서, 상기 문과 상기 문틀의 일 측 사이에는 안쪽 문틈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일부 호기심이 많은 어린 아이들은 상기 안쪽 문틈에 손을 집어넣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문은 외부 바람과 같은 외력에 의해 갑자기 닫힐 경우, 어린 아이들에게서 심각한 손끼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심각한 손끼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2015284호에서 '도어가 열리면서 도어와 문틀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절첩 가능한 가림판체로 차단할 수 있게 함으로써 문틀과 도어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출입문의 손 끼임 방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손 끼임 방지장치는 문과 문틀의 일 측에 각각 세로 방향으로 길게 부착시켜야 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 설치가 매우 까다로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문과 문틀의 일 측에 형성된 안쪽 문틈에서의 손 끼임 사고를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문 스토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문 스토퍼는 문틀의 일 측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문을 스토핑(stopping)할 수 있는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부착 유닛에 의해 상기 문틀에 부착되는 하우징 유닛과, 상기 하우징 유닛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탄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문이 상기 문틀로부터 열릴 때 상기 문 및 상기 문틀의 일 측 사이에 형성된 문틈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문을 스토핑할 수 있는 스토핑 유닛과, 상기 문이 상기 문틀에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문틀로부터 열려 있는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스토핑 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문틈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스토핑 유닛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핑 유닛은, 상기 하우징 유닛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된 베이스 몸체와, 상기 베이스 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문틈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문을 스토핑할 수 있는 스토핑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핑 몸체는 스토핑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 몸체 및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몸체부, 및 상기 문틈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와 연결된 삽입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 몸체부는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토핑 몸체는 상기 문틀의 일 측과 마주하는 상기 문의 단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스토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 중 상기 문의 단부와 마주하는 접촉면은, 상기 문이 상기 문틀에 닫히려고 할 때 상기 문의 단부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도록, 라운드(round)지거나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 중 상기 문의 단부와 마주하는 접촉면에는, 상기 문의 단부와의 접촉시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복수의 마찰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유닛은 상기 스토핑 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 유닛에는, 상기 탄성력 유닛에서 생성된 탄성력을 이기는 외력에 의해 상기 스토핑 유닛이 상기 하우징 유닛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스토퍼부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스토퍼부 노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몸체부는, 상기 문이 상기 문틀에 닫히려고 할 때 상기 문에서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로 가해지는 힘이 상기 연결 몸체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 몸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 또는 감소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 몸체부는 적어도 한 번이 굴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유닛은 상기 베이스 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문 스토퍼는, 상기 베이스 몸체에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유닛에 걸려 있는 걸림 상태와 상기 걸림 상태에서 해제된 걸림 해제 상태로 동작될 수 있는 걸림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 유닛이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탄성력 유닛에서 생성되는 탄성력이 상기 스토핑 유닛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어, 상기 문이 상기 문틀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틈이 형성되더라고 상기 스토핑 유닛이 상기 문틈에 삽입되도록 이동하지 않고 현 위치를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걸림 유닛이 상기 걸림 해제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탄성력 유닛에서 생성되는 탄성력이 상기 스토핑 유닛으로 전달되는 것이 허용되어, 상기 문이 상기 문틀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틈이 형성되려 할 때 상기 스토핑 유닛이 상기 문틈에 삽입되도록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유닛에는, 일 방향으로 형성된 메인 걸림홀 및 상기 일 방향과 교차되도록 상기 메인 걸림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이동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걸림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 유닛은 걸림 몸체, 걸림 탄성부 및 걸림 해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 몸체는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 걸림홀에 걸려 있을 수 있는 걸림면과, 상기 베이스 몸체가 외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걸림 해제 상태에서 상기 걸림 상태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경사지게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슬라이딩(sliding)면을 갖는다. 상기 걸림 탄성부는 상기 걸림 몸체 및 상기 하우징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 몸체를 상기 하우징 유닛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걸림 해제 돌기는 상기 걸림 몸체로부터 상기 하우징 유닛을 관통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가 상기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서 이동할 때 상기 이동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걸림 몸체가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때 외력에 의해 눌려질 경우 상기 걸림 몸체를 상기 걸림 상태에서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걸림 탄성부는 상기 하우징 유닛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U-자 또는 V-자의 형상을 갖도록 상기 걸림 몸체와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걸림홀은 상기 이동 가이드홀의 단부에 상기 이동 가이드홀의 길이 방향에 교차되도록 형성된 서브 걸림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몸체에는, 상기 걸림 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걸림 유닛을 고정시킬 수 있는 걸림유닛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 유닛은 하우징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몸체는 상기 하우징 회전축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회전축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핑 유닛은 상기 하우징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탄성력 유닛은 상기 스토핑 유닛이 상기 하우징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 이동되도록 상기 스토핑 유닛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torsion)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션 스프링은 탄성력을 생성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 회전축을 관통시켜 상기 하우징 회전축과 결합된 토션 스프링 몸체, 상기 토션 스프링 몸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와 결합된 제1 토션 스프링 다리, 및 상기 토션 스프링 몸체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 유닛과 결합된 제2 토션 스프링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몸체는 상기 제1 토션 스프링 다리와 결합되어 상기 제1 토션 스프링 다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1 스프링 다리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 유닛은 상기 제2 토션 스프링 다리와 결합되어 상기 제2 토션 스프링 다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2 스프링 다리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유닛은 상기 베이스 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스토핑 유닛이 상기 하우징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측면이 오픈(open)되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문 스토퍼는 상기 베이스 몸체에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유닛에 걸려 있는 걸림 상태와 상기 걸림 상태에서 해제된 걸림 해제 상태로 동작될 수 있는 걸림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 유닛이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토션 스프링에서 생성되는 탄성력이 상기 스토핑 유닛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어, 상기 문이 상기 문틀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틈이 형성되더라고 상기 스토핑 유닛이 상기 문틈에 삽입되도록 회전 이동하지 않고 현 위치를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걸림 유닛이 상기 걸림 해제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토션 스프링에서 생성되는 탄성력이 상기 스토핑 유닛으로 전달되는 것이 허용되어, 상기 문이 상기 문틀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틈이 형성되려 할 때 상기 스토핑 유닛이 상기 문틈에 삽입되도록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유닛에는, 일 방향으로 형성된 메인 걸림홀 및 상기 일 방향과 교차되도록 상기 메인 걸림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 호 형태로 형성된 이동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걸림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 유닛은 걸림 몸체, 걸림 탄성부 및 걸림 해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 몸체는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 걸림홀에 걸려 있을 수 있는 걸림면과, 상기 베이스 몸체가 외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서 회전 이동하여 상기 걸림 해제 상태에서 상기 걸림 상태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경사지게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슬라이딩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걸림 탄성부는 상기 걸림 몸체 및 상기 하우징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 몸체를 상기 하우징 유닛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걸림 해제 돌기는 상기 걸림 몸체로부터 상기 하우징 유닛을 관통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가 상기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서 회전 이동할 때 상기 이동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걸림 몸체가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때 외력에 의해 눌려질 경우 상기 걸림 몸체를 상기 걸림 상태에서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스토핑 몸체는 스토핑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 몸체 및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몸체부, 및 상기 문틈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와 연결된 삽입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 몸체부는 상기 스토핑 유닛이 상기 하우징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할 때 상기 문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문과 접촉하는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핑 몸체는 상기 문틀의 일 측과 마주하는 상기 문의 단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스토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스토핑 유닛이 상기 하우징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할 때 상기 문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문과 접촉하는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력 유닛은 상기 스토핑 몸체가 상기 베이스 몸체와 연결된 방향(이하, '길이 방향'이라 함)을 따라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탄성력 유닛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일단이 상기 베이스 몸체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 유닛과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인장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몸체에는, 상기 인장 스프링을 수용하는 인장 스프링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몸체는 상기 인장 스프링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인장 스프링의 일단을 고정시킬 수 있는 인장 스프링 일단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 유닛은 상기 인장 스프링의 타단과 결합되어 상기 인장 스프링의 타단을 고정시킬 수 있는 인장 스프링 타단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력 유닛은 상기 하우징 유닛 및 상기 베이스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유닛은 상기 베이스 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스토핑 유닛이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측면이 오픈(open)되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문 스토퍼는 상기 베이스 몸체에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유닛에 걸려 있는 걸림 상태와 상기 걸림 상태에서 해제된 걸림 해제 상태로 동작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 유닛이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탄성력 유닛에서 생성되는 탄성력이 상기 스토핑 유닛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어, 상기 문이 상기 문틀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틈이 형성되더라고 상기 스토핑 유닛이 상기 문틈에 삽입되도록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지 않고 현 위치를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걸림 유닛이 상기 걸림 해제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탄성력 유닛에서 생성되는 탄성력이 상기 스토핑 유닛으로 전달되는 것이 허용되어, 상기 문이 상기 문틀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틈이 형성되려 할 때 상기 스토핑 유닛이 상기 문틈에 삽입되도록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유닛에는, 일 방향으로 형성된 메인 걸림홀 및 상기 메인 걸림홀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이동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걸림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 유닛은 걸림 몸체, 걸림 탄성부 및 걸림 해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 걸림홀에 걸려 있을 수 있는 걸림면과, 상기 베이스 몸체가 외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걸림 해제 상태에서 상기 걸림 상태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경사지게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슬라이딩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걸림 탄성부는 상기 걸림 몸체 및 상기 하우징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 몸체를 상기 하우징 유닛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걸림 해제 돌기는 상기 걸림 몸체로부터 상기 하우징 유닛을 관통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가 상기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서 이동할 때 상기 이동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걸림 몸체가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때 외력에 의해 눌려질 경우 상기 걸림 몸체를 상기 걸림 상태에서 해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문 스토퍼에 따르면, 문이 문틀로부터 열려져 문틈이 형성되려 할 때, 스토핑 유닛이 탄성력 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문틈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문틈에서의 손끼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스토퍼를 끼워넣는 행위 없이도 상기 손끼임 사고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 스토퍼를 상기 문틀에 부착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 설치가 매우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 스토퍼가 문틀에 부착되어 오픈 모드로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문 스토퍼가 안전 모드로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문 스토퍼를 분해해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문 스토퍼가 동작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의 문 스토퍼가 안전 모드로 동작되고 있는 상태에서 문이 닫히려고 할 때 스토핑 유닛에 의해 스토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문 스토퍼 중 스토핑 유닛 및 탄성력 유닛을 다른 각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 스토퍼가 동작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7의 문 스토퍼를 분해해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문 스토퍼 중 스토핑 유닛을 다른 각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 스토퍼가 문틀에 부착되어 오픈 모드로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문 스토퍼가 안전 모드로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문 스토퍼를 분해해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문 스토퍼가 동작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5는 도 1의 문 스토퍼가 안전 모드로 동작되고 있는 상태에서 문이 닫히려고 할 때 스토핑 유닛에 의해 스토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할 때, 본 실시예에 의한 문 스토퍼는 문틀(10)의 일 측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문(20)을 스토핑(stopping)할 수 있는 스토퍼 장치이다. 예를 들어, 상기 문 스토퍼는 여닫이문, 예를 들어 방문, 현관문이 장착된 문틀에 장착되어 상기 여닫이문이 열린 후 다시 닫히려고 할 때 닫히지 않도록 스토핑할 수 있다.
상기 문 스토퍼는 하우징 유닛(100), 스토핑 유닛(200) 및 탄성력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유닛(100)은 부착 유닛에 의해 상기 문틀(1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착 유닛은 접착테이프이거나 나사못일 수 있다. 상기 부착 유닛이 상기 나사못일 경우, 상기 하우징 유닛(100)은 상기 나사못을 통해 상기 문틀(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나사못 결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토핑 유닛(200)은 상기 하우징 유닛(100)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탄성을 갖는 물질, 예를 들어 TPU, TPE와 같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토핑 유닛(200)은 상기 문(20)이 상기 문틀(10)로부터 열릴 때 상기 문(20) 및 상기 문틀(10)의 일 측 사이에 형성된 문틈(30)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문(20)을 스토핑할 수 있다.
상기 탄성력 유닛(300)은 상기 문(20)이 상기 문틀(10)에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문틀(10)로부터 열려 있는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스토핑 유닛(20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문틈(30)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스토핑 유닛(20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토핑 유닛(200)은 상기 하우징 유닛(100)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된 베이스 몸체(210)와, 상기 베이스 몸체(210)와 연결되고 상기 문틈(30)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문(20)을 스토핑할 수 있는 스토핑 몸체(S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핑 몸체(SB)가 상기 베이스 몸체(210)와 연결된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고 하고,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교차하여 상기 스토핑 유닛(200)의 평면을 형성하는 방향을 '폭 방향'이라고 하면, 상기 길이 방향과 상기 폭 방향에 수직하게 교차하는 방향을 '두께 방향'이라고 정의하겠다.
상기 스토핑 몸체(SB)는 상기 베이스 몸체(210)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스토핑 베이스부(220), 상기 베이스 몸체(210) 및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22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몸체부(230), 및 상기 문틈(30)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220)와 연결된 삽입 몸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 몸체부(240)는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220)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220)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두께 방향으로의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 즉 쐐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문(20)이 상기 문틀(10)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틈(30)이 형성되려 할 때, 상기 삽입 몸체부(240)가 상기 문틀(10)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스토핑 몸체(SB)는 상기 문틀(10)의 일 측과 마주하는 상기 문(20)의 단부(22)와 마주하도록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22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스토퍼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토퍼부(250)는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220)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문(20)이 상기 문틀(10)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틈(30)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 몸체부(240)가 상기 문틈(30)에 삽입된 이후, 상기 문(20)이 외력에 의해 다시 닫히려고 할 때, 상기 스토퍼 몸체(250)는 상기 문(20)의 단부(22)와 접촉하게 되어 상기 문(20)이 닫히지 않도록 강하게 저항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250) 중 상기 문(20)의 단부(22)와 마주하는 접촉면(252)은, 상기 문(20)이 상기 문틀(10)에 닫히려고 할 때 상기 문(20)의 단부(22)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도록, 라운드(round)지거나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250) 중 상기 문(20)의 단부(22)와 마주하는 접촉면(252)에는, 상기 문(20)의 단부(22)와의 접촉시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복수의 마찰 돌기들(254)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찰 돌기들(254)은 상기 접촉면(252) 상에 상기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돌기들이 상기 폭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유닛(100)은 상기 스토핑 유닛(2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 유닛(100)은 상기 스토핑 유닛(2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 유닛(100)에는, 상기 탄성력 유닛(300)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상기 탄성력 유닛(300)에서 생성된 탄성력을 이기는 외력에 의해 상기 스토핑 유닛(200)이 상기 하우징 유닛(100)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스토퍼부(250)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스토퍼부 노출홀(10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스토퍼부 노출홀(102)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 유닛(100)이 상기 스토퍼부(250)까지 감쌀 수 있는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갖고 있거나, 상기 하우징 유닛(100) 중 상기 스토퍼부(250)가 삽입되는 부분만이 상기 스토퍼 몸체(25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연결 몸체부(230)는, 상기 문(20)이 상기 문틀(10)에 닫히려고 할 때 상기 문(20)에서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220)로 가해지는 힘이 상기 연결 몸체부(230)를 통해 상기 베이스 몸체(21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 또는 감소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문(20)에서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220)로 가해지는 힘은, 상기 문(20)이 상기 문틀(10)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틈(30)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 몸체부(240)가 상기 문틈(30)에 삽입된 이후, 상기 문(20)이 외력에 의해 다시 닫히려고 할 때, 상기 문(20)의 단부(22)와 접촉되는 상기 스토퍼 몸체(250)를 통해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220)로 전달되는 힘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몸체부(230)는 상기 문(20)에서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220)로 가해지는 힘이 상기 연결 몸체부(230)를 통해 상기 베이스 몸체(21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적어도 한 번이 굴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 몸체부(230)는 두 번 굴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몸체부(230)가 적어도 한 번이 굴곡된 형상을 갖는다는 것은 상기 연결 몸체부(230)가 상기 폭 방향 및 상기 두께 방향에 의해 형성됨 평면 상에서 적어도 한번 굴곡되어(방향이 바뀌어) 상기 베이스 몸체(210) 및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220) 사이를 연결한다는 것을 의미할 있다.
또한, 상기 문(20)에서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220)로 가해지는 힘이 상기 연결 몸체부(230)를 통해 상기 베이스 몸체(21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 또는 감소시킨다는 것은, 상기 연결 몸체부(230)가 상기 문(20)에서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220)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220)가 상기 문틀(10) 측으로 밀리거나 상기 베이스 몸체(210) 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허용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문틀(10)의 일 측에는 상기 문(20)의 단부(22)를 수용할 수 있는 단턱부(1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문(20)이 닫히려고 할 때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220)는 상기 단턱부(12) 내에서 뒤로 또는 옆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 몸체부(230)가 상기 문(20)에서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220)로 가해지는 힘을 상기 베이스 몸체(210)로 전달시키지 않거나 감소시킴에 따라, 상기 베이스 몸체(210)가 안정적으로 상기 하우징 유닛(100) 내에서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베이스 몸체(210)로 전달된 힘에 의해 상기 하우징 유닛(1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유닛(100)이 상기 베이스 몸체(2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된다고 할 때, 상기 문 스토퍼는, 상기 베이스 몸체(210)에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유닛(100)에 걸려 있는 걸림 상태와 상기 걸림 상태에서 해제된 걸림 해제 상태로 동작될 수 있는 걸림 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 유닛(400)이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탄성력 유닛(300)에서 생성되는 탄성력이 상기 스토핑 유닛(200)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어, 상기 문(20)이 상기 문틀(10)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틈(30)이 형성되더라고 상기 스토핑 유닛(200)이 상기 문틈(30)에 삽입되도록 이동하지 않고 현 위치를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
반면, 상기 걸림 유닛(400)이 상기 걸림 해제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탄성력 유닛(300)에서 생성되는 탄성력이 상기 스토핑 유닛(200)으로 전달되는 것이 허용되어, 상기 문(20)이 상기 문틀(10)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틈(30)이 형성되려 할 때 상기 스토핑 유닛(200)이 상기 문틈(30)에 삽입되도록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 유닛(100)에는, 일 방향으로 형성된 메인 걸림홀(104a) 및 상기 일 방향과 교차되도록 상기 메인 걸림홀(104a)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이동 가이드홀(104b)을 포함하는 하우징 걸림홀(104)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 유닛(400)은 걸림 몸체(410), 걸림 탄성부(420) 및 걸림 해제 돌기(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 몸체(410)는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 걸림홀(104a)에 걸려 있을 수 있는 걸림면(412)과, 상기 베이스 몸체(210)가 외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 유닛(100)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걸림 해제 상태에서 상기 걸림 상태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경사지게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슬라이딩(sliding)면(414)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걸림 탄성부(420)는 상기 걸림 몸체(410) 및 상기 하우징 유닛(1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 몸체(410)를 상기 하우징 유닛(100)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걸림 탄성부(420)는 상기 하우징 유닛(100)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U-자 또는 V-자의 형상을 갖도록 상기 걸림 몸체(410)와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걸림 탄성부(420)는 상기 걸림 몸체(410) 및 상기 하우징 유닛(100)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압축 스프링일 수도 있다.
상기 걸림 해제 돌기(430)는 상기 걸림 몸체(410)로부터 상기 하우징 유닛(100)을 관통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210)가 상기 하우징 유닛(100)의 내부에서 이동할 때 상기 이동 가이드홀(104b)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걸림 몸체(410)가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걸림 탄성부(420)를 압축시킬 수 있는 외력에 의해 눌려질 경우 상기 걸림 몸체(410)를 상기 걸림 상태에서 해제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 걸림홀(104)은 상기 이동 가이드홀(104b)의 단부에 상기 이동 가이드홀(104b)의 길이 방향에 교차되도록 형성된 서브 걸림홀(104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몸체(210)에는, 상기 걸림 유닛(4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걸림 유닛(400)을 고정시킬 수 있는 걸림유닛 수용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문 스토퍼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걸림유닛 수용홈(212)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몸체(210)에 고정된 상기 걸림 몸체(410)가 상기 메인 걸림홀(104a)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상기 걸림 탄성부(420)가 상기 걸림 몸체(410)를 상기 하우징 유닛(100) 측으로 밀어 올려 상기 걸림면(412)이 상기 메인 걸림홀(104a)에 걸려 있을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걸림 몸체(410)가 상기 걸림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걸림 몸체(410)가 상기 걸림 상태로 존재할 경우, 상기 탄성력 유닛(300)의 탄성력이 상기 스토핑 유닛(200)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어, 상기 문(20)이 상기 문틀(10)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틈(30)이 형성되더라고 상기 스토핑 유닛(200)이 상기 문틈(30)에 삽입되도록 이동하지 않고 현 위치를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를 '오픈 모드'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문 스토퍼가 오픈 모드로 동작되고 있을 때, 상기 하우징 유닛(100)을 관통하도록 돌출된 상기 걸림 해제 돌기(430)가 외력에 의해 눌려질 경우, 상기 걸림 몸체(410)도 상기 걸림 해제 돌기(430)와 함께 눌려져, 상기 걸림 탄성부(420)가 압축되면서 상기 걸림면(412)이 상기 메인 걸림홀(104a)에 걸려있는 상태에서 해제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걸림 몸체(410)는 상기 걸림 상태에서 상기 걸림 해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걸림 몸체(410)가 상기 걸림 해제 상태로 존재할 경우, 상기 탄성력 유닛(300)의 탄성력이 상기 스토핑 유닛(200)으로 전달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문(20)이 상기 문틀(10)에 닫혀있을 경우, 상기 스토핑 유닛(200)이 상기 문(20)에 접촉하여 가압하고 있는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문(20)이 상기 문틀(10)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틈(30)이 형성될 경우, 상기 스토핑 유닛(200)이 상기 문틈(30)에 삽입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문(20)이 상기 문틀(10)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틈(30)이 이미 형성되어 있을 경우, 상기 스토핑 유닛(200)은 상기 문틈(30)에 그대로 삽입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스토핑 유닛(200)이 상기 문틈(30)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안전 모드'로 정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핑 유닛(200)이 상기 문틈(30)에 삽입되도록 이동될 경우, 상기 걸림 해제 돌기(430)가 상기 이동 가이드홀(104b)을 따라 이동하여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걸림 해제 돌기(430)가 상기 이동 가이드홀(104b)을 이동하다가 상기 이동 가이드홀(104b)의 단부까지 이동할 경우, 상기 걸림 몸체(410)가 상기 서브 걸림홀(104c)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 탄성부(420)가 상기 걸림 몸체(410)를 상기 하우징 유닛(100) 측으로 밀어 올려 상기 걸림면(412)이 상기 서브 걸림홀(104c)에 걸려 있을 수 있다.
상기 걸림 몸체(410)가 상기 서브 걸림홀(104c)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탄성력 유닛(300)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탄성력 유닛(300)의 탄성력을 이기는 외력이 상기 스토핑 유닛(200)에 가해질 경우, 상기 슬라이면(414)에 의해 상기 걸림 몸체(410)가 서서히 눌려져 상기 걸림 탄성부(420)가 압축되면서 상기 스토핑 유닛(200)이 상기 하우징 유닛(10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 몸체(410)가 상기 메인 걸림홀(104a)에 위치할 때까지 상기 스토핑 유닛(200)이 상기 하우징 유닛(10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걸림 몸체(410)가 상기 걸림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즉, 상기 문 스토퍼는 안전 모드에서 오픈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문 스토퍼가 오픈 모드로 동작되고 있을 때, 상기 문(20)은 자유롭게 열고 닫힐 수 있다. 상기 문 스토퍼가 안전 모드로 동작되고 있을 때, 상기 문(20)은 상기 스토핑 유닛(200)에 의해 스토핑되어 닫히지 않도록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문(20)이 상기 문틀(10)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틈(30)이 형성되려 할 때, 상기 스토핑 유닛(200)이 상기 탄성력 유닛(300)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문틈(30)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문틈(30)에서의 손끼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스토퍼를 끼워넣는 행위 없이도 상기 손끼임 사고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하, 위에서 설명한 상기 문 스토퍼는 상기 스토핑 유닛(200)가 회전 이동하여 상기 문틈(30)에 삽입되는 것일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문 스토퍼 중 스토핑 유닛 및 탄성력 유닛을 다른 각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6을 참조할 때, 상기 하우징 유닛(100)은 하우징 회전축(HA)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몸체(210)는 상기 하우징 회전축(HA)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회전축 수용부(2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핑 유닛(200)은 상기 하우징 회전축(HA)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축 수용부(214)는 상기 베이스 몸체(210) 중 상기 하우징 회전축(HA)과 마주보는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회전축(HA)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홀 또는 홈일 수 있다.
상기 탄성력 유닛(300)은 상기 스토핑 유닛(200)이 상기 하우징 회전축(HA)을 중심으로 일 방향,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되도록 상기 스토핑 유닛(200)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torsion) 스프링(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션 스프링(310)은 토션 스프링 몸체(312), 제1 토션 스프링 다리(314) 및 제2 토션 스프링 다리(3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션 스프링 몸체(312)는 탄성력을 생성할 수 있고, 내부에 형성된 원통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 회전축(HA)을 관통시켜 상기 하우징 회전축(HA)과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 회전축(HA)은 상기 토션 스프링 몸체(312)의 원통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토션 스프링 다리(314)는 상기 토션 스프링 몸체(312)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21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토션 스프링 다리(316)는 상기 토션 스프링 몸체(312)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 유닛(100)과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몸체(210)는 상기 제1 토션 스프링 다리(314)와 결합되어 상기 제1 토션 스프링 다리(314)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1 스프링 다리 고정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스프링 다리 고정부(216)는 상기 베이스 몸체(210) 중 상기 하우징 회전축(HA)과 마주보는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토션 스프링 다리(314)를 수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홀 또는 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유닛(100)은 상기 제2 토션 스프링 다리(316)와 결합되어 상기 제2 토션 스프링 다리(316)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2 스프링 다리 고정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스프링 다리 고정부(106)는 상기 제2 토션 스프링 다리(316)와 결합되어 상기 제2 토션 스프링 다리(316)를 고정시킬 수 있는 돌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스프링 다리 고정부(106)는 상기 제2 토션 스프링 다리(316)를 수용할 수 있는 홈을 구비하여 상기 제2 토션 스프링 다리(316)를 고정시킬 수도 있지만,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제2 토션 스프링 다리(316)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스토퍼의 역할만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 유닛(100)은 상기 베이스 몸체(2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스토핑 유닛(200)이 상기 하우징 회전축(HA)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측면이 오픈(open)되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 유닛(400)이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토션 스프링(310)에서 생성되는 탄성력이 상기 스토핑 유닛(200)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어, 상기 문(20)이 상기 문틀(10)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틈(30)이 형성되더라고 상기 스토핑 유닛(200)이 상기 문틈(30)에 삽입되도록 회전 이동하지 않고 현 위치를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
반면, 상기 걸림 유닛(400)이 상기 걸림 해제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토션 스프링(310)에서 생성되는 탄성력이 상기 스토핑 유닛(200)으로 전달되는 것이 허용되어, 상기 문(20)이 상기 문틀(10)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틈(30)이 형성되려 할 때 상기 스토핑 유닛(200)이 상기 문틈(30)에 삽입되도록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몸체(210)가 상기 하우징 회전축(HA)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 걸림홀(104)도 이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이동 가이드홀(104b)는 상기 하우징 회전축(HA)을 중심으로 원 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90도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걸림홀(104a)는 상기 이동 가이드홀(104b)의 일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걸림홀(104a)는 상기 이동 가이드홀(104b)의 일측 단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걸림홀(104c)는 상기 이동 가이드홀(104b)의 타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브 걸림홀(104c)는 상기 이동 가이드홀(104b)의 타측 단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또는 상기 제2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몸체(210)가 상기 하우징 회전축(HA)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스토핑 몸체(SB)도 이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삽입 몸체부(240)는 상기 스토핑 유닛(200)이 상기 하우징 회전축(HA)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할 때 상기 문(20)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문(20)과 접촉하는 부분(242)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부(250)는 상기 스토핑 유닛(200)이 상기 하우징 회전축(HA)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할 때 상기 문(20)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문(20)과 접촉하는 부분(256)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몸체(210)에 형성된 상기 회전축 수용부(214)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 몸체(312)를 수용하기 위한 스프링 몸체 단턱부(214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몸체(210) 중 상기 하우징 회전축(HA)과 마주보는 일면에는, 상기 제2 토션 스프링 다리(316)가 배치되어 유동될 수 있는 스프링 다리 유동홈(218)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핑 유닛(200)이 상기 하우징 회전축(H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걸림 몸체(410)가 상기 메인 걸림홀(104a) 및 상기 서브 걸림홀(104c) 사이에서 위치를 변경할 때, 상기 제2 스프링 다리 고정부(106)에 고정된 상기 제2 토션 스프링 다리(316)가, 상기 스프링 다리 유동홈(218) 내에서 이동하여, 상기 제1 스프링 다리 고정부(216)에 고정된 상기 제1 토션 스프링 다리(314)와의 사이각을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 유닛(100)은 하우징 베이스부(110), 하우징 커버부(120) 및 하우징 측벽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베이스부(110)는 상기 부착 유닛에 의해 상기 문틀(1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 베이스부(110)는 직사각형 형태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 회전축(HA)는 상기 하우징 베이스부(1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 회전축(HA)의 상면에 결합을 위한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부(120)는 상기 하우징 베이스부(110)와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 베이스부(11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부(120)는 상기 하우징 베이스부(11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 커버부(120)의 하면에는 상기 하우징 회전축(HA)의 결합홀에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회전축 결합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 커버부(120)에는 상기 스토퍼부 노출홀(102) 및 상기 하우징 걸림홀(104)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측벽부(130)는 상기 하우징 유닛(100)에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하우징 베이스부(110) 및 상기 하우징 커버부(120)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 측벽부(130)는 상기 하우징 베이스부(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도면에서와 같이 L-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 측벽부(130)가 L-자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하우징 유닛(100)은 상기 하우징 베이스부(110) 중 상기 하우징 측벽부(13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가장자리 부분이 오픈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 측벽부(130)는 도면과 다르게,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 측벽부(130)는 상기 하우징 베이스부(110)에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 측벽부(130)에는 상기 하우징 커버부(120)와 결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우징 결합부(HC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 커버부(120)의 하면에는 상기 제1 하우징 결합부(HC1)와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하우징 결합부(HC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하우징 결합부(HC1)의 상면에는 결합을 위한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하우징 결합부(HC2)는 상기 제1 하우징 결합부(HC1)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 측벽부(130)는 상기 하우징 베이스부(110)가 아니라 상기 하우징 측벽부(130)에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 하우징 결합부(HC2)는 상기 하우징 커버부(120)가 아니라 상기 하우징 베이스부(110)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하우징 결합부(HC1)는 L-자 형상을 갖는 상기 하우징 측벽부(130)와 대응되게 3개의 꼭지점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하우징 결합부(HC2)도 상기 제1 하우징 결합부(HC1)와 대응되게 3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하우징 결합부(HC1) 중 하나, 예를 들어 L-자 형상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는 결합부는 상기 제2 스프링 다리 고정부(106)이거나, 상기 제2 스프링 다리 고정부(106)와 연결되어 있거나, 상기 제2 스프링 다리 고정부(106)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스토핑 유닛(200)가 회전 이동하여 상기 문틈(30)에 삽입되는 상기 문 스토퍼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걸림 몸체(410)가 상기 메인 걸림홀(104a)에 위치하고 있어, 상기 걸림 몸체(410)가 상기 걸림 상태로 존재하고 있을 경우, 상기 문 스토퍼는 오픈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핑 유닛(200)은 상기 하우징 유닛(100) 내로 삽입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걸림 해제 돌기(430)가 외력에 의해 눌려질 경우, 상기 걸림 몸체(410)는 상기 걸림 상태에서 상기 걸림 해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션 스프링(310)은 상기 스토핑 유닛(200)을 회전 이동시키려고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상기 스토핑 유닛(200)은 상기 문(20)에 접촉하여 가압하고 있는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문(20)이 상기 문틀(10)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틈(30)이 형성될 경우, 상기 스토핑 유닛(200)이 상기 문틈(30)에 삽입되도록 회전 이동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상기 걸림 몸체(410)가 상기 서브 걸림홀(104c)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고, 상기 문 스토퍼는 안전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토션 스프링(310)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토션 스프링(310)의 탄성력을 이기는 외력이 상기 스토핑 유닛(200)에 가하여 회전 이동시킬 경우, 상기 슬라이면(414)에 의해 상기 걸림 몸체(410)가 서서히 눌려져 상기 걸림 탄성부(420)가 압축되면서 상기 스토핑 유닛(200)이 상기 하우징 유닛(10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 몸체(410)가 상기 메인 걸림홀(104a)에 위치할 때까지 상기 스토핑 유닛(200)이 상기 하우징 유닛(10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걸림 몸체(410)가 상기 걸림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즉, 상기 문 스토퍼는 안전 모드에서 오픈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문(20)이 상기 문틀(10)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틈(30)이 형성되려 할 때, 상기 스토핑 유닛(200)이 상기 토션 스프링(310)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 이동하여 상기 문틈(30)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문틈(30)에서의 손끼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스토퍼를 끼워넣는 행위 없이도 상기 손끼임 사고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 스토퍼를 상기 문틀(10)에 부착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 설치가 매우 용이하다.
<실시예 2>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 스토퍼가 동작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8은 도 7의 문 스토퍼를 분해해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의 문 스토퍼 중 스토핑 유닛을 다른 각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할 때, 본 실시예에 의한 문 스토퍼는 문틀(40)의 일 측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문(50)을 스토핑할 수 있는 스토퍼 장치로써, 하우징 유닛(500), 스토핑 유닛(600) 및 탄성력 유닛(7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유닛(500)은 부착 유닛에 의해 상기 문틀(4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스토핑 유닛(600)은 상기 하우징 유닛(500)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탄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토핑 유닛(600)은 상기 문(50)이 상기 문틀(40)로부터 열릴 때 상기 문(50) 및 상기 문틀(40)의 일 측 사이에 형성된 문틈(60)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문(50)을 스토핑할 수 있다. 상기 탄성력 유닛(700)은 상기 문(50)이 상기 문틀(40)에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문틀(40)로부터 열려 있는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스토핑 유닛(60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문틈(60)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스토핑 유닛(60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토핑 유닛(600)은 상기 하우징 유닛(500)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된 베이스 몸체(610)와, 상기 베이스 몸체(610)와 연결되고 상기 문틈(60)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문(50)을 스토핑할 수 있는 스토핑 몸체(SB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핑 몸체(SB2)가 상기 베이스 몸체(610)와 연결된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고 하고,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교차하여 상기 스토핑 유닛(600)의 평면을 형성하는 방향을 '폭 방향'이라고 하면, 상기 길이 방향과 상기 폭 방향에 수직하게 교차하는 방향을 '두께 방향'이라고 정의하겠다.
상기 스토핑 몸체(SB2)는 상기 베이스 몸체(610)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스토핑 베이스부(620), 상기 베이스 몸체(610) 및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62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몸체부(630), 및 상기 문틈(60)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620)와 연결된 삽입 몸체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 몸체부(640)는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620)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620)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두께 방향으로의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 즉 쐐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토핑 몸체(SB2)는 상기 문틀(40)의 일 측과 마주하는 상기 문(50)의 단부(52)와 마주하도록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62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스토퍼부(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토퍼부(650)는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620)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650) 중 상기 문(50)의 단부(52)와 마주하는 접촉면(652)은, 상기 문(50)이 상기 문틀(40)에 닫히려고 할 때 상기 문(50)의 단부(52)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도록, 라운드지거나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부(650) 중 상기 문(50)의 단부(52)와 마주하는 접촉면(652)에는, 상기 문(50)의 단부(52)와의 접촉시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복수의 마찰 돌기들(65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유닛(500)은 상기 스토핑 유닛(6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 유닛(500)은 상기 스토핑 유닛(6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 유닛(500)에는, 상기 탄성력 유닛(700)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상기 탄성력 유닛(700)에서 생성된 탄성력을 이기는 외력에 의해 상기 스토핑 유닛(600)이 상기 하우징 유닛(500)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스토퍼부(650)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스토퍼부 노출홀(50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스토퍼부 노출홀(502)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 유닛(500)이 상기 스토퍼부(650)까지 감쌀 수 있는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갖고 있거나, 상기 하우징 유닛(500) 중 상기 스토퍼부(650)가 삽입되는 부분만이 상기 스토퍼 몸체(65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연결 몸체부(630)는, 상기 문(50)이 상기 문틀(40)에 닫히려고 할 때 상기 문(50)에서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620)로 가해지는 힘이 상기 연결 몸체부(630)를 통해 상기 베이스 몸체(61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 또는 감소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 몸체부(630)는 상기 문(50)에서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620)로 가해지는 힘이 상기 연결 몸체부(630)를 통해 상기 베이스 몸체(61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적어도 한 번이 굴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 몸체부(630)는 두 번 굴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문틀(40)의 일 측에는 상기 문(50)의 단부(52)를 수용할 수 있는 단턱부(4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문(50)이 닫히려고 할 때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620)는 상기 단턱부(42) 내에서 뒤로 또는 옆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유닛(500)이 상기 베이스 몸체(6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된다고 할 때, 상기 문 스토퍼는, 상기 베이스 몸체(610)에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유닛(500)에 걸려 있는 걸림 상태와 상기 걸림 상태에서 해제된 걸림 해제 상태로 동작될 수 있는 걸림 유닛(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 유닛(800)이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탄성력 유닛(700)에서 생성되는 탄성력이 상기 스토핑 유닛(600)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어, 상기 문(50)이 상기 문틀(40)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틈(60)이 형성되더라고 상기 스토핑 유닛(600)이 상기 문틈(60)에 삽입되도록 이동하지 않고 현 위치를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 반면, 상기 걸림 유닛(800)이 상기 걸림 해제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탄성력 유닛(700)에서 생성되는 탄성력이 상기 스토핑 유닛(600)으로 전달되는 것이 허용되어, 상기 문(50)이 상기 문틀(60)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틈(60)이 형성되려 할 때 상기 스토핑 유닛(600)이 상기 문틈(60)에 삽입되도록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 유닛(500)에는, 일 방향으로 형성된 메인 걸림홀(504a) 및 상기 일 방향과 교차되도록 상기 메인 걸림홀(504a)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이동 가이드홀(504b)을 포함하는 하우징 걸림홀(504)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 유닛(800)은 걸림 몸체(810), 걸림 탄성부(820) 및 걸림 해제 돌기(8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 몸체(810)는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 걸림홀(504a)에 걸려 있을 수 있는 걸림면(812)과, 상기 베이스 몸체(610)가 외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 유닛(500)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걸림 해제 상태에서 상기 걸림 상태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경사지게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슬라이딩면(814)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걸림 탄성부(820)는 상기 걸림 몸체(810) 및 상기 하우징 유닛(5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 몸체(810)를 상기 하우징 유닛(500)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걸림 탄성부(820)는 상기 하우징 유닛(500)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U-자 또는 V-자의 형상을 갖도록 상기 걸림 몸체(810)와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 해제 돌기(830)는 상기 걸림 몸체(810)로부터 상기 하우징 유닛(500)을 관통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610)가 상기 하우징 유닛(500)의 내부에서 이동할 때 상기 이동 가이드홀(504b)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걸림 몸체(810)가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걸림 탄성부(820)를 압축시킬 수 있는 외력에 의해 눌려질 경우 상기 걸림 몸체(810)를 상기 걸림 상태에서 해제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 걸림홀(504)는 상기 이동 가이드홀(504b)의 단부에 상기 이동 가이드홀(504b)의 길이 방향에 교차되도록 형성된 서브 걸림홀(504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몸체(610)에는, 상기 걸림 유닛(8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걸림 유닛(800)을 고정시킬 수 있는 걸림유닛 수용홈(6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위에서 설명한 상기 문 스토퍼는 상기 스토핑 유닛(200)가 직선 이동하여 상기 문틈(30)에 삽입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성력 유닛(700)은 상기 스토핑 몸체(SB2)가 상기 베이스 몸체(610)와 연결된 방향인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력 유닛(700)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일단이 상기 베이스 몸체(610)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 유닛(500)과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인장 스프링(7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장 스프링(710)은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스 몸체(610)의 좌우측(상기 폭 방향으로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몸체(610)에는, 상기 인장 스프링(710)을 수용하는 인장 스프링 수용홈(6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장 스프링 수용홈(614)은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스 몸체(610)의 좌우측(상기 폭 방향으로의 양측) 하면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몸체(610)는 상기 인장 스프링(710)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인장 스프링(710)의 일단을 고정시킬 수 있는 인장 스프링 일단 고정부(6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유닛(500)은 상기 인장 스프링(710)의 타단과 결합되어 상기 인장 스프링(710)의 타단을 고정시킬 수 있는 인장 스프링 타단 고정부(50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장 스프링 일단 고정부(616)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스 몸체(610)의 좌우측(상기 폭 방향으로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인장 스프링 타단 고정부(506)도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인장 스프링 일단 고정부(616)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장 스프링(710)의 일단 및 타단이 각각 고리 형상을 갖고 있을 때, 상기 인장 스프링 일단 고정부(616)는 상기 인장 스프링 수용홈(614)에 형성되어 상기 인장 스프링(710)의 일단이 끼워질 수 있는 돌기일 수 있고, 상기 인장 스프링 타단 고정부(506)는 상기 인장 스프링 수용홈(614) 내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유닛(500)에 형성되어 상기 인장 스프링(710)의 타단이 끼워질 수 있는 돌기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유닛(500)은 상기 베이스 몸체(6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스토핑 유닛(600)이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측면이 오픈(open)되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 유닛(800)이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인장 스프링(710)에서 생성되는 탄성력이 상기 스토핑 유닛(200)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어, 상기 문(50)이 상기 문틀(40)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틈(60)이 형성되더라고 상기 스토핑 유닛(500)이 상기 문틈(60)에 삽입되도록 직선 이동하지 않고 현 위치를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
반면, 상기 걸림 유닛(800)이 상기 걸림 해제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인장 스프링(710)에서 생성되는 탄성력이 상기 스토핑 유닛(600)으로 전달되는 것이 허용되어, 상기 문(50)이 상기 문틀(40)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틈(60)이 형성되려 할 때 상기 스토핑 유닛(600)이 상기 문틈(60)에 삽입되도록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핑 유닛(600)이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 걸림홀(504)도 이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이동 가이드홀(504b)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걸림홀(504a)는 상기 이동 가이드홀(504b)의 일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걸림홀(504a)는 상기 이동 가이드홀(504b)의 일측 단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또는 상기 일 방향과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걸림홀(504c)는 상기 이동 가이드홀(504b)의 타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브 걸림홀(504c)는 상기 이동 가이드홀(504b)의 타측 단부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또는 상기 일 방향과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 방향은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 유닛(500)은 하우징 베이스부(510), 하우징 커버부(520) 및 하우징 측벽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베이스부(510)는 상기 부착 유닛에 의해 상기 문틀(4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 베이스부(510)는 직사각형 형태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장 스프링 타단 고정부(506)는 상기 인장 스프링 수용홈(614) 내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베이스부(510)의 상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부(520)는 상기 하우징 베이스부(510)와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 베이스부(51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부(520)는 상기 하우징 베이스부(51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 커버부(520)에는 상기 스토퍼부 노출홀(50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측벽부(530)는 상기 하우징 유닛(500)에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하우징 베이스부(510) 및 상기 하우징 커버부(520)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 측벽부(530)는 상기 하우징 베이스부(5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도면에서와 같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 측벽부(530)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하우징 유닛(500)은 상기 하우징 베이스부(510) 중 상기 하우징 측벽부(53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가장자리 부분이 오픈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측벽부(530)에는 상기 하우징 걸림홀(50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 걸림홀(504)은 ㄷ-자 형상을 갖는 상기 하우징 측벽부(530)의 서로 마주하는 양 측벽에 각각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측벽부(530)는 상기 하우징 베이스부(510)에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 측벽부(530)에는 상기 하우징 커버부(520)와 결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우징 결합부(HC3)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 커버부(520)의 하면에는 상기 제1 하우징 결합부(HC3)와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하우징 결합부(HC4)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하우징 결합부(HC3)의 상면에는 결합을 위한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하우징 결합부(HC4)는 상기 제1 하우징 결합부(HC3)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 측벽부(530)는 상기 하우징 베이스부(510)가 아니라 상기 하우징 측벽부(530)에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 하우징 결합부(HC4)는 상기 하우징 커버부(520)가 아니라 상기 하우징 베이스부(510)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핑 유닛(600)은 상기 베이스 몸체(610)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으로 돌출된 손잡이부(6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660)는 사용자가 상기 스토핑 유닛(600)을 잡아당겨 상기 하우징 유닛(500) 내로 삽입시키려고 할 때 사용되는 돌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 유닛(500)에는, 사용자가 상기 스토핑 유닛(600)을 잡아당겨 상기 하우징 유닛(500) 내로 삽입시키려고 할 때 상기 손잡이부(660)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 노출홀(508)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손잡이부 노출홀(508)은 상기 하우징 커버부(520)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부 노출홀(102)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스토핑 유닛(600)가 직선 이동하여 상기 문틈(60)에 삽입되는 상기 문 스토퍼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걸림 몸체(810)가 상기 메인 걸림홀(504a)에 위치하고 있어, 상기 걸림 몸체(810)가 상기 걸림 상태로 존재하고 있을 경우, 상기 문 스토퍼는 오픈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핑 유닛(600)은 상기 하우징 유닛(500) 내로 삽입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걸림 해제 돌기(830)가 외력에 의해 눌려질 경우, 상기 걸림 몸체(810)는 상기 걸림 상태에서 상기 걸림 해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장 스프링(710)은 상기 스토핑 유닛(600)을 직선 이동시키려고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상기 스토핑 유닛(600)은 상기 문(50)에 접촉하여 가압하고 있는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문(50)이 상기 문틀(40)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틈(60)이 형성될 경우, 상기 스토핑 유닛(600)이 상기 문틈(60)에 삽입되도록 직선 이동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상기 걸림 몸체(810)가 상기 서브 걸림홀(504c)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고, 상기 문 스토퍼는 안전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660)을 이용하여 상기 인장 스프링(710)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겨, 상기 스토핑 유닛(600)이 상기 길이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려 할 경우, 상기 슬라이면(814)에 의해 상기 걸림 몸체(810)가 서서히 눌려져 상기 걸림 탄성부(820)가 압축되면서 상기 스토핑 유닛(600)이 상기 하우징 유닛(50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 몸체(810)가 상기 메인 걸림홀(504a)에 위치할 때까지 상기 스토핑 유닛(600)이 상기 하우징 유닛(50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걸림 몸체(810)가 상기 걸림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즉, 상기 문 스토퍼는 안전 모드에서 오픈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문 스토퍼가 오픈 모드로 동작되고 있을 때, 상기 문(50)은 자유롭게 열고 닫힐 수 있다. 상기 문 스토퍼가 안전 모드로 동작되고 있을 때, 상기 문(50)은 상기 스토핑 유닛(600)에 의해 스토핑되어 닫히지 않도록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문(50)이 상기 문틀(40)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틈(60)이 형성되려 할 때, 상기 스토핑 유닛(600)이 상기 인장 스프링(710)에 의해 자동으로 직선 이동하여 상기 문틈(60)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문틈(60)에서의 손끼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스토퍼를 끼워넣는 행위 없이도 상기 손끼임 사고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력 유닛(700)은 상기 인장 스프링(710) 대신에 다른 스프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력 유닛(700)은 상기 하우징 유닛(500) 및 상기 베이스 몸체(6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 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압축 스프링은 ㄷ-자 형상을 갖는 상기 하우징 측벽부(530) 중 중간에 위치하고 있는 측벽(상기 폭 방향과 평향한 측벽)과 상기 베이스 몸체(6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몸체(610)에는 상기 압축 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한 압축스프링 수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측벽부(530)에는 상기 압축 스프링에 삽입되어 상기 압축 스프링을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압축스프링 수용홈에 삽입될 수 있는 압축스프링 고정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40 : 문틀 20, 50 : 문
30, 60 : 문틈 100, 500 : 하우징 유닛
102, 502 : 스토퍼부 노출홀 104, 504 : 하우징 걸림홀
104a, 504a : 메인 걸림홀 104b, 504b : 이동 가이드홀
104c, 504c : 서브 걸림홀 106 : 제2 스프링 다리 고정부
506 : 인장 스프링 타단 고정부 508 : 손잡이부 노출홀
HA : 하우징 회전축 110, 510 : 하우징 베이스부
120, 520 : 하우징 커버부 130, 530 : 하우징 측벽부
HC1, HC3 : 제1 하우징 결합부 HC2, HC4 : 제2 하우징 결합부
200, 600 : 스토핑 유닛 210, 610 : 베이스 몸체
212, 612 : 걸림유닛 수용홈 214 : 회전축 수용부
216 : 제1 스프링 다리 고정부 218 : 스프링 다리 유동부
614 : 인장 스프링 수용홈 616 : 인장 스프링 일단 고정부
SB, SB2 : 스토핑 몸체 220, 620 : 스토핑 베이스부
230, 630 : 연결 몸체부 240, 640 : 삽입 몸체부
250, 650 : 스토퍼부 254, 654 : 마찰 돌기
660 : 손잡이부 300, 700 : 탄성력 유닛
310 : 토션 스프링 312 : 토션 스프링 몸체
314 : 제1 토션 스프링 다리 316 : 제2 토션 스프링 다리
400, 800 : 걸림 유닛 410, 810 : 걸림 몸체
412, 812 : 걸림면 414, 814 : 슬라이딩면
420, 820 : 걸림 탄성부 430, 830 : 걸림 해제 돌기

Claims (32)

  1. 문틀의 일 측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문을 스토핑(stopping)할 수 있는 문 스토퍼에 있어서,
    부착 유닛에 의해 상기 문틀에 부착되는 하우징 유닛;
    상기 하우징 유닛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탄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문이 상기 문틀로부터 열릴 때 상기 문 및 상기 문틀의 일 측 사이에 형성된 문틈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문을 스토핑할 수 있는 스토핑 유닛; 및
    상기 문이 상기 문틀에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문틀로부터 열려 있는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스토핑 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문틈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스토핑 유닛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유닛을 포함하는 문 스토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 유닛은
    상기 하우징 유닛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된 베이스 몸체; 및
    상기 베이스 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문틈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문을 스토핑할 수 있는 스토핑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 몸체는
    스토핑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 몸체 및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몸체부; 및
    상기 문틈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와 연결된 삽입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몸체부는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 몸체는
    상기 문틀의 일 측과 마주하는 상기 문의 단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 중 상기 문의 단부와 마주하는 접촉면은
    상기 문이 상기 문틀에 닫히려고 할 때 상기 문의 단부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도록, 라운드(round)지거나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 중 상기 문의 단부와 마주하는 접촉면에는,
    상기 문의 단부와의 접촉시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복수의 마찰 돌기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유닛은
    상기 스토핑 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유닛에는
    상기 탄성력 유닛에서 생성된 탄성력을 이기는 외력에 의해 상기 스토핑 유닛이 상기 하우징 유닛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스토퍼부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스토퍼부 노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몸체부는
    상기 문이 상기 문틀에 닫히려고 할 때 상기 문에서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로 가해지는 힘이 상기 연결 몸체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 몸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 또는 감소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몸체부는
    적어도 한 번이 굴곡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유닛은
    상기 베이스 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에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유닛에 걸려 있는 걸림 상태와 상기 걸림 상태에서 해제된 걸림 해제 상태로 동작될 수 있는 걸림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 유닛이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탄성력 유닛에서 생성되는 탄성력이 상기 스토핑 유닛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어, 상기 문이 상기 문틀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틈이 형성되더라고 상기 스토핑 유닛이 상기 문틈에 삽입되도록 이동하지 않고 현 위치를 유지하고 있고,
    상기 걸림 유닛이 상기 걸림 해제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탄성력 유닛에서 생성되는 탄성력이 상기 스토핑 유닛으로 전달되는 것이 허용되어, 상기 문이 상기 문틀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틈이 형성되려 할 때 상기 스토핑 유닛이 상기 문틈에 삽입되도록 위치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유닛에는,
    일 방향으로 형성된 메인 걸림홀 및 상기 일 방향과 교차되도록 상기 메인 걸림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이동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유닛은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 걸림홀에 걸려 있을 수 있는 걸림면과, 상기 베이스 몸체가 외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걸림 해제 상태에서 상기 걸림 상태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경사지게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슬라이딩(sliding)면을 갖는 걸림 몸체;
    상기 걸림 몸체 및 상기 하우징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 몸체를 상기 하우징 유닛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걸림 탄성부; 및
    상기 걸림 몸체로부터 상기 하우징 유닛을 관통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가 상기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서 이동할 때 상기 이동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걸림 몸체가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때 외력에 의해 눌려질 경우 상기 걸림 몸체를 상기 걸림 상태에서 해제시킬 수 있는 걸림 해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탄성부는
    상기 하우징 유닛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U-자 또는 V-자의 형상을 갖도록 상기 걸림 몸체와 일체화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걸림홀은
    상기 이동 가이드홀의 단부에 상기 이동 가이드홀의 길이 방향에 교차되도록 형성된 서브 걸림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에는
    상기 걸림 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걸림 유닛을 고정시킬 수 있는 걸림유닛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유닛은 하우징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몸체는 상기 하우징 회전축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회전축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핑 유닛은 상기 하우징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 유닛은
    상기 스토핑 유닛이 상기 하우징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 이동되도록 상기 스토핑 유닛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torsion)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은
    탄성력을 생성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 회전축을 관통시켜 상기 하우징 회전축과 결합된 토션 스프링 몸체;
    상기 토션 스프링 몸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와 결합된 제1 토션 스프링 다리; 및
    상기 토션 스프링 몸체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 유닛과 결합된 제2 토션 스프링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몸체는
    상기 제1 토션 스프링 다리와 결합되어 상기 제1 토션 스프링 다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1 스프링 다리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유닛은
    상기 제2 토션 스프링 다리와 결합되어 상기 제2 토션 스프링 다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2 스프링 다리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유닛은
    상기 베이스 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스토핑 유닛이 상기 하우징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측면이 오픈(open)되어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에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유닛에 걸려 있는 걸림 상태와 상기 걸림 상태에서 해제된 걸림 해제 상태로 동작될 수 있는 걸림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 유닛이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토션 스프링에서 생성되는 탄성력이 상기 스토핑 유닛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어, 상기 문이 상기 문틀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틈이 형성되더라고 상기 스토핑 유닛이 상기 문틈에 삽입되도록 회전 이동하지 않고 현 위치를 유지하고 있고,
    상기 걸림 유닛이 상기 걸림 해제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토션 스프링에서 생성되는 탄성력이 상기 스토핑 유닛으로 전달되는 것이 허용되어, 상기 문이 상기 문틀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틈이 형성되려 할 때 상기 스토핑 유닛이 상기 문틈에 삽입되도록 회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유닛에는,
    일 방향으로 형성된 메인 걸림홀 및 상기 일 방향과 교차되도록 상기 메인 걸림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 호 형태로 형성된 이동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유닛은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 걸림홀에 걸려 있을 수 있는 걸림면과, 상기 베이스 몸체가 외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서 회전 이동하여 상기 걸림 해제 상태에서 상기 걸림 상태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경사지게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슬라이딩면을 갖는 걸림 몸체;
    상기 걸림 몸체 및 상기 하우징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 몸체를 상기 하우징 유닛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걸림 탄성부; 및
    상기 걸림 몸체로부터 상기 하우징 유닛을 관통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가 상기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서 회전 이동할 때 상기 이동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걸림 몸체가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때 외력에 의해 눌려질 경우 상기 걸림 몸체를 상기 걸림 상태에서 해제시킬 수 있는 걸림 해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 몸체는
    스토핑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 몸체 및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몸체부; 및
    상기 문틈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와 연결된 삽입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몸체부는
    상기 스토핑 유닛이 상기 하우징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할 때 상기 문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문과 접촉하는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 몸체는
    상기 문틀의 일 측과 마주하는 상기 문의 단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스토핑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스토핑 유닛이 상기 하우징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할 때 상기 문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문과 접촉하는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2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 유닛은
    상기 스토핑 몸체가 상기 베이스 몸체와 연결된 방향(이하, '길이 방향'이라 함)을 따라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 유닛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일단이 상기 베이스 몸체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 유닛과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에는, 상기 인장 스프링을 수용하는 인장 스프링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는
    상기 인장 스프링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인장 스프링의 일단을 고정시킬 수 있는 인장 스프링 일단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유닛은
    상기 인장 스프링의 타단과 결합되어 상기 인장 스프링의 타단을 고정시킬 수 있는 인장 스프링 타단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 유닛은
    상기 하우징 유닛 및 상기 베이스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유닛은
    상기 베이스 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스토핑 유닛이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측면이 오픈(open)되어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에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유닛에 걸려 있는 걸림 상태와 상기 걸림 상태에서 해제된 걸림 해제 상태로 동작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 유닛이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탄성력 유닛에서 생성되는 탄성력이 상기 스토핑 유닛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어, 상기 문이 상기 문틀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틈이 형성되더라고 상기 스토핑 유닛이 상기 문틈에 삽입되도록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지 않고 현 위치를 유지하고 있고,
    상기 걸림 유닛이 상기 걸림 해제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탄성력 유닛에서 생성되는 탄성력이 상기 스토핑 유닛으로 전달되는 것이 허용되어, 상기 문이 상기 문틀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틈이 형성되려 할 때 상기 스토핑 유닛이 상기 문틈에 삽입되도록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유닛에는,
    일 방향으로 형성된 메인 걸림홀 및 상기 메인 걸림홀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이동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유닛은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 걸림홀에 걸려 있을 수 있는 걸림면과, 상기 베이스 몸체가 외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걸림 해제 상태에서 상기 걸림 상태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경사지게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슬라이딩면을 갖는 걸림 몸체;
    상기 걸림 몸체 및 상기 하우징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 몸체를 상기 하우징 유닛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걸림 탄성부; 및
    상기 걸림 몸체로부터 상기 하우징 유닛을 관통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가 상기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서 이동할 때 상기 이동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걸림 몸체가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때 외력에 의해 눌려질 경우 상기 걸림 몸체를 상기 걸림 상태에서 해제시킬 수 있는 걸림 해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KR1020210051533A 2021-04-21 2021-04-21 문 스토퍼 KR102532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533A KR102532415B1 (ko) 2021-04-21 2021-04-21 문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533A KR102532415B1 (ko) 2021-04-21 2021-04-21 문 스토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985A true KR20220144985A (ko) 2022-10-28
KR102532415B1 KR102532415B1 (ko) 2023-05-15

Family

ID=83835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533A KR102532415B1 (ko) 2021-04-21 2021-04-21 문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241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0392A (ko) * 2011-08-19 2013-02-27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를 가지는 창호
KR102033856B1 (ko) * 2018-05-21 2019-10-17 이범현 손 끼임 방지 장치
KR20200127471A (ko) * 2019-05-02 2020-11-11 이범현 손끼임 방지 장치
KR20200127475A (ko) * 2019-05-02 2020-11-11 이범현 손끼임 방지 장치
KR20210003403A (ko) * 2019-07-02 2021-01-12 최승수 안전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0392A (ko) * 2011-08-19 2013-02-27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를 가지는 창호
KR102033856B1 (ko) * 2018-05-21 2019-10-17 이범현 손 끼임 방지 장치
KR20200127471A (ko) * 2019-05-02 2020-11-11 이범현 손끼임 방지 장치
KR20200127475A (ko) * 2019-05-02 2020-11-11 이범현 손끼임 방지 장치
KR20210003403A (ko) * 2019-07-02 2021-01-12 최승수 안전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2415B1 (ko) 202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1189B1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KR101554332B1 (ko) 방충망 프레임에 설치되는 안전잠금장치
JPH0598863A (ja) 動くことができるようにして枠に取付けられている閉鎖装置の動く範囲を制限する制限装置
US20080284180A1 (en) Child Safety Gate Assemblies
KR101810488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US11168496B2 (en) Latching device and sliding door using same
KR20190000143A (ko)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US8147008B2 (en) Interlock system for multi-door enclosures
KR200312859Y1 (ko) 도어 록 장치
KR20220144985A (ko) 문 스토퍼
US20080105010A1 (en) Door lock assembly having a cam associated with a handle to transmit movements to a latch operating spindle
KR20020043421A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1782579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1162618B1 (ko) 도어 손잡이
WO2002059443A1 (en) Rotating spring-latch lock and corresponding selvage
KR20120007680A (ko) 안전 도어록
KR101916098B1 (ko) 그립 방식의 손잡이
KR20230049870A (ko) 문 스토퍼
KR20230049871A (ko) 문 스토퍼
KR101810487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200203653Y1 (ko) 창문 자동 잠금장치
KR102151620B1 (ko) 방 개폐 장치
KR200463601Y1 (ko) 자동 미닫이문 장치
KR101440528B1 (ko) 다중 래치 멀티 록 장치
KR101115424B1 (ko) 창호용 버튼식 자동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