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4228A - 2 개의 분리 가능 부분으로부터 형성된 스노우보드 바인딩 - Google Patents

2 개의 분리 가능 부분으로부터 형성된 스노우보드 바인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4228A
KR20200124228A KR1020207023941A KR20207023941A KR20200124228A KR 20200124228 A KR20200124228 A KR 20200124228A KR 1020207023941 A KR1020207023941 A KR 1020207023941A KR 20207023941 A KR20207023941 A KR 20207023941A KR 20200124228 A KR20200124228 A KR 20200124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board
module
binding
base plate
high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3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하네스 베크컬러
야코프 슈나이더
마티아스 알브레히트
Original Assignee
요하네스 베크컬러
마티아스 알브레히트
야코프 슈나이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하네스 베크컬러, 마티아스 알브레히트, 야코프 슈나이더 filed Critical 요하네스 베크컬러
Publication of KR20200124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2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0Snowboard bindings
    • A63C10/02Snowboard binding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hoe holders
    • A63C10/04Shoe holders for passing over the shoe
    • A63C10/045Shoe holders for passing over the shoe with means to ease introduction of the shoe, e.g. by collapsing upstanding shoe holde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0Snowboard bindings
    • A63C10/02Snowboard binding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hoe holders
    • A63C10/08Toe or heel stirrups;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0Snowboard bindings
    • A63C10/02Snowboard binding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hoe holders
    • A63C10/10Snowboard binding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hoe holders using parts which are fixed on the shoe, e.g. means to facilitate step-in
    • A63C10/103Snowboard binding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hoe holders using parts which are fixed on the shoe, e.g. means to facilitate step-in on the sides of the sho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0Snowboard bindings
    • A63C10/24Calf or heel supports, e.g. adjustable high back or heel loo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0Snowboard bindings
    • A63C10/28Snowboard bindings characterised by 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on the binding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노우보드 신발을 스노우보드에 결합하기 위한 스노우보드 바인딩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12), 하이백, 발가락 스트랩(15) 및 발등 스트랩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고정 장치(14)에 의하여 스노우보드에 부착되고 그에 대하여 평탄하게 안착되도록 설계되고, 상기 하이백은 베이스플레이트(12)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노우보드 바인딩은 2 개 부분들로 형성되는데, 베이스플레이트(12) 및 발꿈치 스트랩(15)은 제 1 모듈(10)에 관련되고 하이백 및 발등 스트랩은 제 2 모듈에 관련된다. 결합 유닛(20)이 제공되며, 그에 의하여 제 1 모듈(10) 및 제 2 모듈이 서로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 1 모듈(10)은 결합 해제 상태에서 스노우보드상에 유지되고 제 2 모듈은 결합 해제 상태에서 스노우보드 신발에 유지되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2 개의 분리 가능 부분으로부터 형성된 스노우보드 바인딩
본 발명은 베이스플레이트, 하이백(highback), 발가락 스트랩 및 발등 스트랩을 포함하는 스노우보드 바인딩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는 고정 장치에 의해 스노우보드에 부착되고 스노우보드에 대하여 평탄하게 안착되게끔 설계되고, 하이백은 베이스플레이트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된다.
그러한 일반적인 스노우보드 바인딩은 자체로 공지되어 있고 스노우보드를 사용자, 즉, 스노우보드 착용자의 스노우보드 신발에 연결하도록 쌍을 이루어 사용된다. 그러한 공지된 바인딩에서, 바인딩과 신발 사이의 결합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우선 래치트(ratchet)들이 설치된 발가락 스트랩과 발등 스트랩이 개방되고, 다음에 신발이 베이스플레이트상의 의도된 위치에 배치되며, 다음에 2 개의 스트랩들이 장착되어 다시 조여지는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바인딩을 이용하여 스노우보드를 착용하려면, 사용자는 장갑을 착용하고 있으면서, 앉아서 항상 스트랩 장착 및 조임 과정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소위 "플로우 바인딩(flow binding)"이 최근에 시장에 출시되었는데, 여기에서는 사용자 신발의 삽입 개구를 제공하도록 하이백이 삽입을 위하여 뒤로 접혀질 수 있고, 하이백은 다시 위로 접혀질 수 있고 발을 삽입한 후에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하이백의 피봇 움직임을 위하여 바인딩 뒤의 충분한 공간이 필요하여, 하이백을 피봇시키기 위한 적절한 공간이 없기 때문에 예를 들어 가파른 경사로 바인딩이 이루어질 수 없다. 더욱이, 그러한 바인딩에서 하이백은 폐쇄 상태에서 적어도 5 도의 위치 선정 각도를 가져야 하며, 이것은 시스템의 유연성을 제한한다. 더욱이, 플로우 바인딩의 개별적인 조절 및 작동은 복잡한데, 왜냐하면 이러한 바인딩이 모두 4 개의 버클을 가지고 궁극적으로 수작업으로 개방되고 폐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소위 "스텝-인 바인딩(step-in binding)"도 어떤 경우에 이용될 수 있었으며, 여기에서는 특별하게 형성된 신발이 스노우보드상의 베이스플레이트로 스냅 결합(snapped)될 수 있었다. 그러나, 이것은 특별한 값비싼 신발의 신규 구입을 필요로 하며, 상기 신발은 강화된 것이고 따라서 유연하지 않고, 그러한 시스템은 힘의 전달 및 이용 경험과 관련하여 그리고 눈 또는 얼음에 의해 더럽혀질 때 상기 시스템의 작동과 관련하여 스노우보드 착용자에게 불충분한 것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이들 시스템은 시장에서 성공적일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제가 되는 유형의 향상된 스노우보드 바인딩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것은 불변의 이동 편의성 및 일정한 조절 선택 사양을 가지고, 스노우보드가 단순화된 방식으로 부착 및 제거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노우보드 바인딩은 2 개 부분들로 형성되는데, 베이스플레이트 및 발꿈치 스트랩은 제 1 모듈과 관련되고, 하이백과 발등 스트랩은 제 2 모듈과 관련되며, 결합 유닛은 제 1 및 제 2 모듈들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모듈들은 서로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 1 모듈은 결합 해제 상태에서 스노우보드상에 유지되도록 설계되고 제 2 모듈은 결합 해제 상태에서 스노우보드 신발에 유지되도록 설계된다.
제 2 모듈이 신발에 유지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노우보드 바인딩의 2 부분 구성은, 알파인 스키 바인딩(alpine ski binding)과 같이, 예를 들어 타겟 스텝핑-온(targeted stepping-on)에 의해 스노우보드상에 두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반면에, 바인딩에 대한 개별 조절 옵션 및/또는 이동 경험과 관련하여 절충이 이루어질 필요는 없다는 점이 인식되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관련된 스노우보드 신발에 적합화되도록 스트랩들을 조절하기 위한 래치트 시스템(ratchet system)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미 구입되고 원래 통상적인 바인딩을 위해 사용되도록 의도된 스노우보드 신발이 사용될 수 있다.
결합 해제 상태에서도 스노우보드 신발과 제 2 모듈 사이의 확고한 연결을 보장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모듈은 바람직한 디자인에서 브래킷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브래킷 요소는 바인딩의 결합 상태에서 그것의 하측부가 베이스플레이트의 방향으로 지향되고, 그것의 상측부는 스노우보드 신발의 밑창에 대한 접촉 표면을 형성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브래킷 요소를 제공함으로써, 발등 스트랩, 하이백 및 브래킷 요소 사이에서 힘의 삼각형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것은 실질적으로 착용자의 발목 조인트 또는 발목의 영역에 걸쳐 있게 된다. 따라서 스노우보드 신발에 제 2 모듈의 안정적인 고정이 달성되는데, 착용자가 보행할 때의 결합 해제 상태에서 브래킷 요소 때문에 신발은 신발의 밑창 영역에서 오직 작은 추가적인 어깨부(shoulder)만을 가지지만, 이것은 착용의 편의성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지 않는다. 이러한 조치의 결과로서, 이미 구입되었고 원래 통상적인 바인딩을 가지고 사용되도록 의도된 스노우보드 신발도 본 발명에 따른 바인딩을 가지고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대안으로서, 제 2 모듈을 스노우보드 신발에 부착하기 위한 대안의 조치도 물론 생각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호 작용 맞물림 요소들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재설계를 필요로 하거나 또는 적어도 사용된 스노우보드 신발의 변경을 필요로 한다.
브래킷 요소를 가진 실시예에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바인딩의 결합 해제 상태에서 발목의 운동성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하이백, 발등 스트랩 및 브래킷 요소를 단일 핀 주위에서 서로에 대하여 피봇될 수 있도록 하이백, 발등 스트랩 및 브래킷 요소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핀은 착용자의 발목 영역에 있는 신발 또는 착용자의 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실질적으로 발목 관절의 힌지 축에 대응한다.
더욱이, 제 1 모듈은 벽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은 베이스플레이트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고 베이스플레이트의 후방 영역 둘레에서 아크 형상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벽 요소의 제공은 바인딩에 있는 스노우보드 신발의 측방향 지지를 향상시키고, 바인딩의 결합 상태에서 스노우보드 착용자의 발과 스노우보드 사이에서 힘을 전달한다.
결합 상태에서, 상기 벽 요소는 하이백을 위한 맞닿음을 형성할 수도 있어서, 하이백과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의 미리 결정된 각도에서의 브래킷 요소에 대한 벽 요소의 피봇 움직임은 제한되며, 미리 결정된 각도는 바람직스럽게는 조절 장치에 의해 조절 가능하다. 이것은 하이백도 착용자의 신발로부터 스노우보드로 그리고 역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데, 미리 결정된 각도는 그러한 바인딩의 실질적인 파라미터이고, 스노우보드 착용자의 의도된 용도 또는 테크닉에 따라서 적합화될 수 있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예를 들어, 조절 장치는 하이백에서 높이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카운터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카운터 요소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인딩의 결합 상태에서 벽 요소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안착되는 방식으로, 조절 장치가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하이백과 브래킷 요소 사이의 각도는 카운터 요소의 위치에 의하여 적합화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에 따른 스노우보드 바인딩의 결합 유닛이 상이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을지라도, 결합 유닛을 위한 특히 단순하고 신뢰성 있는 선택은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며, 제 1 부분은 예를 들어 치 랙(toothed rack) 또는 걸쇠 요부(latching recess)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요소를 포함하고, 제 2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변위 가능한 걸쇠 치(latching tooth) 및 리셋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리셋 장치는 결합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요소와의 맞물림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걸쇠 치에 사전 부하(preloading)를 가한다.
결합 유닛의 실시예에 따라서, 특히 만약 스노우보드의 길이 방향으로 스노우보드 착용자의 발에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주된 힘을 흡수할 수 있는 상기 언급된 벽 요소가 제공된다면, 상기 결합 유닛은 특히 강한 힘을 전달할 필요가 없다. 벽 요소상의 하이백의 지지 때문에 마찬가지의 것이 적용되며, 결과적으로 스노우보드 착용자의 발가락 방향에서의 힘이 흡수될 수 있어서, 스노우보드로부터 멀어지게 지향되는 힘이 흡수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바인딩의 제 1 모듈 및 제 2 모듈이 우발적으로 서로로부터 분리될 수 없는 것을 결합 유닛이 보장하여야 한다.
상기 언급된 걸쇠 치 및, 그것과 상호 작용하기에 적절한 카운터 요소를 제공함으로써, 걸쇠 치의 미늘(barb)은 바인딩으로 되는 것을 용이하게 되고, 즉, 제 1 모듈 및 제 2 모듈이 결합될 수 있게 하고, 리셋 장치(reset mechanism)는 결합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걸쇠 치 및 맞물림 요소가 서로에 대하여 확고하게 안착됨으로써 바인딩을 그것의 결합된 상태로 안정시키는 것을 보장한다.
바인딩을 개방하기 위한 작동 요소로서 다양한 메커니즘들이 생각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사용자 친화적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걸쇠 치와 맞물림 요소 사이의 맞물림을 해제시키기 위하여 적절하게 배치된 푸쉬 버튼들이 생각될 수 있지만, 작동 요소는 견인 케이블(traction cable)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견인 케이블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걸쇠 치는, 리셋 장치(reset mechanism)의 작용에 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요소와의 맞물림에서 벗어나게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인딩에서 나오는 방향으로 케이블이 작동하는 방식으로 일체화된 레버 장치에 의해 상기 견인 케이블을 작동시키는 움직임을 편향시키는 것은, 신발을 스노우보드로부터 해제시키기 위한 최적의 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더욱이, 견인 케이블은 하이백의 영역이나 또는 하이백 안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며, 바람직스럽게는 그곳에 고정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인딩의 결합 상태에서 견인 케이블은 이동하는 동안 스노우보드 착용자를 방해하지 않는 것을 보장할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 호소력 있는 외관도 달성될 수 있다. 견인 케이블을 하이백에 고정시키도록, 예를 들어 걸쇠 장치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것은 잠금 상태에서 견인 케이블을 하이백에 확고하게 연결하며 바인딩을 개방하는 잠금 해제 상태에서만 견인 케이블을 해제시킨다.
결합 유닛의 2 개 부분들은 2 개 모듈들과 자유롭게 관련될 수 있을지라도, 특히 바인딩을 개방할 때 작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결합 유닛의 제 1 부분은 제 1 모듈과 관련될 수 있고, 결합 유닛의 제 2 부분은 제 2 모듈과 관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인딩의 최적의 힘 흡수 및 단순한 작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결합 유닛의 부분들중 하나는 브래킷 요소와 관련될 수 있고, 결합 유닛의 다른 부분은 벽 요소와 관련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스노우보드 바인딩 및, 바인딩의 제 2 모듈에 연결될 수 있도록 설계된 스노우보드 신발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장점들중 하나는 공지된 스노우보드 신발에 비교하여 스노우보드 신발에 실질적인 변경이 이루어질 필요가 없고, 이미 유통중인 스노우보드 신발도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2 개의 스노우보드 바인딩, 2 개의 스노우보드 신발 및, 2 개의 스노우보드 바인딩의 베이스플레이트가 고정 장치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는 스노우보드를 포함하고, 고정 장치는 바람직스럽게는 스노우보드의 상부측에 대하여 위치 및/또는 각도와 관련된 부착 조절을 허용한다. 이러한 조절은 예를 들어 4 개의 스크류를 가진 워셔(washer)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이것은 신발 축이 스노우보드 축에 대하여 조절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고려할 때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스노우보드 바인딩의 제 1 모듈을 도시한다.
도 2 는 도 1 의 스노우보드 바인딩의 제 2 모듈을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 는 스노우보드 신발에 연결된 도 2 의 제 2 모듈의 배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 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노우보드 바인딩의 제 1 모듈이 도시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도면 번호 10 으로 표시되어 있다. 제 1 모듈은 베이스플레이트(12)를 구비하고, 이것은 스노우보드에 장착되고 스노우보드에 대하여 그것의 하측부로 평탄하게 안착되도록 제공되고 설계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2)에 있는 중심 요부에 종종 "미니 디스크"로 지칭되는 고정 디스트(fastening disk,14)가 제공되며, 고정 디스크는 스노우보드로의 연결을 위한 스크류를 체결하기 위한 장착 구멍(14a)을 가지고, 스노우보드의 길이 방향 축과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축(A) 사이에서 소망의 각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고정 디스크(14)상에 스케일(scale, 14b)도 배치되는데, 그에 의하여 상기 각도의 정확한 설정이 가능하다.
더욱이, 제 1 모듈(10)은 발가락 스트랩(toe strap, 15)을 포함하며, 이것은 2 개의 고정 지점으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12)의 베이스 플레이트 축(A)으로 전방 영역(12a)의 구역에서 아크 형상으로 실질적으로 연장되고, 도 1 에는 오직 하나의 고정 지점(15a) 만이 도시되어 있다. 발가락 스트랩(15)은 이러한 경우에 베이스 플레이트(12)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대향되는 장착 부분(16)들에 대하여 2 개의 부착 지점(15a)을 중심으로 피봇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12)에 대한 발가락 스트랩(15)의 개별적인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비록 도 1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발가락 스트랩(15)은 하나의 부재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바인딩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공지된 방식으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래치트 시스템(ratchet system)을 통하여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발가락 스트랩(15)은 캡(cap)으로서 설계될 수도 있고, 상기 캡은 결합된 상태에서 스노우보드 신발의 전체 전방에 걸쳐 돌출되며, 즉, 신발 착용자의 발가락 전방과 위에 연장된다.
또한 벽 요소(18)는 장착 부분(16)에 부착되며, 벽 요소는 베이스플레이트(12)로부터 실질적으로 직각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실질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2)의 형상을 측방향으로 따르고 베이스 플레이트(12)의 후방 영역(12b)에서 아크(arch, 18a)를 그린다.
벽 부분(18)의 측방향 내측 부분에, 결합 유닛의 2 개 부분의 제 1 부분(20)이 있으며, 상기 부분에 의하여 도 2 에 도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제 2 모듈(30)에 대한 제 1 모듈(1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 1 의 도면에서, 결합 유닛의 제 1 부분(20)의 우측 부분만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동일하게 지시된 모듈, 즉, 결합 유닛의 제 1 부분(20)의 좌측 부분은 벽 요소(18)의 다른 측에서 베이스플레이트(12)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하여 거울 대칭으로 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결합 유닛의 2 개의 제 1 부분(20)들은 각각 걸쇠 개구의 형태인 2 개의 맞물림 요소(24)와 한쌍의 안내 레일(22)을 구비한다. 이러한 걸쇠 개구(24)는, 스프링 요소(미도시)에 의해 외측을 향하여 편향되고 결합 유닛의 제 2 부분(26)의 일부를 형성하는, 도 2 의 걸쇠 치(latching teeth, 28)가 걸쇠 개구 안으로 미끄러질 수 있고, 걸쇠 치(28)의 미늘 형상(barb shape) 및 스프링 요소로부터의 편향 때문에, 상방향에서 다시 밖으로 용이하게 당겨질 수 없도록 설계된다.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2 개의 걸쇠 개구(24)를 제공하는 것은, 예를 들어 스노우보드 신발의 밑창(sole) 또는 베이스플레이트의 내측부에 눈이 축적될지라도, 항상 바인딩을 결합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고, 눈이 차후에 녹거나 제거될지라도, 걸쇠 치(28)의 형상 때문에 바인딩을 함께 더 미는 것만이 가능하다.
결합 유닛의 상기 언급된 제 2 부분(2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노우보드 바인딩의 제2 모듈(30)의 브래킷 요소(32)상에 제공되고 도 2 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 요소(32)는, 신발을 위해 의도된 위치 아래의 부분들에서 제 2 모듈(30)의 측방향 상부로 연장되고, 2 개 모듈(10, 30)이 연결된 상태에서, 안내 레일(22)에 의해 안내될 수 있고 제 1 모듈(10)의 베이스플레이트(12)에 상기 목적을 위해 제공된 요부(12c)내에 놓인다.
더욱이, 제 2 모듈(30)은 발등 스트랩(instep strap, 34)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스노우보드 신발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제 2 모듈(30)의 다른 구성 요소들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고, 도시된 실시예의 발가락 스트랩(15)과 마찬가지로, 단일 부재로 형성되지만, 하이백(highback, 36)과 랫치트 시스템(ratchet system)에 의하여 길이 조절될 수도 있으며, 상기 하이백은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아크 형상으로 연장되고, 스노우보드 착용자 다리와 그의 스노우보드 사이에서 그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착용자의 장딴지(calf)를 어느 정도 따른다.
브래킷 요소(32), 발등 스트랩(34) 및 하이백(36)의 구성 요소들은 서로 피봇되게 연결됨으로써 핀(38)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하여 피봇 가능하며, 상기 핀은 실질적으로 착용자의 발목 관절의 힌지 축의 영역에서 연장된다. 연결 자체는 예를 들어 한쌍의 스크류 또는 리벳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착용자 발목의 양측부들에서 상기 언급된 3 개의 구성 요소들을 연결하는데, 이러한 연결을 일 측에서 해제하거나 또는 상기 언급된 랫치트 시스템을 분리시킴으로써 발등 스트랩(34)을 개방할 수 있고 그것을 스노우보드 신발에 배치할 수 있다.
하이백(highback, 36)의 영역에서, 래핑 와이어 케이블(wrapped wire cable)로부터 형성된 2 개의루프(loop, 40)는 도 2 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루프는 결합 유닛의 해제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고 특히 그것의 2 개 부분의 제 2 부분(26)에 대한 해제 장치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루프(40)들은 걸쇠 치(28)에 연결된 케이블의 부분으로서, 루프(40)들을 상방향을 당기는 것이 걸쇠 치(28)를 착용자의 발의 방향으로 유인하게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서, 치는 결합 유닛의 결합 상태에서 걸쇠 개구(24)와의 맞물림을 벗어날 수 있고, 제 2 모듈(30)이 제 1 모듈(10)로부터 해제될 수 있는 방식으로 결합 유닛이 해제된다. 케이블은 하이백(36) 안에서 연장되며, 본 발명에 따른 바인딩의 변형예에서, 우발적인 작동을 방지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2 는 하이백(36)과 관련된 조절 가능 카운터 요소(counter element, 42)를 도시하는데, 상기 카운터 요소는 2 개의 모듈(10, 30)이 결합되었을 때 아크(arch, 18a)의 영역에서 벽 요소(18)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놓이는 방식으로 카운터 요소가 작용한다; 이러한 경우에, 하이백(36)과 브래킷 요소(32) 사이의 각도는 결합 상태에서 높이 방향에 대하여 하이백(36)상의 카운터 요소(42)의 위치에 의하여 적합화될 수 있다.
카운터 요소(42)는 도 2a 및 도 2b 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도면 각각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스노우보드 신발(44)(soft shoe)에 연결된 도 2 의 제 2 모듈(30)을 배면도 및 측면도로 도시한다. 이러한 2 개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노우보드 바인딩의 결합 해제된 상태에서, 제 2 모듈(30)은 브래킷 요소(32), 발등 스트랩(34) 및 하이백(36)에 의해 형성된 삼각형에 의해 신발(44)에서 유지되고, 핀(38)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하여 상기 언급된 3 개 구성 요소들의 피봇 가능성 때문에 신발(44) 착용자의 발목의 우수한 운동성(mobility)이 보장됨으로써, 신발(44)에 제 2 모듈(30)을 착용하는 것이 성가시게 느껴지지 않는다.
10. 제 1 모듈 30. 제 2 모듈
12. 베이스플레이트 15. 발가락 스트랩
14. 고정 장치 34. 발등 스트랩

Claims (12)

  1. 고정 장치(14)에 의해 스노우보드에 부착되고 스노우보드에 대하여 평탄하게 놓이도록 설계된 베이스 플레이트(12),
    베이스 플레이트(12)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된, 하이백(highback, 36)
    발가락 스트랩(15) 및,
    발등 스트랩(34)을 구비하는, 스노우보드 신발(44)을 스노우보드에 결합시키는 스노우보드 바인딩(snowboard binding)으로서,
    상기 스노우보드 바인딩은 제 1 모듈(10) 및 제 2 모듈(30)의 2 개 부분들로 형성되고, 베이스플레이트(12) 및 발가락 스트랩(15)은 제 1 모듈(10)에 관련되고, 하이백(36) 및 발등 스트랩(34)은 제 2 모듈(30)에 관련되며, 제 1 모듈(10) 및 제 2 모듈(30)은 결합 유닛(20, 26)에 의해 서로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결합 해제 상태에서 제 1 모듈(10)은 스노우보드상에 유지되도록 설계되고, 결합 해제 상태에서 제 2 모듈(30)은 스노우보드 신발(44)에 유지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바인딩.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모듈(30)은 브래킷 요소(32)를 더 포함하고, 스노우보드 바인딩의 결합 상태에서 상기 브래킷 요소는 브래킷 요소의 하측부가 베이스플레이트(12)의 방향으로 지향되고, 브래킷 요소의 상부측으로써 스노우보드 신발(44)의 밑창(sole)과의 접촉 표면을 형성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바인딩.
  3. 제 2 항에 있어서,하이백(36), 발등 스트랩(34) 및, 브래킷 요소(32)는 단일 핀(38)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하여 피봇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바인딩.
  4.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모듈(10)은 베이스플레이트(12)에 실질적으로 직각이면서, 베이스플레이트(12)의 후방 영역(12b) 둘레에서 아크 형상(arc shape)으로 연장되는 벽 요소(1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바인딩.
  5. 제 4 항에 있어서, 결합 상태에서 벽 요소(18)는 하이백(36)과의 맞닿음을 형성함으로써, 하이백(36)과 베이스플레이트(12) 사이의 미리 결정된 각도에서의 브래킷 요소(32)에 대한 하이백의 피봇 움직임은 제한되고, 미리 결정된 각도는 바람직스럽게는 조절 장치(42)에 의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바인딩.
  6.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 유닛은 제 1 부분(20) 및 제 2 부분(26)을 가지고, 상기 제 1 부분(20)은 치가 형성된 랙(toothed rack) 또는 걸쇠 요부(latching recess, 24)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요소(24)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분(26)은 적어도 하나의 변위 가능한 걸쇠 치(28) 및, 상기 걸쇠 치(latching tooth, 28)를 위한 리셋 장치(reset mechanism)을 포함하고, 상기 리셋 장치는 결합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요소(24)와의 맞물림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걸쇠 치(28)에 사전 부하(preloading)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바인딩.
  7. 제 6 항에 있어서, 작동 요소(40)로서의 견인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견인 케이블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걸쇠 치(28)는 리셋 장치의 작용에 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요소(24)와의 맞물림으로부터 벗어나게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바인딩.
  8. 제 7 항에 있어서, 견인 케이블(40)은 하이백(36)내에서 또는 하이백(36)의 영역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바람직스럽게는 하이백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바인딩.
  9. 제 6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 유닛(20, 26)의 제 1 부분(20)은 제 1 모듈(10)과 관련되고, 제 2 부분(26)은 제 2 모듈(30)의 결합 유닛과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바인딩.
  10.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이지만 적어도 제 2 항 및 제 4 항에 있어서, 결합 유닛(20, 26)은 브래킷 요소(32) 및 벽 요소(18)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바인딩.
  11.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노우보드 바인딩 및, 상기 스노우보드 바인딩의 제 2 모듈(3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설계된 스노우보드 신발(44)을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2 개의 스노우보드 바인딩, 2 개의 스노우보드 신발(44) 및, 2 개의 스노우보드 바인딩의 베이스플레이트(12)가 고정 장치(14)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는 스노우보드를 포함하고, 고정 장치(14)는 바람직스럽게는 스노우보드의 상부측에 대하여 위치 및/또는 각도와 관련된 부착 조절을 허용하는, 시스템.

KR1020207023941A 2018-02-26 2019-02-26 2 개의 분리 가능 부분으로부터 형성된 스노우보드 바인딩 KR202001242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202874.5 2018-02-26
DE102018202874.5A DE102018202874A1 (de) 2018-02-26 2018-02-26 Snowboardbindung
PCT/EP2019/054696 WO2019162520A1 (de) 2018-02-26 2019-02-26 Snowboardbindung aus zwei trennbare te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228A true KR20200124228A (ko) 2020-11-02

Family

ID=65598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3941A KR20200124228A (ko) 2018-02-26 2019-02-26 2 개의 분리 가능 부분으로부터 형성된 스노우보드 바인딩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291908B2 (ko)
EP (1) EP3758812A1 (ko)
JP (1) JP7362671B2 (ko)
KR (1) KR20200124228A (ko)
CN (1) CN111770780B (ko)
AU (1) AU2019223238B2 (ko)
CA (1) CA3088653A1 (ko)
DE (1) DE102018202874A1 (ko)
WO (1) WO20191625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13743A1 (de) * 2019-09-10 2021-03-11 CLEW GmbH Snowboardbindung mit Aussparung(en) im Sohlen- bzw. Fersenbereich der Basisplatte
CN113975780A (zh) * 2021-10-20 2022-01-28 哈尔滨敬然体育科技有限公司 一种滑雪板用于滑雪靴辅助固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5080A (en) * 1992-12-17 1995-07-25 Meiselman; Jamie Boot for snowboarding and the like
US5505477A (en) * 1993-07-19 1996-04-09 K-2 Corporation Snowboard binding
DE9421380U1 (de) * 1994-05-06 1995-10-12 F2 Int Gmbh Snowboardbindung
JPH08150237A (ja) * 1994-11-29 1996-06-11 Daito Takigawa スノーボードのブーツ着脱機構
FR2732230B1 (fr) 1995-03-31 1997-05-30 Brechet Daniel Dispositif de liaison semi-automatique entre chaussure et planche de glisse et notamment surf de neige
FR2733671B1 (fr) 1995-05-05 1997-06-06 Rossignol Sa Chaussure pour la pratique du surf de neige
US5692765A (en) * 1995-06-07 1997-12-02 Laughlin; James Soft boot step-in snowboard binding
FR2736516B1 (fr) 1995-07-13 1997-08-14 Rossignol Sa Chaussure pour la pratique d'un sport de glisse
AT405372B (de) * 1996-04-24 1999-07-26 Tyrolia Freizeitgeraete Snowboardbindung
US5820155A (en) * 1996-07-05 1998-10-13 Brisco; Don L. Step-in binding system for retro-fitting to a snowboard boot binder
EP0979045B1 (en) * 1997-04-18 2002-02-13 The Burton Corporation Active highback system for a snowboard boot
EP0991451B1 (en) * 1997-04-18 2002-07-24 The Burton Corporation An interface for engaging a snowboard boot to a binding
US6007077A (en) * 1997-12-01 1999-12-28 Moe; Christopher R Step-in snowboard binding
JPH11188131A (ja) * 1997-12-25 1999-07-13 Car Mate Mfg Co Ltd スノーボード用ビンディング
US6382641B2 (en) * 1998-05-19 2002-05-07 K-2 Corporation Snowboard binding system with automatic forward lean support
US6231057B1 (en) * 1998-10-09 2001-05-15 The Burton Corporation Highback with an adjustable shape
US6267390B1 (en) * 1999-06-15 2001-07-31 The Burton Corporation Strap for a snowboard boot, binding or interface
EP1212124B1 (en) * 2000-01-06 2003-08-27 The Burton Corporation Highback formed of multiple materials
US6464237B1 (en) * 2001-02-23 2002-10-15 Brian P. Gracie Snowboard binding
US6648364B2 (en) * 2001-04-18 2003-11-18 Shimano Inc. Snowboard binding system
US6742800B2 (en) * 2001-04-18 2004-06-01 Shimano, Inc. Snowboard binding system
US6637768B2 (en) * 2001-04-18 2003-10-28 Shimano, Inc. Snowboard binding system
CN2508810Y (zh) * 2001-07-20 2002-09-04 苏崇祺 滑雪板固定部件
EP1314462B1 (en) * 2001-11-21 2005-03-16 The Burton Corporation Interface for engaging a snowboard boot to a snowboard binding
EP1319426A1 (de) * 2001-12-14 2003-06-18 HTM Sport- und Freizeitgeräte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für eine auf einem Ski positionierbare Skibindung
AT412616B (de) * 2002-02-01 2005-05-25 Atomic Austria Gmbh Bindungseinrichtung für sportgeräte, insbesondere für ein snowboard
US7568719B2 (en) * 2003-11-14 2009-08-04 K-2 Corporation Snowboard binding system having automatic toe strap
KR20090004843A (ko) * 2005-11-30 2009-01-12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개선된 보드 바인딩
US9149711B1 (en) * 2014-11-14 2015-10-06 The Burton Corporation Snowboard binding and boot
FR3092499B1 (fr) * 2019-02-08 2021-11-12 Decathlon Sa Ensemble de montage pour solidariser une chaussure à une planche à neige
US11179624B2 (en) * 2019-04-29 2021-11-23 Boult Terrance E Systems and methods for one-handed snowboard strapp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20125040A (ru) 2022-01-28
JP7362671B2 (ja) 2023-10-17
CN111770780B (zh) 2022-11-29
EP3758812A1 (de) 2021-01-06
RU2020125040A3 (ko) 2022-03-23
CA3088653A1 (en) 2019-08-29
CN111770780A (zh) 2020-10-13
AU2019223238B2 (en) 2023-08-31
AU2019223238A1 (en) 2020-08-13
WO2019162520A1 (de) 2019-08-29
DE102018202874A1 (de) 2019-08-29
US20200398144A1 (en) 2020-12-24
US11291908B2 (en) 2022-04-05
JP2021514814A (ja)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6067B2 (ja) スノーボードのクリート係合機構
US5713587A (en) Attachment system for snowboards
US6554295B2 (en) Strapless toelock binding for snowboards
US7152871B2 (en) Snowboard binding system
US7210252B2 (en) Step-in snowboard binding and boot therefor
US7246811B2 (en) Snowboard binding engagement mechanism
US20070063459A1 (en) Interface system for retaining a foot or a boot on a sports article
EP2380639A1 (en) Snowboard binding
JP3069806U (ja) スノーボード用アクティブハイバックシステム
JP2004516118A (ja) スノーボードビンディング
JP2009061244A (ja) スノーボードビンディング及び関連した方法
US6267403B1 (en) Shoe/binding assembly for snow gliding board
JPH08317803A (ja) スノーボード用ブーツ
US7048295B2 (en) Automatic, universal boot binding for board sports
KR20080108404A (ko) 조절가능한 힐-컵 프레임을 구비한 바인딩
JP2021118856A (ja) 横方向性能を強化する、スキーブーツとストラップの組合体
KR20200124228A (ko) 2 개의 분리 가능 부분으로부터 형성된 스노우보드 바인딩
US20070182130A1 (en) Snowboard binding
US7494148B2 (en) Board binding
US6010138A (en) Shoe for gliding board
US10086257B2 (en) Apparatus for adapting a snowboard boot for use with an alpine ski
WO2003056961A1 (en) Snowshoe harness
JP2005520584A (ja) 特にスキー、スケート又はスノーボードのためのスポーツブーツ
JP2013530790A (ja) スノーボードバインディング用のストラップ
RU2780790C2 (ru) Крепление сноуборда, состоящее из двух разделяемых част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