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723A - 전선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전선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723A
KR20220000723A KR1020200078714A KR20200078714A KR20220000723A KR 20220000723 A KR20220000723 A KR 20220000723A KR 1020200078714 A KR1020200078714 A KR 1020200078714A KR 20200078714 A KR20200078714 A KR 20200078714A KR 20220000723 A KR20220000723 A KR 20220000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pacer
main body
support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5150B1 (ko
Inventor
정창욱
최진운
권세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78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150B1/ko
Publication of KR20220000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의 전선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전선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긴 봉 형상의 본체, 다양한 간격의 복수 개의 전선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본체에 결합되되 전선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위치의 본체에 결합되며 전선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 클램프를 포함하여 다양한 전선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게 간격 조정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선 스페이서 {ELECTRIC WIRE SPACER}
본 발명은 전선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전선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게 간격 조정이 가능한 전선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배전선로는 가공배전선로와 지중배전선로로 구분된다.
지중선로는 지중케이블을 관로를 사용하여 땅속에 매설하는 방식이다.
가공 배전선로는 철탑, 철주, 전주 등 지지물에 장주(완철)를 이용하여 가공전선을 지지하는 방식이다.
가공배전선로는 다수(보통 3개)전선으로 구성되며, 장주에 의해 전선간 이격을 이룬다.
가공 배전 선로의 경우 장경 간, 지지물경사, 완철 틀어짐, 수목접촉 등으로 전선 피복이 손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선이 손상되었을 때 전선 간 이격이 충분히 유지되지 못한 상태에서 강풍 등에 의해 전선이 유동하게 되면 전선 간에 상호 충돌이 발생하여 절연전선의 피복이 손상되고 결국에는 전선이 단선 되기도 한다.
따라서, 어떠한 상황에서도 전선 간의 이격을 충분히 유지하여 전 선간의 전기적 및 기계적 피로현상을 저감하기 위해 전선 스페이서가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선 스페이서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전선의 이격을 필요로하는 현장여건에 적용이 곤란하였다.
따라서,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다양한 전선의 이격이 가능한 수많은 규격의 전선스페이서가 요구된다.
도 1에는 종래의 전선 스페이서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전선 스페이서는 프레임 형태의 전선 스페이서 프레임(10)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연장부(40)가 돌출 형성되고, 연장부(40)에 전선(20b)을 장악하는 일측이 개구된 형상의 전선삽입부(30)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전선(20b)은 연장부(40)의 개구단부 사이로 삽입되고, 삽입된 후에는 파지되어 전선스페이서 프레임(10)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그런데, 종래의 전선 스페이서는 전선이 설치되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서, 즉, 전선삽입부(3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고정되는 형태로 마련됨에 따라 현장 여건 및 장주 형태에 따라 전선 간격이 달라지는 배전선로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서, 실제 현장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주 형태(보통, 창출, 편출장주)에 따라 선간 거리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전선간의 수평장력 또는 중력이나 풍력으로 인한 수직장력 등으로 전선삽입부의 전선 장악력이 저하됨에 따라 전선이 이탈하고, 전선 스페이서의 기능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전선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게 간격 조정이 가능하여 현장 여건 및 장주 형태에 따라 전선 간격이 달라지는 배전선로의 특성을 수용할 수 있어서, 실제 현장 적용이 가능한 전선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장주 형태(보통, 창출, 편출장주)에 따라 선간 거리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전선 간의 수평장력 또는 중력이나 풍력으로 인한 수직장력 등이 가해져도 전선 장악력을 유지할 수 있어서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고, 전선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전선의 다양한 규격으로 인해 전선이 다양한 크기로 마련되어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전선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전선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전선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긴 봉 형상의 본체, 다양한 간격의 복수 개의 전선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본체에 결합되되 전선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위치의 본체에 결합되며 전선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 클램프를 포함하는 전선 스페이서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는 절연봉, 절연봉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로 구비되어 절연봉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는 절연봉 내부에 내장되는 강성보강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 클램프는 본체에 지지되어 위치 고정되는 본체 지지부, 전선을 파지하는 전선 지지부, 본체 지지부와 전선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 클램프는 둘 이상의 스커트부의 외측에 안착되며 스커트부를 둘러싸며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 지지부는 둘 이상의 스커트부를 감싸도록 본체에 안착되는 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지지판으로 마련되고, 연결부는 지지판의 양단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스커트부를 감싸며 서로 체결되어 지지판을 본체에 고정시키고, 전선 지지부는 한쌍의 연결부의 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전선을 감싸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된 한쌍의 장악부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판은 스커트부에 안착되는 면에서 함몰 형성되어 스커트부가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연결부 중 어느 한측에는 걸림홀이 형성되고, 나머지 한측에는 걸림홀에 후크 체결되는 후크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한쌍의 연결부는 각각 걸림홀과 후크부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장악부는 어느 한측의 끝단의 내측과 나머지 한측의 끝단의 외측에 톱니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는 톱니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 클램프는 스커트부 사이의 절연봉에 체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 지지부는 일측이 절개된 'C'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개된 단부 사이로 본체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본체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 지지부는 절개된 단부 중 어느 한측 또는 양측에 토션스프링을 매개로 힌지 연결되어 절개된 단부 사이를 폐쇄하며 본체 삽입부의 내측으로만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본체 잠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 지지부는 절개된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각각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각각을 관통하는 볼트와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본체 체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선 지지부는 일측이 절개된 'C'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개된 단부 사이로 전선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전선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선 지지부는 절개된 단부 중 어느 한측 또는 양측에 토션스프링을 매개로 힌지 연결되어 절개된 단부 사이를 폐쇄하며 전선 삽입부의 내측으로만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전선 잠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선 지지부는 절개된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각각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각각을 관통하는 볼트와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된 결합부재가 체결되는 전선 체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는 일측이 본체 지지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이 전선 지지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봉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간접활선공구를 이용하여 본체의 철거시, 간접활선공구로 연결부를 절단하여 본체를 전선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전선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게 간격 조정이 가능하여 현장 여건 및 장주 형태에 따라 전선 간격이 달라지는 배전선로의 특성을 수용할 수 있어서, 실제 현장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장주 형태(보통, 창출, 편출장주)에 따라 선간 거리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전선 간의 수평장력 또는 중력이나 풍력으로 인한 수직장력 등이 가해져도 전선 장악력을 유지할 수 있어서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고, 전선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전선의 다양한 규격으로 인해 전선이 다양한 크기로 마련되어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본체와 전선을 안정적으로 파지함에 따라 전선의 흔들림이 방지되고 설정된 전선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접활선공구를 이용하여 본체와 전선 사이를 연결하는 스페이서 클램프의 연결부만 절단하면 전선에서 전선 스페이서를 철거할 수 있어서, 설치뿐만 아니라 철거도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전선 스페이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선 스페이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 스페이서의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의한 전선 스페이서의 스페이서 클램프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의한 전선 스페이서의 스페이서 클램프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선 스페이서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선 스페이서의 스페이서 클램프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선 스페이서의 스페이서 클램프에 잠금부가 분리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선 스페이서의 스페이서 클램프에 잠금부가 삽입부의 절개된 단부에 각각 구비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선 스페이서의 스페이서 클램프에 체결부가 구비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선 스페이서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 스페이서의 본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의한 전선 스페이서의 스페이서 클램프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의한 전선 스페이서의 스페이서 클램프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선 스페이서의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선 스페이서의 스페이서 클램프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선 스페이서의 스페이서 클램프에 잠금부가 분리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선 스페이서의 스페이서 클램프에 잠금부가 삽입부의 절개된 단부에 각각 구비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정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선 스페이서의 스페이서 클램프에 체결부가 구비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 스페이서는 복수 개의 전선(10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전선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긴 봉 형상의 본체(200), 다양한 간격의 복수 개의 전선(1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본체(200)에 결합되되 전선(100)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위치의 본체(200)에 결합되며 전선(100)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 클램프(300)를 포함한다.
전선 스페이서는 가공 배전선로를 이루는 복수 개의 전선(100) 사이의 간격을 충분한 거리로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전선 스페이서는 복수 개의 전선(1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본체(200)와 스페이서 클램프(300)로 구성된다.
본체(200)는 길이방향으로 긴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전선(100) 상에 교차되게 설치되며, 복수 개의 전선(100)과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 클램프(300)가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된다.
스페이서 클램프(300)는 본체(200)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되되, 설정된 간격은 설치하는 작업자가 설치환경과 장주 형태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간격이며, 전선(100) 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전선(100) 사이의 간격은 최대로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페이서 클램프(300)는 다양한 간격의 복수 개의 전선(1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본체(200)에 결합되되 전선(100)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위치의 본체(200)에 결합되며, 전선(100)을 지지한다.
이처럼, 전선 스페이서는 본체(200)와 스페이서 클램프(300)로 분리되어 구성됨에 따라 본체(200)와 복수 개의 스페이서 클램프(300)가 설치되는 위치를 변경하여 전선(100) 사이의 간격에 맞게 쉽게 조절이 가능하다.
본체(20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절연봉(210)과 스커트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절연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커트부(220)는 절연봉(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로 구비되어 절연봉(2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스커트부(220)는 두께가 일정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강성확보와 스페이서 클램프(300)와의 결합을 위해 연봉과 연결되는 중앙부분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스커트부(220)는 이격되는 간격이 좁을수록 전선(100) 사이의 간격을 보다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스페이서 클램프(300)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특히, 절연봉(210)과 스커트부(220)는 폴리머 등의 절연재질로 마련되므로, 본체(200)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본체(200)는 절연봉(210)의 내부에 내장되는 강성보강심(211)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강성보강심(211)은 절연봉(210)의 내부에 내장되고 강성이 높은 재질로 마련되어 전선(100)의 무게 또는 풍력으로 인해 본체(200)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스페이서 클램프(300)는 본체 지지부(310), 전선 지지부(330), 연결부(320)로 구성되며, 복수 개로 마련되어 본체(200)와 복수 개의 전선(100) 사이를 고정한다.
본체 지지부(310)는 본체(200)에 지지되어 위치 고정되며, 스커트부(22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스커트부(220)에 결합되거나 스커트부(220) 사이에 위치하여 절연봉(210)에 결합될 수 있다.
전선 지지부(330)는 전선(100)을 파지하며 다양한 크기의 전선(100)을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연결부(320)는 본체 지지부(310)와 전선 지지부(330)를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부(320)는 간접활선공구를 이용하여 본체(200)의 철거시, 간접활선공구로 절단되며, 본체(200)를 전선(100)에서 분리한다.
즉, 전선 지지부(330)에서 전선(100)을 분리하고 본체 지지부(310)에서 본체(200)를 분리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단순히 연결부(320)를 절단함에 따라 전선(100)에서 본체(200)를 분리할 수 있으며, 연결부(320)를 절단하는 작업은 간접활선공구를 이용함에 따라 철거 작업이 쉽고 안전하다.
이러한 스페이서 클램프(300)는 본체(200)의 스커트부(220)의 외측을 감싸며 결합되거나, 스커트부(220) 사이의 절연봉(2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도 2, 도 4, 도 5를 참고하여 스페이서 클램프(300)가 본체(200)의 스커트부(220)의 외측을 감싸며 결합되는 일실시예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스페이서 클램프(300)는 스커트부(220)를 둘러싸며 안착되어 고정되며, 둘 이상의 스커트부(220)의 외측에 안착되어 균형을 유지하며 움직임이 방지된다.
그리고 스페이서 클램프(300)에 둘 이상의 스커트부(220)가 결합되어 있어서 길이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방지된다.
이러한 스페이서 클램프(300)는 지지판(311)으로 마련되는 본체 지지부(310)와, 지지판(311)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연결부(320)와, 한쌍의 장악부(331)로 마련되는 전선 지지부(330)로 구성된다.
본체 지지부(310)는 둘 이상의 스커트부(220)를 감싸도록 본체(200)에 안착되는 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지지판(311)으로 마련된다.
지지판(311)은 일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이 스커트부(220)와 대응되게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스커트부(220)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지지판(311)은 스커트부(220)에 안착되는 면에서 함몰 형성된 안착홈(312)이 구비되어 안착홈(312)에 스커트부(220)가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방지된다.
이때, 스커트부(220)는 절연봉(210)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지지판(311)의 안쪽면에 안착홈(312)이 형성되어도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연결부(320)는 스커트부(220)를 감싸도록 지지판(311)의 벤딩된 양단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는 한쌍으로 마련된다.
연결부(320)는 지지판(311)의 양단에서 돌출되어 스커트부(220)의 하측부분을 감싸며 스커트부(220)의 하측에서 서로 체결되어 지지판(311)과 본체(200)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한쌍의 연결부(320)는 어느 한측에는 걸림홀(321)이 형성되고, 나머지 한측에는 걸림홀(321)에 후크 체결되는 후크부(322)가 돌출되어 형성됨에 따라 원스텝으로 체결된다.
후크부(322)는 단부로 갈수록 뾰족하게 형성되어 걸림홀(321)에 후크부(322)가 삽입되면서 걸림홀(321)이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며, 삽입된 후에는 후크부(322)에 형성된 단턱면에 지지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한쌍의 연결부(320)에는 각각 걸림홀(321)과 후크부(322)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로 구비된다.
전선 지지부(330)는 한쌍의 연결부(320)의 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전선(100)을 감싸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된 한쌍의 장악부(331)로 마련된다.
장악부(331)는 일측이 연결부(320)의 단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이 원주방향으로 서로 중첩되게 마련되어 한쌍의 장악부(331)에서 전선(10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한쌍의 장악부(331) 중 제1 장악부(331)의 타단은 전선(100)의 외측을 감싸고, 제2 장악부(331)의 타단은 제1 장악부(331)의 타단의 외측을 일부 감싸도록 구비된다.
또한, 한쌍의 장악부(331)는 어느 한측의 끝단의 내측과 나머지 한측의 끝단의 외측에 서로 맞물리는 톱니 형상의 톱니부(332)가 각각 형성된다.
각각의 톱니부(332)는 산과 골이 반복 형성되며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쌍의 장악부(331)가 전선(100)을 감싸도록 맞물린 후에는 전선(100)의 자중으로 인해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며, 이에 따라 전선(100)이 한쌍의 장악부(331)에 파지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또한, 톱니부(332)는 한쌍의 장악부(331)에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선(100)을 장악하는 방향으로는 경사면에 지지되어 용이하게 맞물리고 반대 방향으로는 수직면끼리 지지되어 잠금되며 풀리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장악부(331)의 타단의 외주면에는 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과 수직면이 번갈아 형성된 톱니 형상의 톱니부(332)가 구비되며, 제2 장악부(331)의 타단의 내주면에는 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경사면과 수직면이 번갈아 형성된 톱니 형상의 톱니부(332)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1 장악부(331)와 제2 장악부(331)가 서로 중첩되는 방향으로는 각각의 경사면을 따라 용이하게 맞물리고, 그 반대 방향으로는 각각의 수직면이 지지되며 분리될 수 없는 구조가 된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에 의한 전선 스페이서의 스페이서 클램프(300)의 조립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지지판(311)을 본체(200)의 스커트부(220)의 상측에 안착시며, 스커트부(220)는 지지판(311) 안쪽의 안착홈(312)에 삽입된다.
그리고 한쌍의 연결부(320)로 스커트부(220)의 하측을 감싸며 후크부(322)를 걸림홀(321)에 후크 체결하여 지지판(311)을 본체(200)에 고정한다.
그 다음 한쌍의 장악부(331) 사이를 탄성력에 의해 벌린 후 전선(100)을 파지하도록 각각의 톱니부(332)를 결합한다.
각각의 톱니부(332)는 한쌍의 장악부(331)가 전선(100)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최대한 중첩되며 맞물린다.
또한, 아래에서는 도 6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스페이서 클램프(1300)가 스커트부(220) 사이의 절연봉(210)에 결합되는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스페이서 클램프(1300)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스커트부(220) 사이의 절연봉(210)에 체결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본체 지지부(1310), 연결부(1320), 전선 지지부(1330)로 구성된다.
본체 지지부(1310)는 스커트부(22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의 링 형상에서 일측이 절개된 'C'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삽입부(1311)로 마련될 수 있으며 스커트부(220) 사이의 간격과 같거나 작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 삽입부(1311)는 절개된 단부 사이로 본체(200)가 삽입되면서 절개된 단부가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며, 내측에 본체(200)가 삽입된 후에는 절개된 단부가 본체(200)의 외측을 지지하여 본체(200)의 이탈을 방지한다.
전선 삽입부(1331)는 중공의 링 형상에서 일측이 절개된 'C' 형상으로 형성된 전선 삽입부(1331)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절개된 단부 사이로 전선(100)이 삽입되면서 절개된 단부가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며, 내측에 전선(100)이 삽입된 후에는 절개된 단부가 전선(100)의 외측을 지지하여 전선(100)의 이탈을 방지한다.
연결부(1320)는 본체 지지부(1310)와 전선 지지부(1330)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며, 일측이 본체 삽입부(1311)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이 전선 삽입부(1331)에 일체로 형성되는 봉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연결부(1320)는 간접활선공구를 이용하여 본체(200)의 철거시, 간접활선공구로 절단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 클램프(1300)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에 본체 잠금부(1312)와 전선 잠금부(1332)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 지지부(1310)는 본체 삽입부(1311)의 절개된 단부 중 어느 한측에 본체 잠금부(1312)가 토션스프링을 매개로 힌지 연결되어 절개된 단부 사이를 폐쇄한다.
이러한 본체 잠금부(1312)는 본체 삽입부(1311)의 내측으로만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본체 삽입부(1311)의 내측에 삽입된 본체(200)가 내측에서 본체 잠금부(1312)를 외측으로 지지해도 회동하지 않으며, 본체 삽입부(1311)의 절개된 단부 사이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전선 지지부(1330)는 전선 삽입부(1331)의 절개된 단부 중 어느 한측에 전선 잠금부(1332)가 토션스프링을 매개로 힌지 연결되어 절개된 단부 사이를 폐쇄한다.
이러한 전선 잠금부(1332)는 전선 삽입부(1331)의 내측으로만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전선 삽입부(1331)의 내측에 삽입된 본체(200)가 내측에서 전선 잠금부(1332)를 외측으로 지지해도 회동하지 않으며, 전선 삽입부(1331)의 절개된 단부 사이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토션스프링은 본체 잠금부(1312)가 본체 삽입부(1311)의 내측으로 회동할 때 압축되며, 본체 잠금부(1312)가 본체 삽입부(1311)의 절개된 단부 사이를 폐쇄하도록 본체 삽입부(1311)에 대해 본체 잠금부(1312)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 지지부(1310)가 본체 삽입부(1311)만으로 이루어져 절개된 양단 사이로 본체(200)를 삽입할 때 탄성력에 의해 벌어진 후 본체 삽입부(1311)에 본체(200)가 삽입되면 절개된 양단이 본체(200)를 지지하여 체결된다.
그리고, 전선 지지부(1330)가 전선 삽입부(1331)만으로 이루어져 절개된 양단 사이로 전선(100)을 삽입할 때 탄성력에 의해 벌어진 후 전선 삽입부(1331)에 전선(100)이 삽입되면 절개된 양단이 전선(100)을 지지하여 파지한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 지지부(1310)는 본체 삽입부(1311)의 절개된 단부의 양측에 본체 잠금부(1312)가 토션스프링을 매개로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본체 잠금부(1312)는 본체 삽입부(1311)의 절개된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본체 삽입부(1311)의 절개된 단부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며, 본체 삽입부(1311)의 내측으로 본체(200)가 삽입될 때만 토션스프링을 압축하며 개방하고, 본체 삽입부(1311)의 내측에 본체(200)가 삽입된 후에는 본체(200)를 지지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전선 지지부(1330)는 전선 삽입부(1331)의 절개된 단부의 양측에 전선 잠금부(1332)가 토션스프링을 매개로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전선 잠금부(1332)는 전선 삽입부(1331)의 절개된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전선 삽입부(1331)의 절개된 단부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며, 전선 삽입부(1331)의 내측으로 전선(100)이 삽입될 때만 토션스프링을 압축하며 개방하고, 전선 삽입부(1331)의 내측에 전선(100)이 삽입된 후에는 전선(100)을 지지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본체 지지부(1310)는 본체 삽입부(1311)와 전선 삽입부(1331)의 절개된 단부의 양측에 본체 체결부(1313)와 전선 체결부(1333)가 형성되어 결합부재(301) 또는 체결부재(302)로 조임 체결될 수 있다.
본체 체결부(1313)는 본체 삽입부(1311)의 절개된 단부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각각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결합부재(301)를 통해 체결된다.
결합부재(301)는 본체 체결부(1313)의 각각을 관통하는 볼트와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되며, 본체 삽입부(1311)의 절개된 단부 사이가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지 않도록 조임 체결되고, 이에 따라 본체 삽입부(1311)가 본체(200)에 고정된다.
또한, 전선 체결부(1333)는 전선 삽입부(1331)의 절개된 단부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각각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체결부재(302)를 통해 체결된다.
체결부재(302)는 전선 체결부(1333)의 각각을 관통하는 볼트와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되며, 전선 삽입부(1331)의 절개된 단부 사이가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지 않도록 조임 체결되고, 이에 따라 전선 삽입부(1331)가 전선(100)을 안정적으로 파지한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다양한 전선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게 간격 조정이 가능하여 현장 여건 및 장주 형태에 따라 전선 간격이 달라지는 배전선로의 특성을 수용할 수 있어서, 실제 현장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장주 형태(보통, 창출, 편출장주)에 따라 선간 거리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전선간의 수평장력 또는 중력이나 풍력으로 인한 수직장력 등이 가해져도 전선장악력을 유지할 수 있어서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고, 전선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전선의 다양한 규격으로 인해 전선이 다양한 크기로 마련되어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본체와 전선을 안정적으로 파지함에 따라 전선의 흔들림이 방지되고 설정된 전선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접활선공구를 이용하여 본체와 전선 사이를 연결하는 스페이서 클램프의 연결부만 절단하면 전선에서 전선 스페이서를 철거할 수 있어서, 설치뿐만 아니라 철거도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선 200: 본체
210: 절연봉 211: 강성보강심
220: 스커트부 300,1300: 스페이서 클램프
310,1310: 본체 지지부 320,1320: 연결부
330,1330: 전선 지지부 311: 지지판
312: 안착홈 321: 걸림홀
322: 후크부 331: 장악부
332: 톱니부 1311: 본체 삽입부
1312: 본체 잠금부 1313: 본체 체결부
1331: 전선 삽입부 1332: 전선 잠금부
1333: 전선 체결부

Claims (19)

  1. 복수 개의 전선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전선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긴 봉 형상의 본체; 및
    다양한 간격의 복수 개의 상기 전선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되 상기 전선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전선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 클램프;를 포함하는 전선 스페이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절연봉; 및
    상기 절연봉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절연봉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스페이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절연봉 내부에 내장되는 강성보강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스페이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클램프는,
    상기 본체에 지지되어 위치 고정되는 본체 지지부;
    상기 전선을 파지하는 전선 지지부; 및
    상기 본체 지지부와 전선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스페이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클램프는 둘 이상의 상기 스커트부의 외측에 안착되며 상기 스커트부를 둘러싸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스페이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지지부는 둘 이상의 상기 스커트부를 감싸도록 상기 본체에 안착되는 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지지판으로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판의 양단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스커트부를 감싸며 서로 체결되어 상기 지지판을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고,
    상기 전선 지지부는 상기 한쌍의 연결부의 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전선을 감싸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된 한쌍의 장악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스페이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스커트부에 안착되는 면에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스커트부가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스페이서.
  8. 제 6 항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한측에는 걸림홀이 형성되고, 나머지 한측에는 상기 걸림홀에 후크 체결되는 후크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스페이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연결부는 각각 상기 걸림홀과 후크부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스페이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장악부는 어느 한측의 끝단의 내측과 나머지 한측의 끝단의 외측에 톱니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는 톱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스페이서.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클램프는 상기 스커트부 사이의 상기 절연봉에 체결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스페이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지지부는, 일측이 절개된 'C'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개된 단부 사이로 상기 본체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본체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스페이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지지부는, 절개된 단부 중 어느 한측 또는 양측에 토션스프링을 매개로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절개된 단부 사이를 폐쇄하며 상기 본체 삽입부의 내측으로만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본체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스페이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지지부는 절개된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각각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각각을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본체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스페이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지지부는, 일측이 절개된 'C'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개된 단부 사이로 상기 전선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전선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스페이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지지부는, 절개된 단부 중 어느 한측 또는 양측에 토션스프링을 매개로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절개된 단부 사이를 폐쇄하며 상기 전선 삽입부의 내측으로만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전선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스페이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지지부는 절개된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각각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각각을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된 결합부재가 체결되는 전선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스페이서.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본체 지지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전선 지지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봉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스페이서.
  19. 제 4 항에 있어서,
    간접활선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의 철거시, 상기 간접활선공구로 상기 연결부를 절단하여 상기 본체를 상기 전선에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스페이서.
KR1020200078714A 2020-06-26 2020-06-26 전선 스페이서 KR102485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714A KR102485150B1 (ko) 2020-06-26 2020-06-26 전선 스페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714A KR102485150B1 (ko) 2020-06-26 2020-06-26 전선 스페이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723A true KR20220000723A (ko) 2022-01-04
KR102485150B1 KR102485150B1 (ko) 2023-01-06

Family

ID=79342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714A KR102485150B1 (ko) 2020-06-26 2020-06-26 전선 스페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1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951Y1 (ko) * 2002-05-31 2002-08-24 경신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구
KR20120005832U (ko) * 2011-02-09 2012-08-20 한국전력공사 전선 스페이서
KR20190077845A (ko) * 2017-12-26 2019-07-04 한국전력공사 전선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951Y1 (ko) * 2002-05-31 2002-08-24 경신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구
KR20120005832U (ko) * 2011-02-09 2012-08-20 한국전력공사 전선 스페이서
KR20190077845A (ko) * 2017-12-26 2019-07-04 한국전력공사 전선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5150B1 (ko) 202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89055C2 (ru) Кабельный хомут
JP6756231B2 (ja) 架空電線分岐用治具およびこれを備えた架空電線分岐用装置
US8500073B2 (en) Hinged bushing suspension clamp and method for using said clamp
US10240393B2 (en)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system
AU2003301099A1 (en) Flexible distribution line cover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US5581051A (en) Power line isolator
KR102491957B1 (ko) 충돌방지를 위한 가공배전선 간격 유지기구
US10705301B2 (en) Spring assist cable clamp
KR102327599B1 (ko) 트랩형 활선 단말 절연캡 및 이를 이용한 점퍼선의 간접활선 절연공법
KR20220000723A (ko) 전선 스페이서
US9620947B2 (en) Antigalloping device
KR20200000068U (ko) 전선용 스페이서
CN107078491B (zh) 用于绝缘子的固定装置
KR101636554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절연애자 구조
JP2004302418A (ja) ケーブル留め具
CN217903971U (zh) 一种加强型绝缘耐张线夹
EA000186B1 (ru) Подвесной зажим для подвески проводов высоковольтных воздушных кабелей на опорную конструкцию
US3070651A (en) Device for supporting or spacing cables
JP7172738B2 (ja) 鳥害防止具
US11569648B2 (en) Joint-use bracket for installing communication lines on utility pole
KR102281030B1 (ko) 트랩형 활선 단말 절연캡 및 이를 이용한 점퍼선의 간접활선 절연공법
KR102355720B1 (ko)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
KR100873877B1 (ko) 배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20220064182A (ko) 배전선로 인장 클램프
KR101419492B1 (ko) 케이블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