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2859B1 - 연약지반 침하계측장치 - Google Patents

연약지반 침하계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2859B1
KR100662859B1 KR1020060052074A KR20060052074A KR100662859B1 KR 100662859 B1 KR100662859 B1 KR 100662859B1 KR 1020060052074 A KR1020060052074 A KR 1020060052074A KR 20060052074 A KR20060052074 A KR 20060052074A KR 100662859 B1 KR100662859 B1 KR 100662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tube
measuring
measuring rod
soft ground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순택
Original Assignee
(주)정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정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052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2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02D1/0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3/00Testing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01B5/0004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약지반의 침하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연약지반 계측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침하계측장치는 중앙부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관이 부착되어 있는 지지판과; 상기 결합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하측에는 상기 결합관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측에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계측봉과; 상기 계측봉이 보호되도록 그 내부에 상기 계측봉이 위치되며, 상측에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보호관으로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계측봉과 보호관에 걸림돌기 및 체결홈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계측봉과 보호관을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호캡에 의하여 성토시 이물질 또는 토사가 보호관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계측, 연약지반, 보호관, 지지판

Description

연약지반 침하계측장치{The instrumentation apparatus for the measure sinkingvalue fo the soft groun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 침하계측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 침하계측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 침하계측장치의 지지판 및 계측봉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성토층 10 : 연약지반 계측장치
20 : 지지판 23 : 결합관
30 : 계측봉 40 : 보호관
47 : 보호캡 50 : 지지대
본 발명은 연약지반이 성토에 의하여 침하되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연약지반 침하계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약지반의 침하에 의하여 침하되는 침하봉 및 침하봉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관을 성토층의 높이에 따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연약지반 침하계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이라고 하면 상부구조물을 지지할 수 없는 상태의 지반을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연약한 점토, 느슨한 사질토 및 유기질토 등이 이에 속한다. 연약한 점성토나 유기질토로 구성된 지반위에 공항, 항만, 도로, 교량, 건물 등을 그대로 건설하게 되면, 지반의 침하량이 과대하여지고, 지지력이 부족하여 안전사고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연약지반의 경우에는 지진이나 폭파 등에 의하여 진동이 발생하였을 때 그 진동에 의한 갑작스런 지반침하가 생길 수 있다.
그래서 고속도로, 공항, 항만 또는, 공업단지 및 신시가지와 같은 부지를 조성하기 위한 토목공사를 하기 위해서는 연약지반 위에 흙을 성토하여 연약지반을 다진 후, 토목공사를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연약지반에 성토를 하였다 하더라도 성토층 위로 중장비나, 건설장비 등과 같은 중량이 많이 나가는 장비들이 지속적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에 의하여 연약지반이 조금씩 침하되는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성토 후, 조금씩 발생되는 연약지반의 침하는 항상 계측을 통하여 측정을 하여야 하는데, 이는 침하가 발생된 연약지반을 파악하여 연약지반처리 설계 및 시공을 변경함으로써, 연약지반상에 성토되는 건설공사에 대한 합리적인 시공, 안전관리 및 품질관리를 하기 위함이다.
한편, 연약지반을 계측하는 계측장치로는 여러 가지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이 침하판과, 이 침하판의 침하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침하봉을 이용한 침하계측장치이다. 이러한 침하계측장치는 연약지반에 설치되는 침하판과, 이 침하판의 중앙부에 부착되어 있는 침하봉과, 침하봉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보호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침하봉 및 보호관은 성토되는 흙의 높이에 따라 다수가 연결되어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침하계측장치는 침하봉 및 보호관을 연결할 때 별도의 커플링을 사용하거나 또는 나사를 형성하여 상호 결합하는 구조이므로, 침하봉 및 보호관을 결합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침하봉 및 보호관을 결합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내포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침하봉 및 보호관에 탄력지지편을 형성하여 침하봉 및 보호관을 상호 결합하는 침하계측장치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389522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389522호에 개시된 침하계측장치는 침하봉 및 보호관이 단순히 탄력지지편에 의해서만 고정되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침하봉이나 보호관이 상측으로 쉽게 분리될 뿐만 아니라, 오래 사용할 경우 탄력지지편의 탄성이 저하되어 침하봉 및 보호관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계측봉 및 보호관을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력을 향상시켜 계측봉 및 보호관이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약지반 침하계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침하계측장치는 중앙부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관이 부착되어 있는 지지판과; 상기 결합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하측에는 상기 결합관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측에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계측봉과; 상기 계측봉이 보호되도록 그 내부에 상기 계측봉이 위치되며, 상측에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보호관으로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침하계측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연약지반 계측장치(10)는 연약지반의 지면에 위치되어 있는 지지판(20)과, 연약지반이 침하되면 지지판(20)과 함께 침하되도록 지지판(20)에 결합되는 계측봉(30)과, 연약지반에 성토되는 성토층(1)으로부터 계측봉(30)이 보호되도록 그 내부에 계측봉(30)이 위치되는 보호관(40)과, 보호관(40)에 결합되는 지지대(50)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판(20)의 모서리부에는 손잡이(21)가 부착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계측봉(30)을 고정할 수 있도록 결합관(23)이 장착되어 있다. 결합관(23)에는 계측봉(30)이 착탈되도록 결합홈(25)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관(23)의 대응되는 부위에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관(23)의 결합홈(25)은 결합관(23)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가이드홈(25a)과, 이 제1 가이드홈(25a)의 단부에서 결합관(23)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 가이드홈(25b)과, 제2 가이드홈(25b)의 단부에서 결합관(23)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25c)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지지판(20)에 손잡이(21)를 부착하는 것은 지지판(20)을 연약지반에 설치하거나 운반할 때 취급을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계측봉(30)은 그 상측부가 연약지반에 성토되는 성토층(1)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성토층(1)의 높이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이 다수개 연결되어 설치된다. 계측봉(30)은 지지판(20)의 결합관(23)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또한 계측봉(30)이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계측봉(30)의 상측에는 체결홈(31)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는 걸림돌기(3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33)는 계측봉(30)을 지지판(20)에 결합하거나 또는 다른 하나의 계측봉(30)과 결합할 때, 결합관(23) 및 계측봉(30)의 체결홈(3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계측봉(30)의 체결홈(31)은 계측봉(3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가이드홈(31a)과, 이 제1 가이드홈(31a)의 단부에서 계측봉(30)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 가이드홈(31b)과, 제2 가이드홈(31b)의 단부에서 계측봉(3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31c)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호관(40)은 상측에 체결홈(41)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는 다른 하나의 보호관(40)의 체결홈(41)에 삽입되는 걸림돌기(4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보호관(40)의 체결홈(41)은 보호관(4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가이드홈(41a)과, 이 제1 가이드홈(41a)의 단부에서 보호관(40)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 가이드홈(41b)과, 제2 가이드홈(41b)의 단부에서 보호관(4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41c)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최 하측에 위치되는 보호관(40)에는 지지대(50)가 착탈되도록 지지대삽입관(43)이 마련되어 있다. 지지대삽입관(43)은 3개가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내면에 지지대(50)를 체결할 수 있도록 암나사 또는 나비볼트가 형성되어 있다.
성토층(1)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보호관(40)에는 보호관(40)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보호캡(47)이 더 마련되어 있으며, 보호캡(47)이 하단에는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보호캡(47)이 보호관(4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보호관(40)에 삽입되는 삽입부(47a)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대(50)는 그 상단에 나사가 형성되어 지지대삽입관(43)에 나사 체결되어 있는 지지봉(51)과, 보호관(40)이 하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밀림방지판(53)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계측봉(30) 및 보호관(40)의 체결홈(31,41)은 계측봉(30) 및 보호관(40)의 대응되는 부위에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관(23), 계측봉(30) 및 보호관(40)의 결합홈(25), 체결홈(31, 41) 및 걸림돌기(33, 43)가 대응되게 2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2개 이상을 등간격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지금부터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 계측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연약지반을 평탄하게 부지정지를 한 후, 지지판(20)을 연약지반 위에 안착시키고, 연약지반에서 지지판(20)이 이동되지 않도록 지지판(20) 위에 투수성이 좋은 모래 등을 덮어준다.
그리고 보호관(40)의 중심부에 지지판(20)의 결합관(23)이 위치되도록 지지대(50)가 체결되어 있는 보호관(40)을 연약지반에 고정시킨다. 이후, 계측봉(30)의 걸림돌기(33)가 지지판(20)의 결합관(23)의 결합홈(25)에 삽입되도록 계측봉(30)의 걸림돌기(33)를 결합관(23)의 제1 가이드홈(25a)과 제2 가이드홈(25b)을 따라 이동시킨 후, 걸림홈(25c)에 안착시킨다. 그러면, 계측봉(30)의 걸림돌기(33)가 결합관(23)의 걸림홈(25c)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계측봉(30)이 결합관(23)에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는 것이다.
이후, 성토층(1)의 높이에 따라 다른 하나의 보호관(40) 및 계측봉(30)을 연역지반에 설치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보호관(40) 및 지지판(20)에 결합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계측봉(30)에 결합시킨다. 즉, 성토층(1)의 높이에 따라 보호관(40) 및 계측봉(30)을 다수 결합하여 보호관(40) 및 계측봉(30)이 성토층(1)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다수 연결하는 것이다. 이때, 다른 하나의 보호관(40) 및 계측봉(30)의 걸림돌기(33, 43)는 어느 하나의 보호관(40) 및 계측봉(30)의 체결홈(41c, 31c)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보호관 및 계측봉(30)의 설치가 완료되면, 성토층(1)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보호관(40)에 보호캡(47)을 설치하여 보호관(40)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침하계측장치에 의하면, 계측봉과 보호관에 걸림돌기 및 체결홈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계측봉과 보호관을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호캡에 의하여 성토시 이물질 또는 토사가 보호관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연약지반의 지면에 위치되어 있으며 중아부에 계측봉이 착탈되도록 결합관이 부착되어 있는 지지판과, 연약지반이 침하되면 상기 지지판과 함께 침하되도록 상기 지지판에 수직되게 결합되어 있으며 연약지반에 성토되는 성토층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다수가 연결되어 있는 계측봉들과, 연약지반에 성토되는 흙이 상기 계측봉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그 내부에 상기 계측봉이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판의 상측에 위치되어 다수가 연결되어 있는 보호관들과, 상기 보호관 중 최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보호관이 연약지반과 수직을 이루면서 고정되도록 상기 보호관의 하측에 마련되어 있는 지지대로 이루어져 있는 연약지반 침하계측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관(23)에는 상기 계측봉(30)이 고정되도록 결합홈(25)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계측봉(30)과 보호관(40)의 상단부에는 체결홈(31, 41)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다른 하나의 계측봉 및 보호관의 체결홈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돌기(33, 43)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결합홈(25) 및 체결홈(31, 41)은 상기 계측봉 또는 상기 보호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가이드홈(25a, 31a, 41a)과, 상기 제1 가이드홈의 단부에서 상기 계측봉 또는 상기 보호관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 가이드홈(25b, 31b, 41b)과, 상기 제2 가이드홈의 단부에서 상기 계측봉 또는 상기 보호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홈(25c, 31c, 41c)으로 이루어져 상기 계측봉 및 보호관의 대응되는 부위에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보호관 중 최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보호관의 하측에는 상기 지지대(50)를 착탈할 수 있도록 지지대삽입관(45)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판(20)에는 손잡이(21)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관의 상측에는 상기 보호관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보호캡(47)이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침하계측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60052074A 2006-06-09 2006-06-09 연약지반 침하계측장치 KR100662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074A KR100662859B1 (ko) 2006-06-09 2006-06-09 연약지반 침하계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074A KR100662859B1 (ko) 2006-06-09 2006-06-09 연약지반 침하계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2859B1 true KR100662859B1 (ko) 2007-01-19

Family

ID=38013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074A KR100662859B1 (ko) 2006-06-09 2006-06-09 연약지반 침하계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28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651B1 (ko) 2014-10-24 2015-01-13 (주)테스콤엔지니어링 연약지반 지표침하판 겸용 지하 수위계
KR20220121958A (ko) * 2021-02-25 2022-09-02 주식회사 지엔 침하계측장비 보호용 펜스
WO2024074720A1 (en) * 2022-10-07 2024-04-11 Deltaiot B.V. Reusable settlement plate system
NL2033261B1 (en) * 2022-10-07 2024-04-19 Deltalot B V Reusable settlement plate 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2563A (ja) * 1991-08-27 1993-03-02 Taisei Corp 地下構造物の変位測定装置
KR19980082209A (ko) * 1997-05-02 1998-12-05 김훈일 엔코더를 이용한 지반 침하량 자동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30465A (ko) * 1998-12-28 1999-04-26 윤용수 지반 변위 계측용 파이프
JP2000088618A (ja) 1998-09-16 2000-03-31 Tobishima Corp 沈下計測装置
KR20010084362A (ko) * 2000-02-25 2001-09-06 에릭 발리베 잔존연삭유 건조장치
KR20030089522A (ko) * 2002-05-15 2003-11-22 정준식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2563A (ja) * 1991-08-27 1993-03-02 Taisei Corp 地下構造物の変位測定装置
KR19980082209A (ko) * 1997-05-02 1998-12-05 김훈일 엔코더를 이용한 지반 침하량 자동측정장치 및 그 방법
JP2000088618A (ja) 1998-09-16 2000-03-31 Tobishima Corp 沈下計測装置
KR19990030465A (ko) * 1998-12-28 1999-04-26 윤용수 지반 변위 계측용 파이프
KR20010084362A (ko) * 2000-02-25 2001-09-06 에릭 발리베 잔존연삭유 건조장치
KR20030089522A (ko) * 2002-05-15 2003-11-22 정준식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1843620000 *
2003895220000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651B1 (ko) 2014-10-24 2015-01-13 (주)테스콤엔지니어링 연약지반 지표침하판 겸용 지하 수위계
KR20220121958A (ko) * 2021-02-25 2022-09-02 주식회사 지엔 침하계측장비 보호용 펜스
KR102525390B1 (ko) * 2021-02-25 2023-04-26 주식회사 지엔 침하계측장비 보호용 펜스
WO2024074720A1 (en) * 2022-10-07 2024-04-11 Deltaiot B.V. Reusable settlement plate system
NL2033261B1 (en) * 2022-10-07 2024-04-19 Deltalot B V Reusable settlement plat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859B1 (ko) 연약지반 침하계측장치
KR200416324Y1 (ko) 연약지반의 지하수위 및 침하 계측 구조
US20120177440A1 (en) Manhole safety gratings
KR101235746B1 (ko) 이중관 지표 침하계 및 이를 이용한 침하 측정 방법
KR200376272Y1 (ko) 연약 지반 지하 구조물 침하 계측 장치
KR100793696B1 (ko) 쓰레기매립장의 폐기물층 침하 계측기기
KR100676681B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지지장치
KR100673549B1 (ko) 연약지반 침하 계측구조
CN107974890B (zh) 一种方便铺设的透水型人行道路砖
KR200409783Y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지지장치
KR20180003668U (ko) 지중 매설관 부착형 침하 관측장치
CN207812522U (zh) 一种地基基础静载试验测量用辅助设备
KR100683863B1 (ko) 도로의 비탈면 토사 표면 슬라이딩 진단 구조
CN206829786U (zh) 建筑施工围蔽
CN211452307U (zh) 一种桥梁隧道用沉降观测装置
CN208171242U (zh) 道路路面下受扰动土层的沉降监测装置
CN209703528U (zh) 一种道路桥梁建设用防坍塌承压护坡
CN214272081U (zh) 一种水利工程用坡体支撑结构
KR200370806Y1 (ko) 연약 지반 구조물 침하 거동 계측 장비
KR100546240B1 (ko) 하수관거 침하방지구조
CN109736296A (zh) 预埋基准的安装方法及厂房基准的设置方法
CN212926114U (zh) 一种边坡生态治理护坡结构
KR100906770B1 (ko) 옹벽 블럭 구조물
CN214883820U (zh) 一种适用于排水管道的路灯地基施工结构
CN113863383B (zh) 一种检查井井口临时覆盖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