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9870A - 문 스토퍼 - Google Patents

문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9870A
KR20230049870A KR1020210132877A KR20210132877A KR20230049870A KR 20230049870 A KR20230049870 A KR 20230049870A KR 1020210132877 A KR1020210132877 A KR 1020210132877A KR 20210132877 A KR20210132877 A KR 20210132877A KR 20230049870 A KR20230049870 A KR 20230049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ase body
unit
door
tors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82872B1 (ko
Inventor
이범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엠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엠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엠유
Priority to KR1020210132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2872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3287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82872B1/ko
Publication of KR20230049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9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2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2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문과 문틀 사이의 공간에서의 손끼임 사고를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문 스토퍼가 개시된다. 이러한 문 스토퍼는 문틀의 일 측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문이 닫히지 않도록 스토핑(stopping)할 수 있는 장치로써, 하우징 유닛, 스토핑 유닛 및 탄성력 유닛을 포함한다. 하우징 유닛은 부착 유닛에 의해 문틀에 부착되고, 제1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며 제1 및 제2 방향들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두께 방향으로 하는 형상을 갖고, 제2 방향으로 오픈부가 형성된 내부 공간을 갖는다. 스토핑 유닛은, 적어도 일부가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제3 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우징 유닛과 결합되는 베이스 몸체, 및 베이스 몸체와 일측 방향으로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가 베이스 몸체가 회전축을 기준으로 일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 하우징 유닛의 오픈부를 통해 회전 이동할 수 있는 스토핑 몸체를 포함하고, 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탄성력 유닛은 하우징 유닛 및 베이스 몸체에 각각 결합되고, 베이스 몸체를 회전축을 기준으로 일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문 스토퍼{DOOR STOPPER}
본 발명은 문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닫이문의 안쪽 문틈에서 발생되는 손가락 끼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문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에는 각종 출입문, 예를 들어 방문, 현관문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출입문은 개폐가 쉽고 안팎에서 잠금 장치를 편리하게 작동할 수 있는 여닫이문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 설치되는 여닫이문은 벽면에 개방 공간에 설치되는 사각형태의 문틀과, 상기 문틀의 일 측에 경첩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문이 상기 경첩에 의해 회전 이동되어 상기 문틀로부터 열리게 되면, 상기 문과 상기 문틀의 일 측 사이에는 안쪽 문틈이 형성될 수 있다.
대부분의 어린 아이들은 가정에서 방과 방 사이 또는 방과 거실 사이를 오가면서 놀이를 즐기고 있다. 여기서, 상기 문과 상기 문틀의 일 측 사이에는 안쪽 문틈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일부 호기심이 많은 어린 아이들은 상기 안쪽 문틈에 손을 집어넣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문은 외부 바람과 같은 외력에 의해 갑자기 닫힐 경우, 어린 아이들에게서 심각한 손끼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심각한 손끼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2015284호에서 '도어가 열리면서 도어와 문틀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절첩 가능한 가림판체로 차단할 수 있게 함으로써 문틀과 도어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출입문의 손 끼임 방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손 끼임 방지장치는 문과 문틀의 일 측에 각각 세로 방향으로 길게 부착시켜야 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 설치가 매우 까다로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문과 문틀의 일 측에 형성된 안쪽 문틈에서의 손 끼임 사고를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문 스토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문 스토퍼는 문틀의 일 측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문이 닫히지 않도록 스토핑(stopping)할 수 있는 안전 장치로써, 하우징 유닛, 스토핑 유닛 및 탄성력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유닛은 부착 유닛에 의해 상기 문틀에 부착되고, 제1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두께 방향으로 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오픈(open)부가 형성된 내부 공간을 갖는다. 상기 스토핑 유닛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3 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유닛과 결합되는 베이스 몸체, 및 상기 베이스 몸체와 일측 방향으로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가 상기 베이스 몸체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일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하우징 유닛의 오픈부를 통해 회전 이동할 수 있는 스토핑 몸체를 포함하고, 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력 유닛은 상기 하우징 유닛 및 상기 베이스 몸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를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문 스토퍼는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몸체에 고정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유닛에 걸려 있어 상기 베이스 몸체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걸림 상태와, 상기 걸림 상태에서 해제된 걸림 해제 상태로 동작될 수 있는 걸림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 유닛이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베이스 몸체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고, 상기 걸림 유닛이 상기 걸림 상태에서 상기 걸림 해제 상태로 변경될 경우, 상기 탄성력 유닛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 몸체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걸림 유닛은 걸림부, 걸림 탄성부 및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유닛의 일부에 걸려 있을 수 있는 걸림면과, 상기 베이스 몸체가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걸림 해제 상태에서 상기 걸림 상태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경사지게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슬라이딩(sliding)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걸림 탄성부는 상기 걸림부 및 상기 베이스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부가 상기 하우징 유닛의 일부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걸림부에 걸림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걸림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유닛에 형성된 이동 가이드홀을 관통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으로 또는 상기 일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이동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걸림 탄성부는 상기 걸림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U-자 또는 V-자의 형상을 갖도록 상기 걸림부와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와 마주하는 상기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는, 상기 이동 가이드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상기 이동 가이드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우징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 걸림부는 상기 걸림부의 상기 걸림면이 걸려질 수 있는 하우징 걸림면과, 상기 베이스 몸체가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걸림 해제 상태에서 상기 걸림 상태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상기 걸림부의 상기 슬라이딩면과 슬라이딩되도록 접촉하는 하우징 슬라이딩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몸체에는, 상기 걸림 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걸림 유닛을 고정시킬 수 있는 걸림유닛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핑 몸체는 스토핑 메인 몸체부, 연결 몸체부 및 삽입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핑 메인 몸체부는 상기 베이스 몸체로부터 상기 일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몸체부는 상기 베이스 몸체 및 상기 스토핑 메인 몸체부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삽입 몸체부는 상기 스토핑 메인 몸체부로부터 상기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 몸체부는 상기 스토핑 메인 몸체부로부터 상기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3 방향으로의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삽입 몸체부의 상기 일측 방향으로의 단부는 모서리가 제거되도록 라운드지거나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핑 몸체는 상기 스토핑 메인 몸체부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범퍼 몸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유닛에는, 상기 걸림 유닛이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범퍼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도록, 범퍼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범퍼 몸체부는 상기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3 방향으로의 두께가 감소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라운드(round)지거나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몸체부는 상기 스토핑 몸체로 가해져 상기 베이스 몸체로 전달되는 힘의 적어도 일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 몸체부는 적어도 한 번이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유닛은 하우징 하부 몸체 및 하우징 상부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상부 몸체는 상기 하우징 하부 몸체로부터 상기 제3 방향 측에 배치되고, 상기 오픈부가 형성된 상기 내부 공간을 갖도록 상기 하우징 하부 몸체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유닛은 상기 하우징 하부 몸체 및 상기 하우징 상부 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회전축을 따라 형성된 하우징 회전축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몸체는 상기 하우징 회전축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회전축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몸체는 상기 하우징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탄성력 유닛은 상기 베이스 몸체를 상기 하우징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회전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torsion)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회전 탄성력을 생성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 회전축부를 관통시켜 상기 하우징 회전축부과 결합된 토션 스프링 몸체, 상기 토션 스프링 몸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와 결합된 제1 토션 스프링 다리, 및 상기 토션 스프링 몸체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 유닛과 결합된 제2 토션 스프링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몸체는 상기 제1 토션 스프링 다리와 결합되어 상기 제1 토션 스프링 다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1 스프링 다리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 유닛은 상기 제2 토션 스프링 다리와 결합되어 상기 제2 토션 스프링 다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2 스프링 다리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몸체에 형성된 상기 회전축 수용부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 몸체를 수용하기 위한 스프링 몸체 단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프링 다리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 몸체 중 상기 토션 스프링과 마주하는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토션 스프링 다리를 수용하여 결합될 수 있는 제1 스프링 다리 수용홈을 포함할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몸체 중 상기 토션 스프링과 마주하는 일면에는, 상기 베이스 몸체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으로 또는 상기 일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토션 스프링 다리를 수용하는 제2 스프링 다리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문 스토퍼에 따르면, 문이 문틀로부터 열려져 문틈이 형성되려 할 때, 스토핑 유닛이 탄성력 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여 상기 문틈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문틈에서의 손끼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스토퍼를 끼워 넣는 행위 없이도 상기 손끼임 사고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 스토퍼를 상기 문틀에 부착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 설치가 매우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스토퍼가 문틀에 부착되어 오픈 모드로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문 스토퍼만을 확대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문 스토퍼가 안전 모드로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문 스토퍼를 분해해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문 스토퍼에서 하우징 하부 몸체 및 하우징 상부 몸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문 스토퍼 중 스토핑 유닛 및 걸림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스토핑 유닛을 뒤집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문 스토퍼가 오픈 모드에서 안전 모드로 변경되거나 안전 모드에서 오픈 모드로 변경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문 스토퍼가 안전 모드로 동작되고 있는 상태에서 문이 닫히려고 할 때 스토핑 유닛에 의해 스토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스토퍼가 문틀에 부착되어 오픈 모드로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문 스토퍼만을 확대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문 스토퍼가 안전 모드로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문 스토퍼를 분해해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문 스토퍼에서 하우징 하부 몸체 및 하우징 상부 몸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문 스토퍼 중 스토핑 유닛 및 걸림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스토핑 유닛을 뒤집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할 때, 본 실시예에 의한 문 스토퍼는 문틀(10)의 일 측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문(20)을 스토핑(stopping)할 수 있는 스토퍼 장치이다. 예를 들어, 상기 문 스토퍼는 여닫이문, 예를 들어 방문, 현관문이 장착된 문틀에 장착되어 상기 여닫이문이 열린 후 다시 닫히려고 할 때 닫히지 않도록 스토핑할 수 있다.
상기 문 스토퍼는 하우징 유닛(100), 스토핑 유닛(200) 및 탄성력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유닛(100)은 부착 유닛(미도시)에 의해 상기 문틀(1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착 유닛은 양면 접착테이프이거나 나사못일 수 있다. 상기 부착 유닛이 상기 나사못일 경우, 상기 하우징 유닛(100)은 상기 나사못을 통해 상기 문틀(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나사못 결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 유닛(100)은 제1 방향(D1)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을 폭 방향으로 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D1, D2)과 교차하는 제3 방향(D3)을 두께 방향으로 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제2 및 제3 방향들(D1, D2, D3)은 실질적으로 서로 수직하게 교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유닛(100)은 상기 제2 방향(D2) 또는 상기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오픈(open)부(102)가 형성된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유닛(100)은 2개 이상의 하우징 몸체들의 조립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 유닛(100)은 하우징 하부 몸체(100A) 및 하우징 상부 몸체(100B)의 조립체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하부 몸체(100A)은 상기 부착 유닛에 의해 상기 문틀(1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상부 몸체(100B)는 상기 하우징 하부 몸체(100A)로부터 상기 제3 방향(D3) 측에 배치되고, 상기 오픈부(102)가 형성된 상기 내부 공간을 갖도록 상기 하우징 하부 몸체(100A)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하부 몸체(100A)는 상기 하우징 상부 몸체(100B)와 결합되기 위한 하우징 하부 측벽(HW1) 및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하부 결합부(HC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 상부 몸체(100B)는 상기 하우징 하부 몸체(100A)와 결합되기 위한 하우징 상부 측벽(HW2) 및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상부 결합부(HC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하부 측벽(HW1) 및 상기 하우징 상부 측벽(HW2)은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 하부 측벽(HW1) 및 상기 하우징 상부 측벽(HW2)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 하부 측벽(HW1) 및 상기 하우징 상부 측벽(HW2)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여 결합되기 위한 단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하부 결합부(HC1)의 하부에서 나사못이 상기 하우징 하부 결합부(HC1) 및 상기 하우징 상부 결합부(HC2)을 차례로 관통하여 결합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 하부 몸체(100A) 및 상기 하우징 상부 몸체(100B)가 서로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하부 결합부(HC1) 및 상기 하우징 상부 결합부(HC2)는 상기 하우징 유닛(100)의 네 모서리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핑 유닛(200)은 상기 하우징 유닛(100)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탄성을 갖는 물질, 예를 들어 TPU, TPE와 같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토핑 유닛(200)은 상기 문(20)이 상기 문틀(10)로부터 열릴 때 상기 문(20) 및 상기 문틀(10)의 일 측 사이에 형성된 문틈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문(20)을 스토핑할 수 있다.
상기 스토핑 유닛(200)은 베이스 몸체(210) 및 스토핑 몸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몸체(21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3 방향(D3)과 평행한 회전축(AX)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유닛(10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토핑 몸체(220)는 상기 베이스 몸체(210)와 일측 방향(DI)으로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가 상기 베이스 몸체(210)가 상기 회전축(AX)을 기준으로 일 회전 방향(DR)으로 회전시 상기 하우징 유닛(100)의 오픈부(102)를 통해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몸체(210) 중 상기 스토핑 몸체(220)와 연결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원형판 또는 실질적으로 이와 유사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베이스 몸체(210)는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하우징 유닛(100)의 측부와 부딪치지 않고 상기 회전축(AX)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DR) 또는 상기 일 회전 방향(DR)의 역 방향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탄성력 유닛(300)은 상기 하우징 유닛(100) 및 상기 베이스 몸체(210)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210)를 상기 회전축(AX)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DR)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문(20)이 상기 문틀(10)에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문틀(10)로부터 열려 있는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베이스 몸체(210)가 상기 탄성력 유닛(300)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DR)로 회전하여 상기 스토핑 몸체(22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문틀(10) 및 상기 문(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문 스토퍼는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몸체(210)에 고정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유닛(100)에 걸려 있어 상기 베이스 몸체(210)가 상기 회전축(AX)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DR)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 몸체(21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걸림 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몸체(210)에는, 상기 걸림 유닛(4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걸림 유닛(400)을 고정시킬 수 있는 걸림유닛 수용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 유닛(40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유닛(100),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 상부 몸체(100B)에 걸려 있어 상기 베이스 몸체(210)가 상기 회전축(AX)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DR)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걸림 상태와, 상기 걸림 상태에서 해제된 걸림 해제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걸림 유닛(400)이 도 2와 같이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베이스 몸체(210)가 상기 회전축(AX)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DR)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걸림 유닛(400)이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스토핑 몸체(220)는 상기 내부 공간 내로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측 방향(DI)은 상기 제1 방향(D1)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걸림 유닛(400)이 상기 걸림 상태에서 도 3과 같은 상기 걸림 해제 상태로 변경될 경우, 상기 탄성력 유닛(3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 몸체(210)가 상기 회전축(AX)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DR)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토핑 몸체(220)는 상기 하우징 유닛(100)의 오픈부(102)를 통해 상기 회전축(AX)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DR)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일측 방향(DI)은 상기 제2 방향(D2)과 평행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걸림 유닛(400)은 걸림부(410), 걸림 탄성부(420) 및 가이드 돌기(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410)는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상부 몸체(100B)의 일부에 걸려 있을 수 있는 걸림면(412)과, 상기 베이스 몸체(210)가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AX)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DR)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걸림 해제 상태에서 상기 걸림 상태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경사지게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슬라이딩(sliding)면(414)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걸림 탄성부(420)는 상기 걸림부(410) 및 상기 베이스 몸체(2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부(410)가 상기 하우징 상부 몸체(100B)의 일부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걸림부(410)에 걸림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 탄성부(420)는 상기 걸림 탄성력(420)을 제공하기 위해 U-자 또는 V-자의 형상을 갖도록 상기 걸림부(410)와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 탄성부(420)는 상기 베이스 몸체(210)의 걸림유닛 수용홈(212) 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 탄성부(420) 및 상기 베이스 몸체(210)의 걸림유닛 수용홈(212)은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걸림 탄성부(420)는 상기 걸림부(410) 및 상기 베이스 몸체(210)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압축 스프링일 수도 있다.
상기 걸림 탄성부(420)에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홀(422) 또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유닛 수용홈(212)의 바닥면에는 상기 끼움홀(422) 또는 상기 끼움홈에 삽입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21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걸림 탄성부(420)의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유닛 수용홈(212)의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의 끼움홈 또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430)는 상기 걸림부(410)로부터 상기 하우징 상부 몸체(100B)에 형성된 이동 가이드홀(110)을 관통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돌기(430)는 상기 걸림부(410)의 슬라이딩면(414)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D3)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 상부 몸체(100B)의 이동 가이드홀(11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430)는 상기 베이스 몸체(210)가 상기 회전축(AX)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DR)으로 또는 상기 일 회전 방향(DR)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이동 가이드홀(11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가이드홀(110)은 90도 각도로 이루어진 원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410)와 마주하는 상기 하우징 상부 몸체(100B)의 내부에는, 상기 이동 가이드홀(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상기 이동 가이드홀(110)의 길이 방향(원호 방향)을 따라 하우징 걸림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상기 하우징 걸림부(120)가 상기 이동 가이드홀(110)의 양측에 형성된 일 예가 도시되었다.
상기 하우징 걸림부(120)는 상기 걸림부(410)의 걸림면(412)이 걸려질 수 있는 하우징 걸림면(122)과, 상기 베이스 몸체(210)가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AX)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DR)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걸림 해제 상태에서 상기 걸림 상태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상기 걸림부(410)의 슬라이딩면(414)과 슬라이딩되도록 접촉하는 하우징 슬라이딩면(124)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 슬라이딩면(124)는 적어도 일부가 라운드지거나 경사진 면을 갖고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2와 같이 상기 걸림 유닛(400)이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문 스토퍼는 '오픈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오픈 모드에서는, 상기 걸림부(410)의 걸림면(412)이 상기 하우징 걸림면(122)과 접촉하여 걸려 있는 상태로, 상기 스토핑 몸체(220)는 상기 내부 공간 내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가이드 돌기(430)를 상기 제3 방향(D3)의 반대 방향으로 누를 경우, 상기 걸림부(410)의 걸림면(412)이 상기 하우징 걸림면(122)과의 접촉이 해제되어, 상기 베이스 몸체(210)가 상기 탄성력 유닛(3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AX)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DR)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스토핑 몸체(220)는 상기 제2 방향(D2)을 향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상기 문 스토퍼는 '안전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스토핑 몸체(220)를 상기 일 회전 방향(DR)의 역 방향으로 힘을 가할 경우, 상기 걸림부(410)의 슬라이딩면(414)이 상기 하우징 슬라이딩면(124)과 접촉하면서 슬라이딩되어, 다시 상기 걸림부(410)의 걸림면(412)이 상기 하우징 걸림면(122)과 접촉하여 걸려 있는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즉, 상기 문 스토퍼는 '오픈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다시 참조할 때, 상기 스토핑 몸체(220)는 스토핑 메인 몸체부(222), 연결 몸체부(224) 및 삽입 몸체부(2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핑 메인 몸체부(222)는 상기 베이스 몸체(210)로부터 상기 일측 방향(DI)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몸체부(224)는 상기 베이스 몸체(210) 및 상기 스토핑 메인 몸체부(222)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삽입 몸체부(226)는 상기 스토핑 메인 몸체부(222)로부터 상기 일측 방향(DI)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몸체부(224)는 상기 스토핑 몸체(220)로 가해져 상기 베이스 몸체(210)로 전달되는 힘의 적어도 일부를 감소시키는 기능(이하, '충격 전달 감소 기능'이라 함)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핑 몸체(220)로 가해지는 힘은 상기 문(20)이 상기 문틀(10)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틀(10) 및 상기 문(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 몸체부(226)가 상기 문틀(10) 및 상기 문(20) 사이로 삽입된 이후, 상기 문(20)이 외력에 의해 다시 닫히려고 할 때, 상기 문(20)의 안쪽 단부가 상기 스토핑 몸체(220)로 가해지는 힘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몸체부(224)는 상기 충격 전달 감소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한 번이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 몸체부(224)는 두 번 굴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몸체부(224)가 적어도 한 번이 굴곡된 형상을 갖는다는 것은 상기 연결 몸체부(224)가 상기 일측 방향(DI) 및 상기 제3 방향(D3)에 의해 형성된 평면 상에서 적어도 한번 굴곡되어(예를 들어 방향이 바뀌어) 상기 베이스 몸체(210) 및 상기 스토핑 메인 몸체부(222) 사이를 연결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몸체부(224)는 적어도 한 번이 굴곡진 형상을 가짐에 따라, 상기 문(20)이 상기 문틀(10)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틀(10) 및 상기 문(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 몸체부(226)가 상기 문틀(10) 및 상기 문(20) 사이로 삽입된 후, 상기 문(20)이 외력에 의해 다시 닫히려고 할 때, 상기 연결 몸체부(224)가 상기 문(20)에서 상기 스토핑 몸체(220)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스토핑 몸체(220)가 뒤로(상기 문틀(10) 측으로) 밀리거나 상기 베이스 몸체(210) 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삽입 몸체부(226)는 상기 스토핑 메인 몸체부(222)로부터 상기 일측 방향(DI)으로 갈수록 상기 제3 방향(D3)으로의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 예를 들어 쐐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문(20)이 상기 문틀(10)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틀(10) 및 상기 문(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려 할 때, 상기 삽입 몸체부(226)가 상기 문틀(10)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 몸체부(226)의 상기 일측 방향(DI)으로의 단부, 예를 들어 도면에서 226a에 해당하는 부분은 모서리가 제거되도록 라운드(round)지거나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 몸체부(226)의 상기 일측 방향(DI)으로의 단부에 각진 모서리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 상기 각진 모서리가 상기 문(20)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베이스 몸체(210)가 상기 회전축(AX)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DR) 또는 상기 일 회전 방향(DR)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지 못하도록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핑 몸체(220)는 상기 스토핑 메인 몸체부(222)로부터 상기 제3 방향(D3)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범퍼 몸체부(2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문(20)이 상기 문틀(10)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틀(10) 및 상기 문(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 몸체부(226)가 상기 문틀(10) 및 상기 문(20) 사이로 삽입된 이후, 상기 문(20)이 외력에 의해 다시 닫히려고 할 때, 상기 범퍼 몸체부(228)는 상기 문(20)의 안쪽 단부와 접촉하게 되어 상기 문(20)이 닫히지 않도록 강하게 저항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범퍼 몸체부(228)는 상기 일측 방향(DI)으로 갈수록 상기 제3 방향(D3)으로의 두께가 감소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라운드(round)지거나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범퍼 몸체부(228)는 상기 일측 방향(DI)으로 갈수록 상기 제3 방향(D3)으로의 두께가 감소하도록 라운드(round)지거나 경사지도록 형성된 범퍼 접촉면(228a)을 가질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문(20)이 상기 문틀(10)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틀(10) 및 상기 문(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 몸체부(226)가 상기 문틀(10) 및 상기 문(20) 사이로 삽입된 이후, 상기 문(20)이 외력에 의해 다시 닫히려고 할 때, 상기 범퍼 몸체부(228)와 상기 문(20)의 안쪽 단부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 유닛(100)에는, 상기 걸림 유닛(400)이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때, 예를 들어 상기 일측 방향(DI)이 상기 제1 방향(D1)과 평행하게 될 때, 상기 범퍼 몸체부(228)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도록, 범퍼 수용부(104)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범퍼 수용부(104)는 상기 하우징 상부 몸체(100B)의 일부가 상기 범퍼 몸체부(228)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3 방향(D3)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된 범퍼 수용홈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범퍼 수용부(104)는 상기 범퍼 몸체부(228)와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 상부 몸체(100B)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범퍼 수용홀(미도시)일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 유닛(100)은 상기 하우징 하부 몸체(100A) 및 상기 하우징 상부 몸체(100B)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회전축(AX)을 따라 형성된 하우징 회전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 회전축부(130)는 상기 하우징 하부 몸체(100A)에 형성된 하부 회전축부(132) 및 상기 하부 회전축부(132)와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 하부 몸체(100B)에 형성된 상부 회전축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회전축부(132)의 하부에서 나사못이 상기 하부 회전축부(132) 및 상기 상부 회전축부(134)를 차례로 관통하여 결합됨에 따라, 상기 하부 회전축부(132) 및 상기 상부 회전축부(134)가 서로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몸체(210)는 상기 하우징 회전축부(13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회전축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 회전축부(130)를 관통시켜 결합시킬 수 있는 회전축 수용홀(214)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 회전축부(130)가 상기 하우징 하부 몸체(100A) 및 상기 하우징 상부 몸체(100B)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경우, 상기 회전축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 회전축부(130)를 수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는 회전축 수용홈(미도시)일 수도 있다. 그 결과, 상기 베이스 몸체(210)는 상기 하우징 회전축부(130)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탄성력 유닛(300)은 상기 베이스 몸체(210)를 상기 하우징 회전축부(130)를 중심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DR)으로 회전되도록 회전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torsion)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토션 스프링은 토션 스프링 몸체(310), 제1 토션 스프링 다리(320) 및 제2 토션 스프링 다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션 스프링 몸체(310)는 상기 회전 탄성력을 생성할 수 있고, 내부에 형성된 원통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 회전축부(130)를 관통시켜 상기 하우징 회전축부(130)과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 회전축부(130)는 상기 토션 스프링 몸체(310)의 원통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토션 스프링 다리(320)는 상기 토션 스프링 몸체(31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21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토션 스프링 다리(330)는 상기 토션 스프링 몸체(31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 유닛(100),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 하부 몸체(100A)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몸체(210)는 상기 제1 토션 스프링 다리(320)와 결합되어 상기 제1 토션 스프링 다리(32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1 스프링 다리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유닛(100),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 하부 몸체(100A)는 상기 제2 토션 스프링 다리(330)와 결합되어 상기 제2 토션 스프링 다리(33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2 스프링 다리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몸체(210)에 형성된 상기 회전축 수용부(214)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 몸체(310)를 수용하기 위한 스프링 몸체 단턱부(21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프링 다리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 몸체(210) 중 상기 토션 스프링과 마주하는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토션 스프링 다리(320)를 수용하여 결합될 수 있는 제1 스프링 다리 수용홈(216)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몸체(210) 중 상기 토션 스프링과 마주하는 일면에는, 상기 베이스 몸체(210)가 상기 회전축(AX)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DR)으로 또는 상기 일 회전 방향(DR)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토션 스프링 다리(330)를 수용하는 제2 스프링 다리 수용홈(21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프링 다리 고정부는 상기 제2 토션 스프링 다리(330)와 결합되어 상기 제2 토션 스프링 다리(33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걸림 돌기(140)일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140)는 상기 하우징 하부 결합부(HC1) 중 어느 하나이거나 상기 하우징 하부 결합부(HC1)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토션 스프링 다리(330)의 단부가 상기 걸림 돌기(140)에 걸림에 따라, 상기 베이스 몸체(210)가 상기 회전축(AX)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DR)으로 또는 상기 일 회전 방향(DR)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토션 스프링 다리(32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2 토션 스프링 다리(330)가 원 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2 스프링 다리 고정부는 상기 제2 토션 스프링 다리(330)와 결합되어 상기 제2 토션 스프링 다리(33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걸림홈일 수도 있다.
도 8은 도 1의 문 스토퍼가 오픈 모드에서 안전 모드로 변경되거나 안전 모드에서 오픈 모드로 변경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문 스토퍼가 안전 모드로 동작되고 있는 상태에서 문이 닫히려고 할 때 스토핑 유닛에 의해 스토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문 스토퍼는 상기 문틀(10)에 부착되어 상기 스토핑 몸체(220)가 상기 내부 공간 내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오픈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오픈 모드는 상기 걸림부(410)의 걸림면(412)이 상기 하우징 걸림면(122)과 접촉하여 걸려 있는 상태로, 사용자가 자유롭게 상기 문(20)을 열고 닫을 수 있다.
상기 문 스토퍼가 '오픈 모드'로 동작되고 있고, 상기 문(10)이 닫혀있을 때, 사용자가 상기 가이드 돌기(430)를 상기 제3 방향(D3)의 반대 방향으로 누를 경우, 상기 걸림부(410)의 걸림면(412)이 상기 하우징 걸림면(122)과의 접촉이 해제되어, 상기 베이스 몸체(210)가 상기 탄성력 유닛(3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AX)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DR)으로 회전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핑 몸체(220) 중 상기 삽입 몸체부(226)의 단부가 상기 문(20)의 일측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베이스 몸체(210)가 상기 회전축(AX)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DR)으로 회전하지 않고 멈춰있을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문(20)을 열기 시작하면, 상기 문틀(10) 및 상기 문(20) 사이에 공간이 서서히 생기면서 상기 베이스 몸체(210)가 상기 회전축(AX)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DR)으로 다시 회전하기 시작하고, 그 결과 상기 스토핑 몸체(220) 중 상기 삽입 몸체부(226)가 상기 문틀(10) 및 상기 문(20) 사이의 공간으로 서서히 들어가게 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문(20)을 완전히 열면, 상기 베이스 몸체(210)가 상기 회전축(AX)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DR)으로 90도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스토핑 몸체(220) 중 상기 삽입 몸체부(226)가 상기 문틀(10) 및 상기 문(20) 사이의 공간에 완전히 삽입되게 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문 스토퍼는 '안전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문 스토퍼가 '안전 모드'로 동작될 때, 도 9와 같이 상기 문(20)을 다시 닫으려고 할 때, 상기 문(20)의 안쪽 단부(22)가 상기 범퍼 몸체부(228)를 누르면서 옆으로 밀게 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스토핑 몸체(220)가 뒤로 및 옆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문틀(10)의 일 측에는 상기 문(20)의 안쪽 단부(22)를 수용할 수 있는 문틀 단턱부(1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문(20)이 다시 닫히려고 할 때, 상기 연결 몸체부(224)가 늘어나거나 수축되어, 상기 스토핑 몸체(220)가 상기 문틀 단턱부(12) 내에서 뒤로 또는 상기 베이스 몸체(210) 측을 향하여 옆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문(20)이 완전히 닫히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문틀(10) 및 상기 문(20)의 안쪽 단부(22) 사이에서 발생되는 손끼임 사고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20)이 다시 닫히려고 할 때, 상기 문(20)의 안쪽 단부(22)가 상기 스토핑 몸체(220)로 가해지는 힘이 상기 베이스 몸체(210)로 전달되는 것을 상기 연결 몸체부(224)에 의해 차단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문 스토퍼를 '안전 모드'에서 '오픈 모드'로 다시 변경시키고 할 때에는, 사용자가 상기 스토핑 몸체(220)를 상기 일 회전 방향(DR)의 역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부(410)의 슬라이딩면(414)이 상기 하우징 슬라이딩면(124)과 접촉하면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베이스 몸체(210)가 상기 회전축(AX)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DR)의 역 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몸체(210)가 상기 회전축(AX)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DR)의 역 방향으로 90도 각도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걸림부(410)의 걸림면(412)이 상기 하우징 걸림면(122)과 접촉하여 걸려 있는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즉, 상기 문 스토퍼는 '오픈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 몸체부(224)가 상기 문(20)에서 상기 스토핑 메인 몸체부(222) 및 상기 삽입 몸체부(226) 중 적어도 하나로 가해지는 힘을 상기 베이스 몸체(210)로 전달시키지 않거나 감소시킴에 따라, 상기 베이스 몸체(210)가 안정적으로 상기 하우징 유닛(100) 내에서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베이스 몸체(210)로 전달된 힘에 의해 상기 하우징 유닛(1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문(20)이 상기 문틀(10)로부터 열려져 상기 문틀(10) 및 상기 문(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려 할 때, 상기 스토핑 유닛(200)이 상기 탄성력 유닛(300)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문틀(10) 및 상기 문(2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문틀(10) 및 상기 문(20) 사이의 공간에서의 손끼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스토퍼를 끼워 넣는 행위 없이도 상기 손끼임 사고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 스토퍼를 상기 문틀(10)에 부착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 설치가 매우 용이하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문틀 20 : 문
100 : 하우징 유닛 100A : 하우징 하부 몸체
100B : 하우징 상부 몸체 102 : 오픈부
104 : 스토핑 몸체 수용홈 110 : 이동 가이드홀
120 : 하우징 걸림부 122 : 하우징 걸림면
124 : 하우징 슬라이딩면 130 : 하우징 회전축부
140 : 걸림 돌기 200 : 스토핑 유닛
210 : 베이스 몸체 220 : 스토핑 몸체
222 : 스토핑 메인 몸체부 224 : 연결 몸체부
226 : 삽입 몸체부 228 : 범퍼 몸체부
228a : 범퍼 접촉면 300 : 탄성력 유닛
400 : 걸림 유닛 410 : 걸림부
412 : 걸림면 414 : 슬라이딩면
420 : 걸림 탄성부 430 : 가이드 돌기

Claims (19)

  1. 문틀의 일 측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문이 닫히지 않도록 스토핑(stopping)할 수 있는 문 스토퍼에 있어서,
    부착 유닛에 의해 상기 문틀에 부착되고, 제1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두께 방향으로 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오픈(open)부가 형성된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 유닛;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3 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유닛과 결합되는 베이스 몸체, 및 상기 베이스 몸체와 일측 방향으로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가 상기 베이스 몸체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일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하우징 유닛의 오픈부를 통해 회전 이동할 수 있는 스토핑 몸체를 포함하고, 탄성 물질로 이루어진 스토핑 유닛; 및
    상기 하우징 유닛 및 상기 베이스 몸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를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력 유닛을 포함하는 문 스토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몸체에 고정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유닛에 걸려 있어 상기 베이스 몸체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걸림 상태와, 상기 걸림 상태에서 해제된 걸림 해제 상태로 동작될 수 있는 걸림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 유닛이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베이스 몸체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고,
    상기 걸림 유닛이 상기 걸림 상태에서 상기 걸림 해제 상태로 변경될 경우, 상기 탄성력 유닛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 몸체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유닛은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유닛의 일부에 걸려 있을 수 있는 걸림면과, 상기 베이스 몸체가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걸림 해제 상태에서 상기 걸림 상태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경사지게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슬라이딩(sliding)면을 갖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 및 상기 베이스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부가 상기 하우징 유닛의 일부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걸림부에 걸림 탄성력을 제공하는 걸림 탄성부; 및
    상기 걸림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유닛에 형성된 이동 가이드홀을 관통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으로 또는 상기 일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이동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탄성부는
    상기 걸림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U-자 또는 V-자의 형상을 갖도록 상기 걸림부와 일체화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와 마주하는 상기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는,
    상기 이동 가이드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상기 이동 가이드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우징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걸림부는
    상기 걸림부의 상기 걸림면이 걸려질 수 있는 하우징 걸림면과, 상기 베이스 몸체가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걸림 해제 상태에서 상기 걸림 상태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상기 걸림부의 상기 슬라이딩면과 슬라이딩되도록 접촉하는 하우징 슬라이딩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에는,
    상기 걸림 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걸림 유닛을 고정시킬 수 있는 걸림유닛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 몸체는
    상기 베이스 몸체로부터 상기 일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스토핑 메인 몸체부;
    상기 베이스 몸체 및 상기 스토핑 메인 몸체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몸체부; 및
    상기 스토핑 메인 몸체부로부터 상기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삽입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몸체부는
    상기 스토핑 메인 몸체부로부터 상기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3 방향으로의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몸체부의 상기 일측 방향으로의 단부는
    모서리가 제거되도록 라운드지거나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 몸체는
    상기 스토핑 메인 몸체부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범퍼 몸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유닛에는,
    상기 걸림 유닛이 상기 걸림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범퍼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도록, 범퍼 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 몸체부는
    상기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3 방향으로의 두께가 감소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라운드(round)지거나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몸체부는
    상기 스토핑 몸체로 가해져 상기 베이스 몸체로 전달되는 힘의 적어도 일부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몸체부는
    적어도 한 번이 굴곡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유닛은
    하우징 하부 몸체; 및
    상기 하우징 하부 몸체로부터 상기 제3 방향 측에 배치되고, 상기 오픈부가 형성된 상기 내부 공간을 갖도록 상기 하우징 하부 몸체와 결합된 하우징 상부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유닛은
    상기 하우징 하부 몸체 및 상기 하우징 상부 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회전축을 따라 형성된 하우징 회전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몸체는
    상기 하우징 회전축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회전축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몸체는
    상기 하우징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 유닛은
    상기 베이스 몸체를 상기 하우징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회전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torsion)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회전 탄성력을 생성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 회전축부를 관통시켜 상기 하우징 회전축부과 결합된 토션 스프링 몸체;
    상기 토션 스프링 몸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와 결합된 제1 토션 스프링 다리; 및
    상기 토션 스프링 몸체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 유닛과 결합된 제2 토션 스프링 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몸체는
    상기 제1 토션 스프링 다리와 결합되어 상기 제1 토션 스프링 다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1 스프링 다리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유닛은
    상기 제2 토션 스프링 다리와 결합되어 상기 제2 토션 스프링 다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2 스프링 다리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에 형성된 상기 회전축 수용부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 몸체를 수용하기 위한 스프링 몸체 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 다리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 몸체 중 상기 토션 스프링과 마주하는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토션 스프링 다리를 수용하여 결합될 수 있는 제1 스프링 다리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몸체 중 상기 토션 스프링과 마주하는 일면에는,
    상기 베이스 몸체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일 회전 방향으로 또는 상기 일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토션 스프링 다리를 수용하는 제2 스프링 다리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KR1020210132877A 2021-10-07 문 스토퍼 KR102682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877A KR102682872B1 (ko) 2021-10-07 문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877A KR102682872B1 (ko) 2021-10-07 문 스토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870A true KR20230049870A (ko) 2023-04-14
KR102682872B1 KR102682872B1 (ko) 2024-07-08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14238B2 (ja) 動くことができるようにして枠に取付けられている閉鎖部材の動く範囲を制限する制限装置
KR20210065148A (ko) 도어 오프너
KR20230049870A (ko) 문 스토퍼
KR102682872B1 (ko) 문 스토퍼
KR101091801B1 (ko) 도어 보조 잠금장치
KR20230049871A (ko) 문 스토퍼
KR102682875B1 (ko) 문 스토퍼
JPH10169284A (ja) 開き障子の開き止め
KR102532415B1 (ko) 문 스토퍼
KR101722709B1 (ko) 건축용 안전 창문구조
KR100647860B1 (ko)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KR200495175Y1 (ko) 미닫이 창문용 열림방지장치
KR0136555Y1 (ko) 미닫이문 자동괘정구
KR101057529B1 (ko) 투 포인트 타입 도어 로킹 장치
JP4220540B2 (ja) 錠装置および建具
KR101661462B1 (ko) 미닫이 문 잠금장치
KR102346960B1 (ko) 창문 잠금장치
KR102260129B1 (ko)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KR200203653Y1 (ko) 창문 자동 잠금장치
JP2001164817A (ja) 窓用開口制限装置
KR101115424B1 (ko) 창호용 버튼식 자동잠금장치
KR102416155B1 (ko) 손끼임 방지 장치
KR102284723B1 (ko)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
JP2023062783A (ja) 開口制限装置
KR20090071506A (ko) 미닫이문의 잠금부 록킹 해제기능을 갖는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