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927Y1 -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회전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회전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927Y1
KR200223927Y1 KR2020000031252U KR20000031252U KR200223927Y1 KR 200223927 Y1 KR200223927 Y1 KR 200223927Y1 KR 2020000031252 U KR2020000031252 U KR 2020000031252U KR 20000031252 U KR20000031252 U KR 20000031252U KR 200223927 Y1 KR200223927 Y1 KR 200223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and cable
wire harness
rotation
fit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2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철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12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9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92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회전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밴드케이블이 고정 설치되는 끼움공에 방사상 형상을 갖는 고정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부에 끼워지도록 라운드연결부에 회전방지턱을 형성하여서 밴드케이블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조립에서 방향성을 부여하고, 고정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회전방지구조 { Structure For Preventingng The Band Cable Rotation For Fixing The Wire Harness }
본 고안은 와이어하네스(Wire Harness)를 고정하는 밴드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밴드케이블이 고정 설치되는 끼움공에 방사상 형상을 갖는 고정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부에 끼워지도록 라운드연결부에 회전방지턱을 형성하여서 밴드케이블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조립 방식에서 방향성을 부여하고, 고정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하네스 고정용 밴드 케이블의 회전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는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는 와이어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이 와이어 하네스를 소정의 위치에 묶어서 고정시키기 위하여 밴드 케이블이라는 부재를 사용한다.
상기 밴드케이블은,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한꺼번에 묶어서 소정의 장소에 걸림후크를 사용하여 고정하여 배선을 정리하도록 하는 고정부재의 일종이다.
상기 와이어 하네스에는 고정되는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타입으로 나뉘어진다. 원형의 구멍에 걸림후크가 삽입되어서 밴드케이블을 고정한 후에 자유롭게 회전되어지는 정홀 방식과, 밴드케이블 체결시에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와이어 하네스에 방향성을 부여하여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슬롯방식(Slot Type)과, 정홀 방식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원형의 구멍에 일측으로 홀을 모조로 형성하여서 밴드케이블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키이홀(Key Hole) 방식이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정홀 방식을 기준으로 실시예를 기술하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밴드케이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밴드케이블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종래의 밴드케이블(2)의 구성을 살펴 보면, 고정판(1)에 형성된 끼움공(5)에 탄성적으로 오므려 졌다가 벌려져서 걸려지는 걸림후크(6)와; 상기 걸림후크(6)를 지지하는 고정축(4)과 상기 고정축(4)의 상측에 양측으로 벌려져서 고정판(1)에 지지하는 지지부(10)와; 상기 지지부(10)의 상측에 고정되어서 형성된 고정체(12)에서 인출되어서 와이어 하네스(3)를 감싼 후에 상기 고정체(12)의 삽입공(14)에 체결되어서 고정하도록 하는 플렉시블조임구(18)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렉시블조임구(18)에는 걸림턱(16)을 형성하여서 삽입공(14)내에 형성된 턱부에 걸려지면서 체결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걸림후크(6)의 상측과 지지부(10)의 저면 사이에 연결되어지도록 외측면이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 라운드연결부(8)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밴드케이블(2)을 조립하고자 한다면, 고정판(1)의 끼움공(5)에 걸림후크(6)를 삽입하여서 걸림후크(6)의 턱부가 끼움공(5)에 걸려지면서 지지부(10)의 지지를 받는 상태에서 고정판(1)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이런 상태에서 플렉시블조임구(18)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와이어하네스(3)를 감은 상태에서 고정체(12)의 삽입공(14)에 끼워서 잡아 당겨서 플렉시블조임구(36)의 걸림턱(38)이 삽입공(34) 내에 형성된 걸림부위에 걸려지면서 고정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플렉시블조임구(18)에서 잡아 당겨져서 많이 노출된 부위를 절단부재를 사용하여 소정부위를 절단하므로 와이어하네스(3)를 설치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밴드케이블을 고정하고자 하면, 각각의 홀에 따라서 밴드케이블의 종류가 다양하고, 도면 설계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의 제작시 여러 종류의 밴드케이블로 인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지닌다.
또한, 각각 밴드케이블의 제작업체별로 일원화되어 있지 않아서 설계 및 제작에 있어서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만아니라 판넬 제작시 다른 종류의 홀로 인하여 툴 변화로 작업성 저하 및 소요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을 지닌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밴드케이블이 고정 설치되는 끼움공에 방사상 형상을 갖는 고정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부에 끼워지도록 라운드연결부에 회전방지턱을 형성하여서 밴드케이블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조립 방식에서 방향성을 부여하고, 고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밴드케이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밴드케이블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외관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조립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와이어하네스 22 : 고정축
24 : 걸림후크 26 : 라운드연결부
28 : 회전방지턱 30 : 지지부
32 : 고정체 34 : 삽입공
36 : 플렉시블조임구 38 : 걸림턱
40 : 고정판 42 : 끼움공
44 : 고정홈부
이러한 목적은, 고정판에 형성된 끼움공에 탄성적으로 오므려 졌다가 벌려져서 걸려지는 걸림후크와; 상기 걸림후크를 지지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상측에 양측으로 벌려져서 고정판에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고정체의 상부로 인출되어서 와이어하네스로 구성된 밴드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끼움공에 방사형으로 함몰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홈부와; 상기 고정홈부의 삽입되어 상기 밴드케이블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라운드연결부의 외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회전방지턱을 구성된 와이어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회전방지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흠부는 상기 끼움공에 45°각도의 간격으로 형성하여서 모두 8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 하나 필요하다면 개수를 조절한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 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외관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조립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고안의 구성의 살펴 보면, 고정판(40)에 형성된 끼움공(42)에 탄성적으로 오므려 졌다가 벌려져서 걸려지는 걸림후크(24)와; 상기 걸림후크(24)를 지지하는 고정축(22)과; 상기 고정축(22)의 상측에 양측으로 벌려져서 고정판(40)에 지지하는 지지부(30)와; 상기 지지부(30)에 형성된 고정체(32)의 상부로 인출되어서 와이어하네스(46)를 조여주는 플렉시블조임구(36)로 구성된 밴드케이블(20)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40)의 끼움공(42)에 방사형으로 함몰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홈부(44)와; 상기 고정홈부(44)의 삽입되어 상기 밴드케이블(2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라운드연결부(26)의 외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회전방지턱(28)을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홈부(44)는 상기 끼움공(42)에 45。각도의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필요하다면 90。각도의 간격으로 모두 4개를 형성하거나 그 이상 혹은 그 이하의 갯수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밴드케이블(20)은, 탄성력을 갖는 연질의 프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서 쉽게 부러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적절한 강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와이어하네스(46)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고정홈부(44)를 갖는 끼움공(42)은, 프레스를 사용하여 일체로 원형부분과 고정홈부(44)를 동시에 형성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 보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밴드케이블(20)의 조립 상태를 보면, 밴드케이블(20)의 고정체(32)에 고정된 플렉시블조임구(36)를 개방시키고, 와이어하네스(46))를 감은 상태에서 고정체(32)의 삽입공(34)에 플렉시블조임구(36)를 끼워서 잡아 당기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플렉시블조임구(36)를 잡아당기게 되면 표면에 형성된 걸림턱(38)들이 삽입공(34)의 내부에 형성된 미도시된 돌출부 턱부에 걸려지면서 고정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플렉시블조임구(36)에서 잡아 당겨져서 많이 노출된 부위를 절단부재(미도시)를 사용하여 소정부위를 절단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밴드케이블(2)을 조립하고자 한다면, 고정판(40)의 끼움공(42)에 걸림후크(24)를 삽입하여서 걸림후크(24)의 턱부가 끼움공(42)에 걸려지면서 지지부(30)의 지지를 받는 상태에서 고정판(40)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밴드케이블(20)의 회전방지턱(28)은, 상기 고정판(40)의 고정홈부(44)에 밀착되어서 고정되어지고, 밴드케이블(20)을 원하는 소정방향으로 방향성을 부여하여서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공(42)에 형성되는 고정홈부(44)는 45°각도로 모두 8개가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서, 일단 상기 끼움공(42)을 형성한 후에 밴드케이블(20)을 원하는 방향으로 돌려서 설치하게 되면, 설치되는 방향의 조절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특히, 상기 끼움공(42)에 형성되는 고정홈부(44)의 갯수를 8개 이상으로 형성하여 조립한다면 더욱 더 정교한 방향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회전방지구조를 사용하게 되면. 밴드케이블이 고정 설치되는 끼움공에 방사상 형상을 갖는 고정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부에 끼워지도록 라운드연결부에 회전방지턱을 형성하여서 밴드케이블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조립에서 방향성을 부여하고, 고정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Claims (2)

  1. 고정판에 형성된 끼움공에 탄성적으로 오므려 졌다가 벌려져서 걸려지는 걸림후크와; 상기 걸림후크를 지지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상측에 양측으로 벌려져서 고정판에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고정체의 상부로 인출되어서 와이어하네스를 고정하는 플렉시블조임구로 구성된 밴드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끼움공에 방사형으로 함몰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홈부와;
    상기 고정홈부의 삽입되어 상기 밴드케이블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라운드연결부의 외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회전방지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회전방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부는 상기 끼움공에 45°각도의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회전방지구조.
KR2020000031252U 2000-11-08 2000-11-08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회전방지구조 KR200223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252U KR200223927Y1 (ko) 2000-11-08 2000-11-08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회전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252U KR200223927Y1 (ko) 2000-11-08 2000-11-08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회전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927Y1 true KR200223927Y1 (ko) 2001-05-15

Family

ID=73060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252U KR200223927Y1 (ko) 2000-11-08 2000-11-08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회전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92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165B1 (ko) * 2013-07-24 2014-11-18 주식회사 경신 거치형 멀티박스
KR101802395B1 (ko) * 2016-05-18 2017-11-28 주식회사 에이티앤에스 안테나용 케이블 홀더 및 안테나용 케이블 홀더를 포함하는 안테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165B1 (ko) * 2013-07-24 2014-11-18 주식회사 경신 거치형 멀티박스
KR101802395B1 (ko) * 2016-05-18 2017-11-28 주식회사 에이티앤에스 안테나용 케이블 홀더 및 안테나용 케이블 홀더를 포함하는 안테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009345A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の取付け構造
JP2008226848A (ja) 通電レールアダプタ
CN108736408B (zh) 索环和线束
KR100664345B1 (ko) 버튼식 고정장치
KR200223927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회전방지구조
JP2011239619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分岐保持具
KR200393275Y1 (ko) 와이어 하네스의 정렬부재
KR100700045B1 (ko)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용 클립 구조
JPH09135520A (ja) ワイヤハーネスの結束具
JP2012029484A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用のバンドクランプ
KR200266438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구조
JP2596427Y2 (ja) クランプ
JP2004166403A (ja) 配線係止機構
KR200401182Y1 (ko) 간섭을 방지한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JPH09112509A (ja) クリップ
KR20100053918A (ko) 자동차용 클리어런스 클립
KR200400715Y1 (ko) 와이어 고정클립의 분기 조립구조
KR100493456B1 (ko)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JPH04114715U (ja)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JP2020012509A (ja) 固定具及び固定構造
KR200428886Y1 (ko) 와이어용 고정클립구조
KR200408988Y1 (ko)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용 클립 구조
KR200243833Y1 (ko) 커넥터 고정용 멀티 밴드케이블
KR200390964Y1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클립 구조
KR100205875B1 (ko)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