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187Y1 -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 - Google Patents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187Y1
KR200373187Y1 KR20-2004-0030021U KR20040030021U KR200373187Y1 KR 200373187 Y1 KR200373187 Y1 KR 200373187Y1 KR 20040030021 U KR20040030021 U KR 20040030021U KR 200373187 Y1 KR200373187 Y1 KR 2003731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lement
rod
protective tube
corrugated
soft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0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기은
정인호
Original Assignee
(주)지오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오넷 filed Critical (주)지오넷
Priority to KR20-2004-00300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1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1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1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02D1/08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after finishing the foundation struc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약지반의 지반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연약지반의 지중 내부에 설치되는 침하판과, 상기 침하판의 상부면의 중앙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구 형상을 갖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의 일측이 개방된 안착구와, 상기 안착구에 안착되어 자유자재로 회동되며, 그 밑면이 상기 구 형상의 공간부와 대응되어 안착되는 구 형상의 회동편을 가지며, 상기 구 형상의 회동편에 연장되어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를 갖는 막대 형상의 침하봉과, 상기 침하판과 수직 거리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침하봉을 보호하기 위한 주름 형상의 보호관과, 상기 침하판과 수직 거리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의 외측면에 다수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주름형상의 보호관이 연약지반의 하부로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이 지표면과 수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와,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이 복토의 외압에 의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철근망과,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침하봉을 주름 형상의 보호관의 정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침하봉이 주름 형상의 보호관의 내측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페이스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계측장치에 의하면 침하판이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 침하되지 않고, 불규칙적으로 침하되더라도, 상기 침하봉을 주름 형상의 보호관의 정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어,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침하판과 침하봉 및 주름 형상의 보호관을 비금속재료로 형성하여 금속재료의 낭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The instrumentation apparatus for the measure sinking value fo the soft ground}
본 고안은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하판이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 침하되지 않고, 불규칙적으로 침하(부등침하)되더라도, 상기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침하판과 침하봉 및 주름 형상의 보호관을 비금속재료로 형성하여 금속재료의낭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속도로, 공항, 항만 또는, 공업단지 및 신시가지의 부지조성 등의 토목 관련 공사를 하기 위하여 연약지반 위에 흙을 성토할 경우 기초 지반의 침하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 때 그 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시공현장에서 실제로 발생하는 계측값이 설계치와는 다른 값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약지반에서 압밀침하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측량 및 시험 공법들을 실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계측방법은,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줄자로 침하판의 침하되는 정도를 재는 극히 재래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서, 줄자로 연약 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 및 계측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철판이나 자석링으로 만든 침하판(5)을 지하에 매설하고 침하판 가운데에 알루미늄관(4)을 묻고, 그 관 속으로 줄자(7)에 의해 연결된 침하판 탐지봉(6)을 집어넣어, 리드아웃기(1)의 메타 눈금이 정중앙부에 오면, 탐지봉(6)이 침하판(5)의 매설위치까지 내려간 신호이므로 줄자 보관드럼(3)에서 줄자를 푸는 것을 중단하고, 탐지봉에 연결된 줄자(7)의 눈금을 읽어서 침하판(5)의 깊이를 재는 방법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사람이 직접 줄자(7)를 관(4) 속으로 주입함으로 인해계측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상기 줄자(7)를 이용하여 계측할 때마다 상기 줄자(7)가 관(4) 속에서 좌우로 요동함으로 인해 계측 오차가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의 계측방법과 계측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약지반의 지중 내부에 설치되며, 철판으로 형성된 침하판(11)과, 상기 침하판(11)의 상부면의 중앙부에 용접으로 부착되는 막대 형상의 침하봉(13)과, 상기 침하판(11)과 수직 거리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침하봉(13)을 보호하기 위한 철판의 원통형 보호관(15)과, 상기 침하판(11)과 수직 거리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철판의 원통형 보호관(15)의 외측면에 다수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철판의 원통형 보호관(15)이 연약지반의 하부로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철판의 원통형 보호관(15)이 지표면과 수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계측장치에 의하여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상기 침하판(11)이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 침하가 되지 않고, 불규칙적으로 침하될 때(부등침하), 상기 침하봉(13)이 철판의 원통형 보호관(15)의 내측에 접촉되어, 상기 침하봉이 표토층으로부터 수직을 유지하지 못하여,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철판의 원통형 보호관의 상부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침하봉의 길이를 측정한 다음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침하봉의 길이를 측정하여 그 차이로 침하정도를 측정하는 것이어서, 작업자가 측정수단(레벨)을 이용하여 그 차이를 일일이 측정함으로 인한 오차가 실침하량과 상당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뿐만 아니라, 상기 침하판과 침하봉 및 보호관이 모두 철재(steel)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항만 및 바다인근 현장에 장시간 사용할 경우 산화의 영향으로 침하판과 침하봉 및 보호관을 재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건설 현장에서 철강 재료의 사용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철근 및 철강 재료의 품귀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참고로, 후자의 철재 침하판의 설치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철재 침하판의 설치는, 복토 후 표토층(PET MAT)까지 터파기를 하여 표토층(PET MAT)의 상단에 모래를 부설하여, 상기 침하판이 표토층과 접촉이 잘되도록 정지한 후 수평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b) 침하판의 네모서리가 수평이 되는지 확인한다.
c) 철재 원통형 보호관에 삼발이관(지지대)을 설치한다. 이 때, 철재 원통형 보호관 설치시 철재 침하봉이 정확히 철재 원통형 보호관의 정중앙부에 오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이 때, 상기 침하봉이 정중앙부에 오지 않으면 철재 원통형 보호관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연약 지반의 침하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
d) 복토(성토)의 높이에 따라 철재 침하봉과 철재 원통형 보호관을 서로 연결하여야 하고, 이 때 철재 침하봉과 철재 침하봉을 서로 연결하거나 또는 철재 원통형 보호관과 철재 원통형 보호관을 서로 연결하는 것은 연결수단(coupling)을 이용하여 연결해서 측정한다.
e) 현장의 T.B.M(부동점)으로부터 공공 측량기준에 의거 시행하며, 성과물 제출시에는 측량야장(측량 따위의 야외 작업을 할 때 필요한 자료를 써 넣는 책) 및 폐합오차를 정리하여 제출한다.
또한, 상기 철재 침하판의 침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a) 부등점을 기준으로 측정하는 위치의 철재 침하판에서, 상기 철재 침하판과 용접으로 연결된 침하봉을 수직으로 하여 측정한다.
b) 초기 철재 침하판(EL)과 측정 철재 침하판(EL)의 차이를 침하로 계산한다.
c) 성토의 높이에 따라 침하봉 연결시 연결전 철재 침하봉 상단과, 연결후 철재 침하봉 상단의 EL을 측량하여 연결된 로드(Rod) 길이로 확인한다.
상기와 같은, 계측장치를 이용하여 측정되어진 계측자료를 종합 분석하여 예상 침하량 및 잔류 침하량을 산정하며, 복토(성토)에 따른 수평변위 혹은 일일 침하량등을 비교 분석하여 상재하중 증가에 따른 지반의 이상유무를 파악한다. 이러한 분석작업을 통하여, 연약지반의 시공전반에 관한 필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계측장치는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철재 침하판과 철재 침하봉 및 철판의 원통형 보호관으로, 모두 강철 재질을 사용하고 있어 부식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철재 침하판과 철재 침하봉이 용접으로 일체형을 이루고있어 부등침하시 잔류 침하량 산정 및 압밀도 분석에 신뢰성을 화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침하판이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 침하되지 않고, 불규칙적으로 침하되더라도(부등침하), 상기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침하판과 침하봉 및 주름 형상의 보호관을 비금속재료로 형성하여 금속재료의 낭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건설현장에서 철강 재료의 이용이 급상승함으로 인해, 철근 및 기타 철강재료의 품귀 현상을 감안하여 토목공사 현장의 연약지반 침하 안정관리에 사용되어지는 계측장치 항목중 철강 재질로 구성된 지표 침하판과 침하봉 및 보호관에 있어, 상기 지표 침하판은 철근을 일정한 간격으로 가로세로 배근하고, 상기 배근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함으로써, 철근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또한 침하봉 및 보호관을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여 철근을 사용을 하지 않은 침하봉과 주름 형상의 보호관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약지반의 층별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의 계략적 상태도.
도 2는 종래의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2의 종래의 계측장치를 연약지반의 지중에 매설한 상태를 개략적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계측장치의 침하판의 형성 상태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안착구에 침하봉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스페이스관의 사시도.
도 8은 도 4의 본 고안의 계측장치를 연약지반의 지중에 매설한 상태를 개략적 나타낸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침하판 31. 철근
32. 콘크리트 33. 공간부
34. 안착구
40. 침하봉 41. 눈금
42. 회동편
50. 주름 형상의 보호관 60,73. 지지대
70. 스페이스관 71. 관통구
72. 링
80. 철근망 81. 가로철근
82. 세로철근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는 연약지반의 지중 내부에 설치되는 침하판과, 상기 침하판의 상부면의 중앙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구 형상을 갖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의 일측이 개방된 안착구와, 상기 안착구에 안착되어 자유자재로 회동되며, 그 밑면이 상기 구 형상의 공간부와 대응되어 안착되는 구 형상의 회동편을 가지며, 상기 구 형상의 화동편에 연장되어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를 갖는 막대 형상의 침하봉과, 상기 침하판과 수직 거리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침하봉을 보호하기 위한 주름 형상의 보호관과, 상기 침하판과 수직 거리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의 외측면에 다수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이 연약지반의 하부로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이 지표면과 수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와,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이 복토의 외압에 의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철근망과,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침하봉을 주름 형상의 보호관의 정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침하봉이 주름 형상의 보호관의 내측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페이스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침하판은, 철근을 일정간격으로 배근하여 형성된, 그물망 형상의 철근 배근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철근망은 주름형상의 보호관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주름형상의 보호관 내부면에 밀착되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페이스관은, 상기 침하봉을 삽입할 수 있는 관통구가 형성된 링과, 상기 링의 외측면에 다수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 내측에 삽입되어 밀착되며, 상기 침하봉을 주름 형상의 보호관 정중앙부에 위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자체덴션을 갖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침하봉과 주름 형상의 보호관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침하봉에는, 연약 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이 새겨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계측장치의 침하판의 형성 상태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안착구에 침하봉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스페이스관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4의 본 고안의 계측장치를 연약지반의 지중에 매설한 상태를 개략적 나타낸 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100)는 침하판(30)과, 침하봉(40)과, 주름 형상의 보호관(50)과, 지지대(60)와, 스페이스관(70) 및 철근망(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하판(30)은 철근(31)과, 콘크리트(32)로 구성된다.
상기 침하판(30)은, 상기 철근(31)을 일정한 간격으로 가로 세로로 나열하여, 그물 형상의 배근체를 형성한 후, 그 위에 콘크리트(32)를 타설하여 양생함으로써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철근(31)을 20cm 간격으로 하여 가로 세로 나열하되, 직각이 되도록 나열하여 그물 형상의 철근 배근체를 형성하며, 상기 배근체에 콘크리트(32)를 타설하여 형성한다.
특히, 상기 침하판(30)의 상부면의 중앙부에는 내부에 구 형상을 갖는 공간부(33)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33)의 일측이 개방된 안착구(3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구(34)는, 상기 침하판(30)의 상부면에 형성되되, 오목하게 형성되든 볼록하게 형성되든 관계없이, 상기 침하판(3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구(34)는, 부식이 되지 않고 내구성이 뛰어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하봉(40)은,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를 갖는 막대 형상의 봉으로 형성된다. 그 일측은 상기 안착구(34)의 내부에 형성된 구 형상의 공간부(33)와 대응되는 구 형상의 회동편(42)을 가지며, 상기 구 형상의 회동편(42)은 침하판(30)의 상부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안착구(34)에 안착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침하판(30)이 부등침하 되더라도, 상기 침하봉(40)을 표토층의 수평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유지시켜 침하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하봉(40)의 외측면으로는 수직의 길이 방향으로 침하 정도를 계측할 수 있는 눈금(4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침하판(30)이 복토(성토)의 하중 또는 연약지반의 침하에 의해 침하될 때,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계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하봉(40)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하판(30)의 상부면의 중앙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안착구(33)는, 상기 침하봉(40)을 안착구(33)에 안착하여 360°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침하판(30)과 수직으로 하였을 때 전후좌우측으로 0° 내지 30°로 기울일 수 있는 회동수단이면 된다.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50)은, 상기 침하판(30)과 수직 거리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침하봉(40)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침하봉(40)은,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50)의 내측 정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50)은 복토(성토)의 지중 내부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침하되지 않도록 측면에 주름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50)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60)는, 상기 침하판(30)과 수직 거리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50)의 외측면에 다수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주름형상의 보호관(50)이 연약지반의 하부로 침하되는 것을 다시 한번 더 방지하며,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50)이 지표면과 수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스관(70)은 상기 침하봉(40)을 삽입할 수 있는 관통구(71)가 형성된 링(72)과, 상기 링(72)의 외측면에 다수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50)의 내측에 삽입되어 밀착되며, 상기 침하봉(40)을 주름 형상의 보호관(50)의 정중앙부에 위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자체덴션을 갖는 지지대(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철근망(80)은 주름 형상의 보호관(5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50)이 복토의 외압에 의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상기 철근망(80)은 다수의 가로 철근(81)과 세로 철근(82)이 서로 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5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50)보다 다소 작게 형성하여,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50) 내측에 밀착되어 삽입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각각의 구성요소간의 상호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계측장치는 다음과 같이 설치된다.
a) 상기 침하판(30)의 설치는, 복토(성토) 후 표토층(PET MAT)까지 터파기를 하여 표토층(PET MAT)의 상단에 모래를 부설하여, 상기 침하판(30)이 표토층과 접촉이 잘되도록 정지한 후, 상기 침하판(30)이 수평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b) 상기 침하판(30)의 네모서리가 표토층과 수평이 되도록 한다.
c) 상기 침하봉(40)을 침하판(30)의 상부면 중앙부에 형성된 안착구(34)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침하봉(40)을 침하판(30)에 먼저 안착시킨 후 a)와 b)단계를 실행할 수도 있다.
d) 상기 c)단계가 완료되면, 일정한 깊이까지 흙을 채워 넣어 성토한다.
e) 상기 흙을 채워 넣어 성토한 상부에 주름 형상의 보호관(50)을 설치하고, 또한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50)의 측면에 지지대(60)를 다수개 설치한다.
이때,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50) 측면에 설치되는 지지대(60)는,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50)과 먼저 체결한 후에 e)단계를 실행할 수도 있다.
f)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50)과 지지대(60)가 설치되면, 흙을 완전히 채워 넣어 성토한다.
g) 상기 침하봉(40)의 상부로 스페이스관(70)을 끼우고,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50) 내측에 안착하면 계측장치의 설치는 완료된다.
이때, 상기 스페이스관(70)은 d)단계 내지 f)단계 사이에서 실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계측장치(100)가 설치 완료되면, 주름 형상의 보호관(50) 내측에 설치된 침하봉(40)이 정확히 주름 형상의 보호관(50)의 정중앙부에 오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50)의 상부 수평면에서, 상기 침하봉(40)에 새겨진 눈금(41)을 읽는다.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일정기간 경과한 후, 상기 침하봉(40)에 새겨진 눈금(41)을 읽어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하면 된다.
이때, 상기 침하봉(40)이 일측으로 기울어져 있을 때, 상기 침하봉(40)의 상단을 잡고,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50)과 수직으로 이루게 하거나 또는 정중앙부에 오도록 한 후 눈금(41)을 읽어서 연약지반의 침하정도를 측정하면 된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어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에 의하면, 침하판이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 침하되지 않고, 불규칙적으로 침하되더라도, 상기 침하판의 상부면 중앙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안착구에 안착된 침하봉을 회동하여, 상기 침하봉을 주름 형상의 보호관의 정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어,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침하판과 침하봉 및 주름 형상의 보호관을 비금속재료로 형성하여 금속재료의 낭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연약지반의 지중 내부에 설치되는 침하판과;
    상기 침하판의 상부면의 중앙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구 형상을 갖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의 일측이 개방된 안착구와;
    상기 안착구에 안착되어 자유자재로 회동되며, 그 밑면이 상기 구 형상의 공간부와 대응되어 안착되는 구 형상의 회동편을 가지며, 상기 구 형상의 회동편에 연장되어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를 갖는 막대 형상의 침하봉과;
    상기 침하판과 수직 거리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침하봉을 보호하기 위한 주름 형상의 보호관과;
    상기 침하판과 수직 거리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의 외측면에 다수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이 연약지반의 하부로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이 지표면과 수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와;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이 복토의 외압에 의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철근망; 및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침하봉을 주름 형상의 보호관의 정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침하봉이 주름 형상의 보호관의 내측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페이스관; 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침하판이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 침하되지 않고, 불규칙적으로 침하되더라도, 상기 침하판의 상부면 중앙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안착구에 안착된 침하봉의 회동편을 회동하여, 상기 침하봉을 주름 형상의 보호관의 정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어,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침하판과 침하봉 및 주름 형상의 보호관을 비금속재료로 형성하여 금속재료의 낭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하판은,
    철근을 일정간격으로 배근하여 형성된, 그물망 형상의 철근 배근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관은,
    상기 침하봉을 삽입할 수 있는 관통구가 형성된 링; 및
    상기 링의 외측면에 다수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주름 형상의 보호관 내측에 삽입되어 밀착되며, 상기 침하봉을 주름 형상의 보호관 정중앙부에 위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자체덴션을 갖는 지지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하봉과 주름 형상의 보호관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하봉에는,
    연약 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이 새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
KR20-2004-0030021U 2004-10-25 2004-10-25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 KR2003731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021U KR200373187Y1 (ko) 2004-10-25 2004-10-25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021U KR200373187Y1 (ko) 2004-10-25 2004-10-25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187Y1 true KR200373187Y1 (ko) 2005-01-15

Family

ID=49444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021U KR200373187Y1 (ko) 2004-10-25 2004-10-25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187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549B1 (ko) 2006-07-24 2007-01-24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연약지반 침하 계측구조
KR100715275B1 (ko) 2006-11-18 2007-05-08 (주) 장맥엔지니어링 구조물 뒷채움의 안전 계측장치
KR100793696B1 (ko) * 2005-05-24 2008-01-10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쓰레기매립장의 폐기물층 침하 계측기기
KR100813504B1 (ko) 2007-10-17 2008-03-13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하천제방 및 도로 횡단 콘크리트 수로용 주교공
KR100903136B1 (ko) 2009-01-16 2009-06-16 시지엔지니어링(주) 팽이파일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부위의 침하 계측구조 및 계측방법
KR200446726Y1 (ko) 2008-03-13 2009-11-24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연약지반 계측장비의 수직 지지 브래킷
KR20160039829A (ko) * 2014-10-02 2016-04-12 정광우 가로등기초 구조물
KR20220121958A (ko) * 2021-02-25 2022-09-02 주식회사 지엔 침하계측장비 보호용 펜스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696B1 (ko) * 2005-05-24 2008-01-10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쓰레기매립장의 폐기물층 침하 계측기기
KR100673549B1 (ko) 2006-07-24 2007-01-24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연약지반 침하 계측구조
KR100715275B1 (ko) 2006-11-18 2007-05-08 (주) 장맥엔지니어링 구조물 뒷채움의 안전 계측장치
KR100813504B1 (ko) 2007-10-17 2008-03-13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하천제방 및 도로 횡단 콘크리트 수로용 주교공
KR200446726Y1 (ko) 2008-03-13 2009-11-24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연약지반 계측장비의 수직 지지 브래킷
KR100903136B1 (ko) 2009-01-16 2009-06-16 시지엔지니어링(주) 팽이파일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부위의 침하 계측구조 및 계측방법
KR20160039829A (ko) * 2014-10-02 2016-04-12 정광우 가로등기초 구조물
KR101663374B1 (ko) * 2014-10-02 2016-10-06 정광우 가로등기초 구조물
KR20220121958A (ko) * 2021-02-25 2022-09-02 주식회사 지엔 침하계측장비 보호용 펜스
KR102525390B1 (ko) * 2021-02-25 2023-04-26 주식회사 지엔 침하계측장비 보호용 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n et al. Deep excavation of the Gate of the Orient in Suzhou stiff clay: Composite earth-retaining systems and dewatering plans
CN102094432B (zh) 一种由工程环境效应引起地面沉降的模型及其试验方法
KR200373187Y1 (ko)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
CN105525634B (zh) 抗滑桩监测系统与监测方法、抗滑桩施工方法
KR20110024937A (ko) 침하계측용 지표침하판
KR101479651B1 (ko) 연약지반 지표침하판 겸용 지하 수위계
Tang et al. Field application of magnet-based smart rock for bridge scour monitoring
CN113338358A (zh) 一种欠固结土中测量桩基负摩阻力模型装置及制备方法和试验方法
KR20040108384A (ko) 다기능 지반침하 계측장치
CN101319894A (zh) 地下空间开挖引起的地面沉降测试方法
CN109443310A (zh) 一种路基沉降自动监测装置及施工工艺
CN205502092U (zh) 深厚回填土中灌注桩负摩阻力中性点的测试装置
CN112456353A (zh) 动臂塔吊固定式基础施工方法及动臂式塔吊结构
CN104655439B (zh) 重力式码头安全性的原位检测方法
Yang Evaluation of factors affecting earth pressures on buried box culverts
CN105649120A (zh) 深厚回填土中灌注桩负摩阻力中性点的测试方法
CN103628510B (zh) 用于地墙缺陷检测方法试验的地下连续墙模型
Yeung et al. Use of inert C&D materials for seawall foundation: A field-scale pilot test
CN106193139B (zh) 一种临河基坑施工对桩基影响的测试装置
CN114411766A (zh) 一种围护结构施工方法
Grget et al. Analysis of results of molasses tanks settlement testing
CN209055104U (zh) 一种路基沉降自动监测装置
KR100624220B1 (ko) 구조물의 침하량 관측 방법
Ganesharatnam et al. Large-diameter piles in chalk–part 2, design and construction
CN116591043B (zh) 一种装配式桥梁承台拼接面墩柱预埋筋的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