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6744A -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744A
KR20200126744A KR1020190050791A KR20190050791A KR20200126744A KR 20200126744 A KR20200126744 A KR 20200126744A KR 1020190050791 A KR1020190050791 A KR 1020190050791A KR 20190050791 A KR20190050791 A KR 20190050791A KR 20200126744 A KR20200126744 A KR 20200126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information
service provider
work
provid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6743B1 (ko
Inventor
지승현
Original Assignee
지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승현 filed Critical 지승현
Priority to KR1020190050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743B1/ko
Publication of KR20200126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06Q30/0629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for generating compari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의 일감연결 플랫폼에 만들고자 하는 옷의 작업지시서, 도식화된 자료, 샘플 사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업로드하고 견적을 요청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옷 제작 관련 자료 업로드 및 견적 요청에 따라,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 의해 일감 정보를 상기 봉제공장 단말기들에 제공하고 견적을 요청하는 단계; 봉제공장 단말기(들)에 의해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로부터 일감 정보 및 견적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견적서를 발송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봉제공장 단말기들로부터 발송된 견적서를 수신하고, 임의의 봉제공장을 선택하여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 해당 봉제공장에 대한 정보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봉제공장에 대한 정보 제공 요청에 따라 해당 봉제공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해당 봉제공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봉제공장 단말기로 옷의 제작을 의뢰하고, 해당 봉제공장 단말기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옷의 제작 의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arative estimate and information of sewing manufacturers using work connection platform}
본 발명은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디자이너는 원하는 봉제업체와 쉽게 연결될 수 있고, 봉제업체는 일감을 쉽게 확보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업체는 일감연결 플랫폼 및 봉제업체 정보 제공을 통해 상응하는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와 전자 마케팅 등을 통한 상거래 시스템이 급속히 확대되었다. 이러한 서비스는 고객이 물건을 구입하기 위하여 매장을 직접 방문하고 물품을 선택하던 종래의 상거래 시스템을 획기적으로 바꾸어 놓는 계기가 되었다. 그에 따라 고객은 매장을 방문하지 않고도 가정에서 특정 상품을 검색하여 원하는 상품을 구매하거나 결제 및 특정 서비스를 주문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자 상거래를 구현한 쇼핑몰 사이트를 방문하여 여러 가지 제품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필요한 물품을 구입할 수도 있고,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의 쇼핑몰 사이트에도 접속하여 물품을 손쉽게 주문할 수가 있다. 이러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의류에 있어서는 비교적 전자상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이유 중 하나로 의류는 사용자가 직접 실물을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져보거나 착용해 봄으로써 비로소 해당 물품(의류)에 대한 만족감이나 신뢰감이 생기게 되는 까다로운 특성 때문이다.
한편, 이상과 같은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및 온라인 쇼핑몰 환경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봉제공장들의 생산 방식은 디자이너가 봉제공장을 소개받아 해당 디자이너로부터 일감을 받거나, 디자이너 혹은 전통시장 도매상들이 기존 거래처(봉제공장)에 일감을 주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바쁜 시즌에 일감이 집중되다 보면, 봉제공장 측에서는 다른 오더가 들어와도 미처 생산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기존의 이와 같은 일감 수주 방식을 개선하여 일감 의뢰자(디자이너, 전통시장 도매상가, 인터넷 쇼핑몰 등)와 일감 수주자(봉제공장) 간에 긴밀한 커뮤니케이션을 바탕으로 일감 의뢰 및 수주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일감 수급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1856호(특허문헌 1)에는 "의류 생산 관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 바, 이에 따른 의류 생산 관리 장치는 의뢰인, 디자이너 및 생산업자의 단말기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의뢰인, 디자이너 및 생산업자들에 대한 정보와 의류 생산 관련 계약을 체결한 계약 의뢰인, 계약 디자이너 및 계약 생산업자에 의해 생성된 의류 생산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의류 생산 정보들을 계약 의뢰인, 계약 디자이너 및 계약 생산업자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의뢰인 단말기를 통해 디자이너 구인정보가 수신되면, 의뢰인의 의류 생산 일정이 포함된 구인정보 캘린더를 생성하고, 디자이너 단말기로부터 구직정보가 수신되면 디자이너의 일정이 포함된 구직정보 캘린더를 생성하며, 생산업자 단말기를 통해 생산업자가 작업 진행 중인 상품의 입/출고 예정일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생산일정 캘린더를 생성하고, 상기 캘린더들을 제공할 때, 상기 의뢰인, 디자이너 및 생산업자들 각각의 신뢰정보를 제공하여, 의뢰인, 디자이너, 생산업자가 상호 간의 조건들과 신뢰정보를 이용하여 구인, 구직 및 생산의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특허문헌 1의 경우, 의뢰인은 원하는 디자이너에게 의류의 디자인을 의뢰할 수 있고, 디자이너는 많은 의뢰인 및 생산업자들을 확보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생산업자는 생산 중인 모든 의류의 입고/출고/출고 예정일 등을 데이터화 할 수 있는 장점(혹은 효과)이 있겠으나, 모든 정보를 의류 생산 관리 장치의 저장부에 저장하고, 의류 생산 관리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정보의 제공을 관리 및 통제하도록 되어 있어 의류 생산 관리 장치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예를 들면, 시스템 오류 및 기타 통신 장애 등)에는 의뢰인, 디자이너 및 생산업자가 모두 곤란한 상황에 처해지거나 피해를 입게 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1856호(2017.02.02. 공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항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디자이너가 만들고자 하는 옷의 작업지시서, 도식화된 자료, 샘플 사진 등을 비교견적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의 일감연결 플랫폼에 업로드하면, 특성에 맞는 봉제업체들에 일감이 소개되고 봉제업체들이 그것에 대한 봉제 견적서를 해당 디자이너에게 직접 발송하고, 견적서를 받아본 디자이너가 임의의 봉제업체를 선택하여 해당 봉제업체에 대한 정보를 요구 시 일정 수수료를 받고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디자이너는 원하는 봉제업체와 쉽게 연결될 수 있고, 봉제업체는 일감을 쉽게 확보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업체는 일감연결 플랫폼 및 봉제업체 정보 제공을 통해 상응하는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 접속하여 만들고자 하는 옷의 작업지시서, 도식화된 자료, 샘플 사진 등을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의 일감연결 플랫폼에 업로드하고, 서비스 제공업체 측에 견적을 요청하며, 봉제공장들로부터 발송된 견적서를 수신하고, 봉제공장을 선택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측에 해당 봉제공장에 대한 정보 제공을 요청 및 서비스 제공업체 측으로부터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봉제공장에 옷의 제작을 의뢰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봉제공장들 및 각종 봉제 관련 업체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만들고자 하는 옷의 작업지시서, 도식화된 자료, 샘플 사진 등을 업로드할 수 있는 일감연결 플랫폼과, 회원 가입 및 로그인 페이지, 견적문의, 생산의뢰 및 업체검색 페이지, 관리자 페이지 등을 제공하고, 사용자 측에 의해 옷 제작 관련 자료가 업로드되고 견적 요청이 있을 경우, 일감 정보를 봉제공장들에 제공하고 견적을 요청하며, 사용자가 봉제공장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시 해당 봉제공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 접속하여 업체 등록을 수행하고 월정액 서비스를 신청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로부터 일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견적서를 발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옷의 제작 의뢰를 수신하는 봉제공장 단말기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는 서비스 제공업체의 회사 내부에 단일 서버로 구축되거나 회사 외부에 클라우드(cloud) 서버로 구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는 봉제공장들의 의류 생산 능력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모니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봉제공장들의 의류 기본 생산 능력(capacity, 이하 'capa'로 칭함)은 15∼20개로 주어질 수 있고, 평균 의류 제작 기간은 15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디자이너)의 선택을 받으면 capa가 한 개씩 차감되고, capa가 한 개 차감된 날로부터 15일 후에 capa가 한 개씩 다시 생성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또한 상기 모니터는 봉제공장들의 의류 생산 능력을 실시간으로 표시함에 있어서, capa가 15∼20개에 가까운 업체부터 화면의 상단에 표시하고, capa가 0에 가까운 업체부터 화면의 하단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 PC, 노트북 PC,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제공장 단말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 PC, 노트북 PC, 태블릿 PC, PDA,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 및 봉제공장 단말기를 포함하는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에 기반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의 일감연결 플랫폼에 만들고자 하는 옷의 작업지시서, 도식화된 자료, 샘플 사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업로드하고 견적을 요청하는 단계와;
b)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옷 제작 관련 자료 업로드 및 견적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 의해 일감 정보를 상기 봉제공장 단말기들에 제공하고 견적을 요청하는 단계와;
c) 상기 봉제공장 단말기(들)에 의해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로부터 일감 정보 및 견적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견적서를 발송하는 단계와;
d)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봉제공장 단말기들로부터 발송된 견적서를 수신하고, 임의의 봉제공장을 선택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 해당 봉제공장에 대한 정보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와;
e)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봉제공장에 대한 정보 제공 요청에 따라 해당 봉제공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f)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해당 봉제공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봉제공장 단말기로 옷의 제작을 의뢰하고, 해당 봉제공장 단말기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옷의 제작 의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는 서비스 제공업체의 회사 내부에 단일 서버로 구축되거나 회사 외부에 클라우드(cloud) 서버로 구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는 봉제공장들의 의류 생산 능력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모니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봉제공장들의 의류 기본 생산 능력(capacity, 이하 'capa'로 칭함)은 15∼20개로 주어질 수 있고, 평균 의류 제작 기간은 15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디자이너)의 선택을 받으면 capa가 한 개씩 차감되고, capa가 한 개 차감된 날로부터 15일 후에 capa가 한 개씩 다시 생성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또한 상기 모니터는 봉제공장들의 의류 생산 능력을 실시간으로 표시함에 있어서, capa가 15∼20개에 가까운 업체부터 화면의 상단에 표시하고, capa가 0에 가까운 업체부터 화면의 하단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 PC, 노트북 PC,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제공장 단말기로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 PC, 노트북 PC, 태블릿 PC, PDA,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디자이너가 만들고자 하는 옷의 작업지시서, 도식화된 자료, 샘플 사진 등을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의 일감연결 플랫폼에 업로드하면, 특성에 맞는 봉제업체들에 일감이 소개되고 봉제업체들이 그것에 대한 봉제 견적서를 해당 디자이너에게 직접 발송하고, 견적서를 받아본 디자이너가 임의의 봉제업체를 선택하여 해당 봉제업체에 대한 정보를 요구 시 일정 수수료를 받고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디자이너는 원하는 봉제업체와 쉽게 연결될 수 있고, 봉제업체는 일감을 쉽게 확보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업체는 일감연결 플랫폼 및 봉제업체 정보 제공을 통해 상응하는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서 제공하는 회원 가입 페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서 제공하는 로그인 페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서 제공하는 견적문의 페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서 제공하는 견적문의 상세페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서 제공하는 생산의뢰 페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서 제공하는 업체검색 페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서 제공하는 관리자 페이지의 견적문의 관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서 제공하는 관리자 페이지의 생산의뢰 관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서 제공하는 관리자 페이지의 회원관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10),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 (120) 및 봉제공장 단말기(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20)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20)에 접속하여 만들고자 하는 옷의 작업지시서, 도식화된 자료, 샘플 사진 등을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20)의 일감연결 플랫폼에 업로드하고, 서비스 제공업체 측에 견적을 요청하며, 봉제공장들로부터 발송된 견적서를 수신하고, 임의의 봉제공장을 선택하여 서비스 제공업체 측에 해당 봉제공장에 대한 정보 제공을 요청 및 서비스 제공업체 측으로부터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봉제공장에 옷의 제작을 의뢰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110)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 PC(110c), 노트북 PC(110b), 태블릿 PC(미도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미도시), 스마트폰(110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11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는 동대문시장, 남대문시장 등의 도매상가, 인터넷 쇼핑몰, 디자이너 브랜드, 기타 특정 단체나 대학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20)는 봉제공장들 및 각종 봉제 관련 업체들(예를 들면, 패션 봉제업체, 샘플 업체, 패턴 업체, 그레이딩 업체, 나염 및 자수 업체, 원단 업체, 부자재 업체 등)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DB)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만들고자 하는 옷의 작업지시서, 도식화된 자료, 샘플 사진 등을 업로드할 수 있는 일감연결 플랫폼과, 회원 가입 및 로그인 페이지, 견적문의, 생산의뢰 및 업체검색 페이지, 관리자 페이지 등을 제공하고, 사용자 측에 의해 옷 제작 관련 자료가 업로드되고 견적 요청이 있을 경우, 일감 정보를 봉제공장들에 제공하고 견적을 요청하며, 사용자가 봉제공장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시 해당 봉제공장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연락처(전화번호), 공장현황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20)는 서비스 제공업체의 회사 내부에 단일 서버로 구축되거나 회사 외부에 클라우드(cloud) 서버로 구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20)는 봉제공장들의 의류 생산 능력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모니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봉제공장들의 의류 기본 생산 능력(capacity, 이하 'capa'로 칭함)은 15∼20개로 주어질 수 있고, 평균 의류 제작 기간은 15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디자이너)의 선택을 받으면 capa가 한 개씩 차감되고, capa가 한 개 차감된 날로부터 15일 후에 capa가 한 개씩 다시 생성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게시판 형태로 운영되는 봉제공장 게시판에서는 사용자(예컨대, 디자이너)가 봉제공장의 capa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연락처가 블라인드(무표시) 처리된 봉제업체도 또한 연락처 보기가 클릭되면, capa가 15개(업체별로 상이함)에서 클릭 1번당 capa 1개가 차감되는 형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또한 상기 모니터는 봉제공장들의 의류 생산 능력을 실시간으로 표시함에 있어서, capa가 15∼20개에 가까운 업체부터 화면의 상단에 표시하고, capa가 0에 가까운 업체부터 화면의 하단에 표시할 수 있다.
봉제공장 단말기(130)는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20) 및 사용자 단말기 (110)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20)에 접속하여 업체 등록을 수행하고 월정액 서비스를 신청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 (120)로부터 일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 견적서를 발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옷의 제작 의뢰를 수신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봉제공장 단말기(13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데스크 탑 PC, 노트북 PC, 태블릿 PC, PDA,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또한 이상과 같은 봉제공장 단말기(130)와 관련하여 봉제공장(봉제업체)의 등록 및 월정액 서비스에 대해 부연 설명을 해보기로 한다.
봉제공장(봉제업체)이 본 발명의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봉제업체 비교견적 서비스, 봉제업체에 대한 정보 제공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우선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 접속하여 사전에 업체 등록(회원 가입)을 먼저 해야 한다. 이때, 봉제공장(봉제업체)에서는 대표자명, 업체명, 주소, 전화번호(회사 전화번호 및 업체대표 휴대폰 번호), 이메일 주소(회사 이메일 주소 또는 업체대표 개인 이메일 주소), FAX 번호 등을 계정 정보로서 기재해야 한다. 이와 같이 업체 등록(회원 가입)을 한 후, 월정액 서비스 신청(예를 들면, 서비스 이용료: 50,000원/월)을 하면 월정액 서비스 가입 회원으로 등재된다. 그리고 이러한 월정액 서비스 가입 회원(봉제공장/봉제업체)은 견적을 요청한 사용자(예컨대, 디자이너)에게 견적서를 발송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일감을 수주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이용료(50,000원/월)와 관련하여 설명을 조금 더 부가해 보기로 한다.
봉제업체가 서비스 제공업체에 월정액 서비스 신청에 따른 서비스 이용료로 월 50,000원을 지불(납입)함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업체(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는이를 충전방식으로 운영(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봉제업체가 50,000원이라는 금액을 충전해 놓은 상태에서(이때, 봉제업체의 전화번호는 블라인드(무표시) 상태임), 사용자(예를 들면, 디자이너)가 해당 봉제업체의 연락처 보기를 클릭했을 때, 블라인드가 해제되면서 2,000∼3,000원의 금액이 차감되는 형식으로 운영(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모바일로 봉제업체의 정보를 열람할 경우, 연락하기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전화연결이 이루어지면서 일정 금액이 차감되는 형식으로 운영(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을 바탕으로 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110),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20) 및 봉제공장 단말기(130)를 포함하는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 기반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먼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에 의해(예를 들면, 동대문시장의 도매상가 상인 또는 임의의 디자이너가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20)의 일감연결 플랫폼에 만들고자 하는 옷의 작업지시서, 도식화된 자료, 샘플 사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업로드하고 견적을 요청한다(단계 S201).
그러면,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2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에 의한 옷 제작 관련 자료 업로드 및 견적 요청에 따라, 일감 정보를 봉제공장 단말기(130)들에 제공하고 견적을 요청한다(단계 S202).
이에 따라, 봉제공장 단말기(130)들은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20)로부터 일감 정보 및 견적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 견적서를 발송한다(단계 S203). 이때, 봉제공장(봉제업체) 측에서 사용자 측으로 발송되는 견적서에는 견적서를 발행한 봉제공장(봉제업체)의 연락처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이상과 같이, 봉제공장 단말기(130)들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10)로 견적서가 발송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에 의해 봉제공장 단말기(130)들로부터 발송된 견적서를 수신하고, 그 중에서 임의의 봉제공장(예를 들면, 견적 금액과, 그동안의 작업 실적 등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봉제공장)을 선택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20)에 해당 봉제공장에 대한 정보(예컨대, 연락처) 제공을 요청한다(단계 S204). 이때, 사용자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정보 이용에 따른 수수료로 소정의 금액(예를 들면, 2000원/건당)을 서비스 제공업체 측에 지불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수수료와 관련하여, 반드시 이와 같이 서비스 제공업체 측에서 수수료를 받는(즉, 사용자가 수수료를 지불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즉, 서비스 제공업체 측의 운영방식의 다변화에 따라 수수료는 무료로 운영될 수도 있고, 초기 일정 시기(예를 들어, 3개월, 6개월 등)까지는 무료로 운영되다가 일정 시기 이후부터는 유료로 운영될 수도 있고, 그 반대로 초기 일정 시기까지는 유료로 운영되다가 일정 시기 이후부터는 무료로 운영될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의 봉제공장에 대한 정보 제공 요청에 따라 해당 봉제공장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제공한다(단계 S205). 여기서,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20)가 봉제공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반드시 이상과 같은 경우, 즉 사용자가 일감 정보를 제공하고, 견적을 요청하여 봉제공장들로부터 견적서를 받고, 그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봉제공장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 한해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아니며, 위에서와 같은 일감정보 제공 및 견적 요청과 상관없이 사용자가 단순히 봉제공장(들)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여 요청할 경우에도(이때에도 물론 정보 이용에 따른 수수료를 지불함)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20)는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에서도, 마찬가지로 서비스 제공업체 측의 운영방식의 다변화에 따라 수수료는 무료로 운영될 수도 있고, 초기 일정 시기(예를 들어, 3개월, 6개월 등)까지는 무료로 운영되다가 일정 시기 이후부터는 유료로 운영될 수도 있고, 그 반대로 초기 일정 시기까지는 유료로 운영되다가 일정 시기 이후부터는 무료로 운영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 의해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20)가 해당 봉제공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해당 봉제공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봉제공장 단말기(130)로 옷의 제작을 의뢰하고, 해당 봉제공장 단말기(13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의 옷의 제작 의뢰를 수신한다(단계 S206). 이후, 해당 봉제공장(봉제업체) 측에서는 일감 수주 내용에 따라 옷(의류) 제작 작업에 착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일련의 과정과 관련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20)는 서비스 제공업체의 회사 내부에 단일 서버로 구축되거나 회사 외부에 클라우드(cloud) 서버로 구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20)는 봉제공장들의 의류 생산 능력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모니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봉제공장들의 의류 기본 생산 능력(capacity, 이하 'capa'로 칭함)은 15∼20개로 주어질 수 있고, 평균 의류 제작 기간은 15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디자이너)의 선택을 받으면 capa가 한 개씩 차감되고, capa가 한 개 차감된 날로부터 15일 후에 capa가 한 개씩 다시 생성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게시판 형태로 운영되는 봉제공장 게시판에서는 사용자(예컨대, 디자이너)가 봉제공장의 capa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연락처가 블라인드(무표시) 처리된 봉제업체도 또한 연락처 보기가 클릭되면, capa가 15개(업체별로 상이함)에서 클릭 1번당 capa 1개가 차감되는 형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또한 상기 모니터는 봉제공장들의 의류 생산 능력을 실시간으로 표시함에 있어서, capa가 15∼20개에 가까운 업체부터 화면의 상단에 표시하고, capa가 0에 가까운 업체부터 화면의 하단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 PC(110c), 노트북 PC(110b), 태블릿 PC(미도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미도시), 스마트폰(110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제공장 단말기(130)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데스크 탑 PC(110c), 노트북 PC(110b), 태블릿 PC(미도시), PDA(미도시), 스마트폰(110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관련하여 설명을 더 부가해 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서 제공하는 회원 가입 페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는 서비스 제공업체(예를 들면, "어바옷") 서버에서 제공하는 회원 가입 페이지로서, 사용자(디자이너, 동대문 도매상가 등)(의뢰 고객)가 봉제공장(봉제업체)에 일감 제시와 함께 견적을 의뢰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의뢰 고객)는 먼저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20)에 접속하여 이와 같은 회원 가입 페이지에서 회원 가입 절차를 거치게 된다.
회원 가입 페이지에는 이름, 이메일, 비밀번호, 전화번호, 주거래업체 등을 기재하는 란이 마련되어 있고, 사용자(의뢰 고객)는 각 란에 해당 사항을 기재한 후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취급방침에 모두 동의하고, 본인인증을 거쳐 "가입하기" 버튼을 누름으로써 회원에 가입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서 제공하는 로그인 페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이는 로그인 페이지로서, 위의 도 3의 회원 가입 절차를 거쳐 회원에 가입한 회원의 경우, 이와 같은 로그인 페이지를 연 후 이메일 란 및 비밀번호 란에 각각 이메일 주소와 비밀번호를 기재한 후 "로그인" 버튼을 누름으로써 로그인하게 된다. 도 4의 (B)는 로그인 후의 열린 페이지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로그인 후의 페이지에는 "생산의뢰", "견적문의". "업체검색"란 등이 마련되어 있고, 또한 배너 광고란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배너 광고는 일정 시간마다 자동으로 다음 메뉴(다른 광고)로 변경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서 제공하는 견적문의 페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는 견적문의 페이지로서, 여기에는 "복종"(예를 들면, 남성복, 여성복)과 "품목"(예를 들면, 바지, 원피스)을 선택할 수 있는 란과, "총수량"(예를 들면, 100장)을 기재하는 란, "견적받을 제품의 상세설명"란, "전화번호" 및 "납입기한" 기재란, 참고사진(샘플 및 도면사진)을 게재할 수 있는 란 등이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복종" 및 "품목"은 중복으로 선택할 수 없고, 한 가지씩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전화번호 비공개를 체크하면 후술하는 견적문의 상세페이지에 전화번호가 노출되지 않는다. 사용자(의뢰 고객)는 이상과 같은 각 란에서 선택 사항을 선택하고, 해당 사항을 기재 및 샘플이나 도면사진을 게재한 후 "견적문의 하기" 버튼을 누름(클릭함)으로써 견적을 문의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서 제공하는 견적문의 상세페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는 견적문의 상세페이지로서, 도 5의 견적문의 페이지에기재된 내용과 관련하여 더 상세히 보여주는 페이지이다. 여기에는 작성자(작성자명), 연락처(전화번호), 납입기한, 의뢰자 주거래 업체 등이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의뢰 고객)가 기재한 제품설명과 게재한 참고사진(샘플 및 도면사진)이 표시된다. 그리고 댓글란의 댓글 내용은 견적문의글 작성자와 댓글 작성자만이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댓글달기 란에 생산회원(봉제공장, 봉제업체)이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월정액 서비스에 가입하거나 견적제공 비용(예를 들면, 2000원)을 지불함으로써 댓글을 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서 제공하는 생산의뢰 페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는 생산의뢰 페이지로서, 여기에는 사용자(의뢰 고객)가 의뢰하는 내용을 요약하여 기재하는 란과, "생산의뢰할 제품의 상세설명"을 기재하는 란과, "전화번호" 및 "납기기한" 기재란, 참고사진(샘플 및 도면사진) 게재란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뢰 고객)는 이상과 같은 각 란에 해당 사항을 기재하고, 샘플이나 도면사진을 게재한 후 "생산의뢰 하기" 버튼을 누름(클릭함)으로써 생산을 의뢰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서 제공하는 업체검색 페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는 업체검색 페이지로서, 여기에는 "복종" 및 "업종"(예를 들면, 재단 업체, 샘플 업체, 봉제공장, 직기공장, 원단업체, 부자재업체, 나염업체, 패턴업체, 자수업체, 프린팅 업체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란과, 각 업체(봉제업체)에 대한 정보가 실려있는 란 및 업체정보 미리보기 란 등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뢰 고객)는 이상과 같은 란에서 선택하고, 해당 업체 란을 클릭함으로써 업체들에 대해 검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서 제공하는 관리자 페이지의 견적문의 관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는 관리자 페이지의 견적문의 관리 페이지로서, 여기에는 견적문의건들을 관리할 수 있는 란이 마련되어 있다. 각 견적문의 관리란에는 작성자 성명, 제목, 복종, 품목, 수량 정보, 달린 댓글 수 등이 표시된다. 따라서, 관리자(서비스 제공업체의 담당자)는 이를 바탕으로 각 견적문의 건을 관리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서 제공하는 관리자 페이지의 생산의뢰 관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는 관리자 페이지의 생산의뢰 관리 페이지로서, 여기에는 생산의뢰건들을 관리할 수 있는 테이블이 마련되어 있다. 각 생산의뢰 건에는 제목(의뢰내용 한 줄 요약), 작성자, 상태가 표시되고, 생산이 중단되었을 경우에는 그 생산중단 사유도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관리자(서비스 제공업체의 담당자)는 이를 바탕으로 각 생산의뢰 건을 관리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서 제공하는 관리자 페이지의 회원관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는 관리자 페이지의 회원관리 페이지로서, 여기에는 회원들을 관리할 수 있는 테이블이 마련되어 있다. 각 회원에 대해서는 성명, 이메일, 견적문의 수, 생산의뢰 수 등이 표시된다. 따라서, 관리자(서비스 제공업체의 담당자)는 이를 바탕으로 각 회원을 관리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디자이너가 만들고자 하는 옷의 작업지시서, 도식화된 자료, 샘플 사진 등을 비교견적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의 일감연결 플랫폼에 업로드하면, 특성에 맞는 봉제업체들에 일감이 소개되고 봉제업체들이 그것에 대한 봉제 견적서를 해당 디자이너에게 직접 발송하고, 견적서를 받아본 디자이너가 임의의 봉제업체를 선택하여 해당 봉제업체에 대한 정보를 요구 시 서비스 제공업체는 일정 수수료를 받고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디자이너는 원하는 봉제업체와 쉽게 연결될 수 있고, 봉제업체는 일감을 쉽게 확보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업체는 일감연결 플랫폼 및 봉제업체 정보 제공을 통해 상응하는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은 봉제공장과 디자이너 및 의류제작자를 연결하는 일감연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일감 연결 및 봉제업체 홍보, 의류제작자의 견적문의 및 업체검색 서비스 등을 통해 빠르고 원활하게 일감을 주고받을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사용자 단말기 110a: 스마트폰
110b: 노트북 PC 110c: 데스크탑 PC
120: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 130: 봉제공장 단말기

Claims (14)

  1.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 접속하여 만들고자 하는 옷의 작업지시서, 도식화된 자료, 샘플 사진 등을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의 일감연결 플랫폼에 업로드하고, 서비스 제공업체 측에 견적을 요청하며, 봉제공장들로부터 발송된 견적서를 수신하고, 봉제공장을 선택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측에 해당 봉제공장에 대한 정보 제공을 요청 및 서비스 제공업체 측으로부터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봉제공장에 옷의 제작을 의뢰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봉제공장들 및 각종 봉제 관련 업체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만들고자 하는 옷의 작업지시서, 도식화된 자료, 샘플 사진 등을 업로드할 수 있는 일감연결 플랫폼과, 회원 가입 및 로그인 페이지, 견적문의, 생산의뢰 및 업체검색 페이지, 관리자 페이지 등을 제공하고, 사용자 측에 의해 옷 제작 관련 자료가 업로드되고 견적 요청이 있을 경우, 일감 정보를 봉제공장들에 제공하고 견적을 요청하며, 사용자가 봉제공장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시 해당 봉제공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 접속하여 업체 등록을 수행하고 월정액 서비스를 신청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로부터 일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견적서를 발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옷의 제작 의뢰를 수신하는 봉제공장 단말기를 포함하는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는 서비스 제공업체의 회사 내부에 단일 서버로 구축되거나 회사 외부에 클라우드(cloud) 서버로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는 봉제공장들의 의류 생산 능력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모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공장들의 의류 기본 생산 능력(capacity, 이하 'capa'로 칭함)은 15∼20개로 주어질 수 있고, 평균 의류 제작 기간은 15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디자이너)의 선택을 받으면 capa가 한 개씩 차감되고, capa가 한 개 차감된 날로부터 15일 후에 capa가 한 개씩 다시 생성되는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는 봉제공장들의 의류 생산 능력을 실시간으로 표시함에 있어서, capa가 15∼20개에 가까운 업체부터 화면의 상단에 표시하고, capa가 0에 가까운 업체부터 화면의 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 PC, 노트북 PC,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공장 단말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 PC, 노트북 PC, 태블릿 PC, PDA, 스마트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
  8. 사용자 단말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 및 봉제공장 단말기를 포함하는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에 기반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의 일감연결 플랫폼에 만들고자 하는 옷의 작업지시서, 도식화된 자료, 샘플 사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업로드하고 견적을 요청하는 단계와;
    b)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옷 제작 관련 자료 업로드 및 견적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 의해 일감 정보를 상기 봉제공장 단말기들에 제공하고 견적을 요청하는 단계와;
    c) 상기 봉제공장 단말기(들)에 의해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로부터 일감 정보 및 견적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견적서를 발송하는 단계와;
    d)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봉제공장 단말기들로부터 발송된 견적서를 수신하고, 임의의 봉제공장을 선택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 해당 봉제공장에 대한 정보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와;
    e)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봉제공장에 대한 정보 제공 요청에 따라 해당 봉제공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f)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해당 봉제공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봉제공장 단말기로 옷의 제작을 의뢰하고, 해당 봉제공장 단말기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옷의 제작 의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는 서비스 제공업체의 회사 내부에 단일 서버로 구축되거나 회사 외부에 클라우드(cloud) 서버로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는 봉제공장들의 의류 생산 능력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모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공장들의 의류 기본 생산 능력(capacity, 이하 'capa'로 칭함)은 15∼20개로 주어질 수 있고, 평균 의류 제작 기간은 15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디자이너)의 선택을 받으면 capa가 한 개씩 차감되고, capa가 한 개 차감된 날로부터 15일 후에 capa가 한 개씩 다시 생성되는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는 봉제공장들의 의류 생산 능력을 실시간으로 표시함에 있어서, capa가 15∼20개에 가까운 업체부터 화면의 상단에 표시하고, capa가 0에 가까운 업체부터 화면의 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 PC, 노트북 PC,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공장 단말기로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 PC, 노트북 PC, 태블릿 PC, PDA, 스마트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방법.
KR1020190050791A 2019-04-30 2019-04-30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276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791A KR102276743B1 (ko) 2019-04-30 2019-04-30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791A KR102276743B1 (ko) 2019-04-30 2019-04-30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744A true KR20200126744A (ko) 2020-11-09
KR102276743B1 KR102276743B1 (ko) 2021-07-13

Family

ID=73429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791A KR102276743B1 (ko) 2019-04-30 2019-04-30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7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879B1 (ko) 2021-06-01 2022-01-05 주식회사 일감플러스 일감 연결 시스템
KR20220163305A (ko) 2021-12-27 2022-12-09 주식회사 일감플러스 일감 연결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3235A (ja) * 2000-08-22 2002-02-28 Toray Ind Inc 成型品受発注システムおよび成型品の製造方法
KR20030058966A (ko) * 2003-02-07 2003-07-07 김지현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품 직거래 정보 공유 방법
KR20170011856A (ko) 2015-07-24 2017-02-02 주식회사 제이엔 의류 생산 관리 장치
KR20170087584A (ko) * 2016-01-20 2017-07-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객 맞춤 제품 생산을 위한 스마트 제조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09767A (ko) * 2017-03-28 2018-10-08 황큰별 온라인 중개 시스템 및 중개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3235A (ja) * 2000-08-22 2002-02-28 Toray Ind Inc 成型品受発注システムおよび成型品の製造方法
KR20030058966A (ko) * 2003-02-07 2003-07-07 김지현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품 직거래 정보 공유 방법
KR20170011856A (ko) 2015-07-24 2017-02-02 주식회사 제이엔 의류 생산 관리 장치
KR20170087584A (ko) * 2016-01-20 2017-07-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객 맞춤 제품 생산을 위한 스마트 제조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09767A (ko) * 2017-03-28 2018-10-08 황큰별 온라인 중개 시스템 및 중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879B1 (ko) 2021-06-01 2022-01-05 주식회사 일감플러스 일감 연결 시스템
KR20220163305A (ko) 2021-12-27 2022-12-09 주식회사 일감플러스 일감 연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743B1 (ko) 202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1619B2 (en) Gift messaging based customer acquisition
US200100321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 on-line private marketplace
US2013022669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ed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TW201604816A (zh) 忠誠度系統
KR100710486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미션 이벤트 서비스 방법
US20110125611A1 (en) Optimized Electronic Commerce Transactions
KR101995040B1 (ko) 인터넷 쇼핑몰의 회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76743B1 (ko)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2091818A (ja) 企業間のデータファイル共有・交換システム、および業務協働システム
JP6975472B2 (ja) Sns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snsを用いたマーケティングオートメーション方法及び表示方法
JP7191364B2 (ja) 報告支援サーバ、報告支援システム、報告支援方法、及び報告支援プログラム
TW201702971A (zh) 不動產自售的使用者設備及系統
WO2004063958A1 (ja) 受注支援システムおよび受注支援方法
KR20020023558A (ko) 표준주택모델을 이용한 맞춤형 건축시스템
JP2005500586A (ja) 商品等受注システム及び商品等受注方法を含む、商品生産・企画・販売・受注を統合する装置と方法、およびシステム
WO2002054306A1 (fr) Systeme de gestion de magasin electronique
KR20220013168A (ko) 섬유제품 제조사의 해외 판로 구축을 위한 플랫폼 시스템
JP7297111B1 (ja) 業務マッチングシステム、業務マッチング方法及び業務マッチングプログラム
JP202403194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72957B1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722345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2342620A (ja)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て運用される住宅建設資材の受発注支援システム
KR20000036804A (ko) 정보 통신 기기의 쇼핑 및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hursheed et al. Nice PC Maker: An Online Interface to build Custom PCs
AU20012433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jobs, managing financing, and/or providing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