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651B1 - 연약지반 지표침하판 겸용 지하 수위계 - Google Patents

연약지반 지표침하판 겸용 지하 수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651B1
KR101479651B1 KR20140145424A KR20140145424A KR101479651B1 KR 101479651 B1 KR101479651 B1 KR 101479651B1 KR 20140145424 A KR20140145424 A KR 20140145424A KR 20140145424 A KR20140145424 A KR 20140145424A KR 101479651 B1 KR101479651 B1 KR 101479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 ground
casing
settlement
plate
measur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45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복
Original Assignee
(주)테스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스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테스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140145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3/00Component parts of indicato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3/02Scales; Dials
    • G01D13/12Gradu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dip members, e.g. dip-sti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약지반 지표침하판 겸용 지하 수위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약지반 상에 배치되어 침하량을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통상의 지하 수위측정기를 이용하여 지하 수위의 변화를 보다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연약지반의 부분침하가 발생시에 그 부분침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연약지반 지표침하판 겸용 지하 수위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지표침하판 겸용 지하 수위계는 연약지반의 지면에 위치하는 침하판 및 상기 침하판에 장착되어 연약지반의 침하시에 수직방향으로 하강하는 계측봉을 포함하여 상기 계측봉의 주위에 설치되어 성토층이 계측봉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침하판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적어도 둘 이상 독립적으로 다수 분할형성되어 연약지반의 부분침하에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침하판 상부에는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관이 제1 및 제2 케이싱으로 분할 구성되어 상호 나사맞춤에 의해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케이싱 내에는 제1 및 제2 가이드가 장착되어 계측봉의 수직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케이싱의 외주면에는 연약지반으로 매립되도록 고정원판을 갖는 지지봉이 다수 장착되며, 상기 제2 케이싱의 하단부에는 바닥면에 다수의 투수공을 갖는 커버가 구비되되,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상기 계측봉의 하부는 각각의 상기 침하판에 형성된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고, 상부에는 눈금이 형성되며, 상기 눈금은 성토층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 1 케이싱의 개방된 상단부에 상기 제 1 케이싱의 내경에 맞는 덮개가 씌워지고, 상기 커버의 내측에는 토사유입을 차단하는 필터가 개재되고, 상기 제 1 케이싱의 하측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케이싱(31B)의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은 나사맞춤에 의하여 높이조절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약지반 지표침하판 겸용 지하 수위계 {AN EARTH SURFACE SUBSIDENCE BOARD OF SOFT GROUND AND WATER LEVEL METER}
본 발명은 연약지반 지표침하판 겸용 지하 수위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약지반 상에 배치되어 침하량을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통상의 지하 수위측정기를 이용하여 지하 수위의 변화를 보다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연약지반의 부분침하가 발생시에 그 부분침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연약지반 지표침하판 겸용 지하 수위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은 구조물을 지지할 수 없는 상태의 지반을 말하는 것으로, 예컨대 연약한 점토, 느슨한 사질토 및 유기질토 등이 이에 속하며, 이들 연약지반 위에 공항, 항만, 도로, 교량, 건물 등을 그대로 건설하게 되면, 지반의 침하량이 과대해 짐은 물론 지지력이 부족하여 안전사고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연약지반의 경우에는 지진이나 폭파 등에 의하여 진동이 발생하였을 때 그 진동에 의한 갑작스런 지반침하가 생길 수 있는 바, 고속도로나 공항, 항만 또는 공업단지 및 신시가지와 같은 부지 조성을 위한 토목공사를 하기 위해서는 연약지반 위에 흙을 성토하여 연약지반을 다진 후에 진행하게 된다.
그런데, 연약지반에 성토를 하였다 하더라도 위로 중장비나 건설장비 등과 같은 중량물이 지속적으로 이동하게 되면, 연약지반이 조금씩 침하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처럼 발생되는 연약지반의 침하는 항상 계측을 통하여 측정함으로써, 침하가 발생된 연약지반을 파악하고 설계 및 시공을 변경하여 연약지반 상에 성토되는 건설공사에 대한 합리적인 시공이 행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약지반을 계측하기 위한 장비로서는, 주로 연약지반에 설치되는 침하판과, 이 침하판의 중앙부에 부착되어 있는 침하봉과, 침하봉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보호관으로 구성된 침하 계측장비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장비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62859호(발명의 명칭: 연약지반 침하계측장치, 등록일: 2006.12.21.),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89522호(고안의 명칭: 연약지반 침하계측에 이용되는 침하봉 및 침하봉 보호관연결구조, 등록일: 2005.07.04.),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16324호(고안의 명칭: 연약지반의 지하수위 및 침하 계측 구조, 등록일: 2006.05.08.)에서는 침하봉에 보호관이나 지지편 등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계측기구의 기술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 기술의 경우 침하봉을 단순히 보호관이나 지지편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성토 작업시 외압에 의해 보호관이 쉽게 분리될 뿐만 아니라 침하봉의 상단부가 틀어져 버려 수직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연약지반의 침하 계측 구조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16324호의 기재 내용을 위주로 하고 상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므로 기재되지 않은 도면부호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16324호를 참조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100)의 상부에는 개량을 목적으로 도로 및 단지 예정부지에 대한 모래층(120)과 성토층(130)이 순차적으로 시공되고, 상기 연약지반(100)의 상단에는 침하판(200)이 거치됨과 동시에 침하봉 지지틀(210)과 보호관 지지틀(220)을 용접으로 부착함에 따라 각각 침하봉(250)과 침하봉 보호관(300)을 나사식으로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침하판(200) 및 침하봉 보호관(300)에는 철근으로 제작된 삼발이(400)의 양측이 각각 용접되고, 이 삼발이(400)의 하부에 받침판부(410)가 형성되어 침하판(200)의 상면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성토 시공시에 침하봉(250)의 기울어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연약지반(100)에 대한 침하 측정시 신뢰할 수 있는 측정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된다.
또한, 상기 침하봉(250)은 길이방향의 하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침하봉 지지틀(210)에 체결되고, 상기 침하봉 보호관(300)의 하단에는 다수의 투수공(310)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외주연에 삼발이(400)가 용접되며, 상기 침하봉 보호관(300)은 투수공(310)을 통하여 토사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직포 필터(500)로 감싸 막힘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침하봉 보호관(300)의 직경은 150mm 이상이 되도록 하여 성토에 따른 피압수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성토 시공에 따른 침하봉 보호관(300)과 다른 침하봉 보호관(300')의 연결을 커플링(600)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침하봉 보호관(300')의 경우, 성토층(130)의 상부로 돌출시켜 지하수위측정기(900)를 이용하여 와이어(920)와 연결된 측정센서(940)를 통해 성토층(130)의 지하 수위의 변화를 계측할 수 있다.
또한, 침하봉 보호관(300,300')을 연결시키는 커플링(600)에는 외측에 커플링 보호재(700)가 설치되어 커플링(600)과 결합된 침하봉 보호관(300,300')의 나사산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고, 최상부의 침하봉 보호관(300')에는 침하봉 관통홀 (810)과 와이어 관통홀(820)이 형성된 덮개(800)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침하봉 보호관(300,300')과 침하봉(250) 사이의 공간으로 지하수위측정기(900)의 측정센서(940)가 위치되어 지하 수위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연약지반의 침하상태 및 지하 수위의 변화를 계측할 수 있는 지하수위계 겸용 지표면 침하판(1000)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침하판(200)과 보호관(300)이 결속된 상태에서 삼발이(400)를 통해 보호관(300)과 침하판(200)을 용접으로 부착한 것이기 때문에 연약지반(100)에 침하가 일어나는 경우 침하봉(250)의 수직도가 변화함에 따라 보호관(300)에도 악영향을 주어 정확한 계측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연약지반(100)이 부분침하(100a) 하는 경우에 원판이나 사각의 판 형상을 갖는 침하판(200)의 어느 한 부분이 연약지반에 지지되어 그 부분침하(100a)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62859호(발명의 명칭: 연약지반 침하계측장치, 등록일: 2006.12.21.)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89522호(고안의 명칭: 연약지반 침하계측에 이용되는 침하봉 및 침하봉 보호관연결구조, 등록일: 2005.07.04.)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16324호(고안의 명칭: 연약지반의 지하수위 및 침하 계측 구조, 등록일: 2006.05.08.)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침하판에 설치되는 계측봉의 수직도에 변형이 가해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상기 계측봉의 외주에 설치되는 보호관 자체의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하여 성토 시공시의 설계변화에 따른 대처가 가능하며, 또 통상의 지하수위측정기 및 센서를 이용한 지하 수위의 변화를 용이하게 계측할 수 있는 연약지반 지표침하판 겸용 지하 수위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침하판 하부에 부분적으로 연약지반이 침하하는 경우에 그 침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연약지반 지표침하판 겸용 지하 수위계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지표침하판 겸용 지하 수위계는 연약지반의 지면에 위치하는 침하판 및 상기 침하판에 장착되어 연약지반의 침하시에 수직방향으로 하강하는 계측봉을 포함하여 상기 계측봉의 주위에 설치되어 성토층이 계측봉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침하판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적어도 둘 이상 독립적으로 다수 분할형성되어 연약지반의 부분침하에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침하판 상부에는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관이 제1 및 제2 케이싱으로 분할 구성되어 상호 나사맞춤에 의해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케이싱 내에는 제1 및 제2 가이드가 장착되어 계측봉의 수직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케이싱의 외주면에는 연약지반으로 매립되도록 고정원판을 갖는 지지봉이 다수 장착되며, 상기 제2 케이싱의 하단부에는 바닥면에 다수의 투수공을 갖는 커버가 구비되되,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상기 계측봉의 하부는 각각의 상기 침하판에 형성된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고, 상부에는 눈금이 형성되며, 상기 눈금은 성토층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 1 케이싱의 개방된 상단부에 상기 제 1 케이싱의 내경에 맞는 덮개가 씌워지고, 상기 커버의 내측에는 토사유입을 차단하는 필터가 개재되고, 상기 제 1 케이싱의 하측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케이싱(31B)의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은 나사맞춤에 의하여 높이조절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측봉의 외주에 설치되는 보호관을 분할 구성함과 동시에 계측봉의 수직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를 설치하고, 또 성토층의 지면에 보강판을 부가하여 배치하였기 때문에 계측봉의 수직도에 대한 변형이 일어나지 않음은 물론 성토 시공시에 설계변화에 따라 충분히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수의 침하판이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연약지반 지면에 설치되어 각각의 상기 침하판 하부 연약지반에 부분침하가 발생을 확인가능하므로 원활한 지반침하의 대처가 빨라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약지반의 침하 계측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연약지반의 침하 계측기구의 침하판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지표침하판 겸용 지하 수위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지표침하판 겸용 지하 수위계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지표침하판 겸용 지하 수위계의 침하판과 계측봉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지표침하판 겸용 지하 수위계의 침하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지표침하판 겸용 지하 수위계의 계측봉과 다른 계측봉 간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지표침하판 겸용 지하 수위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지표침하판 겸용 지하 수위계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 지표침하판 겸용 지하수위계(이하 간략하게 '지하수위계'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인 지하수위계는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위계(1)는 크게 연약지반(A)에 배치되는 침하판(10) 및 이 침하판(10)의 중앙부에 장착되는 계측봉(20)을 포함하여 모래층(B)이나 성토층(C) 상에서 계측봉(20)의 외주에 설치되는 보호관(30)으로 이루어져 있다.(도 3 참조)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침하판(10)은 전체적으로 원형 또는 사각의 판 형상으로 제작되어 연약지반(A)의 지면에 장착됨과 동시에 그 상부에 형성된 브라켓(11) 내에 상부에 눈금(21)이 형성된 계측봉(20)의 하부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눈금(21)이 형성된 계측봉(20)의 상부는 성토층(C)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때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침하판(10)은 연약지반(A)의 전체적인 침하는 물론, 부분적인 침하에도 계측봉(20)이 독립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이 하나의 판 형상을 갖도록 분할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 참조)
아울러, 브라켓(11)은 분할형성된 각각의 침하판(10)에 각각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브라켓(11)에 결합하는 계측봉(20)이 연약지반(A)의 부분 침하에 따라 독립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다수의 침하판(10)에 각각 형성된 브라켓(11)은 다수로 분할형성된 침하판(10)이 하나의 판 형상을 갖도록 구비시에 하나의 원 형상을 갖도록 다수의 침하판(10)에 각각 형성되어 보호관(30) 내부에서 계측봉(20)이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측봉(20)은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연약지반(A)에 침하가 발생할 때 수직방향으로 하강함에 따라 외면에 형성된 눈금(21)의 변동위치를 확인하여 쉽게 침하 정도를 측정하게 되며, 상기 보호관(30)의 경우에는 연약지반(A)의 침하 발생시에 계측봉(20)이 수직위치에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계측봉(20) 상면에는 모래층(B)과 성토층(C)의 높이에 따라 또는 연약지반(A)이 침하하는 높이에 따라 다른 계측봉(20)과 서로 수직하게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공(23)이 형성되어 수직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 참조)
즉, 상기 보호관(30)은 제1 및 제2 케이싱(31A,31B)으로 분할되어 상호 나사맞춤에 의해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케이싱(31A) 내에는 계측봉(20)이 관통삽입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32A,32B)가 상호 이격되어 설치됨에 따라 계측봉(20)의 수직 이동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계측봉(20)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케이싱(31A)의 상단부가 개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케이싱(31A)의 내경에 맞는 덮개로 씌워 둘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2 케이싱(31B)의 외주면에는 각각 고정원판(33)을 갖는 4개의 지지봉(34)이 장착되어 연약지반(A) 측으로 매립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케이싱(31B)의 하단부에는 바닥면에 다수의 투수공(35a)을 갖도록 강재나 일반 수지재로 제작된 커버(36)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커버(36)는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는 계측봉(20)이 관통삽입되어 브라켓(11)과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계측봉(20)의 수와 대응되게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봉(34)의 경우, 본 발명에서는 제2 케이싱(31B)의 외주면으로부터 상호 대향하도록 4개를 배치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2개나 3개 정도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36)의 내측에는 필터(도시생략)를 개재하여 토사의 유입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는 부직포, 플라스틱 망, 스테인레스 망, 1 센티미터 두께 이상의 분말 숯, 평균 직경 1 센티미터 크기의 자갈층으로 3 센티미터의 두께 층이 포함되는 것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지하수위계(1)는 도시된 계측기구의 다른 실시예로 통상의 지하 수위측정기(50)를 이용하여 와이어(51)와 연결된 측정센서(52)를 통해 성토층(C)에 대한 지하 수위의 변화를 계측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도 8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위계(1)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다수로 분할형성된 침하판(10)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브라켓(11)에 각각 계측봉(20)을 조립하여 상기 계측봉(20)이 보호관(30) 내부에 다수 구비될 수 있도록 고정시킨 상태에서 보호관(30)을 구성하는 제2 케이싱 (31B)을 끼워넣음과 동시에 4개의 고정원판(33) 및 지지봉(34)을 상기 침하판(10)의 가장자리 바깥쪽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여 배치한다.
이어서, 제1 케이싱(31A)은 내부에 설치된 제1 및 제2 가이드(32A,32B)에 의하여 계측봉(20) 외면에 끼워지고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제2 케이싱(31B)과 나사결합으로 체결 맞춤시켜 고정 설치된다.
제 1 케이싱(31A)의 하측 외주면에 2 중회전 나사가 형성되고, 제 2 케이싱(31B)의 내주면에 2 중회전 나사가 형성되며 제 1 케이싱(31A)과 제 2 케이싱(31B)은 나사맞춤에 의하여 높이조절 상태로 설치되고 고정된다.
즉, 제 1 케이싱(31A)과 제 2 케이싱(31B)의 나사맞춤은 1 회전에 의하여 나사의 피치가 2개 만큼 회전하게 되므로 승강과 하강의 높이 조절이 신속하며 편리하게 진행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 1 케이싱(31A)과 제 2 케이싱(31B)의 각 나사는 3 중회전, 4 중회전 나사를 형성할 수 있으며, 3 중회전 나사가 현장에서 작업자에 의한 승강과 하강의 높이 조절을 위하여 비교적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싱(31B)의 저면부에는 투수공(35a)이 형성된 커버(36)를 미리 결속시킨 상태에서 다수의 계측봉(20)을 각각의 침하판(10)에 형성된 브라켓(11) 상에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 연약지반(A) 상에 모래층(B) 혹은 성토층(C)을 시공함으로써, 연약지반(A)의 전체적인 침하 또는 부분적인 침하 발생에 따른 계측봉(20)의 동작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하나의 판 형상을 갖도록 다수로 분할형성된 침하판(10)이 위치하는 연약지반에 전체적인 침하가 발생하는 경우, 각각의 침하판(10)은 전체적으로 하강하여 각각의 계측봉(20) 역시, 전체적으로 하강하여 연약지반(A)의 침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물론, 도시한 바와 같이, 연약지반(A)에 부분침하(A1)가 발생하는 경우, 그 부분침하(A1)가 발생한 위치의 침하판(10) 만이 하강하게 되고, 부분침하에 의해 하강하는 상기 침하판(10)과 결합하는 계측봉(20) 만이 보호관(30) 내에서 하강하여 어느 연약지반(A)에 부분침하가 발생하고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8에서와 같이 지하 수위의 변화를 계측하고자 할 경우에는 통상의 지하 수위측정기(50)에 와이어(51)로 연결되어 있는 측정센서(52)를 보호관(30)을 구성하는 제1케이싱(31A) 내부로 투입함으로써 손쉽게 지하 수위측정기(50)를 통해 지하 수위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침하판 11: 브라켓
20: 계측봉 21: 눈금
30: 보호관 31A: 제1케이싱
31B: 제2케이싱 32A: 제1가이드
32B: 제2가이드 33: 고정원판
34: 지지봉 35a: 투수공
36: 커버 50: 지하 수위측정기
51: 와이어 52: 측정센서

Claims (1)

  1. 연약지반(A)의 지면에 위치하는 침하판(10) 및 상기 침하판에 장착되어 연약지반의 침하시에 수직방향으로 하강하는 계측봉(20)을 포함하여 상기 계측봉의 주위에 설치되어 성토층(C)이 계측봉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관(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침하판(10)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하고 적어도 둘 이상의 독립적인 다수로 분할형성되어 연약지반의 부분침하에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침하판(10) 상부 일측 모서리 부분에는 브라켓(11)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관(30)은 제1 및 제2 케이싱(31A,31B)으로 분할 구성되어 상호 나사맞춤에 의해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케이싱(31A) 내에는 제1 및 제2 가이드(32A,32B)가 장착되어 계측봉(20)의 수직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케이싱(31B)의 외주면에는 연약지반(A)으로 매립되도록 고정원판(33)을 갖는 지지봉(34)이 다수 장착되며,
    상기 제2 케이싱(31B)의 하단부에는 바닥면에 다수의 투수공(35a)을 갖는 커버(36)가 구비되되,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상기 계측봉(20)의 하부는 나사부를 형성하며 각각의 상기 침하판에 형성된 상기 브라켓(11)에 나사결합으로 체결 고정되고, 상부에는 눈금(21)이 형성되며, 상기 눈금은 성토층(C)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 1 케이싱(31A)의 개방된 상단부에 상기 제 1 케이싱(31A)의 내경에 맞는 덮개가 씌워지고,
    상기 커버(36)의 내측에는 토사유입을 차단하는 필터가 개재되고,
    상기 제 1 케이싱(31A)의 하측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케이싱(31B)의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케이싱(31A)과 제 2 케이싱(31B)은 나사맞춤에 의하여 높이조절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지표침하판 겸용 지하 수위계.
KR20140145424A 2014-10-24 2014-10-24 연약지반 지표침하판 겸용 지하 수위계 KR101479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5424A KR101479651B1 (ko) 2014-10-24 2014-10-24 연약지반 지표침하판 겸용 지하 수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5424A KR101479651B1 (ko) 2014-10-24 2014-10-24 연약지반 지표침하판 겸용 지하 수위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9651B1 true KR101479651B1 (ko) 2015-01-13

Family

ID=52588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45424A KR101479651B1 (ko) 2014-10-24 2014-10-24 연약지반 지표침하판 겸용 지하 수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65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078B1 (ko) * 2016-04-28 2016-06-27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수중침하판을 이용한 매립지 침하량 측정방법
CN106772686A (zh) * 2016-12-05 2017-05-31 绵阳市湘蜀电子科技有限公司 校园气象环境监测系统
KR101769352B1 (ko) 2015-07-06 2017-08-18 박소현 충진식 싱크홀 측정방법
CN111103027A (zh) * 2019-12-24 2020-05-05 北京中煤矿山工程有限公司 一种可实现分层报道冻结壁交圈情况的水位观测管
CN114076587A (zh) * 2021-11-19 2022-02-22 山西路桥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隧道施工用地面沉降监测装置及其检测方法
KR20220121958A (ko) * 2021-02-25 2022-09-02 주식회사 지엔 침하계측장비 보호용 펜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1866A (ja) * 1998-06-08 1999-12-24 Hazama Gumi Ltd 架台及び地盤沈下計測装置の水底への設置方法
KR100662859B1 (ko) 2006-06-09 2007-01-19 (주)정도엔지니어링 연약지반 침하계측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1866A (ja) * 1998-06-08 1999-12-24 Hazama Gumi Ltd 架台及び地盤沈下計測装置の水底への設置方法
KR100662859B1 (ko) 2006-06-09 2007-01-19 (주)정도엔지니어링 연약지반 침하계측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352B1 (ko) 2015-07-06 2017-08-18 박소현 충진식 싱크홀 측정방법
KR101633078B1 (ko) * 2016-04-28 2016-06-27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수중침하판을 이용한 매립지 침하량 측정방법
CN106772686A (zh) * 2016-12-05 2017-05-31 绵阳市湘蜀电子科技有限公司 校园气象环境监测系统
CN106772686B (zh) * 2016-12-05 2018-11-30 绵阳市湘蜀电子科技有限公司 校园气象环境监测系统
CN111103027A (zh) * 2019-12-24 2020-05-05 北京中煤矿山工程有限公司 一种可实现分层报道冻结壁交圈情况的水位观测管
KR20220121958A (ko) * 2021-02-25 2022-09-02 주식회사 지엔 침하계측장비 보호용 펜스
KR102525390B1 (ko) * 2021-02-25 2023-04-26 주식회사 지엔 침하계측장비 보호용 펜스
CN114076587A (zh) * 2021-11-19 2022-02-22 山西路桥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隧道施工用地面沉降监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114076587B (zh) * 2021-11-19 2024-02-09 山西路桥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隧道施工用地面沉降监测装置及其检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651B1 (ko) 연약지반 지표침하판 겸용 지하 수위계
CN108708361B (zh) 一种深层沉降监测装置及埋设沉降标的方法
CN104900130B (zh) 一种基坑突涌演示仪及其基坑突涌实验研究方法
KR200416324Y1 (ko) 연약지반의 지하수위 및 침하 계측 구조
CN204286365U (zh) 基坑侧壁位移监测装置
CN102269578A (zh) 空间结构竖向变形测量装置
CN114108624A (zh) 针对一柱一桩钢管柱的两调一控式垂直度控制施工方法
CN208721064U (zh) 一种城市隧道上跨既有地铁隧道的实时监测系统
CN110029648A (zh) 一种用于深厚回填土地基的深层沉降观测装置及使用方法
Schneider et al. Asimplified weighing lysimeter for monolithic or reconstructed soils
KR100761934B1 (ko) 교량의 상판변형 안전진단장치
JP3194509B2 (ja) 地下埋設管の沈下測定装置
CN105297731B (zh) 一种逆作法钢立柱定位装置以及定位方法
CN110056019A (zh) 一种自平衡静载式桩基试验装置及施工方法
CN101655405B (zh) 一种孔隙水压力计及其使用方法
KR20040108384A (ko) 다기능 지반침하 계측장치
KR200373187Y1 (ko) 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
JP2015200170A (ja) 大型土木建築構造物底版下の地盤沈下量検測兼グラウト注入装置
CN205502092U (zh) 深厚回填土中灌注桩负摩阻力中性点的测试装置
CN106193139B (zh) 一种临河基坑施工对桩基影响的测试装置
CN204759887U (zh) 一种基坑突涌演示仪
CN114164858B (zh) 一种盖挖式地铁站中立柱高精度施工方法
JP6512480B2 (ja) 地盤沈下検測装置付グラウト注入管
CN212779195U (zh) 基坑沉降监测装置
CN201803708U (zh) 空间结构竖向变形测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