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4978A - 쇄클장치 - Google Patents

쇄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4978A
KR20200124978A KR1020190048529A KR20190048529A KR20200124978A KR 20200124978 A KR20200124978 A KR 20200124978A KR 1020190048529 A KR1020190048529 A KR 1020190048529A KR 20190048529 A KR20190048529 A KR 20190048529A KR 20200124978 A KR20200124978 A KR 20200124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od
clasp
insulator
stick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048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4978A/ko
Publication of KR20200124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9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애자를 완철에 연결하는 쇄클장치는, 전주에 설치된 완철에 결합되는 쇄클부, 상기 쇄클부에 결합된 완철을 관통하여 상기 쇄클부에 고정되는 고정핀, 상기 쇄클부에 걸이식으로 결합되는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에 구비되어 애자에 결합되는 애자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대는 벤딩된 형상을 가져 상기 연결대의 길이 방향의 제1 측이 상기 쇄클부에 걸이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대의 길이 방향의 제2 측은 개구된 형상을 갖는다.

Description

쇄클장치{SHACKLE APPARATUS}
본 발명은 쇄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완철에 결합되어 애자를 완철에 연결하는 쇄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배전선로의 전체 구성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주(100)를 사이에 두고 완철들(101)이 전주(100)에 고정된다. 애자(102)의 일단부는 쇄클장치(106)를 통해 완철(101)에 고정되고, 애자(102)의 타단부는 전력선(104)에 연결된다.
또한, 도면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클램프(미도시)는 애자(102)에 결합된 전력선(104)을 클램핑하여 전력선(104)을 인장 고정하며, 전주(1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애자(102)에 연결된 전력선들(104)은 별도의 점프선(105)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쇄클장치(106)는 애자(102)를 상하방향으로 유동되게 하는 동시에 축 방향으로 회전을 가능하게 하여 외부의 강풍과 같은 충격을 완충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하지만, 도 1에 도시된 방식으로 완철(101)에 쇄클장치(106)를 설치하는 경우에, 완철(101)에서 쇄클장치(106)가 설치되는 부분에 장력이 편중되어 완철(101)이 틀어지거나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쇄클장치(106)는 외부 환경에 의해 회전되되, 쇄클장치(106)의 회전에 대한 복원력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인접한 전력선들 또는 점퍼선들 간의 혼촉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선로 상에서 외부 환경에 의해 회전하는 쇄클장치에 복원력을 부여하여 전력선들 또는 점퍼선들을 안정적으로 전주에 가설시키며, 완철에 대해 양방향으로 설치되어 완철에 장력이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며, 완철에 설치되는 쇄클장치의 자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쇄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자를 완철에 연결하는 쇄클장치는, 전주에 설치된 완철에 결합되는 쇄클부, 상기 쇄클부에 결합된 완철을 관통하여 상기 쇄클부에 고정되는 고정핀, 상기 쇄클부에 걸이식으로 결합되는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에 구비되어 애자에 결합되는 애자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대는 벤딩된 형상을 가져 상기 연결대의 길이 방향의 제1 측이 상기 쇄클부에 걸이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대의 길이 방향의 제2 측은 개구된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쇄클부는 상기 완철을 그립하는 그립부, 및 상기 그립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대에 걸이식으로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대는 상기 쇄클부의 상기 걸림부에 걸이식으로 결합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스틱 및 상기 바디의 타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스틱에 마주하는 제2 스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대의 길이 방향에 대한 제1 측에서 상기 바디가 위치하고, 상기 연결대의 길이 방향에 대한 제2 측에서 상기 제1 스틱의 단부가 상기 제2 스틱의 단부에 이격되도록 마주하여 상기 제2 측에서 상기 연결대는 개구된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애자연결부는 상기 제2 측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에 형성된 관통홀들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애자연결부는 상기 제1 스틱에 형성된 제1 홀과 상기 제2 스틱에 형성된 제2 홀로 정의되고, 상기 제1 홀은 상기 제2 홀에 중첩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자를 완철에 연결하는 쇄클장치는, 전주에 설치된 완철에 결합되는 쇄클부, 상기 쇄클부에 결합된 완철을 관통하여 상기 쇄클부에 고정되는 고정핀, 상기 쇄클부의 일 측에 걸이식으로 결합되는 제1 연결대, 상기 제1 연결대에 구비되어 애자에 결합되는 제1 애자연결부, 상기 쇄클부의 타 측에 걸이식으로 결합되는 제2 연결대, 및 상기 제2 연결대에 구비되어 다른 애자에 결합되는 제2 애자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쇄클장치에 강풍과 같은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에, 쇄클장치의 쇄클부와 연결대가 걸이식으로 결합되어 애자를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어 외력을 완충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쇄클장치가 외력에 의해 비틀어진 후에 복원력이 자체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쇄클장치와 이에 연결된 애자를 포함하는 배전설비가 최초 전주에 설치된 형상대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쇄클장치를 통해 완철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두 개의 애자들이 완철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애자들을 완철에 설치하는 데 필요한 쇄클장치의 개수가 감소되어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완철에 라인포스트 애자와 같이 다른 배전설비가 실장되는 공간의 확보가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완철에 결합된 양 방향의 쇄클장치를 통해 완철에 양 방향의 장력이 발생되므로, 완철에 작용하는 장력이 편향되어 완철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배전선로의 전체 구성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철에 결합된 쇄클장치, 애자 및 클램프 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쇄클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쇄클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쇄클장치의 연결대가 쇄클부에 걸이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평면상에서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쇄클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쇄클장치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효과는 도면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통해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응용되어 변형될 수도 있다. 오히려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기술 사상을 보다 명확히 하고,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후술될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한편, 하기 실시예와 도면 상에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철에 결합된 쇄클장치, 애자 및 클램프 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쇄클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쇄클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쇄클장치(200)는 전주(도 1의 100)에 설치된 완철(101)과 애자(102) 사이에 위치하여 애자(102)를 완철(101)에 연결시킨다. 애자(102)의 고정핀부(121)에 쇄클장치(200)가 결합되며, 애자(102)의 결합홀이 형성된 결합부(122)에 클램프(130)의 고정핀부(131)에 결합된다. 클램프(130)는 전력선(도 1의 104)을 클램핑하여 전력선을 고정하되, 클램프(130)는 클램핑된 전력선을 인장하여 전력선의 이도를 조정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쇄클장치(200)는 외력에 대응하여 애자(102)를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유동되게 하고, 쇄클장치(200)의 길이 방향을 축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외부의 강풍과 같은 외력을 완충하는 기능을 갖는다. 게다가, 이 실시예에서는 쇄클장치(200)는 축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되, 쇄클장치(200)의 구조에 의해 쇄클장치(200)는 회전에 대해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쇄클장치(200)에 강풍과 같은 외력이 발생되는 경우에, 쇄클장치(200)는 외력에 의해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외력을 완충하고, 쇄클장치(200)에 상기 외력이 해제된 이후에 쇄클장치(200)의 구조에 의해 쇄클장치(200)에 반시계 방향으로 복원력이 발생되어, 쇄클장치(200)와 이에 연결된 애자(102)를 포함하는 배전설비가 최초 전주에 설치된 형상대로 유지될 수 있다.
이하, 이 실시예에 따른 쇄클장치(200)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실시예에서는 쇄클장치(200)는 쇄클부(210), 고정핀(220), 연결대(230) 및 애자연결부(240)를 포함한다.
쇄클장치(200)에서 쇄클부(210)와 고정핀(220)은 쇄클장치(200)를 전주(도 1의 100)에 설치된 완철(101)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들로, 이 실시예에서는 쇄클부(210)는 그립부(211)와 걸림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쇄클부(210)에서 그립부(211)는 완철(101)을 그립하는 부분으로, 이 실시예에서는 그립부(211)는 집게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쇄클부(210)에서 걸림부(212)는 그립부(211)에 연결되어 연결대(230)에 걸이식으로 결합된다.
고정핀(220)은 쇄클부(210)에 그립된 완철(101)을 관통하여 쇄클부(210)에 고정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고정핀(220)은 볼트와 너트의 조합으로 쇄클부(210)를 완철(10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쇄클장치(200)가 완철(101)에 결합된 경우에는, 완철(101)은 그립부(211)의 집게 형상에서 개구된 부분을 통해 그립부(211)의 내부에 수용되며, 고정핀(220)은 그립부(211)의 내부에 수용된 완철(101)과 그립부(211)를 관통하는 형태로 그립부(211)를 완철(101)에 조일 수 있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쇄클부(210)의 그립부(211)가 완철(101)에 결합된 상태에서, 쇄클부(210)의 걸림부(212)는 완철(101)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걸림부(212)에 걸리는 방식으로 체결되는 연결대(230)가 배치되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연결대(230)는 쇄클부(210)에 걸이식으로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연결대(230)는 하나의 스틱이 벤딩된 형상을 갖는다. 연결대(230)를 다수의 구성요소들로 구분하는 경우에, 연결대(230)는 바디(BD), 제1 스틱(ST1) 및 제2 스틱(ST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대(230)에서 바디(BD)는 쇄클부(210)의 걸림부(212)에 걸이식으로 결합되는 부분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연결대(230)가 하나의 스틱이 벤딩된 형상을 갖는 경우에, 바디(BD)는 연결대(230)의 벤딩된 부분으로 걸림부(212)에 걸이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BD)가 걸림부(212)에 걸린 상태에서 연결대(230)에 제1 방향(DR1)으로 장력이 발생되는 경우에, 쇄클부(210)와 연결대(230) 간의 걸림방식의 결합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1 스틱(ST1)은 바디(BD)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제2 스틱(ST2)은 바디(BD)의 타 측으로부터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연결대(230)의 길이 방향에 대한 제1 측에서 바디(BD)가 걸림부(212)에 걸이식으로 결합된 경우에, 연결대(230)의 길이 방향에 대한 제2 측에서 제1 스틱(ST1)의 단부와 제2 스틱(ST2) 단부는 서로 마주하도록 이격된다. 따라서, 연결대(230)에서 바디(BD)에 대향하는 상기 제2 측에서 제1 및 제2 스틱들(ST1,ST2)이 상호 간에 이격되어 정의되는 개구부(235)가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연결대(230)의 개구부(235)는 연결대(230)가 쇄클부(210)에 걸이식으로 결합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4에 도 5를 더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쇄클장치의 연결대가 쇄클부에 걸이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평면상에서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4에 도 5를 더 참조하면, 쇄클장치(200)의 연결대(230)는 쇄클부(210)에 걸이식으로 결합된다. 연결대(230)를 쇄클부(210)에 걸이식으로 결합하는 방법적인 측면에서는, 연결대(230)에 정의된 개구부(235)를 쇄클부(210)의 걸림부(212) 측에 인접시킨 후에, 개구부(235)의 벌어진 틈 사이로 걸림부(212)를 위치시킨 이후에 연결대(230)를 제1 방향(DR1)으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연결대(230)의 바디(BD)가 걸림부(212)에 걸이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쇄클장치(200)의 애자연결부(240)가 애자(도 2의 102)에 체결된 경우에는, 애자에 체결된 인장기(도 2의 130)와 인장기에 연결된 전력선에 의해 제1 방향(DR1)으로 장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대(230)가 쇄클부(210)의 걸림부(212)에 걸림 방식으로 체결되더라도 연결대(230)에는 제1 방향(DR1)으로 지속적으로 장력이 작용되므로, 연결대(230)와 쇄클부(210) 간의 걸이식 체결이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쇄클장치(200)의 애자연결부(24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애자연결부(240)는 연결대(230)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로, 애자연결부(240)는 애자(102)에 연결된다. 연결대(230)의 길이 방향에 대한 제1 측에서 바디(BD)가 걸림부(212)에 걸이식으로 체결된다고 하면, 연결대(230)의 길이 방향에 대한 상기 제1 측과 대향하는 제2 측에 개구부(235)에 인접하여 애자연결부(240)가 위치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애자연결부(240)는 연결대(230)를 구성하는 제1 스틱(ST1)과 제2 스틱(ST2)에 형성된 관통홀(HL)로 정의될 수 있다. 관통홀(HL)은 제1 스틱(ST1)에 형성된 제1 홀(H1)과 제2 스틱(ST2)에 형성된 제2 홀(H2)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제1 홀(H1)과 제2 홀(H2)은 중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이 애자연결부(240)는 연결대(230)의 일 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된 관통홀(HL)로 정의되어, 쇄클장치(200)는 아이쇄클의 일 종류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애자연결부(240)의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애자연결부(240)은 볼 타입의 형상을 가져 쇄클장치(200)는 볼쇄클의 일 종류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쇄클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쇄클장치의 평면도이다.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쇄클장치(도 2의 200)는 완철(도 2의 101)을 기준으로 단 방향으로 연결되고, 이에 따라 완철(도 2의 101)에 하나의 쇄클장치(도 2의 200)를 설치함에 따라 완철(도 2의 101)에 하나의 애자(도 2의 102)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쇄클장치(200-1)는 완철(101)을 기준으로 양 방향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완철(101)에 하나의 쇄클장치(200-1)를 설치함에 따라 완철(101)에 두 개의 애자들을 연결할 수 있다. 이하,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완철(101)에 대해 양 방향으로 연결되는 쇄클장치(200-1)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도 6과 도 7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쇄클장치(200-1)는 쇄클부(210-1), 고정핀(220), 제1 연결대(230A), 제2 연결대(230B), 제1 애자연결부(240A) 및 제2 애자연결부(240B)를 포함한다.
쇄클장치(200-1)에서 쇄클부(210-1)와 고정핀(220)는 쇄클장치(200-1)를 전주(도 1의 100)에 설치된 완철(101)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들로, 이 실시예에서는 쇄클부(210-1)는 그립부(211-1), 제1 걸림부(212A) 및 제2 걸림부(212B)를 포함할 수 있다.
쇄클부(210-1)에서 그립부(211-1)는 완철(101)을 그립하는 부분이다. 또한, 제1 걸림부(212A)는 그립부(211-1)에 연결되어 제1 연결대(230A)에 걸이식으로 결합되고, 제2 걸림부(212B)는 그립부(211-1)에 연결되어 제2 연결대(230B)에 걸이식으로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그립부(211-1)는 완철(101)을 기준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지며, 제1 걸림부(212A)와 제2 걸림부(212B)는 완철(101)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연결대(230A)는 쇄클부(210-1)의 일 측에 걸이식으로 결합되며, 제2 연결대(230B)는 쇄클부(210-1)의 타 측에 걸이식으로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연결대(230A)와 제2 연결대(230B)의 각각은 하나의 스틱이 벤딩된 형상을 갖는 것으로, 제1 연결대(230A)와 제2 연결대(230B)의 각각의 형상은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연결대(도 2의 2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제1 연결대(230A)의 벤딩된 부분이 쇄클부(210-1)의 제1 걸림부(212A)에 걸이식으로 결합되며, 제2 연결대(230B)의 벤딩된 부분이 쇄클부(210-1)의 제2 걸림부(212B)에 걸이식으로 결합된다.
제1 애자연결부(240A)는 제1 연결대(230A)의 일 측에 위치하고, 제2 애자연결부(240B)는 제2 연결대(230B)의 일 측에 위치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앞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동일하게, 제1 애자연결부(240A)는 제1 연결대(230A)를 구성하는 스틱들의 서로 중첩된 부분에 형성된 제1 관통홀(HL1)로 정의될 수 있고, 제2 애자연결부(240B)는 제2 연결대(230B)를 구성하는 스틱들의 서로 중첩된 부분에 형성된 제2 관통홀(HL2)로 정의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것을 기준으로 할 때, 제1 애자연결부(240A)를 통해 제1 연결대(230A)의 좌측에 애자가 쇄클장치(200-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애자연결부(240B)를 통해 제2 연결대(230B)의 우측에 다른 애자가 쇄클장치(200-1)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쇄클장치(200-1)를 통해 완철(101)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두 개의 애자들이 완철(101)에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쇄클장치(200-1)의 구성에 따르면, 다수의 애자들을 완철(101)에 설치하는 데 필요한 쇄클장치(200-1)의 개수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완철(101)에 쇄클장치(200-1)를 설치함에 따라 완철(101)에 양 방향으로 장력이 발생되므로, 완철(101)에 작용하는 장력이 편향되어 완철(101)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1: 완철 200: 쇄클장치
210: 쇄클부 220: 고정핀
230: 연결대 240: 애자연결부
211: 그립부 212: 걸림부
HL: 관통홀 BD: 바디
ST1: 제1 스틱 ST2: 제2 스틱
235: 개구부

Claims (12)

  1. 애자를 완철에 연결하는 쇄클장치에 있어서,
    전주에 설치된 완철에 결합되는 쇄클부;
    상기 쇄클부에 결합된 완철을 관통하여 상기 쇄클부에 고정되는 고정핀;
    상기 쇄클부에 걸이식으로 결합되는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에 구비되어 애자에 결합되는 애자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대는 벤딩된 형상을 가져 상기 연결대의 길이 방향의 제1 측이 상기 쇄클부에 걸이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대의 길이 방향의 제2 측은 개구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쇄클부는,
    상기 완철을 그립하는 그립부; 및
    상기 그립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대에 걸이식으로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상기 쇄클부의 상기 걸림부에 걸이식으로 결합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스틱; 및
    상기 바디의 타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스틱에 마주하는 제2 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의 길이 방향에 대한 제1 측에서 상기 바디가 위치하고, 상기 연결대의 길이 방향에 대한 제2 측에서 상기 제1 스틱의 단부가 상기 제2 스틱의 단부에 이격되도록 마주하여 상기 제2 측에서 상기 연결대는 개구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클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애자연결부는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에 형성된 관통홀들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애자연결부는 상기 제1 스틱에 형성된 제1 홀과 상기 제2 스틱에 형성된 제2 홀로 정의되고, 상기 제1 홀은 상기 제2 홀에 중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클장치.
  7. 애자를 완철에 연결하는 쇄클장치에 있어서,
    전주에 설치된 완철에 결합되는 쇄클부;
    상기 쇄클부에 결합된 완철을 관통하여 상기 쇄클부에 고정되는 고정핀;
    상기 쇄클부의 일 측에 걸이식으로 결합되는 제1 연결대;
    상기 제1 연결대에 구비되어 애자에 결합되는 제1 애자연결부;
    상기 쇄클부의 타 측에 걸이식으로 결합되는 제2 연결대; 및
    상기 제2 연결대에 구비되어 다른 애자에 결합되는 제2 애자연결부;를 포함하는 쇄클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대는 벤딩된 형상을 가져 상기 제1 연결대의 길이 방향의 일 측이 상기 쇄클부의 일 측에 걸이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 연결대의 길이 방향의 타 측은 개구된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연결대는 벤딩된 형상을 가져 상기 제2 연결대의 길이 방향의 일 측이 상기 쇄클부의 타 측에 걸이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 연결대의 길이 방향의 타 측은 개구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클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쇄클부는,
    상기 완철을 그립하는 그립부;
    상기 그립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연결대에 걸이식으로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그립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연결대에 걸이식으로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클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대와 상기 제2 연결대의 각각은,
    상기 쇄클부의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 중 대응되는 하나에 걸이식으로 결합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스틱; 및
    상기 바디의 타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스틱에 마주하는 제2 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클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대와 상기 제2 연결대의 각각의 길이 방향에 대한 제1 측에서 상기 바디가 위치하고, 상기 제1 연결대와 상기 제2 연결대의 각각의 길이 방향에 대한 제2 측에서 상기 제1 스틱의 단부가 상기 제2 스틱의 단부에 이격되도록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클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애자연결부와 상기 제2 애자연결부의 각각은 상기 제1 스틱에 형성된 제1 홀과 상기 제2 스틱에 형성된 제2 홀로 정의되고, 상기 제1 홀은 상기 제2 홀에 중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클장치.
KR1020190048529A 2019-04-25 2019-04-25 쇄클장치 KR202001249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529A KR20200124978A (ko) 2019-04-25 2019-04-25 쇄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529A KR20200124978A (ko) 2019-04-25 2019-04-25 쇄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978A true KR20200124978A (ko) 2020-11-04

Family

ID=73571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529A KR20200124978A (ko) 2019-04-25 2019-04-25 쇄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49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1623B2 (en) Fitting for building structures and the like
US8820715B2 (en) Wire stringing angle clamp
JP2018064418A (ja) 架空電線分岐用治具およびこれを備えた架空電線分岐用装置
CA2194928A1 (en) Anchor for receiving cable bundling straps
US3997945A (en) Apparatus for exerting a compressive force including friction gripping device therefore
JP6533970B2 (ja) 架空線保持装置
US20140124234A1 (en) Antigalloping Device
JP4302068B2 (ja) 重錘落下防止機能を具備した防振装置
KR20200124978A (ko) 쇄클장치
JP2008178280A (ja) ケーブル留め具
US9620947B2 (en) Antigalloping device
JP2012253870A (ja) 架空配電線の装柱金具
JP2008137614A (ja) 電車線のドロッパ装置用クリップ
KR200336925Y1 (ko) 회전제어용 스토퍼를 갖는 현수애자용 쇄클
US9762043B2 (en) Impact-absorbing wire and cable fixture,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9455555B2 (en) Wire stringing angle clamp
JP2008172883A (ja) ケーブル把持金具及びそれを有するケーブル接続箱
KR19990073371A (ko) 두개의캠을이용한철선결속구
JP5211331B2 (ja) 電線把持部、ダンパー、および、ダンパーの取り付け構造
JP2017189055A (ja) 分線金物留め具
CN217355883U (zh) 可旋转固定座
KR200305198Y1 (ko) 광케이블 접속함체용 행거
JPH07298466A (ja) 引留クランプ装置
KR20220000723A (ko) 전선 스페이서
JPH09275620A (ja) 引留クランプの分岐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