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951Y1 -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구 - Google Patents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951Y1
KR200286951Y1 KR2020020016719U KR20020016719U KR200286951Y1 KR 200286951 Y1 KR200286951 Y1 KR 200286951Y1 KR 2020020016719 U KR2020020016719 U KR 2020020016719U KR 20020016719 U KR20020016719 U KR 20020016719U KR 200286951 Y1 KR200286951 Y1 KR 2002869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arness
hook
fixing
receiving member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7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167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9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9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951Y1/ko

Links

Landscapes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판에 형성된 끼움공에 탄성적으로 오므려 졌다가 벌려져서 하측에 걸려지는 걸림후크와, 상기 걸림후크 상측과 연결되어 상기 끼움공 보다 큰 단면적을 갖게되어 상기 고정판 상측에 걸리게 되는 지지부로 구성된 밴드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상측에 와이어 하네스가 안치되기 위한 소정 반경의 곡면이 형성된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의 일측단부에 절곡되어 형성된 접힘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수용부재와 대응하는 소정 반경의 곡면을 갖는 압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와 압착부재의 자유단부에 각각 톱니부를 구비하고 상기 톱니부의 측면에 상호 미끄러져서 결합되는 가이드홈과 가이드판이 구비된 결합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과 분리가 용이한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구의 구조를 제공하게 되며, 고정판에 상기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구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구{A tool For Fixing The Wire Harness}
본 고안은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구에 관한 것으로, 와이어 하네스를 용이하게 고정 및 분리가 가능하게 하며, 일측에 구비된 고정부에 상기 고정용구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는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는 와이어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이 와이어 하네스를 소정의 위치에 묶어서 고정시키기 위하여 밴드 케이블이라는 부재를 사용한다.
상기 밴드케이블은,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한꺼번에 묶어서 소정의 장소에 걸림후크를 사용하여 고정시켜 배선을 정리하도록 하는 고정부재의 일종이다.
상기 와이어 하네스에는 고정되는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타입으로 나뉘어진다. 원형의 구멍에 걸림후크가 삽입되어서 밴드케이블을 고정한 후에 자유롭게 회전되어지는 정홀 방식이 있다.
그리고, 밴드케이블 체결시에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와이어 하네스에 방향성을 부여하여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슬롯방식(Slot Type)이 있다.
한편, 상기 정홀 방식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원형의 구멍에 일측으로 홀을 모조로 형성하여서 밴드케이블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키이홀(Key Hole) 방식이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정홀 방식을 기준으로 실시예를 기술하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밴드케이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밴드케이블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종래의 밴드케이블(1)의 구성을 살펴 보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3)에 형성된 끼움공(5)에 탄성적으로 오므려 졌다가 벌려져서 걸려지는 걸림후크(6)가 하단에 구비된다.
그리고,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후크(6)를 지지하는 고정축(7)이 판 형상을 이루는 지지부(10) 하측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부(10)의 상측에는 고정부(1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2)는 관통되어 삽입공(14)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14) 일측에는 턱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공(14)에 삽입되어 상기 턱부에 의하여 고정되는 밴드(16)가 상기 고정부(12)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밴드(16)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전선 다발인 와이어 하네스(17)를 둘러 묶고, 상기 삽입공(14) 내에 형성된 턱부에 걸리기 위하여 요철형상의 걸림턱(18)이 형성된다.
상기 구조를 갖는 종래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조립 작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하네스(17)가 설치되는 기기의 일측에 고정판(3)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3)에는 소정 크기의 끼움공(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공(5)에 상기 고정축(7)과 걸림후크(6)를 삽입하게 되며, 상기 걸림후크(6)는 탄성적 성질에 의하여 상기 끼움공(5)에 삽입된 후에, 상기걸림후크(6)의 턱부가 상기 끼움공(5)에 걸려지면서 외측으로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0)는 상기 밴드케이블(2)이 상기 고정판(3)에 걸리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고정판(3)에 상기 밴드케이블(2)이 고정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 장착상태에서, 상기 와이어 하네스(17)를 밴드(16)로 감아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16)의 자유단부를 상기 고정부 삽입공(14)에 삽입 관통시켜 상기 걸림턱(18)이 상기 삽입공(14) 일측에 형성된 턱부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와이어 하네스(17) 고정작업 후, 상기 삽입공(14) 외측으로 나온 밴드(16)의 남은 부분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재에 의하여 절단하게 되는 것으로 종래 밴드케이블(1)의 고정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밴드(16)로 와이어 하네스(17)를 조여 주어 고정하고 삽입공(14)으로 인출된 부분을 절단부재로 절단하는 작업을 진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고 번거로운 문제점을 지닌다.
그리고, 작업 불량이나 기기의 수리등으로 인하여 상기 와이어 하네스(17)를 조여주는 밴드(16)를 풀어야 하는 경우, 상기 밴드(16)를 다시 풀 수 없는 구조로 인하여, 상기 밴드(16)를 절단하고 다시 새로운 밴드케이블(1)을 장착해야 된다.
상기 열거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와이어 하네스고정용구에 있어서,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작업시 간단화된 작업공정에 의하여 향상된 작업성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작업 불량이나 수리시 용이한 작업 환경의 제공과 함께, 부품의 손실을 방지하게 되어 생산성을 증가시키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밴드케이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밴드케이블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용구의 외관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용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용구의 걸림후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와이어 하네스 32 : 수용부재
34 : 압착부재 36 : 접힘부
38 : 가이드홈 40 : 제1톱니부
42 : 제2톱니부 44 : 안내면
46 : 활주면 48 : 가이드판
50 : 고정판 52 : 끼움공
54 : 지지부 60 : 걸림후크
62 : 걸림부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고정판에 형성된 끼움공에 탄성적으로 오므려 졌다가 벌려져서 하측에 걸려지는 걸림후크와, 상기 걸림후크 상측과 연결되어 상기 끼움공 보다 큰 단면적을 갖게되어 상기 고정판 상측에 걸리게 되는 지지부로 구성된 밴드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상측에 와이어 하네스가 안치되기 위한 소정 반경의 곡면이 형성된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의 일측단부에 절곡되어 형성된 접힘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수용부재와 대응하는 소정 반경의 곡면을 갖는 압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와 압착부재의 자유단부에 각각 톱니부를 구비하고 상기 톱니부의 측면에 상호 미끄러져서 결합되는 가이드홈과 가이드판이 구비된 결합수단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후크는 상호 직각을 이루며 4개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과 분리가 용이한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구를 제공하게 되며, 고정판에 상기 고정용구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설명하도록 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와이어 하네스(30) 고정용구는, 각종 전선이 모여서 이루어진 와이어 하네스(30)를 고정하기 위하여 소정 반경의 곡면을 가지는 수용부재(32)와 압착부재(34)가 구비된다.
상기 수용부재(32)의 일단에는 소정 길이가 접혀져서 접힙부(36)가 구비되며, 상기 접힘부(36)에 일단이 연결된 압착부재(34)는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게 되며, 상기 압착부재(34)의 자유단부에는 일부분이 절개되어 가이드홈(38)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38)과 인접한 일측에는 상기 수용부재(32)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제1톱니부(40)에 걸려 체결되는 제2톱니부(42)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상기 수용부재 안내면(44)을 따라 슬라이딩 하게 되는 활주면(46)이 구비된다.
상기 제1톱니부(40)와 안내면(44)은 단차진 형상으로, 가이드판(48)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압착부재(34)와 상기 수용부재(32)가 상호 고정될때, 상기 가이드홈(38)에 상기 가이드판(48)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수용부재(32)의 하측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50)에 일정 부위가 통공되어 형성된 끼움공(52) 보다는 큰 단면적을 갖는 지지부(54)가 구비되며,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기도 하나, 이는 실시예에 불과할 뿐, 상기 끼움공(52)에 걸리게 되는 기술적 사상안에서 다양한 형상을 갖게된다.
상기 지지부(54) 하측에는 걸림후크(60)가 구비되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후크(60)는 탄성적 성질을 갖는 재료로서, 각각 90도의 각도를 이루며 일체로 된 하단에서 상단으로 4갈래로 갈라지며, 측면에는 각각 단차져서 형성된 걸림부(62)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재(32)와 압착부재(34)에 형성되어 상호 고정되는 제1톱니부(40)와 제2톱니부(42), 그리고, 이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38)과 가이드판(48) 및 활주면(46)과 안내면(44)이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결합수단을 구성하게된다.
상기 압착부재(34)와 수용부재(32)에 각각 형성된 결합수단(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38)이 압착부재(34)에 가이드판(48)이 수용부재(32)에 형성될 수 있으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홈(38)이 수용부재(32)에 가이드판(48)이 압착부재(34)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후크(60)는 4개로 이루어질수 있으나, 이는 실시예에 의한 것일 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공(52)에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기술적 사상 안에서 갯수의 증감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구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하네스(30)의 하측 외주면을 소정 곡률을 이루는 상기 수용부재(32)의 내측에 위치시킨 후, 접힙부(36)를 중심으로 압착부재(34)를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 하네스(30) 상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하여, 상기 제1톱니부(40)에 상기 제2톱니부(42)가 걸려 고정된다.
상기 제1톱니부(40)와 제2톱니부(42)가 상호 고정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홈(38)에 가이드판(48)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안내면(44) 내측에활주면(46) 외측이 슬라이딩 되어 상호 고정이 이루어 지게 하며, 상기 제1톱니부(40)와 제2톱니부(42)가 정확히 맞물려 고정되도록 미끄럼 방지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50)에 형성된 끼움공(52)에 상기 걸림부(62)를 삽입시키면, 상기 걸림후크(60)가 탄성재질로 이루어 지는 것에 의하여 상기 끼움공(52)에 압축되어 들어간 후에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걸림부(62)가 상기 고정판(50) 하측에 걸리게 된다.
한편, 조립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와이어 하네스(3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압착부재(34)의 제2톱니부(42)를 뒤로 젖혀서 상기 제1톱니부(40)로 부터 분리하여서 조립 상태를 해제하도록 한다.
상기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구에 있어서, 제1톱니부(40) 및 제2톱니부(42)의 상호 맞물림은 상기 와이어 하네스(30)의 외경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경가능하므로, 외경이 각기 다른 다양한 종류의 와이어 하네스(30)에 적용가능한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재(32) 및 압착부재(34)는 제1 및 제2 톱니부(40,42)의 측면상에 형성된 가이드홈(38)에 가이드판(48)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안내면(44) 및 활주면(46))을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톱니부(40,42)를 통한 수용부재 (32)및 압착부재(34)가 와이어 하네스(30) 상에 결합되는 작용이 보다 원활해지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기기기의 수리 및 작업 불량시, 상기 와이어 하네스(30)를 용이하게분리할 수 있게 되어, 분리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걸림후크(6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로 구성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고정판(50) 하부측에 더욱 견고한 장착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하네스 고정용구를 사용하게 되면. 밴드케이블의 지지부에 일측에는 고정톱니턱을 가지고, 상부면에는 하부반구홈부를 가지는 하부고정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고정부재에 연결부로 연결되고, 상기 고정톱니턱에 체결되는 이동톱니턱을 갖는 상부가압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하부고정부재에 안치된 와이어를 가압하여 고정하므로 와이어의 조립성을 향상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Claims (2)

  1. 고정판에 형성된 끼움공에 탄성적으로 오므려 졌다가 벌려져서 하측에 걸려지는 걸림후크와, 상기 걸림후크 상측과 연결되어 상기 끼움공 보다 큰 단면적을 갖게되어 상기 고정판 상측에 걸리게 되는 지지부로 구성된 밴드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상측에 와이어 하네스가 안치되기 위한 소정 반경의 곡면이 형성된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의 일측단부에 절곡되어 형성된 접힘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수용부재와 대응하는 소정 반경의 곡면을 갖는 압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와 압착부재의 자유단부에 각각 톱니부를 구비하고 상기 톱니부의 측면에 상호 미끄러져서 결합되는 가이드홈과 가이드판이 구비된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후크는 상호 직각을 이루며 4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구.
KR2020020016719U 2002-05-31 2002-05-31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구 KR2002869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719U KR200286951Y1 (ko) 2002-05-31 2002-05-31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719U KR200286951Y1 (ko) 2002-05-31 2002-05-31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951Y1 true KR200286951Y1 (ko) 2002-08-24

Family

ID=73123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719U KR200286951Y1 (ko) 2002-05-31 2002-05-31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951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726Y1 (ko) * 2008-03-13 2009-11-24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연약지반 계측장비의 수직 지지 브래킷
KR20220000723A (ko) * 2020-06-26 2022-01-04 한국전력공사 전선 스페이서
KR20220021834A (ko) * 2020-08-14 2022-02-22 한태주 케이블 클램프
KR102404333B1 (ko) * 2021-07-13 2022-06-07 배인영 건축용 케이블 고정장치
KR20230009236A (ko) * 2021-07-08 2023-01-17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링용 클립
KR102592763B1 (ko) * 2022-12-05 2023-10-24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케이블 고정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726Y1 (ko) * 2008-03-13 2009-11-24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연약지반 계측장비의 수직 지지 브래킷
KR20220000723A (ko) * 2020-06-26 2022-01-04 한국전력공사 전선 스페이서
KR102485150B1 (ko) * 2020-06-26 2023-01-06 한국전력공사 전선 스페이서
KR20220021834A (ko) * 2020-08-14 2022-02-22 한태주 케이블 클램프
KR102468674B1 (ko) * 2020-08-14 2022-11-21 한태주 케이블 클램프
KR20230009236A (ko) * 2021-07-08 2023-01-17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링용 클립
KR102610770B1 (ko) 2021-07-08 2023-12-06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링용 클립
KR102404333B1 (ko) * 2021-07-13 2022-06-07 배인영 건축용 케이블 고정장치
KR102592763B1 (ko) * 2022-12-05 2023-10-24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케이블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19163A (ko) 케이블정리용 결속구
WO2007044901A2 (en) Gated retainer
KR200286951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구
KR20080022458A (ko) 회로 조립용 지그
KR200393275Y1 (ko) 와이어 하네스의 정렬부재
KR20080043490A (ko) 자동차용 와이어하네스 고정클립
US20170004903A1 (en) Wire harness having fixing member
KR200431314Y1 (ko) 밴드케이블
KR200401182Y1 (ko) 간섭을 방지한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KR200266438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구조
KR200288596Y1 (ko) 다용도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KR200428595Y1 (ko) 밴드 케이블
KR20100053918A (ko) 자동차용 클리어런스 클립
CN112041604A (zh) 夹具
KR200429439Y1 (ko) 밴드 케이블
KR200275797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KR200223927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회전방지구조
KR200431169Y1 (ko) 회로 조립용 지그
KR20110102088A (ko) 배선정리용 가드
KR200347448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구조
JP6471517B2 (ja) 電線固定具、固定操作棒の先端工具および電線固定具の取付方法
JP4037313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屈曲構造、ワイヤーハーネス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
KR200305325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KR200220927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결합구조
JP5024714B2 (ja) 結束用ナイロンバンド及びその結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