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726Y1 - 연약지반 계측장비의 수직 지지 브래킷 - Google Patents

연약지반 계측장비의 수직 지지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726Y1
KR200446726Y1 KR20080003316U KR20080003316U KR200446726Y1 KR 200446726 Y1 KR200446726 Y1 KR 200446726Y1 KR 20080003316 U KR20080003316 U KR 20080003316U KR 20080003316 U KR20080003316 U KR 20080003316U KR 200446726 Y1 KR200446726 Y1 KR 2004467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easuring rod
measuring
support body
soft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033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345U (ko
Inventor
박래옥
김흥석
권오석
박영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0800033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726Y1/ko
Publication of KR200900093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3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7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7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02D1/0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3/00Testing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약지반 계측장비가 삽입되는 하우징의 내측에서 연약지반 계측장비가 상시 수직으로 배치되어 정확한 계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연약지반 계측장비의 수직 지지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연약지반의 지중에 매설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되는 계측봉으로 구성된 연약지반 계측장비에 있어서, 외측면의 직경이 상기 하우징의 내경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의 중앙부에 상기 계측봉의 외경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계측봉이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수직 배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계측봉삽입부;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작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연약지반 계측장치에 추가적인 설치가 용이함과 아울러, 계측장치의 측정이 더욱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연약지반, 계측, 측정, 수직, 브래킷

Description

연약지반 계측장비의 수직 지지 브래킷{The perpendicularity support bracket of the weak soil foundation measuring instrument}
본 고안은 연약지반 계측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약지반 계측장비가 삽입되는 하우징의 내측에서 연약지반 계측장비가 상시 수직으로 배치되어 정확한 계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연약지반 계측장비의 수직 지지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반의 침하가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연약지반에 건축공사나 토목공사를 수행할 때에는 구조물의 안전한 관리를 위하여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계측하는 연약지반 계측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연약지반 계측장치는 도 8에서 보인 것과 같이 통상적으로 연약지반의 지중에 원통형의 하우징(100)을 매설하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공간부(101)에 지반의 침하량 또는 침수량 등을 점검하는 계측봉(200)을 삽입하여 계측봉(200)이 외부의 환경에 노출되지 않으면서 정밀한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계측봉(200)에 컴퓨터 등의 기록분석 및 저장장치 등을 연결함으로써, 연약지반의 지반 변화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약지반 계측장치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부의 직경이 계측봉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됨에 따라, 계측봉이 하우징의 내측에서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되는데, 이에 의해 계측봉의 측정값에 오차가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하우징의 내에서 계측봉이 상시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연약지반 계측장비의 수직 지지 브래킷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지몸체를 하우징에 삽입하거나 분리할 때의 마찰력이 최소화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계측봉삽입부에 계측봉을 삽입할 때 계측봉삽입관으로 계측봉이 간편하게 유도되어 삽입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우징의 내경에 따라 지지몸체의 직경이 변화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지지몸체의 외경이 원활하게 탄성 변형되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연약지반의 지중에 매설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되는 계측봉으로 구성된 연약지반 계측장비에 있어서, 외측면의 직경이 상기 하우징의 내경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외측면에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다수의 접촉돌기가 형성된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의 중앙부에 상기 계측봉의 외경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계측봉이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수직 배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지지몸체의 중앙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계측봉삽입관이 구비되고, 상기 계측봉삽입관의 상단 개구부의 직경이 하부측 보다 점차 넓어지게 형성된 계측봉삽입부;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몸체의 외측 직경이 탄성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탄성변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지지몸체의 일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절개된 절개홈과, 상기 절개홈의 내측에서 절개홈의 이격 거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고안은 지지몸체와 계측봉삽입부의 간단한 구성으로 하우징의 내에서 계측봉이 상시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연약지반 계측장비의 수직 지지 브래킷을 제공함으로서, 제작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연약지반 계측장치에 추가적인 설치가 용이함과 아울러, 계측장치의 측정이 더욱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지지몸체에 접촉돌기(31)를 형성하여 지지몸체를 하우징에 삽입하거나 분리할 때의 마찰력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서, 브래킷을 하우징에 삽입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계측봉삽입부가 계측봉삽입관 및 그 상단부의 확장 개구부로 구성되도록 하여 계측봉삽입부에 계측봉을 삽입할 때 계측봉삽입관으로 계측봉이 간편하게 유도되어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하우징의 내측에 브래킷이 삽입된 상태에서 계측봉을 정확하게 계측봉삽입관으로 삽입하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탄성변형부를 형성하여 하우징의 내경에 따라 지지몸체의 직경이 변화되도록 함으로서, 하나의 브래킷으로 다양한 직경의 하우징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래킷이 하우징의 내측면에 탄성적으로 밀착 고정되어 브래킷의 진동 및 움직임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탄성변형부가 절개홈 및 지지스프링의 간단한 구성으로 지지몸체의 외경이 원활하게 탄성 변형되도록 함으로서 제작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지지몸체의 외측에 탄성 변형을 위한 각종 부품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우징의 내측으로 브래킷이 원활하게 삽입되고, 안정적인 수직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세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로서,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연약지반 계측을 위한 계측봉(20)이 지중으로 삽입되어 보관되도록 하는 하우징(10)의 내측 공간부(11)에 삽입되고, 상기 계측봉(20)이 하우징(10)의 내측에서 수직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연약지반 계측장비의 수직 지지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10)은 원통형의 관 형태로 형성되어 연약지반의 지중에 매설되고, 상부측이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되 내측에 공간부(11)를 형성하여 후술되는 계측봉(20)의 삽입 및 인출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계측봉(20)은 지반의 침하 상태를 점검하는 것으로서, 침하량 또는 침수량 등을 점검하는 통상의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공간부(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봉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브래킷은 통상적으로 상술한 공간부(11)의 직경이 계측봉(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계측봉(20)이 하우징(10)의 내측에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하우징(10)의 공간부(11)의 내측 직경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지지몸체(30)와, 상기 지지몸체(30)의 중앙부에 상기 계측봉(20)의 직경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계측봉삽입부(4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몸체(30)는 원통형 또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삽입되어 하우징(10)의 내측벽을 지지하면서, 수직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몸체(30)의 외측면에는 지지몸체(30)와 하우징(10)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되어 지지몸체(30)를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삽입하거나 인출할 때의 마찰력이 최소화되도록 돌출 형성된 다수의 접촉돌기(31)를 형성함으로써, 브래킷 을 하우징(10)에 삽입하거나 인출할 때의 힘이 최소화되어 작업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측봉삽입부(40)는 상기 지지몸체(30)의 내측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되되, 상술한 계측봉(20)의 외측 직경과 대응되게 형성되도록 하여 계측봉삽입부(40)의 내측면에 계측봉(20)이 맞닿은 상태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하우징(10)의 내측에 계측봉(20)이 수직 상태를 유지하면서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계측봉삽입부(40)는 지지몸체(30)의 중앙부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하로 개방되어 계측봉(20)을 수용하는 원통형의 계측봉삽입관(41)과, 상기 계측봉삽입관(41)의 상단에 계측봉삽입관(41)의 직경보다 점차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된 개구부(42)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계측봉삽입관(41)에 계측봉(20)을 삽입할 때, 개구부(42)가 계측봉삽입관(41)으로 계측봉(20)을 간편하면서도 정확히 유도할 수 있게 되어 계측봉(20)의 설치 작업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연약지반의 지중에 하우징(10)을 매설한 후에, 하우징(10)의 공간부(11)에 브래킷을 삽입하고, 브래킷에 형성된 계측봉삽입부(40)에 계측봉(20)을 삽입함으로써, 계측봉(20)이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상시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정확한 계측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사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되, 상술한 지지몸체(30)에 는 그 외측면의 직경이 탄성적으로 변화되도록 하는 탄성변형부(32)를 형성하여 하나의 브래킷이 다양한 직경의 하우징(10)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브래킷이 하우징(10)의 내측 공간부(11)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탄성변형부(32)는 상기 지지몸체(30)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절개된 하나 이상의 절개홈(321)과, 상기 절개홈(321)의 내측에 결합되어 절개홈(321)의 이격 거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스프링(322)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지지몸체(30)의 외측면 직경을 줄일 때에는 지지몸체(30)를 외부에서 가압하면 절개홈(321)의 이격거리가 줄어들면서 전체적인 외측면의 직경이 줄어들게 되고, 이 상태에서 지지스프링(322)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려 하는 탄성력에 의해 지지몸체(30)가 하우징(10)의 내측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게 되어 브래킷이 하우징(10)의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사용상태에 따른 지지몸체(30)의 외측면 직경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도 4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상술한 것과 같이 구성된 지지몸체는 도 6에서와 같이 계측봉의 높이와 대응되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나, 도 7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몸체(30a)(30b)의 높이가 계측봉(2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도록 하고, 하우징(10)의 내측에 둘 이상의 지지몸체(30a)(30b)가 이격된 상태로 삽입되어 계측봉(20)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지지몸체(30a)(30b)의 전체적인 크기가 작아져 제작이 더욱 간편해지면서도 계측봉(20)을 안정적으로 수직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도 4의 사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7은 도 4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8은 종래 연약지반 계측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1 : 공간부
20 : 계측봉
30 : 지지몸체
31 : 접촉돌기 32 : 탄성변형부
321 : 절개홈 322 : 지지스프링
40 : 계측봉삽입부
41 : 계측봉삽입관 42 : 개구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내측에 공간부(11)가 형성되고 연약지반의 지중에 매설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삽입되는 계측봉(20)으로 구성된 연약지반 계측장비에 있어서,
    외측면의 직경이 상기 하우징(10)의 내경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외측면에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다수의 접촉돌기(31)가 형성된 지지몸체(30);와
    상기 지지몸체(30)의 중앙부에 상기 계측봉(20)의 외경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계측봉(20)이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수직 배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지지몸체(30)의 중앙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계측봉삽입관(41)이 구비되고, 상기 계측봉삽입관(41)의 상단 개구부(42)의 직경이 하부측 보다 점차 넓어지게 형성된 계측봉삽입부(40);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몸체(30)의 외측 직경이 탄성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탄성변형부(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계측장비의 수직 지지 브래킷.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부(32)는,
    상기 지지몸체(30)의 일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절개된 절개홈(321)과, 상기 절개홈(321)의 내측에서 절개홈(321)의 이격 거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스프링(32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계측장비의 수직 지지 브래킷.
KR20080003316U 2008-03-13 2008-03-13 연약지반 계측장비의 수직 지지 브래킷 KR2004467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3316U KR200446726Y1 (ko) 2008-03-13 2008-03-13 연약지반 계측장비의 수직 지지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3316U KR200446726Y1 (ko) 2008-03-13 2008-03-13 연약지반 계측장비의 수직 지지 브래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345U KR20090009345U (ko) 2009-09-17
KR200446726Y1 true KR200446726Y1 (ko) 2009-11-24

Family

ID=41532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03316U KR200446726Y1 (ko) 2008-03-13 2008-03-13 연약지반 계측장비의 수직 지지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72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681B1 (ko) * 2011-12-22 2013-10-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전상수 측정을 이용한 지중의 공동 탐사 시스템 및 방법
KR102150358B1 (ko) * 2020-02-24 2020-09-02 (주)테스콤엔지니어링 연약지반 압입식 층별침하계 계측구조 구현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9823A (ja) * 1995-02-14 1996-08-30 Touyoko Erumesu:Kk 沈下計
KR200286951Y1 (ko) * 2002-05-31 2002-08-24 경신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구
KR200373187Y1 (ko) 2004-10-25 2005-01-15 (주)지오넷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
KR100761338B1 (ko) * 2007-03-23 2007-09-27 주식회사 한얼엔지니어링 지중 전력 케이블 보호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9823A (ja) * 1995-02-14 1996-08-30 Touyoko Erumesu:Kk 沈下計
KR200286951Y1 (ko) * 2002-05-31 2002-08-24 경신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구
KR200373187Y1 (ko) 2004-10-25 2005-01-15 (주)지오넷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
KR100761338B1 (ko) * 2007-03-23 2007-09-27 주식회사 한얼엔지니어링 지중 전력 케이블 보호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345U (ko)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7411B2 (en) Stress and strain sensing device
CN104372783B (zh) 一种高灵敏度基坑侧壁压力测试装置
US4719803A (en) Borehole extensometer for monitoring relative mass displacements
CN103090851B (zh) 一种管桩测斜装置及使用方法
KR200446726Y1 (ko) 연약지반 계측장비의 수직 지지 브래킷
KR101618229B1 (ko) 교량받침용 이동량 게이지 및 이를 구비한 교량받침
US8245779B2 (en) Centralizer apparatus
JP5142029B2 (ja) アンカー機能状況確認装置
JP4976534B2 (ja) 応力および歪み検出装置
JP2009293325A5 (ko)
KR101294006B1 (ko) 지중변위 측정장치
JP2014232050A (ja) 曲げ変形量計測方法および曲げ変形量計測装置
CN113006031A (zh) 一种三维立体海底孔压静力触探设备
JP6340061B1 (ja) 地盤変位測定装置
JP4703773B1 (ja) 地盤変位測定装置
CN201000324Y (zh) 套管式钻孔多点引伸计
CN203145065U (zh) 一种管桩测斜装置
KR102301803B1 (ko)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회전 가능한 스타프 장치
ES2938077T3 (es) Dispositivo y sistema de medida para la caracterización geomecánica de un suelo y procedimiento de medida correspondiente
KR100553221B1 (ko) 진동현식 변위계측기
KR200207112Y1 (ko) 휴대용 감리 수평수직 검측 자
CN211904138U (zh) 一种检测护筒埋设位置的装置
JP5582991B2 (ja) あと施工アンカーの削孔用検査ゲージ
KR101358965B1 (ko) 시추공 지진계를 기 설정된 방위각으로 시추공 내에 설치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추공 지진계의 설치 방법
JP6552872B2 (ja) 測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